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러스트토큰, 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세계적 규모의 법정화폐-암호화폐 채널 노린다
트러스트토큰, 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 세계적 규모의 법정화폐-암호화폐 채널 노린다-영국 파운드 기반 스테이블코인 트루GBP, 토큰화 법정화폐간 거래 최초 기회 생겨 -트루GBP(TGBP)는 시작,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확대 예정(샌프란시스코=트러스트토큰) -- 2019년 4월 2일 (현지시간) 트루USD를 발행하는 미국의 블록체인 기업 트러스트토큰(www.trusttoken.com)이 트루GBP를 발행한다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루GBP는 영국 파운드화와 일대일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트루GBP는 트러스스토큰의 첫 번째 프로덕트인 트루USD와 유사한 법적 기술적 인프라를 이용한다. 트루USD는 지난해 새로운 업계 표준을 구축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헨앤코(Cohen & Co)와 같이 세계적인 회계 법인에서 매달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고 담보로 잡힌 달러화에 투명성을 보장하는 첫 번째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출시했기 때문이다. 또한, 트러스트토큰은 최근 실시간 자금 승인 대시보드 개발에 성공하며 사용자들의 신뢰를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루GBP는 트러스트토큰 홈페이지와 알라메다 리서치, 블루파이어 캐피탈, 갈로이스 캐피탈, QCP 캐피탈 등과 같은 파트너사를 통해 거래할 수 있으며, 곧 거래소에서도 오픈될 예정이다. 트러스트토큰 공동창립자이자 엔지니어링&프로덕트 총괄 라파엘 코스만은 “트루GBP를 출시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사상 최초로 다수의 토큰화 법정화폐 간 거래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우리는 어떠한 거래소와도 관계 없이 트루USD만으로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간에 가교 역할을 해왔다. 트루GBP를 발행한 우리의 목표는 이러한 연결고리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 시장 내부 마찰을 줄이는 동시에, 국경을 넘어 가치 전송에 드는 비용은 줄이고 속도는 올리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트루GBP 발행은 스테이블코인의 유스케이스를 확장하고 글로벌 자산 간에 원활한 교환을 수 분 내에 체결한다는, 블록체인의 핵심 역할을 이행하는 데 한 단계 나아가는 것이다. 지난 해 트루USD와 같이 법적 보호를 받는 스테이블코인의 경우 안정적인 가격에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전통 금융 세계와 암호화폐 시장 간에 연결 고리 역할을 했다. 트루GBP를 암호화폐 생태계에 편입시킴으로써, 사용자들은 트레이딩, 결제, 송금, 가치 저장 등에 더 다양한 선택권을 가질 수 있게 됐다. 트러스트토큰이 이러한 선택권과 유스케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행할 계획인 여러 토큰화 화폐 중 첫번째가 바로 트루GBP이다. 라파엘 공동 창립자는 “블록체인 산업은 이제 실제 유스케이스를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며 “사용자들과 기관 투자자들은 블록체인 내부 작동 원리에 대해 알 필요가 없다. 단지 이 기술이 우리에게 실제로 제공할 혜택을 쉽게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 세계 거래소와 애플리케이션에 법정화폐와 암호화폐 거래를 통합할 수 있는 도구를 구축함으로써 우리는 현재 블록체인 업계에서 가장 큰 난제인 ‘실제 도입’에 대한 솔루션을 선두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러스트토큰 관계자는 “트루GBP 발행은 트러스트토큰 프로덕트 확장에 대한 첫 번째 신호탄”이라며, “이로부터 트러트스토큰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여 업계의 리더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니오앱스,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출시
니오앱스,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출시-니오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 줄 ‘니오플레이’ 선보여..-니오플레이(NEEO Play)는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3월 11일 상장 확정..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를 7일 출시했다고 밝혔다.니오앱스가 야심 차게 선보이는 니오플레이(NEEO Play)는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으로,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되어 최종 7Step까지 완료하면, 최대 825,000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게임을 하기 위하여는 코드(Code)를 유료(10$)로 구입하여야 하고, 각 게임 당 1 NEEO코인이 필요하며, 7개의 게임을 하기 위하여 총 10$ + 7NEEO코인이 소요된다. 게임당 10~15초 정도 소요되며 누구나 쉽게 이길 수 있도록 난이도를 설정했다.1게임을 클리어하면 1개의 코드(Code)와 7개의 니오(NEEO)코인을 제공하고, 7개의 게임을 클리어하면 총 7개의 코드(Code)와 49개의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다. 7Step도 쉬운 난이도로 설정하여 누구나 쉽게 이길 수 있게 했다. 정해진 기간(15일 또는 30일, 변동 가능)동안 게임 참여 기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 종료되고, 획득한 코드(Code)는 적용 마켓에서 판매하거나 양도가 가능하다.니오앱스 조형래 대표는 “니오플레이(NEEO Play)는 러시아 노보시베리스크에 있는 니오(NEEO) 블록체인 개발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며 “현재 엄청난 사전 신청이 몰리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조 대표는 “니오플레이(NEEO PLAY)가 확산되면 니오토큰의 실수요가 전세계적으로 발생함은 물론, 니오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니오(NEEO)의 플랫폼이 소개되어, 니오(NEEO)의 가치와 인지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니오앱스가 발행한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오는 3월 11일에 상장될 예정이다.니오앱스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NEEO ROBOT’,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NEEO By you,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NEEO RADIO’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니오앱스, 글로벌 SNS 플랫폼 ‘니오메신저’ 일일 가입수 800% 급증
