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폴로닉스, 올 여름 ATOM 스테이킹 보상 서비스 출시
▲ 美 최대 이동통신업체 "국가 지원 해킹 사례 ↑... 암호화폐 악용 가능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BTC매니저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이동통신업체 버라이즌(Verizon)이 제12차 데이터 침해 사고 조사 보고서(DBIR, Data Breach Investigations Report)를 통해 "국가 기관에서 지원하는 해킹 공격 사례가 증가하며 전세계 사이버 범죄 분야에서 점차 영향력을 키워가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 국가 지원 해킹 공격이 전체 해킹 사건 중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대비 11%p 증가한 23%를 기록했다. 또한 해당 업체는 "해커들이 빼돌린 자금을 세탁하거나 랜섬웨어 공격을 감행하는데 암호화폐 사용을 선호하고 있다"며 "이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거래 수수료와 당국에 발각될 리스크가 작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폴로닉스, 올 여름 ATOM 스테이킹 보상 서비스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슬럿지피드(sludgefeed)에 따르면,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클(Circle)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폴로닉스(Poloniex)가 9일(한국시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코스모스(ATOM, 시가총액 15위) 스테이킹 보상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해당 서비스는 올 여름부터 시작되며 폴로닉스 사용자 중 일정 자격을 갖춘 ATOM 홀더들이 자동적으로 스테이킹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TOM은 현재 4.20% 내린 4.2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TC 점유율 57%, 지난해 9월 이후 최고치9일 오후 3시 20분 기준, BTC 시총 점유율이 57%를 돌파하며 지난해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BTC는 최근 지속적인 상승 흐름을 보이며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19% 오른 6,078.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모헤닉, 새로운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겟크로’ 오픈
모헤닉, 새로운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겟크로’ 오픈겟크로 첫 프로젝트로 DDP 개관 5주년 기념 특별전 폴 스미스 전시 티켓 리워드 상품 선보여모헤닉은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겟크로(GETCRO)’가 4월 공식 사이트를 오픈했다고 25일 밝혔다.겟크로는 단순히 펀딩 후원금액을 모집하고 후원금액에 따라 리워드를 얻는 방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자화폐 기능을 지닌 ‘상품권’의 형태로, 전자화폐에 리워드의 모든 권리를 담아 후원자에게 지급된다. 화폐 보유자들은 모헤닉이 제공하는 모헤닉 얼라이언스 플랫폼에서 실물교환 및 결제수단, 거래소거래, 권리증명 등 다양한 방법으로 EXIT이 가능하다는 것이 기존 크라우드 펀딩과의 차별점이다.겟크로가 리워드로 지급하는 상품권은 코인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겟크로가 발행하는 코인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암호화폐가 아닌 실물과 교환기능을 지닌 실물연동 코인이라는 점에서 완전히 다른 개념의 화폐다.겟크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해 받는 코인은 후원한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뿐만 아니라 모헤닉 얼라이언스 생태계 플랫폼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있다. 또한 모헤닉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사용자들과 거래할 수 있으며 기업의 부득이한 부도나 폐업 시에도 펀딩 후원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시스템이 갖춰져 있다. 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 서로 연맹돼 부도 난 상품권을 서로 나눠서 부담하는 시스템으로, 후원자들이 안심하고 펀딩할 수 있으며 이는 겟크로의 가장 큰 장점이자 타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과 확연히 다른 철학이다.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는 현재 카페, 레스토랑, 피자 전문점 등 식음료 서비스 및 펜션, 라운지 클럽 등 문화생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모헤닉이 판매하는 차량 관련 제품 및 패션 제품도 모헤닉 얼라이언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모헤닉 얼라이언스는 현재 가맹점을 급속도로 늘려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라이프스타일 전반에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소개할 계획이다. 물론 겟크로에서 크라우드 펀딩에 성공한 참여 기업은 모헤닉 얼라이언스에 가입돼 마케팅과 홍보도 지원받게 된다.겟크로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면 리워드 코인으로 일상생활에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결제수단 화폐로서도 충분한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함께 제공하는 것은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고 EXIT할 방법이 한정적이거나 묘연해 애를 태우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실질적인 사용과 활용, 수익을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는 점은 크라우드 펀딩 생태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특히 겟크로를 설립한 김태성 대표는 모헤닉을 대한민국에서 가장 대표적인 크라우드 펀딩 성공사례 기업으로 키우고 현재 크라우드 펀딩 협의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만큼, 크라우드 펀딩 경험이 풍부하다. 김 대표는 “지금의 크라우드 펀딩의 문제점과 한계성 그리고 확장에 대한 니즈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기에 겟크로를 설계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또 겟크로는 4월 정식 오픈을 앞두고 겟크로의 포문을 열 첫 번째 프로젝트 아이템을 공개했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개관 5주년 기념 특별전으로 진행되는 ‘폴 스미스’ 전시회가 그 첫 번째 주자다. 라는 전시명으로 선보이는 영국 디자인 거장 ‘폴 스미스’ 전시에 겟크로 사이트 정식 오픈 전부터 이미 많은 관심과 기대가 쏠리고 있다.이번 프로젝트는 티켓 상품 리워드형 크라우드 펀딩으로 겟크로가 특별한 리워드 조건을 내세워 선보이게 됐다. 전시 일정은 6월 6일부터 8월 25일까지이며 런던 디자인 뮤지엄, 서울 디자인재단이 주최하고 주관방송으로 SBS가 함께한다. 겟크로에서만 선보이는 특별조건은 모헤닉 얼라이언스 앱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이번 리워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하면 해당 전시의 리워드 티켓과 추가로 인센티브 리워드를 받게 된다. 디자인, 문화생활 등에 관심이 많은 젊은 층부터 투자에 관심 많은 중장년 층까지 광범위한 연령대에서 큰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코빗·씨피닥스·고팍스, 크로스앵글과 블록체인 프로젝트 상장심사 파트너십 체결
