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 범죄 예방 협의체' 발족...코인제스트, 코인이즈, 코어닥스, 트레빗 등 4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함께 협의체 구성
'사이버 범죄 예방 협의체' 발족...코인제스트, 코인이즈, 코어닥스, 트레빗 등 4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함께 협의체 구성- 사이버금융 및 사이버범죄 예방 위해 ‘고객확인제도 및 이상 거래 내역 실시간 대응 시스템’ 개발하기로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는 트레빗, 코인이즈, 코어닥스와 함께 전화금융사기 범죄 등으로부터 거래소 회원과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전자금융 및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협의체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26일 협의체에 참여한 4개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는 트레빗, 코인이즈, 코어닥스는 경찰청 등의 관계 기관과 함께 고객 확인 제도 및 이상 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코인제스트 관계자는 "이 시스템이 완성되면, 4개 거래소와 경찰청은 범죄 관련 정보를 공유하며 범죄 예방과 범인 검거에 활용하게 된다. 이와 함께, 4개 거래소는 전화금융사기 등 범죄에 연루된 사람에 대해서는 강력한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협의체 참가사 중 하나인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범죄정보 관련 정보를 여러 거래소와 경찰청이 공유하고 협업하면 범죄 사실을 신속하게 파악해 범인 검거에 도움을 주고 추가 범죄를 예방해 거래소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며 “고객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범죄 피해를 최소화하여 건강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의지를 밝혔다.한편, 코인제스트는 지난 1월 말 보이스피싱 담당 경찰 수사관 20여 명과 보이스피싱 예방 및 검거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번 협의체는 그 간담회 이후 수사기관과 암호화폐 거래소가 실질적으로 협력하여 구성한 것으로, 경찰과 업계의 좋은 협업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시그마체인, 유럽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MOU 체결
시그마체인, 유럽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MOU 체결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 위해 시그마체인 메인넷 도입! - 라토큰, 세계 20위권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유럽 및 ICO 활발한 싱가포르서 명성 높아- 메인넷 도입과 더불어 시그마체인 글로벌 진출을 위해 전방위 협력 예정- 시그마체인 메인넷, 속도·보안·안정성 삼박자 갖춰… 국내외 30여개 기업에 공급-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선보여… 다음달 OBT 앞둬 유럽의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가 탈중앙화 거래소로 변신하기 위해 국내 토종 메인넷 기술을 전격 도입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유럽 기반의 국제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과 메인넷 공급계약을 포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라토큰이 추진 중인 탈중앙화 거래소 프로젝트의 ‘뼈대’로 시그마체인이 독자 개발한 메인넷을 채택한다는 것이 이번 MOU의 골자다. 이 밖에, 시그마체인과 라토큰이 블록체인 기반의 교육 플랫폼 기업 ‘라이커월드’와 함께 시그마체인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선택한 라토큰은 유럽의 기반을 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다. 거래량은 전 세계 20위권으로, 코인 거래, OTC 장외 거래, 선물, 옵션거래, 마진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본진인 유럽은 물론, ICO가 활발한 싱가포르에서도 명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중앙화 방식으로 운영 중인 라토큰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활용해 탈중앙화 거래소로 변신할 예정이다. 라토큰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이 속도와 안정성은 물론, 암호화폐 거래소의 필수요건인 보안성까지 갖추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이번 MOU를 체결했다. 시그마체인의 앞선 블록체인 기술력이 세계적인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의 선택을 통해 다시 한번 확인된 셈이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은 퍼블릭과 프라이빗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국제공인시험기관이 인정한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처리속도와 DDPoS(이중위임지분증명) 알고리즘 바탕의 높은 보안성을 앞세워 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 현재, 국내외 30여 개 기업이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도입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 중으로, 지난 7일에는 국내외 100여 개 기업이 창립 멤버로 모인 가운데, 시그마체인 메인넷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합체 ‘시그마체인 네트워크 얼라이언스 협회(SNA 협회)’가 출범했다. 시그마체인은 이번 MOU를 기점으로 라토큰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을 활용해 대외 신용도 및 지명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시그마체인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유럽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한 라토큰과의 이번 MOU를 통해 춘추전국시대를 방불케 하는 현재의 메인넷 경쟁에서 시그마체인이 다시 한발 앞설 수 있게 됐다고 본다”며, “이더리움과 이오스(EOS)의 뒤를 잇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시그마체인 메인넷의 가치를 높임으로써,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에서 주도권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
