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웨어메이크, 암호·보안솔루션 전문기업과 계약 … 블록체인 기술로 플랫폼 보안 강화
소프트웨어메이크, 암호·보안솔루션 전문기업과 계약 … 블록체인 기술로 플랫폼 보안 강화소프트웨어메이크가 보안 솔루션 기업과 계약을 맺고 “토마토 플랫폼”의 보안을 강화한다.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소프트웨어메이크(대표 김태진)는 암호∙보안 솔루션, 쉴도스 전문기업 오토마톤(대표 정찬우)과 블록체인 기반 렌탈 플랫폼 ‘토마토’의 보안 서비스 ‘토마토 시큐리티’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회사에서 개발한 플랫폼 ‘토마토’는 렌탈, 쇼핑몰, 모바일 상품권, 스마트이력서, 명함 네트워크, 음성키워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 플랫폼이다. 회사 관계자는 “‘토마토’ 내에서 모든 서비스는 ‘토마토페이’로 결제된다”며 “토마토페이는 전자지갑 형태로 현금과 같이 사용돼 보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에 계약을 맺고 토마토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쉴도스 보안 서비스 ‘토마토 시큐리티’는 사용자의 PC나 스마트폰 등에 설치 시 전자지갑과 관련된 정보가 바이러스, 랜섬웨어 등의 악성코드에 의해 외부 유출, 변조를 방지한다. 또 문서 등에 저장된 개인정보도 보호해 위변조를 막는다. 회사 관계자는 “백신과 백업만으로는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대응하는 데에 다소 시간이 지체될 수 있으며 복구가 불가능해 사용자의 전자지갑에 대한 해킹, 악성코드 노출에 취약할 수 있다”며 “반면 쉴도스는 사전 접근을 차단해 원본을 보호하는 것으로 결제정보, 이미지, 문서, 영상, 압축, 의료 등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해 ‘토마토’ 사용 고객이 안심하고 이용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프웨어메이크 김태진 대표는 “양사의 보안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꾸준히 개발에 힘쓰고 있다”며 “‘토마토’의 론칭도 당초 예상했던 6월보다 앞당겨 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회사의 플랫폼 ‘토마토’는 대기업 제품을 포함한 1,000여 가지 생활가전 렌탈업체, 미용 및 뷰티 제품 등이 입점 예정이며 렌탈제품 관리를 위한 코디네이터, 소상공인 정보채널, 모바일 상품권, 명함 네트워크, 지역 제휴점, 스마트 이력서, 음성키워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 스팀(Steem) 생태계 구축 앞장선다- 스팀 기반 디앱 최초 상장·스팀 기축 마켓 지원 예정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http://daybit.com, 대표 이재철)이 스팀(Steem)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앞장선다고 밝혔다. 데이빗은 유망한 스팀 디앱을 발굴해 상장하고, 순차적으로 스팀 기축 마켓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1일 데이빗에서 최초로 토큰 판매를 지원한 스팀 디앱 ‘스팀헌트’는 19초 만에 완판되기도 했다.스팀 블록체인은 소셜 미디어 모델에 특화된 블록체인이다. 스팀은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큐레이션에 참여하는 유저에게 보상을 분배한다. 블로그 콘텐츠를 작성하거나 추천하면 보상을 받는 ‘스팀잇(Steemit)’, 영상 플랫폼 ‘디튜브(dTube)’가 대표적인 디앱이다.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은 스팀 블록체인에 소셜미디어·커뮤니티 등 실생활에 밀접한 디앱이 많고, 디앱 활성도가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히 높은 점에 주목했다. 전세계 디앱 정보사이트 스테이트오브댑스(www.stateofthedapps.com/rankings)에 따르면, 상위 10개 디앱 중 절반이 스팀 기반이다. 디앱을 사용하는 활성 유저 역시 타 블록체인 대비 월등하다. 디앱 시장 분석 기관 디앱닷컴(www.dapp.com)에 따르면, 이더리움 지갑 보유자 2%만이 이더리움 디앱을 사용하는 반면, 스팀 지갑 보유자 44% 이상이 스팀 디앱을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최초 상장하고, 이후 스팀 기축 마켓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첫 번째 상장 프로젝트로 선정된 ‘스팀헌트’는 판매 개시 19초 만에 완판되었다. 스팀헌트는 유저들이 혁신적인 테크 제품을 리뷰하고 투표에 참여해 보상을 얻는 플랫폼이다. 인기가 높은 제품을 자주 공유하거나 투표, 토론 등 핵심 활동에 기여할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는 구조다.스팀헌트는 토큰이코노미 설계부터 마케팅까지 데이빗 모회사 체인파트너스가 종합 자문해온 파트너사이기도 하다. 2018년 3월 런칭 이후, 스팀헌트 플랫폼을 통해 총 1만 5천여 명이 47,000개가 넘는 제품을 소개했다. 일평균 180개의 신제품 정보가 공유되고 있는 셈이다. 단일 포스트로 247달러 보상을 지급받은 사례도 나왔다.데이빗은 스팀헌트 이후에도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문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체인파트너스의 자문사업파트와 연계해 유망 프로젝트를 엄선해 순차적으로 상장한다는 계획이다. 자체 지갑을 구현한 데이빗의 기술력을 활용해 스팀 기축 마켓 개장 및 스팀 디앱 전용 토큰 전환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스팀 디앱은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지만, 스팀 콘텐츠 보상체계에 특화된 스마트미디어토큰(SMT)이 런칭을 앞두고 있어 기술적 지원이 필수적이다.