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 게임 전문 블록체인 플랫폼 ‘템비트’,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 체결- 매그니스의 ‘템비트’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금년 하반기 내 제공 예정게임 특화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매그니스(대표 장봉석)와 스마트폰 게임 개발사 ㈜하이브로(대표 원세연)는 7일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로는 2012년 출시한 스마트폰 게임 ‘드래곤빌리지’로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면서 드래곤빌리지2, 드래곤빌리지M으로 이어지는 프랜차이즈 타이틀을 런칭하여 탄탄한 고정 팬덤을 확보했다. 또한 드래곤빌리지의 오프라인 게임카드를 4000만 팩 이상 판매, 게임 도감과 드래곤빌리지 코믹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적을 100만부 이상 판매하며 명실공히 캐릭터 IP 로써의 가치를 키워오고 있다.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에서 개발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루니버스의 게임 부문을 맡고 있는 매그니스는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플랫폼 ’템비트(구.마그넷)’를 이번 해 하반기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템비트’를 통해 게임 개발사들이 보다 손쉽게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동개발 계약을 통해 매그니스와 하이브로는 드래곤빌리지 IP를 사용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개발하게 된다. 매그니스 장봉석 대표는 “오리지널 캐릭터를 사용한 스마트폰 게임을 히트시키고, 게임에만 국한되지 않은 다양한 오프라인 사업으로 영향력 있는 IP를 만들어낸 하이브로의 도전적인 행보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었다. 드래곤빌리지라는 강력한 IP에 블록체인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블록체인 게임의 대중화에 한 발자국 더 앞서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고 전했다.
-
코빗·씨피닥스·고팍스, 크로스앵글과 블록체인 프로젝트 상장심사 파트너십 체결
코빗·씨피닥스·고팍스, 크로스앵글과 블록체인 프로젝트 상장심사 파트너십 체결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 씨피닥스와 고팍스, 크로스앵글의 정보공시 및 프로젝트 심사 서비스를 통해 건전한 공시문화 형성과 투자자 권리 증진 주도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 씨피닥스, 그리고 고팍스는 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정보공시 플랫폼을 개발한 크로스앵글과 협약을 맺고, 코인 상장과 이후 활동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그 동안 언론에서 많이 제기되었던 정보비대칭으로 인한 암호화폐의 신뢰도와 투명성의 문제를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증권거래소에 주식이 상장될 때 규제기관을 통해 기업 공시 의무가 발생하는 것과 달리, 암호화폐 시장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FUD(Fear(공포), Uncertainty(불확실성), Doubt(의심)의 줄임말)를 일으키는 실체 없는 허위 정보들로 만연해 있다. 또한 사업성과지표나 기술 개발 현황과 같은 프로젝트의 내재적 가치에 기반한 분석에 필요한 주요 정보들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신뢰가 결여되고 부족한 정보 환경은 내부자 거래, 사전 정보 활용 등 투기성 짙은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거래소들과 투자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의 가장 큰 원인이다.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펌프앤덤프(Pump-and-dump)’와 같은 사기성 프로젝트의 감별이나 깊이 있는 투자분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암호화폐의 불투명성은 정부의 규제 일변도의 정책방향성과 함께 대형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현실적인 이유로 꼽히고 있다.크로스앵글은 자체 공시 정보 플랫폼 Xangle(이하 쟁글)을 구축해 불투명하고 신뢰성 없는 정보환경 개선에 나섰다. 쟁글에 올라오는 데이터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로부터 직접 제공받으며 검증을 통해 공시된다. 쟁글의 데이터 공시 기준은 DART(한국), EDGAR(미국)와 같은 증권 규제 기관의 공시 기준과 S&P, Moody’s, FITCH와 같은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평가 기준에 준거하고, 기존 주식시장에서 확립된 공시 체계를 바탕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맞게 재해석되었다. 쟁글은 온·오프체인 정보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부분적 불완전 정보가 아닌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고 볼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크로스앵글은 쟁글에 올라온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종합적인 상장 적격 진단 보고서를 거래소들에 제공하게 된다. 거래소들은 이 보고서를 새로 상장할 코인의 적격성 및 상장된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거래소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씨피닥스의 서문규 총괄이사는 “크로스앵글의 서비스가 암호화폐 시장을 개척하는 ‘투자자들의 안내등’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코빗의 오세진 본부장 또한 “크로스앵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단순한 정보공시플랫폼을 넘어 생태계 전반의 모범규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하며 이 파트너십이 가져다 줄 긍정적인 결과에 대해 큰 기대감을 비췄다. 고팍스 이준행 대표는 “그동안 고팍스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프로젝트와 협업을 해왔다. 크로스앵글의 쟁글은 모든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와 무결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고팍스는 앞으로도 쟁글과 같은 좋은 프로젝트와 협업을 통해 지속 발전이 가능하고 건전한 생태계를 위해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크로스앵글은 현재 쟁글의 베타 서비스를 운영중이나 5월 중 본격 론칭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거래소, 투자자 및 프로젝트와의 협력하여 보다 건전한 공시문화가 자리 잡힌 암호화폐 시장 형성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
