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브리핑) 팩텀, BiTA 가입...운송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
▲ 인도 정부, 대학생 대상 암호화폐·블록체인 무료 강좌 개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최근 인도 인력자원개발부가 대학생 대상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컴퓨터 과학 강좌를 무료로 개설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강좌는 스웨이암(Swayam) 학습 플랫폼에서 무료로 열릴 예정이며, 오는 7월 29일(현지 시간)부터 10월 18일까지 12주에 걸쳐 진행된다. 또한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인도 기술교육위원회(AICTE)가 승인한 FDP(Foll India Council for Technical Education) 자격증을 수여한다는 게 인도 정부 측의 설명이다.▲ 위트레이드 신임 본부장 "팀 규모 확장, 사업 모델 다양화 추진"아일랜드 현지 온라인 미디어 포라(Fora)에 따르면, 최근 아일랜드 더블린 소재 유럽 은행 블록체인 연합 위트레이드(We.trade)의 신임 본부장인 시어런 맥고완(Ciaran McGowan)이 "플랫폼 내 가격 책정 모델을 다양화해 중소기업에 개방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5년간 회사 규모 확장을 위한 새로운 사업 계획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우리가 개발하고 제공해야 하는 시스템은 가치 사슬의 모든 부분을 연결할 수 있는 보다 개방적인 시스템이어야 한다. 올해는 기존 플랫폼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고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시스템의 재설계와 사업 전략 개선에 매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위트레이드는 지난해 7월 유럽 소재 9대 메이저 은행들이 블록체인 기반 실시간 국제 금융 거래를 위해 출범한 플랫폼으로, 현재 HSBC, 도이치방크 등 글로벌 은행들이 참여하고 있다.▲ 팩텀, BiTA 가입...운송업 맞춤형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프레이트웨이브(freightwaves)에 따르면, 팩텀(FCT, 시가총액 110위)이 블록체인 운송 연합(BiTA, Blockchain in Transport Alliance)에 가입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팩텀은 BiTA와 함께 운송 산업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BiTA는 운송 산업 내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표준을 수립한다. 현재 BiTA는 글로벌 물류 운송회사 유피에스(UPS), 유니언퍼시픽(Union Pacific), 디에이치엘(DHL) 등을 비롯해 500개 이상 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FCT는 현재 5.60% 내린 5.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마켓+](브리핑) 보안 업체, 모네로 채굴·DDOS 공격 결합 봇넷 발견
▲ 바이낸스 공동 창업자 “탈중앙화 거래소, 업계 대세 확신”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공동 창업자 허이(何一)가 13일(한국 시간) 암호화폐 관련 정보 제공 플랫폼 토큰인사이트(TokenInsight)와의 인터넷 생방송 인터뷰에서 “바이낸스는 초기부터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전략적 최종 목표로 삼아왔다”며 “현재 중앙화 거래소와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상호 보완적이지만 향후 업계 대세는 DEX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그는 “과거 거래 플랫폼은 중앙화 구조, 높은 상장 비용 등으로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DEX는 다르다. DEX는 자동화 운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기본적으로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구조다”고 덧붙였다.▲ 필리핀 최대 비은행 금융사, 블록체인 개발사 SCI 지분 인수필리핀 현지 온라인 기술 전문 미디어 언박스(Unbox)에 따르면, 최근 필리핀 최대 비은행 금융사 Cebuana Lhuillier가 블록체인 개발 업체 SCI(Satoshi Citadel Industries)벤처스의 지분을 인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Cebuana Lhuillier 측은 블록체인 솔루션 및 핀테크 산업에 본격 진출한다는 설명이다. SCI는 현재 비트코인 거래소 바이비트코인, 블록체인 기반 송금 서비스 리비트 등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서 지난 2016년 카카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국제 송금 업체 센드프렌드, 리플 xRapid 기술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WN)에 따르면, 최근 국제 송금 업체 센드프렌드(SendFriend)가 리플(XRP, 시가총액 3위)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센드프렌드는 동남아 지역 대상 송금 서비스에 리플의 xRapid 기술을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센드프렌드 측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xRapid 기술을 통해 미국에서 활동하는 필리핀 국적 노동자들은 보다 싼 수수료로 필리핀에 송금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한편 센드프렌드의 블록체인 국제 송금은 현재 개인 단위의 이체만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 기업 단위까지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보안 업체, 모네로 채굴·DDOS 공격 결합 봇넷 발견글로벌 보안 소프트웨어 기업 트렌드마이크로(trendmicro)에 따르면, 최근 모네로 채굴 소프트웨어 봇넷(악성 코드 및 소프트웨어를 전파하는 봇에 감염된 PC로 구성된 네트워크)이 발견됐다. 해당 채굴 소프트웨어에는 펄(Perl) 언어 기반 백도어 컴포넌트를 내장해 DDOS 공격 또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트렌드마이크로는 "해당 봇넷이 암호화폐 채굴과 디도스 공격 대행(DDoS for Hire) 서비스를 통해 부당 수익을 빼돌리고 있다. 또한, 해당 봇넷을 사용한 네트워크 공격 수법은 해커 그룹 'Outlaw hacking group'의 지난 크립토재킹 수법과 유사하다"고 부연했다.
