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아르카 펀드, SEC에 ERC-20 토큰형 펀드 발행 승인 신청
암호화폐 업계 주요 일정1. 바이낸스, 파리서 파리 블록체인 위크(Paris Blockchain Week) 참가 및 밋업 진행2. 리플(XRP, 시가총액 3위), 1.2.0버전 ‘MultiSignReserve’ 개정안 적용3.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10위), 미국 마이애미서 IOHK 서밋 2019 진행4. 허벌리스트 토큰(HERB, 시가총액 1166위), 프로비트 KRW 마켓 상장5. 스펜드(SPND, 시가총액 348위), 레딧서 AMA 진행6. 팩텀(FCT, 시가총액 72위), 디지파이넥스 거래소 상장7. 쿠코인, KCS 홀더 대상 ODE 에어드랍 스냅샷 진행▲ Trippki 호텔 예약 플랫폼, 암호화폐 결제 추가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보상을 제공하는 ETH 기반 호텔 예약 플랫폼 트립키(Trippki)가 XRP 결제를 지원하는데 이어 DOGE, ETH, LTC, XMR 결제를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EY, 이더리움 기반 비즈니스 솔루션 출시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법인 언스트영(EY)이 오는 5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 무료 솔루션을 출시할 계획이다. EY의 ‘Nightfall’ 프로토콜은 지난 1년간 200명 이상의 블록체인 개발자에 의해 공급망, 식품 추적, 기업 간 거래, 공공 재정 등 사용 사례를 위해 개발됐으며, 영지식 증명 기술이 탑재됐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8,000개 돌파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1ml.com에 따르면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노드와 채널이 각각 8,019개, 38,478개를 기록했다. 지난 30일 전과 비교해 7.85% 증가, 2.1% 감소했다. 현재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수용량은 1,061.86 BTC이다.▲ 美 아르카 펀드, SEC에 ERC-20 토큰형 펀드 발행 승인 신청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LA 소재 스타트업 아르카 펀드(Arca Funds)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이더리움 ERC-20 토큰형 펀드 발행을 위한 사업계획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SEC 웹사이트에 공개된 문서에 따르면, 해당 펀드의 계획은 아래와 같다.1. 최소 투자액은 1,000 달러, 지속 운영을 위해 최소 2,500만 달러 조달 계획2.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일반인을 상대로 판매되며 거래소를 통한 거래는 불가3. 모금액의 80%는 미국 국채, 나머지는 국내외 다양한 기업의 채권에 투자4. 주당 목표 순자산가치(NAV)는 1달러5. 펀드(Arca UST Coins)의 NAV 변동성을 스테이블코인에 근접하게 관리6. 안정적인 수익 창출, 투자자에게 분기별 배당 지급7. 올해 말 SEC 승인 획득 목표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활동보상 블록체인 프로젝트 급부상, 운동하고 공부하고 질문하고 코인 받아
활동보상 블록체인 프로젝트 급부상, 운동하고 공부하고 질문하고 코인 받아운동보상 림포, 공부보상 산타토익, 질문보상 아하 등 눈에 띄어 빠르게 유저를 모으며 주목받고 있는 활동보상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왼쪽부터 운동보상 림포, 공부보상 산타토익, 질문보상 아하비트코인이 달러로 대표되는 화폐를 대체하겠다는 일종의 거대 사회운동이었다면, 그 후손이라고 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조금 더 작은 사업영역에서 공정한 보상체계를 바탕으로 변화를 일으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리고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하락장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내는 성공사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림포는 활동보상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설명할 때 가장 자주 언급되는 사례다. 림포 앱에서 게임처럼 등록되는 걷기 미션을 달성하면, 하루 300-500원어치의 코인을 얻을 수 있다. 말 그대로 운동보상 코인인 셈. 2018년 11월 미국과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림포 앱은 현재 가입자 8만 명, 일 사용자 1만 명에 육박하는 빠른 성장을 자랑 중이다. 유저들은 걷거나 뛰고 모은 코인으로 GS25 커피, 나이키 운동화, 애플 아이폰 등을 구매할 수 있다. 확실한 운동 동기부여 효과와, NBA 티켓 증정 이벤트 등이 인기의 요인으로 꼽힌다.인공지능으로 성적을 올려주는 국내 기업 산타토익(santatoeic.com)도 공부보상 코인을 발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유저는 산타토익 사이트 내에서 회원가입, 문제풀이, 점수달성 등 공부와 관련된 활동을 할 때마다 산타토익코인을 얻을 수 있다. 유저는 공부하고 보상 받아서 좋고, 기업은 인공지능 고도화를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서 좋은 구조를 만든 것. 현재 산타토익은 하루 수천 건의 코인 배포를 기록하며 활발히 유저를 모아가고 있다.돈 버는 지식인으로 불리는 아하(a-ha.io)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질문보상 프로젝트다. 