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체인 기반 시계형 의료센서 개발
▲ 슬로우 미스트, 트레이딩 뷰 타깃 제로데이 공격 감지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슬로우 미스트에 따르면 투자 정보 플랫폼 트레이딩뷰의 이동평균선 관련 자바스크립트 풀에 대한 2차례의 제로데이 공격이 감지됐다. 제로데이 공격이란 운영체제(OS)나 네트워크 장비 등 핵심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뒤 이를 막을 수 있는 패치가 발표되기도 전에, 그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공격을 감행하는 수법이다. 첫번째 공격에는 이용자 계좌 정보 탈취와 이를 이용한 거래 조작으로 인한 자산 손실 리스크가 존재한다. 2번째 공격은 피싱을 통해 이용자들의 계좌 암호를 탈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해당 공격들은 클라우드 플레어(Cloudflare)와 블라우저 CSP 방어 시스템을 우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해 슬로우 미스트는 "트레이딩 뷰를 이용중인 프로젝트들은 이용자들의 피드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日 블록체인 스타트업, 블록체인 기반 시계형 의료센서 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와치(Crypto Watch)에 따르면, 일본 양자기술개발 업체 퀀텀오퍼레이션(Quantum Operations)이 블록체인 스타트업 프로그 컴퍼니(Frog Company)와 파트너십을 체결, 시계형 의료센서를 개발한다. 해당 제품은 사물인터넷(IoT)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개인 의료 데이터 공유를 통해 의료 기록을 원격 관리한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글로벌 체스 게임 '체스닷컴', 멤버십 결제에 BTC 지원글로벌 체스 게임인 '체스닷컴'(Chess.com)이 멤버십 결제에 비트코인(BTC)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멤버십 결제 중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 비트페이(BitPay)를 통한 BTC 결제가 가능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노키아, 5G 구축 가속화 위한 ‘FWA 패스트마일 5G 게이트웨이’ 출시
노키아, 5G 구축 가속화 위한 ‘FWA 패스트마일 5G 게이트웨이’ 출시노키아는 이동통신사업자들이 기존 LTE 망을 업그레이드 하여 새로운 FWA(고정 무선망; Fixed Wireless Access)의 신규 수익을 창출하고 5G 구축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패스트마일 5G 게이트웨이(FastMile 5G Gateway)’를 선보였다. 이번에 새롭게 발표한 패스트마일 5G 게이트웨이는 이통사들이 LTE망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6GHz 이하 5G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FWA 커버리지 및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통사들이 성장하는 시장 세그먼트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노키아의 패스트마일 5G 솔루션은 구축이 용이하고, 모바일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일 인도어(single and indoor) 장비를 제공한다. 이 게이트웨이는 3GPP 컴플라이언트 5G NR(New Radio) 규격을 준용하여 기가비트 속도를 가정에 공급한다. 또,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을 통해 사용 가능한 최상의 4G 및 5G 신호를 사용하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 제품은 플러그 앤 플레이 솔루션으로, 설치가 간편하며, 시각 자료를 이용해 소비자가 집에서 최고의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노키아의 가정용 WiFi 솔루션과의 호환성으로 가정의 구석 구석에서 완벽한 초광대역 환경을 제공한다. 패스트마일 5G 게이트웨이는 업계 최고의11dBi게인 안테나(gain antenna)를 사용하여 실내 커버리지를 최대 2배, 다운링크 용량을 3배, 업링크 용량을 기존 제품 대비 5배까지 지원한다.
-
외신 "몰타 현지 은행, 블록체인 기업 계좌 개설 거절"
▲ 외신 "몰타 현지 은행, 블록체인 기업 계좌 개설 거절"몰타 현지 미디어 타임즈 오브 몰타(timesofmalta)에 따르면, 규제를 피해 몰타에서 운영 중인 블록체인 기업들이 계좌 개설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미디어는 "한 익명의 제보에 따르면, 몰타의 은행들이 리스크 수용범위(risk appetite)를 넘어섰다며 계좌 개설을 거절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실비오 스킴브리(Silvio Schembri) 몰타 재무부 장관은 "일부 은행들이 블록체인이 아닌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 계좌 개설을 꺼리고 있다"며 "블록체인 관련 사업자와 암호화폐 관련 사업자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현재 은행과 각종 이해관계자들과 해당 안건과 관련해 조율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암호화폐 시장 붕괴, 중요한 시장 리스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RS) 이사회가 지난 28일(현지시간) 관리감독 스트레스 테스트(supervisory stress tests)와 관련된 정책 수정안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붕괴를 중요한(salient) 시장 리스트로 간주할 수 있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IBM 블록체인 부사장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 시장 잠재력 커"
▲ 러시아 "'암호화폐 채굴기 등 350억원 자산 몰수', 사실 무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러시아 내무부가 공식 성명을 통해 "최근 경찰 당국이 20억 루블(약 351억원) 상당의 현금 자산과 암호화폐 채굴기를 몰수했다는 소식은 사실 무근"이라고 발표했다. 앞서, 러시아 경찰 당국은 한 익명의 제보를 통해 모스크바 최대 마켓플레이스인 사도보드(Sadovod)의 일부 상점들을 압수수색했고, 이 과정 중 대규모의 자산을 몰수했다는 소식이 주요 커뮤니티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전 CFTC 위원장 "美 국회, SEC에 암호화폐 규제 관할권 일임 필요"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전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티모시 마사드(Timothy Massad)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규제 개선안을 내놓았다. 이와 관련 그는 "미국 국회가 암호화폐 규제 관할권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CFTC에 각각 분리할 필요없이, SEC가 암호화폐 시장 전반을 규제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며 "세세한 규정 보단 핵심적인 원칙(core principles) 수립에 주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전통 증권 및 금융 파생상품 시장에서 사용됐던 규제 기준은 암호화폐 시장과 맞지 않다"며 "암호화폐 관련 사기 사건을 예방하지 못하고 투자자 보호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IBM 블록체인 부사장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 시장 잠재력 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IBM 블록체인 부문 부사장 제시 룬드(Jesse Lund)가 인터뷰 중 "블록체인 기반 결제 서비스 시장의 잠재력은 매우 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전세계 성인 인구 중 약 20억명은 현재 은행 계좌 개설 등 일반적인 금융 서비스 조차 누릴 권한이 없지만, 이들 중 10억명 이상은 디지털 자산을 보유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다"며 이유를 설명했다. 한편, IBM은 스텔라(XLM, 시가총액 8위) 기반 해외 결제·지급 시스템 월드와이어(World Wire)를 전세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코인플러그, 메타디움 블록체인 기반 제증명 서비스 개발에 나서...