-
[마켓+](브리핑) 외신 "리퀴드, 텔레그램 토큰 퍼블릭 세일...50개국에서 판매 불가 전망"
▲ 댄 라리머 "5년 전 지금처럼 규제했다면, BTS·STEEM·EOS 존재 불가"어젯밤 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창시자가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정부 규제와 관련해 "만약 5년 전 규제환경이 현재 수준이었다면, 비트쉐어(BTS, 시가총액 52위), 스팀(STEEM, 시가총액 60위), EOS(시가총액 6위) 모두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라며 "규제는 혁신을 저해하며 당국의 허가 없이는 비즈니스가 불가능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블록원 같은 기업은 당국의 규제를 준수할 수 있지만, 수억 달러 규모의 자금이 뒷받침되지 않은 개인 혹은 업체는 규제 준수가 불가능하다"고 부연했다. 다음은 댄 라리머와 유저의 일문일답.Q. 현재 EOS 월렛에서 유비키 지원이 가능한가?A. 아직 아니다. 하드포크가 필요하다. EOSIO 2.0은 웹오슨(Webauthn) 을 위한 것이다.Q. EOS에 대해 많은 소문을 들었다. 보이스(VOICE)와 DApp 외에도 전략적 파트너가 이룬 성과들이 있는가?A. EOS VC가 이와 관련해 많은 성과를 이뤘다. Q. EOSIO 2.0 적용 이후에도 현재 플랫폼과 EOS 토큰을 사용하는가?A. EOS 토큰은 현재 그대로 사용한다. 처리속도가 더 빨라지고 보안성이 개선될 따름이다.※해당 뉴스는 코인니스와 코리오스가 공동 제작했습니다.▲ 보안 전문가 "비트코인 Erlay 프로토콜, 가장 보편성 띤 개선 방안"비트코인 프라이빗 키 보안 솔루션 기업 CasaHODL CTO 제임스 롭(Jameson Lopp)이 앞서 5월 소개된 새 비트코인 개선 제안(BIP) Erlay 프로토콜에 대해 "지난 몇 년간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이뤄진 개선 중 가장 보편적인 성격을 띤다"고 평가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 크립토가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rlay 프로토콜은 모든 노드에게 트랜잭션을 전달하는 기존의 프로토콜(relay)을 소수의 노드에게만 전달하는 방식으로 바꿔 노드의 대역폭 부담을 대폭 줄여준다(최대 75% 절감). 노드의 대역폭 부담이 줄어들면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노드를 연결할 수 있어 네트워크 보안성이 향상된다. 제임스 롭은 Erlay 프로토콜 도입으로 네트워크 전파 속도가 다소 느려질 수 있지만 더 높은 효율과 광대역 부담 절감 효과가 이를 상쇄한다고 설명했다.▲ 외신 "리퀴드, 텔레그램 토큰 퍼블릭 세일...50개국에서 판매 불가 전망"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리퀴드(Liquid)가 오는 7월 10일 독점 판매하는 텔레그램 그램(Gram) 토큰은 SAFT 협정에 따라 미국, 캐나다, 일본을 포함한 50개국 이상에서 판매될 수 없을 것이라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쓰리애로우 캐피털(Three Arrows Capital) CEO 쑤주(Su Zhu)의 발언을 인용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SAFT(Simple Agreement for Future Tokens) 협정은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투자자들에게 제공하는 투자 계약의 일종으로, 기존 ICO가 투자 즉시 토큰을 발행하는 것과 달리 특정 시점(네트워크 출시 등)에 토큰을 지급하기로 한 약속이다. SAFT 토큰은 거래소, 장외시장 판매가 금지돼 있다. 따라서 리퀴드에서 그램을 구입하더라도 텔레그램 블록체인 네트워크 TON이 출시되기 전까지는 그램의 이체, 인출, 거래가 불가능할 것이라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현재 프라이빗 투자자만 그램 토큰을 구입할 수 있다. 실제로 리퀴드는 텔레그램과 직접 파트너십을 맺은 것이 아니라 한국 소재 그램 아시아(Gram Asia)가 보유한 그램 토큰 일부를 판매할 예정이다. 그램 아시아는 아시아 최대 그램 토큰 홀더로 알려져 있다. 앞서 리퀴드 CEO 카야모리(Kayamori)는 테크크런치와 인터뷰에서 "TON은 오는 10월에 출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10월 그램 상장 전 거래소와 한 번 협력해보기를 바랐다"며 "이번 토큰 판매는 TON의 중요 계획 중 일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OK 채굴풀, BTC·BCH·BSV 채굴 수익모델 변경...채굴자 수익 개선
▲ 中 마이닝풀 CEO "라이트닝 네트워크, BTC 과부하 근본적으로 해결 못해"중국계 대형 마이닝 풀 BTC.TOP의 장줘얼(江卓尔)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웨이보 계정을 통해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낮은 도입률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이용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메인체인 트랜잭션 규모만 봐도 알 수 있는 '헛소리'라며,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채굴자들이 벌어들인 이체 수수료가 채굴 수익의 13%를 차지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라이트닝 네트워크는 사용성으로 보나 규모효과로 보나 치명적인 결함이 있다며 메인체인 과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F2Pool 창업자 "일부 채굴풀, 채굴용 해시파워 이용해 경쟁사 공격"중국계 대형 암호화폐 채굴풀 F2Pool 창업자 션위(神魚)가 최근 본인의 SNS 계정을 통해 "6년 전까지만 해도 암호화폐 채굴 산업에는 각양각색의 수익모델이 있었다. 수익모델이 각기 달랐기 때문에 채굴업체의 예상 수익률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려웠다. 채굴 업계에 이를 이용한 불미스러운 일이 많이 발생했으며, F2Pool 설립 초창기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수년간의 노력 끝에 글로벌 메이저 채굴풀들은 채굴업체에 투명한 PPS 모델을 제공하게 됐다"며 "하지만 최근 몇년 동안 중국 업체들은 겉으로는 낮은 수수료를 외치고 있지만, 뒤에서는 채굴풀 해시파워를 조작하고 있다. 심지어 일부는 'AI(인공지능)' 수수료라는 것을 도입해 채굴풀 가입 초반에는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다가 이후 수수료를 5%에서 최대 10%까지 올려 채굴업체에 피해를 입히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가장 큰 문제는 일부 채굴풀에서 본래 채굴에 사용돼야 하는 해시파워를 이용해 다른 채굴풀에서 블록을 생산하지 못하도록 공격을 한다는 것이다. 기가 막히게도 한 메이저 코인의 경우 전체 해시파워의 25%가 경쟁사를 파산시키기 위한 공격에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OK 채굴풀, BTC·BCH·BSV 채굴 수익모델 변경...채굴자 수익 개선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오늘부터 OK 채굴풀 BTC, BCH, BSV 채굴 수익모델을 기존 PPS+에서 FPPS로 변경한다고 12일 공지했다. FPPS(Full PPS) 모델은 채굴자의 채굴기여도에 따라 소정의 수익과 거래수수료를 더해 채굴자에게 지급해주는 방식이다. OKEx는 FPPS가 기존 PPS+ 모델 대비 채굴자 수익을 더 효과적으로 보장해준다고 설명했다.▲ 최초 EOS 기축 거래소 체인스, Hoo 그룹에 인수합병후푸월렛의 운영사 Hoo 그룹이 오는 18일 최초 EOS 기축 거래소 체인스(Chaince)와 OAX 거래소를 인수, 새로운 거래소를 오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 거래소는 암호화폐 담보 대출, 레버리지 및 선물 거래 등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Hoo 그룹은 앞서 암호화폐 보관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 HD 월렛 등을 출시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블룸버그 "FATF 지침, 거래소 등 암호화폐 사업자에 큰 위협"
