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타디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IF) 합류
메타디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IF) 합류아이덴티티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으로 생태계 확장 기대메타디움이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에 합류한다. 향후 글로벌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플랫폼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메타디움(대표 박훈)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ecentralized Identity Foundation, 이하 DIF)에 참여한다고 29일 밝혔다. DIF는 탈중앙화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여러 산업의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모여 만든 개발자 중심의 비영리 단체다. 디지털 상에서 개인의 신원 정보가 잘 활용되려면 다양한 플랫폼에 저장하고 보관돼야 한다. 또한 여러 채널을 통해서 보관된 정보가 손쉽게 상호 교류되고 호환 가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를 주고받을 때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을 정한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는데 메타디움은 DIF를 통해 이러한 프로토콜을 기준점으로 삼아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
비트맥스(BitMax.io), 뉴욕 글로벌 디지털 임팩트 나이트 개최
비트맥스(BitMax.io), 뉴욕 글로벌 디지털 임팩트 나이트 개최- 10여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과 40여개의 미디어가 행사에 참여 - STP네트워크, 울트라알파, 크레드, 엠플포스, 앵커 등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글로벌 분산 원장 기술 컨설팅 업체 블록72(Block72)가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io)와 함께 2019 뉴욕 글로벌 디지털 임팩트 나이트(Global Digital Impact Night)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2019 뉴욕 블록체인 주간에 이뤄지며 5월 14일 타임 스퀘어 라운지에서 진행되었다. 글로벌 디지털 임팩트 나이트에는 블록체인 업계의 기관, 영향력있는 투자자 및 프로젝트가 참여하며 코인텔레그래프를 포함 40개 이상의 전략적 미디어가 함께 참여했다. 참가 프로젝트로는 STP네트워크(Standard Tokenization Protocol, STP), 울트라알파(Ultr Alpha), Cred(크레드), 엠플포스(Ampleforth), 비에이치디(BHD), 앵커(Ankr), 에스블록(S Block) 등이 있다.행사는 각 기관 및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대표의 발표 세션으로 진행되었으며 블록체인 업계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비트맥스의 COO 에리얼 링(Aerial Ling)은 “업계의 명망있는 프로젝트들과 인사들을 초청하게 되어 매우 감사했다”며 “앞으로도 블록체인 업계의 발전을 위해 네트워크를 다질 수 있는 여러 행사를 준비할 예정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제미니 감사보고서 공개, 4월까지 GUSD 절반 소각
▲ "백만원 투자하면 1년 뒤 2억" 가상화폐 투자 사기...피해자 1만명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높은 수익을 준다고 속여 수백억원을 받아 챙긴 가상화폐 운영업체 Y페이 대표와 임원이 구속됐다. 경찰에 따르면 Y페이는 지난해 10월부터 최근까지 "100만원을 투자하면 1년 뒤 2억원을 돌려주겠다"고 투자자를 속이며, 다단계 방식으로 1만명이 넘는 투자자를 유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Y페이는 투자자끼리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자유지갑과 투자금을 인출할 수 없는 대신 높은 이자를 지급하는 고정지갑으로 나눠, 고정지갑으로 투자자들을 유인했다.▲ 모스크바, 6월 총학생회 블록체인 전자투표 실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러시아 통신사 타스(TASS) 보도를 인용, 모스크바 당국이 오는 6월 하순 예정된 대학교 총학생회 선거를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해당 선거는 모스크바 정보기술부(DIT)와 모스크바시 선거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시범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한편 러시아의 집권당인 통합러시아(United Russia)는 앞서 3월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 플랫폼을 런칭한 바 있다.▲ 데일리 코인 자금 흐름 분석코인니스는 매일 오전 지난 24시간 주요 코인들의 자금 유출입을 분석합니다. 이는 향후 거래 흐름을 관측할 수 있는 참고 데이터 중 하나 입니다. 글로벌 58개 거래소의 코인별 시장가 매수 금액이 시장가 매도 금액보다 클 시 순유입으로 나타냅니다. ▲ 제미니 감사보고서 공개, 4월까지 GUSD 절반 소각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Gemini)가 최근 4월 감사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4월 30일 기준 제미니 달러(GUSD) 유통량 및 달러 준비금은 4,835만 달러로, 3월 29일 6,078만 달러 대비 1,243만 달러 감소했다. 제미니 달러는 올해 총 4,264만 GUSD가 소각됐으며, 현재 2,115개 주소에 4,363만 GUSD가 유통된 상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포블게이트, ‘포블게이트(FOBLGATE)’와 ‘포블톡(FOBLTALK)’ 사전 가입 진행
포블게이트, ‘포블게이트(FOBLGATE)’와 ‘포블톡(FOBLTALK)’ 사전 가입 진행포블게이트는 암호화폐 거래소 ‘포블게이트’와 신개념 커뮤니티 ‘포블톡’에 대한 사전 가입을 29일 진행한다고 밝혔다.사전예약 페이지에서는 ‘포블게이트’와 ‘포블톡’에 대한 정보와 함께 커뮤니티 게임인 ‘FOBLFOBL’과 ‘코인그래프’를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다.사전가입자를 위한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된다. 사전 가입을 한 모든 이용자에게 ‘포블게이트’의 IEO플랫폼인 ‘포블게이트 런치패드’ 참여 자격과 함께 ‘포블톡’ 내에서 이용 가능 한 포인트 두 배를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FOBLFOBL’에서 잭팟을 터뜨린 고객에게는 ‘갤럭시S10’, ‘다이슨 무선청소기’등 30여종의 다양한 경품을 제공할 예정이다.
