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트리아에서 암호화폐 결제 2500 점포 도입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스텔라 등’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오스트리아에서 암호화폐 결제 2500 점포 도입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스텔라 등’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미국 디스커버리 채널, 암호화폐의 다큐멘터리 방송 시작미국의 인기 케이블·위성 방송국,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7월 4일 암호화폐에 관한 다큐멘터리의 방영했다고 코인포스트가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프로그램 제목은 ‘오픈 소스 머니(Open Source Money)’로 제작비 100만 달러(약 12억원) 전체를 암호화폐로 조달했다. 오픈 소스 머니는 암호화폐·블록체인의 글로벌 진전에 대해 소개하고, 특히 디즈니의 개발로 화제가 된 ‘드래곤 체인(Dragonchain)’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드래곤체인(DRGN)은 이더리움의 ERC20 토큰을 사용, C언어, 자바, 파이썬 등 일반적인 언어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오픈 소스 머니는 8월 1일까지 매주 한 차례 총 5개의 에피소드가 공개될 예정이다.(アメリカの人気ケーブル・衛星テレビ局、ディスカバリーチャンネルが7月4日に仮想通貨に関するドキュメンタリーを放送開始した。)▲ 필리핀 증권거래위원회, 암호화폐 사기 등에 주의환기 당부필리핀의 증권거래위원회(이하 SEC)가 새롭게 암호화폐 사기 등에 참가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공식 문서에서 거론된 것은 Forsage, R Cash Online, The Saint John of Jerusalem Knights of Malta Foundation of the Philippines 세 가지다. 이중 하나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도 들어갔다. 필리핀 SEC는 문건에서 무허가 투자사업의 세일즈맨이나 브로커, 에이전트에게는 최고 500만 페소(약 1.2억원)의 벌금 또는 21년의 징역 또는 모두가 부과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코로나19를 이용한 사기, 피싱 등 사이버 범죄도 처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フィリピンの証券取引委員会(SEC)が新たに不正プロジェクトを検知、参加しないよう警戒を呼び掛けている。)▲ 이오스 기반 암호화폐 소셜 미디어 플랫폼 보이스(Voice) 공개1억 5천만 달러의 투자 자금을 받은 이오스(EOS) 기반의 보이스(Voice) 플랫폼이 공개되었다고 7월 5일(현지시간) 디크립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출시는 예상보다 빨리 이루어졌는데, 8월 15일 베타 테스트가 끝난 후에 공개 출시가 이루어지기로 되어 있었지만, 보이스는 ‘Hello World’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통해 “우리는 일찍 오픈했다. 우리는 기다릴 수 없었다”라고 밝혔다고 한다. 보이스의 살라 잘라티모 CEO는 “이 플랫폼이 소셜 미디어에 투명성, 진정성, 인간성을 되살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After months of delays, and a $150 million cash injection, the EOS-based Voice platform is now open for viewing.)▲ 레이븐코인(RVN) 해킹, 해커에 의한 강제 신규발행… 약 68억원 상당레이븐코인(RVN) 개발자 중 한 명인 TronBlack은 3일(현지시간) 미디움 블로그에서 RVN이 누군가에 의해 해킹 피해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커가 RVN의 취약성을 공격해 마이닝(채굴)을 하지 않고 신규 코인을 발행했다고 한다. 부정하게 생성된 코인 수는 약 3.15억 RVN(약 68억원 상당)이며, 발행 상한 210억 RVN 코인의 1.5%를 증가시키고, 마이닝으로 생성할 경우 44일에 걸친 신규 코인에 상당할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들 부정 코인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등으로 송금,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부정하게 생성된 코인을 소각할 경우, 부정을 행하지 않은 RVN 홀더에까지 피해가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TronBlack은 이번에 공격에 대해 “취약성에 의해 홀더의 코인이 도난당하는 일은 없다”고 밝혔다.(仮想通貨Ravencoin(レイヴンコイン/RVN)開発者の一人Tron Blackは3日、ブログでRVNが何者かによりハッキング被害を受けていたことを公表した。)▲ 오스트리아에서 암호화폐 결제 2500 점포 도입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스텔라 등’프랑스에 이어 오스트리아에서도 암호화폐 보급 물결이 시작되고 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관련 기업 ‘Salamantex’가 오스트리아 최대의 이동통신 사업자인 “A1”의 A1 Payment 시스템을 도입해 이번 여름부터 오스트리아의 2500 이상의 점포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해 결제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A1 Payment를 이용하는 점포들은 현금이나 신용카드 대신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대시(DASH), 라이트코인(LTC), 리플(XRP), 스텔라(XLM) 등 여러 종목을 지급수단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Salamantex의 COO인 Markus Pejacsevich는 “우리의 목표는 소비자들이 오랫동안 신용카드를 사용하듯이 계산대에서 암호화폐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A1 역시 이 차세대 결제 시스템을 전망해, 보다 많은 소비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フランスなどに続き、オーストリアでも仮想通貨の普及の波が始まろうとしている。)[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호주,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 구입 가능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호주,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 구입 가능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뉴욕금융감독청, 가상자산 스타트업 상대로 조건부 ‘비트라이선스’ 발급 검토뉴욕금융감독청(NYDFS)은 암호화폐 기업이 비트라이선스(BitLicense)를 보다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조건부 라이선스 제도를 검토한다고 유투데이가 6월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뉴욕은 비트라이선스를 발급받아야만 암호화폐 관련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이번 금융감독청의 제안에 따르면 조건부 라이선스를 발급받은 암호화폐 스타트업은 비트라이선스 취득기업과 협력한다는 조건 하에 뉴욕에서 사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해당 라이선스 유효기간은 2년이다. 뉴욕금융감독청은 라이선스를 받은 기업에겐 규정을 제공할 예정이며 철저히 감독할 것이고 규정을 위반한 기업은 자격을 상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뉴욕주는 지난 2015년 비트라이선스 제도를 처음 도입하였으며 현재 25개 업체가 라이선스를 취득했다.(Regulation-heavy New York to make It easier for cryptocurrency firms to obtain a BitLicense by proposing its conditional version.)▲ 美 증권거래위원회, “텔레그램 ‘톤(TON)’ 투자금 반환해야” 텔레그램의 증권형 문제가 마무리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코인포스트가 6월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종 판결에 따라 텔레그램은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 1850만 달러의 벌금을 물게 됐으며 ICO로 암호화폐 그램(GRAM)를 구입한 투자자에게는 총 11억 9000만달러의 투자금을 반환해야 한다. 판결문에 따르면, 벌금은 30일 이내에 내야 하며 투자자 환불은 3년의 기간이 주어진다. 경우에 따라 1년이 추가 돌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텔레그램은 2018년 그램의 ICO로 약 17억 달러의 자금 조달을 성공했다. 