코인플러그, 메타디움 블록체인 기반 제증명 서비스 개발에 나서...SK텔레콤 등 8개사 컨소시엄 구성…올해 시범서비스 선보일 예정코인플러그는 ID/인증 네트워크에 기반한 금융, 통신 교육 분야 서비스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SK텔레콤이 주관하고 8개사가 참여해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해당 컨소시엄은 △통신(SK텔레콤, LG유플러스) △블록체인/보안(코인플러그, 해치랩스) △마케팅 플랫폼(SK플래닛) △금융(코스콤,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분야의 대표기업들로 이뤄졌다. 블록체인 전문 핀테크 기업인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SK텔레콤과 함께 민간 주도 블록체인 기반 아이디(ID)/인증 서비스 개발 지원에 나선다. 특히 파트너사인 메타디움의 코어 기술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기대돼 제증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일으킬 전망이다.컨소시엄은 표준화와 확장성을 고려한 탈중앙화ID(DID) 인프라와 비대면 실명인증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개발(통신) △스타트업 투자 플랫폼 개발(금융) △대학/협·단체 제증명 발행 및 관리 서비스 개발(교육) 등을 통해 대국민 체감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 중 코인플러그는 SK텔레콤의 DID 인증 및 모바일 신분증서비스와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메타디움과 연동한 제증명 서비스를 이용해 교육 분야를 주도적으로 개발해 나갈 방침이다. 최근 출시된 메타디움의 메인넷을 플랫폼으로 삼아 제증명 서비스를 자체 개발한다는 것이다. 해당 서비스는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뿐만 아니라 사회적 비용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선정, 블록체인 솔루션 및 인프라 공동 개발 - 알고랜드 플랫폼의 최초 파트너로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 프로젝트 탑네트워크 선정- 6천만 명 이상의 유저 확보로 플랫폼 개발 및 확장 가속화 빠른 결제 처리 속도로 국경없는 경제를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 알고랜드(Algorand) 플랫폼 파트너로 탑 네트워크(TOP Network)가 선정되었다.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알고랜드의 플랫폼 위에서 블록체인 확장성을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과 인프라를 공동으로 개발한다.알고랜드는 튜링상 수상자이자 영지식 증명의 권위자인 실비오 미칼리 MIT 명예 교수가 만든 국경없는 경제 구축을 위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알고랜드는 블록체인 한계로 지적되는 블록체인 트릴레마(확장성, 보안, 분산화 중에서 두가지만 선택 가능한 딜레마)를 무허가형, 순수지분증명 프로토콜로 극복하여 전 세계 수십억 사용자들을 위한 국경 없는 경제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알고랜드의 플랫폼 파트너로 선정된 탑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터넷 전화(VoIP) 어플리케이션 딩톤(Dingtone), 가상사설망 어플리케이션 스카이 VPN(SkyVPN), 메시징 플랫폼 커버미(CoverME) 디앱(DApp)으로 전 세계 6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이미 보유한 서비스이다. 파트너십을 통해 알고랜드는 탑 네트워크의 클라우드 통신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되었으며 6천만 명의 사용자를 알고랜드 플랫폼 생태계로 불러들이게 되었다.튜링상 수상자이자 알고랜드 설립자인 실비오 미칼리(Silvio Micali) MIT 교수는 "탑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알고랜드는 대중들에게 더욱 가깝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며 “탑 네트워크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더욱 차별화된 블록체인 솔루션을 선보일 것”이라 전했다.
