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가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상품구매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플라이업코리아(대표 김동우)는 ‘OK CASHBAG’, ‘시럽 월렛’ 등을 운영하는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포인트 구매 플랫폼을 독점 개발하기 위해 협력한다. 플라이업코리아의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기술과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의 ‘OK CASHBAG’, ‘시럽 월렛’ 등 다양한 서비스로 검증된 데이터 마케팅 역량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양사의 목표이다. 플라이업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물경제와 블록체인이 아우러질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양사 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자 논의가 진행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가시적 성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는 지난 1월 오픈한 ‘코인피닛’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SK텔레콤 출신의 김동우 대표를 신규 대표로 선임하고 사업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클렛에서 24일까지 세일 진행-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코인베네(Coinbene)의 문베이스(Moonbase)에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27일 등록 예정..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AI Prediction Platform)는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을 4월 24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이다.AIPE는 리워드 플랫폼인 ‘3PIKS’와 암호화폐 가격변동 알림 서비스인’AIBitBip’, 이 두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코인 및 토큰을 에어드롭(Airdrop) 할 수 있고, 거래소나 특정 코인의 마케팅 채널로도 활용이 가능하다.현재 암호화폐 가격 예측 서비스 3PIKS가 개발 완료단계에 이르렀고, 유저들은 자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모델과 함께 암호화폐의 가격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AI Token을 받게 된다.이처럼, AIPE의 생태계(Ecosystem)은 단순히 우수한 AI 모델(Model)의 확보나, 거래소 개발에 필요한 솔루션만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각 서비스가 상호 유기적인 관계와 가치를 지니며 암호화폐 가격예측, 화폐 유동성, 홍보, 트래픽 그리고 시장의 안정성을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이와 함께, AIPE는 코인베네(Coinbene)의 IEO 프로젝트 문베이스(Moonbase)에 등록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에서는 첫번째로, 코인베네(Coinbene) 에서는 두번째로 IEO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베이스(Moonbase)는 세계 10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네(Coinbene)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바이낸스(Binance)의 Launchpad와 유사한 프로젝트로, IEO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팅 프로세스(Listing Process)를 가지고 이를 통해 빠른 발전과 성장을 꾀할 수 있다.문베이스(Moonbase) 프로젝트가 계획단계에 있던 3월부터 CONI Token은 꾸준히 가치가 상승하여 현재는 5배 가량 가격이 상승했다.AIPE 담당자는 “최근 IEO 동향은 Binance Launchpad 에서 BTT 9.8배, FET 6배, CELR 5.5배 상승이 있었고, Houbi Prime에서 Top 30배, NEW 7.7배가 상승했다”며 “이와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증하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은 좋은 결과를 낳고 있다”고 밝히며 “홀더(Holder)나 투자가(Investor)들에게 가장 많은 수익이 돌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AIPE는 IEO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구글의 소프트웨어 방식인 OTP (One Time Password) 대체 국내 암호화폐 지갑(콜드 월렛)의 선두주자인 ㈜키페어 (공동대표 이정엽, 이창근)는 자사의 키월렛 시리즈 (KeyWallet Series)와 연동하여 이중 보안되는 암호화폐 거래소 전용 인증솔루션인 파이도 (FIDO) 기반의 카이도 (KIDO) 서버를 개발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인 KCX등에 납품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금융투자보호재단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암호화폐 투자를 망설이는 가장 큰이유는 ‘해킹 등 안정성 우려’(41.2%)이라고 답한 만큼 암호화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이 구축 되어야한다. 