반면 ICO의 미등록 증권 판매로 미국 증권법을 위반했다며 작년 10월 SEC가 텔레그램을 제소했다. 최종적으로 텔레그램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기한까지 블록체인 톤(TON)이 출시되지 못했기 때문에 톤과 그램 계획을 정리했다.(人気メッセージアプリを提供するテレグラム社の有価証券問題が、完全に終わりを迎えようとしている。)▲ 호주,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비트코인·이더리움 구입 가능호주 전역의 우체국에서 현금으로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구입이 가능하다고 코인포스트가 6월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호주의 암호화폐 거래소 bitcoin com au이 호주 우체국과 제휴함에 따라 호주 거주자가 현지 우체국에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살 수 있게 됐다. Bitcoin com au의 CEO 홀저 아리안스(Holger Arians)는 “호주 우체국의 암호화폐 결제 지원으로 특히 처음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온라인으로 자금을 송금하는 것보다 더 안정감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아리안스는 “우체국에서의 비트코인 판매가 비트코인의 대규모 수용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豪州発の仮想通貨取引所Bitcoin.com.auが郵便局のオーストラリアポストと提携した。これにより、豪州居住者が、当地の郵便局でビットコインとイーサリアムを購入可能となった。)▲ 日 도카이 도쿄 파이낸셜 홀딩스, 증권형 토큰 거래소 설립 추진 中금융서비스 회사 도카이 도쿄 파이낸셜 홀딩스(TTFH, Tokai Tokyo Financial Holdings)가 일본에서 디지털 증권 거래소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6월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도카이 도쿄는 블록체인 해시 대시 홀딩스(Hash Dash Holdings)에 투자하고 이를 활용하여 거래소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계획하고 있는 거래소는 토큰화된 부동산으로 거래 될 예정이며 해시 대시, ICHX TECH와 함께 일본 부동산을 디지털화하여 분야를 개척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카이 도쿄는 “거래소를 싱가포르의 디지털 증권 거래소 iSTOX와 연결해 투자자들이 어느 거래소에서든 디지털화된 자산을 사고팔 수 있게 하여 일본 기업들이 싱가포르 거래소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도카이 도쿄는 지난 3월 STO(증권형토큰제공) 자율규제기구인 일본 STO 협회 회원으로 합류한 바 있다.(Tokai Tokyo Financial Holdings, a major Japanese traditional financial institution, is working towards launching a digital security exchange in Japan.)[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스위스 국영은행 BKB,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 계획 中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스위스 국영은행 BKB,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 계획 中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러시아 푸틴 대통령, 암호화폐 결제 금지법안에 서명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최근 암호화폐를 통한 결제 이용을 금지하는 법안인 디지털 금융자산 관련법(On Digital Financial Assets: DFA)에 서명했다고 코인포스트가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의 보유와 거래 등은 인정되지만 암호화폐를 사용해 상품 서비스의 지불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인 디지털 금융자산 관련법에 푸틴 대통령이 서명했다. 디지털 금융자산 관련법은 러시아에서 암호화폐 관련법 중 최초로 통과된 법안이며 내년 1월 발효될 예정이다. 또한 이번 법률로 인해 러시아 기업들은 중앙은행의 허가를 받을 경우 블록체인을 이용해 디지털 증권을 발행할 수 있다고 규정됐다. 러시아 하원 금융위원장인 아나톨리 악사코프는 암호화폐 법안에 대해 ”새 법률 외 암호화폐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규제를 제정하는 또 다른 ‘디지털 통화 관련법’이 추진되고 있다“고 전했다.(ロシアのプーチン大統領が仮想通貨による決済利用を禁止する法案「デジタル金融資産関連法(On Digital Financial Assets:DFA)」に署名したことがわかった。地元メディアRIAが報じた。)▲ 美 증권거래위원회, 바이낸스 체인의 거래내역 추적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이하 SEC)가 바이낸스체인 상에서 이뤄지는 거래내역을 추적하기 위해 블록체인 분석업체인 사이퍼트레이스(CipherTrace)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3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SEC는 바이낸스 체인에 관한 과학 수사 및 리스크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사이퍼트레이스와 공급 계약했고 SEC는 이전에도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등 전문기업에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거래 조사를 의뢰한 바 있다. 사이퍼트레이스는 바이낸스 블록체인 상에서 발행된 모든 토큰에 대한 추적을 지원하는 업체이다. 한편 바이낸스 측은 ”바이낸스는 사이퍼트레이스와 협력해 각종 불법행위를 차단하고 있다“며, ”SEC의 보도는 바이낸스의 추적이 아닌 해커와 사기 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노력일 뿐“이라고 일축했다.(米証券取引委員会(SEC)が「バイナンスチェーン」をトラッキングするために、ブロックチェーン分析企業CipherTraceに下請けの契約を発注した。SECの公式通知で判明した。)▲ 中 사상 최대 암호화폐 사기 플러스토큰(PlusToken), 전체 주모자 체포...수사 마무리역사상 가장 큰 암호화폐 사기 중 하나인 플러스토큰(PlusToken)의 주모자 27명과 핵심 멤버 82명이 중국 경찰에 체포되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3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30억 달러(약 3조 5718억원)의 피해를 입히고 피해자 수가 80만명에 달하는 다단계 암호화폐 사기 플러스토큰의 전체 주모자들을 체포하고 수사를 마무리한다고 한다고 밝혔다. 2018년 초에 시작된 플러스토큰은 높은 투자 수익을 주장했던 중국의 지갑 서비스이다. 업체는 비트코인·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맡기면 매달 918%의 고수익을 보장하겠다고 투자자들을 유혹했다. 결국 2019년 6월부터 여러 사용자가 지갑에 입금만 되고 출금이 되지 않는다는 제보를 이어하며 혼란이 확산됐다. 당시 일당은 시스템 업그레이드로 인한 출금 지연이라고 해명했지만 결국 사기로 밝혀졌다. (中国の公安部が、仮想通貨(暗号資産)のポンジスキーム「PlusToken」で、主謀者全27人と重要メンバー82人を逮捕したことが分かった。)▲ 스위스 국영은행 BKB,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 계획 中스위스 국영은행 바슬러 칸토날방크(Basler Kantonalbank, 이하 BKB)가 암호화폐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코인포스트가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BKB는 자회사인 방클레어(Bank Cler)와 연계해 암호화폐 거래 및 커스터디 서비스 구축에 나선다. 계획은 아직 초기 단계로 구체적인 취급 종목이나 출시 예정일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내년부터 가상자산 거래와 예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일정을 공개했다. 스위스 은행은 암호화폐 섹터와의 친화성이 높고 국영은행이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이 모이는 크립토밸리를 비롯해 지금까지 대형 상업은행과 프라이빗 은행이 암호화폐 거래서비스와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고 암호화폐 은행 등 신흥 은행들도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スイスの国営銀行Basler Kantonalbank(BKB)が仮想通貨サービスを計画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라인 자체 암호화폐 링크(LN), 6일 일본 거래소 비트맥스에 상장라인(LINE)의 그룹사 LVC가 LINE의 자체 암호화폐 링크(LN)를 일본 내에서 개시한다고 코인포스트가 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링크는 일본 거래소인 비트맥스(BITMAX)에서 6일 12시부터 거래를 지원한다. 