데이빗 이재철 대표는 “스팀 체인이 시장 규모나 가능성에 비해 저평가 되어있고, 스팀 디앱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환경도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데이빗이 선제적으로 스팀 디앱 시장을 지원하려고 한다.”며 “데이빗의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유망한 스팀 기반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하고 스팀 생태계 활성화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데이빗은 스팀 생태계 지원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했다. 1차, 2차 수량이 전부 판매된 스팀헌트(HUNT)의 추가 판매도 8일부터 진행 예정이다. 스팀이나 스팀달러를 입금하면 스팀헌트 토큰을 지급하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
코인제스트, 코즈와 코즈아이 장점 통합한 암호화폐 ‘코즈플러스’ 발표!
코인제스트, 코즈와 코즈아이 장점 통합한 암호화폐 ‘코즈플러스’ 발표!- 코즈의 거래소 수익 에어드랍과 코즈아이의 자산가치혜택을 통합한 하나의 암호화폐 탄생- 전통금융기업과 IT 대기업의 암호화폐 시장 진출 등 변화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결정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 (대표 전종희)는 급변하는 암호화폐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회원 대상 설문조사를 거쳐 자사의 암호화폐 ‘코즈’와 ‘코즈아이’를 ‘코즈플러스’로 통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최초 트레이드마이닝 토큰으로 독보적 지위를 확보했던 코즈와, 거래수수료 수익 이외 제반 사업 수익과 보유자산을 기준으로 이자배당 형태의 자산가치 혜택을 지급했던 코즈아이 토큰은 거래소가 고객 수수료부담 완화를 위해 내놓은 서비스 중 가장 혁신적인 모델로 인정받으며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높은 호응을 얻어왔다. 그러나 최근 JP모던, 피델리티 등 전통적 금융 기관과, 페이스북, IBM,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의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사업 진출을 발표하는 등 암호화폐 업계의 변화가 빨라졌고, 이에 대한 시장 대응의 일환으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암호화폐를 하나로 통합해 집중 관리하려는 것이 결정의 배경이라고 코인제스트는 설명했다. 통합 후, 토큰스왑을 통해 새롭게 선보이는 암호화폐는 기존 코즈에 추가적인 정책과 서비스가 결합된 코즈플러스(COZPlus)라는 이름으로 오는 4월 5일 오후 중 코인제스트를 통해 상장될 예정이다. 코즈플러스 보유에 대한 보상 지급 혜택은 4월 8일 자정(00시)을 기준으로 시작될 예정이다. 이번 통합으로, 거래소 거래수수료 수익 중 일부를 암호화폐 보유자들에 지급해주는 코즈 보유에 대한 보상정책과 거래소 내 보유자산을 기준으로 이자배당 형태의 보상을 지급해주던 코즈아이의 자산가치혜택이 통합된다. 또한 코즈아이의 에어드랍은 주 단위에서 일일 지급으로 변경된다.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코즈 채굴과 바이백 정책은 코즈플러스로 이관되어 스왑 비율에 따라 지속 적용되며, 가격안정성 강화를 위해 향후 토큰 세일 진행 시 코즈플러스에 해당하는 수량만큼 바이백이 추가로 진행될 예정이다. 코인제스트는 이러한 발행량 및 유통량 조절과 정책적 보완을 통해, 지불 결제 수단 측면에서 암호화폐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가격변동성은 낮추고 시가총액과 유통량, 사용자는 늘려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코즈와 코즈아이의 입출금과 거래가 4월 1일 오후부터 중지됐고, 코즈는 코즈플러스와 12:1 비율로 코즈아이는 동일한 비율로 교환된다. 코즈플러스의 상장 가격은 코즈아이 1개월 평균 종가인 2,339원을 최소가격으로 20% 범위 이내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코인제스트는 코즈플러스 상장 및 거래 개시에 앞서 코즈플러스에 대한 사전채굴 이벤트를 진행하였으며, 이날 거래대금은 총 1천 억원 상당이며, 매수와 매수를 합하면 약 2천 억원에 달해 코즈플러스 출시에 대한 투자자들의 높은 기대를 반증했다. 코인제스트는 코즈플러스 출시를 계기로 블록체인 기술과 일반 대중의 연결이라는 플랫폼 본연의 기능 이외에 마스터노드, PG결제서비스, 코인담보형 대출서비스, 로보어드바이저 등 신규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통합 결정을 위해 코인제스트는 3월 26일부터 27일까지 코인제스트 지갑을 개설한 2단계 회원 전원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고, 89%의 찬성을 얻어 통합을 최종 결정했다.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글로벌 기업들의 사업 진출과 관련해 신중하지만 민첩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을 했다.” 며, “기존 코인들의 장점을 통합한 코즈플러스로 코인제스트는 암호화폐 거래소 이상의 플랫폼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투자자들의 이익을 극대화해 갈 것”이라고 결정의 배경과 각오를 밝혔다.
-
판테라 "6월 BTC 상승 구간 진입 전망...반감기 효과"
