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P2P금융 연합 플랫폼 ‘지퍼’와 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P2P금융 연합 플랫폼 ‘지퍼’와 MOU 체결-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 위해 전략적 업무협력체계 구축..-지역화폐를 통한 P2P 금융으로 시장을 넓혀갈 계획..글로스퍼(대표 김태원)은 지퍼(대표 김준범)와 블록체인 사업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지퍼(ZPER)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P2P금융 연합 플랫폼’으로, 국내외 P2P금융 기업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이 출시하는 다수의 금융 상품(채권)을 ‘연합 포트폴리오’ 형식의 펀드 상품으로 제공하는 분산투자 통합 솔루션이다.작년 말 지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P2P 연합 포트폴리오 금융서비스 ‘지퍼로보(ZPEROBO)의 개념증명(PoC: Proof of Concept)을 위한 설계를 마치고, 펀다, 투게더펀딩 등 국내 15개 주요 P2P금융 기업을 대상으로 개념증명을 실시하였다.글로스퍼는 자체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의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으며, 서울 노원 지역화폐와 영등포구 제안평가 시스템, 해양수산부 항만관리 시스템 등 공공기관과 국가 정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협약에 따라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하여 전략적으로 업무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협업 파트너로서 성공적인 국내외 시장 진출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블록체인 플랫폼 하이콘 기반의 지역화폐 확장성에 대해 설명했다. 김 대표는 “지역에서 상품권처럼 쓰이는 것 이상의 활용도로 지역화폐 기반 크라우드펀딩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하며, “지역화폐를 통한 P2P 금융으로 시장을 넓혀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후오비 토큰(HT), 1달간 94.18% 상승...코인마켓캡 기준 거래소 토큰으로 2위
후오비 토큰(HT), 1달간 94.18% 상승...코인마켓캡 기준 거래소 토큰으로 2위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후오비 토큰(Huobi Token, HT)이 지난 2월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고 밝혔다. 후오비 토큰(HT)은 전월 8일 대비 3월 8일 오전 9시 기준, 가격이 94.18% 상승했으며, 거래량 역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다. 이와 함께 후오비 토큰의 시가 총액은 9,670만 달러로 코인마켓캡 기준 총액 순위는 56위로 상승했다. 거래소 발행 토큰으로는 현재 시가 총액 순위 2위로 자리 잡고 있다. 후오비 코리아 측은 이번 상승은 시장의 안정화와 후오비 토큰(HT) 생태계 확장, 그리고 투표를 통한 소각 결정에 대한 약속 이행 등이 반영된 기대감으로 분석했다. 후오비 토큰(HT)은 후오비가 자체 발행한 암호화폐로 2018년 1월 공식 출시해 현재 후오비 코리아와 후오비 글로벌, 게이트아이오, 비박스 등 다양한 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또한, 지난 12월 진행했던 ‘후오비 토큰 재매입 투표’ 결과에 따라 후오비 글로벌은 매 분기 거래소 수익의 20%로 HT를 재매입하고, HT 보유자에게 지급했던 HT 수량만큼 이를 소각할 예정이다. 현재 후오비 그룹은 후오비 토큰의 활용과 성장에 집중하고 있다. 파생상품 전용 플랫폼 ‘후오비 DM(Huobi Derivative Market, HBDM)’ 수익의 20%를 HT 바이백에 사용하고 있으며, 후오비 클라우드(Huobi Cloud) 역시 HT 활용도를 높이는 새로운 상장 규정을 발표하기도 했다. 중요한 것은 후오비 토큰(HT)이 일반적인 거래소 토큰에 머물지 않고, 선순환 구조를 창출하기 위해 생태계가 지속해서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타 거래소 상장, HT 상장 투표, 프로젝트 보증금, OTC 마켓 보증금, VIP 수수료 우대, 사용자 보호 펀드 조성, 후오비 에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후오비 코리아에서 새롭게 선보인 암호화폐 개인 직거래 플랫폼(C2C 거래 플랫폼)의 프리미엄 스토어 개설 보증금으로 HT가 활용된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HT는 후오비가 진행하고 있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의 주축으로 활용되고 있다”며 “올해 후오비가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과 사업 안정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HT 생태계가 더욱더 단단하게 구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
헤데라 해시그래프 플랫폼 위원회 최초 공개, 도이치 텔레콤, 노무라 홀딩스 등 글로벌 대기업 대거 포함
헤데라 해시그래프 플랫폼 위원회 최초 공개, 도이치 텔레콤, 노무라 홀딩스 등 글로벌 대기업 대거 포함 IT, 금융, 법무, 통신 분야 글로벌 대기업으로 구성된 39곳의 위원회 중 1차 위원 공개 - 2월 20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헤데라 해시그래프 연례 행사에서 전 세계 최초 발표 예정차세대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플랫폼 운영을 위한 위원회 1차 구성원을 20일 서울에서 개최될 연례 행사에서 최초 공개한다. 도이치 텔레콤, 노무라 홀딩스, DLA 파이퍼, 매거진 루이자, 스위스컴 블록체인 등 IT, 금융 서비스, 법무, 통신 등 각 분야의 글로벌 대기업이 대거 선정되었으며 연례 행사를 실시간으로 중계하여 발표한다고 밝혔다.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소프트웨어 회사인 스월즈사(Swirlds. Inc.)의 공동창립자 리먼 베어드와 맨스 하몬이 만든 해시그래프 기반의 분산 원장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의 높은 수수료와 전력 소모량, 낮은 확장성을 극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네트워크 참여자 및 선정은 위원회를 통해 이뤄지는데 글로벌 39개 대기업만이 참여 가능하다. 이러한 위원회 방식은 1968년에 설립되어 후에 비자(VISA)로 개명한 내셔널뱅크아메리카드가 당초 사용한 모델에 바탕을 두고 있다. 특정 단일 기업이 위원회를 장악하지 않고 개별 위원은 위원회의 과도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하여 헤데라 해시그래프 네트워크의 신뢰와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이다. 해당 네트워크 참여 대상을 39개의 글로벌 대기업으로 한정한 이유는 해당 기업이 산업 분야에서 쌓은 전문성과 평판을 기반으로 위원회내에서 공익에 반하는 의사결정을 방지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위원회 구성으로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블록체인의 초기부터 지적되었던 대형 채굴 업체의 해시레이트 장악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차 위원회로 선정된 도이치 텔레콤의 경우 독일 최대 통신 사업자이며, 노무라 홀딩스는 일본 최대 투자 은행 및 증권 지주회사이다. 영국&미국계 대형 로펌 DLA 파이퍼, 약 700개 매장을 운영하는 브라질 2위 백화점 업체 마가진 루이자, 스위스 국영 통신 회사 스위스콤 블록체인 모두 각 분야에서 높은 평판과 전문성을 유지하고 있다.이번 위원회 선정과 관련하여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CEO 맨스 하몬은 “공공 원장은 해당 분야에서 세계 최고 전문성을 지닌 대기업에 의해 관리되어야 한다”며 “이번 첫번째 위원회 발표로 공공 원장의 지속을 위한 안정적인 체제를 갖춰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역량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또한, “진정한 분산화 모델의 결실을 이룩하기 위해 계속해서 글로벌 대기업으로 구성된 위원회 멤버를 확장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위원회로 참여한 도이치 텔레콤의 수석 부사장 존 칼리언은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블록체인의 발전을 저해하는 보안, 확장성, 지배체제의 문제를 극복하는 위원회 시스템을 구축했다” 며 “1차 위원회 구성원으로 시장성 있는 기술을 인도하는데 참여할 수 있어 매우 기쁘다”고 소감을 밝혔다.
