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플, 재단 보유 분 10억 XRP 시중 유통
▲ 바이낸스, 아프리카서 블록체인 기반 자선 사업 진행바이낸스 자선 사업 책임자인 헬렌 하이가 오늘 트위터를 통해 AMA(Ask Me Anything)를 진행했다. 그는 바이낸스 자선 사업의 첫번째 목표로 아프리카에서 진행 중인 '라스트 1마일' 프로젝트를 꼽았다. 라스트 1마일 프로젝트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기존의 자선 사업 시스템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이낸스는 이를 위해 기술팀을 아프리카 현지에 파견한 상태다. 동시에 우간다 등 비교적 암호화폐에 개방적인 국가의 정부와 손잡고 BNB, ETH, BTC 등 암호화폐를 통해 자선 자금을 모집하는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월요일,2019년 04월 01일▲ 컨센시스 벤처스,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가동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컨센시스 산하 투자 기관 컨센시스 벤처스가 자체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테크욘(Techyon) 2.0을 통해 10개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이번 프로그램에 선정된 프로젝트들은 각각 프라이빗, 암호화 기술, 헬스케어, 탈중앙화 자금 조달 플랫폼 관련 스타트업들로 나타났다.▲ 58COIN, 17회 글로벌 매니저 커미션 결산 완료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글로벌 매니저들에 대한 커미션을 결산 완료했다고 공지했다. 이는 글로벌 매니저 거버넌스 도입 후 17번째의 결산이다. 이번 결산을 통해 총 30만 달러가 지급됐으며, 누적 커미션은 400만 달러를 넘어섰다. 거래소 측에 따르면 58COIN 글로벌 매니저로 인증을 받으면 별다른 자산 동결없이 60%의 커미션을 획득할 수 있다.▲ 리플, 재단 보유 분 10억 XRP 시중 유통오늘(1일) 리플 측이 재단 에스크로 계좌 보유분 10억 XRP를 시중에 풀었다. 약 3.09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다. 이로써 리플 재단이 에스크로 계좌에 보유한 분량은 535억 XRP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총 공급량의 54%에 해당하는 규모다. 리플 재단은 매월 10억 XRP를 장외 시장을 통해 기관에 판매하고 있다.▲ 버닝썬 게이트 린사모, 암호화폐 작전으로 자금 조달 의혹MBC가 오늘 버닝썬 게이트 연루 관계자 중 한명으로 꼽히는 타이완 여성 린사모가 대규모 자금을 암호화폐 거래소 작전으로 조달했다는 정황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린사모는 국내 부동산에 최소 300억원을 투자한 뒤, 관세청에 1원도 반입신고를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린사모의 지인은 국내 소형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작은 암호화폐를 골라 뻥튀기 한뒤 순식간에 팔고 나오는 이른바 '작전'을 썼다고 제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현재 린사모의 금고지기 안모씨를 피의자로 입건해 투자금 조성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댄 라리머 "BTC 반감기, 탈 중앙화 견인"
▲ 코인베이스 CEO "암호화폐 상장 관련 중립 입장 고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가 "암호화폐 상장과 관련해서는 '트레이딩 정책'(trading policy)에 따라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며 "코인베이스는 어떤 종류의 암호화폐에도 치우치지 않고 평가하지 않을 것이며, 상장과 관련된 사전 언급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AMA(Ask Me Anything) 세션에서 디지바이트(DGB, 시가총액 45) 지지자들로부터 해당 암호화폐를 코인베이스에 상장시키라는 트윗 및 댓글 폭격을 당한 바 있다.▲ 美 코넬대 교수 "암호화폐, 기술한계 극복 시 1조 달러 시총 가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에민 귄 시러(EminGünSirer) 코넬대 교수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는 확장성 문제를 안고도 7,000 억 달러 규모의 시가총액을 기록했다. 확장성 문제, 메인스트림 채택, 레이어 애플리케이션의 사회 공헌 등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다면 암호화폐 시장은 1조 달러 시총을 넘어설 것"이라며 "암호화폐 시장의 겨울은 끝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암호화폐 규제에 대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이성적인 논리에 귀를 닫고 있다. SEC의 암호화폐 규제는 어리석은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며, 이에 반대한다는 것은 이치에 어긋난다"고 덧붙였다.▲ 외신 "올 1분기 DASH·LTC·BNB·XTZ 등 알트코인 강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가 "올 1분기 들어 DASH, LTC, BNB, XTZ 등 알트코인 가격이 100% 이상 오르며 암호화폐 시장 강세 모멘텀을 장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미디어는 "지난해 BTC 가치는 70% 이상 하락했지만, 올연초 들어 암호화폐 시장은 꾸준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 상승세는 BTC보다 알트코인의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데 BTC의 시가총액 점유율은 지난 1월 대비 4% 하락해 50% 초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암호화폐 시장 총 시가총액 역시 1,453억 달러 규모로 1월초 1,250억 달러보다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라고 부연했다.▲ 댄 라리머 "BTC 반감기, 탈 중앙화 견인"댄 라리머 EOS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이 반감기의 영향으로 채굴에 따른 비용이 보상을 넘어서게 될 것"이라며 "이에 순수한 거래 수요가 비트코인의 탈중앙화를 견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또한 채굴 난이도의 하락을 통해서만이 하드웨어의 성능 차이를 메꿀 수 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스토리지(STORJ),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분산화된 클라우드 저장 플랫폼.
