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상장) 매틱 네트워크,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 덱스 상장
[마켓+](상장) 매틱 네트워크,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 덱스 상장이더리움 확장성을 위해 사이드체인(Sidechain)을 활용한 레이어 2(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 매틱 네트워크(Matic Network)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의 탈중앙화 거래소 덱스(DEX)에 상장했다고 밝혔다.매틱 네트워크는 토큰의 높은 유동성 공급을 위해 바이낸스 덱스에 상장했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덱스 상장을 위해 바이낸스 체인 기반(BEP-2) 표준을 적용한 매틱(MATIC) 토큰을 발행했다. 기존 이더리움 기반(ERC-20)의 매틱 토큰과 바이낸스 체인 기반의 매틱 토큰의 발행량은 각각 100억 개로 1대1 비율이 고정된다.매틱 네트워크는 일정한 수량의 토큰을 바이낸스 체인으로 이전할 계획은 없지만 유저들이 바이낸스 체인의 토큰으로 스왑(Swap)함에 따라 바이낸스 덱스의 유동성은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아울러 상장 전 ERC-20과 BEP-2간의 매틱 토큰 스왑 기능이 도입되었다. 바이낸스 덱스에서 토큰을 거래하고 싶은 유저는 매틱이 제공하는 토큰 스왑 플랫폼을 통해 언제든지 교환이 가능하다.한편, 매틱 네트워크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와 바이낸스 랩스로부터 투자받으며 주목받았다. 최근 알파-메인넷(Alpha-Mainnet)을 출시하였으며 개발자들은 매틱 네트워크의 사이드체인을 통해 이더리움 메인넷 위에서 디앱(DApp)을 구축하고 테스트까지 가능하다.
-
[마켓+](거래소) 업사이드, 블록체인 P2P 자산 거래 플랫폼 오픈씨와 업무협약 MOU 체결
[마켓+](거래소) 업사이드, 블록체인 P2P 자산 거래 플랫폼 오픈씨와 업무협약 MOU 체결양사 크립토 사업 경쟁력 확보 및 창의적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MOU 추후 UPXIDE 거래소의 크립토샵 내 NFT 상품 등록 예정2019년 8월 14일 (뉴스와이어) -- 업사이드(대표 김승연)는 블록체인 P2P 자산 거래 플랫폼 오픈씨(OpenSea)와 업무협약 MOU를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오픈씨는 게임 내 디지털 자산을 암호화하여 사용자들이 게임 환경을 벗어나 거래소에서도 게임 아이템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해킹 위험이 없는 투명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블록체인 게임 산업 생태계 발전에 앞장서고 있다.이번 MOU는 양사의 크립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창의적인 생태계 구축을 위해 체결되었으며, 오픈씨의 기술 지원으로 업사이드에서 운영하는 UPXIDE 거래소 내 크립토샵에서 NFT(Non-Fungible Token)와 관련된 상품들을 등록할 예정이다.업사이드 김승연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하여 블록체인 게임 아이템, 디지털 콘텐츠와 같은 획기적인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추후 NFT 상품 이외에도 실물 코인과 제품 등 다양한 상품이 론칭될 예정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린다”고 말했다.오픈씨의 데빈 핀저 대표는 “이번 MOU를 통해 업사이드와 함께 시너지를 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8-16: 비트코인 1,259만원대 상승…바이낸스 CEO, 2개월 안에 미국 사업부 출범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259만원대 상승…바이낸스 CEO, 2개월 안에 미국 사업부 출범https://bit.ly/2Z7EoUM이번 비트코인 하락은 8개월만의 매우 강한 ‘매수’ 신호https://bit.ly/2ZaWMMV마이너스 금리 시대, 금과 비트코인의 수요를 불러올 것https://bit.ly/307ktH4삼성 블록체인 키스토어, 이더리움 외 비트코인 및 카카오 클레이튼 지원https://bit.ly/2Z9XxFI유명 애널리스트 "최근 비트코인 가격 움직임, 2017년 황소장과 비슷"https://bit.ly/2KCFqnW지난해 대비 트위터에서 암호화폐 사기 95% 증가https://bit.ly/2MjJ8VG
-
[마켓+](거래소) 비박스(Bibox), 제3회 Bibox Orbit 기획 BlockPool 토큰 상장. 사용자는 BIX 홀딩으로 참여.
