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I "BCH 상폐 결정, 타 거래소 BSV 상폐와 무관"
▲ 외신 "크레이그 라이트, '가짜 이메일' 증거 자료 철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크레이그 라이트가 데이브 클라이먼(Dave Kleiman) 가족과의 법정 공방에서 제출한 소위 '가짜 이메일' 증거 자료를 철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한 레딧 사용자(Contrarian__)가 크레이그 라이트의 허위 자료 제출 의혹을 제기했으며, 이와 관련 그는 "크레이그 라이트가 재판에서 데이브 클라이먼이 2012년 발송한 이메일 내용이라며 제출한 증거 자료를 살펴본 결과, PGP 시그니처(PGP signature) 작성 시기가 데이브 클라이먼이 사망하고 1년 후인 2014년 3월 12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BTC 단기 상승... 주요 거래소서 5,300 달러선 일시 회복방금 전 BTC가 단기 상승 흐름을 나타내며 바이낸스, 후오비 등 주요 거래소에서 5,300 달러선을 일시 회복했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기준 0.19% 오른 5251.27 달러에, 후오비 기준 0.17% 오른 5,251.3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SBI "BCH 상폐 결정, 타 거래소 BSV 상폐와 무관"일본 최대 저축은행 SBI홀딩스가 최근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의 비트코인캐시(BCH, 시가총액 4위) 상장폐지 결정에 대해 "비록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가 수석 개발자로 있는 엔체인(nChain)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그와의 협업관계를 맺었지만, 이번주 SBI의 BCH 상장폐지 결정은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비트코인사토시비전(BSV, 시가총액 14위) 상장폐지와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전했다. 이와 관련해 SBI는 "BCH 상장폐지는 계획에 있던 일이며, 앞서 일본가상통화거래소협회와 협의된 바 있다"며 "이번 결정은 BSV 상장폐지와는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엘레나 강 “후오비, 디지털 금융 플랫폼 사업 추진 중”
후오비 코리아, 엘레나 강 “후오비, 디지털 금융 플랫폼 사업 추진 중”후오비 코리아 전략기획실 엘레나 강 실장은 지난 14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모바일 애드테크 콘퍼런스 ‘맥스서밋 2019(MAX SUMMIT 2019)’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털 금융 플랫폼의 미래’ 세션의 패널로 참여, “후오비 그룹이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고 밝혔다.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벤처업종 제외 관련해서는 암호화폐 산업은 사행성이라 외면하고 블록체인만 육성하려는 현 정부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암호화폐 산업 내에서 긍정적인 시각을 형성할 수 있는 좋은 이슈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전했다.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최우선 목표로 하는 후오비 그룹은 거래소의 기능을 넘어 금융 서비스 제공에도 힘을 쏟고 있다. 최근 정식 론칭한 ‘후오비 챗(Huobi Chat)’에서 암호화폐를 통해 상품을 결제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인 것을 비롯해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후오비 월렛(Huobi Wallet), 후오비 메인 지수(HB10)를 통한 지수 펀드 상품 등 다양한 디지털 금융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강 실장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나려는 트렌드 관련하여 “후오비 그룹은 기존 금융 서비스와 차별화된 암호화폐 서비스를 선보이는 과정에서 금융권에서 준수하는 규제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합법적인 비즈니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전 세계 여러 규제기관과 조율하고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후오비 그룹은 지난해 12월 미국 스테이트 스트리트 은행(State Street Bank)의 중국 지사에서 규제(라이선스) 담당 업무를 총괄했던 일레인 쑨예린(Elaine Sun Ye Lin)을 규제 담당 본부장에 임명하여 각국의 정부 기관, 규제 당국과의 조율을 통해 합법적으로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운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엘레나 강 실장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디지털 금융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규제화가 진행되어야 하며 산업 발전 속도에 따라 적절한 규제와 보완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외신 "몰타 암호화폐 거래소 3월 거래량 561억 달러… 56%↑"
▲ NEO 공동 창업자 "PoW, 장기 지속 불가"에릭 장(Erik Zhang) 네오(NEO, 시가총액 17위) 공동 창업자가 자신의 웨이보 계정을 통해 "최근 BSV 블록체인에서 발생한 이상거래와 리오그(reorg, 다수의 블록이 연속적으로 변경) 현상으로 인해 작업증명(PoW) 컨센서스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PoW는 여러 면에서 장기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됐고 상업적으로 이용할 시 비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블록체인 컨센서스 알고리즘은 막대한 에너지 소비·블록의 불확실성·보안 허점·51% 공격 등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리플랩스, 어제 2천만 XRP 매각...3개월 간 10억개 매각?