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켓+](브리핑) IMF 총재 "암호화폐 정의, 국가별 상이"
▲ 글로벌 P2P 암호화폐 거래소 “일부 지역 서비스 중단, 규제 때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일부 지역 서비스 중단으로 뭇매를 맞은 캐나다 및 유럽의 P2P 암호화폐 거래소 로컬비트코인(LocalBitcoin)의 커뮤니티 매니저 Vera Xavier과 최고 고객담당 책임자 Elena Tonoyan이 해당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이란 이용자에 서비스 중단 조치를 취한 이유는 해당 지역 관리감독 규정 때문이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가별 업계 정책을 우선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 관련 국가마다 서로 다른 정책을 내놓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현재 각국 규제 기관과 관련 문제를 조율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고 강조했다.▲ 반에크 전략 총괄 “BTC 접속가능노드 수, 1년 전과 비슷”미국 뉴욕 소재 상장지수펀드(ETF) 제공업체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최근 BTC 네드워크 내 접속가능노드(reachable nodes)가 9,623개로 추산됐다. 국가별 비중을 보면 미국 25%, 독일 20%, 프랑스 6.5%, 네덜란드 5.3%, 중국 3.9%, 영국 3.2%, 러시아 2.6%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해 큰 변동이 없는 수치다. BTC의 ‘탈중앙화’를 위해서라도 더 많은 투자자들이 자신만의 노드를 운영하기를 권유한다”고 말했다. 접속가능노드는 BTC 네트워크 에서 트랜잭션 기록을 유지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노드 수가 많아질 수록 보안, 탈중앙화 수준 향상에 유리한 것으로 해석된다.▲ IMF 총재 "암호화폐 정의, 국가별 상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프레스(bitpress) 공식 트위터에 따르면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일본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기간 '디지털 시대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세미나에서 "최근 블록체인 등 신기술이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기술이 일부 사람에게만 이익을 가져다 주지 않는지 고민해봐야 한다는 것"이라며 "암호화 자산에 대해서는 현재 국가마다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댄라리머 “보이스, EOS 탈중앙화 가속화”댄라리머 이오스(EOS, 시총 6위) 창시자가 오늘 트위터를 통해 블록원의 소셜 미디어 댑 보이스(Voice)에 대해 “보이스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파레토 법칙(상위 20% 사람이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이 아닌, 진정으로 민주적인 거버넌스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며 “해당 댑이 대규모로 활용되면 EOS의 탈중앙화 속도도 더욱 빨라질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
[마켓+](브리핑) 비트렉스, 21일부터 미국 이용자 대상 QTUM 등 마켓 서비스 중단
▲ 日 금융청 수장 “과도한 규제, 블록체인 등 기술 혁신 지연”일본 니케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 일본 금융청(FSA) 토시히데 엔도 금융청장이 “규제는 기술 혁신 속도에 따라가지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혁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블록체인 등 혁신 금융 기술은 중개 기관 없이 직접적인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그 과정에서 기존 금융 업체는 시장 입지를 위협 받을 수 있다. 시장 참여자 모두의 이익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암호화폐, 금융 중개 기관에 대한 당국 정책 등에 있어 국가간 의견 조율이 매우 중요하다. 물론 대화를 유지하는 게 쉽지만은 않다. 각국은 논의 과정에서 금융 안정, 소비자 보호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와이스 레이팅스, EOS 등급 하향 조정암호화폐 평가기관 와이스 레이팅스(Weiss Ratings)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EOS의 중앙 집중화 문제가 여전히 심각하다. 이와 관련 EOS 측이 최근 몇 가지 조치를 취했지만 큰 성과가 없다고 판단, 기술 분야 점수를 대폭 낮췄다. 이제 ADA가 PoS 알고리즘으로 진정한 탈중앙화를 이룰 수 있을지 지켜볼 차례”라고 전했다.▲ 美 CFTC 주간 보고서, 딜러 계좌 순숏포지션 0…BTC 단기 악영향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발표한 COT(Commitment of Traders)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주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 거래 딜러(Dealer) 계좌 숏포지션이 모두 청산되면서 ‘0’을 기록했다. 중국 최대 암호화폐 미디어 비스제의 분석에 따르면 딜러 계좌는 중간에서 트레이딩을 돕는 마켓 메이커들이 사용하는 계정으로, 롱포지션 투자자와 숏포지션 투자자를 상호 매칭, 거래를 진행한다. 어느 한 쪽의 포지션이 청산됐다는 것은 수급 상태가 불균형하다는 의미다. 따라서 이번 주 딜러 계좌 숏포지션이 모두 청산됐다는 것은 매칭 가능한 롱포지션 또한 감소했다는 것으로, 단기적으로 BTC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1월 22일 이후 딜러 계좌는 순숏포지션 상태였으며 BTC 현물 가격은 약 반년 동안 상승세를 나타냈다.▲ 비트렉스, 21일부터 미국 이용자 대상 QTUM 등 마켓 서비스 중단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가 오는 21일부터 미국 이용자에 일부 암호화폐 마켓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ADT, CMCT, GO, QTUM 등 32개 마켓 서비스가 중단된다. 다만 해당 서비스는 비트렉스 인터내셔널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비트렉스 인터내셔널은 몰타 기반으로, 국적에 상관없이 전세계 투자자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마켓+](브리핑) 중국판 우버 창업주 “BTC, 금 대체...역사적 사명”
▲ 콘센시스 "BTC, 올해 인기 키워드 보다 검색량 多"블록체인 엑셀러레이터 콘센시스(ConsenSys)가 최근 "비트코인이 도날드 트럼프, 테슬라와 킴 카다시안 등 구글 트렌드 인기 키워드 보다 더 높은 인기도를 나타냈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콘센시스는 "비트코인의 구글 트렌드 검색량이 올해 트럼프, 킴 카다시안을 크게 앞질렀으며, 일정 기간 동안 테슬라 보다 많은 검색량을 기록했다. 하지만 최근 비트코인의 시세가 하락세를 보이며 구글 트렌드 검색량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美 CBOE 비트코인 선물계약, 19일 만기 도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의 BTC 선물계약 XBTM19가 오는 19일 만기가 도래한다. 이를 마지막으로 CBOE는 BTC 선물 서비스 시장에서 발을 뺀다. Suzanne Cosgrove CBOE 대변인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CBOE는 현재 추가로 XBT 계약을 상장할 계획이 없다”며 BTC 선물 서비스 중단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반면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BTC 선물 거래량은 5월 거래량과 미결제약정이 모두 신기록을 세우는 등 오히려 증가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비트코인 선물 일평균 거래량은 1만 3,604건으로 4월 대비 36%, 전년동기대비 250% 이상 증가했다. 미결제약정(선물·옵션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옵션계약) 건수도 전년동기대비 80%가 증가한 4,602건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업계 전문가들은 CBOE가 비트코인 선물 서비스를 중단하더라도 BTC 시장 전반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미디어는 전했다.▲ 중국판 우버 창업주 “BTC, 금 대체...역사적 사명”중국 최대 콜택시 앱이자 세계 10대 유니콘 기업 중 하나인 디디의 창업자 천웨이싱(陈伟星)이 자신의 웨이보를 통해 "최근 비트코인(BTC) 반등세는 국제 정치 및 경제 주기적 요소에 따른 것”이라며“역사상 거의 모든 법정화폐가 예외 없이 실패했다. 오직 '금'만이 자신의 위치를 지켰다. 비트코인은 안전한 디지털 기술로서 지난 5000년 이래 처음으로 금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다. BTC가 금을 추월하고 세계적인 기축 통화 달러를 대체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강조했다.▲ 리서치, “2022년 中 블록체인 시장 지출, 16.7 억 달러”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중국 블록체인 시장 지출 규모가 1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GR)은 80% 이상으로, 2022년 해당 시장 지출 규모는 16억 7,000만 달러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블록체인이 금융 시장에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요 효과로는 1. 데이터 신뢰성 제고 2. 금융 서비스 효율성 제고 3. 디지털 보안 강화 등이 지목됐다.