▲ 메이커다오·아이즈프로토콜 파트너십 체결, EYES↔DAI 거래 지원블록체인 보안 업체 엘에스웨어의 오픈소스 리버스 ICO 프로젝트 아이즈 프로토콜(Eyes Protocol)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스테이블코인 Dai(DAI, 시가총액 87위) 개발사 메이커다오(MakerDAO)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지난 10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아이즈 프로토콜은 EYES 생태계 내 DAI 토큰 사용을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EYES와 DAI 토큰 간 거래는 가격 변동성 리크스 최소화를 위해 코반 테스트넷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1개 DAI 당 1,000 EYES 비율로 거래된다. 또한 아이즈 프로토콜 측은 "메이커다오와 오픈소스 코드 생태계 시스템 관련 협력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크립토컴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벤치마크 순위'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12일(현지 시간) 암호화폐 전문 데이터 분석 및 제공 사이트 크립토컴페어(CryptoCompare)가 100개 이상의 암호화폐 거래소의 신뢰도를 평가한 '암호화폐 거래소 벤치마크 순위'를 출시했다. 크립토컴페어는 지난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첫 번째 순위를 발표했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코인베이스, 폴로닉스, 비트스탬프 등 3개 거래소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랭킹의 평가 기준에는 지리적 요소, 법률 및 규제 준수 여부, 투자 관련 정보, 운영팀 및 회사, 데이터 제공 진위여부, 거래 모니터링 및 시장 품질 등이 포함된다는 게 크립토컴페어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찰스 헤이터(Charles Hayter) 크립토컴페어 최고경영자(CEO)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거래량은 허위 데이터가 만연하고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지표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 벤치마크 순위는 시장 참여자들에게 투명성을 보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FATF 지침, 거래소 등 암호화폐 사업자에 큰 위협"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오는 21일 발표할 예정인 규제 지침 최종안은 암호화폐 기업에 있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같은 기존 규제당국의 규제보다 훨씬 위협적일 수 있다고 블룸버그가 12일 보도했다. 지침은 1,000유로 이상 암호화폐 거래자 및 암호화폐 수취인 정보 제공 의무화를 포함할 예정이며 이는 거래소, 수탁업체, 헤지펀드 등 암호화폐 사업자에게 적용될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암호화폐 업계는 지침으로 인해 피해 업체가 속출할 수도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암호화폐 리서치 기업 메사리(Messari) 소속 에릭 터너(Eric Turner) 연구 총괄은 "FATF 지침은 암호화폐에 최대 위협"이라며 "SEC나 다른 규제기관의 규제보다 훨씬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 소속 존 로스(John Roth) 컴플라이언스 책임자는 "규정 준수는 비용이 많이 들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거래소 크라켄 관계자 또한 "FATF 지침을 완벽히 준수할 수 있는 기술적 해결책이 없다. 해외 거래소들과 함께 해결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헤지펀드 아카(Arca)는 "일부 지침 미준수 기업은 문을 닫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FATF 지침은 법적 구속력은 없으나 지침을 따르지 않을 시 '자금세탁방지 비협조 국가(블랙리스트)' 지정 등을 통해 사실상의 구속력을 발휘한다.
-
[마켓+](브리핑)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로, 중앙서버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또한, 이는 일종의 개방형 프로토콜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구현됐고, 지난 16년 동안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총 10억회의 다운로드 및 설치됐다. 매월 1억대 이상의 인터넷 접속 컴퓨터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개발자 웹사이트에서 검토한 BitTorrent 증강 프로토콜(BEP)의 개방 과정을 통해 지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다.리플(XRP)금융 거래를 위해 개발된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리플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만 사용할 수 있기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불린다. 채굴작업을 통해 토큰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발행량을 바탕으로 중앙집권 형태의 검증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가 구현된다. 초당 5만 건의 거래 처리가 가능하며 4~5초 만에 송금이 이뤄진다.아이오타(IOTA)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이 아닌 탱글(Tangle)이라는 기술을사용하는 점이 특이하다. 탱글은 근접한 아이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검증방식을 채택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며,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트랜잭션이 많아지면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일반 블록체인과 달리 탱글을이용하면 참여자와 트랜잭션이 많아질수록 속도는 오히려 빨라진다. mIOTA 토큰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도 제공된다.
