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네트웍)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로, 중앙서버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또한, 이는 일종의 개방형 프로토콜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구현됐고, 지난 16년 동안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총 10억회의 다운로드 및 설치됐다. 매월 1억대 이상의 인터넷 접속 컴퓨터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개발자 웹사이트에서 검토한 BitTorrent 증강 프로토콜(BEP)의 개방 과정을 통해 지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다.리플(XRP)금융 거래를 위해 개발된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리플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만 사용할 수 있기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불린다. 채굴작업을 통해 토큰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발행량을 바탕으로 중앙집권 형태의 검증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가 구현된다. 초당 5만 건의 거래 처리가 가능하며 4~5초 만에 송금이 이뤄진다.아이오타(IOTA)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이 아닌 탱글(Tangle)이라는 기술을사용하는 점이 특이하다. 탱글은 근접한 아이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검증방식을 채택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며,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트랜잭션이 많아지면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일반 블록체인과 달리 탱글을이용하면 참여자와 트랜잭션이 많아질수록 속도는 오히려 빨라진다. mIOTA 토큰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도 제공된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마켓+](분석) 운동보상 블록체인 리워드앱 림포 유저수 19만 명 돌파
운동보상 블록체인 리워드앱 림포 유저수 19만 명 돌파완료한 운동미션 300만회, 총 보상액 2억 5천만원 넘어서운동하고 코인 받는 블록체인 리워드앱 림포(Lympo.com)가 유저수 19만 명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림포 측은 지난 6월에 진행된 한글과 업데이트 이후 빠르게 한국 유저들이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유저수가 글로벌 19만 명을 넘어섰고 한국 유저수도 2만 명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특히 수는 적어도 한국 유저들의 참여도가 미국과 리투아니아 유저들에 비해 훨씬 뜨거워서, 회사 차원에서도 한국 유저들에게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김성민 림포 아시아매니저는 덧붙였다. 림포 앱에서 하루에 7~8개씩 제공되는 운동미션을 모두 달성할 경우, 30~40 림포 토큰을 얻을 수 있다. 림포 토큰은 암호화폐로서 거래소에서 시시각각 가격이 변하지만, 앱 내에서는 10원 고정가격으로 맞춰져 있다. 운동으로 얻은 림포 토큰으로는 앱 내 샵에서 나이키, 아디다스 등 스포츠 용품, 핏빗 등 IT 제품을 구매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인기가 많은 스타벅스 커피, 신세계 상품권 등은 주 1회 업데이트되며 선착순 판매된다. 림포는 일 활성화 유저 1,35만 명, 월 활성화 유저 6.1만 명을 기록 중이고, 지금까지 유저들이 달성한 운동미션은 3백만 회를 넘어섰으며, 지급된 보상 총액도 2.5억을 돌파했다. 림포는 운동을 좋아하는 유저들에게 브랜드 마케팅을 하고 싶은 기업들로부터 광고비를 받아 운동미션을 개최하고, 운영 수수료를 제외한 모든 광고비를 유저들에게 보상으로 배포하는 사업모델을 가지고 있다. 기업은 림포 앱에서 운동미션을 개최한 후, 추가보상을 걸고 광고 시청, 사이트 방문 등의 활동을 제안할 수 있다. 유저에게는 동기부여를 해주는 운동보상 앱, 스포츠 기업 입장에서는 타겟고객에게 다가갈 수 있는 마케팅 통로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림포는 디지털 강국 에스토니아의 총리를 역임한 타비 로이바스(Taavi Rõivas) 의원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고, 유럽의회에서 블록체인 정책을 다루는 안타나스 구오가(Antanas Guoga) 의원이 최대투자자인 것으로 유명하며, 한국 시장에 특히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림포의 암호화폐 림포 토큰은 비트파이넥스, 후오비, 게이트, 쿠코인 등 해외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고, 국내에서는 고팍스, 코인제스트, 올비트에서 거래되고 있다.