블록체인 기반 마인드AI, ‘파운데이션엑스’와 파트너십 체결
블록체인 기반 마인드AI, ‘파운데이션엑스’와 파트너십 체결-파운데이션엑스와 국내에서 AI의 커뮤니티와 네트워크 강화 예정..-AI 추론엔진 기반의 챗봇 개발에 착수, AI 추론엔진의 활용 가능성 입증 계획..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AI) 프로젝트 마인드AI(MIND AI)가 한국에 기반을 둔 프리미어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터 파운데이션엑스(Foundation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파운데이션엑스는 국내의 커뮤니티 성장에 근본적인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마인드AI는 이번 파트너십 체결로 핵심 연구개발(R & D)팀이 기반을 두고 있는 한국 내에서 AI의 커뮤니티와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또한 파운데이션엑스 생태계 내의 다른 흥미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와의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 파운데이션엑스의 공동 설립자 겸 CEO인 제이 황(Jay Hwang)도 마인드 AI 자문 위원회에 참여할 예정이다.마인드AI는 새로운 개념의 데이터 기반 구조 기반으로 핵심적인 추론(Reasoning) 엔진으로 지금까지 없는 새로운 AI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신경망 기법으로 구성한AI는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야만 인식할 수 있고, 그 덕분에 정확도가 높아진다. 하지만 마인드AI 알고리즘은 대전제와 소전제를 기반으로 결과값을 추론한다. 대전제나 소전제가 온전치 않을 때는 사용자에게 되묻기도 하고, 대전제를 기반으로 소전제를 예측하기도 한다.마인드AI는 추론엔진을 통해 여러 기업들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들이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다. 지금의 챗봇은 질문자가 입력한 단어를 활용해 정해진 답을 해준다. 하지만 AI 추론엔진을 활용한 챗봇을 개발하면 사람 상담사가 상담을 해주는 것처럼 대화하며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다.이정환 마인드AI 대표는 “실제로 마인드AI는 자동차 업체와 함께 차량사고 발생 시 대처법을 안내해주는 AI 추론엔진 기반의 챗봇 개발에 착수했다”며 “올해 말 실제 서비스로 AI 추론엔진의 활용 가능성을 입증할 계획”이라고 밝히며 “AI를 누군가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처럼 누구나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마인드AI의 비전”이라고 강조했다.
-
아이오텍스(IoTeX), 대표단 선거 이후 예정대로 3월 말 메인넷 출시
아이오텍스(IoTeX), 대표단 선거 이후 예정대로 3월 말 메인넷 출시대표단 선거 투표 시작 3일 만에 메인넷 구동을 위한 조건 달성 지난 15일 메인넷 출시를 위해 대표단 선거를 시작한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오텍스(IoTeX)가 메인넷 구동 준비 조건인 전체 토큰 유통량 20% 의 락업(Lock-up)을 선거 시작 3일만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아이오텍스는 "사물인터넷 전용 블록체인 개발업체로 현재 사물인터넷의 한계로 지적되는 기기간 호환, 인프라 구축, 개인정보 보호를 블록체인 도입으로 해결하려는 프로젝트다. 아이오텍스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메인넷 구축과 사이드 체인을 지원하는 기술이 바탕이 된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아이오텍스는 지난 11일 부터 시작된 대표단 선거 프로그램으로 네트워크의 슈퍼 노드가 될 대표자를 선출하여 사이드 체인을 조율할 예정이다"고 밝혔다.대표단으로 선출되기 위해 후보자들은 최소 120만 IOTX를 보유해야하며, 유권자들로부터 200만 IOTX 이상을 득표해야 한다. 이 때 후보자들이 보유한 IOTX 물량과 유권자들이 투표에서 행사한 IOTX물량은 아이오텍스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자동으로 락업(Lock-up)된다. 락업(Lock-up)된 물량이 전체 유통량의 20%가 넘으면 메인넷 가동을 위한 첫 번째 조건이 충족되며, 대표자 선거가 종료되면 메인넷이 출시된다. 아이오텍스의 공동 창업자 롤렌 차이(Raullen Chai)는 “대표단 선거 투표 시작 3일만에 목표를 달성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며 “이번 선거에 아이오텍스 커뮤니티가 보내준 성원에 감사하며 월말 예정된 메인넷 출시까지 꾸준한 기대와 관심을 부탁한다”고 밝혔다.
-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플랫폼 운영 효율성 향상…다양한 인증 채널 제공최근 블록체인 기술 업체 코인플러그와 에스토니아 기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디플로우(DFlow)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가운데 KB국민카드와도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블록체인 전문 핀테크 기업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모바일 앱에서만 구현되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을 웹과 호환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코인플러그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KB국민카드(대표 이동철)와 진행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비스 확대 프로젝트’의 결실을 맺었다. 기존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은 모바일앱 기반으로 웹과의 호환이 불가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함에 따라 KB국민카드는 앱과 웹 브라우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게 돼 보다 다양한 인증 채널을 제공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코인플러그는 플랫폼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관리자 시스템 고도화한 결과 직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웹 서비스 상태, 블록체인 플랫폼 구조, 각 노드의 현황 등이 대시보드에 10초 간격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다양한 검색 조건으로 거래와 블록을 분석,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어 관리자는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한편, 코인플러그는 또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신원인증)’ 플랫폼 ‘메타디움(METADIUM)’과 관련해서도 디플로우와 긴밀히 협력할 방침이다.