▲ 美 대학 교수 "BTC, 헤지 효과 小"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미국 매사추세츠주 우스터 폴리테크닉 교육기관 Dimitrios Koutmos 조교수가 최근 ‘시장 리스크 및 비트코인을 통한 수익 창출’이라는 논문을 통해 “BTC가 경제 및 증시 리스크에 대한 헤지 효과가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그는 “BTC는 지지자들의 주장처럼 글로벌 경제 동향,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 외부 영향으로부터 분리돼 있지 않다. 따라서 경제 불안기에 암호화폐를 헤지수단으로 활용하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 이번 논문은 암호화폐 광신도에 대한 일종의 ‘경고’다”라고 덧붙였다.▲ 4세대 거래소 실크로드, 정식 오픈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실크로드(CILKROAD)가 20일 정식 오픈했다. 실크로드는 자체 수익 공유 시스템을 도입, 거래 대금에 대한 보상으로 받는 ‘마일리지’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각종 수익을 배분한다. 공지에 따르면, 거래소 이용자는 실크로드 수익 공유 시스템 중 픽스드풀(FIP)에 자신의 마일리지를 투입할 수 있으며, 최대 1억원 상당의 BTC를 추첨받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픽스드풀 수익공유 추첨은 매주 시행되며, 거래소 내 마일리지는 오픈과 동시에 진행되는 '마일리지 2배 지급', '출석체크', '도전1BTC 거래' 이벤트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21일 오전 10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14.26%, 숏 포지션 비율은 23.42%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6.63%, 18.46%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4.41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63.84만 ETH를 기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참여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 위해 추진..-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 구축..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사업’에 광주광역시가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타 스마트시티 사업과 달리 대기업이 참여하지 않는 광주광역시 컨소시엄은 노원 지역화폐를 개발 및 구축한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와 지역 중소기업들이 참여하며 이들 각각의 솔루션들을 융합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이다.대표기업인 글로스퍼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HYCON Enterprise Platform)을 공급하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리워드 플랫폼’ 구축에 참여한다.이 모델은 시민이 자발적으로 도시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블록체인 기반 리워드는 적극적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동기부여로 작용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고 지역내 기업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부가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루어 시민주도형 ‘데이터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는 모델이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민간기업의 지속적인 수익과 재투자의 순환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며 “올해 실증을 하여 내년 본 사업에도 선정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며, 향후 광주 전역 확대 및 스마트시티 수출모델에도 기여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또한 김 대표는 “일자리 없는 광주를 은퇴 없는 도시로 변화시켜, 떠나는 도시에서 머무르는 도시로 변모하는데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니오플레이,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코인의 가치 높여 줄 게임..-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강화..-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 적용..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의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밝혔다.니오플레이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가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게임의 난이도를 대폭 낮췄다. 그리고 7개의 게임과 7개의 스텝을 구성하려던 것을 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했다.무엇보다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니오플레이의 빠른 확산을 위해 게임에서 생성된 키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 줘야만 많은 니오코인(최대 825,000개)에 당첨될 수 있게 했다.니오플레이는 게임 형식을 빌리 ‘복권’ 시스템이자 플랫폼이다. 니오플레이에는 7개의 게임과 키 생성/보관, 지갑 등 기능이 있다. 7개의 게임을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1게임마다 1개의 키가 생성된다. 총 7개의 키가 생성되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유저에게 키를 전달해야 한다.니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스토어에서 유료로 구매해야한다. 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스마트 컨트랙트 등)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이 혼합되어 있는 거대한 플랫폼이다.니오앱스 맹정호 대표는 “이번 업데이트는 게임을 쉽게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했다”며 “니오플레이가 확산되면 니오토큰의 실수요가 증가하고 니오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니오(NEEO)의 플랫폼이 소개되어 니오(NEEO)의 가치와 인지도가 크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발행한 니오앱스의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3월 11일 공식 상장되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니오앱스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블록체인기반 투자 서비스 Roobee, 최상위 비트코인 투자자에 의한 투자금 100만달러와 함께 첫 번째 IEO 프라이빗 라운드 마감