-
[마켓+](쇼핑) 블록체인 스케일링 솔루션 셀러 네트워크, 알파 메인넷 ‘시그너스(Cygnus)’ 공개
블록체인 스케일링 솔루션 셀러 네트워크, 알파 메인넷 ‘시그너스(Cygnus)’ 공개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IEO(Initial Exchange Offering) 플랫폼 런치패드를 통해 토큰 세일을 진행했던 셀러 네트워크가 셀러 네트워크(Celer Network)가 8일 알파 메인넷 ‘시그너스(Cygnus)’를 공개했다.셀러 네트워크는 즉각적인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하도록 레이어 2의 오프체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확장성을 해결하고자 한다. 셀러의 알파 메인넷 시그너스는 수수료가 필요 없고 빠른 상호작용이 가능한 스테이트 채널 네트워크를 제공한다.메인넷과 함께 셀러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셀러X(CelerX)’의 SDK 3.0을 공개하였으며, 개발자는 이를 활용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셀러 네트워크는 무엇보다 확장성 해결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발굴 및 육성에 집중하고 있다.셀러 네트워크 공식 미디엄에 따르면 “셀러X의 게임은 일반적인 중앙화된 게임들과 유사하다”며 “사용자들은 셀러X를 통해 빠르고 원활한 환경의 e스포츠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세계 여러 플레이어와 경쟁하여 암호화폐로 상금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개발자들은 셀러 SDK를 적용하면 단 두 줄만의 코드 추가로 셀러 네트워크를 손쉽게 연동할 수 있다”며 “블록체인 게임의 상용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
[마켓+](검증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Bitsonic),블록체인 플랫폼 플레타(FLETA) 검증인으로 참여 확정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Bitsonic),블록체인 플랫폼 플레타(FLETA) 검증인으로 참여 확정플레타 블록체인의 초대형 채굴 노드인 검증인으로 ‘비트소닉’ 참여 확정 ... 수익의 90%를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획기적인 정책으로 주목받은 거래소배달의 민족, 쏘카 등 유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비트소닉 신진욱 대표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플레타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가 앞당겨질 것 블록체인 플랫폼 플레타(FLETA)의 새로운 검증인으로 국내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Bitsonic)이 합류한다고 밝혔다.플레타 블록체인의 검증인은 초대형 채굴노드 ‘하이퍼 포뮬레이터(Hyper Formulator)’의 운영자를 말한다. 이들은 플레타 블록체인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위임자들로부터 토큰을 위임받아 플레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최적의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역할이 막중한 만큼 플레타는 생태계가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을 검증인으로 구성하고 있다. 현재까지 확정된 검증인은 코스모스 아톰(ATOM)의 최상위 검증인으로 유명한 지닥(GDAC)과 코스모스테이션(Cosmostation), 우리나라 1세대 블록체인 기업 글로스퍼, 프로그래밍 교육 단체 멋쟁이사자처럼, 오아시스 시티 프로젝트 액셀러레이터 포아워 등이다.비트소닉은 네이버 웹툰, 배달의 민족, 쏘카, 미미박스 등 국내 유명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스쿱미디어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다. 유능한 개발자로도 명성이 높은 신진욱 대표의 노하우와 아이디어로 국내 최초로 거래소 수수료 수익을 고객과 공유한다는 전략을 내세워 2018년 창립 이래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비트소닉이 플레타의 검증인으로 참여하면서 플레타는 더욱 든든한 검증인 라인업을 구축하게 되었다.플레타는 블록체인 기술의 상용화를 견인하는 것이 목표인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독자적인 컨센서스 알고리즘 PoF(Proof-of-Formulation), 독립 멀티 체인(Independent Multi-chain Structure), 블록 리디자인(Block Redesign)과 같은 자체 핵심 기술을 이용, 현 블록체인 플랫폼들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느린 속도, 확장성의 한계, 과도한 비용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플레타는 플랫폼 간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고 더 많은 프로젝트에게 플레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게이트웨이(Gateway) 기술을 개발했다. 이더리움(Ethereum), 트론(Tron), 이오스(EOS) 등 기존 메인넷을 통해 토큰을 발행하는 프로젝트가 원래의 메인넷을 유지하면서 플레타 서비스 체인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플레타는 지난 3월 베타 테스트넷을 성공적으로 공개한 데 이어, 오는 8월 공식 메인넷을 출시를 앞두고 있다. 플레타의 기술을 이용한 여러 활용 사례도 연내 발표할 예정이다.
