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사이버 보안 업체, 미국계 데이터 설비 업체 인수
▲ 머큐리FX “xRapid 기술 통해 고객 송금 비용 3만 달러 절약"영국 기반의 국제 환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머큐리FX(Mercury FX)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오늘 고객 한 명이 호주에 보유하고 있던 주택을 팔고 영국에 대금을 송금하는데 엑스레피드(xRapid) 솔루션을 바탕으로 3만 달러 상당의 비용을 절감했다”며 “이는 기존 은행 송금 서비스 이용 시 발생했던 비용과 비교하면 매우 저렴한 것”이라고 전했다. 엑스레피드는 리플의 송금 솔루션으로 SWIFT 등 기존 은행 송금 시스템 보다 비용을 40%~70%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 첫 암호화폐 ATM 출시...합법 서비스필리핀 미디어에 따르면, 현지 상업은행 유니온뱅크가 마카디에 위치한 산하 디지털 자산 전문 은행 더 아크(THE ARK)를 통해 필리핀 첫 암호화폐 ATM을 출시했다. 마카디는 필리핀 최대 번화가이자 상업 지역이다. 해당 ATM은 필리핀 중앙은행 규정에 부합한 합법적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지 암호화폐 지갑 보유자들은 ATM을 통해 직접 현금을 인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다.▲ UAE 통신업체 BPaaS, 정부 인가 획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아랍 에미리트 연합(United Arab Emirates) 통신 업체 Emirates Integrated Telecommunications Company의 고위 경영진이 자체 구축 중인 클라우드 비즈니스 프로세스 서비스(BPaaS)가 정부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해당 BPaaS는 UAE 블록체인 통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오픈 소스 기반 하이퍼렛저 패블릭 및 이더리움 등 호환이 가능한 프라이빗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스위스 사이버 보안 업체, 미국계 데이터 설비 업체 인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스위스 보안 전문 기업 위즈키(WISeKey)가 미국 데이터 인프라 설비 업체 타르민(Tarmin)의 지분 22%를 인수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이번 인수를 통해 위즈키는 자사 서비스와 타르민의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통합, 대량 데이터 저장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미디어는 “위즈키의 차세대 데이터 운영 및 저장 솔루션인 WISeBox 공동 개발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되지 않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시그마체인, 유럽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MOU 체결
시그마체인, 유럽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MOU 체결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 위해 시그마체인 메인넷 도입! - 라토큰, 세계 20위권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유럽 및 ICO 활발한 싱가포르서 명성 높아- 메인넷 도입과 더불어 시그마체인 글로벌 진출을 위해 전방위 협력 예정- 시그마체인 메인넷, 속도·보안·안정성 삼박자 갖춰… 국내외 30여개 기업에 공급-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선보여… 다음달 OBT 앞둬 유럽의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가 탈중앙화 거래소로 변신하기 위해 국내 토종 메인넷 기술을 전격 도입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유럽 기반의 국제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메인넷 공급계약을 포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라토큰이 추진 중인 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의 ‘뼈대’로 시그마체인이 독자 개발한 메인넷을 채택한다는 것이 이번 MOU의 골자다. 이 밖에, 시그마체인과 라토큰이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플랫폼 기업 ‘라이커월드’와 함께 시그마체인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선택한 라토큰은 유럽의 기반을 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다. 거래량은 전 세계 20위권으로, 코인 거래, OTC 장외 거래, 선물, 옵션거래, 마진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진인 유럽은 물론, ICO가 활발한 싱가포르에서도 명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중앙화 방식으로 운영 중인 라토큰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활용해 탈중앙화 거래소로 변신할 예정이다. 라토큰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이 속도와 안정성은 물론, 암호화폐 거래소의 필수요건인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이번 MOU를 체결했다. 시그마체인의 앞선 블록체인 기술력이 세계적인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의 선택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된 셈이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은 퍼블릭과 프라이빗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국제공인시험기관이 인정한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처리속도와 DDPoS(이중위임지분증명) 알고리즘 바탕의 높은 보안성을 앞세워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 현재, 국내외 30여 개 기업이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도입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 중으로, 지난 7일에는 국내외 100여 개 기업이 창립 멤버로 모인 가운데, 시그마체인 메인넷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합체 ‘시그마체인 네트워크 얼라이언스 협회(SNA 협회)’가 출범했다. 시그마체인은 이번 MOU를 기점으로 라토큰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을 활용해 대외 신용도 및 지명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시그마체인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유럽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한 라토큰과의 이번 MOU를 통해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는 현재의 메인넷 경쟁에서 시그마체인이 다시 한발 앞설 수 있게 됐다고 본다”며, “이더리움과 이오스(EOS)의 뒤를 잇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시그마체인 메인넷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아이오텍스(IoTeX), 대표단 선거 이후 예정대로 3월 말 메인넷 출시
