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OST processes more transactions in a day than Ethereum just one month after its mainnet launch
It’s been one month since IOST, the application-friendly next generation public blockchain network, became the first to launch an application-ready mainnet with multiple live decentralized applications (DApps). In the weeks since, IOST has shown tremendous success in growing its network of developers, partners and users. On 6 April, the IOST network surpassed a new record, processing more transactions (580,231) than the whole Ethereum network (558,272) within a day. Within the first month of its mainnet launch, IOST has: Registered as many as 213,872 live accounts on its network, with an average of 15,000 wallets added per day;Launched 9 DApps, including 6 games (one of which hit 700 million IOST tokens in a single day) and a USD-pegged Stablecoin;Been listed and traded on 26 exchanges;Processed more than 25 million transactions, including a peak of 580,231 transactions per day;Brought more than 100 partners and developers onboard to build the IOST ecosystem, all partners totalling to more than 200 today. These figures clock in a rate of growth that outstrips even the leading blockchain projects during their initial months post-mainnet. This week, IOST also partnered with Ehang, a China-based autonomous vehicle company, to provide flight data analytics in a new project for the 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CAAC). The project utilizes blockchain technology to deliver secure and reliable data to prevent data tampering by third parties.
-
암호화폐거래소 고팍스, ‘슈퍼트레이더 이벤트’ 진행
암호화폐거래소 고팍스, ‘슈퍼트레이더 이벤트’ 진행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대표 이준행)는 오는 4월 8일부터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스텔라 루멘(XLM)의 원화마켓에서 발생하는 총 거래수수료의 50%를 유저들이 받을 수 있는 '슈퍼트레이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오는 4월 8일(월) 오전 10시부터 12일(금) 오후 6시까지 진행된다. 고팍스는 이벤트 기간 중 자사의 BTC, ETH, XRP, XLM의 원화마켓 거래에서 발생하는 크립토 수수료(전체 수수료의 50%)를 상위 트레이더 3명에게 분배(1등 50%, 2등 30%, 3등 20%) 지급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벤트 기간 동안 매일 오전 11시, 오후 2시, 오후 6시에 BTC, ETH, XRP, XLM 원화마켓에서 거래한 상위 유저 10명을 공지한다고 밝혔다. 지급되는 금액은 오는 4월 17일(수) 중 해당 회원의 고팍스 개인 지갑으로 입금될 예정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고팍스는 그간 ISMS와 ISO/IEC 27001 인증을 업계 최초로 받는 등 보안에 대해 선투자를 해왔고, 코인 상장 시 투자자 보호를 위해 최초로 5분 동안 매수주문금지 정책과, 이더리룸 기반 암호화폐 오입금 회수 기능 정책 등을 만들어 운영시스템에 반영하는 등 보안과 거래소 운영에 대한 신뢰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거래소다. 고팍스 이준행 대표는 “전반적으로 시장이 아주 힘든 시기이긴 하지만 고팍스는 이러한 시기를 유저들의 편의성과 보안 등에 더 신경쓰고 업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거래소가 되기 위한 소중한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시기를 거침으로써 이 산업이 더욱 탄탄하게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고팍스는 작년 한해 고객들에게 신뢰를 많이 얻어 내적/외적으로 많이 성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암호화폐 거래소의 보안 및 운영의 표준을 지시하는 거래소로서 당당히 업계에 자리 잡을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이벤트는 고객들이 보여준 성원에 보답하는 차원에서 준비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고팍스는 자만하지 않고 더욱 더 발전해서 고객들에게 믿음을 줄 수 있는 거래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고팍스 슈퍼트레이더 이벤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고팍스 홈페이지(www.gopax.co.kr)내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
민나노 암호화폐 거래소, 4월 신규 업무 위해 거래 서비스 일시 중단
