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금융) 나형준 디베이 공동대표,“진정한 탈 중앙화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본질은 낮은 문턱에 있다”
나형준 디베이 공동대표,“진정한 탈 중앙화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본질은 낮은 문턱에 있다”- 지난 27일 해운대 벡스코서 열린 ‘부산 블록체인 컨퍼런스 2019’에서 디베이 나형준 공동대표 발표- 타사 유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매형 서비스와 달리 담보형 서비스로 제공돼 은행 예금처럼 안정적인 자산관리 가능암호화폐 자산관리 플랫폼 디베이 (DeBay)의 나형준 공동대표가 지난 27일 ‘부산 블록체인 컨퍼런스 2019’에서 안정적인 암호화폐 자산관리는 단순히 높은 수익률을 내는 것보다도 원금의 손실을 막고 보다 안정적인 서비스로 매력적인 수익을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발표했다. 비트코인 해시파워를 기반으로 한 분산화 지불 시스템인 BHP (Blockchain of Hash Power) 퍼블릭체인이 DeFi (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를 실현하고자 출시한 암호화폐 기반의 자산관리 서비스 플랫폼인 디베이가 바로 그것이다. 디베이는 예금의 낮은 금리, 주식투자의 높은 리스크, 전통 자산관리 서비스의 높은 문턱 등 기존 금융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누구나 손쉽게 안전하고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마이닝 투자 서비스와 BHP 코인 담보형 비트코인 배당 서비스, BTC 담보형 PCX 마이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부산 블록체인 컨퍼런스 2019’에서 연사로 나선 나형준 공동대표는 “디베이를 통해 ‘암호화폐에 투자를 하는 것은 무조건적 투기’라는 인식이 사라졌으면 좋겠다” 라며 “블록체인, 금융, IT 등 다방면의 전문가들이 모여 보다 안정적이고 매력적인 수익률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디베이 플랫폼에 대해 설명했다.덧붙여 “디베이의 모든 서비스는 은행 예금처럼 담보 기반이며 서비스 만기 시 수익과 함께 예치해 두었던 금액 또는 암호화폐를 돌려받을 수 있다” 고 타 유사 서비스와의 차이점을 강조했다. “암호화폐 자산관리의 가장 큰 장벽은 예측할 수 없는 암호화폐 시세에 있는데 디베이는 글로벌 탑 비트코인 마이닝 풀을 기반으로 이를 보완하고 있다” 고 담보형 서비스가 가능한 이유를 뒷받침했다. 아울러, 진정한 탈 중앙화 금융서비스, 즉 De-Fi의 본질은 낮은 문턱에 있다는 것이 나 대표의 생각이다. “탈 중앙화된 금융서비스라고 해서 반드시 100% 탈 중앙화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하며 되어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며 “100% 탈 중앙화된 금융서비스는 금융의 본질을 흐릴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이고, 보다 많은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이와 같은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 소신을 밝혔다. 한편, 디베이는 연말 내로 국내 거래소와 협업하여 문턱을 더욱 낮추고 접근성을 높이고 유럽 등의 해외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산업+](금융) 美 재무부 비은행 자금사업자 지위 획득한 체인파트너스..다음 계획은?
[산업+](금융) 美 재무부 비은행 자금사업자 지위 획득한 체인파트너스..다음 계획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취급 전제로 미 은행법상 비은행 자금사업자 등록 완료- 뉴욕 시그니처은행 계좌 이용해 12월부터 미 달러 기반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 개시- 현재 한국에서 운영중인 가상자산 장외거래(OTC) 서비스 내년부터 전세계로 확대 예정블록체인 핀테크 전문업체 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28일 자사의 미국지사가 미 재무부 산하 금융범죄단속국(FinCEN, 이하 ‘핀센')에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취급을 신고하고 비은행 자금사업자(MSB, Money Service Business) 지위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내 블록체인 기업으로는 처음이다.케네스 블랑코(Kenneth Blanco) 핀센 국장은 지난 15일 열린 체인애널리시스 블록체인 심포지엄 발표에서 “미 국민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가상자산 사업자는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모두 비은행 자금사업자로 등록해야 한다"며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한 가상자산은 모두 송금 수단으로 핀센의 규제 범위 안에 있다”고 밝힌 바 있다.체인파트너스는 이로써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의 장외거래 서비스를 국내외 기업들에 제공할 때 미국 은행 계좌를 이용해 합법적으로 미 달러로 거래할 수 있게 됐다. 체인파트너스는 내달부터 국내외 기업들을 대상으로 미 달러 기반 가상자산 장외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현재 체인파트너스는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등 가산자산의 원화 기반 장외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체인파트너스는 미 달러 기반의 합법적인 가상자산 장외거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2년간 준비해 왔다. 가상자산 거래를 위한 미 달러 입출금은 2019년 3분기 기준 자산 58조원 규모의 뉴욕 시그니처은행과 협력하고 거래 고객에 대한 신원확인(KYC)과 자금세탁방지(AML), 테러자금조달방지(CFT) 규제 준수는 전세계 대부분의 시중은행들과 동일한 다우존스(Dow Jones), 레피니티브(Refinitive, 舊 Thompson Reuters) 솔루션을 사용한다.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이번 비은행 자금사업자 등록에 대해 “각국의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며 가장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가상자산을 취급하는 것이 체인파트너스의 일관된 목표"라며 “EU 가입국 몰타 정부 최상위 가상자산 취급 인가 획득,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자산 취급 인가 획득에 이어 미국에서도 합법적인 가상자산 취급을 시작할 수 있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혀다.체인파트너스는 지난 2018년 8월 한국에서 처음 운영을 시작한 KYC/AML 규제를 준수하는 기관 전용 가상자산 장외거래(OTC) 서비스를 내년부터 전세계로 확대하고 아직 기술 발전이 더딘 장외거래 시장을 혁신할 신규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
[산업+](핀테크) 신한은행이 블록체인 활용한 시범사업은?..블록체인 키 관리 서비스 태양광 발전소 시범적용
[산업+](핀테크) 신한은행이 블록체인 활용한 시범사업은?..블록체인 키 관리 서비스 태양광 발전소 시범적용- ‘개인 키 관리 시스템’ 적용으로 블록체인 거래 서명 시 해킹 및 분실사고 방지신한은행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 헥슬란트와 함께 공동 개발한 ‘개인 키 관리 시스템(PKMS, Private Key Management System)’을 태양광 발전 분야에 시범 적용했다고 2일 밝혔다.3사는 공동 개발한 시스템을 재생에너지데이터 통합 플랫폼 업체인 레디(REDi)의 거래 플랫폼에 적용하여 태양광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전력 정보를 검증하고 블록체인에 기록하여 실시간으로 전력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이번에 개발한 ‘개인키 관리 시스템(PKMS)’을 적용하면 블록체인에 거래 서명 시 사용되는 개인 키(Private Key)에 대한 해킹 및 분실 사고를 방지하고, 유사시 키를 안전하게 복구할 수 있다.신한은행은 이번 ‘개인키 관리 시스템(PKMS)’의 시범 적용 결과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추가 사업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공동 개발사인 헥슬란트는 금융위 규제 샌드박스에 블록체인 핀테크 사업으로 신청할 예정이다.신한은행 관계자는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신뢰성 높은 은행이 솔루션을 구축하여 다른 산업에 적용하는 새로운 B2B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해당 사업을 정식으로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
[산업+](핀테크) 간편결제 차이(CHAI), 국제정보보호인증 ‘ISO 27001’ 획득