리플랩스(Ripple Labs)가 어제(18일) 2,000만 XRP(약 700만 달러)를 장외거래를 통해 매각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트러스트노드(trustnode)가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리플랩스는 약 500억 개의 XRP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매각 목적은 밝혀지지 않았다. XRP 커뮤니티 회원으로 추정되는 Leonidas Hadjiloizou는 공개 포스트를 통해 "지난 3개월 사이에 XRP 유통량이 10억 개 늘었으며 이는 저번 분기와 비슷한 양상이다. 지난해 리플은 5억 3,556만 달러 규모의 XRP를 팔았다. 이 많은 돈이 다 어디에 쓰였는지 모르겠다"며 "작년 12월 이후 리플이 정말 10억 개의 XRP를 팔았다면 시세 변동을 고려해 2.5억~3억 달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1.87% 내린 0.33088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몰타 암호화폐 거래소 3월 거래량 561억 달러… 56%↑"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가 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크립토컴페어(CryptoCompare)의 보고서(CryptoCompare’s March 2019 Exchange Review)를 인용 "지난 3월, 몰타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월 거래량이 총 561억 달러 규모를 기록해 전월 대비 56%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홍콩 및 한국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에선 각각 531억 달러, 402억 달러 규모의 거래량이 발생했으며 2월 대비 54%, 21% 늘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구글의 소프트웨어 방식인 OTP (One Time Password) 대체 국내 암호화폐 지갑(콜드 월렛)의 선두주자인 ㈜키페어 (공동대표 이정엽, 이창근)는 자사의 키월렛 시리즈 (KeyWallet Series)와 연동하여 이중 보안되는 암호화폐 거래소 전용 인증솔루션인 파이도 (FIDO) 기반의 카이도 (KIDO) 서버를 개발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인 KCX등에 납품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금융투자보호재단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암호화폐 투자를 망설이는 가장 큰이유는 ‘해킹 등 안정성 우려’(41.2%)이라고 답한 만큼 암호화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이 구축 되어야한다. 올 3월에 있었던 빗썸의 암화화폐 탈취 사고 역시 내부자 소행이 추정되는 등 실제 많은 거래소 해킹 사례는 외부침입 외에도 내부 통치 거버넌스 시스템의 부재로 인한 사고가 많았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상 해킹을 당해도 외부에 알리지 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외신뢰도 및 소송이나 행정적인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부분은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는 결국 시장활성화에는 역행할 뿐이므로 거래소에 적합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이 필요하지만 암호화폐의 특성에 최적화되어 있는 보안솔루션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키페어는 암호학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독특한 이력의 전문업체로써 이번에 출시한 ㈜키페어의 ‘KIDO(KeyWallet For FIDO)’ 제품은 기존 ㈜키페어의 보안전용 칩 (Secure Element) 기반의 하드웨어 월렛인 “키월렛 터치(KeyWalletTouch)”와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end to end로 seamless한 보안 체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전통금융산업과는 달리 암호화폐는 개인키 관리 및 분산원장으로 인해 완벽한 망분리를 구조적으로 하기 힘드므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시스템이 필요하나 비용 및 편리성에 의해 핫 월렛 및 소프트웨어 인증 방식을 보통 사용하고 있어 항상 보안사고에 노출 되어있다. ㈜키페어는 이미 KB은행 및 NH등의 주요 금융권에 PKI기반의 인증솔루션인 “스마트원 카드”등을 공급한 경험과 국내 암호화폐 지갑 제조 판매를 선도하는 업체로써 시장에서 니즈를 정확하게 반영한 보안 인증 솔루션이다. ㈜키페어의 이창근 공동대표에 의하면 “암호화폐는 분산원장을 이용해 기존의 중앙서버이용대비 위 변조의 가능성 및 보안성이 더 좋다고 하지만 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로그인등의 아이디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일반적인 인증체계를 이용하는 곳이 많아 거버넌스를 통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카이도(KIDO)는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을 반영해서 제품화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KIDO의 경우 FIDO인증 기반으로, 2018년도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된 개인정보보호 규정인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도 적용가능해 유럽 지역에도 진출할 계획을 밝혔다. 그는 최근 보안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아이템인 커스터디(Custody) 제품에 대한 일정도 밝혔는데 이미 하드웨어 완성이 되었고 현재 소프트웨어 작업을 진행중이며 올 상반기중에 주요 거래소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개발 중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국내 도입된 해외 보안기술을 국산화하는데 특별히 관심이 많다고 했다. 최근에 국내최초로 펌웨어 기반의 보안인증을 받은 KCMVP 인증 역시도 경우도 타사와 달리 100% 국산화하여 인증을 받았다. 그는 독자적인 보안기술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결국 자국의 기술경쟁력을 한 차원 높이는 것이라고 믿고 있고 이러한 시스템을 토대로 자사의 블록체인의 인증 보안 시스템 역시 국제적인 ISMS의 실제 선도 표준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포부를 밝혔다.