[후오비 오늘의 코인] 스토리지(STORJ),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분산화된 클라우드 저장 플랫폼.스토리지(STORJ)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의 ERC20 토큰으로 분산화된 클라우드 저장 플랫폼. 기업 또는 개인이 저장소가 필요하면 HDD나 SDD같은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확장할 필요 없이 스토리지의 플랫폼에서 저장소를 대여해 사용할 수 있다. 저장소를 제공해주는 공급자에게는 보상을 해주며 공유된 저장소는 분산화 처리돼 해킹, 노출 등의 위험이 거의 없다.힛체인(HIT)블록체인 기반의 개발자 커뮤니티. 기존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플랫폼의 중앙화 구조, 불공정함,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신개념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이 공유하는 리소스의 가치를 평가 및 측정에 따라 보상해 주는 시스템이다. DPOS와 PBFT 두 가지의 알고리즘을 사용한다.메디쉐어스(MDS)ERC20 토큰 기반의 국제 공제보험 시장 연결 플랫폼. 기존 통합 보험사 네트워크에 스마트 콘트랙트 기술을 융합한 형태의 플랫폼으로 운영비 절감과 리스크 감소에 초점을 맞췄다. 보험회사와 의료 및 관계 기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절감된 운영비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1차적으로 건강, 재산 공제보험에 대한 플랫폼을 시작으로 이후에는 여러 타 분야 공제보험 플랫폼으로 성장하려는 로드맵을 가지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두나무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오픈, 고객 소통채널 확대
두나무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오픈, 고객 소통채널 확대- 두나무 서비스 및 자회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고객 소통을 위해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오픈- 네이버 블로그 및 포스트, 페이스북, 트위터, 미디엄, 링크드인 채널 운영, 고객 접점 확대- 업비트, 카카오스탁 소식은 물론, 블록체인 산업 전반에 대한 다채로운 컨텐츠 연재이제 업비트와 카카오스탁 소식을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두나무(대표 이석우)는 자사 서비스와 자회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 및 신뢰 기반의 고객 소통을 위해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오픈한다고 15일 밝혔다.두나무는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포스트, 페이스북, 트위터, 미디엄, 링크드인까지 6개 채널을 운영한다. 각 채널이 가진 고유의 특성을 살려 고객과의 소통 접점을 늘려 나간다는 계획이다.네이버 블로그와 포스트, 페이스북에서는 두나무 서비스(업비트, 카카오스탁, 루니버스)와 자회사(두나무투자일임, 두나무앤파트너스) 소식까지 다양한 정보를 폭넓게 담아낼 예정이다. 최근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술, 산업, 사람에 대한 소식이 카드뉴스 형태로 발행된다. .트위터, 미디엄과 링크드인에서는 두나무 관련 콘텐츠가 영문으로 소개된다. 업비트가 싱가폴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를 필두로 글로벌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어, 해당 채널을 통해 기업 브랜딩, 주요 공지 사항 전달, 인적 네트워크 형성, 해외 고객들과의 소통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두나무 관계자는 “고객과 파트너들에게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소통하기 위해 다양한 공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오픈했다“며 “이제 유용한 투자 정보는 물론, 두나무 서비스 관련 소식,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업계 관련 내용도 발빠르게 전달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윙클보스 캐피탈 "암호화폐 시장 기관 유입, 시간 필요"
▲ 외신 "셰이프쉬프트, 300만 달러 미만 규모 자금 세탁 관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블록체인 분석 업체인 CipherBlade가 스위스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셰이프쉬프트(ShapeShift)의 요청으로 인해 조사한 결과, 자금 세탁에 연루된 거래액은 300만 달러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월스트리트 저널은 해당 암호화폐 거래소가 수년 동안 최소 900만 달러 규모의 자금 세탁에 관여한 바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시린랩스, MEW와 파트너십 체결...FINNEY에 MEW 서비스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넷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스위스 소재 스마트폰 개발 스타트업 시린랩스(Sirin Labs)가 마이이더월렛(MEW, MyEtherWallet)과 파트너십을 체결, 향후 MEW의 서비스가 시린랩스의 첫번째 블록체인 스마트폰 제품인 'FINNEY'의 콜드 월렛 보관 시스템에 도입될 예정이다. 이에 앞으로 MEW 커뮤니티 사용자는 MEW를 통해 모바일 또는 웹 사이트 플랫폼에서 FINNEY를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더리움 기술 개발 업체, ZEC와 파트너십 체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술 개발 업체 패리티 테크놀로지(Parity Technologies)가 지캐시(ZEC, 시가총액 22위)와 파트너십을 체결, 이를 통해 양측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위한 새로운 대체 클라이언트 노드를 구축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ZEC는 현재 3.78% 상승한 58.8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AT, 데스크탑 브라우저 다운로드 채널 출시베이직어텐션토큰(BAT, 시총 28위)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20일(현지시간) 데스크탑 브라우저 다운로드 채널인 나이트리 채널(Nightly Channel)을 출시했다. 나이트리 채널은 불안정한 환경에서 브라우저의 테스트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기능과 최신 복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게 BAT 측의 설명이다.▲ XTZ, 1라운드 시스템 업그레이드 투표 종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테조스(XTZ, 시가총액 21위)가 시스템 업그레이드 제안인 'Athens A', 'Athens B'에 대한 1라운드 투표를 진행, 해당 투표에서 총 25,855표 중 Athens A가 18,181표를 득표하며 투표가 종료됐다. 그러나 커뮤니티 구성원 중 절반 이상이 기권표를 던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테조스 재단은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두 제안 모두 찬성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日 GMO 설문조사 응답자 중 70% "암호화폐, 장기 투자 항목"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일본 대형 IT 기업 GMO 인터넷이 2월 한 달 동안 약 11,000명의 일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중 70% 이상이 "암호화폐는 장기 투자 항목"이라며 "투기야말로 암호화폐의 매력"이라고 답했다. 한편, 현재 암호화폐 투자자 중 90%는 20세부터 40세 사이의 투자자들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당 설문조사 응답자 중 95%는 약 100만 엔(약 8,961 달러)을, 약 77%는 10만 엔(약 896 달러) 이하를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美 CFTC 위원 "암호화폐 시장 참여자, 규제받기 원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댄 벌코비츠(Dan Berkovitz)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이 한 인터뷰에서 "최근에 암호화폐 시장의 많은 참여자들이 규제를 받기를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여러 시장에서 거래되는 여타 상품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 우리의 모든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그는 규제된 암호화폐 시장의 분위기가 조성되면 여러 기업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에 뛰어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美 시카고 시장 "암호화폐 채택, 피할 수 없는 선택"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18일(현지 시간) 람 이매뉴얼(Rahm Emanuel) 미국 시카고 시장이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회의에서 "암호화폐의 채택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민족국가의 쇠퇴와 동시에 도시국가가 떠오르는 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치환경은 이전과 다른 국면을 맞이할 것이며, 누군가는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암호화폐를 통해 생존방안을 강구할 것이다. 