-
[마켓+](브리핑) 前 CCN 도메인 주소 'CryptoCoinsNews.com', 구글서 재등장
▲ EOS 뉴욕 "'EOS 댑 '봇 트랜잭션', EOS '적합성' 판단할 수 없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메인넷 BP EOS 뉴욕이 앤체인이 최근 발간한 게시물 '블록체인 댑에서의 봇의 비밀'에 기술된 EOS 봇 분석에 대해 "앤체인 측은 EOS 네트워크 내 10대 겜블링 댑의 데이터를 분석했다고 얘기하지만, 그들을 어떤 근거로 10개의 댑을 선정했는지에 대한 기준 역시 내놓지 않았다. 해당 보고서가 집계한 데이터는 EOS의 속도, 보안성, 탈중앙화, 유용성, 확장성 등 어떤 성능 및 효율에 대한 평가에도 사용할 수 없다"고 반박했으며, 또한 이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한 이더리움, 트론, 네오 등의 모든 플랫폼을 공격하는 내용이라 밝혔다. EOS 뉴욕 측은 "앤체인의 보고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프로토콜 계층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함에 따른 결과다. EOS는 트랜잭션을 처리할 때 그 의도까지 신경쓰지 않으며, 그에 대한 논의도 원치 않는다. EOS 블록체인의 적합성을 평가할 때 댑 내 트랜잭션의 '의도'는 중요하지 않다"며 "비트코인 거래량의 95%는 허위 거래량일 수 있지만, 그 가치는 진짜인 것과 같은 이치"라고 덧붙였다. 앞서 블록체인 보안업체 앤체인(AnChain)은 보고서를 통해 "거래량 기준 EOS TOP10 겜블링 댑 내 발생한 트랜잭션 중 상당 부분은 봇을 통한 허위 거래량이다. 전체 고유 계정 중 51% 및 댑 기본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거래의 75%가 자동화 거래의 결과"라고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비트코인코어, BTC 코어 소프트웨어 윈도우 32bit 버전 지원 중단비트코인코어가 최근 공식(Bitcoin Core) 웹사이트 내 다운로드 탭서 BTC 코어 소프트웨어 윈도우 32bit 버전의 다운로드 지원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관련 코드는 깃허브 상에 업로드된 상태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8% 오른 7,967.6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 댑 활성도 관련 데이터 정리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11일) ETH, EOS, TRON, IOST 4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181,505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60.46%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09,743), TRON(45,966), ETH(25,796), IOST(10,337)2. 총 거래 횟수: EOS(4,169,809), TRON(846,442), IOST(564,988), ETH(90,800)3. 총 거래량(달러): EOS(12,764,978), TRON(11,053,047), ETH(6,287,468), IOST(712,059)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Endless Game(EOS), Lore Free(EOS)5. 거래횟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TRONbet(TRON), Dice(EOS)6. 거래량 기준 TOP3 댑: TRONbet(TRON), EOSJacks(EOS), BigGame(EOS)▲ 前 CCN 도메인 주소 'CryptoCoinsNews.com', 구글서 재등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CCN의 전 도메인 주소인 'CryptoCoinsNews.com' 구글서 검색이 가능해졌으며 해당 주소를 통해 현 CCN 웹사이트(현 도메인 주소는 CCN.com)에 접속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CCN의 창업자인 요나스 보쉬그레비크(Jonas Borchgrevink)가 "지난 3일(현지 시간) 구글의 코어 업데이트 진행 후 CCN의 구글 검색량이 하룻 밤 사이 71% 하락했다"며 "이대로라면 수익성 악화로 CCN은 폐쇄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구글의 한 관계자는 "구글은 CCN만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며 "코어 업데이트는 해당 사이트에 다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지난달 전세계 비트코인 ATM 300대 증가...연중 최대 증가폭
▲ 미스릴, 13일 정오 바이낸스덱스 텔레그램서 AMA 진행미스릴(MITH, 시가총액 159위)이 12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오는 13일 정오 12시 바이낸스 산하 탈중앙화 거래 플랫폼 바이낸스덱스(Binance DEX) 텔레그램 채널에서 AMA(Ask Me Anything)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해당 AMA에는 제프리 후앙(Jeffrey Huang) 미스릴 창업자 및 윌슨 후앙(Wilson Huang) 미스릴 부사장이 직접 참여한다. 또한 AMA 기간 동안 총 100,000 MITH이 참여자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현재 미스릴은 11일 오전 9시부터 21일 오전 9시까지 바이낸스덱스 플랫폼 내에서 총 14,500,000 MITH 규모의 토큰 거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바이낸스는 지난 11일 111,400,000 ERC20 MITH 토큰을 BEP2 기반 MITH로 전환한 바 있다.▲ 최근 24시간 테더사 지갑서 총 5,190만 USDT 이체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토큰뷰(Tokenview)에 따르면, 12일 저녁 7시 기준 최근 24시간 동안 옴니 및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테더(USDT, 시가총액 9위) 발행사 소유 'Tether Treasury' 지갑에서 총 5,190만 USDT가 기타 주소로 이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날 대비 26.86% 감소한 수치다. 또한 최근 24시간 암호화폐 거래소로 유입된 USDT는 총 9820만 USDT 규모로, 총 5개 거래소로 분할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토큰게이저 "BTC, 7~9월 선물 거래가 상승세... 강세 지속 전망"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토큰게이저(TokenGazer)에 따르면, 12일 18시 기준 BTC의 글로벌 평균가는 7,971.9 달러, 시가 총액은 1,405억 달러, 24시간 거래량은 7억 3,18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BTC는 오늘 오전 8,000 달러 터치 후 소폭 조정되는 모양새다. BTC 네트워크 내 해시 레이트는 54.56E를 나타냈으며, 선물 거래 플랫폼 내 롱 포지션 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시장 내 BTC 시총 비중은 55.32%를 기록하며 완만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토큰게이저 측은 "8, 9월 만기 BTC 선물은 모두 7월물보다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7~9월물 가격 모두 상승세를 나타내며 시장 전망은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지난달 전세계 비트코인 ATM 300대 증가...연중 최대 증가폭암호화폐 ATM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코인ATM레이더(Coinatmradar.com)에 따르면, 지난 5월 신규 비트코인 ATM 설치 개수는 306대로 연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달 새로 설치된 비트코인 ATM과 제거된 ATM의 합계인 순증가 개수는 228대를 기록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 각국에 설치된 비트코인 ATM은 총 4,898 대를 기록했다. 앞서 비트코인 ATM의 순증가 개수는 지난해 4월 역대 최고치인 256대를 기록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XMR 개발자, ASIC 채굴 저지 알고리즘 7월 중 코드 동결 전망