질문하고 답변하고 좋은 답변을 추천하거나 안 좋은 답변을 지적하는 모든 활동에 대해 코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아하는 답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경력이 인증된 유저들에게만 답변자 자격을 주어 기존 서비스들과 차별화를 꾀했다. 예를 들어 법률 분야는 변호사만 답변할 수 있게 한 것. 덕분에 날이 갈수록 방문자와 질문답변수가 급증하고 있다.림포 아시아 총괄을 겸임하고 있는 크립토 비즈니스 운영자문 기업 아이웰컨설팅 김성민 대표는, "아이돌을 알리고 코인을 받거나, 영화 드라마를 홍보하고 코인을 받는 등 더 흥미로운 활동보상 프로젝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중요한 건 이렇게 나눠준 코인이 가치를 유지하고 생태계 내에서 원활한 순환을 이어나가는 것이므로, 그 부분을 잘 설계하는 기업들은 큰 성장을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2주간 리허설 완료 후 성공적으로 메인넷 알파 출시- 자체 합의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루트 체인의 개발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오텍스(IoTeX)가 23일 메인넷 알파 출시를 완료했다. 아이오텍스는 지난 3월 15일부터 3월 26일까지 메인넷의 노드가 될 대표단 선거를 진행했다. 선거를 통해 전 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선출된 총 50명의 대표자가 선출되었으며, 약 2주간 네트워크 보안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메인넷 알파가 출시되었다.이번 메인넷 알파 출시의 주요 성과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레이어의 루트 체인(Root Chain) 개발이다. 아이오텍스 네트워크는 가장 상위 레이어인 거버넌스 레이어,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오퍼레이션 레이어로 나뉘며 각각 레이어는 그래비티 체인, 루트체인, 서브체인으로 형성된다. 로드맵상 순서로는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출시에 이어 2분기에 오퍼레이션 레이어, 3분기에 거버넌스 레이어가 출시 될 예정이다. 이번 메인넷 알파로 형성된 루트 체인은 2분기에 출시 예정인 모든 서브 체인들의 관리자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디앱(Dapp)의 개발을 지원하여 물리/가상의 사물간 정보 및 가치 교환인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루트 체인으로 형성된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는 아이오텍스의 자체 합의 알고리즘인 Roll-DPOS에 의해 구동된다. 지난 대표단 선거를 통해 선출된 50명의 대표자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무작위로 선정되어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및 검증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아이오텍스는 네트워크 공정성, 안정성, 속도를 확보하고 개인정보 보호, 이종기기간 호환, 인프라 구축 등 사물인터넷이 직면한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되었다. 롤렌 차이(Raullen Chai) 아이오텍스 공동창업자는 “메인넷 출시를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 등 사물 인터넷의 기존 상품과 서비스가 혁신될 것이다”며 “아이오텍스는 2년의 개발 기간을 거치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다. 향후 아이오텍스의 사업을 기대해달라"고 밝히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
믹스마블, 차세대 블록체인 기반 게이밍 플랫폼 6월 출시
믹스마블, 차세대 블록체인 기반 게이밍 플랫폼 6월 출시믹스마블이 차세대 블록체인 기반 게이밍 플랫폼을 6월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믹스마블 플랫폼은 저명한 투자자들의 지원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업계에서 차세대 게임 개발의 선두주자를 달리고 있는 프로젝트다. 모바일 게임이 큰 변화를 가져왔던 것과 같이 믹스마블 플랫폼은 게임 산업에 혁명을 가져다 줄 잠재력을 지닌 떠오르는 별이 되고 있다.믹스마블은 글로벌 블록체인 기반 게임 퍼블리싱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모두가 게임을 즐기며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를 통해 제작자, 플레이어, 게임 컨텐츠들을 연결시켜 준다.믹스마블의 주력 제품인 ‘하이퍼드래곤즈(HyperDragons)’는 암호화폐 온톨로지 플랫폼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이더리움 플랫폼에서는 5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다. 레이어2 솔루션을 이용해 블록체인 게임 진입 장벽을 대폭 낮췄으며, 이에 하이퍼드래곤즈는 이더리움의 인기 디앱(Dapp) ‘크립토키티’마저 제쳤다고 밝혔다.로켓 프로토콜(Rocket Protocl)이라는 레이어2 솔루션의 성공을 바탕으로, 믹스마블은 블록체인 게임의 대량 채택(Mass adoption)을 진두지휘 하게 됐다. 믹스마블이 개발한 배틀로얄 스타일의 게임, 하이퍼스네이크스(HyperSnakes)는 트론, 온톨로지, 이더리움, 이오스 등의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가장 기대를 받고 있는 게임이다.