니오앱스, 글로벌 SNS 플랫폼 ‘니오메신저’ 일일 가입수 800% 급증-일일 가입자수가 800여명 수준에서 15,000명까지 800% 이상 급증..-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세계 인구 2위인 인도에서 가입자 증가수 1위로 국민메신저로 성장 기대..-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에 3월 11일 공식 상장.. 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는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의 일일 가입자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올 초에만 해도 일일 가입자수가 800여명 수준이었는데, 본격적인 마케팅을 시작하면서 최근 127개국에서 가입하는 일일 가입자수가 15,000명까지 늘어 800% 이상 급증하고 있다.니오앱스 관계자는 “최근 가입자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13억 6873만명으로 세계 인구 2위인 인도에서 가입자 증가수 1위로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인도시장에서 니오메신저가 국민메신저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전했다.니오메신저(NEEO messenger)은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니오메신저는 세계 최초로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언어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다.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발행한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3월 11일에 공식 상장됐다. 니오의 이러한 시도와 코인슈퍼와의 만남이 블록체인 업계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 플렛폼인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블록크래프터스, ‘제2회 BC the Gathering’ 밋업 개최
블록크래프터스, ‘제2회 BC the Gathering’ 밋업 개최블록체인 전문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블록크래프터스(공동대표 박수용, 송훈, blockcrafters.com)는 지난 2일 서울 강남구 소재 아모리스 강남에서 ‘제2회 BC the Gathering’ 밋업(Meet-up) 행사를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해외에서 주목 받고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국내 업계에 소개하고자 마련된 자리로, 블록체인 비즈니스 전문가와 인플루언서, 전문투자자 등 업계 관계자 2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행사 세부 프로그램은 ‘토큰프로젝트 벨류에이션과 리테일 투자 전략’ 강연으로 시작됐다. 행사의 백미는 국내 데뷔를 앞두고 있는 글로벌 유망 프로젝트들이 무대에 오른 시간이었다. 먼저, ‘코티(COTI)’의 샤하브 바 게펜(Shahaf Bar Geffen) 최고경영자(CEO)는 현재 비즈니스 진행 상황과 한국 시장 진출 계획을 밝혀 주목을 받았다. 코티는 확장성 부족과 높은 수수료, 미흡한 사용자 보호 대책 등 기존 결제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장한 차세대 블록체인 핀테크 플랫폼이다. 블록 생성이 없는 DAG(Directed Acyclic Graph·방향성 비순환 그래프) 기반 네트워크를 활용,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초당 10만 TPS까지 끌어올리는 동시에 수수료 또한 대폭 낮췄다. 거래, 입출금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일종의 ‘신뢰 점수’로 환산해, 수치가 높은 이에게 상대적으로 더 빠른 트랜잭션 처리와 수수료 인하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자체 기술인 ‘트러스트체인’ 프로토콜이 특징. 현재, 세계 각국의 기업, 정부, 금융기관 등에 솔루션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이달 초 메인넷 론칭과 2분기 IEO(Initial Exchange Offering·암호화폐거래소 공개)를 거쳐 3분기 중 국내에 모습을 드러낼 계획이다. 다음으로, ‘토코인(Tokoin)’의 레이너 라하드자(Reiner Rahardja) 최고경영자(CEO)가 프로젝트 소개를 이어갔다. 토코인은 인도네시아 최대의 온라인 B2B 거래 플랫폼 ‘라랄리(Ralali)’가 주요 파트너사로 참여 중인 신흥국 소상공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서민·중소기업금융(MSME) 플랫폼이다. 블록체인 기술로 신흥국 중견·중소기업 시장의 고질적인 문제인 부정부패 및 도덕적 해이로 인한 미지급, 부도와 같은 신용 이슈를 해결하는 것이 목표다. 생산자, 소비자, 중개자 등 거래 관계자들이 토코인 생태계에 참여해, 신용 데이터의 객관성과 안전성을 담보하고 데이터 확보에 필요한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토코인은 올해 4분기 라랄리가 보유한 30만 소상공인 가입 사업자를 대상으로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정식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마지막은 블록체인 기반 영화 투자 플랫폼 ‘스포트라이트(Spotlight)’에 대한 소개였다. 스포트라이트는 블록체인 기반의 영화 투자 시스템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투자자들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극대화 하는 한편, 영화 산업의 새로운 자금조달 수단을 만들어내고자 기획된 프로젝트다. 시큐리티 토큰(Security Token·증권형토큰)인 ‘SL 토큰’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투자금의 유동성은 물론, 배당 및 투자금 회수 방법에 대한 의사결정권까지 제공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투자자들의 수익 증진과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 유수의 영화 투자·배급사들이 투자 및 유통하는 영화들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는 점도 돋보인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블록크래프터스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든든한 전략 파트너, 전문가 집단’을 표방하며 지난해 5월 탄생한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터다. 비즈니스 모델, 인력 구성, 기술 역량, 파트너십, 평판 및 법률 등 총 5개 항목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를 통과한 프로젝트 만을 엄선해 엑셀러레이팅을 진행한다. 비즈니스 모델 정립부터 기술 구현, 투자금 조달 등에 이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모든 사업 과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블록크래프터스 엑셀러레이팅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설립 직후부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모인 500개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를 진행, 현재 메인넷, 금융, 게임, 모빌리티, SNS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발한 30여 개 프로젝트에 엑셀러레이팅 및 투자 연계를 진행 중이다. 블록크래프터스 송훈 공동대표는 “유망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켜 블록체인의 대중화와 산업의 활성화를 이끄는 것이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터의 사명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성공 가능성이 높은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에게 새로운 성장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시장과의 만남을 주선하는 밋업 행사를 꾸준히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
인도 연방 은행, 국제 송금 서비스에 리플 네트워크 사용
