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 비트맥스 거래소의 지원으로 4월 27일 오후 7시 프리 세일 시작 예정- 도스 네트워크, 볼트에 이어 세 번째 토큰 세일 지원 프로젝트로 듀오 네트워크 선정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io)가 블록체인 기반 파생 상품 거래 플랫폼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Pre-sale)을 지원한다. 비트맥스는 듀오 네트워크 프리 세일에 대한 기술과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며, 프리 세일은 한국 시간으로 4월 27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진행된다. 비트맥스는 18년 8월에 출시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CEO 조지 차오(George Cao), COO 애리얼 링(Ariel Ling)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만든 거래소이다. 비트맥스는 세계 최초로 다중 채굴 모델을 적용했으며 OTC, 마진 거래를 지원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 듀오 네트워크 이전에는 도스 네트워크(DOS Network)와 볼트(BOLT)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여 성공적으로 상장시켰다. 듀오 네트워크는 자체 플랫폼인 탈중앙화 거래소 듀오 DEX를 통해 토큰화된 디지털 파생 상품의 발행, 거래, 결제가 가능한 제로엑스(0x)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듀오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면 기존 파생 상품 거래에서 존재하던 위험을 줄이면서 투명하고 자율적인 거래 시장을 조성할 수 있다. 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탈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나선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듀오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모헤닉, 새로운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겟크로’ 오픈
모헤닉, 새로운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겟크로’ 오픈겟크로 첫 프로젝트로 DDP 개관 5주년 기념 특별전 폴 스미스 전시 티켓 리워드 상품 선보여모헤닉은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겟크로(GETCRO)’가 4월 공식 사이트를 오픈했다고 25일 밝혔다.겟크로는 단순히 펀딩 후원금액을 모집하고 후원금액에 따라 리워드를 얻는 방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자화폐 기능을 지닌 ‘상품권’의 형태로, 전자화폐에 리워드의 모든 권리를 담아 후원자에게 지급된다. 화폐 보유자들은 모헤닉이 제공하는 모헤닉 얼라이언스 플랫폼에서 실물교환 및 결제수단, 거래소거래, 권리증명 등 다양한 방법으로 EXIT이 가능하다는 것이 기존 크라우드 펀딩과의 차별점이다.겟크로가 리워드로 지급하는 상품권은 코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겟크로가 발행하는 코인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암호화폐가 아닌 실물과 교환기능을 지닌 실물연동 코인이라는 점에서 완전히 다른 개념의 화폐다.겟크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해 받는 코인은 후원한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뿐만 아니라 모헤닉 얼라이언스 생태계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또한 모헤닉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사용자들과 거래할 수 있으며 기업의 부득이한 부도나 폐업 시에도 펀딩 후원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 서로 연맹돼 부도 난 상품권을 서로 나눠서 부담하는 시스템으로, 후원자들이 안심하고 펀딩할 수 있으며 이는 겟크로의 가장 큰 장점이자 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과 확연히 다른 철학이다.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는 현재 카페, 레스토랑, 피자 전문점 등 식음료 서비스 및 펜션, 라운지 클럽 등 문화생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모헤닉이 판매하는 차량 관련 제품 및 패션 제품도 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모헤닉 얼라이언스는 현재 가맹점을 급속도로 늘려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할 계획이다. 물론 겟크로에서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참여 기업은 모헤닉 얼라이언스에 가입돼 마케팅과 홍보도 지원받게 된다.겟크로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면 리워드 코인으로 일상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결제수단 화폐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함께 제공하는 것은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고 EXIT할 방법이 한정적이거나 묘연해 애를 태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질적인 사용과 활용, 수익을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은 크라우드 펀딩 생태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특히 겟크로를 설립한 김태성 대표는 모헤닉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성공사례 기업으로 키우고 현재 크라우드 펀딩 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만큼, 크라우드 펀딩 경험이 풍부하다. 