▲ IoT·블록체인 스타트업 필라멘트, 이더리움 기업연합 합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토큰포스트(Tokenpost)에 따르면, 최근 사물인터넷(IoT) 관련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솔루션 업체 필라멘트(Filament)가 이더리움 기업연합(EEA)에 합류했다. 2012년 설립된 미국계 스타트업 필라멘트는 앞서 인텔 캐피탈, 삼성 넥스트, 디지털 커런시 그룹 등 유명 투자사 및 엑셀러레이터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블록원 CEO "트론 댑 거래량 데이터 출처 의문"IMEOS에 따르면, 이오스(EOISO) 개발사 블록원의 최고경영자(CEO)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블록티비티(blocktivity.info)의 블록체인 활성도 랭킹을 리트윗 "트론 네트워크의 댑 관련 '거래량' 데이터의 출처가 어딘지 궁금하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앞서 저스틴 선 트론(TRX, 시가총액 10위) 재단 최고경영자(CEO)는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의 보도를 인용하며 "트론 댑 거래량이 ETH, EOS 등 퍼블릭체인의 거래량을 앞질렀다. 16일 기준 트론 댑 거래량은 ETH, EOS 네트워크의 댑 거래량 합계의 5배에 달한다"고 말한 바 있다.▲ ETC 개발팀 ETCDEV, '에메랄드 커맨드 라인' 0.25 버전 출시이더리움 클래식(ETC, 시가총액 19위) 개발팀 ETCDEV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에메랄드 커맨드 라인 0.25.0 버전을 출시했다고 20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에메랄드 월렛은 ETC를 지원하는 다중 플랫폼 데스크탑 암호화폐 지갑이다.▲ 민나노 암호화폐 거래소, 4월 신규 업무 위해 거래 서비스 일시 중단일본 라쿠텐 월렛(Rakuten Wallet)이 예정된 업무 종료 프로세스에 따라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민나노 암호화폐 거래소 (Minnano Bitcoin)의 모든 서비스를 19일 14시부터 일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미체결 주문이 취소 처리되며 엔화 및 암호화폐 지갑 충전 서비스 또한 일시 중단된다. 이와 함께 거래소는 29일 15시 이후로 예금 인출 요청 업무를 받지 않으며 4월 1일 9시부터 거래 웹사이트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한편 앞서 2월 민나노 비트코인은 4월 신규 업무 개시를 위해 기존 업무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기존 계좌 등이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구 고객의 경우 거래를 위해 새로운 계좌를 개설해야 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퀀트 트레이딩 강의 성황리에 마쳐...지속적 학습 콘텐츠 개발 계획 밝혀
후오비 코리아, 퀀트 트레이딩 강의 성황리에 마쳐...지속적 학습 콘텐츠 개발 계획 밝혀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지난 30일 서울시 강남구 ‘북앤빈(BOOK&BEAN)’ 북카페에서 열린 디지털 자산 투자 강의 ‘후오비 코리아 시리즈 오프 더 레코드(Huobi Korea Series Off the Record)’가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트레이더는 하락장에서 어떻게 수익을 내고 있을까?’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강의는 강사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트레이딩 전략과 투자 방법을 학습하는 시간으로 꾸며졌다.40여 명이 참여한 이번 강의는 디지털 자산 퀀트 운영에 관심이 있거나 투자 기회를 찾고 있는 개인과 기관 등 금융 투자에 관심 있는 신청자로 빈틈없이 채워졌다.강사진은 중국, 미국, 싱가폴, 한국에서 온 국내외 투자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후 쯔워이(Hu Zhiwei) 후오비 수석 연구원은 암호화폐 시장에 특화된 초단기매매(High frequency trading)에 대해, 선 지우지우(Sun Jiujiu) 크립토 리버(Crypto River) 퀀트팀 설립자는 미디엄 라인 트렌드(Medium Line Trend) 전략에 대해, 김한샘 알케미랩 CEO는 알고리즘 투자에 대해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 호미익스(HomiEx) 설립자인 조우 홍밍(Zhou Hongming)은 마켓 메이커(Market Maker) 전략을 깊이 있게 설명해 참석자로부터 큰 호평을 받았다.강의 후 조우 홍밍 호미익스 설립자는 “한국 투자자들의 학습에 대한 열정과 수준 높은 질문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소감을 전했다.강의 후에는 국내 암호화폐 시장 상황과 후오비 코리아의 운영 전략 등의 다채로운 주제의 질의 응답시간과 함께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에 대한 소개 시간을 가졌다. 특히 지난 26일 처음 진행했던 우수 블록체인 프로젝트 공개 플랫폼인 후오비 프라임은 2기 진행에 대한 참여 방법과 규칙 등 다양한 문의가 이어지며 많은 관심을 받았다.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국내의 암호화폐 퀀트 트레이딩은 60% 이상이 활용하고 있는 주식시장과 비교해 실력이 높지만 소수의 팀 또는 개인 등 이용자가 많지 않은 상황”이라며 “앞으로도 후오비 대학과 연구원과 함께 이용자의 수요 및 피드백을 받아드리고 한국 시장에 맞는 학습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저변 확대를 위해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
재생에너지 데이터 통합 플랫폼 ‘레디’,글로벌 스타트업 창업투자사 엑센트리와 MOU 체결
재생에너지 데이터 통합 플랫폼 ‘레디’,글로벌 스타트업 창업투자사 엑센트리와 MOU 체결재생에너지 데이터 통합 플랫폼 업체인 레디(REDi, 대표 이동영)는 글로벌 스타트업 창업투자사인 엑센트리(XnTree, 대표 김종한)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엑센트리는 스마트시티 클러스터인 영국 ‘레벨(Level) 39’ 소속으로 블록체인, 핀테크, 로봇 등 신산업분야의 유망 신생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글로벌 스타트업 창업투자기업이다. 지난해 5월, 부산 해운대 마린시티에 ‘레벨-X’를 개소해 국내외 스타트업 발전을 위한 지원과 육성에 힘쓰고 있다. 레디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재생에너지 데이터 통합 플랫폼 업체로,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발전량, 소비량, 유지보수비, 발전효율저감상태 등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각종 재생에너지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관리하는 ‘레디 인프라넷(REDi Infranet)’ 서비스를 업계 관계자들에게 제공한다. 레디 인프라넷 서비스 중 하나인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SUNDY M)’은 발전소 운영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발전 사업자에게 효율적인 발전량 관리와 전력 생산을 지원한다. 국내에서는 현대종합상사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담당하는 현대리뉴어블랩의 태양광 발전소에 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엑센트리는 레디의 에너지 선진시장인 유럽 시장 진출함에 있어 각 산업 기업체와의 연계 프로세스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영국의 ‘레벨 39’를 포함한 각 유럽국가의 에너지 강소기업 및 엑센트리가 직접 육성하는 관련 기업과의 협업을 다수 지원할 예정이다. 이동영 레디 대표는 “엑센트리는 자사의 글로벌 역량과 독보적인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높은 기술 경쟁력을 갖춘 유망 스타트업을 성장시켜 왔다”며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레디는 해외 에너지 선진시장으로의 성공적인 진출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