[산업+](핀테크) 간편결제 차이(CHAI), 국제정보보호인증 ‘ISO 27001’ 획득- 엄격한 심사 통해 글로벌 보안관리체계 구축- 국내외 파트너사와의 신뢰 제고간편결제 서비스 차이(CHAI)가 글로벌 보안관리체계 구축과 관련된 국제표준 정보보호인증 ‘ISO 27001’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ISO 27001은 정보보호 관리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표준 인증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정보보호 경영시스템 국제 인증으로 정보보호 정책, 물리적 보안, 접근통제, 법적 준거성 등 14개 영역 114개 세부 통제 항목에 대한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차이는 강화된 보안정책, 안정적인 정보보호 시스템 등 파트너사의 요구사항과 평가 항목이 가장 유사한 국제표준 ISO 27001을 획득함으로써 국내외 파트너사의 신뢰를 한 층 높이게 됐다. 한창준 차이코퍼레이션 대표는 “ISO 27001 인증 획득은 차이가 글로벌 수준의 정보보호 경영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고객 정보보호와 신뢰를 최우선으로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이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중간 결제 단계를 줄여 가맹점에게는 결제 수수료 인하, 온오프라인 사용자에게는 상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출시 4개월 만에 가입자 수 50만명, 누적 거래액 630억원을 돌파하며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서 자리매김했다.▲ 테라 ‘디파이’ 본격화… DXM ‘트리니토’에서 스테이블코인 테라 예치 대차 가능-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박차… 블록체인 기술로 모든 거래의 투명성 보장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는 두나무 자회사 디엑스엠(DXM)의 블록체인 보상지갑 '트리니토(Trinito)'가 스테이블코인 테라 KRT 예금 및 대차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트리니토는 한국 원화(KRW)에 1:1로 가치가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테라 KRT의 예치와 대차 기능을 지원한다. 예금 시 이자는 매 시간마다 개인지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출금은 언제든지 가능하다.트리니토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암호화폐 자산 예치·대차가 가능한 블록체인 개인지갑 서비스다. 트리니토는 오르빗 체인(Orbit Chain)을 바탕으로 모든 거래가 투명하게 이뤄지며 지갑 자산은 100% 사용자 권한으로만 통제된다. 한편, 탈중앙화된 금융을 뜻하는 디파이(De-Fi∙Decentralized Finance)는 송금, 결제, 대출 등 기존 금융 산업의 전유물이던 금융 서비스를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통해 제공한다. 디파이를 통해 수수료 절감 혜택을 제공하고, 전통 금융 시장이 선보이기 어려운 새로운 서비스도 구현할 수 있다.신현성 테라 공동대표는 “테라는 기존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을 제거해 디파이 서비스와 같은 차세대 금융 활동에 사용하기 적합하다”며 “트리니토와 파트너십을 통해 테라의 사용처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테라 KRT는 현재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와 지닥(GDAC)에서 만나볼 수 있다. 트리니토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
-
[산업+](금융) 블루웨일, 글로벌 투자 증권사 승인으로 국경없는 금융시장 ‘퀀텀 점프’
[산업+](금융) 블루웨일, 글로벌 투자 증권사 승인으로 국경없는 금융시장 ‘퀀텀 점프’블루웨일이 블록체인 융합 기술을 활용한 프롭테크 3.0 사업 모델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싱가포르 통화청(MAS, Monetary Authority of Singapore)으로부터 일반 증권 및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고 판매할 수 있는 라이센스에 대한 승인(In-principle Approval)을 취득했다. 블루웨일은 이를 통해 부동산 유동화 증권 플랫폼인 셰어러블 에셋(Shareable Asset)을 2020년 1분기에 런칭하고, 이어 증권형 토큰 거래소를 2020년 내에 런칭할 예정이다.이번 라이선스 승인을 통해 국내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중 최초로 합법적으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할 수 있게 됐다. 국내에서는 카사 코리아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부동산 수익증권 유통플랫폼’ 서비스가 있으나, 셰어러블 에셋은 자산 유동화를 통해 수익증권뿐 아니라 대출 및 주식에 기반한 상품까지 판매 가능하여 플랫폼 및 생태계 확장성 측면에서 큰 파급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에 블루웨일은 글로벌 규제에 맞추어 미화 및 싱가포르 달러에 기반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고 판매하는 글로벌 투자증권사 조직으로서 향후 블록체인 융합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중심의 핀테크를 이끌어 나가는 디지털 은행이자 부티크 투자은행(IB) 사업을 가속화할 전망이다.특히 셰어러블 에셋은 국내를 넘어 글로벌 단위의 디지털 금융 선점 및 핀테크 생태계 확장 측면에서 상당한 규모와 파급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셰어러블 에셋 플랫폼을 활용하면 글로벌 핀테크 허브인 싱가포르를 거점으로 국경 없는 금융시장에서 금융, 현물, 디지털 등 모든 형태의 자산을 증권화하여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자산에 대한 소유 및 사용수익 등에 대한 법적 권리를 공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게 된다. 블루웨일은 이를 기폭제로, 싱가포르뿐 아니라, 일본, 홍콩 등 범 아시아 국가에서 부동산 유동화 증권 플랫폼 부문의 선두 지위를 점유할 수 있을 것으로 큰 기대를 모은다.또한 셰어러블 에셋은 수수료, 수익성 및 안전성 등 플랫폼내 자산의 품질, 투자자 접근성 및 정보 투명성과 같은 영역에서 높은 경쟁우위를 점한다.먼저, 셰어러블 에셋의 수수료는 1-2% 수준이다. 셰어러블 에셋은 전세계에 있는 고수익 안전 자산 매물에 대한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면서도 수수료는 1-2%에 불과해, 글로벌 투자자들은 낮은 수수료를 통해 높아진 배당수익률을 누릴 수 있다. 블루웨일이 승인받은 라이선스는 기관이나 적격 투자자뿐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의 참여까지 가능하여, 일반 투자자의 투자 참여에 제한을 두는 1Exchange나 iStox의 라이선스와는 확연히 구분된다. 셰어러블 에셋은 블록체인 기술의 투명성을 활용해 부동산 등 자산을 작은 단위로 분할해 누구나 쉽게 자산의 공동 소유자가 되도록 하는 플랫폼이므로 본질적으로 자산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는 접근성이 중요한데, 이번 라이선스 승인으로 수요-공급 양쪽 측면에서 모두 글로벌 자산 거래의 효율을 높이고 융합 기술의 이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셰어러블 에셋은 소액투자자로도 부동산 상품에 투자할 수 있다는 점에서 리츠와 공통점이 있으나, 개별 상품의 수익률을 투자자가 직접 선별 및 관리할 수 없는 리츠의 구조와 다르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단일 매물에 대한 투자 상세 정보를 제공하여, 투자자들은 상품에 대해 정확한 정보 획득을 거쳐 투자 리스크를 관리 가능하다. 블루웨일은 셰어러블 에셋 관련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및 파트너십 관련 제반 준비도 마쳤다. 현재, 약 1,200억원 가치의 싱가포르 호텔과 셰어러블 에셋을 통한 부동산 유동화에 합의했으며, 이는 시스템 테스트 및 최적화를 마치는 즉시 런칭할 S.A에 매물로 올라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싱가포르에 위치한 약 20억원 가치의 상업 공간과도 현재 계약을 논의 중이다. 블루웨일은 싱가포르에 위치한 부동산 평가 업체인 콜리어 인터네셔널(Collier international) 및 신탁업체 선정•제휴 기관인 비스트라(VISTRA)와 협업을 진행중이며, 등록된 자산의 객관적 감정 평가 및 등록된 자산 관리와 수익 배분 관련 향후 협업 예정이다.한편, 국내에서 블루웨일은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블록체인 허브도시로 도약하는데 적극 협력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현재 송도를 포함한 경제자유구역내의 공실과 토지를 활용함을 중점으로하는 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 람다256, 한 해 마무리 짓는 ‘2019 블록체인 서비스 데이’ 개최서울창업허브와 공동 주최... 11월 25일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서 개최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플랫폼을 개발, 운영하고 있는 람다256(대표 박재현)이 서울창업허브와 함께 25일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2019 블록체인 서비스 데이'를 개최한다.람다256은 2019년을 마무리하며 블록체인 업계 내외의 참석자들과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기획 및 운영에서 한 해 산업 현장의 생생한 경험과 노하우를 전달하는 네트워킹 행사를 마련했다.이 날 행사에서는 첫번째 세션에서 블록체인 서비스의 2019년 산업 동향과 내년도 블록체인 산업의 전망을 나눌 예정이다. 이어지는 세션에서는 마케팅, 여행·여가, SNS, O2O, 투자, 디자인의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을 도입한 성공 및 실패 사례를 공유하여 블록체인 도입을 희망하는 업체들에게 노하우를 공유하는 세션을 구성했다. 발표 세션과 별도로 마련된 미니 부스 구역에서는 실생활에 접목된 블록체인 서비스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다.블록체인 산업 저변 확대를 위해 블록체인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업체를 대상으로 마케팅, 법률, 기술 컨설팅 분야에 무료 상담 부스도 운영한다. 람다256과 서울창업허브는 이번 행사를 통해 블록체인 서비스사들의 유의미한 네트워크 만들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의 적절한 사용과 실생활 도입을 위한 방법들을 공유하고자 한다.‘2019 블록체인 서비스 데이’ 행사는 블록체인을 도입한 서비스를 만들고자하는 기업 또는 DApp 개발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블록체인에 관심 있는 일반인도 참여 가능하며 행사 등록 및 상담 예약은 온오프믹스 사이트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산업+](핀테크) 테라 블록체인 기술로 결제 수수료 인하 효과.. 에이블씨엔씨 온라인몰 ‘뷰티넷’으로 서비스 나와
