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브스트라텀 CEO "재정난 소문, '사실무근'"
▲ 서브스트라텀 CEO "재정난 소문, '사실무근'"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저스틴 탭(Justin Tabb) 서브스트라텀(SUB, 시가총액 390위) 최고경영자(CEO)가 한 인터뷰에서 "일부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고 있는 'SUB 프로젝트 재정난'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SUB 프로젝트는 이미 1년반동안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왔다. 시장 침체는 지속되고 있지만, SUB 프로젝트는 변환할 수 있는 법정통화가 남아있으며, 회사 설립 및 구축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암호화폐 시장이 호전되면 회사의 상황은 보다 나아질 것"이라며 "SUB 프로젝트는 내년 안정적인 캐시플로우를 확보할 때까지 제품군 구축을 위해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월 코인니스는 크립토글로브의 보도를 인용 "SUB 프로젝트가 2차 ICO를 통해 조달한 자금이 백서 상의 수치와 큰 차이를 보이며, 자금 출처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포지션 감소13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5.79%, 숏 포지션 비율은 16.14%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4.52%, 14.93%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6.88만 BTC로 전날 대비 감소했으며, ETH 선물 포지션 규모도 71.30만 ETH로 전날 대비 감소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두나무 람다256 연구소, 차세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정식 출시
두나무 람다256 연구소, 차세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정식 출시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블록체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것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Lambda256)이 차세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 정식 출시를 맞아 ‘루니버스 블루밍 데이‘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15일 람다256연구소 관계자는 "루니버스는 기업 및 개발자들이 기존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을 쉽고 빠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 Blockchain as a Service)으로 지난해 9월부터 약 7개월 동안 베타서비스를 운영, 오는 3월 19일부터 오픈 베타를 시작으로 정식 상용화 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루니버스의 기술적 완성도 및 사업 지원 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소개하는 시간으로 마련되며, 파트너사들을 위한 대규모 신규 지원 프로그램도 공개될 예정이다.한편, 아마존웹서비스(AWS) 블록체인의 수석 프로젝트 매니저인 조나단 프리츠(Jonathan Fritz)가 블록체인과 레저 솔루션 구축에 대해 발표하고 루니버스 서비스 파트너사들이 실제 루니버스를 활용한 DApp 개발 시연도 진행된다.람다256 박재현 연구소장은 “지난해 9월 루니버스 베타 서비스를 출시하고 1년도 안되는 짧은 기간내에 정식 서비스를 런칭하게 되어 감회가 남다르다“며 “‘블루밍 데이’에서 루니버스만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파트너들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도 새롭게 공개할 예정인 만큼 개발사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라고 말했다.루니버스 블루밍 데이 참가 신청은 온오프믹스 홈페이지에서 유료(5천원)로 가능하며, 참가자에게는 소정의 사은품과 10만원 상당의 루니버스 이용권이 증정된다. 기존 파트너사는 물론, 루니버스에 관심 있는 기업과 개발자, 기획자 모두가 등록 가능하다.