김 대표는 “지금의 크라우드 펀딩의 문제점과 한계성 그리고 확장에 대한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기에 겟크로를 설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또 겟크로는 4월 정식 오픈을 앞두고 겟크로의 포문을 열 첫 번째 프로젝트 아이템을 공개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개관 5주년 기념 특별전으로 진행되는 ‘폴 스미스’ 전시회가 그 첫 번째 주자다. 라는 전시명으로 선보이는 영국 디자인 거장 ‘폴 스미스’ 전시에 겟크로 사이트 정식 오픈 전부터 이미 많은 관심과 기대가 쏠리고 있다.이번 프로젝트는 티켓 상품 리워드형 크라우드 펀딩으로 겟크로가 특별한 리워드 조건을 내세워 선보이게 됐다. 전시 일정은 6월 6일부터 8월 25일까지이며 런던 디자인 뮤지엄, 서울 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주관방송으로 SBS가 함께한다. 겟크로에서만 선보이는 특별조건은 모헤닉 얼라이언스 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이번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면 해당 전시의 리워드 티켓과 추가로 인센티브 리워드를 받게 된다. 디자인, 문화생활 등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부터 투자에 관심 많은 중장년 층까지 광범위한 연령대에서 큰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본다빈치BSD, 스토리체인과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
본다빈치BSD, 스토리체인과 전략적 업무 협약 체결문화예술계 블록체인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본다빈치BSD는 이야기 산업 가치 및 문화예술 기술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스토리체인(Storichain) 의 개발운영사 ㈜스코웍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하였다. 본다빈치㈜ 김려원리더 / 스토리체인 이준수대표 본다빈치(주)는 국내 대형 디지털 전시를 이끌어온 선두주자로서 4차 산업 기술인 블록체인 사업 및 BSD(Bondavinci Standard Decentralization) 사업을 도약으로, 전세계 코인 거래량 2위인 디지파이넥스로부터 사업의 비전, 참신성이 높게 평가 되어 디지파이넥스 거래소상장 계약을 체결하였다.BSD는 본다빈치㈜가 보유한 디지털 아트의 특허 및 실물 아트 1만여 점 이상의 자산과 저작권 확보를 기반으로 문화 예술분야의 자산 보유자 공개 및 자본비대칭 개선을 위해 ’분산화되고, 연결된 화폐’를 사용하여 새로운 리워드 생태계를 구축, 아트블록체인거래소(A.E.X) 뿐만 아니라 금융권 부동산에 이르기까지 비활성화된 부동산 가치를 끌어 올려 수익을 증대시키며, 그 수익을 BSD 홀더들에게 투명하게 배분하는 벨류에이션 체인이다.또한 고급 예술품과 아티스트, 한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포함한 글로벌 크리에이터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동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투자수입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한편, 스토리 체인은 영화, 드라마, 웹툰 등에 참여한 작가에게 공정한 수익과 대가를 정당하게 보상받지 못하는 현실에 주목하고 이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수익분배 문제를 해결하며 스토리 콘텐츠 기업자들이 더욱 가치있는 스토리를 창작해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 제공을 목적을 두고있다.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양사는 스토리 창작자 발굴 및 후원을 시작으로 암호화폐를 통한 스토리 공동 후원 및 투자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또한 본다빈치㈜가 기획하고 있는 유화 애니매이션 영화인 “끌로드 모네”의 시나리오 각새을 스토리체인의 플렛폼을 통해 많은 작가 참여를 유도 할 예정이다.
-
전 테슬라팀 블록체인 프로젝트 EVAIO, 한국시장 런칭
전 테슬라팀 블록체인 프로젝트 EVAIO, 한국시장 런칭-한국시장 런칭을 기념해 3개의 ICO 진행..-암호화폐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4.26~28일 3일간 ICO 진행..-EVAIO의 핵심 사업은 분산형 전기 차량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구축..-자동차 소유자에게 할인된 차량 교한 서비스 제공해 20%까지 저렴한 할인혜택 제공 예정..2017년에 설립된 전기 자동차 응용 프로그램 프로젝트 EVAIO(에바이오, Electric Vehicle Application In&Out)가 최근 한국시장 런칭을 기념하여 3개의 ICO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이중 한 곳은 암호화폐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4.26~28일 3일간 ICO를 진행한다. 이어서 EVAIO 공식 발표에 따르면 현재 한국의 한 유명 자동차 업체와 연계를 맺고, 2019년말에 한국 시장에 그 차량용 마이닝 기계를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EVAIO의 CEO 패트릭 드 포터는 전 테스라 유럽의 주요 구성원 중 한 명으로, 그의 리드하에 EVAIO 백서가 발표됐다. 이 백서에 따르면 EVAIO 블록체인 회사의 핵심 사업은 분산형 전기 차량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구축하고, 목표는 전기 자동차용 블록체인의 기본 프레임 워크를 제공 및 신뢰할 수 있는 온보드 IOT 지불 시스템을 구축하여 차량의 빅 데이터 실현 및 공유 된 충전 기능을 실현한다.EVAIO 관계자는 “EVAIO 및 유럽 자동차 공장 UNITI는 전략적 제휴를 맺었으며, EVA 소프트웨어 시스템 및 하드웨어 설비에 대한 사전 설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자동차 소유자에게 할인된 차량 교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까지 저렴한 할인혜택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EVAIO는 ZBG 거래소에서 런치패드(LaunchPad)를 완성하여 인베스터들 사이에서 상당한 인기를 확보하여, EVA코인은 4월 29일 ZBG에 상장 예정이다.EVAIO는 블록체인, 5G, 자동차 네트워크 등의 