간편결제 ‘차이(CHAI)’ 에이블씨엔씨 온라인몰 ‘뷰티넷’으로 서비스 확대 - 미샤, 어퓨 등 제품 구매 시 최대 15% 할인 혜택 상시 제공- 테라 블록체인 기술로 결제 수수료 인하 효과도간편결제 서비스 차이(CHAI)가 에이블씨엔씨 온라인 쇼핑몰 ‘뷰티넷’에 도입됐다. 뷰티넷은 에이블씨엔씨의 화장품 브랜드 미샤와 어퓨, 눙크의 공식 온라인몰이다. 뷰티넷 이용자는 차이로 결제 시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고, 뷰티넷은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차이 결제 서비스로 결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차이는 뷰티넷에서 차이로 결제하는 모든 유저들에게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 금액 구간별로 최대 1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1일 3회 제한). 3만원 이상 결제하면 4500원을, 5만원 이상 결제하면 7500원을 즉시 할인받는 방식이다. 이 같은 혜택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국내 뷰티 소비자의 쇼핑 부담을 덜어줘 큰 호응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뷰티넷 론칭 기념으로 1만원 이상 결제 시 최초 1회에 한해 5천원을 즉시 할인해주는 이벤트도 11월 한달 간 진행한다. 단, 이벤트는 15% 할인 혜택과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김선민 에이블씨엔씨 온라인본부장은 "뷰티넷의 차이 도입으로 결제 수수료를 절감하면서도 소비자에게 할인 혜택을 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게 됐다"며 "향후에도 국내외 다양한 선도업체와 제휴를 통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는 등 고객 편의 증대를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창준 차이코퍼레이션 대표는 “국내 대표 화장품 브랜드 미샤의 온라인 뷰티 포털 뷰티넷에 차이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돼 기쁘다”며 “더 많은 사용자가 안전한 거래 환경에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차이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6월 출시된 이후 4개월 만에 50만 유저를 확보하며 경쟁이 치열한 간편결제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전국 1만3500여 CU 편의점에서 차이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가 적용될 예정이다. 테라(Terra)는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한국의 티몬과 배달의민족, 동남아 최대 중고거래 사이트 캐러셀 (Carousell), 베트남의 티키(TIKI) 등 아시아 25개 대형 업체들과 테라 얼라이언스를 만들었으며, 이들과 차이가 빠르게 연동되어 블록체인 기술의 대규모 상용화가 실현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테라의 마이닝 토큰 루나(LUNA)는 국내 거래소 코인원, GDAC, GOPAX, 그리고 글로벌 거래소 비트루(Bitrue), 비트렉스(Bittrex), 쿠코인(KuCoin) 등에 상장되어 있다.기프팅부터 게임까지, 진화하는 보상형 소셜 플랫폼 피블(PIBBLE)-베타 오픈 이후 참여형 소셜로 사용자 확보-피블의 선물’ 기프팅 출시하여 앱 내 보상 포인트 순환 생태계 제공-스크래치 복권, 온라인 룰렛과 같은 게임으로 재미도 보장블록체인판 인스타그램 피블(대표 이보람)은 오는 11월8일부터 전국 5만여개 매장에서 피블코인으로 시중 유명 브랜드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프팅서비스인 ‘피블의선물’을 오픈한다고 발표했다.이번 기프팅 서비스의 개시로, 사용자들은 그간 피블앱에 사진 등을 올리면서 보상 받아온 피블코인을 스타벅스를 비롯한 유명 카페, 음식점, 편의점 등 전국 5만여 개 매장에서 45개 브랜드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그간 보상을 내걸었던 대부분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코인보상이후 활용성이 부족하다는 한계에 부딪혀왔는데, 피블의 이번 서비스 개시로, 피블앱 이용자들은 보상받은 코인을 실생활에 사용하는 순환 생태계를 갖게 되었다.또한 피블의 선물 서비스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상품 구매뿐만 아니라, 스크래치 및 룰렛 등의 보상형 게임을 동시에 선보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피블 관계자는 이에 대해 “사용자들은 이미 단순히 일상을 공유하는 기존 소셜을 넘어 보상, 쇼핑, 재미 등을 연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소셜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피블은 블록체인지갑 및 보상을 필두로 레벨업등의 RPG게임, 인기 게시물 토너먼트, 즉석 게임, 기프팅을 통한 상품 구매 등 통합 소셜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는 가장 대중적인 블록체인프로젝트라고 강조하였다.
-
[산업+](분산ID)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본격 출범...블록체인 강국 중 하나로 나아가야
[산업+](분산ID)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본격 출범...블록체인 강국 중 하나로 나아가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ID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체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MyID Alliance)’가 5일 본격 출범했다.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는 마이아이디 플랫폼을 중심으로 자기주권형 디지털 ID 생태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기존 시장의 문제와 사용자들의 불편함을 실질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민간 협력체이다.마이아이디는 국내 대표 블록체인 전문 기업 아이콘루프(ICONLOOP, 대표 김종협)의 독자적 분산 ID(DID, Decentralized ID) 기술로 구현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증명 플랫폼으로, 지난 6월 금융위원회의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되며 금융 분야의 신뢰 구축을 위한 규제적 발판을 마련했다. 이로써 마이아이디는 금융 업무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신원증명 플랫폼이자, 이를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다수 파트너들과의 협업 및 기술적 우위를 더해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의 시작을 알리는 행사로,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파트너스데이(MyID Alliance Partners Day)’가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아이콘루프 라운지에서 금일 개최됐다. 본 행사에는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는 파트너 기관 및 기업 관계자를 비롯해 민관 협력 추진 지원, 규제 환경 개선에 대한 방향 제언 등 얼라이언스의 향후 활동 자문에 중점적인 역할을 할 자문위원회 또한 함께 자리했다.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자문위원장은 이헌재 재단법인 여시재 이사장(전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며, 신제윤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전 금융위원회 위원장, 장관급), 이군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및 경영전문대학원 교수, 이종구 김·장 법률사무소 선임미국변호사(현 한국블록체인협회 자율규제위원장), 임정욱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 등이 자문위원을 맡았다.이헌재 자문위원장의 축사로 시작된 본 행사는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소개, 얼라이언스에 합류한 파트너 관계자들의 발표 순으로 이어졌다. 파트너 발표를 진행한 장현기 신한은행 디지털R&D센터 본부장, 신대호 포스코 벤처기획그룹장, 톰 화이트(Thom White) YOTI 미래기술사업본부 팀장(Future Technologies Team Lead), 김종윤 야놀자 부문 대표,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마이아이디를 통한 비즈니스 협업, 얼라이언스 활동 등에 대한 기대와 포부를 밝혔다.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에는 현재 총 38개 기관 및 기업이 합류한 상태다. 신한은행, 삼성증권, KB증권, 미래에셋대우증권, 한화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이베스트증권, 하이투자증권, 유안타증권, DB증권, 부산은행, 금융투자협회, 삼성화재, 교보생명, DB손보, KB생명보험, BNK캐피탈 등 금융권 파트너는 물론 포스코, STX, 야놀자, 카페24, 버즈니(홈쇼핑모아), 한국생산성본부, 굿네이버스, 블록체인경영협회, 서강대학교, 아이콘루프, 모두싸인, 한국NFC, 트리플, 카플랫, 더봄에스, 플랜잇, 콩테크(KongTech),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KorDA), 아이서티, YOTI, 김·장 법률사무소 등 다양한 분야의 비금융권 및 NGO, 글로벌 파트너 또한 다수 참여 중이다. 이미 금융 분야에서 검증된 기술력과 신뢰를 바탕으로 국내외 어떤 분야에든 빠르게 적용 및 확산, 다채로운 실사례를 구축할 수 있는 준비를 마친 셈이다.이헌재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자문위원장은 “대항해 시대 이후 세계가 변할 때마다 대한민국은 항상 한 걸음씩 뒤처졌고, 그로 인한 수백 년의 격차로 말미암아 국가와 국민 모두가 어려움을 겪었다. 전 세계 블록체인 강국 중 하나로서 이제는 우리도 한 걸음 앞서야 할 때”라고 강조하며, “마이아이디와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ID 플랫폼은 기존의 시스템을 재해석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디지털경제사회를 준비하는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관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덧붙였다.한편 마이아이디 대고객 서비스는 내년 1분기 출시 예정이며,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는 범금융권을 시작으로 향후 핀테크, 이커머스, 공유경제, 교육 등 타 업권으로까지 협력 관계를 빠르게 확장,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신분증 활용의 선구적 사례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
