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광산업체, 블록체인 도입 및 증권형토큰 발행 추진
▲ 58COIN CEO "선물 거래 종목에 BNB 등 플랫폼 코인 상장 검토 중"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 CEO 앤드류(Andrew)가 최근 "유기한 선물 거래 시장에 BNB, HT, OKB 등 플랫폼 코인 상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58COIN의 선물 거래 서비스는 기존 서비스와 다르게 타 암호화폐 포지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격리 마진' 방식을 활용하고 있고 펀딩 수수료 없이 0.015%의 수수료만 부과하고 있다.▲ 美 광산업체, 블록체인 도입 및 증권형토큰 발행 추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gh)에 따르면, 미국 광산 채굴 업체 블루힐마이닝(Blue Hill Mining)이 채굴 과정에 블록체인을 도입해 단계별 투명한 데이터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데이터에는 원자재 채굴지점, 운송 방법, 원자재 구매 적법성 등이 표기된다. 또한 블루힐마이닝은 블루힐파운데이션(Blue Hill Foundation)과 함께 증권형토큰인 BHM을 발행, 오는 2020년 초까지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시킬 계획이다. 2020년 말까지는 블록체인 기술을 전면 활용해 평균 시세보다 낮은 비용으로 원자재를 구매한다는 방침이다.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2일) ETH, EOS, TRON 3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228,764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66.65%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52,460), TRON(62,727), ETH(13,577)2. 총 거래 횟수: EOS(4,004,250), TRON(751,359), ETH(64,498)3. 총 거래량(달러): EOS(15,559,998), TRON(9,075,686), ETH(5,072,768)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Endless Game(EOS), BingoBet(EOS)5. 거래량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Dice(EOS), TRONbet(TRON)6. 거래 횟수 기준 TOP3 댑: TRONbet(TRON), EOSJacks(EOS), Newdex(EOS)▲ BTC보다 XRP? 작년 미국인 인기 검색어 "리플 사는 법"검색어 분석 사이트 구글 트렌드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유저들이 "비트코인 사는 법"보다 "리플 사는 법"을 더 많이 검색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가 전했다. 다만 미국이 아닌 전 세계 기준으로는 비트코인 검색량이 여전히 'XRP' 혹은 '리플(Ripple)'을 웃돈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6.90% 오른 0.3523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3위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비트맥스(BitMax.io), 팬텀(Fantom)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비트맥스(BitMax.io), 팬텀(Fantom)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지난 12일 상장에 이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전 세계 거래량 1위 거래소의 파트너로서 팬텀 글로벌 커뮤니티 구축 가속화3세대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io)가 블록체인 확장성 및 느린 거래 속도를 해결하여 실생활에 지불 및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인 팬텀(Fantom)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비트맥스는 CEO 조지 차오(George Cao)와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출시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람다(Lambda), 엘티오 네트워크(LTO Network), 코바(COVA), 도스 네트워크(DoS) 등 7개의 프로젝트를 전 세계 최초로 상장시켜 3월 19일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전 세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팬텀은 국내 푸드테크 전문 기업인 주식회사 식신과 한국푸드테크협회가 만든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다. 팬텀 플랫폼은 블록체인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고 거래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블록 생성 기술인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DAG)를 바탕으로 라케시스(Lachesis) 합의 프로토콜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식생활과 밀접한 푸드테크 거래에 직접 적용하고 실제 활용 사례를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3월 12일 비트맥스 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로 팬텀은 비트맥스의 40,000 여명의 커뮤니티 회원과 11만 이상의 유저를 팬텀의 글로벌 커뮤니티에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 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블록체인 기술로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만들어 가는 것은 중요한 문제다.”라고 말하며 “앞으로도 팬텀 플랫폼의 성공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해갈 것”이라고 밝혔다.