-
트러스트토큰, 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세계적 규모의 법정화폐-암호화폐 채널 노린다
트러스트토큰, 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세계적 규모의 법정화폐-암호화폐 채널 노린다-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트루GBP, 토큰화 법정화폐간 거래 최초 기회 생겨 -트루GBP(TGBP)는 시작,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확대 예정(샌프란시스코=트러스트토큰) -- 2019년 4월 2일 (현지시간) 트루USD를 발행하는 미국의 블록체인 기업 트러스트토큰(www.trusttoken.com)이 트루GBP를 발행한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루GBP는 영국 파운드화와 일대일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트루GBP는 트러스스토큰의 첫 번째 프로덕트인 트루USD와 유사한 법적 기술적 인프라를 이용한다. 트루USD는 지난해 새로운 업계 표준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헨앤코(Cohen & Co)와 같이 세계적인 회계 법인에서 매달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담보로 잡힌 달러화에 투명성을 보장하는 첫 번째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했기 때문이다. 또한, 트러스트토큰은 최근 실시간 자금 승인 대시보드 개발에 성공하며 사용자들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루GBP는 트러스트토큰 홈페이지와 알라메다 리서치, 블루파이어 캐피탈, 갈로이스 캐피탈, QCP 캐피탈 등과 같은 파트너사를 통해 거래할 수 있으며, 곧 거래소에서도 오픈될 예정이다. 트러스트토큰 공동창립자이자 엔지니어링&프로덕트 총괄 라파엘 코스만은 “트루GBP를 출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사상 최초로 다수의 토큰화 법정화폐 간 거래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우리는 어떠한 거래소와도 관계 없이 트루USD만으로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에 가교 역할을 해왔다. 트루GBP를 발행한 우리의 목표는 이러한 연결고리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 시장 내부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국경을 넘어 가치 전송에 드는 비용은 줄이고 속도는 올리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트루GBP 발행은 스테이블코인의 유스케이스를 확장하고 글로벌 자산 간에 원활한 교환을 수 분 내에 체결한다는, 블록체인의 핵심 역할을 이행하는 데 한 단계 나아가는 것이다. 지난 해 트루USD와 같이 법적 보호를 받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안정적인 가격에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전통 금융 세계와 암호화폐 시장 간에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트루GBP를 암호화폐 생태계에 편입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은 트레이딩, 결제, 송금, 가치 저장 등에 더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게 됐다. 트러스트토큰이 이러한 선택권과 유스케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행할 계획인 여러 토큰화 화폐 중 첫번째가 바로 트루GBP이다. 라파엘 공동 창립자는 “블록체인 산업은 이제 실제 유스케이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사용자들과 기관 투자자들은 블록체인 내부 작동 원리에 대해 알 필요가 없다. 단지 이 기술이 우리에게 실제로 제공할 혜택을 쉽게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 세계 거래소와 애플리케이션에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거래를 통합할 수 있는 도구를 구축함으로써 우리는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큰 난제인 ‘실제 도입’에 대한 솔루션을 선두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러스트토큰 관계자는 “트루GBP 발행은 트러스트토큰 프로덕트 확장에 대한 첫 번째 신호탄”이라며, “이로부터 트러트스토큰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여 업계의 리더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러 중앙은행 “CBDC 발행, 네트워크 공격 리스크 커”
▲ 러 입법자 "암호화폐 규제 무의미"ICO 합법화가 골자인 러시아 '디지털 자산법(DIGITAL ASSETS bill)'이 오는 5월 검토될 예정이지만 현지 국회의원들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것이 무의미함을 깨닫고 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가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현지 다수의 국회의원들은 "국경이 없고 탈중앙화된 암호화폐를 규제하는 것은 헛수고"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들의 대다수가 상당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Yuriy Pripachkin 러시아 크립토 산업 및 블록체인 협회장은 "'디지털 자산법'이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정부의 압력만 가중시킬 뿐, 수많은 스타트업들은 몰타나 스위스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러시아 중앙은행은 투자자들이 매입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의 항목에 대한 결정권을 가진 유일한 기관이 된다는 설명이다.▲ 新 ETH 댑 70%, 실질 사용시간 99시간 미만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레이팅댑(RatingDapp)·레이팅토큰(RatingToken)에 따르면, 올해 3월부터 이더리움 플랫폼 상에 새로 출시된 댑은 총 55개로 집계됐다. 이중 70%는 실질 사용시간이 99시간 미만이었고, 25%는 10시간 미만이었다. 새로 출시된 댑 중, '사운드_머니_코인(sound_money_coin)'이라는 댑의 실질 사용시간은 700시간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러 중앙은행 “CBDC 발행, 네트워크 공격 리스크 커”글로벌 외환 미디어 에프엑스스트릿(fxstreet)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이 최근 발표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장단점 분석 보고서에서 "금융기관이 미성숙한 국가에선 CBDC 발행 리스크가 크다"고 진단했다. 