-
에코타임, 베트남 블록체인데이에서 MyData 블록체인 ‘타임(TYME)’ 발표
에코타임, 베트남 블록체인데이에서 MyData 블록체인 ‘타임(TYME)’ 발표 -제 4회 블록체인데이 초청받아…1,000명 참석하는 글로벌 대규모 블록체인 행사-정부 시범 사업 추진 예정인 ‘마이데이터’ 체인화…세계 최초 마이데이터 블록체인-EMVCo® 3-D Secure 2.0 지불결제(PG) 연동…금융기관과의 거래를 대행해주는 실질 기술 블록체인기업 에코타임(대표 김정수)은 지난 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4회 블록체인데이’에서 세계 최초로 마이데이터를 블록체인화한 ‘타임(TYME)’ 프로젝트를 선보였다.베트남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부의 지원 등으로 인해 새로운 블록체인 허브로 부상하고 있으며, 관련 투자자가 약 500만명을 넘어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블록체인시장이기 때문에 이날 행사는 블록체인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편, 본행사의 주최사이며 전 세계 50여개 지사를 두고 있는 OKex는 한국 블록체인 기업, 에코타임을 초청하였으며 에코타임의 CIO 한승일은 이 날 행사에서 마이데이터 블록체인 프로젝트 ‘타임(TYME)’을 발표했다.한승일 이사는 이날 발표에서 “타임(TYME)은 21세기 석유인 빅데이터의 가치 재정립과 블록체인기반의 공유경제와 새로운 결제서비스 플랫폼”임을 강조했다. ‘타임(TYME)’ 프로젝트는 데이터의 가치에 대한 주도권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마이데이터(MyData) 사업을 블록체인화한 최초의 프로젝트다. 이미 정부는 2019년 한 해에만 97억원을 투입하여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타임의 메인넷은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이 개발한 DDPoS 기반의 ‘코기토체인’을 사용한다.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에 의해 30만 TPS의 빠른 속도를 인정받았으며 KOLAS 공인시험성적서는 국제시험기관 인정협력체 상호인정협정(ILAC-MRA)이 가입한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72개국, 아시아태평양 시험기관 인정협력체 상호인정협정(APLAS-MRA)에 가입한 23개국에서 상호인정되며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또한 타임 프로젝트의 저력은 지불결제시스템(PG: Payment Gateway)에서 나온다. 국내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EMVCo® 3-D Secure 2.0(American Express, Discover, JCB, Mastercard, UnionPay 및 Visa)의 3DS Server와 ACS(Access Control Server)의 2개 솔루션을 국내 최초 인증을 획드한 핀테크 전문 기업 이삭랜드코리아(ILK, 대표 하경태)와의 협력을 통해 단순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이 아닌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대행해주는 실질적인 기술로, 코인과 토큰을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실물 결제 플랫폼이다.에코타임은 ‘타임(TYME)’을 암호화폐공개(ICO)를 거치지 않고, 거래소에 상장할 계획이다.
-
펀디엑스(Pundi X), 세계적인 예술가 카오 쥰(Cao Jun) 디자인의 액스패스(XPASS) 카드 공개
펀디엑스(Pundi X), 세계적인 예술가 카오 쥰(Cao Jun) 디자인의 액스패스(XPASS) 카드 공개펀디엑스(Pundi X)와 아이뱅크 디지털(iBank Digital)은 세계적인 예술가 카오 쥰(Cao Jun)과 독점 협약을 통해 한정판 아이뱅크 엑스패스(iBank XPASS) 카드를 공개한다고 8일 발표했다.아이뱅크 엑스패스 카드의 디자인은 카오 쥰의 작품 중 “”보라색 파빌리온과 청록색 구름(Purple Pavilion and Cyan Cloud)”, “천년의 하루(Once in a Millennium)”, “봄의 소식(Spring’s News)”의 등을 바탕으로 한다. 총 수량은 10,000장이며, 한정판 4,000장은 5월 뉴욕에서 열리는 2019년 블록체인 컨센선스(Consensus 2019)에서 사전 공개될 예정이다.한정판 아이뱅크 엑스패스 카드를 통해 유저는 펀디엑스의 POS 디바이스인 XPOS를 이용한 결제를 진행할 수 있고, 디지털 자산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콜라보레이션은 미술 산업을 위한 분산 원장 기술의 세계적인 큰 변화를 의미하며, 한정판 수집품의 소유권이 인정받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표현되고 거래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라고 아이뱅크 디지털 경영 매니저인 데이비드 유가 전했다. 아이뱅크 엑스패스 카드의 1,000장은 카오 쥰의 예술 팬에게 판매되며 일부 수익금이 자선 단체에 기부된다. 기부 트랜잭션은 IOST Blockchai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아이뱅크 디지털은 IOST 블록체인에 한정판 수집품을 담보로 제공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출시할 예정이다.