▲ 외신 "저스틴 선 추첨 이벤트, 일부 투명성 의혹 제기"최근 트론의 저스틴 선 CEO가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와 관련 투명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29일(한국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 World News)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네티즌들은 "최근 저스틴 선 트론 CEO는 트위터 팔로워 중 한 명을 추첨, 테슬라 자동차를 선물하겠다고 밝혔지만 추첨 과정에서 원하는 당첨자가 나올 때까지 투표를 반복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네티즌들은 최근 저스틴 선 CEO가 스테이블 코인 테더(Tether)와의 협력을 기념하기 위해 예고한 추첨 이벤트 투명성에도 의구심을 표했다고 해당 미디어는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저스틴 선 CEO는 테더와의 협력을 기념하기 위해 2,000만 달러 규모의 에어드롭 이벤트를 4월 30일부터 시행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인도 연방 은행, 국제 송금 서비스에 리플 네트워크 사용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스피커(CoinSpeaker)에 따르면, 인도 연방 은행이 리플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국제 송금 서비스에 리플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이와 관련 샤이암 스리니바산(Shyam Srinivasan) 인도 연방은행 CEO는 "송금 분야에서 연방 은행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고객들에게 리플 네트워크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도 국제 송금 시장 규모는 2018년 이미 7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예금 및 대출 규모는 매년 10%, 14%씩 증가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0.09% 오른 0.30946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에어플랫폼(AIR Platform), 인프라 확대/확충 통해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으로써의 경쟁력 키워쇼핑몰 키오스크로 유저데이터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분석으로 마케팅, R&D 활용데이터 주도형 플랫폼 에어플랫폼 3.0 서비스 개발 진행 중 O&O(Online & Offline) 융합 플랫폼 선도 기업 ㈜엘토브(elTOV, 대표 김지성)가 오프라인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 ‘에어플랫폼(AIR Platform)들의 사용처를 확장시킨다고 6일 밝혔다. 에어플랫폼은 원격으로 IoT디바이스와 컨텐츠의 관리가 가능한 B2C플랫폼이다. 기존의 어렵고 번거로운 디바이스, 컨텐츠 관리에서 벗어나 에어플랫폼을 통해 공급자들은 다양한 컨텐츠와 디바이스를 ‘에어(AIR)’ 하나로 쉽게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를 이용해 누적된 데이터들을 에어플랫폼으로 통계 자료화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CRM(고객관계관리)의 형태로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 지원,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쇼핑몰 키오스크를 통해 유저 데이터를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마케팅 또는 R&D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엘토브는 기존의 에어플랫폼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장 성장에 맞춰 관리 중심의 플랫폼에서 데이터 주도형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이렇게 향상된 에어플랫폼 3.0은 키오스크를 활용한 오프라인 상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바일과 연동하여 온라인상의 데이터까지 모두 하나로 취합한 빅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더욱 세밀하고 정확해진 사용자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기존보다 더 효율적인 타깃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됐다. 해당 플랫폼은 현재 한국의 롯데, 신세계, 현대, 싱가포르의 캐피탈랜드그룹, 중국 백련그룹, 홉슨그룹 산하의 쇼핑몰에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엘토브는 해당 플랫폼의 사용처를 보다 확장시켜 쇼핑몰 O&O 서비스 영역을 강화할 방침이다. ㈜엘토브 김지성 대표는 “에어플랫폼(AIR Platform)은 키오스크, DID, 미디어월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UI/UX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배포할 수 있고, 윈도우와 안드로이드 OS를 모두 지원하는 진보된 솔루션이다.”라고 설명하며, “에어플랫폼을 확장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플랫폼으로 자리잡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엘토브 에어플랫폼을 기반으로 홍콩/일본에 진출하였고, 향후 동남아시아 시장을 목표로 기술개발과 인프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쇼핑몰블록체인 타우스블록(TauschBloc)의 핵심파트너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타우스블록은 국내 상장을 올해 상반기에 앞두고 있다.
-
알투브이, ‘2019년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공급업체 탑10’에 선정
알투브이, ‘2019년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공급업체 탑10’에 선정-에이팩 CIO 아웃룩에서 ‘Top10 Blockchain Technology Solution Providers 2019’에 선정..-블록체인 기술 솔루션과 비즈니스 변혁을 최전선에서 이끄는 회사라는 점에서 선정..차세대 다차원 블록체인 플랫폼 '이그드라시'를 개발중인 주식회사 알투브이(R2V)는 에이팩 CIO 아웃룩(APAC CIO Outlook)에서 '2019년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공급업체 탑10 (Top10 Blockchain Technology Solution Providers 2019)에 선정됐다고 밝혔다.에이팩 CIO 아웃룩(APAC CIO Outlook)은 블록체인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수록 생기는 수용 문제를 해결하고, 누구나 사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알투브이의 개발에 높은 평가를 했다. 또한 알투브이는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과 비즈니스 변혁을 최전선에서 이끄는 회사라는 점에서 이번 TOP 10에 선정됐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알투브이 서동욱 대표는 “이그드라시의 핵심은 비즈니스들이 블록체인 상에 올라와도 그들의 사업 특징을 보존하고, 플랫폼의 특성으로 인하여 각 비즈니스의 정책이 강제로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며 “모든 것을 현실에 디지털화 하겠다라는 모토를 가지고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APAC CIO Outlook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6만여 독자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CIO, CTO 레벨의 IT 관련 기업의 임원들을 위한 IT 기술 동향을 전하는 매거진이다. 이들은 APAC 국가들의 엔터프라이즈 테크 커뮤니티와 의사 결정권자들의 경험,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시아 태평양에 위치한 기업의 기술 정책 관련자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교두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이번에 TOP 10으로 선정된 알투브이는 최근 블록체인 인큐베이팅 업무를 담당하는 ‘디스테이션(D-STATION)’을 개관했고, 신개념 암호화폐 거래소 론칭을 앞두고 있다. 알투브이가 개발하는 프로젝트인 이그드라시는 업계 최초로 멀티체인을 구현하여 현존하는 블록체인의 결함을 해결하고, 동일한 네트워크상에 있는 여러 블록체인을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그드라시 메인넷은 오는 3분기에 출시될 예정이다.