기술이 보완됨에 따라 미래 전기자동차 업계는 천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EVAIO 프로젝트는 온라인 데이터 조작, 유출, 현금변환 어려움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VAIO 관계자는 “오프라인 무감각 지불식 공유 충전을 가능케 함으로써, 이전에는 간과되었던 자동차 소유주들을 중시하고 기술 발전의 물결 속에서 마땅히 받아야 할 배당금을 누리게 되고, 유휴 충전 자원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이번 클렛에서 진행하는 ICO 에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 자산 거래 플랫폼 ‘마켓마하’, 보상형 모바일 게임 출시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 자산 거래 플랫폼 ‘마켓마하’, 보상형 모바일 게임 출시레트로 감성의 2D 횡 스크롤 액션 아케이드 모바일 게임 ‘마하 어드벤처’ 출시 게임에서 얻은 코인을 암호화폐로 환전하면 플랫폼 내 결제 수단으로도 활용 가능블록체인 기반의 안전 자산 거래 플랫폼 ‘마켓마하’는 게임 자산을 암호화폐로 전환할 수 있는 보상형 모바일 게임 ‘마하 어드벤처(MACH Adventure)’를 출시했다고 25일 밝혔다.마하 어드벤처는 레트로 감성의 2D 횡 스크롤 액션 게임으로, 원시인 캐릭터가 원숭이 소굴을 탐험하며 스테이지 열쇠를 찾아 나서는 아케이드 장르의 게임이다. 최근 출시된 모바일 게임들이 방치형 MMORPG 장르가 대세인 것과 대비하여, 귀여운 캐릭터와 아기자기한 요소들로 초보자도 흥미롭게 플레이할 수 있도록 진입 장벽을 낮췄다.마하 어드벤처는 메인 스테이지를 비롯하여 총 130종류의 서브 스테이지를 구축하여 이용자에게 숨겨진 맵을 찾는 재미를 선사한다. 또한 스테이지마다 지정된 미션에 성공하면 더 큰 보상이 주어진다.특히 게임을 통해 획득한 ‘몽키코인’은 마켓마하 플랫폼에서 암호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마켓마하는 자체 토큰인 마하코인을 ‘몽키코인’으로 환전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마하 어드벤처 이용자들이 자산 거래나 게임 아이템 거래 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마하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는 한국인증서비스의 최세준 대표는 “마하 어드벤처 이용자는 게임이 주는 기본적인 재미는 물론, 게임할수록 쌓이는 몽키코인을 활용하여 마켓마하 플랫폼에서 자산을 구매할 수 있다”며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의 활용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아울러 최 대표는 “이번 마하 어드벤처 출시를 시작으로 다양한 장르의 보상형 모바일 게임을 마켓마하 플랫폼에 상장함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이 즐길 수 있는 게임 스테이션으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마하 어드벤처는 현재 안드로이드 OS가 먼저 출시됐고,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즐길 수 있다. IOS 버전은 5월에 출시될 예정이다.
-
FSB, 암호화폐 자산 규제 관리 기관 리스트 발표
▲ 애널리스트 "IEO, 시장 회복 견인 못해"드렉 휴즈 블록체인 캐피털 투자 애널리스트가 미디엄을 통해 "IEO가 암호화폐 시장의 회복을 직접적으로 견인하기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그는 "IEO는 결국 높은 수익률로 투자자들의 투기 심리를 자극하는 매커니즘으로 움직인다"며 "그러나 높은 수준의 프로젝트들은 통상 IEO를 통해 자금을 모으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만 IEO를 통해 거래소 플랫폼 토큰의 가격은 크게 상승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FSB, 암호화폐 자산 규제 관리 기관 리스트 발표일본 중앙은행의 공지에 따르면, 국제 금융 규제 기관인 금융안정화위원회(FSB)가 지난 5일 암호화폐 자산 규제 관리 기관 리스트를 발표했다. 해당 리스트는 11~12일 G20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장 회의에 제출됐다. 리스트에는 FSB 소속 각국 금융 당국 및 기관과 글로벌 범위의 암호화폐 자산 관련 기구가 포함됐다. FSB는 금융분야 규제와 감독에 관한 국제기준 등을 마련하고 금융당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탄생한 국제기구다. 20개 국가의 중앙은행 및 재무당국이 위원회에 포함되어 있다.▲ 고래 자금 이동 급증...1억 달러 규모 BTC 이체 발생지난 2주 암호화폐 시장이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낸 가운데, 비트코인 월렛 간 대규모 이체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지난 48시간 내, 소유주가 밝혀지지 않은 비트코인 고래 월렛에서 2만 BTC가 이체됐다. 약 1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다. 해당 월렛이 대규모 자금을 이동시킨 것은 지난 2018년 2월 이후 처음이다. 이외에도 지난주 금요일 BCH 고래 주소에서 누적 110만 BCH가 이체됐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퀀트 트레이딩 강의 성황리에 마쳐...지속적 학습 콘텐츠 개발 계획 밝혀
후오비 코리아, 퀀트 트레이딩 강의 성황리에 마쳐...지속적 학습 콘텐츠 개발 계획 밝혀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지난 30일 서울시 강남구 ‘북앤빈(BOOK&BEAN)’ 북카페에서 열린 디지털 자산 투자 강의 ‘후오비 코리아 시리즈 오프 더 레코드(Huobi Korea Series Off the Record)’가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트레이더는 하락장에서 어떻게 수익을 내고 있을까?’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강의는 강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트레이딩 전략과 투자 방법을 학습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40여 명이 참여한 이번 강의는 디지털 자산 퀀트 운영에 관심이 있거나 투자 기회를 찾고 있는 개인과 기관 등 금융 투자에 관심 있는 신청자로 빈틈없이 채워졌다.