-
글로벌 메이저 기술회사 61% "블록체인 투자"
▲ 후오비 글로벌, 18C·SMT 기존 토큰 입금 서비스 중단후오비 글로벌이 오는 4일 19시(한국시간) 18C와 SMT의 메인넷 스왑 전 기존 토큰 입금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프로젝트의 메인넷 코인 입금 서비스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는 설명이다.▲ 印 대법원, '암호화폐 공청회' 7월 23일로 연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 대법원이 지난 3월 29일(현지시간) 연기했던 '암호화폐 금지령 관련 공청회' 일정을 새롭게 발표했다. 공청회는 오는 7월 23일 개최된다. 한편, 인도 정부 측 변호사 고팔 수브라마니암(Gopal Subramanium)은 "공청회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며 "대중의 의견을 상세하게 들어야한다"고 전했다.▲ 후오비, 오는 2분기 퍼블릭 체인 출시리비오 웡(Livio Weng) 후오비 글로벌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2분기 자체 퍼블릭 체인을 정식 출시할 것"이라고 라이브 스트리밍 중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후오비 토큰(HT, 시가총액 52위) 소각 공지는 이번달 15일에 할 예정이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HT는 현재 4.10% 오른 2.8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글로벌 메이저 기술회사 61% "블록체인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gh)가 계정관리(identity management) 기업 Okta의 보고서를 인용, 전 세계 메이저 기술회사의 61%가 블록체인에 투자했다고 보도했다. Okta는 앞서 1~2월 글로벌 주요 IT, 보안, 엔지니어링 회사 의사결정자 1,050명을 대상으로 어떻게 신흥기술을 응용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72%가 사물인터넷(IoT)에, 68%가 인공지능에, 61%가 블록체인에, 58%가 증강현실(AR) 기술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알고랜드의 징 첸 박사 메인넷 앞두고 한국 방한, 두번 째 밋업 개최
알고랜드의 징 첸 박사 메인넷 앞두고 한국 방한, 두번 째 밋업 개최 - 4월 22일 강남 현대카드 스튜디오 블랙에서 두 번째 한국 밋업 개최 - 알고랜드 리서치 수석 징 첸 박사가 핵심 기술과 로드맵, 커뮤니티 구축에 대해 발표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미국 메사추세츠 공대(MIT) 컴퓨터공학 교수가 만든 블록체인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가 메인넷을 앞두고 한국 밋업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밋업은 상하이, 항저우, 베이징에 이어 서울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커뮤니티 투어의 일환으로 알고랜드의 리서치 수석인 징 첸(Jing Chen) 박사가 연사로 나선다. 22일 예정된 한국 밋업도 알고랜드의 핵심 기술, 로드맵, 알고랜드의 커뮤니티 구축을 주제로 징 첸 박사가 직접 발표할 예정이며 메인넷 일정과 더치 옥션 등 플랫폼 개발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징 첸(Jing Chen)박사는 칭화(Tsinghua) 대학교에서 컴퓨터과학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MIT에서 컴퓨터과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스토니 브룩(Stony Brook) 대학의 컴퓨터과학 부교수로 재직하여 게임이론 연구센터에서 분산 원장 기술과, 게임이론, 알고리즘을 연구하고 있다. 징 첸 박사는 알고랜드의 리서치 수석으로 합류하여 플랫폼 기술 발전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을 진행중이다. 이번 밋업은 알고랜드가 다가오는 메인넷을 일정을 앞두고 블록체인 개발자와 알고랜드 커뮤니티 일원들과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밋업을 앞두고 징 첸 박사는 “지난 1월 한국 밋업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 알고랜드에 대한 뜨거운 관심과 열정을 확인했다”며 “메인넷을 앞두고 한국 커뮤니티와 개발자에게 직접 피드백을 받고 개발 현황을 공유하고 싶다”며 기대를 밝혔다.알고랜드는 현재 개발자 홈페이지를 통해 알고랜드 플랫폼에서 손쉽게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한’Go SDK’를 출시했으며 신청자에 한해 테스트넷을 공개하여 알고랜드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테스트넷 이후 메인넷을 출시하고 더치 옥션 방식을 통해 토큰 분배를 진행할 예정이다. 알고랜드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분야의 권위자이자 튜링(Turing) 상의 수상자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가 보스턴에서 설립한 알고랜드(Algorand)는 분산화, 확장성 및 보안성 모두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트릴레마(blockchain trilemma)’의 해결하여 ‘국경 없는 경제(The Borderless Economy)’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알고랜드(Algorand)는 새롭게 부상하는 탈중앙화 경제 시스템에서 기존 비즈니스 진입자 및 새로운 프로젝트 신규 진입자 모두가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알고랜드(Algorand)의 혁신적인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 프로토콜은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들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요구되는 규모, 개방형 참여, 트랜잭션 완결성을 지원합니다.
-
퍼블릭 체인 프로젝트 네뷸러스가 베이징에서 일부 매체들과 함께 네뷸러스 NOVA 발표회를 가졌습니다.
네뷸러스 NOVA: 협력적 미래의 시작퍼블릭 체인 프로젝트 네뷸러스가 베이징에서 일부 매체들과 함께 네뷸러스 NOVA 발표회를 가졌습니다. 네뷸러스 메인넷의 새로운 버전으로서, NOVA (v 2.0)는 핵심 기능 향상에 주안점을 뒀고, 최초로 온체인 인센티브를 실현시킨 퍼블릭 체인으로서 2019년 네뷸러스의 커뮤니티화에 중대한 기여를 할 예정입니다.기자회견은 200명 한정으로 진행되었고, 여기에는 블록체인 업계의 오피니언 리더들과 네뷸러스 생태계 파트너, 커뮤니티 개발자 및 멤버들, 그 외 다른 기업/미디어 종사자들이 참여했습니다.이 자리에선 “네뷸러스 NOVA: 협력적 미래의 시작”을 주제로 진행되었고, 네뷸러스 창립자인 Hitters Xu와 공동 창립자Aero Wang, 그리고 네뷸러스 연구소 연구원장 Xuepeng Fan 박사가 네뷸러스 커뮤니티의 거버넌스 관련 커뮤니티화와 관련된 기술 개발에 대해 키노트 연설을 진행했습니다. 커뮤니티 거버넌스는 2019년 퍼블릭 체인 업계에서 핫이슈로, 기자회견의 핵심 주제이기도 했습니다. 비트코인의 정보의 “홀로그램”화에 이어, 네뷸러스 또한 새로운 조직적 협력의 “홀로그램”화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네뷸러스는 생태계 모든 참여자들이 열리고, 투명하고 하나된 커뮤니티 거버넌스 아래에서 개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네뷸러스 NOVA를 기반으로한 힘의 분산, 프로젝트 기반 개발, 투표 시스템 등으로 이뤄집니다. 네뷸러스 NOVA의 가장 혁신적인 부분은 탈중앙화 툴의 병목현상 관련하여 기술로 이를 해결하려는 점입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네뷸러스 생태계는 자산 분배/관리 관련 더 나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기자회견에서 네뷸러스 창립자인 Hitters Xu는 네뷸러스NOVA가 스마트 자산을 통해 탈중앙화된 협력을 잘 이끌어냈다고 평했습니다. 스마트 자산은 프로그래밍으로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가능한 자산으로, 디지털 자산 보유자들을 자연스레 사용자들로 탈바꿈시킵니다.