아이오텍스(IoTeX), 대표단 선거 이후 예정대로 3월 말 메인넷 출시대표단 선거 투표 시작 3일 만에 메인넷 구동을 위한 조건 달성 지난 15일 메인넷 출시를 위해 대표단 선거를 시작한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오텍스(IoTeX)가 메인넷 구동 준비 조건인 전체 토큰 유통량 20% 의 락업(Lock-up)을 선거 시작 3일만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이오텍스는 "사물인터넷 전용 블록체인 개발업체로 현재 사물인터넷의 한계로 지적되는 기기간 호환, 인프라 구축, 개인정보 보호를 블록체인 도입으로 해결하려는 프로젝트다. 아이오텍스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메인넷 구축과 사이드 체인을 지원하는 기술이 바탕이 된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아이오텍스는 지난 11일 부터 시작된 대표단 선거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의 슈퍼 노드가 될 대표자를 선출하여 사이드 체인을 조율할 예정이다"고 밝혔다.대표단으로 선출되기 위해 후보자들은 최소 120만 IOTX를 보유해야하며, 유권자들로부터 200만 IOTX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 이 때 후보자들이 보유한 IOTX 물량과 유권자들이 투표에서 행사한 IOTX물량은 아이오텍스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자동으로 락업(Lock-up)된다. 락업(Lock-up)된 물량이 전체 유통량의 20%가 넘으면 메인넷 가동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이 충족되며, 대표자 선거가 종료되면 메인넷이 출시된다. 아이오텍스의 공동 창업자 롤렌 차이(Raullen Chai)는 “대표단 선거 투표 시작 3일만에 목표를 달성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며 “이번 선거에 아이오텍스 커뮤니티가 보내준 성원에 감사하며 월말 예정된 메인넷 출시까지 꾸준한 기대와 관심을 부탁한다”고 밝혔다.
-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플랫폼 운영 효율성 향상…다양한 인증 채널 제공최근 블록체인 기술 업체 코인플러그와 에스토니아 기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디플로우(DFlow)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가운데 KB국민카드와도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블록체인 전문 핀테크 기업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모바일 앱에서만 구현되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을 웹과 호환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코인플러그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KB국민카드(대표 이동철)와 진행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비스 확대 프로젝트’의 결실을 맺었다. 기존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은 모바일앱 기반으로 웹과의 호환이 불가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함에 따라 KB국민카드는 앱과 웹 브라우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게 돼 보다 다양한 인증 채널을 제공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코인플러그는 플랫폼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관리자 시스템 고도화한 결과 직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웹 서비스 상태, 블록체인 플랫폼 구조, 각 노드의 현황 등이 대시보드에 10초 간격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다양한 검색 조건으로 거래와 블록을 분석,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어 관리자는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한편, 코인플러그는 또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신원인증)’ 플랫폼 ‘메타디움(METADIUM)’과 관련해서도 디플로우와 긴밀히 협력할 방침이다.
-
자메이카 증권거래소,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거래 서비스 시범 운영
▲ 바하마 증권위원회, 암호화폐 관련 입법 초안 마련글로벌 주요 미디어 The Nassau Guardian에 따르면 바하마 증권위원회(SCB)가 최근 암호화폐 관련 입법 초안을 마련했다. SCB는 이를 통해 당국 차원에서 암호화폐 시장을 효과적으로 관리감독하겠다는 방침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2일(한국 시간) SCB는 성명을 통해 “해당 입법 초안은 바하마 역내 디지털 화폐 발행 및 판매, 토큰 매도 및 중개 서비스 운영 등에 초점을 맞췄다” 고 전했다. 한편 SCB는 현재 디지털 자산 및 거래소 등록 법안(Digital Assets and Registered Exchanges Bill, 2019) 초안 마련을 위해 각계 각층 의견을 수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엇 블록체인, 작년 5800만 달러 손실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나스닥 증시에 상장해있는 채굴 전문 기업 라이엇 블록체인(Riot Blockchain)가 지난해 58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회사는 최근 300만 달러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 유럽연합집행위원회, 블록체인 협회 설립글로벌 비즈니스 블로그 VB(Venture Beat)에 따르면 최근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한 유로피안 커미션(European Commission) 행사에서 글로벌 정경계 주요 인사 및 블록체인 스타트업 관계자가 참석, 국제 표준 블록체인 응용 프로세스 협회(INATBA) 설립하는데 합의했다. 