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설계교육 추진방법 ] 베테랑들의 역량 활성화
- ‘인생설계교육(Life Planning Program)’ 은 중고령층이 주요 타겟인 교육 이론이자 방법일 뿐 아니라 기업 인사·노무에서도 니즈가 있다. 이유를 보면 첫째, 중고...
-
2023-12-01
무료
-
- [반성과 감사] 피드백 교환을 위한 게임
- "한데 모여서 반성과 감사를 공유하며 피드백하는 시간은지난 1년을 정리하고, 새로운 1년을 준비하는 데 효과적이다."피드백 교환을 위한 게임 ‘반성과 감사...
-
2023-12-01
무료
-
- [이진주 대리] 부지런히 움직이며 통찰력을 기르자
- 서점에는 다음 해의 트렌드를 다루는 책들이 진열되고 거리에는 알록달록한 트리와 조명을 카메라에 담는 사람들로 가득 찬다. 그렇다.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
-
2023-12-01
무료
-
- [박희주 과장] 무관심을 몰입으로 바꿀 수만 있다면
- 이미 봤던 영화를 다시 볼 때가 있다. 스토리가 좋거나 애정하는 배우가 나온다거나, 기억에 남는 명대사가 있을 때가 그렇다. 이순신 장군의 이야기를 담은 ...
-
2023-12-01
무료
-
- [SK하이닉스 기술역량팀] Learning Solution Provider
- SK하이닉스는 ‘초기술로 세상을 더 행복하게!’라는 핵심가치를 기반으로 글로벌 ICT 생태계를 선도하는 Solution Provider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SK하이닉스가 다...
-
2023-11-29
₩3,000
-
- [한화저축은행] 인턴제 프로그램
- 한화저축은행은 ‘디지털 기반 혁신성장기업으로의 도약’이라는 비전에 맞춰 디지털 리테일, 차세대 신사업 발굴, 기업금융 고도화 등 비즈니스에서 변화와...
-
2023-11-29
₩2,500
-
- [농식품공무원교육원] HRD의 전문성, 공익성, 다원성 실천
- 1956년에 설립된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농식품 분야의 공무원을 비롯해 농업인과 농업/농촌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농식품 정책에 기초한 전문성 높은 교육을 ...
-
2023-11-29
₩3,000
-
- [김희천 원장] 창의적 상호작용과 문제해결의 장으로
- 롯데인재개발원은 1993년 개원 이래 꾸준히 롯데그룹 구성원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인재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이곳에 작년 9월 1일 취임한 김희천 원장은 학계...
-
2023-11-29
₩2,000
- 최신뉴스더보기
-
-
- 한국HRD협회, ‘초개인주의 시대, 온보딩 전략’ 주제로 제376차 「HRD포럼」 개최
- 공들여 인재들을 채용했다고 끝이 아니다. 그들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하고, 필요한 것들을 배워가며 성과를 내도록 지원하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특히 지금은 회사를 삶의 전부로 보던 과거와 다르다. 개인의 성장과 행복을 이룰 수 있는 곳이어야 최선을 다해 일하고, 그렇지 않으면 과감하게 이직하는 시대다. 따라서 기업들은 신입사원 .
-
- 포스코, 해외 모범직원 본사 초청해 소속감 고취하는 'P.A.L.' 프로그램 진행
- 포스코그룹이 해외 모범직원들을 한국으로 초청해 그룹 일원으로의 소속감과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프로그램을 진행했다.포스코인재창조원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2023년 글로벌 P.A.L. 프로그램을 인재창조원 송도 캠퍼스에서 진행했다고 밝혔다.글로벌 P.A.L.은 포스코 그룹의 전 세계 사업 국가의 우수 인재를 대상으로 자부심(Pri...
-
- 2023 HRD TOPIC 8
- 2023 HRD TOPIC 82023년도 끝을 향하는 중이다. 올해는 HR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HRD 테크’ 발전이 가속됐고, 소명을 일깨우는 ‘목적경영’이 중요했다. ‘챗GPT’는 사람, 일, 교육과 학습의 미래를 고민하게 했으며, ‘사내 코칭 시대’가 열리고 있었다. 또한, ‘알파세대’는 일터의 현재와 미래에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었고, ‘한국기업 HRD I...
-
- [엄준하 발행인 메시지] 2024년 변화에 대응할 HRD스탭의 역할
- 한해의 끝자락에서, 새해 HRD의 역할을 가늠해 봅니다.2024년, 한국의 기업들은 AI와 디지털 시대의 급속한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중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시대적 도전은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기술이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이해하며 대처할 것인가를 포함합니다.이런 상황에서 HRD의 역할은 더욱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