-
[마켓+](제휴) 원투씨엠, 카카오톡 기반의 스탬프 적립 서비스 ‘현대백화점 충청점’에서 실시
원투씨엠, 카카오톡 기반의 스탬프 적립 서비스 ‘현대백화점 충청점’에서 실시-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채널을 활용해 앱 다운로드 NO! 회원가입 NO!-카카오 플러스친구에 아날로그 감성 담아 고객 모바일에서 스마트 스탬프 찍을 수 있는 서비스..-방문 고객에게 간편한 적립 제공, 플러스 친구 통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스마트 스탬프 원천기술 기업인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은 지난 4~5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현대백화점 충청점 식당가에서 ‘에코스 플러스’ 서비스를 실시했다고 밝혔다.원투씨엠은 그간 해외에서 활용해온 자사의 핵심 비즈니스 아이템 에코스 스탬프(스마트 스탬프)를 활용하여 NFC나 바코드 리더기 등의 별도의 장비를 구입하지 않아도 고객에게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적립 서비스인 ‘에코스 플러스’를 지난해 2018년 여름부터 국내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에코스 플러스’ 서비스는 국내 대표 SNS 서비스인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채널을 활용해 운영이 되고 있어, 방문 고객이 별도의 APP 설치나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매장의 카카오 플러스친구 채팅창에서 모바일 적립 쿠폰을 발급받을 수 있다.원투씨엠은 ‘에코스 플러스’ 서비스의 장점을 살려, 현대백화점 충청점은 4~5월의 에코스 플러스 이벤트 기간을 통해 방문 고객들에게 간편한 적립을 제공하고, 플러스 친구를 통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했다고 전했다.원투씨엠은 지난 2015년부터 미국, 중국, 일본, 대만, 태국은 물론 유럽 각지에서 포인트 적립, 선불권, 이벤트 등의 비즈니스를 위챗, 페이스북과 같은 글로벌 SNS 채널에 에코스 스탬프(스마트 도장)를 결합한 다양한 서비스를 개시한 바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O2O 시장에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카카오톡 플러스친구의 특성을 살려 고객과의 소통의 채널을 제공하는 ‘에코스 플러스’ 서비스는 기존의 종이 쿠폰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준인 월 1만 원대로 책정되어 매장주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본 서비스를 경험한 고객들은 기존의 태블릿PC 적립 방식과는 달리 개인 휴대폰 번호를 입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해서도 심리적으로 안심할 수 있다는 반응이다.220여 개의 국내외 특허로 보호받고 있는 원투씨엠의 에코스 스탬프(스마트 도장)는 POS가 없는 매장은 물론 충전 과정이 필요 없어 야외 행사장에서도 폭넓게 사용될 수 있다. NFC나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그 넓은 활용도를 이용해 다양한 이벤트 프로모션, 상점 대상 로열티 마케팅, 모바일 쿠폰과 모바일 결제 등에 대해서도 그 적용 영역을 전세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현재 대만, 일본, 태국, 싱가포르, 미국, 말레이시아 등을 비롯한 20개국, 53만 개 가맹점에 기술을 공급하고 있다.
-
[마켓+](협력) 지퍼(ZPER), 디앱(DApp) 품질 개선 위해 바이프로스트(BIFROST)와 제휴
지퍼(ZPER), 디앱(DApp) 품질 개선 위해 바이프로스트(BIFROST)와 제휴•지퍼 “바이프로스트 통해 디앱(DApp) 속도·수수료·안정성 측면의 긍정적 효과 거둘 것”P2P(Peer to Peer) 금융이 국경과 화폐의 제약을 받지 않고 ‘초연결’되는 생태계를 지향하는 ‘지퍼(ZPER)’가 ‘바이프로스트(BIFROST)’와 업무적 제휴를 체결했다. 지퍼는 9일, 다수의 온라인 채널에서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와 MOU를 체결했으며 향후 긴밀한 업무적 제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지퍼는 P2P 금융과 블록체인 기술, 암호화폐의 혁신성을 융합해 ‘전세계 투자자와 차입자가 연결되는 초연결 생태계’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P2P 금융에 대한 전세계 이용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자본이 혁신적으로 수월하게 오고 갈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다.지퍼는 이러한 생태계 구현의 첫 단계로서 지난 6월 25일, 새로운 플랫폼 ‘스프레딧(SPREADIT)’을 출시했다. 스프레딧은 다수의 업계 선도적인 P2P 금융사를 하나의 플랫폼에 모아, 투자자의 P2P 분산투자를 원스톱으로 더욱 편리하게 돕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또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연구 중인 지퍼는 디앱(DApp) 개발에도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디앱은 정보의 소유권이 하나의 주체에만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과 달리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상에 정보를 투명하게 분산시켜 기록하고 공개하는 ‘분산형 어플리케이션’이다.지퍼는 고품질의 디앱을 선보이기 위해 바이프로스트와 업무 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바이프로스트는 ‘블록체인 미들웨어 플랫폼’으로서 프로토콜과 디앱 간의 연결을 원활히 해 속도와 안정성을 확보하고, 수수료 또한 합리적으로 절감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속도 저하와 불안정성, 높은 수수료가 디앱 운영상의 고질적인 문제로 꼽히는 만큼 바이프로스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디앱 개발팀의 잠재력이 제약없이 구현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또한 바이프로스트는 지난 2월 이더리움 재단에 기술 시연을 하고, 최근에는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기업 ‘블록크래프터스’의 상용화 포트폴리오에도 선정되는 등의 긍정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지퍼 김준범 대표는 바이프로스트와의 업무적 제휴에 대해 “핀테크 분야에서 디앱은 무한한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더리움, 이오스, 트론 등을 기반으로 하는 지금의 디앱들은 항상 속도와 수수료 등의 문제에 직면해왔다. 바이프로스트와의 전략적 제휴가 향후 지퍼의 디앱 품질 개선에 매우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