해당 기관은 이를 통해 업계 관리감독 및 비즈니스 혁신을 이루고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촉진한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최근 업계 블록체인 도입이 빨라지고 기술 활용 잠재력 및 업계 영향 연구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선제적 조치를 취하고 기술 도입 장려에 나서고 있다”고 전했다.▲ 자메이카 증권거래소,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거래 서비스 시범 운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3일(한국시간) 자메이카 증권거래소(JSE)가 캐나다 핀테크 업체 블록스테이션(Blockstation)과 협약을 맺고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시범 거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해당 서비스를 시작으로 향후 시큐리티 토큰(Security token, 증권형 토큰) 등을 포함한 디지털 자산 실시간 거래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는 계획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
[후오비 오늘의 코인] 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POS증명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POB(Proof Of Believability) 메커니즘을 도입해 작업성과 확장성을 보장했다. 프라이빗 세일 진행 시기에 많은 기관투자자를 통해서 자금력을 확보했으며, 향후 초당 10만 건이라는 빠른 트랜잭션 처리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비트코인캐시(BCH)2017년 8월에 비트코인 블록에서 1:1 하드포크로 발행됐다. 블록사이즈를 8MB로 증가시켜 기존 블록보다 더 많은 거래를 담을 수 있으며 거래수수료나 속도를 더욱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6개의 블록마다 채굴량, 사용량, 수요에 따라 난이도가 새롭게 조정되는 점이 특징이다.퀀텀(QTUM)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모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겸비하고 있다. 비즈니스 친화적 플랫폼을 지향하며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다양한 시장 개척을 목표로 개발됐다. 일부 해외거래소에서는 퀀텀을 기축 화폐로 둔 페어 거래가 존재하며 퀀텀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메디블록, 잉크, 보디 등의 dApp들도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사이버 범죄 예방 협의체' 발족...코인제스트, 코인이즈, 코어닥스, 트레빗 등 4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함께 협의체 구성
'사이버 범죄 예방 협의체' 발족...코인제스트, 코인이즈, 코어닥스, 트레빗 등 4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함께 협의체 구성- 사이버금융 및 사이버범죄 예방 위해 ‘고객확인제도 및 이상 거래 내역 실시간 대응 시스템’ 개발하기로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는 트레빗, 코인이즈, 코어닥스와 함께 전화금융사기 범죄 등으로부터 거래소 회원과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자금융 및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협의체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26일 협의체에 참여한 4개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는 트레빗, 코인이즈, 코어닥스는 경찰청 등의 관계 기관과 함께 고객 확인 제도 및 이상 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코인제스트 관계자는 "이 시스템이 완성되면, 4개 거래소와 경찰청은 범죄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범죄 예방과 범인 검거에 활용하게 된다. 이와 함께, 4개 거래소는 전화금융사기 등 범죄에 연루된 사람에 대해서는 강력한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협의체 참가사 중 하나인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범죄정보 관련 정보를 여러 거래소와 경찰청이 공유하고 협업하면 범죄 사실을 신속하게 파악해 범인 검거에 도움을 주고 추가 범죄를 예방해 거래소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며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범죄 피해를 최소화하여 건강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한편, 코인제스트는 지난 1월 말 보이스피싱 담당 경찰 수사관 20여 명과 보이스피싱 예방 및 검거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 협의체는 그 간담회 이후 수사기관과 암호화폐 거래소가 실질적으로 협력하여 구성한 것으로, 경찰과 업계의 좋은 협업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테조스, 블록체인 역사상 첫번째 온체인 투표를 완료하다.
테조스, 블록체인 역사상 첫번째 온체인 투표를 완료하다.지난 2월 28일, 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에 첫번째 프로토콜 업데이트 제안이 올라왔다. 이번 제안의 이름은 아테네(Athens)로 프랑스의 테조스 개발조직인 노마딕랩스(NomadicLabs)에서 제안하였다. 테조스 블록체인의 가스 리밋(Gas limit)을 높이는 것과 롤(Roll) 구성 크기를 줄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에서 본 제안에 대한 역사상 첫번째 투표가 완료되었습니다. 첫번째 단계인 제안 투표에서 총 2만5855표 중 1만8181표가 아네테 A안(가스리밋 증가와 롤 구성 크기 축소)을 선택하여 70%의 득표율로 해당 제안이 탐구 투표단계로 옮겨졌습니다. 1롤이 1표의 원칙으로 운영됩니다. 테조스 재단(Tezos Foundation)은 본 투표에서 중립을 유지하기 제안단계에서는 투표를 하지 않았고, 탐구 단계에서도 ‘패스(Pass)’에 투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본 제안이 향후 최종적으로 통과되면 가스 리밋이 늘어나 블록당 처리가능한 연산이 두 배로 증가해 확장성이 개선됩니다. 또한 합의 프로토콜의 참가 요건인 롤 구성 크기가 줄어들면 더 많은 참여자(현재 약 450명)들이 베이커(블록 생성자)가 될 수 있습니다.