▲ 디센트럴라이즈 캐피탈, 호주 증권거래소에 비트코인 ETF 신청 예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호주 블록체인 기업 디센트럴라이즈 캐피탈(Decentralized Capital)이 향후 6개월 내 호주 증권거래소에 BTC ETF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ETF 상품은 호주 소재 회계 법인 BDO가 감사 및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디센트럴라이즈 캐피탈의 스티븐 모스(Stephen Moss) 창업자는 "만약 규제 기관과 호주 증권거래소의 협력이 이뤄진다면 투자자들에게 안전한 투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호주는 비트코인 ETF를 출시하기 이상적인 국가로 거듭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OKEx, BTC·ETH·USDT·USDK에 오는 13일 21시 LEO 상장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비트파이넥스의 플랫폼 토큰 LEO를 오는 13일 21시 BTC, ETH, USDT, USDK 마켓에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또한 입출금 서비스는 각각 12일 21시, 14일 18시에 오픈한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LEO는 현재 2.64% 오른 1.9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파이넥스, 13일 USDK 및 OKB 상장...USDK 마켓 오픈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13일 플랫폼 내 USDK 마켓을 오픈, BTC/USDK, ETH/USDK, USDT/USDK, EOS/USDK, USDK/USD 종목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또한 같은날 비트파이넥스는 USD, BTC, ETH, USDT 마켓에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플랫폼 토큰 OKB를 상장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OKB는 현재 8.57% 오른 1.6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XMR 개발자, ASIC 채굴 저지 알고리즘 7월 중 코드 동결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익명성 암호화폐 모네로(XMR, 시가총액 13위)의 개발자들이 ASIC 칩을 통한 채굴 전용 하드웨어 저지 알고리즘 랜덤X(RandomX)의 코드 동결을 오는 7월 중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Symas Corporation의 하워드 추(Howard Chu) CTO는 "최근 RandomX의 4가지 감사를 완료했으며, 코드 동결은 7월에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모네로 커뮤니티는 ASIC과 경쟁하기 위한 새로운 채굴 알고리즘인 RandomX를 지속 추진하고 있다. 최근 1개 코드에 대한 공식 감사를 완료했으며, 다른 코드들 역시 감사를 진행 중이다. 코드 동결 후 해당 알고리즘은 10월에 도입될 예정이다. 모네로의 멀웨어 피해대응팀 저스틴 에렌호퍼(Justin Ehrenhofer)는 "우리는 컨센서스를 달성하고 RandomX를 도입할 것"이라며 "이는 우리가 XMR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만약 실패하더라도 XMR 네트워크는 ASIC 친화적 채굴 알고리즘을 도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한 모네로 커뮤니티의 컨트리뷰터(contributor) 디에고 살라자르(Diego Salazar)는 "RandomX는 모네로가 ASIC을 밀어낼 수 있는 마지막 방법"이라고 밝혔다. 하워드 추(Howard Chu)는 또 "RandomX는 CPU를 중심으로 설계됐으며, CPU는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는 컴퓨팅 자원"이라며 "향후 3년에서 5년안에 RandomX는 CPU 채굴이 ASIC 채굴량을 넘어서게 만들 것이며, 해당 알고리즘은 GPU 채굴기보다 CPU 채굴기에 더 적합하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XMR은 2.15% 상승한 88.1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
[마켓+](브리핑) 바이낸스 체인, 메인넷 사용료 등 비용 인하 예정
▲ 바이낸스 체인, 메인넷 사용료 등 비용 인하 예정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산하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덱스가 12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최근 BNB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바이낸스 체인 검증인들은 만장일치로 바이낸스 체인 메인넷에 관한 대부분의 비용을 약 50% 정도 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수수료 개선안 링크와 개선안은 오는 13일 9시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존 맥아피,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맥아피 매직'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대표적인 비트코인 강세론자이자 세계적인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자 존맥아피(John McAfee)가 최근 WMS(Web Management System)에서 "자동화 봇을 통해 100 건의 거래를 동시 처리할 수 있고 빠른 거래를 제공하는 신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맥아피 매직(McAfee Magic)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나의 걸작인 거래 플랫폼 출시가 늦어져 미안하다. 하지만 출시를 안하는 것보다는 늦는게 더 나은 것 같다"며 "다음 주는 거래소 연동 암호화폐 직불카드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업체는 공식 웹사이트 상의 FAQ를 통해 "맥아피 매직은 맥아피 브랜드와 어울리는 두 번째 소프트웨어다. 또한 전세계 사용자는 맥아피 매직을 통해 여러 거래소에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으며, 현재 ARB 토큰 구매 및 거래를 지원하고 있으며, 전 세계 각지에서 합법적인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부연했다.▲ 알고랜드 CEO "알고랜드 개발팀 물량, 락업 아닌 장기 보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체인디디에 따르면, 튜링(Turing) 상 수상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MIT 교수가 개발하는 블록체인 프로토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의 창업자 스티븐 코키노스(Steven Kokinos)가 "알고랜드 개발팀은 지급된 토큰 물량을 락업 대신 '장기보유' 형식으로 보유하게 될 것"이라며 "해당 물량은 단기간 내 판매할 수 없으며, 개발팀은 해당 물량을 프로토콜 보호 및 네트워크 보안 유지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그는 지난 8일(현지 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알고랜드 개발팀은 토큰 락업을 진행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OKB 10.61%↑, 비트파이넥스 상장 영향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자체 발행 플랫폼 토큰 OKB(OKB, 시가총액 1849위)가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0.61% 오른 1.71 달러에 거래되며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는 오늘 13일 플랫폼 내 USD, BTC, ETH, USDT 마켓에 OKB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공지한 바 있다.▲ 58COIN, BTC·ETH·EOS 리더보드 선물 포지션 현황12일 저녁 9시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 내 리더보드 사용자의 BTC·ETH·EOS 선물 포지션 현황은 다음과 같다. 1. BTC : BTC 무기한 계약 거래 포지션 중 롱 포지션이 19.04%, 숏 포지션이 19.99%를 점유하며 숏 포지션이 약 700 BTC 규모의 우세를 점하고 있다.2. ETH : ETH 무기한 계약 거래 포지션 중 롱 포지션이 17.83%, 숏 포지션이 15.10%를 점유하며 롱 포지션이 약 21,700 ETH 규모의 우세를 점하고 있다.3. EOS : EOS 무기한 계약 거래 포지션 중 롱 포지션이 16.71%, 숏 포지션이 18.73%를 점유하며 숏 포지션이 약 148만 9,400 EOS 규모의 우세를 점하고 있다.