-
시그마체인, 글로벌 5위권 암호화폐 거래소 BW.com서 IEO 진행
시그마체인, 글로벌 5위권 암호화폐 거래소 BW.com서 IEO 진행시그마체인의 토탈 SNS 블록체인 플랫폼 ‘퓨처피아’가 전 세계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히는 유명 암호화폐 거래소와 손잡고 IEO에 돌입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W.com와 암호화폐 상장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퓨처피아(Futurepia)가 발행하는 암호화폐 ‘피아(PIA)’의 IEO(암호화폐 거래소 공개·Initial Exchange Offering) 및 상장을 BW.com에서 진행한다는 것이 이번 계약의 골자다. 앞서 시그마체인은 지난달 24일 글로벌 ‘TOP2’ 암호화폐 거래소 디지파이넥스(Digifinex)의 한국 지사인 디지파이넥스코리아와 피아에 대한 상장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BW.com과는 보다 적극적인 글로벌 무대 진출을 대비해 이번 계약을 추진했다. 이번 IEO는 전 세계 투자자를 대상으로 BW.com 공식 홈페이지에서 오는 20일부터 21일까지 계획돼 있으며, 상장은 다음달 1일 진행될 예정이다. BW.com에서 진행하는 피아의 IEO 및 상장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퓨처피아 및 BW.com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그마체인과 손잡은 BW.com는 암호화폐 선진국인 싱가포르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거래소다. 13만 여 명의 마이너를 보유한 세계 3대 마이닝풀 운영사로 출발해, 지난해 7월 암호화폐 거래소를 오픈했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경우, ‘엄격한 자체 기준을 통과한 검증된 암호화폐만을 상장시킨다’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오픈과 동시에 고속 성장을 거듭해 현재 글로벌 코인 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거래량 5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BW.com에서 본격적인 토큰 세일을 시작하는 퓨처피아는 SNS 디앱의 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는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등을 제공하는 토탈 SNS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공식 인증 받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토대로 개발돼 속도와 안정성을 갖췄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자 특징이다. 디앱의 원활한 초기 시장 진입 및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퓨처피아 구성원이 디앱에 직접 투자해주는 ‘상생의 코인이코노미’도 구축한 점도 돋보인다. 또한, 플랫폼 상에 자체 암호화폐 거래소가 구축돼 있어, 디앱의 토큰과 퓨처피아의 기축통화인 피아를 교환해 BW.com 등의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원화 및 다른 암호화폐로 환전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현재, 퓨처피아 생태계 참여를 앞두고 있는 디앱의 수는 20여 개에 이른다. 퓨처피아의 1호 디앱(DApp)으로 시그마체인이 자체적으로 운영 중인 ‘스낵(SNAC)’의 경우, 지난달 16일부터 전 세계 40여 개국의 20만 명을 대상으로 오픈 베타 테스트(OBT)를 진행하며 대대적인 성능 점검 및 서비스 완성도 보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스낵은 메신저와 뉴스피드를 한 데 묶은 블록체인 기반의 SNS 메신저로, 일대일 채팅, 그룹 채팅, 콘텐츠 제작 및 공유, 쇼핑, P2P 분산 클라우드, 자체 암호화폐 지갑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가장 큰 특징은 ‘모두가 주인인 SNS’ 및 ‘SNS의 경제민주화’를 목표로 보상 시스템을 적용해, 서비스 생태계 구성원 모두와 콘텐츠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공정하게 나눈다는 것. 때문에, 스낵 회원 모두는 자신의 활동 내역에 따라 개당 가치가 원화와 동일한 스테이블 코인 ‘스낵(SNAC)’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쇼핑 및 유료콘텐츠 구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시그마체인 곽진영 대표는 “세계적인 규모의 초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IEO를 진행함으로써 자금 조달 기반을 탄탄히 해 퓨처피아 생태계를 더욱 견고히 구축하는 동시에 대외 신용도 및 지용도를 대폭 제고할 수 있게 됐다”며, “구성원과 함께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수익 또한 공정하게 나눈다는 블록체인의 핵심 정신에 동참할 여러 디앱들이 하루 빨리 생태계에 합류할 수 있도록 플랫폼인 퓨처피아가 더욱 적극적으로 국내외 유력 파트너들과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
스타벅스, 블록체인으로 원두 이력 관리