-
[마켓+](브리핑) 폴로닉스, CLAM 마진 거래서 1800 BTC 피해 발생
▲ 체이널리시스, 렌딩블록과 파트너십 체결...자금세탁방지 가이드라인 구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최근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증권 대출 플랫폼 렌딩블록(Lendingblock)과 파트너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FATF(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의 규제 방안 개선, 가이드라인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브록 피어스 "암호화폐 베어마켓, 잘못된 시장 참여자 정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전 비트코인재단 이사장 브록 피어스(Brock Pierce)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암호화폐 생태계의 장점은 베어마켓이 모든 잘못된 시장 참여자들을 정리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그는 "블록체인이 글로벌 금융 시스템에 민주주의를 도입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베링거 인겔하임, 의료 블록체인 업체 솔브케어와 파트너십 체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회사 베링거 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의료 관련 블록체인 회사 솔브케어(Solve.care)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기반 네트워크를 구축해 신뢰도 있는 당뇨병 환자 데이터를 공유, 관리할 계획이다. 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들은 당뇨병 환자를 돌보는 방법과 주의사항, 예방 및 증상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다.▲ 폴로닉스, CLAM 마진 거래서 1800 BTC 피해 발생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클(Circle)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폴로닉스(Poloniex)가 최근 블로그를 통해 지난 5월 26일(현지시간) CLAM 마켓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 ·갑작스러운 붕괴)로 인해 BTC 마진 거래 자금풀에 있던 1,800 BTC의 피해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폴로닉스는 "당시 CLAM 마켓이 45분 동안 77% 하락하며 폴로닉스 자동 청산 시스템이 작동하기도 전에 일어난 일"이라고 설명했다.▲ ADA 창시자 "모든 유형 시스템에 인프라 제공"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12위) 창시자가 본인의 유튜브 계정을 통해 카르다노 및 IOHK 로드맵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현재 IOHK가 구상하고 있는 생태계의 기본 목표를 달성했다"며 "향후 구글, 페이스북과 같이 모든 유형의 시스템에 인프라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향후 상호운용성 개선을 통해 암호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더이상 코딩 능력이 필요없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미 하원, 암호화폐 징세 법안 지지 촉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 하원 테드 버드(Ted Budd)가 최근 '암호화폐 과세 공정성 법안'과 '2018년 암호화폐 세법' 등 2가지 법안을 지지할 것을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과 보안은 한 나라의 보안 문제로 직결된다"며 "신흥 산업 발전에 위협으로 다가오는 불공정한 과세 방안을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마켓+](브리핑) 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100명 이상 투입
▲ 컨센시스 캐피털 공동 창업자, ETH 헤지펀드 다르마 캐피털 합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 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이더리움 애플리케이션 개발사 컨센시스 캐피털(ConsenSys Capital) 공동 창업자 앤드류 키스(Andrew Keys)가 이더리움 헤지펀드 다르마 캐피털(Darma Capital) 매니징 파트너로 합류한다. 다르마 캐피털은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등록된 1억 달러 규모 암호화폐 헤지펀드다. 다르마의 대표 펀드는 투자자들의 ETH 순포지션 보호를 위한 Optimized Long Ether 펀드다. 매니징 파트너로 합류한 앤드류 키스는 글로벌 사업 개발, 상품 전략을 담당할 예정이다.▲ 저스틴 선 "中 미디어, 트론 비즈니스 모델 오해하고 있다"저스틴 선(Justin Sun) 트론 창시자가 자신의 웨이보 계정을 통해 "중국 메이저 미디어들은 트론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구조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트론이 현재 중국에서 진행 중인 비즈니스는 전체의 약 5% 비중으로, 페이워(陪我) 애플리케이션이 대표적"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트론은 그외 95%에 해당하는 글로벌 비즈니스를 통해, 100여개 국가에 걸쳐 3백만 유저, 500개 댑, 글로벌 최대 P2P 네트워크 비트토렌트 운영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100명 이상 투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CNBC 6일(현지시간) 보도를 인용,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글로벌코인)에 100명 이상의 직원이 투입됐다고 전했다. 더불어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프로젝트 관련 40개 이상의 채용 공고를 올려놓은 상태여서 앞으로 관련 직원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페이스북 블록체인 총책임자는 페이팔 사장, 코인베이스 이사 출신 데이비드 마커스(David Marcus)이며, 오픈소스 총괄(head of open source)은 페이스북 개발자 에릭 나카가와(Eric Nakagawa)로 알려졌다. 앞서 코인니스는 페이스북이 오는 18일 암호화폐 백서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테크크런치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7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3.39%, 숏 포지션 비율은 17.43%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1.10%, 13.47%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73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58.73만 ETH로 모두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다.
