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에어플랫폼(AIR Platform), 인프라 확대/확충 통해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으로써의 경쟁력 키워쇼핑몰 키오스크로 유저데이터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분석으로 마케팅, R&D 활용데이터 주도형 플랫폼 에어플랫폼 3.0 서비스 개발 진행 중 O&O(Online & Offline) 융합 플랫폼 선도 기업 ㈜엘토브(elTOV, 대표 김지성)가 오프라인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 ‘에어플랫폼(AIR Platform)들의 사용처를 확장시킨다고 6일 밝혔다. 에어플랫폼은 원격으로 IoT디바이스와 컨텐츠의 관리가 가능한 B2C플랫폼이다. 기존의 어렵고 번거로운 디바이스, 컨텐츠 관리에서 벗어나 에어플랫폼을 통해 공급자들은 다양한 컨텐츠와 디바이스를 ‘에어(AIR)’ 하나로 쉽게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를 이용해 누적된 데이터들을 에어플랫폼으로 통계 자료화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CRM(고객관계관리)의 형태로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 지원,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쇼핑몰 키오스크를 통해 유저 데이터를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마케팅 또는 R&D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엘토브는 기존의 에어플랫폼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장 성장에 맞춰 관리 중심의 플랫폼에서 데이터 주도형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이렇게 향상된 에어플랫폼 3.0은 키오스크를 활용한 오프라인 상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바일과 연동하여 온라인상의 데이터까지 모두 하나로 취합한 빅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더욱 세밀하고 정확해진 사용자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기존보다 더 효율적인 타깃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됐다. 해당 플랫폼은 현재 한국의 롯데, 신세계, 현대, 싱가포르의 캐피탈랜드그룹, 중국 백련그룹, 홉슨그룹 산하의 쇼핑몰에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엘토브는 해당 플랫폼의 사용처를 보다 확장시켜 쇼핑몰 O&O 서비스 영역을 강화할 방침이다. ㈜엘토브 김지성 대표는 “에어플랫폼(AIR Platform)은 키오스크, DID, 미디어월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UI/UX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배포할 수 있고, 윈도우와 안드로이드 OS를 모두 지원하는 진보된 솔루션이다.”라고 설명하며, “에어플랫폼을 확장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플랫폼으로 자리잡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엘토브 에어플랫폼을 기반으로 홍콩/일본에 진출하였고, 향후 동남아시아 시장을 목표로 기술개발과 인프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쇼핑몰블록체인 타우스블록(TauschBloc)의 핵심파트너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타우스블록은 국내 상장을 올해 상반기에 앞두고 있다.
-
美 SEC, 암호화 자산 커스터디 규제 관련 업계 피드백 요청
▲ 日 '금상법 개정안' 통과... 2021년 10월 내 거래소 라이선스 등록 의무화일본 현지 미디어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지난 15일(현지 시간) 일본 내각회의에서 암호화폐 거래 관련 사업 규제를 위한 '금융상품거래법' 및 '자금결산법'의 개정안이 통과됐다. 이에 따라 금융상품거래법 개정안이 정식으로 발효되는 2020년 4월부터 현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은 규제 기관에 사업을 등록한 후 18개월 내로 반드시 라이선스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미디어는 "만약 2021년 10월 전까지 라이선스 등록을 완료하지 못한 암호화폐 거래소는 영업정지 처분을 받게 된다"고 부연했다.▲ 美 SEC, 암호화 자산 커스터디 규제 관련 업계 피드백 요청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업계 인사들에게 특정 암호화 자산의 거래 및 결산에 적용될 수 있는 '수탁 서비스'(커스터디) 규제 관련 피드백을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미국 SEC는 캐런 바(Karen Barr) 투자자문협회 미국 투자자문협회 협회장에게 공개 서한을 발송하며 암호화 자산 커스터디 서비스 규제 관련 정보 수집 계획을 공개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이번 파트너십으로 신원인증과 위치정보를 결합한 탈중앙화 P2P 공유경제 달성 가속화 예감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메타디움(Metadium)이 크립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및 기술을 제공하는 XY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양사는 XYO의 위치기반 정보 SDK를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모델이 뒷받침된 메타디움 플랫폼에 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경제 패러다임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메타디움과 협업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메타디움의 ID기반 탈중앙화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런 점에서, 저희 XYO의 위치기반 데이터 검증 기술과 메타디움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개인정보 관리 기술을 통합하게 되면 전체 네트워크와 정보(위치, 신원, 그 외 관련 정보)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고 개인 정보가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이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상당한 이점이 될 것입니다.”라고 아리 트로우 XYO 대표가 말했다. 메타디움 퍼블릭 블락체인은 ID 기반의 사회적 공유지를 제공하고 탈중앙화된 쉐어하우스, 차량공유 서비스와 같은 진정한 공유경제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에서 XYO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루어질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기술과 XYO 위치기반 솔루션의 결합이 P2P 거래 간 추가적인 투명성과 안전성 그리고 효율성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메타디움이 추구하는 ID 기반의 진정한 공유경제 모델은 메타디움의 신원확인을 통해 거래 주체의 신뢰성 확보를 기본으로,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궁극적으로 중개자(중앙화된 서버)가 배제된 P2P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메타디움 토큰은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거래 비용 지불(에스크로), 수수료, 보상체계 등에 사용될 것으로 본다. “신원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메타디움은 개인정보에 대한 권한은 전적으로 사용자 본인에게 있어야한다는 자기주권형 ID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XYO와의 파트너쉽으로 위치정보를 검증하는 핵심 요소와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모델을 통합하여 개인에 관련된 데이터를 중앙화된 기관이 아닌 정보 소유권자가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메타디움은 진정한 공유경제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의 선봉에 있을 것이며 성공적인 블록체인 유즈 케이스를 선보일 것입니다.” 