▲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빗, 결국 폐업팍스넷뉴스에 따르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트래빗이 7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오는 15일 12시부로 모든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알렸다. 트래빗은 "주식회사 노노스는 수차례의 보이스피싱 피해와 대고객 신뢰도 하락 등으로 심각한 경영 악화가 발생하여 부득이하게 파산을 결정하게 됐다"고 밝혔다. 암호화폐 출금신청은 15일 정오까지 가능하다. 앞서 트래빗은 수백만원 상당의 자산을 갈취당했다는 내용의 보이스피싱 신고가 거래 은행에 접수되면서 지난해 11월 원화 입출금이 전면 중단된 바 있다.▲ 코인원, LUNA 최초 상장 기념 이벤트 진행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루나(LUNA) 최초 상장 기념 'TOP Trading Event'를 진행한다. 이벤트는 총 2회로 나누어 진행되며, 1 라운드 기간동안 거래량 TOP 10의 거래자는 총 23,000 LUNA를 지급받게 된다. 또한, 1라운드 기간 TOP 30 거래자는 2라운드의 진출 자격을 얻게 된다. 이벤트의 첫 라운드는 상장일인 오늘부터 9일 23시 59분 59초까지 총 3일 진행되며, 이벤트 결과는 10일 오후 1시 전 공지될 예정이다. LUNA는 현재 코인원 기준 208.23% 상승한 2,885원에 거래되고 있다.▲ 스타벅스, 블록체인으로 원두 이력 관리스타벅스가 마이크로소프트 블록체인 서비스 애저(Azure)를 활용해 원두 이력 관리에 나선다고 7일 IT조선이 전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자신의 커피가 언제 어디서 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르완다 등의 커피 생산지 농민들이 블록체인 기반 커피 원두 추적 시스템을 시범운영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으며, 커피 원두 추적 시스템은 오픈소스로 운영할 계획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UNBLOCKED 데일리 리포트_2019-05-30:: 비트코인 1,030만원대 보합세…美 공화당·민주당 의원들, 블록체인 기술 산업 진흥 촉구
비트코인 1,030만원대 보합세…美 공화당·민주당 의원들, 블록체인 기술 산업 진흥 촉구https://bit.ly/2QwWnRV오사카 G20 맞춰…다음달 V20 암호화폐 정상회의 열린다https://bit.ly/2K7Cz6G비트코인 가격, 4개월 연속 오름세 기록 눈앞https://bit.ly/2EHiel8톰 리, “비트코인이 1만 달러가 되면 진짜 FOMO가 시작된다”https://bit.ly/2Kc4FNX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투자신탁 프리미엄 37% 증가…기관 수요 청신호https://bit.ly/2XkzZy4“북한 추정 해커 업비트 해킹 시도 발견”https://bit.ly/2EEXBWQ
-
세계 최초 가치 유동형-고정형 호환 블록체인 플랫폼, ASSET(AST) 금일부터 IEO 진행
세계 최초 가치 유동형-고정형 호환 블록체인 플랫폼, ASSET(AST) 금일부터 IEO 진행-실사용처 확대로 사용자에게 진정한 블록체인 구현을 실감하게 할 것4월 29일(월) 09:00부터 5월 12일(일) 22:00까지 세계 최초 가치 유동형-고정형 호환 블록체인 플랫폼인 ASSET(AST)은 SS-NEO를 통한 첫 IEO를 진행한다. 대중들에게 첫 선을 보인다는 점에서 관련 업계에서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ASSET 플랫폼 (이하 AST 플랫폼)의 연구개발팀인 ㈜글로리 크리소스는(이하 글로리 크리소스) 2019년 1월에는 베타 구축을 완료하였고 더욱 박차를 가해 2월에는 알파 구축을 완료했다. 이후, 메인넷 구축에 성공하여 3월에 첫 릴리스를 하였고, SS-NEO를 통해 여러 차례 이벤트를 통한 에어 드랍을 진행하였다.AST 플랫폼은 가치 유동형-고정형을 발행 및 연동하여 지불 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게 함과 동시에 자산으로서 가치를 확보가 가능한 점까지 고려해 설계했다는 점에서 세계 최초의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AST 프로젝트는 향상된 차별화 모델을 구축하면서 고급기술 사용과 서비스 채널의 초기 축이 안정화 되는 순간까지 적극적인 대외 홍보를 해오지 않았다. 2019. 02. 27. 4차 산업 혁명시대 미래 신기술과 지역경제 활성화 컨퍼런스 SS-NEO 전시 부스이는 기존 불확실한 업체들의 등장으로 부정적 시선이 가득한 시장을 되살려 보겠다는데 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또한, 글로리 크리소스로부터 블록체인 사업관련 관리•위탁을 받은KMK(주)는 독일에 본사를 두고 있는, 전기 자동차 렌트 사업체 ‘E-charge Korea(이차지코리아)’와 MOU를 체결하였다. 그리고 SS-NEO 와 연동되는 엄선된 농•수•축 특산품 전문 온라인 쇼핑몰, SS Shop(에스에스 샵) 에서도 지불 기능이 가능케하는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이다. AST의 첫 취급업체인SS-NEO관계자는 AST의 IEO진행을 결정한 배경에 관해 “ 블록체인 기술의 기조를 잘 지키려는 목적이 분명하고, 여러 산업 분야에 범용성과 확장성을 갖고 있는 프로젝트인 점에서 높이 평가되었다.”라고 전했다.
-
블록크래프터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Block Crafters Challenge X’ 진행!