-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
BeFull 커뮤니티, EOSDAQ와 함께 EOS 생태계 구축하여 한국시장 진출BeFull 커뮤니티는 한국 탈중앙화 거래소 EOSDAQ와 전략적인 협력 협의를 3월 26일 체결했다. 이 협의에 따르면 양측은 EOS 생태계를 기반으로 협의를 할 것으로 약속했다. EOSDAQ와의 협력으로 BeFull 커뮤니티는 한국지역에서의 중요한 첫 진출을 했다. 이로써 한국 시장에서 EOS를 기반으로 하는 중요한 네트워크 커뮤니티 토큰 체제를 구축할 계획을 시작한 것이다.BeFull 창시자 하오는 “EOS는 Block.One의 계열사이다. Block.One은 10억위안 투자의 투자금을 EOS 생태계의 발전기금으로 이를 사용하도록 했다. 이 기금회는 국제적으로 수많은 EOS 프로젝트를 도와 안정적인 성장을 일구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저와 저의 팀은 EOS를 신뢰하며 그의 발전을 지켜보고 있다. EOS를 선택한 이유는 믿음뿐만 아니라 비전에 대한 굳은 믿음이 있기에 가능했다. EOSDAQ와 협력하는 것은 저희에게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며 BeFull 커뮤니티의 힘과 EOSDAQ 전문거래 플랫폼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에게 더 생동한 탈중앙화를 체험시킬 것이다”고 밝혔다.EOSDAQ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EOS 분포식 거래소로 2018년에 출발해 한국 시장에서 큰 활약을 보였으며 한국에서 가장 빨리 발전한 거래소 중 하나다. 현재까지 수천명의 현지 고객들을 유치했으며 금융업에서 최첨단 기술을 보유한 안전 감독회사들과 협력해 거래의 안전성과 사용자의 더 나은 체험을 위해 노력했다.EOSDAQ 공동 창시자 Peter Kim은 “탈중앙화 거래소는 블록체인 거래소의 미래임과 동시에 추세다. 이는 세계 각지의 유저들을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할 것이다. BeFull과 협력하여 우리는 또 다른 발전의 기회를 얻었으며 더 많은 중화권 유저와 만나고 싶다. 그리고 우리는 BeFull 유저들에게 정확한 기술과 EOS 지식을 보급하고 싶다”고 말했다.협력 강화를 위해 EOSDAQ 공동창시자 겸 CEO 정세현은 “BeFull 커뮤니티의 요청으로 고문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EOS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 측면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
한∙몰타 델타 컨퍼런스, 4월 5일[금] 신라호텔 개최
한∙몰타 델타 컨퍼런스, 4월 5일[금] 신라호텔 개최- 2019년 4월 5일(금),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 오후 2시 개최 - 몰타 외무통상장관, 수상실 장관을 비롯한 정부 대표단 50여명 참석. 한국측,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 무역협회장, 중소기업 중앙회장, 금융투자협회장, 한몰타비즈니스 포럼회장 등이 Opening Speech- ‘한국과 몰타의 Express Way’ 주제로 한국기업의 유럽진출 혜택에 대해 논의몰타와 한국 정부 관계자, 기업인 등 300여명 참석 예정지중해에 위치한 전 EU의장국 몰타의 정부 당국자와 한국의 혁신기업들이 유럽시장 진출을 놓고 협력을 논의한다. 작년 EU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 몰타에 주목하면서 결성된 「한∙몰타 비지니스 포럼」(www.koreamaltforum.com)은 4월 5일(금)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한국과 몰타의 비즈니스 Express Way의 미래'라는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카멜로 아벨라(Camelo Abela) 몰타 외무통상장관, 실비오 스켐브리(Silvio Schembri) 수상실 장관 등 약 70여명의 몰타 정부 관계자와 기업인들 참가하며, 한국쪽에서는 국회의 민병두 정무위원장, 홍의락 국회혁신생태계포럼 의장, 권용원 금융투자협회장, 배재광 한-몰타비즈니스포럼 회장이 오프닝 스피치에 나서면서 정유신 핀테크지원센터장,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 등 정재계 인사들과 기업인 약 300여명이 참석한다. 몰타국은 2명의 장관외에도 몰타금융서비스청(MFSA), 몰타디지탈혁신청(MGIA), 몰타게임청(MGA)핀테크, 몰타무역협회(Malta Trade) 등 금융, 게임, IT, 블록체인과 관련된 공공기관과 ICT 기업, 법률 및 회계법인, 은행과 투자회사 등 약 30여개의 기업이 한국측 파트너와 만날 예정이다. 행사일에는 몰타와 한국정부 관계자들이 ‘EU와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로서 몰타에서의 새로운 기회(A new Opportunities in Malta, EU Headquarters for Innovative Companies)를 내용으로 기조발제 등 컨퍼런스를 진행하고, 핀테크와 블록체인, iGaming, e-스포츠, 바이오 등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럽진출을 목표로 하는 한국 기업에 대한 혜택과 몰타 정부의 보호, 1:1 매치매치킹을 준비하였다. 포럼이 끝난 뒤에는 사전신청한 회원 기업을 대상으로 몰타 관계자와 스페셜 매치메이킹 미팅을 추가로 한다. 유럽 진출을 목표로 삼는 기업들에 대한 혜택 논의컨퍼런스에서 개최되는 핀테크 스페셜 세미나에서는, 한국 핀테크 기업들과 블록체인 기업들의 EU 진출 방안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몰타는 영국의 금융제도가 자리를 잡은 나라로서 예측가능한 규제프레임(Regulatory Framework)을 가지고 있다. 