[산업+](컨퍼런스) 스페인 최대은행 BBVA, 2019 테크핀 아시아 찾는다...아시아 최초의 테크핀 컨퍼런스, 12월 5-6일, 킨텍스 개최
[산업+](컨퍼런스) 스페인 최대은행 BBVA, 2019 테크핀 아시아 찾는다...아시아 최초의 테크핀 컨퍼런스, 12월 5-6일, 킨텍스 개최1857년 스페인의 빌바오라는 도시에서 설립된 스페인의 대표적인 금융기관 BBVA는 현재 전 세계에 8,000개 사무실과 13만명 이상의 임직원을 거느린 스페인 최대은행 중 하나다. BBVA는 세계 최대 금융기관 중 하나이지만, “21세기 디지털 은행(The digital bank of the 21st century)”라는 표어를 내걸고, 세계 그 어떤 금융기관보다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신 기술을 포용하고, 관련 스타트업 투자, 육성에 관심이 많다. 실제로 BBVA의 카를로스 토레스 빌라 회장은 “2018년 디지털 고객 비중이 50%를 넘은 것은 매우 기념비적인 일이다”라고 밝히면서 디지털 혁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오는 12월 5-6일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19 테크핀 아시아 컨퍼런스에 스페인 최대은행 BBVA의 초기 스타트업 투자 담당자인 로한 한다(Rohan Handa)가 ‘스페인 최대은행 BBVA의 벤처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 예정이며, 대형 금융기관이 핀테크 스타트업과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우리나라는 10월 30일에 시범 도입, 12월부터 전면 시행되는 ”오픈 뱅킹“이 화제다. 모든 은행의 조회, 이체 등 핵심 금융기능을 앱 하나로 가능하게 하는 게 골자다. 가장 보수적이라 여겨졌던 금융 산업에서도 상호 협력이 필수가 되었으며, 테크핀(혹은 핀테크) 스타트업의 기술이 기존 플레이어들의 영역을 넘보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국내에서는 신한금융그룹 심규대 팀장이 2019 테크핀 아시아 컨퍼런스 주요 연사로 확정되었으며, ”오픈뱅킹 시대에서 성공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국내 1호 인터넷 은행 케이뱅크의 오수진 차장 역시 ”모바일 페이먼츠의 미래“라는 주제로 뱅킹 분야 혁신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한편, 미국 최대 할인매장 월마트(Walmart)의 전사전략 담당자 제이슨 텅(Jason Tung) 선임 디렉터 역시 주요 연사진으로 이름을 올렸다. 그는 ”월마트의 21세기 디지털 이노베이션 전략“이라는 주제로 세계 주요 대형 유통기업에서 느끼는 변화의 속도와 디지털 혁신을 위한 신 기술 활용사례를 공유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최대 생명보험사 메트 라이프(MetLife)의 니코 에거트 디렉터는 ”라이프 인슈어런스 혁명“라는 제목으로, 세계 최대 블록체인 연합체 R3의 톰 메너 디렉터는 ”엔터프라이즈급 디지털 자산플랫폼 구축“이라는 주제로, 동남아시아 최대 차량공유기업 그랩(Grab)의 세바스찬 로어비그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 무엇이 다를까“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미국 IBM에서는 분야별 전문가 3명을 주요 연사로 확정했다. ’퀀텀 컴퓨팅‘ 분야의 권위자인 브라이언 에클레스(Brian Eccles) 애널리스트, ’블록체인‘ 전문가인 박세열 상무 그리고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개발자인 타넛 칸와이(Tanut Karnwai)가 핵심 연사로 참여한다.주요 스폰서로는 국내 최대 블록체인 빌더인 체인 파트너스가 다이아몬드 스폰서로 확정됐다. 그리고 국내 블록체인 선구자 박창기 대표가 이끄는 팍스데이터테크(컬러플랫폼)가 실버 스폰서로, 차세대 뷰티컨테스트 플랫폼을 선보인 넥스트러스트(KBTC)가 브론즈 스폰서로 확정됐다.이 외에도 비트코인 코어 개발자로 유명한 지미 송(Jimmy Song), 중국 최초의 비트코인 거래소(BTCC) 창업자 바비 리(Bobby Lee) 등 블록체인 분야 최정상급 연사 역시 테크핀 아시아 주요 연사로 이름을 올려 그 기대감이 어느 때보다 뜨겁다는 평이다.행사 주최자는, “주요 핀테크,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참여할 수 있는 가성비가 우수한 쇼케이스 프로그램(전시부스, 발표 포함)도 운영하고 있는만큼, 유망 기업 관계자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산업+](월렛)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 자산을 관리 가능해져...펀디엑스, 자사 지갑 앱 엑스월렛에 마이이더월렛 통합
[산업+](월렛)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 자산을 관리 가능해져...펀디엑스, 자사 지갑 앱 엑스월렛에 마이이더월렛 통합블록체인 솔루션 개발사 펀디엑스는 자사 지갑 엑스월렛 내 이더리움 월렛 인터페이스인 마이이더월렛을 통합하여 각 개인의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이더리움 블록체인 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했다. 펀디엑스 잭 체아 대표는 “블록체인 산업의 선구자인 마이이더월렛과 제휴를 통해 마이이더월렛을 탑재한 엑스월렛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발전된 앱을 경험하게 됐다"고 말했다.마이이더월렛과의 통합은 엑스월렛 사용자에게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모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기기에 하드웨어 지갑의 이점을 제공하는 MEWconnect의 기술을 통해 엑스월렛 사용자들은 이제 이더리움과 토큰을 이더리움 주소에 저장할 수 있게 되어 저축 계좌로 이용할 수 있다.마이이더월렛 코살라 헤마찬드라 대표는 "마이이더월렛은 안전한 지갑 솔루션으로 암호화폐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마이이더월렛은 펀디엑스와 함께 엑스월렛 사용자들이 암호화폐 자산을 저장하고 이동할 수 있는 안전한 공간을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이러한 통합은 엑스월렛을 가진 사람들에게 개인 키를 소유할 수 있는 옵션으로 암호화폐 자산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안전하게 키를 앱에 보관하면서 댑, 탈중앙화 금융(DeFi) 툴, 토큰 스왑, 대체불가토큰(NFT) 및 이더리움 네임서비스(ENS) 관리를 탐색할 수 있는 마이이더월렛의 웹 인터페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수백만 명의 마이이더월렛 사용자들은 자신의 엑스월렛에 토큰을 전송하여 전 세계 30개 국의 펀디엑스 가맹점에 서비스와 상품에 대해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엑스월렛은 펀디엑스의 NPXS 토큰을 연동된 마이이더월렛에 보유하고 있는 KYC 승인 사용자에게 2020년 3월까지 f(x) 토큰을 보유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
[산업+](오픈이코노미)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pen Application Network, The OAN)’ 출시
[산업+](오픈이코노미)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pen Application Network, The OAN)’ 출시캐나다의 ‘3세대 블록체인’ 개발 기업 아이온 네트워크(Aion Network)’가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The Open Application Network, The OAN)’란 새로운 브랜드명을 4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아이온 네트워크는 “기존 플랫폼 기반 비즈니스가 맞닥뜨린 주요 이슈를 해결하는데 주력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바이낸스 등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된 아이온 토큰은 오픈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의 디지털 자산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오픈 앱 네트워크(The OAN)는 기존의 플랫폼 기업이 △유저 데이터 및 컴플라이언스, 결제 방식을 일방적으로 결정, 변경 △새로운 사업 방식이나 혁신을 제약 △의도하든 안하든 사업자들을 퇴출 가능 △보안 및 프라이버시의 상당 부분을 통제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이에 도전장을 내민 것이다. 메트 스포크(Matt Spoke) 오픈 앱 네트워크(The OAN) 공동 창립자 겸 CEO는 “현재 플랫폼 생태계는 비즈니스에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며 “앞으로 비즈니스 성공 사례는 과거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오히려 개방되어 사용자를 최대 이익으로 두고 설계될 것”이라 설명했다. 오픈 앱 네트워크는 리브랜딩의 일환으로, 개발 핵심 인력을 오픈 키트(Open Kits)로 불리는 라이브러리 구축에 이동시켰다. 오픈 키트를 통해 개발자들은 오픈 앱(Open Apps)을 더욱 쉽게 개발할 수 있다. 오픈 앱은 사용자에게 통제권을 돌려주고 플랫폼을 넘어 누구나 접근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오픈 앱 네트워크는 “오픈 앱을 사용하면 개발자들은 우버나 트위치와 같은 기존의 플랫폼과 쉽게 연결하여 새로운 혁신 경험을 창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픈 앱 네트워크 팀은 첫 번째 오픈 키트로서 ‘오픈 이코노미(Open Economy)’ 개발에 착수했다. 오픈 이코노미를 통해 개발자는 마이크로 경제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앱에 통합할 수 있다. 다양한 플랫폼 안팎에서 사용 가능한 보상 또는 기타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바로 개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메트 대표는 “우리는 기업과 개인들에게 플랫폼으로부터 혜택을 받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진정한 플랫폼 경제의 미래라고 믿는다”며 “오픈 앱과 오픈 네트워크를 통해서 그들의 역량을 확장하고 사용자들과 제품을 개발해 나가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 포부를 밝혔다. 오픈 이코노미(Open Economy)는 오픈 앱 네트워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오늘부터 이용 가능하며, API는 2019년 하반기에 대중에게 공개된다. 추가적으로 오픈 거버넌스, 오픈 아이덴티티, 오픈 펀딩과 같은 오픈 키트(Open Kits) API는 2020년 출시 예정이다. 한편 오픈 앱 네트워크(The OAN)는 캐나다 기반 아이온 재단(Aion Foundation)이 오픈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개발한 퍼블릭 인프라다. 사용자에게 통제권을 돌려주고, 플랫폼을 넘어 누구나 접근 가능한 프로그램인 오픈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하는 모두가 주권을 갖는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산업+](핀테크) 뉴링크-루넷, 호텔예약 및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공동개발 MOU