올 3월에 있었던 빗썸의 암화화폐 탈취 사고 역시 내부자 소행이 추정되는 등 실제 많은 거래소 해킹 사례는 외부침입 외에도 내부 통치 거버넌스 시스템의 부재로 인한 사고가 많았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상 해킹을 당해도 외부에 알리지 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외신뢰도 및 소송이나 행정적인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부분은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는 결국 시장활성화에는 역행할 뿐이므로 거래소에 적합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이 필요하지만 암호화폐의 특성에 최적화되어 있는 보안솔루션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키페어는 암호학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독특한 이력의 전문업체로써 이번에 출시한 ㈜키페어의 ‘KIDO(KeyWallet For FIDO)’ 제품은 기존 ㈜키페어의 보안전용 칩 (Secure Element) 기반의 하드웨어 월렛인 “키월렛 터치(KeyWalletTouch)”와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end to end로 seamless한 보안 체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전통금융산업과는 달리 암호화폐는 개인키 관리 및 분산원장으로 인해 완벽한 망분리를 구조적으로 하기 힘드므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시스템이 필요하나 비용 및 편리성에 의해 핫 월렛 및 소프트웨어 인증 방식을 보통 사용하고 있어 항상 보안사고에 노출 되어있다. ㈜키페어는 이미 KB은행 및 NH등의 주요 금융권에 PKI기반의 인증솔루션인 “스마트원 카드”등을 공급한 경험과 국내 암호화폐 지갑 제조 판매를 선도하는 업체로써 시장에서 니즈를 정확하게 반영한 보안 인증 솔루션이다. ㈜키페어의 이창근 공동대표에 의하면 “암호화폐는 분산원장을 이용해 기존의 중앙서버이용대비 위 변조의 가능성 및 보안성이 더 좋다고 하지만 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로그인등의 아이디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일반적인 인증체계를 이용하는 곳이 많아 거버넌스를 통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카이도(KIDO)는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을 반영해서 제품화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KIDO의 경우 FIDO인증 기반으로, 2018년도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된 개인정보보호 규정인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도 적용가능해 유럽 지역에도 진출할 계획을 밝혔다. 그는 최근 보안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아이템인 커스터디(Custody) 제품에 대한 일정도 밝혔는데 이미 하드웨어 완성이 되었고 현재 소프트웨어 작업을 진행중이며 올 상반기중에 주요 거래소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개발 중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국내 도입된 해외 보안기술을 국산화하는데 특별히 관심이 많다고 했다. 최근에 국내최초로 펌웨어 기반의 보안인증을 받은 KCMVP 인증 역시도 경우도 타사와 달리 100% 국산화하여 인증을 받았다. 그는 독자적인 보안기술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결국 자국의 기술경쟁력을 한 차원 높이는 것이라고 믿고 있고 이러한 시스템을 토대로 자사의 블록체인의 인증 보안 시스템 역시 국제적인 ISMS의 실제 선도 표준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포부를 밝혔다.
-
이그드라시, 개발자들과 소통 강화 위해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
이그드라시, 개발자들과 소통 강화 위해 홈페이지 리뉴얼 오픈-차세대 다차원 블록체인 이그드라시 홈페이지 리뉴얼-전 세계 이그드라시 팬들과 지지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 제공 예정..-개발자들과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게 도와주는 기터 (Gitter) 서비스 도입..차세대 다차원 블록체인 플랫폼 ‘이그드라시’가 23일 공식 홈페이지를 전면 개편했다고 밝혔다.이번 리뉴얼은 전 세계 이그드라시 팬들과 지지자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그드라시 디벨로퍼, 개발자들과 프로젝트 팀 사이의 활발한 소통을 목표로 한다. PC와 모바일에 최적화된 구성으로 이그드라시가 추구하고 있는 목표와 핵심기술, 특징, 서비스, 로드맵 등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현됐다.특히, 최근 크립토미소와 코인코드캡 등 개발 중심 프로젝트 랭킹 사이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2019년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공급업체 탑10’에 선정된 이그드라시는 오픈소스 저장소인 깃헙 (GitHub)과 개발 가이드북인 이그드라시 디벨로퍼스 (YGGDRASH Developers) 외에도 개발자들이 프로젝트팀과 자유로운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기터 (Gitter) 서비스를 추가하여 추가적인 대화의 장을 확보한 점이 인상적이다.이와 함께 이그드라시 생태계에 필수적인 디앱(DApp) 양성을 위한 인큐베이션 서비스 “디스테이션” (D-STATION)도 소개하고 있으며, 조만간 올해 2분기 내 출시 예정인 신개념 암호화폐 거래소 “덱스레이드" (DEXRADE)에 관한 내용도 업로드 될 예정이다.이그드라시 CMO 장인성 이사는 “이번 리뉴얼을 통해 새로운 옷으로 단정하게 차려 입고 앞으로 예정된 테스트넷 베타와 메인넷을 맞이할 수 있어 기쁘다”고 전하며 “이그드라시 기터를 통해 프로젝트를 아껴주시는 모든 개발자분들과 더 많은 소통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한편, 이그드라시는 업계 최초로 인터체인을 구현한 테스트넷 알파를 공개하였으며, 더 향상된 테스트넷 베타는 2분기 내, 메인넷은 3분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출시-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시작으로....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 ‘박차’글로벌 헬스케어 블록체인 선도기업 메디블록(공동대표 고우균·이은솔)은 직접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성공리에 출시했다고 밝혔다.이는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서비스’이기에 더 큰 의미를 갖는다. 