-
인솔라, 세계 최고 확장성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 공공 노드 참여 하에 테스트넷 1.1 개시 예정
인솔라, 세계 최고 확장성의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상에서 공공 노드 참여 하에 테스트넷 1.1 개시 예정2019년 3월 4일 인솔라(Insolar)가 자사의 블록체인 플랫폼 테스트넷 1.1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이 플랫폼에는 외부 노드도 네트워크에 참여를 하게 된다. 이미 몇몇 유명 기업과 세계 최고수준의 학술기관 파트너들이 노드에 참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ETH Zurich)과 토론토의 요크 대학(York University)이 네트워크 참가 의사를 밝혔다.인솔라는 자사의 블록체인 상에 공공 및 사설 블록체인 솔루션을 축적하는 글로벌 기술 회사이다. 인솔라의 블록체인 플랫폼은 안정성, 유연성, 확장성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올해 1월 인솔라는 20개 노드 상에서 초당 1만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속도로 테스트넷 1.0을 성공적으로 끝마친 바 있다. 테스트넷 1.0 실행 중에 모든 참여 노드는 인솔라가 내부적으로 호스팅 하는 것이었다.인솔라의 플랫폼이 선형적으로 확장 가능한 까닭에 네트워크 상에 추가되는 새로운 활성 네트워크 노드는 플랫폼의 속도를 한층 더 높여줄 수 있다. 그런 이유로 플랫폼이 가속화될 가능성은 거의 무한정으로 늘 수 있게 된다. 이런 기술적 우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이전 세대 블록체인 거래에서는 네트워크 상에 새로운 노드가 추가될 때마다 속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이러한 무한정의 확장성 특성으로 인해 인솔라는 기업들의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가속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기업들의 사업방식을 근본적으로 뒤바꿔 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가트너의 추산에 따르면 향후 얼마 가지 않아서 전세계 경제인프라의 20% 가량이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상에서 가동될 것이며 이를 통해 연간 경제가치가 무려 3조2000억달러나 더 늘어날 것이라고 한다.테스트넷 1.1의 개시는 최근에 이뤄진 인솔라 플랫폼 성능의 향상과도 거의 시기를 같이 한다. 이 플랫폼 시스템 개선 및 성능 향상을 통해 네트워크 처리량은 20개 노드가 있을 경우 초당 1만9000건으로 늘게 된다(https://explorer.insolar.io/). 그럴 경우 이는 전세계 기업들을 대상으로 확장 가능성이 최고로 높은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다른 경우와 거래 속도를 비교하자면 페이팔은 초당 193건의 거래만을 처리할 수 있다.다른 네트워크 참여회사들이 계정을 만들고 거래를 진행하고 네트워크 용량과 처리량을 관측하는 동안 테스트넷 1.1이 부하가 적게 걸렸을 때 노드를 작동시킨다.