블록크래프터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Block Crafters Challenge X’ 진행!- 과기부·NIPA 추진하는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 수행기관 선정… 블록체인 업계서 유일- Block Crafters Challenge X, 비즈니스 전 과정에 기업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진행- 초기 지분투자 진행 및 국내외 네트워킹·해외진출 기회 제공-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참가 기업 모집… 올해 7~11월 액셀러레이팅 실시 블록체인 전문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블록크래프터스(공동대표 박수용·송훈, )는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의 글로벌 액셀러레이팅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인 ‘Block Crafters Challenge X(이하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에 참가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김창용, 이하 NIPA)이 추진하는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의 수행기관으로 블록크래프터스가 블록체인 업계에서 유일하게 선정되면서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설립 직후부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모인 500개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를 실시, 현재 메인넷, 금융, 게임, 모빌리티, SNS 등의 분야에서 선발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액셀러레이팅 및 투자 연계를 진행 중인 블록크래프터스의 노하우를 토대로 국내 유망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 참가 기업은 초기 투자, 전문가 멘토링, 비즈니스 모델링, 투자자 네트워킹, 마케팅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등 액셀러레이팅의 모든 과정을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특히, 초기 지분투자와 함께 국내외 네트워킹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 받는다는 점이 돋보인다. 프로그램 참가 기업은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데이와 국내 기관 투자자 대상 라운드 테이블, 해외 네트워킹데이 등은 물론, 싱가포르, 샌프란시스코 등 해외에서 열리는 블록체인 국제 행사와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해외 행사 및 프로그램 참여 시에는 출장비가 지원된다. 블록체인 관련 기술 개발 및 융합콘텐츠, 헬스케어, B2C 분야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스타트업 또는 예비창업자라면 모두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에 지원할 수 있다. 지원 기간은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로, 사업설명회는 다음달 5일 서울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에 참가할 8개 내외의 기업은 다음달 중순 최종 발표되며, 참가 기업에 대한 초기 투자는 본격적인 액셀러레이팅이 시작되는 7월 이전 마무리될 전망이다. 액셀러레이팅은 오는 오는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10월과 11월에는 각각 해외 행사 및 프로그램 참가와 국내 데모데이가 계획돼 있다. 과기정통부 유관기관인 NIPA와 함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육성에 나선 블록크래프터스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든든한 전략 파트너, 전문가 집단’을 표방하며 지난해 5월 탄생한 블록체인 전문 액셀러레이터다. 비즈니스 모델, 인력, 기술, 파트너십, 평판 및 법률 등 총 5개 항목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를 통과한 프로젝트 만을 엄선해 액셀러레이팅을 진행한다. 비즈니스 모델 정립부터 기술 구현, 투자금 조달 등에 이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모든 사업 과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블록크래프터스 액셀러레이팅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또, 업계 최고, 최대 수준의 ‘맨파워’를 바탕으로 맞춤형 솔루션을 구상한 뒤 단계별로 기술, 투자, 산업, 법무, 마케팅, 홍보 등의 각 영역에 전문인력을 투입해 기회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 및 비즈니스 상용화를 이끌어낸다는 점도 눈에 띈다. 블록크래프터스는 창립 1년 만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례로, 블록체인 플랫폼과 디앱을 연결하는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를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술기업 ‘파이랩’은 최근 블록크래프터스의 액셀러레이팅 아래 한국투자파트너스로부터 40억 원의 투자 유치를 이뤄냈다. 블록크래프터스 송훈 공동대표는 “현재 블록체인 업계는 국가 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확실한 승자 또한 등장하지 않은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상황”이라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의 주도권을 우리 스타트업이 가져올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마련된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로서 보다 확고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 및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를 통해 우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육성에 열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템코(TEMCO),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와 제휴
템코(TEMCO), 암호화폐 지갑 ‘비트베리’와 제휴-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자회사, 루트원소프트가 출시한 비트베리에 템코 토큰(TEMCO) 리스팅- 향후 템코 플랫폼 및 블록체인 이커머스 구하다(GUHADA)와 협업 기대블록체인 기반 이커머스(E-Commerce) 플랫폼 및 데이터 솔루션 개발 회사인 템코(TEMCO)는 암호화폐 지갑인 비트베리와 제휴한다고 밝혔다.이번 협업을 통해 템코 토큰은 비트베리 지갑에 탑재되었으며, 템코 토큰 사용자들은 휴대전화 번호로 쉽게 템코 토큰을 주고받을 수 있다.비트베리는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자회사 루트원소프트가 만든 암호화폐 지갑이다. 국내 대표 메신저 카카오톡 사용자라면 누구나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또한, 토스처럼 전화번호만 알면 쉽게 암호화폐를 주고 있으며, 회원간에는 송금 수수료가 전혀 없다.특히, 비트베리 지갑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지갑 노하우를 통해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비트코인과 ERC-20 기반 100여종의 토큰을 지원하고 있다.루트원소프트 장성훈 대표는 “비트베리 지갑은 탄탄한 보안과 더불어 카카오톡이나 구글 계정으로 쉽게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템코 토큰 사용자들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현재, 비트베리는 지갑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결제 API 서비스, 에어드랍 플랫폼도 제공하고 있어 향후 템코와 여러 방면에서의 협업이 기대된다”라고 덧붙였다.템코 윤재섭 대표는 “이번 비트베리와의 제휴로 템코 토큰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템코 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라며, “올 하반기에 블록체인 이커머스 ‘구하다’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출시하여 유저들이 템코 토큰을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현재 템코는 올 하반기 출시 예정인 커뮤니티형 명품 거래 플랫폼 ‘구하다(GUHADA)’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구하다’는 높은 거래 신뢰성과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해 차별화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한다. 소비자들은 블록체인을 통해 인증서, 유통이력 등의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하고 보험제도를 통해 위조품 우려 없이 안심하고 제품을 거래할 수 있다. 또한 '구하다'의 모든 사용자들은 커뮤니티 내에서 상품 후기, 정품 감정 등의 활동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도 있다.