코빗·씨피닥스·고팍스, 크로스앵글과 블록체인 프로젝트 상장심사 파트너십 체결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코빗, 씨피닥스와 고팍스, 크로스앵글의 정보공시 및 프로젝트 심사 서비스를 통해 건전한 공시문화 형성과 투자자 권리 증진 주도국내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빗, 씨피닥스, 그리고 고팍스는 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정보공시 플랫폼을 개발한 크로스앵글과 협약을 맺고, 코인 상장과 이후 활동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데 앞장서겠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은 그 동안 언론에서 많이 제기되었던 정보비대칭으로 인한 암호화폐의 신뢰도와 투명성의 문제를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증권거래소에 주식이 상장될 때 규제기관을 통해 기업 공시 의무가 발생하는 것과 달리, 암호화폐 시장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정보들이 떠다니고 있으며 FUD(Fear(공포), Uncertainty(불확실성), Doubt(의심)의 줄임말)를 일으키는 실체 없는 허위 정보들로 만연해 있다. 또한 사업성과지표나 기술 개발 현황과 같은 프로젝트의 내재적 가치에 기반한 분석에 필요한 주요 정보들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신뢰가 결여되고 부족한 정보 환경은 내부자 거래, 사전 정보 활용 등 투기성 짙은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는 거래소들과 투자자들이 겪고 있는 고충의 가장 큰 원인이다.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펌프앤덤프(Pump-and-dump)’와 같은 사기성 프로젝트의 감별이나 깊이 있는 투자분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암호화폐의 불투명성은 정부의 규제 일변도의 정책방향성과 함께 대형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참여하지 않는 현실적인 이유로 꼽히고 있다.크로스앵글은 자체 공시 정보 플랫폼 Xangle(이하 쟁글)을 구축해 불투명하고 신뢰성 없는 정보환경 개선에 나섰다. 쟁글에 올라오는 데이터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들로부터 직접 제공받으며 검증을 통해 공시된다. 쟁글의 데이터 공시 기준은 DART(한국), EDGAR(미국)와 같은 증권 규제 기관의 공시 기준과 S&P, Moody’s, FITCH와 같은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평가 기준에 준거하고, 기존 주식시장에서 확립된 공시 체계를 바탕으로 암호화폐 시장에 맞게 재해석되었다. 쟁글은 온·오프체인 정보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부분적 불완전 정보가 아닌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포괄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고 볼 수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크로스앵글은 쟁글에 올라온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종합적인 상장 적격 진단 보고서를 거래소들에 제공하게 된다. 거래소들은 이 보고서를 새로 상장할 코인의 적격성 및 상장된 프로젝트 성과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거래소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씨피닥스의 서문규 총괄이사는 “크로스앵글의 서비스가 암호화폐 시장을 개척하는 ‘투자자들의 안내등’이 될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코빗의 오세진 본부장 또한 “크로스앵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단순한 정보공시플랫폼을 넘어 생태계 전반의 모범규준이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말하며 이 파트너십이 가져다 줄 긍정적인 결과에 대해 큰 기대감을 비췄다. 고팍스 이준행 대표는 “그동안 고팍스는 블록체인 생태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프로젝트와 협업을 해왔다. 크로스앵글의 쟁글은 모든 이해당사자들 사이의 정보격차를 줄일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와 무결성을 회복하는 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고 확신한다. 고팍스는 앞으로도 쟁글과 같은 좋은 프로젝트와 협업을 통해 지속 발전이 가능하고 건전한 생태계를 위해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크로스앵글은 현재 쟁글의 베타 서비스를 운영중이나 5월 중 본격 론칭을 통해 앞으로 더 많은 거래소, 투자자 및 프로젝트와의 협력하여 보다 건전한 공시문화가 자리 잡힌 암호화폐 시장 형성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 게임 전문 블록체인 플랫폼 ‘템비트’,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 체결- 매그니스의 ‘템비트’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금년 하반기 내 제공 예정게임 특화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매그니스(대표 장봉석)와 스마트폰 게임 개발사 ㈜하이브로(대표 원세연)는 7일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로는 2012년 출시한 스마트폰 게임 ‘드래곤빌리지’로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면서 드래곤빌리지2, 드래곤빌리지M으로 이어지는 프랜차이즈 타이틀을 런칭하여 탄탄한 고정 팬덤을 확보했다. 또한 드래곤빌리지의 오프라인 게임카드를 4000만 팩 이상 판매, 게임 도감과 드래곤빌리지 코믹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적을 100만부 이상 판매하며 명실공히 캐릭터 IP 로써의 가치를 키워오고 있다.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에서 개발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루니버스의 게임 부문을 맡고 있는 매그니스는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플랫폼 ’템비트(구.마그넷)’를 이번 해 하반기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템비트’를 통해 게임 개발사들이 보다 손쉽게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동개발 계약을 통해 매그니스와 하이브로는 드래곤빌리지 IP를 사용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개발하게 된다. 매그니스 장봉석 대표는 “오리지널 캐릭터를 사용한 스마트폰 게임을 히트시키고, 게임에만 국한되지 않은 다양한 오프라인 사업으로 영향력 있는 IP를 만들어낸 하이브로의 도전적인 행보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었다. 드래곤빌리지라는 강력한 IP에 블록체인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블록체인 게임의 대중화에 한 발자국 더 앞서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고 전했다.