-
외신 "비탈릭 부테린, ETH외 1000만달러 규모 암호화폐 보유"
▲ ETH 핵심 개발자, ETH 커뮤니티 탈퇴이더리움 주요 클라이언트 패리티(Partiy)의 클라이언트 릴리스 총괄이자 이더리움 개발자인 아프리 쇼든(Afri Schoedon)이 개인 트위터 계정을 통해 "나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를 그만둔 것이 아니라, 이더리움을 그만두었다"며 "단지, 커뮤니티를 떠난 것뿐"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나는 더이상 하드포크와 테스트넷 구축 등을 위해 일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나는 "폴카돗(Polkadot) 프로젝트를 위해 일한 것이 아니다"며 "나는 ETH를 사랑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데스크의 보도에 따르면, 쇼든은 한 유저의 비판에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탈퇴하고, 기술 등 질문에 대해 직접 답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외신 "비탈릭 부테린, ETH외 1000만달러 규모 암호화폐 보유"암호화폐 미디어 트러스트 노드(trustnodes)가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업자가 1000만 달러 규모의 BCH, BTC, DOGE, ZEC, KNC, MKR, OMG, AUGUR 등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그가 보유한 전체 ETH 자산의 약 20%에 달하는 규모다. 미디어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은 현재 35만 ETH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시세로 5000만 달러에 달하는 규모다. 그는 또한 Clearmatics과 Starkware 등 회사의 지분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tarkware는 지난 2018년 4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한 바 있다. 또한 미디어는 "비탈릭은 지난 12개월 동안 이더리움 재단과 어드바이저 역할을 수행한 다수의 프로젝트로부터 일정한 보수를 받았을 것"이라고 전했다.▲ CNBC 진행자 "크레이그 라이트, 사토시 주장 프로그램 촬영"CNBC의 암호화폐 프로그램 진행자인 란 노이너가 방금전 트위터를 통해 "자신이 사토시 나카모토라고 주장하는 크레이그 라이트 엔체인 수석 연구원을 취재했다"며 "왜 자신이 사토시인지에 대해 증명하는 자료를 공개하고 함께 토론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란 노이너는 "해당 영상은 향후 대형 TV 프로그램을 통해 공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中 보험 기업, 블록체인 기반 신실크로드 무역 플랫폼 구축중국 유력 경제미디어 증권일보에 따르면, 중국 최대 민간 보험 기업인 핑안그룹이 신실크로드 지역을 아우르는 블록체인 기반 무역 플랫폼을 홍콩에서 구축 중이다. 해당 기업은 이를 위해 중국 규제 당국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세계 첫 규제 기관이 공인한 다국적 블록체인 무역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블록체인 플랫폼이 구축되면 아시아 태평양 국가 전반을 타깃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의 무역 금융 경제체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게 핑안그룹의 설명이다. 신실크로드란 중앙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육상 실크로드와 동남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해상 실크로드를 뜻하는 말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13년 9~10월 중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순방에서 처음 제시한 지역 개발 전략이다.▲ 자오창펑 "BTT 추가 에어드랍, 직원 실수"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CEO인 자오창펑(赵长鹏)이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fetch.ai를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테스트 담당 직원이 실수로 BTT 에어드랍 버튼을 눌렀다"며 "일부 투자자들에게 추가적인 BTT 이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현재 해결 중에 있으며, 투자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24개의 데이터블록과, 3개의 특수블록을 결합하여 하나의 큐브로 만들고 다중 병렬 적재하는 큐브체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기업 (주)큐브시스템
24개의 데이터블록과, 3개의 특수블록을 결합하여 하나의 큐브로 만들고 다중 병렬 적재하는 큐브체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기업 (주)큐브시스템최근 큐브시스템의 관계사인 큐브메디컬에서 한의원과의 협약식을 가졌습니다. 생명공학 전문 기업인 큐브메디컬은 헬스 & 뷰티 DTC 유전자 검사기관으로 유전자 검사와 신약개발 등 부설 연구소를 설립인증을 취득하고 연구전문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지난달 성신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에 정부과제'유전자 검사를 기반으로 하는 탈모용 제품개발'로 입주하여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정보 보안과 빅데이터에 유용한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방안을 생각중이며 이 것은 큐브체인에 저장되도록 추진중입니다. 이하 보도자료만성성인병의 원인인 비만은 소아/아동 청소년을 포함하여 전 연령대의 가장 힘든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상황이다. 생명공학 전문기업인 ㈜큐브메디컬(대표;김희태)은 헬스 & 뷰티 DTC유전가 검사기관으로 유전자 검사와 신약개발 등 부설 연구소를 설립인증을 취득하고 연구전문 바이오 기업으로 성장을 하고 있는 기업이며 지난달 성신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에 정부과제 ‘유전자 검사를 기반으로 하는 탈모관리용 제품개발’로 입주하여 연구를 활발히 진행중이다.또한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리안한의원(원장;김종현)은 한 발 앞선 다이어트 프로그램으로 비만제로에 도전하는 한의원으로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한의원으로 운영 중이다.2019. 3. 9.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세미나실에서 양기관은 여러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한의학과 생명공학의 협력 계약식을 진행하였으며 큐브메디컬 김희태 대표는 ‘생명공학의 한 분야인 유전자 분석을 도입하여 한의학의 비만 프로그램에 도입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는 의미가 있는 협약’ 이라고 강조 하였으며 리안한의원 김종현 원장은 ‘강남, 서초, 송파 지역의 비만인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에 유전자분석을 도입하여 더 체계적인 서비스와 함께 차별화된 진료를 실시하여 한방의 과학화에 앞서가는 한의원이 되어 지역주민의 사랑받고 신뢰받는 의료기관이 되고자’ 한다고 인사말을 하였다. 또한 큐브시스템 김동오 대표는 생명공학과 한의학의 매우 뜻깊은 협약이며 기대감을 표하며 축사를 하였고 양 기관의 매우 귀중한 정보를 블록체인에 접목하여 환자의 정보 보안과 빅데이터에 유용한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양 기관은 소아 청소년 비만문제는 심리적인 문제까지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또한 학습, 운동 등 문제점이 성인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흐르지 않도록 비만문제 해결 방안의 특성화된 융, 복합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고자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함께 적극적인 추진을 하고자 하니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
홈리스 자립 돕는 잡지 ‘빅이슈’, 퍼블리시 소프트 도입으로 온라인 콘텐츠 확대
홈리스 자립 돕는 잡지 ‘빅이슈’, 퍼블리시 소프트 도입으로 온라인 콘텐츠 확대퍼블리시 소프트 도입으로 ‘시스템 효율 개선 기대’빈곤 문제 해결을 위해 비즈니스 솔루션을 통한 기회 창출을 시도해온 사회적기업 ‘빅이슈코리아’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솔루션 ‘퍼블리시 소프트’를 전격 도입한다고 29일 밝혔다.빅이슈코리아는 ‘주거빈곤층의 자활과 경제적 자립’이라는 미션을 지원할 개선된 홈페이지 시스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퍼블리시 소프트 도입을 결정했다.퍼블리시가 지원하는 블록체인 기반 미디어 솔루션 ‘퍼블리시 소프트’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4 차산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을 결합한 소프트웨어로 언론의 독립성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한다. 전문 기술 없이도 누구나 블록체인 기술 혜택을 누리고 자체적인 암호화폐 보상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퍼블리시는 비영리 사단법인인 빅이슈코리아에 자체 홈페이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차후에 블록체인 기술까지 결합할 수 있는 기술 지원을 약속했다.‘빅이슈’는 빈곤 해체를 미션으로 1991년 영국에서 창간된 대중문화 매거진이자 사회적기업이다. 현재 영국에서만 2000명의 홈리스 판매원이 활동 중이다. 영국과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 남아공, 일본, 대만 등에서도 발행되고 있다. 한국판은 격주로 1만5000부가 발행되며, 매년 100여명의 홈리스에게 빅이슈 판매원 일자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회적 성과를 인정받아 2013년부터 서울시 사회적경제 우수기업으로 선정됐으며, 2016년에는 사회적경제 주간 국무총리 포상과 대한민국 마케팅 대상 상생협력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퍼블리시 권성민 대표는 “언론의 정체성 회복과 이를 뒷받침할 경제적 자립을 지향하며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한 퍼블리시 소프트를 통해 빅이슈코리아를 지원하게 돼서 영광이다. 사회적 개선과 변화를 이끄는 모든 시도에 탄탄한 기반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빅이슈코리아와 퍼블리시가 지향하는 가치와 블록체인 기술이 상생과 동반 성장의 효과를 낼 것으로 귀추가 주목된다”고 덧붙였다.