ETH 코어 개발자 "닉 사보 프로토콜 기반 개선·변경 반대"
▲ 라이트닝 랩스, BTC 지불 채널용 '루프' 기능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비트코인 코어 기술 개발 스타트업 라이트닝 랩스(Ligtning Labs)가 최근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사용성 개선을 위한 '라이트닝 루프'(loop, 프로그램 중에 어떤 조건이 만족되고 있는 동안 또는 종료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반복 실행되는 명령의 집합) 기능을 출시했다. 해당 기능을 통해 라이트닝 네트워크 사용자는 BTC 지불 채널을 닫고 새로운 채널을 다시 실행하지 않아도 보다 많은 BTC를 받을 수 있다는 게 라이트닝 랩스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81% 오른 4,074.4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인도 거래소 Coindcx, BTC 등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가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 Dcxlend의 베타 테스트를 종료하고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다. Dcxlend는 현재 BTC, USDT, ETH, XRP, BNB 등 5개 암호화폐의 대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또한 BTC 2%, USDT 1%, BNB 1%, XRP 0.75%, ETH 0.75%의 월 이자율이 적용된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62...투심 개선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55) 보다 7 포인트 오른 62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전날보다 개선됐음을 의미하며, 전날의 '탐욕' 단계를 이어갔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ETH 코어 개발자 "닉 사보 프로토콜 기반 개선·변경 반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에 따르면, 이더리움 코어 개발자 블라드 잠피르(Vlad Zamfir)가 최근 "스마트 컨트랙트 핵심 개발자 닉 사보(Nick Szabo)의 '사보의 법칙'(Szabo's law)을 토대로한 프로토콜 변경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코드가 곧 법(Code is Law)이라는 인식은 잘못됐다"며 "합리적인 암호화폐 시스템의 일부가 되기에 해당 프로토콜은 근본적으로 위법하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거버넌스 모델은 사람의 직접 참여 요소가 확실히 필요하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로 손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콘트랙트 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으로 채권자와 채무자를 보호한다. 특히나 대출의 경우 국경을 넘기가 힘들었던 현재의 금융권 구조와는 달리 제약이 없는 글로벌 신용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진다는 점이 상당히 매력적인 점으로 평가된다.위파워(WPR)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 거래 플랫폼. 친환경 사업의 성장과 함께 관련 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전문가팀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미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파트너쉽도 체결된 상태이다. 기존의 폐쇄적인 정부와 대형 기관의 주도로만 관리되어왔던 에너지 거래 분야의 탈중앙화를 지향한다.아더(ARDR)100% POS 방식의 블록체인 플랫폼. NXT를 만든 Jelurida에서 만든 코인으로 확장성, 호환성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토큰들을 따로 분리해 중요하지 않은 롱텀 데이터 축적 이슈를 해결하면서 장기적인 효율성 향상을 확보했다. 퍼블릭 오픈 소스 형태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라이센싱도 가능토록 제작됐다. NXT와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손쉬운 비교를 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바레인 최초 중앙은행 샌드박스 인증 거래소, XRP 상장
▲ 中 정부 주도 블록체인 프로젝트 도입 본격화...일상 생활형 블록체인 수요↑중국 IT 전문 미디어 인터체인퍼스(Interchain Pulse)에 따르면 국무원이 블록체인 기술을 ‘제13차 5개년 계획(13.5계획)’에 편입한 이래 국무원 지도 의견, 발전 계획 등 당국 정책 보고서에서 ‘블록체인’이 총 다섯 차례에 걸쳐 언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9개 국무원 산하 부(部) 및 위원회 12명 고위 관계자가 블록체인을 언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같은 기간 정부 산하 부 및 위원회가 발기인으로 참여한 블록체인 연구 기관은 총 8개다. 당국 주도 10개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6개가 실질 도입 단계에 있으며,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개발 프로젝트, 국가 회계조사기관인 심계서(审计署) 프로젝트, 재정부(财政部) 및 민정부(民政部) 프로젝트는 아직 연구 단계에 있다. 