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브리핑) 모건 크릭 창업자 "페북 코인, 출시와 동시에 탈중앙화" 전망
▲ 아이슬란드, 블록체인 기반 법정화폐 결제 서비스 승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아이슬란드 금융감독원(FME)이 현지 최초로 레이캬비크 소재 블록체인 스타트업 모네리움(Monerium)을 전자화폐(electronic money) 기관으로 승인했다. 이로써 모네리움은 전체 유럽경제지역에서 블록체인 기반 법정화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해 스베이든 발펠스(Sveinn Valfells) 모네리움 창업자 겸 CEO는 "유럽에서 전자화폐는 다년간 사용되어 왔으며, 탄탄한 규제가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전자화폐를 블록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인은 이번이 최초 사례"라며 "모네리움에서 출시한 상품은 기존 법정화폐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과 매우 흡사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ETH 대규모 이체...1,900 만 달러 규모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15일 1시 23분경 '0x876ea'로 시작하는 비트파이넥스 ETH 핫월렛에서 '0x689d6'로 시작하는 주소로 73,511.81865 ETH (약 1,900만 달러)가 이체됐다. 트랜잭션 보기 : https://etherscan.io/tx/0xbb456779ed0a523425041c2e03aed695b828f330d572658c1722f342a772477eETH -0.3%트랜잭션 보기▲ 모네로, CLI v0.14.1.0 릴리즈모네로(XMR, 시가총액 13위)가 CLI v0.14.1.0을 깃허브에 공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해당 버전은 처음으로 '재현 가능한 빌드'(Deterministic builds)를 포함했다. 재현 가능한 빌드는 공식 웹사이트에 공개된 바이너리를 독립적으로 검증이 가능케 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XMR은 현재 3.73% 내린 88.0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XMR -2.72%▲ 모건 크릭 창업자 "페북 코인, 출시와 동시에 탈중앙화" 전망안토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 모건 크릭 디지털 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 창업자가 13일 트위터 계정을 통해 페이스북 암호화폐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나는 페이스북(FB, FaceBook)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출시와 동시에 소유권(ownership)이 분산화 될 것이라고 보는 소수에 속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페이스북 암호화폐는 비트코인처럼 진정한 탈중앙화를 이루진 못하겠지만, 100여개의 개인 및 기관들이 페이스북 블록체인을 운영하게 될 것"이라며 "리브라(Libra) 노드로 참여하면 리스크 없는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브라는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이름이다.
-
[마켓+](브리핑) 가트너 "북미 블록체인 산업 성장, 모든 지역보다 더뎌"
▲ 오스트리아 철강 회사, 블록체인 기반 철강 무역 시스템 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오스트리아 철강 회사 Alukonigstahl가 블록체인 기반 철강 무역 데이터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Stefan Grull 최고경영자는 "현재 블록체인 기반 철강 무역 데이터베이스 'STEEL but SMART'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며 "관련 프로젝트 시행을 위해 S1Seven GmbH 회사를 설립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주주들에게 철강제품 원산지, 원장, 업계 표준 및 제품 특성, 가공 등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며, 전체 생산 프로세스를 단일 데이터로 압축할 계획이다.▲ 포브스 "BTC 상승에 신규 투자자 유입"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Forbes)의 암호화폐 부문 기고자 찰스 보베어드(Charles Bovaird)가 "지난 한 주간 BTC가 상승 모멘텀에 힘입어 상승세로 돌아서며, 신규 투자자가 유입됐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전문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사이트 크립토컴페어(CryptoCompare)의 찰스 헤이터(Charles Hayter) CEO는 "신규 투자자 중에는 적극적으로 암호화폐 거래에 나서는 단기 투자자와 암호화폐 매수 후 보유하려는 장기 투자자 모두 시장으로 유입됐다"며 "이는 암호화폐 펀더멘털 개선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캐나다 자산관리업체, BTC펀드 상장승인 위한 청문회 개최캐나다 토론토 소재 자산관리 업체 3iQ가 최근 캐나다 온타리오 증권위원회(OSC)의 비트코인 펀드 QBTC 상장 승인 신청에 대한 부결을 뒤집으려 한다고 캐나다 온라인 미디어 체다(cheddar)가 보도했다. 3iQ는 OSC가 현지 투자자의 투자 기회와 핀텐크 발전을 억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만약 성공하게 되면, 3iQ는 비트코인 펀드를 토론토 증권거래소에 상장하기 위한 신디케이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4차례의 청문회 중 3차례가 지난주에 개최되었고, 마지막 청문회는 오는 7월 12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가트너 "북미 블록체인 산업 성장, 모든 지역보다 더뎌"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 가트너(Gartner)가 최근 연구보고서를 통해 "북미 지역 블록체인 산업이 프로젝트 진행 및 생산 방면에서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지역 보다 뒤쳐지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블록체인 산업 중 은행 및 증권 분야 비중이 감소하고 있으며 공공부문, 제조업, 도매업 분야 보다 발전 속도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지불·결제 및 자산 추적 분야가 블록체인 산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
[마켓+](브리핑) 지난 한시간 트위터 언급 횟수, TOP3에 BTC·ETH·BNB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15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1.05%, 숏 포지션 비율은 18.53%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1.60%, 18.44%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89만 BTC로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으며,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57.25만 ETH로 전날 대비 증가했다.▲ BTC 대규모 이체...1.11억 달러 규모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15일 6시 20분 10초 BTC 지갑 '1GKztam9D8ZWK9GxsNoNZbVSVs9Pk1nAXp'에서 '33R32TbCrKPBVhjtMgfvJUsqc8b45eGeDo'로 약 12,999 BTC (약 1.11억 달러)가 이체됐다. 트랜잭션 보기 : https://btc.com/ef299d479e7dc21e40131bc9af0e420675ad7d5fca4568c892263c0cd0549621▲ 美 CME·CBOE BTC 선물 7월물, 전날 대비 2%대↑22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7월물이 전날 대비 155 달러(+1.87%) 상승한 8,440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날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비트코인 선물 XBT 7월물은 2.2% 오른 8,430 달러를 기록했다.▲ BTC, 5분간 1.24% 상승BTC가 지난 5분 간 1.24% 올랐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8603.21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한시간 트위터 언급 횟수, TOP3에 BTC·ETH·BNB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코인트렌즈닷컴(CoinTrendz.com)에 따르면, 지난 1시간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암호화폐는 BTC(142회)로 나타났다. ETH(70회)와 BNB(51회)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4위~10위에는 LTX(48회), XRP(45회), LINK(39회), KCS(28회), NULS(24회), BCH(23회), ADA(22회)가 순서대로 이름을 올렸다.
