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디펀드 창업자 "대다수 투자자 절망할 때 강세장 온다"
▲ 알렉스 크루거 "비트코인, CME 선물 거래 中 활성도 2위"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알렉스 크루거(Alex Kruger)가 3일(현지시간) 본인 트위터 계정을 통해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의 결산일을 앞두고 비트코인 선물(XBT)이 활발한 거래 활성도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그는 거래량(Volume)과 미 결산 선물 포지션 규모(Open Interest)의 비율을 통해 거래 활성도(Vol/OI)를 계산했으며, 이와 관련해 "해당 수치(Vol/OI)는 CME 선물 상품의 거래 활성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설명했다. 또한, 기타 CME 선물 상품들과의 수치를 비교, "XBT의 거래량 자체는 기타 상품들에 비해 작은 규모 지만, 거래 활성도는 E-mini 선물 다음으로 높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CEO "바이낸스체인 기반 USDS 발행 예정"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최고경영자인 자오창펑이 4일 웨이보를 통해 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USD(USDS, 시가총액 439위) 발행사 스테이블리(Stably)의 파트너사 프라임 트러스트가 바이낸스체인 기반 USDS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ERC-20 기반 USDS는 소각될 예정이며 바이낸스체인 프로토콜 BEP2 기반 USDS.B로 대체된다는 게 프라임 트러스트 측의 설명이다.▲ 中 디펀드 창업자 "대다수 투자자 절망할 때 강세장 온다"4일 새벽(현지 시간) 중국 유명 크립토 VC 디펀드(DFUND)의 창업자인 자오둥(趙東)이 본인의 SNS를 통해 "암호화폐 강세장은 아직 도래하지 않았다"며 "대부분의 사람들이 절망하지 않는데 어떻게 강세장이 올 수 있겠는가, 인내심이 없다면 강세장도 없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4월이래 BTC 강세에 대해 "BTC의 최근 상승 흐름에 대규모 자금이 유입된 흔적은 없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익명 트레이더 콜옵션 매입, BTC 1년 내 5만 달러 베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월스트리트저널을 인용 "지난 5월 23일 비트코인 파생상품 거래소 렛저X(LedgerX)의 한 트레이더가 비트코인이 내년 6월까지 5만 달러를 돌파하는 데에 13.5만 달러를 베팅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트레이더는 액면가 4,500 달러의 콜옵션 30개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트코인 24시간 거래량(약 227억 달러)과 비교하면 적은 액수지만 렛저X의 공동 창업자 겸 COO 쥬시카 추(Juthica Chou)는 "5만 달러 돌파에 베팅한 것은 최근 6개월 동안 처음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비트파이넥스, BTC 숏 비율 50% 상회...19일 만에 역전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마켓 데이터에 따르면, 4일(한국시간) 9시 30분 기준 BTC 마진 숏 포지션 비율이 증가세를 나타내며 50.86%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5월 16일 이후 처음으로 숏 포지션 비율이 롱 포지션을 앞선 수치다. BTC는 현재 비트파이넥스 기준 8.3% 내린 7,955.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이더파이넥스, 탈중앙화 OTC 마켓 출시
▲ 이더파이넥스, 탈중앙화 OTC 마켓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비트파이넥스 산하 ETH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이더파이넥스 트러스트리스(Ethfinex Trustless)가 탈중앙화 OTC(장외거래) 마켓을 플랫폼을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플랫폼은 KYC 혹은 가입 절차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미국 및 일부 국가의 거주자들은 접근이 제한된다.▲ 크립토 '공포지수' 42...'공포' 단계 전환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6)에서 대폭 하락한 42 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로써 공포지수는 전날 '탐욕'에서 '공포' 단계로 전환했다. 공포지수가 '공포' 단계가 된 것은 지난 4월 29일 이후 한달 여만이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 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댄 라리머 "보이스, 토큰 구매 가능해져도 가치 훼손 없다"4일 새벽(한국 시간) 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창시자가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구성원들의 EOS 기반 SNS 댑 보이스(Voice) 관련 질문에 아래와 같이 답했다.1. 보이스 토큰의 구매가 가능해지더라도 플랫폼의 공정하고 공평한 가치는 유지된다. 모든 사람들은 본인의 의견을 주장하고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그들은 단지 그 권리를 양도 및 판매할 수 있을 뿐이다.2. UBI(EOS 토큰 공급량의 일부를 개인에게 분배하는 정책)의 장점은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의 영향력 유지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들이 보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토큰을 태워야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이유로 보이스 토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이 계속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통제권을 포기한다면 그에 따른 보상을 받게되는 구조다.3. 보이스 토큰의 고정 공급 물량(a fixed supply)은 따로 없다.4. 보이스는 URI(신원인증을 기반으로 한 EOS 인플레이션의 개인 분배 정책)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5. 정부 공인 ID 대신 댄의 고유 ID 솔루션(dans unique ID solution)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중앙화 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집행유예' 마운트 곡스 CEO, 저서 '가상화폐 3.0' 출간일본 현지 미디어들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마운트 곡스(Mt.Gox)의 마크 카펠레스 전 CEO가 자신의 첫 저서인 '가상화폐 3.0'을 출간했다. 해당 서적은 현재 일본 주요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펠레스는 지난 2014년 2월 대규모 해킹으로 마운트곡스가 파산한 뒤, 회계 조작, 횡령, 배임 등의 혐의로 체포됐다. 지난 3월 회계 조작 혐의만 인정되면서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 BTC 주간 활성화 주소 수 20.65%↓...ETH는 2.45%↓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 주간 활성화 주소 수가 지난주 대비 20.65% 감소했으며, 온체인 거래량은 18.00% 감소했다. ETH 주간 활성화 주소 수는 지난주 대비 2.45% 감소했으며, 온체인 거래량은 16.76% 증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모네로 수석 개발자 "BTC 최대 강점, 네트워크 효과"
