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페이스북을 비롯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컴퓨터 과학 전문가 영입- Go SDK, 테스트넷 등 플랫폼 기술 질적 향상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가 모리스 헐리히(Maurice Herlihy)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영입으로 플랫폼의 기술적 향상을 추진한다.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컴퓨터 과학계 전문가이다. 그는 카네기 멜론 대학의 교수진과 DEC 캠브리지 연구소 직원으로 근무했으며, 2003년 디지크스트라 분산 컴퓨팅상(Dijkstra Prize), 2004년 괴델상(Gödel Prize), 2008년 ISCA 우수 논문상 수상자이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에토스(Ethos), 타락사(Taraxa)에 참여했고 페이스북에서도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알고랜드는 개발자 홈페이지를 통해 알고랜드 플랫폼에서 손쉽게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한’Go SDK’를 출시했으며 홈페이지의 신청자에 한해 테스트넷을 공개하여 알고랜드 플랫폼을 시범적으로 운영 중이다. 기술 고문으로 합류한 모리스 교수는 Go SDK와 테스트넷의 기술적 검토 및 추후 공개될 메인넷 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모리스 교수의 선임을 두고 알고랜드의 창립자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는 “컴퓨터 과학계에서 명망이 높은 모리스 헐리히 교수의 합류를 환영한다”며 “알고랜드가 목표로 하는 국경없는 경제의 구축을 위한 플랫폼 개발과 기술의 진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더마이더스터치골드(TMTG) 크립토쇼핑 결제 가능해진다.
더마이더스터치골드(TMTG) 크립토쇼핑 결제 가능해진다.더마이다스터치골드(대표 류경선)와 미탭스플러스(대표 김승연)는 업사이드 거래소에 크립토쇼핑 결제를 지원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업사이드 거래소는 미탭스플러스의 자회사 거래소이며, 더마이다스터치골드는 금(金) 연동 거래 플랫폼 디지털골드익스체인지 (Digital Gold Exchange)에서 개발한 암호화폐로 거래소에서 실제 현물인 금 또는 디지털 금으로 매매가 가능하다.더마이더스터치골드는 업사이드 거래소에 4월18일 상장될 예정이며, 이번 결제 지원을 통해 업사이드 크립토마켓에서 더마이더스터치골드(TMTG)를 거래가 가능해진다. 현재 크립토마켓 결제 지원 암호화폐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플러스코인(NPLC), 톡스(TOX)가 지원되고 있다. 업사이드 크립토마켓에서는 1천가지가 넘는 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치킨(BBQ, 굽네치킨 등), 카페/음료(탐앤탐스, 스무디킹 등), 외식(타코벨, 사보텐 등), 버거/피자(KFC, 피자헤븐 등), 영화(메가박스, GS25 등) 등 다양한 상품을 결제하여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업사이드 크립토마켓’은 국내 최초로 다양한 온오프라인 상품을 암호화페로 거래할 수 있게 설계되어 유저들이 쉽고 간편하게 거래 및 입출금이 가능해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마이다스터치골드 류경선 대표는 “업사이드 크립토마켓 생태계는 암호화폐의 사용이 가장 적합한 영역으로 유저들이 보다 쉽게 다가올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예정이다” 라며, “이번 제휴로 더마이다스터치골드(TMTG)와 업사이드 자사 마이닝 커머스 코인 톡스의 동반가치 상승이 기대된다” 라고 밝혔다. 한편, 미탭스플러스는 올해 국내 최초로 게임아이템 가상화폐거래소 ‘게임 아이템 지갑 API’를 정식 론칭 할 계획이다.