[마켓+](리스팅) 코인제스트, ‘팬텀 코인(FTM)’ 원화 마켓 최초 상장…비트베리 지갑과 함께 상장기념 에어드랍 이벤트 실시
코인제스트, ‘팬텀 코인(FTM)’ 원화 마켓 최초 상장…비트베리 지갑과 함께 상장기념 에어드랍 이벤트 실시- 세계 최초 DAG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팬텀’의 첫 번 째 원화 마켓 상장- 상장 기념 비트베리 회원 대상 에어드랍 이벤트로 실 사용처 확대와 소상공인 활성화 기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대표 전종희)는 푸드테크 전문기업 ‘식신’과 한국푸드테크협회가 만든 차세대 분산원장 개발 프로젝트 ‘팬텀(FTM)’ 암호화폐가 7월 12일, 자사 거래소 원화마켓에 상장된다고 밝혔다. 코인제스트는 ‘팬텀’의 최초 원화마켓 상장을 기념해 10일부터 14일까지 카카오 계정과 연동되는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인 ‘비트베리’와 공동으로 ‘팬텀’ 코인의 에어드랍 이벤트를 진행한다. 비트베리 지갑을 가진 사람 중 퀴즈에 참여한 선착순 5,900명이 팬텀코인 에어드랍을 받게 된다. 비트베리는 카카오톡 계정을 보유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앱 설치 후 간단한 카카오 인증만으로 암호화폐 지갑개설이 가능하다. 팬텀이 개발 중인 메인넷 ‘오페라 체인’은 세계 최초로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AG) 알고리즘 적용했고 자체 개발한 합의 프로토콜 ‘라케시스(Lachesis)를 도입해 속도와 보안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팬텀은 투자사인 한국푸드테크협회에 소속된 ‘식신’, ‘배달의 민족’, ‘만개의 레시피’ 등 온라인 가맹점과 포스뱅크(POSBANK)의 포스(POS) 기기가 설치된 매장에서 팬텀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또한, 향후 통신, 전기, 전자, 부동산, 자율주행 등 전 분야로 실사용처를 확장해 가며 스마트 시티를 구축하겠다는 궁극적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편, 팬텀은 크립토 벤처캐피탈 21곳에서 투자를 받았으며, 작년에 발표된 ‘더크립토랭킹’에서 투자유치 건수 기준 4위에 랭크되었다. 현재 바이낸스와 비트렉스 등에서 거래가 가능하며 국내 원화마켓 상장은 이번이 처음이다.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이사는 “팬텀 프로젝트는 혁신 기술을 개발과 함께 암호화폐가 실생활에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나아가야 할 정석을 보여준다” 며, “상장 기념 이벤트를 팬텀의 실생활 사용 사례가 늘어나길 바라는 마음에서 카카오 연동 암호화폐 지갑인 비트베리와 함께 진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덧붙여 “많은 비트베리 지갑 사용자들이 음식점 등에서 결제를 하면 소상공인들의 사업에도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며, “향후에도 비트베리와의 협업을 확대해 가며 암호화폐의 실사용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싶다” 고 바램을 밝혔다. 한편, 코인제스트는 지난 4월 암호화폐 결제대행 솔루션 전문기업 하이브랩과 제휴를 맺고 암호화폐의 실물 결제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
[마켓+](분석) OKEx Korea, "제52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 (2019년 7월 1일 – 7월 7일)
OKEx Korea, "제52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 (2019년 7월 1일 – 7월 7일)이번 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 총액은 지난주 대비 5.22% 하락하여 3,205.34억 달러(한화 약 378.6조원)에 달하였으며, 일 평균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8.99% 하락한 785.22억 달러(한화 약 92.7조원)에 달했다.이번 주 TOP5에 선정된 암호화폐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5.05% 하락했으며, 거래량 또한 지난주 대비 19.74% 상하락다. 이번주 비트코인(BTC)의 주간 최고 가격은 약 11,880달러(약 1,440만원)를 기록했다.시가총액 상위 200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0.7%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통화 및 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주는 통화 및 페이먼트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하락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영역이 2.11%의 가장 높은 하락률을 보였다.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과 수직 산업 응용에 해당되는 암호화폐들은 특화되는 산업 분야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이번 주는 의료보건, 컨텐츠 판권, 금융 등의 영역에서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의료보건 분야 프로젝트가 19.38%의 가장 큰 상승률을 나타냈다.