블록체인기반 투자 서비스 Roobee, 최상위 비트코인 투자자에 의한 투자금 100만달러와 함께 첫 번째 IEO 프라이빗 라운드 마감블록체인으로 구동되는 Roobee 투자 서비스는 Roobee 토큰의 출시 이전, IEO가 시작된 후 프라이빗 라운드의 첫 번째 세션을 마감했다고 3일 밝혔다. 100만달러의 투자는 비트코인 지갑에 현재 7000BTC를 보유하고 있는 상위 250위내 비트코인 보유자의 지갑에서 이루어졌다. 100만달러(200BTC) 거래는 ‘나는 Roobee를 믿는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Roobee 지갑에 전송되었다.익명의 후원자는 기존 성공한 큰 아시아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투자자는 판매를 위해 상장된 직후에, 한국 거래소에서 Binance 토큰을 구입했다.익명의 투자자는 시장 진입 후 첫 달에 Binance 토큰을 샀다. 최근 그 토큰의 가격은 역사적 최고점에 도달했다.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현재, 최고점에서 5배 이상 떨어져 있다. 하지만 나는 Binance 시절 보았던 잠재력을 Roobee 프로젝트에서 동일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Roobee 투자 서비스는 이미 많은 암호화폐 큰 손들의 참여를 포함해 두 번의 트랜잭션을 통해 투자금 55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2018년 말 ‘200m_trader’ 닉네임의 투자자는 Roobee 프로젝트에 450만달러를 투자했다. 한 달에 2억달러를 벌어들인 그는 Bloomberg로 부터 200m_trader라는 자신의 별명을 얻었다.Roobee 공동 설립자 Artem Popov는 “다른 암호화폐 투자자가 Roobee에 투자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 프로젝트는 몇 년 동안 암호화폐 산업에서 개발하고, 그것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이 시장의 경험과 오랜 참가자들은 Roobee가 개발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진정으로 투자의 세계에 더 나은 것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반에크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당국 승인 위해 노력”
▲ 반에크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당국 승인 위해 노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미국 뉴욕 소재 상장지수펀드(ETF) 제공 업체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인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트위터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의 효율적인 거래, 관리감독 시스템, 유동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BTC 시장은 상당한 규모로 성장했다.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일(현지시간) SEC는 최근 테더와 비트파이넥스 사태, 비트스탬프 가격 급락 사태 등이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업계 사기 및 조작 행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며 반에크·솔리드X BTC ETF 승인 결정을 8월 19일까지 90일 추가 연기한다고 밝혔다.▲ ETF닷컴 총괄 "SEC ETF 승인 위한 정보 수집 中"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ETF.com의 Dave Nadiga 총괄이 20일(한국 시간) CNBC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정보 수집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SEC는 중대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정보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ETF가 궁극적으로 해당 사안을 승인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단기간 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며 최소 1분기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댄 라리머 "DPoS, 우수 BP 모색 급선무"댄 라리머 EOS 창시자가 20일 오전 11시(한국시간) EOS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DPoS는 2개의 레이어(layer)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합의 프로토콜이다. '레이어 0'은 BP들이 체인을 증명하는 과정이며, '레이어 1'은 BP들을 선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며 "EOS는 레이어 1에서 '토큰 보유자들의 투표'를 통해 BP들을 선출하고 있지만, 이는 개인의 선호도와 토큰 보유량이 반영된 결과만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또한 "만약 EOS 토큰이 '옳은(right)' 사람들에게 재분배 된다면 탈중앙화의 실현 및 '선의(good)'를 가진 사람들의 선거로 모든 사람들이 다시 행복해 질 수 있다"며,"나는 사람들에 의해 BP들이 선출되는 구조가 아닌 BP들 스스로가 선출을 하거나 2/3+ 투표를 통해 다른 BP들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킬 수 있는 버전의 EOS 사례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해당 사례의 BP들에게 만약 5%의 인플레이션을 지급하게 된다면, 탈중앙화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비즈니스 모델로 부상하게 될 것"이라며 "이때, 중요한 것은 초기에 우수한 BP를 찾아내는 것"이라고 진단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국내 대표 프로젝트 아이콘(ICON)이 총 상금 100만 ICX(아이콘 암호화폐)의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ICON TX Challenge)’를 오는 6월 3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목표로 전 세계 개발자들을 지원하고자 아이콘이 시행하는 본 콘테스트는, 직접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제작해 참가하는 공모전 형태로 진행된다. 