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바이낸스 연구소, 블록체인 이용한 인프라 구축위해 국유기업과 제휴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中 바이낸스 연구소, 블록체인 이용한 인프라 구축위해 국유기업과 제휴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日 모넥스 증권, 암호화폐 차액결제거래(CFD) 서비스 지원일본 온라인 증권사 모넥스 증권이 암호화폐 CFD(Contract for Difference, 차액결제거래)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7월 7일 코인포스트가 닛케이신문을 인용하여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모넥스 증권은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체크 모회사인 모넥스 그룹의 산하 증권사로서 금산법 개정에 따라 암호화폐 CFD 거래를 시작한다. CFD는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고도 가격변동에 의한 거래만으로 차익을 얻을 수 있는 장외파생상품이다. 취급 종목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포함한 4종목으로 레버리지 비율은 2배다.(マネックス証券が、仮想通貨の差金決済取引(CFD)の取り扱いを開始することがわかった。日経新聞が報じた。)▲ 바이낸스, 브라질서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금지 당해브라질 증권거래위원회(이하 CVM)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 암호화폐 파생상품 제공 중지 명령을 내렸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 증권거래위원회는 ”바이낸스의 파생상품은 기초자산과 관계없는 유가증권에 해당되기 때문에 증권 라이센스를 취득하지 않은 한 서비스를 중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CVM은 즉각 광고 및 거래서비스를 중지하도록 명령했으며 위반할 경우 주문 1개당 약 188달러의 벌금을 부과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CVM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첫 통보 사례로 파생상품 거래만을 대상으로 하며 현물거래나 기타 관련 서비스는 경고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ブラジルの証券取引委員会(CVM)が最大手取引所バイナンスの提供するデリバティブ取引を認めず、同国居住者に向けた提供を中止させる命令を下したことがわかった。)▲ 비자(VISA), 블록체인 엔지니어 채용 공고 게시글로벌 신용카드 업체 비자(Visa)가 블록체인 엔지니어 채용공고를 냈다고 유투데이가 7월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비자는 공식 채용공고를 통해 2년 이상 블록체인 아키텍처, DApps(분산 어플리케이션) 및 이더리움 개발 경험이 있는 블록체인 엔지니어 채용 의사를 밝혔다고 한다. 또한 신규 개발자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플랫폼 비자 B2B에서 일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자는 전체 신용카드 거래의 53%를 차지하며 하루 최대 1억 5000만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결제 업체이다. 암호화폐에 관한 관심을 높여가고 있는 비자는 지난 2019년 11월 중앙 집중식 컴퓨터에서 디지털 화폐를 만드는 것에 관한 특허를 신청한 바 있다.(Payments giant Visa is on the lookout for blockchain engineers, according to its recent job posting. )▲ 中 바이낸스 연구소, 블록체인 이용한 인프라 구축위해 국유기업과 제휴바이낸스 산하 연구기관인 ‘중국 바이낸스 블록체인연구소’가 중국 국영기업인 중상북두(中商北斗)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낸스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사 연구소와 중상북두가 중소기업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고 전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중국 내 중소·중견기업의 지원과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체결되었으며 중국의 디지털 경제 발전 및 블록체인 업계 혁신을 촉진시키기 위해 합동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중산북두는 중국국유재산감독관리위원회(SASAC) 산하의 혁신 시범 기업으로서 SASAC는 2003년 중국의 국유기업을 관리·감독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중국의 정부 기관으로, 국유기업의 임원·경영진의 임명이나 주식·자산의 매매, 국유기업에 관한 법령의 기초 등을 업무로 하고 있다.(Binance China Blockchain Instituteは3日、SASACが保有する中国国有企業Zhongshang Beidou(中商北斗)と戦略的パートナーシップの締結を行ったことを公表。)[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인도,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검토 中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인도,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검토 中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인도, ‘암호화폐 거래 금지법’ 검토 中인도에서 암호화폐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인도 법원이 암호화폐에 대한 전면적인 금지를 해제한 지 5개월이 지난 지금 인도 재무부 관계자는 정부가 암호화폐를 금지하는 새로운 법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부처 간 위원회(IMC)와 인도준비은행(RBI)이 암호화폐를 금지하기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법안은 암호화폐 채굴, 구매, 광고 등 모든 서비스 제공 및 활동에 대한 처벌을 포함하고 있고 이는 사실상 암호화폐 금지법과 같다. IMC는 인도 내에서 암호화폐 관련 문제를 심사하는 곳이며 수바쉬 찬드라 가그 전 경제부 장관이 이끌고 있다. 인도 의회는 8월 말이나 9월 초에 재개될 예정이다.(Five months after Indian courts lifted the blanket ban on crypto, an official said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a new law banning crypto.)▲ 러시아 국영은행 스베르뱅크(Sberbank), 금융자산 토큰발행 허용...스테이블 코인 발행 검토 中러시아 최대 상업은행 스베르뱅크(Sberbank)가 디지털 금융자산으로 이용할 수 있는 토큰 발행을 허용하고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검토 중이라고 코인포스트가 5일 보도헀다. 보도에 따르면 Sberbank의 거래 사업 부문 책임자 세르게이 포포프(Sergey Popov)는 “법정통화 루블과 고정된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은행은 루블화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이 토큰은 다양한 디지털 자산 거래의 토대 또는 직접적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는 지난달 러시아 첫 암호화폐 법안인 디지털 금융자산 관련법(On Digital Financial Assets: DFA)를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러시아 중앙은행은 규제하는 시스템 내에서 암호화폐를 발행, 구입, 판매, 등록할 수 있게 됐다. 암호화폐 관련법을 추진해 온 하원의원 아나톨리 악사코프는 이 법안에 따라 러시아 기업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으며 이번 스베르뱅크도 DFA 법안 통과에 따른 움직임으로 보인다.(ロシア最大の商業銀行Sberbankが、デジタル金融資産として利用できるトークンの発行を許可、ステーブルコインの発行も視野に入れ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오바마 트위터 해킹한 주범 체포...美 17살 소년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등 유명인의 트위터 계정을 무더기로 해킹한 주모자가 미국의 17살 소년으로 확인되었다고 코인포스트가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는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3명의 용의자를 기소했고 그레이엄 이반 클라크(Graham Ivan Clark, 17세), 메이슨 존 셰퍼드(Mason John Sheppard, 19세), 니마 파젤리(Nima Fazeli, 22세)가 검거·기소됐다. 이들은 유명인 트위터 계정을 해킹해 '120만원을 비트코인으로 보내면 30분 안에 돈을 두배로 돌려주겠다'는 글을 올린 뒤 자신의 계좌로 입금된 비트코인을 가로챘다. 피해액은 11만 8000달러(약 1억4000만원) 상당이다. 해커들은 트위터 직원들의 내부 로그인 정부를 도용해 트위터 시스템에 접속, 각 계정의 비밀번호를 재설정한 것으로 드러났다.(7月15日(米国時間)にTwitterアカウントが次々と乗っ取られ、ビットコインの送金詐欺に悪用された事件で17歳の少年が首謀者として逮捕されたことが判明した。)▲ 대시(Dash), 남미 첫 암호화폐 VISA 직불카드 출시대시(Dash)가 남미 지역 첫 암호화폐 비자(Visa) 직불카드를 발행했다고 코인포스트가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시(DASH)가 멕시코에서 급성장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 Taurus.io와 제휴하고 Tauros 모바일 앱을 사용해 암호화폐를 페소로 변환함으로써 멕시코의 수백만 점포에서 비자 카드를 이용해 지불이 가능해졌다. 종목은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지만 대시 이외의 암호화폐도 사용이 가능할 예정이다. 라틴아메리카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할 수 있는 직불카드가 발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멕시코 내 Tauros 사용자는 Tauros.io에 로그인하여 Visa 카드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카드를 받고 지불을 시작한 사용자에게는 기간 한정으로 구매에 대해 2%의 대시(DASH)를 캐시백 받을 수 있는 특전이 부여된다.(仮想通貨ダッシュ(Dash)などが主導し、メキシコでVISAデビットカードを発行することが分かった。)▲ 비트파이넥스(Bitfinex), 도난 비트코인 회수 노력...최대 4억달러 상당 보상금 제공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Bitfinex)가 2016년 해킹으로 도난당한 비트코인(BTC)을 되찾기 위해 최대 4억 달러 상당(약 4768억원)의 보상을 제공할 것이라고 코인포스트가 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비트파이넥스는 해커와 접촉할 수 있도록 공헌한 사람에게 되찾은 암호화폐의 5%를 보상으로 준다고 발표했고 해커에게도 25%를 준다고 전했다. 모든 비트코인을 되찾을 수 있다고 가정하면 총 합계인 30%는 약 4억 달러가 된다고 비트파이넥스는 설명했다. 