[산업+](핀테크) 뉴링크-루넷, 호텔예약 및 블록체인 결제 플랫폼 공동개발 MOU- 양사 사업 부분의 시장 개척 및 확대 위해 상호 협력- 암호화폐 결제 사용처 확대 통해 생태계 확장 꾀해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캐셔레스트를 운영하고 있는 뉴링크(대표 박원준)는 호텔 PMS 솔루션 전문기업 루넷(대표 박기현)과 캡페이(CAPay)를 이용한 결제 솔루션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루넷은 국내 최초 클라우드형 숙박운영시스템을 구축하고 예약, 정산, 이벤트, 구매자재 등 객실 운영을 위한 종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숙박 사업자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지원한다. 현재 웨스틴조선, 라마다, 스카이파크, 베니키아 등 다양한 숙박업소에 해당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양사가 펼치고 있는 사업 부분의 시장 개척 및 확대를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협의했다. 루넷이 관리하고 있는 호텔 및 부대시설에 캡페이를 활용한 결제 솔루션 공동 개발을 진행하고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 공동으로 홍보마케팅을 펼칠 예정이다.캐셔레스트는 이번 업무협약을 기념해 조만간 캡페이몰 내 호텔 예약 상품 구매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캡페이 이용자들은 루넷이 운영하는 베니키아 호텔 등 다양한 호텔 예약 상품을 실시간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예약 및 결제할 수 있다.루넷 박기현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숙박 사업자에게 도움이 되는 결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숙박 사업자는 물론 고객에게도 유용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뉴링크 박원준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보다 다양한 곳에서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는 데 의의가 있다”라며 “앞으로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생태계 확장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산업+](핀테크) KT, 블록체인 기반 '무인 예약환전' 내년 상용화
[산업+](핀테크) KT, 블록체인 기반 '무인 예약환전' 내년 상용화IBK기업은행-벨소프트와 '맞손'KT, 블록체인 기술로 무인환전 시대.. 내년 상용화KT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IBK기업은행·무인환전 서비스 전문기업 벨소프트와 업무협약을 맺고 공동으로 진행한다.KT(대표 황창규)는 IBK기업은행, 벨소프트와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고 31일 발표했다.'예약 무인환전 서비스'를 통해 고객은 은행 웹사이트, 앱에서 환전을 신청한 외화를 공항, 지하철역 및 주요 호텔, 쇼핑몰 등에 설치된 무인환전 키오스크에서 인출할 수 있다. 365일 24시간 운영돼 이용시간에 제약이 없고, 무인환전 키오스크에서 현금 환전을 할 때보다 환율 우대 적용을 받을 수 있어 비용도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KT, IBK기업은행, 벨소프트는 핀테크 테스트베드인 IBK 1st Lab(퍼스트랩)에서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 실증 테스트 진행 후 내년 상용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KT는 기업은행의 내부 전산 시스템과 벨소프트의 무인환전기기간 데이터 교환 및 정산을 처리하는 환전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플랫폼은 블록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적용해 모든 정산 과정을 실시간으로 처리하며, 이중 지불·위변조·환전 데이터 오류를 원천 차단하도록 고안했다.KT는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가 늘어나는 외화 환전 수요와 은행권의 업무 자동화 니즈를 충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24시간 환전 업무 대응이 불가능한 지방은행, 특수은행, 저축은행 등의 사업 확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T와 벨소프트는 기업은행과의 협력을 시작으로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를 타 은행에도 적극 확대하고, 해외 무인환전 사업자와 연계한 '무인환전기간 소액 송수금 서비스' 등 다양한 확장 모델도 도입할 예정이다.이상국 IBK기업은행 디지털그룹장은 "KT, 벨소프트와의 제휴를 통한 무인환전 서비스는 업무 효율화와 함께 고객 불편 해소를 통한 기업은행의 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라며, 'IBK 퍼스트랩을 통해 검증된 부가서비스 출시로 기업은행 서비스 편의와 가치를 한층 더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용규 KT 블록체인비즈센터장(상무)은 "KT는 블록체인을 적용한 트러스트(Trust) 플랫폼을 구축하고 인증, 결제, 이력 관리 등의 서비스 모델 발굴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기업은행 예약 무인환전 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금융서비스 분야에서 KT 블록체인 플랫폼의 기능과 우수성을 입증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산업+](핀테크) 김대윤 핀테크산업협회회장, "4차 산업혁명의 대표 분야는 핀테크산업"...‘금융의 날’국무총리상 수상
[산업+](핀테크) 김대윤 핀테크산업협회회장, "4차 산업혁명의 대표 분야는 핀테크산업"...‘금융의 날’국무총리상 수상 29일‘제4회 금융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핀테크산업협회 김대윤 협회장(피플펀드 대표)이‘금융혁신’부문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금융위원회는 매년 ‘금융의 날’을 맞아 금융혁신, 서민금융, 저축부문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대해 공적심사와 공개검증을 거쳐 정부포상(대통령, 국무총리, 금융위원장 표창)을 하고 있다.김대윤 협회장은 그동안 핀테크 산업이 금융혁신을 주도하고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핀테크 업권을 대표하여 금융당국과의 소통창구로 역할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산업 입법 추진, 규제 완화 및 핀테크 산업 인지도 확대에 힘썼다. 주요 공적으로는 P2P금융의 법제화(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에 대한 기여를 꼽을 수 있다. 그동안 P2P금융산업은 국내 중금리시장 활성화에 앞장섰으나, 근거 법률 부재로 인한 법적 불확실성이 제약이 되었다. 김대윤 협회장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협회 차원의 자율규제를 통해 업권의 자정노력을 강화하고, P2P 법제화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또 법제화 이후의 방향성 수립에 필요한 업계 의견을 수렴해 금융당국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왔던 것 이다.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P2P금융에 대한 독자적인 제정법이 마련되었고, 2002년 대부업법 이후 17년만에 우리 금융사에 길이 남을 새로운 금융 민생법안의 탄생을 앞두게 되었다. 김대윤 협회장의 이번 수상에는 다양한 형태의 혁신 금융서비스가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하는‘금융혁신지원특별법’제정 과정에서도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전달한 공로도 포함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번 수상은 금융당국과 함께 금융결제 인프라를 개방하는 ‘오픈뱅킹’과 금융데이터의 활용으로 빅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하는 ‘마이데이터’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산업주도의 ‘핀테크 컨퍼런스’를 개최하여 핀테크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를 확대한 점도 널리 인정된 결과이다. 김대윤 협회장은 “4차 산업혁명의 대표 분야인 핀테크산업이 혁신적인 금융 상품과 서비스 제공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의 성장동력이 되도록 노력하겠다.” 며 “또한 국내를 넘어 해외 금융시장 진출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김대윤 협회장이 운영하고 있는 피플펀드는 국내 최초로 제도권 금융과 함께 구축한 은행통합형 시스템을 통해 금융소비자가 혜택을 볼 수 있는 금융상품을 출시하였고, 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300여개 핀테크산업협회 회원사의 지지를 받아 2018년 제2대 한국핀테크산업협회장으로 선출되어 임기를 이어오고 있다.