강사진은 중국, 미국, 싱가폴, 한국에서 온 국내외 투자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후 쯔워이(Hu Zhiwei) 후오비 수석 연구원은 암호화폐 시장에 특화된 초단기매매(High frequency trading)에 대해, 선 지우지우(Sun Jiujiu) 크립토 리버(Crypto River) 퀀트팀 설립자는 미디엄 라인 트렌드(Medium Line Trend) 전략에 대해, 김한샘 알케미랩 CEO는 알고리즘 투자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 호미익스(HomiEx) 설립자인 조우 홍밍(Zhou Hongming)은 마켓 메이커(Market Maker) 전략을 깊이 있게 설명해 참석자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강의 후 조우 홍밍 호미익스 설립자는 “한국 투자자들의 학습에 대한 열정과 수준 높은 질문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소감을 전했다.강의 후에는 국내 암호화폐 시장 상황과 후오비 코리아의 운영 전략 등의 다채로운 주제의 질의 응답시간과 함께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에 대한 소개 시간을 가졌다. 특히 지난 26일 처음 진행했던 우수 블록체인 프로젝트 공개 플랫폼인 후오비 프라임은 2기 진행에 대한 참여 방법과 규칙 등 다양한 문의가 이어지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국내의 암호화폐 퀀트 트레이딩은 60% 이상이 활용하고 있는 주식시장과 비교해 실력이 높지만 소수의 팀 또는 개인 등 이용자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후오비 대학과 연구원과 함께 이용자의 수요 및 피드백을 받아드리고 한국 시장에 맞는 학습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저변 확대를 위해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비트렉스, 비트라이선스 반려에 뉴욕 고객 자산 이동 지원
▲ 日 디커렛 거래소, 오는 16일 서비스 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에 따르면, 인터넷 이니셔티브 재팬 그룹 산하 디커렛(DeCurret) 거래소가 오는 4월 16일 서비스를 개시한다. 해당 거래소는 지난달 일본 금융청으로부터 암호화폐 거래소 사업자 라이센스를 발급받은 뒤, 3월 27일부터 사용자 가입 절차를 진행한 바 있다.▲ 마이크로BT, 채굴기 출시 예정...앤트마이너 S17 대비 해시파워 20%↑외신에 따르면, 비트메인의 전 개발팀이 설립한 암호화폐 채굴기 업체 마이크로BT(MicroBT)가 신형 채굴기 모델 'M20S'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해당 채굴기의 최대 해시파워는 68 T, 에너지 효율은 48 W/T를 나타내 비트메인이 최근 출시한 앤트마이너 S17의 56 T, 45W/T 대비 20% 가량 높은 해시파워를 나타낸다. 마이크로BT 측은 해당 모델이 오는 7월 초 출시될 예정이라며, 출시 전까지 개선을 거쳐 실제 제품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비트렉스, 비트라이선스 반려에 뉴욕 고객 자산 이동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슬럿지피드에 따르면, 시애틀에 본사를 둔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가 뉴욕 금융감독국(NYDFS)의 비트라이선스(BitLicense) 발급 거부로 뉴욕 거부자들이 플랫폼에서 자산을 이동할 수 있도록 거래 수수료를 0%로 내렸다. NYDFS는 최근 비트렉스의 자본금 보유량 및 자금세탁 방지책이 당국 조건에 부적격하다는 이유로 비트라이선스 신청을 반려하고 60일 이내로 뉴욕 주에서 영업을 종료할 것을 명령한 바 있다. 비트렉스는 이와 관련해 "NYDFS의 주장에 전적으로 반대한다"며 "뉴욕 거주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트라이선스 획득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스팀 기반 디앱 최초 상장·스팀 기축 마켓 지원 예정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http://daybit.com, 대표 이재철)이 스팀(Steem)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앞장선다고 밝혔다. 데이빗은 유망한 스팀 디앱을 발굴해 상장하고, 순차적으로 스팀 기축 마켓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일 데이빗에서 최초로 토큰 판매를 지원한 스팀 디앱 ‘스팀헌트’는 19초 만에 완판되기도 했다.스팀 블록체인은 소셜 미디어 모델에 특화된 블록체인이다. 스팀은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큐레이션에 참여하는 유저에게 보상을 분배한다.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추천하면 보상을 받는 ‘스팀잇(Steemit)’, 영상 플랫폼 ‘디튜브(dTube)’가 대표적인 디앱이다.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은 스팀 블록체인에 소셜미디어·커뮤니티 등 실생활에 밀접한 디앱이 많고, 디앱 활성도가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히 높은 점에 주목했다. 전세계 디앱 정보사이트 스테이트오브댑스(www.stateofthedapps.com/rankings)에 따르면, 상위 10개 디앱 중 절반이 스팀 기반이다. 디앱을 사용하는 활성 유저 역시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하다. 디앱 시장 분석 기관 디앱닷컴(www.dapp.com)에 따르면, 이더리움 지갑 보유자 2%만이 이더리움 디앱을 사용하는 반면, 스팀 지갑 보유자 44% 이상이 스팀 디앱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최초 상장하고, 이후 스팀 기축 마켓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첫 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선정된 ‘스팀헌트’는 판매 개시 19초 만에 완판되었다. 스팀헌트는 유저들이 혁신적인 테크 제품을 리뷰하고 투표에 참여해 보상을 얻는 플랫폼이다. 인기가 높은 제품을 자주 공유하거나 투표, 토론 등 핵심 활동에 기여할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는 구조다.