링크가 일본 거래소에 상장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링크는 라인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링크체인'에서 발행되는 가상자산으로 그동안 일본을 제외한 글로벌용 거래소 비트박스(현 비트프론트)에서 거래가 이루어져 왔다. 비트맥스의 취급통화는 6일부터 추가되는 링크(LN) 외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캐시(BCH), 라이트코인(LTC) 등 6종류가 될 예정이다.(LINEのグループ会社LVCは4日、LINEの独自仮想通貨(暗号資産)「LINK(LN)」を日本で取扱いを開始すると発表した。)[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사업자용 월렛 개발 업체 프레세츠, 일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협회 가입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사업자용 월렛 개발 업체 프레세츠, 일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협회 가입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8월 16일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작곡가 에이콘의 암호화폐 도시 ‘에이콘 시티(Akon City)’, 60억 달러 규모의 건설 계약 체결가수, 작곡자이자 기업가인 에이콘(Akon)이 세네갈의 ‘에이콘 시티(Akon City)’라는 암호화폐 기반 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KE International’과 60억 달러(약 7조 2852억원)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6월 17일(현지시간) 크립토브리핑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에이콘 시티는 에이콘의 이름을 딴 암호화폐 ‘Akoin’을 이용해 모든 거래가 이루어지는 암호화폐 도시를 목표로 모국인 세네갈에서 계획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세네갈 정부와 계약을 맺었고, 독립적인 디지털 통화로 사회에 형성되는 새로운 도시 형태를 모색하고 있다. 에이콘시티 부지면적은 2000에이커(약 8,093,712.84㎡)로 세네갈의 마키 살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토지를 활용하고 있다. 건설 계획에 따르면 2023년까지 도시 인프라 정비를 완료할 것이라고 한다.(Akon City has awarded a $6 billion construction contract to KE International, an engineering and consulting firm.)▲ 미국 CFTC 전 위원장 “리플(XRP)은 증권형에 해당하지 않는다”크리스토퍼 지안카를로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이 리플(XRP)은 증권형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공동 집필의 법률 리뷰 칼럼 기사에서 밝혔다고 코인포스트가 6월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안카를로는 “리플과 대다수 XRP 소유자 사이에 계약의 약정이 없기 때문에 XRP는 투자 계약이 아니다. 또한 리플은 이전부터 명확하게 일반 XRP 소유자를 제3자 수익자에서 제외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지안카를로는 “이더리움(ETH)을 예로 들면, ETH의 소유자가 이더리움 재단과 계약을 맺지 않은 것과 같다”며, “또한 리플이 XRP를 대량 보유해 정기적으로 매각하고 있다는 것은 비트코인 채굴업자가 채굴한 BTC를 파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지안카를로는 “XRP가 이미 기업간에서도 송금의 매체로서 이용 보급을 확대하고 있는 점에서, SEC의 입장에서도 통화로 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米商品先物取引委員会(CFTC)の前任会長Christopher Giancarloが仮想通貨XRPが有価証券に該当しないとの見解を共同執筆の法律レビューコラム記事で明かした。)▲ 리플넷 클라우드 도입 확대 .. 도입 기업 17개사 목록 발표리플이 새롭게 선보인 클라우드 서비스 리플넷 클라우드의 도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코인포스트가 6월 1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플은 리플넷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사업자 17사의 리스트를 공개했는데 그 중 4사에서 신규 고객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신규 4사 외에도 머니그램(MoneyGram)이나 BancoRendimento, Viamericas 등 많은 리플넷의 참가 기업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리플넷 클라우드는 리플이 5월 말에 시작한 클라우드 기반의 결제 솔루션으로, 최근 브라질 방코 렌디멘토(Banco Rendimento)가 최초의 은행으로 이용을 시작한 것을 발표한 바 있다.(リップル社が新たに提供を開始したクラウドサービス「リップルネットクラウド」の導入が順調に推移している。)▲ 비트코인 선물거래를 투자대상으로 하는 ‘파생상품 ETF’, 美 SEC에 신청비트코인 선물거래를 투자대상으로 하는 파생상품형 ETF(상장지수펀드)가 6월 1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이하 SEC)에 제출된 것으로 알려졌다고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신청한 곳은 뉴욕에 있는 자산운용사 위즈덤트리 트러스트(Wisdom Tree Trust)로 성장이 계속 되는 비트코인 선물거래 시장에 일부의 자금을 투자하는 ETF의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위즈덤트리 트러스트 상품 전략펀드는 주로 에너지, 산업용 금속, 귀금속, 농산물 등의 선물시장 투자를 목적으로 한 ETF로, 승인되면 비트코인 선물시장에도 최대 5%까지 순자산을 배분할 수 있다. SEC는 지금까지 시세 조종의 우려나 해킹 리스크, 기관투자가 수준의 커스터디 서비스의 결여 등 일관된 이유로 비트코인에 관련한 ETF의 신청을 비승인으로 해 왔지만, 파생상품형의 ETF로 순자산의 일부를 비트코인 선물에 배분하는 ETF의 계획서는 첫 제출이 된다.(ビットコイン先物取引を投資対象とするデリバティブ型のETF(上場投資信託)が17日、証券取引委員会(SEC)に提出されたことがわかった。)▲ 사업자용 월렛 개발 업체 프레세츠, 일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협회 가입일반사단법인 일본 STO(증권형 토큰 발행) 협회에 사업자를 위한 지갑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프레세츠(Fressets)가 신규 회원으로 가입했다고 6월 2일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프레세츠는 핫 월렛과 콜드 월렛을 멀티 복합 지갑 관리 시스템으로 일본 최초로 개발 판매한 실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또한 프레세츠는 풍부한 암호화폐 지갑 관리 시스템 개발 경험을 살려 증권형 토큰에서의 지갑 관리 시스템 개발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STO 협회는 “프레세츠는 증권형 토큰에 의한 자금 조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 중 하나인 암호키 관리를 제공한다”며, “다양한 정보 교환과 논의를 통해 일본 국내외에서 STO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一般社団法人日本STO協会(東京都港区、代表者:北尾 吉孝、以下「日本STO協会」)に、事業者向けウォレット管理システムを提供するフレセッツ株式会社(東京都⽂京区、代表取締役:⽇向 理彦、以下「フレセッツ」)が賛助会員として入会しました。)[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피르마체인,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과 파트너십 체결