라고 박훈 메타디움 대표가 말했다. XYO XYO는 2012년부터 IoT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세상과 현실을 연결하고자 한다. 2018년, 크립토그래피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위치기반 데이타 블록체인인 XYO 네트워크를 론칭했다. 전 세계에 무려 1백만 개가 넘는 위치 추적 비콘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XYO의 기술은 GPS 네트워크 기술에 버금가는 위치에 있고 급속하게 전 세계 주요 산업계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파트너사로는 에스리(Esri, 위치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페덱스 연구소(FedEx Research Institute), 르/맥스 멕시코(Re/Max Mexico), 스페이스플라이트(Spaceflight Industries)와 같은 업체들이 있다. XYO의 자문위원들은 네셔널지오그래픽스와 세계경제포럼을 포함한 저명한 기관 출신들이다. https://xyo.network/ https://xy.company/Metadium Technology메타디움은 차세대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제 3자 기관이 아닌, 사용자 본인이 개인 신원정보에 대한 전적인 소유권을 가진다는 개념인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을 실생활에 도입하여 탈중앙화된 개인 신원 정보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자기주권 신원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모든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자의 동의 하에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http://metadium.com
-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피블,아티스타글로벌,레밋,니오앱스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출시 잇따라-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선보여..-소셜미디어, 음원스트리밍, 자동번역 메신저, 해외송금 서비스 등 눈길..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시장 창출을 위해 올해 처음으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과기정통부의 블록체인 발전전략(2018)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민간주도 국민프로젝트는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생활에서 이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과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는 사업이다.이렇듯 정부기관의 블록체인 서비스의 조기 상용화 지원 사업과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속속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자동번역 메신저 서비스, 해외송금 서비스 등이 눈길을 끈다. ◇ 피블(PIBBLE), 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제공.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인 피블(대표 이보람)은 이미 지난 9월부터 알파 테스터들과 함께 피블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으며, 1,2기 알파 테스터 활동을 통해 강력한 미디어 포스트기능을 완성했다. 피블은 이달내 커머스 마켓 오픈과 함께 클로즈 알파테스트에서 오픈 알파테스트로 전환, 본격적인 서비스 오픈 준비에 나서고 있다.일반인과 전문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사진,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피블(PIBBLE)은 사용자가 SNS에서 활동하면 할수록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며 공유 경제를 실현하고, 창작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1석3조’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피블(PIBBLE)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달리, 사진, 동영상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추천하거나 공유하면 최초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물론 참여자 모두에게 피블과 피블브러시라는 암호화폐 보상이 주어진다.한편, 피블은 최근 원화마켓(KRW) CPDAX 거래소에 상장과 함께 커뮤니티 프렌들리(Community-Friendly) 정책에 따라 오픈 알파테스터 모집 부분을 확장, 서비스의 로드맵과 맞추어 해외시장 진출과 해외 거래소 상장도 순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피블은 지난 5일, 업비트 상장 추천 프로젝트인 프로젝트5의 34일간의 경쟁프로모션에서 최종 3위에 올라 업비트 상장 추천을 확정지으며 국내외 10만의 피블 커뮤니티의 파워를 보여주었으며, 픽썸 3라운드 참가 중이다.◇ 니오앱스, 자동 번역 메신저 ‘니오메신저’ 서비스 제공.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특히 니오앱스는 최근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를 야심 차게 출시했다. 니오플레이는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으로,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되어 최종 7Step까지 완료하면, 최대 825,000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NEEO)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NEEO ROBOT’,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NEEO By you,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NEEO RADIO’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아티스타글로벌, 블록체인 기반 음원스트리밍 서비스 제공.