스팀헌트는 토큰이코노미 설계부터 마케팅까지 데이빗 모회사 체인파트너스가 종합 자문해온 파트너사이기도 하다. 2018년 3월 런칭 이후, 스팀헌트 플랫폼을 통해 총 1만 5천여 명이 47,000개가 넘는 제품을 소개했다. 일평균 180개의 신제품 정보가 공유되고 있는 셈이다. 단일 포스트로 247달러 보상을 지급받은 사례도 나왔다.데이빗은 스팀헌트 이후에도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문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체인파트너스의 자문사업파트와 연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순차적으로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자체 지갑을 구현한 데이빗의 기술력을 활용해 스팀 기축 마켓 개장 및 스팀 디앱 전용 토큰 전환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스팀 디앱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지만, 스팀 콘텐츠 보상체계에 특화된 스마트미디어토큰(SMT)이 런칭을 앞두고 있어 기술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데이빗 이재철 대표는 “스팀 체인이 시장 규모나 가능성에 비해 저평가 되어있고, 스팀 디앱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데이빗이 선제적으로 스팀 디앱 시장을 지원하려고 한다.”며 “데이빗의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유망한 스팀 기반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하고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지원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했다. 1차, 2차 수량이 전부 판매된 스팀헌트(HUNT)의 추가 판매도 8일부터 진행 예정이다. 스팀이나 스팀달러를 입금하면 스팀헌트 토큰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
네오프레임, 국내 첫 대체거래소 사업 설명회 개최 … "연내 시범 서비스 목표"
네오프레임, 국내 첫 대체거래소 사업 설명회 개최 … "연내 시범 서비스 목표"1999년도에 설립된 국내 HTS(홈트레이딩시스템) 개발 1위 기업 네오프레임(대표이사 김성룡)이 연내 국내 첫 대체거래소의 시범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네오프레임은 11일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증권사 및 금융IT기업,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대체거래소 사업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국내 주요 증권사 리테일 본부장 및 IT본부장, 금융IT기업 대표들을 비롯해 대체거래소 컨소시엄을 희망하는 다수 기관투자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최근 네오프레임이 개발 완료한 대체거래소 플랫폼의 사업화 세부일정 및 시연회가 진행됐다.네오프레임은 이날 설명회에서 국내 첫 대체거래소 설립을 위한 본격적인 컨소시엄 구성에 돌입했다고 전했다. 회사 측은 상반기 내 증권사 및 금융투자사, 금융IT전문기업 및 언론사 등으로 구성된 자본금 200억원 규모의 컨소시엄 구성을 완료하고, 하반기 중 예비인가 취득을 통해 대체거래소 시범서비스를 선보이겠다는 계획이다.국내 대체거래소의 설립은 과거 2013년부터 거론돼 왔다. 이후 2016년, 대체거래소의 거래량이 기존 5%에서 15%로 확대되는 법령이 개정되면서 증권사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이날 설명회에서 네오프레임 김성룡 대표이사는 “현재 네오프레임이 개발 완료한 대체거래소 시스템은 현 한국거래소와 동일한 구조로 개발돼 주식 거래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체적인 시스템 단순화와 유연화를 통해 처리속도까지 효율적으로 개선했다”며 “현재 네오프레임이 구상중인 대체거래소는 사용자들에게 기존 대비 수수료 절감 효과를 비롯해 초고속 대량 주문용 API 제공 등 매매 기능 등을 제공해 자체적 차별화가 가능하다”고 전했다.그는 이어 “이미 미국와 유럽 등의 해외 선진 시장에서는 대체거래소의 시장 점유율이 40%를 넘어서고 있는 만큼, 국내에서도 본격적인 도입 후 주식시장의 발전에 큰 반향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올인원 블록체인 어플라이언스 ‘huba’ 출시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올인원 블록체인 어플라이언스 ‘huba’ 출시신속한 블록체인 환경 구축 및 운영, 관리 지원을 통해 블록체인 비즈니스 가속화 지원속도와 가용성, 확장성을 모두 갖춘 기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통합 ICT 인프라 솔루션 전문 기업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정태수)은 기업이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환경을 신속하게 구축하고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블록체인 어플라이언스 ‘huba’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자체 개발한 ’huba’는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프라와 프레임워크, 관리 시스템을 이상적인 상태로 통합한 솔루션이다. 히타치 UCP(Hitachi Unified Compute Platform)를 기반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 플랫폼을 통합하여 기업이 인프라 준비부터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설치,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성, 운영 관리 및 모니터링으로 이어지는 긴 구축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신속하게 블록체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huba’는 기업 환경에 적합한 맞춤 인프라 구성이 가능하고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동적 스케일아웃을 지원하며, SPOF(Single Point Of Failure)가 없는 무중단 서비스 환경으로 미션 크리티컬한 기업의 비즈니스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블록체인 시스템의 핵심은 블록체인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물리 인프라와 컨테이너 환경의 인프라를 구성하고, API와 SDK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연동하는 것이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huba’에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huba SDK’와 모니터링 및 운영 관리 시스템인 ‘huba Manager’를 제공하여 블록체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완성도와 편의성을 높였다. 