이처럼 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는 하드포크의 리스크를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들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제안자는 해당 제안에 인보이스(invoice)를 넣어 해당 제안이 채택될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탈중앙화된 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현재 테조스 개발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로는 영지식 증명(zk-snark)를 통한 확장성 솔루션, 합의 알고리즘의 일부를 텐더민트(Tendermint) 기반의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로 변경한 finality 개선 방안, 분산 네트워크 저장공간 축소(약 10분의 1 수준), 프로토콜 변경 최소화하며 PBFT로 나아가는 Igloo project, 확장성 개선을 위한 샤딩 연구 등이있습니다.온체인 거버넌스란 참여자들이 직접 블록체인 상에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제안을 올리고 이를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주요 개발자나 채굴업체들이 의사결정을 하는 오프체인 거버넌스(Off-chain Govenance)와 비교됩니다.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는 제안(Proposal)-탐구(Exploration)-테스트(Testing)-적용(Promotiom)의 총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제안 단계에서는 누구나 테조스 프로토콜의 개정안(Amendment)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많은 ‘좋아요(Upvote)’를 얻은 제안이 탐구 단계로 넘어가고 탐구 단계에서는 찬성, 반대, 기권의 3가지로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정족수 80% 이상에 찬성율 80%를 넘으면 테스트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후 제안된 프로토콜은 테스트넷으로 이동하여 원만하게 작동하는지가 테스트됩니다. 테스트 단계가 종료되면 본 제안을 실제 메인넷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투표하는 적용 단계가 시작됩니다. 정족수를 충족하고 전체의 80%이상이 찬성을 하면 해당 개정안이 메인넷에 적용됩니다.만일 정족수를 채우지 못하거나 전체의 80%가 찬성하지 않으면 본 개정 절차는 다시 첫 단계인 제안 단계로 되돌아 갑니다. 각 단계는 8 사이클(약 23일)을 거치며 총 32사이클(약 91일) 동안 진행됩니다. 모든 단계가 진행이 된다면 탐구 단계는 4월 12일(393,216블록), 테스트 단계는 5월 5일(425,984블록), 적용 단계는 5월 28일(458,752블록)에 종료될 예정입니다. 본 개정 절차 역시도 온체인 거버넌스의 투표를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메타디움,메타ID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 구축 실현 가능...아이덴티티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타디움 메인넷 출시
메타디움,메타ID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 구축 실현 가능...아이덴티티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타디움 메인넷 출시탈중앙화 아이덴티티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메타디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메인넷을 지난 20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25일 메타디움은 "이번 메인넷 출시를 기반으로 메타디움의 차세대 신원 플랫폼은 ‘메타 ID(Meta ID)’라는 서비스를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메타 ID는 사용자 인증 및 개인정보 확인을 지원, 자기주권 신원(SSI, Self-Sovereign Identity) 원칙에 따라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이번 메인넷에서 메타디움은 이더리움을 수정·포크(fork)한 합의 메커니즘으로 지분 기반의 권위 증명(SPoA, Stake-based Proof of Authority)을 채택했다. SPoA는 확장성 있는 안전한 합의 메커니즘 제공을 목표로 한다. 네트워크 참여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메타디움 네트워크는 초기 9개의 검증자로 시작한다. 이들 검증자 집단은 블록의 생성을 담당하는 리더의 역할을 교대로 맡으며, 일정 수량 이상의 메타(META)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에 대한 투표권도 지닌다. 메타디움은 참여 노드 중에서 무작위로 리더를 선출하는 방식을 택했다. 악의적인 에이전트가 특정 노드를 타켓으로 삼는 것을 막고 내부 결탁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다. 메타디움 네트워크에 참여 노드로 가입하려면 일정 수준의 운영비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관이나 법인이어야 한다. 가입한 참여 노드는 국가와 산업별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으며, 이들과 관련된 정보는 추후에 별도 공지할 예정이라고 메타디움 측 관계자는 전했다.메타디움은 올해 3분기에 메인넷 두번째 단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새로운 검증자를 추가하거나 기존 검증자가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일 시 해당 검증자를 퇴출하기 위한 투표 과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엄선된 소수의 파트너에게만 공개돼 있는 거버넌스도 일반 대중에게까지 확대할 전망이다.박훈 메타디움 대표는 "이번 메인넷 론칭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며 "메타디움은 탈중앙화된 앱(DApp) 개발자와 전통적 사업간의 새로운 협업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개별 서비스 제공업체가 새로운 방식으로 신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이번 2분기에 메타ID, 클레임(Claim) 및 어치브먼트(Achievement) 기능을 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메타디움은 이달 초부터 다양한 산업군에 SSI 개념이 확립될 수 있도록 메타디움 파트너십 프로그램(MPP, Metadium Partnership Program)을 발표해 왔다.MPP 제휴사에는 글로벌 거대 게임업체인 ‘유니티 테크놀로지’와 지형공간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YO’가 있다. 또한, 최근 넥슨과 전략적 제휴를 발표한 디지털 컨텐츠 P2P 생태계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픽션 네트워크’, 블록체인 상에서 게임 간 호환이 가능한 경제 시스템을 구현코자 하는 ‘GameXcoin’ 그리고 투명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인프라 ‘에어블록’ 등도 메타디움 파트너로 합류했다.