-
보고서 "BTC 채굴, 재생 에너지 사용률 높다"
▲ ETH 2.0 프리즘 클라이언트 테스트넷 릴리즈이더리움(ETH, 시가총액 2위)의 PoS·샤딩 연구소인 프리즈매틱랩스(Prysmatic Labs)가 깃허브에 프리즘(Prysm) 클라이언트 테스트넷 사파이어(Sapphire)를 릴리즈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테스트넷은 지분증명(PoS) ETH 2.0 0단계(phase 0) 프로토콜을 구현하며, 프리즈매틱랩스 개발팀이 Go언어를 사용해 개발했다.▲ EOS·ETH·TRON 댑, 지난주 거래량 3.1억 달러...활성 유저 45만IMEOS가 댑(dApp) 전문 데이터 플랫폼 레이팅댑(RatingDapp)을 인용, 현재 EOS·ETH·TRON 댑 수는 2,247개, 지난주 퍼블릭체인 거래량은 3.1억 달러, 활성 유저 수는 45만 명이라고 전했다. 지난 한주 EOS 댑 거래량은 전주 대비 8% 증가한 1.7억 달러, TRON 댑 거래량은 5% 증가한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ETH의 경우 높은 트래픽이 발생했던 갬블링, 마켓 댑 거래량이 각각 47%, 12% 감소하면서 전체 거래량이 4,000만 달러 가량에 그쳤다. 지난주 활성 유저 수는 ETH, TRON 댑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EOS 댑은 전주 대비 9% 감소했다. 신규 유저의 경우 ETH가 1% 증가, EOS, TRON은 각각 26%, 24% 감소했다.▲ 보고서 "BTC 채굴, 재생 에너지 사용률 높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지난 3일(현지시간) 피델리티가 주최한 채굴자 서밋에서 BTC 채굴자들은 그들이 소비하는 많은 양의 전기(세계 전기 소비량의 0.26%)가 환경에 위협적이라는 대중의 인식에 반박했다. 채굴자들은 끊임없이 더 싼 에너지를 찾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재생 에너지원을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 영국 암호화폐 투자회사 코인셰어스(CoinShares) 연구 총괄 크리스 벤딕슨(Chris Bendiksen)은 "BTC 해시파워의 48%가 재생 에너지 사용 비중이 90%에 달하는 중국 쓰촨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BTC 해시파워의 12%는 재생 에너지 사용 비중이 약 50%인 쓰촨 외 중국 기타 지역, 35%는 캐나다, 미국 등 서방 국가, 나머지 5%도 재생 에너지 사용률이 높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감사보고서 "PAX, 1.61억 달러 예치 확인"미국 대형 회계사무소 위둠(Withum)이 발표한 4월 팍소스스탠다드(PAX)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4월 30일 기준 은행 예치금은 160,737,039.03 달러로, 전월 대비 36.44% 증가했다. PAX 유통량은 달러 예치금과 같은 160,737,039.03 개로 나타났다. PAX는 지난달 테더 사태 기간 2주 동안 시가총액이 50% 급증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제휴사들과 함께 ‘암호화폐 안전거래 캠페인’ 선보여
후오비 코리아, 제휴사들과 함께 ‘암호화폐 안전거래 캠페인’ 선보여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통합결제 전문기업 다날과 함께 암호화폐 안전거래 확산을 위한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후오비 코리아와 다날이 함께하는 ’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 수칙을 알림으로써 투자자들의 사기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암호화폐 거래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기획됐다. 후오비 코리아와 다날이 주관하고 다날의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 페이프로토콜이 후원하며 블록노드커뮤니케이션즈, 비트케이, 땡글, 체인플루언서, 코인니스, 코인플래닛 등 다양한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이 참여해 안전 거래 문화 확산을 위해 힘쓴다. 후오비 코리아는 이번 캠페인을 위해 암호화폐 안전거래 문화 확산을 위한 영상 을 제작했다. 이 영상에는 피싱사이트 주의하기, 비밀번호 길게 만들기, 자동 로그인 기능 쓰지 않기, 거래 시 지갑 주소 확인하기 등의 안전수칙이 담겼으며 후오비 코리아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안전한 거래 문화 확산에 동참하는 의미로 해당 영상에 달린 링크를 통해 캠페인 서약서를 읽고 서명하는 후오비 코리아 회원 2,000명에게 추첨을 통해 페이프로토콜에서 발행한 페이코인(PCI)을 지급한다. 캠페인 기간은 29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며, 캠페인 마지막 날인 12일 23시 59분 기준 5,000원 상당의 시세로 책정돼 지급된다. 자세한 사항은 후오비 코리아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오세경 실장은 “암호화폐 투자 사기 피해를 예방하고 안전한 거래 문화가 확산되기 위한 방법으로 이번 캠페인을 진행하게 됐다”면서 “캠페인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나감과 동시에 참여한 보상으로 실생활에서 체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까지 제공하는 것이 핵심인 만큼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티프렌즈, 블록체인 개발자를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 개최