-
이더리움 개발자 회의, 'ProgPoW 도입 제안' 공식 의제 선정
▲ POLIS·DASH, 파트너쉽 체결...마스터카드 체크카드 결제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브리핑(Crypto Briefing)에 따르면,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체 폴리스페이(POLIS, 시총 314위)가 대쉬(DASH, 시총 14위)와 파트너쉽을 체결, 마스터카드 체크카드를 통한 DASH 결제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마스터카드를 지원하는 곳에서 DASH를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폴리스페이 앱은 BTC, LTC, ETH, DGB 및 POLIS 등 암호화폐의 결제를 지원한다.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DASH는 9.63% 오른 91.66 달러, POLIS는 33.44% 오른 1.2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개발자 회의, 'ProgPoW 도입 제안' 공식 의제 선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진행된 이더리움 개발자 회의에서 ProgPow 알고리즘 도입 제안(EIP1057)이 공식 의제로 선정됐다. 해당 제안의 도입 여부는 오는 15일(현지시간)으로 예정된 전화회의에서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이더리움 개발자 팀 베이코(Tim Beiko)는 "향후 감사에서 기술적 문제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 다가오는 이스탄불 하드포크에 해당 제안을 포함시킬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스탄불 하드포크에 포함될 EIP(이더리움 개선 제안서) 승인 기한은 5월 중순으로 추정된다. ProgPOW는 주기적인 알고리즘 변경으로 ASIC 채굴기에 저항성을 가지며, 대규모 ASIC 채굴을 방지하고 채굴을 분산화하는 게 목적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자금세탁방지(AML) 관련 규정 강화 의지 밝혀...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와 공조, 범죄자금 사용 예방
후오비 코리아, 자금세탁방지(AML) 관련 규정 강화 의지 밝혀...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와 공조, 범죄자금 사용 예방2019년 2월 15일 -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금융사기 피해 예방에 앞장선다. 후오비 코리아는 14일 ‘자금세탁방지(AML, Anti Money Laundering) 규정’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공지를 통해 밝혔다. 최근 암호화폐를 활용한 범죄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후오비 코리아는 투명한 원화(KRW) 마켓 서비스 제공과 명의도용, 보이스피싱, 자금세탁 등 각종 금융 범죄를 차단하기 위해 입출금 심사 과정을 강화할 계획이다. 후오비 코리아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가상통화 관련 자금세탁방지 가이드라인’과 ‘특정 금융거래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을 보완함과 동시, 감시목록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자체 FDS(Fraud Detection System) 알고리즘과 다양한 거래 패턴을 지속해서 업데이트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상 거래로 의심되는 시도가 탐지되면 출금 심사 및 본인인증 절차를 강화하고 사이버수사대와 공조하여 강력한 자금세탁방지제도를 수행할 의지를 밝혔다. 아울러 암호화폐가 국제적 범죄자금으로 사용될 수 없도록 후오비를 중심으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간 핫라인을 구축해 타 거래소로의 출금을 원천 차단할 계획이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후오비 코리아를 이용하는 모든 고객이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고 있다”며 “새롭게 구축되는 핫라인을 통해 전기통신 금융사기 범죄로부터 모든 고객이 안전하게 자산을 보호하고 거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보이스피싱, 명의도용 등 사고로 인한 고객들의 피해 예방과 피해자 보호 및 회복을 신속하게 도울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후오비 그룹의 한국 법인으로 2018년 3월 30일 정식으로 오픈했다. 후오비 코리아는 후오비 그룹의 전문성과 보안성을 바탕으로 국내 현지화를 위해 설립된 거래소로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자산 거래 외에도 블록체인 연구소, 포털 사업, 금융 서비스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사업 영역 확장을 계획 중이며,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허브의 역할을 다하고자 다양한 기업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자산의 금융 허브 후오비 그룹은 전 세계 3대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 글로벌을 운영 중이며, 한국을 포함해 싱가포르, 미국, 일본, 홍콩, 중국, 호주, 영국, 브라질, 캐나다, 러시아 등 다양한 국가에서 법인을 설립해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 중이다. 비트코인(BTC)을 비롯해 이더리움(ETH), 비트코인캐시(BCH), 리플(XRP), 라이트코인(LTC), 이오스(EOS), 대시(DASH), 후오비 토큰(HT), 트론(TRX), 뮤지카(MZK), 엠블(MVL) 등 150여 가지의 다양한 알트코인 거래가 가능하며, 특히 2013년 거래소 오픈 후 지금까지 무사고 보안 대응체계와 투자자 보상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