따라서, 디지털 자산은 네뷸러스 생태계 발전에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긍정적 인센티브와 함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생태계를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현재로선, 퍼블릭 체인 업계는 훌륭한 개발자들을 다수 모으기 힘듭니다. 또한 최소 분쟁으로 자가발전을 이룩하기에도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네뷸러스 NOVA는 3가지 핵심 기술들을 활용하여 온체인 인센티브에 대한 원활한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네뷸러스 랭크 (NR), 네뷸러스 블록체인 런타임 환경 (NBRE) 그리고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 입니다. 특히, 네뷸러스 랭크(NR)는 생태계에 각 참여자(어카운트)들이 얼마나 기여했는지 알게 해주어, 부정행위 방지 및 확장성 제공이란 두가지 이점을 제공합니다.또한, 개발자들에게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네뷸러스 블록체인 런타임 환경 (NBRE) 는 실행환경 및 네뷸러스 랭크 (NR)와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의 드라이버 환경을 개선합니다. 그리고 이는 네뷸러스 자가 개발에 핵심 기술이기도 합니다.또한, JIT(Just-in-time) 모음 기술의 경우, 네뷸러스 프로토콜 표상 (NRP), 즉 블록체인 핵심 프로토콜의 자동 업그레이드를 실현합니다.예를 들어, 네뷸러스 NOVA는 커뮤니티 참여자들이 정규 업데이트에 문제 없도록 시스템 개선 및 관련 파라메터를 수정할 수 있게 하여 개발자 인센티브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게 합니다. 즉, 이를 통해 개발자 인센티브 프로토콜 (DIP)가 실천 가능해지는 겁니다.네뷸러스는 자율 메타넷으로, 온체인에서의 복잡한 데이터, 상호작용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선, 네뷸러스 메인넷에는 260,000개정도의 참여자(어카운트)들이 있고, 6,800여개의 댑들이 안정적으로 돌아가면서 백만 이상의 일 트랜잭션량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네뷸러스는 MIIT 산하 CCID 리서치 결과에서 퍼블릭체인 부문 3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네뷸러스 NOVA 는 네뷸러스에게 완전한 자율 메타넷으로 가는 2번째 단계입니다. 또한 자율 메타넷으로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협력의 미래는 곧 다가옵니다. 네뷸러스 NOVA 가 온라인으로 올라오는 순간, 생태계 내 개발자/일반 유저들 모두 생태계 개발에 참여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네뷸러스 비전을 실현하여 “탈중앙화된 협력”을 통한 상호호혜적 관계를 쌓아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아랍에미리트(United Arab Emirates)아랍에미리트가 쓰레기 배출을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쓰레기 배출 시스템은 UAE 샤르자시에 위치한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사인 비아(Bee'ah)와 샤르자시 내 함리야 자유무역지역청(Hamriyah Free Zone Authority)의 협력으로 개발됐다. 이 플랫폼은 HFZA내에서 허가를 신청한 고객의 비용을 줄일 뿐 아니라 허가 발급 시간을 며칠에서 불과 몇 시간으로 줄일 것이다.노르웨이(Norway)노르웨이의 민간 자본주의 도시인 리버스타드(Liberstad)가 블록체인을 동력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플랫폼 기반의 암호화폐를 공식 교환 수단으로 채택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리버스타드는 2015년에 정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립적인 도시사회를 만들려는 비영리 단체가 운영하는 프로젝트로, 지난 2017년 도시의 소유지가 비트코인이나 노르웨이 크론으로 처음 팔렸다. 작년 4월까지 약 100명의 예비 거주자들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중국(China)중국 광동 시세청이 전자상거래 산업을 위해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인보이스 플랫폼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중국 현지통신사가 보도했다. 광동은 중국에서 최대 인구 밀집 지역 중 하나로, 거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분야에서의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플랜으로서 고객과 사업자를 위한 최초의 블록체인 전자 인보이스 서비스를 오픈하게 됐다. 이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세무당국은 인보이스 서비스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것이라고 전해졌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커먼즈 재단,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 성황리에 종료
커먼즈 재단,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 성황리에 종료 커먼즈파운데이션이 주관한 ‘유기동물 후원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이 성황리에 종료되었다. 이번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은 암호화폐 장외거래 플랫폼 비하인드와, 마이크로비트코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협력으로 진행되었다. 캠페인 기간은 지난 2월 22일부터 3월 29일 까지였으며 약 한달동안 모금된 마이크로비트코인은 총 20,002,497개로, 장외거래 플랫폼인 비하인드에서 원화로 약 200만원의 가치로 환전 되어 해당 기부 단체에 기부되었다. 블록체인에 대한 인식개선과 기부 문화에 블록체인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블록체인 캠페인의 취지와, 진행상황 등을 소셜 미디어에 중개하고,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진행하였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부금을 운용하면 구호활동단체나 자선단체의 기부금 사용 내역을 추적할 수 있다. 또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내역은 누구나 실시간으로 열람 가능하며 조작이 불가능하다. 원화로 환전 된 금액은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유기동물 구호활동에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기부금 사용 내역은 사단법인 ‘나비야 사랑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투명하게 공개될 것이라고 전했다.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을 진행한 커먼즈파운데이션 관계자는 ‘자선단체가 투명한 후원 내역 관리를 위해 영수증, 통장사본을 증빙 자료로 공개 하고 있으나, 개인 및 단체 간 신뢰의 문제에 따라, 투명하게 기부금이 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 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부문화의 모범 사례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모금된 암호화폐가 수혜자들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현실적인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블록체인 기부 캠페인’을 시작으로 신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블록체인의 도입이 활성화 되어 건전한 기부문화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으면 좋겠다’ 고 덧붙였다.