-
스위스보그, 비트코인 가격 예측하고 비트코인 받는 모의투자 앱 런칭
스위스보그, 비트코인 가격 예측하고 비트코인 받는 모의투자 앱 런칭스위스 블록체인 핀테크기업 스위스보그는 27일 비트코인 투자 시뮬레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인 ‘스위스보그 커뮤니티 앱 (SwissBorg Community App)’을 출시했다. 스위스보그 커뮤니티 앱은 비트코인 가격을 예측하고 랭킹에 따라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는 시뮬레이션 게임 앱이다. 이용자들은 비트코인에 모의투자를 하고 다양한 미션을 수행하며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상위 랭커들은 최대 50만 달러(한화 5억 6925만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랭킹에 따라 차등 분배 받고, 올해 런칭 예정인 스위스보그 자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우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다.또한 이 앱은 비트코인 가격변동에 대한 일일 기술적 분석과 마켓 리포트를 제공하고, 커뮤니티의 집단지성을 활용해 비트코인 가격 예측에 도움을 준다. 스위스보그 측은 커뮤니티 앱으로 레퍼렌덤을 진행하고, 집단지성 플랫폼을 구축해 커뮤니티를 연결시키고 더 크게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켄 야가미 스위스보그 아시아지부 대표는 “우리는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암호화폐 자산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있다”며, “본 앱 출시 이전에 커뮤니티 앱을 먼저 런칭하여 암호화폐가 익숙지 않은 초심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투자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고, 암호화폐 시장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TEMCO(템코), 싱가포르 정부 지원 블록체인 스타트업 프로그램에 선정!
TEMCO(템코), 싱가포르 정부 지원 블록체인 스타트업 프로그램에 선정!- BMW, 인텔, IBM, 닐슨, PWC, 한투파 등 글로벌 기업에서 블록체인 스타트업과 멘토링 및 파트너십 지원블록체인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및 서플라이체인 플랫폼 개발 전문 회사인 템코(TEMCO)는 싱가포르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트라이브 엑셀러레이터(Tribe Accelerator)’에 선정되었다고 29일 밝혔다.트라이브 엑셀러레이터는 지난해 싱가포르 벤처캐피탈인 트라이브(TRIVE)에서 출범하였다. 트라이브는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함께 지난 7년간 8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지원함과 동시에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을 위한 싱가포르 정부기관과의 협업을 지속해왔다. 따라서 트라이브 엑셀러레이터는 최고의 블록체인 회사, 정부기관, 그리고 글로벌 기업들이 함께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싱가포르 최초의 정부 지원 블록체인 육성 프로그램이다.트라이브 엑셀러레이터는 서플라이 체인, 핀테크, 모빌리티 및 데이터 등 블록체인의 지속 가능성이라는 4가지 주요 분야를 주제로 전략적 적합성과 블록체인 실 구현 사례 등을 기반으로 지원 대상을 선정했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BMW그룹 아시아, 인텔, 닐슨, 존슨앤존슨, HSBC 등 글로벌 기업도 참여하여 템코를 포함한 스타트업 10개사를 지원한다. 한편, 29일에 열리는 마스터 클래스는 국제연합(UN)과 유럽연합(EU)에서 지원하는 이벤트에 참석하여 블록체인의 상용화에 대한 논의를 나누고 있다며 템코 측은 설명했다.이번 프로그램은 오는 4월부터 4개월간 마스터 클래스, 네트워킹 행사, 멘토 세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7월에 싱가포르, 서울을 포함한 4개국에서 진행되는 글로벌 데모행사를 끝으로 마무리된다.현재 템코는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커뮤니티형 명품 거래 플랫폼 ‘구하다(GUHADA)’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하다’는 높은 거래 신뢰성과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소비자들은 블록체인을 통해 인증서, 유통이력 등의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하고 보험제도를 통해 위조품 우려 없이 안심하고 제품을 거래할 수 있다. 또한 '구하다'의 모든 사용자들은 커뮤니티 내에서 상품 후기, 정품 감정 등의 활동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이러한 템코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27일을 기점으로 시작된 프로그램에서 여러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상용화된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는 기술력과 역량이 검증되었고, '구하다'가 올해 안에 출시 예정인 최초의 블록체인 이커머스 모델이라는 점 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트라이브 엑셀러레이터의 경영 파트너인 이밍응(Yi Ming Ng)은 “우리는 스타트업들이 뛰어난 능력을 갖추는 데 필요한 자원을 제공한다“며, “향후 4개월 동안 각 기업들은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조해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스타트업들이 어떤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기다려진다.”고 하며 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
베잔트,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베잔티움’ 개발 완료…내달 메인넷 출시
베잔트,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 ‘베잔티움’ 개발 완료…내달 메인넷 출시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베잔트 파운데이션(대표 김찬준)이 전문 블록체인 개발자 없이도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활용하여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서비스형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BaaS, Blockchain as a Service) ‘베잔티움(Bezantium)’ 개발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베잔트는 내달 11일 파트너 기업들을 대상으로 베잔티움 메인넷을 활용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출시한다. 이어 같은 달 25일 일반 사용자를 위한 월렛, 스캔 서비스를 출시한다. 베잔티움은 파트너 기업들이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만들거나 기존 사업에 접목할 경우, 별도 인프라 구축 없이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사용하도록 다양한 개발 환경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은 ▲파트너 기업용 웹 어드민 ▲월렛 관리 ▲토큰 발행 및 운영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및 관리 ▲네트워크 관리 등이다. 