-
제프리 후앙 미스릴 대표 “콘텐츠 올리고 보상 받은 토큰, 실물 경제서 바로 소비한다”
제프리 후앙 미스릴 대표 “콘텐츠 올리고 보상 받은 토큰, 실물 경제서 바로 소비한다” -커피점에 이어 오프라인 스토어 연합 브랜드와 파트너십 추가 발표-연내 한국에 제휴 매장 확대 예정90년대 서태지와 공연을 하기 위해 내한했던 가수 출신이자 블록체인 기업 미스릴(Mithril)을 설립한 제프리 후앙 대표는 11일 “암호화폐 대중화는 멀지 않았다”고 밝혔다. 후앙 대표는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채굴하고 볼트(VAULT) 지갑을 통해 환전과 사용까지 가능한 토큰 생태계는 블록체인 경제가 성장하는데 필수적”이라며 “곧 800-1000개의 밀크티 가맹점을 보유한 오프라인 스토어 연합 브랜드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할 것이며, 미스릴은 티켓 플랫폼과 패션 브랜드를 비롯해 다양한 소매 업체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없이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있지만 실제로 사용 가능한 암호화폐는 많이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암호화폐를 간편하게 관리하고 결제할 수 있는 지갑과 사용 가능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후앙 대표는 “대중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암호화폐를 실제로 사용하길 원한다”며 “그들은 소셜 미디어에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공유하면 토큰을 채굴할 수 있고, 이를 볼트 지갑에서 관리하며 바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볼트’는 송금 시간이 짧고 수수료가 매우 저렴해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미스릴 관계자는 “실제 미스릴 사용자들은 채굴 또는 구매한 토큰을 송금하거나 환전할 때 ‘볼트’를 이용하고 있다”고 말했다.미스릴은 처음으로 ‘소셜 마이닝’이란 개념을 창안한 보상형 블록체인 SNS 프로젝트로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수익을 올리고 일상 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토큰 경제를 구축하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미스릴은 다음 달 27일 미스릴 마이닝 해커톤을 개최하여 1분기에 공개하는 마이닝 API 적용 사례를 늘릴 예정이다. 참신한 보상 생태계를 디자인한 프로젝트에는 미스릴 포지 펀드에서 투자를 유치할 계획도 밝혔다. 후앙 대표는 “우리는 더 많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을 주기 위해 마이닝 네트워크를 넓히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연내 한국에도 마이닝 파트너와 온오프라인 사용처를 추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리서치 "CME 선물 거래 영향력 20배 이상 커...시장 영향력 ↑"
▲ 美 FIRA, 비트코인 사기범 암호화폐 거래 금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넥스트웹(thenextweb)에 따르면, 미국 금융업감독국(FIRA)이 비트코인 사기극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는 콜로라도주 트레이더 다니엘 토드 레빈(Daniel Todd Levine)의 거래를 금지한다고 밝혔다. 미디어에 따르면 레빈은 투자자들에게 비트코인 구매 서비스를 통한 사기로 약 150만 달러의 투자금 손실을 발생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리서치 "CME 선물 거래 영향력 20배 이상 커...시장 영향력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 거래량의 약 95%가 규제 감독 범위 이외의 마켓에서 거래 또는 메이킹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BTC 거래량의 95%가 '만들어진 거래'라고 가정할때, CME의 비트코인 선물 거래의 영향력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비교해 20% 이상 크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최근 BTC 가격 흐름에 이같은 요인들이 뚜렷하게 반영되고 있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이다. 보고서는 지난 2월 24일을 예로 들어, 당시 BTC가 종가 기준(선물 마켓 현지 시간 자정 기준) 9% 급락했으며, 한차례 급격한 하방압력이 시장 전반의 흐름을 바꿨다"고 강조했다.▲ EOS, 20일 일평균 이용자 증가 최고치 경신....최고의 1주 평가댑 토털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3월 20일 EOS 메인넷의 1일 평균 이용자 증가 수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와 관련해 댑 토털은 "EOS의 성과가 가장 좋은 주간"이라고 평가했다. 해당 플랫폼이 제공한 지난주 주요 퍼블릭 체인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 1. EOS의 1일 기준 이용자가 10만 8026명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해시 베이비(Hash Baby)란 이름의 EOS 댑이 다크호스로 부상하며 신규 이용자 유입을 견인했다. 해당 댑 이용자는 지난 1주일 4만 1132명 늘었다. 2. EOS 메인넷 신규 가입자가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80만 계정 돌파 당시와 비교해 증가 속도가 뚜렷하게 빨라졌다. 3. TRON(트론)의 지난 일주일 거래액은 8649만 7315 달러를 기록하며 EOS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지난주와 비교해 증가폭이 감소세를 나타냈다. TRON 메이저 댑인 888TRON의 거래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해당 댑의 거래량이 약 97.84%가 감소하면서 이전부터 제기되어 온 트론 댑 거래량 조작설이 다시 불거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BeFull 커뮤니티는 한국 탈중앙화 거래소 EOSDAQ와 전략적인 협력 협의를 3월 26일 체결했다. 이 협의에 따르면 양측은 EOS 생태계를 기반으로 협의를 할 것으로 약속했다. EOSDAQ와의 협력으로 BeFull 커뮤니티는 한국지역에서의 중요한 첫 진출을 했다. 