-
[마켓+](브리핑) 유럽 투자회사, 독일 시장 겨냥 블록체인 부동산 펀드 출시
▲ PIEXGO, 첫 IXO 프로젝트 ZORO 16일 13시 토큰 판매 개시싱가포르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PIEXGO가 12일(현지 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오는 16일 13시 PIEXGO 산하 IXO 플랫폼 로켓고(RocketGo)에서 첫 프로젝트로 NEO 기반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 ZORO의 토큰 판매를 시작한다고 공지했다. IXO는 기존 거래소 토큰 중심의 IEO와 달리 퍼블릭체인 생태계 중심의 토큰 공개를 의미한다. 토큰 판매는 추첨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추첨에 성공한 사용자는 NEO 토큰을 사용해 ZORO 토큰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ZORO는 사이드체인 기술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분산형 컴퓨팅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이다.수요일,2019년 06월 12일▲ 美 유명 블록체인 벤처캐피탈 "암호화폐 시장, 겨울 지나갔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최근 미국 유명 벤처캐피탈 디지털 커런시 그룹(Digital Currency Group, 이하 DCG)의 최고경영자인 배리 실버트(Barry Silbert)가 블룸버그 테크놀로지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의 겨울이 곧 끝날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BTC의 등락은 순환적 성격을 띠고 있다. 2011년 이래 BTC 가격은 4차례 80% 이상의 급락을 겪은 후 신고점을 경신했다. 지난해 약세장 이후 최근 BTC 강세는 이제 암호화폐 시장의 겨울이 지나갔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분석했다.▲ 유럽 투자회사, 독일 시장 겨냥 블록체인 부동산 펀드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유럽 투자회사 팩사이드 캐피탈 어드바이저(Peakside Capital Advisors)가 독일 소재 블록체인 기반 토큰화 자산 투자 플랫폼 브릭블록(Brickblock)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를 통해 독일 시장을 겨냥한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펀드를 출시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펀드는 1,500만 유로부터 7,500만 유로(약1,700만~8,500만 달러) 규모의 자산을 운용할 예정이다.▲ 랜 노이너 "페이스북 글로벌코인, 중앙화 암호화폐"미국 암호화폐 전문가이자 경제 전문 방송채널 CNBC 크립토트레이더쇼(Cryptotrader show) 호스트인 랜 노이너(Ran NeuNer)가 12일(현지 시간)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 블록티비(BlockTV)와의 인터뷰에서 "페이스북의 '글로벌 코인'은 중앙 집중형 암호화폐"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출시는 분명 흥분되는 소식이지만 글로벌 코인은 벤모, 페이팔, 달러 및 기타 전통 플랫폼과 경쟁 구도를 갖출 것이다. 글로벌 코인은 어떤 암호화폐와도 경쟁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
[마켓+](브리핑) 외신 "XRP, 하락 쐐기 패턴 형성...20% 이상 상승 가능성"
▲ 러시아 철도청 "현지 국영 철도회사, 블록체인 시범 사업 '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인크립토(BeInCrypto)에 따르면, 러시아 철도청(RZD) IT 부서 담당자 Evgeniy Charkin가 "러시아 국영 철도회사들이 블록체인을 도입한 시범 사업을 운영하기 위해 블록체인 스타트업 파트너들을 적극적으로 모색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옥탸브리스카야 철도공사(Oktyabrskaya Railway)는 운송업체, 해운업체들과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 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운송 관련 데이터 및 상품 품질을 보다 효율적이고 투명하게 관리한다는 설명이다.▲ ZEC 12.28%↑ 단기 상승방금 전 지캐시(ZEC, 시가총액 23위)가 단기 상승 흐름을 나타내며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2.28% 오른 87.9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후오비, NEO·GAS·DBC·PHX 출금 일시 중단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가 NEO, GAS, DBC, PHX의 지갑 시스템 점검 작업을 진행, 해당 토큰들의 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외신 "XRP, 하락 쐐기 패턴 형성...20% 이상 상승 가능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가 "XRP(XRP, 시가총액 3위)가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상승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는 "현재 XRP는 XRPUSD 4시간 봉 차트에서에 거래량이 완만히 감소하는 하락 쐐기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며 "해당 패턴의 저항선을 돌파할 시, XRP는 앞서 형성한 더블탑 저항 부근인 0.45 달러까지 약 20% 이상의 상승 공간이 열려있다"고 설명이다. 또한 "해당 상승 관점은 XRPUSD의 일봉 차트의 넥라인(neckline)이 붕괴하지 않으면 유효할 것"이며 "BTC가 급락하지 않는 이상 XRP는 해당 패턴을 상승 돌파하고 0.45달러 이상까지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2.98% 오른 0.40146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단기 상승, 메이저 코인 전반 상승세방금 전 BTC가 단기 상승 흐름을 보이며 바이낸스에서 일일 고점인 8,200 달러를 터치했다. 현재 BTC는 바이낸스 기준 5.08% 오른 8,155.87에 거래되고 있다. BTC 강세 흐름에 동조한 메이저 코인 전반이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다. L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0.84% 오른 142 달러를 기록하며 11개월 이래 최고점을 경신했고, ETH 역시 250달러선을 회복했다.▲ BTC, 5분간 1.71% 상승BTC가 지난 5분 간 1.71% 올랐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8126.49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마켓+](브리핑) 마이클 포드, 비트코인 코어 메인테이너로 신규 임명