▲ 판테라 "6월 BTC 상승 구간 진입 전망...반감기 효과"암호화폐 투자 기관 판테라 캐피탈(PanteraCapital)이 보고서를 통해 "오는 6월 10일이 BTC의 상승 추세 전환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이와 관련해 "지난 2012년부터 2016년 BTC는 반감기를 앞두고 특정 시점부터 완만한 가격 상승세가 나타냈다"며 "각각 376일 전과 320일 전에 상승 구간에 접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반감기 도래에 따른 추세 변곡점 평균을 약 348일 전으로 추정할 때, 향후 BTC의 상승 구간 진입은 6월 10일 정도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감기란 4년 마다 1개 블록 생성 시 수익이 절반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비트코인 개발 당시 가치 하락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한 일종의 장치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41% 오른 4,062.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댄 라리머, 6월 행사 발표 내용 "자신 있다"댄 라리머 EOS 창시자가 텔레그램을 통해 오는 6월 1일 워싱턴에서 진행될 예정인 행사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한 이용자가 댄 라리머에게 "6월 행사에서 발표될 내용에 대해 자신이 있느냐?"라고 물었으며, 그는 이에 "수백 명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그만큼 자신이 크다"라고 답했다. 또 다른 이용자는 해당 행사의 인터넷 라이브 방송 여부를 물었고, 댄 라리머는 "모든 온라인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공개될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오는 6월이 EOS에 있어 최고의 한달이 될 것이라고 예고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인솔라, 거래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용 블록체인 실험 위해 토론토의 히어로 엔지니어링과 협력
인솔라, 거래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용 블록체인 실험 위해 토론토의 히어로 엔지니어링과 협력인솔라(Insolar)가 에너지 시스템의 탄력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험하기 위해 캐나다의 히어로 엔지니어링(Hero Engineering Inc.)과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인솔라의 블록체인은 재생 에너지의 분산 발전,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스마트 온도 조절장치 등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거래가 가능한 스마트 그리드 시제품(TEP)과 통합하게 된다.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거래가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는 분산 원장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기후와 경제에 엄청나게 큰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획기적인 기술혁신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게 될 것이다.이 프로젝트의 범위는 전기 자동차(EV)에서 전력망 충전(V2G)에 이르는 다양한 것들을 지원하는 도시 전체의 전기 자동차와 충전소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통합하는 것으로써 이는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V2G의 블록체인 시범 사업 중 하나가 될 것이다.기후 변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중대한 사업의 추진과 전반적인 시스템의 탄력성,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 증대의 시급한 필요성 등으로 인해 에너지 산업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세계 온실 가스의 25% 이상이 청정하기 않은 석탄과 디젤을 연료로 한 전기와 열 생산에서 배출되고 있다. 이와 함께 미국의 경우 지난 20년 동안에 정전 횟수가 6배 증가해 경제적 손실이 200여억달러에 달했다.분산 재생 에너지 자원과 전기 자동차에 우선하여 에너지 분산화와 탈탄소화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지역화된 새로운 전기 시장이 형성되어 전기를 소비도하고 생산도 하는 에너지 ‘프로슈머(prosumer)’와 같은 새로운 이해당사자들이 생겨나게 됐다.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려면 어느 정도의 조치가 필요하다. 간헐적으로 발전되는 재생 에너지는 그리드를 심하게 불안정하게 만든다. 그리드 운영자들이 지출하는 많은 자금은 분산화된 네트워크를 추적 관찰하고 관리하기 위한 통신 및 제어 인프라를 확장하는데 사용돼야 한다. 또한 기본 시스템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돼야 하며 이를 위해 업계는 2020년까지 1조달러가 필요할 것이다.이처럼 업계는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전반적인 그리드의 지속 가능성을 향상시키는 에너지 거래에 참여하도록 순조롭게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신뢰성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 플랫폼은 모든 에너지 이해당사자들의 경제적 목표와 에너지 탄력성을 강화하려는 글로벌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확장가능하고 안전한 플랫폼으로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공정성을 보장하도록 투명한 인솔라의 블록체인은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다.인솔라가 가능하게 하는 거래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거래 가격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전력 저장과 분산 기능을 향상시켜 정전을 방지함으로써 급전망이 피크 시간에도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할 수 있다.