-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 개설...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디지털 핵심 기술 요소의 명확한 개념화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 개설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 개념 및 경영상황별 실행 프레임워크 제공 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디지털 핵심 기술 요소의 명확한 개념화 추상적이고 획일화된 접근이 아닌 경영상황별 구체적 실행 전략 교육aSSIST 경영대학원(서울과학종합대학원)이 기업이 경영상황별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 과정을 개설한다. aSSIST 경영대학원은 디지털 기술 혁명을 실제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직과 기업이 빅데이터, 인공지능,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 등 최신 산업 트렌드와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고 경영상황별 실행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전략과 실행공식’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의 사회적 관심이 높지만 아직 관련도서나 교육은 획일화되고 추상적인 접근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과정은 디지털 기술의 핵심 개념과 활용전략을 구체적인 경영 실무 적용 관점에서 해석하고 기업의 경영상황에 적합한 전략으로 업무 현장에서 바로 성과를 낼 수 있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aSSIST 경영대학원 디지털전략기획MBA김문수 주임교수는 “사람의 체형마다 골프 스윙 방법이 다르고, 사람의 체질마다 몸에 잘 맞는 음식과 운동이 있듯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순서와 방법도 기업의 유형과 경영상황별로 다를 수밖에 없다. 경영상황별로 맞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실행 전략을 가르칠 수 있는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밝혔다.
-
크립토닷컴 체인, 올노드와 파트너십 체결
크립토닷컴 체인, 올노드와 파트너십 체결크립토닷컴 체인, 12%카운슬 노드 리워드를 통한 CRO 토큰 유틸리티 증대결제와 암호화폐 플랫폼의 선구자 크립토닷컴(Crypto.com)은 비구금형 마스터노드(Masternode)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올노드(AllNodes)와 제휴를 맺고 크립토닷컴 체인(Crypto.com Chain) 카운슬 노드(Council Node)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운슬 노드는 크립토닷컴 체인의 고성능 유지 및 보안에 필수적이며 각 노드(Node)는 연간 12%의 기여도를 CRO로 보상받게 된다. 카운슬 노드는 올노드닷컴(Allnode.com)에서 50만 개의 CRO(지갑에 자체 커스터디가 있는 풀 노드(Full Nodes))를 지원하며 크립토닷컴 월렛 앱(자체 커스터디가 있는 공유 노드(Shared Nodes))을 통해 10000 개의 CRO를 제공한다. 카운슬 노드(Council Nodes)의 역할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정산 실행 (Execute settlement)·거래 주문 (Order transactions)·모든 거래 확인 (Verify all transactions)·에스크로(“Proof of Goods & Services Delivered”) 서비스 제공 올노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CRO 토큰을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고, 지갑 주소로 노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올노드는 크립토닷컴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첫 100개 호스트 노드에 대해 6개월간 무료로 호스팅을 제공한다. 카운슬 노드를 소유한 사용자가 보상 수령을 받으려면 크립토닷컴 월렛 & 카드 앱(Crypto.com Wallet & Card App)에서 CRO 토큰을 CRO 지갑을 사용해 직접 입금하면 된다.