-
인디드 "JP 모건, 블록체인 인력 채용 공고 업계 1위"
▲ 외신, “암호화폐, 테러 조직 활용 매력 높지 않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데일리(Crypto Daily)가 미국의 안보 전략 및 글로벌 이슈를 연구하는 싱크탱크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의 최근 연구 보고를 인용 “암호화폐의 테러 조직 활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 테러 조직에 있어 크게 유용하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고 보도했다. 다만 보고서는 “향후 익명성을 강조한 암호화폐가 늘어나고 보안 리스크 등이 해결될 경우, 자금 세탁이나 테러 자금 조달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스위스 보안 업체 위즈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솔루션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스위스 네트워크 보안 업체 위즈키(WISeKey)가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ID 솔루션을 29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루트오브트러스트(RoT)라는 암호화 툴을 활용, 사물인터넷(IoT) 기기와 데이터 보안성을 제고한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해당 업체는 "전세계적으로 40억 개의 IoT 기기에서 RoT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업비트, BTC 마켓에 TTC 상장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TTC프로토콜(TTC, 시가총액 132위)을 BTC 마켓에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TTC는 현재 45.07% 오른 0.1119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인디드 "JP 모건, 블록체인 인력 채용 공고 업계 1위"온라인 경제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메그네이츠(Finance Magnates)가 글로벌 구인구직 플랫폼 인디드(Indeed.com)를 인용 "최근 12개월간 JP모건이 은행 기관 중 가장 많은 블록체인 인력 채용 공고를 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블록체인 관련직 채용 공고를 가장 많이 낸 기업에는 JP 모건, 딜로이트, 엑센츄어 등 컨설팅업체를 비롯해 IBM, 시스코 등 IT 기업이 포함됐다. 한편, 인디드에 올라온 블록체인 관련직 구인 광고 수는 비트코인 시세와 같은 움직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해 2월부터 올해 2월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63% 하락한 가운데 관련 구인 광고 수는 약 67% 감소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이번 파트너십으로 신원인증과 위치정보를 결합한 탈중앙화 P2P 공유경제 달성 가속화 예감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메타디움(Metadium)이 크립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및 기술을 제공하는 XY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양사는 XYO의 위치기반 정보 SDK를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모델이 뒷받침된 메타디움 플랫폼에 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경제 패러다임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메타디움과 협업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메타디움의 ID기반 탈중앙화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런 점에서, 저희 XYO의 위치기반 데이터 검증 기술과 메타디움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개인정보 관리 기술을 통합하게 되면 전체 네트워크와 정보(위치, 신원, 그 외 관련 정보)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고 개인 정보가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이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상당한 이점이 될 것입니다.”라고 아리 트로우 XYO 대표가 말했다. 메타디움 퍼블릭 블락체인은 ID 기반의 사회적 공유지를 제공하고 탈중앙화된 쉐어하우스, 차량공유 서비스와 같은 진정한 공유경제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에서 XYO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루어질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기술과 XYO 위치기반 솔루션의 결합이 P2P 거래 간 추가적인 투명성과 안전성 그리고 효율성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메타디움이 추구하는 ID 기반의 진정한 공유경제 모델은 메타디움의 신원확인을 통해 거래 주체의 신뢰성 확보를 기본으로,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궁극적으로 중개자(중앙화된 서버)가 배제된 P2P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메타디움 토큰은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거래 비용 지불(에스크로), 수수료, 보상체계 등에 사용될 것으로 본다. “신원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메타디움은 개인정보에 대한 권한은 전적으로 사용자 본인에게 있어야한다는 자기주권형 ID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XYO와의 파트너쉽으로 위치정보를 검증하는 핵심 요소와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모델을 통합하여 개인에 관련된 데이터를 중앙화된 기관이 아닌 정보 소유권자가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메타디움은 진정한 공유경제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의 선봉에 있을 것이며 성공적인 블록체인 유즈 케이스를 선보일 것입니다.” 라고 박훈 메타디움 대표가 말했다. XYO XYO는 2012년부터 IoT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세상과 현실을 연결하고자 한다. 2018년, 크립토그래피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위치기반 데이타 블록체인인 XYO 네트워크를 론칭했다. 전 세계에 무려 1백만 개가 넘는 위치 추적 비콘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XYO의 기술은 GPS 네트워크 기술에 버금가는 위치에 있고 급속하게 전 세계 주요 산업계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파트너사로는 에스리(Esri, 위치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페덱스 연구소(FedEx Research Institute), 르/맥스 멕시코(Re/Max Mexico), 스페이스플라이트(Spaceflight Industries)와 같은 업체들이 있다. XYO의 자문위원들은 네셔널지오그래픽스와 세계경제포럼을 포함한 저명한 기관 출신들이다. https://xyo.network/ https://xy.company/Metadium Technology메타디움은 차세대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제 3자 기관이 아닌, 사용자 본인이 개인 신원정보에 대한 전적인 소유권을 가진다는 개념인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을 실생활에 도입하여 탈중앙화된 개인 신원 정보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자기주권 신원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모든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자의 동의 하에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http://metadium.com