중앙은행 네트워크가 공격 받게되면 전체 금융 시스템이 위협을 받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어 "CBDC 발행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며 "사용자 입장에선 CBDC가 저렴한 거래비용과 높은 유동성을 통해 현금 및 예금 상품을 대체할 수 있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또한 "일부 중앙은행 총재들은 저인플레이션·저금리 상황에서 CBDC가 상업은행의 예금 상품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게 될 것을 우려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클렛에서 24일까지 세일 진행-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코인베네(Coinbene)의 문베이스(Moonbase)에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27일 등록 예정..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AI Prediction Platform)는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을 4월 24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이다.AIPE는 리워드 플랫폼인 ‘3PIKS’와 암호화폐 가격변동 알림 서비스인’AIBitBip’, 이 두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코인 및 토큰을 에어드롭(Airdrop) 할 수 있고, 거래소나 특정 코인의 마케팅 채널로도 활용이 가능하다.현재 암호화폐 가격 예측 서비스 3PIKS가 개발 완료단계에 이르렀고, 유저들은 자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모델과 함께 암호화폐의 가격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AI Token을 받게 된다.이처럼, AIPE의 생태계(Ecosystem)은 단순히 우수한 AI 모델(Model)의 확보나, 거래소 개발에 필요한 솔루션만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각 서비스가 상호 유기적인 관계와 가치를 지니며 암호화폐 가격예측, 화폐 유동성, 홍보, 트래픽 그리고 시장의 안정성을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이와 함께, AIPE는 코인베네(Coinbene)의 IEO 프로젝트 문베이스(Moonbase)에 등록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에서는 첫번째로, 코인베네(Coinbene) 에서는 두번째로 IEO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베이스(Moonbase)는 세계 10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네(Coinbene)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바이낸스(Binance)의 Launchpad와 유사한 프로젝트로, IEO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팅 프로세스(Listing Process)를 가지고 이를 통해 빠른 발전과 성장을 꾀할 수 있다.문베이스(Moonbase) 프로젝트가 계획단계에 있던 3월부터 CONI Token은 꾸준히 가치가 상승하여 현재는 5배 가량 가격이 상승했다.AIPE 담당자는 “최근 IEO 동향은 Binance Launchpad 에서 BTT 9.8배, FET 6배, CELR 5.5배 상승이 있었고, Houbi Prime에서 Top 30배, NEW 7.7배가 상승했다”며 “이와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증하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은 좋은 결과를 낳고 있다”고 밝히며 “홀더(Holder)나 투자가(Investor)들에게 가장 많은 수익이 돌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AIPE는 IEO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팀 드레이퍼 "2022년께 통화시장 BTC 점유율 5% 전망"
▲ 조셉 영 "인도, 규제 샌드박스 초안서 암호화폐 배제 유감"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조셉 영(Joseph Young)이 오늘 트위터에 "인도 중앙은행 인도준비은행(RBI)이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 프레임워크에서 암호화폐를 배제했다"며 "일본, 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주요 정부가 암호화폐 시장을 규제하는 상황에서 인도의 이 같은 결정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BTC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14,702건...병목 현상 완화비트코인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비티씨닷컴(BTC.com)에 따르면, 현재 BTC 네트워크 내 미체결 거래가 14,702건, 해시레이트는 45.05 EH/s, 채굴 난이도는 6.39 T를 기록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5,266.5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팀 드레이퍼 "2022년께 통화시장 BTC 점유율 5% 전망"실리콘밸리 유명 벤처 투자자이자 비트코인 강세론자 팀 드레이퍼(Tim Draper)가 "2022년 혹은 2023년 세계 통화시장에서 BTC 점유율이 5%에 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그는 앞서 2022년 혹은 2023년에 BTC 가격이 25만 달러에 달할 것이며, 현재 90조 달러에 달하는 세계 통화시장이 암호화폐로 인해 더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BTC는 금융 생태계 뿐만 아니라 세상의 운영방식을 바꿀 잠재력이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JP모건이 발행한 암호화폐 JPM코인을 언급하며 "현재 사람들은 BTC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영리하다"며 "탈중앙화된 BTC가 (중앙 관리자가 있는) JPM코인보다 더 가치가 있다는 걸 알고있다"고 덧붙였다.▲ 58COIN, 시스템 업그레이드 완료...거래 매칭 효율 40%↑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19일(현지 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시스템 구조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고 공지했다. 이번 업그레이드로 플랫폼 내 선물 계약 거래 중개 효율성 및 시스템 성능이 대폭 향상됐으며, 투자자들에게 보다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는 게 58COIN 측의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가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상품구매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플라이업코리아(대표 김동우)는 ‘OK CASHBAG’, ‘시럽 월렛’ 등을 운영하는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포인트 구매 플랫폼을 독점 개발하기 위해 협력한다. 플라이업코리아의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기술과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의 ‘OK CASHBAG’, ‘시럽 월렛’ 등 다양한 서비스로 검증된 데이터 마케팅 역량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양사의 목표이다. 플라이업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물경제와 블록체인이 아우러질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양사 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자 논의가 진행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가시적 성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는 지난 1월 오픈한 ‘코인피닛’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SK텔레콤 출신의 김동우 대표를 신규 대표로 선임하고 사업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