-
[산업+](페이) 페이코인, 웁살라시큐리티, 옥타솔루션과 Crypto AML 솔루션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
[산업+](페이) 페이코인, 웁살라시큐리티, 옥타솔루션과 Crypto AML 솔루션 구축 위한 업무협약 체결Crypto AML 솔루션 도입으로 FATF 위험기반접근법(RBA) 자금세탁방지 규제 발맞춘다국내 통합결제 비즈니스 전문기업 다날의 암호화폐 결제 플렛폼인 ‘페이코인’이 레그태그(Regulation Technology) 금융준법전문기업 ‘옥타솔루션’과 블록체인 보안 전문 기업 ‘웁살라 시큐리티’가 공동 출시한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Crypto AML-PRISM (이하 Crypto AML)을 도입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페이코인의 월렛 앱에 FATF권고안의 위험기반 접근법(RBA)을 준수하는 Crypto AML 솔루션을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협약의 골자이다. 이는 국내 특금법 개정안 시행에 선제적으로 대응, 준법경영 및 자금세탁 무결성 의무를 다하는 자율규제 조치로서 더욱 눈길을 끈다.다날은 국내 대표적 PG사로, 페이코인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페이코인의 월렛 앱 가입자 수가 15만명을 돌파하였고, 현재 페이코인(PCI)으로 도미노피자, KFC, 달콤커피, 편의점 등 온/오프라인 가맹점 약 1만여 곳에서 실제 현금처럼 결제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페이코인(PCI)은 후오비 코리아, 지닥에 이어 지속적인 주요 거래소 추가 상장을 준비하고 있으며, 암호화폐의 실물결제 서비스 대중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Crypto AML은 옥타솔루션의 기존 제도권 금융기관의 자금세탁방지 솔루션에 웁살라 시큐리티의 암호화폐 관련 보안기술을 결합하여 자금세탁혐의 거래를 정확하게 추출 및 보고, 거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솔루션이다. 양사는 지난 5월 금융감독원이 개최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에서 ‘Crypto AML-PRISM’을 최초 런칭한 바 있으며, 거래소를 비롯한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VASP)들에게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컨설팅 및 서비스 공급 비즈니스를 활발히 확대해 가고 있다.페이코인의 황용택 대표는 “페이프로토콜은 웁살라시큐리티, 옥타솔루션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기존 금융권 수준의 고객신원확인(KYC) 및 자금세탁방지제도(AML) 솔루션은 물론, 암호화폐 혐의거래 추적/추출/신고 가능한 솔루션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FATF에서 권고한 국제 규제를 준수함으로써 프로젝트 신뢰성을 한층 높이는 한편, 글로벌 결제 플랫폼으로서 나아갈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웁살라 시큐리티의 패트릭김 대표는 ”페이코인과의 협약을 통해 자사의 보안기술이 실생활 경제 서비스에서 보다 널리 활용돼, 안전한 암호화폐 생태계를 확대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현 금융감독원의 자문위원인 옥타솔루션의 박만성 대표는 “FATF의 권고안이 발표되었으나 특금법 입법안이 상정되지 않아 불확실성이 커지는 현 시점에서, 페이코인의 FATF 가이드라인 준수를 위한 자금세탁방지 솔루션 도입 결정은 자율규제의 모범사례로 인식되며,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가상자산 서비스 공급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널리 확대되길 기대한다.” 고 말했다.한편, 웁살라 시큐리티는,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해 특정 암호화폐 지갑의 위험수준을 평가하여 자금세탁과 테러자금조달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은 지갑 및 거래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크립토 위험평가솔루션 ‘CARA’(Crypto Analysis Risk Assessment)를 올 10월 최초 출시한 바 있다.
-
[산업+](핀테크)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 “부산은 실물경제 사례를 위한 최적의 기회”
[산업+](핀테크)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 “부산은 실물경제 사례를 위한 최적의 기회”- 부산경제진흥원 주최 ‘2019 정책세미나’에서 부산 블록체인 활성화에 대한 전략 논의 블록체인 금융 기술사 피어테크(Peertec)는 24일 부산경제진흥원에서 주최한 ‘2019년 정책세미나’에 참여했다.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는 블록체인 그룹 피어의 창립자로서 블록체인 기업을 대표하는 연사로 초청받아 ‘부산의 블록체인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토론에 참여했다.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는 부산의 블록체인 기반 사업 전략 수립과 활용법을 논의했다. 한승환 대표는 “부산은 실물경제 사례를 위한 최적의 기회”라며 “산업단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안은 이미 기존에 많았다. 이제 블록체인 기반 ‘결제’와 같이 대중이 일상생활에서 블록체인 장점을 체감할 수 있는 사례가 필요하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규제 완화를 포함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중요하다” 라고 덧붙였다.세미나는 박기식 부산경제진흥원장의 개회사, 부산광역시의회 김부민 경제문화위원장의 축사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부산 블록체인 특구추진단 오진영 기술부단장, 글로벌핀테크산업진흥협회 권기룡 이사장, 동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이강혁 교수, 부산경제진흥원 오진환 기업지원본부장, 안기찬 메디컬 블록체인 연구회 회장, 메디펀 김민수 대표이사 등 부산 경제 및 블록체인 산업의 주요 인사,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연설과 토론을 진행했다. 본 세미나는 최근 부산 지역의 주요 이슈를 살펴보고 그와 관련된 논의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빈대인 BNK부산은행장을 포함해 지역 기업인, 경제 관련 협회 및 조합, 유관기관, 대학(원), 경제 관련 부서 공무원 등 150여 명이 세미나에 참석했다. 한승환 대표는 피어테크가 속해 있는 그룹 피어(Peer)의 창립자이다. 한승환 대표는 2014년부터 국내에 블록체인 기술을 최초로 소개해온 주요인물로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과 대중화를 선도하고 있다. 데이빗 차움(David Chaum),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 교수,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 등 세계 경제 및 블록체인 산업의 거장들을 국내에 최초로 한 곳에 모은 분산경제 포럼, 디코노미(Deconomy)의 창립자이기도 하다. 피어테크는 신용카드 처리 속도 수준의 결제와 판매 자 정산까지 실시간으로 완료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초고속 B2B 결제 인프라를 자체 개발했다. 또한 피어페이는 바우처나 전자상품권 등 모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 및 결제수단에 적용 가능하다.
-
[산업+](커스터디) 피어테크, 암호화폐 지갑을 위한 키 관리 기술 특허 출원,블록체인 커스터디 사업에 박차 가해
[산업+](커스터디) 피어테크, 암호화폐 지갑을 위한 키 관리 기술 특허 출원,블록체인 커스터디 사업에 박차 가해블록체인 금융 기술사 피어테크(Peertec)는 블록체인 자산 커스터디(수탁) 사업에 박차를 가하는 일환으로 개발한 암호화폐 지갑을 위한 키 관리 메커니즘에 대한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29일 밝혔다. 피어테크가 개발한 개인키 관리 기술은 개인키를 물리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하지 않고 실시간으로 블록체인 자산에 접근을 위한 서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해킹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서명이 필요한 경우 온라인에서 지연 시간 없이 서명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실시간 서비스 지원을 하는 동시 보안성을 최우선 과제로 지켜야 하는 디지털 자산관리 및 커스터디 등에 필수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해당 기술을 통해 기존에 디지털 자산관리의 한계점으로 여겨졌던 해킹 사고, 내부 횡령, 고객 자산 악용 사례 등의 문제를 해결했다. 자동화된 암호화 엔진이 실시간으로 암호값을 바꿔 개인키를 암호화시키기 때문에 키를 탈취 당하더라도 서명이 불가능하며, 내부인이 탈취를 시도해도 역시 서명이 불가능하다.피어테크의 한승환 대표는 “현재 국내에서 블록체인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아직 많지 않지만 커스터디에 대한 중요성은 모두가 체감하고 있다.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해주는 기술 기반 커스터디 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한다”라며 “피어테크가 개발한 키 관리 메커니즘을 통해 블록체인을 포함한 디지털 산업에 전통 금융권 및 은행과 같은 안전한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라고 전했다. 해당 기술은 피어테크가 지난 7월 런칭한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파생토큰 서비스 ‘그로우(GROW)’에도 적용되어 있다.피어테크는 이 외에도 국내 유일 블록체인 결제 인프라 ‘피어페이(PeerPay)’를 개발 및 특허 출원했다. 현재 B2B 파트너에게 피어페이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체 거래소 지닥(GDAC)의 지닥몰(GDAC Mall)에서도 피어페이를 이용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산업+](쇼핑) 에이피엠 코인, 비트렉스 글로벌 상장 기념 비트렉스 글로벌 회원 가입 이벤트 진행