-
[마켓+](브리핑) 트위터 CEO "암호화폐 코드 정확성 판단 가능 개발자 적다"
▲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75...투심 회복세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7) 보다 8 포인트 오른 75를 기록하며 전날에 이어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전날보다 회복됐음을 나타낸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바이낸스 CEO, 미국 등 29개 국가 대한 지오펜스 설정 보도 해명최근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덱스(Binance DEX)가 미국 등 29개 국가의 사용자에 대해 지오펜스(Geofence, 실제 위치에 기반해 가상의 경계나 구역을 만드는 기술)를 설정했다는 보도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트위터를 통해 "일부 전문적이지 못한 미디어로 인해 이번 일에 대해 적어도 1000번은 해명해야할 것 같다"며 "웹 사이트는 블록체인을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지 블록체인 자체가 아니며, DEX는 차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러시아 신용평가사 "그램 총 공급량, 약 50억 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신용평가사 Aton이 "텔레그램 토큰 그램(Gram)의 총 공급량은 약 50억 개"라며 "인플레이션률은 2%으로 설정되어 총 공급량은 35년 내로 100억 개까지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Aton의 데이터에 따르면, 2억 개의 그램은 락업된 상태이며, 5억 개는 생태계 발전을 위한 인센티브에 사용될 예정이다. 또한 Aton은 "그램의 시세는 2.1 달러에서 8 달러 사이로 책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CEO "암호화폐 코드 정확성 판단 가능 개발자 적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트위터 공동 창업자이자 CEO 잭 도시(Jack Dorsey)가 한 인터뷰를 통해 "수많은 개발자들이 암호화폐 프로젝트 개발에 몰두하고 있지만, 코드의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개발자가 매우 적다"고 밝혔다. 그는 또 "암호화폐의 효율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다"며 "지금도 비트코인 커뮤니티에는 수많은 결함들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모바일 결제 서비스 업체 스퀘어(Square) 산하 블록체인 스타트업 스퀘어 크립토(Square Crypto)의 개발자들은 급여를 비트코인으로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마켓+](브리핑) 유로 퍼시픽 캐피탈 CEO "리브라 프로젝트, BTC에는 악재"
▲ 캐나다 세무청, 암호화폐 세금 관련 불법행위 단속 진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뉴스(cryptonews)에 따르면, 캐나다 세무청(CRA)이 현재 암호화폐 세금과 관련된 불법행위에 대해 단속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CRA은 "전국의 기업과 개인은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기소될 수 있다"며 "캐나다 전역에 다양한 형태의 암호화폐 및 관련 업무가 존재하고, 규제 미준수의 잠재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통해 해당 산업에 대한 규제 강화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고 밝혔다. CRA는 앞서 2017년 부터 암호화폐 전문팀을 구성, 약 60건의 암호화폐 거래, 채굴 관련 기업에 대해 감사를 나선 바 있다. 이에 대해 CRA는 "현재 감사는 계속 진행중이며 결과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많은 탈세사건이 암호화폐와 연관되어 있으며 관련 범죄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캐나다는 미국, 영국, 네덜란드, 오스트리아와 함께 세무기관 합동 TF J5 구성, 국제적인 탈세사건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 퍼시픽 캐피탈 CEO "리브라 프로젝트, BTC에는 악재"유로 퍼시픽 캐피탈(Euro Pacific Capital)의 CEO인 피터 쉬프(Peter Schiff)가 개인 트위터 계정을 통해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Libra)는 비트코인에게 악재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페이스북은 현재 BTC가 주목받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많은 사람이 은행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Unbanked) 국가 시장을 타겟팅하고 있다"며 "리브라는 거래의 중간 매개체로서 BTC보다 훨씬 더 안정적이고 쉽고 비용이 낮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Gate.io, Grin 프로젝트에 5BTC 기부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Gate.io)가 암호화폐 그린(Grin)의 개발 커뮤니티에 5BTC를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Gate.io 측은 "향후 Grin 프로젝트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기부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신 "페이스북, 리브라 블록체인 테스트넷 다음주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 블록(The Block)이 페이스북이 다음주 리브라(Libra) 블록체인 테스트넷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발표와 동시에 아파치(Apache) 2.0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블록체인은 실제 준비자산(a reserve of real assets) 격인 리브라 리저브(Libra Reserve)의 지원을 받아 안정적(stability)이며 낮은 인플레이션(low inflation)의 글로벌 수용성(global acceptance)과 대체가능성(fungibility)이 높은 암호화폐를 지향한다.