-
아시아 4개 테조스(Tezos) 재단,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공동 론칭
아시아 4개 테조스(Tezos) 재단,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공동 론칭아시아 4개 테조스 재단(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홍콩(중국))은 오늘 공동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tzVentures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게일 강(Gail Kang)과 이재원 교수가 이끄는 tzVentures는 테조스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유망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이다.tzVentures는 사업 초기 단계에 있는 블록체인 회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전문 지식,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 등 편안하고 생산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인큐베이션 기간은 3 ~ 6개월이다. 마케팅, 대학 연계 파트너십,컨퍼런스, 투자 유치를 위한 데모 데이(demo day) 등도 함께 제공된다.tzVentures는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각국의 테조스 재단과 관련 조직들로 이루어진 글로벌 테조스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활동할 것이다. 현재 tzVentures 직접적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 홍콩,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을 유치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파트너를 통해서도 가능하다.테조스 기반의 훌륭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글로벌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VC)에게 소개되고 지분 투자를 받을 수 있다. tzVentures는 기존 산업의 스타트업 투자와 암호화폐 산업의 스타트업 투자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통적인 VC를 초대할 계획이다.이재원 교수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션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멘토링과 수준 높은 기술 지원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ICO 컨설팅 회사들이 기존의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들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고, 블록체인 프로그래머들은 토큰을 만들기에 혈안이 되어 있다.''블록체인 스타트업의 성공 비결은 건전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좋은 품질의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VC 멘토들과 아시아, 유럽, 미국의 기술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스타트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즉,tzVentures는 테조스 글로벌 네트워크를 완전히 활용하기 위해 중개 조직(coordimnating organization)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테조스 생태계를 강화하고 확장시킬 것이라고 믿는다.'tzVentures는 잠재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아시아의 (블록체인이 아닌) 기존의 인큐베이터와 협력할 것이다. 암호화폐 산업과 기존 스타트업 투자자들, VC들과의 협력도 고려 중이다.tzVentures의 팀원들은 블록체인, 금융, 인큐베이터 분야에서 화려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게일 강은 ICON 프로젝트에서 마케팅 팅장을 지냈고, 콜롬비아 경영대학원 출신인 이재원 교수는 다양한 VC,인큐베이터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두 사람은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이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블록체인 스타트업이 인큐베이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테조스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해야 하고 ICO 보다는 지분 투자 방식으로 투자를 받아야 한다.
-
블록체인 종합 뉴스 플랫폼 KTN 본격 한국시장 진출
블록체인 종합 뉴스 플랫폼 KTN 본격 한국시장 진출 KTN 주최, 블록체인 미디어 TVCC·코인니스 연합 참가2019년 4월 22일 (뉴스와이어) -- 블록체인 기반 종합 뉴스 플랫폼 KTN이 글로벌 시장 진출의 일환으로 본격적인 움직임을 시작한다. 23일 서울 강남 소재 디센트레에서 ‘KTN IEO Green Book’을 개최, 본격적인 한국 시장 진출에 나선다.KTN은 24시간 내내 운영되는 뉴스레터 댑(dApp) 서비스와 함께 ‘유저 컨센서스’를 통한 정보 제공 및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에어드랍 이벤트, 거래소, 스마트 디지털 지갑 등 5개 분야의 복합체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블록체인 정보 생태계 계획을 위해 강한 수요와 광범위한 시장의 자산 보존을 목적으로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블록체인 시장의 문을 새롭게 열기 위해 나선다. KTN은 사용성이 높고 폭넓은 유저 베이스를 통한 가장 공격적이면서 또한 안정적인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에 앞장서고 있다.이번 행사에는 KTN 플랫폼 구축 방안에 대한 세부 로드맵을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세계 블록체인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중국 암호화폐 거래소의 협찬으로 업계 관계자 및 전문가는 물론 블록체인 프로젝트 CET, V-Render, Android chain, UEN, BCT 등이 대거 참석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 ICO(Initial Coin Offering)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를 주제로 다양한 토론을 이어갈 예정이다.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는 IEO에 대해 거래소들과 함께 교류하는 자리를 마련, 한·중 거래소 생태계에 대한 심층적인 대담 및 블록체인 기술 응용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
스마트폰 스탬프와 함께 색다른 ‘재미’ 느껴봐요!
스마트폰 스탬프와 함께 색다른 ‘재미’ 느껴봐요!배스킨라빈스, 원투씨엠의 페이퍼 스마트 스탬프 활용 ‘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 프로모션’ 진행-원투씨엠의 페이퍼 스탬프 기술을 활용해 30일까지 프로모션 진행..-매장에서 쿼터(13,500원) 이상 구매 시 ‘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를 1,500원에 구입 가능..-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폰지밥과 뚱이가 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을 즐기고 있는 디자인..-해피앱에 접속하여 찍는 ‘스마트 스탬프’와 ‘잉크 스탬프’ 두 가지 방식으로 즐길 수 있어..국내 SPC그룹이 운영하는 배스킨라빈스는 스마트 스탬프 원천기술 보유기업인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의 페이퍼 스탬프 기술을 활용하여 지난 4월 17일부터 30일까지 ‘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혔다.‘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 프로모션’는 전국 배스킨라빈스 매장에서 쿼터(13,500원) 이상 구매 시 ‘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를 1,500원에 구입할 수 있는 행사다.프로모션을 통해 선보이는 ‘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는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 스폰지밥과 뚱이가 배스킨라빈스 아이스크림을 즐기고 있는 디자인이다. 해피앱에 접속하여 찍으면 반응하는 스마트 스탬프와 상품 하단의 케이스를 열어 찍을 수 있는 잉크 스탬프 두 가지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배스킨라빈스는 원투씨엠의 핵심 기술인 O2O 스마트 스탬프 적극 활용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성향을 정확히 공략해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스폰지밥 스마트 스탬프’ 프로모션에 사용된 스마트 스탬프는 2013년에 설립한 원투씨엠의 ‘디지털 도장’ 기술이며, 특허 220여개로 보호받고 있다. 작동 원리는 스마트폰의 ‘패턴 잠금’ 방식과 비슷하다.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이 도장에 담긴 특정한 정전기 패턴을 터치 패널로 인식해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후 클라우드로 구축한 시스템에서 결제·인증 등의 절차를 처리한다. 에코스 스탬프는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POS)이 없는 매장이나 야외 행사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 앱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모든 인증 절차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태블릿PC와 같은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구축도 간편하다. 또 근접 무선통신(NFC)이나 블루투스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어떤 스마트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원투씨엠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해외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전세계 22개국에 해당 기술을 제공하여 사업화 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벤트 프로모션, 상점 대상 로열티 마케팅, 모바일 쿠폰과 모바일 결제 등에 그 적용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원투씨엠의 박근영 이사는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1일 약 400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빅데이터 및 핀테크 응용 분야로 확대하는 사업을 준비 중” 이라며 “이러한 사업을 해외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 이라고 밝혔다.