콘텐츠 스트리밍 플랫폼 아티스타글로벌(이종현 대표)는 작년 12월 아마존 서버를 통한 글로벌 음원스트리밍 '아티스타뮤직앱'의 베타서비스를 런칭하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최신 K-pop, Pop, 월드뮤직(World Music), J-pop 등을 음원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트스타글로벌(ARTISTA GLOBAL)은 아바타와 스마트폰이 닿으면 아바타앨범으로 접속하게 하는 아바타앨범 서비스로 업계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아티스타글로벌은 두바이에 글로벌 미디어 컨텐츠 유통 및 블록체인 기업으로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10월 이더리움 ERC20 기반의 ‘아티스타(ARTS) 코인’을 발행했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아티스타 뮤직 플랫폼의 음원 스트리밍, 피규어, 문화컨텐츠, 쇼핑 등 서비스 이용자의 결제 수단 및 보상에 사용되는 토큰이다. 이 코인은 유틸리티 코인으로 음악 감상, 플랫폼 내 활동에 따른 리워드를 제공하여 음악 감상하는 재미와 함께 보상이 되도록 구현된다.아티스타(ARTS) 코인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소닉 오픈마켓 상장 후 메인마켓에 1월말 상장했고, 2월에는 국제거래소인 코인제우스와 코아거래소에 상장했다.◇ 레밋(REMIIT),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제공.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REMIIT)(안찬수 대표)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송금 및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국가간 송금과 거래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레밋(REMIIT)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블루팬넷은 2015년 4월에 설립 후 암호화폐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이다.초기 필리핀을 시작으로 중국과 베트남, 호주, 홍콩 등 송금 가능 국가는 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재사용률은 무려 90%로 해외 이주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레밋(REMIIT) 토큰 이코노미는 거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토큰을 레미(REMI)와 렘디(REMD)로 이원화하여 꾸준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했다. 레미(REMI)는 외부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렘디(REMD)는 해외송금업체(MTO)들이 해외 송금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다. 렘디(REMD)를 이용해 국가간 송금업무를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시장에서 레미(REMI)를 획득한 후 이를 스테이킹 해 렘디(REMD)로 교환해야 한다. 레밋은 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테이킹 하는 REMI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REMI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레밋(REMIIT)은 현재 제휴된 해외송금업체들과 2019년 3분기 이후 제한적인 해외 송금 플랫폼이 가동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2019년 로드맵 완수를 위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메이커다오, DAI 안정화 수수료 인상 관련 투표 진행
▲ IMF 이코노미스트 "암호화폐, 전통화폐 대체 불가"온라인 미디어 더내셔널(The National)에 따르면,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소속 이코노미스트 앙투안 부헤(Antoine Bouveret)가 "암호화폐는 전통화폐를 대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암호화폐는 가치저장, 교환 등 화폐로써 기본적인 기능도 수행하지 못 한다"며 "암호화폐의 가치 변동은 그 폭이 지나치게 커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다"고 부연했다.▲ 메이커다오, DAI 안정화 수수료 인상 관련 투표 진행스테이블코인 DAI의 개발업체 메이커다오(MakerDao)가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메이커 재단 임시 리스크팀(Maker Foundation Interim Risk Team)이 DAI의 안정화 수수료(Stability fee) 인상 관련 3개의 거버넌스 투표(Governance Poll) 제안서를 투표 시스템에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안서는 각각 0%(변동 없음), 2% 인상, 4% 인상 등 3개 안으로, 3일동안 투표를 진행하며 19일 새벽 3시부터 시작했다. 투표 결과는 22일 새벽 2시 생방송되는 'Executive Vote(FAQ)'를 통해 공지될 예정이다.▲ 크레이그 라이트, 개인 트위터 계정 폐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Cryptoslate)에 따르면, 18일(현지 시간) 블록체인 스타트업 엔체인의 수석 연구원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가 본인의 트위터 개인 계정을 돌연 폐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해당 미디어는 "최근 크레이그 라이트는 스푸핑 계정(spoof account, 패러디 계정)이 급증하며, 그는 네티즌들의 지속적인 조롱에 시달려왔다"며 크레이그 라이트의 계정 폐쇄 이유를 분석했다. 앞서 크레이그 라이트는 지난 주말 "스푸핑 계정들은 트위터 서비스 약관 및 미국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CMA)을 위반하고 있다며, 지나친 악플 및 조롱에 법적 대응을 마다하지 않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 일본 거래소 오픈 예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 일본 거래소 오픈 예정글로벌 디지털자산(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에서는 글로벌 정책에 맞춰 일본지역에도 거래소를 오픈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BCEX 일본지역의 디지털자산 거래소 ‘OKUBIT’은 일본의 메이져 블록체인 미디어사인 ‘디지털 파이낸스(Digital Finance)’와의 협력을 통해 운영하게 된다. 디지털 파이낸스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을 함께 하고 있는 Japan Blue Castle에서 만든 미디어회사다.이로서 BCEX코리아는 움직임이 활발한 일본 디지털 자산 거래 시장을 통해 유동성을 확대하여 한층 경쟁력을 높이게 되었다. BCEX 코리아는 최근 침체된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신중을 기하고 거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당초 예상했던 오픈일보다 서비스 오픈을 연기한 상황이다. BCEX 글로벌은 암호화폐 시장을 선점해 미래 디지털 금융 산업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을 가진 일본의 흐름에 맞춰 비즈니스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일본 거래소 오픈을 시작으로 하여 올해 내 홍콩, 대만까지 서비스를 아우르는 전략을 통해 BCEX글로벌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CEX 코리아는 BCEX 글로벌과 BCEX 코리아의 유동성을 커넥티드하여 트레이더 및 제도권 고객들에게 보탬이 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하며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차별화된 거래 서비스 제공을 할 계획이라고 했다.