-
[마켓+](론칭)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 ‘포블게이트(FOBLGATE)’ 오픈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 ‘포블게이트(FOBLGATE)’ 오픈-국내 최다 암호화폐 거래 지원 예정㈜포블게이트(대표 김태원)는 차세대 암호화폐 거래소 ‘포블게이트(FOBLGATE)’가 8일 오픈했다고 밝혔다. 포블게이트는 국내 최고 블록체인 회사 ㈜글로스퍼와 블록체인 엑셀레이팅 기업 ㈜포블랩스가 만든 거래소이다.포블게이트는 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업계 최초 ①페이스북, 카카오 등 간편 로그인 방식 채택, ②누구나 이용하기 쉽고 간편한 트레이딩 뷰 지원, ③24시간 암호화폐 입출금 ④포블랩스를 통한 유망 암호화폐 발굴 및 엑셀레이팅 지원, ⑤물리적 망분리, 24시간 모니터링 등을 통한 안전한 거래망 구축 ⑥1:1채팅 상담 등 다양한 고객 센터 채널 지원한다.포블게이트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반 실질적인 서비스 구축 경험이 많은 글로스퍼와 엑셀레이팅 기업 포블랩스의 노하우를 총집합하여 만든 거래소인 만큼, 거래소 보안력과 유망 코인 발굴 능력을 높인 것이 타 거래소와 주요 차별점이라고 밝혔다. 또한 고객 자산의 안전을 최우선시 하여 안정적인 거래 시스템을 확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고의 거래 환경을 제공하고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주는 것이 포블게이트의 목표라고 설명했다.포블게이트 오픈을 기념해 총 3억 원 상당의 이벤트를 오는 8일 진행한다. 신규 가입자에게 1만 원 상당의 비트코인과 친구 추천 시 총 2억 원의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이다. 한편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플랫폼 하이콘(HYCON), 노원구청 블록체인 지역화폐, 영등포구청 블록체인 제안 평가 시스템과 해양수산부 항만관리 시스템, 광주광역시 스마트시티 챌린지, 전라북도 스마트 투어리즘 사업자 선정 등 공공 사업 부문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적용 사례를 구축한 기업이다.
-
[마켓+](론칭)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코리아, 12일 14시 그랜드 오픈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코리아, 12일 14시 그랜드 오픈가상화폐거래소 디지파이넥스코리아(DigiFinex Korea, 대표 김진철)가 이달 12일 오후 2시 정식 오픈한다. 전세계 디지털 자산 거래의 중심 디지파이넥스코리아(DigiFinex Korea)는 코인마켓캡 조정거래량 기준 전 세계 1~5위를 기록하고 있는 싱가포르 법인 디지파이넥스(DigiFinex)의 한국지사로, 본사 디지파이넥스의 200만명이 넘는 글로벌 회원들도 복잡한 회원가입 절차 없이 로그인이 가능하며 본사와 오더북, 거래량 등을 연동시켜 거래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암호화폐 정보채널인 국내 최대 텔레그램 채널 ‘새우잡이어선’과 협무협약을 체결하여 더 많은 유저들이 디지파이넥스코리아(DigiFinex Korea)의 상장공지, 지갑감지 등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슈와 소식들에 대해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암호화폐거래소 디지파이넥스코리아(DigiFinex Korea) 김진철 대표는 “디지파이넥스코리아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주요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유망 알트코인도 편리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준비를 마쳤으며, 거래소 정식 오픈 후 코인마켓캡 및 코인힐즈 등재도 같이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계획을 밝혔고, “오픈 이래로 단 한차례의 해킹사고가 없는 안전한 보안 시스템과 최고의 서비스로 암호화폐 거래소 중심이 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
[마켓+](론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릭스(BITLIX)가 7월 12일, 거래소 정식 오픈 및 서비스 런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릭스(BITLIX)가 7월 12일, 거래소 정식 오픈 및 서비스 런칭을 시작한다고 밝혔다.비트릭스 거래소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차세대 리더'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한국 거래소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지난 6월 3일(월요일)부터 신규가입 회원 전원에게 ‘LIX(Leader In eXchange)’토큰을 에어드랍하는 이벤트를 실시했다.비트릭스는 증권가에서 사용하는 HTS 시스템을 적용하여 높은 보안 수준과 초당 100만건 이상의 빠른 처리 속도를 달성했다. 기존 신규거래소들이 무분별하게 사용하던 계좌, 일명 '벌집계좌'가 아닌 스크린 스크래핑 핀테크 기술을 통해 대다수의 고객들이 사용하는 은행을 통해 원화 입출금을 지원한다.또한 비트릭스는 다양한 암호화폐 생태계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오스(EOS), 트론(TRON)과 같이 메인넷이 활성화된 플랫폼의 디앱(DApp)들이 자리잡고, 건전한 암호화폐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기에 유틸리티 토큰 LIX를 활용하여 기존 트레이드 마이닝 거래소 토큰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지속가능한 토큰이코노미를 구현한다. 비트릭스 거래소 이용자는 LIX 보유수량에 따라 IAO(Inicial Airdrop Offering) 참여 및 보너스 토큰 지급, 거래 수수료 할인, 상장투표참가, 각종 이벤트 참여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주)글렉스소프트(비트릭스)의 김동현 대표는 "스캠(사기) 프로젝트와 다단계 코인들을 배척하고, 건전하고 바람직한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생태계가 개발되고 실생활에 적용될 수 있도록 거래소차원에서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마켓+](세일) 증강현실 블록체인 엑스런(XRUN), 비트니아에서 토큰세일 진행