특히 2018년 가상금융자산법 등 4차산업 핵심플랫폼 기술인 블록체인을 적극적으로 입법화한 경험과 바이낸스 등 세계적인 암호화폐 거래소의 몰타 진출에 사례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 이날 행사는 한∙몰타 비즈니스 포럼이 주최하고,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블록체인거버넌스컨센서스위원회, 한국핀테크연구회, 국제e스포츠연맹 등이 후원하는 만큼 유럽진출을 모색하는 벤처, 중소, 중견기업의 참여가 예상된다. 행사를 주최하는 한∙몰타 비지니스 포럼의 배재광 회장은 "행사를 주최하는 「한∙몰타 비즈니스 포럼」은 혁신적인 한국기업들이 EU와 아프리카 등 해외 진출에 따른 불이익을 최대한 없애고 혁신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글로벌화하는데 필요한 직접적인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 가장 작은 노력으로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국가로 몰타를 선정하여 몰타 정부를 설득하여 ‘2019년 한·몰타 델타 컨퍼런스’를 개최하게 되었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요청했다. 향후 활동계획으로는 ‘한-몰타비즈니스 포럼’의 회원으로 가입한 기업과 변호사 등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매년 두번의 한-몰타 ‘컨퍼런스’, EU와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법제도 분석과 필요한 라이센스 취득 자문, 교류확대를 위한 각종 활동과 상대국 정부들과의 교섭 등을 통한 최혜국 보호방안을 강구하는 등 기업과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새로운 길을 개척할 예정이다.한편, 5일 개최되는 델타 컨퍼런스 참가한 기업들은 4월 10일(수)에 열리는 한∙몰타 비즈니스 파트너쉽 대회의 참석 자격이 주어진다. 10일(수)의 파트너쉽 행사는 몰타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의 정보공유의 장이 될 예정이다.
-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
체인파트너스, 필리핀 중앙은행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 인가블록체인 핀테크 전문업체 (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 https://chain.partners)는 필리핀 중앙은행(BSP, Bangko Sentral ng Pilipinas)으로부터 가상통화 거래소(Virtual Currency Exchange) 설립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필리핀 중앙은행은 지난 6개월간 진행된 평가를 마치고 25일 부국장 명의의 승인서를 발부했다.필리핀 중앙은행은 엄격한 돈 세탁 방지 규정을 마련한 사업자에게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외환 딜링 업무까지 허용하고 있다. 인가 범위가 넓어 전세계 100여개 업체가 대기중이지만 인가는 하늘의 별따기다. 2017년 인가 도입 후 올 3월까지 8개 업체만 인가를 받았다. 체인파트너스가 아홉번째다.체인파트너스는 인가를 바탕으로 내달 한국 법인이 100% 소유하는 체인파트너스필리핀주식회사(Chain Partners Philiphine Inc.)을 세우고 영업 준비에 들어간다. 영업이 시작되면 체인파트너스는 인구 1억명의 필리핀 전국에서 가상통화 거래소 운영은 물론 법정화폐와 가상통화간 환전, 해외 송금 업무를 영위할 수 있게 된다.필리핀은 외국에 거주하는 자국민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금액이 연간 328억달러인 세계 3위의 국제 송금 시장이다. 저렴한 수수료로 최근 블록체인 기반 송금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 무허가 비트코인 송금으로 이루어져 왔다. 체인파트너스가 필리핀 정부로부터 가상통화를 이용한 합법적인 해외 송금 및 외환 딜링 허가를 받게됨에 따라 앞으로 세계 3위의 송금 시장에 유리하게 뛰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체인파트너스는 작년 11월 유럽연합(EU) 가입국인 몰타(Malta) 정부로부터 가상금융자산법상 가상통화 거래소 설립이 가능한 최상위 라이센스(Class 4)를 취득한데 이어, 이번 필리핀 가상통화 거래소 인가가 두번째 해외 성과다.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자금 세탁 방지와 본인 확인 등 금융권 수준의 규제를 준수하며 디지털 자산 시장의 양성화를 추구해 온 결과 몰타에 이어 경제규모가 훨씬 큰 필리핀에서도 합법적인 영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며 “앞으로 경제 규모가 더 큰 나라들에서도 디지털 자산 취급 인가를 받아, 궁극적으로 가장 많은 법정통화를 합법적으로 다루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전문업체로 발전시켜가겠다"고 밝혔다.한편 필리핀 카가얀 경제구역청(Cagayan Economic Zone Authority)은 2018년 7월 전세계 25개 업체에 가상통화 취급 라이센스를 발급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만 가상통화를 취급할 수 있어 제한적이다. 체인파트너스가 취득한 중앙은행 인가는 별도의 거래자 제한이 없고 법정화폐-가상통화간 거래, 환전, 송금 사업을 할 수 있어 격이 다르다.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모바일고(MGO),Waves 플랫폼과 이더리움 플랫폼에 동시에 발행된 최초의 암호화폐.