-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원화 구매 가능한 KRWb 상장 통해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증진 핀테크 스타트업 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가 원화 증거금을 기반으로 하여 원화 대비 1:1 가치를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가치안정화폐) KRWb를 일본 상장사 미탭스의 국내 자회사인 업사이드(UPXIDE) 거래소에 오늘 7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장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거래소는 대부분 달러와 1:1비율의 가치를 지닌 암호화폐인 ‘USDT’로 거래가 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USDT 스테이블코인을 구입할 경로가 마땅치 않고,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다양한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데 불편을 겪어왔다. 그러나, 본 상장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은 업사이드 거래소에서 원화로 직접 구매가 가능한 KRWb를 활용해 영국의 BeQuant 거래소 등을 비롯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손쉬운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KRWb는 지난 1월 30일 BeQuant 거래소에 상장을 완료했다. 김환 비엑스비 공동대표는 “국내의 경우 대형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USDT 거래는 가능하나, 원화를 이용해서 직접 구매가 불가능하고 입출금 또한 지원되지 않는다. 국내의 일부 중소형 거래소에서는 원화를 이용하여 USDT를 구매할 수 있으나, 거래량이 워낙 적어서 유의미한 거래가 불가능하다”며 “KRWb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내국인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영국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인 BeQuant의 대표이사 조지 자르야(George Zarya)는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하고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아주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테더(USDT)가 앞도적인 발행량 및 거래량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KRWb처럼 각국의 규제에 준하면서 투명하게 운영되는 신규 스테이블코인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라고 했다.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 소개비엑스비(BxB Inc.)는 블록체인 핀테크 법인으로서 2018년 5월에 설립된 스타트업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유명 투자사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의 포트폴리오 기업인 O2O 플랫폼 ‘숨고’를 창업한 강지호, 김환 대표 파트너를 비롯하여 블록바이블록캐피탈(Block by Block Capital)의 JJ Peterson, Alex Friedberg를 포함한 4명의 창립 파트너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비엑스비는 가치 안정성과 신뢰도가 검증이 되는 스테이블코인에 주목하여 최초의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를 발행하였으며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인 코블릭에 최초 상장시켰습니다. 비엑스비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KRWb를 안전자산으로 공급하며 다양한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 소개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는 법정통화인 원화 증거금 기반으로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모든 KRWb 코인은 비엑스비(BxB Inc.)의 KRWb 신규 발행 및 회수 정책에 따라 원화와 1:1 로 연동됨으로써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가격을 유지를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ERC20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 혹은 개별 이더리움 지갑을 통해 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제 법정 통화를 보유하지 않고도 자산을 안전하게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안정적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
본다빈치㈜, 세계거래량 2위 국제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 상장 계약 체결
본다빈치㈜, 세계거래량 2위 국제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 상장 계약 체결최근 암호화폐인 BSD(Bondavinci Standard decentralization)를 개발하고 블록체인사업에 출사표를 던진 본다빈치㈜가 본다빈치 뮤지엄 능동(어린이회관 기획전시실)에서 와 전시의 성공적인 오픈에 이어, 해외 코인상장을 위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와 상장체결식을 진행하였다.본다빈치㈜는 국내 대형 디지털 전시를 이끌어온 선두 주자로서 자체 제작하여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아트 예술작품 및 전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거래소를 만드는 사업을 위해 컬처코인 BSD를 개발하였다. BSD는 기존 가상화폐의 폴리곤 로고와는 다른 신선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가상 빌리지에 살고 있는 귀여운 토큰이자 자체 캐릭터를 담고 있는 컬처 코인이다이 가상화폐는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세계의 재화에 활용되기 위한 실질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특히 예술작품과 각종 문화적 영역의 저작권 등을 공동 소유 할 수 있는 아트 블록체인 거래소(온라인 플랫폼/ 오프라인 거래소)의 중요 기축통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이처럼 본다빈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BSD코인과 상장 체결식을 갖게 된 디지파이넥스는 쑨레이, 텐센트, 바이두, HP 등의 IT회사 출신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모여 2017년 싱가폴에 설립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으로 1일 거래량 600만 달러(한화 68조원)로 전세계 거래량 5위에서 최근2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으로 1위 거래소인 바이낸스 다음으로 높은 신뢰도와 거래량을 자랑하고 있는 굴지의 메이저 거래소 중 하나다.