증강현실 블록체인 엑스런(XRUN), 비트니아에서 토큰세일 진행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니아는 엑스런(XRUN) IEO를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비트니아 관계자는 "XRUN은 AR(증강현실)과 GPS 기술을 적용한 블록체인 광고 플랫폼으로 광고주는 XRUN을 구매해서 광고를 할 수 있으며 이용자들이 XRUN Dapp에서 주변검색을 통해 광고를 보고 보상을 받는 시스템으로 카메라를 작동해 미션을 수행하고 코인을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이어 "이용자들이 직접 AR과 GPS를 통해 미션을 수행하여 보상을 받는 시스템으로 광고 조회수 조작, 광고 기피현상 등을 해결하고 공정한 광고와 신뢰있는 광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또한 2019년 하반기에 모바일앱 출시와 광고 플랫폼 서비스 및 신용카드 연동을 개시할 예정이며, 2020년부터는 메인넷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비트니아에서는 XRUN과 MOU를 체결하고 IEO 기간동안 XRUN 앱에서 ERUN(가칭) 이벤트 코인을 추가하여 미션수행시 추가획득할 수 있는 이벤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
[마켓+](리스팅) 센터코인, 대형거래소 상장... 홈페이지&백서 업데이트
센터코인, 대형거래소 상장... 홈페이지&백서 업데이트센터재단은 최근 홈페이지와 백서를 새롭게 업데이트 하며 대형거래소 상장 준비에 게대감을 가져오고 있다암호화폐 투자자에게는 ‘상장'만큼 중요한 이슈는 없을 것이다. 센터코인의 대표적인 거래소로는 코인제스트, 코인이즈, 코인베네등이 있다.그 외에도 국내외 글롤벌 거래소 13군데 이상 상장이 되어 있으며 현재는 대형거래소 상장을 목적으로 진행중에 있다.구체적으로 국내 대형거래소 국제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 진행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센터코인은 대형 거래소에 상장한다는 소식만으로도 엄청난 이슈와 기대감을 가져오고 있으며 향후 발전과 토큰 가격에 대한 영향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그 이유는 대형거래소에 상장하게 되면 코인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새로운 홀더 및 자금의 유입이 예상되어 호재로 인식이 되기 때문이다.업데이트된 홈페이지를 보면 일본어로도 번역이 되어 추가로 올려져 있다 이는 일본진출까지도 노리며 센터코인을 세계적으로 더 확장시킬 계획으로 보인다.
-
[마켓+](세일) 마하 프로젝트, 프리세일 진행
마하 프로젝트, 프리세일 진행마켓마하 홈페이지와 크립토 포털 클렛(Clet)에서 마하코인 프리세일 진행 2일 13시부터 3일 동안 프리세일… 1 MACH 구입 시 30% 보너스 혜택블록체인을 활용한 안전 거래 플랫폼 마켓마하로 주목받은 ‘마하 프로젝트’는 마하코인 구매 시 보너스로 30%를 더 지급하는 프리세일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마하코인은 현재 마켓마하에서 자산을 거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로, 1 MACH는 약 1달러의 교환 가치를 지닌다. 앞서 마하코인은 1월 1 MACH당 30센트의 가격으로 판매한 1차 IEO에서 일부 코인이 완판되었고, 이후 1 MACH당 50센트의 비율로 기관투자를 받은 바 있다.마하 프로젝트는 이번 프리세일을 통해 1 MACH당 1달러 기준으로 Bonus 30%(보너스 락 3개월, 하드캡 650000 MACH)를 더 지급한다는 방침이다. 프리세일 기간은 7월 2일 13시부터 7월 4일 17시까지 3일간 진행할 예정이며, 마켓마하 홈페이지 혹은 크립토 포털 클렛(Clet)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마하 프로젝트는 7월 말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라토큰(LATOKEN)에서 1 MACH당 1달러 이상의 가격으로 마하코인 상장을 확정했다. 라토큰은 최근 코인마켓캡 4위까지 랭크된 유럽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세계 88개국 100만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 투자자들을 위해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한다. 마하 프로젝트는 마하코인은 이번 상장에 앞서 7월 5일부터 해당 거래소를 통해 글로벌 2차 IEO를 1달러당 1 MACH+20%의 보너스 비율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마하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한국인증서비스 최세준 대표는 “프로젝트 활성화 및 상장 추진을 위해 최근 국내 대표 암호화폐 거래소인 빗썸(BTC 코리아)의 전 부사장을 고문으로 영입하게 되어 기쁘다”며 “이번 라토큰을 시작으로 올해 안에 국내외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 5곳에 순차적 상장을 준비하며 MACH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현재 오픈 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인 마켓마하는 어떠한 개인 자산을 거래하든 중계 수수료가 무료이다. 개인 자산으로는 게임 아이템, 중고물품, 암호화폐 등이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개인 OTC 시장 메뉴를 추가해 비상장 코인이나 기타 대량의 암호화폐를 사고팔기 원할 때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마켓마하는 오픈베타를 진행한 지 한 달 만에 7000명의 가입자를 유치했으며, 7월 30일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