그때 암호화폐의 채택을 피할 수 없을 때가 왔음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브루킹스 연구소 "SEC, 암호화 자산 규제 강화해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e)가 최신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 자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할 때"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보고서는 "SEC의 암호화 자산 규제 강화를 통해 신기술의 개발, 암호화 자산의 불법 결제 방지, 사이버 공격 관련 리스크 완화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윙클보스 캐피탈 "암호화폐 시장 기관 유입, 시간 필요"윙클보스 형제가 설립한 암호화폐 전문 벤처캐피탈 윙클보스 캐피탈의 파트너인 스털링 위츠케(Sterling Witzke)가 최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에 기관 투자자들이 더 유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월가의 기관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거 유입되는 시점이 올해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관들의 유입을 위해서는 보다 개선된 수탁 관리(커스터디) 시장이 필요하고, 건강한 신용대출 시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업계, ‘암호화폐 결제·송금 플랫폼’ 출시 잇따라
블록체인 업계, ‘암호화폐 결제·송금 플랫폼’ 출시 잇따라-국내 블록체인 업체, 암호화폐 결제와 송금 플랫폼 속속 선보여..-국내 업체로는 하이콘페이(HYCONPAY), 레밋(REMIIT), 테라(Terra) 등 눈길.삼성전자가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을 육성·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블록체인 기반 스타트업들에게도 본격 지원하고 있다. 오는 20일 공개를 앞두고 있는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10에는 암호화폐 지갑 기능이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암호화폐 결제는 물론 실시간 송금까지 금융서비스가 확대될 전망이다.업계에서는 삼성전자 갤럭시 이용자가 암호화폐 시장으로 넘어오면 시장이 빠르게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러한 가운데, 국내 블록체인 업체들도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과 해외송금 플랫폼을 속속 선보이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국내업체가 개발할 플랫폼으로는 하이콘페이(HYCONPAY), 레밋(REMIIT), 테라(Terra) 등이 있다.◇글로스퍼∙하이콘, 암호화폐 하이콘 결제 플랫폼 ‘하이콘페이(HYCONPAY)’ 출시.글로스퍼∙하이콘(대표 김태원)은 암호화폐 하이콘 결제 플랫폼 ‘하이콘페이(HYCONPAY)’를 최근 선보였다. 아프리카TV '암행어사 시즌2'을 통해 런칭하며 경기도 가평 오버더마운틴 호텔을 첫 사용처로 소개하기도 했다.이번 하이콘페이 런칭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하이콘 지급 결제 서비스를 본격 도입하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함으로써 실질적인 ‘하이콘 페이’ 확산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하이콘 페이로 결제하는 이용자에게 오버더마운틴 호텔 할인(25%)을 제공하고, 남이섬∙쁘띠프랑스 등 가평 주요 관광지 내 사용처 확산을 협의 중에 있다.김태원 글로스퍼∙하이콘 대표는 “암호화폐가 흔히 ‘사용할 공간이 없어서 효용이 없다’고 하는데, 일반 유통매장에서는 기존 화폐가 더 사용이 편하니 당연한 것”이라며 “하이콘 페이 사용처로는 숙박업소나 테마파크처럼 관광과 관련된 가맹점이 주요 대상이라며, 호텔이나 놀이공원, 지역 축제장의 경우 내부에서 일정한 규칙을 통해 소비가 이뤄지는 특성이 있고, 사전에 예약하는 경우도 많아 암호화폐 사용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이어 김 대표는 “올해 안에 한국과 일본 등 30개국에서 하이콘페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특히 일본의 지역 축제 준비위원회 등에서 조기예약 등에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레밋(REMIIT),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개발.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레밋(REMIIT)(안찬수 대표)은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송금 및 지급결제 플랫폼이다. 국가간 송금과 거래를 저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레밋(REMIIT)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블루팬넷은 2015년 4월에 설립 후 암호화폐 해외송금 서비스를 시작한 업체이다.초기 필리핀을 시작으로 중국과 베트남, 호주, 홍콩 등 송금 가능 국가는 6개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재사용률은 무려 90%로 해외 이주노동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목표를 달성한 바 있다.레밋(REMIIT) 토큰 이코노미는 거래 안정성과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토큰을 레미(REMI)와 렘디(REMD)로 이원화하여 꾸준한 유동성이 공급되도록 했다. 레미(REMI)는 외부 거래소에 상장돼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고, 렘디(REMD)는 해외송금업체(MTO)들이 해외 송금에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토큰이다. 렘디(REMD)를 이용해 국가간 송금업무를 수행하려는 사람은 먼저 시장에서 레미(REMI)를 획득한 후 이를 스테이킹 해 렘디(REMD)로 교환해야 한다. 레밋은 교환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스테이킹 하는 REMI의 금액과 기간에 비례해 일정 비율의 REMI를 인센티브로 제공한다.레밋(REMIIT)은 현재 제휴된 해외송금업체들과 2019년 3분기 이후 제한적인 해외 송금 플랫폼이 가동될 예정이며, 성공적인 2019년 로드맵 완수를 위해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테라(Terra), 티몬 내 암호화폐 결제 상용화 목표 준비.국내 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을 이끌었던 ‘티켓몬스터’의 창업자 신현성 의장이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테라(Terra)’를 통해 업계 진출을 알렸다.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 테라는 티몬 내 암호화폐 결제 상용화를 목표로 현재 막바지 준비 중이다. 티몬도 암호화폐 결제를 위해 테라와 적극 협업 중이다. 신현성 테라 대표는 티몬의 창업자로서 현재 티몬 이사회 의장도 겸하고 있다.테라는 비트코인처럼 가격이 들쑥날쑥한 기존 암호화폐와 달리 가격 안정성이 유지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테라 가일정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가치를 보장할 수 있는 담보가 필요한데, 테라는 암호화폐 ‘루나’를 통한 스테이블코인 구조를 갖췄다. 2가지 종류의 암호화폐가 톱니처럼 맞물리며 작동하는 방식이다. 통화량은 블록체인 기반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된다.신현성 의장은 “현존하는 결제 시스템들이 기존의 금융 인프라에 정착하면서 실사용자들에게 적지 않은 부담”이라며 “블록체인을 통해 결제 시스템의 밸류체인을 혁신할 수 있다고 테라의 개발 동기”라고 밝혔다.
-
美 CFTC 위원 "CFTC, ETH 기술 및 기능 학습 의지 강해"
[美 시카고 시장 "암호화폐 채택, 피할 수 없는 선택"]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18일(현지 시간) 람 이매뉴얼(Rahm Emanuel) 미국 시카고 시장이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회의에서 "암호화폐의 채택은 피할 수 없는 선택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민족국가의 쇠퇴와 동시에 도시국가가 떠오르는 것은 전 세계적인 추세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치환경은 이전과 다른 국면을 맞이할 것이며, 누군가는 금융위기가 닥쳤을 때 암호화폐를 통해 생존방안을 강구할 것이다. 그때 암호화폐의 채택을 피할 수 없을 때가 왔음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美 브루킹스 연구소 "SEC, 암호화 자산 규제 강화해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e)가 최신 보고서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암호화 자산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할 때"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보고서는 "SEC의 암호화 자산 규제 강화를 통해 신기술의 개발, 암호화 자산의 불법 결제 방지, 사이버 공격 관련 리스크 완화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반에크 디지털 자산 총괄 "BTC, 일시적인 '유행' 아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최근 뉴욕 소재 상장지수펀드(ETF) 제공 업체 반에크의 디지털 자산 전략 총괄 가버 거백스(Gabor Gurbacs)가 "비트코인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BTC 시세가 1.95만 달러에서 3,000 달러 부근까지 하락하며, 일부 사람들은 BTC의 일시적인 유행이 지나갔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 일부 주요 암호화폐 기업들이 의미있는 진전을 이뤄냈고, 디지털 자산 시장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이날 투자자들에게 보내는 서신에서 "2019년 BTC는 '홈런'보다 상승 추세를 타며 점진적인 상승세를 기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美 보건복지부, 인공지능·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7백만 달러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렛저인사이트(Ledger Insights)에 따르면, 최근 미국 보건복지부(HHS)가 산하 바이마스터(BUYSMARTER) 플랫폼에 블록체인 및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위해 700만 달러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바이마스터 플랫폼은 HHS의 모든 구매 계약 혹은 조달 계약을 수집,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할 예정이다. 