-
블록체인 활용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나와...엘리시아(ELYSIA) 토큰 판매 오는 4일 개시
블록체인 활용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나와...엘리시아(ELYSIA) 토큰 판매 오는 4일 개시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VELIC)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엘리시아(ELYSIA) 암호화폐 판매를 오는 4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엘리시아 관계자는 "엘리시아는 소액으로도 가능한 탈중앙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으로 투자자들은 부동산 상품에 소액투자, 분산투자가 가능하며 해외 부동산에도 투자할 수 있고, 법적으로 보장되고 언제든지 환매도 가능하다"고 밝혔다.이어 엘리시아 관계자는 "프로젝트 팀원들은 서울대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년간 부동산 시공 경험과 임대관리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비스컴퍼니가 만들어 실제 부동산 개발 및 임대관리 등 매각 노하우가 있는 경영진들로 구성되어 엘리시아 플랫폼에서 거래될 부동산 상품들을 지속해서 수급이 가능하고, 5월에는 2호, 3호 상품의 판매가 계획되어 있다"고 덧붙였다.엘리시아 관계자는 “엘리시아(ELYSIA)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공동투자 플랫폼이다”며 “누구나 부동산 상품에 소액투자 및 분산투자 형태로 참여할 수 있고 투자자들은 EL토큰을 활용하여 부동산에 대한 실제 지분을 얻게 된다” 설명했다. 또한 “오는 중순 EL 토큰으로 실제 투자를 할 수 있는 부동산 상품 판매가 계획되어 있다”고 덧붙였다.벨릭에 따르면 엘리시아 엘(EL)토큰 판매 일정은 오는 4일 토요일 14시부터 17시까지 2라운드까지로 총 2억 개의 토큰이 개당 약 1원(0.001달러)에 선착순으로 판매된다. 벨릭은 "토큰 구매는 벨트(VELT), 비트코인(BTC) 암호화폐로만 참여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구매자 전원에게 구매 수량의 20% 보너스가 지급되며 벨트(VELT)로 구매 시 구매 수량의 10% 보너스가 추가로 지급 될 예정이다"고 밝혔다.출처:블록체인밸리
-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공주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공주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동북아시대 견인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위한 글로벌 K-Medicine 전문인력 양성..-사업 및 연구과제 공동 참여, 교수와 연구원의 현장 참여 통한 산학협력 등 진행..-공주대학교가 K-Pop, K-Culture에 이어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의 주역 되길 기대..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는 공주대학교(총장직무대리 박달원)와 산학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공주대학교 통합의료관광디자인 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양자의학기반의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인재육성과 대학생 창업을 통해 미래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평화통일관광을 통한 동북아시대를 견인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글로벌 K-Medicine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글로스퍼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글로스퍼는 자체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의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특히, 서울 노원구청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플랫폼’, 영등포구청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시스템’, 2018 KISA 블록체인 시범사업 해양수산부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발급 시범사업’ 등 공공기관과 정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양 기관의 협력사항은 ▲사업 및 연구과제 공동 참여 ▲교수, 연구원의 현장 참여를 통한 산학 협력 ▲인력 및 정보의 상호 이용 ▲ 소장도서 및 자료의 공동 이용 ▲실험분석 및 연구 장비와 시설의 공동 활용 등이며,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우수한 기술 인력의 양성, 전인교육향상과 양 기관의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공주대학교 대학원 통합의료관광디자인학과 이용근 교수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했던 다양한 경험과 검증 받은 높은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공주대학교가 K-Pop, K-Food, K-Culture에 이어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의 주역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판테온엑스’ 메타거래기능 시연회 성료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판테온엑스’ 메타거래기능 시연회 성료!- 판테온엑스, 오더북을 한곳에 모아 거래하는 메타거래기능 시연회 개최하며 신개념 크립토펀드 마켓플레이스 소개- 크립토펀드 매니저와 크립토펀드 투자자의 효율적인 암호화폐 매매 위한 ‘투자 매칭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판테온엑스(대표 홍성인)는 지난 9일 크립토펀드 투자자 대상으로 메타거래기능 시연회를 개최,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전했다.판테온엑스는 펀드 매니저와 투자자들 모두를 생각한 블록체인 기반의 크립토 금융 플랫폼이다. 펀드 매니저들은 펀드를 최초 설정할 시에 진행하는 복잡한 과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자자들의 경우, 개인 단위로는 쉽게 투자할 수 없는 알고리즘 트레이딩 등의 전략을 가진 펀드에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돕는 크립토펀드 매칭 플랫폼이다. 이번 시연회는 판테온엑스의 서비스를 소개하는 것에서 나아가 판테온엑스 크립토펀드 마켓 플레이스를 실제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이번 시연회에서는 기존 펀드 산업과 유사한 기능을 선보였다. 업비트, 빗썸, 바이낸스, 후오비 등 여러 글로벌 거래소의 API를 이용하여 오더북을 취합한 후 판테온엑스의 크립토펀드 마켓 플레이스에서 한 번의 클릭으로 최적의 거래를 할 수 있는 메타거래기능이 바로 그 주인공이었다. 판테온엑스 김형범 CTO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국내에만 이미 200개가 넘는 거래소가 있다”며 “너무 많은 거래소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거래량이 분산된다는 단점이 있다”고 업계 문제점을 지적했다. 덧붙여 “이런 문제에 착안하여 판테온엑스 플랫폼에서 펀드 매니저와 투자자들이 쉽게 거래를 할 수 있는 메타거래기능을 구현하게 됐다”고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시연회는 판테온엑스의 시작일뿐이며, 향후 크립토펀드의 No.1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판테온엑스는 암호화폐 퀀트 분석 데이터 제공 업체인 라이즈와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크립토 금융 플랫폼에서 사용될 크립토 지표 개발 및 투자 분석 기능 개발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아울러, 판테온엑스는 이미 앞선 프리세일에서 모두 조기 완판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은 바 있다.