비트파이넥스는 2016년 8월 2일 해킹 피해를 당했으며 총 119,755개의 비트코인이 도난당했다. 현재 가치로 약 1조 6천억 상당이다. 도난당한 비트코인은 현재까지 다양한 지갑주소를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도 상당수가 거래소에서 매각되지 않고 지갑 사이를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주에는 2700만 달러 상당(약 321억원)의 비트코인 이동이 확인됐다. 비트파이넥스는 비트코인을 되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으며 앞으로도 법 집행기관과 공조해 수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仮想通貨(暗号資産)取引所Bitfinexは4日、2016年にハッキングで盗まれたビットコイン(BTC)を取り戻すために、最大で4億ドル相当(約420億円)の報酬を提供することを発表した。)[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美 워싱턴DC 법원, 자금이동법상 비트코인(BTC)은 화폐(Money)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美 워싱턴DC 법원, 자금이동법상 비트코인(BTC)은 화폐(Money)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8월 18일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리플, XRP 기반 다기능 P2P 결제 플랫폼 ‘페이버너’ 출시리플이 다기능 P2P 결제 플랫폼 페이버너(Payburner)를 발표했다고 코인포스트가 지난 27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페이버너는 리플(XRP) 기반의 다기능 플랫폼 결제 서비스로 현재 구글 크롬이나 브레이브 브라우저에서 이용 가능하며, 파이어폭스도 곧 지원할 예정이다. 스마트폰은 iOS와 Android 모두 지원한다. 리플은 은행 간의 국제 송금을 중개하는 브리지 통화로서의 경향이 강했지만 새로운 플랫폼의 도입으로 P2P 거래의 분야의 확대를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페이버너는 중앙 중계가 아닌 개인 사용자 프로필인 페이아이디(PayID)을 이용한 P2P 방식을 사용하여 쉽게 각종 결제와 해외 송금이 가능하다. 또한 페이버너 사용자에게 지불을 청구하는 요청 기능도 있다. 이외에도 플러그인 메뉴의 네트워크 옵션을 사용하면 페이버너 사용자의 검색이 가능하고 향후 PayID를 사용해 트위터 등의 계정으로 범위를 확장 해 나갈 계획으로 알려졌다.(仮想通貨XRPを用いた多機能プラットフォームを、リップル社の製品担当ディレクターCraig DeWittが発表した。)▲ 유럽 리투아니아, 세계 최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리투아니아 중앙은행이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인 LBCOIN을 정식 출시했다고 유투데이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리투아니아는 세계 최초로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한 국가가 됐다. LBCOIN는 지난 9일 온라인 예약 판매를 진행했고 DLT(분산원장기술) 기반 디지털 코인 6종과 수집가들을 위한 물리적 코인 1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트를 위해 은행은 4,000개의 LBCOIN를 발행했고 코인은 1918년 독립법을 공표한 국가의 기념일에 헌정됐다. 은행 이사회 의장은 “이번 LBCOIN의 출범은 금융과 결제 영역의 혁신을 도입하려는 은행 측의 확고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라 전했다.(Lithuania’s central bank has finally released its digital currency LBCOIN, becoming the first bank in the world to issue its own crypto.)▲ 체인링크, 신한·기업·하나·농협 은행의 환율정보 블록체인에 공유암호화폐 체인링크(LINK)가 한국 은행들의 외환 환율 정보를 분산형금융(DeFi)에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코인포스트가 지난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체인링크는 한국 은행의 오픈뱅킹 API를 통해 중앙집중형 파이낸스와 분산형 파이낸스의 대출, 송금, 환율 등의 정보를 핀테크의 오라클 네트워크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센터프라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제휴로 인해 센터프라임은 신한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하나은행 등 한국 대형 은행의 환율 데이터를 분산형 네트워크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원화와 외국 통화의 환율에 대한 수준 높은 가격 피드가 공유되어 블록체인 상에 안전하게 기록할 수 있게 되고 핀테크나 DeFi 및 전통적인 금융업계의 애플리케이션이 가격 피드를 이용하여 보다 투명성이 높은 금융 상품을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체인링크는 프로젝트를 통해 금융권 환율 정보를 퍼블릭 클라우드 지역 화폐 지갑 플랫폼으로 공유 할 예정임을 밝혔다.(仮想通貨Chainlink(LINK)が、韓国のトップ銀行の外国為替レートを分散型金融(DeFi)に提供することが分かった。▲ 美 워싱턴DC 법원, 자금이동법상 비트코인(BTC)은 화폐(Money)미국 수도 워싱턴 D.C.의 연방법원이 암호화폐 비트코인(BTC)은 워싱턴 D.C.에서 자금이동법상 화폐(돈)라고 판결했다고 코인포스트가 지난 25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비트코인 불법 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던 ‘Larry Dean Harmon’ 피고인은 무허가 송금사업과 자금세탁을 저질렀고 피고인은 무허가 송금사업이라는 소송을 기각하기 위해 비트코인이 화폐가 아니기 때문에 자금이동법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에 워싱턴 D.C 지역 법원의 Beryl A. Howell 판사는 “화폐란 일반적으로 교환의 수단이며, 지불 수단, 혹은 가치의 보존 수단이다”이라 말하면서 “비트코인은 화폐류에 해당한다”고 판결했다. 반면 암호화폐 추진 단체 CoinCenter의 Peter Van Valkenburgh는 “일반적으로 미국에서 암호화폐 교환업무나 지갑서비스를 제공할 때 주 자금이동법에 따라 라이선스를 취득해야 한다”며 이번 판단은 어디까지나 비트코인이 워싱턴 D.C.의 자금이동법 하에서 화폐로 하는 것에 그친다”라고 전했다.(米首都ワシントンD.C.の連邦裁判所が、仮想通貨ビットコインはワシントンD.C.では資金移動法において貨幣(money)であるとした。)▲ 이더리움, 이더리움 2.0 검증자용 런치패드 테스트넷 출시이더리움 암호화폐 개발을 지원하는 비영리단체 이더리움 재단이 ETH 2.0 검증자용 런치패드의 테스트넷 버전을 발표했다고 유투데이가 지난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런치패드는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업체 컨센시스(ConsenSys)와 딥워크스튜디오(Deep Work Studio)의 파트너십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더리움 2.0의 기본 사항, 로드맵, 보상 및 관련된 위험과 책임에 대해 테스트넷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더리움 2.0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해 스테이킹을 실시하는 가장 중요한 업그레이드다. 한편 이더리움 2.0의 최종 단계로 꼽히는 메달라(Medalla) 테스트넷의 출시 일정은 8월 4일로 예정되어 있으며 2일에 최소 검증자 수인 16,384명(524,288 ETH)에 도달해야 한다. 검증자가 되기 위해선 최소 32 ETH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Ethereum validators can now start their journey on the ETH 2.0 chain.)[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모나코 정부, 핀테크 업체와 MOU 체결… 증권형 토큰 발행(STO) 지원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모나코 정부, 핀테크 업체와 MOU 체결… 증권형 토큰 발행(STO) 지원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바이낸스, 대대적 업데이트 “거래속도 10배 빨라져”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2017년 출시 이후 매칭 엔진의 전면적인 정비를 통해 시스템 속도를 개선했다고 디크립트가 6월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바이낸스의 CEO인 창펑 자오는 “이번 업데이트는 역대 최대 규모의 업데이트”라며, “주 업그레이드에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성된 매칭 엔진이 포함되어 있으며 엔진을 개발하는데 2년이 걸렸다”고 밝혔다. 이어서 창펑 자오는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이전 매칭 엔진보다 10배 향상된 성능을 제공해 이론적으로 100배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Malta-based cryptocurrency exchange Binance is now back up and running after completing what it claims is its largest upgrade yet—a complete overhaul of its matching engine.)▲ 비트코인닷컴, 이메일 이용한 비트코인캐시(BCH) 송금 서비스 출시암호화폐 거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이 이메일 주소로 비트코인캐시(BCH)를 송금할 수 있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코인포트가 6월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비트코인닷컴은 BCH 송금 서비스(send bitcoin com)를 이용해 송금할 곳의 이메일 주소, 송금자가 이용하는 법정 통화 등을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상대방의 지갑 주소를 입력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비트코인캐시를 송금할 수 있는 이메일 서비스를 출시했다. 또한 환불할 곳의 지갑 주소를 입력해 두면 송금자가 지정한 기간 내에 비트코인캐시를 수령하지 못할 경우 송금인에게 환수된다. 개인정보와 송금내역도 보관하지 않아 익명성과 보안성도 갖췄다. 로저 버 비트코인닷컴 창업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는 높은 거래 수수료로 이와 같은 서비스를 구현하기 어렵다”며 “이메일 송금서비스는 저렴한 수수료 및 누구나 이용 가능한 간편성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전했다.(仮想通貨(暗号資産)取引などのサービスを提供するBitcoin comが、Eメールアドレス宛にビットコインキャッシュ(BCH)を送金できるサービスを開始した。)▲ 영국 암호화폐 거래소 지페이(GPay), 조사 결과 ‘사기’로 판단해 폐쇄명령영국의 고등법원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지페이(GPay Ltd)에 대한 조사에서 ‘사기’라고 판단해 파산관재인을 임명하고 거래소 폐쇄를 명령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페이는 인터넷 광고에서 XtraderFX(Cryptopoint)로서 저명한 기업가에 의해 지원되고 있다고 하는 허위 광고를 하고 있던 것으로 판명됐다. 