이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 마이크로그리드(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운영업체, 전기 자동차 충전소 소유자 등으로 구성된 초기 블록체인 에너지 컨소시엄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것이다.인솔라는 보안적으로 가장 안전하고 신축성 있으며 확장 가능한 기업용 블록체인인 인솔라 블록체인 플랫폼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공공 및 민간 블록체인 솔루션을 개발하는 글로벌 기술 기업이다.인솔라는 20 노드를 통해 초당1만9000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테스트넷(Testnet) 1.1을 2019년 3월에 성공적으로 출시했다. 이 플랫폼은 연속적으로 확장 가능하기 때문에 확장 가능성이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용 블록체인이다. 참여하는 노드는 내부적으로 인솔라가 호스트하고 외부적으로는 우량 기업과 최고 학술 기관을 포함한 몇 개의 기업 및 학계 파트너들이 호스트하고 있다.다수의 분산 업체가 참여하는 거래 가능한 에너지 플랫폼에는 이처럼 여러 개의 노드를 통한 처리량이 높은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번에 제시된 시스템은 다수의 에이전트를 통한 분산 접근 방식을 채택해 프로슈머들이 전력 부조화를 상쇄하는 에너지 거래 등 서로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이 플랫폼은 프로슈머들이 급전망과 에너지 및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압 조정, 수요 반응, 스마트 전기 자동차 충전 등 부수적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9...투심 개선 '공포'→'탐욕'
▲ 정부, 암호화폐 거래 주소제 추진...세계 최초28일 전자신문에 따르면 대검찰청이 한국블록체인협회와 거래소에 '가상화폐(암호화폐) 주소 조회시스템 개발 협조' 공문을 발송하고 시스템 개발을 주문했다. 시중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모든 암호화폐에 주소를 부여하고, 이를 조회해 거래소를 식별하는 '암호화폐 주소 조회 시스템' 개발을 추진한다. 은행에서 거래되는 돈처럼 모든 암호화폐에 지갑 주소를 부여하고 의심가는 거래 등을 검찰이 즉시 파악할 수 있는 세계 첫 암호화폐 주소 조회 시스템이다. 암호화폐 주소 조회 시스템이 개발되면 암호화폐 관련 다양한 범죄 행위나 계좌 추적 등이 가능해지고 불법을 저지른 범인을 특정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미디어는 이와 관련해 수 많은 금융 실명제처럼 이력을 붙이고, 이를 검찰이 수사에 활용할 수 있는 세계 최초 '블록체인 암호화폐 추적 플랫폼'이 구축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9...투심 개선 '공포'→'탐욕'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44) 보다 5 포인트 오른 49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전날보다 완화됐음을 나타내며, 전날 '공포' 단계에서 '탐욕' 단계로 진입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36회 -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서
오케이코인코리아, 제36회 -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서이번 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 총액은 지난주 대비 2.42% 상승하여 1,389.95억 달러(한화 약 157.2조원)에 달하였으며, 일 평균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09% 상승한 311.1억 달러(한화 약 34.5조원)에 달했다.이번 주 TOP5에 선정된 암호화폐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1.35% 상승했으며, 거래량 또한 지난주 대비 2.17% 상승했다. 이번주 TOP5 암호화폐 시총은 시총과 거래량 모두 소폳 상승했으며, LTC가 16.06%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시가총액 상위 200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2.36%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통화 및 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주는 모든 영역이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중 수직 산업 응용 영역이 11.47%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수직체인 및 프로토콜과 수직 산업 응용에 해당되는 암호화폐들은 특화되는 산업 분야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이번 주는 약 65%에 해당하는 프로젝트가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게임 분야 프로젝트가 43.28%의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
테오 컨설팅 그룹, ‘ECP+ COIN’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 참여