본 상장 체결식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디지파이넥스 공동설립자 키아나 쉐크는 이번 BSD상장과 관련하여 “BSD는 오랫동안 신뢰를 쌓아온 한국의 실질적인 문화 전문 회사가 개발한 실용적인 코인으로 사업성, 목적성 등 비전이 확실하여 실용적이고도 신뢰성이 높아 디지파이넥스의 스토어에도 제휴가 가능한 프로젝트”라고 밝히며,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한 BSD코인을 높게 평가히였다. 또한 본다빈치 프로젝트의 BSD 코인뿐만 아니라 전시 사업의 중국 진출을 돕겠다며 큰 관심을 보였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3-28 :: "자살이라더니…" 돌아온 탑비트 CEO "거래사이트 정상화할 것"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dlsdlsl⠀⠀⠀⠀⠀⠀⠀[기사 바로보기]▪️ "자살이라더니…" 돌아온 탑비트 CEO "거래사이트 정상화할 것"https://bit.ly/2HJ57mt▪️ Cboe 비트코인 선물 판매 중단이 대수롭지 않은 이유https://bit.ly/2Wsyqgl▪️ 코인베네 거래소, 해킹 의혹에 '단순 시스템 점검' 해명https://bit.ly/2FEfrtI▪️ 후오비 프라임, 첫 프로젝트 19초만에 완판...'바이낸스 런치패드' 따라하기 성공https://bit.ly/2Wvjkae▪️ 빗썸, 신세계면세점과 제휴...'빗썸캐시 결제 서비스' 출시https://bit.ly/2JYQYnp▪️ 트론, BitTorrent Live 공식 출시https://bit.ly/2FAEkVW
-
中 후룬 '글로벌 청년 자수성가 부호 랭킹', 비트메인 잔커퇀 19위
▲ 블룸버그 "쿼드리가 공동 창업자 패트린, 미국 사기 전과자 다나니와 동일인물"19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이 "캐나다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쿼드리가CX의 공동 창업자 마이클 패트린은 미국에서 사기 전과로 추방당한 '오마르 다나니'와 동일 인물"이라고 보도했다. 앞서 마이클 패트린은 지난 2월 캐나다 현지 미디어 글로브 앤 메일 신문(Globe and Mail newspaper)의 '2005년 미국서 신용카드 사기 공모로 유죄를 선고받고 복역 후 추방당한 오마르 다나니와 마이클 패트린은 동일인물'이라는 보도를 부인한 바 있다. 하지만 블룸버그가 입수한 기록에 따르면 마이클 패트린은 2003년 3월 캐나다서 오마르 다나니(Omar Dhanani)에서 오마르 패트린(Omar Patryn)으로 개명, 5년 후 현재의 마이클 패트린으로 개명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패트린은 전과 및 개명 관련 언급을 회피했다. 또 그는 쿼드리가 거래소의 'BTC 자산 유실'과 관련해 "3년 전 쿼드리가의 상장 절차와 관련해 경영진과 의견 차이가 생겼고, 해당 시점부터 거래소의 운영이나 경영에 관여하지 않았다"며 선을 그었다.▲ 中 후룬 '글로벌 청년 자수성가 부호 랭킹', 비트메인 잔커퇀 19위19일 '중국판 포브스' 후룬(胡润)이 선정한 '2019 40세 이하 자수성가 부호 랭킹'에 잔커퇀, 우지한 등 비트메인 공동 창업자들이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해당 랭킹에서 잔커퇀은 19위, 우지한은 36위를 기록했으며, 미디어에 따른 이들의 자산 규모는 각각 185억 위안(약 3조 1,133억원), 100억 위안(약 1조 6,829억원)으로 집계됐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바이낸스, 탈중앙화 거래소 공개
바이낸스, 탈중앙화 거래소 공개세계최대 암호화폐거래소 바이낸스가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공개했다.21일 바이낸스는 보도자료를 내고 하루전인 20일 자사의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 덱스Binance DEX의 테스트 네트워크(이하 테스트넷)를 공개했다. 바이낸스는 테스트넷을 통해 바이낸스 덱스의 운영상황을 점검하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취합한 후 정식 버전인 메인 네트워크를 출시할 계획이다. 메인 네트워크는 현재 발행된 바이낸스 코인BNB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덱스는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의 준말이다. 단순히 암호화폐 트레이딩만을 제공했던 기존 거래소와는 달리, 블록체인의 이상인 탈중앙화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평을 듣는다. 별도의 운영주체가 없이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블록체인에 기반해 외부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이다. 쉽게말해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가 본사의 판매정책과 정찰가격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대리점’이라면, 덱스는 다양한 유저들이 각자의 필요에 맞추어 물건을 사고파는 ‘11번가’나 ‘옥션’같은 오픈마켓에 가깝다.그동안 덱스를 구현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유저들의 인기를 끄는 데에 실패했다. 거래속도가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에 비해 느리고, 사용이 불편해 많은 사용자가 모이지 않은 탓이다. 사용자 상호간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덱스의 특성상 사용자가 모이지 않으면 거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바이낸스 덱스는 테스트넷 출시전부터 암호화폐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바이낸스가 이미 세계 190국에 걸쳐 수백만의 사용자를 보유한 만큼, 사용자를 손쉽게 끌어모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높다. 또한 초당 140만건을 처리할 수 있을만큼 신속한 기존 바이낸스의 거래처리속도를 덱스 위에서도 구현해 지금까지 출시된된 다른 덱스들과 차별화될 전망이다. 비트코인이 단일 거래 처리에 10분, 이더리움이 20초 정도가 걸리는데 비해 바이낸스 덱스는 1초 단위의 거래처리를 목표로 삼고 있다.바이낸스의 CEO인 장펑자오는 “개인에게 자산관리의 자율성과 책임을 보유하는 것이 진정한 블록체인의 이상”이라면서 “무엇보다 철저한 보안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고 말했다.