또한, AI 툴을 사용해 중복되는 데이터를 방지 및 분석해 시스템 효율을 제고한다는 설명이다.[美 CFTC 위원 "CFTC, ETH 기술 및 기능 학습 의지 강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최근 댄 벌코비츠(Dan Berkovitz)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이 한 인터뷰에서 "CFTC는 이더리움의 기술 및 기능에 대해 배우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잠재적으로 이더리움의 선물 계약과 상호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이날 "지난해 12월 시행한 ETH 기술 및 시장 이해를 위한 '대중 피드백 수렴' 이후, 일반 대중으로부터 30건이 넘는 '아주 좋은 피드백'을 접수했다"고 덧붙였다. [윙클보스 캐피탈 "암호화폐 시장 기관 유입, 시간 필요"] 윙클보스 형제가 설립한 암호화폐 전문 벤처캐피탈 윙클보스 캐피탈의 파트너인 스털링 위츠케(Sterling Witzke)가 최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에 기관 투자자들이 더 유입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월가의 기관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거 유입되는 시점이 올해가 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기관들의 유입을 위해서는 보다 개선된 수탁 관리(커스터디) 시장이 필요하고, 건강한 신용대출 시장이 형성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책 출간] 알기쉬운 블록체인 & 암호화폐 105문답
[블록체인 책 출간] 알기쉬운 블록체인 & 암호화폐 105문답김상규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책임연구원이 쓴 이 출간됐다.모두 11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암호화폐의 기초 알아보기 ▲블록체인 자세히 알아보기 ▲블록체인의 다양한 활용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국내외 동향 ▲암호화폐 투자 개론 ▲암호화폐 거래하기 ▲암호화폐 채굴 ▲암호화폐 ICO ▲비트코인 자세히 알아보기 ▲알트코인 알아보기 ▲블록체인/암호화폐 정책과 미래 등에 대해 알기쉽게 설명하고 있으며, 부록으로는 블록체인/암호화폐 용어를 정리했다.책 소개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가치의 저장과 전송 기능만을 갖는 비트코인에서 시작하였지만 현재 금융, 비금융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트코인과 실생활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만을 가지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블록체인을 사회 곳곳에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기술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독자들이 오늘날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분야와 잠재력을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서 블록체인이 가져올 변화와 충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고 설명하고 있다.저자는 김상규 연구원은 "모든 혁명의 시작은 언제나 가장 생동적이고 가슴 셀레는 시기다. 혁명의 초기에 참여하는 이들은 가장 큰 보상을 받고, 가장 큰 유산을 남기며, 가장 큰 즐거움을 얻는다. 블록체인 혁명이 막 일어나고 있다. 미래 전망에 대한 확신을 갖고 이 혁명에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한편, 저자인 김상규 연구원은 고려대학교 전기전자전파공학부를 졸업하였으며, 다방면에 대한 관심으로 공학사, 사회과학사, 법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전력IT연구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정보보호산업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을 거쳐 현재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 책임연구원으로 4차산업혁명 기술의 연구개발 기획·평가·관리를 맡고 있다.◇ 아래는 출판사 서평이다.2016년 11월,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차관 주재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핀테크 보안·인증기술 지원센터에서 ‘제35차 정보통신기술(ICT) 정책 해우소’를 개최하였다. 이날 행사에서 블로코, 코인플러그 등 블록체인 전문 기업과 한국은행, 신한금융지주 등의 금융권, SK, KT, IBM 등 ICT 기업, 학계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가 참석하여 블록체인 기술 활성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하는 블록체인 기술이 외국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국내 IT 업계가 시장을 주도해 나갈 좋은 기회로 보았고 우리 업계가 블록체인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규제 개선, 기술 개발, 인력 양성 등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하였다. 그 결과 2017년 1월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블록체인확산지원TF’ 팀이 신설되었으며, 새롭게 블록체인팀에 발령받고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와 규제 개선 등 정책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팀의 초기 역할은 블록체인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앞으로의 정책 방향을 세우는 것이었다. 블록체인 거버넌스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업계 의견을 모아 정부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부수적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정책에 대한 공부는 당연히 수반되었다.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해 이해하고 산업 활성화 추진 계획을 세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지속적으로 블록체인 산·학·연 전문가들과 모임을 가지며 하나씩 단계를 밟아 나갔다. 비교적 초기에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 센터장인 박성준 교수님을 초청하여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강의를 듣고 의논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교수님은 미래 핵심 기술로 블록체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보사회, 지식사회, 지능사회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다음의 차세대 인프라는 블록체인이 될 것이라고 하였다. 블록체인을 비트코인만 위주로 생각하고 있었던 일반적인 통념에서 벗어나서 블록체인의 진화로 인하여 이더리움과 같은 스마트 계약이 가능한 플랫폼이 발전할 것이라는 미래상을 보았다. 그 후로 2017년 한 해 동안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다. 블록체인 관련 정책 및 법제도 연구, 동향 조사, 블록체인 오픈 포럼 구성·운영 등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 기반을 조성하였다. 블록체인 TechBiz 컨퍼런스를 개최하며 블록체인 산·학·연·관 전문가들의 최대 행사로 발전시켰다. 성과를 바탕으로 2018년에는 정부 예산을 더 확보하여 다양한 블록체인 시범사업 진행, 시장 중심의 생태계 기반 조성, 블록체인 중장기 사업기획 등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블록체인 오픈 포럼 사무국 구성·운영, 블록체인 TechBiz 컨퍼런스 기획, 블록체인 활성화 정책 연구, 블록체인 비금융 분야 법제 개선 연구 등을 수행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고, 곧 도래할 블록체인의 시대에 가장 필요한 지식들을 알리기 위해 이 책을 썼다. 1993년 IBM은 세계 최초의 스마트폰 ‘사이먼’을 출시하였다. 20cm 길이에 4cm의 두께, 그리고 510g의 무게를 가진 이 폰은 16MHz의 프로세서와 4.5인치 160x293 해상도의 LCD, 1MB램, 1MB의 저장 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최신 폰인 갤럭시 S9+와(2.7GHz, 6.2인치 2960x1440 AMOLED, 6GB램, 256GB) 비교해 볼 때 단순 수치상으로 프로세서는 170배, 해상도는 90배, 램은 6,000배, 저장 공간은 26만 배의 성능 차이가 난다. 