스토리체인, 본다빈치와 문화 콘텐츠 협력 MOU 체결
스토리체인, 본다빈치와 문화 콘텐츠 협력 MOU 체결스토리 산업 공정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주)스코웍)’이 전시, 공연 등 오프라인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로 세계적인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본다빈치와 22일 상호 지식재산권 교류 및 문화 콘텐츠 개발과 관련한 포괄적인 제휴를 했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을 통해 스토리 산업 공정 거래의 본격화에 앞장서고 있는 (주)스코웍의 프로젝트인 스토리체인은 본다빈치와의 MOU 체결로 더욱 풍성한 콘텐츠 창작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스토리체인과 본다빈치는 앞으로 암호화폐를 통한 스토리 공동 후원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공동 연구를 통해서 상호 힘을 합할 계획이다. 스토리체인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주최한 ‘핀테크 아이디어&사업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프로젝트로, 스토리 창작물 시장에서의 부당한 보상 체계를 원천적으로 해결 가능하게 해주는 블록체인기반의 dApp이다. 본다빈치(주)는 영상 콘텐츠를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시연하는 전시 전문 업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화면을 가득 채워 관람객이 그 안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 현재 본다빈치 뮤지엄 능동(어린이 회관 기획전시실)에서 , , 등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다.향후 스토리체인 알파버전 출시에 맞춰, 본다빈치의 캐릭터들을 가지고 공모전을 개최할 계획이다. ‘모네’의 알려진 사실과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공모전에 참여하는 작가들의 상상력으로 채워서 독자의 호응과 완성도가 높은 최종작품은 본다빈치 뮤지움의 스토리텔링 전시물로 꾸밀 계획이다. 앞으로도 스토리체인은 토큰이코노미가 현실세계와 연결되는 최전선에 있겠다고 한다.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41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
오케이코인코리아] "제41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2019년 4월 15일 – 21일이번 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 총액은 지난주 대비 0.69% 상승하여 1779.65억 달러(한화 약 204조원)에 달하였으며, 일 평균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9.26% 하락한 416.17억 달러(한화 약 47.5조원)에 달했다. 거래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일 평균 시가총액은 6주 연속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이번 주 TOP5에 선정된 암호화폐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1.41% 상승했으나,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1.39% 하락했다. 이번주 TOP5 암호화폐의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대형 거래소들이 BSV 상장폐지 이슈로 ㅠ초가 3주 연속 상승을 나타냈으며, 이번 주는 약 12.76% 상승했다.시가총액 상위 200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4.96%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통화 및 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주는 모든 영역이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중 수직 산업 응용 영역이 14.9%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과 수직 산업 응용에 해당되는 암호화폐들은 특화되는 산업 분야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이번 주는 금융, 교통운수, 디지털 신원 증명, 여행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젝트 모두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의료보건 분야 프로젝트가 81.4%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EOS 뉴욕, BP 관리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 방안 제시
▲ WSJ "美 FinCEN, 무허가 암호화폐 대리 거래 남성에 벌금형"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 산하 금융 범죄 단속 네트워크 핀센(FinCEN)이 오늘(19일) 암호화폐를 사용해 자금세탁 방지법을 위반한 캐나다 남성에게 벌금을 부과했다. 라이센스가 없는 상황에서 수백 차례 BTC 대리 거래를 했다는 혐의다. 이와 관련해 핀센은 목요일(18일, 현지시간) "암호화폐 P2P 거래에 실질적인 형집행 조치를 취한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덧붙혔다. 또한 미디어에 따르면 핀센은 6년 전 "다른 사람을 대신해 BTC 혹은 기타를 사고 팔 시, 암호화폐 서비스 기업 라이선스를 겸비해야 한다"며 관련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1기 ‘페이프로토콜’ 22일 진행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22일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을 진행한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1기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 ‘페이프로토콜’이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1기는 한국 시간 기준 22일 20시부터 21시 10분까지 총 3라운드로 진행되며, 이후 21시 20분 HT(후오비 토큰)마켓, 22시 30분 KRW마켓에 각각 상장된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은 HT 홀딩 조건이 완화되어 일반 투자자도 HT를 통해 참여가 가능하다. 