▲ 모네로 수석 개발자 "BTC 최대 강점, 네트워크 효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히카르도 스파그니(Riccardo Spagni) 모네로(XMR, 시가총액 13위) 수석 개발자가 최근 "비트코인의 최대 강점은 네트워크 효과"라며 "비트코인은 10년동안 존재해왔고, 어떤 통화도 이뤄내지 못한 네트워크 효과를 구현해냈다. 이는 다른 암호화폐가 비트코인을 이길 수 없는 절대적인 이유"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비트코인은 10년의 역사로 그것을 신뢰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새로운 암호화폐는 10년의 역사를 가질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은 비트코인을 이길 수 없다. 비트코인의 암호화폐 시장 독점은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그는 이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깨달은 사실 한가지는 이더리움은 모든 것을 할 수 있지만, 그 모든 것을 다 잘할 수 없다는 점이다. 모네로를 이더리움 체인위에서 구동한다면, 제한적인 효용성을 갖게될 것"이라며 이더리움 블록체인 상에서 모네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했다.▲ 印 대표단, 스위스 방문...암호화폐 정책 방향 제시인도 경제 신문 이코노믹타임즈(economictimes)에 따르면 인도 대표단이 암호화폐 정책 마련을 위해 스위스를 방문했다. 대표단은 블록체인 기업의 성지로 불리는 주크시의 크립토밸리(Crypto Valley)를 방문, 현지 공공 분야 블록체인 활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단 구성원 중 한명인 New America 재단의 Tanvi Ratna 연구원은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스위스는 특정 산업이나 기술에 대한 과도한 개입이 아닌, 기본적인 제도 틀을 만드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 스위스 암호화폐 정책의 장단점을 충분히 고려, 정책적 방향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 금지 법안 제출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번 달 초 '암호화폐 이니셔티브 계획'을 발표했다. 인도 중앙은행 RBI는 작년 4월 암호화폐 투자 위험에 대한 경고를 추가하는 한편, 금융기관에 타점 등과의 P2P(개인 간) 암호화 거래 금지령을 내렸다.▲ 바이낸스 CEO "워런 버핏, '쥐약'이 사는 점심 먹는다"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4일(한국 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워런 버핏은 '쥐약'을 통해 모은 자금으로 점심 대접을 받게 됐다"며 워런 버핏의 '비트코인은 쥐약' 발언을 비꼬았다. 이어서 그는 "만약 암호화폐 기업가들이 워런 버핏의 점심을 향후 10년 간 계속 사게된다면 어떻게 될까? 약 5,000만 달러짜리 점심을 대규모 ICO 프로젝트가 사게 된다면... 이 꿈은 실제 상황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유명해진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사람들이 워런 버핏을 교육시키기 위해 수백만 달러를 지불한다"며 "저스틴 선은 현명한 사람이다. 워런 버핏과의 점심 식사 경매를 낙찰 받으며 전통 금융업계 전반이 암호화폐를 주시하게 됐다"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6-18: 비트코인 1,105만원대 상승…바이낸스 비트코인 연동 스테이블 코인 BTCB 출시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105만원대 상승…바이낸스 비트코인 연동 스테이블 코인 BTCB 출시https://bit.ly/2XX9Qpg아마존 파트너를 통한 이더리움 구매가 곧 가능하다https://bit.ly/2Ri4lPe카카오 블록체인 ‘클레이튼’은 우리 생활을 어떻게 바꿀까http://3.ly/u7v비트코인, 홍콩 시위로 안전자산 존재감 과시 … 홍콩 거래량 급증http://3.ly/u7w바른미래당, 6월 임시국회 중점 처리 법안 ‘암호화폐’ 포함http://3.ly/u7x미 SEC, 시장 투명성 확인 후 비트코인ETF 승인 전망http://3.ly/u7y
-
아르고 블록체인 최대 주주, 탈세 의혹
▲ 아르고 블록체인 최대 주주, 탈세 의혹런던 증시 비트코인 상장사이자 암호화폐 채굴 업체 아르고 블록체인(Argo Blockchain)의 최대 주주 프랭크 티미스(Frank Timis)가 탈세 의혹을 받고 있다고 4일(한국 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가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프랭크 티미스는 2017년 소득세로 35.2파운드(약 44달러)만을 납부했으며 2018년에는 단 한 푼도 소득세로 신고하지 않았다. 미디어는 “프랭크 티미스는 과거에도 1990년 헤로인 제공, 2009년 투자 사기 등으로 처벌받은 바 있다”며 “확실한 증거를 제출하지 않는 이상 탈세 의혹을 벗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프랭크 티미스는 보유 순자산 가치는 11억 달러 이상으로 아르코 블록체인 지분 14%를 보유하고 있다. 아르고 블록체인의 주요 투자자로는 영국 자산운용사인 야누스 헨더슨(Janus Henderson)와 주피터애셋매니지먼트(Jupiter Asset Management) 등이 있다.▲ 레딧 유저 "코인베이스 일방적 정책 변경, 거래비용 상승"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체피캡(chepicap)에 따르면, 최근 'TNGSystems'라는 아이디를 쓰는 레딧 유저가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은행 계좌 입금 규정이 암암리에 변경됐다. 결과적으로 이는 거래비용 상승을 야기했으며, 각종 수속 처리 속도는 더 느려졌다"고 지적했다. 해당 유저는 "은행 계좌에서 코인베이스로 송금을 하면 1시간 내로 플랫폼에 입금된다. 이후 해당 자금을 코인베이스 프로 플랫폼으로 옮기고 만약 여기서 또 바이낸스 등 기타 주소로 이체할 경우 100 파운드 기준 15 파운드가 수수료로 나간다. 또 현재 코인베이스는 신규 입금 자금을 약 5일 간 묶어둔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자는 어느 주소로도 자산을 이체시킬 수 없다. 결국 유일한 방법은 암호화폐를 구매해 출금하는 방법인데, 이 경우 사용자는 4%의 수수료를 내야한다. 코인베이스는 이런 방식으로 수수료 발생을 유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포스팅에 100 건이 넘는 댓글이 달리며 문제가 불거지자 코인베이스 서포트 팀은 "입금 후 5일 간 자금을 묶어두는 이유는 사용자들이 피싱이나 사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함"이라고 해명했다.▲ 印 총리 연임 성공, 일각 "암호화폐 규제 강화 우려"최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연임에 성공한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 현지 암호화폐 규제 기조가 강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4일(한국 시간) 미국 온라인 경제 전문 미디어 쿼츠(Quartz)가 전했다. 