베잔트 김찬준 대표는 “베잔트는 블록체인 코어와 최종 사용자의 사용성을 분리해서 전략적으로 접근한 덕분에 짧은 시간에 완성도 높은 플랫폼을 만들어 냈다”라며 “베잔티움의 코어인 하이퍼레저 패브릭 자체가 코어 운영, 패치 등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신뢰를 기반으로 베잔트는 토큰 발행, 월렛, 스캔 등 토큰 이코노미를 위해 필요한 블록체인 인프라 개발, 스마트컨트랙트 응용 및 서비스 플랫폼화를 통한 사용성 향상에 집중해왔다”고 전했다. 이어 “블록체인 생태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격전지로 떠오른 플랫폼 시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쉬운 사용성’이다. 플랫폼의 주된 사용자인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쉽게 활용하여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도록 행동을 이끌어 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IBM이 리눅스 재단에 소스코드를 제공하여 탄생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다.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개발자가 160여 명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리눅스 재단이 주도하고 있다. 베잔티움은 개발자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 친화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제공한다. 파트너 기업은 웹사이트를 만들 듯 몇 번의 클릭 만으로 손쉽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자체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또한, 파트너 기업들의 수요가 높은 기능들을 중심으로 스마트 컨트랙트 템플릿 및 작성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파트너 기업들은 손쉽게 스마트 컨트랙트를 생성 및 배포하고 월렛 서비스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베잔트는 파트너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지속적으로 템플릿을 추가하고 기능을 업데이트 해 나간다. 뿐만 아니라 자바(Java), 고(Go), 노드JS(Node.js) 등 친숙한 개발 언어를 지원해 디앱(DApp) 개발 파트너 기업의 편의성을 최대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
블록체인허브, 2019 이더리움 에드콘(EDCON 개발자 컨퍼런스) 커뮤니티 파트너 선정
[블록체인허브 2019 이더리움 에드콘(EDCON 개발자 컨퍼런스) 커뮤니티 파트너 선정 ]블록체인 암호화폐 포털커뮤니티 블록체인허브(https://www.blockchainhub.kr , 대표 이충)는 '2019 이더리움 에드콘(EDCON 개발자 컨퍼런스) 커뮤니티 파트너'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이더리움 에드콘(EDCON 개발자 컨퍼런스)은 매년 다양한 이더리움(Ethereum) 커뮤니티 간의 의사 소통을 개선하고, 생태계 개발을 위한 자리이다.일주일 동안 해커톤, 메인컨퍼런스, 워크샵 등이 있을 예정이며 주요 연사로는 이더리움(ethereum)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칼 플로어쉬, 조셉 푼 등이 참여한다.이미 2017년 프랑스 파리, 2018년 캐나다 토론토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바 있는 이번 행사는 2019년 4월 8일-14일에 호주 시드니 국제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다.컨퍼런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더리움 개발자 컨퍼런스(EDCON) 공식 홈페이지 www.edcon.io에서 확인할 수 있다.이충 대표는 '에드콘 커뮤니티 파트너로 선정된것을 영광으로 생각하며 대표적인 퍼블릭 블록체인인 이더리움이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 밝혔다.
-
후오비 코리아, ‘스탑리밋’ 주문 기능 제공
후오비 코리아, ‘스탑리밋’ 주문 기능 제공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스탑리밋’과 C2C 마켓의 ‘간편결제’ 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적용한 웹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v2.2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스탑리밋’은 설정한 특정 가격(스탑 가격)에 도달할 때 자동으로 매수·매도 주문이 실행되는 서비스로 수익 보호 및 손실 예방을 돕는 기능이다. 상·하한가 제한 없이 24시간 365일 거래되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위험성을 관리하는 유용한 방법의 하나다. 주로 선물 및 해외 주식 시장 등 HTS(홈 트레이딩 시스템, Home Trading System)에서 사용되는 기능으로 손꼽힌다. 리밋 가격은 스탑리밋 주문에서 실행되는 주문 가격을 뜻한다. 잠재적으로 더 나은 가격에 매수와 매도가 가능해 수익의 극대화와 투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없어 편리하다. 예를 들어, 현재가 10만원 가치의 암호화폐가 9만 5천원 이하로 하락할 때 9만원까지 매도하고 싶다면 스탑 가격을 9만 5천원, 리밋 가격을 9만원에 설정하면 된다. 암호화폐 가격이 9만 5천원에 도달할 경우 자동으로 주문 가인 9만원에 매도 주문이 실행되고 반대로 매수 역시 가능하다.주문 방식은 기존 주문과 유사하다. 암호화폐 거래 주문 창에서 주문 유형을 `스탑리밋` 설정으로 변경하면 된다. 아울러 이번에 업데이트한 애플리케이션 v2.2는 새롭게 제공되는 기능을 추가해 사용 접근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그동안 급격한 암호화폐 가격 등락에 투자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부각됐다”면서, “이번 기능 업데이트를 통해 가격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하는 안전 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고객 편의성 개선함과 동시에 투자자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구글 키보드앱 '지보드' iOS 버전, BTC 심볼 추가