그렇지만 통화, 이메일, 주소록, 계산기, 달력, 게임, 카메라, 지도, 음악 등 PDA와 휴대전화가 한 기기 안에 통합된 당시로서는 상상도 못한 혁신적인 제품이었다. 또한, 휴대전화로 전화 거는 것을 터치스크린에서 구현하는 방법, 응용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방법, 휴대전화를 원격으로 설정해 활성화하는 방법 등이 이미 그 당시에 개발되어 있었다. 하지만 비싼 가격과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의 한계, 그 외 환경적 한계 등으로 완전한 실패로 끝났다. 당시 대부분의 사람은 이런 스마트폰을 필요 없는 제품으로 보았다. 당시 누가 스마트폰이 미래에 필수품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을까? 당시 스마트폰에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무시했던 사람들이 저지른 실수는 기술의 초기 단계만을 보고 그 기술을 판단하려 했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현재 블록체인 기술이 과장된 것이라고 주장하거나 실생활에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똑같은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 블록체인 기술은 가치의 저장과 전송 기능만을 갖는 비트코인에서 시작하였지만 현재 금융, 비금융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트코인과 실생활에서 활용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의 잠재력을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만을 가지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블록체인을 사회 곳곳에 적용하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기술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이 책의 목적은 독자들이 오늘날 블록체인 기술의 적용 분야와 잠재력을 이해하고 미래 사회에서 블록체인이 가져올 변화와 충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목차Part 1 암호화폐의 기초 알아보기 암호화폐란 무엇인가요? 암호화폐와 기존 화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암호화폐는 화폐인가요? 암호화폐는 어떻게 생겨났나요? 사토시 나카모토는 누구인가요? 암호화폐는 믿을수 있나요? 암호화폐의 종류는 어떻게 되나요? 암호화폐는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 비트코인의 첫 거래는 400억짜리 피자 암호화폐는 발행량이 얼마나 되나요? 암호화폐 개발사가 망하거나 개발자가 없어지면 어떻게 되나요? 국내에서 개발된 암호화폐도 있나요? 암호화폐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암호화폐의 거래는 익명성이 보장 되나요? Part 2 블록체인 자세히 알아보기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요? 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대표 산업인가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분리될 수 있나요? 블록체인은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블록체인상의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 한가요? 블록체인의 블록은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 지나요? 블록체인 기술은 어떻게 발전하고 있나요? 블록체인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블록체인에는 어떤 유형이 있나요? 블록체인의 보안성이 뛰어나다고 하는데 암호화폐 해킹사건은 왜 일어나나요? * 암호화폐 거래소 해킹 사건 블록체인이 적용된 서비스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Part 3 블록체인의 다양한 활용 블록체인은 비트코인처럼 송금 기능만 있나요? 해운 화물을 운송하는데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투표와 선거에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블록체인으로 만들어진 국가가 있나요? 병원진료에 블록체인이 활용될까요? 재난과 재해 복구지원에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전력거래에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신입사원 채용 시스템에 블록체인이 활용될까요? 돼지고기 유통에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다이아몬드에 블록체인이 활용되나요? 중고차 거래에 블록체인이 활용될 수 있나요? 원자력 안전을 위해 블록체인이 활용될 수 있나요? Part 4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국내외 동향 국내외 블록체인의 동향은 어떠한가요? 미국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유럽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 블록체인의 나라 에스토니아 중국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일본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그 외 국가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Part 5 암호화폐 투자 개론 암호화폐에 투자하면 누구나 돈을 벌수 있나요? 암호화폐 투자가 좋은 이유가 있나요? 투자하려면 어느 정도 지식이 필요한가요? 투자방법은 무엇이 있으며, 어떤 방법이 좋을까요? 암호화폐 투자방법론과 투자 원칙은 무엇이 있나요? 암호화폐는 주식투자와 투자기준이 다른가요? 처음 투자하는데 얼마정도로 시작할까요? 다른 자산과의 비중은 어떻게 조절해야 하나요? 암호화폐 백서란 무엇인가요? 주식과 암호화폐는 어떤 점이 다른가요? * 주식과 암호화폐의 급등락 비교 네덜란드 튤립파동과 암호화폐는 어떤점에서 차이가 있나요? Part 6 암호화폐 거래하기 암호화폐 거래 시 알아야 할 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어떤 거래소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김치 프리미엄이란 무엇인가요? 거래소별 가격 차이는 왜 발생하나요? 주식처럼 암호화폐도 상장폐지가 있나요? 암호화폐 시세는 다 같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나요? 단기투자와 장기투자 중 어떤 것을 할까요? 가치투자와 차트투자 중 어떤 것을 할까요? 호가란 무엇인가요? 거래체결은 어떻게 되나요? 지정가 주문과 시장가 주문은 무엇인가요? 세력, 작전이란 무엇인가요? 몇 종목 정도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요?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까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을까요? Part 7 암호화폐 채굴 암호화폐 채굴은 무엇인가요? * 암호화폐 채굴기 변천사 채굴은 어떻게 하며 어떤 종류가 있나요? 채굴기는 어떻게 제작하나요? 채굴의 수익성은 얼마나 되나요? Part 8 암호화폐 ICO ICO란 무엇인가요? * ICO 이후 4,000배 오른 코인 주식 IPO와 암호화폐 ICO는 어떤 점에서 다른가요? ICO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ICO 투자에 위험성은 없나요? ICO 사기는 어떻게 구별하나요? Part 9 비트코인 자세히 알아보기 비트코인은 무엇인가요? 비트코인은 어디에 사용할 수 있나요? 비트코인 채굴을 할 수 있나요? 비트코인의 거래는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비트코인은 문제점이 없나요? Part 10 알트코인 알아보기 이더리움은 왜 유명한가요? * 암호화폐의 차세대 지도자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은 다른 건가요? 리플도 암호화폐 인가요? * 일반 암호화폐와는 다른 리플 비트코인 캐시는 비트코인과 무엇이 다른가요? 비트코인SV는 어떻게 생겼나요? 비트코인 골드는 비트코인과 무엇이 다른가요? 라이트코인이 비트코인보다 더 좋은가요? 네오는 중국에서 개발되었나요? 퀀텀의 특징은 무엇이 있나요? * 인공위성을 발사한 블록체인 퀀텀 카르다노는 왜 3세대 코인인가요? 스텔라 루멘과 리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아이오타는 왜 사물인터넷에서 활용되나요? 이오스는 다른 코인보다 어떤 기술적 면에서 좋은가요? 모네로는 익명성이 보장되나요? 제트캐시는 모네로와 비슷한가요? Part 11 블록체인/암호화폐 정책과 미래 미래사회에서는 어떻게 쓰이게 될까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법·제도적인 현황은 어떤가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한 법률 이슈는 무엇이 있나요? 우리나라는 블록체인·암호화폐 정책을 어떻게 세워야 할까요? 암호화폐 은행이 등장할까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미래는 어떨까요? 추천사곽부규(법무법인 광장 변호사)블록체인 분야에서도 법률적 이슈가 급증하는 현실에서, 이 책은 관련 법률가 또는 일반인들에게 블록체인, 암호화폐에 관한 기술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 관련 서적들과는 기능적 차별성이 ... 더보기김사혁(정보통신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미래 인터넷 혁신을 이끌 블록체인 기술과 서비스, 암호화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소중한 책이 발간된 것을 축하합니다. (블록체인 예타 생태계분과 위원장)김종현(정보통신기획평가원 PM)4차 산업혁명에 중요한 데이터 공유 기술의 하나로 등장한 블록체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100가지 질문을 통해 블록체인 개념을 설명한 책으로, 기술 개발보다 활용에 관심을 가진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합니다.김항진(아이콘 루프이사)미래를 바꿀 블록체인, 많은 사람이 물어 왔던 질문에 해답을 제시하는 기다려 왔던 책이다. 