-
마이크레딧체인, 픽코와 블록체인 분야 제휴 체결
마이크레딧체인, 픽코와 블록체인 분야 제휴 체결- MCC토큰 원화 거래 및 리워드 방식 SNS '굿모닝' 가치 증진 공동 모색씨앗 선물의 기프트 이코노미를 활용한 친분 네트워킹 서비스 '굿모닝(Goodmorning APP)'을 제공하는 마이크레딧체인(대표 김우식)은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및 차세대 STO형 암호화폐 거래소인 픽코(대표 권강희)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향후 기술 개발과 시장 개척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마이크레딧체인과 픽코는 지난해부터 상호간 협력을 통하여 블록체인 기술 공유 및 '굿모닝' 서비스의 국내 사용자를 위한 토큰 이코노미에 대하여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이번 제휴를 통해 마이크레딧체인은 픽코에서 국내 처음으로 추진하고 있는 ISO(Initial Subscription Offering)을 활용하여 MCC토큰 원화 거래 및 토큰의 가치평가에서의 상호 시너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지난 18일 그랜드 오픈을 통하여 국내는 물론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등지에서 동시에 정식 서비스를 개시한 마이크레딧체인은 블록체인 업계 최초로 리워드 SNS 서비스인 굿모닝 서비스이다. 안부 인사와 함께 암호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씨앗’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씨앗은 일정 시간이 되면 앱내 포인트인 ‘열매’로 변환되어 누적되는 형태이다. 이번 그랜드 오픈을 통하여 앱 내에서 포인트 개념으로 제공된 열매의 실 사용 및 토큰화를 현실화한다. 굿모닝의 사용자들은 앱 내에서 포인트 개념으로 모은 ‘열매’를 주고받거나 MCC토큰을 통해 열매를 교환하며 ‘토큰 이코노미’를 구축해 나간다. 굿모닝 서비스는 이번 픽코와의 협력을 통해 자체 구축한 토큰 이코노미의 가치가 더욱 높여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고 있다.한편, 픽코를 이끄는 권강희 대표는 이토마토, 토마토페이, 코인통 등을 거치면서 국내 1등 증권앱 '증권통', 소액 외화송금 '트랜스퍼', 보안 메신저 '통통' 등 유명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특히 픽코가 최근 국내 처음으로 추진하고 있는 ISO(Initial Subscription Offering)는 사전 가입 이벤트 통해 검증을 거친 후 신규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는 방식이다. 이외에 픽코는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거래소 상장 전에 일정한 자격 조건을 갖춘 후 암호화폐 거래를 허용하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를 채택하는 등 신뢰도 제고에 힘을 쏟고 있다.