-
바이오·헬스케어 코인 LBXC, 제주도 바이오센터 공사 개시…"로드맵 본격 시동”
바이오·헬스케어 코인 LBXC, 제주도 바이오센터 공사 개시…"로드맵 본격 시동”줄기세포 기반의 글로벌 의료 블록체인 럭스바이오셀(LUX BIO CELL, LBXC)을 서비스하는 블록체인 기업 DBE(Digital Bio Exchange)는 지난해 11월 23일 있었던 제주 셀뱅크 착공식 이후 시공현장 사진을 공개하면서 로드맵 사업화에 본격 나섰다. 10일 DBE 관계자에 따르면 제주 럭스바이오센터는 빠르면 2019년 하반기에서 2020년 상반기에 착공이 완료될 예정이다. 럭스바이오센터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과정에 앞서 채취된 줄기세포의 안전한 보관을 위한 셀 뱅크(Cell Bank)와 줄기세포 연구를 위한 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줄기세포는 현재 면역강화, 통증개선, 미용 목적의 안티에이징 시술 등은 물론 난치성 희귀질환 치료에까지 적용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시대의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에서 가장 주목 받는 키워드 중 하나이다. DBE 관계자는 “제주 럭스바이오센터를 시작으로 도쿄 줄기세포 센터, 베이징 줄기세포연구소 등을 차례로 설립해 나감으로써, 채취된 줄기세포 보관 과정에서의 안정성 확보를 기반으로 줄기세포에 관한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에 필요한 시설 및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코인제스트, 하이브랩과 협약 체결하고 암호화폐 결제대행 서비스 추진 가속화!
코인제스트, 하이브랩과 협약 체결하고 암호화폐 결제대행 서비스 추진 가속화!- 코인제스트, 하이브랩의 페이크립토 연동으로 암호화폐 활용 결제 서비스 사업 가속화- 하이브랩은 풍부한 결제사업 경험 가진 암호화폐 결제대행(PG) 솔루션 개발 및 운영 전문 업체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 김승용)는 17일, 암호화폐의 실물결제 서비스 사업 확대를 위해 암호화폐 결제대행 솔루션 전문기업인 하이브랩(대표 김광현)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하이브랩은 암호화폐 결제대행 솔루션을 개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페이크립토(PayCrypto)’라는 결제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페이크립토’는 동시 사용자 처리 방식으로 암호화폐의 익명성 문제를 해결했으며, 이와 관련해 국내외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또한, 별도의 지갑을 설치하지 않고 주소만으로 결제가 가능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페이크립토 서비스는 지난 해 말부터 오프라인에서 시작되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앞으로 코인제스트에 계좌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거래 시 결제 방법으로 페이크립토를 선택해 본인 계좌의 암호화폐로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는 5월 론칭 예정이다. 코인제스트는 암호화폐로 실물에서 결제할 수 있는 페이서비스 (가칭 ‘제스트페이’)를 준비해 왔으며, 하이브랩과의 협약으로 사업 진행과 서비스 개시에 가속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번 제휴를 계기로 암호화폐의 실물결제 서비스를 코인뱅크, 토큰세일, 마스터노드 서비스와 더불어 주력 제반사업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최근 삼성의 스마트폰 암호화폐 지갑 탑재를 시작으로 글로벌 IT기업들의 블록체인 사업 진출이 가시화되면서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송금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며, “이러한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코인제스트는 자체 페이시스템을 개발을 진행 중이고, 이번 하이브랩 제휴가 가맹점 확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제휴의 배경을 설명했다. 하이브랩의 김광현 대표는 “코인제스트가 국내 최초 마이닝거래소로 독보적 위치를 점하며 많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암호화폐 거래소에 금융서비스 접목을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혁신적 기업이라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며, “양사의 제휴로 암호화폐를 활용한 결제 서비스 이용자가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믿는다”고 기대를 밝혔다. 한편, 코인제스트는 최근 글로벌 트렌드 변화에 발맞춰 자체 암호화폐인 코즈와 코즈아이를 하나의 암호화폐 코즈플러스로 토큰스왑을 진행하였으며 마스터노드, PG서비스 등 블록체인 제반사업 확장에 역량을 집중한다고 선언한 바 있다.