-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참여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 위해 추진..-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 구축..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사업’에 광주광역시가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타 스마트시티 사업과 달리 대기업이 참여하지 않는 광주광역시 컨소시엄은 노원 지역화폐를 개발 및 구축한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와 지역 중소기업들이 참여하며 이들 각각의 솔루션들을 융합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이다.대표기업인 글로스퍼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HYCON Enterprise Platform)을 공급하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리워드 플랫폼’ 구축에 참여한다.이 모델은 시민이 자발적으로 도시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블록체인 기반 리워드는 적극적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동기부여로 작용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고 지역내 기업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부가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루어 시민주도형 ‘데이터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는 모델이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민간기업의 지속적인 수익과 재투자의 순환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며 “올해 실증을 하여 내년 본 사업에도 선정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며, 향후 광주 전역 확대 및 스마트시티 수출모델에도 기여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또한 김 대표는 “일자리 없는 광주를 은퇴 없는 도시로 변화시켜, 떠나는 도시에서 머무르는 도시로 변모하는데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세일즈포스 임원 "블록체인 복잡성, 기술 응용 최대 난관"
▲ 블록스트림 '리퀴드 네트워크', 신규 회원사 14곳 합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에 따르면,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스트림(Blockstream)이 지난 8일 "리퀴드 네트워크(Liquid Network)에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DMM 비트코인,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게이트아이오 등 14곳이 새롭게 합류했다"고 밝혔다. 리퀴드 네트워크는 블록스트림이 비트코인 사이드 체인 기술을 활용해 개발한 거래소 간 결제 네트워크로서, 현재 총 35개의 회원사가 동참하고 있다. 이와 관련 블록스트림은 "리퀴드 네트워크 회원사들은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토큰 '리퀴드 비트코인(L-BTC)'을 통해 상호 간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약 2분의 이체 시간이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세일즈포스 임원 "블록체인 복잡성, 기술 응용 최대 난관"IT 전문 미디어 테크 센트럴(Tech Central)에 따르면, 최근 MIT 대학교에서 개최된 테크놀로지 리뷰의 블록체인 컨퍼런스에서 아담 캐플란(Adam Caplan) 세일즈포스(Salesforce) 신기술 담당 수석 부사장이 "블록체인 기술 자체의 복잡성은 실제 응용 단계까지 이르기 어렵게 만드는 주요한 장애물"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점점 더 많은 세일즈포스 고객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실험하고 있지만, 대부분 개념증명(POC) 단계에서 가로막히고 있다"며 "그 이유 중 하나는 숙련되고 적합한 인재를 찾기 어렵다는 점에 있으며, 또 하나는 기술 자체의 복잡성"이라고 덧붙였다.▲ GXChain, 10일 서울서 오프라인 밋업GXChain(GXC, 시총 87위)이 오는 10일 19시 서울 강남구에서 오프라인 밋업 행사를 진행한다. 이번 밋업에서 GXChain 측은 다수 국내 블록체인 기관들과 심도깊은 대화를 진행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이날 GXChain은 자체 개발 댑 블록시티의 한국어 버전의 정식 출시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서 GXChain 팀은 오는 13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컨센서스 2019에 주요 연설자 자격으로 참석할 예정이며, 포럼 기간 중 GXChain 2019 북미지역 댑 개발 대회 관련 정보를 공개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 비트맥스 거래소의 지원으로 4월 27일 오후 7시 프리 세일 시작 예정- 도스 네트워크, 볼트에 이어 세 번째 토큰 세일 지원 프로젝트로 듀오 네트워크 선정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io)가 블록체인 기반 파생 상품 거래 플랫폼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Pre-sale)을 지원한다. 비트맥스는 듀오 네트워크 프리 세일에 대한 기술과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며, 프리 세일은 한국 시간으로 4월 27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진행된다. 비트맥스는 18년 8월에 출시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CEO 조지 차오(George Cao), COO 애리얼 링(Ariel Ling)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만든 거래소이다. 비트맥스는 세계 최초로 다중 채굴 모델을 적용했으며 OTC, 마진 거래를 지원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 듀오 네트워크 이전에는 도스 네트워크(DOS Network)와 볼트(BOLT)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여 성공적으로 상장시켰다. 듀오 네트워크는 자체 플랫폼인 탈중앙화 거래소 듀오 DEX를 통해 토큰화된 디지털 파생 상품의 발행, 거래, 결제가 가능한 제로엑스(0x)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듀오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면 기존 파생 상품 거래에서 존재하던 위험을 줄이면서 투명하고 자율적인 거래 시장을 조성할 수 있다. 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탈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나선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듀오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블록체인기반 투자 서비스 Roobee, 최상위 비트코인 투자자에 의한 투자금 100만달러와 함께 첫 번째 IEO 프라이빗 라운드 마감