[산업+](쇼핑) 에이피엠 코인, 비트렉스 글로벌 상장 기념 비트렉스 글로벌 회원 가입 이벤트 진행11월 4일부터 16일까지 이벤트 참여자 선착순 5000명 대상 2만원 상당의 에이피엠 상품권 제공11월 14일, 비트렉스 글로벌 거래소 상장 예정동대문 대형 의류 도매 쇼핑몰 에이피엠(apM)과 협업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에이피엠 코인(apM Coin)이 11월 14일로 예정된 비트렉스 글로벌 거래소 상장을 기념하여 ‘비트렉스 글로벌(Bittrex Global) 회원가입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이번 이벤트는 11월 4일 월요일 오후 8시부터 11월 16일 토요일 오전 5시까지 에이피엠(apM)과 에이피엠 럭스(apM Luxe) 및 에이피엠 플레이스(apM PLACE) 전 고객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에이피엠 플레이스에서 진행된다.이벤트 참여 희망 고객은 행사 현장에서 에이피엠 멤버스 애플리케이션 사전 가입 및 비트렉스 글로벌 회원 가입을 진행하고, 선착순 5000여명의 고객은 2만원 상당의 apM 상품권(에이피엠, 에이피엠 럭스, 에이피엠 플레이스 모두 사용 가능)을 증정 받을 수 있다. 이벤트 참여 고객 전원은 즉석에서 만든 붕어빵도 제공받을 수 있다.에이피엠 코인은 에이피엠 그룹의 의류 도매 시장 비즈니스 노하우를 활용해 의류 도매 시장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기반 고객 보상 및 결제 시스템 구축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이다. 에이피엠 쇼핑몰의 자체 부대 시설 포함 여러 비즈니스 영역에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디지털 거래 시스템을 점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편리한 거래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에이피엠 코인의 석광일 CEO는 “에이피엠 코인의 첫 상장을 비트렉스 글로벌과 같은 대형 거래소에서 시작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와 함께 유례없는 마케팅을 진행하여 진정한 블록체인 상용화의 길을 열어가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 노력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산업+](핀테크) 간편결제 앱 ‘차이(CHAI)’ 가입자 수 50만명 돌파
[산업+](핀테크) 간편결제 앱 ‘차이(CHAI)’ 가입자 수 50만명 돌파-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거래액 638억원 달성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가 지난 6월 출시된 간편결제 앱 ‘차이(CHAI)’의 성과를 25일 공개했다. 차이는 출시 4개월 만에 가입자 수 50만명, 누적 거래액 638억원을 돌파하며 국내 간편결제 시장에서 자리매김했다. 차이 사용자는 건 당 2만3500원을 지출한 것으로 보이며, 누적 거래 건수도 270만 건을 넘었다. 더불어 평균적으로 매주 16.1%씩 성장했는데, 파격적인 첫 결제 할인과 함께 상시 최대 10% 할인 혜택을 제공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또한, 차이는 티몬에서 6개월 내 10%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다는 목표를 이미 초과 달성했다. 차이는 9월 기준 티몬 앱에서 발생한 총 거래 금액의 11.4%를 차지해 간편결제 서비스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차이는 티몬 거래 수수료 절감에 큰 역할을 담당하는 한편 나아가 국내 간편결제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다. 신현성 테라 공동대표는 “차이 출시 4개월 만에 누적 거래액 638억원을 달성해 기쁘다. 기존 거래 수수료율을 평균 1.5% 줄였다 보면 약 10억원의 수수료 인하 혜택을 제공한 셈이다. 이는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에 노력해 온 테라에게 매우 뜻 깊은 의미가 있다. 테라 고유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전세계 결제 서비스 혁신의 모범이 되겠다”고 말했다. 차이는 테라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가맹점에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지속적인 할인을 제공한다. 차이는 올해 전국 1만3500여 CU 편의점에서 차이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가 도입된다고도 최근 발표했다. 차이가 빠르게 성장한 덕분에 테라는 전세계서 가장 활동적인 블록체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현재 테라 비전을 공유하는 66인의 벨리데이터(validator)가 테라 네트워크에 합류해 안정성과 다양성을 강화하고 있으며, 마이닝 토큰 루나(LUNA)는 글로벌 거래소 비트루(Bitrue), 쿠코인(KuCoin)에 상장되는 등 다양한 협업을 이어나가고 있다.
- ▷ Blockchain Leaders 더보기
-
-
- [인터뷰+] 가브 네이션 CEO "비트킵, DESM 알고리즘으로 우수한 보안력 입증... 전세계적으로 모은 빅데이터로 거래…
- 블록체인 비트킵 월렛은 다중체인,다중코인의 탈중심화 라이트 지갑으로 알려진 독립적 DESM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합정동 디벙크 카페에서는 지난 13일 비트킵 월렛 밋업이 열렸다. 비트킵의 가빈 네이션(Gavin Nation) CEO와 인터뷰를 진행했다.Q1. 비트킵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비트킵은 대략적으로 6가지의 기능이 있습니다. 오..
-
- [인터뷰+] 블록체인 리쿠르팅 플랫폼 오프니티 CTO 로저리 "투명한 채용 경로와 인재 풀의 국가간 활발한 교류, 결…
- 글로벌 구직 커뮤니티 플랫폼 오프니티(Opennity)가 최근 한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과 전문 인력을 연결시키는 데 방점을 둔 오프니티 플랫폼의 핵심 비즈니스 취지는 블록체인생태계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의 전문 인력 구인 시장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취업을 돕고 , 채용 루트를 넓혀 인재확보..
-
- [인터뷰+] 바차라 아매밧 식스네트워크 대표, "블록체인이 디지털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 시프트 불러올 것”
- “프로젝트 ECHO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체제에 그림과 영상, 글,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불러올 것” "특히, 오늘 날 금융업계 외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된 사례가 많지 않은 만큼, 디지털 ...
-
- [인터뷰+] 이근배 삼성리서치 AI 센터장,"‘A’lgorithm(알고리즘), ‘B’ig Data(빅 데이터), 그리고 ’C’omputing power(컴…
-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화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저마다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고,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AI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놓인 AI는 IT 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은행, 병원 등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생활 전반을 바꿔 나가고 있다.삼성전자도 AI의 중요성을 빠르게 ...
-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각각 있었지만, 그 두 개를 합쳐 놓으면 경험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영화나 뉴스를 보고, 검색을 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경험이 큰 화면에서 새롭게 재탄생하는 것이죠. 이제 스마트폰도 ‘거거익선(巨巨益善)’.
-
- [인터뷰+] 온톨로지 사업개발총괄 키네스 "게임 외에도 킬러댑스 들 많아... 올해 안에 200개 댑스 소싱 목표"
- 체이너스가 퍼블릭체인 온톨로지와 블록체인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중인 가운데 지난 11일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서 '온톨로지X블록체인 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다.온톨로지는 분산 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된 신뢰를 기반으로 한 ...
-
- [인터뷰] Angelium CEO 리오 "크로스현실과 블록체인의 결합, 엔젤리움 프로젝트가 만들려는 세상은 머지않아 다가올…
- 엔젤리움프로젝트는 블록체인과 가상현실, 크로스현실등을 결합해 Asset tokenization 을 실현하려고 한다.일본 베이스의 프로젝트로, 가상현실을 통해 고객들에게 토큰 서비스 보상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고만화샵, 쇼핑몰 , 엔터테인먼트 등의 영역을 이용해 나라별 마켓 대중화도 실현하려고 하는 엔젤리움 프로젝트의 Rio Takeshi Kubo CEO와 인터.
-
- [인터뷰] SEN 마이크로 결제 플랫폼 CEO 리차드 "콘텐츠 시장의 새로운 룰 만들 것,,,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콘텐츠…
- "What we are looking to do is create a whole way to attach a very very small amount of value to any kind of information"콘텐츠 및 정보에 조그만 가치라도 부여할 것, Richard Northcott는 SEN 플랫폼의 CEO이다.SEN플랫폼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결제할 수 있는 디지털 통화 마이크로 결제 시스템 플랫폼을 구현하려고 한다.리차드 CEO는 엔푸(Enfour)의 설...
-
- [인터뷰] Platinum community growth 매니저 블라드 " 한국시장에서의 큐다오 스테이블 코인 마케팅 성공적, 앞으로도 큐…
- Platinum (플래티넘)은 토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사업 솔루션 업체이다.특히 자체적으로 나라별 스테이블 코인 발행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현재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Q를 발행했고 몇개 거래소에 상장을 마쳤다.한국에 작년부터 마케팅 매니저를 파견해 한국시장에 눈독들이고 있는 플래티넘의 신성 커뮤니티 Growth 매니저...
-
- 함샤우트 함시원 대표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있어 First Mover가 될 것,,,알파콘 투자자 보호 , 물량 조절 및 사용처 …
- 알파콘은 2019년 1월30일 BTC 블랙코인 기반의 POS 3.0 프로토콜을 이용한 ALPP를 런칭했다.지분 증명 방식의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했고 1분당 120개의 블록 보상이 이뤄진다.블록체인 기술이 연동된 데이터 & AI 서비스 기반의 알파체인 DAPP 프로젝트들의 생태계 활성화를통해 알파에이지 시대를 선도하고자 하는 것이다.블록체인 업계에서 활발한 ...