-
[마켓+](브리핑) F2Pool 창업자 "지갑 주소 판매 스캠 주의"
▲ 톰 리 "BTC 선물 거래량 증가, 기관자금 유입량 반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최근 미국 월스트리트 소재 투자 리서치 업체 펀드스트랫(Fundstrat Global Advisors)의 창업자 겸 애널리스트 톰 리(Tom Lee)가 "최근 암호화폐 시장 상황은 낙관적이다.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의 증가는 기관 투자자의 자본 유입량도 증가하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5월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 및 포지션 규모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평균 13,777 개 계약이 체결됐다. 이는 약 5.15억 달러 규모로 4월 대비 36% 증가, 지난해 5월 대비 250% 증가한 수치다.▲ 토큰게이저 "ETH 펀더멘탈 약화...메이저 거래소 거래량 급감"암호화폐 전문 데이터 분석 및 제공 플랫폼 토큰게이저(TokenGazer)가 "14일 정오(오후 12시) 기준 글로벌 메이저 암호화폐 거래소 내 ETH 거래량이 전날 대비 26.8% 감소한 약 2억 6,880만 달러를 기록하며 펀더멘탈이 약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토큰게이저의 데이터에 따르면, ETH 가격은 BTC 가격과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독립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ETH 시세는 14일 오후 12시 기준 254.04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시가총액은 전날 대비 1.76% 감소한 270억 3,500만 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내 온체인 거래량과 해시 레이트는 지속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활성화 주소 수는 전날보다 소폭 증가했다. 또한, ERC20 토큰의 총 시가총액은 이더리움 총 시가총액의 62.93% 규모로 나타났다. ERC20 활성화 주소 수 기준 TOP5 프로젝트는 BNB, USDC, TUSD, DAI, LINK 등이다.▲ 찰리 리 “로컬비트코인, 현금 거래 서비스 중단…존재 이유 없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글로벌 P2P(개인간) 암호화폐 거래소 로컬비트코인(LocalBitcoins)이 현금 거래 서비스를 중단한 것과 관련, LTC 창업자 찰리 리(李启威)가 “로컬비트코인이 현금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의미가 없다. 로컬비트코인은 탈중앙화 솔루션 모델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로컬비트코인은 사용자들이 비트코인을 접하고 거래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또한 KYC(Know Your Customer, 고객 확인 절차)를 강화하거나 특정 개인이나 국가 이용을 제한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앞서 로컬비트코인은 KYC(Know Your Customer, 고객 확인 절차) 및 AML(Anti Money Laundry, 자금세탁방지법) 검증 절차를 강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F2Pool 창업자 "지갑 주소 판매 스캠 주의"최근 중국 SNS에서 약 615 BTC가 잠겨있는 8개 암호화폐 지갑 판매 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계 대형 암호화폐 채굴풀 F2Pool 창업자 선위(神魚)가 본인의 SNS 계정을 통해 "이는 명백한 스캠"이라며 투자자 주의를 당부했다. 글 작성자는 "해당 암호화폐 지갑이 비트코인 코어(Bitcoin core) 지갑이고 비트코인 초기에 사용된 소스 파일"이라고 설명하면서, "wallet.dat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잠겨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1년 여간 암호를 풀기 위해 노력했지만 해시파워 부족과 암호 해독 로직 상의 오류로 풀 수 없어 판매를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선위 F2Pool 창업자는 "작성자가 wallet.dat 파일의 퍼블릭키 생성 시점을 2009년으로 조작한 것이다. 해당 dat 파일은 워치온리 지갑(watchonly wallet, 개인키 없이 지갑에 저장된 잔액을 확인할 수 있지만 지불 할 수 없는 지갑)이다. 이를 한 지갑당 1 BTC에 판매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마켓+](브리핑) 비트파이넥스 CTO "최근 발행 1.5억 USDT, 추가 수요 대비 물량"
▲ 바이낸스, 사용자 검증 절차 강화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방금전 글로벌 수준의 컴플라이언스 수요에 따라 거래소 내 사용자 검증 절차를 강화한다며, 일부 사용자에게 추가 정보 제출을 요청할 수 있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거래소 이용약관에 부합하지 않는 사용자는 오는 9월 12일부터 바이낸스에서 입금 및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한편, 플랫폼 내 보유 자산에 대한 관리 기능은 해당 절차와 관계없이 계속 제공된다.▲ 후오비, NAS 입출금 재개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네뷸러스(NAS, 시가총액 89위)의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한다고 공지했다. 전날 후오비는 지갑 업그레이드 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NAS 토큰의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NAS는 현재 6.16% 내린 1.5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룸버그 "LTC 330%↑, 올해 최고의 암호화폐...8월 반감기 영향"블룸버그가 "라이트코인(LTC, 시가총액 7위)이 올 초 이래 330% 이상 상승하며 BTC,ETH,XRP를 제치고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14일(한국시간) 전했다. 미디어는 이와 관련해 모자이크 리서치(Mosaic Research)의 데이터를 인용 "LTC는 작년 말 30달러에서 현재 약 130달러를 기록, 시가총액은 84억 달러로 시가총액 규모 7위를 기록하고 있다"며 "이는 곧 다가오는 LTC 반감기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감기를 지나면 현재 블록당 채굴 보상인 25 LTC가 반으로 줄어 12.5 LTC가 된다. 공급의 감소는 가격 상승 및 가치 하락을 막는 효과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이토로(eToro) 수석 애널리스트 마티 그리스판(Mati Greenspan)을 인용 "우리는 과거 BTC와 LTC의 반감기 때마다 매번 큰 시세 상승을 보았다"며 "현재와 같은 시세 상승은 암호화폐 시장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진단했다.LTC +3.34%▲ 비트파이넥스 CTO "최근 발행 1.5억 USDT, 추가 수요 대비 물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파울로 아두이노(Paolo Ardoino)가 지난 화요일(11일) 10시(UTC) ETH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1.5억개 USDT(해시값 : 0x974df415696175020d70f5f56d52649557c3283e7d1505c1ce7804cf006a8b5a)와 관련해 "해당 USDT 물량의 발행은 승인됐지만, 아직 유통시키진 않았다"며 "Tether Treasury 지갑에서 보관되고 있으며, 향후 추가적인 발행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테더는 현재 약 21억 달러 규모의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현재 미결제된 테더의 약 74%를 차지한다"고 덧붙였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7...