영국에서 기업이나 개인의 강제 파산 관리나 조사 등을 하는 정부 기관 「Insolvency Service(파산관리업)」가 조사한 결과, 적어도 108명의 고객이 회사의 거래 서비스를 이용해, 합계 150만 유로(약 20.2억원)를 잃었다고 한다. 또한 지페이는 고객들이 돈을 거래소에서 빼내려고 시도하면 ID와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공과금 청구서, 신용카드 번호 등의 제출을 받았고, 활발히 거래를 하지 않으면 인출을 거부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거래소의 계좌 개설시에 필요한 KYC(고객 확인)이지만, 해당 거래 플랫폼에서는 계좌 개설시 필요하지 않았다. 조사를 담당한 당국의 David Hill은 “위장한 온라인 플랫폼을 고객에게 사용하도록 재촉했다. 사기 말고는 아무것도 아니다”라고 밝혔다.(英国の高等裁判所は、仮想通貨取引プラットフォームのGPay Ltdに対する調査で「詐欺」であると判断し、破産管財人を任命、取引所の閉鎖を命じたことが分かった。)▲ 펀디엑스, 포스기에 페이팔 이용해 암호화폐 결제 가능 도입펀디엑스 랩스(PundiX Labs)가 펀디엑스 시스템을 이용한 핸디 POS 계산 기기 「PundiXPOS」에 미국 결제 대기업 페이팔(PayPal)의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페이팔은 Xpos에 도입된 첫 모바일 결제 앱으로서 미국에서 XPOS를 통해 QR코드 결제 및 신용카드 지불을 할 수 있다고 한다. 펀디엑스는 7월 1일부터 미국에서 XPOS를 이용하는 점포가 페이팔의 트랜잭션 서비스를 신청 개시하고 2주 이내에 페이팔의 앱이 XPOS에 구현될 것이라고 한다. 또한 펀디엑스는 이와 관련해 싱가포르 금융청의 허가를 받고, 현재 도입 중인 점포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넴(XEM), 펀디엑스(NPXS) 토큰 등 20종 이상의 암호화폐 지불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シンガポールの仮想通貨関連企業Pundi X Labsが、PundiXシステムを利用したハンディPOSレジ機「Pundi XPOS」に米大手決済PayPalのサービスを導入したことがわかった。)▲ 모나코 정부, 핀테크 업체와 MOU 체결… 증권형 토큰 발행(STO) 지원모나코 정부가 핀테크 기업 Tokeny Solutions(이하 Tokeny)과 토큰화된 금융상품의 발행을 서포트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고 6월 26일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모나코 정부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자금을 조달하기 쉬운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모나코 정부는 “유익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글로벌한 시장이 되기 위해 플랫폼으로 Tokeny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모나코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증권형 토큰 발행(STO)으로 자금 조달을 실시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인가가 필요하게 된다. Tokeny의 CEO는 “질 높은 토큰화된 자산이 없는 것이 업계의 발전을 방해하고 있다”며, “국가가 인정한 프로젝트라면 투자자도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투자자 권리도 블록체인으로 보장하고, 자금세탁방지대책(AML)이나 본인확인절차(KYC)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한다”고 설명했다.(フィンテック企業Tokeny Solutions(以下、Tokeny)は25日、トークン化された金融商品の発行をサポートする了解覚書(MOU)をモナコ政府と締結したことを発表した。)[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그레이스케일, 美 금융산업국제기구에 비트코인캐시·라이트코인 펀드 승인받아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그레이스케일, 美 금융산업국제기구에 비트코인캐시·라이트코인 펀드 승인받아 외 암호화폐·가상통화 뉴스와이어 [블록체인 외신 뉴스브리핑] 8월 19일 코인코드 블록체인 외신 뉴스 브리핑▲ 홍콩 블록체인 기업 디지넥스(Diginex), 나스닥 상장 추진홍콩 기반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디지넥스(Diginex)가 나스닥(NASDAQ) 상장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코인포스트가 7월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디지넥스는 싱가포르의 상장기업 ‘8i Enterprises Acquisition’과의 역 합병 방식으로 나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에 성공한다면 암호화폐 거래소가 미국에 상장하는 첫 사례가 된다. 나스닥은 미국에 있는 세계 최대의 벤처 기업을 위한 주식시장으로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이나 전기 자동차로 유명한 테슬라 등 하이테크주에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디지넥스는 상장을 위해 EQUOS io라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특별인수목적회사(SPAC)로 설립했다. 매수가 완료되는 것을 상장의 목표로 하고 9월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EQUOS io는 기관투자가에 특화된 거래소로 개발팀은 전통파생상품시장 출신이다.(香港を本拠地とする仮想通貨デリバティブ取引所Diginexがシンガポールの上場企業8i Enterprises Acquisition Corp.との逆さ合併で米大手証券取引所ナスダックに上場する予定だ)▲ 필리핀 중앙은행, 디지털통화(CBDC) 검토위 설립...타당성 조사 등 개시필리핀 중앙은행(BSP)의 밴저민 디오크노 은행장은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통화(CBDC)의 실현 가능성과 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BDC 전문위원회를 설립했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앙은행은 CBDC 발행을 결정하기 전에 BSP의 전문위원회가 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디오크노 은행장은 ”현재 필리핀에서는 현금의 수요에 영향을 줄 만큼 디지털상의 통화는 보급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를 대비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첫 조사 결과는 다음 달에 내놓을 계획이다. 또한 디오크노 은행장은 ”암호화폐는 자산 그 자체를 넘어섰고 암호화폐를 지지하는 블록체인 기술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암호화폐와 불록체인에 대해 설명했다.(フィリピン中央銀行(BSP)の総裁は29日、中銀発行のデジタル通貨(CBDC)の実現可能性や政策への影響を調査するため、専門委員会を立ち上げたことを発表した。)▲ 그레이스케일, 美 금융산업국제기구에 비트코인캐시·라이트코인 펀드 승인받아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Grayscale Investment)가 미국 금융산업규제기구(FINRA)로부터 비트코인캐시(BCH)와 라이트코인(LTC) 펀드 공개에 법적 승인을 받았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7월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암호화폐 투자사 그레이스케일은 ‘Grayscale Bitcoin Cash Trust’와 ‘Grayscale Litecoin Trust’을 자사 암호화폐 투자신탁을 통해 공개거래가 가능하게 될 것이며 두 펀드는 BCHG와 LTCN이라는 기호로 OTC 시장에서 거래 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레이스케일의 공시에 따르면 “DTC(증권 보관소)가 적용되기 전까지는 거래가 없을 예정이지만 BCHG와 LTCN은 곧 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그레이스케일 측은 6월 30일 당시 비트코인캐시 트러스트에 2,725,300 주와 라이트코인 트러스트 509,400 주를 관리 중이라고 밝힌바 있다.(Financial regulators in the US approved shares of Grayscale Investments’ Bitcoin Cash and Litecoin trusts for trading on OTC Markets.)▲ 日 SBI 홀딩스, e스포츠 선수 연봉 리플(XRP)로 지급 검토SBI 홀딩스의 요시타카 키타오 CEO는 7월 30일 결산 설명회에서 e스포츠 선수 연봉을 리플(XRP)로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코인포스트가 7월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결산 설명회에서 키타오는 e스포츠 시장규모의 성장를 강조하며 “최근 ‘SBI eSports’도 설립하여 젊은 층에게 인기 있는 e스포츠 사업을 통한 디지털 세대와의 접점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SBI는 e스포츠팀의 운영 및 e스포츠 미디어의 운영과 같이 e스포츠와 관련된 컨설팅 등에 대해 선수연봉을 암호화폐 리플(XRP)로 지급하는 것도 검토하기로 했다. SBI 홀딩스는 리플사와 공동 출자해 설립한 SBI 리플 아시아를 운영 중이고 SBI 리플 아시아는 리플 기반 송금 앱 머니탭 운영사이다.(北尾社長は決算説明会で、「eSports市場規模は、これからもどんどん膨れ上がる」と強調。「SBI eSports」を先日設立したことで、若年層に人気の「eスポーツ」事業を通じたデジタル世代との接点強化にも言及した。)▲ 나스닥 상장 마이닝 업체, 비트코인 채굴 장비 1360개 8월 中 추가 가동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암호화폐 마이닝업체 마라톤 페이턴트 그룹(Marathon Patent Group)이 8월 중순에 비트코인(BTC) 마이닝 기기 1360대를 추가 운영한다고 코인포스트가 7월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마라톤 페이턴트 그룹은 1360대를 모두 8월 중 가동시킬 예정이다. 마이닝 기기는 700대에서 2060대로 증가해 해시 파워는 현재 56 PH/s에서 184 PH/s로 320% 이상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닝기기 1360대의 출처는 중국계 대기업 메이커 MicroBT의 M31S+가 700대이고 Bitmain의 S19Pro가 660대다. S19Pro는 총 1660대를 주문했으며 나머지 1000대는 4분기에 도착 예정이다. 마라톤의 CEO는 “최근 몇 달 사이에 대규모 사업 투자를 실시하여 차세대 마이닝 기기를 합계 3020대 구입했다”고 밝혔다. 추가될 1000대의 S19 Pro 해시 파워를 합치면 총 294PH/s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米ナスダック上場の仮想通貨(暗号資産)マイニング企業Marathon Patent Group(以下、Marathon)は29日、8月中旬に新たにビットコイン(BTC)のマイニング機器が1360台届くことを発表した。)[코인코드 제공/블록체인밸리 편집]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블록체인 기반 아이템 거래 플랫폼 ‘왁스’