-
실생활 활용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출시 잇따라
실생활 활용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출시 잇따라-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위한 블록체인 진흥 법안 발의 잇따라..-전자문서 플랫폼 ‘엑스블록체인’, AR기반 광고 플랫폼 ‘에니마이닝’,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 눈길..정부가 올해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선도사업을 대폭 확대하기로 한 가운데, IBM과 삼성전자, 카카오, 페이스북 등 대기업들 또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사업에 나서고 있어 법적 체계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이와 함께, 블록체인산업을 정부 주도로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관련 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하도록 뒷받침하려는 움직임이 여당은 물론이고 야당에서도 나오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이 블록체인 진흥 법안을 각각 발의했고,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인 민병두 민주당 의원은 최근 한 포럼에서 블록체인 규제를 완화하도록 문재인 대통령에게 건의하겠다는 뜻을 보이기도 했다.이러한 가운데 실생활에서 활용될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출시가 잇따르고 있어 관심을 끈다.◇ 엑스블록시스템즈, 전자문서 기반 ‘엑스블록체인’ 발표.엑스블록시스템즈는 전자문서 기반 다차원 블록체인 플랫폼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메인넷 개발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실용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엑스블록시스템즈는 다양한 디앱(Dapp)를 발굴하고 블록체인 사업을 확대하려는 기업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사업아이템 컨설팅, 블록체인기반 기술자문 및 개발지원, 법률/특허/세무자문, 국내외 가상화폐거래소 상장까지 지원하는 다양한 블록체인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메인넷 개발을 총괄 지휘한 권용석 CTO는 “엑스블록체인 메인넷은 기존의 선형적인 블록체인을 다차원으로 구현, 실제 서비스에 상용화할 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라며 “기존의 블록체인이 가진 컴퓨팅 파워, 속도, 노드 운영의 한계를 뛰어넘는 시도였다”고 설명했다.엑스블록시스템즈 박경옥 대표는 “엑스블록체인은 수시로 생성되고, 변경되고, 삭제되는 여러 전자문서의 형태는 의료제증명서류, 졸업증명서 같은 학업증명서류, 기업에서 발행하는 재직증명서류 등이 블록체인을 통해 무결성 검증이 가능하다”며 “물류/유통/정부기관/국방 등 전자문서가 활용되는 모든 영역에서 가장 효율적이고, 최적화되어 활용이 가능하다”며 밝히며 “현재 국내에서는 전자정부의 실증화에 싱가포르를 비롯한 동남아에서는 싱가포르 투자기관과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실증화 할 것”이라고 전했다.◇ 팅스나인, AR기반 광고 플랫폼 ‘애니마이닝’ 출시.블록체인 비즈니스 업체 팅스나인(대표 임종범)은 기존 가맹점의 포인트시스템에 AR게임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애니마이닝(AnyMining)’을 통해 신개념 광고 프로모션 플랫폼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현재 다양한 가맹점과 가맹업은 광고와 프로모션 진행을 통해 회원과 고객들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팅스나인은 이러한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은 재미와 편의성, 그리고 보안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출시했다.팅스나인의 광고 프로모션 플랫폼 ‘애니마이닝’은 AR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가맹사업자의 프로모션 진행 시 가맹점 주위에 코인을 배포, 사용자가 해당 지역 인근에서 AR 게임에 참여하여 해당 코인을 취득(채굴)하게 된다. 이렇게 취득한 코인은 가까운 가맹점에 방문하여 사용할 수 있다.애니마이닝 서비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AR(증강현실)게임을 하며 코인을 취득하여 가맹점에서 바로 사용함으로서 재미와 경제성이라는 2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가맹점은 게임을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해당 브랜드 가맹점 방문의 기회를 증대하고, 동시에 추가적인 소비로 연결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팅스나인 임종범 대표는 “특히 게임과 블록체인기술에 익숙한 신세대들에게 새로운 광고 프로모션 참여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가맹점들에게도 최신 트렌드를 접목한 광고 플랫폼을 최우선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히며, “미국, 중국, 동남아 가맹사업자와 지역 시장, 관광단지 등에 유기적으로 접목이 가능한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레밋(REMIIT),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개발.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REMIIT)(안찬수 대표)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송금 및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국가간 송금과 거래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레밋(REMIIT)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블루팬넷은 2015년 4월에 설립 후 암호화폐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이다.초기 필리핀을 시작으로 중국과 베트남, 호주, 홍콩 등 송금 가능 국가는 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재사용률은 무려 90%로 해외 이주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레밋(REMIIT) 토큰 이코노미는 거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토큰을 레미(REMI)와 렘디(REMD)로 이원화하여 꾸준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했다. 레미(REMI)는 외부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렘디(REMD)는 해외송금업체(MTO)들이 해외 송금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다. 렘디(REMD)를 이용해 국가간 송금업무를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시장에서 레미(REMI)를 획득한 후 이를 스테이킹 해 렘디(REMD)로 교환해야 한다. 레밋은 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테이킹 하는 REMI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REMI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레밋(REMIIT)은 현재 제휴된 해외송금업체들과 2019년 3분기 이후 제한적인 해외 송금 플랫폼이 가동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2019년 로드맵 완수를 위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美 거래소 크라켄, BSV 지원 중단