[후오비 오늘의 코인] 모바일고(MGO),Waves 플랫폼과 이더리움 플랫폼에 동시에 발행된 최초의 암호화폐.모바일고(MGO)Waves 플랫폼과 이더리움 플랫폼에 동시에 발행된 최초의 암호화폐. 기존 앱스토어 플랫폼보다 개발진에서 많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구조다. 낮은 수수료에 의한 사용자 유입, P2P와 토너먼트 기능을 보유했다. 모바일 게임 시장을 선도하는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게임 유통 플랫폼(Gamecredits)의 핵심 토큰이다.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개최하는 여러 종류의 토너먼트 상여금과 출시 예정 모바일 게임 상품의 사전 체험 등으로 활용된다.디크리드(DCR)비트코인과 유사한 형태의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커뮤니티 의견, 오픈된 관리방식, 지속할 수 있는 펀딩과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차이점이다. POW와 POS 하이브리드 방식의 채굴로 사용자들의 자율성에 중점을 둔다. 소수의 특정 그룹이 독과점하기 힘들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는 공격으로부터 다소 안전하다.월튼체인(WTC)블록체인 기반 RFID 프로토콜. 유통 및 커머셜 네트워크를 체인화해 Waltonchain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각 개체가 각자의 요구에 맞는 사이드체인을 연동해 활용할 수 있는 유통 네트워크 생태계 구축을 지향하는 프로젝트다. 특히 RFID와 블록체인의 융합 그리고 인터넷과 사물 인터넷의 연동을 통해 유통의 구조적인 혁신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유통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인벤토리 관리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RFID와의 완벽한 연동을 제시한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
▲ 스위스 증권 거래소, XRP 기반 ETP 상품 정식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에 따르면, 스위스 최대 증권거래소그룹인 SIX스위스거래소가 리플(XRP) 기반 상장지수상품(ETP·Exchange Traded Product)을 출시했다. 앞서 해당 거래소는 이달 초에 비트코인(BTC)와 이더리움(ETH) 기반 ETP를 상장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SIX스위스거래소가 전통 금융 시장에서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암호화폐 관련 전문 리서치 기관 다이어(Diar)를 인용해 "거래소가 라이트코인(LTC), 스텔라(XLM), 비트코인캐시(BCH) 관련 상품을 출시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20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1.46%, 숏 포지션 비율은 26.63%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4,23%, 15.20%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8.34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79.85만 ETH로 전날 대비 소폭 감소한 추세를 보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K코인 창업자, 스테이블코인 OKUSD 출시 예고
▲ OK코인 창업자, 스테이블코인 OKUSD 출시 예고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코인 창업자 쉬밍싱(徐明星)이 최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스테이블 코인은 블록체인에서 가장 중요한 응용 사례 중 하나다"라며 "OK코인도 빠른 시일 내로 스테이블코인인 OKUSD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MONA 채굴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VIPPOOL clerk' 공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Watch)에 따르면, 모나코인(MONA, 시총 117위) 채굴풀 'VIPPOOL'이 블록체인 기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VIPPOOL clerk'과 해당 툴 사용에 편리성을 위한 파이썬(Python) 코드 라이브러리 'VIPPOOL storage'을 출시했다. MONA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32% 오른 0.51962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ETH·EOS·TRX 댑 데이터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오늘 ETH댑은 총 1,637(+1)개, EOS댑은 443(+4)개, TRX 댑은 262(+)개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 기준 상위 3개 ETH 댑은 CDP Portal(거래소, 거래량 890,832 달러, 사용자 785 명), dice2.win(겜블링, 거래량 801,299 달러, 사용자 82 명), FCK(겜블링, 거래량 796,123 달러, 사용자 576 명), 상위 3개 EOS 댑은WhaleEx(거래소, 거래량 9,190,268 달러, 사용자 15,236 명), Zion.games(겜블링, 거래량 6,479,209 달러, 사용자 2,792 명), Chaince(거래소, 거래량 2,129,540 달러, 사용자 235 명), 상위 3개 TRX 댑은TRONbet(겜블링, 거래량 10,352,270 달러, 사용자 4,026 명), 888Tron(겜블링, 거래량 1,884,293 달러, 사용자 863 명), TronTrade(거래소, 거래량 1,624,059 달러, 사용자 2,508 명) 순이다.▲ 비트코인닷컴 월렛 5.6 버전 출시...BTC·BCH 전환 가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비트코인닷컴 월렛 5.6 버전을 출시했다고 전했다. 해당 버전은 사이드시프트(Sideshift) 기술을 통해 BTC와 BCH의 전환 및 구매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3.0’ 엑스블록시스템즈, 다차원블록체인 특허 등록