이로써 한국 시장에서 EOS를 기반으로 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커뮤니티 토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을 시작한 것이다.BeFull 창시자 하오는 “EOS는 Block.One의 계열사이다. Block.One은 10억위안 투자의 투자금을 EOS 생태계의 발전기금으로 이를 사용하도록 했다. 이 기금회는 국제적으로 수많은 EOS 프로젝트를 도와 안정적인 성장을 일구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저와 저의 팀은 EOS를 신뢰하며 그의 발전을 지켜보고 있다. EOS를 선택한 이유는 믿음뿐만 아니라 비전에 대한 굳은 믿음이 있기에 가능했다. EOSDAQ와 협력하는 것은 저희에게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며 BeFull 커뮤니티의 힘과 EOSDAQ 전문거래 플랫폼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더 생동한 탈중앙화를 체험시킬 것이다”고 밝혔다.EOSDAQ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EOS 분포식 거래소로 2018년에 출발해 한국 시장에서 큰 활약을 보였으며 한국에서 가장 빨리 발전한 거래소 중 하나다. 현재까지 수천명의 현지 고객들을 유치했으며 금융업에서 최첨단 기술을 보유한 안전 감독회사들과 협력해 거래의 안전성과 사용자의 더 나은 체험을 위해 노력했다.EOSDAQ 공동 창시자 Peter Kim은 “탈중앙화 거래소는 블록체인 거래소의 미래임과 동시에 추세다. 이는 세계 각지의 유저들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할 것이다. BeFull과 협력하여 우리는 또 다른 발전의 기회를 얻었으며 더 많은 중화권 유저와 만나고 싶다. 그리고 우리는 BeFull 유저들에게 정확한 기술과 EOS 지식을 보급하고 싶다”고 말했다.협력 강화를 위해 EOSDAQ 공동창시자 겸 CEO 정세현은 “BeFull 커뮤니티의 요청으로 고문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EOS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측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
얍체인 재단,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팜 조성사업 진출
얍체인 재단,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팜 조성사업 진출...열두척 주식회사와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얍체인 재단과 열두척 주식회사가 스마트팜 조성사업 협약식을 진행했다. 마이클 안 열두척 주식회사 대표(왼쪽)와 박성재 얍체인 재단 대표가 협약 체결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얍체인 재단(YAP CHAIN / 대표 박성재)은 열두척 주식회사(대표 마이클 안)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차세대 농수산업 혁명을 위한 스마트 블록타운 조성사업 업무 협약을 맺었다고 12일 밝혔다. 얍체인 재단은 "이번 제휴의 목적은 얍체인 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과 열두척 주식회사가 확보하고 있는 스마트팜 기술을 농수산업에 활용, 품질 좋은 농수산물을 신뢰성 있게 구매 및 판매 할 수 있는 직거래 플랫폼 구축을 통해 혁신적인 스마트 블록타운을 조성하는데 있다"고 밝혔다.얍체인 재단은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블록체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 소비, 농어촌 생활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팜 영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고 전했다. 이러한 기술이 구현되면 계절과 날씨의 변화에 따라 하우스 특용작물, 시설작물의 생육복합환경을 최적 상태로 자동 제어할 수 있고, 축적한 작물별 생육데이터를 이용해 병충해를 예방하고 수확량을 예측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박성재 얍체인 재단 대표는 "이번 전략적 제휴 체결로 한국의 농수산업 분야에 분산화된 블록체인 기술혁명을 도입하고, 완전히 새로운 수익 기반 사업 및 공급 시스템을 함께 구축할 예정"이라며 "농수산업 분야의 차세대 혁명을 선도해 열두척 주식회사와 함께 향후 중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적극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얍체인 재단은 그룹, 쇼핑몰, 거리, 도시의 운영체계가 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 최적화된 얍체인(YAP CHAIN)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기축통화인 얍스톤(YAP STONE)을 발행하고 있다. 특히 얍토큰(YAP TOKEN)을 통해 지방정부의 지역화폐 발행, 대학가 암호화폐 컬리지 코인 등을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 위에서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
블록체인 보험 컨소시엄 B3i, 지난달 1,600만 달러 조달
▲ 반에크 디지털 자산 총괄 "BTC ETF 신청 마감일 중요치 않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현재 시장이 주목하고 있는 두 개(Bitwise Asset Management와 VanEck SolidX)의 BTC ETF 신청 마감일이 다음달 1일과 6일로 다가왔다. 이와 관련해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이러한 ETF 마감일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며 "반에크와 솔리드X는 이미 여러 해 동안 시장 구조 구축 작업과 시간, 자원을 투입해 ETF 승인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고 생각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두 ETF의 신청 마감일인 4월 1일, 6일 이후에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종 결정을 내리기까지는 최대 240일의 시간이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보험 컨소시엄 B3i, 지난달 1,600만 달러 조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스위스 기업 등록 명단 문서를 인용, 글로벌 보험 블록체인 컨소시엄 B3i가 지난달 1,6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B3i가 현재까지 조달한 투자금은 2,200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해 6월 B3i는 R3의 분산원장기술 코다(Corda) 플랫폼 기반의 보험상품을 출시한다고 전한 바 있다.