▲ OKEx, BTC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숏비율 우위17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16.64%, 숏 포지션 비율은 22.49%를 기록하며 숏비율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9.90%, 21.03%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전날 대비 9.3% 줄어든 5.75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10% 감소한 71.45만 ETH를 나타내고 있다.▲ BTC 단기 상승... 주요 거래소서 5,200 달러선 일시 회복방금 전 BTC가 단기 상승 흐름을 나타내며 바이낸스, 후오비 등 주요 거래소에서 5,200 달러선을 일시 회복했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기준 3.72% 오른 5,213.01 달러에, 후오비 기준 2.83% 오른 5,213.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저스틴 선 "트론 기반 USDT 최초 발행 완료"저스틴 선(Justin Sun) 트론(TRX, 시가총액 11위) 창시자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10 달러 상당의 트론 블록체인 기반 USDT가 최초로 발행됐다"며 "이는 스테이블코인의 이정표이자 USDT의 새로운 시작"이라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TRX는 현재 2.34% 오른 0.0270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거래소 크라켄, BSV 지원 중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16일(현지시간) 비트코인SV(BSV, 시가총액 14위) 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크라켄은 BSV 상장폐지 관련 커뮤니티 설문조사 겸 투표를 진행했으며, 7만여 명의 응답자 중 71%가 상장폐지에 찬성했다. 해당 미디어에 따르면, BSV 진영의 대표인물이자 '나카모토 사토시'를 자칭하는 크레이그 라이트가 자신에게 불리한 발언을 한 사람들을 고소하겠다고 위협하며,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BSV에 대한 반발 및 상장폐지 움직임이 시작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쓰레기 배출 시스템은 UAE 샤르자시에 위치한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사인 비아(Bee'ah)와 샤르자시 내 함리야 자유무역지역청(Hamriyah Free Zone Authority)의 협력으로 개발됐다. 이 플랫폼은 HFZA내에서 허가를 신청한 고객의 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허가 발급 시간을 며칠에서 불과 몇 시간으로 줄일 것이다.노르웨이(Norway)노르웨이의 민간 자본주의 도시인 리버스타드(Liberstad)가 블록체인을 동력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기반의 암호화폐를 공식 교환 수단으로 채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리버스타드는 2015년에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립적인 도시사회를 만들려는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프로젝트로, 지난 2017년 도시의 소유지가 비트코인이나 노르웨이 크론으로 처음 팔렸다. 작년 4월까지 약 100명의 예비 거주자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중국(China)중국 광동 시세청이 전자상거래 산업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인보이스 플랫폼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중국 현지통신사가 보도했다. 광동은 중국에서 최대 인구 밀집 지역 중 하나로, 거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분야에서의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플랜으로서 고객과 사업자를 위한 최초의 블록체인 전자 인보이스 서비스를 오픈하게 됐다. 이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세무당국은 인보이스 서비스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전해졌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인텔리전트 인베스트먼트 체인(IIC),블록체인 기반 통합 투자 전략 관리 플랫폼.
[후오비 오늘의 코인] 인텔리전트 인베스트먼트 체인(IIC),블록체인 기반 통합 투자 전략 관리 플랫폼.인텔리전트 인베스트먼트 체인(IIC)블록체인 기반 통합 투자 전략 관리 플랫폼. 자체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금융, 투자 관련 프로그램을 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데이터 분석, 금융 상품 매매, 통계 정보 제공 등의 금융, 투자 관련한 사항들을 해당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며, 오프라인 결제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지능형 기계학습, 인공지능,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도입해 금융 쪽으로 최적화한부분을 강조하며 다양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연동을 통해 더욱 효율적이고 정확한 데이터 분석과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탑체인(TOPC)기존 게임 네트워크의 고질적인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해결하고자 시도한 플랫폼. 게임 유저를 게임 산업에서 큰역할을 하는 존재로 격상시킨다. 유저와 개발자 간의 자유롭게 소통하는 채널을 구축해 궁극적으로는 게임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크레드(LBA)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반한 대출 생태계 플랫폼. 기존 법정화폐를 취급하는 금융기관과 암호화폐를 취급하는 기관의 융합을 통해 암호화폐를 담보로 법정화폐 대출이나 그 반대로의 대출이 가능하며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헤지(hedge) 환경을 제공한다. 이전 리프라 크레딧(Libra Credit)에서 사명이 변경됐다. 특히 임원들이 PayPal 출신인 점이 눈에 띄는 부분이며 기존 금융 기관들과 협력체계가 확고히 구축된다면 상당한 수준의 가치 상승이 있을 수 있다고 평가된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BeFull 커뮤니티, 광저우에서 한·중 순회 로드쇼 개최
BeFull 커뮤니티, 광저우에서 한·중 순회 로드쇼 개최중국·한국·싱가포르 커뮤니티 발전 추진중국 최초 대형 자치 커뮤니티 BeFull 커뮤니티는 21일 중국 광저우에서 순회 로드쇼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BeFull 커뮤니티는 중국 최초의 대형 자치 커뮤니티로 커뮤니티 리소스 공유를 통해 회원과 프로젝트 간 신뢰를 구축하고 생태계에서 토큰의 실질적인 사용을 이끈다. BeFull은 상하이, 선전, 서울, 싱가포르에서 순회 로드쇼를 진행하고 중국과 한국, 싱가포르에서의 커뮤니티 영향력을 향상시키는 데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BeFull 커뮤니티의 창립자 Vincent Cheung은 “이번 순회 로드쇼를 통해 회원들 간 끈끈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BeFull 커뮤니티 정신을 공유하며 커뮤니티에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고 말했다. Vincent Cheung은 BeFull에 대한 회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통과 교류를 위한 오프라인 플랫폼을 마련했다. 현재 BeFull 커뮤니티의 주요 활동은 커뮤니티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된다. 