아티프렌즈, 블록체인 개발자를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 개최2월 메인넷 론칭에 이은 ‘사슬’ 공개 검증 자리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생생한 개발기 공유 코딩 유튜버 아샬, 권도형 테라 공동대표의 참석 눈에 띄어2월 메인넷 공개를 발표했던 블록체인 연구개발 전문기업 주식회사 아티프렌즈(대표이사 이정우)가 블록체인 개발자들을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SASEUL Origin Conference)’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사슬 오리진 컨퍼런스는 5월 22일 오후 2시 양재역 ‘오월오일’에서 진행되며, 현재 공식 사이트를 통해 참가신청을 받고 있다.아티프렌즈는 지난해 11월부터 ‘사슬’의 테스트넷을 가동해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했고 최종 점검을 거쳐 2월 메인넷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메인넷 공개까지의 개발자들의 개발기와 현재 개발하고 있는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들의 시연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요 주제가 되는 ‘사슬 오리진(SASEUL Origin)’은 기존 블록체인에서 속도와 확장성 면에서 큰 발전을 만들어 냈다. 특히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혹은 이와 유사한 컨센서스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을 사용하는 현재의 블록체인과는 다르게 독자적인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틀을 깨뜨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dApp인 국제 환전송금 앱, ‘윈디’(Windee)의 공개 또한 눈에 띈다. ‘윈디’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 환전 송금 앱으로서,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로는 구성하기 어려웠던 서비스 속도를 SASEUL을 이용해 기존 금융권과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끌어올렸다. 이를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의 경험담 공유로 풍부한 컨퍼런스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개발자가 아닌 참가자들을 위한 세션도 준비되어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유명 코딩 유튜버 ‘아샬(Ashal)’의 강연과 함께 권도형 테라 공동대표의 토큰 경제(Token Economy)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강연은 기존 블록체인에 대해 관심 없던 참가자들도 이해하기 쉽게 진행될 예정이다.이용재 아티프렌즈 부대표는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를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블록체인 개발 회사의 발자취와 개발기를 통해 블록체인 업계에 박혀 있는 여러 고정관념들을 깰 것이며, 특히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FedEx·UPS·DHL, 각국 정부에 블록체인 표준 도입 촉구
▲ 인도 IT 기업 위프로, 태국 은행 대상 블록체인 솔루션 개발경제 미디어 비즈니스인사이더(Businessinsider)에 따르면 인도에 소재한 세계 3위 소프트웨어 외주 회사 위프로(Wipro)가 태국 중앙은행 및 8개 은행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했다. 해당 솔루션은 태국 8개 은행 간 정산에 쓰이는 탈중앙화 디지털 화폐 시스템이다. 위프로가 7일 발표한 성명서에 따르면 프로젝트 lnthanon 1단계의 일부로 개발된 해당 솔루션을 통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를 활용한 실시간 총액결제시스템(RTGS) 운영이 가능하다. 프로젝트 lnthanon은 작년 8월부터 태국 중앙은행이 주도하고 있는 이니셔티브다.▲ 활성도 관련 데이터 정리댑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댑토탈(DAppTotal)에 따르면, 전날(6일) ETH, EOS, TRON 3대 퍼블릭체인 활성화 유저 수는 총 203,176 명을 기록했다. 그중 EOS가 73.31%를 점유했다.01. 총 이용자 수: EOS(148,950), TRON(42,629), ETH(11,597)2. 총 거래 횟수: EOS(3,485,501), TRON(1,353,177), ETH(52,391)3. 총 거래량(달러): EOS(16,815,807), TRON(14,453,816), ETH(3,848,374)4. 이용자 수 기준 TOP3 댑: Endless Game(EOS), Hash Baby(EOS), BingoBet(EOS)5. 거래횟수 기준 TOP3 댑: Hash Baby(EOS), TronWoW(TRON), TRONbet(TRON)6. 거래량 기준 TOP3 댑: TronWoW(TRON), TRONbet(TRON), EOS Global(EOS)▲ FedEx·UPS·DHL, 각국 정부에 블록체인 표준 도입 촉구블록체인 커뮤니티 더비트코인닷펍(thebitcoin.pub)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블록체인 글로벌 레볼루션 컨퍼런스에서 물류 운송회사 페덱스(FedEx), 유피에스(UPS), 디에이치엘(DHL)이 국제 해운 블록체인 표준 채택을 각국 정부에 촉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롭 카터(Rob Carter) 페덱스 CIO는 "각국 정부는 블록체인 표준 도입으로 위조품, 불법 상품 밀매를 예방할 수 있다"며 "블록체인이 현재 사용하는 디지털 문서 전송 시스템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강조했다. 페덱스, 유피에스, 디에이치엘 3대 배송업체는 500개 이상 업체가 참여한 블록체인 운송 연합(BiTA) 회원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본다빈치 블록체인 비에스디(BSD), 전국 약 500여 개소 대학 키오스크 복합기 ”큐브”에 독점코인 공급 계약