-
코인원, 크라우드펀딩 기업과 손잡고 토큰 크라우드 펀딩 진행
▲ 아프간, 6조 원대 규모 BTC 채권 발행 준비홍콩 매체 아시아타임즈(Asia Times)가 아프가니스탄 중앙은행 카릴 세디키(Khalil Sediq) 총재의 발언을 인용, 아프가니스탄이 BTC 채권을 발행해 광업, 에너지, 농업 분야에서 58억 달러(약 6조 6100억 원)를 모집할 계획이라고 22일 보도했다. 앞서 1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IMF·세계은행 춘계회의에서 아프가니스탄, 튀니지,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BTC 채권 발행을 검토 중이라고 인정한 바 있다.▲ 코인원, 크라우드펀딩 기업과 손잡고 토큰 크라우드 펀딩 진행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크라우드펀딩 기업 크라우디와 손잡고 토큰 크라우드 펀딩을 추진한다. 코인원 리서치 센터는 토큰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코인원 상장 심사에 준하는 분석을 진행, 관련 보고서를 크라우디에 공유할 계획이다. 암호화폐 거래소가 전문적 컨설팅을 직접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존 자금조달 방식과 차별화된다. 코인원 토큰 크라우드 펀딩의 첫번째 프로젝트는 SBS플러스를 파트너사로 확보한 890만 구독자의 글로벌 한류 플랫폼 프로젝트 케이스타라이브(KSC)로, 오는 24일 12시부터 토큰 판매를 시작한다. 이와 관련 공태인 코인원 리서치센터장은 “과거 토큰 판매 프로젝트는 기본적인 심사가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이번 협력을 계기로 프로젝트 재무제표 현황, 임원 주요 이력, 사전 토큰 분배 내역 등에 대한 심사를 진행하고 토큰 판매 관련 정보 공개 수준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조셉 영 "칠레 암호화폐 규제법, 환영받을 일"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조셉 영(Joseph Young)이 방금 전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칠레 정부가 암호화폐 업계 발전을 위해 관련 규제법을 상정한 것은 축하받을 만한 일"이라며 "정부가 업계를 무조건적으로 배척하는 것보다 규제하는 편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라고 말했다. 22일(현지 시간) 펠리페 라라인(Felipe Larrain) 칠레 재무부장관은 칠레 정부의 암호화폐 및 핀테크 규제법을 의회에 상정하며 "암호화폐 관련 사업 및 거래소를 위한 법적 제도를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직톡,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와 MOU체결
직톡,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와 MOU체결...외국어 학습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직톡, BRP와 전략적 제휴 맺어 직톡(ZIKTALK)’(대표이사 심범석)은 자사가 발행하는 직(ZIK) 토큰의 조기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artners(이하 BRP, 대표이사 한충호, 조현진)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직톡은 외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 간의 소통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앱 사용자의 80%가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글로벌 서비스이다. 페이스북이 지인들 간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라면 직톡은 외국어 학습 또는 외국인 친구맺기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뿐만 아니라, 직톡 내에는 전문적인 튜터뿐 아니라 일반인도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모국어를 외국인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구성돼 있다. 현재 약 1,800여 명의 일반 및 전문 튜터가 약 25개 국가에서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가르치고 있다. 직톡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BRP는 유망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해 컨설팅 및 투자, 어드바이징을 하는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이다. BRP는 중단기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시드 투자의 기반을 마련해주고, 전문가 및 유관기업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BRP는 e-스포츠 프로젝트 칠리즈(ChiliZ)를 엑셀러레이팅 하여 6,500만 달러 투자 유치에 기여했고, 최근에는 이스라엘 기업인 헥사(HEXA)와 전략적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직톡은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튜터들에게 수업료로 기존의 US달러 외에도 직(ZIK)토큰을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 튜터들이 US달러 대신 직(ZIK)토큰을 선택해 수업료를 지급받을 경우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출금 시간 또한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직톡은 향후 누구나 자신의 언어, 음악 등 다양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직(ZIK)토큰을 보상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게 되며, 직 토큰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토큰의 가격이 안정적이고 가치 상승 또한 기대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조현진 BRP 공동대표는“ 이미 글로벌 교육플랫폼으로 의미 있는 성장을 하고 있는 직톡과의 협업에 많은 기대가 된다. 직톡은 블록체인의 성공적인 활용 모델로 발전될 것으로 생각하며, 긴밀한 협업을 통해 직톡 플랫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직톡 심범석 대표는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인 BRP와의 업무 협약으로 직토큰의 국내외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직톡은 올해 내로 10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교육 분야의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직톡은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인 루니버스에 참여하고 있다.
-
자오창펑 바이낸스 대표, "바이낸스덱스 이달 중 정식 버전 출시"