피르마체인,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과 파트너십 체결보폭 넓히는 쟁글 쟁글 운영사 ‘크로스앵글’, 피르마체인과 파트너십 체결‘쟁글’ 통해 투명성 확보… 기업 개요, 주요 사업, 파트너십 현황, 프로젝트 진행 현황 등 정기 공시 정보와 상시 공시 제공 예정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전자 계약 플랫폼 피르마체인(FirmaChain)이 공시 데이터 기반 가상자산 정보 포털 쟁글(Xangle)을 서비스하는 크로스앵글(CrossAngle)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피르마체인은 쟁글을 통해 기업 개요, 팀·어드바이저 소개, 주요 사업, 파트너십 현황, 프로젝트 진행 현황, 주요 마일스톤 공개, 토큰 정보 등 정기 공시 정보를 제공하고 에어드롭 이벤트, 마일스톤 달성 등 상시 공시를 제공할 예정이다.피르마체인은 블록체인 기반 전자 계약 서비스 듀잇(duite.)을 서비스하는 피르마(FIRMA)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업부로 2019년 테스트넷인 임페리움을 개발한 뒤 현재 메인넷 오픈을 앞두고 있다.앞으로 메인넷 출시 일정을 비롯해 추가 업무 협약과 상장 소식 등을 통해 피르마체인에 관심이 있는 투자자나 기업에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피르마체인이 발행하는 FCT(FirmaChain Token)는 2020년 7월 기준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과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 글로벌에 상장돼 있다.쟁글은 프로젝트와 거래소, 크립토 펀드 및 기업들에 가상자산(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실사 보고서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다트(DART), 에드가(EDGAR) 등 증권 규제 기관의 기준에 준거해 공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프로젝트의 사업 현황, 재무 상황 등 오프체인 정보와 블록체인 안에서 발생하는 온체인 정보를 모두 제공 및 공시하는 플랫폼으로 현재 약 60여개 거래소·펀드 파트너와 400여개의 프로젝트가 참여 중이다.개인 투자자는 투자할 대상 프로젝트의 정보를 통해 의사결정을 내리고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는 프로젝트의 적격성과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피르마체인 윤영인 대표는 “과거 피르마체인 내부 커뮤니티를 통해서만 정보가 공유됐기 때문에 기존 투자자에게만 국한됐다면 이번 파트너십은 예비 투자자와 가상자산 거래소 등 기업에 피르마체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좋은 계기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전세계 이용자 64%, “디지털자산이 법정화폐를 대체할 것”
전세계 이용자 64%, “디지털자산이 법정화폐를 대체할 것”- 비둘기 지갑, 전세계 디지털자산 이용자 21,106명 대상 설문조사- 중국, 디지털자산에 대한 지지도 높은 반면 한국은 가장 회의적 전세계적으로 여러 형태의 디지털자산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상당수의 이용자들은 궁극적으로 디지털자산이 미래 법정화폐의 대안 더 나아가 이를 교체할 것으로 전망했다.최근 비둘기 지갑이 전세계 이용자 21,106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자산이 법정화폐의 대안, 더 나아가 이를 교체할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무려 64%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반면 이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14%로, 잘 모르겠다는 유보적 입장의 22%보다 낮게 나타났다.관련 국가별 설문결과를 살펴보면, 중국 이용자 경우 무려 89%가 법정화폐의 대안으로써 디지털자산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이집트, 베트남, 알제리, 일본,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태국 이용자들 역시 70% 이상이 미래 법정통화의 대안으로 디지털자산 활용에 대한 지지 의견을 피력했다. 반면 국내 경우 관련 주장에 동의한다는 의견을 나타낸 이용자가 46%로 주요 국가들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 밖에도 동의하지 않는다는 의견 역시 20%를 기록하며 법정화폐의 대안으로써 디지털자산 활용가치에 대해 타 국가 이용자 대비 회의적인 입장을 보여줬다.이번 설문조사 관련, 김은태 비둘기 지갑 대표는 “이미 전세계적으로 기존 디지털자산의 문제점들을 보완한 기업주도의 스테이블코인, 정부 중앙은행 주도의 CBDC 개발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만큼 향후 법정화폐의 대안으로 디지털자산의 활용가치에 대한 기대감 역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삼성 블록체인 월렛에 ‘엘리시아 암호화폐’ 탑재 “빌라 관리비 암호화폐로 납부한다”
삼성 블록체인 월렛에 ‘엘리시아 암호화폐’ 탑재 “빌라 관리비 암호화폐로 납부한다”부동산 소액투자 플랫폼 엘리시아(ELYSIA)는 자체 암호화폐 EL토큰이 ‘삼성 블록체인 월렛’에 8일 새롭게 추가됐다고 밝혔다.엘리시아는 소액으로 부동산을 투자할 수 있는 부동산 플랫폼이다. 이번 협약으로 삼성 블록체인 월렛 이용자들은 엘리시아의 부동산 관리 디앱(DApp) ‘BEES’를 이용해 EL토큰으로 관리비를 결제할 수 있게 됐다. 삼성 블록체인 월렛 이용자들은 임대사업자와 임차인 간 행정업무에 필요한 개인지갑과 개인키를 삼성 키스토어에 저장하여 모바일로 안전하게 관리비를 납부할 수 있으며, EL토큰으로 관리비를 결제할 경우 5% 할인된 가격으로 관리비 결제가 가능하다. 향후 EL토큰으로 관리비 납부 뿐만 아닌 월세 납부까지 가능하도록 사용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엘리시아의 ‘BEES’ 어플리케이션은 관악구와 동작구의 다가구 주택 101세대에서 실 사용 중이며, 기존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더해 ▲임대 계약서 관리 ▲입·퇴실 관리 ▲하자보수 이력 ▲관리비 납부 등 데이터들을 블록체인상에 보관하여 계약 당사자간의 마찰을 최소화했다. 앞으로 ‘BEES’를 통해 EL토큰으로 관리비 납부가 가능해져 사실상 임대 계약을 제외한 모든 관리가 비대면으로 가능해졌다. 임정건 엘리시아 CEO는 “삼성 블록체인 지갑 연동으로 일부 다가구 주택에서 이용하던 어플리케이션 사용처를 주택형 건물 뿐만 아닌 상업용 부동산에서도 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이해 관계자들간의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하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부동산 산업에서의 블록체인 기술 응용 사례를 알리고 나아가 비대면 채널 구축을 활성화하여 모바일에서도 부동산 관리 및 거래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갈 것”이라고 전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에쓰오씨소프트,세종시 ‘빅데이터 허브시스템 2단계 구축사업’ 수주
지난 10일 세종시 SM타워 8층 중회의실에서 진행된 착수보고회에쓰오씨소프트,세종시 ‘빅데이터 허브시스템 2단계 구축사업’ 수주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및 컨설팅 전문기업 에쓰오씨소프트(대표 김한기)가 ‘세종시 빅데이터 허브시스템 2단계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 수주한 ‘세종시 빅데이터 허브시스템 구축 사업’에 이은 두 번째 수주다. 이번에 수주한 2단계 구축사업은 지난 10일 착수보고회를 시작으로 11월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4차산업 혁명의 핵심기술 빅데이터 행정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세종시가 기존에 구축한 데이터 수집‧저장‧관리‧제공‧연계 체계 및 데이터 분석 플랫폼의 시스템 성능과 품질향상을 위해 추진하게 됐다. 에쓰오씨소프트는 1단계 사업 시 구축한 데이터의 연속성 확보와 고도화를 위해 유동인구와 카드매출데이터 등 2020년 데이터를 확보하여, 내‧외부 시스템과 연계하고 데이터 자동수집체계를 구축해 데이터 마트 구축을 확대할 계획이다.또 데이터 포털 기능을 개선하고 고도화하기 위해 사용자 편의 기능을 추가개발한다. 구체적으로 지도 위에 데이터 시각화 표현 기능을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하며, 데이터 갱신만으로 결과물을 제작할 수 있는 템플릿 지원이 이뤄진다. 주정차 문제, 미세먼지 등 시정현안의 주요 이슈사항을 2건 이상 발굴해 이를 상시 분석할 수 있는 기능도 구축된다. 빅데이터 과제 발굴 시에는 각 부서 요청사항을 반영하고, 빅데이터 분석과제 발굴 아이디어 공모전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세종시는 데이터 포털 기능을 개선과 고도화로 데이터 자동 수집의 기반을 마련하고, 데이터 분석을 위한 사전 작업 시간을 단축하면 객관적이고 과학적 결정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에쓰오씨소프트 김세환 상무는 “기존에 구축한 분석플랫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가치, 고수요 데이터 연계 확대와 데이터 품질 제고를 위한 플랫폼 2단계 고도화 작업에 힘쓸 것”이라며 “데이터 중심의 행정업무 활용을 위한 내부 직원 데이터 역량강화 교육 지원 또한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국내 암호 화폐 거래소의 계정 운영 정책 변경 안내’ 문서로 위장한 공격 등장