개발자, 대학생은 물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해 보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새로운 기술을 경험해 보고자 하는 예비 블록체인 전문가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아이콘은 6월 3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2달 간 진행되는 이번 콘테스트 기간 동안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운영 비용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그간 트랜잭션(Transaction, TX) 비용, 서버 호스팅 비용, 기술적 장벽 등의 요인으로 블록체인 개발 시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접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콘테스트 참가를 위해서는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아이콘 프로토콜을 이용해 아이콘의 자체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 환경인 ‘스코어(SCORE)’를 제작한 뒤 검수가 완료되면, 이를 활용한 디앱 또는 웹사이트를 개발해 참가 신청하는 방식이다. 신청 후 참가가 확정된 팀에게는 참가 상금으로 각 200 ICX가 주어지며, 콘테스트 기간 내 스코어를 통해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1 TX 당 0.01 ICX의 별도 리워드가 지급된다.또한 디앱 및 웹사이트의 완성도, 사업성, 기술성, 블록체인 효용성 등 심사 기준에 따라 총 6팀을 선정해 각 5만 ICX의 상금을 최종 시상한다. 디앱 및 웹사이트에 대한 심사는 콘테스트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하며 참가팀에 대한 투자 유치, 아이콘 한국 오피스 채용 가산점 혹은 인턴십 기회 제공 등의 추가 보상도 검토 예정이다.김종협 아이콘 재단이사는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디앱 개발 환경을 경험하고, 나아가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어 생태계 확장으로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히며, “이는 아이콘 메인넷(Mainnet)의 안정성 및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대한 공개 실증이기도 한 만큼, 많은 미래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참가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롱해시 "BTC 회복세 불구 온체인 거래량 변동 無"
▲ 58COIN, 계약 거래 수수료 인하 이벤트 진행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5월 20일을 맞아 수수료 인하 이벤트를 5월 20일부터 6월 1일 오후 7시까지 진행할 것"이라며 "해당 기간동안 메이커와 테이커의 수수료를 기존 0.015%에서 0.01%로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공지에 따르면, 이벤트 적용 대상은 플랫폼 내 USDT, 디지털, 납기 계약의 모든 암호화폐다.▲ 호주 경찰, 정부 컴퓨터로 암호화폐 채굴한 남성 기소호주 연방경찰(AFP)이 정부 기관 컴퓨터를 해킹, 암호화폐를 채굴한 혐의로 호주 시드니 소재 IT 하청 업체 직원(33)를 기소했다고 21일(한국 시간) 현지 미디어 잇뉴스(itnews)가 보도했다. 피의자가 불법 채굴로 취득한 암호화폐 수익은 9,000만 달러 이상으로, 유죄 판결시 최장 10년형을 선고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현지 경찰은 지난 3월 시드니 북부 고급 주택가 밀집 지역 '킬라라(Killara)'의 해당 직원 소유의 주택을 수색하고 노트북, 휴대폰, 데이터 파일, 직원 신분증 등을 압수했다.▲ 블록체인닷컴, BSV 서비스 중단암호화폐 데이터 및 월렛 서비스 제공업체 블록체인닷컴의 피터 스미스(Peter Smith) 최고경영자(CEO)가 20일(현지시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BSV 관련 서비스 지원을 중단 조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블록체인 닷컴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5월 15일까지 BSV 관련 모든 지원 사항을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롱해시 "BTC 회복세 불구 온체인 거래량 변동 無"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롱해시(LongHash)가 최근 1개월간 BTC 가격이 50% 이상 상승했지만 온체인 거래량은 큰 변동이 없다며 온체인 거래량은 가격 추세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BTC 온체인 거래량은 지난 4월 18일 약 38만 4,000 BTC 수준이었으며, 5월 18일 집계 당시에도 이와 비슷한 약 36만 1,000 BTC 거래량을 기록했다. 지난 5월 1일 해당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급증하기는 했지만 그 외에는 대부분 32만에서 39만 6,000BTC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온체인 거래는 지급 등 실질 거래에 사용되는 암호화폐 거래로, 거래소 거래와 구별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中 인민은행 산하 기관, 암호화폐 관련 대규모 충원 계획
▲ 코인리스트 CEO “BTC 실질적 활용, ETF 승인보다 중요”야후 산하 금융 투자 정보 사이트 야후파이낸스(Yahoo Finance)에 따르면 디지털 토큰 상장 플랫폼 코인리스트(CoinList) 앤디 브롬버그(Andy Bromberg) CEO가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 반에크·솔리드X BTC ETF 승인 결정 전에 "BTC 실질적 활용이 BTC ETF 승인 여부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면서 그는 "현재 점점 더 많은 유통 업체가 BTC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업계 BTC 도입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당국의 ETF 승인 여부보다는 이러한 실질적 변화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러한 의견에도 불구하고 업계 일각에서는 SEC의 연이은 BTC ETF 승인 연기가 암호화폐에 대한 정부 기관의 부정적 시각을 대변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고 미디어는 전했다.▲ IBM·엑센츄어, 업계 리딩 기업 선정21일(한국 시간) PR Web에 따르면 IT 컨설팅 업체 Avasant가 디지털 사업 전환 관련 우수한 성과를 낸 16개 기업을 선정해 발표했다. 업계 선두 기업에는 IBM, 엑센츄어, 혁신 기업에는 HCL, Infosys, NTT, TCS, Wipro가 선정됐다. 위협적인 다크호스 기업에는 Mindtree, Mphasis, UST Global, Zensar, 주목할 만한 유망 기업은 Atos Syntel, Capgemini, Cognizant, LTI, Tech Mahindra다. 한편 Avasant는 40개 업계 관련 기업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인공지능(AI), 스마트 자동화 등 첨단 기술 활용 수준을 평가했으며 첨단 기술 활용 기반 수익 창출 역량 등을 평가했다.▲ 中 인민은행 산하 기관, 암호화폐 관련 대규모 충원 계획20일 중국 인민은행 디지털 화폐 연구소 산하 선전(深圳)금융과학기술연구원이 채용 공고를 통해 암호화 알고리즘 관련 엔지니어 20명 충원 계획을 공개했다. 선전금융과학기술연구원은 인민은행 직속 산하 기관으로 2016년 9월 중국 중앙기구편제위원회(SCOPSR) 비준을 받아 설립됐다. 중국 디지털 화폐 및 핀테크 연구, 개발, 정책 수립 등 업무를 진행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인스타그램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적신호”