본다빈치 블록체인 비에스디(BSD), 전국 약 500여 개소 대학 키오스크 복합기 ”큐브”에 독점코인 공급 계약본다빈치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비에스디(BSD)가 전국 500여 개소 대학에 설치된 복합기 키오스크 “큐브”에 독점코인 계약을 체결하였다. ㈜풍자 정용주대표 / 비에스디(BSD) 김려원리더 본다빈치㈜는 4차 산업의 기술인 블록체인 사업 및 비에스디(BSD)를 개발 발표 후 전세계 코인 거래량 5위내 세계적인 거래소인 디지파이넥스로부터 사업의 비전, 참신성이 높게 평가 받아 상장계약이 체결되었다.특히 비에스디(BSD)는 본다빈치가 보유한 아트자산 1천여점과 위탁받은 실물 아트 자산의 약 1만여점의 작품 확보를 기반으로 구매를 원하는 소유자들에게 P2P 방식으로 예술품들을 거래할 수 있는 오프라인 블록체인 거래소를 만들 계획에 있으며, 블록체인 사업의 확장성을 위해 전자지갑, 생체인증, 보안 기술을 갖고 있는 쉴드큐어나 문화 예술의 기술 증진 프로젝트와 저작권과 관련 스토리체인과의 협업 등 본격적인 블록체인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모습이다.이번에 계약을 이룬 “큐브”는 ㈜풍자가 약 8년여동안 세계 죄초 개발, 운영하고 있는 복합 키오스크장비를 말하며 출력, 복사, 스캔이나 PC가 필요한 학생들의 동선에 설치하여 별도 시설을 찾아 다닐 필요없이 평소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최초의 무인형 복합기능 자동판매기로 특허를 받았다.특허받은 이 자판기는 리포트 등 각종 문서를 인터넷으로 다운받거나 USB메모리를 이용해서 출력할 수 도 있으며, 아래한글, MS오피스등의 문서는 직접 편집도 가능하다. 특히 웹에서 회원에게 제공하는 내문서함은 자판기 큐브에서 출력할 파일을 별도의 입력없이 바로 출력이 가능한 편리함이 특화된 출력 솔루션이다
-
블록체인허브,가즈아거래소 후원 한민관 2019 슈퍼레이스 레디컬 컵 아시아 클래스 우승
블록체인허브,가즈아거래소 후원 한민관 2019 슈퍼레이스 레디컬 컵 아시아 클래스 우승슈퍼레이스 2019 레디컬 컵 아시아가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4월 28일 열렸다.블록체인허브와 가즈아거래소에서 후원하는 한민관 레이서는 SR1모델로 28일 2라운드경기에 출전해 우승을 차지했다. 뒤이어 손인영과 최해민 순으로 순위에 올랐다. 슈퍼레이스는 성공적인 개막전과 함께 힘찬 시즌 출발을 동시에 알렸다. 슈퍼레이스 예선 레이스가 있었던 27일 1만2389명, 결승 레이스 28일 2만9764명 등 이틀간 총 4만2153명이 입장했다. 슈퍼레이스는 성황리에 종료되었으며 슈퍼레이스 2019 레디컬 컵 아시아 다음 라운드는 오는 5월 25일부터 26일까지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경기를 펼치게 된다. 블록체인허브와 가즈아거래소는 "지속적으로 유망팀을 후원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슈퍼레이스는 "레디컬 컵 아시아 시즌 우승자에게는 2020년 영국에서 치러지는 SR1 컵 챔피언십 첫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권한을 주기로 했다"라며 "1천500만원 상당의 참가 경비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슈퍼레이스 챔피언십에서는 오는 27~28일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열리는 개막전을 시작으로 강원도 인제 스피디움, 전라남도 영암 코리아인터내셔널서킷(KIC)을 오가며 레이스를 펼친다.이충 블록체인허브 대표는 "지난 2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8’의 화두는 커넥티드카,블록체인,5G가 화두에 올랐다"며 "자동차와 블록체인은 별개의 산업이 아닌 앞으로 융합이 될 산업이라고 판단돼 금번 대회를 후원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레디컬 컵 아시아 대회를 이끈 김진태 유로 대표는 "앞으로 슈퍼레이스의 이색적인 홍보 전략과 모터스포츠에 대한 호기심 유발이 관람객들을 유치하는 데 큰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블록체인허브는 국내 대표적인 블록체인 암호화폐 포털 커뮤니티로 국내외 임플루언서를 중심으로 한 150개 포럼이 운영되고 있다. 가즈아거래소는 무분별한 상장은 지양하며, 엄격한 심사를 거쳐 프리미엄 코인만을 거래하는 거래소로 레이븐 원화마켓을 제공 중이다.한편, 대회 차량인 SR1은 기획 당시부터 원메이크 컵 대회를 염두에 두고 제작한 모델로, 레이싱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스펙을 갖고 있으면서도 누구나 운전하기 쉽게 설계됐다. SR1은 드라이 섬프 오일 시스템(Dry sump oil system) 적용으로 극한 상황에서도 엔진의 열을 식히며 최상의 퍼포먼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SR1 제동장치로는 감쇄력 조절식 레이싱 서스펜션과 앞/뒤 4피스톤 캘리퍼가 있으며, 센터락 방식의 전용 휠이 장착됐다. 또 한국타이어가 개발한 레이싱 타이어가 탑재됐다. 엔트리 모델인 레디컬 SR1은 내구성 향상 및 세팅 난이도 완화 등 드라이버가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구성됐으며, 드라이버와 트랙 상황에 맞게 설정 가능한 안티 롤바 구조를 채택했다.