- ▷ Popular articles더보기
-
-
[마켓+](오퍼링) 엘라마체인(ELAMACHAIN), 유사 프로젝트로 모금 주의보
[마켓+](오퍼링) 엘라마체인(ELAMACHAIN), 유사 프로젝트로 모금 주의보에이서 파이낸셜(Acer Financial)에 따르면, 최근 중국에서 암호화폐 거래소의 불법 설립 및 운영과 암호화폐 발행을 통한 불법 자금 조달로 인해 조사반이 꾸려졌다고 밝혔다.매체에 따르면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크로스보더 AI 서비스인 ‘엘라마체인(ELAMACHAIN)’ 프로젝트가...
-
[정책+](한국) 대한변호사협회·권칠승 국회의원 공동 주최 정책세미나에서 블록체인·암호화폐 제도화에 대해 논…
[정책+](한국) 대한변호사협회·권칠승 국회의원 공동 주최 정책세미나에서 블록체인·암호화폐 제도화에 대해 논의블록체인 금융 기술사 피어테크(Peertec)는 지난 26일 대한변호사협회(대한변협) IT·블록체인특별위원회와 권칠승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한 ‘블록체인‧암호화폐 Q&A 세미나’에 참여했다. 피어테크 한승환 대표는 블록체인 그.
-
[마켓+](테크) 가스(Gas)이론과 개념으로 설계한 센터코인(CENT)
[마켓+](테크) 가스(Gas)이론과 개념으로 설계한 센터코인(CENT) 센터코인을 주관하는 ㈜새길은 여타의 코인과 다른 센터코인의 가치를 강조하여 주목받고 있다. 센터코인측은 기술전문SNS 미디엄을 통해 가스(Gas)의 개념을 설명하며 센터코인은 이더리움과 같이 실제 가스형태의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설명했다.현실세계의 가스(Gas)는 요리 및 .
-
[정책+](러시아) 러시아 정부, 암호화폐 채굴 업체에 ‘재산세’ 부과 심의 계획
[정책+](러시아) 러시아 정부, 암호화폐 채굴 업체에 ‘재산세’ 부과 심의 계획러시아 정부는 암호화폐에 대한 ‘재산세’를 부과하는 법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암호화폐 채굴업자는 ‘매장물 발견’과 동등 분류로 과세되는 대상이 된다고 러시아 현지 언론 이즈베스티야(Izvestia)가 알렸다.법안은 러시아 은행 협회에 의..
-
[산업+](금융) 나형준 디베이 공동대표,“진정한 탈 중앙화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본질은 낮은 문턱에 있다”
나형준 디베이 공동대표,“진정한 탈 중앙화 금융서비스,디파이(De-Fi) 본질은 낮은 문턱에 있다”- 지난 27일 해운대 벡스코서 열린 ‘부산 블록체인 컨퍼런스 2019’에서 디베이 나형준 공동대표 발표- 타사 유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구매형 서비스와 달리 담보형 서비스로 제공돼 은행 예금처럼 안정적인 자산관리 가능암호화폐 자산관리 .
-
[산업+](엔터) 스타플레이, 중국 상하이서 첫 밋업 성황리 마무리… 중국 시장에 발 딛어
[산업+](엔터) 스타플레이, 중국 상하이서 첫 밋업 성황리 마무리… 중국 시장에 발 딛어‘아이돌 타임-StarPlay in China’ 주제로 중국 엔터테인먼스 산업 인사 300여명 모여“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정한 투표 시스템으로 글로벌 팬 문화 중심 플랫폼 되겠다”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한 글로벌 팬덤 미디어 플랫폼(Global fandom media platform) ‘스..
-
[정책+](스위스) 스위스 정부, 블록체인 보급 확대를 위한 9개 법률 개정 심의
[정책+](스위스) 스위스 정부, 블록체인 보급 확대를 위한 9개 법률 개정 심의스위스의 행정을 담당하는 연방의회는 지난 27일 블록체인과 분산 대장 기술(DLT)에 관한 법률을 변경할 계획을 발표했다.이번 변경의 목적은 법률의 확실성을 높이고 두 기술을 도입할 때의 벽을 없앨 뿐만 아니라, 기술 악용의 위험을 경감하는 것에 있다. 정부는 .
-
[산업+](DID)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서비스 선보여..탈중앙화 신원증명(DID) 통한 생활혁신 가능성 제시
[산업+](DID)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서비스 선보여..탈중앙화 신원증명(DID) 통한 생활혁신 가능성 제시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코인플러그의 어준선 대표는 28일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신원증명(Decentralized Identity, 이하 DID)의 실생활 적용 가능성 및 DID 기반 신원인증 서비스의 혁신성을 홍보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와 부산광역시..
-
[산업+](핀테크) 신한은행이 블록체인 활용한 시범사업은?..블록체인 키 관리 서비스 태양광 발전소 시범적용
[산업+](핀테크) 신한은행이 블록체인 활용한 시범사업은?..블록체인 키 관리 서비스 태양광 발전소 시범적용- ‘개인 키 관리 시스템’ 적용으로 블록체인 거래 서명 시 해킹 및 분실사고 방지신한은행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 헥슬란트와 함께 공동 개발한 ‘개인 키 관리 시스템(PKMS, Private Key Man...
-
[마켓+](상장) 하이콘(ERC-20) 잰걸음...12월초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글로벌’ 상장 계획 발표
[마켓+](상장) 하이콘(ERC-20), 12월초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글로벌’ 상장 계획 발표하이콘(ERC-20)이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글로벌 (Bittrex Global)에 상장될 전망이라고 밝혔다.비트렉스 글로벌은 미국 비트렉스가 유럽 리히텐슈타인에 설립한 글로벌 거래소로 빠른 거래 처리 속도와 안정적인 지갑, 최고 수준의 보안을 .
-
[마켓+](거래소) ‘트론 마켓’ 오픈하는 거래소...비티씨 마켓,이더 마켓에 이어
[마켓+](거래소) ‘트론 마켓’ 오픈하는 거래소...비티씨 마켓,이더 마켓에 이어- 글로벌 TOP 거래소에서만 제공하던 ‘트론 마켓’ 국내에 첫 선보여- 트론재단과의 협약으로 마켓 활성화 및 안정화 기여TRX 마켓은 현재 바이낸스 등 글로벌 TOP 거래소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에는 캐셔레스트가 최초로 ...
-
[산업+](협업)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에 필요한 것
[산업+](협업)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에 필요한 것블록체인 금융 기술사 피어테크(Peertec)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클레이튼(Klaytn)’과 양해각서(MOU)와 함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대중화를 이끌어 나갈 예정이며 피어테크는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가 자체 개발...
-
[산업+](세미나) 미래 기술의 진화는 어떻게 되는가? 2019 테크핀 아시아 개최..핀테크 쇼케이스, 크립토 파이낸스 …
[산업+](세미나) 미래 기술의 진화는 어떻게 되는가? 2019 테크핀 아시아 개최..핀테크 쇼케이스, 크립토 파이낸스 포럼 등 무료 세미나오는 12월 5-6일, 융합의 시대를 대표하는 국제 컨퍼런스가 국내 킨텍스에서 개최되어 화제다. 테크핀(’기술‘을 ’금융‘보다 강조한 신조어) 컨퍼런스인 2019 테크핀 아시아 컨퍼런스 & 엑스포 (이하, ’테크...
-
[산업+](금융) 美 재무부 비은행 자금사업자 지위 획득한 체인파트너스..다음 계획은?
[산업+](금융) 美 재무부 비은행 자금사업자 지위 획득한 체인파트너스..다음 계획은?-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취급 전제로 미 은행법상 비은행 자금사업자 등록 완료- 뉴욕 시그니처은행 계좌 이용해 12월부터 미 달러 기반 가상자산 거래 서비스 개시- 현재 한국에서 운영중인 가상자산 장외거래(OTC) 서비스 내년부터 전세계로 확대 예정블록.
-
[산업+](영화) 블록체인 위에 영화가?..무비블록, 다양성 영화 대중화를 위한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산업+](영화) 블록체인 위에 영화가?..무비블록, 다양성 영화 대중화를 위한 서포터즈 발대식 개최 - 총 350명의 지원자 중 영화 산업에 관심이 있는 35명을 1기 서포터즈로 선발- 무비블록을 통한 단편 영화 및 다양성 영화 대중화에 기여할 예정 블록체인 기반 영화 콘텐츠 배급 플랫폼 무비블록이 2019 무비블록 제 1기 서포터즈 발대식을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