자오창펑 바이낸스 대표, "바이낸스덱스 이달 중 정식 버전 출시"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가 이달 중 탈중앙화거래소DEX를 출시하고 또한 싱가포르에 진출한다.4일 바이낸스는 서울 그랜드앰버서더풀만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2019년 상반기 사업계획을 발표했다. 행사에는 내한한 장펑자오가 주 연사를 맡아 좌중의 눈길을 끌었다. 장펑자오는 바이낸스 창업자이자 CEO로 지난해 초 포브스Forbes 지 커버모델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날 바이낸스가 공개한 내용에는 탈중앙화거래소인 바이낸스덱스DEX 런칭이 포함됐다. 바이낸스 덱스는 블록체인에 기반해 만들어진 거래소다. 기존 중앙화된 거래소와는 달리 유저가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직접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안 수준도 크게 강화돼 해킹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할 전망이다. 앞서 바이낸스는 올해 2월 바이낸스덱스의 베타버전인 테스트넷을 유저들에게 선보인바 있다. 장펑자오는 “당분간 바이낸스덱스와 기존 바이낸스 거래소를 모두 운영할 계획”이라면서 “철저한 보안강화를 위해 출시 일정이 다소 지연됐지만 이번달 안에는 꼭 바이낸스덱스의 정식 버전을 출시하겠다”고 밝혔다.바이낸스는 또한 싱가포르에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싱가포르’를 이달 중 세우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바이낸스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법정화폐와 연동되는 거래소로 바이낸스는 이밖에도 바이낸스 저지(유로화/파운드화), 바이낸스 우간다(우간다 실링화) 등 현지 법정화폐와 연동되는 거래소를 설립한 바 있다. 바이낸스 싱가포르에는 바이낸스 이외에도 주된 투자자로 동남아시아 지역 대형 벤처캐피탈인 버텍스 캐피탈Vertex Captial이 참여했다. 장펑자오는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의 자회사인 버텍스 캐피탈과 힘을 모아 규제를 극복할 계획”이라면서 “바이낸스 싱가포르가 아시아 금융허브에 세워지는 만큼 기관투자자와 큰손들의 투자 유입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2주간 리허설 완료 후 성공적으로 메인넷 알파 출시- 자체 합의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루트 체인의 개발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오텍스(IoTeX)가 23일 메인넷 알파 출시를 완료했다. 아이오텍스는 지난 3월 15일부터 3월 26일까지 메인넷의 노드가 될 대표단 선거를 진행했다. 선거를 통해 전 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선출된 총 50명의 대표자가 선출되었으며, 약 2주간 네트워크 보안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메인넷 알파가 출시되었다.이번 메인넷 알파 출시의 주요 성과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레이어의 루트 체인(Root Chain) 개발이다. 아이오텍스 네트워크는 가장 상위 레이어인 거버넌스 레이어,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오퍼레이션 레이어로 나뉘며 각각 레이어는 그래비티 체인, 루트체인, 서브체인으로 형성된다. 로드맵상 순서로는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출시에 이어 2분기에 오퍼레이션 레이어, 3분기에 거버넌스 레이어가 출시 될 예정이다. 이번 메인넷 알파로 형성된 루트 체인은 2분기에 출시 예정인 모든 서브 체인들의 관리자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디앱(Dapp)의 개발을 지원하여 물리/가상의 사물간 정보 및 가치 교환인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루트 체인으로 형성된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는 아이오텍스의 자체 합의 알고리즘인 Roll-DPOS에 의해 구동된다. 지난 대표단 선거를 통해 선출된 50명의 대표자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무작위로 선정되어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및 검증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아이오텍스는 네트워크 공정성, 안정성, 속도를 확보하고 개인정보 보호, 이종기기간 호환, 인프라 구축 등 사물인터넷이 직면한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되었다. 롤렌 차이(Raullen Chai) 아이오텍스 공동창업자는 “메인넷 출시를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 등 사물 인터넷의 기존 상품과 서비스가 혁신될 것이다”며 “아이오텍스는 2년의 개발 기간을 거치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다. 향후 아이오텍스의 사업을 기대해달라"고 밝히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
마이크로소프트 "한국 암호화폐 채굴 공격, 글로벌 평균보다 양호"
▲ 마이크로소프트 "한국 암호화폐 채굴 공격, 글로벌 평균보다 양호"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22일 '보안 인텔리전스 보고서(SIR, Security Intelligence Report v24)'를 발표, 전세계적으로 악성 암호화폐 채굴 공격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가장 위협적이던 랜섬웨어는 2018년 60%까지 현저하게 감소했다. 반면 개인 컴퓨터를 암호화폐 채굴에 사용되도록 감염시켜 불법 수익을 창출하는 형태의 공격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실제로 2018년 랜섬웨어 탐지율이 0.05%에 그친데 비해 전세계 월평균 암호화폐 채굴 탐지율은 0.12%로 나타났다. 다만 한국의 경우 암호화폐 채굴 탐지율은 0.05%로 전 세계 대비 58%, 아태지역 대비 64%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마이크로소프트 측은 암호화폐 채굴 공격과 관련해 "사용자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거나 컴퓨터와 떨어져 있는 동안 작업, 사용자의 컴퓨터 성능이 눈에 띄게 저하되지 않는 이상 전혀 인식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들이 보안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공격자들이 장시간 암호화폐 채굴에 시스템을 활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게이트아이오, 24일 CNNS 상장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Gate.io)가 오는 24일 13시 USDT 마켓에 CNNS를 상장, CNNS 입출금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CNNS 지갑은 이미 생성된 상태다. 앞서 게이트아이오는 산하 IEO 플랫폼 스타트업을 통해 CNNS의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했으며, 펀딩 금액은 목표치의 3124%에 달했다. 총 4만 9260명이 공모에 참여했으며, 누적 주문액이 총 1.11억 USDT를 기록했다. 