-
한국전파진흥협회, ‘클라우드’· ‘블록체인’ 혁신성장 청년인재 양성교육 2년 연속 수행기관 선정
한국전파진흥협회, ‘클라우드’· ‘블록체인’ 혁신성장 청년인재 양성교육 2년 연속 수행기관 선정 -클라우드 과정은 24명씩 2개 반(48명), 블록체인과정은 24명(1개 반)을 각각 선발..-지난해 수료생 44명 중 채용연계기업 및 협회 회원사에 총 22명(49%) 입사..-클라우드·블록체인 선도기업의 프로젝트를 현장감 있게 진행, 취업연계 강화 예정..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전파진흥협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는 4차 산업혁명 선도 기술분야 산업 맞춤형 청년인재 양성사업인 ‘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졸업예정자 및 구직자를 대상으로 청년 일자리 매칭을 위한 전문교육을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한국전파진흥협회는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 및 ‘기업주도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자 양성과정’ 에 대해 클라우드 과정은 24명씩 2개 반(48명), 블록체인과정은 24명(1개 반)을 각각 선발해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며, 교육은 ‘19년 5월 중순부터 ‘19년 11월 말까지 6개월 동안 교육이 진행된다. 본 협회는 지난 2018년 클라우드 분야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어 높은 수료율과 교육만족도를 달성한 바 있으며, 수료생 44명은 채용연계기업 및 협회 회원사인 ㈜쌍용정보통신, ㈜한컴지엠디, ㈜드림라인, ㈜삼양데이터시스템, ㈜이노그리드 등 정보통신기술분야 지명도 및 성장가능성이 높고 연간이직률이 5% 미만인 연계기업에 수료 1개월 기준 총 22명(49%)이 입사한 상태이다. 특히 18년도에는 교육생 취업연계를 위한 취업성공 워크샵 및 프로젝트 발표회를 개최하고, AWS코리아 본사와의 협업을 통해 아마존 AWS EDUCATE 활용하는 등 교육생에게 실질적인 취업성공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지원했다.올해에는 작년보다 다양한 취업지원활동과 ㈜다음소프트, ㈜골프존, ㈜한컴지엠디, 아마존(AWS)코리아, ㈜코인플러그 등 클라우드·블록체인 46개 선도기업의 기업주도형 프로젝트를 현장감 있게 진행하여 취업연계를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각각의 과정 특성을 살펴보면, ‘클라우드 서비스 개발 전문가 양성과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IAAS)를 구축 운영하는 대표 데이터 센터인 ㈜드림라인과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확대에 따른 아마존(AWS) 및 아마존파트너사, ㈜링네트, ㈜한컴지엠디 등과 채용연계 과정을 구성하였으며, 블록체인 분야 ‘기업주도형 블록체인 프로젝트 개발자 양성과정’ 은 블록체인 각 산업별 특화영역서비스를 개척하는 ㈜골프존, ㈜코인플러그, (주)다음소프트, ㈜가비아 등이 채용의향기업으로 함께 참여할 예정이다. 두 과정 모두 해당분야 실무 경력 10년 이상의 현업 개발자 중심의 전문 강사들이 프로젝트 기반 SW전문 취업특화 과정에 참여하여 체계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국전파진흥협회는 전파방송통신분야 ICT전문인력양성기관으로서 ‘16년부터 현재까지 SW전문인력양성기관(과학기술정보통신부)으로 지정되었으며, 4차 산업혁명 ICT기술분야 신직업 일자리 수요에 발맞추어 블록체인·클라우드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전문교육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한국전파진흥협회 전파방송통신교육원 천석기 원장은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과정’을 통해 향후 체계적인 취업지원과 양질의 인력육성 및 소프트웨어 산업분야 혁신기업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산업 맞춤형 청년 기술 인재 육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비트멕스, 5억 달러 강제청산 해명...적극 보상 피력
[암호화폐 전체 시총, 1,700억 달러 돌파]암호화폐 시장 전반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암호화폐 전체 시총이 1,7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는 지난 11월 20일 1,700억 달러 붕괴 이후 135일만이다. [블룸버그 "BTC 급등 원인 확인 불가...상승 모멘텀 보여줘"]블룸버그가 방금전 "최근 비트코인 급등은 그 원인이 정확하진 않지만, BTC의 상승 여력을 보여줬으며 앞으로 상승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블룸버그 자체 암호화폐 가격 지수 'Bloomberg Galaxy Crypto Index'가 지난 저점 대비 77% 상승해 바닥을 찍었는지 의문"이라며 "일각에서는 어제의 급등을 새로운 상승장의 시작으로 보고있는 반면, 규제당국, 기관 투자자, 소비자 사이에 회의적인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번 상승을 일시적인 반등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고 전했다.[암호화폐 전문가 "'만우절 루머', 비트코인 강세 원인 아냐"]중국 유력 미디어 시나닷컴(新浪)에 따르면, 여러 암호화폐 전문가들이 "'비트코인 ETF 승인 관련 만우절 루머'는 이번 비트코인 강세의 원인이 아니다"라는 의견을 내비치고 있다. 이와 관련 헌터 호슬리(Hunter Horsley) 비트와이즈 CEO는 "로이터 통신의 최근 보도 내용이 가장 유력한 해석"이라며 "한 개인 투자자가 단기간 내 1억 달러 이상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입한 것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또한 BK 캐피털 매니지먼트(BKCM LLC) CEO 겸 창업자인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는 "비트코인은 매도벽을 허물 수 있는 펀더멘탈 개선이 이뤄졌고, 기술적 분석 및 퀀트 분석 또한 비트코인이 바닥을 다졌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제프 돌먼(Jeff Dorman) 아르카 펀드(Arca Funds) CEO는 "비트코인은 이번 단기 반등을 통해 지난 11월 수준의 시세까지 회복했다"며 "이러한 상승은 매수 세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또한 투자자들이 이러한 시점에 투매했다면, 이번 상승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알렉스 크루거 "BTC 급등 전, 기관 숏 포지션 사상 최고치]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가 "BTC 가격이 4,200 달러를 돌파하기 전, 헤지펀드와 상품투자고문(CTA)의 BTC 숏 포지션이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2일 본인의 트위터에 올렸다. 해당 글에는 "흥미롭다, 지난해 7월 숏 포지션 물량이 유사한 수준이었을 때에도 BTC 가격이 6,000 달러에서 8,500 달러 정도로 오른 바 있다"라는 댓글이 달리기도 했다.