한편 지난해 당국 주도 프로젝트 다수가 하반기 집중적으로 도입됐으며, 미국 등 주요국과 비교해 중국은 일상 생활형 블록체인 수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스틴 선 "암호화폐 인사 최초 트위터 100만 팔로워 달성"방금 전 저스틴 선 트론(TRX, 시가총액 10위) 재단 최고경영자(CEO)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암호화폐 업계 인사 최초로 트위터 100만 팔로워를 달성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TRX는 현재 0.50% 오른 0.0229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바이낸스 CEO "바이낸스 마진 거래 서비스, 구체적인 계획 없어"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CEO 자오창펑(赵长鹏)가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시스템 업그레이드 일환으로 여러 API 틀을 구축해 놨다. 다만 마진 거래 서비스 출시와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전날(20일) 온라인 소셜 커뮤니티 레딧(Reddit)의 한 사용자는 "바이낸스 웹 페이지의 API에서 마진 거래와 관련된 코드를 발견했다"며 "바이낸스가 조만간 마진 거래 서비스를 출시할 것" 이라는 추측을 제기한 바 있다.▲ 바레인 최초 중앙은행 샌드박스 인증 거래소, XRP 상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바레인 최초로 중앙은행 샌드박스 인증을 취득한 암호화폐 거래소 레인(Rain)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XRP를 상장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미국 달러(USD)를 비롯해 바레인 디나르(BHD), 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R), 쿠웨이트 디나르(KWD),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 오만 리알(OMR), 등 6종 법정화폐를 통한 XRP 거래가 가능하게 됐다. 레인은 BTC, ETH, LTC를 지원하고 있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56% 오른 0.31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바이낸스 공동창업자 "바이낸스 런치패드, 누군가는 해야할 일"
▲ OKEx, HPB 월렛 업그레이드 완료...출금 재개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하이퍼포먼스블록체인(HPB, 시가총액 222위)의 월렛 업그레이드를 완료함에 따라 21일 16시 HPB 토큰의 출금을 재개한다고 공지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HPB는 현재 13.40% 오른 0.31655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소닉, 법인계좌 입금정지 통보 받아국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코리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이 은행으로부터 법인계좌 입금 정지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비트소닉을 운영하는 스쿱미디어와 신한은행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2~3주 전 스쿱미디어에 법인계좌 입금 정지를 통보하는 내용증명을 발송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스쿱미디어는 2017년 일반 법인용 입출금 계좌를 개설한 후, 2018년부터 이를 가상통화를 이용하는 고객들로부터 집금계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8년 10월부터 거래량이 증가하기 시작해 신한은행 자금세탁방지부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했다”면서 “2019년 1월말 거래량이 급격하게 증가해 입금정지를 통보했다”고 말했다.▲ 바이낸스 공동창업자 "바이낸스 런치패드, 누군가는 해야할 일"허이(何一) 바이낸스 공동 창업자가 중국 현지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거래소를 통한 토큰 공개(IEO) 라는 개념은 누가 만든건지 모르겠다"며 "한 가지 확실한 것은 그게 바이낸스는 아니며, IEO의 'E'가 거래소(Exchange)를 뜻한다는 사실도 알게된지 얼마 안됐다. 바이낸스는 그저 해야할 일을 했다고 생각한다. 시장이 상대적으로 저조할 때 우수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그들의 자금 조달, 유저 확보, 합리적인 가격 결정 등 방면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IEO냐 ICO냐는 문제가 아니며 초심을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인솔라, 거래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용 블록체인 실험 위해 토론토의 히어로 엔지니어링과 협력
인솔라, 거래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용 블록체인 실험 위해 토론토의 히어로 엔지니어링과 협력인솔라(Insolar)가 에너지 시스템의 탄력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험하기 위해 캐나다의 히어로 엔지니어링(Hero Engineering Inc.)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인솔라의 블록체인은 재생 에너지의 분산 발전,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스마트 온도 조절장치 등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거래가 가능한 스마트 그리드 시제품(TEP)과 통합하게 된다.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거래가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분산 원장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기후와 경제에 엄청나게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획기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이 프로젝트의 범위는 전기 자동차(EV)에서 전력망 충전(V2G)에 이르는 다양한 것들을 지원하는 도시 전체의 전기 자동차와 충전소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통합하는 것으로써 이는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V2G의 블록체인 시범 사업 중 하나가 될 것이다.