-
후오비 프라임 첫 프로젝트 ‘TOP 네트워크’, 완판
후오비 프라임 첫 프로젝트 ‘TOP 네트워크’, 완판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는 유망 프로젝트 소개 플랫폼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의 첫 프로젝트 ‘TOP 네트워크(TOP Network, TOP)’가 26일 판매가 완판됐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일 처음 공개된 후오비 프라임은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을 갖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해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에 상장하는 새로운 플랫폼이다. 첫 프로젝트인 TOP 네트워크(TOP)는 26일 22시(한국 시각) 판매 시작과 동시에 매수자가 몰리면서 1라운드 물량 3억 TOP가 7초만에 완판 됐다. 이날 TOP 네트워크 총발행량의 7.5%에 해당하는 물량인 약 15억 TOP가 투자자 리스크 감소를 위해 30분 간격의 총 3라운드로 분할 판매 후 후오비 토큰(HT) 마켓에 상장됐다. 특히 거래가 시작되자 접속자 수가 순간적으로 폭등하는 등 시장의 높은 관심을 모았다. 집계 결과 약 13만명의 글로벌 유저들이 TOP 네트워크(TOP) 지정가 거래에 참가했고, 이 중 3,764명이 매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오비 프라임의 두 번째 프로젝트 거래는 4월 16일 진행된다. 이날 완판된 TOP 네트워크(TOP)는 메시지, 음성(VoIP) 서비스, 미디어 스트리밍, 사물 인터넷 데이터 공유 등 다양한 탈중앙화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분산형 통신 네트워크이다. TOP 네트워크처럼 후오비 프라임을 통해 판매 및 후오비 토큰(HT) 마켓에 상장된 암호화폐는 추후 KRW(후오비 코리아), BTC, ETH, USDT 마켓에도 순차적으로 상장될 예정이다.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오세경 실장은 “예전 ICO 방식은 프로젝트 자본 조달부터 상장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고 그 과정에서 시세 하락 등의 문제들이 발생했다”며 “후오비 프라임을 통해 공개된 프로젝트는 투자자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안전장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후오비 토큰(HT) 마켓에서 바로 거래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비트메인 "앤트마이너 Z11, 판매수량 관련 정보 전면공개
▲ 비트고, 증권형 토큰 'BACP'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월렛 및 수탁(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업체 비트고(BitGo)가 블록체인 캐피탈(Blockchain Capital)이 발행한 증권형 토큰 'BCAP'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비트고 벤 찬(Ben Chan)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증권형 토큰은 기관 투자자들에게 점점 더 중요한 자산 클래스로 거듭나고 있다"고 밝혔다.▲ 그랜트 손턴 "USDC, 연동 계좌 달러 보유량 충분"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그랜트 손턴(Grant Thornton)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28일 11시 59분(UTC)까지 236,917,932 달러 규모의 USDC가 발행 및 유통됐으며, 위탁 계좌에 236,939,216 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보고서 발표 시점 기준, 서클이 발행 및 발행 예정인 USDC의 총액은 위탁계좌 내 달러 보유량의 가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메인 "앤트마이너 Z11, 판매수량 관련 정보 전면공개"19일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업체 비트메인이 신형 지캐시(ZEC, 시가총액 21위) 전용 암호화폐 채굴기 앤트마이너 Z11을 출시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ZEC 커뮤니티는 ASIC 채굴기의 성능 향상으로 인한 블록체인 보안 문제에 우려를 나타냈다. 이와 관련해 비트메인 관계자는 코인니스와의 인터뷰에서 "ZEC 커뮤니티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비트메인은 Z9 채굴기의 판매수량 등 정보를 공식 트위터 계정에 공개할 예정"이라며 "ZEC 커뮤니티는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해시파워 변화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ZEC는 현재 3.05% 오른 55.8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성황리에 마무리!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성황리에 마무리!- 사전 심사 거쳐 선정된 알파펫, AXL, 레디, 리모핏, 투어컴, 직토큰 6개 블록체인 프로젝트 참가- 넥스트드림엔젤클럽, 시리즈액셀러레이터부터 후오비, 코인제스트, 벨릭, 프릭스빗, 트래빗, 유니엑스, IDAX, 한빗코 등 거래소 참석하여 유망 프로젝트 발굴 모색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이자 마케팅 전문가 그룹 ㈜함샤우트 (공동대표 김재희, 함시원)와 투자 매칭 플랫폼 한국M&A센터 (대표 유석호)가 주최한 ‘2019 벤처 스타트업 캐스팅 페어’ 행사가 업계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계사들이 힘을 모아 블록체인 업계 전체의 ‘상생’과 ‘협력’을 도모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기획되었다. 