[마켓+](네트웍)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로, 중앙서버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또한, 이는 일종의 개방형 프로토콜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구현됐고, 지난 16년 동안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총 10억회의 다운로드 및 설치됐다. 매월 1억대 이상의 인터넷 접속 컴퓨터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개발자 웹사이트에서 검토한 BitTorrent 증강 프로토콜(BEP)의 개방 과정을 통해 지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다.리플(XRP)금융 거래를 위해 개발된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리플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만 사용할 수 있기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불린다. 채굴작업을 통해 토큰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발행량을 바탕으로 중앙집권 형태의 검증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가 구현된다. 초당 5만 건의 거래 처리가 가능하며 4~5초 만에 송금이 이뤄진다.아이오타(IOTA)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이 아닌 탱글(Tangle)이라는 기술을사용하는 점이 특이하다. 탱글은 근접한 아이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검증방식을 채택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며,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트랜잭션이 많아지면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일반 블록체인과 달리 탱글을이용하면 참여자와 트랜잭션이 많아질수록 속도는 오히려 빨라진다. mIOTA 토큰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도 제공된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마켓+](제휴) 엑스마인드 “고효율 전기 생산 운동기구를 이용한 발전플랫폼, HEGS”에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제공 협약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 개발 업체 엑스마인드(대표 김행원)는 HEGS Limited(홍콩법인, CEO 하철웅)이 개발중인 “ 고효율 전기 생산 운동기구를 이용한 발전 플랫폼(HEGS) ”에 자사의 ExMind 블록체인 플랫폼의 PBEN(Private & Public Exchange Node) 기술을 제공하는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HEGS Limited(www.hegs.io)가 개발중인 HEGS(Health Electric energy Generating System)는 헬스클럽에서 개개인이 운동으로 소비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하여, ESS(Energy Storage System)에 저장하고, 필요시 전기차를 충전하는 발전플랫폼이다.HEGS 플랫폼을 이용하는 회원은 자신이 운동을 통해 발전한 에너지를 HEGS Coin을 통해 보상 받으며, 이는 상장된 거래소에서 현금으로 교환하거나 ExCash Smart Wallet을 통해 다양한 생필품을 구매하는데에 사용할수 있다.HEGS Coin은 이미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텐앤텐’(www.tennten.com)을 통해 6월 17일에 상장하였다. 가상화폐 거래소 텐앤텐은 체결속도와 안정성, 보안성에 강점을 가진 주목받는 국내의 가상화폐 거래소이다.엑스마인드(www.exmind.io)에서 개발한 “ExCash Smart Wallet”은 일반적인 퍼블릭블록체인에서 구현한 코인이나 토큰을 ExMind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노드를 통해, 지불결재 및 다양한 상품의 구매와 체굴형 블록체인 게임을 즐길수 있는 멀티블록체인 월렛이다. 이번 기술협약을 통해, HEGS Coin을 소유한 회원들은 “ExCash Smart Wallet”을 통해, 자신의 운동에너지로 발전한 전기에너지의 보상토큰인 HEGS로 다양한 지불결재와 상품의 구매, 블록체인 게임의 경험등을 할수 있게 되었다.현재, “ExCash Smart Wallet”은 54개 브랜드의 1,500여개의 상품을 암호화화폐를 소비하여 구매할수 있으며, 점진적으로 상품군을 확대추가한다는 계획이다. “ExCsah Smart Wallet”은 구글플레이 마켓을 통해 누구나 다운로드 받을수 있다.엑스마인드와 HEGS는 이번 협약을 통하여, 인간이 사회생활에서 다양하게 소비되는 에너지를 친환경적으로 수집하여 재활용하는 시스템과 이에 대한 보상과 발전자료, 개개인의 운동효율등을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하며, 나아가 수집된 빅데이터를 통해 국민체력증진을 위한 전문화된 블록체인 메인넷의 개발에도 함께 한다는 계획이며, 블록체인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하여, 실질적이고 직관적이며 신뢰기반의 생태계를 조성할것이라고 밝혔다.