후오비 프라임 참여를 위해서는 HT 홀딩 기간 기준 3일 평균 3,000 HT 이상 보유해야 최대 1,000 HT까지 참여할 수 있다. 하지만 스냅샷 설정 시점 이외에도 랜덤으로 추가 스냅샷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HT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공지 전문 보기: ▲ EOS 뉴욕, BP 관리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 방안 제시최근 EOS BP 이오스뉴욕(EOSNewYork)이 공식 미디움(Medium) 계정을 통해 BP들이 관리하는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를 유료로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시스템 계정인 eosio.token 계정으로 프리미엄 토큰을 발행해 EOS 기반 토큰의 보안성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유료 서비스 제공으로 모인 자금은 EOS 공동 발전 기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앞서 기존 EOS 댑 개발사의 토큰 스마트 컨트랙트는 단일키(오너키)에 의해 관리되고 있어 보안성 및 신뢰도를 보장하기 힘들다는 분석이 일각에서 제기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피블,아티스타글로벌,레밋,니오앱스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선보여..-소셜미디어, 음원스트리밍, 자동번역 메신저, 해외송금 서비스 등 눈길..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과기정통부의 블록체인 발전전략(2018)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이렇듯 정부기관의 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속속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자동번역 메신저 서비스, 해외송금 서비스 등이 눈길을 끈다. ◇ 피블(PIBBLE), 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인 피블(대표 이보람)은 이미 지난 9월부터 알파 테스터들과 함께 피블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으며, 1,2기 알파 테스터 활동을 통해 강력한 미디어 포스트기능을 완성했다. 피블은 이달내 커머스 마켓 오픈과 함께 클로즈 알파테스트에서 오픈 알파테스트로 전환, 본격적인 서비스 오픈 준비에 나서고 있다.일반인과 전문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사진,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피블(PIBBLE)은 사용자가 SNS에서 활동하면 할수록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며 공유 경제를 실현하고, 창작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1석3조’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피블(PIBBLE)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달리, 사진, 동영상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추천하거나 공유하면 최초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물론 참여자 모두에게 피블과 피블브러시라는 암호화폐 보상이 주어진다.한편, 피블은 최근 원화마켓(KRW) CPDAX 거래소에 상장과 함께 커뮤니티 프렌들리(Community-Friendly) 정책에 따라 오픈 알파테스터 모집 부분을 확장, 서비스의 로드맵과 맞추어 해외시장 진출과 해외 거래소 상장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피블은 지난 5일, 업비트 상장 추천 프로젝트인 프로젝트5의 34일간의 경쟁프로모션에서 최종 3위에 올라 업비트 상장 추천을 확정지으며 국내외 10만의 피블 커뮤니티의 파워를 보여주었으며, 픽썸 3라운드 참가 중이다.◇ 니오앱스, 자동 번역 메신저 ‘니오메신저’ 서비스 제공.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특히 니오앱스는 최근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를 야심 차게 출시했다. 니오플레이는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으로,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되어 최종 7Step까지 완료하면, 최대 825,000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NEEO)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NEEO ROBOT’,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NEEO By you,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NEEO RADIO’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아티스타글로벌, 블록체인 기반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 아티스타글로벌(이종현 대표)는 작년 12월 아마존 서버를 통한 글로벌 음원스트리밍 '아티스타뮤직앱'의 베타서비스를 런칭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최신 K-pop, Pop, 월드뮤직(World Music), J-pop 등을 음원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트스타글로벌(ARTISTA GLOBAL)은 아바타와 스마트폰이 닿으면 아바타앨범으로 접속하게 하는 아바타앨범 서비스로 업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아티스타글로벌은 두바이에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유통 및 블록체인 기업으로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10월 이더리움 ERC20 기반의 ‘아티스타(ARTS) 코인’을 발행했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아티스타 뮤직 플랫폼의 음원 스트리밍, 피규어, 문화컨텐츠, 쇼핑 등 서비스 이용자의 결제 수단 및 보상에 사용되는 토큰이다. 이 코인은 유틸리티 코인으로 음악 감상, 플랫폼 내 활동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여 음악 감상하는 재미와 함께 보상이 되도록 구현된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소닉 오픈마켓 상장 후 메인마켓에 1월말 상장했고, 2월에는 국제거래소인 코인제우스와 코아거래소에 상장했다.◇ 레밋(REMIIT),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제공.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REMIIT)(안찬수 대표)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송금 및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국가간 송금과 거래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레밋(REMIIT)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블루팬넷은 2015년 4월에 설립 후 암호화폐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이다.