-
CME BTC 선물, 5월 거래량·미결제약정 사상 최대치
▲ 댄 라리머 "EOS VM 개발자 프리뷰 릴리즈"댄 라리머 EOS 창시자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EOS VM 개발자 프리뷰를 깃허브(https://github.com/EOSIO/eos-vm)에 릴리즈했다"고 밝혔다. 앞서 그는 "EOS VM은 안전한 멀티스레드 스마트 컨트랙트 확장을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며 "개발자들의 개발 편의성 제고는 어떤 기술적 능력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1.09% 내린 6.3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트레이딩 기업 컴벌랜드, 지난달 이어 또 고위임원 퇴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유명 금융사 DRW 산하 암호화폐 트레이딩 전문 기업 컴벌랜드(Cumberland)의 글로벌 총괄 제이슨 렁(Jason Leung)이 퇴사했다. 이에 크리스 췰케(Chris Zuehlke) 전 컴벌랜드 CTO가 글로벌 총괄직을 맡게 됐다. 앞서 지난달 바비 초(Bobby Cho) COO도 컴벌랜드를 퇴사한 바 있다.▲ CME BTC 선물, 5월 거래량·미결제약정 사상 최대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 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BTC 선물 5월 거래량,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선물·옵션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옵션계약) 모두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 5월 일평균 거래량은 13,600건 이상으로, 4월 대비 36%, 전년 동기 대비 250% 이상 증가했다. 미결제약정 건수도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4,602건을 기록했다. 신규 거래계좌 수도 223개를 기록했다. 이는 2018년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며, 기관투자자가 증가했음을 알려주는 신호라고 미디어는 설명했다.▲ 리서치 "BTC 채굴 74%, 재생에너지 활용"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코인쉐어(CoinShares) 보고서를 인용, 비트코인 채굴의 74%가 수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한다고 6일(현지시간) 전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채굴장 대부분이 중국 쓰촨성처럼 재생에너지가 풍부하게 공급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며 "이는 비트코인 채굴이 다른 산업보다 더 친환경적이라는 걸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이어 "현재 비트코인 채굴의 60%가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쓰촨성에서만 글로벌 해시파워의 50%가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스트림, 임직원 BTC 보너스 논란...운영 차질 가능성
▲ 리플 "머니그램 인수, 사실 아니다"XRP 리서치센터가 "리플이 머니그램(MoneyGram)을 인수했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트위터에 밝혔다. XRP 리서치센터는 크립토호크(@TheCryptHawk)가 해당 루머를 퍼뜨렸으며, 이 계정은 적어도 2개의 스캠(폰지 봇, 가짜 ICO)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리플은 머니그램 경쟁사와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만약 머니그램을 인수할 경우 계약을 위반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머니그램은 세계 2위 송금업체로, 앞서 알리바바가 인수하려 했으나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바 있다.▲ 한국 도미노피자, 국내 대형 프렌차이즈 최초 암호화폐 결제 도입한국 도미노피자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0일부터 (주) 페이코인(PayCoin)과 파트너십을 체결, 페이코인(PCI) 결제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공지했다. 이를 통해, 도미노피자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App)에서 페이코인(PCI)으로 결제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대형 프렌차이즈 중 암호화폐 결제를 도입한 업체는 도미노피자가 국내 최초다. 페이코인은 휴대폰 결제기업 다날이 자체 개발한 암호화폐다.▲ 어거, '무효화' 의심 게임 필터링 솔루션 출시블록체인 예측시장 플랫폼 어거(REP, 시가총액 44위)가 '무효화' 시도가 의심되는 게임을 필터링 할 수 있는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어거 플랫폼에서는 게임이 무효화되면 베팅 자금이 모든 참가자에게 균등하게 반환되는 시스템을 악용한 자금 탈취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REP는 현재 2.71% 내린 17.4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브렌단 블루머 "블록원, 보이스에 1.5억 달러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EOS 개발사 블록원(Block.One) CEO 브렌단 블루머가 최근 인터뷰 중 "블록원은 블록체인 기반 SNS 애플리케이션 보이스(VOICE) 개발에 1.5억 달러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또한 댄 라리머 블록원 CTO는 "보이스 토큰은 매입하거나 채굴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오직 '실제 사용자(real person)'들이 컨텐츠를 생산하고 서로 공유할 때 보이스 토큰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1.50% 내린 6.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록스트림, 임직원 BTC 보너스 논란...운영 차질 가능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이 캐시블리드(cashbleed.com)를 인용, 유명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스트림(Blockstream)에 수백만 달러 상당의 BTC를 임직원들의 개인 지갑으로 옮길 수 있는 '특별한' 임금 체계가 존재한다고 보도했다. 캐시블리드는 "블록스트림 대다수 임직원들은 내사 정책에 의해 1BTC를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350 달러에 구매할 수 있다"며 "가령 연봉이 15만 달러인 엔지니어는 추가적인 BTC 보너스를 받음으로써 실제 연봉이 85만 달러 수준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캐시블리드는 이어 "추가 투자 유치 없이 블록스트림이 이러한 임금 체계를 지속한다면 1년 이상을 버티기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외신 "카자흐스탄 암호화폐 거래량 급증...인플레이션 영향"
▲ 코모도, 아가마 월렛 결함 피해 보상 예정...창시자 50만 KMD 출자코모도(KMD, 시가총액 46위)가 공식 채널을 통해 "아가마(Agama) 월렛 결함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작지 않지만 충분히 해결 가능한 범위"라고 밝혔다. 코모도는 이어 "피해를 최대한 보상할 계획"이라며 "코모도 창시자(jl777)가 개인 소유분 중 50만 KMD를 출자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파트너사들도 결함 복구에 함께 나서고 있으며 보상 관련 세부사항을 추후 공개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지난 5일 코모도는 트위터를 통해 "아가마 월렛 라이브러리에서 결함을 발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KMD는 현재 3.54% 오른 1.5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스릴 지갑 앱 VAULT, 모바일 버전 공식 출시6일 미스릴(MITH, 시가총액 192위)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전자지갑 애플리케이션 볼트(VAULT)의 모바일 앱을 공식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볼트는 안드로이드 및 iOS 버전이 출시됐으며, 펀드, 스테이킹, 환전(안드로이드 버전에 한해), 기록, QR코드 간편 결제, 지문/안면 인식 간편 로그인, 14종 암호화폐 월렛 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현재 웹버전에서 제공되고 있는 상점 결제, 송금, KYC, '보상' 및 '지불', 로그인 / 펀드 비밀번호 재설정 등 기능은 곧 추가될 예정이다. 