회원들은 커뮤니티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미션 수행을 통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지식을 쌓는다. 회원들은 우수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통해 코인 인센티브를 받기도 하며 게임과 미션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또 다른 활력을 얻을 수 있다.BeFull 커뮤니티는 이번 순회 로드쇼를 시작으로 앞으로 순회 로드쇼를 진행할 도시를 선정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회원들 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의 일부분으로 구성원 사이 긴밀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BeFull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핵심 팀이 커뮤니티 구성원들과 교류할 기회를 소중히 여기고 있다며 이번 순회 로드쇼에선 회원들에게 최신 블록체인 정보를 커뮤니티를 소개하고 직접 커뮤니티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합류한 핵심 팀의 구성원들 역시 이번 행사에 참여해 회원들과 소통하고 BeFull 정신에 대해 배운다.BeFull은 세계 최대 비 프로젝트 탈중앙화 커뮤니티로 2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만명의 액티브 유저가 WeChat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BeFull 커뮤니티는 이번 순회 로드쇼가 오프라인 회원들이 협력해 배울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 줄 것이며 모든 커뮤니티 회원들의 노력이 블록체인 산업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성장 모델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는 BeFull 커뮤니티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이자 커뮤니티 역량과 BeFull 정신 사이의 협력 결과라며 회원들이 최신 블록체인 지식을 이해해 공동체의 힘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BeFull 커뮤니티가 추구하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4-23 :: 비트렉스 “북한 계정? 알고보니 한국인 실수”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비트렉스 “북한 계정? 알고보니 한국인 실수”https://bit.ly/2IOysf9▪️ 폭스바겐, 블록체인으로 원료 이력 추적https://bit.ly/2GxAq0r▪️ JP 모건 체이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결제 처리’ 기능 더해https://bit.ly/2XBl81S▪️ 삼성, 암호화폐 투자 가속...지갑업체 ‘젠고’에 투자https://bit.ly/2GA406N▪️ 다날 암호화폐 ‘페이코인’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상장 1초 만에 완판https://bit.ly/2Poh569▪️ 암호화폐로 정치인을 후원해도 되나요?https://bit.ly/2DsDKJz
-
셰이프쉬프트 CEO "비트코인, 경기 침체기에 더 빛나"
▲ 블록쇼, 노트르담 대성당 재건 암호화폐 모금 캠페인 실시글로벌 블록체인 이벤트 블록쇼(BlockShow)가 최근 대형 화재가 발생한 프랑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재건을 위해 암호화폐 모금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전했다. 블록쇼는 트위터에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으로 기부할 수 있는 지갑 주소 2개와 암호화폐 기부금 재단 Du Patrimoine 링크를 첨부했다. 블록체인 업계는 자선 기부 투명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위키피디아(Wikipedia)를 운영하는 비영리 단체 위키미디어 재단은 암호화폐 기부금을 받기 위해 미국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업체 비트페이(BitPay)와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아일랜드 적십자사는 지난해 12월 더블린 소재 스타트업 AID:Tech와 협력, 자선 기부 앱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바 있다.▲ 크레이그 라이트, 사토시 입증 법적 서한 발송...업계 '묵묵부답'BSV(시총 14위) 진영 대표 인물인 엔체인(nChain) 개발 총괄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가 자신이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요구사항이 포함된 법적 서한을 업계 관계자들에게 발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 관련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스트림(Blockstream)의 CSO 샘슨 모우(Samson Mow)는 트위터를 통해 "크레이그 라이트의 변호사가 아담 백(Adam Back) 블록스트림(Blockstream) CEO에게 법적 서한을 보내왔다"며 "우리는 해당 서한의 요구사항에 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는 자신을 사기꾼이라고 칭한 라이트닝 토치(lightning torch) 캠페인 창시자 Hodlonaut을 고소한다고 위협하며 그의 정체를 알려주는 사람에게 5,000 달러 규모의 BSV를 지급한다고 밝혔고 BSV 지지자들이 Hodlonaut 신상 털기에 나선 바 있다.▲ 셰이프쉬프트 CEO "비트코인, 경기 침체기에 더 빛나"에릭 부어히스(Erik Voorhees) 스위스 암호화폐 거래소 셰이프쉬프트(ShapeShift) 최고경영자(CEO)가 "경기 침체기에 비트코인이 부상할 것"이라고 16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경기 침체가 언제 일어날지 아무도 모르지만 미국 등 부채 현황을 봤을 때 결국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베네수엘라 사례에서 보듯 인플레이션 혹은 주식시장 붕괴가 발생했을 때, 비트코인은 훌륭한 헷지 수단"이라고 부연했다.▲ 코인네스트, 폐업 결정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네스트가 16일 오후 6시 30분 홈페이지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 서비스 운영을 단계적으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현재 회원가입이 불가능하며, 암호화폐 거래 및 입금 서비스는 오는 30일 오후 5시까지, 출금은 6월 30일 오후 5시까지 가능하다. 코인네스트는 거래소 폐쇄 배경에 대해 "현 시점에서 측정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업계가 보여주는 변화와 움직임은 지금까지의 코인네스트 철학과 열정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다는 생각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코인네스트는 한때 거래량 기준 국내 3위 거래소였으나 작년 4월 이후 거래량이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김익환 대표는 국내 거래소 대표 가운데 처음으로 특경법상 사기 및 배임 혐의로 구속돼 작년 10월 징역 3년, 집행유예 4년, 벌금 30억 원을 선고받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 GS인증 1등급 획득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 GS인증 1등급 획득-제안평가 시스템은 공공기관만이 아니라 기업 등 모든 고객이 혜택 누릴 수 있어..-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등록으로 공공기관과 민간 시장에 빠른 확산 기대..