투심 회복세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3) 보다 4 포인트 오른 67을 기록하며 전날에 이어 상승세를 유지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전날보다 회복됐음을 나타낸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7-02: 비트코인 1,301만원대 주춤…조정기 예측 단기 급락, 시장 안전성은 여전히 견고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301만원대 주춤…조정기 예측 단기 급락, 시장 안전성은 여전히 견고https://bit.ly/323nppB비트코인 단기 조정시 가격의 향방https://bit.ly/326rZn2리플, 지난 랠리의 1,800% 상승 재현될 수 있을까https://bit.ly/2J4Yniu맥스 카이저 “알트코인장 끝, 비트코인으로 가치 유입될 것”https://bit.ly/2LtTYqM김치 프리미엄이 돌아왔다?https://bit.ly/2xr8tU9비트코인, 짐바브웨에서 600% 프리미엄 … 최고 7만5000달러 기록https://bit.ly/322X4YySKT "사내 벤처에 구성원이 직접 투자한다"https://bit.ly/2RM8jQF
-
[마켓+](브리핑) 바이낸스 거래소 주소서 280만 USDT 이체 발생
▲ 4세대 거래소 실크로드, 14일 아비 ARBI 토큰 상장 및 이벤트 진행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실크로드(CILKROAD)가 14일 오후 중 아비토큰(ARBI-Token)을 상장한다. 아비토큰은 암호화폐 거래소 간 시세 차익을 이용한 무위험 자동 재정거래(봇) 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를 위해 발행된 토큰이다. 실크로드는 상장과 동시에 28일까지 약 2주간 상장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 내 합산 0.5 BTC 이상(BTC가격에 따라 변동가능) 암호화폐를 입금하는 투자자는 인터레스트 정책에 따른 20%의 이자 수익과 함께 20만 ARBI를 에어드랍 받게되며, '코인 종류에 상관없이 순입금액 TOP3'와 '아비봇(ARBIBOT)을 통한 거래량 TOP3' 트레이더에게는 총 100만개의 ARBI와 950 마일리지가 지급된다. ▲ F2Pool 창업자 "POW 채굴 방식, 중장기 옵션 상품과 유사"14일 중국계 대형 암호화폐 채굴풀 F2Pool 창업자 선위(神魚)가 본인의 SNS 계정을 통해 "작업증명(POW) 채굴은 본질적으로 중장기 옵션 상품과 유사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금융적 관점에서 POW 채굴은 인력, 전력 등 각 종 자원이 투입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작업증명(POW) 채굴은 대형 채굴풀들의 독과점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해당 메커니즘으로 운영되는 토큰 가격의 상승 하락은 주기성을 갖고 있다. 블록체인의 거버넌스는 개발자, 채굴자, 사용자 등 주요 구성요소 간 뚜렷한 분업의 경계가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그는 지분증명(POS) 채굴 및 스테이킹(토큰을 특정 자산풀에 예치하는 행위) 경제에 대해 "POS 채굴은 낮은 리스크의 국채와 유사한 경향이 있다"며 "POS 채굴은 필연적으로 기타 금융상품과의 경쟁 구도가 형성되며 그 안에서 이윤을 챙기는 시장이다. 다만 POS 채굴은 소액 보유자들에게 불리하며, 기술적인 진입장벽이 높다. 또 토큰을 오래 보유했을 경우 그에 대한 기회비용의 상승률 역시 POW에 비해 높다"고 진단했다.▲ BTC, 1,393만 달러 규모 이체비트코인(BTC)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BTC닷컴(BTC.COM)에 따르면, 오늘 오후 2시 58분 BTC 대량 이체가 발생했다. 총 1694.21311630 BTC(약 1,393만 달러 규모)가 지갑 주소 '1DW3BBZVE9K1ntWiJJ4qC4wJDNMsYs8Lva'에서 후오비 지갑 주소 '1GqaJfWWtrnP4tcFePjouXfErpUgiH2j8d'로 이체됐다. 해당 트랜잭션 해시값은 '5fcd4680c347d40258fd28f3fdf9b8a4e6841af03794f90d2df00eb94f2777a8'이다.▲ 바이낸스 거래소 주소서 280만 USDT 이체 발생중국 암호화폐 커뮤니티 허위에디(合约帝)의 데이터에 따르면, 14일 오후 14:40 바이낸스 거래소 USDT 주소에서 '1KjHW'로 시작하는 주소로 약 280만 USDT가 이체됐다. 현재 바이낸스 거래소 내 사용자들의 24시간 USDT 유입량은 3,360만 USDT, 유출량은 5,190만 USDT로 1,827만 USDT 규모의 순유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마켓+](브리핑) 티모바일 CIO "신원 인증 등 분야에 블록체인 도입 검토"
▲ 바이낸스닷컴, 미국 사용자 대상 서비스 중단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바이낸스닷컴 플랫폼은 향후 미국의 개인 및 기관 고객들에게 제공되던 암호화폐 거래 등 서비스를 중단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앞서 바이낸스는 14일 오후 최신 버전 '바이낸스 이용 약관'을 업데이트한 바 있다. 해당 약관에는 '바이낸스는 미국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다. 또한 해당 약관에 부합하지 않는 사용자는 9월 12일부터 바이낸스에서 입금 및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이와 관련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을 위해서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해야하는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라며 "바이낸스는 항상 노력을 통해 단기적인 고통을 장기적인 수익으로 전환해왔다"고 말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바이낸스가 현지 업체 BAM Trading Service과 협력, 미국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티모바일 CIO "신원 인증 등 분야에 블록체인 도입 검토"최근 다국적 이동통신사 티모바일(T-Mobile)의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인 코디 스탠포드(Cody Sanford)가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티모바일은 블록체인의 잠재력을 주시하고 있으며, 고객의 신원 인증 및 직원들의 시스템 접근 권한 관리에 블록체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블록체인은 통신사에 보안성 제고, 비용 절감, 비즈니스 및 불편사항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며 티모바일이 추진 중인 블록체인 신원 확인 솔루션 '넥스트 아이덴티티 프로젝트'를 언급했다. 해당 솔루션은 오픈소스 커뮤니티와 제휴를 통해 직원들에 대한 시스템 접근 권한 관리 및 그에 상응하는 감사 및 거버넌스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솔루션이다. 