메디블록과 경희대치과병원은 2018년 1월 18일 의료기록 체계의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논의를 지속해왔으며 이번 시스템 출시는 이에 대한 결과물이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 도입되는 시스템은 치아나 잇몸 상태뿐 아니라 구강 구조, 얼굴 균형, 저작 기능 등을 고려한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으로, 검진 비용을 최소화하고, 치과 전용 CT(컴퓨터 단층 촬영)나 3차원 얼굴 스캐너 등 최신 장비를 이용해 진료 계획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메디블록이 개발한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은 문진표 작성 시 전신건강상태, 구강건강 인식도 및 습관 등 모든 설문을 전산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고, 진단결과를 여러 진료과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더 나아가 웹기반 원격 진단 서비스를 통해 국가 간의 의료장벽과 의료수준 차이를 넘어선 글로벌 빅데이터 구축 및 초 양질의 진단 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로 인해 검진 전문성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치과계 최초로 치아뿐만 아니라 얼굴뼈, 연조직의 종합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검진센터이며, 1971년 오픈한 국내 첫 사립대 치과병원인 경희대 치과병원(병원장 황의환, 센터장 최용석)에서 구축한 곳이라 큰 의미를 가진다. 검진센터에서는 치아 및 치주 관련 기본검진, 턱관절 및 구강 내 질환 검진, 구강암 검진, 부정교합 및 동적인 구강기능 검사 등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을 운영한다.경희대학교 치과병원 황의환 원장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의료데이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메디블록과 함께 혁신적인 의료정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번 케이스를 통해 국내 치과 진료 문화는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메디블록 고우균 공동대표는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서 치과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를 선보이게 되었다.”라며 “메디블록은 의료정보 통합 EMR 시스템 제공을 시작으로 메디블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의 시스템을 연동시켜 센터에 방문하는 환자들이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메디블록은 한양대 의료원, 전남대학교병원, 베스티안병원 등 유수의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어 의료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또한, 메디블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과 분당서울대병원 함께 진행하는 정부 과제에서 유일한 블록체인 기술 위탁기관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가톨릭중앙의료원과 빅데이터 센터 정부 과제를 함께 진행하며 의료정보 생태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하버드 의과대학 실습 수련병원인 MGH와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을 통해 전 세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한편, 메디블록은 지난 2월과 8월에 각각 ‘포브스가 선정한 2018년 기대되는 한국 스타트업 10곳'과 ‘포브스가 선정한 2019년 기대되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9곳'에 선정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블록체인 기업이다.
-
커먼즈 재단,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 성황리에 종료
커먼즈 재단,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 성황리에 종료 커먼즈파운데이션이 주관한 ‘유기동물 후원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이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이번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은 암호화폐 장외거래 플랫폼 비하인드와, 마이크로비트코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협력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 기간은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29일 까지였으며 약 한달동안 모금된 마이크로비트코인은 총 20,002,497개로, 장외거래 플랫폼인 비하인드에서 원화로 약 200만원의 가치로 환전 되어 해당 기부 단체에 기부되었다. 블록체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기부 문화에 블록체인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블록체인 캠페인의 취지와, 진행상황 등을 소셜 미디어에 중개하고,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진행하였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부금을 운용하면 구호활동단체나 자선단체의 기부금 사용 내역을 추적할 수 있다. 또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내역은 누구나 실시간으로 열람 가능하며 조작이 불가능하다. 원화로 환전 된 금액은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유기동물 구호활동에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부금 사용 내역은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을 진행한 커먼즈파운데이션 관계자는 ‘자선단체가 투명한 후원 내역 관리를 위해 영수증, 통장사본을 증빙 자료로 공개 하고 있으나, 개인 및 단체 간 신뢰의 문제에 따라, 투명하게 기부금이 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부문화의 모범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모금된 암호화폐가 수혜자들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현실적인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을 시작으로 신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도입이 활성화 되어 건전한 기부문화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 고 덧붙였다.