기후 변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중대한 사업의 추진과 전반적인 시스템의 탄력성,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증대의 시급한 필요성 등으로 인해 에너지 산업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세계 온실 가스의 25% 이상이 청정하기 않은 석탄과 디젤을 연료로 한 전기와 열 생산에서 배출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에 정전 횟수가 6배 증가해 경제적 손실이 200여억달러에 달했다.분산 재생 에너지 자원과 전기 자동차에 우선하여 에너지 분산화와 탈탄소화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지역화된 새로운 전기 시장이 형성되어 전기를 소비도하고 생산도 하는 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와 같은 새로운 이해당사자들이 생겨나게 됐다.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어느 정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간헐적으로 발전되는 재생 에너지는 그리드를 심하게 불안정하게 만든다. 그리드 운영자들이 지출하는 많은 자금은 분산화된 네트워크를 추적 관찰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신 및 제어 인프라를 확장하는데 사용돼야 한다. 또한 기본 시스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돼야 하며 이를 위해 업계는 2020년까지 1조달러가 필요할 것이다.이처럼 업계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전반적인 그리드의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에너지 거래에 참여하도록 순조롭게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신뢰성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 플랫폼은 모든 에너지 이해당사자들의 경제적 목표와 에너지 탄력성을 강화하려는 글로벌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확장가능하고 안전한 플랫폼으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공정성을 보장하도록 투명한 인솔라의 블록체인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인솔라가 가능하게 하는 거래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거래 가격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전력 저장과 분산 기능을 향상시켜 정전을 방지함으로써 급전망이 피크 시간에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이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 마이크로그리드(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운영업체, 전기 자동차 충전소 소유자 등으로 구성된 초기 블록체인 에너지 컨소시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이다.인솔라는 보안적으로 가장 안전하고 신축성 있으며 확장 가능한 기업용 블록체인인 인솔라 블록체인 플랫폼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공공 및 민간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글로벌 기술 기업이다.인솔라는 20 노드를 통해 초당1만9000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테스트넷(Testnet) 1.1을 2019년 3월에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연속적으로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 가능성이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용 블록체인이다. 참여하는 노드는 내부적으로 인솔라가 호스트하고 외부적으로는 우량 기업과 최고 학술 기관을 포함한 몇 개의 기업 및 학계 파트너들이 호스트하고 있다.다수의 분산 업체가 참여하는 거래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에는 이처럼 여러 개의 노드를 통한 처리량이 높은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번에 제시된 시스템은 다수의 에이전트를 통한 분산 접근 방식을 채택해 프로슈머들이 전력 부조화를 상쇄하는 에너지 거래 등 서로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플랫폼은 프로슈머들이 급전망과 에너지 및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압 조정, 수요 반응, 스마트 전기 자동차 충전 등 부수적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비탈릭 부테린 “비트코인, 화폐 되려면 PoS 채택해야”
▲ 비탈릭 부테린 “비트코인, 화폐 되려면 PoS 채택해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인베스트인블록체인(Invest In Blockchain)에 따르면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Bitalik Buterin)이 암호화폐 거래 사이트 아브라(Abra)의 CEO 빌 바히드(Bill Barhydt)와 이더리움 3대 발전 방향을 논의하며 △확장성 △프라이버시 △활용성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 그는 “ETH 네트워크는 초당 10만 건을 처리 해야 시행 가능한 플랫폼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비트코인의 가치 저장 수단 활용 가능성과 관련해 그는 “만약 비트코인이 화폐 역할을 하고자 한다면 지분증명(Proof of stake)방식으로 전환하는 편이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탈릭 부테린 "암호화폐 가격과 블록체인이 별개? 잘못된 생각"암호화폐 미디어 CCN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가 뉴욕에서 진행된 인터넷 라이브 방송에서 암호화폐(ETH) 가격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그는 "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의 가격이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맞지 않다. 실제로 이더리움 합의의 성공 여부는 ETH의 부가가치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가격은 먼저 안정성과 연관이 있다. 만약 가격이 0으로 수렴할 경우 네트워크는 심각한 보안 문제를 직면하게 된다. 