블록체인 기반 아이템 거래 플랫폼 ‘왁스’블록체인 기반 아이템 거래 플랫폼 왁스(WAX)에서 약 20만 달러(한화 2억 4천만 원) 상당의 디지털 카드가 판매됐다.왁스는 세계적인 굿즈 제조사 탑스(Topps)가 제작한 시리즈 중 하나인 GPK(Garbage Pail Kids) 디지털 카드를 왁스 플랫폼을 통해 판매했다고 17일 밝혔다. 총 240,000개의 카드가 판매됐으며 판매 규모는 약 20만 달러다. 탑스는 메이저 리그(MLB), 스타 워즈, WWE 등 세계적인 브랜드의 수집품, 카드 등 다양한 굿즈들을 제작하고 있다.판매된 디지털 카드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NFT(Nu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카드다. 각 카드마다 고유한 특징이 있으며 복제가 불가능하도록 블록체인을 통해 정품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에반 반덴버그(Evan Vandenberg) 왁스 사업 개발 팀장은 “이번에 판매된 GPK 시리즈는 기존 수집품 매니아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며 “카드나 굿즈 등 다양한 상품들을 블록체인을 활용해 거래하면 복제나 사기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이어 “NFT 기반의 상품에는 상품 제작 날짜, 총 상품 제작 개수, 희귀도, 정품 인증 등 다양한 정보들이 기록되기 때문에 수집품 매니아들이 아닌 일반 구매자들도 특별한 상품을 쉽게 선별할 수 있다”고 밝혔다.한편, 왁스는 전반적인 사업 개발을 도와줄 총 11명의 어드바이저 카운슬 멤버를 매주 발표하고 있다. 어드바이저 카운슬에는 세계적인 유명 배우 윌리엄 샤트너(William Shatner), 마블 부회장 겸 마블게임즈 책임자인 제이 옹(Jay Ong) 등 다양한 멤버들과 함께 하고 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원투씨엠 힌정균 대표, 설립 7년만에 해외 24개국 사업화 성공.. “최근 코스닥 예비 심사 청구”
원투씨엠 힌정균 대표, 설립 7년만에 해외 24개국 사업화 성공.. “최근 코스닥 예비 심사 청구”핀테크/O2O 전문 기업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은 국내 기업으로 유일하게 매우 전문적 영역인 핀테크, O2O 영역에서 해외에 직접 기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원투씨엠은 이른바 스마트폰에 찍는 도장(브랜드명 ‘echoss Stamp’)로 알려진 기업이다. 스마트폰 화면에 스탬프를 받으면, 적립 서비스, 쿠폰에 대한 사용처리, 심지어 모바일 결제까지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에코스 플렛폼은 이러한 다양한 핀테크와 O2O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 체제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컨셉은 모든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제공되고, 오프라인에서는 단지 스템프만 비치하여 고객의 스마트 폰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 체제이다.이러한 기술 체제를 이용하여 국내 시장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본 NESIC, Toppan, Giftee, 대만 라인(LINE), 싱가포르 NTUC, 필리핀 SMS Global, 미국 Navyzebra 등 24개국의 해외 현지의 유력 기업들에게 핀테크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고, 수익을 쉐어하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해외의 기업들이 원투씨엠의 시스템으로부터 승인 처리를 받아 자신들의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이다. 즉, 전세계 핀테크 서비스의 승인권을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 또한 이를 통해 1일 약 900~1,200만건의 승인데이터를 처리해 주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과 서비스를 제공한다.국내 시장에서도 SK, KT 등과의 제휴를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으며, 쿠팡 등 전자상거래 사업자를 통하여 레져 티켓 등을 판매, 사용 처리 등에도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사업화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강원도의 방역 서비스인 ‘클린강원 패스포트’ 에도 해당 기술을 제공하기도 했다.원투씨엠은 설립 7년만에 해외 24개국에 사업화를 성공하였으며, 단순하게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거나 국내 사업 일부를 해외 시장에서 선보인 정도를 넘어서서 해외 24개국의 기술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고 있다. 또한 해외 현지의 대표 기업들과 제휴 관계를 맺고 서비스를 확대 중이며, 최근 코스닥 예비 심사를 청구하여 IPO를 준비하고 있다.원투씨엠은 이러한 핀테크 승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면서, 스템프 승인 데이터를 기초로 한 빅데이터 사업 및 에코스플랫폼의 핀테크 기술 요소를 클라우드 사업자들과 제휴하여 금융 기관이나 핀테크 기업에 제공하는 이른바 금융 Saas 사업으로 그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원투씨엠의 힌정균 대표는 “IT강국이라고 불리우는 국내에 우수한 기업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IT산업의 인프라와 표준을 장악하고 있는 서구의 기업들은 노력에 비하여 전세계 시장에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며 “이번 코로나 방역 과정에서도 보여준 것과 같이 국내 IT산업은 그 혁신성과 빠른 시장 대처 등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원투씨엠을 비롯한 다수의 IT기업들이 이러한 아이디어와 혁신성을 해외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사업화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원투씨엠은 클라우드 보안 분야와 인증 및 승인 프로세스 처리 및 데이터 분석 관리 역량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진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금융기관이 이용할 수 있는 ‘금융 Saas’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최근 대만에서 오픈한 테이크아웃 서비스는 글로벌 커피 브랜드 매장에서 1일 약 4만건의 주문 처리를 기록하기도 했다.
ⓒ 4차산업혁명의 중심기술 블록체인밸리(Blockchain Valley), 블록타임스TV
-
디지털자산 피해추적 서비스..웁살라시큐리티, 삼성전자 블록체인서비스와 고객지원업무대행 계약 체결
삼성블록체인월렛 이용자 보유 암호화폐 해킹/사기/자금세탁징후 발생 시, 웁살라시큐리티 가상자산피해대응센터 접수 및 대응 절차디지털자산 피해추적 서비스..웁살라시큐리티, 삼성전자 블록체인서비스와 고객지원업무대행 계약 체결글로벌 블록체인 보안 전문 기업 웁살라시큐리티가 삼성전자와 ‘서비스 업무 제휴’ 계약을 공식 체결하고, 디지털자산(암호화폐) 피해 신고추적 고객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웁살라시큐리티 관계자는 "자사의 위협 인텔리전스 데이터베이스에 현재까지(2020년 6월 기준) 5천만 건 이상의 누적 가상자산 블랙리스트를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자산 피해추적 서비스’를 통해 개인 및 기업으로부터 100여건의 암호화폐 사기/해킹 사건을 접수 받아 처리 중에 있다"고 밝혔다.이어 "삼성 블록체인 월렛 이용자가 서비스 사용 중 일어난 가상자산 분실/사기/해킹 등의 피해 신고를 하면, 웁살라시큐리티의 ‘가상자산 피해대응 센터(CIRC)’가 공조하여 고객서비스 차원에서 해당 사건을 무상으로 조사/분석한다. 이를 통해 피해 고객은 사법적 대응에 참조할 수 있는 자금 추적 보고서를 제공받고, 필요시 법률서비스를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아트투게더 예술품대여 서비스 특허 등록 완료
아트투게더 예술품대여 서비스 특허 등록 완료 ㈜투게더아트의 이승현 대표,"‘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특허등록 완료 ‘만원으로 피카소를 사는 유일한 방법’ 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있는 국내 대표 미술품 공동구매 전문 플랫폼 ‘아트투게더’는 ‘예술품 대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특허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아트투게더 관계자에 따르면 특허는 대여자가 요청 또는 검색한 임의의 예술품을 대여하고, 대여된 예술품의 소유권자에게 예술품의 대여 정보와 대여자의 마케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대한 내용이다. 아트투게더 관계자는 "그동안 아트투게더는 미술품 시장의 활성화와 투명성 확보를 위하여 종합 미술품 플랫폼으로 거듭 나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대중들에게 생소한 미술품 거래, 높은 미술품 가격, 어려운 작품 관리와 같은 장벽들을 낮추기 위하여, 전문가를 통한 미술품 선정에서 최소 만원 단위로 조각거래를 통한 분할 소유, 수장고를 통한 엄격한 관리까지 미술품 거래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왔다"고 밝혔다.이어 "이번에 특허 등록된 아트투게더의 예술품 대여 서비스는 단순한 공동 소유에서 미술품의 공유, 투자 가치 확보도 제공한다. 즉, 본인이 공동소유하고 있는 미술품을 아트투게더의 플랫폼을 통해 대여함으로써 이에 대하여 본인이 소유한 조각(지분)에 분배되는 대여료(약 연 4%)를 지급받게 되며, 본인의 작품이 대중적 공간에 전시되면서 많은 사람들과 예술 작품 감상이라는 가치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술품이 전시된 공간에서 소유자로서 다양한 혜택도 받을 수 있다. 미술품이 전시된 공간에서 식음료 할인 서비스를 제공받게 되거나, 미술품이 전시된 전시회의 관람권 할인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미술품을 대여받은 사업자의 경우는 이 작게는 몇 십명에서 많게는 수 백명에 이르는 미술품의 공동소유자들이 미술품 감상을 위하여 사업장을 방문하게 되면서 마케팅 효과 및 매출 증대 효과도 누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실제로 아트투게더를 통하여 공동구매가 이루어진 미술품들은 제이피셰프다이어리, 레귤러식스, 공화춘다이닝포레스트, 투게더앱스, 펄스나인 아이아갤러리 등 다양한 사업장에 대여되면서 공동소유자들에게 대여수익이 배분된 바 있다. 또한, 매각을 통해서도 수익을 달성한 사례도 있는데, 타카시 무라카미의 작품의 매각수익률 44.5%, 마리킴의 작품의 매각수익률 146.82%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아트투게더를 운영하는 ㈜투게더아트의 이승현 대표는 “아트투게더는 미술품과 관련된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어려운 미술시장에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자는 것이 아트투게더가 내세우는 가장 중요한 기치다.” 면서 “아트투게더는 미술품 소유, 공동 구매, 미술품 임대와 임차, 렌탈과 매각 등 미술품의 소비 사이클에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다” 고 밝혔다.