테오 컨설팅 그룹, ‘ECP+ COIN’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 참여5일 상용 가상 화폐의 선두주자 ECP+가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에 참여한다.이번에 열리는 홍콩 블록체인 위크는 50개국 이상에서 120여명이 넘는 연설자와 150여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블록체인 행사이다. 홍콩에는 자국 정부의 지지와 투자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최대의 암호 화폐 거래소가 있으며, 투자자들의 끊임없는 활발한 투자와 폭넓은 암호 화폐 커뮤니티가 활동 중이다.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아시아의 블록체인 중심인 홍콩에 관련 연구 실험과 설계자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번 블록체인 위크의 전망도 매우 긍정적이다. 이번 행사에는 비트코인 관련자나 시스템 구축 설계자 혹은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까지, 약 3000여명이 넘은 대표단들이 참여하며, ECP+ 역시 글로벌 체인 대표자로 참석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 화폐의 가장 큰 성공의 주안점이 ‘상용화’에 있는 만큼, 이 범용성에 앞장서고 있는 ECP+의 활약이 기대된다. ECP+는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의 현지거래소들과 파트너 협약을 진행하고, 현재 아시아(중국, 필리핀, 일본 등) 국가에 글로벌 핀테크 서비스를 추진 중인 글로벌 암호 화폐이다. 빠른 결제 시스템을 통한 암호 화폐트레이딩, 송금서비스, 글로벌 페이먼트 등 실생활에서 간편하고, 또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암호 화폐 기술과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ECP+ Platform은 TEO CONSULTING GROUP.INC에서 기술 개발되고 론칭했으며, CY2CODE의 기술지원 및 자문을 받고 있는 탄탄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상용 화폐이다.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탈리아(Italy),‘스마트 콘트랙트’나 ‘DLT’와 같은 암호화 분야의 용어를 법적으로 정의 법안 발의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탈리아(Italy),‘스마트 콘트랙트’나 ‘DLT’와 같은 암호화 분야의 용어를 법적으로 정의 법안 발의바레인(Bahrain)금융산업의 중동 허브 바레인이 암호화 자산 플랫폼을 9개월간 시범 운영한다. 바레인은 종합적 규제를 마련하면서,암호화폐를 사용 중인 기업들이 국가 내 시범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AMBCRYPTO가 보도했다.바레인 경제개발위원회의 달랄 부헤지 사업부장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중앙은행이 규제를 공표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하면서 구체적인 타임라인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최근 뉴욕 금융부(NYDFS)가 2명의 신청자에게 주 전체의 암호화폐 라이선스를 지급했다고 Cointelegraph가 보도했다. 흔히 비트라인선스로 알려진 주의 규제체제는 뉴욕 시민에게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대상으로 투명한 공개와 소비자 보호 요건을 부과하고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2015년에 도입된 이래, 오직 소수의 기업만이 NYDFS의 승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스페인(Spain)스페인의 통신 다국적기업 Telefonica는 사용자들이 개인정보를 팔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시험할 예정이라고 CoinDesk가 보도했다. 이 시범운영은 처음엔 우루과이의 Telefonica 자회사인 Movistar의 사용자들 데이터부터 검증하게 될 것이다. Telefonica는 Wibson 마켓을 통해 데이터를 판매하는 소비자 대상으로 Movistar 가입자 상태를 검증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공증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명시돼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보안전문기업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단독 밋업 성황리에 마무리
보안전문기업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단독 밋업 성황리에 마무리- 최고 보안 수준 자랑하는 신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 12일 단독 밋업에 투자자 약 260 여명 참석하며 성료- 비트탑 파트너사들과의 현재 업무협약 내용 소개하고 향후 함께 진행할 사업 간략 소개보안전문기업인 씨커스가 제작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탑(대표이사 장홍석)이 지난 12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거래소 오픈 전 마지막 단독 밋업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14일 밝혔다. 비트탑 관계자에 따르면 짧은기간동안 밋업 참가자를 모집했음에도 불구하고 약 260여명의 인원이 참석했다. 이에 대해 이번 밋업을 주관한 비트탑의 장홍석 대표이사는 “비트탑이 29일 오픈하기 전 마지막 밋업이라서 투자자들이 확신을 얻기 위해 많이 참석한 것 같다”며 “많은 투자자분들이 애정을 갖고 비트탑을 응원하고 있어 기쁘다”고 소감을 말했다. 덧붙여, “이번 행사에서 실제 투자자들의 목소리를 들었다”며 “비트탑을 믿어준 투자자와의 건설적인 소통은 비트탑 내부에서도 항상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고, 투자자들의 목소리들이 실제 거래소가 오픈했을 때 잘 적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비트탑 파트너사 세션 및 Q&A 세션이 준비됐다. 파트너사 세션에는 원조이(OJT)와 S.K.E, 퀴즈톡(QizTok), 블루바이칼(BlueVikal) 등이 소개 되었으며, 각 회사의 기술력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으로 행사가 구성됐다. 