초기 필리핀을 시작으로 중국과 베트남, 호주, 홍콩 등 송금 가능 국가는 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재사용률은 무려 90%로 해외 이주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레밋(REMIIT) 토큰 이코노미는 거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토큰을 레미(REMI)와 렘디(REMD)로 이원화하여 꾸준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했다. 레미(REMI)는 외부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렘디(REMD)는 해외송금업체(MTO)들이 해외 송금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다. 렘디(REMD)를 이용해 국가간 송금업무를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시장에서 레미(REMI)를 획득한 후 이를 스테이킹 해 렘디(REMD)로 교환해야 한다. 레밋은 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테이킹 하는 REMI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REMI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레밋(REMIIT)은 현재 제휴된 해외송금업체들과 2019년 3분기 이후 제한적인 해외 송금 플랫폼이 가동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2019년 로드맵 완수를 위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후오비 코리아,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울트레인(UGAS)’ 상장
후오비 코리아,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울트레인(UGAS)’ 상장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울트레인(Ultrain, UGAS)을 상장하고 총 1,500만원 상당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울트레인(UGAS)은 고성능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을 표방하는 프로젝트로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가지고 있던 확장성, 편의성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고성능 컴퓨팅, 의사결정 메커니즘, 사용자 친화적인 스마트 콘트랙트 기능을 대폭 강화해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데 중점을 둔다. 후오비 코리아에서 한국시간 기준 15일 15시 30분부터 울트레인(UGAS) 입금이 가능하며 16일 16시부터 UGAS/BTC, UGAS/ETH 거래가 시작된다. 출금은 17일 15시 30분부터이다. 울트레인(UGAS) 상장을 기념해 후오비 코리아는 15일부터 20일까지 총 1,500만원 상당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진행한다. 1,000UGAS 이상 입금한 후오비 코리아 회원 중 입금량 상위 30명에게 총 10,000UGAS(약 300만원)을 입금량에 비례한 만큼 나누어 지급한다. 또한 이벤트 기간 내 울트레인(UGAS) 거래량 상위 50명에게 40,000UGAS(약 1,200만원)을 거래량에 비례한 만큼 나누어 지급한다.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오세경 실장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울트레인(UGAS)은 15일 메인넷을 공식 론칭하고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며 “뛰어난 기술력을 가진 프로젝트인 만큼 메인넷 이후에도 좋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
엠블(MVL), 롯데렌터카와 함께 베트남 차량호출 서비스 확대
엠블(MVL), 롯데렌터카와 함께 베트남 차량호출 서비스 확대롯데렌터카, TADA에 차량 및 운전기사 등 인프라 제공MVL, 차량호출 플랫폼 TADA 제공 및 운영블록체인 모빌리티 생태계 MVL(엠블)을 개발하고 있는 MVL Foundation Pte, Ltd.(엠블 파운데이션)은 롯데렌탈의 롯데렌터카와 함께 베트남 차량호출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엠블파운데이션의 모회사 이지식스와 롯데렌탈은 지난해 11월 베트남 차량호출 서비스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롯데렌터카는 차량과 직접 고용한 운전기사를 제공하고 엠블파운데이션은 현재 베트남 호치민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차량호출 플랫폼 TADA를 제공한다. 양사는 해당 서비스를 베트남 호치민에서 공동 운영하며, 차량 투입대수는 초기 50대 규모로 시작해 현지 수요에 따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엠블파운데이션이 싱가포르와 캄보디아 등에서 운영 중인 TADA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수수료가 없는 차량호출 서비스다. 엠블파운데이션은 올해 1월 베트남 호치민에서 TADA 서비스를 출시하여 현재 운영 중이다. 이번 롯데렌터카와의 협업을 통해 기존 TADA에 등록된 운전기사에 롯데렌터카가 고용한 운전기사도 추가되어 TADA에서 차량호출을 받을 수 있는 운전기사가 확대된다. 롯데렌터카는 지난 2008년 국내 최초로 베트남 차량 렌탈 시장에 진출한 이후 10년 이상 쌓아온 사업 노하우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롯데렌터카는 현재 20만대 이상의 등록차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트남 호치민, 하노이, 다낭에서 기사포함 차량 렌탈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다. 지난 2017년부터 태국 방콕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고소작업대, 통신계측기 등 일반 렌탈 사업도 새롭게 추진해 글로벌 렌탈 기업의 위상을 보다 공고히 하고 있다. 롯데렌탈 이훈기 대표이사는 “자동차 산업은 이미 제조업을 탈피하여 제품이 아닌 이동편의를 제공하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 Mobility as a Service)로 변모하고 있다”며, “당사는 이번 협업과 같은 전략적 제휴와 글로벌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시도로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엠블파운데이션의 우경식 대표는 “베트남은 현재 성장속도가 빠른 신흥국 중 한 곳으로 모빌리티 사업의 성장 가능성 또한 높다”며 “이번 롯데렌터카와의 협업으로 TADA는 호치민에서 더욱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신규 사용자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엠블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와 캄보디아에서 TADA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에 기반한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MVL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 싱가포르 TADA에 MVL 인센티브 구조를 시범 적용하고 있다.