‘블록체인 3.0’ 엑스블록시스템즈, 다차원블록체인 특허 등록-엑스블록시스템즈 ‘전자정부에 최적화된 블록체인’ 전자문서기반 다차원블록체인 특허 취득-특허받은 블록체인기술, 엑스블록시스템즈 다차원블록체인 특허등록 발표-블록체인을 검증하는 시스템이 기존의 PC급에서 스마트폰 및 저용량의 환경에서도 구현 가능..엑스블록시스템즈는 지난 25일 특허청으로부터 ‘블록체인 시스템 및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관리 방법’에 대한 특허등록결정이 완료되었다고 밝혔다.엑스블록시스템즈 권용석CTO는 ‘이번 특허등록은 다차원구조의 블록체인에 대한 혁신기술을 검증 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이미 해외 PCT출원까지 마친 상태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기술에 대한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되었다’고 밝혔다.이어 ‘앞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중국,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 유럽 등 주요 국가별로 특허등록을 진행, 올해는 국내 사업화 및 해외시장 개척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엑스블록시스템즈는 이번 특허 외에도 블록체인기술에 대한 다양한 특허를 출원한 상태이며, 핵심 기술이 특허등록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특허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이번에 등록된 특허는 엑스블록시스템즈가 개발한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의 핵심 기술로 기존의 선형적인 블록체인 구조를 다차원 구조로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필요에 따라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하고,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블록체인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이는 블록체인을 검증하는 시스템이 기존의 PC급에서 스마트폰 및 저용량의 PC 환경에서도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삼성 갤러시S10에 가상화폐가 탑재되 듯 모바일 환경에서도 블록체인을 검증(채굴)할 수 있는 기술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게 업계관계자의 평이다. 엑스블록시스템즈는 계속적인 기술개발과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국제무대에서 인정받는 전자문서에 최적화된 블록체인을 구현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엑스블록시스템즈는 다음달 5일 블록체인 분야 전문가 및 각계 각층의 전문가를 초청해 전자문서기반 다차원블록체인 ‘엑스블록체인’ 메인넷 개발 완료에 따른 엑스블록체인 발표회를 개최하고, 특허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된 블록체인 기술을 소개, 향후 응용분야 및 활용방안에 대해 발표할 계획이다.
-
호주 대표 블록체인 기관 합병...블록체인 업계 성장 촉진
▲ 호주 대표 블록체인 기관 합병...블록체인 업계 성장 촉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츠온라인(bitsonline)에 따르면, 호주 대표적인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자율 규제 협회인 호주디지털상공회의소(ADCA, Australian Digital Commerce Association)와 블록체인호주(Blockchain Australia)가 합병하는데 합의했다. 합병 후 기관명은 '블록체인호주'(Blockchain Australia)'로 변경한다. 이와 관련해 ADCA 닉 지우리에또(Nick Giurietto) 최고경영자(CEO)는 "블록체인 업계 성장을 촉진하고 기술 보급을 앞당기는데 유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REX, 비트포렉스 25일 상장...비트소닉서 32.43% ↑스위스 블록체인 외환송금 프로젝트인 크론 네트워크(KREX)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렉스에 오는 25일 오후 4시 상장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KREX 담당자는 "비트포렉스측의 상장 공지와 함께 중국 시장 마케팅을 바로 시작할 계획"이라며 "이번 기회를 통해 공격적으로 중국 시장의 저변 확대하고 KREX의 가치를 알리고 커뮤니티를 단단히 하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KREX는 지난 1월 비트포렉스(Bitforex)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비트소닉 기준 KREX는 현재 32.43% 상승한 682원에 거래되고 있다.▲ '김정은 조카 보호' 주장 단체, BTC로 5만 달러 모금자유아시아방송(RFA)가 오늘(20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조카 김한솔을 보호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자유조선'이 비트코인으로 모금하는 후원금 계좌를 통해 지난 2017년 3월 8일부터 약 14.23 BTC(약 5만6000달러)를 모금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해당 미디어에 따르면, 현재 자유조선 후원금 계좌에는 총 0.016 BTC(약 60달러)가 남아있으며, 지금까지 14.22 BTC(약 5만6000달러)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입출금은 총 56회(9입금 49회, 출금 7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SBI그룹, 자회사 설립...블록체인 송금 서비스 '머니탭' 제공
▲ 윙클보스 캐피탈 파트너 "스테이블코인, 인터넷 결제 수요 만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최근 윙클보스 캐피탈(Winklevoss Capital)의 파트너인 스털링 위즈키(Sterling Witzke)가 인터뷰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은 인터넷 결제의 수요에 맞게 완벽하게 설계되어 있다"며 "암호화폐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꾸준히 인기를 얻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크립토 도저, 10ETH 상당 인형 수집 이용자 나타나이더리움 기반 댑 게임 크립토 도저에서 10 ETH 상당의 인형을 수집한 이용자가 나왔다. 현재 시세로 약 155 만원이다. 크립토 도저는 인형 수집 게임으로 다양한 전략을 수립해 다양한 가치의 인형을 모을 수 있다. 가장 가치가 높은 인형의 가격은 70 ETH다. 앞서 지난 3월 초 한 크립토 도저 유저는 7 ETH 상당의 인형을 수집한 바 있다. 