케빈 추 Gen.G 회장 등 게임 업계 리더..게임 개발자를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포르테’ 설립
케빈 추 Gen.G 회장 등 게임 업계 리더..게임 개발자를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포르테’ 설립블록체인 기술 기업 포르테(Forte)가 비디오 게임 및 플랫폼 기술 개발 전문가로 구성된 창업 팀을 발표하며 공식 설립을 알렸다. 포르테의 창업 팀은 카밤(Kabam), Gen.G e스포츠, 가라지게임스(GarageGames), 유니티(Unity) 및 린든랩(Linden Lab) 출신으로 다양한 경험을 지닌 게임 업계 리더로 구성된다. 포르테(Forte)는 게임 개발자들이 신규 및 기존 게임 내에서 P2P(Peer to Peer·개인 간) 경제를 실현하는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가속화할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포르테 창업 팀은 게임 업계에서 다수의 선도적인 기술 플랫폼과 전 세계 수억 명이 즐기는 게임을 개발한 이력을 갖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위조나 변조할 수 없는 원장(ledger) 내역과 거래상대방에 대한 위험(Counterparty Risk) 최소화를 통해 대규모 P2P 경제학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는 거의 모든 형태의 디지털 인터랙션에서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며, 특히 디지털 거래 규모가 800억 달러(전 세계 게임 매출의 80퍼센트)에 달하고 약 25억 명이 이용하는 게임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포르테의 미션은 탈중앙화 제품 및 솔루션 기반의 호스트를 만들어 게임 업계 내 블록체인 기술 채택을 가속화하는 것이다. 포르테는 유망 팀 및 프로젝트를 구축, 양성, 지원하여 이를 시장에 선보일 것이다. 포르테의 수장은 과거 카밤을 설립한 모바일 게임 분야의 글로벌 리더 케빈 추(Kevin Chou)이다. 케빈 추는 카밤을 연 매출 4억 달러 이상, 전 세계 1,000명의 직원 규모의 회사로 성장시킨 바 있다. 카밤은 2017년 한국의 게임 거물 넷마블에 인수되었으며, 이후 케빈 추는 세계 정상급의 7개 프로 팀을 거느린 글로벌 e스포츠 기업 Gen.G e스포츠를 설립했다. 현재 Gen.G는 세계에서 가장 인정받는 e스포츠 기업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케빈 추 CEO는 "소액 결제 중심의 게임 산업은 성숙하고 공고화되어왔지만, 그 결과 혁신이 정체되고 말았다. 블록체인 기술은 새로운 성장 벡터와 다양한 시도를 할 기회를 제공한다"라고 전하며, "포르테는 블록체인 기술이 대규모 시장에 상용화될 수 있도록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개발자와 긴밀히 협력해 플레이어와 개발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플레이어 중심의 게임 경제를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국가 중 하나이며 빠르게 글로벌 블록체인 산업의 리더가 되고 있다. 또한, 게임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나라 중 하나이기 때문에 포르테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라고 강조했다. 게임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을 이어가고 있지만, 성장 속도는 느려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합병으로 인해 25개의 게임회사가 전체 게임 산업 매출의 77퍼센트를 가져가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 인해 부분 유료화 게임 개발자에 가해지는 경쟁 압박이 커지면서 더 공격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야기했고 많은 플레이어들이 신규 제품에 지치고 실망하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블록체인 기술은 점차 플레이어 중심의 P2P 경제가 되어가는 환경에서 개발자와 플레이어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준다. 포르테 창업 팀에는 케빈 외에도 베테랑 게임 기술 개발자인 브렛 사일러(Brett Seyler)가 공동창업자로 함께한다. 브렛 사일러는 가라지게임스와 유니티의 사장(General Manager)으로서 두 게임이 선도적인 게임 개발 플랫폼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했다. 그 밖의 공동창업자로는 500만 이상의 다운로드 수를 기록한 수상 게임을 함께 개발한 전 카밤 임원 켄트 웨이크포드(Kent Wakeford)와 웨이웨이 겅(Weiwei Geng)이 있다. 또한, 카밤의 초기 후원사 레드포인트 벤처스(Redpoint Ventures)에서 활동하던 오랜 기술 투자자 마헤시 벨란키(Mahesh Vellanki)도 공동창업자로 참여했다. 브렛 사일러 최고플랫폼담당자(Chief Platform Officer)는 “P2P 경제는 게임 개발자가 사기(fraud) 및 불협 상황에도 의존해야 하는 환경에서 빚어진 부정적인 플레이어 경험 없이 실현하기에는 역사적으로 엄청난 고비용의 도전 과제임을 증명해 왔다. 블록체인에 내재된 혁신성은 이러한 위험을 해소하고 새로운 유형의 게임 경제 실현을 향한 엄청난 가능성을 열어준다. 부분유료화 사업 모델이 지난 10년 간 두 자릿수의 성장률로 증명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적용이 게임 산업을 변화시킬 것이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암호화폐 금융거래 플랫폼 판테온엑스,암호화폐 시장에 활력 불어넣어!