특히, 이 날 밋업에 참석한 한 일반 투자자는 “비트탑에 투자를 하면서 거래소 오픈에 맞춘 사업진행 현황, 함께 성장해갈 파트너사 등에 대해서 궁금했었는데 이번 밋업 Q&A 세션이 충분하게 주어져서 궁금증을 모두 풀 수 있어 유익했다”고 소감을 말했다. 비트탑 파트너사 OneJoy(원조이)의 김석희 대표는 “밋업 때 발표한 것과 같이 앞으로 비트탑이 성공적으로 거래소를 오픈하고 글로벌 시장에 나가는 데 있어 다양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하고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한편, 비트탑은 정부 기관 인증을 받은 100% 자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소로 최고 수준의 보안 등급을 자랑한다. 또한 타바의 시스템 자산 인수로 제주도 내 타바 네비게이션을 갖춘 렌터카에 비트탑 자체 암호화폐인 프로그(FRG) 코인 결제 기능을 지원 할 예정이다.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6회 블록체인 산업 월간보고"
오케이코인코리아, "제6회 블록체인 산업 월간보고"2019년 2월 암호화폐 시총은 소폭 하락했으나, 비트코인의 가격이 11%정도 상승하였고 일 평균 거래량 또한 대폭 상승하여 전반적인 블록체인 암호화폐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었다.가능한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산업 발전 상황 분석을 위해 2019년 2월 보고서는 두 가지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투자자 설문 조사” 암호화폐를 보유한 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익 상황 및 포지션, 다음달 및 추후 6개월의 시장 예측, 다음달 보유 포지션의 변화 계획, 선호하는 분야, 투자 패턴 등 총 14개의 질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했다.“암호화폐시장분석” 1차시장(사모투자, ICO) 및 2차시장(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내 유통 거래)의 암호화폐를 구분하여 통계분석을 수행했다. 또한 암호화폐 시장을 「통화및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 으로 분류 하였으며,그 중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은 금융, 콘텐츠 판권, 디지털 신원 증명, 공증, 겜블링, 게임, 소셜미디어, 엔터테인먼트, e커머스, 교육, 여행 등으로 세분화했다.
-
대만 거래소 비트루, XRP 마켓에 ZIL·IOST·GNT·ICX 상장
▲ 美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사 '애링턴', 3,000만 달러 투자 유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인베스트인블록체인(investinblockchain)에 따르면 미국 IT 전문 미디어 테크크런치(TechCrunch)의 창업주 마이클 애링턴(Michael Arrington)이 설립한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사 애링턴 XRP 캐피탈(Arrington XRP Capital)이 3,0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해당 자금은 호주 블록체인 펀드 바이트사이즈캐피탈(ByteSize Capital) 인수 자금으로 사용됐다. 또한 바이트사이즈캐피탈의 창업주인 니노르(Ninor)와 니노르 맨솔(Ninor Mansor)이 협력 파트너 자격으로 애링턴 XRP 캐피탈에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거래소 비트루, XRP 마켓에 ZIL·IOST·GNT·ICX 상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최근 대만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루(Bitrue, 거래량 기준 58위)가 공식 채널을 통해 XRP 마켓에 ZIL, IOST, GNT, ICX 등 4개 신규 코인을 상장했다고 공지했다. 현재 비트루 플랫폼 내 XRP 마켓에는 총 38개 페어거래 종목이 상장돼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IBM재팬, 의료·제약업 블록체인 기술 도입
▲ 우지한 "분산된 채굴자, 중앙화 기관 영향력 제어 역할"28일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 업체 비트메인의 창업자인 우지한이 중국에서 열린 'POW'ER 중국 블록체인 기여자 연례 컨퍼런스에서 "분산된 채굴자들은 중앙화 기관의 권력과 영향력을 상호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이날, 작업증명(PoW) 메커니즘 및 탈중앙화 문제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IBM재팬, 의료·제약업 블록체인 기술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IBM재팬이 블록체인 기술 플랫폼을 구축하고 의료 데이터 교환 및 약품 공급 라인 구축에 나선다. 미디어에 따르면 IBM재팬은 연내 해당 프로젝트를 시범 운영할 계획으로, 이미 20 여 개 의료 기관 및 제약 업체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한편 IBM은 식품, 해운 등 블록체인 활용에 앞장서 왔다. 글로벌 유통기업 월마트와 망고 관리에 ‘푸드 트러스트’를 적용했으며, 해운업체 머스크와는 글로벌 무역 블록체인 플랫폼 ‘트레이드렌즈’를 개발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디센트, 암호화폐 지갑 출시