-
가상자산 원스탑플랫폼 ‘톡큰’ 8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완료
가상자산 원스탑플랫폼 ‘톡큰’ 8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완료 가상자산 원스탑플랫폼 톡큰(Talken)을 운영하는 콜리전스가 어니스트벤쳐스, 아만타니파트너스, 파로스컨설팅으로 부터 8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톡큰(Talken)은 다양한 가상자산의 정보 획득, 보관, 간편 교환이 가능한 원스탑 서비스 플랫폼이다. 톡큰 회원은 가상자산 프로젝트 별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정보 공유 활동의 보상으로 가상자산 톡(TALK)을 지급받는다. 이렇게 획득한 톡(TALK)은 지갑과 간편교환 서비스에서 수수료 및 타 가상자산 교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톡(TALK)은 대표적인 국내 플랫폼 중 하나인 루니버스(Luniverse) 체인으로 발행된다.톡큰 프로젝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가치가 사용자 개개인이 만들어내는 컨텐츠와 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에서 나오지만 사용자들은 기여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상에는 소외되어 있다는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플랫폼(톡큰)과 유저(컨텐츠 크리에이터)가 합리적인 보상을 바탕으로 상생할 수 있도록 토큰 총 발행량의 50%를 보상풀로 책정하여 매주 발행하고 있으며 집단지성을 통해 가치 있는 정보가 선별될 수 있도록 다양한 업데이트를 진행중이다. 보상형 커뮤니티와 함께 톡큰 서비스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멀티지갑 서비스 또한 특유의 장점이 있는데, 화이트박스 암호화를 바탕으로 가상자산을 안전하게 보유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플랫폼의 가상자산을 다루고 교환하는데도 유리하다. 톡큰의 멀티 지갑은 이러한 특장점을 앞세워 조만간 공개될 간편교환 서비스를 통해 타 지갑서비스와 차별화되는 고유의 사용 경험을 선보일 예정이다.2019년 6월 오픈 베타서비스 출시 이후 현재까지 누적 회원 약 3만, 누적 참여 (게시물 작성 및 리액션) 약 100만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1주년 이벤트 이후 주간 1만명 이상의 방문자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진행된 온라인 밋업(AMA)에서는 토큰 발행과 상장 계획 등의 사안에 대해 유저들과 성실히 커뮤니케이션하는 등 조용하지만 꾸준한 행보를 이어 나가고 있다.투자사인 어니스트벤처스의 김병관 부대표는 "가상자산 사업은 그동안 중앙화 거래소 모델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앞으로 점차 다양한 자산의 토큰화 및 탈중앙화가 키워드가 될 것" 이라는 전망과 함께 "가상자산 시장 분위기가 개선되면 동사 사업 모델이 본격적으로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라고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주민수 콜리전스 대표는 "지난 3월 진행된 코박의 퍼블릭 세일에서 판매 개시 후 1분도 안되어 모든 물량이 소진되었을 때 저희 서비스에 대한 기대에 기쁘면서도 한편으로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 라며 "비록 스팀잇(Steemit)도 완성하지 못한 과제이지만, 톡큰(Talken)은 서비스와 토큰이코노미를 통해 스스로 가치를 창조하고 순환시킬 수 있는 완결된 보상형 블록체인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전하겠다" 라고 밝혔다.
-
빗썸, 신규 메신저 채널 오픈..텔레그램 통해 가상자산 시세 및 블록체인 콘텐츠 등 실시간 제공
빗썸, 신규 메신저 채널 오픈..텔레그램 통해 가상자산 시세 및 블록체인 콘텐츠 등 실시간 제공국내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대표 허백영)은 신속하고 편리한 정보 제공을 위해 텔레그램 채널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빗썸 공식 텔레그램 채널은 ▲시세 알림 ▲시세 급등락 알림 ▲가상자산·블록체인 관련 콘텐츠 제공 ▲공지사항 ▲이벤트 알림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매일 오전 8시 시가총액 기준 상위 주요 가상자산의 시세를 확인할 수 있다. 알림 대상 자산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캐시(BCH), 이오스(EOS) 등 10개 가상자산이다. 시세가 급등락하는 가상자산에 대한 알림도 제공한다. 현재 알림 대상 자산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비트코인캐시(BCH), 비트코인에스브이(BSV), 라이트코인(LTC) 등 6개 가상자산이며, 시세가 전일대비 5% 이상 급등락할 경우 알림 메시지가 발송된다. 또한 가상자산 및 블록체인 관련 콘텐츠도 제공된다. 빗썸카페를 통해 제공하는 빗썸 위클리리포트와 뉴스레터 등을 텔레그램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빗썸 텔레그램 서비스는 텔레그램 앱 상단 돋보기 메뉴에서 'bithumbexchange' 검색 후 ‘빗썸 공식 채널’ 들어가기 버튼을 통해 접속 가능하다. 텔레그램 오픈을 기념해 6일부터 12일까지 1주일간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에 텔레그램 채널에 입장하면 추첨을 통해 신세계상품권 5만원권을 지급하며, 빗썸캐시, 치킨 기프티콘 등 경품도 제공한다. 빗썸 관계자는 “신규 메신저 서비스 오픈으로 고객들에게 가상자산 시세 등 다양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가상자산과 블록체인에 관련된 유용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
블록체인 프로젝트 젠서, 미국 타임스퀘어 나스닥 전광판에 광고 송출
블록체인 프로젝트 젠서, 미국 타임스퀘어 나스닥 전광판에 광고 송출미국 뉴욕(New York), 타임스퀘어 나스닥 전광판에 젠서(Xensor)가 울려퍼졌다. 현지시각 2020년 6월 26일 저녁, 세계 금융의 중심이자, 미국 금융의 중심인 뉴욕에서 블록체인 프로젝트 젠서의 광고가 송출되었다고 밝혔다.젠서 관계자는 "젠서는 저전력-장거리(LPWA) 센서를 기반으로 건물의 관리 포인트를 자동으로 감시하고, 화재와 누수, 감전 등의 위험을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대비할 수 있는 IoT 프로젝트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였으며, 건물 주요 포인트에 배치되어 있는 센서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해 이를 탈중앙화 방식으로 거래할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밝혔다.이어 "젠서는 이미 국내 다수의 대형 빌딩들에 배치되어 있다. 다양한 모듈을 장착한 센서를 하나의 통합된 게이트웨이를 통해 자동 관리 함으로써, 각 빌딩의 안전과 관리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최근에는 베트남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시장에 진출하여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으며, 상표권 출원과 더불어 해외 특허 확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젠서 관계자는 “이번 타임스퀘어 광고도 이러한 해외 진출 사업의 일환”이라며, “젠서의 센서 모듈과 통합된 게이트웨이의 효용성은 이미 국내와 동남아지역의 실배치를 통해 증명되었고,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아시아를 넘어 더 넓은 세계 시장으로 나아가겠다는 맥락”이라고 밝히며,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위·변조될 수 없다는 특성 때문에, 건물 관리에서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요하는 정부 기관이나 대형 기업들의 건물 관리에 안성맞춤이라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전했다.최근 언택트(Untact), 또는 컨택리스(Contactless)라는 새로운 비즈니스 트렌드가 대두되는 가운데, 건물의 관리와 설비의 점검을 다수의 사람이 일일이 직접 수동으로 관리하지 않고 소수의 사람이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젠서의 센싱 모듈과 그 솔루션이 미국 시장을 비롯한 해외 시장에서 어떠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글로벌 오픈 페이먼트 연합(Open Payment Coalition),리플에서 코인원까지..창립회원기관은 누구?