-
니오앱스, 글로벌 SNS 플랫폼 ‘니오메신저’ 일일 가입수 800% 급증
니오앱스, 글로벌 SNS 플랫폼 ‘니오메신저’ 일일 가입수 800% 급증-일일 가입자수가 800여명 수준에서 15,000명까지 800% 이상 급증..-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세계 인구 2위인 인도에서 가입자 증가수 1위로 국민메신저로 성장 기대..-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에 3월 11일 공식 상장.. 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는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의 일일 가입자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올 초에만 해도 일일 가입자수가 800여명 수준이었는데, 본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하면서 최근 127개국에서 가입하는 일일 가입자수가 15,000명까지 늘어 800% 이상 급증하고 있다.니오앱스 관계자는 “최근 가입자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13억 6873만명으로 세계 인구 2위인 인도에서 가입자 증가수 1위로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인도시장에서 니오메신저가 국민메신저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니오메신저(NEEO messenger)은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니오메신저는 세계 최초로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언어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다.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발행한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3월 11일에 공식 상장됐다. 니오의 이러한 시도와 코인슈퍼와의 만남이 블록체인 업계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 플렛폼인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BORA(보라),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인터내셔널’ 상장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BORA(보라),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인터내셔널’ 상장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대표 이승희)가 자사의 이더리움 기반 BORA 토큰을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렉스 인터내셔널(Bittrex International)에 상장했다고 11일 밝혔다.비트렉스는 2014년에 세 명의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들이 설립한 미국 시애틀 소재 암호화폐거래소로, 미국 달러 입출금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하면서 급속도로 성장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토큰과 코인이 등록된 거래소 중 하나로 알려진 비트렉스는 작년 9월 미국 외의 다른 나라에서도 거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비트렉스 인터내셔널을 공식 출시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현재 BORA 토큰은 비트렉스 인터내셔널의 BTC 마켓에서 거래가 가능하다.이번 상장과 함께 BORA는 토큰 가격 안정화를 위한 계획도 공개했다. BORA 내부 개발자 보상으로 제공되는 BORA 토큰의 지급 시기를 원래 지급일보다 6개월 뒤로 연장했다. 또한, 잠정적으로 현재 BORA의 토큰 보유분은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며, 외부로 유통할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BORA 이승희 대표는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고 있는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인 비트렉스 인터내셔널에 BORA 토큰을 상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어서 “현재 국내 메이저 거래소와도 상장 협의가 완료된 상태며, 빠른 시일 내로 국내 상장 소식도 전해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최근 BORA는 베타 2 버전을 공개했으며, 베타 2 버전을 사용하는 블록체인 콘텐츠 개발자와 일반 유저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서비스 완성도를 높이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5-02 :: 부테린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보상 연 3.3%로 높이자”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부테린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보상 연 3.3%로 높이자”https://bit.ly/2GTditJ▪️ HTC “올해 블록체인 폰 엑소더스 2세대 출시”https://bit.ly/2LioO7v▪️ 英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2019-20 시즌 공식 팬 토큰 출시https://bit.ly/2GYh6Lp▪️ 북한 블록체인 컨퍼런스 '또' 열린다...AI도 추가https://bit.ly/2IUlEEV▪️ 테더 “예치금 74%만 현금” 시인https://bit.ly/2Wr2OIk▪️ 머스크 “이더리움” 한마디에…부테린 등 유명인사 댓글 줄줄이https://bit.ly/2GWaNI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