이에 대해 스탠포드는 "넥스트 프로젝트는 2019년 실제 생산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포브스에 따르면, 티모바일은 미국 캐스케디아(Cascadia) 지역 블록체인 개발 기업 연합(Cascadia Blockchain Council)의 설립멤버 중 하나로, Enterprise Ethereum Alliance, Hyperedger Project,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등 기관과 블록체인 관련 제휴를 체결하는 등 블록체인 활용에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전날 댑 활성도 관련 데이터 정리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13일) ETH, EOS, TRON, IOST 4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189,894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59.71%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13,387), TRON(47,754), ETH(28,753), IOST(15,733)2. 총 거래 횟수: EOS(4,292,913), TRON(865,681), IOST(413,359), ETH(92,361)3. 총 거래량(달러): ETH(16,028,128), EOS(14,416,850), TRON(11,755,825), IOST(1,845,485)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Endless Game(EOS), Hash Baby(EOS), Lore Free(EOS)5. 거래횟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TRONbet(TRON), Dice(EOS)6. 거래량 기준 TOP3 댑: Edgeware(ETH), TRONbet(TRON), BigGame(EOS)▲ 엘라스토스, 17일 메인넷 2.0-ilias 버전 출시엘라스토스(ELA, 시가총액 104위)가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17일(현지 시간) 엘라스토스 메인넷 2.0-ilias 버전을 정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업데이트 후 엘라스토스 메인넷은 이더리움 및 네오 사이드체인과 호환을 지원한다. 엘라스토스 메인넷 레이어 2에서는 토큰 사이드체인, DID 사이드체인, 이더리움 사이드체인, 네오 사이드체인 등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엘라스토스 사이드체인 및 크로스체인 솔루션은 중재인 연합 서명(joint signatures from public chain arbitrators) 및 간소화 지불 검증(SPV, 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 메커니즘을 통해 사이드체인 간 거래 안전을 보장한다. 또한 이는 크로스체인 솔루션 구축에 한 축을 책임지게 된다. 이외에도 엘라스토스 팀은 DPoS 기반 사이드체인의 높은 TPS 성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엘라스토스 크로스체인 기술에 결산, 매칭 등 기능을 결합해 탈중앙화 거래소(DEX) 대상 탈중앙화 가치 교환 솔루션을 개발한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ELA는 현재 8.40% 오른 3.8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마켓+](브리핑) 58COIN, 앤트마이너 S17 Pro 해시파워 영구임대 상품 예약판매 개시
▲ 日 노무라,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제공 업체 설립일본 현지 미디어 지지닷컴(jiji.com)에 따르면, 일본 노무라 홀딩스와 노무라 종합연구소가 공동 출자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제공하는 업체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고 14일 발표했다. 해당 업체는 고객에게 주주 정보 및 이자 지급 등 서비스를 제공해 주식·채권의 발행과 유통을 지원하는 거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게 목표이며, 올해 8월 설립될 예정이다. 자금 출자 비율은 노무라 홀딩스 66%, 노무라 종합연구소 34%이며, 설립 3년 후 자본금이 24억 엔에 달할 전망이다.▲ 브라질 금융 당국, 규제 샌드박스 도입...블록체인 혁신 촉진외신에 따르면, 브라질 경제부, 중앙은행, 증권위, 보험감독국은 13일(현지시간) 공동 성명을 통해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샌드박스에는 중소기업 규제 절차 간소화 등이 포함됐다. 당국은 성명서를 통해 "분산원장(DLT)과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출현하고 업계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며 "규제 유연성을 발휘해 중소 핀테크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고 고품질의 제품 및 서비스 출시를 장려하는 게 해당 제도의 도입 취지"라고 설명했다. 한편 샌드박스의 구체적인 도입 시기는 해당 성명에서 발표되지 않았다.▲ 유로폴, 암호화폐 관련 회의 주최...범죄 예방 협력 강화유로폴이 14일(현지 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지난 12일부터 3일 간 각국 사법부 및 민간부문 3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한 제6차 암호화폐 관련 회의를 주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회의는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암호화폐 관련 회의로, 유로폴 유럽 사이버 범죄 센터(EC3)가 주관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회의 기간동안 각국 사법부 및 암호화폐 기업 관계자들은 암호화폐 관련 범죄를 예방하고 피해액 복구에 대한 협력 관계 구축을 논의하는 한편, 새로운 협력 기회를 모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이날 유로폴은 암호화폐 관련 범죄 대응을 위해 시뮬레이션 게임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회의 참석한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은 Binance, BitBay, Bitcoin.de, Bitfinex, BitFlyer Europe, Bitnovo, Bitonic, Bitpanda, BitPay, Bitstamp, CEX, Coinbase, Coinfloor, Coinhouse, Coinpayments, CoinsPaid, Ledger, Litebit, LocalBitcoins, OKCoin, Shapeshift, SpectroCoin, Tether, Xapo 등이다.▲ 58COIN, 앤트마이너 S17 Pro 해시파워 영구임대 상품 예약판매 개시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4종 앤트마이너 S17 Pro의 클라우드 마이닝 해시파워 영구임대 상품의 예약판매를 개시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4종 상품의 수익 계산 시작일은 각각 6월 22일, 7월 5일, 7월 20일, 10월 5일이다. 판매 해시파워는 각각 1000T, 3100T, 3000T, 13000T이며, 예약 판매가는 1T 당 최저 306 위안(현재 환율 기준 약 5만 2,300원)으로 책정됐다. 공지에 따르면, 해당 상품의 최단 기간 원금 회수 주기는 150일, 전기세는 KWh 당 0.32 위안(약 54원), 수수료는 수익금의 4%다. 또한 해당 상품들의 구매는 USDT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앞서 58COIN의 첫 번째 상품인 'S17 클라우드 마이닝 0611' 상품은 예약 판매에서 판매 기간 마감 21일 전 완판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래리 써마크 “바이낸스닷컴, 美 이용자 서비스 제한 예고...충격적인 조치”