블록체인기반 투자 서비스 Roobee, 최상위 비트코인 투자자에 의한 투자금 100만달러와 함께 첫 번째 IEO 프라이빗 라운드 마감블록체인으로 구동되는 Roobee 투자 서비스는 Roobee 토큰의 출시 이전, IEO가 시작된 후 프라이빗 라운드의 첫 번째 세션을 마감했다고 3일 밝혔다. 100만달러의 투자는 비트코인 지갑에 현재 7000BTC를 보유하고 있는 상위 250위내 비트코인 보유자의 지갑에서 이루어졌다. 100만달러(200BTC) 거래는 ‘나는 Roobee를 믿는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Roobee 지갑에 전송되었다.익명의 후원자는 기존 성공한 큰 아시아 프로젝트의 초기 투자자로 알려져 있다. 특히, 투자자는 판매를 위해 상장된 직후에, 한국 거래소에서 Binance 토큰을 구입했다.익명의 투자자는 시장 진입 후 첫 달에 Binance 토큰을 샀다. 최근 그 토큰의 가격은 역사적 최고점에 도달했다. 암호화폐 시장의 시가총액은 현재, 최고점에서 5배 이상 떨어져 있다. 하지만 나는 Binance 시절 보았던 잠재력을 Roobee 프로젝트에서 동일하게 보고 있다고 밝혔다.Roobee 투자 서비스는 이미 많은 암호화폐 큰 손들의 참여를 포함해 두 번의 트랜잭션을 통해 투자금 550만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2018년 말 ‘200m_trader’ 닉네임의 투자자는 Roobee 프로젝트에 450만달러를 투자했다. 한 달에 2억달러를 벌어들인 그는 Bloomberg로 부터 200m_trader라는 자신의 별명을 얻었다.Roobee 공동 설립자 Artem Popov는 “다른 암호화폐 투자자가 Roobee에 투자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이 프로젝트는 몇 년 동안 암호화폐 산업에서 개발하고, 그것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이 시장의 경험과 오랜 참가자들은 Roobee가 개발에 대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진정으로 투자의 세계에 더 나은 것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니오플레이,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코인의 가치 높여 줄 게임..-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강화..-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 적용..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의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밝혔다.니오플레이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가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게임의 난이도를 대폭 낮췄다. 그리고 7개의 게임과 7개의 스텝을 구성하려던 것을 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했다.무엇보다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니오플레이의 빠른 확산을 위해 게임에서 생성된 키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 줘야만 많은 니오코인(최대 825,000개)에 당첨될 수 있게 했다.니오플레이는 게임 형식을 빌리 ‘복권’ 시스템이자 플랫폼이다. 니오플레이에는 7개의 게임과 키 생성/보관, 지갑 등 기능이 있다. 7개의 게임을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1게임마다 1개의 키가 생성된다. 총 7개의 키가 생성되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유저에게 키를 전달해야 한다.니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스토어에서 유료로 구매해야한다. 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스마트 컨트랙트 등)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이 혼합되어 있는 거대한 플랫폼이다.니오앱스 맹정호 대표는 “이번 업데이트는 게임을 쉽게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했다”며 “니오플레이가 확산되면 니오토큰의 실수요가 증가하고 니오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니오(NEEO)의 플랫폼이 소개되어 니오(NEEO)의 가치와 인지도가 크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발행한 니오앱스의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3월 11일 공식 상장되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니오앱스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이그드라시, 투자자 보호 위해 토큰 1억개 소각 진행
이그드라시, 투자자 보호 위해 토큰 1억개 소각 진행-5월 16일 공식 채널을 통해 약 1억개 YEED 토큰을 토큰 소각 진행..-이드(YEED) 가격 안정과 유통량 축소 통해 투자자들의 자산 가치 보호 위한 선택..차세대 다차원 블록체인 플랫폼 ‘이그드라시’가 5월 16일 공식 채널을 통해 약 1억개 YEED 토큰을 데드어카운트로 이동하여 토큰 소각을 진행했다고 발표했다.이번 토큰 소각에 사용되었던 물량은 작년 곰시장 진입으로 비트코인이 USD 6,000 선을 넘어설 때까지 무기한으로 지연되었던 에어드랍 물량이다. 이그드라시의 이드(YEED)가 실제 가치 대비 저점에 위치한 가격을 고려한 결정으로 이드(YEED) 가격 안정과 유통량 축소를 통해 투자자들의 자산 가치 보호를 위한 선택임을 밝혔다.이그드라시 서동욱 대표는 “이번 토큰 소각은 특히나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밝히며, “커뮤니티와의 약속을 이행하면 대다수의 분들에게 득보다는 실이 될 수 있어 모두를 위해 토큰 소각으로 변경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번 팀의 소각 결정에 반하는 의견도 있지만 국내외 커뮤니티에서는 대체적으로 반기는 분위기이다.한편, 최근 홈페이지를 리뉴얼 하면서 새로운 분위기로 3분기 메인넷을 준비하고 있는 이그드라시는 크립토미소와 코인코드캡 등 개발 중심 프로젝트 랭킹 사이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고, ‘2019년 블록체인 기술 솔루션 공급업체 탑10’에 선정되기도 했다.또한, 이그드라시 생태계에 필수적인 디앱(DApp) 양성을 위한 인큐베이션 서비스 ‘디스테이션’ (D-STATION)도 운영 중이며, 향후 신개념 암호화폐 거래소도 출시할 예정이다.