-
펙쉴드 "드래곤엑스 해킹 피해액 602만 달러의 16%, 거래소로 유입"
▲ 바이낸스, 27일 PAX·USDC 마켓에 ADA·NEO 상장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오는 27일 오후 1시 PAX·USDC 마켓에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10위)와 네오(NEO, 시가총액 17위)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DA는 현재 1.60% 오른 0.061586 달러에, NEO는 2.46% 내린 8.9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펙쉴드 "드래곤엑스 해킹 피해액 602만 달러의 16%, 거래소로 유입"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쉴드(PeckShield)가 "최근 해킹 사건이 발생한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드래곤엑스(DragonEx)의 피해 규모는 약 602만 8,283 달러며 이중 약 93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자산이 이미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로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앞서, 탈중앙화 ‘보안 결함’ 발견 보상 플랫폼 DVP(Decentralized Vulnerability Platform) 보안팀에 따르면, 해당 거래소는 이번 해킹 사건으로 BTC, ETH 등 20여 종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DVP 보안팀은 “메인 지갑 외에도 해당 거래소 입금 전용 지갑 등이 해킹 피해를 입었다. 이번 공격은 가짜 지갑 충전 등 수법이 아닌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관리 서버를 직접적으로 공격, 핫월렛 프라이빗 키 등을 획득해 해킹을 감행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
[후오비 오늘의 코인] 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아이오에스토큰(IOST)초고속 전송능력을 필두로 모든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 플랫폼.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는 POS증명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POB(Proof Of Believability) 메커니즘을 도입해 작업성과 확장성을 보장했다. 프라이빗 세일 진행 시기에 많은 기관투자자를 통해서 자금력을 확보했으며, 향후 초당 10만 건이라는 빠른 트랜잭션 처리능력을 목표로 하고 있다.비트코인캐시(BCH)2017년 8월에 비트코인 블록에서 1:1 하드포크로 발행됐다. 블록사이즈를 8MB로 증가시켜 기존 블록보다 더 많은 거래를 담을 수 있으며 거래수수료나 속도를 더욱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6개의 블록마다 채굴량, 사용량, 수요에 따라 난이도가 새롭게 조정되는 점이 특징이다.퀀텀(QTUM)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모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으로 안정성과 확장성을 겸비하고 있다. 비즈니스 친화적 플랫폼을 지향하며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한 다양한 시장 개척을 목표로 개발됐다. 일부 해외거래소에서는 퀀텀을 기축 화폐로 둔 페어 거래가 존재하며 퀀텀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메디블록, 잉크, 보디 등의 dApp들도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체인파트너스 리서치, “글로벌 ICT기업이 블록체인 대중화 이끌 것” 삼성, 페이스북 등 디지털자산 시장 넘보는 글로벌 기업들
체인파트너스 리서치, “글로벌 ICT기업이 블록체인 대중화 이끌 것”삼성, 페이스북 등 디지털자산 시장 넘보는 글로벌 기업들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 리서치센터는 12일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ICT 기업들이 블록체인 산업에 본격 진출해 블록체인 대중화를 이끌 것이라고 진단했다. 리서치센터는 이를 인터넷과 모바일 시장을 점령한 ICT 기업이 블록체인 산업에서도 헤게모니를 장악하려는 것으로 분석했다.보고서를 집필한 한중섭 체인파트너스 리서치센터장은 “모바일 시장을 장악한 글로벌 ICT 기업들이 블록체인 사업에 나서면 블록체인 대중화는 생각했던 것보다 빨리 실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1) 인터넷 헤게모니 전복, 2) 핀테크 사업 활성화, 3) 제품 차별화 유인 때문에 글로벌 ICT 기업이 적극적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분석했다.현재 인터넷 산업은 미국과 중국이 지배하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기업가치가 높은 인터넷 기업 20위는 전부 미국과 중국 기업이다. 미국과 중국이 장악한 판을 뒤집기 위해 라인, 카카오, 텔레그램 등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토큰을 발행하며 블록체인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또한 금융과 ICT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핀테크가 주목받고 있는데 라쿠텐, SBI, GMO 같은 일본 기업들은 디지털자산 시장을 자사의 핀테크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리서치센터는 스마트폰 시장이 포화되고 하드웨어 차별화 요소가 제한적인 상황에서 삼성이 갤럭시 S10에 블록체인 키 스토어를 탑재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밝혔다. 