▲ 랜 노이너 "페이스북 코인 발행 저커버그, 강력한 독재자 된다"미국 암호화폐 전문가이자 경제 전문 방송채널 CNBC 크립토트레이더쇼(Cryptotrader show) 호스트인 랜 노이너(Ran NeuNer)가 14일 트위터를 통해 페이스북 암호화폐 글로벌코인에 대한 생각을 공유했다.1.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는 무섭다. 이사회를 쥐락펴락하는 한 사람(마크 저커버그)이 운영하는 세계 최대 사용자 기반의 회사가 이제 디지털 통화를 발행함으로써 전 세계 20억 명 인구가 아무런 불편함 없이 자산을 이전할 수 있게 됐다.2. 글로벌코인 사용자는 미 달러 사용자보다 많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를 위해주는 척하는 다른 대기업들이 돈을 주고 페이스북 블록체인의 노드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불편하다. (앞서 페이스북은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제3자에게 위임할 예정이며, 파트너사에 검증 노드를 맡아달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파트너사가 노드가 되기 위해선 1,000만 달러를 페이스북에 지급해야 한다)3. 돈을 통제하는 사람은 곧 권력을 가진다. 저커버그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자이자 선거를 통해 선출되지 않은 독재자가 될 것이다.▲ 애널리스트 "바이낸스닷컴 미국인 사용 제한, 알트코인 겨울 온다"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가 14일(한국시간) 트위터를 통해 "바이낸스닷컴(Binance.com)의 지난 6개월 국가별 트래픽은 미국이 40% 이상을 차지한다"며 "(바이낸스닷컴의 미국인 사용 제한으로) 곧 알트코인의 겨울이 도래할 것이며, 이는 BTC 및 메이저 암호화폐에게는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그는 "바이낸스는 미국인 사용자를 바이낸스닷컴에서 바이낸스 US(Binance US)'로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바이낸스는 최근 "사용 약관 개정을 통해 향후 미국의 개인 및 기관 고객들에게 제공되던 암호화폐 거래 등 서비스를 중단할 예정"이라고 공지했으며, 미국 진출을 위해 바이낸스 US 설립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바이낸스닷컴에는 약 300종의 알트코인이 상장돼있다.▲ 래리 써마크 “바이낸스닷컴, 美 이용자 서비스 제한 예고...충격적인 조치”래리 써마크(Larry Cermak) 더블록(TheBlock) 수석 애널리스트가 14일(한국 시간) 트위터를 통해 “지난 6개월간 바이낸스 방문 고객은 약 1억 8,500만 명으로, 이 중 미국 투자자가 최소 3,000만 명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바이낸스닷컴의 미국 사용자 서비스 중단 예고는 상당히 충격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는 미국 이외 기타 지역 거래소에 대한 규제 당국의 단속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반영한다. 특히 이번 소식은 최근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 폴로닉스가 미국 이용자에 대한 10여 종 마켓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발표한 이후 나왔다. 이들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잇따른 조치는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미국 투자자들은 불확실성이 있는 알트코인을 거래하기가 점점 어려워 질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14일 오후 바이낸스는 '미국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포함된 이용 약관을 업데이트했다. 이에 따르면 약관에 부합하지 않는 사용자는 9월 12일부터 바이낸스에서 입금 및 거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ZEC, 단기 상승... 96 달러 터치지캐시(ZEC, 시가총액 23위)가 단기 상승세를 나타내며 최고 96 달러까지 올랐다. 코인마켓캡 기준 ZEC는 현재 3.84% 오른 91.7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마켓+](브리핑) 리투아니아, 암호화폐 사업자에 거래자 정보 요구 예정…FATF 지침 영향
▲ FT "스탠다드차타드 임원, 페이스북 암호화폐 사업 합류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파이낸셜타임즈(FT)를 인용,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퍼블릭·규제 담당 이사(managing director) 에드워드 보울스(Edward Bowles)가 오는 9월 페이스북의 글로벌코인 프로젝트에 합류한다고 14일 전했다. 다만 페이스북과 보울스 모두 해당 채용에 대해 아무런 코멘트를 하지 않았다고 미디어는 덧붙였다. 페이스북은 앞서 1월 닉 클레그(Nick Clegg) 전 영국 부총리를 글로벌 업무 및 커뮤니케이션 팀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코인베이스 컴플라이언스 담당자 2명을 채용하기도 했다.▲ BNB 9%대 하락세...미국 사용자 서비스 중단 계획 여파바이낸스코인(BNB)이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9월 12일부터 미국 개인 및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중단할 예정이라고 발표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BNB는 바이낸스 USDT 마켓에서 현재 9.92% 내린 32.143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투아니아, 암호화폐 사업자에 거래자 정보 요구 예정…FATF 지침 영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재무부가 암호화폐 취급업체를 대상으로 사용자 거래 보고 등 새로운 규정을 마련 중이다. 이와 관련 리투아니아 현지 미디어는 "리투아니아 의회는 지난 수요일 해당 규정을 통과했지만, 구체적인 시행 일정은 아직 미정"이라고 보도했다. 암호화폐 거래액이 1,000 유로를 넘어서면 당국에 반드시 보고해야 하며, 거래소 같은 암호화폐 사업자는 구매자에 대한 신원 정보 수집이 의무화 된다. ICO 프로젝트의 경우 판매액이 3,000 유로를 넘으면 구매자의 신원 정보가 요구된다. 리투아니아의 이 같은 조치는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오는 21일 발표할 예정인 규제 지침 최종안과 관련이 있다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앞서 블룸버그는 지침에 1,000 유로 이상 암호화폐 거래자 및 암호화폐 수취인 정보 제공 의무화를 포함할 예정이며 이는 거래소, 수탁업체, 헤지펀드 등 암호화폐 사업자에게 적용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BTC 대량 이체…2,610 BTC 규모비트코인(BTC)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BTC닷컴(BTC.COM)에 따르면 14일 오후 6시 50분 지갑 주소 '1B5A2xq39uteuSWrZ7JSuPMym5nNHRFwoZ'에서 '3CfRKFCFAjqGEkJuytuGg31tNBxyLzAKVP'로 2,610.69 BTC(약 2,164만 달러)가 이체됐다. 해당 트랜잭션 해시값은 '1fe7888c530e763caa75b0218ea111152f28b17de27b390726e0cc9d10d7cc75'다.