▲ 아르헨티나 대선 앞두고 비트코인 관심 고조아르헨티나 대선 시기가 다가오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현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가 21일 보도했다. 이는 마우리시오 마크리(Mauricio Macri)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의 대선 출마 선언과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Cristina Fernandez) 전 대통령의 부통령 후보 출마 선언 때문이라는 게 미디어의 설명이다. 이들 현직 대통령과 전직 대통령은 재임 기간 포퓰리즘 정책, 인플레이션 억제 실패 등으로 경제를 악화시킨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달러 및 비트코인에 기반한 리스크 헤지 수요가 증가했다. 실제 미디어에 따르면 최근 아르헨티나 페소(ARS)에 대한 달러 그리고 비트코인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외신 “인스타그램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적신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이 인터넷 보안 전문가 Anurag Sen를 인용, 인스타그램 이용자 정보 4,900만 건 이상이 아마존웹서비스(AWS) 서버를 통해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해당 정보에는 이용자 댓글이나 팔로워 수량, 관심 분야, 공유 내용 등이 포함됐다. 특히 이 중에는 이용자 메일 주소 및 전화번호 등 개인 정보 다수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정보들은 SNS 마케팅 업체 Chtrbox에 입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 측은 “관련 정보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유출된 것인지, 다른 경로가 있는지 면밀하게 조사 중이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CCN은 “페이스북은 이전에도 이용자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있었다. 페이스북이 이용자 개인 정보를 얼마나 안일하게 관리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 같은 정보 유출은 페이스북이 추진하고 있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우려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외신은 페이스북이 스위스에 암호화폐 관련 자회사 리브라 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금융을 비롯한 블록체인 관련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익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오는 3, 4분기 경 스테이블 코인 기반의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할 계획이다.▲ 리서치 “주요국 암호화폐 검색, 대부분 BTC에 편중”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 익스체인지 가이드(Bitcoin Exchange Guide)가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터 겸 이더리움(ETH) 기반 인프라 개발업체 컨센시스(ConsenSys) 최근 보고서를 인용 “전세계 주요국 암호화폐 검색 대부분이 블록체인이 아닌 BTC와 관련이 있다”며 “특히 브라질의 경우 기타 국가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BTC 관련 검색이 많았다”고 전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는 이더리움(ETH) 등 알트코인 검색도 비교적 많았으며, 대만의 경우 블록체인 검색량이 BTC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SimpleFX에서 Monero 와 Ethereum Classic 계정을 추가했습니다
SimpleFX에서 Monero 와 Ethereum Classic 계정을 추가했습니다수상 경력이 있는 글로벌 모바일 친화적인 트레이딩 플랫폼은 이제 22 개의 다른 통화 (7 가지의 암호화폐도 포함)로 계정을 제공합니다. SimpleFX는 Monero 및 Ethereum Classic 송금방식을 방금 출시했습니다. 다른 암호 계정과 마찬가지로, 무료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이제 SimpleFX 트레이더는 Bitcoin, Bitcoin Cash, Dash, Ethereum, Ethereum Classic, Litecoin 및 Monero와 같은 7 가지 암호를 사용하여 입금 및 인출 할 수 있습니다.새로운 세대의 트레이더들을 위한 중개인SimpleFX는 암호화폐 계정을 제공하고 수년간 암호화폐 프로젝트를 지원해온 최초의 CFD 중개인 중 한 명입니다. "저희의 임무는 암호화폐 및 블록 체인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저희는 커뮤니티의 힘을 믿으며 이용자에게 폭 넓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것이 저희가 항상 믿어 왔던 암호화폐 정신입니다 "라고 SimpleFX는 성명서에서 썼습니다.전 세계적으로 20 만 명이 넘는 거래자를 보유하고 있는 빠르게 성장하는 브로커로서 차세대 모바일 트레이더를 위한 최고의 앱을 목표로합니다. SimpleFX는 완전히 새로운 버전의 WebTrader 앱을 시작했으며 이후 제휴 마케팅 파트너를 대상으로 소셜 거래, 금융 교육 및 서비스에 중점을 둔 몇 가지 획기적인 기능을 도입했습니다.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트레이딩SimpleFX 가계좌는 완벽하게 작동하며 최소 필요 입금 금액이 없기 때문에 실계좌에 어떤 금액이든 입금이 가능합니다 . 명목화폐와 암호화폐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하고 안전한 결제방식 덕분에 모든 사람이 낮은 스프레드로 거래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SimpleFX는 1 : 500의 매력적인 레버리지를 제공하여 이익을 내는것을 힘들어하는 거래자에게 이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동시에 손쉬운 손절매 기능과 마이너스 통장 기능이 SimpleFX를 경험자와 초보자들 둘다에게 안전한 도구로 만듭니다.최고의 트레이딩 앱 2019SimpleFX WebTrader는 스위스에서 열린 Finance World Expo Summit 2019에서 열린 경쟁에서 최고의 트레이딩 앱이란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SimpleFX WebTrader 여러 부분에서 감탄했는데.모바일 기기에서 뛰어난 유용성눈에 띄는 속도와 신뢰성새로운 기능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에 빠르게 대처함강력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커뮤니티 등등SimpleFX WebTrader 2.0에 대한 열렬한 반응과 Unilink.io 제휴 마케팅 소프트웨어와의 협력 덕분에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SimpleFX의 성장은 2018년 말에 가속화되었습니다.SimpleFX 블로그에서 단 몇 번의 클릭만으로 Monero 또는 Ethereum Classic 계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쉬운 가이드를 찾으실 수 있습니다.