삼성이 먼저 디지털자산·블록체인 시장에 한발 앞섰기 때문에, 경쟁 관계의 애플과 중화권 기업들도 블록체인 관련 기능을 자사 스마트폰에 탑재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리서치센터는 2021년까지 전 세계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38억 명이 될 것이라는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뉴주(Newzoo)의 통계를 인용하며, 삼성을 비롯한 주요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블록체인 기능을 탑재한다면 블록체인 대중화를 획기적으로 앞당기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삼성은 갤럭시 S10의 블록체인 월렛, 키 스토어 등 블록체인 서비스의 사용성을 대폭 개선해 탑재했고, 앞으로 지원 단말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처럼 단말기에 블록체인 서비스가 직접 연동되면 더 많은 이용자들이 손쉽게 디지털자산 지갑, 디앱(DApp)등을 접할 수 있게 된다.리서치센터는 삼성뿐 아니라 페이스북의 행보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2018년 12월 블룸버그는 페이스북이 왓츠앱을 활용해 송금을 목적으로 하는 자체 스테이블 코인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페이스북은 2019년 2월 블록체인 스타트업 ‘체인 스페이스’를 인수하며 블록체인 관련 인력들을 적극적으로 채용하고 있다.또한 2019년 1월 페이스북이 왓츠앱,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메신저의 메시지 기능을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한 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만약 페이스북이 통합된 메신저 플랫폼을 활용해 ‘페이스북 코인(가칭)’ 기능을 출시한다면 전 세계 23억 명이 넘는 유저들이 디지털 자산과 블록체인을 접할 수 있게 될 것임을 의미한다.한중섭 리서치 센터장은 “글로벌 ICT 기업들이 국경을 초월한 디지털 자산을 활용해 핀테크 사업에 박차를 가하게 되면 전 세계 소매금융업에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예대마진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은행들이 견제해야 하는 것은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이 아니라 막대한 자본 및 유저들을 가진 글로벌 ICT 기업들이다”라고 강조했다.
-
테조스, 블록체인 역사상 첫번째 온체인 투표를 완료하다.
테조스, 블록체인 역사상 첫번째 온체인 투표를 완료하다.지난 2월 28일, 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On-chain Governance)에 첫번째 프로토콜 업데이트 제안이 올라왔다. 이번 제안의 이름은 아테네(Athens)로 프랑스의 테조스 개발조직인 노마딕랩스(NomadicLabs)에서 제안하였다. 테조스 블록체인의 가스 리밋(Gas limit)을 높이는 것과 롤(Roll) 구성 크기를 줄이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에서 본 제안에 대한 역사상 첫번째 투표가 완료되었습니다. 첫번째 단계인 제안 투표에서 총 2만5855표 중 1만8181표가 아네테 A안(가스리밋 증가와 롤 구성 크기 축소)을 선택하여 70%의 득표율로 해당 제안이 탐구 투표단계로 옮겨졌습니다. 1롤이 1표의 원칙으로 운영됩니다. 테조스 재단(Tezos Foundation)은 본 투표에서 중립을 유지하기 제안단계에서는 투표를 하지 않았고, 탐구 단계에서도 ‘패스(Pass)’에 투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본 제안이 향후 최종적으로 통과되면 가스 리밋이 늘어나 블록당 처리가능한 연산이 두 배로 증가해 확장성이 개선됩니다. 또한 합의 프로토콜의 참가 요건인 롤 구성 크기가 줄어들면 더 많은 참여자(현재 약 450명)들이 베이커(블록 생성자)가 될 수 있습니다.이처럼 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는 하드포크의 리스크를 방지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새로운 혁신적인 기술들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큰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제안자는 해당 제안에 인보이스(invoice)를 넣어 해당 제안이 채택될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탈중앙화된 개발을 지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현재 테조스 개발자들이 진행하고 있는 연구로는 영지식 증명(zk-snark)를 통한 확장성 솔루션, 합의 알고리즘의 일부를 텐더민트(Tendermint) 기반의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로 변경한 finality 개선 방안, 분산 네트워크 저장공간 축소(약 10분의 1 수준), 프로토콜 변경 최소화하며 PBFT로 나아가는 Igloo project, 확장성 개선을 위한 샤딩 연구 등이있습니다.온체인 거버넌스란 참여자들이 직접 블록체인 상에 프로토콜 업그레이드 제안을 올리고 이를 투표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주요 개발자나 채굴업체들이 의사결정을 하는 오프체인 거버넌스(Off-chain Govenance)와 비교됩니다.