[마켓+](거래소) 비박스(Bibox), 제3회 Bibox Orbit 기획 BlockPool 토큰 상장. 사용자는 BIX 홀딩으로 참여. 암호화폐 거래소 Bibox는 14일 공식 공지를 통해 제 3회 “Bibox Orbit” 기획을 오는 16일 신청 개시하며, 22일 추첨 결과와 추첨 한도에 대해 공개하고 23일 BPT/USDT, BPT/BIX 거래를 오픈한다고 밝혔다. 이번 Orbit 기획은 2 라운드로 나눠서 진행되는데, 첫 라운드는 모든 사용자가 참여하는 청약 형식이며, 총 금액의 60%를 차지하고, 홀딩하고 있는 BIX 대상으로 스냅샷을 통해 한도가 정해지며, 두 번째 라운드는 Bibox 지역 파트너(대사) 대상으로 첫 라운드와 동일하게 BIX를 통해 한도를 정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어, “본 Bibox Orbit 기획은 야심 차게 준비한 프로젝트이며, 중국 국내 저명한 하드웨어 개발 퍼블릭 블록체인 하이퍼블록(HPB)에서 최근 개발된 마이닝 풀 프로젝트로서, 블록체인, 하드웨어 칩, 인공지능 등 베테랑 전문가 자원이 모여, 반도체 연구개발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최상의 마이닝 서비스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고 있기 때문에 상장 후에는 더욱 사용처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라고 전했다.또한, Bibox는 BlockPool과 협력해 Staking 2.0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며, “홀딩은 곧 채굴”형식으로 저당 수익을 누릴 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유롭게 거래를 이용할 수 있으며, Staking 채굴 이용 시 ‘300만 BPT 보상 획득’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
[마켓+](거래소)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댑 라이브’ 성료
[마켓+](거래소)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댑 라이브’ 성료해커톤, 웨이키TV 우승… 댑의 현 상황 알아보는 세미나, 콘퍼런스 함께 진행해 블록체인 멘토링 카페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가 주관한 ‘후오비 코리아X웨이키체인 댑라이브(D’APP Live)’ 행사가 250 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료 했다고 밝혔다. 지난 10일 개최된 댑라이브는 후오비 코리아와 웨이키체인이 공동으로 주최한 소규모 블록체인 콘퍼런스다.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댑의 기술과 트렌드를 짚어보겠다는 주제 아래 열렸다. 이번 행사엔 250여 명의 넘는 투자자가 참석했으며 후오비 차이나 CEO를 비롯해 20여 명의 블록체인 전문가가 패널과 연사로 참여했다. 특히 웨이키체인 외에도 그라운드 엑스의 클레이튼과 관련 댑들이 참여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후오비 코리아 박시덕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이번 행사를 통해 댑 관련 트렌드에 대한 고찰과 함께 참가자들이 네트워크 구축해 블록체인 산업을 발전시키길 바란다”라는 메시지를 전했다.D’APP LIVE를 통해 진행한 기술 세미나에서는 웨이케체인의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블록체인의 활용성 및 댑에 관해 설명했다.같은 날 기조 연설자로 나선 임관령 후오비 코리아 거래소 사업본부장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온 것과 같이 암호화폐 거래소도 지속적으로 변화해나가고 있다”라며 “이 같은 변화 속에서 댑의 생태계 발전을 위해 유동성, 상호 운영성, 접근성 등을 갖춰야한다”라고 강조했다.이 밖에도 디앱의 생태계, 상용화, 블록체인을 활용한 댑들이 어떻게 시장을 진입하고 운영하는지에 대한 주제로 스피치가 진행됐다. 한편 댑라이브와 함께 2일부터 진행된 해커톤의 우승팀은 ‘웨이키TV’로 3,200TPS에 달하는 웨이키체인을 활용한 디앱이다. 블록체인 방송 플랫폼을 통해 국가 간의 장벽을 허물고, 글로벌 BJ들이 배틀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시청자들도 적극적인 참여를 해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승 팀에게는 총 20,000달러의 상금과 함께 웨이키체인 본사 초청이 부상으로 수여됐다. 이날 진행된 해커톤은 총 20개 팀이 참여 신청했으며, 개 팀이 본선에 진출해 24시간 동안 웨이키체인의 댑의 개발을 진행했다.▲ ISDA, 여성 블록체인 인력 양성을 위한 인큐베이팅 나선다비커밍 펠로우십은 비트코인재단 이사회의 브록 피어스 회장, 유엔미래포럼의 박영숙 회장, 김 대표가 공동 설립한 BPF재단의 주최로 문을 열었다.여성 블록체인 창업가 펠로우십은 여성 블록체인 인력 양성을 위한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펠로우십(블록체인 교육) △인턴십 △인큐베이팅(창업 지원교육) 3단계로 진행된다. ISDA는 인턴쉽을 지원하는 과정에 파트너로 함께 한다.ISDA 관계자는 "올해 출범한 글로벌 유소년 데이터 플랫폼이다. 