[비트멕스, 5억 달러 강제청산 해명...적극 보상 피력]BTC 가격이 한때 5,000 달러까지 치솟았던 지난 2일,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비트멕스(BitMEX)의 선물 XBTU19 숏 포지션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보증금 적용이 안되며 강제 청산됐다고 중국 암호화폐 미디어가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투자자들이 트위터를 통해 큰 폭의 가격 변동에 대한 불안감을 내비쳤으며, 암호화폐 기술 분석가 에드워드 모라(Edward Morra) 또한 트위터에 "비트멕스에 있던 5억 달러 규모 숏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는 글을 올렸다. 다른 커뮤니티에서도 포지션에 대한 보호 작용이 왜 일어나지 않았는지 의문이라는 글들이 올라왔다. 이에 비트멕스는 "강제 청산된 포지션 수가 200개 이하"라고 곧바로 해명하며 피해자들에게 최대치의 보상금을 지급할 것이라고 밝혔다.[대만 금관회, 12일 'STO 발행 표준 및 규범' 관련 공청회 진행]대만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대만 금융관리위원회가 'STO 발행 표준 및 규범'에 대해 오는 12일 공청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금관회는 해당 규범을 오는 6월 말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NH농협은행, 'P2P 금융증서 블록체인 서비스' 은행권 최초 출시]연합뉴스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이 P2P 금융 투자자의 원리금 수취권 증서를 농협은행 NH스마트고지서로 제공하는 'P2P 금융증서 블록체인 서비스'를 은행권 최초로 출시했다고 오늘(3일) 밝혔다. 해당 서비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원리금 수취권의 조작·변경을 막고, 금융보안 클라우드를 거쳐 투자자에게 NH스마트고지서로 내용을 제공한다는 게 해당 미디어 측의 설명이다. 농협은행은 해당 서비스 내용을 담은 '블록체인 기반의 원리금 수취증서 제공방법' 특허출원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충북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충북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블록체인 기술 및 플랫폼은 글로스퍼가 개발하고,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은 충북대 학생이 참여..-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 제공하여 충북대학교 내 스마트 캠퍼스 구축 적극 지원..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최상훈)과 산학협력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원천기술 개발 및 서비스 구축 및 제공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블록체인 기술 및 플랫폼은 글로스퍼가 개발하고, 서비스 개발 및 확산은 학생과 학교가 함께 참여하여 학생이 실제 업무를 이해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할 예정이다.충북대학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의해 2019년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으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산학협력을 통해 산업 현장의 소프트웨어 교육과 함께 취업 및 창업의 성공률을 높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스마트 캠퍼스’를 만드는 일을 추진할 계획이다.한편 글로스퍼는 자체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의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서울 노원구청과 영등포구청에 각각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플랫폼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또한, 글로스퍼는 2018 KISA 블록체인 시범사업 해양수산부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발급 시범사업 등 공공기관과 국가 정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 전북 스마트 투어리즘 플랫폼 구축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하여 충북대학교 내 스마트 캠퍼스 구축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해당 기술은 타 대학은 물론 지역을 스마트 시티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BeFull 커뮤니티, 광저우에서 한·중 순회 로드쇼 개최
BeFull 커뮤니티, 광저우에서 한·중 순회 로드쇼 개최중국·한국·싱가포르 커뮤니티 발전 추진중국 최초 대형 자치 커뮤니티 BeFull 커뮤니티는 21일 중국 광저우에서 순회 로드쇼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BeFull 커뮤니티는 중국 최초의 대형 자치 커뮤니티로 커뮤니티 리소스 공유를 통해 회원과 프로젝트 간 신뢰를 구축하고 생태계에서 토큰의 실질적인 사용을 이끈다. BeFull은 상하이, 선전, 서울, 싱가포르에서 순회 로드쇼를 진행하고 중국과 한국, 싱가포르에서의 커뮤니티 영향력을 향상시키는 데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BeFull 커뮤니티의 창립자 Vincent Cheung은 “이번 순회 로드쇼를 통해 회원들 간 끈끈한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BeFull 커뮤니티 정신을 공유하며 커뮤니티에 활력을 불어넣고 싶다”고 말했다. Vincent Cheung은 BeFull에 대한 회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소통과 교류를 위한 오프라인 플랫폼을 마련했다. 현재 BeFull 커뮤니티의 주요 활동은 커뮤니티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된다. 회원들은 커뮤니티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미션 수행을 통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에 대해 지식을 쌓는다. 