-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국내 대표 프로젝트 아이콘(ICON)이 총 상금 100만 ICX(아이콘 암호화폐)의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ICON TX Challenge)’를 오는 6월 3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목표로 전 세계 개발자들을 지원하고자 아이콘이 시행하는 본 콘테스트는, 직접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제작해 참가하는 공모전 형태로 진행된다. 개발자, 대학생은 물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해 보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새로운 기술을 경험해 보고자 하는 예비 블록체인 전문가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아이콘은 6월 3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2달 간 진행되는 이번 콘테스트 기간 동안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운영 비용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그간 트랜잭션(Transaction, TX) 비용, 서버 호스팅 비용, 기술적 장벽 등의 요인으로 블록체인 개발 시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접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콘테스트 참가를 위해서는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아이콘 프로토콜을 이용해 아이콘의 자체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 환경인 ‘스코어(SCORE)’를 제작한 뒤 검수가 완료되면, 이를 활용한 디앱 또는 웹사이트를 개발해 참가 신청하는 방식이다. 신청 후 참가가 확정된 팀에게는 참가 상금으로 각 200 ICX가 주어지며, 콘테스트 기간 내 스코어를 통해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1 TX 당 0.01 ICX의 별도 리워드가 지급된다.또한 디앱 및 웹사이트의 완성도, 사업성, 기술성, 블록체인 효용성 등 심사 기준에 따라 총 6팀을 선정해 각 5만 ICX의 상금을 최종 시상한다. 디앱 및 웹사이트에 대한 심사는 콘테스트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하며 참가팀에 대한 투자 유치, 아이콘 한국 오피스 채용 가산점 혹은 인턴십 기회 제공 등의 추가 보상도 검토 예정이다.김종협 아이콘 재단이사는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디앱 개발 환경을 경험하고, 나아가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어 생태계 확장으로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히며, “이는 아이콘 메인넷(Mainnet)의 안정성 및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대한 공개 실증이기도 한 만큼, 많은 미래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참가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댄 라리머 "커뮤니티 '롤백' 건의 → 불가변성 인식 강화"
▲ 암호화폐 거래소, 역대 13.5억 달러 도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최근 바이낸스 해킹 사건으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탈취 당한 암호화폐 총액이 13.5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 액수 가운데 지난해 비중이 59%를 차지했다. 2012년 이후 해킹 피해 거래소 수는 매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가격 상승으로 인해 도난 액수가 점점 커지고 있다. 2014년 마운트곡스 해킹 사건은 그해 도난 액수의 99%를, 작년 코인체크 해킹 사건은 연간 피해액의 62%를 차지했다. 올해 들어서는 거래소 4곳이 해킹 공격을 받아 6,900만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역대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은 42건에 달하지만 탈취 액수가 적어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사건들은 포함되지 않았다.▲ 前 일본 총리 "북일 정상회담 보다 암호화폐 규제 강화 시급"일본 지지통신에 따르면, 노다 요시히코 전 일본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사이버 공격을 통해 암호화폐를 갈취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며 "북일 정상회담 보다 암호화폐 규제 강화가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58COIN, 오늘 16:06 HT 납기 계약 상장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공식 채널을 통해 9일 16:06(현지 시간) HT 납기 계약을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BNB에 이어 두 번째 납기 계약 상품 상장이다. 또한 이날 58COIN 측은 HT 관련 명세서를 공개하며, 레귤러 계약 마켓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계약은 격리 마진 모델을 채택하고 매주 금요일 17:58(현지 시간) 결산이 이루어지며 계약 만기일은 11월 15일이다. 동시에 58COIN은 2배, 3배, 5배, 10배, 20배, 33배, 50배, 100배 등 8가지 마진 거래를 제공하며 테이커, 메이커 수수료는 0.015%가 적용된다. 