또한 이더리움 생태계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자신들의 자금을 암호화폐로 보유하고 있다. 만약 가격이 상승한다면 이들은 자신의 목표를 실현하는 데 더 많이 투자할 수 있다. 암호화폐 가격과 블록체인의 이 같은 관계는 규제 당국도 파악하고 있다. 현재 각국의 규제 기관 대부분이 암호화폐가 무엇인지, 가격이 어떻게 출렁이는지에 대해 학습을 완료한 상태다."고 설명했다. 앞서 현장에서 이더리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개발자의 3분의 1이 ETH 가격의 등락에 개의치 않는다고 답한 바 있다. 비탈리 부테린은 또한 "많은 ICO 프로젝트들이 스캠이며, 마케팅에 지나치게 열을 올리고 있다"며 "이는 불행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中 블록체인 스타트업 성장률 100% 육박중국 미디어 신징바오(新京报) 산하 스마트도시 연구원이 발표한 ‘2018년 중국 스마트도시 발전 잠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 연평균 성장률이109.40%를 기록했다. 이는 AI, 빅데이터, IoT, 클라우드컴퓨팅 등 기타 디지털 기술 스타트업 성장률을 대폭 상회한 수치다. 2013년부터 2019년 1분기까지 해당 분야 자금 조달 건수는 835건, 조달액은 1,592억 9,300만 위안(약 26조 8600억 원)을 기록했다. 이 중 2018년 블록체인 자금 조달 건수는 517건, 조달액은 1,112억 9,700만 위안(약 18조 7,700억 원)으로, 연도별 조달 건수 기준 최근 몇 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36회 -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서
오케이코인코리아, 제36회 -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서이번 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 총액은 지난주 대비 2.42% 상승하여 1,389.95억 달러(한화 약 157.2조원)에 달하였으며, 일 평균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09% 상승한 311.1억 달러(한화 약 34.5조원)에 달했다.이번 주 TOP5에 선정된 암호화폐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1.35% 상승했으며, 거래량 또한 지난주 대비 2.17% 상승했다. 이번주 TOP5 암호화폐 시총은 시총과 거래량 모두 소폳 상승했으며, LTC가 16.06%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시가총액 상위 200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2.36%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통화 및 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주는 모든 영역이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중 수직 산업 응용 영역이 11.47%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수직체인 및 프로토콜과 수직 산업 응용에 해당되는 암호화폐들은 특화되는 산업 분야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이번 주는 약 65%에 해당하는 프로젝트가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게임 분야 프로젝트가 43.28%의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스팀 기반 디앱 최초 상장·스팀 기축 마켓 지원 예정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http://daybit.com, 대표 이재철)이 스팀(Steem)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앞장선다고 밝혔다. 데이빗은 유망한 스팀 디앱을 발굴해 상장하고, 순차적으로 스팀 기축 마켓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일 데이빗에서 최초로 토큰 판매를 지원한 스팀 디앱 ‘스팀헌트’는 19초 만에 완판되기도 했다.스팀 블록체인은 소셜 미디어 모델에 특화된 블록체인이다. 스팀은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큐레이션에 참여하는 유저에게 보상을 분배한다.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추천하면 보상을 받는 ‘스팀잇(Steemit)’, 영상 플랫폼 ‘디튜브(dTube)’가 대표적인 디앱이다.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은 스팀 블록체인에 소셜미디어·커뮤니티 등 실생활에 밀접한 디앱이 많고, 디앱 활성도가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히 높은 점에 주목했다. 전세계 디앱 정보사이트 스테이트오브댑스(www.stateofthedapps.com/rankings)에 따르면, 상위 10개 디앱 중 절반이 스팀 기반이다. 디앱을 사용하는 활성 유저 역시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하다. 디앱 시장 분석 기관 디앱닷컴(www.dapp.com)에 따르면, 이더리움 지갑 보유자 2%만이 이더리움 디앱을 사용하는 반면, 스팀 지갑 보유자 44% 이상이 스팀 디앱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최초 상장하고, 이후 스팀 기축 마켓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첫 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선정된 ‘스팀헌트’는 판매 개시 19초 만에 완판되었다. 스팀헌트는 유저들이 혁신적인 테크 제품을 리뷰하고 투표에 참여해 보상을 얻는 플랫폼이다. 인기가 높은 제품을 자주 공유하거나 투표, 토론 등 핵심 활동에 기여할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는 구조다.스팀헌트는 토큰이코노미 설계부터 마케팅까지 데이빗 모회사 체인파트너스가 종합 자문해온 파트너사이기도 하다. 2018년 3월 런칭 이후, 스팀헌트 플랫폼을 통해 총 1만 5천여 명이 47,000개가 넘는 제품을 소개했다. 일평균 180개의 신제품 정보가 공유되고 있는 셈이다. 단일 포스트로 247달러 보상을 지급받은 사례도 나왔다.