암호화폐 금융거래 플랫폼 판테온엑스,암호화폐 시장에 활력 불어넣어!- 암호화폐 금융거래 플랫폼 판테온엑스, 침체된 시장에도 불구하고 연이은 토큰세일 완판으로 시장 활력 제고- 토큰세일 플랫폼 코박, 비트소닉, 토큰뱅크 등에서 조기 완판 이어가블록체인 기반 금융플랫폼 판테온엑스(PantheonX, 대표 홍성인)가 침체된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표 토큰세일 플랫폼인 코박, 비트소닉, 토큰뱅크 등에서 조기 완판을 이뤄냈다고 14일 밝혔다. 판테온엑스는 암호화폐 커뮤니티이자 토큰세일 플랫폼인 코박에서 35분만에 준비한 물량을 완판시켰으며,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소닉, 토큰뱅크에서 연일 조기완판을 달성하여 준비한 프리세일을 모두 성공시켰다. 판테온엑스 홍성인 대표는 이에 대해 “기존에 1회차에서 프리세일을 마감하고자 했지만 생각보다 많은 수량이 빠른 시간 안에 완판되어 투자자 커뮤니티 내 의견을 받아들여 3차 프리세일까지 진행하게 됐다”며 “시장이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과를 거두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덧붙여 “투자자들의 기대와 신뢰에 보답하기 위해서 더 노력하고 소통하는 판테온엑스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판테온엑스 프리세일 시에 국내 유명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인기검색어 1위를 달성하는 등 암호화폐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을 탔다는 후문이다. 한편, 판테온엑스는 암호화폐 종합금융 서비스 플랫폼을 만드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판테온엑스의 크립토 마켓플랫폼을 통해 수익률이 검증된 크립토 펀드에 투자함으로써 기존보다 안정성 있는 투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판테온엑스 생태계에서 두 가지의 암호화폐가 통용되는데, XPN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되는 토큰이며 XPW는 상장되지 않는 종류의 토큰이다. XPN과 XPW는 상호교환이 가능하다. 판테온엑스 플랫폼 참여자는 활동의 보상으로 XPW를 받을 수 있으며 XPW 스테이킹을 통해 플랫폼 수익을 분배받을 수도 있다. XPN은 플랫폼 내에서 펀드를 생성하거나 수수료 결제 용도로 쓰인다.
-
中 CSDN "중국 블록체인 개발자 44%, 기술 이해도 낮아"
▲ 中 CSDN "중국 블록체인 개발자 44%, 기술 이해도 낮아"중국 암호화폐 커뮤니티 겸 미디어 바비터가 최근 중국소프트웨어개발자연맹(CSDN)이 발표한 '2018-2019 중국 개발자 조사 보고서'를 인용 "중국 개발자 중 블록체인 솔루션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의향이 있는 개발자는 27%에 그쳤으며, 44%의 개발자들은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 분석 분야 개발자들의 42%는 블록체인 솔루션을 사용하거나 사용할 의향이 있었으며, 네트워크 보안 분야 개발자들의 비율은 40%를 기록했다. 또한, 중국 블록체인 개발자들 중 50%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퍼블릭 체인 개발 업계, 27%는 블록체인 솔루션, 26%는 하이퍼렛저, R3 코다 등 얼라이언스 체인 개발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ETH·EOS·TRX 댑 데이터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오늘 ETH댑은 총 1,619(+4)개, EOS댑은 430(+3)개, TRX 댑은 257(+7)개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 기준 상위 3개 ETH 댑은 FCK (겜블링, 거래량 694,021 달러, 사용자 471 명), IDEX (거래소, 거래량 461,094 달러, 사용자 875 명), CDP Portal (거래소, 거래량 374,684 달러, 사용자 832 명), 상위 3개 EOS 댑은Poker EOS (겜블링, 거래량 4,451,725 달러, 사용자 172 명), Newdex (거래소, 거래량 4,284,553 달러, 사용자 1,095 명), EOSJacks (겜블링, 거래량 2,876,729 달러, 사용자 2,612 명), 상위 3개 TRX 댑은 888Tron (겜블링, 거래량 9,925,570 달러, 사용자 1,622 명), TRONbet (겜블링, 거래량 7,316,456 달러, 사용자 3,460 명), TRXMarket (거래소, 거래량 736,949 달러, 사용자 2,218 명) 순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피델리티디지털애셋 CEO "암호화폐 관심 투자기관 증가"
