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동성 이사장] 흐름과 변화의 맥을 짚는 석학의 시선을 엿보다
- 국가 브랜드 파워(Nation Brand Power) 4위. 조동성 산업정책연구원 이사장이 오랜 연구를 통해 발표한 대한민국의 랭킹이다. 개발도상국 또는 후진국으로 평가받던...
-
2023-12-01
무료
-
- [한국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배움의 시작은 질문이다
- 한국산업교육학회는 지난 11월 14일 ‘첨단산업 HRD 전략: 질문하라 2024!’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열었다. 키워드는 생성형 AI로 인해 사람이 반드시 발전시켜야 ...
-
2023-12-01
무료
-
- [글로벌인재포럼] 인재, 교육, HR의 미래를 준비하라
- 생성형 AI는 인간의 역할과 가치, 교육과 HR에서 변곡점이 되고 있다. 그에 맞춰 교육부, 한국경제신문,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11월 1일부터 2일까지 ‘New W...
-
2023-12-01
무료
-
- [NCS-HRD 포럼] 직무 중심 HR과 NCS의 교집합 포착
- 직장생활의 중심은 일, 즉 ‘직무’다. 회사에서 자신이 무슨 직무를, 어떻게, 얼마나 잘 수행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은 기본소양이다. 주어진 직무를 막연하...
-
2023-12-01
무료
-
- [염재호 총장] 미래 혁신대학의 이정표 제시
- 대한민국 최초의 캠퍼스 없는 미래형 혁신대학학기 중 한국, 일본, 미국, 중국, 러시아 기숙사 거주토론과 프로젝트 중심 온라인 교육 플랫폼“문명사적 대전...
-
2023-12-01
₩3,500
-
- [장환영 교수] HRD가 나아갈 방향은 ‘인적가치개발’이다
- 장환영 동국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부에서 ‘국가인적자원개발’이라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로 HRD를 접했다. 당시 업무는 막중하고 어려웠지만 흥미롭고...
-
2023-11-29
무료
-
- [결국 답은 직무분석] 모든 것의 시작점은 기본기
- 역량 중심 사회를 향한 노력이 지향하는 바는 일터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인재들이 많아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자신의 직무는 무엇이며, 세부적...
-
2023-11-29
₩2,500
-
- [중간관리자 매니지먼트] 조직 내 불협화음을 줄일 방안
- 기업은 지속성장을 위해 다양한 변화를 추진한다. 그러나 아무리 빈틈이 없는 경영전략을 세웠다고 해도 추진 과정에서 불협화음이 일어난다면 성공에 도달...
-
2023-11-29
₩2,500
- 최신뉴스더보기
-
-
- 한국HRD협회, ‘초개인주의 시대, 온보딩 전략’ 주제로 제376차 「HRD포럼」 개최
- 공들여 인재들을 채용했다고 끝이 아니다. 그들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하고, 필요한 것들을 배워가며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지금은 회사를 삶의 전부로 보던 과거와 다르다. 개인의 성장과 행복을 이룰 수 있는 곳이어야 최선을 다해 일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감하게 이직하는 시대다. 따라서 기업들은 신입사원 .
-
- 포스코, 해외 모범직원 본사 초청해 소속감 고취하는 'P.A.L.' 프로그램 진행
- 포스코그룹이 해외 모범직원들을 한국으로 초청해 그룹 일원으로의 소속감과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포스코인재창조원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2023년 글로벌 P.A.L. 프로그램을 인재창조원 송도 캠퍼스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글로벌 P.A.L.은 포스코 그룹의 전 세계 사업 국가의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자부심(Pri...
-
- 2023 HRD TOPIC 8
- 2023 HRD TOPIC 82023년도 끝을 향하는 중이다. 올해는 HR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HRD 테크’ 발전이 가속됐고, 소명을 일깨우는 ‘목적경영’이 중요했다. ‘챗GPT’는 사람, 일, 교육과 학습의 미래를 고민하게 했으며, ‘사내 코칭 시대’가 열리고 있었다. 또한, ‘알파세대’는 일터의 현재와 미래에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었고, ‘한국기업 HRD I...
-
- [엄준하 발행인 메시지] 2024년 변화에 대응할 HRD스탭의 역할
- 한해의 끝자락에서, 새해 HRD의 역할을 가늠해 봅니다.2024년, 한국의 기업들은 AI와 디지털 시대의 급속한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시대적 도전은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기술이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이해하며 대처할 것인가를 포함합니다.이런 상황에서 HRD의 역할은 더욱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