미스릴은 지난해 6월 볼트의 테스트 버전을 출시한 후 미스릴 생태계 발전 및 서비스 업데이트를 위해 기능을 추가해왔다.▲ 외신 "카자흐스탄 암호화폐 거래량 급증...인플레이션 영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이 암호화폐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코인댄스(CoinDance)의 최신 데이터를 인용 "6월 1일 기준 지난 한주간 카자흐스탄 내 암호화폐 거래량이 전주 대비 51.06% 급증했다"고 6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코인댄스에 따르면, 6월 1일 P2P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로컬비트코인 내 카자흐스탄 법정통화를 통한 주간 암호화폐 거래량은 71,476,515 KZT(약 18만 6천 달러)로 전주의 47,833,615 KTZ(12억 5천만 달러)의 절반 가까이 늘어났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1992년부터 올해까지 카자흐스탄의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57.11%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5월 월별 물가상승률은 전월 대비 8.16% 상승한 4.9%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높은 물가상승률로, 과도한 인플레이션에 카자흐스탄 국민들은 가치저장 수단으로 BTC를 선호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크립토 '공포지수' 27...투심 위축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34)보다 7포인트 내린 27 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투자자의 심리가 악화됐음을 나타내며, '공포' 단계를 이어갔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 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게이트허브, 100여 개 XRP 월렛 해킹 공격 공식 확인
▲ 게이트허브, 100여 개 XRP 월렛 해킹 공격 공식 확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XRP 렛저 게이트웨이 기반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업체 게이트허브가 성명을 통해 "일부 고객들과 커뮤니티 구성원들로부터 지갑 내 자금이 도난당했다는 사실을 제보받았다. 현재까지 약 게이트허브 내 100개 XRP 렛저 지갑이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해킹 사건은 한 리플 커뮤니티 구성원의 제보로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플 커뮤니티 구성원 토마스 실크제르는 "지난 6월 1일 리플 렛저 지갑에서 201,000 XRP가 해킹당한 사실을 알고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 결과 피해 주소는 게이트허브넷이 관리하던 주소로 6월 5일(현지 시간)까지 약 80~90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으며, 피해액은 2,320만 XRP(당시 시세 기준 약 950만 달러)에 달한다. 도난 자금 중 13,100,100 XRP는 이미 거래소 및 믹서를 통해 세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게이트허브 측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아직 조사를 진행 중이며 공식적인 결론을 내긴 이르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니스는 6일 토마스 실크제르 관련 현지 보도를 인용해 "게이트허브에 2300만 XRP 규모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결함이 발견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4세대 거래소 실크로드, 5천만원 상당 BTC 당첨자 공지(광고)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실크로드(CILKROAD)가 지난 3일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제1회 픽스드풀 추첨을 진행, 5천만원 상당의 BTC 당첨자들을 발표했다. 1등(1명), 총 2,210만원 상당 BTC의 주인공의 당첨번호는 1,8,2,3번이며, 2등(1명) 1,000만원 상당의 BTC 당첨번호는 4,8,2,3번, 3등(1명) 500만원 상당의 BTC 당첨번호는 3,8,2,3번이다. 4등 50만원 상당의 BTC와 5등 20만원 상당의 BTC 당첨자는 총 71명이며 해당 번호는 실크로드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실크로드는 오는 10일 월요일 오후 4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3천만원 상당의 BTC 당첨자를 선발할 예정이다. ▲ 日 내각부 '미래투자회의', 블록체인 활용 방안 논의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지난 5일 일본 내각부 산하 제28회 '미래투자회의'(의장 아베 총리)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이 논의됐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블록체인 활용안은 아래와 같다.01.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유통2. 핀테크 실용화 등 혁신 기술 개발3. 지역·생활 분야 환경 보호 관련 블록체인 실용화 및 사업화▲ 롱해시 "TOP 10 거래소 점유율 7% 불과, 실제 거래량 왜곡"블록체인 전문 리서치 업체 겸 미디어 롱해시(LongHash)가 "지난 4일 코인마켓캡 기준 비트코인 거래량은 230억 달러에 달했으나 이는 부풀려진 수치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롱해시는 "활동이 입증된 10개 메이저 거래소의 현물 거래량이 보고된 전체 거래량의 7%에 불과했다"며 "왜곡된 거래량이 해당 자산의 건전성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재외공관 공증, 블록체인으로 실시간 검증 시행
▲ 이그니스, 184% 상승...GPS 토큰 에어드랍 진행이그니스(IGNIS, 시가총액 109위)가 코인마켓캡 기준 184.91% 오른 0.07750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5일 이그니스 개발사의 한국 법인 젤루리다 코리아 컨설팅이 이그니스 차일드 체인 기반 암호화폐 프로젝트 트리픽(Triffic)의 개발사 코이너즈 그룹(Coinerz Group)과 협업, IGNIS 보유자에 한해 트리픽 앱 GPS 토큰을 에어드랍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젤루리다는 오는 7월 14일 스냅샷을 진행할 예정이며, 5개 IGNIS 당 1개 GPS 비율로 에어드롭을 진행할 예정이다. 트리픽 앱은 게임이론, GPS, 증강현실 등 블록체인과 결합한 암호화폐 프로젝트다.▲ 재외공관 공증, 블록체인으로 실시간 검증 시행외교부와 금융결제원은 '정부혁신 핵심사업'의 일환으로 7일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재외공관 공증 금융위임장 검증 서비스'를 시범 제공한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주일본대사관, 주LA총영사관을 대상으로 시범 실시되며, 국내 14개 은행이 금융결제원 시스템에 접속해 재외국민이 공증받은 금융위임장의 진위를 실시간으로 검증, 재외국민들의 국내 금융업무가 한결 편해질 전망이다. 외교부는 금융위임장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외공관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비트포렉스, 두번째 터보 프로젝트에 'MYO'...11일 판매암호화페 거래소 비트포렉스가 오는 11일 산하 프리미엄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비트포렉스 터보'를 통하여 마이크로의 MYO 코인을 소개한다고 밝혔다. MYO는 비트포렉스 터보의 두번째 프로젝트다. 비트포렉스 터보의 첫번째 프로젝트 UND는 판매 시작 1분 53초만에 매진된 바 있다. 마이크로 플랫폼은 P2P 네트워크 및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하여 단순 일자리 지원이 필요한 사람과 추가 수입원을 찾고 있는 사람을 실시간으로 연결시켜 해당 지역사회에서 작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플랫폼이다. 플랫폼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여가시간을 할애하여 여윳돈을 벌 수 있으며 혹은 주어진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가치를 제공하여 개인적인 시간과 일을 교환할 수 있도록 연계시켜준다는 설명이다. 비트포렉스 관계자는 " 비트포렉스 터보를 통하여 마이크로와 같이 블록체인이 댑 상에나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닌 실생활에 적용가능한 글로벌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투자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외신 "신임 CFTC 위원장,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 시행 전망"