-
퍼블릭 체인 프로젝트 네뷸러스가 베이징에서 일부 매체들과 함께 네뷸러스 NOVA 발표회를 가졌습니다.
네뷸러스 NOVA: 협력적 미래의 시작퍼블릭 체인 프로젝트 네뷸러스가 베이징에서 일부 매체들과 함께 네뷸러스 NOVA 발표회를 가졌습니다. 네뷸러스 메인넷의 새로운 버전으로서, NOVA (v 2.0)는 핵심 기능 향상에 주안점을 뒀고, 최초로 온체인 인센티브를 실현시킨 퍼블릭 체인으로서 2019년 네뷸러스의 커뮤니티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예정입니다.기자회견은 200명 한정으로 진행되었고, 여기에는 블록체인 업계의 오피니언 리더들과 네뷸러스 생태계 파트너, 커뮤니티 개발자 및 멤버들, 그 외 다른 기업/미디어 종사자들이 참여했습니다.이 자리에선 “네뷸러스 NOVA: 협력적 미래의 시작”을 주제로 진행되었고, 네뷸러스 창립자인 Hitters Xu와 공동 창립자Aero Wang, 그리고 네뷸러스 연구소 연구원장 Xuepeng Fan 박사가 네뷸러스 커뮤니티의 거버넌스 관련 커뮤니티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에 대해 키노트 연설을 진행했습니다. 커뮤니티 거버넌스는 2019년 퍼블릭 체인 업계에서 핫이슈로, 기자회견의 핵심 주제이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의 정보의 “홀로그램”화에 이어, 네뷸러스 또한 새로운 조직적 협력의 “홀로그램”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네뷸러스는 생태계 모든 참여자들이 열리고, 투명하고 하나된 커뮤니티 거버넌스 아래에서 개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네뷸러스 NOVA를 기반으로한 힘의 분산, 프로젝트 기반 개발, 투표 시스템 등으로 이뤄집니다. 네뷸러스 NOVA의 가장 혁신적인 부분은 탈중앙화 툴의 병목현상 관련하여 기술로 이를 해결하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네뷸러스 생태계는 자산 분배/관리 관련 더 나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기자회견에서 네뷸러스 창립자인 Hitters Xu는 네뷸러스NOVA가 스마트 자산을 통해 탈중앙화된 협력을 잘 이끌어냈다고 평했습니다. 스마트 자산은 프로그래밍으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가능한 자산으로, 디지털 자산 보유자들을 자연스레 사용자들로 탈바꿈시킵니다.따라서, 디지털 자산은 네뷸러스 생태계 발전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긍정적 인센티브와 함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현재로선, 퍼블릭 체인 업계는 훌륭한 개발자들을 다수 모으기 힘듭니다. 또한 최소 분쟁으로 자가발전을 이룩하기에도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네뷸러스 NOVA는 3가지 핵심 기술들을 활용하여 온체인 인센티브에 대한 원활한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네뷸러스 랭크 (NR), 네뷸러스 블록체인 런타임 환경 (NBRE) 그리고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 입니다. 특히, 네뷸러스 랭크(NR)는 생태계에 각 참여자(어카운트)들이 얼마나 기여했는지 알게 해주어, 부정행위 방지 및 확장성 제공이란 두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또한, 개발자들에게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네뷸러스 블록체인 런타임 환경 (NBRE) 는 실행환경 및 네뷸러스 랭크 (NR)와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의 드라이버 환경을 개선합니다. 그리고 이는 네뷸러스 자가 개발에 핵심 기술이기도 합니다.또한, JIT(Just-in-time) 모음 기술의 경우, 네뷸러스 프로토콜 표상 (NRP), 즉 블록체인 핵심 프로토콜의 자동 업그레이드를 실현합니다.예를 들어, 네뷸러스 NOVA는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정규 업데이트에 문제 없도록 시스템 개선 및 관련 파라메터를 수정할 수 있게 하여 개발자 인센티브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즉, 이를 통해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가 실천 가능해지는 겁니다.네뷸러스는 자율 메타넷으로, 온체인에서의 복잡한 데이터, 상호작용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선, 네뷸러스 메인넷에는 260,000개정도의 참여자(어카운트)들이 있고, 6,800여개의 댑들이 안정적으로 돌아가면서 백만 이상의 일 트랜잭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네뷸러스는 MIIT 산하 CCID 리서치 결과에서 퍼블릭체인 부문 3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네뷸러스 NOVA 는 네뷸러스에게 완전한 자율 메타넷으로 가는 2번째 단계입니다. 또한 자율 메타넷으로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협력의 미래는 곧 다가옵니다. 네뷸러스 NOVA 가 온라인으로 올라오는 순간, 생태계 내 개발자/일반 유저들 모두 생태계 개발에 참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네뷸러스 비전을 실현하여 “탈중앙화된 협력”을 통한 상호호혜적 관계를 쌓아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4-24 :: 존 맥아피, 나카모토 사토시와 대화했다… 정체 공개 예정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존 맥아피, 나카모토 사토시와 대화했다… 정체 공개 예정https://bit.ly/2GCnB6j▪️ JP모건 네트워크 참여 은행 220여개로 확대https://bit.ly/2Dplvoz▪️ ‘삼성코인’ 드디어? “삼성전자 블록체인 메인넷 개발중”https://bit.ly/2IPMltl▪️ "손정의 회장, 비트코인 투자했다 1천400억원대 손실"https://bit.ly/2GEzDfB▪️ ‘프라이버시 제일’ 모네로 5주년https://bit.ly/2L7YyMG▪️ 미국 암호화폐 절도범에 첫 실형…‘심카드 바꿔치기’ 수법https://bit.ly/2XHtTYd
-
토큰인사이트, '2019 Q1 채굴 업계 보고서' 발표