4차 산업 시대의 IT 기술을 활용하여 우수 유소년 선수 발굴 및 육성을 위해 만들어졌다. ISDA의 유소년 맞춤형 데이터관리 플랫폼은 기존에 프로 레벨의 선수들이 활용하고 있는 고가의 경기분석 장비와 기술을 유소년 선수들도 아주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선수들의 뛴 거리, 속도, 심박수, 훈련량 등 각종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훈련법을 찾아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전했다.4차산업 시대의 IT 기술을 활용하여 상위2% 엘리트에게만 제공되던 서비스를 나머지 98% 선수들도 누릴수 있도록 제공하고 이를 통해 유소년들이 축구에 대한 즐거움을 오래도록 간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8-14: 비트코인 1,314만원대 하락…모건크릭 창업자, 투자은행은 비트코인 투자에 눈 뜨는 중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314만원대 하락…모건크릭 창업자, 투자은행은 비트코인 투자에 눈 뜨는 중https://bit.ly/304E7Dy비트코인에 대한 감정이 ‘공포’로 전환 (공포 지수 45)https://bit.ly/2MgKvEq투자가들, 암호화폐 밖으로 눈 돌려https://bit.ly/2TtMJRH美, 휴대전화 등 중국산 일부 제품 '10% 관세' 12월15일로 연기https://bit.ly/2N0LxUF북 정찰총국, 한국 암호화폐 10차례 털었다https://bit.ly/3013Dtt뉴질랜드, 암호화폐로 월급 수령 가능...납세해야 해 https://bit.ly/33pHsPA
-
[마켓+](상장) 알고랜드, 코인베이스 프로 상장 발표
[마켓+](상장) 알고랜드, 코인베이스 프로 상장 발표-지난 6일 발표된 상장 검토 항목 중 첫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선정-프로젝트 공개 7주 만에 글로벌 대형 거래소 연속 상장 성공블록체인 플랫폼 알고랜드(Algorand)가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내 거래 플랫폼 코인베이스 프로(Coinbase Pro)에 8월 14일 상장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상장은 지난 6일 코인베이스가 밝힌 상장 검토 프로젝트 공지에 이은 발표이다. 코인베이스는 알고랜드, 코스모스, 옽톨로지, 대시를 포함한 총 8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에 대한 상장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며, 그 중 알고랜드의 알고(ALGO)가 가장 먼저 코인베이스 프로에 상장될 예정이다. 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명예 교수가 만든 국경없는 경제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한계로 지적되는 블록체인 트릴레마를 순수지분증명 알고리즘을 통해 극복하여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들을 위한 시스템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알고랜드는 지난 6월 더치옥션(역경매) 방식으로 토큰 판매를 진행하여 약 700억원 규모의 자금을 모집했으며, 이후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 비트맥스(BitMax), 바이낸스(Binance) 등 글로벌 대형 거래소에 연속 상장되었다. 알고랜드의 글로벌 마케팅 담당 켈리 켈러헨(Keli Callaghan)은 “코인베이스는 전 세계 3천만 개 이상의 계정을 확보하고 100개 이상의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이다”며 “알고랜드는 프로젝트를 공개한 지 약 7주만에 되지 않았지만, 코인베이스 상장을 통해 그 잠재성과 우수성을 인정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
[마켓+](거래소)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 1기 ‘300FIT(FIT)’ 공식 상장 및 2기 예고
[마켓+](거래소)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 1기 ‘300FIT(FIT)’ 공식 상장 및 2기 예고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13일 프로젝트 상장 프로그램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Huobi Korea FOCUS)’ 1기 프로젝트 ‘300FIT(FIT)’가 공식 상장된다고 밝혔다. 후오비 코리아에 따르면 ‘300FIT(FIT)’의 입금은 13일 11:30부터 가능하며 거래는 같은 날 21:00부터 KRW, BTC 마켓에서 가능하다. 출금은 14일 15:30부터 할 수 있다. ‘300FIT(FIT)’는 블록체인 기반 스포츠 & 피트니스 인플루언서 플랫폼으로 운동 전문가는 콘텐츠를 창작하고 상품을 판매 및 홍보할 수 있으며 서포터즈는 자신이 좋아하는 인플루언서와 함께 FIT 토큰을 통해 멤버십을 맺을 수 있다. 피트니스 기업은 자신의 광고 및 판매 콘셉트에 적합한 인플루언서와 협업하고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300FIT(FIT)’는 잠재력 있는 프로젝트를 발굴해 대중에 알리고, 성장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인큐베이션 플랫폼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Huobi Korea FOCUS)’의 첫 프로젝트로 선정돼 많은 관심을 모았으며 프로젝트 공개 및 사전 에어드롭, ‘후오비 코리아 토크-에피소드4’ 라이브 스트리밍 등의 과정을 거쳐 이날 최종적으로 후오비 코리아에 상장된다. 후오비 코리아 박시덕 대표는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Huobi Korea FOCUS)의 첫 번째 프로젝트 ‘300FIT(FIT)’가 안정적으로 후오비 코리아에 상장돼 첫 단추가 잘 채워졌다고 생각한다”고 전하며, “앞으로도 잠재력 많은 프로젝트들이 ‘300FIT(FIT)’와 같이 다양하게 발굴돼 시장에서 주목받으면서 커나가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엄선된 평가를 거친 두 번째 프로젝트도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니 앞으로도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Huobi Korea FOCUS)’에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며 후오비 코리아 포커스(Huobi Korea FOCUS) 2기에 대한 예고도 함께 전했다.