▲ MIT테크놀로지리뷰 "블록체인, 해킹 관련 보안 취약점 여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에 따르면,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소유 잡지인 MIT테크놀로지리뷰가 "블록체인 기술은 여전히 해킹에 취약하다"고 19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잡지는 현재까지 주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블록체인 이중지불 관련 문제를 지적하며, 다수 암호화폐 및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이 이 같은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MIT테크놀로지리뷰는 "블록체인은 예측불가한 인간의 행동에 의존하는 복잡한 경제 시스템을 대표한다"고 부연했다. 앞서 MIT테크놀로지리뷰는 지난 1월 "지난해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대다수의 가격이 폭락하며 실망스러운 한 해를 보냈다. 다만, 혁신적인 프로젝트는 여전히 견고하게 버티고 있으며,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2019년은 블록체인이 일반화되는 해가 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구글 키보드앱 '지보드' iOS 버전, BTC 심볼 추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최근 구글의 자체 키보드 앱 지보드(Gboard) iOS 버전에 비트코인 심볼인 '฿'가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따르면, 지보드 사용자들은 키보드 내 달러 기호를 길게 터치해 비트코인 심볼 '฿'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현재 해당 기능은 지보드 iOS 버전에서만 이용 가능하며 안드로이드 버전은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다.▲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용량, 703 BTC 돌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총 용량이 현재 역대 최고치인 703 BTC(275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채널은 한달새 35.2% 증가한 28,105개를, 노드는 15.32% 증가한 6,400개를 기록했다. 또한 활성 노드는 3,312로 전체 노드의 과반수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고, 1억 달러 규모 암호화폐 자산 보험 가입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보안 전문 업체 비트코(BitGo)가 보유 및 위탁 관리중인 1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에 대한 보험에 가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프라이빗 키 분실, 해커 공격 등으로 인한 자산 손실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비트고는 암호화폐 자산 위탁 관리 서비스인 비트코 트러스트 컴퍼니를 출시한 바 있다.▲ 모어코인 "EOS, 특정 월렛 자금이 상승 견인"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모어코인(MORECOIN) 산하 연구소가 특정 신규 월렛이 약 1,000만 개의 EOS를 보유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월렛의 EOS 대부분이 장외거래를 지원하는 게이트아이오(Gate.io), ZB, 후오비(HUOBI)에서 이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연구소는 "EOS의 상승을 이끈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캐셔레스트, ‘히트브랜드 서비스/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 수상
캐셔레스트, ‘히트브랜드 서비스/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 수상해외 비즈니스 개척, 투명한 운영, 건전한 암호화폐 거래 활성화 정책 등 인정 받아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캐셔레스트를 운영하고 있는 뉴링크(대표 박원준)는 28일, 중앙일보가 후원하는 ‘2019 히트브랜드 대상’ 시상식에서 서비스/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1위를 수상했다고 밝혔다.‘2019 히트브랜드 대상’은 우수한 품질과 뛰어난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높은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을 뿐 아니라 신뢰를 기반으로 질 높은 서비스를 실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약 한달간 공기업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및 대기업,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각 분야별 전문가의 까다롭고 엄격한 심사과정을 거쳐 선정했다.이에 캐셔레스트는 타 거래소 대비 높은 고객 만족도와 다양한 고객 서비스, 안정적인 거래소 운영을 가능케 한 소프트웨어 개발력 등에서 심사위원단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캐셔레스트는 지난해 11월 바이낸스, 후오비 등 메이저 거래소의 토큰이 상장된 글로벌 10위권대의 중국 엘뱅크(LBank) 거래소와 교차 상장 계약을 체결한 것을 시작으로 최근 신게임즈, 브링크에셋, 체인업, 유네트워크 등 중국 블록체인 프로젝트팀들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해외 비즈니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벤처캐피털(VC)을 통한 대규모 투자도 추진 중에 있다.캐셔레스트의 투명한 운영도 히트브랜드 대상 수상에 큰 기여를 했다. 최근에는 고객들이 직접 유망 코인들을 발굴해 상장 투표를 통해 상장하는 제도를 운영해 건전한 암호화폐 거래를 활성화하고 건강한 코인 생태계 구축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캐셔레스트의 박원준 대표는 “캐셔레스트가 최근 가치경영대상을 수상한 데 이어 히트브랜드 대상에서도 1위 기업에 선정된 것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걸 증명해준다”고 전하면서 “캐셔레스트는 앞으로도 더욱 투명한 운영, 고객들에게 질 높은 서비스를 통해 건전한 암호화폐 생태계 조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테라, 독자적인 메인넷 4월 출시
테라, 독자적인 메인넷 4월 출시- 위임지분증명(DPoS) 방식 블록체인으로 ‘코스모스 SDK’와 ‘텐더민트’ 이용- 메인넷 1.0 ‘콜럼버스'는 스테이블코인 테라를 기본 통화로 활용하는 금융 디앱(dApp) 위해 설계 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 https://terra.money)가 29일 퍼블릭 블록체인을 공식 발표했다. 지구에서 가장 잘 알려진 탐험가 중 한 명의 이름을 빌려 ‘콜럼버스(Columbus)’라고 명명한 테라의 메인넷 1.0이 올 4월 출시된다. 테라의 메인넷은 ‘코스모스(Cosmos)’ 소프트웨어개발키트(SDK)를 이용하고, 텐더민트(Tendermint) 공동 창립자 겸 최고경영자(CEO) 재권(Jae Kwon, 권용재)이 2014년 개발한 ‘텐더민트’라는 비잔틴 장애 허용(BFT) 지분증명(PoS)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테라 메인넷은 스테이블코인 테라를 기본 통화로 이용하는 디앱(dApp)을 위해 설계됐다. 콜럼버스의 첫 번째 디앱은 차세대 결제 솔루션 ‘테라X(TerraX)’다. 테라X는 이미 한국의 티몬과 배달의민족, 글로벌 쇼핑 플랫폼 큐텐(Qoo10), 동남아 최대 중고거래 사이트 캐러셀(Carousell), 베트남의 티키(TIKI) 등 아태지역 대표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구성된 테라 얼라이언스(Terra Alliance)의 지지를 받고 있다. 연 거래액 28조625억원(250억달러)에 달하는 15개 이커머스 플랫폼이 4500만 사용자에게 테라X를 결제 수단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여러 국가에 기반을 둔 이커머스 파트너들을 위해 테라 메인넷은 원화, 미국 달러, 엔화, 싱가포르 달러, IMF 특별인출권(SDR) 등 각 법정 화폐에 페깅(pegging)된 멀티 스테이블코인을 지원한다. 테라 메인넷은 테라의 스테이블코인들 간 제약 없는 변환을 위해 별도의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서로 직접 교환되는 아토믹 스왑(atomic swap) 기능을 지원한다. 