-
美 투자 전문 업체 CEO “비트코인 반등? 암호화폐 시장 붕괴 온다”
▲ 리서치 "BTC, 10년후 비자·마스터카드 넘어선다"외환 및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FX스트릿(FXstreet)이 시장 조사 기관 데이터라이트(Datalight)의 연구 보고서를 인용해 "비트코인이 최종적으로 비자와 마스터카드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10년이라는 짧은 기간 비트코인은 글로벌 결제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경쟁력을 갖췄다"며 "비트코인이 만약 지금의 성장 속도를 유지한다면, 10년 후에는 경쟁 대상 모두를 압도하게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또한 "현재 비트코인은 이미 전통적인 글로벌 결제 및 외환 시스템을 넘어섰지만, 저장 기술 부분에서 한계를 넘어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美 투자 전문 업체 CEO “비트코인 반등? 암호화폐 시장 붕괴 온다”미국 경제 방송 CNBC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 전문 업체 크리에이티브 플래닝(Creative Planning)의 피터 맬럭(Petet Mallouk) CEO가 해당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했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목도하게 될 것”이라며 “현재 다양한 암호화폐가 출현하고 있지만 이 중에서 성공할 수 있는 토큰은 한 두 개에 불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에 투자, 수익 없이 돈을 잃는다면 이는 ‘투자’가 아닌 ‘투기’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다.▲ 정정보도. BCH 연내 최고가...하드포크 급락 되돌림 효과BCH가 단기 급등하며 일시 연내 최고가인 292.97 달러를 기록했다. 24시간 전 대비 40% 넘게 상승한 가격이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미디어 트러스트노드는 "앞서 BCH의 가격이 지난 하드포크 후 급락한 데 따른 되돌림(상승) 압력이 영향이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동시에 오는 5월로 예정된 Schnorr 서명 도입 기대감도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또한 "블록체인에 대한 수요 증가로, BTC 네트워크가 포화상태를 나타내면서, BCH가 반사이익을 봤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미디어는 이와 관련해 "가장 유력한 것은 과거 하드포크 후 너무 많이 하락한 데 대한 반작용"이라고 진단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디지털 자산거래소 '백트', 올 연말 출범 계획...MS·스타벅스 참여
디지털 자산거래소 '백트', 올 연말 출범 계획...MS·스타벅스 참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가 만드는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연말에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제프리 스프레처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현지시간) "올해 말에는 백트의 출범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제프리 스프레처는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유수의 투자자와 파트너를 다수 확보한 상태"라고 덧붙였다.백트(Bakkt)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가 만들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기로 해 이목을 끌었다.복수의 외신은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 2018년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자리에서 "백트 플랫폼은 ICE가 그간 펼쳐온 사업들과 달리 '문샷' 같은 도전"이라고 보도했다. 문샷은 (인류의 달 착륙에 빗댈 정도로 큰 혁신을 말한다.
-
리워드형 소셜미디어 '굿모닝',사용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에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하여 차별화
리워드형 소셜미디어 '굿모닝',사용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에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하여 차별화마이데이터 전문 기업인 마이크레딧체인(대표 김우식)이 최근 선보인 리워드형 소셜 미디어 플랫폼 ‘굿모닝’이 베타서비스 개시 2개월 만에 2만건의 다운로드를 돌파했다.굿모닝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추후 리워드로 전환할 수 있는 씨앗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개념 소셜네크워킹 서비스. 광고나 홍보 위주의 콘텐츠로 사용자 거부감과 피로도가 높았던 기존 리워드 앱과 달리 '클린'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굿모닝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씨앗을 선물하거나 상태메시지를 변경하는 등과 같은 미션을 통해 매일 새롭게 씨앗을 생성할 수 있고, 지인을 통해서는 무제한으로 선물받을 수 있다. 선물 받은 씨앗이 쌓이면 열매로 전환되며, 일정 수량 이상의 열매는 추후 현금으로 전환하거나 전용 쇼핑몰인 열매몰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굿모닝서비스의 상태 메시지인 ‘하우와유투데이('How R U Today?)’를 활용한 미션 추첨 이벤트를 통해 매일 10명의 사용자에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제공하고 있다.마이크레딧체인 김우식 대표는 “굿모닝은 다소 어렵고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블록체인/가상화폐 분야를 누구나 손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로써 친구, 동료, 부모님 등과 아침 인사와 함께 선물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선물경제학(Gift-Economy) 이론이 반영된 새로운 형태의 소셜미디어”라며 “현재 씨앗과 열매를 지인에게 이체하거나 쇼핑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막바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 제공!