-
[마켓+](거래소) 빗썸, 독거 어르신에 삼계탕 등 물품 후원
[마켓+](거래소) 빗썸, 독거 어르신에 삼계탕 등 물품 후원라면·즉석식품·소형 선풍기 등 직접 전달…말벗 봉사도빗썸(대표 최재원)은 말복을 맞아 지난 10일 오전 서울시립 도봉노인종합복지관(관장 이은주)에서 ‘여름철 사랑 나눔 키트’를 제작하고 도봉구 일대 독거 어르신 가정을 직접 방문해 전달하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랑 나눔 키트는 무더운 여름철 어르신들이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삼계탕, 가공식품을 비롯해, 소형 선풍기, 모기향 등으로 구성됐다. 이날 자발적으로 참여한 임직원들과 임직원 가족들은 직접 물품을 만들어 어르신 가정을 찾아 전달했다. 또 홀로 지내시는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 외로움을 달랬다. 일부 직원들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위해 직접 집안 청소를 하기도 했다. 이번 활동에 참여한 빗썸 직원은 “무더위에 어르신 가정을 직접 찾아가는게 쉽지는 않았지만, 반갑게 맞아 주시면서 고마워 하시는 어르신을 보면서 큰 보람을 느꼈다”며 “앞으로도 소외 이웃들에게 희망과 행복을 전달하기 위해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빗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사회공헌 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아프리카 등 빈곤국가 어린이들을 위해 랜턴과 티셔츠를 제작해 전달하고, 소아암 어린이와 저소득층 어린이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마켓+](상장) 온톨로지, 업비트 인도네시아 상장 발표
[마켓+](상장) 온톨로지, 업비트 인도네시아 상장 발표- 인도네시아 법정화폐 루피아 페어 마켓에 온톨로지와 온톨로지 가스 상장- 상장 기념 에어드랍 및 트레이딩 이벤트 진행 중국의 대표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젝트 온톨로지(Ontology)가 지난 12일 발표를 통해 온톨로지(ONT)와 온톨로지가스(ONG)가 업비트의 해외 거래 플랫폼 업비트 인도네시아에 19일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온톨로지는 네오, 퀀텀과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중 하나로 신뢰 기반의 분산화된 차세대 퍼블릭 멀티체인 플랫폼이다. 온톨로지는 창립자 리준(Li Jun)과 중국 최초 암호화폐인 네오의 창시자인 다홍페이(Da Hongfei)가 함께 만든 온체인(OnChain)이 개발했으며, 메인 네트워크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토큰인 온톨로지(ONT)와 스마트 계약의 실행 및 매개에 사용되는 온톨로지가스(ONG)로 구성되어있다.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작년 12월에 설립된 업비트의 해외 거래 플랫폼으로 싱가포르에 이어 두번째로 설립되었다. 업비트 인도네시아는 암호화폐로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C2C 마켓은 물론 인도네시아 법정 화폐인 루피아(IDR) 거래도 지원하고 있다. 온톨로지와 온톨로지가스는 루피아로 거래가 가능한 IDR 마켓에 상장되어 거래될 예정이다. 온톨로지의 마케팅 디렉터인 제시 리우(Jesse Liu)는 “글로벌 대형 거래소인 업비트의 원화 마켓에 이어 인도네시아 루피아 마켓에도 온톨로지가 상장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온톨로지는 법정화폐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에 상장되어 더욱 편리한 거래를 지원할 계획이며, 전 세계 온톨로지 커뮤니티 사용자들에게 더욱 쉽게 접근할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한편 온톨로지는 업비트 인도네시아 상장을 기념하여 12,000개 상당의 온톨로지 에어드랍 이벤트와 트레이딩 이벤트를 업비트 인도네시아에서 진행할 계획이다.