특히 지난 2일(한국 시간) 인도 암호화폐 관리감독 관련 보고서가 현지 재정부에 제출되면서 이러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현지 암호화폐 투자 전문가 Aayush Goyal는 “현지 투자자들은 업계 정책 기조가 한층 더 강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전면적 규제로 확산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WazirX의 창업주 겸 CEO Nischal Shetty는 “인도 정부가 전면적인 규제에 나서지는 않을 테지만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며 우려했다. 암호화폐 거래소 Unocoin의 창업주 Sathvik Vishwanath는 “현재 인도 당국의 암호화폐 정책은 사실상 전면적 금지와 다를 게 없다. 이러한 정책은 불법 거래 등 부작용을 유발하고 국가 전체 혁신성을 저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미디어에 따르면 인도 당국은 오는 7월 ‘인도준비은행(RBI)의 암호화폐 은행업 금지령’관련 청문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다만 앞서 인도 당국이 여러 차례에 걸쳐 해당 청문회를 연기한 만큼 재차 연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 나온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조셉 영 "금·채권 외 피난 창구로 BTC 주목하게 될 것"
▲ 日 현지 바·라이트닝 네트워크 스타트업, 라이트닝 네트워크 결제 테스트 진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일본 현지 바 'Awabar Fukouka'가 일본 라이트닝 네트워크 스타트업 Nayuta와 협력하여 라이트닝 네트워크 결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Nayuta는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라이트닝 네트워크가 현실 세계에서 어떻게 작용되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로컬이더리움, 현금 거래 수수료 0%로 인하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P2P 거래 플랫폼 로컬이더리움(Localethereum)이 "현금 거래 수수료를 0%로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오늘(2일)부터 7월 1일까지 사용자는 로컬이더리움서 제로 수수료로 ETH을 거래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로컬이더리움의 미카엘 포스터(Michael Foster) 공동 창업자는 "로컬비트코인의 결정은 EU의 새로운 명령과 관련있다. 해당 명령은 커스터디 지갑 서비스 제공업체에 대한 규제"라며 "로컬이더리움은 규제 대상이 아니며, 사용자들의 법정화폐 및 ETH을 보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P2P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로컬비트코인(LocalBitcoins)은 현재 현금 거래 서비스를 중단한 상태다.▲ 조셉 영 "금·채권 외 피난 창구로 BTC 주목하게 될 것"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조셉영(Joseph Young)이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단기간내 무역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희박해 투자자들이 앞다투어 BTC를 매입한다는 생각은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심각해짐에 따라. 많은 투자자들이 BTC를 금이나 채권 외 또 다른 피난 창구로 다시금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롱해시 "BSV 5월 온체인 데이터 대폭 상승"블록체인 전문 리서치 업체 겸 미디어 롱해시(LongHash)가 코인마켓캡 데이터를 인용 "5월 초 BSV의 가격은 약 52.95달러에서 한달새 247%가 상승했다"며 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BSV 블록체인 활성주소수 및 일 거래량, 거래 중앙값(median transaction value) 등을 분석했다.1. 활성주소수 : BSV의 활성주소는 5월 1일 6,679개에서 5월 31일 15,978개로 증가했다.2. 일 거래량 : 지난 24시간 약 39,793건의 BSV 거래가 발생했다. 지난 5월 초 BSV의 일 거래량은 1만 건에 불과했다.3. 거래 중앙값 : BSV의 거래 중앙값은 5월 1일 0.33 달러에서 5월 30일 6.63달러까지 상승했다.이와 관련해 롱해시는 "한달새 많은 지표가 상승했지만, BTC나 BCH에 비하면 여전히 많이 부족한 상태"라며 "최근 발생한 BSV의 해프닝은 사람들의 주목을 이끌었고, 프로젝트에 유리한 작용을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슬래쉬풀 CTO "채굴업, 보안이 가장 중요"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풀 슬래쉬풀(Slushpool)의 파블 모바렉(Pavel Movarek) CTO가 "보안 관점에서 암호화폐 채굴업은 '상당히 무섭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기준으로 직접 펌웨어를 선택할 수 있다"며 "새로운 기능 등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보안이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최근 채굴 산업에 기관 채굴자들의 유입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들은 하드웨어의 구입과 ASIC 채굴기 운영에 관여하고 있는데, 이는 BTC 옹호자들이 초기 BTC를 채굴하던 상황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형태다"고 진단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카카오 '블록체인 앱 마켓' 구축, 카톡에 암호화폐 지갑 탑재
▲ 日 라인, 시장 예측 퀴즈 댑 '4CAST' 출시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라인이(LINE Inc.) 블록체인 기반 시장 예측 댑 '4CAST'의 정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4CAST는 스포츠, 날씨, 엔터테인먼트, 경제 등 분야 관련 OX 문제와 객관식 문제의 정답을 맞추는 사용자에 한해 LINK 포인트를 지급한다. 또한 1 LINK 포인트는 500 LINE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다는 게 라인 측의 설명이다. 앞서 라인측은 지난해 9월 해당 댑의 베타 버전을 공개한 바 있으며, 이는 라인 토큰 이코노미를 구현한 최신 사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카카오 '블록체인 앱 마켓' 구축, 카톡에 암호화폐 지갑 탑재국내 미디어 파이낸셜뉴스에 따르면 카카오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가 블록체인 앱 스토어 구축에 나선다. 블록체인 앱 스토어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앱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처럼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디앱·dApp)들을 그라운드X 디앱 스토어에서 검색하고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또한 오는 27일 메인넷 '클레이튼' 출시와 함께 카카오톡에 암호화폐 지갑 '볼트(가칭)'를 탑재하기로 했다. 현재 카카오 측은 암호화폐 지갑 볼트에 담길 토큰 발행업체들과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3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15.47%, 숏 포지션 비율은 21.30%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9.12%, 13.14%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51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57.25만 ETH로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외신 "페이스북, 스테이블 코인 발행 관련 美 CFTC와 논의"