▲ 포르쉐, 스텔라 블록체인 기반 무선 정산 시스템 개발독일 스포츠카 업체 포르쉐(Porsche)가 현지 블록체인 기업 콴토즈(Quantoz)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 공유 및 제어 기능을 개발했다고 온라인 금융지 트레이더블(The Tradable)이 14일 전했다. 이를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요금, 통행 요금, 주차 요금 등 무선 자동 요금 정산 시스템을 개발, 자사 자동차에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포르쉐는 "현재 해당 기술은 개념증명(Proof of Concept, PoC) 단계에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여러 차량의 요금을 동시에 정산하기 위해 초당 1,000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스텔라(XLM, 시가총액 9위) 블록체인 프로토콜을 채택했다"고 설명했다. 미디어는 "이를 통해 요금을 정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주차장 무현금화를 촉진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토큰인사이트, '2019 Q1 채굴 업계 보고서' 발표블록체인 리서치 전문 업체 토큰인사이트가 15일 '2019 Q1 채굴 업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 내용은 아래와 같다.1. 현재 BTC 가격과 난이도 기준 50J/T 이하의 채굴기 중 이노실리콘(InnoSilicon) T3-43T 채굴기가 가장 짧은 손익 주기를 나타낸다.2. 암호화폐 약세장과 함께 일부 채굴기 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하며, 비용 회수 경쟁력이 현저히 높아졌다.3. 비트메인의 앤트마이너 S17 가격은 고평가 됐으며, 난이도 상승을 고려해도 가성비 측면에서 앤트마이너 S15가 우위에 있다.4. 클라우드 마이닝 플랫폼 비트디어(BitDeer), 베리해시(VeryHash)의 채굴 비용이 5,200 달러/BTC 이하로 나타났으며, 컨트랙트를 통해 채굴 보상을 사전 락업하여 BTC 가격 하락 리스크를 상쇄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5. 헤지 전략을 통한 리스크 상쇄가 채굴자들이 베어마켓에 대응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KT, 세계 최초 5G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적용뉴시스 16일 보도에 따르면 KT가 5G 네트워크에 적용한 블록체인 기술로 커넥티드카, 스마트팩토리 등 사물인터넷(IoT) 시장 보안 이슈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KT는 세계 최초 5G 네트워크 블록체인 '기가 체인(GiGA Chain)'을 공개하고, 독자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IoT 보안 솔루션 '기가스텔스(GiGAstealth)'를 선보였다. 기가스텔스는 신원이 검증된 송신자에게만 IoT 단말의 IP 주소가 보이는 'Invisible(무형의) IP' 기술로, 기가 체인을 통해 사용자, 서버, IoT 단말 등 통신에 관련된 모든 요소들에 대한 고유 ID를 저장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로 1회용 상호인증 접속토큰을 발행해 IP가 아닌 ID 기반의 통신 무결성을 보장한다. 이날 KT는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플랫폼 '착한페이'도 공개했다. 착한페이는 모바일 앱 기반의 상품권 발행 및 QR 결제 시스템으로, 사용 이력 추적을 통해 불법 현금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KT는 김포시에서 유통되는 110억원 규모의 김포페이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울산시, 하동군, 남해군 등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블록체인 지역화폐 플랫폼을 확대할 계획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충북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충북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블록체인 기술 및 플랫폼은 글로스퍼가 개발하고,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은 충북대 학생이 참여..-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 제공하여 충북대학교 내 스마트 캠퍼스 구축 적극 지원..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최상훈)과 산학협력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원천기술 개발 및 서비스 구축 및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블록체인 기술 및 플랫폼은 글로스퍼가 개발하고,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은 학생과 학교가 함께 참여하여 학생이 실제 업무를 이해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할 예정이다.충북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의해 2019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의 소프트웨어 교육과 함께 취업 및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캠퍼스’를 만드는 일을 추진할 계획이다.한편 글로스퍼는 자체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의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서울 노원구청과 영등포구청에 각각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또한, 글로스퍼는 2018 KISA 블록체인 시범사업 해양수산부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발급 시범사업 등 공공기관과 국가 정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 전북 스마트 투어리즘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하여 충북대학교 내 스마트 캠퍼스 구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해당 기술은 타 대학은 물론 지역을 스마트 시티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비둘기 지갑, ‘글로벌 암호화폐 지갑, 거래’ 서비스 오픈