질문과 답을 통해 블록체인의 실체에 이해하기 쉽고 분명하며 직관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공... 더보기김혜규(특허법원 사무관 , 변호사)블록체인의 활용 가능성은 이제부터 시작이고, 일상적인 삶에서의 계약서 작성, 신용카드 거래 등의 변화는 벌써 상식이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기술적 내용과 법률적 쟁점을 실무자 관점에서 소개하고 있는... 더보기김호평(서울특별시 시의원 , 변호사)블록체인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서울시에서는 시정 관리 및 정부 보조금 관리를 포함한 다양한 공공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투명성, 신뢰성, 효율성, 민주성을 실현하고 시민 편의성을 높일 것으... 더보기노종혁(한국마이크로소프트 상무)블록체인에 대해 꼭 알아야 하는 주제들을 콕 집어서 쉽게 설명하지만, 필자의 열정으로 책장이 뜨겁다. 글로벌 리더십 확보 정책 초기부터 깊이 관여해 온 필자의 통찰력이 확연하다. (미국변호사, 디지털 디플로머시)류재철(충남대학교 교수)필자는 KISA에 근무하면서 국내 블록체인 태동부터 지금까지의 발전 과정을 지켜보았던 경험을 살려 블록체인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문답 형태의 책을 저술하였다. 블록체인 기술에 궁금하였던 분들에게 좋은 길라잡이가 될... 더보기박세열(한국 IBM 블록체인 기술총괄상무)블록체인의 전반적인 개념 및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영역까지 문답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에 종사하는 분들께 가장 필요한 입문서가 될 것입니다.박현제(서강대학교 교수)블록체인을 이해하기 위해 개요부터 기술, 서비스 및 생태계까지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잘 정리된 입문서이다.손도일(법무법인 율촌 변호사)이 책은 미래의 주요 기반시설인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하여 깊이가 있으면서도 알기 쉽게 정리가 된 책입니다. 일반인부터 전문가까지 일독하면서 큰 흐름을 파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율촌 ICT팀장)오세현(SK텔레콤 전무)4차 산업혁명으로 모든 것이 초연결되는 시대에서 블록체인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블록체인이 바꿀 미래상을 미리 볼 수 있기를 바란다.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회장)유거송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해 누구나 궁금할만한 질문들이 정리된 책이다. 손에 잡히는 내용으로 알차게 구성된 훌륭한 입문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부연구위원)유호식(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본부장)이 책은 지금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블록체인에 대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 있으며, 특히 원자력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독의 가치가 있다.이대철(씨앤엘컨설팅 대표)저자는 공공 분야 블록체인 도입을 추진한 전문가로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순기능적 활용 가능성에 대해 이해를 돕는 지식서를 집필하였다. 본서는 암호 화폐의 편견을 깨뜨리고 미래 사회에 가져다 줄 본질적 혜택을 객관적 시각으로... 더보기이욱경(FSH KOREA 대표 컨설턴트)흔히들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만한 기술로 블록체인을 많이 언급하고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105문 105답은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와 활용,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 그리고 암호화폐의 거래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제시하여, 독... 더보기이은솔(메디블록 대표)블록체인이라는 키워드가 우리 사회에 던져진 이후, 많은 블록체인 관련 서적들이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그 어떤 서적도 이렇게 다양한 각도에서 블록체인을 조명한 책은 없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이중엽2018년 한 해 동안만 비트코인이 2,600만 원에서 360만 원선까지 급락했다. 이와 함께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기대에 가득찼던 시각도 보다 이성적으로 바뀌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중 하나로 자리매김... 더보기전삼구(더블체인 대표)전 세계는 지금 블록체인이 화두다. 넘쳐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와 코인들을 거시적 관점에서 판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입문 지침서로 추천한다.정연택(법무법인 바른 변호사)한국인터넷진흥원 블록체인 확산지원TF팀에서 대한민국 블록체인 기술의 시작을 담당했던 저자의 수고와 고민이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 중 가장 중요한 테마들로만 쉽고 재미있게 구성되어 이 책을 읽는 사람 ... 더보기조중환(CCTV뉴스 기자)블록체인의 혁명은 이미 시작됐다.《알기쉬운 블록체인&암호화폐 105문답》은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과 그 잠재력, 생태계에 없어서는 안 될 암호화폐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A~ Z까지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다.최용관(커먼즈파운데이션 이사장)블록체인과 암호화폐에 대해 이렇게 쉽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은 드물 것입니다. 블록체인, 암호화폐 관련 업무를 우리나라 공공기관에서 처음으로 시작했던 저자의 고민과 노력이 녹아 있기에 가능했을 것입니다. 이에 이 책을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
스위스, 암호화폐 특별법 채택 동의안 승인...규제 강화 전망
▲ 스위스, 암호화폐 특별법 채택 동의안 승인...규제 강화 전망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위스의 입법 기관인 연방 의회가 20일 암호화폐 특별법을 채택하도록 지시하는 동의안에 승인했다. 이사회 99석 중 찬성 83표다. 해당 특별법은 암호화폐 거래 관련 플랫폼을 운영하는 암호화폐를 금융 시장 감독 대상에 편입하고, 감독 및 규제를 강화해 금융 사고, 돈세탁 등 불법 행위를 방지해야 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앞서 스위스 재무부 측은 암호화폐 특별법 제정 대신 민법, 파산법 등 기존 현행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이번 특별법 통과 동의안 승인과 관련해 율리 마우러 재무장관은 "기존 규정의 범위를 넘어섰다 "고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앞서 스위스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은행기구 바젤은행감독위원회는 "암호화폐가 금융안정에 불확실성을 더하고 잠재 리스크가 될 수 있다"며 "신뢰할 수 없는 암호화폐를 '암호화폐'로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中 치후 360, 갠드트랩 모든 버전 치료 지원중국 IT연구센터(CNIT-Research)에 따르면, 중국 최대 인터넷 보안 업체 치후 360가 "개인용 컴퓨터 뿐만 아니라 정부, 학교, 기업, 연구기관 등이 갠드크랩 랜섬웨어(GandCrab ransomware)의 표적이되고 있다"며 "현재 갠드크랩 랜섬웨어 4.0, 5.0, 5.0.2, 5.0.3, 5.0.4, 5.1 버전의 백신을 개발했으며, 갠드크랩 모든 버전의 치료를 지원한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얀트 암호화폐 지갑(YANT WALLET)을 설치하면 300 얀트코인 무상 지급
GBIH LIMITED, 얀트 전자지갑 설치 이벤트 진행얀트, 에어드롭 이벤트 3월 15일부터 전 세계 동시 진행 얀트 암호화폐 지갑(YANT WALLET)을 설치하면 300 얀트코인 무상 지급완전 분산형 P2P 거래시스템인 얀트(YANT)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GBIH LIMITED(대표 블리스 윤)는 15일 12시부터 3개월간 얀트코인 에어드롭 이벤트를 실시한다. 100여종의 암호화폐를 동시에 보관, 전송, 거래할 수 있는 얀트 암호화폐 지갑의 론칭을 기념하여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는 구글플레이 스토어에서 얀트 전자지갑(YANT WALLET) APP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300 얀트코인을 무상으로 지급한다. 얀트 암호화폐 지갑은 자체에 거래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어 외부의 거래소가 필요 없고, 암호화폐 지갑 그 자체가 거래소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2P 방식으로 당사자끼리 직접 거래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얀트 코인은 얀트(YANT)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얀트 전용 암호화폐이다. 향후 블록체인 관련 업계 파트너쉽을 통해 보상형 P2P 크라우드 펀딩, 선불카드충전, 상품구매 결제, 이벤트성 결제 등 사용과 활용 범위는 계속 확장될 예정이다. GBIH는 전 세계 동시에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를 통해 고객들이 얀트 암호화폐 지갑의 장점을 경험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며 무상으로 지급되는 얀트코인으로 이용할 수 있는 얀트 플랫폼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한다고 밝혔다.