한편, 코인니스는 CNNS 생태계의 주요 구성원 중 하나다. IEO를 기념해 코인니스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친구를 초대하는 이용자들에게 CNNS 토큰과 스왑 가능한 CNS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바이낸스, BCHSV 마켓 운영 종료...최종 거래가 58.9 달러한국 시간 18시 59분 58초,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BCHSV/USDT 거래를 종료했다. 마지막 거래 가격은 58.90 USDT를 기록했다. BCHSV/BTC 마켓도 종료된 상태다. 바이낸스 측에 따르면 이용자는 7월 22일 19시전까지 현금화 할 수 있다. BSV는 현재 코인니스 시세 기준 2.26% 오른 58.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출시-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시작으로....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 ‘박차’글로벌 헬스케어 블록체인 선도기업 메디블록(공동대표 고우균·이은솔)은 직접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성공리에 출시했다고 밝혔다.이는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서비스’이기에 더 큰 의미를 갖는다. 메디블록과 경희대치과병원은 2018년 1월 18일 의료기록 체계의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논의를 지속해왔으며 이번 시스템 출시는 이에 대한 결과물이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 도입되는 시스템은 치아나 잇몸 상태뿐 아니라 구강 구조, 얼굴 균형, 저작 기능 등을 고려한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으로, 검진 비용을 최소화하고, 치과 전용 CT(컴퓨터 단층 촬영)나 3차원 얼굴 스캐너 등 최신 장비를 이용해 진료 계획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메디블록이 개발한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은 문진표 작성 시 전신건강상태, 구강건강 인식도 및 습관 등 모든 설문을 전산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고, 진단결과를 여러 진료과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더 나아가 웹기반 원격 진단 서비스를 통해 국가 간의 의료장벽과 의료수준 차이를 넘어선 글로벌 빅데이터 구축 및 초 양질의 진단 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로 인해 검진 전문성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치과계 최초로 치아뿐만 아니라 얼굴뼈, 연조직의 종합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검진센터이며, 1971년 오픈한 국내 첫 사립대 치과병원인 경희대 치과병원(병원장 황의환, 센터장 최용석)에서 구축한 곳이라 큰 의미를 가진다. 검진센터에서는 치아 및 치주 관련 기본검진, 턱관절 및 구강 내 질환 검진, 구강암 검진, 부정교합 및 동적인 구강기능 검사 등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을 운영한다.경희대학교 치과병원 황의환 원장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의료데이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메디블록과 함께 혁신적인 의료정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번 케이스를 통해 국내 치과 진료 문화는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메디블록 고우균 공동대표는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서 치과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를 선보이게 되었다.”라며 “메디블록은 의료정보 통합 EMR 시스템 제공을 시작으로 메디블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의 시스템을 연동시켜 센터에 방문하는 환자들이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메디블록은 한양대 의료원, 전남대학교병원, 베스티안병원 등 유수의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어 의료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또한, 메디블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과 분당서울대병원 함께 진행하는 정부 과제에서 유일한 블록체인 기술 위탁기관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가톨릭중앙의료원과 빅데이터 센터 정부 과제를 함께 진행하며 의료정보 생태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하버드 의과대학 실습 수련병원인 MGH와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을 통해 전 세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한편, 메디블록은 지난 2월과 8월에 각각 ‘포브스가 선정한 2018년 기대되는 한국 스타트업 10곳'과 ‘포브스가 선정한 2019년 기대되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9곳'에 선정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블록체인 기업이다.
-
블록체인 활용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나와...엘리시아(ELYSIA) 토큰 판매 오는 4일 개시
블록체인 활용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 나와...엘리시아(ELYSIA) 토큰 판매 오는 4일 개시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VELIC)은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엘리시아(ELYSIA) 암호화폐 판매를 오는 4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엘리시아 관계자는 "엘리시아는 소액으로도 가능한 탈중앙 부동산 지분투자 플랫폼으로 투자자들은 부동산 상품에 소액투자, 분산투자가 가능하며 해외 부동산에도 투자할 수 있고, 법적으로 보장되고 언제든지 환매도 가능하다"고 밝혔다.이어 엘리시아 관계자는 "프로젝트 팀원들은 서울대 출신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년간 부동산 시공 경험과 임대관리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비스컴퍼니가 만들어 실제 부동산 개발 및 임대관리 등 매각 노하우가 있는 경영진들로 구성되어 엘리시아 플랫폼에서 거래될 부동산 상품들을 지속해서 수급이 가능하고, 5월에는 2호, 3호 상품의 판매가 계획되어 있다"고 덧붙였다.엘리시아 관계자는 “엘리시아(ELYSIA)는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공동투자 플랫폼이다”며 “누구나 부동산 상품에 소액투자 및 분산투자 형태로 참여할 수 있고 투자자들은 EL토큰을 활용하여 부동산에 대한 실제 지분을 얻게 된다” 설명했다. 또한 “오는 중순 EL 토큰으로 실제 투자를 할 수 있는 부동산 상품 판매가 계획되어 있다”고 덧붙였다.벨릭에 따르면 엘리시아 엘(EL)토큰 판매 일정은 오는 4일 토요일 14시부터 17시까지 2라운드까지로 총 2억 개의 토큰이 개당 약 1원(0.001달러)에 선착순으로 판매된다. 벨릭은 "토큰 구매는 벨트(VELT), 비트코인(BTC) 암호화폐로만 참여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구매자 전원에게 구매 수량의 20% 보너스가 지급되며 벨트(VELT)로 구매 시 구매 수량의 10% 보너스가 추가로 지급 될 예정이다"고 밝혔다.출처:블록체인밸리