-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피블,아티스타글로벌,레밋,니오앱스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선보여..-소셜미디어, 음원스트리밍, 자동번역 메신저, 해외송금 서비스 등 눈길..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과기정통부의 블록체인 발전전략(2018)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이렇듯 정부기관의 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속속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자동번역 메신저 서비스, 해외송금 서비스 등이 눈길을 끈다. ◇ 피블(PIBBLE), 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인 피블(대표 이보람)은 이미 지난 9월부터 알파 테스터들과 함께 피블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으며, 1,2기 알파 테스터 활동을 통해 강력한 미디어 포스트기능을 완성했다. 피블은 이달내 커머스 마켓 오픈과 함께 클로즈 알파테스트에서 오픈 알파테스트로 전환, 본격적인 서비스 오픈 준비에 나서고 있다.일반인과 전문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사진,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피블(PIBBLE)은 사용자가 SNS에서 활동하면 할수록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며 공유 경제를 실현하고, 창작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1석3조’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피블(PIBBLE)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달리, 사진, 동영상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추천하거나 공유하면 최초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물론 참여자 모두에게 피블과 피블브러시라는 암호화폐 보상이 주어진다.한편, 피블은 최근 원화마켓(KRW) CPDAX 거래소에 상장과 함께 커뮤니티 프렌들리(Community-Friendly) 정책에 따라 오픈 알파테스터 모집 부분을 확장, 서비스의 로드맵과 맞추어 해외시장 진출과 해외 거래소 상장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피블은 지난 5일, 업비트 상장 추천 프로젝트인 프로젝트5의 34일간의 경쟁프로모션에서 최종 3위에 올라 업비트 상장 추천을 확정지으며 국내외 10만의 피블 커뮤니티의 파워를 보여주었으며, 픽썸 3라운드 참가 중이다.◇ 니오앱스, 자동 번역 메신저 ‘니오메신저’ 서비스 제공.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특히 니오앱스는 최근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를 야심 차게 출시했다. 니오플레이는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으로,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되어 최종 7Step까지 완료하면, 최대 825,000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NEEO)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NEEO ROBOT’,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NEEO By you,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NEEO RADIO’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아티스타글로벌, 블록체인 기반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 아티스타글로벌(이종현 대표)는 작년 12월 아마존 서버를 통한 글로벌 음원스트리밍 '아티스타뮤직앱'의 베타서비스를 런칭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최신 K-pop, Pop, 월드뮤직(World Music), J-pop 등을 음원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트스타글로벌(ARTISTA GLOBAL)은 아바타와 스마트폰이 닿으면 아바타앨범으로 접속하게 하는 아바타앨범 서비스로 업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아티스타글로벌은 두바이에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유통 및 블록체인 기업으로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10월 이더리움 ERC20 기반의 ‘아티스타(ARTS) 코인’을 발행했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아티스타 뮤직 플랫폼의 음원 스트리밍, 피규어, 문화컨텐츠, 쇼핑 등 서비스 이용자의 결제 수단 및 보상에 사용되는 토큰이다. 이 코인은 유틸리티 코인으로 음악 감상, 플랫폼 내 활동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여 음악 감상하는 재미와 함께 보상이 되도록 구현된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소닉 오픈마켓 상장 후 메인마켓에 1월말 상장했고, 2월에는 국제거래소인 코인제우스와 코아거래소에 상장했다.◇ 레밋(REMIIT),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제공.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REMIIT)(안찬수 대표)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송금 및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국가간 송금과 거래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레밋(REMIIT)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블루팬넷은 2015년 4월에 설립 후 암호화폐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이다.초기 필리핀을 시작으로 중국과 베트남, 호주, 홍콩 등 송금 가능 국가는 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재사용률은 무려 90%로 해외 이주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레밋(REMIIT) 토큰 이코노미는 거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토큰을 레미(REMI)와 렘디(REMD)로 이원화하여 꾸준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했다. 레미(REMI)는 외부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렘디(REMD)는 해외송금업체(MTO)들이 해외 송금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다. 렘디(REMD)를 이용해 국가간 송금업무를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시장에서 레미(REMI)를 획득한 후 이를 스테이킹 해 렘디(REMD)로 교환해야 한다. 레밋은 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테이킹 하는 REMI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REMI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레밋(REMIIT)은 현재 제휴된 해외송금업체들과 2019년 3분기 이후 제한적인 해외 송금 플랫폼이 가동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2019년 로드맵 완수를 위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페이스북, 블록체인 관련직 채용 확대... 20개 → 25개