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 제공!BORA(보라) 플랫폼 베타 2 버전 오픈…게임 Dapp 데모 공개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운영 가이드 및 통합 콘솔인 BORA Atoll(아톨) 처음 공개BORA 파트너사 UNIT5의 모바일 퍼즐 게임 ‘Push Sushi(푸시 스시)’ Dapp 데모 시연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난수 발생(Random Number Generator) API 공개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Ropsten) 연동으로 정식 런칭 전 BORA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능 및 성능 검증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대표 이승희)가 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을 오픈했다고 1일 밝혔다.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은 정식 서비스 런칭 전 마지막 준비 단계로,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운영 가이드 및 통합 콘솔인 BORA Atoll(아톨) 공개, 블록체인 연동 콘텐츠 체험용 게임 Dapp 데모 시연, 신뢰성 있는 난수 발생(Random Number Generator, RNG) API 제공, 그리고 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Ropsten)에 연동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능 및 성능 검증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먼저, 이번 BORA 베타 2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서비스인 BORA Atoll이 새롭게 공개됐다. BORA Atoll은 Dapp 서비스 개발, 운영에 필요한 설정, 운영 관리, 토큰 관리, 데이터 분석과 같은 도구와 환경을 제공한다.BORA 플랫폼 기술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웨이투빗 이이구 CTO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블록체인 기술 진입 장벽을 낮춰주면서 신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콘텐츠 서비스 관리툴인 BORA Atoll의 개발에 많은 공을 들였다.”고 강조했다.콘텐츠 개발자들에게 BORA 플랫폼 관련 기술 문서가 제공되어, 기본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공간인 BORA Lagoon(라군)에 블록체인 기반 게임 데모 버전도 새롭게 선보였다. BORA는 공식 파트너사인 게임 개발사 UNIT5와 협업해, 게임 내에서 BORA Token(토큰)으로 교환되는 BORA Shell(쉘)을 획득해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모바일 퍼즐 게임 Push Sushi(푸시 스시) Dapp 버전을 누구나 플레이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UNIT5의 Push Sushi는 BORA 플랫폼 정식 런칭과 함께 정식 버전으로도 서비스될 예정이며, UNIT5의 대표 인기 게임인 큐비어드벤처도 BORA 플랫폼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Dapp 버전이 현재 개발 중에 있다.이 외에도 BORA Lagoon(라군)에 난수 발생 API가 새롭게 추가되면서, 이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주사위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보안 인증 강화를 위해 BORA 멤버십 기능도 개선됐다.BORA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탐색기인 BORA Explorer(익스플로러)에는 난수 발생 검증(Random Number Verify) 기능이 추가됐다.더불어 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은 이더리움 메인넷과 동일한 환경의 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에 연동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테스트로만 사용할 수 있는 10 Test BORA Token을 획득할 수 있다.이렇게 획득한 BORA Token은 이더리움의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으로 직접 전송해볼 수 있으며, BORA의 이중 토큰 구조를 통해 BORA Token을 BORA 플랫폼 내에서만 유통되는 BORA Shell이라는 포인트로도 교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단점으로 거론되는 느린 처리 속도를 해결한 BORA 플랫폼의 빠른 성능을 비교해 볼 수 있다.BORA 이승희 대표는 “BORA 플랫폼 베타 2는 이후 런칭 되는 정식 버전과 거의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 콘텐츠 개발자들이 BORA의 블록체인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손쉽게 미리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이어서 “BORA는 현재 기획 초기에 공개했던 로드맵에 맞춰 순조롭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베타 버전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정식 런칭 전 서비스 완성도를 올리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中 블록체인 경제학자 "BTC 강세, 글로벌 증시 회복세 힘입은 것"