문서 프로그램 업데이트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자료제공=이스트시큐리티)‘국내 암호 화폐 거래소의 계정 운영 정책 변경 안내’ 문서로 위장한 공격 등장보안 전문 기업 이스트시큐리티(대표 정상원)는 ‘국내 암호 화폐 거래소의 계정 운영 정책 변경 안내’ 문서로 위장한 공격이 등장하였다고 밝혔다.이번에 발견된 공격에는 ‘계정기능 제한 안내.hwp’라는 파일명을 가진 악성 hwp 문서가 활용되었으며, 문서의 마지막 수정 날짜는 지난 7월 6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악성 파일은 마치 국내 유명 암호 화폐 거래소의 계정 운영 정책 변경 관련 내용인 것처럼 위장해, 암호 화폐 거래소 계정을 가진 사용자를 공격 타깃으로 설정한 것으로 추정된다.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이하 ESRC)는 해당 공격이 기존 hwp의 포스트 스크립트 취약점을 사용한 형태가 아닌, OLE(Object Linking & Embedding) 개체 기능을 악용하여 문서를 클릭할 경우 내부에 숨겨진 32비트 악성 실행 파일(.exe)을 설치한다고 밝혔다.OLE 개체 기능은 윈도의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독립적인 자료들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따라서, 그동안 알려진 취약점들이 제거된 최신 버전의 hwp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도 이용자 클릭에 따라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특히, 문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위장하고 있는 악성 실행 파일은 내부에 base64 코드로 인코딩된 추가 명령이 파워쉘 기반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파워쉘 명령이 작동하면 공격자의 명령 제어(C2) 주소로 감염시스템에서 수집한 정보를 전달한다.이때, 수집하는 정보는 추가 명령 제어를 위해 필요한 바이오스에 저장된 ▲시리얼 넘버, ▲제조사, ▲제품 이름 등이다.주목할 만한 점은 감염 시스템의 정보를 수집하고 추가 명령을 내릴 수 있는 C2 주소가 국내 부동산 기획 홍보 관련 회사 사이트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다.이스트시큐리티ESRC 센터장 문종현 이사는 “공격자는 국내 유명 암호 화폐 거래소의 문서인 것처럼 위장하여 거래소 계정을 보유한 사용자들을 타깃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수집한 정보를 통해 암호 화폐 채굴, 추가정보 수집 등의 2차 공격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이어 문 이사는 “hwp 보안 취약점이 아닌 정상적인 OLE 개체 삽입 기능을 악용했기에 최신 버전을 사용 중인 이용자들도 감염될 우려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원투씨엠, 대만 라인(LINE)과 손잡고 언택트 기반 테이크아웃 서비스 오픈..IPO 기업공개도 추진
원투씨엠, 대만 라인(LINE)과 손잡고 언택트 기반 테이크아웃 서비스 오픈..IPO 기업공개도 추진핀테크/O2O 전문기업 원투씨엠은 대만 시장에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인 라인(LINE)과 손잡고, 언택트 기반의 테이크아웃 서비스를 오픈했다고 밝혔다.고객이 온라인 채널에서 주문 결제를 하면 방문 전 다양한 주문 상황을 매장에서 미리 준비를 하고,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라인 모바일 주문서를 제시하면 스마트 스탬프 인증을 통하여 이를 처리하고 전달해 주는 서비스이다.원투씨엠은 자체 보유 원천 기술인 스마트 스탬프(브랜드명 “echoss Stamp”) 기술과 결제 기반 기술 등을 라인 플랫폼 API에 접목하여 고객 친화적이고 편의성 높은 서비스를 구현했다.특히, 기존 온라인 주문과 현장 Pick up 등을 취급하지 않았던 다수의 브랜드들이 해당 사업에 참여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대만 시장에 테이크아웃 표준 프로세스를 구현했다고 평가된다.타이타운 그룹, 잇푸도 라멘, 하이 스시, 글로벌 커피 브랜드사 등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에서 해당 서비스를 오픈하여 고객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대만 시장도 코로나19에 잘 대처하고 있는 나라로 손꼽히며, 방역을 철저히 진행하면서도 경제 활동을 최대한 위축시키지 않기 위하여 시장에서 다양한 언택트 서비스 등이 속속 선보이고 있다고 한다.이에 대해서 원투씨엠의 대만 사업 총괄 지주홍 본부장은 “대만 시장의 경우, 트랜드가 빠르게 전파되는 특징을 가진 시장으로 이번 테이크아웃 서비스를 통하여 대만 시장의 소비 패턴 자체가 변경되고 있다는 점이 느껴진다” 라고 말했다.원투씨엠은 스마트 스탬프와 다양한 핀테크, O2O 기술을 기반으로 22개국 국내외 시장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기술 혁신 기업이다.원투씨엠의 글로벌 사업 담당 김예은 팀장은 “원투씨엠은 독창적인 핀테크 기술과 O2O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대만의 서비스 이외에 하반기에는 UN 등과 협력하여 글로벌 차원에서 코로나 환경 이후의 새롭고 혁신적인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라고 밝혔다.한편, 원투씨엠은 설립 7년만에 금년 기술 특례에 의한 기업 공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
오지스 박태규 대표, ‘펜타시큐리티’와 함께 블록체인 서비스 보안 강화 나선다
오지스 박태규 대표, ‘펜타시큐리티’와 함께 블록체인 서비스 보안 강화 나선다 국내 대표 블록체인 기술 기업 오지스(대표 박태규)와 정보 보안 전문 기업 펜타시큐리티시스템은 ‘블록체인 기반 금융서비스의 MPC 적용을 위한 상호협력 의향서’를 체결하고 상호 협력에 나선다고 밝혔다. 오지스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간 상호운용 기술 (IBC : Inter Blockchain Communication)을 활용한 오르빗 체인 (Orbit Chain)을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은 물론 카카오 클레이튼과 테라를 연동 중이며 이를 활용한 탈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번 전략적 협력을 통해 오지스는 펜타시큐리티의 MPC (MPC: Multi-Party Computing) 솔루션을 오르빗 지갑 보안 강화, 밸리데이터 키 분산화 등 블록체인 기반 금융 (DeFi: Decentralized Finance) 서비스에 적용하여 한층 강화된 보안성을 확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펜타시큐리티는 최근 디지털 자산 기반 금융 서비스 환경의 보안성 향상을 위해 MPC 기술을 오픈 SDK 형태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뿐 아니라 다자간 합의 체계가 필요한 금융, 공공기관도 암호학적으로 안전한 합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펜타시큐리티 블록체인연구소장 남민우 이사는 "펜타시큐리티의 MPC 기술과 블록체인 키 관리 솔루션을 오지스의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 연동 및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운영 경험과 연계해 블록체인 기반 금융서비스 환경에 최적화된 디지털 자산 보안 솔루션을 선보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오지스의 박태규 대표는 “최근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의 성장과 함께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국내 굴지의 정보 보안 기업 펜타시큐리티의 MPC 솔루션을 통해 더 안전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슈콘, 슈월드 블록체인 핵심 기술 특허출원 완료
슈콘, 슈월드 블록체인 핵심 기술 특허출원 완료대한민국 토종 블록체인 대표기업인 슈콘이 자사에서 개발 런칭한 '슈월드(SUWORLD)'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지난 7월 3일 완료하였다.슈콘은 특허출원에 앞서 지난 2년간 해당 특허 기술을 먼저 구현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본 기술이 실제 네트워크상에서 문제없이 가동되는지 테스트를 거치고 그 효력에 대한 검증을 완료한 상태에서 특허출원을 진행하여 본 특허에 대한 가치를 상당히 높게 보고 있다. 해당 특허는 올해 6월 15일 공개한 '슈월드' 블록체인 메인넷을 가동하는 핵심 코어 알고리즘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고 보안성 및 확장성 개선을 위한 나선형 피라미드 구조를 가진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이하 '헬릭스피라미드'블록생성/연결구조) 해당 특허 문서에는 ▲기술 알고리즘 형태인, 최초의 제네시스 0번 블록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의 나선형 형태로 다음 블록들이 연결되는 방법 ▲높은 탈중앙화 보안을 위한, 앞선 3개의 블록 해시를 연결하는 방법 등 총 6개 청구항목이 포함되었다.슈콘은 문서를 통해 “빠른 블록생성 및 연결을 통한 거래처리속도를 높이고, 기존 직렬형 블록생성 및 연결 구조의 취약한 보안성을 극복한 기술이다.”고 밝혔다. 본 특허 출원을 통하여 슈콘은 기술에 대한 법적 보호를 받음에 따라 공격적인 글로벌 시장진출이 가능해졌다.