테조스의 온체인 거버넌스는 제안(Proposal)-탐구(Exploration)-테스트(Testing)-적용(Promotiom)의 총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제안 단계에서는 누구나 테조스 프로토콜의 개정안(Amendment)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많은 ‘좋아요(Upvote)’를 얻은 제안이 탐구 단계로 넘어가고 탐구 단계에서는 찬성, 반대, 기권의 3가지로 투표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정족수 80% 이상에 찬성율 80%를 넘으면 테스트 단계로 넘어갑니다. 이후 제안된 프로토콜은 테스트넷으로 이동하여 원만하게 작동하는지가 테스트됩니다. 테스트 단계가 종료되면 본 제안을 실제 메인넷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투표하는 적용 단계가 시작됩니다. 정족수를 충족하고 전체의 80%이상이 찬성을 하면 해당 개정안이 메인넷에 적용됩니다.만일 정족수를 채우지 못하거나 전체의 80%가 찬성하지 않으면 본 개정 절차는 다시 첫 단계인 제안 단계로 되돌아 갑니다. 각 단계는 8 사이클(약 23일)을 거치며 총 32사이클(약 91일) 동안 진행됩니다. 모든 단계가 진행이 된다면 탐구 단계는 4월 12일(393,216블록), 테스트 단계는 5월 5일(425,984블록), 적용 단계는 5월 28일(458,752블록)에 종료될 예정입니다. 본 개정 절차 역시도 온체인 거버넌스의 투표를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메타디움,메타ID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 구축 실현 가능...아이덴티티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타디움 메인넷 출시
메타디움,메타ID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 구축 실현 가능...아이덴티티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타디움 메인넷 출시탈중앙화 아이덴티티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메타디움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메인넷을 지난 20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25일 메타디움은 "이번 메인넷 출시를 기반으로 메타디움의 차세대 신원 플랫폼은 ‘메타 ID(Meta ID)’라는 서비스를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자 한다. 메타 ID는 사용자 인증 및 개인정보 확인을 지원, 자기주권 신원(SSI, Self-Sovereign Identity) 원칙에 따라 이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밝혔다.이번 메인넷에서 메타디움은 이더리움을 수정·포크(fork)한 합의 메커니즘으로 지분 기반의 권위 증명(SPoA, Stake-based Proof of Authority)을 채택했다. SPoA는 확장성 있는 안전한 합의 메커니즘 제공을 목표로 한다. 네트워크 참여 사용자들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메타디움 네트워크는 초기 9개의 검증자로 시작한다. 이들 검증자 집단은 블록의 생성을 담당하는 리더의 역할을 교대로 맡으며, 일정 수량 이상의 메타(META)를 갖고 있어야 한다. 또한,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에 대한 투표권도 지닌다. 메타디움은 참여 노드 중에서 무작위로 리더를 선출하는 방식을 택했다. 악의적인 에이전트가 특정 노드를 타켓으로 삼는 것을 막고 내부 결탁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다. 메타디움 네트워크에 참여 노드로 가입하려면 일정 수준의 운영비를 지불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관이나 법인이어야 한다. 가입한 참여 노드는 국가와 산업별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으며, 이들과 관련된 정보는 추후에 별도 공지할 예정이라고 메타디움 측 관계자는 전했다.메타디움은 올해 3분기에 메인넷 두번째 단계를 선보일 예정이다. 새로운 검증자를 추가하거나 기존 검증자가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일 시 해당 검증자를 퇴출하기 위한 투표 과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현재 엄선된 소수의 파트너에게만 공개돼 있는 거버넌스도 일반 대중에게까지 확대할 전망이다.박훈 메타디움 대표는 "이번 메인넷 론칭은 단지 시작에 불과하다"며 "메타디움은 탈중앙화된 앱(DApp) 개발자와 전통적 사업간의 새로운 협업 가능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개별 서비스 제공업체가 새로운 방식으로 신규 고객을 유치할 수 있도록 이번 2분기에 메타ID, 클레임(Claim) 및 어치브먼트(Achievement) 기능을 출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메타디움은 이달 초부터 다양한 산업군에 SSI 개념이 확립될 수 있도록 메타디움 파트너십 프로그램(MPP, Metadium Partnership Program)을 발표해 왔다.MPP 제휴사에는 글로벌 거대 게임업체인 ‘유니티 테크놀로지’와 지형공간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YO’가 있다. 또한, 최근 넥슨과 전략적 제휴를 발표한 디지털 컨텐츠 P2P 생태계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픽션 네트워크’, 블록체인 상에서 게임 간 호환이 가능한 경제 시스템을 구현코자 하는 ‘GameXcoin’ 그리고 투명한 사용자 데이터 수집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인프라 ‘에어블록’ 등도 메타디움 파트너로 합류했다.