▲ 리서치 "美 거래소 BTC 거래, 글로벌 전체 29% 차지"미국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 Asset Management)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의 BTC 거래량이 글로벌 BTC 거래량의 2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몰타 다음으로 많은 수준의 거래량이다. 보고서 이와 관련해 "미국 현지 암호화폐 거래량이 글로벌 전체 거래량의 1%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있었지만, 이는 옳지 않다"며 "생각보다 미국의 BTC 거래 시장은 작지 않다"고 진단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블록체인 핀테크 전문업체 (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 https://chain.partners)는 필리핀 중앙은행(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으로부터 가상통화 거래소(Virtual Currency Exchange) 설립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난 6개월간 진행된 평가를 마치고 25일 부국장 명의의 승인서를 발부했다.필리핀 중앙은행은 엄격한 돈 세탁 방지 규정을 마련한 사업자에게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외환 딜링 업무까지 허용하고 있다. 인가 범위가 넓어 전세계 100여개 업체가 대기중이지만 인가는 하늘의 별따기다. 2017년 인가 도입 후 올 3월까지 8개 업체만 인가를 받았다. 체인파트너스가 아홉번째다.체인파트너스는 인가를 바탕으로 내달 한국 법인이 100% 소유하는 체인파트너스필리핀주식회사(Chain Partners Philiphine Inc.)을 세우고 영업 준비에 들어간다. 영업이 시작되면 체인파트너스는 인구 1억명의 필리핀 전국에서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은 물론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필리핀은 외국에 거주하는 자국민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금액이 연간 328억달러인 세계 3위의 국제 송금 시장이다. 저렴한 수수료로 최근 블록체인 기반 송금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 무허가 비트코인 송금으로 이루어져 왔다. 체인파트너스가 필리핀 정부로부터 가상통화를 이용한 합법적인 해외 송금 및 외환 딜링 허가를 받게됨에 따라 앞으로 세계 3위의 송금 시장에 유리하게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체인파트너스는 작년 11월 유럽연합(EU) 가입국인 몰타(Malta) 정부로부터 가상금융자산법상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이 가능한 최상위 라이센스(Class 4)를 취득한데 이어, 이번 필리핀 가상통화 거래소 인가가 두번째 해외 성과다.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자금 세탁 방지와 본인 확인 등 금융권 수준의 규제를 준수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양성화를 추구해 온 결과 몰타에 이어 경제규모가 훨씬 큰 필리핀에서도 합법적인 영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경제 규모가 더 큰 나라들에서도 디지털 자산 취급 인가를 받아, 궁극적으로 가장 많은 법정통화를 합법적으로 다루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전문업체로 발전시켜가겠다"고 밝혔다.한편 필리핀 카가얀 경제구역청(Cagayan Economic Zone Authority)은 2018년 7월 전세계 25개 업체에 가상통화 취급 라이센스를 발급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만 가상통화를 취급할 수 있어 제한적이다. 체인파트너스가 취득한 중앙은행 인가는 별도의 거래자 제한이 없고 법정화폐-가상통화간 거래, 환전, 송금 사업을 할 수 있어 격이 다르다.
-
본다빈치㈜, ‘신과함께 ‘컨텐츠 IP개발사 ㈜네오라마와 공간 테마파크에 관한 업무 협약 체결
본다빈치㈜, ‘신과함께 ‘컨텐츠 IP개발사 ㈜네오라마와 공간 테마파크에 관한 업무 협약 체결전시계뿐만 아니라 암호화폐계의 신선한 활력을 불어 넣고 있는 본다빈치㈜가 전시 흥행과 더불어 암호화폐 BSD(Bondavinci Standard Decentralization) 개발에 이어 VR게임 및 종합엔터테인먼트사인 ㈜네오라마와 공동사업 계약을 체결하였다.본다빈치㈜는 최근 본다빈치 뮤지엄 능동(어린이 회관 기획전시실)에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오픈을 하였고, 이와 관련한 IP를 실감형 컨텐츠와 함께 국내외 테마파크 로 확장하기 위하여 게임업계의 높은 실력을 자랑하는 VR/AR회사인 (주)네오라마와 공동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마니아층을 확보한 와 쌍천만관객을 이끈 영화 원작 IP(지식재산권)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고 본격적인 사업 구축에 들어갔다.본다빈치㈜는 국내 대형 디지털 전시를 이끌어온 선두 주자로서 그동안 컨버전스 아트와 VR기술을 접목하여 평창 올림픽에 소개된 한국전력의 ‘시등도’, 국내외 전시에 활용된 ’모네의 방’, ’고흐의 방’, ‘르누아르의 아틀리에’ 등의 360도 파노라마 VR을 선보였으며, 좀더 고도화된 컨텐츠 확장을 위하여 (주) 네오라마의 뛰어난 기술력을 통한 공간 사업을 확장하게 되었다.㈜네오라마는 로봇태권브이의 VR어트렉션을 선보인 회사로 미국 GDC(게임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많은 관심을 받은 바 있다. 이에 본다빈치㈜는 ㈜네오라마가 확보한 영화 ‘신과 함께’의 원작인 주호민 작가의 IP를 활용한 전시 및 공간 테마파크 사업과 중국 최고의 박물관인 무후사와 계약을 이룬 IP를 활용한 VR/ AR등을 활용하기로 하고, 각 회사 업무의 특성에 맞는 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하기로 하는 한편, 지명도 높은 IP를 통한 국내외 공간 테마파크 개발로 시장을 선점하고 더 나아가 전시 및 테마파크 공간에서 'BSD(Bondavinci Standard Decentralization)로 결제하는 시스템도 빠른 시일 내에 완성할 예정이다.이미 웹툰에서부터 영화, 뮤지컬로 대성공을 이룬 ‘신과함께’ 원작의 IP와 글로벌 콘텐츠인 ‘삼국지’ IP개발을 역량있는 두 회사가 함께하는 것에 대하여 ㈜네오라마는 ‘현실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테마파크의 이머시브한 체험 콘텐츠를 선보이고, 자체 어트랙션 머신에 전용 게임으로 탑재, 최고 퀄리티 VR게임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한편, 영화 ‘신과함께’ 1, 2편의 메가폰을 잡았던 김용화 감독이 앞으로 3편 제작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팬들의 기대가 더 쏠리고 있는 가운데 본다빈치㈜의 뛰어난 스토리구성을 덧입힌 공간 연출력과 ㈜네오라마의 다양한 게임 플랫폼과의 장르 게임 소프트웨어(SW) 및 어트랙션 하드웨어(HW)가 만나 그동안 볼 수 없었던 테마파크에 대한 기대감을 한층 높힐 전망이다. 본다빈치㈜는 문화 예술영역의 콘텐츠(작품/상품)를 블록체인화 하고 이에 대한 아트 블록체인 거래소를 만드는 사업을 위해 컬처코인 BSD를 개발, 이미 해외 코인상장을 위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와 상장 체결식을 성공적으로 마친 바 있다.