-
코어닥스, Exvina와 글로벌 파트너쉽 체결로 베트남 시장 진출
코어닥스, Exvina와 글로벌 파트너쉽 체결로 베트남 시장 진출프리미엄 디지털 자산 거래소 코어닥스(COREDAX)가 지난 6월 29일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엑스비나(Exvina)와 파트너쉽 체결로 베트남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베트남은 미국, 중국, 한국, 일본과 더불어 활발한 가상자산 거래를 하고 있는 국가로, 이번 파트너쉽 체결을 통해 코어닥스는 잠재력 있는 글로벌 시장으로의 비즈니스 확장 기회를 갖게 되었다. 엑스비나는 글로벌 SNS플랫폼 서비스 업체 니오앱스(NEEO Apps)가 베트남 시장을 타겟으로 설립한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로, 베트남 최대 은행인 Vietcom Bank의 협업을 통해 베트남 법정화폐인 동(VND) 마켓이 마련되어 있으며 지난 해 10월에는 ‘응이엠 부 밍 응우엣’ 부사장을 영입하며 현지 마케팅 경쟁력을 높이기도 했다.한편, 코어닥스는 삼성증권, 대신증권, 한국투자증권 등 약 20여년간 금융IT솔루션을 공급하던 기술력을 기반으로 만들어져 금융기관 수준의 보안시스템을 갖춘 거래소로 주목받아왔다. 이번 4월 베타오픈을 마치고 현재는 올해를 목표로 ISMS-P인증 획득 준비 및 다양한 프리미엄 서비스 개발을 포함한 거래소 리뉴얼 중으로 8월초 그랜드 오프닝을 앞두고 있다.이번 파트너쉽 체결로 코어닥스와 엑스비나는 상호 국가 간의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할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추후 협의를 통해 코인 교차상장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코어닥스에 상장 될 엑스비나의 니오코인은 100개 이상의 언어를 실시간 자동 번역하는 메신저를 포함한 SNS 플랫폼 니오(NEEO)의 유틸리티 코인으로, 플랫폼 니오는 이미 전 세계 178개 국가에서 1백만회 이상 다운로드 된 앱으로 알려졌다. 이번 교차상장으로 양 거래소는 대규모의 글로벌 유저 유입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
“국내 1호 AI 의료기기 개발기업 뷰노, 생체신호 AI로 연구영역 확장” 뷰노메드 딥카스™ 임상시험계획 승인
“국내 1호 AI 의료기기 개발기업 뷰노, 생체신호 AI로 연구영역 확장”뷰노메드 딥카스™ 임상시험계획 승인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 뷰노(대표 김현준)는 최근 인공지능 기반 심정지 예측 소프트웨어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주로 방사선 영상이나 병리 영상 등 이미지 분석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던 국내외 의료 인공지능 시장에서, 생체신호(biosignal) 기반 인공지능 의료기기가 본격적으로 국내 상용화 절차를 밟는 최초 사례다.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 등에서 수집한 맥박, 호흡, 혈압, 체온 등 환자의 활력징후(vital sign)를 분석해 심정지 발생 위험에 대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다. 향후 24시간 동안 발생할 심정지 위험도와 함께 해당 위험도에 대한 확신도 점수를 제공해, 의료진들의 조기 대응과 정확한 진단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입원 중 심정지는 대개 몇 시간 전 비정상적 징후가 발현되기 때문에 조기발견시 대응이 가능하지만, 신속대응팀이 부재한 의료기관에서는 지속적인 감시가 불가능하고, 다양한 활력징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즉각적인 판단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 병원에서 활용되는 MEWS(Modified Early Warning Score) 등의 기존 활력징후 평가지표는 특정 시점만을 기준으로 평가돼, 민감도는 낮은 반면 오경보율은 높아 알람 피로(alarm fatigue) 등의 한계가 지적돼 왔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최신 딥러닝 기법인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기술을 도입해 입원한 시점부터 입력(input)되는 활력징후 지표를 종합 분석함으로써 기존 지표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최근 세계중환자의학회지(Critical Care Medicine, CCM)에 게재된 연구논문에 따르면, 뷰노메드 딥카스™는 MEWS보다 동일 경보 수 대비 2배 이상 높은 민감도를 보였고, 동일 민감도에서는 절반 가까이(59.6%) 감소한 전체 경보 수를 기록해 실제 오경보율이 낮음을 시사했다. 뷰노메드 딥카스™의 실제 임상현장에 도입되면 의료진들은 입원 환자의 심정지 발생을 예측해 사전에 발생할 심정지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기존 평가지표의 경우 도입시 실제 심정지 발생률 및 사망률이 일정수준 감소한다는 것을 다수의 연구를 통해 입증한 바 , 기존지표대비 심정지 예측 성능이 우수한 본 제품 도입시에는 보다 유의미한 심정지 발생률 및 사망률 감소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김현준 뷰노 대표는 “뷰노메드 딥카스™는 뷰노가 오랜시간 준비해온 비의료영상 분야 대표 연구성과물로서 기대하는 바가 크다”며, “앞으로 해당 제품이 임상현장에 활용됨으로써 환자 생명을 살리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 고 말했다.한편, 뷰노는 의료영상, 병리영상, 생체신호, 음성 등 의료기관에서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광범위한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파이프라인의 제품화에 성공했다. 현재 뷰노는 국내 1호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시작으로 ▷뷰노메드 딥브레인™ ▷뷰노메드 체스트 엑스레이™ ▷뷰노메드 흉부 CT AI™ ▷뷰노메드 펀더스 AI™ ▷뷰노메드 딥ASR™ 등 다양한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을 국내외 시장에 선보이고 있으며, 최근 5가지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에 대한 유럽 CE 인증을 획득했다.