기업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에서 제공하는 복잡한 API를 직접 다루지 않아도 ‘huba SDK’를 통해 개발한 블록체인 서비스와 기존 업무 영역을 쉽게 연동할 수 있다. ‘huba Manager’는 통합 대시보드부터 운영 관리, 리포팅, 장애 관리, 그리고 개발자 환경까지 지원한다. 특히 마법사 기능처럼 블록체인 구성 요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안내 메시지에 따른 조작만으로도 쉽게 구성요소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다.‘huba’를 도입하여 기업은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및 환경 구성에 소요됐던 많은 비용 및 시간을 대폭 절감하고,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만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모든 요소를 제공하기 때문에 원스톱 기술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정태수 대표이사는 “이번에 출시한 huba는 기업들이 블록체인 비즈니스 시작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인프라 환경을 신속하게 구성하고, 유연하고 편리한 운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블록체인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혁신적인 비즈니스 프로젝트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우며 관련 시장을 선도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로 손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콘트랙트 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으로 채권자와 채무자를 보호한다. 특히나 대출의 경우 국경을 넘기가 힘들었던 현재의 금융권 구조와는 달리 제약이 없는 글로벌 신용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진다는 점이 상당히 매력적인 점으로 평가된다.위파워(WPR)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 거래 플랫폼. 친환경 사업의 성장과 함께 관련 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전문가팀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미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파트너쉽도 체결된 상태이다. 기존의 폐쇄적인 정부와 대형 기관의 주도로만 관리되어왔던 에너지 거래 분야의 탈중앙화를 지향한다.아더(ARDR)100% POS 방식의 블록체인 플랫폼. NXT를 만든 Jelurida에서 만든 코인으로 확장성, 호환성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토큰들을 따로 분리해 중요하지 않은 롱텀 데이터 축적 이슈를 해결하면서 장기적인 효율성 향상을 확보했다. 퍼블릭 오픈 소스 형태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라이센싱도 가능토록 제작됐다. NXT와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손쉬운 비교를 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58COIN 무기한 선물 지수 가격 산정 기준 변경
▲ 코인플러그, 한국남부발전과 REC 거래 시스템 구축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전문 핀테크 기업 코인플러그가 한국남부발전과 블록체인 기반 신재생에너지 공급증명인증서(REC) 거래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13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REC 거래 시스템으로 다자간 신재생에너지 공급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며, 거래 관련 문서를 블록체인 기반 공문서로 저장하는 등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인다는 설명이다. 한편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추진한 '2019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이다.▲ 외신 "러 디지털 '철의 장막'...암호화폐 거래 검열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러시아 정부가 추진하는 '인터넷 고립법안'이 암호화폐 거래를 검열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당 미디어는 이와 관련해 "러시아는 암호화폐 투자자에게 국내 거래소 사용을 강제하고, 적격 투자자의 참여만 허용하기를 원한다"며 "정부가 국내 트래픽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면, 암호화폐 거래 규제를 시행할 능력 또한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해당 법안은 320대 15로 러시아 연방 두마 의회를 통과했으며, 법안이 발효될 경우 러시아의 인터넷서비스 사업자(ISP)들은 해외 인터넷망 접속 차단 시에도 작동하는 자체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을 구축하고 모든 트래픽을 통신감독 기관에 전송해야 한다.▲ 58COIN 무기한 선물 지수 가격 산정 기준 변경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무기한 선물(디지털 계약, USDT 계약) 지수 가격 산정 기준을 변경한다고 공지했다. 지수 가격 산정 기준이 '바이낸스 50%, 후오비 50%'에서 '바이낸스 70%, 후오비 30%'로 변경되며, 사용자 보유 포지션에 대한 영향은 없다는 설명이다. 58COIN 리스크 관리 총괄은 이와 관련해 "바이낸스의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해 조치했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생활플랫폼 ‘토마토’, 스마트렌탈과 손잡고 렌탈서비스 제공