발표 신청을 한 30 여 개 기업 중 자문단의 사전 평가를 통해 6개사가 선정되었다. 행사에는 10여 개의 투자사와 15여 개의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 등이 투자 및 상장 대상 검토를 위해 참석해 진지하게 발표를 듣고, 개별 미팅을 진행하는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논의 분위기가 뜨거웠다. 주최측 함샤우트 김재희 공동대표의 환영사에 이어 블록체인스타트업협회 신근영 회장이 참가 기업를 격려하고 참석자들에게 업계 발전을 위한 협력을 당부하는 축사를 했다. 또한, 한국M&A센터 유석호 대표가 ‘2019 블록체인 투자 기상도 및 전략’을, 함샤우트 함시원 공동대표가 자사의 1호 비즈니스 액셀러레이션 사례인 ‘알파콘(ALPHACON)’에 대한 케이스 스터디를 발표했다. 본 세션에서6개 참가사가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발표를 진행했으며, 발표사와 참석자들 간 개별 상담이 이어졌다. 행사에서 발표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반려동물 헬쓰케어 플랫폼 ‘알파펫(ALPHAPET)’ ▲암표 근절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프로젝트 ‘에이엑스엘(AXL)’ ▲재생에너지 데이터 마켓 플레이스 ‘레디(REDi)’ ▲글로벌 P2P 교육 플랫폼 ‘직톡’의 리버스 ICO ‘직톡큰(ZIKTOKEN)’ ▲개별 여행 지원 플랫폼 ‘투어컴(TOURCOM)’ ▲온라인 골프 피팅 플랫폼 ‘리모핏(REMOFIT)’ 이었다. 행사에 참석한 후오비코리아 거래소의 조레이 (Lei Zhao) 사업 개발 매니저는 “한국에는 아직 상장하지 않은 훌륭한 코인들이 많이 있다. 잠재력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해 상장 추진을 지원하고, 후오비코리아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해 이번 행사에 참석했다.” 며, “일반적으로 우리는 검증된 팀, 앞선 블록체인 기술 기반, 유용한 제품, 그리고 건강한 이용자 그룹이 있는 코인을 선호한다. 더 많은 훌륭한 프로젝트를 검토하고 상장시켜, 이제 막 시작된 블록체인 트렌드가 한국 시장에서 자리잡을 수 있는 기회를 만들겠다. 오늘 행사에서 다양한 산업 군의 좋은 프로젝트들을 만났고 개별 미팅을 가졌다. 아주 훌륭한 행사였다” 라고 만족감을 표했다. 행사를 공동 기획한 한국M&A센터의 유석호 대표는 “블록체인 투자는 작년보다 다소 위축되었지만, 올해는 많은 Dapp들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실질적인 블록체인 상용화 원년이 될 것” 이라며, “많은 거래소와 투자사, 액셀러레이션 관계자들에게 훌륭한 사업 모델과 기술력, 사업 경험을 가진 유망한 프로젝트를 소개한 이번 행사가 발표사들에 대한 투자와 상장, 마케팅 지원을 이끌어 내고, 나아가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 고 기대를 밝혔다. 한편, 행사를 역시 공동 기획한 함샤우트의 김재희 공동 대표는 “유망 블록체인 기업을 발굴해 투자 유치 및 상장과 마케팅 지원, 그리고 업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자 이번 행사를 100% 무료로 준비했다. 많은 기업이 신청했는데 다 모시지 못해 죄송하다.” 며 “오늘 발표한 6개 사가 이번 행사를 계기로 좋은 비즈니스를 만들어 나갈 수 있길 바란다. ” 며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
캐셔레스트, 대한민국 가치경영대상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 수상
캐셔레스트, 대한민국 가치경영대상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 수상고객가치 경영 경쟁력 높이 평가… 순수 자체 개발인력으로 캐셔레스트 개발, 운영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캐셔레스트를 운영하고 있는 뉴링크(대표 박원준)는 26일 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2019 대한민국 가치경영대상 시상식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2019 대한민국 가치경영대상은 고객이 실질적으로 얻고자 하는 가치에 중점을 두고 차별화된 고객만족을 제공하는 기업을 발굴해 시상하는 행사다. 따라서 그동안 고객가치 경영을 추진해 오면서 경쟁력을 키워왔으며, 순수 자체 개발인력으로 캐셔레스트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을 개발, 무사고로 운영해온 점을 높이 평가받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에서는 최초로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특히 캐셔레스트는 평균 개발경력 10년 이상의 전문 개발진이 주축이 되어 전문 하드웨어 지갑을 통한 고객 자산 보호, 국내 최고 수준의 보안 관리 및 24시간 시스템 관제를 통해 단 한 번도 보안 해킹 사고를 당하지 않는 안정성을 자랑하고 있다.또한 고객의 자산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는 캐셔레스트는 지난해 금융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계좌와 패턴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이상금융거래감지시스템(FDS)을 통해 1억 원에 달하는 보이스피싱을 막아내기도 했다.캐셔레스트 박원준 대표는 “그동안의 노력이 대한민국 가치경영대상에서 소프트웨어 개발 부문 대상 수상으로 이어져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캐셔레스트는 앞으로도 우수한 개발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다양한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바이낸스, 보안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바이낸스, 보안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글로벌 암호화폐 바이낸스가 돈세탁 방지와 사기거래 근절을 위해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다.