-
매틱 네트워크, 신규 스테이킹 프로그램 출시
매틱 네트워크, 신규 스테이킹 프로그램 출시 블록체인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가(Matic Network)가 지난 29일 신규 스테이킹 프로그램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매틱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확장성 솔루션으로, 이더리움의 사이드체인과 플라즈마 프레임 워크를 활용하여 블록체인 확장성을 개선시키는데 앞장서고 있다.매틱은 지난 5월에 총 3단계로 구성된 메인넷을 출시한바 있으며 현재 2단계가 진행중이다.매틱 토큰(MATIC) 보유자는 매틱 메인넷의 검증자 노드에 토큰을 위임하여 일정 수익을 지급 받을 수 있다. 현재 매틱은 총 공급량 12%에 해당하는 12억 MATIC을 스테이킹 프로그램에 락업하고 있다. 유저는 네트워크 본딩률(스테이킹율)이 10%에 도달하기 전에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에 연이율 최대 100%까지 얻을 수 있다. 스테이킹 서비스는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자산을 지분증명(PoS) 기반으로 블록체인에서 쓰일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별도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다. 매틱 관계자는 “신규 스테이킹 프로그램 출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현재는 총 공급량의 12%에 해당하는 MATIC 스테이킹 프로그램을 지원하지만 1년 내로 70~8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
플랫타, 센터코인과 토큰 이코노미 위한 MOU 체결
플랫타, 센터코인과 토큰 이코노미 위한 MOU 체결플랫타(의장 최현섭)는 6월 29일(월) 실생활 결제 플랫폼 센터코인과 성공적인 가상자산(암호화폐) 컨설팅 및 토큰 이코노미를 위한 전략적 제휴(MOU)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센터코인 관계자는 "이번 제휴를 통해 센터코인은 플랫타 생태계에 참여하게 된다"며 "‘플랫타’는 온라인 인력매칭 플랫폼 기반의 ‘밋토큰’재단이 이끄는 다양한 리버스재단들의 공동체다. 지금까지 비엘재단, 블랍스, 업카 등의 리버스재단을 컨설팅 하고, 제휴 및 협업을 통해 올바른 블록체인 생태계의 면모를 갖춰나가고 있다"고 밝혔다.플랫타는 다가오는 7월 초 플랫타 익스체인지에 센터코인 상장을 앞두고서 토큰 이코노미 전략을 세우고, 센터코인은 플랫타의 리버스(Re-Birth) 컨설팅 프로젝트를 통해 센터코인 3.0으로 새롭게 태어날 예정이다. 향후 양사는 플랫타댑(dApp)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해나간다는 목표를 밝혔다. 센터코인 측에서는 “실생활과 결합되어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앞당기는 센터코인이 되어나가고자 한다”며 “플랫타댑에 입점하고, 타재단들과 협력하면서 실생활 밀착형 코인으로서의 면모를 제대로 갖춰나가겠다.”고 전했다. 플랫타 최현섭 의장은 “실생활 속에 그대로 파고드는 센터코인은 앞으로 플랫타댑과 목표를 공유하면서 가상자산 실생활 결제 플랫폼의 롤모델이 될 것이다.”며 “오랜시간 리버스 컨설팅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만큼 성공적인 상장이 기대된다” 고 전했다. 센터코인은 코인을 통한 실생활 결제와 이익 쉐어를 구현해 나가고자 한다. 우선, 온/오프라인 업체와 제휴를 맺고 음식점, 카페, 강좌, 숙소, 모바일 쿠폰 등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가맹점에서 센터코인을 통한 결제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고 설명했다.또한, ‘보상형 모빌리티 공유 서비스 하이킥’을 운영, 킥보드 이용에 따라 센터코인을 보상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해 부가 가치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가상자산 자동 현금 입출금기(ATM)기 시장에 발맞춰 전국 편의점 ATM기에서 가상자산 입출금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센터코인은 플랫타의 또 하나의 리버스재단이 되며, 다가오는 7월 플랫타 익스체인지에 가상자산 상장을 앞두고 있다,
-
[Xangle Briefing] 이더리움은 단순 자본조달 수단? “향후 IT인프라 대체할 수단, 역사가 증명할 것”
[Xangle Briefing] 이더리움은 단순 자본조달 수단? “향후 IT인프라 대체할 수단, 역사가 증명할 것”공시데이터 기반 블록체인 정보 포털 쟁글과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은 유튜브 방송 코인티비에서 “비트코인은 계산기라면, 이더리움은 컴퓨터”라며 “이더리움은 단순 트레이딩하는 코인이 아니라, 이더리움이라는 거대 생태계에 집을 짓고, 그 이용료로 이더리움 코인을 내는 혁신적인 IT 인프라”라고 주장했다. 이번 회차에는 토카막 네트워크를 개발 중인 온더의 창업자 정순형 대표 초대석으로 꾸며졌다.정 대표는 “비트코인은 가치를 전송하는 용도만 가능하다”며 “반면, 이더리움은 블록체인을 칼로 쓸 수도 있고, 드라이버로 쓸 수도 있게 만드는 맥가이버칼이다"고 말했다.그러면서 “이더리움은 향후 IT 인프라를 대체할 수단이 될 것”이라며 “이더리움 위에서 SNS를 올리고, 거래소를 만들고, De-fi와 같은 금융 인프라를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초창기 ICO 자본 조달 수단이기만 하느냐는 논란이 있었지만, 이더리움의 가치는 역사가 증명할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했다.이더리움 재단의 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구글 등에 오픈소스를 제공하는 리눅스 재단의 운영 형태를 보면, 구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며 “리눅스 재단의 엔지니어들은 프로젝트를 개선시키고, 여기에 혜택 받은 구글 등 대기업이 기부하는 자금으로 운영한다”고 설명했다.이더리움 재단은 리눅스 같은 기존 IT 오픈소스 재단과 달리 ICO로 직접 펀드레이징을 할 수 있는 재정 수단을 가진다. 정 대표는 “기존 재단들은 기부해주는 대기업 의존도가 높지만, 블록체인 업계 재단은 ICO 및 자체 코인의 가격 상승으로 재정을 꾸릴 수 있어 외부 의존도가 낮다”며 “이밖에 이더리움 위에 발행된 프로젝트가 많아질수록, 이더리움 자체 개선에 따른 혜택을 입은 기업들의 기부를 받아 운영도 가능하다”고 말했다.이번 회차에 출연한 정순형 온더 대표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사용성과 확장성을 지원하는 레이어2 솔루션 ‘토카막 네트워크’를 개발 중이다. 정 대표는 또 지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총 31회가 열린 ‘서울 이더리움 밋업’ 공동조직자이기도 하다. 더 자세한 내용은 코빗쟁글의 코인티비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비트코인 협회, 비트코인에스브이 BitcoinSV 기술 표준 위원회 발표
비트코인 협회, 비트코인에스브이 BitcoinSV 기술 표준 위원회 발표스위스 기반의 글로벌 산업 단체이자 비트코인 SV 사업을 추진 중인 비트코인 협회에서, 11명의 비트코인 SV 표준 위원회 설립과 그 명단을 오늘 발표했습니다. 위원회를 대표하는 주요 행보는 주요 기업들을 지원하고 세계 표준화를 진행하기 위해 비트코인 개발을 전문화할 수 있는 비트코인 SV 생태계 수립입니다. 기술 표준 위원회의 의장은 블록체인 리서치, 개발 및 자문 업체인 nChain의 최고 기술 책임자 스티브 셰더(Steve Shadder)가 맡았습니다. 셰더는 세계 최고의 비트코인 전문가 중 하나로 비트코인 SV 노드 소프트웨어와 기반 시설을 감독하는 비트코인 SV 노드 팀의 기술 책임자입니다. 나머지 10명의 위원들은 네 개의 대륙과 일곱 국가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 지갑, 채굴, 애플리케이션, 토큰 솔루션, 벤처 투자, 뱅킹을 포함한 다양한 비트코인 SV 생태계 분야를 대표합니다.스티브 셰더(의장)/(Steve Shadders) 직책:nChain 최고 기술 책임자()제임스 벨딩/(James BeldingJ) 직책:Tokenized 공동 창립자 & CEO()앵거스 브라운/(Angus Brown) 직책:Centbee공동 창립자 & CEO()라이언 X. 찰스/(Ryan X. Charles) 직책:Money Butteon 창립자 & CEO()알렉스 파우벨/(Alex Fauvel) 직책:Two Hop Ventures 무한책임사원()마수미 하마히라/(Masumi Hamahira) 직책:MUFG 은행(말레이시아) 이슬람 뱅킹 창구 수석 자문 위원()저스틴 라우에/(Justin Laue) 직책:Bitboss 수석 엔지니어 & 공동 창립자()제임스 맥클라우드/(James McCloud) 직책:The Hopper 최고 기술 책임자()앤드류 미/(Andrew Mee) 직책:nChain 솔루션 전략가()칼레브 트루사루/(Kalev Trusaalu) 직책:Domineum 최고 오퍼레이션 책임자()린 쩌밍/(Lin Zheming) 직책:Mempool and DotWallet 창립자 & CEO()기술 표준 위원회의 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다음의 표준화를 통해 상호 운영성을 강화하여 기술 우수성을 제고하고, 비트코인 SV 유용성을 증진한다:● 글로벌 표준 개발에 대한 산업 참여 유도● 기술 표준을 유지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 비트코인 협회 창립회장 지미 응우옌(Jimmy Nguyen)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저희 협회는 비트코인 산업을 전문화하고 있으며, 표준화 개발을 이끌고 있습니다. 