블록체인 생활플랫폼 ‘토마토’, 스마트렌탈과 손잡고 렌탈서비스 제공소프트웨어메이크가 대기업 가전제품 렌탈 전문기업과 함께 플랫폼 ‘토마토’에서 렌탈서비스를 본격화 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소프트웨어메이크(대표 김태진)는 스마트렌탈(대표 문성광)과 정식 계약을 체결하고 블록체인 기반 렌탈 플랫폼 ‘토마토’에서 렌탈서비스를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스마트렌탈은 업계 최초 B2C 대상 생활가전의 장기 렌탈 사업을 선보인 렌탈 전문기업이다. 소프트웨어메이크에서 개발한 ‘토마토’는 렌탈, 쇼핑몰, 모바일 상품권, 스마트이력서, 명함 네트워크, 음성키워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 플랫폼이다. 회사 관계자는 “1992년 설립 이후 고객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사업자들을 수십년간 접했고 그 중에서도 임대 사업자의 비율이 가장 많았다”며 “중소 임대 사업자의 중소기업 가전제품 렌탈은 대기업 상품에 밀려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스마트렌탈과 협력해 플랫폼 ‘토마토’에서 중소 임대 사업자들도 대기업 가전제품을 렌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회사 관계자는 “‘토마토’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는 스마트렌탈의 대기업 생활가전, 주방가전 등을 렌탈 영업할 수 있다”며 “소프트웨어메이크의 임대 사업자 인프라와 스마트렌탈의 렌탈 사업 노하우로 양사 사업 시너지가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플랫폼 ‘토마토’에 입점할 임대 사업자들은 대기업 제품 렌탈 서비스에 높은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임대 사업자측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가 원하지만 취급하기 어려웠던 대기업 제품을 포함한 생활가전을 렌탈 제공할 기회가 생겨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소프웨어메이크 김태진 대표는 “임대 사업자를 포함한 소상공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생활과 렌탈을 하나로 묶는 렌탈 플랫폼을 선보일 것”이라며 “6월 예정이었던 플랫폼 ‘토마토’의 론칭도 앞당길 것”고 말했다.
-
비트멕스 "BSV 채굴자 손해액, 220만 달러 추산"
▲ 바이낸스 리서치 “개인 투자자, 암호화폐 시장 주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비티씨닷컴(Newsbtc.com)가 바이낸스 리서치를 인용, “암호화폐 시장은 여전히 대형 개인 투자자가 주도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 비율은 전체 7%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암호화폐 미디어 크립토펀드리서치닷컴(cryptofundresearch.com)도 자체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업계 운용되고 있는 암호화폐 펀드 수는 총 700개, 자산 규모는 100억 달러가 채 안 된다” 며 “이들이 비트코인만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도 해당 규모는 비트코인 전체 시총의 14%에 불과하다. 알트코인 포함 시에도 전체 비중은 7% 미만이다”고 진단했다.▲ 비트멕스 CEO "단기 비트코인 채권 발행 검토 중"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멕스(BitMEX)의 아서 헤이즈(Arthur Hayes) CEO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비트멕스가 일종의 단기 비트코인 채권 발행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미국 정부, 암호화폐 규제 법안 고려 중"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투데이즈가제트(todaysgazette)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조슈아 클레이먼(Joshua Ashley Klayman)가 "미국 정부가 법률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 활동을 규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 암호화폐 규제 기관은 올바른 방향으로 규제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며, 블록체인과 관련된 문제 및 기존 법률 개선에는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커뮤니티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론 커뮤니티 구성원 "트론 메인넷 사용자 계정, 약 250만 명 기록"트론 커뮤니티 핵심 구성원인 미샤 레더만(Misha Lederman)이 트위터를 통해 "지난 2018년 6월 트론 메인넷 출시 이후 생성된 메인넷 사용자 계정이 2,500,113 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트론의 성공 요인은 DApp 생태계의 빠른 속도, 우수한 확장성, 낮은 수수료"라고 덧붙였다.▲ 비트멕스 "BSV 채굴자 손해액, 220만 달러 추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BitMEX) 연구팀이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 BSV 채굴자의 누적 손해액이 220만 달러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는 BSV의 총 수익률은 채굴된 코인 수, 현재 가격, 채굴 비용을 토대로 계산한 결과 -12%로 추산된다고 분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기반 쇼핑몰 샵콘, V커머스 라이브 쇼핑 첫방 이벤트 “샵콘이 치킨 쏩니다”