-
다수 전문가 "거래소 20% 이상, 내년 상반기 이전 해킹 피해"
▲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2...'탐욕 단계' 지속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1) 보다 1 포인트 오른 62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전날보다 강화됐음을 나타내며, '탐욕' 단계를 유지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日 암호화폐 거래소 자이프, 23일 MONA 거래 재개일본 금융투자사 피스코(FISCO)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자이프(Zaif)가 오는 23일 모나코인(MONA, 시가총액 116위) 거래를 재개한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전했다. 자이프는 지난해 9월 70억 엔 규모의 BTC, BCH, MONA를 탈취 당했으며, 해킹 피해자를 대상으로 MONA 가치의 60%, 엔화의 40%를 배상키로 했다. 한편 자이프는 암호화폐 거래소 피스코(FISCO)와 연내 합병할 계획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MONA는 현재 8.47% 오른 0.68386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EOS REX 배치 2단계 제출, 22일 이후로 연기될 듯20일 WhaleEx 보도에 따르면 영국 소재 EOS 메인넷 BP인 EOS Authority가 EOS 자원 거래소인 REX를 배치하기 위해 제안한 'eosio.token 컨트랙트 갱신(2단계)'이 부활절 휴일과 기술상의 필요로 22일 이후 다시 제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16일 EOS Authority가 제안한 'eosio.token 컨트랙트 갱신(2단계)'은 찬성 15표로 18일 통과됐으나 체인 문제로 컨트랙트 갱신에 실패했으며 현재 BP가 실패 원인을 검토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0.92% 오른 5.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댄 라리머 "B1 지갑, 통행증 관리자와 유사"20일 오전 댄 라리머 EOS 창시자가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B1 지갑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1. B1 지갑 코드는 아직 다 공개하지 않았다.2. B1 지갑은 통행증 관리자(pass manager)에 가깝다. 어떤 특수한 앱을 가리키는 게 아니다.3. 안면인식, 지문인식 등 생체인증 방식은 모호하다. 디바이스를 통해 프라이빗 키를 보호하는 건데, 이는 우리 솔루션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SNS도 신분을 일부분 증명해줄 수 있다.▲ 다수 전문가 "거래소 20% 이상, 내년 상반기 이전 해킹 피해"디지털 자산 펀드 Adamant Capital이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비트코인 보안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년 내 가장 큰 확률로 해킹 공격을 당할 암호화폐 위탁관리 기관은?"이라는 질문에 다수의 전문가가 암호화폐 거래소의 20%가 2020년 여름 전 해킹 공격을 당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킹 위험이 낮아보이는 위탁관리 전문회사도 7명의 전문가가 2020년 여름 전 해당 회사의 10~20%가 해킹 공격에 따른 자금 손실을 입을 것으로 예상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UniqCoin, 사업 통합 거래 시스템 DAPP 개발
UniqCoin, 사업 통합 거래 시스템 DAPP 개발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기술이 데이터를 가리고 있는 무수히 많은 장막을 걷어내면서 데이터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데이터의 가치는 정확성에서 온다. 새로운 데이터가 시스템에 들어오는 순간 데이터는 크라우드 소싱으로 수집된 품질 지표 역할을 하고, 데이터 검증장치가 이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의 안정성이 향상되며 건강하고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한다.UniqCoin은 여러 업계에 성공적으로 데이터 활용 능력을 부여하고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해 온 선도적 빅 데이터 기업 Uniqson Analytics International이 개발했다. AI와 블록체인 기술의 결합으로 드러난 Uniqson Analytics International의 다음 사명은 전 세계 다양한 업종의 데이터를 민주화하는 것이다. UniqCoin의 목적은 기업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리고 소비자 대상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돕는 데 있다.Uniqson Artificial Intelligence(UAI)는 음식점, 공과금 납부, 전자상거래, 여행에 사용 가능한 UniqCoins를 활용하는 빅 데이터 블록체인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빅 데이터를 분석해 소비자가 무엇을 선호하는지, 어떤 소비 습관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빅 데이터 컴퓨터 분석을 보다 접근하기 쉽고 저렴하면서도 대중으로부터 안전하게 만든다.비즈니스 통합 거래 시스템(BITs) DAPP는 UAI 사업망이 대규모 사용자와 고객, 기존 사업 통합 시장을 바탕으로 적용된 사례다. 수준이 뛰어나고 충성도가 높은 고객을 확보하는 일은 비판적 사업 구상의 주제가 돼 왔고, 통합 마케팅이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는 방안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기업의 고객관계 관리에서는 큰 기업이든 작은 기업이든 고객을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해 서비스 통합을 실시한다. 호텔, 백화점, 은행, 슈퍼마켓, 항공, 식당, 기타 사업에서 신용카드 포인트, 온라인 쇼핑 통합, 항공 통합, 스타 호텔 통합, 슈퍼마켓 쇼핑 통합 등 다양한 통합을 제공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갈수록 다양한 형태의 통합이 주어지면서 국내 통합 산업은 지지부진한 상태다.BITs DAPP는 기존 통합 시장을 바탕으로 한 UAI 사업망의 고충을 해결해주는 기술이다. 기업과 소비자를 위한 이 상업적 통합 거래 순환 플랫폼은 무엇이든 거래되는 UAI 디지털 사업 분야의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기본 데이터를 한층 강화한다.