또한 해당 상품은 포지션 리스크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인 예산 청산가 기능을 제공하며 이는 양방향 거래, 미실현 손익으로 포지션 진입, USDT 가격 표시 및 결산 등에 모두 적용된다는 설명이다.▲ 댄 라리머 "커뮤니티 '롤백' 건의 → 불가변성 인식 강화"댄 라리머 EOS 창시자는 9일 오전(한국시간) EOS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1. 매번 커뮤니티에서 '롤백(rollback)'이 거론될 때마다 롤백 시도는 실패로 끝났지만 블록체인의 '불가변성(immutable)' 인식은 강화되어왔다. '롤백'이 거론되지 않거나 시도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이러한 인식을 갖지 못했을 것이다.2. 'EOS는 블록 불가변성을 위해 아직도 3분이 소요되는 반면, BOS는 3초가 소요된다. 이로 인해 어떤 의도치 않은 결과가 초래되는가'에 대해, 통계적으로 EOSIO 블록들은 한번의 검증(confirmation)으로 불가변성을 보장할 수 있다. 마이크로포크로 분류되는 블록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작다. 마이크로포크가 발생한다 해도, 트랜잭션 검증은 유효하다. BOS의 성능은 EOS에서도 구현 가능하지만, 아직 그럴 필요까진 없다고 본다. 3.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이 이상적인가'에 대해, BP들의 손익분기점을 상회하는 수준이 필요하다. 그 이상의 수입에 대해선 BP들이 경쟁을 진행하게 될 것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 USDT(테더) 및 BTC(비트코인) 마켓 공식 오픈 이어 비트코인 환급 상품 출시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 USDT(테더) 및 BTC(비트코인) 마켓 공식 오픈 이어 비트코인 환급 상품 출시- 유블렉스, 자산관리 서비스 및 투자 기회 제공하는 VFAM 서비스 론칭으로 고객 자산 가치 안정적으로 지킬 것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UBLEX)가 테더(USDT)와 비트코인(BTC) 마켓을 지난 16일 공식적으로 오픈하고 거래소 오픈 이벤트를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국내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유블렉스는 4월 25일 목요일부터 1주일동안 0.995BTC를 예치하면 한 달 뒤 1BTC로 사용자들에게 환급하는 오픈 기념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안정적인 자산 관리를 위한 VFAM(Virtual Financial Asset Managmenet)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블렉스 관계자는 “이제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단순히 화폐를 거래하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해야 한다”며 “이러한 이유로 유블렉스는 거래소와 안정적 투자금 회수를 위한 암호화폐 자산관리 서비스를 추가로 론칭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암호화폐 투자를 어렵게 느끼는 누구라도 손쉽게 암호화폐를 일반 자산처럼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유블렉스의 큰 그림”이라며 “VFAM 마켓 내의 다양한 투자상품에 가입을 하게 되는 사용자들을 위해 유블렉스의 전문가들이 투자금을 대신 운영하여 암호화폐 투자가 처음인 투자자들 역시 안전한 투자가 가능한 세상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유블렉스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전문 보안 솔루션 기업인 ‘비트고(BitGo)’와 파트너쉽을 맺어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갖추고, 빠르게 변화하는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국제 로펌인 ‘가나도 어드보케이츠’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법률적 자문을 받고있다.
-
테조스 코리아·멀티캠퍼스, 안정성 높인 블록체인 전문가과정 개설
테조스 코리아·멀티캠퍼스, 안정성 높인 블록체인 전문가과정 개설블록체인 서비스 기업 테조스 코리아(대표 이진우)는 삼성 HR전문기업 멀티캠퍼스(대표 유연호)와 테조스 블록체인 교육 과정을 6월에 오픈한다.블록체인 교육과정 ‘테조스를 활용한 블록체인 트레이닝’은 개발자 및 블록체인 사업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6월 중순 오픈한다. 주요 특징은 테조스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tz벤처스(tzVentures)의 스타트업 프로그램으로 이어져, 블록체인 비즈니스 창업 준비자와 블록체인 비즈니스 투자자를 지원한다.오는 5월 31일에는 멀티캠퍼스 제1회 테크-밋업인 “Building your future on Tezos”에서 테조스 코리아가 발표한다. 이 행사는 블록체인(Blockchain),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BigData) 최신 이슈를 다루는 멀티캠퍼스 정기 행사로 1회 밋업에서 테조스 코리아는 플랫폼 생태계와 기술 특장점, 공개 교육과정, 테조스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tzVentures)을 소개한다. 장소는 멀티캠퍼스 선릉 교육센터에서 진행한다.멀티캠퍼스 콘텐츠개발운영팀 박진양 팀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 전문가 역량강화를 위해 테조스 코리아와 공개과정을 오픈한다” 라며 “블록체인 고급교육과 글로벌 커뮤니티와 네트워킹까지 활성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테조스 코리아 이진우 대표는 “국내 최고의 HR기업인 멀티캠퍼스와 블록체인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어 기쁘다.” 