▲ 외신 “블록체인 머신러닝 플랫폼, 크립토피아 파산에 420만 달러 손실”3일(한국 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비트코인(news.bitcoin)에 따르면 블록체인 활용 머신러닝 플랫폼 GNY.io가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 파산으로 420만 달러 경제적 손실을 봤다며 현지 고등 법원에 배상을 요구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GNY.io는 크립토피아 월렛 자산 가치 기준 최대 고객사로 거래소 파산에 따라 492 BTC 손실을 입었다. 배상 요구 당시 가치는 250만 달러지만 현재 BTC 달러 가격 추산 시 해당 가치는 420만 달러에 육박한다는 설명이다. GNY.io는 크립토피아 거래소에서 LML 토큰 형식으로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크립토피아는 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로 지난 15일 해킹으로 결국 파산을 결정했다. LML은 현재 코인마켓캡에서 0.13% 오른 0.01828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외신 "카르다노, 2주 내 셀프노드 테스트넷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투데이즈가제트(todaysgazette)에 따르면, 최근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12위) 창시자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카르다노는 이미 셀프노드(self-node) 테스트넷의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카르다노의 셀프노드 테스트넷은 2주 안에 출시될 전망이다. 해당 테스트넷은 완전 공개되기 전 소규모 개발자 전용 풀 버전으로 출시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ADA는 현재 0.21% 내린 0.09316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日 거래소 비트포인트 재팬, 달러 등 외화마켓 서비스 종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에 따르면, 최근 일본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인트 재팬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BTC/USD, BTC/EUR, BTC/HKD 등 외화마켓 서비스를 오는 27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외신 "페이스북, 스테이블 코인 발행 관련 美 CFTC와 논의"페이스북이 현재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계획을 두고 미국 선물상품거래위원회(CFTC)와 논의를 하고 있다고 3일(한국 시간) 파이낸셜타임즈(FT)가 보도했다. 미디어는 CFTC의 크리스토퍼 지안카를로(Christopher Giancarlo) 위원장을 인용, "CFTC와 페이스북이 디지털화폐 발행 관련 해당 코인이 CFTC 규제 범주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두고 초기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보도와 관련해 페이스북은 공개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다. 페이스북은 미국 달러화, 유럽연합(EU) 유로화, 일본 엔화 등과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stable coin)인 글로벌코인을 내년에 발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에서 디지털 화폐를 통한 송금이나 물건 구매 등이 가능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실물연동 암호화폐 진생코인, 7월 1일 ‘빗크몬’ 정식 상장
실물연동 암호화폐 진생코인, 7월 1일 ‘빗크몬’ 정식 상장진생코인을 개발한 진삼코리아는 17일 실물 자산과 암호화폐의 융합에 성공한 진생코인(GSH)이 7월 1일 빗크몬(BITCMON)에 정식 상장한다고 밝혔다. 진생코인은 동양에서 약초, 건강식품 분야의 천년 왕좌를 지키고 있는 인삼을 가상화폐 기술과 융합한 것이다. 코인을 구입하는 순간 일정 비율(33:1)로 상응한 양의 삼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이는 사실상 코인의 최초 구매자들에게는 구매금액과 동일한 가치를 보장해주는 제도다. 진삼코리아는 업계 최초로 선보인 수매청구 제도는 거래소에서 코인가격이 하락할 경우 수매청구를 통하여 투자금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진생코인(GSH코인) 고객은 코인 거래 시 언제든지 삼으로 수매청구가 가능하다며 고객이 삼 수매청구 시 코인회수 후 즉시 현금이 지급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코인을 100만원어치 매수 후 코인가 하락이나 개인의 사유로 코인을 매도할 시기가 도래하면 언제든지 진생 사이트에서 수매 청구를 신청, 본사가 코인 3만3333을 회수 후 100만원을 반환하는 시스템이다. 진삼코리아는 보유자들의 투자리스크를 제로화 시켜주는 이 수매청구 시스템은 현재 특허 출원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빗크몬의 직상장을 기념하기 위해 진삼코리아는 진생코인(GSH) 구매자들을 상대로 아래와 같은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1. 에어드랍 100GSH(진생)제공-모든 참가자 2. 1ETH 이상 구매자에게 산양산삼 4~5년근 10뿌리 1박스 무료배송 3. 100만원이상 코인 구매고객 전원에게 100만원 단위/1000만원 단위 구매시에 삼을 100만원 단위/1000만원 단위 삼을 실제 제공 빗크몬(BITCMON)과 진생코인은 장애아동, 기아, 소외계층 및 독거노인 등 사회약자 계층에게 사전가입 회원 한 명당 어린이 재단에 1000원을 기부하는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진삼코리아는 진생코인을 개발한 회사다. 진생코인(GSH)은 자산으로 뒷받침되는 코인이고, 자산에 대해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코인이다. 현재 블록체인으로 표방되는 대부분의 가상화폐(암호화폐) 비지니스는 실제 실행성이 없거나 현실화되지 못한다는 이유로 가상화폐의 가치 폭락이 발생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인 투자자 피해가 극대화되고 있고, 가상화폐에 대한 사회인식 조차도 좋지 않은 상황으로 이어져, 코인투자를 기피하는 현상까지 발생되고 있다. 이에 진생코인(GSH COIN)은 기존의 가상화폐의 문제점 극복과 코인 투자자의 코인구매 금액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실물연동 코인 비즈니스를 구축하였다.