글로벌 오픈 페이먼트 연합(Open Payment Coalition),리플에서 코인원까지..창립회원기관은 누구?블록체인 기반 해외 송금 서비스 선도 기업 리플(Ripple)을 포함 4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 및 비영리 기관이 결성한 오픈 페이먼트 연합(Open Payment Coalition)이 서로 다른 결제 네트워크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정 ‘페이ID(PayID)’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금일 공개했다.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Coinone) 역시 해당 솔루션 참여 소식을 알렸다. 페이ID 계정은 이메일 형식(예:user$domain com)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은행 계좌나 라우팅 번호, 신용카드 번호 같은 기계적인 숫자 나열과 달리 직관적이고 한 눈에 파악 가능하며, 모든 금융기관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은행이나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송수금자가 통일성 없는 계정 때문에 감수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페이ID는 기존 금융 시스템에 핀테크 기술을 접목시키는 결제용 오픈 소스다. 세계 최초로 모든 기업을 통합할 수 있는 하나의 표준(Standard)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그동안 결제 네트워크 망 내 개인 간 연결을 시도하는 움직임은 있었지만, 글로벌 하게 접근 및 적용 가능한 표준은 페이ID가 처음이다. 따라서 페이ID는 은행, 결제 및 송금 서비스 제공업자, 전자지갑 서비스 공급자 등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기업의 경우 페이ID 사용 시 더 많은 네트워크와 소비자에게 접근할 수 있으며 각국의 법정 통화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거래 등에도 활용가능 해 사업 확장성을 높여준다. 더불어 페이ID는 오픈 소스를 통해 대형 금융기관과 글로벌 비영리 기관, 모빌리티 애플리케이션이나 인터넷은행기업까지 업계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보안과 개인 프라이버시 확보 방안까지 통합 가능하다. 아울러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 범죄 단속 네트워크 핀센(FinCEN)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권고사항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의 트래블 룰(거래자 신원 정보 제출 의무화 규제) 준수 방안도 제공한다. 리플의 오픈 플랫폼 엑스프링(Xpring) 수석부사장(SVP) 이던 비어드(Ethan Beard)는 “차세대 결제 네트워크는 인터넷 웹사이트처럼 모든 기업이 네트워크 망 내 서비스를 구축하는 것 만으로 참여할 수 있는 오픈형이어야 한다. 페이ID가 바로 결제용 오픈 네트워크 구축의 시작이다”라며, “페이 ID와 같이 송수금 절차를 간소화한 결제용 오픈 네트워크는 전 세계인을 위한 디지털 결제 성장 및 활용을 가속화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페이ID는 리플과 더불어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Coinone), 인도네시아 핀테크 유니콘 기업 고젝(Gojek), 영국 대표 암호화폐 기업 블록체인닷컴(Blockchain.com), 미국 블록체인 기반 브라우저 브레이브(Brave) 등 40개 이상 글로벌 기업과 비영리 기관이 가입되어 있는 오픈 페이먼트 연합을 통해 개발됐다. 관련 기업 전체 고객 수는 총 1억 명에 달한다. 본 연합은 기존 결제 시스템에 존재하는 사일로 현상(다른 업계와 교류·협업하지 않는 것)과 분산돼 있는 표준 방식을 깨고 글로벌 디지털 결제 가속화와 결제 방식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이번 오픈 페이먼트 연합에 참여한 코인원 차명훈 대표는 "코인원은 블록체인 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혁신시킨다고 확신하고 있으며, 당사의 비전 '새로운 연결이 세상에 스며들다(Bringing Blockchain into the World)'와 맞닿아 있는 페이ID 연합에 파트너사로 참여 중이다”라며 “페이ID는 송금 과정을 단순화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우리의 금융 일상에 큰 혁신을 일으킬 솔루션이기에 코인원 또한 파트너사로서 페이ID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다”라고 말했다.[참고자료=아래는 글로벌 오픈 페이먼트 연합(The Open Payments Coalition) 창립 회원 기관임]비트비엔에스(BitBNS), 비트고(BitGo), 비트페이(BitPay), 비트루(Bitrue), 비트소(Bitso), 비트스탬프(Bitstamp), 블록체인닷컴(Blockchain com), 브레이브(Brave), 비알디(BRD), 비트코인마켓(BTC Markets), 케어(Care), 사이퍼트레이스(CipherTrace), 코일(Coil), 코인필드(Coinfield), 코인미(Coinme), 코인원(Coinone), 코인스(Coins.ph), 크립토닷컴(Crypto.com), 디머니(Deemoney), 다르마(Dharma), 드올라(Dwolla), 플래시에프엑스(FlashFX), 플러터웨이브(Flutterwave), 포르테(Forte), 게이트허브(GateHub), 기브다이렉틀리(GiveDirectly), 기빙블록(The Giving Block), 글로벌아이디(GlobalID), 고페이(GoPay), 후오비(Huobi), 인디펜던트리저브(Independent Reserve), 리퀴드(Liquid), 머큐리FX(Mercury FX), 머시콥(Mercy Corps), 모더스박스(Modusbox), 폴리사인(PolySign), 스탠다드차티드 벤처(Standard Charted Ventures), 시그넘(Sygnum), 탄젬(Tangem), 트리사(TRISA), 언스탑퍼블도메인즈(Unstoppable Domains), 업홀드(Uphold), 와이어(Wyre), XUMM
-
BORA 전용 지갑 ‘BORA Wallet(보라 월렛)’ 모바일 앱 런칭
BORA 전용 지갑 ‘BORA Wallet(보라 월렛)’ 모바일 앱 런칭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 대표 차지훈)가 언제 어디서든 BORA 토큰을 관리할 수 있도록 BORA Wallet(보라 월렛)의 모바일 앱 버전을 런칭했다고 26일 밝혔다.BORA Wallet은 BORA ISLAND(아일랜드) 서비스에 가입하면 자동으로 제공되는 암호화폐 개인 지갑 서비스로, BORA 플랫폼 내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에서 사용할 수 있는 BORA 토큰과 SHELL 토큰을 안전하게 관리 보관할 수 있다.BORA Wallet으로 이더리움 기반의 BORA 토큰과 BORA 플랫폼 디지털 콘텐츠 전용 화폐인 SHELL 토큰 간의 전환도 손쉽게 가능하며, 이메일 주소만 알면 복잡한 지갑 주소를 몰라도 간편하게 토큰을 전송하고 거래내역도 바로 확인할 수 있다.BORA Wallet 앱은 BORA 아일랜드 회원 가입 후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BORA 차지훈 대표는 "블록체인 버전 게임이 계속 출시될 것을 고려해 암호화폐를 잘 모르는 게임 유저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UI/UX로 구성했다.”며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서비스 안전성과 편의성을 계속 업그레이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한편, BORA는 올해 게임 서비스를 핵심으로 BORA 아일랜드 계정 ID로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채널링 서비스 ‘with BORA’를 제공하고 있으며, BORA 토큰의 획득, 소비, 사용이 가능한 전용 콘텐츠가 접목되는 ‘for BORA’ 버전 게임의 론칭도 진행하고 있다.