-
후오비 글로벌 CEO "후오비 프라임, 두번째 프로젝트 4월 중순 상장"
▲ 테라, 서비스 출시 2분기로 연기블록인프레스에 따르면, 티몬 창업자 신형성 전 대표가 이끄는 스테이블 코인 프로젝트 테라가 서비스 출시를 오는 2분기로 연기했다. 26일 테라 관계자는 해당 미디어와의 인터뷰 중 "오는 5월 안으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커머스 파트너들과 일정을 조율하고 규제에 맞춰 출시하기 위해 시간을 쏟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내 소셜커머스플랫폼 티몬은 다음달 암호화폐 결제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닥터 둠 "ICO 프로젝트, BTC 가격 동조화 '스캠' 의미"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 '닥터 둠'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학계에선 처음부터 전체 81%의 ICO 프로젝트가 사기극이라고 주장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2018년 암호화폐 시장의 거품이 무너지면서 ICO 토큰들이 BTC 혹은 ETH와 높은 가격동조성을 보이는 것은 이상한 현상이 아니다"라며 "이를 통해, 대부분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범죄성향을 띈 스캠(criminal scams)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후오비 글로벌 CEO "후오비 프라임, 두번째 프로젝트 4월 중순 상장"최근 리비오 웡(Livio Weng) 후오비 글로벌 최고경영자(CEO)가 "후오비 프라임의 두번째 프로젝트는 오는 4월 중순에 상장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후오비 프라임 규정에 따르면, 이용자는 프라임 거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프라임 거래 개시 전 30일 동안 500 HT 이상을 보유해야한다. HT는 지난 3월 후오비 프라임 출시 소식 이후 1.5 달러에서 약 60% 증가한 2.5 달러대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HT의 첫번째 바이백 및 토큰 소각이 올 1분기에 완료될 예정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디지털 자산거래소 '백트', 올 연말 출범 계획...MS·스타벅스 참여
디지털 자산거래소 '백트', 올 연말 출범 계획...MS·스타벅스 참여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가 만드는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백트(Bakkt)'가 연말에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제프리 스프레처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현지시간) "올해 말에는 백트의 출범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제프리 스프레처는 "스타벅스,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유수의 투자자와 파트너를 다수 확보한 상태"라고 덧붙였다.백트(Bakkt)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회사가 만들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스타벅스 등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기로 해 이목을 끌었다.복수의 외신은 인터콘티넨탈익스체인지(ICE)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 2018년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자리에서 "백트 플랫폼은 ICE가 그간 펼쳐온 사업들과 달리 '문샷' 같은 도전"이라고 보도했다. 문샷은 (인류의 달 착륙에 빗댈 정도로 큰 혁신을 말한다.
-
리워드형 소셜미디어 '굿모닝',사용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에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하여 차별화
리워드형 소셜미디어 '굿모닝',사용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에 블록체인 플랫폼 결합하여 차별화마이데이터 전문 기업인 마이크레딧체인(대표 김우식)이 최근 선보인 리워드형 소셜 미디어 플랫폼 ‘굿모닝’이 베타서비스 개시 2개월 만에 2만건의 다운로드를 돌파했다.굿모닝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추후 리워드로 전환할 수 있는 씨앗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신개념 소셜네크워킹 서비스. 광고나 홍보 위주의 콘텐츠로 사용자 거부감과 피로도가 높았던 기존 리워드 앱과 달리 '클린'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며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굿모닝 서비스 이용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씨앗을 선물하거나 상태메시지를 변경하는 등과 같은 미션을 통해 매일 새롭게 씨앗을 생성할 수 있고, 지인을 통해서는 무제한으로 선물받을 수 있다. 선물 받은 씨앗이 쌓이면 열매로 전환되며, 일정 수량 이상의 열매는 추후 현금으로 전환하거나 전용 쇼핑몰인 열매몰에서 물품을 구매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굿모닝서비스의 상태 메시지인 ‘하우와유투데이('How R U Today?)’를 활용한 미션 추첨 이벤트를 통해 매일 10명의 사용자에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제공하고 있다.마이크레딧체인 김우식 대표는 “굿모닝은 다소 어렵고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는 블록체인/가상화폐 분야를 누구나 손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현한 서비스로써 친구, 동료, 부모님 등과 아침 인사와 함께 선물을 주고받으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선물경제학(Gift-Economy) 이론이 반영된 새로운 형태의 소셜미디어”라며 “현재 씨앗과 열매를 지인에게 이체하거나 쇼핑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막바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 제공!