-
[마켓+](거래소) 업비트, 피싱사이트 피해 예방 위한 로그인 알림 기능 제공
[마켓+](거래소) 업비트, 피싱사이트 피해 예방 위한 로그인 알림 기능 제공- 업비트 계정 로그인에 대한 보안 수준 강화- 해외, VPN(가상사설망), 의심되는 IP로 로그인 시 카카오톡 알림톡 메시지 발송- 고객 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보안 업데이트를 늘려 나갈 것두나무(대표 이석우)가 운영하는 글로벌 표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피싱사이트 피해 예방을 위해 로그인 알림 기능을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업비트는 오늘(12일)부터 특정 조건의 로그인이 발생할 경우 고객들에게 카카오톡 알림톡 메시지를 발송해 업비트 계정 접근에 대한 보안 수준을 강화한다. 메시지 발송 조건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외 국가에서 로그인 시, △VPN(가상사설망)을 통한 로그인 시, △의심스러운 IP 주소를 통한 로그인 시 총 3가지 경우다.알림톡 메시지에는 모든 디바이스에서 즉시 로그아웃 할 수 있는 버튼을 추가해 본인이 아닌 로그인으로 확인되면 즉각 조치가 가능하다.본인의 로그인 이력 확인을 원하는 고객은 업비트 서비스 내 ‘내정보’ → ‘회원정보’ → ‘로그인 관리’ 페이지에서 로그인 일시, 운영체제/브라우저, 로그인 IP 등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업비트 관계자는 “최근 업비트를 사칭한 피싱사이트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고객 피해 예방을 최우선으로 삼고 이번 기능을 제공하게 됐다”며 “날로 교묘해지는 각종 금융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보안 업데이트를 늘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업비트는 암호화폐 관련 금융사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홈페이지 공지사항 및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각종 사기 유형과 피해 사례, 대처 방법 등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다.
-
[마켓+](거래소) 테라-비트루 거래소, 파트너십 체결
[마켓+](거래소) 테라-비트루 거래소, 파트너십 체결- 스테이블코인 테라와 마이닝 토큰 루나 상장-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제공 목표 공유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의 암호화폐 테라와 루나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루(Bitrue)에 상장된다. 테라는 상장을 계기로 다양한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제공을 위한 파트너십을 비트루와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비트루는 신뢰도 높은 디지털 자산 관리 서비스를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미래 지향적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이다. 이번 파트너십의 첫 단추로 마이닝 토큰 ‘루나(LUNA)’와 스테이블코인 ‘테라 SDT(SDT)’를 상장한다. 루나와 테라 SDT 상장에 따른 입금 가능 시간은 한국 시간 12일 오후 12시다. 루나는 14일 오후 12시부터 비트루의 BTC 및 XRP 거래소에서, 테라 SDT는 16일 정오부터 비트루의 USDT 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하다. 테라는 비트루와 탈중앙화된 금융 서비스 제공을 도모한다. 양사는 또한 스테이블코인 테라를 활용해 고수익 저축 및 대출 프로그램을 개발할 방침이다. 큐리스 왕(Curis Wang) 비트루 최고경영자(CEO)는 “테라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게 돼 기쁘다. 테라와 루나의 상장은 비트루가 계획한 여러 협업 가운데 첫 번째 사례”라며 “비트루의 목표는 암호화폐 기술의 혁신과 우수성을 전통적 금융 시장의 비즈니스에 연계하는 것이다. 테라는 이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비전과 창의력을 공유하는 회사”라고 밝혔다. 신현성 테라 공동대표는 “테라는 최근 모바일 결제앱 차이(CHAI)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덕분에 수십만 명의 소비자가 차이와 테라의 블록체인을 사용해 일상 용품과 각종 서비스를 구매하고 있다. 거래량의 증가는 루나 소유자에 대한 수수료 지급 증가는 물론 테라 경제의 전체적인 성장을 의미한다”라며 “또한, 최근 테라 블록체인 검증인들이 총 2170만 루나를 루나 스테이킹 리워드 보조금으로 분배하여 연 10%에 달하는 수익률을 주는 새로운 프로젝트도 도입되었다. 테라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시기에 비트루와 협업하게 되어 기쁘며, 대출 등 양사가 앞으로 출시할 상품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마켓+](상장) 비트맥스(BitMax), 메타해시 프로젝트 상장 발표
[마켓+](상장) 비트맥스(BitMax), 메타해시 프로젝트 상장 발표- 비트맥스 거래소에 한국 시간 8월 12일 오후 11시 메타해시 상장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가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 메타해시(MetaHash)를 상장한다고 11일 발표했다. 비트맥스는 메타해시 토큰인 MHC를 8월 12일 오후 11시에 거래소의 BTC 및 USDT 마켓에 상장시킬 예정이다. 메타해시는 다중 투표 지분 증명(Multivote Proof of Stake) 알고리즘을 차용한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메타해시는 실시간 호환 가능한 스마트컨트랙트인 메타앱(MetaApps)과 디앱(dApp)용 브라우저인 메타게이트(MetaGate)를 통해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완벽한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메타해시는 작년 6월 테스트넷을 통해 50,000 TPS를 구현하고 메인넷을 런칭했으며, 메타토큰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토큰 보유자가 네트워크 성장에 기여하면서 노드를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비트맥스는 18년 8월에 출시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CEO 조지 차오(George Cao), COO 애리얼 링(Ariel Ling)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만든 거래소이다. 