크립토 도저는 지난 3월 7일 출시한 후 1주일만에 댑 게임 원조 '크립토 키티'를 꺽고 이더리움 기반 게임 순위 1위(거래량 기준)에 올라섰다. 이와 관련해 크립토 도저의 개발사 및 유통사인 수퍼트리의 최성원 대표는 "해당 유저 외에도 많은 유저들이 일평균 수 만원대의 인형들을 획득하고 있다. 과거 온라인 게임을 통해 개발사와 유통사가 돈을 벌었다면, 이제는 블록체인 기반 댑 게임을 통해 유저들이 직접 돈을 벌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SBI그룹, 자회사 설립...블록체인 송금 서비스 '머니탭' 제공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SBI그룹이 전날(19일) 지분 100%를 보유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 송금 전문 자회사를 설립했다. 이를 통해 기존 개인 송금 애플리케이션인 '머니탭(Money Tap)' 등 서비스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머니탭은 SBI 홀딩스와 Ripple, 주요 대형 은행 등이 투자한 SBI Ripple Asia가 운영했지만, 초기 투자 유치를 위해 이와 같은 결정을 했다는 설명이다. 한편 머니탭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송금 서비스로, 스미신 SBI넷을 비롯한 현지 3개 은행을 통한 거래가 가능하다. 계좌번호가 없어도 QR코드 및 휴대폰 번호를 통해 이체가 가능하며 수수료가 들지 않는다. 머니탭은 현재 다수 은행 기관과 투자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엔비디아 CFO "업계 불황 불구 목표 판매량 달성 기대"
▲ 롱해시 "BTC 시세 변동 시 '비트코인 매수' 키워드 검색 급증"블록체인 분석 전문 업체 롱해시(Longhash)에 따르면 최근 1년 비트코인(BTC) 주요 시세 변동 구간에서 '비트코인 매수(Buy Bitcoin)' 구글 키워드 검색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롱해시는 "BTC 주요 시세 변동 구간은 BTC 시세 급등 및 급락 구간을 지칭한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아 CFO "업계 불황 불구 목표 판매량 달성 기대"블룸버그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엔비디아 회의에서 엔비디아의 수석 부사장 겸 CFO인 콜레트 크레스(Colette Kress)가 "암호화폐 채굴업 불황으로 그래픽카드 재고가 쌓였다. 재고 처리에 주력 중"이라면서 "다만 기존 목표 판매량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한편 그는 "2020년 예상 판매량은 작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장기적으로 볼 때는 여전히 긍정적이다"고 강조했다.▲ OKEx, HPB 출금 일시중지...월렛 업그레이드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하이퍼포먼스블록체인(HPB, 시총 244위) 월렛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오후 1시(한국시간) 부터 HPB의 출금 서비스를 일시중지한 상태다. HPB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2.46% 하락한 0.27840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실생활에 스며드는 블록체인 서비스 ‘눈길’
실생활에 스며드는 블록체인 서비스 ‘눈길’-대기업들의 블록체인 신사업 확장과 산업 활성화와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서비스 출시 예정..-피블의 ‘소셜미디어’, 애스톤의 ‘전자문서 플랫폼’, 이그드라시의 ‘멀티체인 구현’ 서비스 눈길..SK텔레콤, 한화갤러리아, 코오롱 등 대기업들이 블록체인‧암호화폐 분야 스타트업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신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 속도에 맞춰서 해당 비즈니스모델(BM)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유망 스타트업과의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KT도 블록체인 도입을 희망하는 주요 파트너사들과 손잡고 국내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에 나선다. KT는 블록체인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KT는 BaaS 플랫폼 도입을 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3월 중 BaaS 플랫폼을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이렇듯 대기업들의 블록체인 신사업 확장과 블록체인 산업 활성화와 발맞춰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소셜미디어 서비스, 전자문서 플랫폼’, ‘멀티체인 구현’ 서비스 등이 눈길을 끈다. ◇피블(PIBBLE), 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 3월 출시 예정.블록체인 소셜 미디어 서비스인 피블(대표 이보람)은 누구나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블록체인 서비스이다. 피블(PIBBLE)의 오픈 알파버전이 오는 3월 앱 스토어 올라가게 되며, 기존 홀더 위주의 알파 테스터 운영에서 글로벌 오픈 알파 테스터로 확장되어 본격적인 유저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일반인과 전문가 등 크리에이터들의 사진, 영상 콘텐츠를 공유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피블은 사용자가 SNS에서 활동하면 할수록 보상이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저작권을 보호하며 공유 경제를 실현하고, 창작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1석3조’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피블(PIBBLE)은 기존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과 달리, 사진, 동영상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추천하거나 공유하면 최초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물론 참여자 모두에게 피블과 피블브러시라는 보상이 주어진다. 나를 표현하기 위해, 혹은 누군가에게 관심을 표현하기 위해 하는 행동이 나에게 혹은 누군가에게 암호화폐로 보상되는 것이다.한편, 피블(PIBBLE)은 탈중화 암호화폐 거래소 올비트 ‘프로젝트5’서 본격적인 글로벌 이벤트 마케팅을 진행하여 이틀만에 올비트 신규회원 유입과 직결되는 올비트 피블지갑 보유자가 5천여명을 넘어서고 있다. 