데이빗은 스팀헌트 이후에도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문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체인파트너스의 자문사업파트와 연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순차적으로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자체 지갑을 구현한 데이빗의 기술력을 활용해 스팀 기축 마켓 개장 및 스팀 디앱 전용 토큰 전환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스팀 디앱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지만, 스팀 콘텐츠 보상체계에 특화된 스마트미디어토큰(SMT)이 런칭을 앞두고 있어 기술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데이빗 이재철 대표는 “스팀 체인이 시장 규모나 가능성에 비해 저평가 되어있고, 스팀 디앱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데이빗이 선제적으로 스팀 디앱 시장을 지원하려고 한다.”며 “데이빗의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유망한 스팀 기반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하고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지원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했다. 1차, 2차 수량이 전부 판매된 스팀헌트(HUNT)의 추가 판매도 8일부터 진행 예정이다. 스팀이나 스팀달러를 입금하면 스팀헌트 토큰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
알고랜드(Algorand)의 기술 고문으로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합류페이스북을 비롯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컴퓨터 과학 전문가 영입- Go SDK, 테스트넷 등 플랫폼 기술 질적 향상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가 모리스 헐리히(Maurice Herlihy)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 영입으로 플랫폼의 기술적 향상을 추진한다. 모리스 헐리히 브라운대 컴퓨터 과학 교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고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컴퓨터 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컴퓨터 과학계 전문가이다. 그는 카네기 멜론 대학의 교수진과 DEC 캠브리지 연구소 직원으로 근무했으며, 2003년 디지크스트라 분산 컴퓨팅상(Dijkstra Prize), 2004년 괴델상(Gödel Prize), 2008년 ISCA 우수 논문상 수상자이다. 최근에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에토스(Ethos), 타락사(Taraxa)에 참여했고 페이스북에서도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알고랜드는 개발자 홈페이지를 통해 알고랜드 플랫폼에서 손쉽게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가능한’Go SDK’를 출시했으며 홈페이지의 신청자에 한해 테스트넷을 공개하여 알고랜드 플랫폼을 시범적으로 운영 중이다. 기술 고문으로 합류한 모리스 교수는 Go SDK와 테스트넷의 기술적 검토 및 추후 공개될 메인넷 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모리스 교수의 선임을 두고 알고랜드의 창립자 실비오 미칼리 MIT 교수는 “컴퓨터 과학계에서 명망이 높은 모리스 헐리히 교수의 합류를 환영한다”며 “알고랜드가 목표로 하는 국경없는 경제의 구축을 위한 플랫폼 개발과 기술의 진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탈리아(Italy),‘스마트 콘트랙트’나 ‘DLT’와 같은 암호화 분야의 용어를 법적으로 정의 법안 발의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탈리아(Italy),‘스마트 콘트랙트’나 ‘DLT’와 같은 암호화 분야의 용어를 법적으로 정의 법안 발의바레인(Bahrain)금융산업의 중동 허브 바레인이 암호화 자산 플랫폼을 9개월간 시범 운영한다. 바레인은 종합적 규제를 마련하면서,암호화폐를 사용 중인 기업들이 국가 내 시범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AMBCRYPTO가 보도했다.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의 달랄 부헤지 사업부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앙은행이 규제를 공표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하면서 구체적인 타임라인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최근 뉴욕 금융부(NYDFS)가 2명의 신청자에게 주 전체의 암호화폐 라이선스를 지급했다고 Cointelegraph가 보도했다. 흔히 비트라인선스로 알려진 주의 규제체제는 뉴욕 시민에게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대상으로 투명한 공개와 소비자 보호 요건을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2015년에 도입된 이래, 오직 소수의 기업만이 NYDFS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스페인(Spain)스페인의 통신 다국적기업 Telefonica는 사용자들이 개인정보를 팔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시험할 예정이라고 CoinDesk가 보도했다. 이 시범운영은 처음엔 우루과이의 Telefonica 자회사인 Movistar의 사용자들 데이터부터 검증하게 될 것이다. Telefonica는 Wibson 마켓을 통해 데이터를 판매하는 소비자 대상으로 Movistar 가입자 상태를 검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공증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명시돼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보안전문기업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단독 밋업 성황리에 마무리