디센트, 암호화폐 지갑 출시ERC-721 지원되는 콜드월렛 등장 블록체인 및 암호자산 게임 프로젝트 대상 기브어웨이 진행 각 프로젝트별 커스텀 디자인으로 총 20개 회사에 제공아이오트러스트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콜드월렛 회사 디센트(D’CENT)가 다가오는 4월 말 세계 최초로 ‘게임 아이템’이 토큰화 되어 저장되는 콜드월렛을 출시한다. 디센트 관계자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지원하는 것이 눈 여겨 볼 점이다. NFT(NonFungible Token)란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란 의미로, 토큰마다 가치가 달라 희소성 있는 상품을 거래하는데 유용하다. 크립토키티의 경우 ERC-721 표준을 따르는 대표적인 게임 아이템이다. 디센트(D’CENT) 지갑은 ERC-721 표준을 기반으로 이러한 게임 아이템을 토큰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디센트(D’CENT)는 제품 출시에 앞서, 모든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기브어웨이(GIVE AWAY) 이벤트를 진행한다. 참가신청은 3월 18일부터 3월 29일 자정까지 디센트 공식 웹사이트 또는 온오프믹스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및 암호자산 게임 애플리케이션 회사는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디센트(D’CENT)는 추첨을 통해서 20개 프로젝트에게 원하는 디자인으로 커스텀된 카드월렛을 각 50개씩 제공할 예정이다. 디센트(D’CENT) 백상수 대표는 “현 시장에 출시된 콜드월렛 중에 아직 ERC-721기반 토큰을 지원하는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 게임 디앱의 많은 관심 및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직톡,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와 MOU체결
직톡,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와 MOU체결...외국어 학습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직톡, BRP와 전략적 제휴 맺어 직톡(ZIKTALK)’(대표이사 심범석)은 자사가 발행하는 직(ZIK) 토큰의 조기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 BRPartners(이하 BRP, 대표이사 한충호, 조현진)와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 직톡은 외국어를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 간의 소통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 앱 사용자의 80%가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글로벌 서비스이다. 페이스북이 지인들 간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라면 직톡은 외국어 학습 또는 외국인 친구맺기에 특화된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뿐만 아니라, 직톡 내에는 전문적인 튜터뿐 아니라 일반인도 모바일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자신의 모국어를 외국인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서비스가 구성돼 있다. 현재 약 1,800여 명의 일반 및 전문 튜터가 약 25개 국가에서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등 8개 언어를 가르치고 있다. 직톡과 양해각서를 체결한 BRP는 유망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해 컨설팅 및 투자, 어드바이징을 하는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이다. BRP는 중단기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시드 투자의 기반을 마련해주고, 전문가 및 유관기업을 연결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한다. BRP는 e-스포츠 프로젝트 칠리즈(ChiliZ)를 엑셀러레이팅 하여 6,500만 달러 투자 유치에 기여했고, 최근에는 이스라엘 기업인 헥사(HEXA)와 전략적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직톡은 블록체인 기술 도입으로 튜터들에게 수업료로 기존의 US달러 외에도 직(ZIK)토큰을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 튜터들이 US달러 대신 직(ZIK)토큰을 선택해 수업료를 지급받을 경우 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출금 시간 또한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직톡은 향후 누구나 자신의 언어, 음악 등 다양한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 대해 직(ZIK)토큰을 보상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하게 되며, 직 토큰 사용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토큰의 가격이 안정적이고 가치 상승 또한 기대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조현진 BRP 공동대표는“ 이미 글로벌 교육플랫폼으로 의미 있는 성장을 하고 있는 직톡과의 협업에 많은 기대가 된다. 직톡은 블록체인의 성공적인 활용 모델로 발전될 것으로 생각하며, 긴밀한 협업을 통해 직톡 플랫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직톡 심범석 대표는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 전문기업인 BRP와의 업무 협약으로 직토큰의 국내외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직톡은 올해 내로 10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고, 교육 분야의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직톡은 두나무 자회사인 람다256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인 루니버스에 참여하고 있다.