-
비트맥스(BitMax io), 볼트(BOLT)와 상장 파트너십 체결
비트맥스(BitMax io), 볼트(BOLT)와 상장 파트너십 체결- 비트맥스 거래소에 한국 시간 3월 26일 오후 10시 볼트(BOLT)상장 예정3세대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 io)가 컨텐츠 기반 모바일 월렛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볼트(BOLT)와 상장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비트맥스는 3월 26일 오후 10시에 BTC와 USDT 마켓에 볼트를 상장할 예정이다. 비트맥스는 18년 8월에 출시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CEO 조지 차오(George Cao), COO 애리얼 링(Ariel Ling)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만든 거래소이다. 비트맥스는 세계 최초로 다중 채굴 모델을 적용했으며 OTC, 마진 거래를 지원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 이후 거래소 토큰인 BTMX의 상장과 함께 람다(Lambda), 엘티오 네트워크(LTO Network), 코바(COVA), 도스 네트워크(DoS) 등 7개의 프로젝트를 전 세계 최초로 상장시켜 3월 22일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전 세계 거래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볼트는 샤딩(Sharding)을 통해 블록체인의 확장성을 해결하는 질리카(Zilliqa) 플랫폼의 디앱(dApp)으로 컨텐츠를 기반으로 세계 최대 모바일 지갑 구축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볼트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인 볼트 플러스(BOLT+)와 볼트 지갑(BOLT Wallet)으로 나뉜다. 먼저 볼트 플러스로 컨텐츠 소비자와 제작자에게 토큰으로 보상하여 생태계를 구축하고, 올해 2분기 말에 출시되는 볼트 지갑에 생태계 전체를 통합하여 확장해나갈 예정이다.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유망한 프로젝트인 질리카 기반의 디앱(dApp)인 볼트를 상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볼트가 목표로 하는 콘텐츠 기반 세계 최대 모바일 지갑의 도입을 위해 계속해서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BTC 숏비율 우세
▲ 카카오, 자체 암호화폐 발행 추진뉴스1에 따르면 카카오가 자체 암호화폐 ‘카카오코인’ 발행을 추진한다. 해당 미디어는 카카오가 ‘블록체인 TF’와 또 다른 조직이 이끄는 ‘스텔라 TF’ 등 3개 암호화폐 개발팀을 뒀으며, 해당 개발팀이 ‘카카오 코인’을 비롯해 카카오톡에 적용할 ‘암호화폐 지갑’을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카카오코인은 일반적인 암호화폐 달리 ‘포인트’ 개념으로 활용되며, 이용자 활동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카카오 내부 소식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카카오코인이 통합 포인트 개념으로 활용될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카카오의 기존 서비스인 카카오 페이, 카카오 페이지, 멜론, 카카오 택시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카카오는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한 방안을 고려중인 것은 맞지만 아직 본사 차원의 암호화폐 발행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며 말을 아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BTC 숏비율 우세20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1.55%, 숏 포지션 비율은 27.65%를 기록하며, 숏 포지션 비율이 앞섰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3.22%, 14.59%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8.63만 BTC 로 전날 보다 소폭 증가했으며,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79.51만 ETH로 전날 대비 소폭 감소한 추세를 보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바이낸스, 호주 진출… 호주달러 거래서비스 제공
바이낸스, 호주 진출… 호주달러 거래서비스 제공글로벌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호주 진출을 선언했다. 현지 법정화폐와 암호화폐간 직접 거래를 제공해 호주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구상이다.22일 바이낸스는 호주달러(AUD)로 곧바로 암호화폐를 구입할 수 있는 거래플랫폼 바이낸스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Binance Lite Australia)를 출시한다고 밝혔다.호주 거주자들은 해당 플랫폼에 접속해 신원인증을 마친 후 플래그십 스토어에 방문해 호주달러로 암호화폐를 직접 구매할 수 있다. 호주 전역에 설치된 플래그십 스토어는 1300개 이상으로 현재는 비트코인(Bitcoin) 구매를 지원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다른 종류 암호화폐 구매도 지원할 전망이다.바이낸스는 바이낸스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를 통해 그동안 존재했던 법정통화와 암호화폐간 간극을 좁힐 계획이다. 앞서 바이낸스는 지난해 우간다 실링과 암호화폐간 직접 거래를 지원하는 바이낸스 우간다를 시작으로 올해초에는 유로화/영국 파운드화와 암호화폐간 거래서비스를 지원하는 바이낸스 저지를 설립한 바 있다. 또 싱가포르 지역에도 거래소 설립을 준비중이다.바이낸스 최고재무책임자(CFO)인 웨이 저우(Wei Zhou)는 “암호화폐 지평이 넓어질수록 핀테크 혁신에 한발 다가가는 격”이라면서 “바이낸스라이트오스트레일리아가 호주내 블록체인 진출의 교도보가 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
블록원 CEO "블록체인 신분증, 은행 이상의 보안 가치"
▲ HT 13.86%↑ 강세 지속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Huobi Pro)의 자체 발행 토큰 후오비토큰(HT, 시가총액 48위)이 코인마켓캡 기준 13.86% 오른 2.70 달러를 기록, 강세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앞서 리비오 웡(Livio Weng) 후오비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는 "후오비는 우수 프로젝트 상장 플랫폼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을 이번달 내 출시할 예정이며, HT를 활용해 우수 프로젝트들에 합리적인 상장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GXC, 21일 빗썸에 상장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21일 GXChain(GXC, 시가총액 70위)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빗썸은 21일 14시 GXC 입금 주소를 오픈하며, 21~23일 GXC 신규 상장기념 10만개 거래 에어드랍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와 관련해 GXChain 측은 "GXC는 빗썸 상장 후, GXChain은 한국 커뮤니티 개설, 파트너십 구축 등 한국 시장 개척에 힘을 싣을 예정"이라며 "현재 GXChain 재단은 한국 내 프로젝트 영향력을 제고하기 위해 다수 투자기관들의 GXChain 노드 경선 신청을 접수 받았다. GXChain은 향후 국내외 개발자, 커뮤니티에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며 보다 많은 협력관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GXC는 현재 22.53% 오른 1.2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록원 CEO "블록체인 신분증, 은행 이상의 보안 가치"이오스(EOISO) 개발사 블록원의 최고경영자(CEO)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당신의 블록체인 기반 ID는 세계에서 제일 큰 은행의 보안 가치보다 뛰어나다"며 "소매금융 시장은 이미 죽어가고 있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마운트곡스, 2차 채권자 회의 문건 발표…거래소 채무 6.23억 달러