비둘기 지갑, ‘글로벌 암호화폐 지갑, 거래’ 서비스 오픈차일들리(Childly)가 글로벌 암호화폐 지갑, 거래 서비스를 위한 비둘기 지갑(Dove Wallet)을 오픈했다고 16일 밝혔다.비둘기 지갑은 원화 등의 법정화폐가 아닌 암호화폐만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타 국내외 거래소들과 달리 암호화폐에 특화된 지원과 결제 등으로 차별화를 했다.현재 거래 서비스를 우선 개시했으며, 거래 시 발생하는 수익을 사용자들에게 재분배하는 기능을 갖춰 실질적으로 투자자들에게 패시브인컴(Passive Income)을 제공하고 있다.비둘기 지갑은 매일 발생하는 수익을 사용자에게 나누어 주기 때문에 은행의 이자와 비슷하지만 여신으로 수익을 내는 게 아니기 때문에 위험(Risk) 요소가 전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매일 보너스율을 홈페이지에 공시하여 자신이 받은 보너스가 적정한지 상호 검증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대표 암호화폐 뿐만 아니라 다른 암호화폐들도 기축 통화로 취급할 수 있도록 세계 최초로 N:N 멀티 오더북 기능을 도입하였다. 사용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에서 원하는 암호화폐로 바로 환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전의 서비스들은 X화폐를 Y화폐로 바꾸려면 X를 먼저 비트코인으로 바꾸고 다시 비트코인으로 Y를 바꿔야 했지만 그 중간 단계를 없애서 수수료를 절약하고 특정 화폐의 과도한 종속성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비둘기 지갑은 추후 암호화폐로 간단한 결제, 팁 전달, 웹페이지 API 등으로 다양한 사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BeFull 커뮤니티는 한국 탈중앙화 거래소 EOSDAQ와 전략적인 협력 협의를 3월 26일 체결했다. 이 협의에 따르면 양측은 EOS 생태계를 기반으로 협의를 할 것으로 약속했다. EOSDAQ와의 협력으로 BeFull 커뮤니티는 한국지역에서의 중요한 첫 진출을 했다. 이로써 한국 시장에서 EOS를 기반으로 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커뮤니티 토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을 시작한 것이다.BeFull 창시자 하오는 “EOS는 Block.One의 계열사이다. Block.One은 10억위안 투자의 투자금을 EOS 생태계의 발전기금으로 이를 사용하도록 했다. 이 기금회는 국제적으로 수많은 EOS 프로젝트를 도와 안정적인 성장을 일구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저와 저의 팀은 EOS를 신뢰하며 그의 발전을 지켜보고 있다. EOS를 선택한 이유는 믿음뿐만 아니라 비전에 대한 굳은 믿음이 있기에 가능했다. EOSDAQ와 협력하는 것은 저희에게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며 BeFull 커뮤니티의 힘과 EOSDAQ 전문거래 플랫폼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더 생동한 탈중앙화를 체험시킬 것이다”고 밝혔다.EOSDAQ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EOS 분포식 거래소로 2018년에 출발해 한국 시장에서 큰 활약을 보였으며 한국에서 가장 빨리 발전한 거래소 중 하나다. 현재까지 수천명의 현지 고객들을 유치했으며 금융업에서 최첨단 기술을 보유한 안전 감독회사들과 협력해 거래의 안전성과 사용자의 더 나은 체험을 위해 노력했다.EOSDAQ 공동 창시자 Peter Kim은 “탈중앙화 거래소는 블록체인 거래소의 미래임과 동시에 추세다. 이는 세계 각지의 유저들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할 것이다. BeFull과 협력하여 우리는 또 다른 발전의 기회를 얻었으며 더 많은 중화권 유저와 만나고 싶다. 그리고 우리는 BeFull 유저들에게 정확한 기술과 EOS 지식을 보급하고 싶다”고 말했다.협력 강화를 위해 EOSDAQ 공동창시자 겸 CEO 정세현은 “BeFull 커뮤니티의 요청으로 고문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EOS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측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
日 암호화폐 거래소, 황금 연휴 엔화출금 잠정 중단
▲ 비탈릭 부테린 "BSV 상장폐지 지지"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의 BSV(시총 14위) 상장폐지 결정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 셰이프쉬프트 등 거래소가 BSV 상장폐지를 공지했으며, 미국 거래소 크라켄 또한 BSV 상장폐지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SV는 현재 21.37% 내린 56.5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日 암호화폐 거래소, 황금 연휴 엔화출금 잠정 중단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 Watch)에 따르면, 4월 27일~5월 6일 황금 연휴 기간 동안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쿠오인(Quoine), 비트뱅크(bitbank), GMO 코인(GMO Coin), BTCBOX, DMM Bitcoin, 피스코(FISCO) 등 6곳이 엔화 출금 서비스를 잠정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기타 암호화폐 출금 서비스는 정상 운영된다.▲ OK 채굴 풀 "BSV 채굴 서비스 지속"오늘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가 잇따라 비트코인사토시비전(BSV, 시가총액 14위)을 상장폐지하는 것에 대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Coin 산하 채굴풀인 OK 채굴풀이 방금 전 "계속해서 BSV 채굴 서비스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현지 미디어가 전했다. 또한 비트코인 커뮤니티 분쟁과 관련해 OK 채굴풀은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중립적 태도를 유지하고 여러 채굴업체에 안정적인 채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블록체인 핀테크 전문업체 (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 https://chain.partners)는 필리핀 중앙은행(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으로부터 가상통화 거래소(Virtual Currency Exchange) 설립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난 6개월간 진행된 평가를 마치고 25일 부국장 명의의 승인서를 발부했다.필리핀 중앙은행은 엄격한 돈 세탁 방지 규정을 마련한 사업자에게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외환 딜링 업무까지 허용하고 있다. 