-
크라켄, 개인 투자자 대상 자금 조달 추진
▲ 노보그라츠 "BTC, 이번 불마켓서 알트코인보다 상승률 클 것"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억만장자이자 갤럭시 디지털 CEO인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불마켓에서 비트코인의 상승률이 알트코인을 상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 전문 방송채널 CNBC 크립토트레이더쇼(Cryptotrader show) 호스트인 랜 노이너(Ran NeuNer)가 19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강세장인데도 하루에 40%씩 시세가 뛰는 알트코인이 아직 없다"고 말하자 노보그라츠는 "이번엔 아니다. 시장은 똑똑해지고 있다. (알트코인보다) BTC 시세가 더 뛸 것"이라고 답했다. 2017년 불마켓에서 높은 리스크를 경험했던 투자자들이 보다 안정된 자산인 BTC에 쏠릴 것이라는 설명이다.▲ KT·젬알토, 블록체인 기반 커넥티드카 공동 추진조선비즈에 따르면 KT가 글로벌 통신 모듈 개발 기업 젬알토(Gemalto)와 블록체인 기반 커넥티드카 공동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젬알토는 차량용 통신 모듈 제조 기업으로 5G 디지털 ID 및 보안 분야에서 각종 솔루션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KT의 블록체인 기반 보안 솔루션 기가스텔스(GiGAstealth)를 젬알토의 차량용 통신 모듈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기가스텔스는 신원이 검증된 송신자에게만 IoT 단말의 IP 주소가 보이는 'Invisible(무형의) IP' 기술로, 해킹 위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양사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기가스텔스 기반 차량용 통신 모듈을 연내 차량 제조사 및 B2B 시장에 공급해 커넥티드카 시장을 선도한다는 전략이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8...투심 소폭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73) 보다 5 포인트 내린 68을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전날보다 약화됐음을 나타내며, '탐욕' 단계를 유지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크라켄, 개인 투자자 대상 자금 조달 추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발송한 이메일을 인용해 "해당 거래소에서 1,000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이용자는 크라켄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크라켄은 투자 플랫폼 Bnk to the Future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라켄 이용자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오는 6월 20일까지 크라켄 우선주를 매입할 수 있으며, 최소 투자 금액은 1,000 달러다. 한편 지난해 말 크라켄은 약 40억 달러 규모의 사모 투자 유치를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최소 투자 금액은 10만 달러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깃허브 서비스 이용 약관 변경...일부 상품 수출 제한
▲ 크립토피아 해커 주소, 3만 ETH 추가 이체최근 파산한 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의 해커 주소에서 20일 30,790 ETH가 이체된 데 이어 한국시간으로 오늘(21일) 새벽 3시경 30,788 ETH이 다수의 지갑으로 이체됐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20일 해커 주소가 이체한 일부 ETH(10 ETH)는 후오비 핫월렛으로 이동됐다. 미디어는 해커들이 현금화에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1월 크립토피아는 해킹 공격으로 1,600만 달러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 청산 절차를 밟고 있다.▲ 印 스타트업, 6월 블록체인 기반 VOD 플랫폼 출시영화 전문 미디어 스크린데일리에 따르면, 인도 블록체인 스타트업 마이너스INC(MinersINC)가 오는 6월 블록체인 기반 VOD 플랫폼 마이NK(myNK)를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영화사 Fortissimo Films, LevelK 등과 협력하고 있으며, 칸·베를린 영화제 수상작 등 200여편의 영화들이 업로드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마이너스INC의 공동 창업자는 "MyNK는 영화 제작사들의 저작권과 이에 따른 수익을 보장할 수 있으며, 업계 전반의 투명성을 제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깃허브 서비스 이용 약관 변경...일부 상품 수출 제한오픈 소스 플랫폼 깃허브(Github)가 서비스 이용 약관을 변경했다. 관련 공지에 따르면, 깃허브(GitHub.com)와 깃허브 법인 서버(Enterprise Server) 등 상품이 미국 수출관리규정(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s, EAR)을 포함한 수출관리법에 적용된다. 즉 깃허브 법인 서버 상품은 EAR 관련 법안에 의거해 쿠바, 이란, 북한, 수단, 시리아 등 지역에 수출이 제한된다. 깃허브의 이번 조치는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을 받았다는게 업계의 관측이 이지만 서비스 금지 국가에 중국은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깃허브는 지난해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됐고 사기업의 개입을 우려한 다수의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은 깃허브의 경쟁사인 깃랩(Gitlab)으로 이전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스토리 창작 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에 상장 확정
스토리 창작 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에 상장 확정스토리 창작 및 자산화 플랫폼인 스토리체인(Storichain)이 8일부터 국내 암호화폐 전문 거래소 한빗코(Hanbitco)에서 IEO(Initial Exchange Offering)를 진행한다고 밝혔다.한빗코는 KISA의 안전 기준을 통과한 국내 7대 거래소 중 하나이며, 국제 보안 기준인 ISO/IEO 27001도 가진 신뢰할 만한 암호화폐 전문 거래소이다. 스토리체인은 이런 한빗코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 8일 정식 IEO를 진행하게 됐다.스토리체인은 스토리 산업의 주인공인 창작자들의 불공정한 수익분배 문제를 블록체인의 특성을 통해 해결하고, 스토리 콘텐츠 사업자들이 더욱 가치 있게 스토리를 자산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 스코웍의 글로벌 프로젝트이다.현재 스토리체인은 토리(TORI) 토큰을 발행하는 한편, 두나무 람다256(Lamda256)의 컨소시엄형 BaaS 루니버스를 이용해 개발 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한편 스토리체인은 한빗코를 시작으로 6월 안에 추가로 국내외 거래소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스토리체인은 토리(TORI)가 세계 메이저 토큰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내실을 다져 나갈 예정이다.