▲ NEO 재단, 오는 10월 '미수령' 10만 NEO 회수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네오(NEO, 시가총액 19위) 재단이 최근 발표한 재무 보고서를 통해 "오는 10월 크라우드펀딩 세일 기간 중 NEO 토큰을 구매한 투자자들이 개인 지갑으로 옮기지 않은 약 10만개의 '미수령'(unclaimed) NEO 토큰을 회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2016년 ICO를 통해 97,517 달러와 8,169 BTC를 모금했고, 비트코인 자산 중 2018년 2월까지 총 830만 달러로 현금화했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NEO는 현재 2.96% 오른 12.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리서치 "탈중앙화 금융, 투명성 등 뚜렷한 강점 존재"지난 6일(현지 시간)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산하 바이낸스 리서치가 '탈중앙화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 관련 보고서에서 탈중앙화 금융의 상대적 강점을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1. 투명성 및 시장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가격 효율성2. 자본 차입/대출 시 접근성 및 속도 향상3. 검열에 대한 저항성과 위조 불가 특징그러면서도 해당 보고서는 "거래상대방 리스크(counterparty risk)를 대체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생기는 기술적 리스크와, 유동성이 적다는 점은 탈중앙화 금융이 가진 상대적 열세"라고 덧붙였다.▲ 업비트, BTC 마켓에 ATOM·COSM 추가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가 공식 채널을 통해 BTC 마켓에 코스모스(ATOM, 시가총액 15위)와 코스모코인(COSM, 시가총액 178위)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ATOM은 현재 6.71% 오른 6.40 달러에, COSM은 4.80% 오른 0.04071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신임 CFTC 위원장,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 시행 전망"암호화폐 미디어 CCN이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으로 지명된 히스 타베르트가 암호화폐에 대해 친화적인 정책을 펼쳐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타베르트는 직접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CFTC 위원장인 크리스토퍼 지안카를로는 타베르트에 대해 "21세기, 디지털 시장에 적합한 규제기관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자신의 비전을 공유하고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지안카를로 의장은 암호화폐에 대한 친화적인 발언으로 '크립토 파더'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널드 트럼트 대통령에 의해 지명된 타베르트는 공화당 소속으로 지금까지 친기업적인 행보를 보여왔다고 미디어는 소개한다. 아울러 타베르트가 국제 기구인 금융안정위원회(FSB) 소속이었던 점도 주목된다. FSB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가 글로벌 경제 체제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日 내각부 '미래투자회의', 블록체인 활용 방안 논의
[CME BTC 선물, 5월 거래량·미결제약정 사상 최대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 6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BTC 선물 5월 거래량,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선물·옵션계약을 사거나 판 뒤 이를 반대매매하지 않고 그대로 보유하고 있는 선물·옵션계약) 모두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 5월 일평균 거래량은 13,600건 이상으로, 4월 대비 36%, 전년 동기 대비 250% 이상 증가했다. 미결제약정 건수도 전년 동기 대비 80% 증가한 4,602건을 기록했다. 신규 거래계좌 수도 223개를 기록했다. 이는 2018년 1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며, 기관투자자가 증가했음을 알려주는 신호라고 미디어는 설명했다.[외신 "신임 CFTC 위원장,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 시행 전망"]암호화폐 미디어 CCN이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으로 지명된 히스 타베르트가 암호화폐에 대해 친화적인 정책을 펼쳐나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타베르트는 직접적으로 암호화폐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현재 CFTC 위원장인 크리스토퍼 지안카를로는 타베르트에 대해 "21세기, 디지털 시장에 적합한 규제기관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자신의 비전을 공유하고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지안카를로 의장은 암호화폐에 대한 친화적인 발언으로 '크립토 파더'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널드 트럼트 대통령에 의해 지명된 타베르트는 공화당 소속으로 지금까지 친기업적인 행보를 보여왔다고 미디어는 소개한다. 아울러 타베르트가 국제 기구인 금융안정위원회(FSB) 소속이었던 점도 주목된다. FSB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가 글로벌 경제 체제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기 때문이다.[리플 "머니그램 인수, 사실 아니다"]XRP 리서치센터가 "리플이 머니그램(MoneyGram)을 인수했다는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트위터에 밝혔다. XRP 리서치센터는 크립토호크(@TheCryptHawk)가 해당 루머를 퍼뜨렸으며, 이 계정은 적어도 2개의 스캠(폰지 봇, 가짜 ICO)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리플은 머니그램 경쟁사와 계약을 체결했기 때문에 만약 머니그램을 인수할 경우 계약을 위반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머니그램은 세계 2위 송금업체로, 앞서 알리바바가 인수하려 했으나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바 있다.[日 내각부 '미래투자회의', 블록체인 활용 방안 논의]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지난 5일 일본 내각부 산하 제28회 '미래투자회의'(의장 아베 총리)에서 블록체인 활용 방안이 논의됐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블록체인 활용안은 아래와 같다.1.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유통2. 핀테크 실용화 등 혁신 기술 개발3. 지역·생활 분야 환경 보호 관련 블록체인 실용화 및 사업화[게이트허브, 100여 개 XRP 월렛 해킹 공격 공식 확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XRP 렛저 게이트웨이 기반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업체 게이트허브가 성명을 통해 "일부 고객들과 커뮤니티 구성원들로부터 지갑 내 자금이 도난당했다는 사실을 제보받았다. 현재까지 약 게이트허브 내 100개 XRP 렛저 지갑이 해킹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해킹 사건은 한 리플 커뮤니티 구성원의 제보로부터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플 커뮤니티 구성원 토마스 실크제르는 "지난 6월 1일 리플 렛저 지갑에서 201,000 XRP가 해킹당한 사실을 알고 즉시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 결과 피해 주소는 게이트허브넷이 관리하던 주소로 6월 5일(현지 시간)까지 약 80~90명의 피해자가 발생했으며, 피해액은 2,320만 XRP(당시 시세 기준 약 950만 달러)에 달한다. 