비트맥스는 세계 최초로 다중 채굴 모델을 적용했으며 OTC, 마진 거래, 크립토 금융 상품을 지원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자체 체인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합형 탈중앙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하는 메타해시를 비트맥스 거래소 유저에게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비트맥스 상장을 통해 메타해시가 앞으로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생태계를 만드는데 일조하고 싶다”고 전했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8-13: 비트코인 1,370만원대 보합세…미 SEC, 비트코인 ETF 승인 3건 결론 재차 연기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370만원대 보합세…미 SEC, 비트코인 ETF 승인 3건 결론 재차 연기https://bit.ly/2Z09bDg골드만삭스, 비트코인 애널리스트 분석 보고서 발표https://bit.ly/2TrWPCxETH 이스탄불 하드포크, 오는 14일 롭스텐·괴를리 테스트넷 업데이트https://bit.ly/2yTrcZ5바이낸스 해커, 5월 탈취한 암호화폐 아직도 세탁중https://bit.ly/33v7iC0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은 가짜뉴스https://bit.ly/2YKe7AL카카오톡에 암호화폐 지갑 탑재된다https://bit.ly/2MeekWg
-
[마켓+](분석) 비트코인,이더리움 채굴난이도 하락, 비트코인 해시율 5.1% 상승해 72.97EH/s 기록
[마켓+](분석) 비트코인,이더리움 채굴난이도 하락, 비트코인 해시율 5.1% 상승해 72.97EH/s 기록금주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주보다 상승장을 연출, TOP 100 프로젝트 중 59개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8월 4일까지 글로벌 암호화폐 시총은 2,946.23억 달러로 전주보다 10.83% 증가했다. TOP 100 프로젝트의 시총은 2,870.23억 달러로 증가폭은 10.99%였다. 이번주 KBC, XET, BXK, PLC, RIF, UUU, XMX 등 총 7 개의 프로젝트가 새롭게 TOP 100에 진입했다. 8월 4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0,970.18달러로 지난주보다 14.61% 올랐다. 이더리움 가격은 222.67달러로 지난주보다 5.76% 상승했다.후오비 주간 리서치 73호에 따르면 금주 암호화폐 시장은 지난주보다 상승장을 연출, TOP 100 프로젝트 중 59개 프로젝트의 시가총액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8월 4일까지 글로벌 암호화폐 시총은 2,946.23억 달러로 전주보다 10.83% 증가했다. TOP 100 프로젝트의 시총은 2,870.23억 달러로 증가폭은 10.99%였다. 이번주 KBC, XET, BXK, PLC, RIF, UUU, XMX 등 총 7 개의 프로젝트가 새롭게 TOP 100에 진입했다. 8월 4일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10,970.18달러로 지난주보다 14.61% 올랐다. 이더리움 가격은 222.67달러로 지난주보다 5.76% 상승했다. 금주 24시간 평균 암호화폐 거래량은 전주보다 7.87% 증가했다. 시총 TOP 100 프로젝트 중 코인 테마 프로젝트의 총 시가총액과 평균 시가총액 증가폭이 가장 컸다.후오비 주간 리서치 73호 보고서는 "금주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의 해시율은 전주보다 상승했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채굴 난이도는 전주 대비 하락했다. 비트코인의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 및 평균 블록크기는 전주 대비 감소했다. 이더리움의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 및 평균 블록크기는 전주 대비 증가했다. 금주 비트코인의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는 전주 대비 하락했고, 이더리움의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는 상승했다. 금주 INS 프로젝트가 가장 높은 코드 업데이트 활성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보고서는 암호화폐 채굴 측면에서는 비트코인의 해시율이 전주보다 5.10% 상승한 72.97EH/s, 이더리움의 해시율은 1.07% 상승한 173.07TH/s를 기록했다.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는 전주보다 0.27% 하락한 9.014T를, 이더리움의 채굴 난이도는 전주보다 0.15% 오른 2,223.988T를 나타냈다. 비트코인의 7일간 블록 생성 수는 전주보다 3.33% 증가한 1,116개 블록을 생성했으며, 이더리움에서는 전주보다 1.25% 증가한 46,939개의 블록이 생성됐다.블록체인 활성도 측면에서는 비트코인의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 및 평균 블록크기는 전주 대비 감소했다. 이더리움의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 및 평균 블록 크기는 전주 대비 증가했다. 블록체인인포 데이터에 따르면, 7월 29일부터 8월 4일까지 비트코인 내 평균 블록 크기는 981.6KB를 기록했다. 이는 전주보다 4.70% 감소한 수치다.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는 2,043건으로 전주보다 7.05% 감소했다. 이더스캔에 따르면, 금주 이더리움 내 평균 블록 크기는 전주보다 2.03% 증가한 21,385 bytes를 기록했다. 블록당 평균 트랜잭션 수는 전주보다 3.80% 증가한 112.70건을 나타냈다. 8월 4일 기준, 비트코인의 평균 트랜잭션당 수수료는 0.714 달러를 기록, 전주 보다 22.56% 하락했다. 이더리움은 0.108 달러를 기록, 전주보다 13.45% 올랐다. 8월 4일 기준, 블록체인 지갑 총이용자 수는 175,988 개 늘어난 41,009,254 개를 기록했으며, 이더리움 주소 수는 627,624 개 증가한 70,280,970 개를 기록했다. 깃허브 코드 활성도는 INS가 가장 높았다. 금주 깃허브 코드 활성화 기준 INS는 193 커밋(Commits)을 기록하며 가장 활발한 개발 환경을 나타냈다. 또한, 커뮤니티 활성도 측면에서 보면 트론, 비트코인, 이더리움이 순서대로 페이스북 인기도 TOP 3을 기록했다. 트위터에선 비트코인, 리플, 라이트코인 순으로 TOP 3을 차지했다.