-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 알고랜드 플랫폼의 최초 파트너로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 프로젝트 탑네트워크 선정- 6천만 명 이상의 유저 확보로 플랫폼 개발 및 확장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가 선정되었다.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알고랜드의 플랫폼 위에서 블록체인 확장성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과 인프라를 공동으로 개발한다.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명예 교수가 만든 국경없는 경제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한계로 지적되는 블록체인 트릴레마(확장성, 보안, 분산화 중에서 두가지만 선택 가능한 딜레마)를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 프로토콜로 극복하여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들을 위한 국경 없는 경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알고랜드의 플랫폼 파트너로 선정된 탑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터넷 전화(VoIP) 어플리케이션 딩톤(Dingtone), 가상사설망 어플리케이션 스카이 VPN(SkyVPN), 메시징 플랫폼 커버미(CoverME) 디앱(DApp)으로 전 세계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이미 보유한 서비스이다. 파트너십을 통해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으며 6천만 명의 사용자를 알고랜드 플랫폼 생태계로 불러들이게 되었다.튜링상 수상자이자 알고랜드 설립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MIT 교수는 "탑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알고랜드는 대중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며 “탑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더욱 차별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 전했다.
-
日 라쿠텐 월렛, '가상 화폐 교환업자' 등록 절차 완료
▲ BTC 핵심 개발자 "BTC 최대 경쟁상대는 Visa가 아닌 '웨스트유니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따르면, 최근 열린 2019 MIT 비트코인 박람회에서 비트코인 핵심 개발자 피터 토드(Peter Todd)가 "BTC의 진정한 경쟁상대는 Visa나 마스터카드가 아닌 웨스트 유니온"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역사적으로 웨스트 유니온은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의 규제를 피하며, 수십억 달러의 벌금과 수수료를 지불했다. 우리는 다만 그 배경은 모르고 웨스트 유니온을 사용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日 라쿠텐 월렛, '가상 화폐 교환업자' 등록 절차 완료일본 라쿠텐 그룹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산하 기업 라쿠텐 월렛이 25일(현지시간) "자금 결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가상 화폐 교환업자(仮想通貨交換業者)'로 관동 재무국에 등록 완료됐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라쿠텐 고위 관계자는 " 라쿠텐 지갑은 암호화폐 시장 발전에 기여하고, 높은 보안성과 고객 편리성으로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서치 "BTC·ETH·LTC·ZEC·BCH, 일 평균 네트워크 관리 비용 ETH 최저...200만 달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가 뉴욕 소재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기업 메사리(Messari)의 데이터를 인용, BTC, ETH, LTC, ZEC, BCH의 일 평균 네트워크 비용이 각각 700만 달러, 200만 달러, 9.36억 달러, 4억 달러, 2.8억 달러라고 전했다. 해당 비용은 각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위해 사용되는 수수료 및 채굴 보상 등의 금액을 산출한 수치라는 설명이다.▲ BTC·ETH·LTC·BCH, 글로벌 시가총액 65.5% 차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10위권 암호화폐 중 채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암호화폐는 BTC, ETH, LTC, BCH 4종이며, 이들의 시가총액은 917억 달러로 전체 시가총액의 65.5%를 차지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해당 4종을 제외한 상위 10위권 암호화폐의 시가총액은 240억 달러로 전체 암호화폐의 17%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언어공유 플랫폼 ‘직톡’, 두나무 산하 람다256 '루니버스' 합류