각 스테이블코인 간 원활한 자본 흐름을 통해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는 테라 코인들을 단일 거시 경제로 통합하고, 외환 및 국가 간 결제 효율성을 근본적으로 높여준다. 아토믹 스왑 환율은 WM/로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테라는 콜럼버스의 아토믹 스왑 기능이 글로벌 전자상거래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권도형 테라 공동 창립자 겸 대표는 “일반적으로 온라인 결제 업체들은 해외 결제 정산 시 4~5%의 수수료를 청구한다. 이는 이익 폭이 이미 작은 대다수 전자상거래 플랫폼에게 매우 높고 부담스러운 요율이다. 이 같은 높은 수수료 때문에 대부분 플랫폼들이 한 국가나 지역에서 제한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으로 도약이 어렵다”며 “아토믹 스왑 기능을 통해 다양한 통화에 페깅된 테라 스테이블코인들로 자유롭게 결제 가능한 하나의 큰 경제를 만들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테라 얼라이언스 파트너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테라는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 되기 위해 메인넷의 두 가지 핵심 요소인 비용 효율성과 거래 속도를 모두 최적화했다. 테라는 모든 결제에서 0.1~1% 수준의 낮은 거래 수수료를 부과하며, 독자적인 메인넷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 플랫폼 비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테라X와 같은 디앱은 높은 초당 거래량(tps)을 지원하는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테라의 메인넷은 채굴자가 연산 비용이 많이 드는 퍼즐을 해결하는 대신 본인의 지분으로 투표하는 텐더민트의 간소화된 블록 확정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총 노드 수를 100개로 제한해 속도를 크게 높였다. 테스트넷 기간 동안 콜럼버스는 평균 7000tps를 달성했다. 이는 비자(Visa)가 평균적으로 처리하는 1700tps와 비교해 경쟁력을 갖는다. 테라 메인넷은 수요에 따라 화폐 공급량이 변하는 스테이블코인 테라, 그리고 10억개 발행으로 시작하는 테라 생태계의 채굴 토큰 루나(Luna)를 모두 발행한다. 위임 지분증명(Delegated Proof-of-Stake) 시스템으로 루나 지분량에 따라 순위를 매긴 상위 100개 노드가 테라의 거래를 검증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매 블록(검증) 기간마다 거래를 취합하고 합의를 도출하는 블록 생성자(BP∙Block Producer)를 상위 100개 노드 가운데 선출한다. 블록 확인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테라의 거래 수수료가 징수되고, 이를 블록 생성자에게 보상으로 지급한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테라 메인넷은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들과 상호운용성을 지원한다. ‘블록체인의 인터넷'으로 불리는 코스모스 허브를 비롯해 제휴를 맺은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 온톨로지(Ontology), 캠브리아(Kambria), 토모체인(Tomochain), 오브스(Orbs) 등 여러 플랫폼과 협업하고 있다. 테라의 스테이블코인은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디앱을 지원할 방침이다. 권도형 대표는 “대중화에 적합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안정성이 필수 요소라는 테라의 비전에 대다수 플랫폼과 디앱 파트너가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블록체인 플랫폼이 서로 분리된 현재 상황에서 프로젝트마다 규모의 경제가 제한된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개발하면서 수백 개 ‘스테이블코인’이 생겨나고, 페깅된 가격이 무너졌을 때를 노리는 수천 명의 소로스(Soros)들이 이익을 취하고 있다”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모든 주요 블록체인 플랫폼의 스테이블코인 문제가 해결되고 다른 프로젝트 팀들이 각자 핵심 역량에 주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재권 텐더민트 공동 창립자 겸 CEO는 “텐더민트 코어와 코스모스 SDK 기반의 테라 메인넷 출시가 몹시 기다려진다. 3월 가동에 들어간 코스모스 네트워크는 이 같은 목적으로 설계됐다. 다시 말해 수천 개 디앱과 블록체인이 상호운영 가능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라며 “테라 메인넷 콜럼버스의 첫 번째 사용 사례이자 결제 앱인 테라X는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이 이용할 예정이며 이것만으로도 분산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가치를 입증한다. 전체 블록체인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데 오픈소스의 가치를 보여주는 좋은 예라 생각된다. 여기에 텐더민트가 동참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
미콘커뮤니티,미콘캐시 엠페이(M.PAY)로 병원결제 가능해 진다.
미콘커뮤니티,미콘캐시 엠페이(M.PAY)로 병원결제 가능해 진다. - 결제의 편리성으로 암호화폐 이용자 사용처 확대 길 열어 - 엠페이(M.PAY) 확장성과 편리성으로 더욱 많은 해외 환자 유치 기대 - 미콘캐시, 생활형 코인을 만들기 위해 사용처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지난 19일 ㈜미콘커뮤니티(회장 조재도)는 논현동에 위치한 뷰성형외과와 진료 결제시 미콘캐시 엠페이(M.PAY)를 사용 할 수 있도록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었다. 뷰성형외과는 2005년 개원했으며 지하4층 지상 15층 규모로 가슴성형, 안면윤곽성형, 양악성형, 눈, 코성형, 주름성형 등 성형외과 분야뿐만 아니라 피부과, 마취과 등 의료 전문 진료과도 함께 운영해 종합병원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 곳이다. 또한 외국인 환자를 위한 국제의료지원 사업부와 세분화된 의료 인프라로 진단 및 진료, 수술, 사후관리까지 의료 전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다. 뷰성형외과는 이미 알리페이 지급결제 시스템 사용으로 환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알리페이 뒤를 이어 이번에 미콘캐시 엠페이(M.PAY) 결제 시스템 도입하면서 코인 이용자들의 사용처 확대의 길을 열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뷰성형외과 관계자는 “암호화폐 결제의 편리성과 확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미콘캐시 엠페이(M.PAY)를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뿐만 아니라 엠페이(M.PAY) 결제 시스템으로 더욱 많은 해외 환자를 유치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미콘커뮤니티 미콘캐시는 향후 의,식,주 전반에 미콘캐시를 사용 할 수 있는 생활형 코인을 만들기 위해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미콘캐시 사용 가능한 사업부분에서는 가격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정책도 함께 만들어 암호화폐 사용을 활성화 할 예정이다.