바이낸스는 27일(몰타 현지시간으로 26일) 데이터 보안을 위해 온라인 컴플라이언스 전문업체 아디덴티티마인드(Identitymind)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아이덴티티마인드가 제공하는 리스크 관리 솔루션을 기반으로 실명인증(KYC)을 강화하고 글로벌 자금세탁방지법(AML)을 준수할 계획이다.아이덴티티마인드는 디지털 업체들에 이디엔에이(eDNA) 기술을 토대로 실시간 위험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존재하는 모든 수상한 거래와 컴플라이언스 위반 행위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해킹위협과 돈세탁을 예방하고 있다.바이낸스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인 사무엘 림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해킹 피해가 속출하면서 이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아이덴티티마인드 보안 솔루션을 도입한다”면서 “바이낸스는 고객 보호와 컴플라이언스에도 앞으로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전략 고문으로 펜부시 캐피털 파트너 보 셴 영입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전략 고문으로 펜부시 캐피털 파트너 보 셴 영입- 중국 최초 분산 원장 기술 전문 펀드의 공동 창립자 영입-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에 관심 차세대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글로벌 크립토 펀드 펜부시 캐피털(Fenbushi Capital)의 창립자이자 파트너 보 셴(Bo Shen)을 전략 고문으로 영입했다. 보 셴은 2015년 중국 최초로 설립된 분산 원장 기술 전문 벤처 펀드인 펜부시 캐피털의 공동 창립자이다. 보 셴은 보세라 펀드 출신의 샤오 펑(Xiao Feng)과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 (Vitalik Buterin)과 함께 펜부시 캐피털을 창립했으며, 현재 비탈릭 부테린은 고문으로 참여하고 있다. 보 셴은 펜부시 캐피털의 창립 이전 증권사, 헤지 펀드, 투자 은행에서 수년간 경험을 쌓아온 금융 산업의 베테랑으로 기존 산업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펜부시 캐피털의 성공을 이끈 인물이다.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지난 2월 20일 글로벌 대기업으로 구성된 운영 위원회 멤버를 최초로 공개한 연례 행사를 서울에서 개최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이번 중국계 분산 원장 기술 전문 펀드 출신 전문가 보 셴의 영입은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본격적인 행보를 보여주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총괄인 에드가 세아(Edgar Seah)는 "셴은 분산 원장 기술 업계에서 풍부한 경력과 네트워크를 가진 전문가이다”라고 말하며 “그가 고문으로 참여하게 되어 기쁘고 영광이며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에서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성장과 기술 도입의 촉매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
스위스-에스토니아 핀테크 기업 프리페이웨이, 크라우드펀딩 진행
스위스-에스토니아 핀테크 기업 프리페이웨이, 크라우드펀딩 진행스위스-에스토니아 핀테크 기업 프리페이웨이(PrepayWay)가 지분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을 진행 중이다.3월 19일부터 시작된 이번 크라우드펀딩에 참여하면 핀테크 스타트업 프리페이웨이(PrepayWay Systems Estonia OÜ)의 지분을 갖게 된다. 프리페이웨이는 세 가지의 주요 서비스(PrepayWay Real Estate, PrepayWay Global Trade, Elleeo)를 개발 중이며, 자체 토큰인 인빗(InBit) 토큰 발행을 계획하고 있다.프리페이웨이는 다양한 기업 간의 국제 계약, 협업, 결제를 간편화하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한다. 기존의 문서 작업 흐름 관리 시스템에 의존하는 국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프리페이웨이는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올인원 플랫폼을 창안했다. 이는 변호인, 은행, 에스크로 사업자 그리고 중재 기관의 기능을 모두 융합하여 국제 거래의 모든 과정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진행할 수 있게 한다.주요 서비스 중 하나인 부동산 계약 및 에스크로 툴은 프로토타입까지 완성되었으며, 자금 조달 플랫폼인 Elleeo는 데모 버전이 출시되어 있어 실계정 생성 후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다. 온라인 계약서 템플릿, 법정통화-암호화폐 통합 결제 게이트웨이 등 각 서비스의 핵심 요소들은 실제 비즈니스에 바로 도입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프리페이웨이의 CEO Nikolai Kalinin은 “거래의 시작부터 끝을 위한 솔루션은 국제 비즈니스 시장에 이제껏 존재하지 않았다”며 “때문에 프리페이웨이가 새롭게 제안하는 서비스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폰이 다양한 기능들을 하나의 기기에 결합함으로써 소통하는 방식을 바꾸었듯이, 프리페이웨이는 기업들의 사업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