도난 자금 중 13,100,100 XRP는 이미 거래소 및 믹서를 통해 세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게이트허브 측은 "해당 사건과 관련해 아직 조사를 진행 중이며 공식적인 결론을 내긴 이르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니스는 6일 토마스 실크제르 관련 현지 보도를 인용해 "게이트허브에 2300만 XRP 규모의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결함이 발견됐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국 도미노피자, 국내 대형 프렌차이즈 최초 암호화폐 결제 도입] 한국 도미노피자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오는 10일부터 (주) 페이코인(PayCoin)과 파트너십을 체결, 페이코인(PCI) 결제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공지했다. 이를 통해, 도미노피자 공식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App)에서 페이코인(PCI)으로 결제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대형 프렌차이즈 중 암호화폐 결제를 도입한 업체는 도미노피자가 국내 최초다. 페이코인은 휴대폰 결제기업 다날이 자체 개발한 암호화폐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
[후오비 오늘의 코인] 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비트토렌트(BTT)네트워크상에서 용량이 크고 수요가 많은 파일의 전송을 더욱 편리하게 해준 일종의 P2P 프로토콜로, 중앙서버에 대한 사람들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또한, 이는 일종의 개방형 프로토콜로 여러 차례 독립적으로 구현됐고, 지난 16년 동안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총 10억회의 다운로드 및 설치됐다. 매월 1억대 이상의 인터넷 접속 컴퓨터에서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개발자 웹사이트에서 검토한 BitTorrent 증강 프로토콜(BEP)의 개방 과정을 통해 지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다.리플(XRP)금융 거래를 위해 개발된 리플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리플 프로토콜 네트워크에 참여한 구성원만 사용할 수 있기에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라고 불린다. 채굴작업을 통해 토큰이 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정해진 발행량을 바탕으로 중앙집권 형태의 검증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가 구현된다. 초당 5만 건의 거래 처리가 가능하며 4~5초 만에 송금이 이뤄진다.아이오타(IOTA)사물인터넷(Internet-of-Things) 서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블록체인 기술이 아닌 탱글(Tangle)이라는 기술을사용하는 점이 특이하다. 탱글은 근접한 아이오타 네트워크를 이용한 검증방식을 채택해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으며, 많은 양의 트랜잭션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트랜잭션이 많아지면 지연 현상이 발생하는 일반 블록체인과 달리 탱글을이용하면 참여자와 트랜잭션이 많아질수록 속도는 오히려 빨라진다. mIOTA 토큰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도 제공된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인도 RBI "암호화폐 금지 법안 초안 작업 참여 안했다"
▲ 브라질 상파울루 법원, GBB 관련 은행 계좌 내 19만 달러 동결 판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브라질 상파울루 법원이 브라질 암호화폐 거래소 NegocieCoins의 모회사 Grupo Bitcoin Banco(GBB)의 은행 계좌 내 자금 726,630 헤알(약 18.8만 달러)을 동결했다. 앞서, GBB 사용자들은 "해당 업체로부터 헤알화로 환전하거나 자신의 계좌로 이체가 불가능하다"며 해당 업체를 기소했다. 이들은 상파울루 법원에 해당 업체 계좌 내 자금을 동결할 것을 요구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한편 GBB는 최근 사용자들의 계좌 잔액이 두배가 되거나 보유 자금 이상이 인출되는 등의 보안 결함이 발생했고, 피해규모는 약 5,000만 헤알(약 1,300만 달러)로 추정됐다. 또한 GBB는 19,896 건의 사기성 트랜잭션을 확인 및 조사하여 2,568개의 계정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GBB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NegocieCoins는 올해 한때 코인마켓캡 거래소 거래량 기준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EU "몰타, 암호화폐의 금융 범죄 악용 예방에 주력해야"몰타 현지 미디어 몰타투데이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최근 "몰타 정부는 금융 범죄에 암호화폐가 사용되지 않도록 예방 조치에 힘써야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EU는 몰타의 금융 및 게임 산업의 규모를 언급하며 "암호화폐 취급 업체들이 자금 세탁 방지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리서치 "봇, 댑 생태계 트랜잭션 중 75% 차지"블록체인 전문 리서치업체 언체인(AnChain.AI)에 따르면, 봇이 댑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 중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해당 업체는 "2019년 1분기 기준, 블록체인 댑 생태계에서 전체 사용자 중 봇에 해당하는 계정이 51%이며, 봇들로 인해 하루 평균 600만 달러 규모의 트랜잭션이 발생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사용자 기준 TOP 10 댑들 중에도 많은 봇들이 활동 중"이라고 부연했다.▲ 인도 RBI "암호화폐 금지 법안 초안 작업 참여 안했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RBI)이 "암호화폐 금지 법안 초안 작업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은행은 "암호화폐 금지 법안 초안과 관련해 정부의 어떤 부서와도 연락을 취한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인도 중앙은행은 현지 상업은행들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 관련 계좌 개설을 금지한다며 '암호화폐 금지령'을 내린 바 있다.▲ 코닥, 민관 대상 블록체인 문서 관리 솔루션 발표비즈니스 관련 미디어 웹와이어(Webwire)에 따르면, 글로벌 카메라·필름 제조사 코닥이 민관 대상 블록체인 기반 문서 관리 솔루션 'KODAK Document Management Platform'을 내놓았다. 이를 통해, 정부 및 민간 부문에서 처리되는 정보들의 보안성과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설명이다. 한편, 이번 발표에서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데이터 업로드 솔루션 '코닥 스캔 클라우드(KODAK Scan Cloud)'도 포함됐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외환 전문가 "BTC, 미·중 무역전쟁 격화 시 2만 달러 가능"