-
반려동물 신원인증 개발사 블록펫, 비브릿지파트너스에 후속 시드 투자 유치
반려동물 신원인증 개발사 블록펫, 비브릿지파트너스에 후속 시드 투자 유치- 스마트폰으로 쉽게 반려동물 생체정보 등록, 개체인증 가능한 핵심기술 보유- 반려동물 개체인증을 통한 분양, 입양, 보험, 의료 등 평생 생애주기 블록체인에 관리 블록체인으로 반려동물 신원인증..블록펫,비브릿지파트너스에 후속 시드 투자 유치스타트업에 전문투자를 하는 비브릿지파트너스(대표이사 공상록, 박찬호)가 블록체인 기반의 반려동물 커뮤니티 디앱(DApp, 탈중앙화 앱)서비스를 운영중인 블록펫(BlockPet, 대표이사 박희근)에 시드 투자를 진행 했다.블록펫 관계자는 "블록펫이 작년 8월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로부터 첫번째 시드 투자 유치에 이은 두번째 후속 투자 유치이다"고 밝혔다.이어 "블록펫(BlockPet)은 반려동물의 눈, 코, 입을 중심으로 안면을 촬영하여 개체를 인식하는 펫신원인증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 시행중인 반려동물등록을 대체할 핵심기술로 전자칩이나 외장형 전자태그 없이 간편하게 스마트폰만으로 반려동물의 생체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개체인증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블록펫의 핵심기술은 펫신원인증기술(PIAT ; Pet Identity Authentication Technology)을 통한 유니크한 ID를 추출하여 블록체인 지갑을 만들고 디지털 자산 전송과 반려동물 개체인증에 사용한다. 블록펫은 “이미지 기반의 개체인식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등 2건의 관련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블록펫은 이번 비브릿지파트너스의 투자를 통해 국내 연구기관과 같이 데이터를 공유하여 펫신원인증기술 및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 할 예정이다..블록펫(BlockPet)은 2019년 NIPA, 블록체인 기술검증(PoC)지원사업으로 선정되어 경기도도우미견나눔센터에 보호중인 유기견 개체정보를 블록체인에 등록하는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바 있다. 또한, 블록펫의 디앱(DApp) 펫컴퍼니는 카카오톡 내에 있는디지털지갑 KLIP으로 펫컴퍼니 디지털자산 펫토큰(BPT)을 담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박희근 블록펫 대표는 ”반려동물 개체 정보와 건강기록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펫보험, 케어, 장례 서비스 등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기대하고 또한 빅데이터와 AI기술을 기반으로 가치있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시장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전문기업이 되겠다.”고 자신했다.비브릿지파트너스는 스타트업 투자기업의 코칭과 멘토링, 사업모델에 맞는 압축성장을 지원하고 있으며, 현재 블록체인· Bio, AI, Fin Tech 플랫폼 서비스를 중심으로 혁신적인 사업모델의 스타트업 투자와 사업화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
코인베네 글로벌, 선물거래 증정금 지급 이벤트 진행
코인베네 글로벌, 선물거래 증정금 지급 이벤트 진행코인베네 글로벌(CoinBene Global)은 선물(계약)거래 시 현물 20USDT를 전원에게 지급하는 이벤트를7월 5일까지(약 4주간) 진행한다고 밝혔다.코인베네는 세계 각국에 지점을 두고 운영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로,안전하고 우수한 서비스를 바탕으로 선물 거래량 기준 글로벌 top 5 이내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본 이벤트는 코인베네 선물거래로 10USDT 이상, 3회 이상 거래한 전원에게 20USDT를 지급하며,이벤트 페이지(https://forms.gle/J2LBdhg4a3Ukvhpm7)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증정금 이벤트 참여자 중 누적 거래량 기준 최다 거래자 3명에게 총 350만원 상당의 USDT를 추가로 지급하는 이벤트를 동시에 진행한다고 밝혔다. 코인베네의 USDT 무기한 계약은 동일한 계정으로 매수 및 매도 양방향 거래가 가능하며, 100배의 레버리지 거래, 서버 이상 등 사고 발생시 손실액 100% 보상과 24시간 상시 출금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이벤트 문의 : 텔레그램 @coinbeneR_kr
-
[레이븐랜드에 듣다]③ 디지털 자산 증권의 발행 플랫폼 레이븐코인 잠재력 무궁무진해
[편집자 주 = 디지털 자산 토큰화 바람이 거세다. ICO와 IEO를 지나 STO란 이름으로 디지털 자산 토큰화 시장이 열리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자산토큰화 시장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잇달아 나오면서 걸음마를 떼고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논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런던에서의 토큰화 시장과 레이븐랜드로 어떤 것을 구현하려고 하는지 레이븐코인아시아와 공동으로 디지털 자산의 월스트리트 '커뮤니티 월스트리트'를 꿈꾸는 레이븐랜드 CEO 아담 불과 인터뷰를 문답식으로 진행했다.(구성 총4편)][레이븐랜드에 듣다]① 英 런던의 자산토큰화 시장과 전망은?[레이븐랜드에 듣다]② 레이븐코인 기반 글로벌 자산토큰화 바람 일으킬 것[레이븐랜드에 듣다]③ 디지털 자산 증권의 발행 플랫폼 레이븐코인 잠재력 무궁무진해[레이븐랜드에 듣다]④ 디지털 토큰 솔루션(DTS)과 레이븐엑스 중점 육성에 힘쓰고 싶어 레이븐랜드 CEO 아담 불 Q1.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A1. 안녕하세요. 저는 레이븐랜드의 설립자이자 레이븐코인 커뮤니티 개발자 Adam Bull입니다. 20년 넘게 리눅스(Linux) 엔지니어로서 보안과 인프라에 관심이 있었습니다.유닉스(Unix) 시스템 및 전자 상거래 프레임 워크의 보안, 개인 정보 보호 및 권한 부여 그리고 ID관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암호화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데이터 센터 엔지니어이기도 한 저의 전문분야에 가깝습니다.처음 접한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이었지만 디지털 자산과 증권의 발행을 가능하게 해주는 레이븐코인의 잠재력에 반해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기여하게 되었습니다. Q2. 자산토큰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지난 5년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그리고 레이븐코인을 알게 되는 흥미진진한 여정이었습니다. 제가 자산토큰화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바로 이 여정을통해서입니다.블록체인이라는 신뢰가 필요 없지만 역설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화(Digitalization) 메커니즘을 통해 국경의 제약없이 거래와 무역그리고 투자가 가능하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또 자산의 디지털화가 단순히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위에 올리는 것을 넘어서 비즈니스 계약, 거래그리고 무역의 모든 과정이 디지털화되는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불필요한 종이와 폐쇄적인 기존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자유로운 투자와무역이 가능해지는 것이 다음 세대에는 보편화될 것이라는 믿음이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화된 세상에서 국제 거래와 무역, 계약의 표준이 되는 솔루션과 플랫폼은 매우 중요한 인프라가 될 것입니다.저는 레이븐코인이 언젠가는거래와 무역 그리고 계약의 국제적인 표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레이븐랜드는 이러한 오픈소스 플랫폼인 레이븐코인 위에서의 모든 비즈니스 활동을 지원할 것입니다. Q3. 레이븐랜드 설립 이전에는 무슨 일을 하셨나요? 흥미로운 경력을 가졌을 것 같아요. A3. 저는 영국 Kingston University London에서 C ++ 및 소프트웨어 개발 및 네트워크 통신을 공부했습니다. 대학교 2 학년 때 중퇴하고 런던에서 통신 스타트업을 차렸습니다.그 후 영국 국방부에서 주로 PHP 개발자와 리눅스 엔지니어 및 모의 해커로 일했습니다. 2005 년부터 주요 관심사는 인프라 및 클라우드 서비스였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주요 ISP에 일하면서 전세계에 분포한 5개의 데이터센터와 100,000여개가 넘는 하이퍼 바이저[1] (hypervisors)를 유지관리했습니다.그 외에도 API와 Xenserver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가상화 및 자동화에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이 저를 유닉스(Unix) 엔지니어, 클라우드 엔지니어, 그리고 API 자동화 엔지니어 성장시켰습니다. 레이븐랜드를 시작하기 전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인 Rackspace에서 일하면서 블록체인와 핀테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보안과 해킹 분야에서 10년, 암호화 분야에서는 20년 넘게 일한 경력이 레이븐랜드를 설립하는 바탕이 되었습니다. Q4. 두번째 서울 방문이라고 들었습니다. 작년 9월, 레이븐코인 아시아 2019 밋업 때 처음 한국을 방문했다고 들었습니다. 첫 방문은 어땠나요? A4. 저는 레이븐코인 아시아 2019 밋업에서 천 명이 넘는 청중 앞에서 레이븐랜드가 개발한 제품들과 프로젝트의 장기적인 비전을 소개했습니다.레이븐랜드는 “레이븐코인 블록체인 솔루(Ravencoin Blockchain Solutions)” 라는 기치 아래에 레이븐코인 블록체인 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비즈니스 활동, 자산토큰화부터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화(digitization)를 지원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레이븐코인 아시아 2019에 참석하면서 레이븐랜드의 비전이 실현가능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아시아 전역에서 모여든 참석자들의 열정은 레이븐코인생태계의 건강함과 지속가능성을 증명했습니다.특히 초기 이더리움 커뮤니티가 떠올랐습니다. 레이븐코인이 잠재적으로 더 클 수 있다는 사실은 저를 포함해서 많은 이들을 흥분시켰던 것 같습니다. 한국을 방문하는 것은 언제나 유쾌합니다. 한국의 암호화폐 커뮤니티는 꽉 차 있으며 박식하고 성공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한국 커뮤니티의 지원은 저를북돋아주고 개인적으로 많은 의미를 가집니다. 출처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http://www.fintechpost.co.kr)
-
[레이븐랜드에 듣다]② 레이븐코인 기반 글로벌 자산토큰화 바람 일으킬 것