-
블록원 CEO "보이스, SNS 통제권 사용자에게 반환"
▲ 전날 일부 코스모스 검증노드 가동 중단...구글 클라우드 고장 탓중국 블록체인 전문 미디어 체인뉴스에 따르면, 전날(2일) 미국 동부 해안 지역 구글 클라우드 고장으로 일부 코스모스(ATOM, 시가총액 16위) 미국 소재 일부 검증노드들의 가동이 일시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코스모스 체인 주요 검증자 중 하나인 폴리체인 랩스(Polychain Labs)는 전날 공식 채널을 통해 "구글 클라우드 고장으로 검증 노드가 오프라인 상태로 전환됐지만, 비상용 서버를 통해 약 1시간 후 온라인 상태를 회복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ATOM은 현재 9.46% 오른 6.2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댄 라리머 "Voice 출시, 단계적으로 진행"3일 새벽(한국 시간) 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창시자가 텔레그램 커뮤니티에서 EOS 기반 SNS 댑 보이스(Voice)와 관련해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01. 보이스의 정식 가동까지 1.8 버전 릴리즈와 일부 하드포크 작업만이 남았다.02. 우리는 단계적(phased approach)으로 보이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모든 사용자들이 동일한 시점에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할 것이다.03. 현재 보이스 베타버전에선 사용자들의 이메일 정보를 수집 중이다. 사용자 유입은 천천히 시작해 성숙단계를 거쳐 빠르게 늘어날 것이다.04. 어떤 토큰을 사용하더라도 보이스에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05. 보이스는 아직 메신저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는 않지만 해당 기능은 향후 추가될 것이다.06. 보이스는 브라우저 버전이 우선 출시될 것이고, 앱 출시는 그 다음이다.07. 보이스 사용자들의 신원을 확실히 알지 못하는 이상 보이스 토큰의 해킹 가능성은 없다.08. 보이스는 백서가 존재한다.▲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CEO “암호화폐 시장, 규제 샌드박스 도입 바람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와지르X(Wazirx) CEO 니스칼 셰티(Nischal Setty)가 최근 현지 당국의 암호화폐 초안 마련 보도와 관련해 “초안이 공개되면 당국은 업계 각 분야 전문가 의견 수렴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암호화폐 산업은 새로운 분야이기 때문에 규제 초안에 대한 업계 의견을 조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투자자 사기 피해를 막고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규제 시행이 시급하나, 현재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규제 샌드박스 형식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외신은 수바시 찬드라 가르그(Subhash Chandra Garg) 인도 경제부 장관이 암호화폐 규제 보고서를 작성했고 조만간 신임 재무장관 니르말라 시타라만(Nirmala Sitharaman)에게 전달, 승인 후 관련 내용을 공개할 것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블록원 CEO "보이스, SNS 통제권 사용자에게 반환"지난 2일(현지 시간)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 블록원 최고경영자(CEO)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기존의 SNS 서비스는 플랫폼을 소유한 소수 기업들이 독점한 주목시장(attention economy)이었다"며 "EOS 기반 SNS 댑 보이스(Voice)는 토큰을 사용해 SNS 통제권을 사용자에게 되돌려 줄 것이다. 이는 기존의 '최고가 경매'와는 반대되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앞서 EOS 개발사 블록원 측은 보이스 프로젝트를 2일(한국 시간) 열린 B1 June 연례 행사에서 정식으로 공개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갠드크랩 랜섬웨어, 총 누적 피해액 20억 달러 규모
▲ 외신, XRPL·JP모건 상표권 분쟁 가능성 제기리플랩스(XRPLabs)가 최근 은행 전용 XRP 전송 앱 XIGN 출시를 예고한 가운데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의 상표권 분쟁을 겪을 가능성이 제기된다고 3일(한국 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투데이스가제트(todaysgazette)가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2007년 5월 JP모건체이스는 전자 결제 서비스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JPMorgan Xign Corp를 인수하고 사업자 등록을 마쳤다. 해당 업체의 사업 분야 및 성격이 XRPLabs와 상당 부분 유사한 만큼 리플랩스가 해당 앱 이름을 바꿔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XRPLabs 관계자 Wietse Wind는 "Xign라는 상표명 사용이 분쟁 원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해 면밀하게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JP모건의 Xign는 사실상 죽은 사업체다. 만약 문제가 된다면 즉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댄 라리머 "EOS VM, 멀티스레드 스마트 컨트랙트 확장의 일환"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창시자가 3일(한국 시간)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EOS VM은 안전한 멀티스레드 스마트 컨트랙트 확장을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며 "개발자들의 개발 편의성 제고는 어떤 기술적 능력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블록체인 간의 상호 교류를 위한 가장 중요한 단계는 상호 간의 의사소통"이라고 덧붙였다.▲ BTC, 5분간 1.11% 하락BTC가 지난 5분 간 1.11% 내렸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Binance)에서 $8703.55에 거래되고 있다.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의 단기 변동폭 확대에 주의를 기울이시기 바랍니다)코인니스 앱에서 관심목록 추가를 통해 다양한 마켓 시그널 알림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테조스 공동창업자 "메인넷 업데이트, 네트워크 효율성 증대"테조스(Tezos)의 공동 창업자 아서 브레이트만(Arthur Breitman)이 최근 인터뷰에서 테조스 메인넷 업데이트인 Athens A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복잡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보다 쉽게 배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는 한 블록이 기존 네트워크에서보다 많은 일을 해낼 수 있다는 뜻이다. 더 많은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운영할 때 블록 연산 한계치를 안정적인 범위로 설정했기 때문"이라며 "노드가 모든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을 때까지 한계치를 점진적으로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TZ는 현재 1.56% 오른 1.50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갠드크랩 랜섬웨어, 총 누적 피해액 20억 달러 규모중국 최대 인터넷 보안 업체 치후 360에 따르면, 갠드크랩 랜섬웨어(GandCrab ransomware)의 총 누적 피해액이 2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주 평균 250만 달러의 피해액이 발생했다는 것. 랜섬웨어는 2018년부터 성행하여 다크웹의 서비스형 랜섬웨어(RaaS), 원거리 데스크탑 공격, USB 웜 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 스팸 메일 등 방식으로 전파하여, 기업 및 개인용 컴퓨터에 침투하여 파일을 암호화하여 몸값을 요구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리플 전 CTO "BTC, 결제 프로토콜 문제 심각”