▲ 펙쉴드 “테더, ETH 네트워크서 1.5억 USDT 추가 발행”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쉴드(PeckShield)에 따르면11일 18시 15분(한국 시간) 테더가 ETH 네트워크에서 1억 5,000만 USDT를 추가 발행했다. 해당 추가 발행은 블록높이 7,936,931에서 발생했다. 트랜잭션 해시값은 ‘0x07856fe710b2d1a446aa6d9fa09d882fcab7a010f49b68ce551c01b7f6caa509’다. 현재까지 테더가 ETH 네트워크상에서 발행한 ERC20 기반 USDT는 총 800,010,000개다.▲ 바이낸스덱스, BOLT 상장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덱스(Binance DEX)가 공식홈페이지를 통해 BOLT(BOLT, 시총 361위)를 상장하고 BOLT/BNB 거래 페어를 지원한다고 공지했다. BOLT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3.15% 오른 0.01902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컴페어·나스닥, 암호화폐 종합 지수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크립토컴페어(CryptoCompare)가 글로벌 시총 2위 증권거래소 나스닥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측은 새로운 암호화폐 지수인 '나스닥/크립토컴페어'(Nasdaq/CryptoCompare) 종합 지수를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지수는 나스닥 산하 금융 정보 플랫폼 퀀들(Quandl)을 통해 전문 투자자에게 제공된다.▲ BTC, 5분간 1.06% 하락BTC가 지난 5분 간 1.06% 내렸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7818.29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마이클 포드, 비트코인 코어 메인테이너로 신규 임명최근 열린 CoreDev회의에서 비트코인의 오랜 컨트리뷰터(contributor)인 마이클 포드(Michael Ford)가 새로운 비트코인 코어 메인테이너(maintainer)로 추가 임명됐다고 1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전했다. 향후 포드는 기존 메인테이너 wlavan Der Laan, Jonas Schnelli, Marco Falke, Samuel Dobson 4명과 함께 비트코인 노드의 최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개선 작업을 맡게 된다.
-
[마켓+](브리핑) IDC “유럽 의료보건기관 44% 블록체인 들어본 적 없어”
▲ 지캐시 운영사, 200만 달러 규모 위약금 소송 피소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일렉트릭코인 컴퍼니(Electric Coin Company, 전신 ZCash Company)가 직원이 제기한 200만 달러 규모 위약금 소송에 휘말렸다. 해당 직원인 Simon Liu는 계약 고용 당시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는 내용을 포함, 계약서를 체결했으나 회사측이 1만 5,000주의 보통주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지난달 29일 소송에서 적대적인 근무환경에서 일했으며, 일렉트릭코인 컴퍼니가 이를 방관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회사 측은 법률적 절차가 진행 중인 미결 사안에 대해 공식적으로 의견을 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 2월 ZEC 운영체인 지캐시컴퍼니(Zcash Company)는 자체 비영리 기관인 지캐시파운데이션(Zcash foundation)과의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일렉트릭코인 컴퍼니로 법인명을 변경했다. Simon Liu의 주장 대부분은 법인명 변경 전인 2016년과 2017년 당시 일이다.▲ 암호화폐 연구원 "LN 일일 최대 처리량 600건 불과"암호화폐 연구원 Mihailo Bjelic이 최근 트위터에서 라이트닝 네트워크(LN) 유동성 공급업체 LNBig이 발표한 내용을 인용, "LNBig이 전체 네트워크의 49.6%를 차지하고 있지만, 일평균 처리 거래량은 200-300건, 일일 최대 처리량은 600건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비중이 높다고 거래량이 높은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엔젤 투자자 Marc Bevand 는 "BTC 네트워크 병목 현상이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이를 해결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실제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적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편 LN 커뮤니티 LNTrustChain의 Argy Xafis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LNBig이 지난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LN 일평균 처리량은 500-600건, 일일 최대 거래량은 2,000건에 달한다"며 이에 반박했다.▲ IDC “유럽 의료보건기관 44% 블록체인 들어본 적 없어”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가 290개 의료보건기관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블록체인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가 44%인 반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12%에 그쳤다. 전체 23%는 블록체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잘 모르겠다고 답했고 21%는 블록체인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지만 실제 응용할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12%는 응용 사례를 연구 중이며 2%는 시범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생산 과정에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도입했다고 답한 비율은 약 2%였다.