[편집자 주 = 디지털 자산 토큰화 바람이 거세다. ICO와 IEO를 지나 STO란 이름으로 디지털 자산 토큰화 시장이 열리고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자산토큰화 시장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잇달아 나오면서 걸음마를 떼고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논의 단계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런던에서의 토큰화 시장과 레이븐랜드로 어떤 것을 구현하려고 하는지 레이븐코인아시아와 공동으로 디지털 자산의 월스트리트 '커뮤니티 월스트리트'를 꿈꾸는 레이븐랜드 CEO 아담 불과 인터뷰를 문답식으로 진행했다.(구성 총4편)][레이븐랜드에 듣다]① 英 런던의 자산토큰화 시장과 전망은?[레이븐랜드에 듣다]② 레이븐코인 기반 글로벌 자산토큰화 바람 일으킬 것[레이븐랜드에 듣다]③ 디지털 자산 증권의 발행 플랫폼 레이븐코인 잠재력 무궁무진해[레이븐랜드에 듣다]④ 디지털 토큰 솔루션(DTS)과 레이븐엑스 중점 육성에 힘쓰고 싶어 Q1. 아시아 블록체인 산업에서 어떤 기회를 보시나요?A1. 블록체인은 자산토큰화에 최적화되어 있는 기술입니다. 자산토큰화는 중소벤처(SME)기업에게 큰 기회이고 특히 소규모 투자자들은 나스닥과 월가를 대체하는 새로운 마켓 플랫폼을 접하게 될 것입니다.불확실성도 존재하지만 이 시장은 잠재력과 위험에 대한 보상이 크다고 봅니다. 자산토큰화 시대는 기업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예컨대 부동산을 자산토큰화하면 이론적으로 사기 및 위변조와 거래비용을 줄여줄 것입니다.무엇보다 국제적으로 자동화된 계약 시스템이 개발될 수 있어 한국의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외국의 투자가 활발해질 수도 있습니다. 금융 비즈니스 산업에서의 일종의 월드와이드웹 (World Wide Web)이 출현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 블록체인과 자산토큰화 산업의 잠재력은 크다고 봅니다. 물론 위험도 존재합니다. 자산토큰화 같은 시도는 실험적입니다. 하지만, 이더리움도 마찬가지였습니다.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금융시스템을 디지털화하는 시도는 얼마나 의미 있고 가슴 뛰는 일입니까? 금융 시스템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사람들의 삶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입니다. 규제적인 관점에서 봐도 기존 시스템보다 더 엄격하게 불공정 행위와 시스템 오류의 제어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Q2. 레이븐랜드는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나요?A2. 레이븐랜드는 자산토큰화를 실제로 구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향후 3년간 150개의 자산을 토큰화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중소벤처기업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유가증권과 실물자산 구분없이 자산토큰화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적극적으로 나설 생각입니다.특히, 런던을 필두로 한 유럽과 싱가포르와 서울 중심의 아시아 시장에서 자산토큰화를 실현 할 계획입니다. Q3. 자산토큰화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지 궁금합니다. A3. 지난 몇 년 동안 우리가 배운 것처럼 훌륭한 기술과 그것의 보편적인 쓰임 사이에는 실용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레이어-투 솔루션이 필요합니다.레이븐랜드 CEO 아담 불우리는트론블랙 등 레이븐코인 개발자들이 구현하고 있는 기술이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레이어-원 기술을 기반으로 레이어-투 솔루션을만드는 것이 레이븐랜드의 일차적인 목표입니다.레이븐코인으로 STO와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할 수 있게 도와주는 레이븐랜드DTS, 디지털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레이븐엑스(RavenX) 등이 예입니다. 물론 레이븐코인OS를 통해 레이븐코인 블록체인의 인프라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레이븐랜드의 목표는 단순히 레이어-투 솔루션을 개발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레이븐랜드는 비즈니스이고 비즈니스는 구현(execution)입니다.레이븐코인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을 해서 회사를 성장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레이븐랜드는 다양한 글로벌플레이어들을 협력해서 자산토큰화 시장의 파이를 키울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가 직접 자산토큰화 생태계의 확장과 발전을 이끌 것입니다. 출처 : 블록체인밸리::No.1 Korea Blockchain & Fintech Media(http://www.fintechpost.co.kr)
- ▷ Blockchain Leaders 더보기
-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
- 돈 탭스콧(Don Tapscott), "블록체인을 해킹하려면 치킨 맥너겟을 다시 치킨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바이낸스 3주년 기념 온라인 컨퍼런스 스피커 주요발언]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를 운영하는 바이낸스가 오늘 3주년을 기념하여 열린 ‘차트를 넘어선 가상 컨퍼런스’에서 향후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Middle East & North Africa)로 확장하겠...
-
- [인터뷰+] 가브 네이션 CEO "비트킵, DESM 알고리즘으로 우수한 보안력 입증... 전세계적으로 모은 빅데이터로 거래…
- 블록체인 비트킵 월렛은 다중체인,다중코인의 탈중심화 라이트 지갑으로 알려진 독립적 DESM 암호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합정동 디벙크 카페에서는 지난 13일 비트킵 월렛 밋업이 열렸다. 비트킵의 가빈 네이션(Gavin Nation) CEO와 인터뷰를 진행했다.Q1. 비트킵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비트킵은 대략적으로 6가지의 기능이 있습니다. 오..
-
- [인터뷰+] 블록체인 리쿠르팅 플랫폼 오프니티 CTO 로저리 "투명한 채용 경로와 인재 풀의 국가간 활발한 교류, 결…
- 글로벌 구직 커뮤니티 플랫폼 오프니티(Opennity)가 최근 한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과 전문 인력을 연결시키는 데 방점을 둔 오프니티 플랫폼의 핵심 비즈니스 취지는 블록체인생태계 시스템을 통해 기업들의 전문 인력 구인 시장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취업을 돕고 , 채용 루트를 넓혀 인재확보..
-
- [인터뷰+] 바차라 아매밧 식스네트워크 대표, "블록체인이 디지털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 시프트 불러올 것”
- “프로젝트 ECHO는 카카오 ‘클레이튼’ 메인넷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체제에 그림과 영상, 글,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패러다임 시프트를 불러올 것” "특히, 오늘 날 금융업계 외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상용화된 사례가 많지 않은 만큼, 디지털 ...
-
- [인터뷰+] 이근배 삼성리서치 AI 센터장,"‘A’lgorithm(알고리즘), ‘B’ig Data(빅 데이터), 그리고 ’C’omputing power(컴…
-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화두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저마다 AI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고, 관련 기업에 투자하며, AI 연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놓인 AI는 IT 분야뿐 아니라 자동차, 은행, 병원 등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생활 전반을 바꿔 나가고 있다.삼성전자도 AI의 중요성을 빠르게 ...
-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 [인터뷰+] 갤럭시 폴드 만든 정혜순 상무·박지선 상무,"“TV만 ‘거거익선’?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죠”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각각 있었지만, 그 두 개를 합쳐 놓으면 경험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영화나 뉴스를 보고, 검색을 하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경험이 큰 화면에서 새롭게 재탄생하는 것이죠. 이제 스마트폰도 ‘거거익선(巨巨益善)’.
-
- [인터뷰+] 온톨로지 사업개발총괄 키네스 "게임 외에도 킬러댑스 들 많아... 올해 안에 200개 댑스 소싱 목표"
- 체이너스가 퍼블릭체인 온톨로지와 블록체인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진행중인 가운데 지난 11일 마포구 서울창업허브에서 '온톨로지X블록체인 게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했다.온톨로지는 분산 원장과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성능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이자, 분산된 신뢰를 기반으로 한 ...
-
- [인터뷰] Angelium CEO 리오 "크로스현실과 블록체인의 결합, 엔젤리움 프로젝트가 만들려는 세상은 머지않아 다가올…
- 엔젤리움프로젝트는 블록체인과 가상현실, 크로스현실등을 결합해 Asset tokenization 을 실현하려고 한다.일본 베이스의 프로젝트로, 가상현실을 통해 고객들에게 토큰 서비스 보상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고만화샵, 쇼핑몰 , 엔터테인먼트 등의 영역을 이용해 나라별 마켓 대중화도 실현하려고 하는 엔젤리움 프로젝트의 Rio Takeshi Kubo CEO와 인터.
-
- [인터뷰] SEN 마이크로 결제 플랫폼 CEO 리차드 "콘텐츠 시장의 새로운 룰 만들 것,,,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콘텐츠…
- "What we are looking to do is create a whole way to attach a very very small amount of value to any kind of information"콘텐츠 및 정보에 조그만 가치라도 부여할 것, Richard Northcott는 SEN 플랫폼의 CEO이다.SEN플랫폼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콘텐츠를 결제할 수 있는 디지털 통화 마이크로 결제 시스템 플랫폼을 구현하려고 한다.리차드 CEO는 엔푸(Enfour)의 설...
-
- [인터뷰] Platinum community growth 매니저 블라드 " 한국시장에서의 큐다오 스테이블 코인 마케팅 성공적, 앞으로도 큐…
- Platinum (플래티넘)은 토탈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사업 솔루션 업체이다.특히 자체적으로 나라별 스테이블 코인 발행 계획을 갖고 있는 것이 돋보인다.현재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인 USDQ를 발행했고 몇개 거래소에 상장을 마쳤다.한국에 작년부터 마케팅 매니저를 파견해 한국시장에 눈독들이고 있는 플래티넘의 신성 커뮤니티 Growth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