회원들은 우수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통해 코인 인센티브를 받기도 하며 게임과 미션을 통해 일상생활에서의 또 다른 활력을 얻을 수 있다.BeFull 커뮤니티는 이번 순회 로드쇼를 시작으로 앞으로 순회 로드쇼를 진행할 도시를 선정하기 위해 커뮤니티의 회원들 투표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활동의 일부분으로 구성원 사이 긴밀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BeFull 커뮤니티는 커뮤니티 핵심 팀이 커뮤니티 구성원들과 교류할 기회를 소중히 여기고 있다며 이번 순회 로드쇼에선 회원들에게 최신 블록체인 정보를 커뮤니티를 소개하고 직접 커뮤니티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합류한 핵심 팀의 구성원들 역시 이번 행사에 참여해 회원들과 소통하고 BeFull 정신에 대해 배운다.BeFull은 세계 최대 비 프로젝트 탈중앙화 커뮤니티로 2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만명의 액티브 유저가 WeChat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BeFull 커뮤니티는 이번 순회 로드쇼가 오프라인 회원들이 협력해 배울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 줄 것이며 모든 커뮤니티 회원들의 노력이 블록체인 산업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성장 모델에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는 BeFull 커뮤니티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이자 커뮤니티 역량과 BeFull 정신 사이의 협력 결과라며 회원들이 최신 블록체인 지식을 이해해 공동체의 힘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BeFull 커뮤니티가 추구하는 목표라고 덧붙였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4-16 :: BK컨소시엄, 일본서 2200억 투자받아 빗썸 인수에 보탠다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BK컨소시엄, 일본서 2200억 투자받아 빗썸 인수에 보탠다https://bit.ly/2Uh0EcI▪️ KT, '기가 체인' 기반 IoT 보안 및 지역화폐 사업 박차https://bit.ly/2KQmeoG▪️ 바이낸스, 비트코인SV 상장폐지https://bit.ly/2v8sLAs▪️ 블로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아르고 메인넷 공개https://bit.ly/2Xffsuk▪️ 박영선 중기부장관 “부산 블록체인 특구 검토하겠다”https://bit.ly/2UJPwKA▪️ 중국이 비트코인 채굴을 정말로 전면 금지할까?https://bit.ly/2V7US1D
-
日 거래소 협회 "BTC BOX 도용 메일 확산 주의"
▲ 오미세고, 주요 경영자 인사 이동 단행IT미디어 테크소스에 따르면 오미세고(OMG, 시총 28위)의 개발사인 태국 오미세 그룹의 공동 창업자 Ezra Don Harinsut가 향후 결제 서비스 업체 오미세의 CEO를 맡을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오미세고의 CEO는 또 다른 공동 창업자 Vansa Chatikavanij가 맡는다. 또한 오미세 홀딩스 그룹 CEO 겸 오미세고 이사회 의장은 Jun Hasegawa가 연임할 예정이다. OMG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5.62% 오른 2.1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日 거래소 협회 "BTC BOX 도용 메일 확산 주의"일본 가상화폐 거래소 협회(JVCEA)가 일본 현지 거래소 'BTC 박스(Box)'의 이름을 도용해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메일이 확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BTC 박스는 JVCEA의 정식 회원사다. 이와 관련해 협회 측은 BTC 박스 이름으로 발송된 메일을 열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후오비 EOS 책임자 "EOS 커뮤니티 기하급수적인 성장"앨리나 야오 후오비 EOS 거래소 CEO가 오늘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진행된 포럼에 참석해 "EOS 메인넷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규모가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확장되고 있다" 고 밝혔다. 그는 "지난 2017년도 강세장을 이더리움 스마트컨트랙트가 견인했다면, 2019년 블록체인 시장은 EOS의 PoS 기반의 합의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한 댑 생태계가 이끌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향후 퍼블릭 체인의 트렌드는 낮은 커뮤니티 운영 비용, 다수의 노드에 의한 자율 거버넌스, 탈중앙화 응용서비스가 중심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 GS인증 1등급 획득
글로스퍼,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 GS인증 1등급 획득-제안평가 시스템은 공공기관만이 아니라 기업 등 모든 고객이 혜택 누릴 수 있어..-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등록으로 공공기관과 민간 시장에 빠른 확산 기대..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이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GS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GS인증은 국제적인 소프트웨어 표준 인증제도로 소프트웨어의 기능 적합성, 성능 효율성, 사용성, 보안성 등 총체적 품질을 평가한다. 인증을 획득한 제품은 공공기관 사업 발주 시 우선 구매 대상으로 지정된다.최근 글로스퍼는 공공기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영등포구에 첫 번째로 제공한 사례를 확보한 바 있다. 서울 영등포구는 글로스퍼의 제안평가 시스템을 도입하여 평가과정 중 발생되는 인적 오류와 비용 집행을 최소화하고, 구청 운영의 공정성을 확보하며, 입찰 과정 시 발생 가능한 의구심 차단 및 연관 부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영등포구는 해당 시스템의 도입 및 운영으로 작년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주관한 ‘2018년 반부패 우수사례’ 공모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글로스퍼 사업총괄 김보규 본부장은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은 공공기관만이 아니라 기업 등 모든 고객이 혜택을 누릴 수 있다”며 “공정성이 필요한 채용, 인사, 행정 및 운영 평가 등 다양한 평가 과정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밝히며 “제안평가의 인프라로 공급될 예정인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기술과 글로스퍼의 주력 제품인 HYCON EP(하이콘 EP)가 빠르게 시장에 안정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글로스퍼는 GS인증 1등급 획득을 계기로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신청을 진행하여 전국의 공공기관이 GS인증제품 공공기관 우선구매 대상 기술개발 제품으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을 정해진 가격에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 시스템은 모든 평가 절차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고려해 개발했다”며 “블록체인이 기업과 공공기관은 물론, 금융시장 등 각 분야에 가장 큰 가치인 ‘신뢰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GS인증 획득을 기점으로 더욱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외신 "MS 등 참여 블록체인 조직 출범...북대서양 블록체인 중심화"