▲ 피델리티디지털애셋 CEO "암호화폐 관심 투자기관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NewsBTC)에 따르면, 최근 톰 제솝(Tom Jessop) 피델리티디지털애셋(Fidelity Digital Assets) 최고경영자(CEO)가 한 인터뷰에서 "큰손 투자자 및 투자 기관들의 비트코인(BTC)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최근 헤지펀드, 패밀리 오피스, 벤처그룹 등 450개 투자기관을 표본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20% 응답 기업이 암호화폐에 투자할 의향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미디어는 "피델리티는 수만개 투자기관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다. 실제 암호화폐 투자에 관심을 보이는 투자기관의 규모는 수천 개에 달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외신 "5대 상업은행, 블록체인 응용 분야 제한적"중국 경제 미디어 시나 파이낸스(Sina Finance)가 칼럼을 통해 중국 5대 국유 상업은행들의 블록체인 적용 현황을 평가했다. 칼럼은 "은행들은 빈민구제사업, 무역 금융, 부동산 임대 등 분야에 블록체인을 응용하며 블록체인의 활용방안을 모색해왔지만, 기술의 인식·성숙도 부족으로 핵심 서비스 외 일부 분야에서 상황을 살피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업계 전문가는 이와 관련해 "중국 은행들은 규제 문제로 '코인 없는' 컨소시엄 블록체인을 채택했다"며 "해외 업체들에 비해 응용 가능한 분야가 제한적이다"라고 평가했다.▲ 태국 SEC, 현지 최초 ICO 포털사이트 운영 허가12일 태국 유력 미디어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지 최초로 ICO 포털사이트의 운영을 허가했다. 해당 포털사이트는 외국 법인에서 운영되며, 각종 ICO 프로젝트들의 심사,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 코드 확인, KYC(Know Your Customner) 절차 등 정보를 제공한다는게 SEC측의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中 양회, 총 23건 블록체인 관련 안건 논의
▲ 中 양회, 총 23건 블록체인 관련 안건 논의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일정이 막바지로 향하는 가운데 현재까지 34건의 블록체인 관련 안건 및 관점이 공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대비 61.9% 증가한 수치다. 해당 34건의 블록체인 관련 언급 중 23 건은 구체적인 블록체인 규제 및 도입 관련 제안이었으며, 11 건은 양회에 참가한 전국인민대표의 인터뷰에서 언급된 내용으로 전해졌다. 23건의 블록체인 제안 중 14 건은 블록체인 도입, 5건은 블록체인 산업 규제, 4건은 단순 언급이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블록체인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양회 대표들의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도 따라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 "BTC, MACD 하락...추가 하락 가능성"블룸버그가 12일(현지시간) 최신 암호화폐 보고서를 통해 "BTC의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지표가 하락 추세를 나타내며, BTC의 추가 하락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중장기적인 모멘텀을 파악하기 위한 MACD 지표는 2월 중순 이래 지속 하락 중이다. 이는 BTC의 장기적인 매수세가 약해졌음을 의미한다. 또한 BTC는 지난 몇 주간 수 차례 4,000 달러 돌파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4,000 달러선을 돌파하지 못한다면 매도 압력은 거세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73% 오른 3,908.8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챗코인(CHAT),블록체인 기반의 프로토콜로 Bimp라는 이름으로 불림.