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서비스에 최적화된 개발 환경 제공!BORA(보라) 플랫폼 베타 2 버전 오픈…게임 Dapp 데모 공개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운영 가이드 및 통합 콘솔인 BORA Atoll(아톨) 처음 공개BORA 파트너사 UNIT5의 모바일 퍼즐 게임 ‘Push Sushi(푸시 스시)’ Dapp 데모 시연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난수 발생(Random Number Generator) API 공개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Ropsten) 연동으로 정식 런칭 전 BORA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능 및 성능 검증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대표 이승희)가 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을 오픈했다고 1일 밝혔다.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은 정식 서비스 런칭 전 마지막 준비 단계로,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운영 가이드 및 통합 콘솔인 BORA Atoll(아톨) 공개, 블록체인 연동 콘텐츠 체험용 게임 Dapp 데모 시연, 신뢰성 있는 난수 발생(Random Number Generator, RNG) API 제공, 그리고 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Ropsten)에 연동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능 및 성능 검증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먼저, 이번 BORA 베타 2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위한 서비스인 BORA Atoll이 새롭게 공개됐다. BORA Atoll은 Dapp 서비스 개발, 운영에 필요한 설정, 운영 관리, 토큰 관리, 데이터 분석과 같은 도구와 환경을 제공한다.BORA 플랫폼 기술 개발을 총괄하고 있는 웨이투빗 이이구 CTO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자들에게 블록체인 기술 진입 장벽을 낮춰주면서 신뢰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콘텐츠 서비스 관리툴인 BORA Atoll의 개발에 많은 공을 들였다.”고 강조했다.콘텐츠 개발자들에게 BORA 플랫폼 관련 기술 문서가 제공되어, 기본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공간인 BORA Lagoon(라군)에 블록체인 기반 게임 데모 버전도 새롭게 선보였다. BORA는 공식 파트너사인 게임 개발사 UNIT5와 협업해, 게임 내에서 BORA Token(토큰)으로 교환되는 BORA Shell(쉘)을 획득해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모바일 퍼즐 게임 Push Sushi(푸시 스시) Dapp 버전을 누구나 플레이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UNIT5의 Push Sushi는 BORA 플랫폼 정식 런칭과 함께 정식 버전으로도 서비스될 예정이며, UNIT5의 대표 인기 게임인 큐비어드벤처도 BORA 플랫폼에서 서비스될 수 있도록 Dapp 버전이 현재 개발 중에 있다.이 외에도 BORA Lagoon(라군)에 난수 발생 API가 새롭게 추가되면서, 이를 체험해 볼 수 있는 주사위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보안 인증 강화를 위해 BORA 멤버십 기능도 개선됐다.BORA 블록체인에 기록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탐색기인 BORA Explorer(익스플로러)에는 난수 발생 검증(Random Number Verify) 기능이 추가됐다.더불어 BORA 플랫폼 베타 2 버전은 이더리움 메인넷과 동일한 환경의 이더리움 공개 테스트넷에 연동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테스트로만 사용할 수 있는 10 Test BORA Token을 획득할 수 있다.이렇게 획득한 BORA Token은 이더리움의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으로 직접 전송해볼 수 있으며, BORA의 이중 토큰 구조를 통해 BORA Token을 BORA 플랫폼 내에서만 유통되는 BORA Shell이라는 포인트로도 교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단점으로 거론되는 느린 처리 속도를 해결한 BORA 플랫폼의 빠른 성능을 비교해 볼 수 있다.BORA 이승희 대표는 “BORA 플랫폼 베타 2는 이후 런칭 되는 정식 버전과 거의 동일한 환경을 제공해, 콘텐츠 개발자들이 BORA의 블록체인 기술을 자사의 서비스에 손쉽게 미리 적용해 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이어서 “BORA는 현재 기획 초기에 공개했던 로드맵에 맞춰 순조롭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베타 버전 사용자의 피드백을 통해 정식 런칭 전 서비스 완성도를 올리는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
58COIN, 제3차 페어 마켓 업그레이드 완료
▲ 엠시소프트, 암호화폐 랜섬웨어 '해키드 랜섬웨어' 복호화 툴 공개IT 전문 미디어 블리핑 컴퓨터(Bleeping Computer)에 따르면, 글로벌 보안 솔루션업체 엠시소프트(Emsisoft)가 지난 25일(현지 시간) 암호화폐 랜섬웨어 중 하나인 '해키드 랜섬웨어(Hacked Ransomware)'의 복호화 툴을 공개했다. 랜섬웨어 피해자들이 이를 통해 무상으로 피해 파일들을 복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랜섬웨어는 2017년부터 미국과 유럽 등 지역에서 성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58COIN, 제3차 페어 마켓 업그레이드 완료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26일 새벽 1시 30분 제3차 페어거래 마켓 시스템 업그레이드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 및 기능 개선과 시스템 안정화 등을 진행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58COIN COO 스티븐(Steven)은 "이번 업그레이드는 약 5,000명의 거래소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후 진행해 투자자들의 요구조건을 적극 반영했다"며 "페어거래 수수료 면제 정책은 지속된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필리핀(Philippines),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필리핀(Philippines),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브라질(Brazil)브라질의 Rio de Janeiro 법원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메르카도 비트코인에 대한 현지 은행의 예금계좌 폐쇄 결정 관련해 거래소 측의 손을 들어줬다고 비트코인닷컴이 보도했다. 