▲ 스퀘어,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 엔지니어·개발자 채용암호화폐 지원 모바일 결제 서비스 업체 스퀘어(Square) 잭 돌시(Jack Dorsey) CEO가 트위터를 통해 “다수 엔지니어와 기술 개발자를 채용할 계획”이라며 “모두 전일제 직원으로,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비롯해 암호화폐 활용 등 기술 등 다양한 업무를 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스퀘어는 새로 채용된 직원을 대상으로 비트코인을 통한 월급 지급도 고려 중이다.▲ IOHK "카르다노 1.5 버젼 출시"전날 카르다노(ADA, 시가총액 11위) 개발사 IOHK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카르다노 1.5 버젼을 메인넷에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버젼은 ADA 로드맵 중 바이런(Byron) 단계의 마지막 버전이며, 셸리(Shelley) 개발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 과정이라는 설명이다. ADA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2.84% 오른 0.05338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스위스 암호화폐 ATM 업체, BCH 입출금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스위스 암호화폐 ATM 업체 Värdex Suisse가 19일(현지 시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당사 ATM 기기에 BCH 입출금 기능을 추가했다고 공지했다. 현재 Värdex Suisse는 취리히, 제네바, 베른 등 스위스 26개 도시에서 암호화폐 ATM을 운영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CH는 현재 0.76% 오른 160.3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마운트곡스, 2차 채권자 회의 문건 발표…거래소 채무 6.23억 달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 익스체인지 가이드(Bitcoin Exchange Guide)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마운트곡스 2차 채권자 회의에서 신규 문건을 발표하고 신탁 관리자 수탁 자금을 공개했다. 해당 금액은 6억 2,300만 달러로, 작년 9월 1차 채권자 회의 때 발표한 금액보다는 소폭 감소했다. 한편 마운트곡스 Co.Ltd(MTGOX Co.Ltd) 보유 코인은 14만 1,000 BTC, 4만 2,000 BCH 이상으로 나타났다. 거래소 보유 코인이 확정되면 신탁 관리자는 손실 투자자에게 자금을 반환할 책임을 지게 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中 신통원 "블록체인, 핀테크 분야서 광범위한 활용"
▲ 페이스북, 블록체인 사업 전담 법률 어드바이저 채용공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공식 사이트에 신제품 출시 및 국제 파트너십을 포함한 블록체인 이니셔티브 계약서 작성 및 협상을 전담할 법률 어드바이저 채용 공고를 게재했다. 이와 관련해 페이스북 측은 "해당 직책은 사업 관련 법률적 리스크, 비즈니스 전략 설계, 고객 조언 등 업무 내용이 포함되며, 법학전문석사(JD) 학위 수여자에 한해 접수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中 신통원 "블록체인, 핀테크 분야서 광범위한 활용"중국 공업정보화부 신통원(CAICT)이 21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2018년 핀테크 분야 10대 핫키워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에서 중국 신통원은 "블록체인 기술은 보험업, 공급망 관련 금융, 산업 규제, 디지털 금융, 결제 등 핀테크 관련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공급망 관련 금융 분야에서 블록체인은 암호화 데이터 기반 거래, 증명서 위·변조 방지, 스마트 컨트랙트 집행, 원장 공유를 통한 신용 보증 등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ETH gas 일일 소비량, 최근 6개월 최고 수준이더리움(ETH)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이더스캔(Etherscan.io)에 따르면, 19일 ETH gas의 일일 소비량이 425억 gwei를 상회하며 최근 6개월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ETH의 거래량 또한 최근 증가 추세를 나타내며 두 데이터 모두 동반 상승세를 나타내는 모양새다. ETH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65% 오른 140.2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암호화폐 투자사 모건크릭·이키가이, 파트너십 체결
▲ 코인마켓캡, 나스닥·블룸버그·로이터에 암호화폐 벤치마크 지수 제공암호화폐 정보 제공 플랫폼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이 두 가지 암호화폐 종합 헤드라인 인덱스(cryptocurrency benchmark index)를 출시한다고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해당 지수는 NASDAQ GIDS, Bloomberg Terminals, Thomson Reuters Eikon (Refinitiv), and Börse Stuttgart에 출시될 예정이며, 독일 소재 지수 제공 업체인 솔랙티브(Solactive)가 관리한다. 해당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200위권 기준으로 작성되며, BTC 포함 지수와 미포함 지수로 분류된다는 설명이다.▲ 日 오사카가스, 블록체인 전력 거래 시스템 테스트일본 오사카 소재 가스회사 오사카가스(Osaka Gas)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올 3월부터 오사카가스 소유 시범주택 '넥스트21'(NEXT21)에 블록체인 기반 전력 거래 시스템의 테스트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오사카가스 측은 "향후 첨단기술 도입을 통해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美 암호화폐 투자사 모건크릭·이키가이, 파트너십 체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투자업체 모건크릭디지털(Morgan Creek Digital)과 이키가이(Ikigai Asset Management)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0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양사는 암호화폐 헤지펀드 관련 사업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서비스, 질리카 지원코인베이스의 기관투자자 대상 암호화폐 보관 및 관리 서비스인 코인베이스 커스터디(Coinbase Custod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질리카(ZIL, 시가총액 36위)의 입출금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앞서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트러스트(Coinbase Custody Trust)는 지난해 10월 뉴욕 금융감독청(NYDFS)로부터 정식 승인을 받은 바 있다. ZIL은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56% 오른 0.01926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보안성 높인 통신 솔루션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상장
후오비 코리아, 보안성 높인 통신 솔루션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상장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분산 네트워크 프로젝트 ‘스크럼블 네트워크(Skrumble Network, SKM)’를 상장한다고 22일 밝혔다. 스크럼블 네트워크(SKM)는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 기술로 보안성을 높인 통신 솔루션이다. 메시징 앱이나 화상 전화, 파일 전송 시스템 제작 등에 활용되며 사용자의 데이터는 암호화 처리돼 해킹이나 조작이 불가능하다. 지난해 말 선보인 스크럼블 네트워크(SKM)의 첫 번째 디앱(dApp)인 앨리(Ally)는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보안성이 강화된 메시지 전송, 파일 저장, 실시간 스트리밍, 암호화폐 전송 등을 지원하고 있다. 22일 현재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입금 서비스가 오픈됐으며 같은 날 오후 4시(한국 시각)부터 BTC, ETH 마켓에서 SKM 거래를 개시할 예정이다. 25일 오후 3시 30분(한국 시각)에는 출금 서비스가 오픈될 예정이다. 또한,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상장을 기념해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첫 입금 또는 매수 후, 홀딩 시 최대 10만원 상당의 에어드롭 이벤트가 진행된다. 후오비 코리아 신규 가입 회원(Lv.2, 외국 국적자 포함) 대상이며, 신규가입 후 스크럼블 네트워크(SKM)를 처음 입금하거나 매수해서 보유하고 있으면 기간(5일, 10일, 20일)에 따라 에어드롭이 차등 지급된다. 최대 20일 보유 시 25,000 SKM을 받을 수 있다.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오세경 실장은 “소셜 메신저 분야에서 보안성과 안정성이 날로 중요해지고 있다”며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보안성을 강화한 ‘스크럼블 네트워크(SKM)’ 같은 프로젝트가 널리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