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GS인증은 국제적인 소프트웨어 표준 인증제도로 소프트웨어의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사용성, 보안성 등 총체적 품질을 평가한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공공기관 사업 발주 시 우선 구매 대상으로 지정된다.최근 글로스퍼는 공공기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영등포구에 첫 번째로 제공한 사례를 확보한 바 있다. 서울 영등포구는 글로스퍼의 제안평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평가과정 중 발생되는 인적 오류와 비용 집행을 최소화하고, 구청 운영의 공정성을 확보하며, 입찰 과정 시 발생 가능한 의구심 차단 및 연관 부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영등포구는 해당 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으로 작년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주관한 ‘2018년 반부패 우수사례’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글로스퍼 사업총괄 김보규 본부장은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은 공공기관만이 아니라 기업 등 모든 고객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공정성이 필요한 채용, 인사, 행정 및 운영 평가 등 다양한 평가 과정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밝히며 “제안평가의 인프라로 공급될 예정인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기술과 글로스퍼의 주력 제품인 HYCON EP(하이콘 EP)가 빠르게 시장에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글로스퍼는 GS인증 1등급 획득을 계기로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신청을 진행하여 전국의 공공기관이 GS인증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 제품으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을 정해진 가격에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은 모든 평가 절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고려해 개발했다”며 “블록체인이 기업과 공공기관은 물론, 금융시장 등 각 분야에 가장 큰 가치인 ‘신뢰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GS인증 획득을 기점으로 더욱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코인플러그, 한국남부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
코인플러그, 한국남부발전과 신재생에너지 시장에 블록체인 기술 도입주요 참여자들 간 행정절차 간소화 국내 핀테크 기업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한국남부발전(대표 신정식)과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증명인증서(REC) 거래 시스템을 구축한다. 주요 참여자들 간의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고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킬 방침이다.코인플러그는 기술 파트너사인 메타디움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을 이용해 REC 거래 시스템 구축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코인플러그는 클라우드 기반 빅데이터 분석 및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등으로 국내외 에너지 관련 사업을 수차례 주도하였던 엔텔스(대표 심재희)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REC 거래 시스템을 개발해 다자간 신재생에너지 공급 정보의 실시간 공유를 가능케할 계획이다. 프로세스 및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켜 행정절차를 간소화하겠다는 취지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에 따르면 한국남부발전은 공급의무자에 해당한다. 50만kW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는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할 의무를 지닌다. 자체 생산한 신재생에너지 부족분은 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사업자로부터 REC를 구매하고, 이를 공급인증기관에 제출해 의무이행 사실을 증명해야 한다. REC 거래 관련 문서는 앞으로 블록체인 기반 공문서로 저장될 예정이다. 또한 공급자 선정부터 대금지급, 표준계약, 의무이행률 등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어 업무효율성이 향상될 전망이다.어준선 코인플러그 대표는 “국가가 오랜 시간 시행해 온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이행에 있어서도 코인플러그는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술적 저변을 넓혀나갈 계획”이라며 “향후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도 자체 기술을 토대로 눈부신 플랫폼을 선보이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가 추진한 ‘2019년 블록체인 공공선도 시범사업’의 일환이다. 이들 기관은 수요처들로부터 사업을 제안받아 일차적으로 12개의 프로젝트를 엄선했다. 한국남부발전 외 선정된 수요처로는 ▲국가기록원 ▲방위사업청 ▲병무청 ▲부산광역시 ▲서울의료원 ▲서울특별시 ▲식품의약품안전처 ▲우정사업본부 ▲전라북도 ▲제주특별자치도 ▲환경부 등이 있다.
-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 개설...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디지털 핵심 기술 요소의 명확한 개념화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 개설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 개념 및 경영상황별 실행 프레임워크 제공 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디지털 핵심 기술 요소의 명확한 개념화 추상적이고 획일화된 접근이 아닌 경영상황별 구체적 실행 전략 교육aSSIST 경영대학원(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기업이 경영상황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을 개설한다. aSSIST 경영대학원은 디지털 기술 혁명을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직과 기업이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최신 산업 트렌드와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고 경영상황별 실행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사회적 관심이 높지만 아직 관련도서나 교육은 획일화되고 추상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과정은 디지털 기술의 핵심 개념과 활용전략을 구체적인 경영 실무 적용 관점에서 해석하고 기업의 경영상황에 적합한 전략으로 업무 현장에서 바로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전략기획MBA김문수 주임교수는 “사람의 체형마다 골프 스윙 방법이 다르고, 사람의 체질마다 몸에 잘 맞는 음식과 운동이 있듯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순서와 방법도 기업의 유형과 경영상황별로 다를 수밖에 없다. 경영상황별로 맞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실행 전략을 가르칠 수 있는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