라며 “더 많은 사람들이 테조스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혁신적인 DApp을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테조스(Tezos)는 Delegated Proof-of-Stake 알고리즘을 적용한 Smart Contract 플랫폼으로 현재 전 세계 460명이 넘는 검증인이 있는 탈중앙화된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On-chain Governance를 통해 하드포크의 리스크 없이 기능 업그레이드 및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Smart Contract의 Formal Verification이 용이해 오류 없이 작동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
‘캐리 프로토콜’,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 상장
‘캐리 프로토콜’, 국내 최대 거래소 업비트 상장 - ‘캐리 프로토콜’, 17일 국내 1위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통해 단독 상장-소비자가 구매 데이터 통제권 보유, 데이터 업로드 통해 수익 창출 실현-구매 데이터 기반 타겟팅 광고 가능, 점주는 잠재 고객 확보 및 소통-도도포인트, 카카오 클레이튼 등 사업자들과 활성화 위한 생태계 조성, 확대 계획 오프라인 커머스 기반 블록체인 암호화폐 ‘캐리 프로토콜(Carry Protocol, 대표: 손성훈, 최재승)’이 업비트를 통해 국내 첫 상장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 해 3분기 크라우드 세일을 완료한 데 이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단독 상장했으며 17일 오후부터 거래된다. 전체 토큰 발행량 100억개 중 1.55%에 해당하는 물량이 유통될 예정이다. 캐리 프로토콜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플랫폼이다.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 내 파편적으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소비자가 자신의 결제데이터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도록 하는 프로젝트로 지난해 시작됐다. 캐리 프로토콜을 통해 소비자는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해 상품을 구입하고 포인트를 적립한 뒤 결제 데이터를 익명으로 업로드 하거나 광고 수신을 동의하면 이에 대한 보상으로 캐리 토큰(CRE)을 획득할 수 있다. 소비자는 보유한 캐리 토큰을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해 상품을 구매하거나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해 현금화할 수 있다. 사업의 성패를 결정할 오프라인 포인트 제도는 1,900만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도도포인트’의 스포카가 합류하면서 국내 최대 규모의 포인트 서비스 블록체인 사업이 가능하게 했다. 이외에도 반려동물 종합 플랫폼 ‘펫닥’, 암호화페 지갑 ‘코인 매니저’, 빅데이터 분석 업체 ‘디지투스’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지갑(월렛), 단말기, 정산, 광고 등 분야의 기업들과 파트너십(ECA; Enterprise Carry Alliance)을 맺고 있다. 캐리 프로토콜은 소비자들의 구매 분석 데이터를 광고주들에게 제공하게 되며 광고주는 소비자의 오프라인 구매패턴을 바탕으로 세밀하게 타겟팅된 광고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점주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잠재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적립 포인트, 쿠폰, 이벤트 공지 등을 브랜드 토큰 형태로 소비자에게 발송할 수 있다. 최재승 캐리 프토토콜 공동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약 2.8경원에 이르는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에서의 데이터 관리가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고객과 점주가 ‘윈윈’할 수 있는 생태계가 조성됐다“라며 “올 하반기 내 현장 테스트를 거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먹고 마시는 등 일상생활에서의 오프라인 소비 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암호화폐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캐리 프로토콜은 국내 1위 오프라인 매장 리워드 플랫폼 ‘도도포인트’ 운영사 스포카의 창업팀으로부터 출범했다. 도도포인트는 전국 1만개 매장 1,900만 고객을 확보 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적립건수 12만 건인 캐리 프로토콜의 핵심 파트너 서비스다. 캐리 프로토콜은 지금까지 쌓아온 도도포인트의 데이터와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소비자 접근성을 빠르게 넓힌다는 방안이다. 캐리 프로토콜은 이를 위해 올 1분기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커머스 분야 파트너로 합류했으며, 지난해 라인의 벤처펀드 ‘언블락벤처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기도 했다.