기술의 역사는 사업체들 간의 상호 작용과 양립 가능성을 통한 산업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하여 기술 표준화에 대한 합의를 지향하는 것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증명했습니다. 마치 인터넷이 모든 것이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세상을 뒷받침할 수 있는 표준화 설정을 바탕으로 성장했던 것처럼, 기술 표준 위원회는 비트코인 SV이 모든 기업들과 온라인 활동이 연결되어 있는 전 세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습니다. 비트코인 SV 생태계는 매달 새로운 에디션을 선보이며 전 세계 400개 이상의 유명 비트코인 SV 프로젝트와 벤처 회사로 빠르게 성장해왔습니다. 개발자들과 기업들은 엄청난 규모의 비트코인 블록체인이 가진 가치와 방대한 거래를 가능케하는 용량 그리고 많은 우수한 애플리케이션들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빠른 성장을 지켜보던 중, 비트코인 협회는 2019년 9월, 기술 표준 위원회 활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이들에게 전 세계적으로 러브콜을 보냈습니다. 2020년 1월, 수많은 지원자 중 상위 후보자들이 영국 런던에서 5일간 진행되는 워크샵에 초대되었습니다. 워크샵에서 최종 위원회가 선정되었으며 운영 방식과 자원 조달에 관한 내용을 검토했습니다. 기술 표준 위원회의 의장 스티브 셰더는 다음과 같이 전했습니다:“기술 표준 협회를 이끄는 수장으로서 위원회 위원들과 함께 비트코인 SV의 세계 표준화를 위해 함께 일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전기 전자 학회(IEEE) 와 같은 단체들을 설립 모델로 삼아, 저희 위원회는 표준 절차를 만드는데 집중하고 특정 기술 워크샵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발한 툴셋을 제공할 것입니다.지속적으로 기술 표준을 추천하는 일은 다양한 기술 영영 곳곳에서 특정 작업 그룹에 의해 수행될 것입니다. 이는 더 폭넓은 비트코인 SV 생태계에서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 ▷ Blockchain Leaders 더보기
-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기념 온라인 컨퍼런스 스피커 주요발언]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를 운영하는 바이낸스가 오늘 3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차트를 넘어선 가상 컨퍼런스’에서 향후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Middle East & North Africa)로 확장하겠...
-
- [인터뷰+] 가브 네이션 CEO "비트킵, DESM 알고리즘으로 우수한 보안력 입증... 전세계적으로 모은 빅데이터로 거래…
- 블록체인 비트킵 월렛은 다중체인,다중코인의 탈중심화 라이트 지갑으로 알려진 독립적 DESM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합정동 디벙크 카페에서는 지난 13일 비트킵 월렛 밋업이 열렸다. 비트킵의 가빈 네이션(Gavin Nation) CEO와 인터뷰를 진행했다.Q1. 비트킵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비트킵은 대략적으로 6가지의 기능이 있습니다. 오..
-
- [인터뷰+] 블록체인 리쿠르팅 플랫폼 오프니티 CTO 로저리 "투명한 채용 경로와 인재 풀의 국가간 활발한 교류, 결…
- 글로벌 구직 커뮤니티 플랫폼 오프니티(Opennity)가 최근 한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과 전문 인력을 연결시키는 데 방점을 둔 오프니티 플랫폼의 핵심 비즈니스 취지는 블록체인생태계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의 전문 인력 구인 시장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취업을 돕고 , 채용 루트를 넓혀 인재확보..
-
- [인터뷰+] 바차라 아매밧 식스네트워크 대표, "블록체인이 디지털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 시프트 불러올 것”
- “프로젝트 ECHO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체제에 그림과 영상, 글,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불러올 것” "특히, 오늘 날 금융업계 외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된 사례가 많지 않은 만큼, 디지털 ...
-
- [인터뷰+] 이근배 삼성리서치 AI 센터장,"‘A’lgorithm(알고리즘), ‘B’ig Data(빅 데이터), 그리고 ’C’omputing power(컴…
-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화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저마다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고,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AI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놓인 AI는 IT 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은행, 병원 등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생활 전반을 바꿔 나가고 있다.삼성전자도 AI의 중요성을 빠르게 ...
-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각각 있었지만, 그 두 개를 합쳐 놓으면 경험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영화나 뉴스를 보고, 검색을 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경험이 큰 화면에서 새롭게 재탄생하는 것이죠. 이제 스마트폰도 ‘거거익선(巨巨益善)’.
-
- [인터뷰+] 온톨로지 사업개발총괄 키네스 "게임 외에도 킬러댑스 들 많아... 올해 안에 200개 댑스 소싱 목표"
- 체이너스가 퍼블릭체인 온톨로지와 블록체인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중인 가운데 지난 11일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서 '온톨로지X블록체인 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다.온톨로지는 분산 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된 신뢰를 기반으로 한 ...
-
- [인터뷰] Angelium CEO 리오 "크로스현실과 블록체인의 결합, 엔젤리움 프로젝트가 만들려는 세상은 머지않아 다가올…
- 엔젤리움프로젝트는 블록체인과 가상현실, 크로스현실등을 결합해 Asset tokenization 을 실현하려고 한다.일본 베이스의 프로젝트로, 가상현실을 통해 고객들에게 토큰 서비스 보상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고만화샵, 쇼핑몰 , 엔터테인먼트 등의 영역을 이용해 나라별 마켓 대중화도 실현하려고 하는 엔젤리움 프로젝트의 Rio Takeshi Kubo CEO와 인터.
-
- [인터뷰] SEN 마이크로 결제 플랫폼 CEO 리차드 "콘텐츠 시장의 새로운 룰 만들 것,,,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콘텐츠…
- "What we are looking to do is create a whole way to attach a very very small amount of value to any kind of information"콘텐츠 및 정보에 조그만 가치라도 부여할 것, Richard Northcott는 SEN 플랫폼의 CEO이다.SEN플랫폼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결제할 수 있는 디지털 통화 마이크로 결제 시스템 플랫폼을 구현하려고 한다.리차드 CEO는 엔푸(Enfour)의 설...
-
- [인터뷰] Platinum community growth 매니저 블라드 " 한국시장에서의 큐다오 스테이블 코인 마케팅 성공적, 앞으로도 큐…
- Platinum (플래티넘)은 토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사업 솔루션 업체이다.특히 자체적으로 나라별 스테이블 코인 발행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현재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Q를 발행했고 몇개 거래소에 상장을 마쳤다.한국에 작년부터 마케팅 매니저를 파견해 한국시장에 눈독들이고 있는 플래티넘의 신성 커뮤니티 Growth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