▲ 前 코인베이스 CTO "기술 산업,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재건 전망"전 코인베이스 CTO 발라지 스리니바산(Balaji Srinivasan)이 2일(현지시간) 트위터에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모든 기술 산업은 결국 퍼블릭 블록체인 위에서 재건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 기술로 법인 설립, 펀딩, 결제 정보 송수신, 스톡옵션, 유저 인센티브, 암호화된 메시징 서비스, 신원인증, 회계, M&A, 거버넌스 등을 자동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비트코인 블록체인 위에 올릴 수는 없으므로 여러 분야에서 오프체인이 활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평론가 "IEO 리스크 확대, 정부 규제 받을 것"암호화폐 평론가 아더(Arthur)가 현재의 블록체인 기술 수준을 감안했을 때 향후 메이저 코인에 자금이 쏠리면서 IEO 투자 리스크가 확대, 정부 규제를 받게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비트멕스 리서치가 발표한 IEO 보고서를 인용, IEO를 통한 모집액이 현재 3,890만 달러에 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소규모 거래소도 IEO에 뛰어들면서 투자자 손실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IEO가 결국 규제를 받게 돼도 단기간 내에는 규제 사항 마련이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 입법 및 금융 전문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 또한 "IEO는 거래소가 주관하는 ICO일 뿐"이라며 IEO가 ICO보다 안전하다고 생각해선 안 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디지털 자산 및 혁신 시니어 고문 발레리 슈체파닉(Valerie Szczepanik)도 최근 뉴욕 코인데스크 컨센서스 2019 행사장에서 "IEO를 위해 편의를 제공한 거래소는 미국 증권법을 위반했을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전 SEC 소속 사이버보안 전문가 존 리드 스타크(John Reed Stark)가 "미국 SEC가 곧 IEO를 단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CCN을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크립토 '공포 탐욕지수' 66... 투심 소폭 회복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3) 대비 3포인트 상승한 66 포인트를 기록했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내 투자심리가 소폭 회복됐음을 의미하며, 전날의 탐욕 단계를 유지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 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리플 전 CTO "BTC, 결제 프로토콜 문제 심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전 리플(XRP, 시가총액 3위) 최고기술책임자(CTO) 스테판 토마스(Stefan Thomas)가 최근 레딧 AMA를 통해 “최근 비트코인 관련 이벤트에서 상금으로 받은 7,002 BTC를 보관하던 주소 암호키를 잃어버렸다. 암호키를 찾을 가능성은 사실상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BTC는 토큰 자체가 아닌 결제 프로토콜에 문제가 있다. 그 외에도 BTC는 결제 지연, 에너지 낭비, 지리적 중앙화 등 문제가 심각하다. 반면 XRP는 인터렛저 기술을 통해 해당 문제를 개선했다"고 덧붙였다.▲ 前 SEC 보안 전문가 "SEC, IEO 단속 본격화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최근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속 사이버보안 전문가 존 리드 스타크(John Reed Stark)가 "미국 SEC가 곧 IEO를 단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IEO는 거래소라는 매개를 통해 투자자들의 우려를 해소해 투기를 조장하는 또 다른 투자 사기의 일종"이라며 "SEC는 최근 IEO 열풍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칼을 빼들 것"이라고 부연했다. 또 그는 "IEO는 벼락 부자를 꿈꾸는 투자자들에게 IPO를 연상시켜 노골적으로 그들의 자금을 탈취하려 시도한다. ICO와 마찬가지로 IEO는 IPO와 공통분모가 전혀 없다. 사실상 규제 사각지에 놓인 IEO 및 ICO는 사기, 시장 조작, 내부자 거래, 해킹 등 각종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이 같은 투자 사기는 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테조스 공동창업자 "온체인 업그레이드 성공적 완료, 시스템 가치 극대화"
▲ 캐시스크립트 개발팀, 800 BCH 모집 예정...커뮤니티 기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 3일 보도에 따르면 BCH에 기본적인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제공하는 고급 언어 캐시스크립트(Cashscript) 주요 크리에이터인 Rosco Kalis가 오는 8월 전까지 800 BCH를 모집할 계획이다. 모집한 800 BCH는 Bitcoin ABC, Bitcoin Unlimited, BCHD, Bcash에 기부한다는 설명이다. Rosco Kalis는 프로그래머들이 BCH 생태계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중이다. 개발에 관한 Rosco Kalis의 더 자세한 생각은 Bitcoin.com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외신 "EOS 보유자, 인플레이션 5%→1% 제안 동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EOS 블록 프로듀서 EOS Authority의 투표 플랫폼 데이터를 인용 "EOS 인플레이션율 인하 제안에 대해, 투표에 참여한 총 778개 계정이 만장일치로 찬성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해당 제안은 토큰 공급에 대한 5%의 고정 인플레이션을 1%로 낮추자는 내용이다. 현재 EOS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5%로, 4%는 eosio.saving 계정에 축적되고 1%는 BP에 분배되고 있다. 투표에 참여한 778개의 계정은 총 2,745만 EOS(총 발행량의 약 2.7% 상당)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안은 "과도하게 많은 양의 EOS 토큰이 eosio.saving 계정에 축적됐으며 사용처가 명확하지 않다"며 "이는 결국 네트워크 전반에 위협요소로 작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英 채굴업체 아르고, 2분기 실적 전망 상향런던 증권거래소 상장 암호화폐 채굴 업체 아르고 블록체인(Argo Blockchain)이 2분기 실적 전망을 상향 조정했다고 금융 투자 전문 미디어 Proactive Investors가 3일 전했다. 5월 암호화폐 가격 상승과 더불어 주문한 채굴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도착했기 때문이다. 아르고는 2분기 말까지 기존 예상치보다 57% 많은 285만 파운드 규모의 암호화폐를 채굴할 것으로 내다봤다.