글로벌 언어공유 플랫폼 ‘직톡’, 두나무 산하 람다256 '루니버스' 합류 - 전세계 거주 1,600여명 튜터들...블록체인기술 도입으로 수업료 실시간 출금 가능- 루니버스 합류로 교육 분야 글로벌 ‘긱 이코너미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해 글로벌 언어공유 플랫폼 ‘직톡(ZIKTALK)’ 운영사인 (주)프론티(대표이사 심범석)은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인 루니버스에 합류한다고 19일 밝혔다. 프론티는 지난해부터 람다256의 루니버스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으며, 올해 1월 두나무와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직톡은 앱 사용자의 80%가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글로벌 P2P 교육플랫폼으로 전문적인 튜터뿐 아니라 일반인도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모국어를 외국인들에게 가르칠 수 있다. 현재 약 1,600여 명의 일반 및 전문 튜터가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가르치고 있다. 직톡 사용자들은 미국과 일본, 필리핀 등 약 25개 국가에서 접속하고 있다. 직톡은 루니버스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약 10만명의 직톡 사용자들에게 보다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튜터들이 수업 후 익월 기준으로 수업료를 지급 받았으나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튜터들은 수입 후 실시간으로 코인을 지급받게 돼 수업료 출금 시간이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또한 직톡은 기존에 발생하던 앱 결제(플랫폼 사업자) 수수료 등을 단계적으로 줄여갈 계획이다. 직톡 운영사인 프론티 심범석 대표는 “직톡은 튜터의 대부분이 해외에 거주하고 있고 평균 통화 당 거래 금액이 평균 5달러로 소액거래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구조여서 암호화폐에 최적화된 서비스다”면서 “두나무의 서비스형 블록체인 서비스인 루니버스 도입을 통해 누구나 자신의 모국어를 통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분야 글로벌 긱 이코너미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한편, 긱 이코노미(Gig Economy)는 일반적인 고용 형태가 아닌 우버와 프리랜서닷컴 등 O2O 중계 플랫폼을 통해 새롭게 창출되는 경제 행위를 통칭한다.
-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레이븐코인(RVN)' 주는 이벤트 진행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레이븐코인(RVN)' 주는 이벤트 진행블록체인 가상화폐 포털커뮤니티 블록체인허브(https://www.blockchainhub.kr , 대표 이충) 는 "60,000 레이븐 포인트 경매 이벤트가 경매 방식으로 4월 20일까지 진행된다" 고 밝혔다.HUB포인트를 활용한 경매로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event&wr_id=2902) 는 블록체인허브 웹사이트 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수 있으며 1등 당첨자에게는 10,000 RVN이 지급된다.HUB포인트는 글쓰기,댓글,추천 등 커뮤니티 활동보상으로 지급되며 적립된 포인트는 온,오프라인 이벤트 참여 및 사이트 내 부가기능에 사용할수 있다.레이븐코인은 STO(증권형 토큰 발행) 시대를 맞아 큰 발전이 기대되는 디지털자산 생성 및 전송에 최적화된 탈중앙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블록체인허브 이충 대표는 "최근 가상화폐 시세하락과 국내외 여러 규제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블록체이너와 가상화폐 투자자 위해 지속적인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팀 드레이퍼 "BTC 투자 적기, 아직 지나지 않았다"
▲ 팀 드레이퍼 "BTC 투자 적기, 아직 지나지 않았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실리콘밸리 유명 벤처 투자자 팀 드레이퍼(Tim Draper)가 페이스북을 통한 AMA(Ask me anything) 회의에서 "비트코인 투자 적기는 아직 지나지 않았다"며 "나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신뢰가 달러보다 높다"고 전했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48% 내린 3,956.5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암호화폐 지갑 Bitfi, XRP 지원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비트파이(Bitfi)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XRP(XRP, 시가총액 3위)에 대한 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68%내린 0.30378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단기 하락, 3,900 달러선 반납BTC가 단기 하락 흐름을 나타내며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서 최근 1시간 동안 약 80 달러(-2%) 하락, 3,900 달러선을 반납했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기준 2.44% 내린 3,894.9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OKEx, 탈중앙화 거래소 OKDEx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OKChain을 개발해 탈중앙화 거래소 OKDEx를 출시할 예정인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해당 거래소 플랫폼 토큰인 OKB는 4월 말 OKChain 네트워크가 안정화 되면 모두 이전된다. 이에 따라 OKB는 OKChain의 고유 토큰이 되며 OKDEx의 거래 수수료 및 OKChain 기반 Dapp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OKB는 현재 OKEx에서 1.52% 내린 1.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리히텐슈타인 우체국에서 비트코인을 판매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리히텐슈타인 우체국에서 비트코인을 판매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리히텐슈타인 우체국에서 비트코인을 판매하게 됐다. 리히텐슈타인의 수도 Vaduz 우체국에서 비트코인을 시작으로 향후 좀 더 많은 암호화폐 판매를 계획 중이라고 비트코인닷컴이 보도했다. 이는 스위스의 최대 암호화 ATM 네트워크 운영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진행되며, 소비자는 비트코인 구매 후 퍼블릭과 프라이빗키를 모두 포함하는 물리적 암호화 지갑을 받게 된다.