▲ 中 블록체인 경제학자 "BTC 강세, 글로벌 증시 회복세 힘입은 것"중국 국가정보센터 중국경제망 관리부문 부총괄 겸 블록체인 경제학자 주요우핑(朱幼平)이 오늘(2일) 인터뷰를 통해 BTC 강세에 대한 2가지 관점을 밝혔다. 주요우핑은 "첫 번째로, 글로벌 증시 회복세에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미국, 중국, 홍콩, 일본 증시가 회복세로 돌아서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에 따라 암호화폐 시장도 잇따라 오른 것인지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최근 블록체인 업계의 지속적인 호재다. 미국 규제 당국의 긍정적인 태도, 암호화폐 관련 법안 통과 등 재료가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또 "이외에 스테이블코인, STO, Dapp, IEO 등이 업계에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제시되며 돌파구를 찾고있으며, 중국 당국의 197개 블록체인 프로젝트 승인, 중국 A주(현지인 대상 주식) 중에서 블록체인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여러가지 재료들이 이번 BTC 강세에 호재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며 "암호화폐 업계가 지난해 빙하기를 지나고 올초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블록체인의 미래가 밝다"고 덧붙였다.▲ BTC 대규모 이체, 바이낸스 내부 자금 이동...5천억원 규모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토큰뷰(Tokenview)에 따르면, 오늘(2일) 오후 7시 9분(한국시간) 바이낸스 BTC 지갑으로 알려진 '1NDyJtNTjmwk5xPNhjgAMu4HDHigtobu1s'로 총 10만 BTC(약 5,328억원)가 이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코인니스가 바이낸스에 취재한 결과 내부 자금 이동이라는 답변을 받았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5.09% 오른 4,760.0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상승에 美 블록체인 테마주도 급등비트코인 시세 급등의 영향으로 미국 증시 대표적인 블록체인 테마주인 마라톤 페이턴트(Marathon Patent)의 주가가 40% 가까이 상승했다. 또 다른 테마주인 라이엇 블록체인도 23% 올랐다.▲ 블록원, 보안전문가 '에디 슈와츠' CISO로 영입이오스(EOISO) 개발사 블록원이 보안 전문업체인 화이트옵스(White Ops Inc.)의 전 COO인 에디 슈와츠(Eddie Schwartz)를 블록원의 최고정보책임자(CISO)로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외신 "BTC 급등, 퀀트 투자 알고리즘 매수 영향"싱가포르 미디어 채널뉴스아시아(channelnewsasia)가 전문 애널리스트를 인용 "익명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가 나타난 후 다수의 퀀트 투자 알고리즘이 매수에 가세하며 비트코인이 급등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런던 소재 암호화폐 기업 BCB 그룹 CEO는 "오늘 BTC의 급등은 코인베이스, 크라켄, 비트스탬프에서 1억 달러 규모 이상의 자금을 운용하는 알고리즘 트레이딩 주문이 만든것"이라며 "해당 세 거래소에서 2만 BTC를 매수했다"고 전했다. 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크립토컴페어(CryptoCompare) 설립자 겸 애널리스트 찰스헤이터(Charles Hayter)는 "오늘 BTC가 치솟으며 1시간에 6백만 건의 거래가 발생했다. 이는 정상 거래량의 3~4배에 달하는 수치다"며 "해당 거래량은 주로 아시아 거래소에 집중됐다. 이는 다른 매수 주문을 촉진시키며 시세 폭등을 일게 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필리핀(Philippines),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필리핀(Philippines),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브라질(Brazil)브라질의 Rio de Janeiro 법원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메르카도 비트코인에 대한 현지 은행의 예금계좌 폐쇄 결정 관련해 거래소 측의 손을 들어줬다고 비트코인닷컴이 보도했다. 법원 측은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 중단은 사실상 중앙은행 2025/93호 결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 고등법원은 지난해 10월 정당한 이유 없이 은행이 암호화폐 관련 계좌를 폐쇄할 권리는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일본(Japan)일본 금융당국이 계속 하락세를 나타내는 암호화폐 문의 건수에 대한 2018년 4분기 데이터를 공개했다. 국내 암호화 생태계를 총괄하는 FSA가 발표한 데이터는 2018년 9월부터 12월 말까지의 문의 건수를 담고 있으며, 2018년 시작된 이래로 점점 줄어들고 있는 수치다. 2018년 1분기 동안 FSA에 등록된 3,559개의 요청 건수보다 거의 5배나 줄어든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필리핀(Philippines)필리핀 내 암호화 지지자들은 암호화 소유물을 사용해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을 갖게 될 것이다. 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했다고 Chepicap이 보도했다. 양방향 ATM은 사용자들이 법정화폐를 가상화폐로 교환하거나 그 반대가 가능하게 한다. 뉴스비트코인에 따르면 본 프로젝트는 정부규제 샌드박스 중의 일부로, 필리핀 내 금융 섹터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OBT 시작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OBT 시작‘모두가 주인인 SNS’를 표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전세계 10여 개국에서 모인 10만 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시험 운영을 시작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자체 개발한 메인넷 ‘퓨처피아(Futurepia)’의 1호 디앱(DApp)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의 오픈 베타 테스트(OBT)를 이달 중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스낵은 메신저와 뉴스피드 기능이 결합된 블록체인 기반의 SNS 메신저다.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중앙화 방식의 SNS에서 찾기 어려운 ‘경제 민주화’된 보상 시스템이다. 스낵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이를 추천하는 회원 모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수익을 생태계 구성원 모두와 공정하게 나눈다는 블록체인의 핵심 정신을 시스템으로 구현한 셈이다. 보상으로 지급되는 암호화폐는 개당 가치가 원화와 동일한 스테이블 코인 ‘스낵(SNAC)’이다. 이용자는 스낵으로 쇼핑, 유료콘텐츠 구입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낵이 탑재된 퓨처피아 메인넷의 암호화폐 ‘피아(PIA)’로 교환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원화 및 다른 암호화폐로 환전 역시 가능하다. 