-
[마켓+](브리핑) 토큰게이저 "코인베이스 BTC 시세, 비트파이넥스 대비 '역프'"
▲ 블록체인 스타트업 2곳, 아마존 ETH 결제 서비스 개발 중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업체 클릭(CLIC Technology)이 블록체인 인프라 서비스 업체 오포티(Opporty)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사는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마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이더리움(ETH, 시가총액 2위)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해당 업체는 "아마존이 자체적으로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추후 브라우저 확장 기능을 통해 아마존에서 ETH 결제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펙쉴드 "스캠 의혹 토큰스토어, 다른 거래소로 10억원 규모 USDT 이체"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쉴드(PeckShield)가 "야반도주 혐의를 받고 있는 '스캠' 암호화폐 거래소 토큰스토어(TokenStore)가 거래소 지갑에 있는 1,748,000 USDT 중 절반 가까이를 다른 거래소로 입금했다"고 전했다. 펙쉴드는 이어 "그 중 447,268 USDT는 후오비로, 426,479 USDT는 정체가 파악되지 않은 다른 거래소로 이체됐다"고 밝혔다. 이어 해당 업체는 "이와 관련된 트랜잭션들을 추적하기 위해 여러 암호화폐 거래소들과 협업하고 있다"며 "나머지 874,283 USDT는 아직 거래소 지갑에 있지만 추후 자금 세탁을 위해 다른 거래소로 이체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월렛 "최근 2달새 400만개 신규 월렛 생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월렛 서비스업체 블록체인(Blockchain)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 상승장으로 인해, 두 달 동안 400만개의 월렛 계정이 새로 생성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해당 업체는 "최근 스테이블코인 PAX를 지원한 것도 월렛 계정 증가세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두 달 간 BTC·ETH 신규 월렛 계정 수는 지난해 4~5월을 합친 규모의 2배 이상"이라고 부연했다. 한편, 해당 업체는 추후 모바일 월렛 서비스에 P2P 결제, 예금 등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토큰게이저 "코인베이스 BTC 시세, 비트파이넥스 대비 '역프'"암호화폐 전문 데이터 분석 및 제공 플랫폼 토큰게이저(TokenGazer)가 "14일 18시 기준, 코인베이스의 BTC/USD 시세가 비트파이넥스 BTC/USDT 시세 대비 여전히 역(-)프리미엄을 나타내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시세 격차 리스크를 주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또한 해당 업체는 "BTC의 전체 네트워크 해시레이트는 53.21EH/s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며 "BTC 활성화 주소는 증가세를, BTC 선물 시장에선 숏포지션 비율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
[마켓+](브리핑) 블록체인 게임 프로토콜 울트라, 비트파이넥스 IEO 플랫폼 토키넥스 (Tokinex)의 두번째 IEO로 선정
블록체인 게임 프로토콜 울트라, 비트파이넥스 IEO 플랫폼 토키넥스 (Tokinex)의 두번째 IEO로 선정-첫번째 IEO앰플포스 (Ampleforth)에/ 이어 2번째 프로젝트 발표-한국시간 7월 16일 오후 8시에 토키넥스(Tokinex)에서 자금 모집 예정(영국령 버진아일랜드)비트파이넥스는 비트파이넥스와 이더파이넥스의 공동 토큰 판매 플랫폼인 토키넥스(Tokinex)에서 진행될 2번째 거래소 토큰 판매 (IEO) 프로젝트로 울트라 (Ultra)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울트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누구나 자신의 게임 유통 플랫폼이나 가상 상품 거래 서비스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다. 울트라가 겨냥하는 산업은 140억 달러 규모의 시장 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현재 업계 거물인 스팀, 구글, 애플이 보유하고 있는 현재의 독점적 구도에 도전하고, 매력적인 대안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울트라는 개발자들에게는 커뮤니티에 대한 더 수월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광고를 포함한 투명한 새로운 수익원의 창출과 함께 즉각적인 나노 페이먼트 (초소형 금액 지불)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혜택들은 게이머들에게도 적용되며, 즉각적인 플레이, 독점 콘텐츠에 대한 접근, 프로젝트를 사용해 UOS 토큰 (Ultra 플랫폼의 토큰) 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 까지 포함된다.비트파이넥스의 CTO인 파올로 아도이노는 "첫번째 토키넥스 프로젝트였던 앰플포스의 큰 성공에 따라, 다음 프로젝트인 울트라를 선정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울트라의 전문적인 팀과 비전은 비트파이넥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커뮤니티 여러분들 반응을 기대하고 있다.” 라고 덧붙였다.한편, 울트라 토큰 세일은 한국시간 7월 16일 오후 8시에 비트파이넥스의 IEO 플랫폼인 토키넥스 에서 시작되며 50만 달러의 캡에 도달하면 종료될 예정이다.
-
[마켓+](브리핑) 비트파이넥스, 플랫폼 토큰 LEO 투명성 이니셔티브 공지
▲ 비트파이넥스, 21시 6,325 LEO 소각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21시 6,325 LEO를 소각했다며 다음 소각은 24시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앞서, 비트파이넥스는 플랫폼 토큰 LEO 투명성 이니셔티브를 발표, 실시간 거래량을 기준으로 LEO 이윤을 소각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중국 유명 크립토 VC 디펀드(DFUND)의 창업주인 자오둥(赵东)은 "비트파이넥스는 실시간 거래량 기준으로 창출되는 LEO 이윤을 3시간 마다 소각하는 셈"이라고 진단했다.▲ 반에크 관계자 "美 SEC 비트코인 ETF 승인 여부, 가을에 판가름반에크(VanEck) 디지털 자산 전략가 가버 거박스(Gabor Gurbacs)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올 가을 중반에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체피캡(chepicap)이 14일 보도했다. 거박스는 "비트코인 ETF 승인이 투자자는 물론 규제 당국에도 이익이라고 생각한다"며 비트코인 ETF는 유동성, 커스터디(수탁), 세수 등에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95%의 사람들이 암호화폐 거래에 필요한 개인 키를 어떻게 보관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비트코인 ETF가 출시되면 비트코인 투자 편의성이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BTC 단기 상승…8,350 달러 터치BTC가 바이낸스에서 11일 신고점 8,350 달러를 터치했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USDT 마켓에서 3.17% 오른 8,326.7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암호화폐 투자펀드 보고서 "BTC, 유동성 리스크 헷징 수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가 글로벌 암호화폐 투자펀드 그레이스케일 인베스트먼트(Grayscale Investments)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BTC는 세계 각국의 여러 유동성 리스크를 헷징하는 훌륭한 수단이라고 14일 보도했다. 보고서는 그렉시트(Grexit,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등을 언급하며 BTC의 리스크 헷징 기능을 강조했다. 일례로 그렉시트 위기 당시 그리스 정부가 3주 동안 엄격한 자본 통제를 실시한 적이 있는데, 이 기간 동안 BTC는 28%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파운드, 유로, 스위스프랑 등을 포함한 20개 시장 및 통화는 평균 수익률 -1.7%를 기록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BTC가 엔화, 위안화, S&P 500, 캐나다달러 등과 같은 주요 시장 및 통화 대비 높은 누적 수익률(53.6%)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비트파이넥스, 플랫폼 토큰 LEO 투명성 이니셔티브 공지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14일 듀얼 프로토콜 기반의 자체 플랫폼 토큰 UNUS SED LEO 관련 투명성 이니셔티브(Transparency Initiative)를 공지했다. 이는 실시간 토큰 소각 보상 매커니즘 개념으로 비트파이넥스 및 테더 운용사 아이파이넥스(iFinex)의 총 수입(gross revenues)을 해당 토큰 투자자들에게 배분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거래소는 "이를 위해 LEO 투명성 대시보드를 운영할 예정이며, leo.bitfinex.com을 통해 접속가능하다"고 공지했다. 이와 관련 중국 유명 크립토 VC 디펀드(DFUND)의 창업주인 자오둥(赵东)은 "비트파이넥스는 실시간 거래량 기준으로 창출되는 LEO 이윤을 3시간 마다 소각하는 셈"이라고 진단했다.