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와이오밍주 정부가 이달 여러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킴으로써 암호화와 블록체인 기술 허브로서 입지를 강화해가고 있다고 비트코인매거진이 보도했다. 와이오밍에 본부를 둔 블록체인 옹호자 케이틀린 롱에 따르면 와이오밍 주가 지난 14일 “디지털 자산의 직접 소유에 대한 재산권을 인정한다”고 주장하는 결의안 SF0125를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디지털 자산은 통일된 상업법령 내의 재산”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다.인도네시아(Indonesia)인도네시아가 비트코인을 거래상품으로 인정하는 새로운 법안을 내놨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인도네시아의 통상부 선물거래 감독위원회(Bappebti)는 지난해 6월 암호화폐를 법적으로 증권거래소에서 선물거래로 사용할 수 있는 조례에 서명한 바 있다. 그리고 최근 비트코인과 다른 디지털 화폐를 거래상품으로 인정하는 No.5/2019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미 국가 내에서 운영 중인 암호화폐 거래소에 합법성을 부여하게 됐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후오비,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 ‘후오비 챗(Huobi Chat)’ 공식 출시
후오비,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 ‘후오비 챗(Huobi Chat)’ 공식 출시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후오비 그룹이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 ‘후오비 챗(Huobi Chat)’을 공식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후오비 챗은 암호화폐 채굴 및 전송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이다. 디지털상에서 사람간 소통,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사용에 대한 공평한 보상 제공 등을 목표로 개발됐다. 후오비 챗에서 메시지를 주고받으면 후오비 챗 생태계를 위해 만들어진 암호화폐 HCT(Huobi Chat Token)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받은 HCT는 후오비 챗 상에서 다른 사람에게 송금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언어는 한국어와 중국어, 영어가 지원되며 상점 메뉴에서는 HCT를 이용해 의류와 생활용품, 잡화 등을 구입할 수 있으며 향후 입점 수는 추가될 예정이다. 이밖에 명함 전송, 인터넷 전화, 블록체인 교육 동영상 등 다양한 서비스도 제공된다.후오비 챗은 타 개발자가 개발 및 테스트, 운영을 할 수 있는 오픈 SDK(Software Development Ki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플랫폼 기반으로 제작됐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종단 간 암호화 기술(end-to-end)이 적용됐으며 안정성, 신뢰성이 높은 댑(dApp)도 제공한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실장은 “‘후오비 챗’이 지난해 말 진행된 베타 테스트를 마치고 공식 출시돼 현재 글로벌 이용자 수 100만명을 넘어 섰다”며 “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편리하게 암호화폐 전송을 할 수 있고 활동량에 따라 배당된 토큰으로 쇼핑도 가능하니 많은 이용 바란다”고 밝혔다.
-
루니버스 정식 오픈, BaaS 2.0 시대 연다
루니버스 정식 오픈, BaaS 2.0 시대 연다- 두나무 산하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 루니버스 정식 출시와 함께 독립법인으로 분사- 블록체인 개발사들에게 적극적인 기술 및 투자 지원- 세계 최초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현존하는 플랫폼 중 가장 강력- 블록체인 사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최고의 파트너로 주목 “블록체인 강국의 저변 마련할 것”이제 전문 개발자가 없어도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린다.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Lambda256)은 별도 독립법인으로 분사를 선언하고, 세계 최초로 컨소시엄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를 정식 런칭한다고 19일 밝혔다.새롭게 출범한 람다256 주식회사(대표 박재현)는 19일 강남 역삼동 GS타워 아모리스 컨벤션에서 기자간담회 및 오픈 행사를 갖고 루니버스의 상용화를 알리는 것과 동시에, ‘루니버스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새로운 블록체인 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선포했다.람다256은 루니버스 플랫폼의 저변 확대 및 사업 활성화를 위해 두나무 소속 연구소에서 별도 법인으로 분사를 단행, 앞으로 블록체인 플랫폼 전문 기업으로서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신임 대표는 박재현 전 람다256 연구소장이 맡는다.람다256은 블록체인 도입을 필요로 하나 희소성 문제로 관련 인력 및 시스템을 보유하기 힘들었던 각 업계를 위해 지난해 5월부터 루니버스를 만들어 왔다. 그 결과 같은 해 9월에는 기존 설치형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및 BaaS 1.0의 한계에서 벗어난 BaaS 2.0의 방향성을 선보였으며, 불과 10개월도 채 되지 않은 오늘 BaaS 2.0 루니버스를 탄생시켰다.○ 4개 분야 10대 문제점 해결.. 오는 4월부터 루니버스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선보여루니버스는 블록체인 업계에서 필요로 해온 4개 분야(△체인환경 개선, △사용성 고도화, △보안 강화, △비용 절감) 10대 문제점을 해결했다. △체인환경 개선에서는 1)성능 강화, 2)높은 안정성, 3) 편리한 개발환경을, △사용성 고도화에서는 4)편리한 유저 계정관리, 5)실시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동 사인 대행, 6)유저정보 백업 및 관리 지원을, △보안에서는 7)스마트 컨트랙 안정성, 8)데이터 프라이버시 준수를, △비용 절감에서는 9)부담없는 가스비, 10)사용량에 따른 효율적인 자동증설을 실현했다.BaaS 2.0의 루니버스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서비스를 구축한 실 사례들은 4월부터 7개사를 시작으로 만나볼 수 있다. 