▲ 테조스 공동창업자 "온체인 업그레이드 성공적 완료, 시스템 가치 극대화"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테조스(XTZ, 시가총액 18위) 공동 창업자 아서 브레이트만(Arthur Breitman)이 최근 인터뷰에서 "이번 온체인 상의 성공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시스템 가치를 극대화하면서 새롭고 강한 기능을 추가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때로는 하드포크가 필요하다. 하지만 하드포크는 급격한 변경이 필요한 만큼 커뮤니티 반발을 사곤 한다. 실제 비트코인(BTC)은 하드포크 보다는 사이드체인 방식을 선호한다. 단순한 형태의 사이드체인 도입 방식은 급격한 변화를 피할 수는 있지만, 엄격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는 만큼 쉽게 변질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프로젝트 전반의 의미 있는 변화를 포기해야 한다는 한계점도 지적된다. 테조스 네트워크는 자가조정(self-amendment) 프로세스를 도입, 혼란을 최소한을 줄이면서 기술 혁신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9일 테조스는 메인넷 업데이트 'Athens A'를 진행, 네트워크를 포크하지 않고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자가조정 프로세스를 도입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XTZ는 현재 1.06% 내린 1.4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월마트,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디레저 합류
▲ 월마트,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디레저 합류대형 유통업체 월마트가 제약 분야 블록체인 프로젝트 메디레저(MediLedger)에 합류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3일 전했다. 메디레저는 약품 유통 전 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올려 누가, 언제 제품과 접촉했는지 알 수 있게 해주는 프로젝트로, 환불(Chargeback) 프로세스도 자동으로 처리해준다. 메이저 제약사인 화이자(Pfizer), 매케슨(McKesson), 아메리소스 버진(AmerisourceBergen), 카디널 헬스(Cardinal Health) 등은 이미 메디레저 멤버로 합류했다. 월마트 연례 리포트에 따르면 회계연도 1월 31일 기준 약국,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약이 포함된 'Health and wellness' 분야 미국 내 매출이 전체 매출의 10%인 350억 달러에 달한다. 한편 월마트는 앞서 2016년 IBM과 협력해 식품 추적이 가능한 IBM Food Trust를 구축하기도 했다. 현재 50곳이 넘는 기업이 해당 블록체인을 테스트하고 있다.▲ 포브스 "우버 투자자, 비트코인 가격 0달러 경고"포브스 3일 보도에 따르면, 우버의 초기 투자자인 유명 벤처 투자자 제이슨 칼라캐니스(Jason Calacanis)가 "비트코인은 새로운 기술로 대체될 수 있으며, 가격이 0달러로 떨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트코인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든다"라며 "잃어도 상관 없는 순자산의 1%~5%만 비트코인에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브스는 이와 관련해 "페이스북 또는 은행이 발행한 암호화폐가 널리 채택된다면, 비트코인은 결국 사람들에게서 잊혀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후오비 글로벌, XTZ 입출금 재개후오비 글로벌이 방금 전 테조스(XTZ, 시가총액 18위)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TZ는 현재 2.85% 내린 1.4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58COIN, 계약 거래 수수료 0.01% 상향 계획 철회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6월 3일 19시 예정된 수수료 0.02% 상향 계획을 철회하고 기존 0.01% 수준을 유지한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58COIN은 계약 거래 섹션 내 디지털 계약, USDT 계약, 납기 계약의 테이커, 메이커 수수료는 0.01%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금융안정위원회 "암호화폐가 불러올 위험에 대비"
▲ 전날 댑 활성도 관련 데이터 정리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2일) ETH, EOS, TRON, IOST 4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197,633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63.89%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26,259), TRON(46,986), ETH(24,388), IOST(6,982)2. 총 거래 횟수: EOS(3,611,710), TRON(754,381), IOST(379,847), ETH(84,203)3. 총 거래량(달러): EOS(16,956,061), TRON(14,340,766), ETH(6,533,221), IOST(630,427)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Endless Game(EOS), Hash Baby(EOS), BingoBet(EOS)5. 거래횟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TRONbet(TRON), Dice(EOS)6. 거래량 기준 TOP3 댑: EOSREX(EOS), TRONbet(TRON), EOSJacks(EOS)▲ 가트너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90%, 2021년까지 교체 필요"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시장조사 및 컨설팅 회사 가트너(Gartner)가 "기업 블록체인 플랫폼의 90%는 경쟁력 유지를 위해 18개월 이내에 교체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아드리안 리(Adrian Lee) 가트너 선임 리서치 디렉터는 "개별 플랫폼의 블록체인 핵심 기술은 별 차이가 없으나, 단기적 편익과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로서 과대평가 하는 경우가 많다"며 "5년 내로 시장을 통합할 단일 블록체인 플랫폼은 등장하지 않고, 멀티 플랫폼이 사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트너는 2025년 블록체인 시장 가치가 1,760억 달러, 2030년 3.1조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안정위원회 "암호화폐가 불러올 위험에 대비"3일 서울경제에 따르면 금융안정위원회(FSB, Financial Stability Board)가 “암호화폐가 불러올 위험에 대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FSB는 국제금융시스템 안정성을 도모하고, 국제 수준의 금융 감독을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지난달 31일 FSB는 ‘암호화폐의 규제적 접근과 잠재적 차이(Crypto-assets Work underway, regulatory approaches and potential gaps)’라는 보고서를 발행해 “암호화폐가 시장 규제당국이나 지불 시스템 감독의 사각지대에 있다”면서 “이는 암호화폐가 규제나 체제 밖에서 기능하도록 설계됐다는 걸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고, 국제적 규제나 권고가 부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결론에서 “주요 20개국(G20)은 국가 간 더 많은 협력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보고서는 오는 8일부터 이틀간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전달될 예정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6-17: 비트코인 1,078만원대 상승…페이스북 암호화폐 초대형 파트너십, 최대 이슈