특히, 업비트 상장 추천을 놓고 프로젝트5에서 경쟁 중인데, 현재 상위에 랭크되고 있다. 피블(PIBBLE)은 빗썸(Bitthumb)의 암호화폐 커뮤니티인 ‘픽썸(Pickthumb)’에도 참가 신청이 되어 있어 픽썸에도 참가가 확정될지 귀추가 주목된다.◇애스톤, 엑스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 3월초 출시 예정.애스톤(ASTON) 프로젝트 기술회사인 엑스블록시스템즈(대표 김승기)는 최근 자체 기술력을 통해 개발중인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을 3월초 출시 예정이다.엑스블록체인의 주요 특징으로는 각각의 서비스 전용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이 가능하다. 이는 서비스별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와 유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만의 데이터로 구성된 완전한 블록체인 구성이 가능하다.또한, 각각의 블록체인기반 서비스는 블록체인상의 독자적인 노드 운영이 가능하다. 즉, 프라이빗네트워크(Private Network)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블록체인 서비스 용도에 맞게 필요한 서브체인(Subchain) 생성이 가능하다. 이로 통해 전자문서와 데이터에 대한 보다 효율적으로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개발을 총괄한 권용석 CTO는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를 최소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앞으로 충분한 테스트 과정과 화이트해커 등의 도움을 받아 시스템의 완전성을 위한 검증절차를 통해 메인넷을 완성할 예정”이라고 전했다.◇이그드라시, ‘멀티체인 구현’ 메인넷 3분기 출시 예정.알투브이(대표 서동욱)의 한국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이그드라시(YGGDRASH)는 멀티체인을 구현하는 테스트넷을 공개하고, 이그드라시 메인넷은 올해 3분기 출시한다고 밝혔다.이그드라시 테스트넷의 가장 큰 특징은 업계 최초로 멀티체인을 테스트넷에서 구현했으며, 기술적으로 블록체인의 속도와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한발짝 다가갔다는 점이다. 나아가 다른 프로젝트들이 간과하고 있는 최종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및 경험을 최적화해 최종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다.이그드라시는 최근 블록과 최신 트랜잭션, 전체 블록, 각 블록의 뷰, 트랜잭션의 뷰, 멀티체인 구현 방향, 브랜치의 스펙 조회 등을 탐색기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이그드라시 서동욱 대표는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들의 문제를 해결해 실제 비즈니스에 접목 가능한 디앱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블록체인계의 AWS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특히, 이그드라시는 개발 현황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기는 랭킹 사이트 “코인코드캡(Coincodecap)”에서 한국발 프로젝트 중 최초로 100위권 안에 진입하여 한국 개발 중심 프로젝트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하고 있다. 최근 한국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유일하게 전체 기간 기준 97위를 차지하였고, 1년 기준으로 72위, 6개월 기준으로 57위에 위치하는 등 매우 높은 개발 수준을 보여주었다.
-
세계 최초 AI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소 마하(MACH), 총 1,000명 선정해 클로즈베타 시행
세계 최초 AI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소 마하(MACH), 총 1,000명 선정해 클로즈베타 시행2019년 02월 27일 – 세계최초 AI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소 마하(MACH)가 2월 28일부터 클로즈베타를 시행한다. 이번 클로즈베타는 온라인 게임 아이템을 거래하는 게이머들과 일반 자산 거래를 원하는 20~30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다. 모집 인원은 총 1,000명이며 선착순으로 선정한다.선정된 클로즈베타 테스터들은 3달러 상당의 마하 토큰 3개(3MACH)를 부여 받는다. 필요 시 암호화폐로 추가 구매가 가능하다. 테스터들은 마하 토큰으로 마하 프로젝트를 테스트하고 오류나 기능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메일로 보고하게 된다.마하는 메일을 보내준 테스터 전원에게 10MACH를 증정하며, 가장 정성을 다해 버그 리포트를 제출하는 10명을 선정해 마하 토큰을 지급한다. 1위 1명에게는 1,000MACH, 2위 5명에게 500MACH, 3위 7명에게 300MACH가 주어질 예정이다.아울러 클로즈베타 기간 동안 마하 거래소는 한국어 버전만 제공되며, 암호화폐로만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다. 중국어 버전은 3월 말 오픈베타를 진행할 때 제공될 예정이다. 2분기 중 정식 서비스가 론칭되면 한국어 버전, 중국어 버전, 일본어 버전, 영어 버전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폐 외에도 현금, 상품권 등으로 거래도 가능해진다.한편, 마하 거래소는 최근 러시아 플래티넘과 제휴함으로써 플래티넘이 보유한 해외 결제대행사를 통해 다수 코인과의 환전 기능을 제공하며 마스터카드나 달러를 이용해 마하 코인을 구매힐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됐다.이에 따라 세계 P2P 자산 거래시장을 목표로 하는 마하 거래소에서 거래 당사자들은 게임 아이템과 모바일 데이터, 디지털쿠폰, 모바일 상품권 등의 디지털 자산과 중고물품 등 현물 자산의 거래를 더욱 안전하게 다룰 수 있게 됐다.마하 측에 따르면 마하 코인은 ‘Crypto currency’의 개념보다는 ‘Crypto voucher’의 개념으로, 안전거래를 위한 마하 거래소 전용 쿠폰이나 상품권 역할을 한다. 마하 코인은 마하 거래소에서 1MACH당 1달러에 구입할 수 있다.또한 마하 거래소를 통해 마하 코인으로 자산을 거래하면 별도의 안전거래 수수료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 외에 소정의 수수료를 내고 현금을 이용한 거래나 문화상품권, 해피머니 등 여러 수단으로 안전거래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