-
도지코인 개발자, 주요 SNS 계정 비활성화
▲ 전 세계 IEO 프로젝트 50건...35건 상장 완료ICO 전문 평가업체 ICO벤치(ICObench)에 따르면 4월 20일 기준 전 세계 IEO(거래소 공개) 프로젝트 수는 50건으로, 이중 5개 프로젝트가 4월 22일~5월 1일 사이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을 마친 IEO 프로젝트는 35건, 진행 중인 프로젝트는 10건으로 집계됐다. IEO 프로젝트를 출시한 거래소는 16곳으로, 이중 Exmarkets Launchpad가 가장 많은 프로젝트(11개)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댑 활성도 관련 데이터 정리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19일) ETH, EOS, TRON 3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189,247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72.98%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38,119), TRON(40,372), ETH(10,756)2. 총 거래 횟수: EOS(3,666,888), TRON(1,022,094), ETH(54,286)3. 총 거래량(달러): EOS(19,312,141), ETH(6,159,849), TRON(5,722,393)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Endless Game(EOS), Lore Free(EOS), Hash Baby(EOS)5. 거래횟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TRONbet(TRON), BetHash(EOS)6. 거래량 기준 TOP3 댑: EOSBet(EOS), Poker EOS(EOS), TRONbet(TRON)▲ BTC 채굴 난이도, 0.75% 하락 전망비트코인 블록 익스플로러 비티씨닷컴(BTC.com)에 따르면 BTC 채굴 난이도(현재 6.39T)가 약 18시간 후 0.75% 하락한 6.35T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1.63% 오른 5,350.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도지코인 개발자, 주요 SNS 계정 비활성화도지코인(DOGE, 시가총액 26위) 개발자 잭슨 팔머(Jackson Palmer)가 주요 SNS 계정을 비활성화 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 World News)가 20일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잭슨 팔머는 그의 주요 소통 채널인 트위터와 유튜브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했으며, 일부 유튜브 영상을 삭제했다. 트위터에서 그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회의적이면서 냉철한 분석을 내놓아 수많은 팬을 거느렸으나 최근에는 정체성 정치(identity politics) 같은 이슈에 초점을 맞추면서 부정적인 반응을 모았다고 미디어는 소개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DOGE는 현재 0.69% 내린 0.0028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인도 마하라슈트라, 블록체인 타당성 증명 PoC 연구 재개
▲ Gate.io, 두 번째 상장 프로젝트 드랩(Drep) 판매 공지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Gate.io)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두 번째 상장 프로젝트 드랩(Drep) 판매 일정을 공지했다. 해당 프로젝트 판매는 오는 25일 13시부터 15시(한국시간) 진행된다. 드랩은 탈중앙화 커넥터 등 기술 개발을 통해 보다 간편하고 빠른 솔루션 제공에 집중하고 있다. 전 세계 15개 이상의 전략적 파트너를 맺고 있으며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두바이에 글로벌 팀원들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게이트아이오는 앞서 IEO 첫 상장 프로젝트로 CNNS를 공개한 바 있다. CNNS(Crypto Neo-value Neural Sys)는 블록체인 기반 정보 및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 이용자가 보다 쉽게 디지털 자산을 효율적으로 발굴 및 투자, 거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CNNS 판매는 오는 22일 13시~15시(한국시간) 진행된다.▲ 암호화폐 평가 업체 창업주 “분산원장기술, 기존 금융 인프라 대체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인사이더(Crypto Insider)에 따르면 암호화폐 평가 서비스 제공 업체 와이스 레이팅스(Weiss Crypto Ratings)의 창업주 Martin D. Weiss가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로서는 불편함마저도 감수할 의향이 있는 사람만이 비트코인이나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려고 한다. 하지만 향후 관련 기술 및 프로토콜 발전으로 이용자 친화적인 환경이 만들어지면 기술 도입 속도가 빨라질 것이다. 그 때가 되면 과거 인터넷이 그러했듯 분산형장부기술(DLT)이 기존 금융 인프라를 대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한시간 트위터 언급 횟수, TOP3에 BTC·BNB·ETH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코인트렌즈닷컴(CoinTrendz.com)에 따르면, 지난 1시간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암호화폐는 BTC(66회)로 나타났다. BNB와 ETH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4위~10위에는 XRP(36회), LTC(25회), EOS(17회), WTC(17회), BTT(17회), BCH(16회), RVN(16회)가 순서대로 이름을 올렸다.▲ 인도 마하라슈트라, 블록체인 타당성 증명 PoC 연구 재개인도 현지 미디어 더 힌두(The Hindu)에 따르면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 주정부가 블록체인 기술의 타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4건의 개념증명(PoC) 연구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정부 관계자는 새로운 연구가 문서 관리, 지역 운송, 건강 관련 기록 등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주정부는 27명으로 구성된 연구위원회를 결성했다. 앞서 마하라슈트라 주정부는 장기 이식, 배급제도, 디지털 인증, 토지 소유권 기록과 관련한 블록체인 기술 사례 연구를 마친 바 있다고 미디어는 소개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