블록체인/암호화폐 관련 최신 동향에 대한 선별된 이슈를 전달하는 '데일리 리포트'를 정기 구독하세요.▶ 뉴스레터(메일) 신청 하기 : http://bit.ly/2GHXE5I▶ 텔레그램으로 받아보기 : https://t.me/unblockednews비트코인 1,078만원대 상승…페이스북 암호화폐 초대형 파트너십, 최대 이슈https://bit.ly/2KTPj1e파리바게뜨·던킨도너츠 빵 사면 암호화폐 준다https://bit.ly/2WQiFVd스톡 투 플로우(S2F) 분석 "비트코인, 2020년 8월까지 6만달러 전망...반감기 영향"https://bit.ly/31DvuAT아마존, 토큰 수령하지 않고 상품 대금 ETH로 지불하는 기술 구현…스타트업과 파트너십 체결https://bit.ly/2WKKdXh‘미국 진출’ 바이낸스, 기존 ‘우회 이용 고객’은 차단https://bit.ly/2IKt5Ml암호화폐 거래소 평균수명 ’18개월’..해킹 등 보안 취약이 원인https://bit.ly/2wYSpIS
-
SEC 고위 관계자 "암호화폐·블록체인 업계와 소통 원해"
▲ 비트플라이어, 28일 암호화폐 마진거래 최대 배율 하향조정일본 증권 및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카부탄(Kabutan)에 따르면, 최근 일본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플라이어(bitFlyer)가 오는 28일 플랫폼 내 암호화폐 마진거래의 최대 배율을 기존 15배에서 4배로 하향조정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코인베이스 USDC 마켓 서비스 지역, 85개 국가로 확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최근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자체 발행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의 서비스 대상 지역을 85개 국가까지 확대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14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코인베이스 측은 "2020년까지 소비자물가가 10~2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아르헨티나 및 우즈베키스탄 등 국가에서 USDC와 같은 안정성은 국가적 인플레이션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후오비, BCH 메인넷 업그레이드 지원...21시 입출금 중단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비트코인캐시(BCH, 시가총액 4위)의 메인넷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며, 이에 따라 15일 21시부터 BCH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앞서 OKEx, 업비트, 코인체크, 비트렉스 등 거래소 역시 BCH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을 공지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CH는 현재 1.74% 내린 379.4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댄 라리머 "블록체인, 전통 데이터베이스 및 비즈니스 로직 대체"이오스(EOS, 시가총액 6위) 창시자 댄 라리머가 방금 전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블록체인은 궁극적으로 대다수 전통적인 데이터 베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대체할 것"이라며 "EOSIO가 그 길을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전 CTO인 발라지 스리니바산(Balaji S. Srinivasan)은 "블록체인은 가치 저장, 및 데이터 보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존 데이터 관리에 존재하는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한 바 있다.▲ SEC 고위 관계자 "암호화폐·블록체인 업계와 소통 원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에이미 스타(Amy Starr)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본시장 동향 사무국장이 세계 최대 블록체인 컨퍼런스 컨센시스 2019에서 증권법의 다양한 적용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현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업과 교류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규제기관과의 적극적인 교류만이 암호화폐 시장에 관한 증권법 수정을 촉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코인게코 '신뢰점수' 도입... 허위 거래량 데이터 왜곡 방지
▲ 美 화이자 제약 임원 "블록체인, 충분히 상품화 가능한 수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최근 미국 대형 제약 회사 화이자 제약(Pfizer Inc.)의 비즈니스 테크부서 총괄인 켄 네슬(Ken Nessel)이 뉴욕에서 열린 컨센서스 2019에 참석해 "블록체인은 이미 기본적인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을만큼 발전된 기술로 상품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날 "블록체인 기술의 대규모 채택을 가로막는 주요 장애물은 기술 자체의 부족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라며 "블록체인은 확장성 문제, 속도 문제, 개발툴 미비 등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로이터 "BTC 급등, 투심 회복... 일각에서는 투자 과열 우려"로이터 통신의 15일(한국 시간) 칼럼에 따르면,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이 고조되고 BTC가 14일 오전부터 급등 흐름을 보이며 최근 10개월 간 최고가를 경신하며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희망이 다시 불타올랐다. 한편, 일각에서는 BTC의 반등 속도가 과도하게 빠르며 투자자들은 이를 더 경계해야한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사실상 암호화폐 시장의 불투명성은 최근 BTC 강세에 대한 분명한 원인이나 분석 및 이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스타트업 커머스 블록의 최고경영자(CEO)인 니콜라스 그레고리는 "급격한 가격 변동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시장의 불건전성을 반증하기도 한다"며 "블록체인이라는 신흥 기술을 신뢰하는 사람들은 어디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지 못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암호화폐 헤지펀드 평균 운용자산, 1분기 대비 3배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글로벌 회계 컨설팅 업체 PwC 및 자산운용사 엘우드(Elwood Asset Management)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글로벌 암호화폐 헤지펀드들의 평균 운용자산(AUM)이 지난 1분기 대비 3배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집계된 암호화폐 헤지펀드들의 평균 AUM은 약 430만 달러 규모로 지난해 1월 120만 달러보다 뚜렷한 증가 추세를 나타냈다.▲ 코인게코 '신뢰점수' 도입... 허위 거래량 데이터 왜곡 방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암호화폐 관련 마켓 데이터 제공 사이트 코인게코(CoinGecko)가 13일(현지 시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신뢰점수' 시스템을 도입해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거래량 데이터 조작을 예방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바비 옹(Bobby Ong) 코인게코 창업자는 "신뢰점수 도입 시 코인게코가 제공하는 거래소 관련 데이터들이 보다 투명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