-
[마켓+](브리핑) 트위터 CEO "비트코인, 인터넷 글로벌 통화로 가장 적절"
▲ 캐나다 왕립은행 "페이스북 암호화폐, 크립토 역사상 가장 중요"14일 미국 경제 전문 방송채널 CNBC에 따르면, 캐나다 왕립은행(RBC)이 최근 "페이스북 암호화폐는 크립토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니셔티브가 될 것"이라고 내다보며 이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수입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해당 은행은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플랫폼을 통해 결제(Payments), 커머스(Commerce), 애플리케이션 및 게임(Applications & Gaming)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식시장에서 페이스북 한주당 가격은 250 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라고 은행은 내다봤다. 지난 13일 종가 기준 페이스북 주가는 177.47 달러를 기록했다.▲ 와이스 레이팅스, BTC 평가 등급 'B'로 상향 조정미국 글로벌 신용평가사 와이스 레이팅스가 1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 평가 등급을 B로 상향 조정했다고 밝혔다. 업체는 암호화폐 등급 평가에 투자 위험 측정 알고리즘이 포함돼 있는데, 시장 개선 상황과 온체인 거래량, 기술 발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비트코인 등급을 상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와이스 레이팅스는 BTC 시세 조정 후 매입할 것을 권고했다. 현재 BTC의 기술/채택 등급은 A이며, 리스크/리워드 등급은 C-다. 앞서 2018년 1월 와이스 크립토 레이팅스(Weiss Crypto Ratings) 출범 당시 비트코인의 등급은 C+였으며, 이에 대해 카르다노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은 "비트코인에 A등급을 주지 않는 것은 나사가 빠진거나 다름 없다"고 비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3.39% 오른 8,422.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단기 상승…8,450 달러 터치BTC가 바이낸스에서 8,450 달러를 터치했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USDT 마켓에서 4.17% 오른 8,448.3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트위터 CEO "비트코인, 인터넷 글로벌 통화로 가장 적절"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 14일 보도에 따르면 트위터 공동 창업자이자 CEO 잭 도시(Jack Dorsey)가 "웹 기반 글로벌 통화가 필요하며 비트코인이 가장 적절한 후보"라고 쿼츠(Quartz)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그는 "인터넷은 자체 코인을 보유함으로써 국민국가(nation-state)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글로벌 통화에는 그 어떤 당이나 기관이 간섭할 수 없다"며 "비트코인은 매우 순수(very pure)하고 공공의 이익에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3월 잭 도시는 스퀘어 결제 플랫폼 캐시 앱을 통해 매주 1만 달러 규모의 비트코인을 매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733만 EOS, 비트파이넥스로 이체암호화폐 트랜잭션 추적 사이트 웨일 알러트(Whale Alert)에 따르면 한국시간 14일 오후 9시 38분 EOS 계정 bigbigaccoun이 비트파이넥스 거래소(bitfinexdep1)로 7,333,203 EOS(약 4,722만 달러)를 이체했다. 해당 트랜잭션 해시값은 '3a4fe717046dc91ef409a3aadaae51ed061db10a827f28eb406a1de203ce5d0b'다.
-
[마켓+](브리핑) 英 FCA, 블랙리스트에 암호화폐 관련 ‘클론 기업’ 2곳 추가
▲ 리플 "금융기관 14곳, 리플넷 합류"리플의 뱅킹 글로벌 총괄 Marjan Delatinne이 "지난 몇 주 동안 은행, 금융기관 14곳이 리플넷에 합류했다"고 말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데일리가 14일 보도했다. 리플넷은 리플사의 결제 네트워크다. 리플은 최근 한 주당 평균 3곳의 금융기관이 리플넷에 합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작년 말 기준 협력 기관은 200곳 이상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0.50% 내린 0.39932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 국세청, 암호화폐 소득세 탈루 감시 강화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 크립토 14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세청(IRS)이 암호화폐 소득세 탈루 행위 감시를 강화할 전망이다. 또 암호화폐 관련 새로운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면 1,000 달러 이상의 디지털 통화 거래 시 송금자, 수령자 모두 당국에 세부사항을 보고해야 한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앞서 5월 미 국세청장은 2014년 이후 처음으로 새로운 암호화폐 납세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정부 법률 변호사 "바이낸스 US, 유동성 강점 없어"미국 정부 법률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가 14일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를 부정적으로 보진 않지만, 바이낸스 US는 매력적으로 보이진 않는다"며 "바이낸스의 강점은 유동성(liquidity)인데 바이낸스 US에는 이러한 이점이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그는 "바이낸스 US를 설립한다해도, 미국 정부가 (어떤 명분을 들어) 바이낸스 US의 미국 외 지역에 대한 비즈니스를 방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바이낸스는 현지 업체 BAM Trading Service와 협력해 미국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추진하고 있다.▲ 英 FCA, 블랙리스트에 암호화폐 관련 ‘클론 기업’ 2곳 추가금융 전문 온라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magnates) 14일 보도에 따르면, 영국 금융감독청(FCA)이 블랙리스트에 'Goldman Sachs Asset Management International'과 'Swiss Investment Ltd.'를 추가했다. 이와 관련 FCA는 "이 두 업체는 모두 ‘클론 기업’"이라며 "'Swiss Investment Ltd.'는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까지 제공한다고 광고했다"며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클론 기업은 특정 유명 기업과 무관함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기업명을 차용, 관련 회사처럼 보이게 하는 불법 업체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