-
비트파이넥스, 리퀴드 네트워크 활용…BTC 전송시간 단축
▲ 中 마이닝 풀 CEO "바이낸스 BTC 롤백, 사토시는 동의할 것"중국계 대형 마이닝 풀 BTC.TOP의 장줘얼(江卓尔) 최고경영자(CEO)가 오늘(9일) 본인의 웨이보 계정을 통해 "자오창펑(赵长鹏) 바이낸스 CEO의 언급으로 논란이 된 BTC 롤백은 실용주의적인 사토시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다"며 "사토시는 프로젝트 초기에 정부와 대치하지 않기 위해 위키리크스의 비트코인 후원금 사용을 저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그의 주장은 다음과 같다.1. 일각에서 제기되는 가설처럼, FBI 등 정부기관이 BTC를 도난 당했거나 테러리스트가 해당 자금으로 핵탄두를 구입할 계획이라면, 대부분의 채굴 기업들은 BTC를 롤백하라는 정부 요청에 응할 수 밖에 없다.2. 이 경우 대부분의 해시파워, 사용자는 롤백이 발생한 네트워크를 사용할 것이며, 소수의 반대파로 인해 DAO 사태 이후 ETH, ETC가 분리된 것과 유사한 상황이 연출될 것이다.3. 문제의 트랜잭션만 수정하고, 이 후 발생한 거래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 블록 재구성(re-org)이 가능하며, BTC 네트워크의 불가변성을 중시하는 차원에서 10블록 이상의 재구성을 금지하는 규칙을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비트파이넥스, 리퀴드 네트워크 활용…BTC 전송시간 단축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블록스트림의 리퀴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시작했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했다. 블록스트림(Blockstream)이 개발한 리퀴드 네트워크(Liquid Network)는 비트코인 사이드 체인 기술을 활용한 거래소 간 결제 네트워크로, 빠르고 안전한 비트코인 전송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앞서 8일 블록스트림은 리퀴드 네트워크에 35개 회원사가 있다고 밝혔으며, 회원사들은 비트코인 사이드체인 토큰 '리퀴드 비트코인(L-BTC)'을 통해 상호 간 BTC 전송시간을 약 2분으로 단축할 수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JP모건, 블록체인 플랫폼 쿼럼 꾸준한 업데이트
▲ 中 CAICT "2025년 글로벌 기업용 블록체인 시장 규모 200억 달러 전망"중국 공업정보화부 정보통신연구원(CAICT)이 오늘(9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블록체인 통신 업계 응용 백서 1.0'을 발표했다. 백서는 다수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을 인용해 "글로벌 기업용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18년 46억 달러에서 2022년 139.6억 달러, 2025년 203억 달러까지 증가해 연평균 42.8%의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JP모건, 블록체인 플랫폼 쿼럼 꾸준한 업데이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JP모건이 지난 6개월 동안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쿼럼(Quorum)을 계속해서 업데이트 중이다. 업데이트 내역 중 하나는 하스켈(Haskell)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쿼럼의 프라이버시 레이어 Constellation을 Tessera로 변경했다. Tessera는 자바(Java)로 구축돼 기업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JP모건은 최근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와 파트너십을 체결, 쿼럼 보급에 박차를 가했다.▲ 게이트아이오 코리아, 유튜브서 생방송 진행 중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 코리아가 오늘 오후 7시부터 블록체인 기술, 업계 최대 이슈, 게이트아이오 최신 정보 등을 주제로 유튜브 생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생방송은 오후 8시까지 진행되며, 참여 시청자들의 문답 형식으로 진행 중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KCoin 창업자 "블록체인 신용정보 시스템, 사회적 인프라로 거듭나야"
▲ 中 유명 투자자 "비트파이넥스 LEO 토큰, IEO 안할 듯"중국 유명 암호화폐 업계 인사 자오둥(赵东) 디펀드 창업자가 중국 SNS 위챗(Wechat)을 통해 "비트파이넥스의 플랫폼 토큰 'LEO'는 IEO를 진행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투자 리서치 업체 펀드스트랫(Fundstrat Global Advisors)의 설립자 톰리(Tom Lee)는 6일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트파이넥스의 플랫폼 토큰 LEO가 사전 판매서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다"고 전했다. 한편 업계에선 "비트파이넥스가 10억 달러 상당의 플랫폼 토큰 'LEO'를 발행하는 것은 최근 동결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함"이라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펙쉴드 리서치 센터장 "바이낸스 BTC 롤백 가능성 없어"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팩쉴드(PeckShield)의 실리콘 밸리 리서치 센터장 제프 류(Jeff Liu)가 중국 최대 블록체인 미디어 비스제와 인터뷰에서 "BTC 코드를 변경하거나 51% 공격을 통한 롤백으로 바이낸스 도난 BTC를 복구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0)에 가깝다"고 말했다. 현재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BTC 롤백 이슈는 그저 토론에 불과하며, 롤백이 사실상 BTC 네트워크에 대한 51% 공격인만큼 높은 비용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어 BTC 도난 트랜잭션 삭제는 이론적으로 다른 트랜잭션도 지울 수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더불어 코드 변경이든 51% 공격이든 해커가 탈취한 BTC를 되찾아올 수 없으며 단지 해커의 BTC를 무효 자산으로 만들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도난 당한 BTC를 되찾을 방법은 해당 BTC의 이동을 실시간 추적해 거래소에 유입되자마자 압류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펙쉴드에 따르면 현재 도난 BTC는 그 어떤 거래소에도 유입되지 않은 상태다.▲ OKCoin 창업자 "블록체인 신용정보 시스템, 사회적 인프라로 거듭나야"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오케이코인(OKCoin)의 창업자 쉬밍싱(徐明星)이 최근 "블록체인 신용정보 시스템은 정부, 규제 기관이 공동 운영하는 사회적 인프라여야 한다"며 "모두가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신용정보를 사용할 때 포인트나 돈을 지불할 수 있다. 전제는 이 블록체인이 특정 기관의 소유가 아닌 개방된 사회 인프라여야 하며, 이런 시스템은 중소기업의 발전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