-
암호화폐 코인, 소비자는 현금처럼 가맹점은 현금으로
암호화폐 코인,
소비자는 현금처럼 가맹점은 현금으로
- CSPay Korea 오는 3월30일 한국 런칭
- 스위스 FINMA 인증 받은 CIEX 암호화폐 거래소 설명회도 같이 진행
CSPay
설립자이자 지이동방금융그룹유한회사(智易东方金融集团有限公司)의 주석인 량웨이한(梁卫汉)은 2018년 12월 CSPay
Japan을 설립한데 이어 CSPay
Korea를 오는 3월 30일 코리아나호텔에서
국내런칭 행사를 진행 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스위스 FINMA인증을 받은
암호화폐 거래소 CIEX 설명회도 같이 진행한다.
CSPay는 온라인 오프라인
매장에서 물건과 음식을 구매한 후 비용을 가상화폐로 결재가 가능하도록 했다. 바로 암호화폐의 상용화에 성공한 것이다.
CSPay의 결제 흐름을
살펴보면,
CSPay 홍콩 본사 주거래 은행과 각 국의 현지 은행과의 업무협약 지불보증을 통해 코인으로 구매하는 비용을 대신 지불해 주는 시스템이다. 과거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사용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은행과의 거래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를 CSPay는 홍콩 주거래
은행인 創興銀行(Chong Hing Bank) 과의 협약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점에서 암호화폐로 물건을
구매하고 가맹점은 구매 금액을 법정화폐로 받는다.
현재 CSPay는 일본 오키나와 은행과 협약을 맺고 서비스 중이고, 한국 진출에
앞서 국내 모 은행과 협약을 완료했다.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이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이미 15만 명의 사용자가
등록했다.
빅카메라(BicCamera)
등 주요 상점에서 암호화폐 결제를 시작했다. 현재도 사용자와 가맹점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한국의 경우 이미 국내 사용자 모집을
시작했고,
3월 국내 런칭 이후에는 급속도로 확산
될 것으로 보고 있다.
CSPay는 이미 아태지역에서
홍콩, 마카오, 일본, 등에 진출했고, 한국, 대만 등에 진출을
진행하고 있다.
별다른 하드웨어 없이 기존 판매시점관리(POS) 기기, 혹은 QR코드를 통해 암호화폐 지불이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실시간으로 법정화폐로 교환도 가능하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중국 관광객이 약39만명, 일본 관광객이
20만명이 한국을
다녀갔다.
이는 CSPay를 통해 한국을 방문하는 가상화폐를 보유한 중국 및 일본 관광객이 한국에서도 암호화폐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광산업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현재 CSPay가 진출해 있는
나라의 가맹점에서 환전할 필요 없이 암호화폐로 물건 및 비용을 지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SPay는 애플의 앱스토어나
구글의 구글플레이에서 어플리케이션 CSWallet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CSWallet에는 전자지갑과
지불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암호화폐를 충전할 수
있다. 암호화폐를 가진 사람이라면
스마트폰에서 이 앱을 통해 간편하게 지불이 가능하다. 또한 이 플랫폼에서 비트코인을 신용카드로 구매할 수 있다.
CSPay
한국 대표는 CSPay 상용화를 통해, 해외 관광객 유치를 통한 관광산업 발전과
국경 없는 블록체인 사업을 발전시키는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3월 30일 행사에
참석을 희망하거나 문의사항이 있으면 아래 이메일로 문의하면 된다.
CSPay
Korea whwnghd77@gmail.com 홈페이지 : https://cspay.io, https://ciex.io
-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오텍스 (IoTeX), 내달 초 메인넷 출시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오텍스 (IoTeX), 내달 초 메인넷 출시- 메인넷 리허설 이달 27일 부터 2주간 진행 예정, 내달 초 예정된 메인넷 출시 준비 박차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오텍스(IoTeX)는 지난 27일 대표단 대상으로 메인넷 리허설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미 업비트, 바이낸스 등 대형 거래소에 상장해 있는 아이오텍스가 본격적인 메인넷 출시를 위한 마지막 준비 단계를 시작했다.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오텍스(IoTeX)는 지난 27일 대표단 대상으로 메인넷 리허설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미 업비트, 바이낸스 등 탑티어 거래소에 상장해 있는 아이오텍스가 본격적인 메인넷 출시를 위한 마지막 준비 단계를 시작한 것이다.아이오텍스는 사물인터넷의 한계를 지적하며,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특히 아이오텍스는 세 가지 한계를 특정하는데, ▻IoT 기기가 데이터를 수집/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인정보 보호문제, ▻서로 다른 제조사의 기기들은 호환되지 않는 기기간 호환 문제, 그리고 ▻IoT 기기에 특화된 인프라가 존재하지 않는 문제이다.아이오텍스는 이러한 한계를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런칭과 사이드체인 구축을 통해 극복하겠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메인넷을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IoT 전용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이드체인을 통해 서로 다른 기기간의 호환을 도모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메인넷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이른 시일 내에 메인넷 출시를 앞두고 있는 것은 아이오텍스 프로젝트 일정상 주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아이오텍스팀은 지난 27일 시작된 메인넷 리허설은 향후 2주간 진행되며, 리허설 직후 정식 메인넷이 출시될 예정이라 밝혔다. 메인넷 리허설은 당선된 모든 대표단이 아이오텍스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가동되며, 리허설을 통해 정식 메인넷 출시를 위해 네트워크의 성능과 보안성이 검증된다.아이오텍스의 공동 창업자 롤렌 차이(Raullen Chai)는 “메인넷 리허설은 성공적으로 가동중이다. 이제 메인넷 출시를 위한 모든 준비를 마쳤다” 며 “메인넷 출시 이후에도 아이오텍스의 사업/개발 상황에 관심을 부탁한다” 고 밝혔다.메인넷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친 아이오텍스는 4월 초 메인넷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한편 아이오텍스(IOTX)는 프로젝트의 기술력을 인정받아 바이낸스로부터 골드라벨(Gold Label) 프로젝트로 선정된 바 있는 만큼 사물인터넷(IoT) 산업을 혁신할 아이오텍스 프로젝트의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