인가 범위가 넓어 전세계 100여개 업체가 대기중이지만 인가는 하늘의 별따기다. 2017년 인가 도입 후 올 3월까지 8개 업체만 인가를 받았다. 체인파트너스가 아홉번째다.체인파트너스는 인가를 바탕으로 내달 한국 법인이 100% 소유하는 체인파트너스필리핀주식회사(Chain Partners Philiphine Inc.)을 세우고 영업 준비에 들어간다. 영업이 시작되면 체인파트너스는 인구 1억명의 필리핀 전국에서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은 물론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필리핀은 외국에 거주하는 자국민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금액이 연간 328억달러인 세계 3위의 국제 송금 시장이다. 저렴한 수수료로 최근 블록체인 기반 송금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 무허가 비트코인 송금으로 이루어져 왔다. 체인파트너스가 필리핀 정부로부터 가상통화를 이용한 합법적인 해외 송금 및 외환 딜링 허가를 받게됨에 따라 앞으로 세계 3위의 송금 시장에 유리하게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체인파트너스는 작년 11월 유럽연합(EU) 가입국인 몰타(Malta) 정부로부터 가상금융자산법상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이 가능한 최상위 라이센스(Class 4)를 취득한데 이어, 이번 필리핀 가상통화 거래소 인가가 두번째 해외 성과다.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자금 세탁 방지와 본인 확인 등 금융권 수준의 규제를 준수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양성화를 추구해 온 결과 몰타에 이어 경제규모가 훨씬 큰 필리핀에서도 합법적인 영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경제 규모가 더 큰 나라들에서도 디지털 자산 취급 인가를 받아, 궁극적으로 가장 많은 법정통화를 합법적으로 다루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전문업체로 발전시켜가겠다"고 밝혔다.한편 필리핀 카가얀 경제구역청(Cagayan Economic Zone Authority)은 2018년 7월 전세계 25개 업체에 가상통화 취급 라이센스를 발급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만 가상통화를 취급할 수 있어 제한적이다. 체인파트너스가 취득한 중앙은행 인가는 별도의 거래자 제한이 없고 법정화폐-가상통화간 거래, 환전, 송금 사업을 할 수 있어 격이 다르다.
-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 알고랜드 플랫폼의 최초 파트너로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 프로젝트 탑네트워크 선정- 6천만 명 이상의 유저 확보로 플랫폼 개발 및 확장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가 선정되었다.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알고랜드의 플랫폼 위에서 블록체인 확장성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과 인프라를 공동으로 개발한다.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명예 교수가 만든 국경없는 경제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한계로 지적되는 블록체인 트릴레마(확장성, 보안, 분산화 중에서 두가지만 선택 가능한 딜레마)를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 프로토콜로 극복하여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들을 위한 국경 없는 경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알고랜드의 플랫폼 파트너로 선정된 탑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터넷 전화(VoIP) 어플리케이션 딩톤(Dingtone), 가상사설망 어플리케이션 스카이 VPN(SkyVPN), 메시징 플랫폼 커버미(CoverME) 디앱(DApp)으로 전 세계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이미 보유한 서비스이다. 파트너십을 통해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으며 6천만 명의 사용자를 알고랜드 플랫폼 생태계로 불러들이게 되었다.튜링상 수상자이자 알고랜드 설립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MIT 교수는 "탑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알고랜드는 대중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며 “탑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더욱 차별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 전했다.
-
인벡스, 암호화폐 상장 때 투자정보 제공키로
인벡스, 암호화폐 상장 때 투자정보 제공키로국내 거래소 최초 5단계 다면평가 도입… 상장 시 분석보고서 발간암호화폐 거래소 인벡스는 암호화폐를 거래소에 상장할 때 외부 전문가의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여 투자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인벡스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5단계 다면평가를 바탕으로 하는 코인 상장 기준을 15일 발표했다. 인벡스가 발표한 코인 상장 심사는 5단계로 진행된다. ①국내외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한 신규 암호화폐 발굴 ②시장 전문가와 블록체인 전문가의 협업을 통한 시장 적합성, 기술 적합성, 보안성 분석 ③자문단을 통한 블록체인 구현 효과 및 가능성 분석 ④분석보고서 작성 ⑤최종 평가단의 보고서 검토 후 평점 부여를 통해 상장 여부를 결정하는 순이다. 단계별로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켜 다면적 관점에서 심사하고 이를 통과해야 상장하는 절차를 마련했다. 인벡스는 특히 상장 결정을 내린 암호화폐에 대해선 상장과 동시에 분석보고서를 발간하여 투자정보를 제공키로 했다. 이에 따라 거래소 고객은 새로운 암호화폐 상장 때 발간되는 분석보고서를 바탕으로 이 암호화폐의 가능성과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신규 상장 암호화폐에 대한 ‘묻지마 투자’에서 벗어나 투자자가 주체적이고 합리적인 투자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보고서에는 블록체인 전문가는 물론 시장 전문가의 분석과 자문단의 평가가 담긴다. 