-
[마켓+](브리핑)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 이용 거래소 순위
▲ 조 맥칸 "BTC 선물, 현물 시세 선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가 13일(현지시간), 노드JS(Node.js,확장성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 노드소스(NodeSource) 설립자이자 CEO인 조 맥칸(Joe McCann)의 분석을 인용 "최근 비트코인 선물 가격이 현물의 시세를 예측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고 전했다. 맥칸은 "13일 15:11(UTC) 비트코인 선물 XBTU19가 현물 시세를 선행하는 콘탱고(선물가격이 현물가격보다 높거나 결제월이 멀수록 선물가격이 높아지는 현상) 급등을 나타냈다"며 "그 후 BTC 현물은 8045.80 달러에서 1분후 8142.40 달러, 다시 1분후 8221.18 달러까지 올랐다"고 설명했다.▲ QTUM 창업자 "퀀텀, 70여 국가서 5,300 개 풀 노드 구축"지난 12일(현지 시간) 패트릭 다이 퀀텀(QTUM, 시가총액 32위) 창업자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퀀텀은 70여 개 국가에 걸쳐 5,300여 개 풀노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해당 트윗에서 "풀 노드 규모로만 따졌을 때 퀀텀은 비트코인, 이더리움에 이어 세 번째다. 또한 풀 노드 개수만 따졌을 때 퀀텀은 세계에서 가장 큰 POS 스마트 컨트랙트 네트워크"라고 덧붙였다. 풀 노드란 완전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내려받고 보존하는 노드이며, 풀 노드의 수량이 많을수록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더 안전하다는 의미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QTUM은 현재 1.59% 오른 3.2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QTUM +1.02%▲ 인도 경찰, 비트코인 요구 보이스피싱범 78명 검거IT 전문 미디어 더넥스트웹(theNextWeb)에 따르면, 인도에서 미국 시민을 대상으로 BTC를 지불하라고 요구한 보이스피싱 사기로 78명이 경찰에 검거됐다. 미국인 억양을 가진 인도인들이 미국 사회보장부 공무원을 사칭해 피해자들에게 BTC, 선불 상품권 등 온라인 결제방식으로 50~5000 달러를 지불하라고 강요한 것. 경찰은 해당 조직이 인도에 25명 규모의 콜센터 3개를 운영하며 정부기관을 사칭해 수백만 달러를 가로챘다고 밝혔다.▲ 국내 암호화폐 투자자 이용 거래소 순위국내 블록체인 컨설팅 업체 이더랩이 한국 암호화폐 투자자 이용 거래소 순위를 발표했다. 업비트, 빗썸, 코인원이 1~3위를 차지했다. 4~10위는 각각 캐셔레스트, 지비, 코인빗, OKEx, 비트포렉스, 바이낸스, 빗지가 차지했다. 해당 순위는 5월 22일 기준 알렉사닷컴(alexa.com) 트래픽과 코인빽 커뮤니티 콘텐츠를 기반으로 매겨졌다.
-
[마켓+](브리핑) TenX, 유럽 전자화폐발행 라이선스 취득
▲ 美 국립수산연구소, IBM 블록체인 식품 공급망 파일럿 프로젝트 진행외신에 따르면, 미국 수산물 업계 주요 협회인 국립수산연구소(NFI, National Fisheries Institute)가 IBM의 블록체인 기반 식품 공급망 솔루션 푸드 트러스트(IBM Food Trust, IFT)와 협력해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블록체인을 도입해 수산물 사업의 유통 비용을 절감하고 공급망의 투명성을 높이는 게 목적이다.▲ 로이터·블룸버그, 신규 암호화폐 지수 제공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톰슨 로이터와 블룸버그 터미널에서 소셜 미디어 게시글과 뉴스를 반영한 신규 암호화폐 지수를 제공할 예정인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지수 제공 업체 크립토인덱스(Cryptoindex) CEO VJ 엔젤로는 "지난 30년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 노하우를 통해 소셜 미디어에 나타나는 심리 상태 및 실제 거래량 등 데이터에 기반한 지수를 제공할 것"이라며 "터미널 사용자는 1800여 종의 암호화폐 중 상위 100개 암호화폐의 지수를 제공받을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지수는 각종 암호화폐 거래소의 데이터 및 트위터, 텔레그램, 깃허브 등의 정보를 반영한다는 설명이다.▲ TenX, 유럽 전자화폐발행 라이선스 취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ICO이그재미너(icoexaminer)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및 직불카드 제공 업체 TenX(PAY, 시가총액 172위)가 리히텐슈타인 금융 당국으로부터 전자화폐발행(EMI) 라이선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TenX는 유럽경제지역(EEA), 유럽연합(EU),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TenX는 또 올해 안에 EEA 내 직불카드를 재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트렉스 고위 관계자 "FATF 지침, 글로벌 거래소 통합 시스템 요구"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의 수석 컴프라이언스 및 윤리 담당자 존 로스(John Roth)가 최근 인터뷰에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의 지침은 블록체인의 근본적인 구조 변경, 또는 글로벌 200여 개 거래소를 하나로 합치는 병렬 시스템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및 관련 업체가 FATF의 요구에 따라 1,000달러를 초과하는 모든 암호화폐 거래의 고객 정보 수집하는 것은, 암호화폐의 익명성과 추적 불가능한 특성 때문에 실현하기 까다롭다는 설명이다. 한편, 야후파이낸스는 블룸버그를 인용 "일부 거래소는 이와 같은 시스템 구축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며 "규제 준수는 거래 비용을 증가시켜 거래소 수익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국제 규제 체제가 마련됨에 따라 업계가 과도기를 거쳐 제도권으로 진입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FATF는 오는 21일 암호화폐 기업 규제 지침 최종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거래소, 수탁업체, 헤지펀드 등 광범위한 암호화폐 사업자가 지침의 영향을 받게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