▲ 모리셔스 중앙은행 총재 “디지털 자산 중요, 과도한 규제로 기술 발전 저해 말아야“국제결제은행(BIS)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27일(현지시간) 호주 애들레이드에서 개최한 ADC 글로벌 블록체인 포럼 중 Yandraduth Googoolye 모리셔스 중앙은행 총재의 발언을 정리해 게재했다. 주요 발언은 다음과 같다. 0“모리셔스 중앙은행은 핀테크와 디지털 자산을 중시하고 있다. 다만 디지털 자산은 여전히 리스크가 있는 만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구분해 다뤄야 한다. CBDC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법정화폐지만 디지털 자산은 법정화폐가 아니며 정부 혹은 공공 기관이 지원하지 않는다. 앞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는 각국이 가상 자산을 일종의 ‘재산’, ‘수익’, ‘자금’, ‘자금 혹은 기타 자산’ 등으로 간주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자산에 대한 보다 면밀한 관리감독이 병행되어야 한다. 당국의 제도화 노력은 법적 확실성, 합법성, 투자자 신뢰 등을 제고할 수 있다. 이는 장기적으로 업계 디지털 자산 보급을 촉진할 수 있다. 다만 과도한 규제는 업계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 각국 금융 당국은 산업 제도화와 기술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는 균형점을 잘 찾아야 한다. 모리셔스 중앙은행은 관리감독 기관으로서 제도권 내 기업이 안전하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법률적 조항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책임이 있다. 변화무쌍한 기술 및 비즈니스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페이스북, 블록체인 관련직 채용 확대... 20개 → 25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블록체인 인력에 대한 추가 채용에 나섰다. 채용 분야는 제품 매니저(production manager), 비즈니스 운영 매니저(business operations manager), 데이터 사이언티스트(data scientist), 소프트웨어 엔지니어(software engineer), 제품 기획 매니저(growth product manager) 등이다. 앞서, 페이스북은 왓츠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코인 발행을 추진하는 등 블록체인 업계 진출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원화 구매 가능한 KRWb 상장 통해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증진 핀테크 스타트업 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가 원화 증거금을 기반으로 하여 원화 대비 1:1 가치를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가치안정화폐) KRWb를 일본 상장사 미탭스의 국내 자회사인 업사이드(UPXIDE) 거래소에 오늘 7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장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거래소는 대부분 달러와 1:1비율의 가치를 지닌 암호화폐인 ‘USDT’로 거래가 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USDT 스테이블코인을 구입할 경로가 마땅치 않고,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다양한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데 불편을 겪어왔다. 그러나, 본 상장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은 업사이드 거래소에서 원화로 직접 구매가 가능한 KRWb를 활용해 영국의 BeQuant 거래소 등을 비롯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손쉬운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KRWb는 지난 1월 30일 BeQuant 거래소에 상장을 완료했다. 김환 비엑스비 공동대표는 “국내의 경우 대형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USDT 거래는 가능하나, 원화를 이용해서 직접 구매가 불가능하고 입출금 또한 지원되지 않는다. 국내의 일부 중소형 거래소에서는 원화를 이용하여 USDT를 구매할 수 있으나, 거래량이 워낙 적어서 유의미한 거래가 불가능하다”며 “KRWb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내국인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영국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인 BeQuant의 대표이사 조지 자르야(George Zarya)는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하고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아주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테더(USDT)가 앞도적인 발행량 및 거래량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KRWb처럼 각국의 규제에 준하면서 투명하게 운영되는 신규 스테이블코인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라고 했다.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 소개비엑스비(BxB Inc.)는 블록체인 핀테크 법인으로서 2018년 5월에 설립된 스타트업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유명 투자사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의 포트폴리오 기업인 O2O 플랫폼 ‘숨고’를 창업한 강지호, 김환 대표 파트너를 비롯하여 블록바이블록캐피탈(Block by Block Capital)의 JJ Peterson, Alex Friedberg를 포함한 4명의 창립 파트너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비엑스비는 가치 안정성과 신뢰도가 검증이 되는 스테이블코인에 주목하여 최초의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를 발행하였으며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인 코블릭에 최초 상장시켰습니다. 비엑스비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KRWb를 안전자산으로 공급하며 다양한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 소개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는 법정통화인 원화 증거금 기반으로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모든 KRWb 코인은 비엑스비(BxB Inc.)의 KRWb 신규 발행 및 회수 정책에 따라 원화와 1:1 로 연동됨으로써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가격을 유지를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ERC20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 혹은 개별 이더리움 지갑을 통해 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제 법정 통화를 보유하지 않고도 자산을 안전하게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안정적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성황리에 마무리!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성황리에 마무리!- 사전 심사 거쳐 선정된 알파펫, AXL, 레디, 리모핏, 투어컴, 직토큰 6개 블록체인 프로젝트 참가- 넥스트드림엔젤클럽, 시리즈액셀러레이터부터 후오비, 코인제스트, 벨릭, 프릭스빗, 트래빗, 유니엑스, IDAX, 한빗코 등 거래소 참석하여 유망 프로젝트 발굴 모색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이자 마케팅 전문가 그룹 ㈜함샤우트 (공동대표 김재희, 함시원)와 투자 매칭 플랫폼 한국M&A센터 (대표 유석호)가 주최한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행사가 업계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계사들이 힘을 모아 블록체인 업계 전체의 ‘상생’과 ‘협력’을 도모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기획되었다. 