블록체인 전문가는 암호화폐의 기술적 완성도, 보안 성취도, 거래 효율성 지원, 토큰 이코노미 등 4가지 항목을 분석하며 시장 전문가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는 업계의 성장성, 블록체인 기술 적용가능 범위, 업계에서의 기간별 예상 점유율 등 3가지 항목을 분석한다. 이를 취합해 자문단은 기술 구현 효과와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차례 더 분석하고 평가한다. 인벡스 측은 “고객 누구나 새로운 코인의 상장의 배경과 미래가치를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인벡스 고객이 가치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수준 높은 투자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마켓마하, AI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 서비스 16일부터 오픈베타 개시
마켓마하, AI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 서비스 16일부터 오픈베타 개시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한국인증서비스 주식회사(대표 최세준)는 세계 최초 AI 챗봇 기반 암호화폐 P2P 거래 사이트 마켓마하가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16일 밝혔다.마켓마하는 디지털 자산과 현물 자산 모두 거래할 수 있는 P2P 마켓이다. 거래 당사자들은 게임 아이템과 모바일 데이터, 디지털 쿠폰, 모바일 상품권 등 디지털 자산뿐만 아니라 중고물품 등의 현물 자산까지 거래할 수 있다.마켓마하는 구매자가 원하는 물품을 찾을 수도 있지만, 인공지능 트레이딩 챗봇이 거래 조건과 빅데이터를 분석해 가장 합리적인 거래를 제안해주기도 한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된 가상 거래 공간 ‘VTR(Virtual Trading Room)’은 거래가 완료될 때까지 에스크로 역할을 함으로써 기존 P2P 거래의 가장 큰 이슈로 제기되어왔던 안전거래 문제를 해결했다.다만 오픈베타 시점에서는 일부 기능이 제한적일 수 있으며, 정식 서비스 전까지 순차적으로 오픈될 예정이다.한국인증서비스에 따르면, 마켓마하는 사람들이 본인의 자산을 암호화폐로 거래할 수 있도록 암호화폐 코인 간의 환전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해외 PG 서비스를 통해 신용카드나 달러로도 MACH코인을 구매할 수 있다.또한 마켓마하 사용자들은 전화번호만으로 편리하게 MACH코인을 주고받을 수 있다. 앞서 마켓마하는 3일 비트베리 간편 지갑 시스템을 도입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의 복잡한 결제 절차를 간소화하고 지불 시스템을 편리하게 구축했다고 평가했다.마켓마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MACH코인을 발행하고 있으며, MACH코인을 구입하면 더욱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MACH코인은 마켓마하가 정한 환율에 따라 타 암호화폐와 교환이 가능하며, 특히 MACH코인으로 자산 거래 시 별도의 거래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외 소정의 수수료를 내고 현금을 이용한 거래나 해피머니 상품권 등 여러 수단을 통한 안전거래도 가능하다.한국인증서비스 최세준 대표는 “마켓마하는 전 세계 P2P 자산 거래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누구나 마켓마하에서 자산을 거래할 수 있도록 마켓마하에 접속하는 IP를 추적,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자동으로 통역해 거래 상대자에게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크립토피아, 수개월 만에 입출금 서비스 재개
▲ 캘빈 아이어 "BSV 취급 거래소 개설 최적의 시기"비트코인 사토시 비전(BSV, 시총 14위)의 주요 지지자 캘빈 아이어(Calvin Ayre) 코인긱(Coingeek) 창립자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BSV가 상장폐지된 사건에 대해 트위터에 "암호화폐 업계에는 성숙한 성인이 필요하다. 이런 회사들은(바이낸스 등) 무책임한 아이처럼 운영하고 있다"며 "지금이 BSV 취급 거래소를 개설하기 딱 좋은 시기"라고 밝혔다. 앞서 15일 바이낸스는 오는 22일 19시부터 BSV가 상장폐지 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SV는 현재 21.53% 내린 56.3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렛저 CEO "스마트폰, 암호화폐 채택 가속화"온라인 경제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메그네이츠(Finance Magnates)에 따르면, 에릭 라체베크(Eric Larchevêque) 렛저(Ledger) 최고경영자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스마트폰 암호화폐 지갑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라체베크는 "향후 5~10년 내 스마트 월렛이 암호화 자산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며 "하드월렛이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암호화폐 보급을 고려했을 때 스마트폰은 훌륭한 지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스마트폰 제조업체에 하드월렛을 직접 판매하기 보다는 관련 기술 라이선스를 이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며 "기존 하드월렛은 개인과 기업에 큰 효용이 있지만 널리 보급되긴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립토피아, 수개월 만에 입출금 서비스 재개지난 1월 해킹 공격을 받은 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가 오늘 BTC, LTC, DOGE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hepicap.com이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크립토피아는 지난달부터 서서히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재개하고 있으며, 현재 일일 거래대금이 20만 달러 가량에 달한다. 크립토피아에서 가장 높은 거래량을 기록하고 있는 암호화폐는 ETN(시총 102위)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