▲ 美 외환 전문가 "BTC, 미·중 무역전쟁 격화 시 2만 달러 가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미국 소재 외환 전문 포털 사이트 데일리에프엑스(DailyFX) 소속 화폐 정책 전문 애널리스트인 크리스토퍼 베키오(Christopher Vecchio)가 "BTC가 단기간 내 지난 2017년 12월 기록한 최고가인 2만 달러까지 회복할 가능성은 낮다. 다만, 미중 무역전쟁이 악화돼 위안화 약세가 더 심화된다면, BTC는 2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 이는 BTC가 최고가를 경신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의 수"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BTC 가격과 중국 위안화 가치는 서로 반비례하는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위안화 가격이 약세일 때 BTC 가격은 강세를 나타낸다. 최근 G2인 미국과 중국이 대립하며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잠재적인 위험에 노출된 상황에서 사람들은 정부와 관계 없는 자금 도피처 혹은 대안으로 BTC를 떠올리고 있다"며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돼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7위안을 상향 돌파한다면, BTC 시세는 전고점인 2만달러까지 회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포르투갈 축구구단 벤피카, 온라인 스토어 암호화폐 결제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닌자(cryptoninjas)에 따르면, 5일(현지 시간)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 유트러스트(UTRUST)가 포르투갈 명문 축구 구단 SL벤피카(SL Benfica)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를 통해 벤피카 구단 측은 온라인 스토어에서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한다는 설명이다. 미디어는 이와 관련해 "이번 파트너십으로 벤피카는 암호화폐 결제를 지원하는 최초의 유럽 축구 클럽이 됐다. 벤피카 온라인 스토어 사용자들은 암호화폐를 통해 게임 티켓 및 벤피카 구단의 각종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생겼다"고 덧붙였다.▲ 와이스 레이팅스 "BTC 보유, 정부 및 기관보다 개인에게 유리"암호화폐 프로젝트 전문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와이스 레이팅스가 방금 전 공식 트위터를 통해 "BTC는 개인의 가치 저장 창고로 쓰일 때 가장 좋은 선택 수단일 수 있다. 반면, 정부와 기관 입장에서는 금을 보유하는 게 BTC보다 더 유리한 선택지"라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와이스 레이팅스는 "역사적으로 금은 가치 저장 수단으로써 입지를 다졌지만, 일부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향후 BTC가 금을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금은 쉽게 무시할 수 있을만한 자산 클래스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BTC 단기 하락, 최근 1시간 2.56%↓BTC가 5일 저녁 11시 15분 경부터 단기 하락 흐름을 나타내며 바이낸스에서 1시간 동안 2.56% 하락했다. 현재 바이낸스 기준 BTC는 3.25% 내린 7,664.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애터니티, 포르투나 업그레이드 완료애터니티(AE, 시총 58위)가 블록 높이 90,800에서 포르투나(Fortuna) 업그레이드를 완료했으며 6일 18:53:04(한국 시간)부터 Beepool에서 채굴을 시작할 예정이다. Aeternity Establishment, æternity Crypto Foundation과 수많은 채굴자들이 포르투나 업그레이드 버전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르투나 업그레이드는 온체인 거버넌스의 첫번째 투표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7,200만 개 이상의 이더리움 기반 AE를 애터니티 메인넷으로 스왑했다. 또한 일반 계정(Generalized Accounts, GA) 서비스를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인마켓캡 기준 AE는 현재 3.02% 하락한 0.49747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크레이그 라이트 "BTC 라이트닝 노드 가동, 돈세탁 연루될 수 있다"
▲ 우본, 블록체인 기반 '우체국페이' 출시 예정뉴스1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가 NHN·코인플러그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의 간편결제서비스 우체국페이를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국가디지털전환 민간주도형 사업' 중 하나로 정부와 민간기업이 함께 공공사업을 개선하는 것이 핵심이다. 우본은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서비스를 개발한 코인플러그의 블록체인 기술과 NHN의 클라우드기술을 활용해 블록체인 기반 결제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우본 관계자는 "나주 혁신도시 내부에서 테스트해 가능성을 타진하고 향후 가맹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서울시-중기부가 주도하는 제로페이와의 연동도 협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BTC, 5분간 1.11% 하락BTC가 지난 5분 간 1.11% 내렸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7808.84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알리안츠 고위급 임원 "BTC 구매 안한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최근 독일 소재 글로벌 보험회사 알리안츠(Allianz)의 투자 포트폴리오 매니저이자 다국적 금융 서비스 업계 거물인 닐 드웨인(Neil Dwane)이 "나는 BTC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비트코인은 사람들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허구"라며 "실제로 비트코인 시스템 내에서 당신의 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장치는 없다. 이 자산은 투자에 적합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외신 "블록체인 프로젝트 '폴카돗', 밸류에이션 10억 달러 이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이더리움 공동 창업자 가빈 우드(Gavin Wood)가 이끄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밸류에이션이 10억 달러 이하로 책정됐다"며 "당초 목표로 했던 12억 달러 밸류에이션은 난관에 봉착했다"고 5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해당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는 스위스 소재 비영리재단 웹3 재단은 프라이빗 토큰 세일을 통해 6,00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라고 지난 1월 발표한 바 있다. 현재까지 3개 중국계 펀드가 폴카돗의 토큰 DOT에 1,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지만, 해당 펀드들이 토큰 구매를 위해 참고한 폴카돗 프로젝트의 밸류에이션은 모두 10억 달러 이하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폴카돗이 추구하는 '유니콘 기업'의 기준에 못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폴카돗은 결국 목표로 했던 50만 DOT 토큰 판매의 70% 물량만 판매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웹3 재단 측은 "프라이빗 토큰 세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긴 어렵다. 가능한 빨리 관련 정보를 공개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크레이그 라이트 "BTC 라이트닝 노드 가동, 돈세탁 연루될 수 있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최근 자칭 비트코인 창시자이자 BSV 진영 대표 주자인 크레이그 라이트 엔체인 수석 개발자가 "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를 가동하거나, 익명성 강조 암호화폐 모네로(XMR, 시가총액 13위)를 사용하거나, 캐시셔플과 같은 암호화폐 거래 익명화 서비스 캐시셔플(CashShuffle)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돈세탁에 연루돼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그는 "각국 정부 및 사법기관이 블록체인을 통한 송금의 성격을 파악하면, 이 같은 법적 조치는 신속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BTC 대규모 이체 발생... 225억원 규모6일 새벽 00시 20분 경 비트코인 주소 '3JHCRKQdQdCiJMcaGCkF2TeqSNVigESASX'에서 '3NnohkFAx3Hao2m6BEkfcbkb3Es1tWFKRu', '3J8KtCBAUKFsj8CqGuq9fSy6JTAFW2qQBd' 두개 주소로 총 2,444.63 BTC가 이체됐다. 당시 시세 기준 1,912만 달러(현재 환율 기준 약 225억 2,330만원) 규모다. 해당 트랜잭션의 해시값은 d2f5eee156aed4bb207640a51736d666fd50febbd6079fc6790f1f710c99396d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2.16% 내린 7,763.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리플, 스위스서 전략적 거점 '리플 스위스 GmbH' 출범