-
[마켓+](브리핑)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스타벅스 기프티콘' 경매 이벤트 진행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스타벅스 기프티콘' 경매 이벤트 진행]블록체인 가상화폐 포털커뮤니티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는 "스타벅스 기프티콘 이벤트가 경매방식으로 7월 31일까지 진행된다" 고 밝혔다.7월 한달간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총 30명에게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지급하며, 블록체인허브 웹사이트 회원이라면 누구나 HUB포인트를 이용하여 경매에 참여할수 있다.HUB포인트는 글쓰기,댓글,추천 등 커뮤니티 활동보상으로 지급되며 적립된 포인트는 온,오프라인 이벤트 참여 및 사이트내 부가기능에 사용할수 있다.블록체인허브 이충 대표는 "블록체이너와 암호화폐 투자자를 위해 지속적인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6-28: 비트코인 1,389만원대…급등 피로도에 따른 조정장 인가, 1만달러대로 후퇴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389만원대…급등 피로도에 따른 조정장 인가, 1만달러대로 후퇴https://bit.ly/2LpTimr비트코인 랠리에 희생된 알트코인, 반등은 언제쯤?https://bit.ly/2LlmATb엄청난 상승에는 엄청난 하락이 수반된다https://bit.ly/2JgUs0C비트코인 가격 폭등…채굴 역대 최고로 어려워졌다https://bit.ly/2Yd2ttT비트파이넥스,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 100배 레버리지 제공 준비…과도한 마케팅 지적https://bit.ly/2KJbHv0비트코인, 이젠 김치 대신 인도 프리미엄https://bit.ly/2Ykw8Bw
-
[마켓+](브리핑) BTC 보안업체 CTO “BTC 커뮤니티 여성 참여도 역대 최고”
▲ VISA, 블록체인 기반 신원확인 시스템 정식 출시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카드 대표 주자 비자(VISA)가 블록체인 기반 신원확인 시스템 ‘VISA B2B 커넥트’를 정식으로 출시하고 30개 글로벌 기업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VISA B2B 커넥트는 금융 업체가 국경간 지급 결제를 수행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플랫폼 상거래에 사용될 개인 암호식별자를 제공하고 금융거래와 계좌번호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토큰화한다. 이와 관련해 비자의 비즈니스 솔루션 글로벌 책임자 케빈 팔렌 (Kevin Phalen)은 “해당 네트워크는 완벽히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구축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에 비해 더 많은 지불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거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VISA B2B 커넥트는 비자와 미국 벤처 기업인 체인(Chain)이 공동 개발한 프로젝트로, 2017년 11월 시범 형식으로 처음 시행됐다. 글로벌 IT 기업 IBM이 하이퍼레저 패브릭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 기술 지원에 참여했다.▲ PwC 블록체인 전문가, 테조스 재단 합류...CFO·COO 겸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스펙테이터(CoinSpectator)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 컨설팅 업체 PwC의 블록체인 전문가 로먼 슈나이더(Roman Schnider)가 테조스(XTZ, 시가총액 19위) 재단에 합류한다. 올해 여름 시즌부터 최고재무관리자(CFO)와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겸임한다. 그는 PwC에서 약 15년간 일한 경험이 있으며, 투자은행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업무를 진행했다. 또한 지난 2016년 PwC 스위스 지사에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부서를 신설한 바 있다.화요일,2019년 06월 11일▲ NEO 개발 기관, NEO 기반 증권형토큰 생태계 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ryptoDaily에 따르면, NEO재단이 설립한 프로젝트 개발 기관 NEO Global Development(NGD)가 11일(한국 시간) Liquefy에 투자하고 협력 관계를 맺었다고 보도했다. 향후 NEO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증권형 토큰 생태 시스템을 개발, 이를 통해 NEO 보유자가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Liquefy는 엔드투엔드 솔루션 기반 투자자 관리 서비스 제공 업체다. 코인마켓캡 기준, NEO는 현재 3.17% 내린 11.9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보안업체 CTO “BTC 커뮤니티 여성 참여도 역대 최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Crypto가 비트코인 프라이빗키 보안 솔루션 업체 카사(Casa)의 최고기술책임자(CTO)인 제임스 롭(Jameson Lopp) 트위터를 인용, 디지털 화폐 분야 내 여성 참여도가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미디어는 또한 한 네티즌(Cypherpunk)이 공유한 도표를 인용, 비트코인 커뮤니티 내 여성 비율이 10%까지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앞서 블록체인 전문 리서치 업체 겸 미디어 롱해시(Long Hash)는 블록체인이 IT 등 기타 첨단 기술 분야와 비교해 성별 불균형 현상이 유독 두드러진다고 전한 바 있다.
-
[마켓+](브리핑) 전 월가 애널리스트 “암호화폐 반등세, 외부 자금 유입 때문 아냐"
▲ LTC 지속 강세, 130 달러 돌파라이트코인(LTC, 시가총액 4위)이 메이저 코인 중 나홀로 강세를 이어가며 130 달러를 돌파, 연중 신고가를 경신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LTC는 현재 5.91% 오른 134.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英 자금세탁방지 입법안, 오픈소스 생태계 파괴 우려"영국 온라인 미디어 더레지스터(The Register)에 따르면, 디지털 권리보호단체 프런티어전자재단(Electronic Frontier Foundation, EFF)과 인권보호 단체 오픈 라이츠 그룹(Open Rights Group, ORG)이 영국 재무성의 자금세탁방지 입법안에 반대 의견을 내놓았다. 해당 법안이 암호화폐를 이용한 랜섬웨어 등 범죄를 방지하기 위해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월렛 등 암호화폐 관련 소프트웨어 포함)에 고객확인의무(CDD)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블록체인 생태계 뿐만 아니라 자유 공개 소프트웨어(FLOSS, Free/Libre and Open Source Software) 생태계에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영국은 유럽연합(EU)의 최신 자금세탁 방지 지침(5MLD) 준수를 위해 2020년 1월까지 관련 입법을 완료할 의무가 있으며, 논의를 위해 지난 4월 입법안을 발표한 바 있다.▲ 美 의료 블록체인 스타트업,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과 협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ointelegraph에 따르면 11일(한국 시간) 미국 의료 분야 블록체인 스타트업 네뷸라 지노믹스(Nebula Genomics)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EMD Serono와 협력한다. 네뷸라 지노믹스는 익명성이 보장된 게놈 네트워크를 제공, EDM Serono의 신약 개발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네뷸라 지노믹스는 현재 시퀀싱(DNA의 염기가 어떤 순서로 늘어서 있는지 분석해 제공하는 서비스) 비용 절감 및 게놈 데이터 보호 강화 전문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한편 앞서 1월 EMD Serono의 모회사인 Merck KGaA는 인공지능(AI)와 블록체인 기술로 물리적 연구 대상의 진위성 여부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발해 미국 특허를 획득한 바 있다.▲ 전 월가 애널리스트 “암호화폐 반등세, 외부 자금 유입 때문 아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전 월가 애널리스트이자 파생상품 트레이더 톤 베이즈(Tone Vays)가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겨울이 완전히 끝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대규모 외부 자금이 유입된 흔적이 없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최근 시장 반등세는 외부 자금 유입이 아닌 기존에 존재하던 자금에 의한 것”이라며 “만약 이들 투자자가 다시 겁을 먹는다면 BTC 시세는 또 다시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모든 사람이 BTC를 보유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라며 “최근 시장 상황으로 볼 때 BTC가 2,000달러 아래로 떨어질 확률은 낮아 보인다. 다만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