블록체인 기반 쇼핑몰 샵콘, V커머스 라이브 쇼핑 첫방 이벤트 “샵콘이 치킨 쏩니다”샵콘 인기상품과 연계한 라이브 쇼핑 채널 ‘샵콘TV’방송 제품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특별 행사 마련블록체인 기반 종합쇼핑몰 ‘샵콘’이 V커머스 라이브 쇼핑 ‘샵콘TV’ 첫 방송을 기념해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샵콘TV’는 샵콘이 V커머스 시장에서 도약을 목적으로 추진해 온 라이브 쇼핑 채널이다.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샵콘의 인기상품과 연계해 판매하는 영상 콘텐츠를 제작, 고객들에게 재미있고 유익한 쇼핑 경험을 선사할 계획이다.첫 방송을 기념해 열리는 이번 행사는 ‘샵콘TV’를 알리는 동시에 샵콘 쇼핑몰의 활성화를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이벤트를 통해 회원 유치와 더불어 회원들에게 더 나은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1~2회차 방송 제품을 구매한 고객 대상 15,000원 상당의 치킨 한 마리를 제공한다. 샵콘TV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방송 시청 후 샵콘 쇼핑몰에 접속,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오는 23일 1회차 방송에서는 인투스킨 퀵 파인 클리어 클렌징밤 및 메디힐 BTS 수분케어, 진정케어 스페셜 세트로 구성된 패키지 상품을 소개한다. 여기에 BTS 단체 포토 카드집 OUR STORY 14장과 개인 포토 카드집 MY STORY 14장이 동봉돼 있다. 25일 2회차 방송에서는 제이준코스메틱의 인기 마스크팩 패키지를 선보인다.샵콘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샵콘의 인기상품을 만나보고 치킨까지 맛볼 수 있는 일석이조 이벤트”라며 “앞으로도 소비자에게 보탬이 되는 다양한 행사를 기획할 예정인 만큼 샵콘TV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존 맥아피 “코인긱 창업자에 8억 달러 명예훼손 고소”
▲ BCH 개발자, 위키리크스 자료 IPFS에 업로드…영구 열람 가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에 따르면 BCH 개발자 크리스 트라우너(Chris Troutner)가 최근 런던에서 체포된 위키리크스 창립자 줄리안 어산지(Julian Assange)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히기 위해 위키리크스 문서 캐시 메모리 전체를 IPFS(데이터 탈중앙화 위한 웹 프로토콜) 및 BCH 체인에 업로드 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위키리크스 내 게시된 자료를 영구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존 맥아피 “코인긱 창업자에 8억 달러 명예훼손 고소”대표적인 비트코인 강세론자이자 세계적인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자 존맥아피(John McAfee)가 오늘 새벽(한국 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칼빈 아이어(Calvin Ayre)가 자신이 살인을 저질렀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며 "명예훼손으로 그를 고소하고 8억 달러 배상을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소송 절차가 다소 복잡하기는 하지만 여러 국가 내 칼빈 아이어의 자산 상태를 면밀히 조사했다. 칼빈 아이어는 곧 파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칼빈 아이어는 디지털화폐 미디어 코인리버(Coin River)를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정식 사과와 함께 배상 금액 지불 동의를 받아낸 바 있다. 지난 12일에는 칼빈 아이어가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과 비트코인 투자자 피터맥콜맥(PeterMcCormack)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소환장을 발송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칼빈 아이어는 코인긱(Coingeek)의 창업자로, 엔체인(nChain) 수석 엔지니어인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와 함께 대표적인 비트코인 SV 진영 '수장'으로 꼽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페이스북을 비롯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컴퓨터 과학 전문가 영입- Go SDK, 테스트넷 등 플랫폼 기술 질적 향상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가 모리스 헐리히(Maurice Herlihy)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영입으로 플랫폼의 기술적 향상을 추진한다.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컴퓨터 과학계 전문가이다. 그는 카네기 멜론 대학의 교수진과 DEC 캠브리지 연구소 직원으로 근무했으며, 2003년 디지크스트라 분산 컴퓨팅상(Dijkstra Prize), 2004년 괴델상(Gödel Prize), 2008년 ISCA 우수 논문상 수상자이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에토스(Ethos), 타락사(Taraxa)에 참여했고 페이스북에서도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알고랜드는 개발자 홈페이지를 통해 알고랜드 플랫폼에서 손쉽게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한’Go SDK’를 출시했으며 홈페이지의 신청자에 한해 테스트넷을 공개하여 알고랜드 플랫폼을 시범적으로 운영 중이다. 기술 고문으로 합류한 모리스 교수는 Go SDK와 테스트넷의 기술적 검토 및 추후 공개될 메인넷 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모리스 교수의 선임을 두고 알고랜드의 창립자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는 “컴퓨터 과학계에서 명망이 높은 모리스 헐리히 교수의 합류를 환영한다”며 “알고랜드가 목표로 하는 국경없는 경제의 구축을 위한 플랫폼 개발과 기술의 진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