-
후오비 코리아,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오픈
후오비 코리아,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오픈...밋업, 엑셀러레이팅, 투자 유치 등의 공간으로 구성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음악을 보는 카페 달콤커피와 함께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Huobi Blockchain Coffeehouse, )’를 정식 오픈한다고 9일 밝혔다. 달콤커피 논현점을 리모델링해 오픈한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국내외 기술 및 정보 교류, 국내 블록체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설립됐다. 특히 후오비 코리아가 지닌 글로벌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자문뿐 아니라 블록체인 스타트업 단계별 육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지하 1층과 2층, 총 2개의 층으로 운영된다. 지하 1층은 ‘블록체인 커피 클럽(Blockchain Coffee Club)’을 위한 공간이다. 블록체인 커피 클럽은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모여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는 모임이다. 현재 블록체인 산업 오피니언 리더 및 유수의 VC 등이 참여할 예정이며, 구성원은 지속해서 모집 중이다. 이들은 엑셀러레이팅, 분석, 투자, 비즈니스 네트워킹, 블록체인 정보 공유, 멘토링 등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2층은 달콤커피의 다양한 식음료를 판매하며, 블록체인 정보 교류, 밋업, 강연, 콘서트 등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이 밖에도 블록체인 산업의 유명 인사들을 소개하고 경의를 표하는 공간인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과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소개 및 홍보 영상을 볼 수 있는 미디어 월 등 블록체인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후오비 코리아 관계자는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후오비가 만들어온 수년간의 노하우와 복합 문화 공간인 달콤커피가 만나 탄생한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라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스타트업에게 기회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
중국 최고의 블록체인 업체 ‘GXChain’, ‘BEPAL’ 한국 진출 시동
중국 최고의 블록체인 업체 ‘GXChain’, ‘BEPAL’ 한국 진출 시동 지난 5월 10일 블록몬스터랩에서 개최된 힐스톤파트너스 밋업에서 중국 3대 메인체인으로 평가받고 있는 GXChain과 최고의 보안 기술력으로 중국 하드월렛 부문 최고상을 수상한 BEPAL이 공식적인 한국 진출을 발표했다. 중국 최고의 블록체인 업체들이 한국에 진출한다. GXChain의 dApp 플랫폼인 Brock City는 데이터 마이닝 모델을 통해 중국에서 225 만 명의 사용자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 개발사에게 방대한 유저풀을 활용하여 dApp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GXChain의 황민치앙 대표는 이날 발표에서 GXChain의 현재 진행 상황 및 한국에서의 향후 개발 계획, GXC의 추가적인 거래소 상장, Block City 한국어 버전 홍보, 개발 Trustnodes, dapp 개발을 위한 hackathon 등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한국의 노드 파트너로 힐스톤 파트너스를 선정하고, 추후 한국의 개발사들에게 기술 지원 및 유저 확보에 대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GXChain의 황민치앙 대표는 “글로벌 시장 중 첫번째 진출 국가로 한국을 정했고, B2C 시장부터 B2B 시장까지 전방위적인 서비스를 한국에서 펼치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통해 글로벌 데이터 경제 서비스를 블록체인을 통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BEPAL도 한국 시장 공략을 앞두고 있다. 디지털 금융을 위한 자산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힐스톤 파트너스와 함께 BEPAL Korea를 설립, BEPAL PRO, Q, 블록 체인 개인 키 보안 관리 기술이 적용된 Touch 시리즈 보안 하드웨어, BEPAL Wallet 디지털 자산 지갑 및 BEPAL Plus 디지털 자산 호스팅 서비스를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BEPAL의 후위엔취엔 대표는 “지난 2년동안 블록체인영역에서 끊임없는 연구를 통해 안전한 블록체인 자산관리서비스 플랫폼을 완성하였으며, 동시에 진정한 블록체인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해 깊게 고민했다. 자체 개발 IoT 플랫폼을 통해 금융, 물류, 농업, 의료, 운송, 소매 및 기타 산업에 더 많은 블록 체인 인프라가 연결될 수 있는 기술을 한국에 소개하고 싶다”고 전했다. 힐스톤 파트너스의 황라열 대표는 “현재 중국에서 최고의 기술력과 서비스로 인정받고 있는 두 회사의 한국 파트너로서 성공적인 한국 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의 협업 및 한국 진출을 통해 블록체인 시장의 규모를 키워나가는데 힐스톤 파트너스가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