[후오비 오늘의 코인] 챗코인(CHAT),블록체인 기반의 프로토콜로 Bimp라는 이름으로 불림.챗코인(CHAT)블록체인 기반의 프로토콜로 Bimp라는 이름으로 불림. 기본적으로 메신저와 지갑을 더한 개념의 서비스를 지향하는 플랫폼으로 이를 활용한 다양한 파생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보장하고 있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오픈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는 블록체인 특유의 투명성과 확장성을 가치로 부여하고 있다. 전 구글 직원들이 의기투합하여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라는 점이 투자자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는 부분으로 평가된다.에듀코인(EDU)글로벌 온라인 P2P 교육 플랫폼. 국경 없는 평등한 교육 접근성을 제공하는 프로젝트다. 교육 제공자, 서비스 소비자 모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번역을 포함한 학습 발전에 이바지한 사용자에게도 보상을 제공한다. 2018년 2월 후오비 거래소에 상장됐으며, 투명한 운영과 수익, 지식 교류를 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한다.프로피(PROPY)세계 최초의 탈중앙화 글로벌 자산 스토어 플랫폼.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솔루션이며 동시에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오프라인 체인 시스템과 연동한다. 국경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에서 부동산과 중개인을 검색하고 주변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어 이에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을 지향한다. 부동산 자산 구매에 대한 자금은 즉시 결제가 될 수 있으며 소유권 증서 또한 블록체인망을 활용해 즉시 발급이 가능하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디센트레, 플레타 글로벌마케팅 및 비즈니스 전략적제휴 체결
▲ 디센트레, 플레타 글로벌마케팅 및 비즈니스 전략적제휴 체결플레타 글로벌마케팅 적극 지원 및 온오프라인 홍보 계획디센트레의 어드바이징 및 마케팅으로 글로벌비즈니스 본격 드라이브블록체인 전문기업 디센트레㈜ (대표이사 이동혁, www.decentre.net )는 3월 13일 플레타 PTE. LTD. (대표이사 박승호, www.fleta.io )와 글로벌마케팅 및 비즈니스 관련 전략적 제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플레타는 자체 블록체인 메인넷 플랫폼인 ‘플레타(FLETA)’를 통해 보다 빠른 트랜잭션 스피드와 함께 디앱(dApp)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플레타는 독립 멀티체인 구조와 함께 PoF(Proof of Formulation) 컨센서스 알고리즘 방식으로 구현되며, 블록 리디자인과 레벨트리를 통해 거래 처리속도를 기존 블록체인 구조 대비해 크게 향상시키고 특히 병렬 샤딩 구조로 TPS(초당 거래처리 시간)을 최대 20,000으로 개선시킨 것이 주요 특징이다. 플레타는 현재 베타 테스트넷 기준 6 코어 CPU 기반으로 실제 TPS가 10,000 이상으로 구현되는 등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 대비 핵심 개발설계 작업이 우수하며, 특히 작년 10월경 몰타 블록체인 서밋(Malta Blockchain Summit)의 유일한 아시아 파트너이자 핵심 업체로서 글로벌 무대에도 홍보한 바 있고, 올해 상반기 중 글로벌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있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플레타는 이번 디센트레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국내 및 아시아 권역 대상으로 직접적인 홍보 및 마케팅, IR 활동들을 보다 강화할 방침이며, 글로벌 거래소 상장 이후 시점까지 안정적인 시장진입을 진행할 예정이다.디센트레는 작년 포레스팅과 B21, 비코인 등의 블록체인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한 성공적인 어드바이징과 마케팅 활동을 이어왔으며, 다수의 글로벌 거래소들과 연계해 원활한 시장진입을 이루고 좋은 레퍼런스 사례를 이루어 왔다. 또한 서울 신논현역의 디센트레 블록체인 카페를 직영 운영하며, 총 20여 차례 이상의 블록체인 관련 세미나와 후오비, 코인스트리트 등 유수의 밋업을 진행해 블록체인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디센트레는 이번 플레타와의 제휴 및 파트너십 확대 등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기업으로 더욱 발전할 계획이다.플레타의 박승호 대표는 “디센트레는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블록체인 마케팅 전문가들이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는 기업으로 개인적으로 작년부터 잘 알고 있었다. 이번 제휴를 통해 양사가 긍정적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특히 국내외 시장에서 플레타의 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플레타는 지속가능한 디앱(DApp) 생태계의 확립과 플랫폼 설계에 온 힘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히고 “올해 플레타는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전 세계로의 영역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 디센트레와 파트너십을 맺고 함께 일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디센트레의 이동혁 공동대표는 “플레타와 제휴를 맺게 돼 기쁘고 한편으로 빠르게 어드바이징과 마케팅을 전개할 계획이다. 올해 자사의 리소스와 역량을 투입해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시장에 선보이고 세계적인 플랫폼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리드하겠다.”고 밝혔다.