보안전문기업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단독 밋업 성황리에 마무리- 최고 보안 수준 자랑하는 신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 12일 단독 밋업에 투자자 약 260 여명 참석하며 성료- 비트탑 파트너사들과의 현재 업무협약 내용 소개하고 향후 함께 진행할 사업 간략 소개보안전문기업인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대표이사 장홍석)이 지난 1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거래소 오픈 전 마지막 단독 밋업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비트탑 관계자에 따르면 짧은기간동안 밋업 참가자를 모집했음에도 불구하고 약 260여명의 인원이 참석했다. 이에 대해 이번 밋업을 주관한 비트탑의 장홍석 대표이사는 “비트탑이 29일 오픈하기 전 마지막 밋업이라서 투자자들이 확신을 얻기 위해 많이 참석한 것 같다”며 “많은 투자자분들이 애정을 갖고 비트탑을 응원하고 있어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덧붙여, “이번 행사에서 실제 투자자들의 목소리를 들었다”며 “비트탑을 믿어준 투자자와의 건설적인 소통은 비트탑 내부에서도 항상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고, 투자자들의 목소리들이 실제 거래소가 오픈했을 때 잘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비트탑 파트너사 세션 및 Q&A 세션이 준비됐다. 파트너사 세션에는 원조이(OJT)와 S.K.E, 퀴즈톡(QizTok), 블루바이칼(BlueVikal) 등이 소개 되었으며, 각 회사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으로 행사가 구성됐다. 특히, 이 날 밋업에 참석한 한 일반 투자자는 “비트탑에 투자를 하면서 거래소 오픈에 맞춘 사업진행 현황, 함께 성장해갈 파트너사 등에 대해서 궁금했었는데 이번 밋업 Q&A 세션이 충분하게 주어져서 궁금증을 모두 풀 수 있어 유익했다”고 소감을 말했다. 비트탑 파트너사 OneJoy(원조이)의 김석희 대표는 “밋업 때 발표한 것과 같이 앞으로 비트탑이 성공적으로 거래소를 오픈하고 글로벌 시장에 나가는 데 있어 다양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비트탑은 정부 기관 인증을 받은 100% 자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소로 최고 수준의 보안 등급을 자랑한다. 또한 타바의 시스템 자산 인수로 제주도 내 타바 네비게이션을 갖춘 렌터카에 비트탑 자체 암호화폐인 프로그(FRG) 코인 결제 기능을 지원 할 예정이다.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6회 블록체인 산업 월간보고"
오케이코인코리아, "제6회 블록체인 산업 월간보고"2019년 2월 암호화폐 시총은 소폭 하락했으나, 비트코인의 가격이 11%정도 상승하였고 일 평균 거래량 또한 대폭 상승하여 전반적인 블록체인 암호화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가능한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산업 발전 상황 분석을 위해 2019년 2월 보고서는 두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투자자 설문 조사” 암호화폐를 보유한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익 상황 및 포지션, 다음달 및 추후 6개월의 시장 예측, 다음달 보유 포지션의 변화 계획, 선호하는 분야, 투자 패턴 등 총 14개의 질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했다.“암호화폐시장분석” 1차시장(사모투자, ICO) 및 2차시장(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내 유통 거래)의 암호화폐를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했다. 또한 암호화폐 시장을 「통화및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 으로 분류 하였으며,그 중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은 금융, 콘텐츠 판권, 디지털 신원 증명, 공증, 겜블링, 게임, 소셜미디어, 엔터테인먼트, e커머스, 교육, 여행 등으로 세분화했다.
-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공주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 ‘공주대학교’와 산학협력협약(MOU) 체결-동북아시대 견인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위한 글로벌 K-Medicine 전문인력 양성..-사업 및 연구과제 공동 참여, 교수와 연구원의 현장 참여 통한 산학협력 등 진행..-공주대학교가 K-Pop, K-Culture에 이어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의 주역 되길 기대..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는 공주대학교(총장직무대리 박달원)와 산학협력협약(MOU)을 체결했다고 5일 밝혔다.공주대학교 통합의료관광디자인 대학원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양자의학기반의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인재육성과 대학생 창업을 통해 미래사회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특히 한반도 평화통일관광을 통한 동북아시대를 견인하는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글로벌 K-Medicine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글로스퍼와 산학협력을 체결했다.글로스퍼는 자체 블록체인 암호화폐 플랫폼인 ‘하이콘(HYCON)’의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론칭, 국내·외 거래소에 상장시키는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특히, 서울 노원구청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지역화폐 플랫폼’, 영등포구청에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 제안평가시스템’, 2018 KISA 블록체인 시범사업 해양수산부 과제인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발급 시범사업’ 등 공공기관과 정부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양 기관의 협력사항은 ▲사업 및 연구과제 공동 참여 ▲교수, 연구원의 현장 참여를 통한 산학 협력 ▲인력 및 정보의 상호 이용 ▲ 소장도서 및 자료의 공동 이용 ▲실험분석 및 연구 장비와 시설의 공동 활용 등이며,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블록체인 기술 연구와 우수한 기술 인력의 양성, 전인교육향상과 양 기관의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공주대학교 대학원 통합의료관광디자인학과 이용근 교수는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했던 다양한 경험과 검증 받은 높은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공주대학교가 K-Pop, K-Food, K-Culture에 이어 K-Medicine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의 주역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