-
前 미국 대통령 후보 "'비트코인 금지' 불가능, 달러 종말은 불가피"
▲ 코빈후드, 영업정지 신청...거래소·프로젝트 운영은 계속대만계 암호화폐 거래소 코빈후드(Cobinhood)가 20일 오전 영업정지를 신청했다고 대만 미디어 비즈니스 넥스트(Business Next)가 전했다. 코빈후드는 직원 100명을 해고할 예정이지만 창업자 천타이위안(陳泰元)은 핵심 기술자들과 함께 거래소를 계속해서 운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4월 메인넷을 출시한 코빈후드 산하 블록체인 프로젝트 덱슨(DEXON)도 개발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코빈후드가 영업정지를 신청한 건 지난 한 달간 이어진 경영권 분쟁과 관련이 있다. 천타이위안은 일본 벤처캐피털 IVP(Infinity Venture Partners)가 그의 전체 지분을 인수하려 했다고 주장했으나 IVP 측은 이를 부인했다. IVP는 코빈후드의 모회사 블록토피아(Blocktopia)의 주주다. 자세한 분쟁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코빈후드와 IVP는 맞고소를 한 상태다.▲ 美 월가 증권사, 암호화폐 트레이딩 플랫폼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 21일 보도에 따르면 미국 월가 브로커리지(주식 매매중개) 증권사 TD 아메리트레이드(TD Ameritrade)가 암호화폐 트레이딩 플랫폼 Eris-X에 투자했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알려지지 않았다. Eris-X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규제를 받는 파생상품 거래소로서 향후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암호화폐 현물·선물 트레이딩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TD 아메리트레이드는 웹사이트에 "Eris-X와 공동으로 암호화폐 상품을 개발하고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TD 아메리트레이드는 거래량이 많은 트레이더를 대상으로 비트코인 선물 거래 서비스를 개시한 바 있다.▲ 前 미국 대통령 후보 "'비트코인 금지' 불가능, 달러 종말은 불가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미국 12선 하원의원이자 대통령 후보였던 론 폴(Ron Paul)이 최근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금지(Bitcoin ban)'는 매우 비현실적"이라며 "달러의 종말(demise)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비트코인은 기존 금융 시스템의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나는 자유시장(free market place)을 적극 지지한다"고 부연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데노스 엔젤 스위치 IR 결선...엘에스웨어의 아이즈 프로토콜,직톡, USEB, 하이브랩, ITAM 등 5개 기업 올라
데노스 엔젤 스위치 IR 결선...엘에스웨어의 아이즈 프로토콜,직톡, USEB, 하이브랩, ITAM 등 5개 기업 올라 오픈소스SW플랫폼 아이즈 프로토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로 인정받아5월 4일 정보보호솔루션 전문기업 엘에스웨어(대표 김민수)는 자사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즈 프로토콜(COO 조석현)이 잠실 롯데 시그니엘 레지던스에서 개최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밋업에서 데노스 엔젤 스위치 IR부문 예선에서 심사위원 평가점수 1위로 결선에 안착했다고 8일 밝혔다.결선에 오른 기업은 아이즈 프로토콜, 직톡, USEB, 하이브랩, ITAM 등 5개 기업이며 18일 심층 IR 피칭을 통해 50억 규모의 펀딩을 진행한다.이번 밋업을 공동주최한 블록체인 전문가 커뮤니티 데노스(DENOS 오거나이저 Ryan Park)와 청년창업네트워크 프리즘(대표 전창열)은 이번 밋업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 인간의 탐욕과 투기 심리로 인해 잃어버린 블록체인 기술 탄생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올바른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술의 발전적 방향과 그에 걸맞은 서비스를 탐구하여 우리나라 블록체인 업계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아이콘(ICX)재단, 빗썸, 노매드 커넥션, K그라운드 등 블록체인 기업과 옥스포드대학 블록체인 아카데미 믹스, 한국블록체인학회, 서울대 블록체인학회 프리즘, 연세대 블록체인학회 YBL, 고려대학교 블록체인학회 KUBL 등이 참여한 BBR(블록체인 비즈니스 리뷰, 의장 여현덕)과 IBM 등이 후원하고 고려대학교 김승주 교수, 송인규 교수, 동국대학교 박성준 센터장 등이 심사위원으로 참석해 총 11개 기업의 치열한 IR 현장이 펼쳐졌으며,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과 그 가치 창출이라는 이번 밋업의 슬로건에 가장 걸맞은 아이즈 프로토콜이 심사위원 평가점수 1위로 결선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이는 국내 정보보호솔루션 전문기업인 엘에스웨어가 보유한 원천기술인 포스가드(FOSSGuard)를 기반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취약점 점검 및 라이선스 이슈를 해결하고 이를 블록체인 상에서 기록, 보존하는 실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엘에스웨어의 김민수 대표는 “삼성, 현대 등 대기업과 공공기관, 저작권위원회 등 엘에스웨어의 고객사를 아이즈 프로토콜의 오픈소스SW 플랫폼 위에 안착시키고, 더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시키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中 마이닝풀 CEO "최근 BTC 강세, 장외 자본 유입 영향"