-
[마켓+](거래소) 후오비 패스트트랙(FastTrack) 6기 ‘FTX 토큰(FTT)’ 우승
[마켓+](거래소) 후오비 패스트트랙(FastTrack) 6기 ‘FTX 토큰(FTT)’ 우승-2위 ‘캐리 프로토콜(CRE)’ 한국 프로젝트로는 첫 상장 예정-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이 진행한 패스트트랙(FastTrack) 6기 투표 결과 ‘FTX 토큰(FTX Token, FTT)’이 우승했다고 밝혔다. 후오비 글로벌에 따르면 7일 진행된 패스트트랙 6기 상장 투표에서 FTX 토큰(FTT)은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 CRE)과 1대 1 경쟁을 벌였다. 한국 기준 이날 21시부터 21:59:59까지 진행된 투표 결과 FTX 토큰(FTT)이 37,506,778HT를 득표해 우승을 차지했고, 캐리 프로토콜(CRE)은 24,156,061 HT를 득표해 2위에 올랐다. 우승을 차지한 FTX 토큰(FTT)은 한국 기준 7일 23시 USDT, BTC, HT 마켓에 동시 상장됐으며, 차점을 얻은 캐리 프로토콜(CRE)은 한국 기준 9일 11시 USDT, BTC, HT 마켓에 동시 상장된다. 한국 프로젝트가 패스트트랙을 통해 후오비 글로벌에 상장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패스트트랙 6기는 총투표수 61,662,839 HT를 기록했으며, 후오비 글로벌은 후오비 토큰(HT)의 가치 상승을 위해 투표를 통해 얻은 후오비 토큰(HT) 중 50만 USDT 상당의 106,727 HT를 한국 기준 7일 23:01:12에 소각했다. 후오비 코리아 박시덕 대표는 “패스트트랙 6기를 통해 대한민국 프로젝트가 처음으로 후오비 글로벌에 상장된다”면서 “이번을 계기로 우수한 대한민국 프로젝트들이 후오비 글로벌 상장뿐만 아니라 기타 글로벌 진출을 통해 위상을 보여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
[마켓+](거래소) 트러스트토큰 5종 스테이블코인, 바이낸스 체인 합류
[마켓+](거래소) 트러스트토큰 5종 스테이블코인, 바이낸스 체인 합류트루USD, 바이낸스 덱스 상장 완료-트루USD, 트루GBP, 트루AUD, 트루CAD, 트루HKD 바이낸스 체인 합류-8일 트루USD 바이낸스 덱스 거래 시작세계 3대 스테이블코인 발행 업체 트러스트토큰이 바이낸스 체인을 기반으로 5개의 스테이블코인(트루USD, 트루GBP, 트루AUD, 트루CAD 및 트루HKD)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트러스트토큰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은 기존에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으로만 제공되었다. 바이낸스 체인이 호환됨에 따라, 사용자는 트러스트토큰의 5개 스테이블코인을 모두 바이낸스 덱스에서 0.04%의 낮은 수수료로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트루USD는 8일 바이낸스 덱스에서 거래가 시작되며, 다른 4개의 스테이블코인(TGBP, TAUD, TCAD, THKD)도 유통될 수 있도록 상장 제안서를 제출할 예정이다.이 5개의 스테이블코인은 모두 ERC20와 BEP2 표준 토큰 간 호환이 가능한 크로스 체인을 적용한다. 이는 HTLC(Hash Time Locked Contracts)가 바이낸스 체인 메인넷에 도달한 직후에 스왑이 이루어질 예정이다.트러스트토큰 제이 안 CEO는 “우리의 목표는 사용자들이 신뢰할 수 있는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바이낸스 체인 및 덱스 합류를 통해 이러한 목표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현재 트러스트토큰 앱에서 BEP2 버전의 트러스트토큰 스테이블코인을 구매하거나 인출할 수 있으며, 바이낸스 닷컴에서 TUSDB 입금이 가능하다. 한편, 2017년에 설립된 트러스트토큰은 2018년 1월 US 달러에 연동되는 트루USD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한 이후, 영국 파운드화 연동 트루GBP, 홍콩 달러 연동 트루HKD, 캐나다 달러 연동 트루CAD, 호주 달러 연동 트루AUD를 발행하고 있다. 현재 트러스트토큰 웹사이트에 따르면 싱가포르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 트루SGD가 “곧 출시” 예정이다.