발표 신청을 한 30 여 개 기업 중 자문단의 사전 평가를 통해 6개사가 선정되었다. 행사에는 10여 개의 투자사와 15여 개의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 등이 투자 및 상장 대상 검토를 위해 참석해 진지하게 발표를 듣고, 개별 미팅을 진행하는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논의 분위기가 뜨거웠다. 주최측 함샤우트 김재희 공동대표의 환영사에 이어 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신근영 회장이 참가 기업를 격려하고 참석자들에게 업계 발전을 위한 협력을 당부하는 축사를 했다. 또한, 한국M&A센터 유석호 대표가 ‘2019 블록체인 투자 기상도 및 전략’을, 함샤우트 함시원 공동대표가 자사의 1호 비즈니스 액셀러레이션 사례인 ‘알파콘(ALPHACON)’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발표했다. 본 세션에서6개 참가사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으며, 발표사와 참석자들 간 개별 상담이 이어졌다. 행사에서 발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반려동물 헬쓰케어 플랫폼 ‘알파펫(ALPHAPET)’ ▲암표 근절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에이엑스엘(AXL)’ ▲재생에너지 데이터 마켓 플레이스 ‘레디(REDi)’ ▲글로벌 P2P 교육 플랫폼 ‘직톡’의 리버스 ICO ‘직톡큰(ZIKTOKEN)’ ▲개별 여행 지원 플랫폼 ‘투어컴(TOURCOM)’ ▲온라인 골프 피팅 플랫폼 ‘리모핏(REMOFIT)’ 이었다. 행사에 참석한 후오비코리아 거래소의 조레이 (Lei Zhao) 사업 개발 매니저는 “한국에는 아직 상장하지 않은 훌륭한 코인들이 많이 있다. 잠재력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해 상장 추진을 지원하고, 후오비코리아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이번 행사에 참석했다.” 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검증된 팀, 앞선 블록체인 기술 기반, 유용한 제품, 그리고 건강한 이용자 그룹이 있는 코인을 선호한다. 더 많은 훌륭한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상장시켜, 이제 막 시작된 블록체인 트렌드가 한국 시장에서 자리잡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 오늘 행사에서 다양한 산업 군의 좋은 프로젝트들을 만났고 개별 미팅을 가졌다. 아주 훌륭한 행사였다” 라고 만족감을 표했다. 행사를 공동 기획한 한국M&A센터의 유석호 대표는 “블록체인 투자는 작년보다 다소 위축되었지만, 올해는 많은 Dapp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실질적인 블록체인 상용화 원년이 될 것” 이라며, “많은 거래소와 투자사, 액셀러레이션 관계자들에게 훌륭한 사업 모델과 기술력, 사업 경험을 가진 유망한 프로젝트를 소개한 이번 행사가 발표사들에 대한 투자와 상장, 마케팅 지원을 이끌어 내고, 나아가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고 기대를 밝혔다. 한편, 행사를 역시 공동 기획한 함샤우트의 김재희 공동 대표는 “유망 블록체인 기업을 발굴해 투자 유치 및 상장과 마케팅 지원, 그리고 업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자 이번 행사를 100% 무료로 준비했다. 많은 기업이 신청했는데 다 모시지 못해 죄송하다.” 며 “오늘 발표한 6개 사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좋은 비즈니스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 며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4-03 :: 비탈릭 부테린의 한마디 “암호화폐는 사기가 아니다”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비탈릭 부테린의 한마디 “암호화폐는 사기가 아니다”https://bit.ly/2CWDsdU▪️ 쿼드리가 뒷이야기…’합법’에서 ‘무법’으로https://bit.ly/2ONgEln▪️ 비트메인 설립자 “새로운 ASIC 채굴기 등장할 것”https://bit.ly/2IaeM4V▪️ 미 SEC, ICO에 무제재 확인서 첫 발급https://bit.ly/2uGYBnO▪️ EU 집행위원회, 블록체인 협회 만든다https://bit.ly/2YNzayH▪️ 세계경제포럼, “40개 중앙은행, 블록체인 기반 CBDC 발행 고려 중”https://bit.ly/2OJBEJK
-
라쿠텐 월렛, 6월 출시... 4월 15일 사전 가입
▲ 58COIN, 유기한 선물 거래 10주차 결산 완료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3월 29일 기준, 10주차 유기한 선물 거래 결산을 완료했으며 비용 분담 메커니즘을 사용하지 않았다”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58COIN의 COO 스티븐(Steven)은 “물론 비용 분담 메커니즘은 있지만, 투자자들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선물 거래 보험 기금 플랫폼에서 모든 소요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동시에 API 서비스 개시로 보다 나은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58COIN 유기한 선물 거래 서비스는 쌍방향 거래를 지원하며 화폐 간의 교환 절차가 필요 없는 등 기존 선물 거래 플랫폼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현재 거래량이 16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부연했다.▲ 라쿠텐 월렛, 6월 출시... 4월 15일 사전 가입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watch)에 따르면, 일본 IT 기업 라쿠텐 산하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라쿠텐 월렛(Rakuten Wallet, 인수합병 전 민나노 비트코인)이 오는 6월 정식 출시된다. 4월 15일부터 사전 가입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앞서, 암호화폐 거래소 민나노 암호화폐 거래소 (Minnano Bitcoin)의 모든 서비스를 지난 19일 14시부터 일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한편, 라쿠텐 월렛은 지난 25일 "자금 결제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가상 화폐 교환업자(仮想通貨交換業者)'로 관동 재무국에 등록 완료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외신 "러시아 대표 SNS 브콘탁테, 자체 암호화폐 출시 움직임 포착"
▲ 국내 블록체인 업계, ‘암호화폐 주소 조회’ 법률적 검토 진행IT 전문 미디어 지디넷 코리아에 따르면 국내 블록체인 업계가 ‘암호화폐 주소 조회’ 검찰 협조 요청에 대해 법률적 검토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시스템으로 암호화폐 거래소가 업무 부담을 덜고, 수사 기관이 수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지만 개인 정보 보호 및 관련 법률 위배 가능성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관계자는 "개인정보 유출 리스크가 있어 논의 중"이라며 "확정된 사항이 없으며, 협회에 아직 입장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국 블록체인협회는 "법무 법인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 검토를 의뢰했다. 빠른 시일 내에 거래소 의견을 모으려고 한다"고 밝혔다. 검찰청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은 개인정보 추적이랑은 관련이 없다. 계좌번호를 예로 들면 어느 은행인지 확인하는 단계일 뿐 실명을 알 수는 없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을 식별하는 행위는 어느 거래소인지 확인한 후 그 다음 단계에 영장이나 공문을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과 큰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다. 