▲ 中 마이닝풀 CEO "최근 BTC 강세, 장외 자본 유입 영향"중국계 대형 마이닝풀 ViaBTC의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양하이포(杨海坡)가 최근 본인의 SNS를 통해 "최근 BTC가 강세 흐름을 지속하고 있는 것은 장외에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장내 개인 투자자들은 시총 규모가 작은 종목일수록 시세 상승폭이 크다고 믿고 있지만, 대다수 장외 투자자들은 BTC만을 거래한다. 일반적인 강세장의 시작은 장외자금 유입으로부터 시작된다. 암호화폐 시장에는 각종 오만과 편견이 난무하지만, 좋은 투자 기회를 동반한다는 것은 틀림없다"고 덧붙였다.[ETF닷컴 총괄 "SEC ETF 승인 위한 정보 수집 中"]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ETF.com의 Dave Nadiga 총괄이 20일(한국 시간) CNBC 인터뷰에서 “비트코인(BTC) 상장지수펀드(ETF) 관련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가 정보 수집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SEC는 중대 결정을 내리기에 앞서 정보를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ETF가 궁극적으로 해당 사안을 승인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단기간 내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며 최소 1분기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에크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당국 승인 위해 노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미국 뉴욕 소재 상장지수펀드(ETF) 제공 업체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인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트위터를 통해 “디지털 자산 시장의 효율적인 거래, 관리감독 시스템, 유동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BTC 시장은 상당한 규모로 성장했다.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앞서 20일(현지시간) SEC는 최근 테더와 비트파이넥스 사태, 비트스탬프 가격 급락 사태 등이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업계 사기 및 조작 행위에 대한 우려가 여전하다며 반에크·솔리드X BTC ETF 승인 결정을 8월 19일까지 90일 추가 연기한다고 밝혔다. [외신 “인스타그램 개인 정보 유출 가능성, 페이스북 암호화폐 프로젝트 적신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가 인터넷 보안 전문가 Anurag Sen를 인용, 인스타그램 이용자 정보 4,900만 건 이상이 아마존웹서비스(AWS) 서버를 통해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해당 정보에는 이용자 댓글이나 팔로워 수량, 관심 분야, 공유 내용 등이 포함됐다. 특히 이 중에는 이용자 메일 주소 및 전화번호 등 개인 정보 다수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정보들은 SNS 마케팅 업체 Chtrbox에 입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페이스북 측은 “관련 정보가 인스타그램으로부터 유출된 것인지, 다른 경로가 있는지 면밀하게 조사 중이다”고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CCN은 “페이스북은 이전에도 이용자 개인 정보 유출 사건이 있었다. 페이스북이 이용자 개인 정보를 얼마나 안일하게 관리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이 같은 정보 유출은 페이스북이 추진하고 있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우려도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외신은 페이스북이 스위스에 암호화폐 관련 자회사 리브라 네트워크를 설립하고, 금융을 비롯한 블록체인 관련 기술을 연구 및 개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익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페이스북은 오는 3, 4분기 경 스테이블 코인 기반의 자체 암호화폐를 발행할 계획이다. [KT·젬알토, 블록체인 기반 커넥티드카 공동 추진]조선비즈에 따르면 KT가 글로벌 통신 모듈 개발 기업 젬알토(Gemalto)와 블록체인 기반 커넥티드카 공동 사업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젬알토는 차량용 통신 모듈 제조 기업으로 5G 디지털 ID 및 보안 분야에서 각종 솔루션을 제공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KT의 블록체인 기반 보안 솔루션 기가스텔스(GiGAstealth)를 젬알토의 차량용 통신 모듈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기가스텔스는 신원이 검증된 송신자에게만 IoT 단말의 IP 주소가 보이는 'Invisible(무형의) IP' 기술로, 해킹 위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한다. 양사가 공동으로 개발하는 기가스텔스 기반 차량용 통신 모듈을 연내 차량 제조사 및 B2B 시장에 공급해 커넥티드카 시장을 선도한다는 전략이다.[크라켄, 개인 투자자 대상 자금 조달 추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발송한 이메일을 인용해 "해당 거래소에서 1,000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이용자는 크라켄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크라켄은 투자 플랫폼 Bnk to the Future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크라켄 이용자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오는 6월 20일까지 크라켄 우선주를 매입할 수 있으며, 최소 투자 금액은 1,000 달러다. 한편 지난해 말 크라켄은 약 40억 달러 규모의 사모 투자 유치를 진행한 바 있다. 당시 최소 투자 금액은 10만 달러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