▲ 덴마크 금융당국 "ICO, 증권 아니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트러스트노드(trustnodes) 5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덴마크 금융당국(FSA)이 ICO는 증권이 아니라고 발표했다. ICO 토큰을 구입한다고 해도 경제적 권리나 의사결정권이 회사나 회사의 수익을 따르지 않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배당권과 의결권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에 ICO는 증권이 아니라고 FSA는 설명했다. 즉 FSA는 ICO를 통해 2,000만 달러를 모금하는 Hoard의 HRD 토큰을 감독할 권한이 없으며, 이는 HRD 토큰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ICO에 적용될 것이라고 미디어는 분석했다.▲ 리플, 스위스서 전략적 거점 '리플 스위스 GmbH' 출범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리플(XRP, 시가총액 3위)이 스위스 취리히에 자회사 '리플 스위스 GmbH'(Ripple Switzerland GmbH)를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규제에서 자유로운 스위스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점한다는 방침이다. 리플 스위스 GmbH의 소개 자료에 따르면, 해당 업체는 기관 투자자 대상 XRP 판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를 거점으로 기타 국가에 지사 및 자회사를 설립하고, 관련 사업을 확장한다는 설명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와 관련해 "스위스에는 최소 1,000 개 이상의 잠재적 기관 투자자들이 포진하고 있다. 리플의 스위스 시장 진출은 직간접적인 거래보다 투자금 조달이 목적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일각에서는 리플의 스위스 시장 진출이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글로벌코인의 출시와 관련 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페이스북 역시 스위스에서 블록체인 관련 핀테크사 리브라 네트워크의 출범을 발표했다는 것. 다만 리플과 페이스북은 현재까지 공식적인 파트너십 관계를 발표한 바 없다.▲ CNBC "페이스북, 6월 중 암호화폐 프로젝트 공식 발표 전망"미국 경제 전문 방송채널 CNBC가 디지털 미디어 회사 인포메이션(The Information)의 최신 보도를 인용 "페이스북이 이달말 자체 발행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직원들에 한해 해당 토큰으로 임금을 지급받게 된다"고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해당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외부 제3자 파트너 기관 혹은 단체에 위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탈중앙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페이스북은 이를 위해 파트너사에 '검증 노드'를 맡아달라고 요청하고 있으며, 노드를 담당하는 파트너사는 프로젝트 참여를 위해 1천만 달러를 페이스북에 지급한다는 설명이다. 앞서 BBC 등 글로벌 주요 언론들은 페이스북이 20억 명 이상의 페이스북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또 최근 파이낸셜타임즈는 페이스북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앞서 미국 CFTC와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BTC, 5분간 1.02% 하락BTC가 지난 5분 간 1.02% 내렸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7645.25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GRIN, 오는 7월 첫 하드포크 진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밈블윔블 프로토콜 기반 익명성 강화 암호화폐 그린(GRIN, 시가총액 169위) 개발자들이 5일(현지 시간) 시스템 전체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블록높이와 예상 활성화 시기에 대한 합의를 도출했다. 이에 따라 오는 7월 17일(현지 시간) 블록높이 262,080에서 그린 네트워크의 첫 번째 하드포크가 진행될 예정이다. 해당 하드포크는 GRIN 코어 개발자 겸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사이퍼 소속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Quentin Le Sceller가 4일(현지 시간) 개발자 회의에서 제안한 안건이다. 당시 Le Sceller의 제안서에 따르면, 개발자들은 6월 초 프라이빗 테스트넷 가동을 시작하고 오는 19일 퍼블릭 그린 테스트 네트워크 플루넷(Floonet)에서 업그레이드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마이클 코드너 그린 코어 개발자는 "업그레이드 시점은 변동이 생길 수 있지만, 최대한 정해진 일정에 맞춰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GRIN은 현재 3.53% 오른 2.2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룸버그 "바이낸스 자체 스테이블코인 2개월 내 발행"
▲ 코모도, 아가마 지갑 결함 발견...자금 이전 권고코모도(KMD, 시가총액 50위)가 5일 트위터를 통해 "아가마(Agama) 지갑 라이브러리에서 결함을 발견했다. 현재 해결책을 찾고 있다"며 "이용자는 가능한 한 빨리 아가마 지갑 내 자금을 이전한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KMD는 현재 3.70% 내린 1.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브라질 대통령 "비트코인이 뭔지 몰라"...원주민 암호화폐 프로젝트 중단자이르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브라질 대통령이 비트코인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말했으며 원주민들이 사용할 암호화폐 프로젝트 중단을 승인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브라질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브라질 대통령은 1,150만 달러 규모의 원주민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중단시켰다. 해당 프로젝트는 국가인디언재단(FUNAI)과 연방 플루미넨시 대학(UFF)이 주도해 인디언을 대상으로 비트코인 사용법을 가르쳐주는 프로젝트였다. 한 참가자가 비트코인이 무엇인지 알고 있냐고 질문하자 대통령은 "뭔지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연설 직후 비트코인은 가상화폐(virtual currency)라고 자신의 발언을 정정했다. 한편 앞서 5월 말 브라질 하원의장은 브라질 내 암호화폐를 통제할 위원회 설립을 명령한 바 있다. 위원회는 34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전망이다.▲ 블룸버그 "바이낸스 자체 스테이블코인 2개월 내 발행"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2개월 안에 자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가 6일 보도했다. 바이낸스 CFO 저우웨이는 블룸버그와 전화 인터뷰에서 "몇 주에서 한달, 혹은 두달 안에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것"이며 "처음 출시하는 스테이블코인은 영국 파운드화와 연동된 바이낸스 GBP(Binance GBP)"라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업계 인사의 의견을 종합, 바이낸스 스테이블코인이 테더(USDT)에 큰 위협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코인니스는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자체 블록체인 바이낸스 체인에서 200 파운드 정도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했으며 현재 테스트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6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3.28%, 숏 포지션 비율은 18.30%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2.81%, 11.45%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29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54.39만 ETH로 모두 전날 대비 소폭 감소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