-
日 금융청 "일본 암호화폐 사업자 등록 희망 기업 140개 이상"
▲ 日 금융청 "일본 암호화폐 사업자 등록 희망 기업 140개 이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이 일본 금융청(FSA) 암호화폐 기업 사업자 등록 현황을 인용, "27일 기준 FSA가 접수한 암호화폐 거래소 신규 사업자 등록 건수는 23개로, 이 중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디커렛(DeCurret), 라쿠텐 월렛(Rakuten Wallet)이 승인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이로써 일본 내 당국 정식 승인을 받은 암호화폐 거래소는 19개로 늘어났다. 이와 관련 FSA는 “최근 사업자 등록을 신청한 23개 기업 중 7개 기업에 대해 심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일본 암호화폐 사업 진출에 관심을 보인 기업은 140개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58COIN, 선물 상품 관련 API 서비스 개시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58COIN이 선물 계약 상품 관련 API 서비스를 정식 출시했다. 이에 따라 퀀트 분석팀 및 데이터 종합 플랫폼들은 해당 API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스티븐(Steven) 58COIN 거래소 운영 총괄은 "업계 투자자들은 '무기한 선물 상품'을 58COIN을 대표하는 서비스로 여겨왔다. 사실 우리의 선물도 '기한'이 존재하며, 여기에 새로운 룰을 더해 API 서비스를 개시했다. 해당 서비스가 향후 새로운 가치발견의 기회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댄 라리머, 28일 텔레그램 커뮤니티 발언 종합
▲ 美 유명 프로그램, 암호화폐로 우간다 아동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뉴스(BitcoinNews)에 따르면 미국 뉴햄프셔주 유명 프로그램 프리토크라이브(Free Talk Live)가 최근 우간다 아동을 돕기 위한 암호화폐 자선 모금 활동을 진행, 총 8만 달러를 조달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사회자 마크 엣지(Mark Edge)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자선 프로젝트를 홍보했으며, 시청자는 인기 P2P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인 셰이프시프트(Shapeshift)를 통해 Dash, BTC, BCH 등으로 모금에 참여했다. 한편 해당 자금은 고아원 설립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댄 라리머, 28일 텔레그램 커뮤니티 발언 종합28일(현지 시간) 댄 라리머 EOS 창시자가 최근 EOS와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입을 열었다. 이하 댄 라리머의 커뮤니티 발언이다.1. 월렛 관련 코드는 6월 전 공개될 예정이며, 해당 코드는 월렛 및 결제와 관련된 코드일 것.2. EOS의 사이드체인 기술은 이미 IBC(Inter Blockchain Communication) 단계에 있다. 사이드체인은 시장의 수요에 따라 출시될 것.3. 블록원 직원들의 임금은 암호화폐가 아닌 법정통화로 지급된다.4. 블록원은 현재 정부와의 관계 수립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5. 나의 역할은 개발자들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것이다. 블록원에는 현재 뛰어난 개발자들이 다수 포진해있으며, 그들의 코딩 능력은 나보다 낫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일본인 "블록체인 엔지니어, 가장 돈 많이 벌 직업 4위"
▲ ELA, 메인넷 업그레이드...합의 프로토콜 'AUXPoW+DPoS'로 변경엘라스토스(ELA, 시가총액 103위) 개발 팀이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29일 11시부터 30일 오후 7시까지 메인넷 노드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ELA는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기존 메인넷 합의 프로토콜 AUXPoW에 DPoS를 추가할 예정이다. ELA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85% 상승한 2.8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일본인 "블록체인 엔지니어, 가장 돈 많이 벌 직업 4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일본 대형 금융기업 다이와 증권 산하 야마토 넥스트 은행이 "지난 11일~12일 20~6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10년 후(2029년)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직업군 예상 순위에서 '블록체인 엔지니어'가 4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해당 설문조사에서 일본 '헤이세이 세대'들이 예상한 평균 연봉이 가장 높은 예상 직업 1위는 원격 의료 닥터(인터넷을 통한 원격 진찰 전문 의료진), 2위 로봇 제작자, 3위 유튜버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