법원 측은 “비즈니스적인 측면에서의 서비스 중단은 사실상 중앙은행 2025/93호 결의를 위반한 것”이라고 밝혔다. 브라질 고등법원은 지난해 10월 정당한 이유 없이 은행이 암호화폐 관련 계좌를 폐쇄할 권리는 없다고 판결한 바 있다.일본(Japan)일본 금융당국이 계속 하락세를 나타내는 암호화폐 문의 건수에 대한 2018년 4분기 데이터를 공개했다. 국내 암호화 생태계를 총괄하는 FSA가 발표한 데이터는 2018년 9월부터 12월 말까지의 문의 건수를 담고 있으며, 2018년 시작된 이래로 점점 줄어들고 있는 수치다. 2018년 1분기 동안 FSA에 등록된 3,559개의 요청 건수보다 거의 5배나 줄어든 숫자를 나타내고 있다.필리핀(Philippines)필리핀 내 암호화 지지자들은 암호화 소유물을 사용해 거래하는 새로운 방법을 갖게 될 것이다. 필리핀의 최대 은행 중 하나인 유니온뱅크가 중앙은행(BSP)으로부터 승인받은 양방향 암호화 ATM을 출시했다고 Chepicap이 보도했다. 양방향 ATM은 사용자들이 법정화폐를 가상화폐로 교환하거나 그 반대가 가능하게 한다. 뉴스비트코인에 따르면 본 프로젝트는 정부규제 샌드박스 중의 일부로, 필리핀 내 금융 섹터에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OBT 시작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 OBT 시작‘모두가 주인인 SNS’를 표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전세계 10여 개국에서 모인 10만 명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시험 운영을 시작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자체 개발한 메인넷 ‘퓨처피아(Futurepia)’의 1호 디앱(DApp)인 블록체인 기반 SNS 메신저 ‘스낵(SNAC)’의 오픈 베타 테스트(OBT)를 이달 중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스낵은 메신저와 뉴스피드 기능이 결합된 블록체인 기반의 SNS 메신저다.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중앙화 방식의 SNS에서 찾기 어려운 ‘경제 민주화’된 보상 시스템이다. 스낵은 콘텐츠 크리에이터와 이를 추천하는 회원 모두에게 보상을 지급한다. 수익을 생태계 구성원 모두와 공정하게 나눈다는 블록체인의 핵심 정신을 시스템으로 구현한 셈이다. 보상으로 지급되는 암호화폐는 개당 가치가 원화와 동일한 스테이블 코인 ‘스낵(SNAC)’이다. 이용자는 스낵으로 쇼핑, 유료콘텐츠 구입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스낵이 탑재된 퓨처피아 메인넷의 암호화폐 ‘피아(PIA)’로 교환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원화 및 다른 암호화폐로 환전 역시 가능하다. 스낵은 시그마체인이 추진 중인 토탈 SNS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 ‘퓨처피아’의 1호 디앱이다. 퓨처피아는 SNS 디앱의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 자체 암호화폐 거래소 등을 제공한다. 디앱의 원활한 초기 시장 진입 및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퓨처피아 구성원이 디앱에 직접 투자해주는 ‘상생의 코인이코노미’도 구축했다.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공식 인증 받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토대로 개발돼 속도와 안정성을 갖췄다는 점 또한 돋보인다. 시그마체인 곽진영 대표는 “오픈 베타 테스트 참가를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러시아 등 10여 개국에서 10만 명이나 몰렸다는 점은 지금까지 민주적인 운영과 공정하고 합리적인 보상을 모두 지급하는 전세계적으로 SNS가 부족했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오픈 베타 테스트를 통해 기능과 보상 시스템 등 회원들의 니즈를 파악해 공식 론칭 전까지 서비스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
블록체인 특허 최다 은행 BoA CTO "퍼블릭 블록체인에 '회의적'"
▲ 암호화폐 지갑업체 '와빗', 왓츠앱에 통합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Coingape)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및 메신저 서비스업체 와빗(Wuabit)이 산하 프로그램 '메세징 봇(Messaging Bot)'을 글로벌 1위 메신저 왓츠앱(WhatsApp)에 통합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왓츠앱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와빗의 메신저 기능을 이용해 암호화폐 지갑 잔액을 확인하거나 송금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블록체인 특허 최다 은행 BoA CTO "퍼블릭 블록체인에 '회의적'"미국 경제 및 금융 전문 미디어 CNBC에 따르면, 미국 뱅크오브아메리카(BoA) CTO 캐시 베산트(Cathy Bessant)가 "비트코인 등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해선 매우 회의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반면 금융기관들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해당 은행이 블록체인 관련 특허를 82건 출원한 것에 대해 "이는 일종의 준비 작업"이라며 "글로벌 지적재산권 분야에서의 입지를 다짐과 동시에 일부 사람들이 믿고 있는 블록체인의 잠재력이 발휘됐을 때를 대비한 것"이라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