-
[마켓+](분석) 아카마이, “지난 18개월 간 금융 업계 대상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35억 건 발생”
[마켓+](분석) 아카마이, “지난 18개월 간 금융 업계 대상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 35억 건 발생”- ‘아카마이 2019 인터넷 보안 현황 보고서: 금융 서비스 공격’ ··· 최대 위협은 크리덴셜 스터핑과 피싱- 약 5개월 간 피싱 도메인에 영향을 받은 조직의 절반은 금융 업계 기업 안전하고 원활한 디지털 경험을 위한 인텔리전트 엣지 플랫폼을 제공하는 아카마이코리아(대표 이경준)가 금융 업계를 겨냥한 공격을 분석한 ‘아카마이 2019 인터넷 현황 보고서: 금융 서비스 공격(Akamai’s 2019 State of the Internet / Security Financial Services Attack Economy Report)’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2017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총 18개월의 분석 기간 동안 금융 업계를 대상으로 일어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35억 건에 달해 고객 개인 정보와 금융 정보가 위협에 노출됐다고 밝혔다.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은 공격자가 훔친 사용자 정보로 기업 웹사이트의 봇과 같은 자동화 툴을 활용해 로그인 시스템에서 검증을 시도하는 공격을 말한다. 2018년 12월 2일부터 2019년 5월 4일까지 약 5개월 동안 금융을 포함한 전체 업계에서 발견된 피싱 도메인은 약 20만 개에 달했다. 이 중 66%는 소비자를, 34%는 기업을 공격 표적으로 삼았다. 소비자를 표적으로 한 피싱 도메인의 절반은 금융 업계 기업에서 발견됐다. 마틴 맥키(Martin McKeay) 아카마이 보안 연구원 겸 인터넷 보안 현황 보고서 수석 편집장은 "지난 1년 동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피싱 공격의 증가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이 꾸준히 증가했다”라며, "공격자는 기존에 탈취된 인증정보 데이터를 피싱을 통해 보완한 후 계정을 탈취하거나 보완한 인증정보 목록을 되파는 방식으로 수익을 거둔다. 금융 업계와 소비자를 표적으로 한 경제가 생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공격자가 공격에 성공하면 부당하게 취득한 데이터와 기금을 처리해야 한다. 이를 처리하는 방법 중에는 ‘뱅크 드롭(bank drops)’이 있다. 뱅크 드롭은 특정 금융 기관에서 계좌를 부정한 방식으로 개설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 패키지다. 뱅크 드롭에는 이름, 주소, 생년월일, 주민등록 세부 정보, 운전면허 정보, 신용 점수 등 ‘풀즈(fullz)’라고 불리는 개인 정보가 포함된다. 부정 계좌에 대한 보안 접속은 은행과 풀즈의 위치와 일치하는 곳의 원격 데스크톱 서버를 통해 이루어진다. 금융 기관은 공격자가 드롭 계좌를 개설하는 방법을 계속해서 조사하고 공격자 보다 한 발 앞서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부분의 기업이 공격자가 오래된 공격 기법으로 기업을 공격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카마이는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관찰된 공격의 94%가 ▲SQL 인젝션(SQL Injection, SQLi) ▲로컬 파일 인클루전(Local File Inclusion, LFI)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Cross-Site Scripting, XSS) ▲OGNL 자바 인젝션(OGNL JAVA Injection) 중 하나의 기법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그 중 OGNL 자바 인젝션을 활용한 공격은 2017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18개월 동안 800만 건 이상이 발생했다. 아파치 스트럿츠(Apache Struts)의 취약점으로 인해 잘 알려진 OGNL 자바 인젝션은 패치가 배포된 이후에도 수년 동안 계속해서 사용되는 공격 기법이다.공격자는 금융 서비스 업계를 대상으로 크리덴셜 스터핑 공격을 실행하거나 웹 기반 취약점을 이용하기 위해 주의를 돌리는 용도로 디도스(DDoS) 공격을 감행했다. 아카마이는 18개월 동안 금융 서비스 업계에서만 800건 이상의 디도스 공격을 발견했다.마틴 맥키 편집장은 “공격자는 금융 서비스 기업의 약점인 소비자, 웹 애플리케이션, 가용성을 표적으로 삼는다”라며, “공격을 감지하고 방어하는 능력 면에서는 기업이 더욱 발전하고 있지만 거점 방어에서는 여전히 실패를 겪고 있다. 기업은 고객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는 지능적인 공격자를 감지, 분석, 방어할 수 있어야 한다. 아카마이는 20여년 간 넓은 스펙트럼에 걸친 보안에 대한 가시성을 활용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범죄 행위로부터 고객을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