한편 앞서 미디어는 정부가 세계 최초로 시중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모든 암호화폐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조회해 거래소를 식별하는 '암호화폐 주소 조회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고 보도했다. 검찰이 협조를 요청한 한국 블록체인협회는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 업비트, 코빗, 코인원을 포함해 20 여 곳의 암호화폐 거래소를 회원사로 두고 있다. 한국블록체인협회에 속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협조를 받는다면, 대부분의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의 협조를 받는 셈이다.▲ 외신 "러시아 대표 SNS 브콘탁테, 자체 암호화폐 출시 움직임 포착"러시아 현지 미디어 RNS에 따르면, 러시아 대표 SNS 업체 브콘탁테(VKontakte)가 자체 암호화폐 출시를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해당 미디어는 "아직 공식적인 발표는 없지만, 신뢰할 수 있는 정보통을 통해 입수한 소식"이라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해당 미디어는 "월간 실사용자(MAU, Monthly Active User)가 약 1억명에 달하는 브콘탁테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미션을 주고 달성 시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형식의 인센티브 시스템을 구축 중"이라며 "사용자들은 VK페이(VK Pay)를 통해 해당 암호화폐를 온오프라인 상점에서 사용하거나 기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전략 고문으로 펜부시 캐피털 파트너 보 셴 영입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전략 고문으로 펜부시 캐피털 파트너 보 셴 영입- 중국 최초 분산 원장 기술 전문 펀드의 공동 창립자 영입-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에 관심 차세대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글로벌 크립토 펀드 펜부시 캐피털(Fenbushi Capital)의 창립자이자 파트너 보 셴(Bo Shen)을 전략 고문으로 영입했다. 보 셴은 2015년 중국 최초로 설립된 분산 원장 기술 전문 벤처 펀드인 펜부시 캐피털의 공동 창립자이다. 보 셴은 보세라 펀드 출신의 샤오 펑(Xiao Feng)과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Vitalik Buterin)과 함께 펜부시 캐피털을 창립했으며, 현재 비탈릭 부테린은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다. 보 셴은 펜부시 캐피털의 창립 이전 증권사, 헤지 펀드, 투자 은행에서 수년간 경험을 쌓아온 금융 산업의 베테랑으로 기존 산업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펜부시 캐피털의 성공을 이끈 인물이다.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지난 2월 20일 글로벌 대기업으로 구성된 운영 위원회 멤버를 최초로 공개한 연례 행사를 서울에서 개최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번 중국계 분산 원장 기술 전문 펀드 출신 전문가 보 셴의 영입은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인 에드가 세아(Edgar Seah)는 "셴은 분산 원장 기술 업계에서 풍부한 경력과 네트워크를 가진 전문가이다”라고 말하며 “그가 고문으로 참여하게 되어 기쁘고 영광이며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성장과 기술 도입의 촉매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
엔진코인, GDC서 블록체인 통합 플랫폼 공개
엔진코인, GDC서 블록체인 통합 플랫폼 공개- 엔진 SDK로 유니티 기반 게임에 블록체인 자산 통합 방법 공개 시연- 블록체인 개발자 위한 엔진 PaaS 클라우드 서비스 공개- 엔진 플랫폼 기반 6개 게임사의 다중 게임세계(멀티버스) 베타 버전 쇼케이스 선보여- “전 세계 개발자들과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의 원년으로 만들 것”엔진코인이 오는 18일 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게임·서비스를 위한 통합 플랫폼을 공개한다. 블록체인 게임 및 서비스 개발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을 제공하고 있는 엔진(Enjin.com, CEO 막심 블라고프)이 오는 18일부터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인 ‘GDC2019’(GDC, Game Developers Conference)에 참가해 블록체인 게임과 서비스 개발과 활용이 가능한 '엔진 블록체인 통합 플랫폼'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엔진사가 이번 GDC2019에서 공개하는 엔진 블록체인 플랫폼의 핵심은 블록체인 PaaS 와 유니티 솔루션을 위한 엔진의 블록체인 SDK이다. PaaS(Platform as a Service)는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플랫폼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블록체인 개발자가 엔진사의 PaaS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API로 레고 블록 쌓기처럼 편리하게 게임이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엔진사의 최고기술책임자이자 공동설립자인 비텍 라돔스키(Witek Radomski)는 GDC의 ‘블록체인의 날’인 21일에 열리는 프로그래밍 세션에서 엔진 플랫폼을 활용한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방법을 선보인다. 이 자리에서 △엔진 SDK 데모를 통한 유니티 게임에서 블록체인 자산 통합 방법, △블록체인 아이템 판매를 위한 스토어 구축 방법, △디지털 아이템을 위한 인 게임 거래와 마켓 플레이스 구축 방법을 보여줄 예정이다. 또한, 엔진 플랫폼으로 개발 중인 주요 블록체인 게임 기대작 6편과 이들 게임이 참여하고 있는 세계 최초의 다중 게임 세계(멀티버스)도 함께 공개된다. 이날 선보일 엔진 플랫폼 기반의 블록체인 게임으로는 나인 라이브즈 아레나(9Lives Arena), 에이지 오브 러스트(Age of Rust), 알터버스(AlterVerse), 비트코인 호들러(Bitcoin Hodler), 캐츠인메크(Cats in Mechs), 리바운스(Rebounce) 등이 참가한다. 이들 6개의 블록체인 게임에서 사용되는 캐릭터와 아이템들이 서로 다른 게임 세계에서 사용되는 장면이 처음으로 관람객들에게 공개되는 셈이다. 엔진사는 이 밖에도 모바일 암호화폐 엔진지갑, 블록체인 검색 서비스 엔진엑스(EnjinX), QR코드를 통해 블록체인 아이템을 에어드롭 할 수 있는 마케팅 서비스인 엔진 빔(Enjin Beam) 등 엔진 생태계를 이루는 서비스와 솔루션도 함께 전시한다. 엔진사의 CEO 막심 블라고프는 "올해 GDC2019는 지난 2017년 7월 엔진사가 엔진코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시작한지 1년 8개월 만에 전 세계 개발자들이 손쉽게 블록체인 게임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SDK를 선보이는 뜻 깊은 자리"라고 말했다. 또한 "올해 엔진사는 엔진 통합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 개발자들과 함께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의 실질적인 원년으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엔진사는 엔진의 블록체인 개발 도구 소개 그리고 엔진 빔 데모를 위해 GDC 행사 기간 내 엔진코인(ENJ)이 들어간 수천 개의 GDC 2019 한정판 소장용 아이템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번 이벤트는 현장에서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엔진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