초기 런칭 서비스는 E4넷의 블록체인 기부 플랫폼 체리 / 가상 자산을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모스랜드 / 한류 소셜 커뮤니티 플랫폼 케이스타라이브 / 블록체인 기반 난치 환자 커뮤니티 휴먼스케이프 / 암호화폐 보상형 Q&A 서비스 아하 / 글로벌 언어 공유 플랫폼 직톡 / 드라마, 영화, 웹소설 등을 창작, 협업, 유통하는 스토리체인 등이다.○ 파트너사들의 블록체인 서비스 공개 및 기술 수익화에 도움주는 다양한 마켓 제공 예정루니버스는 블록체인 서비스 및 기술의 확산을 위해 2019년 하반기 내 ‘DApp 스토어’와 ‘솔루션 마켓 플레이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루니버스를 이용하면, 마치 장바구니에 필요한 물건을 담듯 필요한 기능 등을 고르기만 하면 자신의 시스템에 원하는 블록체인 기술 및 서비스를 붙일 수 있다. 마치 앱스토어에서 원하는 앱을 고르거나, 쇼핑몰 오픈 플랫폼에서 샵 구축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하듯 간편하고 손쉽다.각 스토어들은 루니버스 파트너사로 함께한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 분산 어플리케이션) 개발사들에게 일반 유저(B2C) 및 기업(B2B)들과 만날 수 있는 열린 장(場)이 될 전망이다. DApp 업체들은 이 곳을 통해 자신의 블록체인 서비스 및 기술을 소개하는 것은 물론, 원하는 이들에게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이더리움 등 활성화 된 메인넷 DApp 시장을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람다256은 루니버스가 이처럼 수요와 공급이 맞닿는 새로운 개념의 선순환 연결고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국내외 블록체인 시장의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블록체인을 매개로 한 많은 이들이 모이고 함께 만들어 가는 생태계의 조성. 이것이 바로 루니버스가 BaaS 2.0으로 불리우는 이유다.○ 지속성장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위해 루니버스 지원 프로그램 함께 운영또한, 람다256은 루니버스를 활용한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더 쉽게 배포하고, 나아가 이를 토대로 블록체인 생태계가 활성화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루니버스 토큰 ‘루크(LUK)’을 신규 발행한다. 루크는 루니버스의 메인 체인 가스비 및 BaaS 서비스 사용료로, 향후 DApp 스토어와 솔루션 마켓 플레이스에서 플랫폼 결제 수단, 더 나아가 업계 발전을 위한 투자 지원금으로서의 중요한 임무를 담당할 예정이다.발행되는 루크 중 약 30억 루크를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루니버스 지원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투자 회수금은 다시 재투자 재원으로 사용된다. 루니버스의 투자는 2대 방향(기술, 생활밀착형서비스), 5대 기술분야(Raiden, 공유원장, Oraclize, IPFS, Privacy), 6대 생활밀착형산업(소셜 네트워크,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커머스, 여행, 물류, 금융)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투자 지원 방법은 유망 기업의 개발비를 지원하는 ‘루니버스 인큐베이팅 프로그램’과 유망 DApp 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루니버스 투자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시행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사업 진출 및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느꼈던 스타트업들의 갈증 해소는 물론, 건전한 생태계 형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람다256 박재현 대표는 “루니버스 출시가 블록체인 개발사들에게 활력을 불어넣는 것은 물론, 블록체인 혁신을 이어나갈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2020년에는 BaaS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3년 뒤인 2022년에는 블록체인계의 아마존이 되는 날이 도래할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한편, 람다256은 2018년 9월 35개사와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는 70개사 이상의 기업 및 개발자들과 파트너로 호흡을 맞추는 등 현장감 있는 의견을 발 빠르게 정식 서비스에 반영하고 있다. 이로써 탄생한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 없는 이번 컨소시엄 블록체인 플랫폼 루니버스의 향후 횡보에 국내는 물론 해외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
온라인 호텔 예약 플랫폼 트래발라닷컴, TRX 결제 지원
▲ 온라인 호텔 예약 플랫폼 트래발라닷컴, TRX 결제 지원25일(현지 시간)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호텔 예약 플랫폼 트래발라(Travala)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TRX 결제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해당 플랫폼은 전 세계 210개 국가, 82,000 여개 도시 소재 55만 호텔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 TRX외 BTC, EOS, DASH 결제를 지원한다. TRX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46% 내린 0.02257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마켓캡, 시스템 업그레이드...'허위 거래량' 개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플랫폼 코인마켓캡(Coinmarkcap)이 BTC, ETH, XRP를 비롯한 2000여 종의 알트코인에 대한 거래량 집계를 중점으로 전반적인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계획중인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해당 사이트는 암호화폐 지수 및 펀드 제공업체 비트와이즈(Bitwise)가 미국 증권거래소(SEC)에 암호화폐 관련 보고서를 제출할 당시 현재 집계되는 거래량의 95%가 허위라고 나타난 바 있다. 한편 지난 21일 코인마켓캡은 나스닥·블룸버그·로이터에 암호화폐 벤치마크 지수 제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