스낵은 시그마체인이 추진 중인 토탈 SNS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 ‘퓨처피아’의 1호 디앱이다. 퓨처피아는 SNS 디앱의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자체 암호화폐 거래소 등을 제공한다. 디앱의 원활한 초기 시장 진입 및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퓨처피아 구성원이 디앱에 직접 투자해주는 ‘상생의 코인이코노미’도 구축했다.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공식 인증 받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토대로 개발돼 속도와 안정성을 갖췄다는 점 또한 돋보인다. 시그마체인 곽진영 대표는 “오픈 베타 테스트 참가를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러시아 등 10여 개국에서 10만 명이나 몰렸다는 점은 지금까지 민주적인 운영과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을 모두 지급하는 전세계적으로 SNS가 부족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오픈 베타 테스트를 통해 기능과 보상 시스템 등 회원들의 니즈를 파악해 공식 론칭 전까지 서비스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
페이팔, 블록체인 업체 첫 투자
▲ 리플 CTO "XRP, 오픈소스 결제 기술...리플사 상관없이 존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데이비스 슈왈츠(David Schwartz) 리플(Ripple) CTO가 Q&A 플랫폼 쿼라(Quora)에서 "XRP는 결제에 사용되는 기술로 리플의 존재와 상관없이 지속 존재할 것이다"며 "또한 XRP는 리플의 지분을 나타내지 않는다. XRP Ledger는 오픈소스 기술이며, 방대한 개발인력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7.78% 오른 0.33660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몰타 금융청, 암호화폐 중개업 라이선스 첫 발급몰타 금융청(MFSA)이 2일 공식 채널을 통해 14개 현지 암호화폐 중개업체에 라이선스를 발급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가상금융자산법안'(VFA)이 통과된 후 5개월만에 첫 사례다. 현지 미디어 몰타타임즈에 따르면, 해당 법안 통과 후 250여개 업체가 라이선스를 신청했지만 그중 3분의 2가 공식 평가절차를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팔, 블록체인 업체 첫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글로벌 전자결제 회사인 페이팔(Paypal)이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업체 '케임브리지 블록체인'(Cambridge Blockchain)의 시리즈 A 투자에 참여했다고 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페이팔이 블록체인 관련 업체에 투자를 나선 첫 사례다. 정확한 투자 금액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SEC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케임브리지 블록체인은 지난 9개월 동안 총 350만 달러(약 40억 원)를 조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TrueUSD 발행사, 파운드 연동 스테이블코인 'TrueGBP'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TUSD 발행사 트러스트토큰(TrustToken)이 두번째 스테이블코인으로 영국 파운드와 1대1로 연동된 'TrueGBP(TGBP)'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트러스트토큰은 "현재 TGBP는 장외거래(OTC) 마켓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빠른 시일 내로 일반 페어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회사는 "TGBP 거래는 우선적으로 미국 소재 에스크로 계정 기반 GBP 펀드를 통해 지원될 것"이라며 "TGBP의 구매 및 거래는 기타 ERC-20 기반 토큰과 같은 방식으로 제공되며, ERC-20 기반 지갑과 호환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미디어에 따르면, 트러스트토큰은 이번 TGBP 출시를 위해 지난해 6월 저명 벤처 투자자 안드레센 호로위츠 및 유명 VC들로부터 2000만 달러(약 227억 4,000만 원)를 조달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디지털 애드버타이징 터미널(DATX),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생태계 통합 프로토콜 및 운영 메커니즘.
[후오비 오늘의 코인] 디지털 애드버타이징 터미널(DATX),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생태계 통합 프로토콜 및 운영 메커니즘. 디지털 애드버타이징 터미널(DATX)블록체인 기반의 광고 생태계 통합 프로토콜 및 운영 메커니즘. 블록체인,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통합한 형태의 플랫폼으로 스마트 광고 생태계 구축을 지향한다. 기존 플랫폼의 장점과 블록체인 플랫폼의 장점을 융합해 하이브리드 형태로 개선을 해나가는 방향성을 가지고 더 나은 보안성을 확보하려고 계획하고 있다. 특히 각 객체의 기여도에 따른 적절한 보상 시스템을 탈중앙화를 통해 처리하는 구조이며 참여 주체들의 공통된 이익을 위한 구조를 채택한 점이 특징이다.골렘(GNT)이더리움 초기 개발팀 핵심 멤버들이 만든 이더리움 기반의 프로젝트. 하드웨어 컴퓨팅 파워를 대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새로운 하드웨어 구매 없이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 업무에 이용할 수 있다. 골렘 앱 출시와 함께 골렘 브래스 베타(Golem Vrass Beta) 버전을 출시해 다시 한번 기술력을 입증했다.가스(GAS)Neo 사의 두 가지 코인 중 하나로 Neo 코인의 동력원으로 쓰이는 Gas로 명명된 코인. 이더리움의 Gas와 유사한 개념으로 트랜잭션(거래)의 동력으로 사용되며 PoS 채굴에 의해서 발생하는 일종의 이자라는 개념의 보상으로 받게 되는 코인이다. Neo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코인인 만큼 그 행보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앞으로 행보가 주목되는 코인 중 하나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