▲ 정부 "블록체인, '샌드박스' 통해 육성…암호화폐 제도화는 아직"뉴스 토마토에 따르면 3일 국회 4차 산업혁명 특별위원회(이하 4차 특위)는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전체 회의를 열고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부, 금융위원회, 국무조정실, 법무부 등 주요 정부부처 업무보고를 받았다. 4차 산업시대에 대비해 네거티브 형식으로 정책을 유연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해선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창원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은 "블록체인 원천기술은 육성하되, 암호화폐 투기 과열 방지와 투명성을 제고하고 불법에 엄정히 대처하겠다. 블록체인은 공공시범 사업 확대, 기술개발 지원 등 블록체인 발전 전략을 지속 추진해 블록체인 기술 기업을 육성하고 인력을 적극 양성하겠다. 다만 ICO는 투자위험이 높고 국제적 규율체계가 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제도화에 신중하게 접근할 것이다. 암호화폐 관련 우선 자금세탁방지와 이용자 보호를 위해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 "MS 등 참여 블록체인 조직 출범...북대서양 블록체인 중심화"암호화폐 미디어 크립토 슬레이트가 "마이크로 소프트와 티 모바일(T mobile) 등 20개 글로벌 IT 대기업들이 캐스케디아(Cascadia)라는 이름의 블록체인 비영리 조직을 출범한다고 보도했다. 해당 조직은 향후 블록체인 초기 스타트업 투자와 블록체인 공동 거버넌스 구축 등을 목표로 한다. 동시에 향후 태평양 및 북대서양 지역을 블록체인 산업의 글로벌 중심 지역으로 자리매김 시킨다는 목표도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中 유명 투자자 “비트코인 불마켓 아직...혹한기 지났을 뿐"중국 투자업체 DGroup의 창업주인 자오둥(赵东)이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지난 2일 비트코인이 급등했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본격적인 불마켓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진정한 불마켓은 오랜 기간의 인내 이후 나타난다. 시세는 언제나 상승할 수도 혹은 하락할 수도 있다. 항상 인과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가격이 언제든지 다시 하락할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들은 명심해야 한다. 디지털 화폐 장기 전망 측면에서 볼 때 약간의 자금이 묶여 있는 것은 크게 우려할 일이 아니다. 오랜 기간 시장에서 노하우를 터득한 투자자만이 비트코인의 미래를 감히 전망할 수 있다. 암호화폐 시장은 이제 막 혹한기를 지났다. 지나친 낙관은 금물이다. 하지만 봄이 온다는 것은 확실하다”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스퍼∙하이콘-반타-메이커다오, ‘블록체인 지역화폐’ 구축 위해 트리플 얼라이언스 협약 체결
글로스퍼∙하이콘-반타-메이커다오, ‘블록체인 지역화폐’ 구축 위해 트리플 얼라이언스 협약 체결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혁신 시대, 3사의 협업으로 지역화폐 대중화 나선다.-이용자의 사용성 한계를 무한 확장시키는 지역화폐 모델을 통해 블록체인 대중화 가능..-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 간 물리적 통합 없이 경쟁력 있는 지역화폐 플랫폼 만들 계획..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 하이콘(HYCON)과 반타(VANTA), 메이커다오(MakerDAO)는 ‘블록체인 지역화폐 구축을 위해 트리플 얼라이언스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3사는 이용자의 사용성 한계를 무한 확장시키는 지역화폐 모델을 통한 대중화 계획을 밝혔다. 다양한 대기업들도 잇따라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시장에 진출하고 있지만, 실제 블록체인 플랫폼을 가동하고 있는 3사가 협업하는 혁신을 따라오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스퍼·하이콘(대표 김태원)은 지난해 2월, 노원 지역화폐를 통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를 성공적으로 상용화 시킨 경험이 있다. 반타(VANTA)네트워크, 메이커다오(MakerDAO) 블록체인 프로젝트 간 협약을 통해 기존 지역화폐가 지닌 불편함을 개선하고, 효율성을 높인 새로운 지역화폐 모델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반타(VANTA)는 초연결 사회를 위해 설계된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분산 네트워크이며, 사람과 사람, 사람과 정보 사이에 무한한 실시간 네트워킹(Real-time Networking)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반타(VANTA)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지역 화폐를 취급하는 소상공인, 가맹점은 반타 API를 이용하여 지역주민들과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홍보 효과, 정보 전달, 통신요금 절감을 실감할 수 있게 되며, 주민들 또한 반타 API를 통해 안전하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가맹점과 사용자 간의 실시간 소통할 수 있는 정보 서비스와 지역화폐와 연동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추가되는 지역화폐 부가 서비스 중 가맹점 통신 과금 등은 결제를 위해 지역화폐와 환전을 필요로 하는 부분으로 메이커다오(MakerDao)의 스테이블코인 다이(DAI)를 통해 가격 변동성 없이 지역화폐와 환전, 사용이 가능하게 될 예정이다. 메이커다오(Maker Dao)는 시가총액 7억3천8백만 달러 규모의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에서 16번째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로, 전략적 제휴를 통한 가격 변동성 없는 안정된 결제 수단 활용 방안 탑재할 예정이다. 글로스퍼·하이콘(대표 김태원)은 "장기적으로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다양화 시키는 답이 블록체인 지역화폐를 대중화시키는 답이다”며 "특색 있는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 간 물리적 통합 없이도 경쟁력 있는 지역화폐 플랫폼을 만드는 것을 선보이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차세대 블록체인 지역화폐의 탄생을 기대하는 이번 소식으로 ‘하이콘(HYCON)-반타(VANTA)-메이커다오(MakerDAO)’ 트리플 얼라이언스를 통해 만들어 나갈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