-
와이어·블로크보드, 메이커다오 CDP 장외거래 플랫폼 도입
▲ 후오비 차이나 CEO "블록체인, 산업혁명 견인"중국 관영 온라인 미디어 신화왕(新華網)에 따르면, 최근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차이나의 최고경영자(CEO)인 위엔위밍(袁煜明)이 "세계 디지털 경제의 발전 추세에 맞춰 블록체인은 새로운 기술 중점의 산업혁명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블록체인 응용 분야는 아직 초창기 단계를 거치고 있지만, 금융 분야부터 지식재산권, 공급망 등 기타 분야까지 확산되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닥터 둠' 마크 파버, 2월말 BTC 구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스위스의 유명 투자자이자 1997년과 2008년의 금융위기를 예고한 '닥터 둠' 마크 파버(Marc Faber)가 최근 금융 전문 미디어 캐시(Cash)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2월말 처음으로 BTC를 구매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암호화폐 지갑 업체 자포(Xapo)의 최고경영자(CEO)인 웬스 카사레스(Wences Casares)의 권유로 BTC 구매를 결정했으며, 현재 기술적인 관점에서는 BTC 구매 적기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와이어·블로크보드, 메이커다오 CDP 장외거래 플랫폼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블록체인 결제 솔루션업체 와이어(Wyre)가 분산형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블로크보드(Bloqboard)와 최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양측은 이를 통해 DAI와 MKR을 거래할 수 있는 메이커다오(MakerDao) CDP 장외거래 플랫폼을 도입할 예정이다. 금융플랫폼 메이커다오(MakerDAO)가 발행한 DAI는 이용자가 CDP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이더리움(ETH)을 담보로 맡기고 일정 비율의 코인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DAI를 돌려주고 이더리움을 되찾을 수도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인솔라, 취리히 공대와 요크대 공동 연구 과제 발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인솔라, 취리히 공대와 요크대 공동 연구 과제 발표- 주요 과제는 에너지 효율 고도화, 전기차 스마트 충전 플랫폼과 식품 안전 및 공급망 원산지 증명2019년 2월 15일 (서울)-- 4세대 엔터프라이즈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인솔라(Insolar, 대표: 안드레이 주린)는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와 캐나다 요크 대학과 함께 블록체인에서 가장 유력한 실제 산업 활용 사례를 만들기 위한 중점 연구 과제를 발표했다. 이번 공동 연구는 북미, 유럽, 아시아 전역에 걸쳐 10명의 유망한 블록체인, 암호화폐, 분산 기술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회사 ‘인솔라 리서치’에서 담당한다.인솔라 리서치는 이번 파트너십 협약을 통해 3가지 공동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첫 번째 연구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와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를 활용해 상업과 산업에 블록체인을 도입하여 에너지 효율 고도화를 목표로 한다. 현존하는 방법론들은 운영에 방대한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고비용, 탄소 과다 배출뿐 아니라 정전과 같은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취리히 연방공대의 에반겔로스 푸나라스(Evangelos Pournaras) 전산사회과학부 학과장이 주도한다.두 번째 연구는 전기 자동차 차주, 충전소 소유주와 그리드 운영자 간 전력 거래가 막힘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자동차용 스마트 충전 관리 플랫폼을 설계하는 것으로 요크대 전기컴퓨터공학과의 쉬밤 삭세나(Shivam Saxena)교수가 지도한다.세 번째 연구는 블록체인의 불역성과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공급망 원산지 검증과 식품 안전에 대한 연구다. 이 연구는 유엔무역촉진센터(UN CEFACT)에 블록체인 기술을 가장 잘 도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추천 안을 제공한다. 요크대 블록체인 랩(Blockchain Lab)의 공동 대표이자 인솔라 리서치 공동 대표인 헨리 김(Henry Kim) 교수가 해당 연구를 주도한다.헨리 김(Henry Kim) 교수는 "스마트 그리드부터 전기 자동차 경제, 공급망에 이르기까지 인솔라 리서치는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우리는 블록체인이 이끄는 세상의 씨앗을 뿌리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인솔라 리서치는 금년 1분기와 2분기에 걸쳐 유럽연합 각지의 블록체인 센터들과 협력에 시동을 걸고 있으며, 국내 한 대학과도 논의를 시작해 향후 자세한 합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러한 연구 파트너십은 고급 암호학, 스마트 컨트랙트 프로그래밍, 다차원 분산 시스템, 가상 현실, 산업용 사물 인터넷(IoT), 상호교류 에너지 프레임워크(framework), 공급망 원산지 검증,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토큰노믹스(Tokenomics) 와 정책 등의 분야를 망라할 예정이다.
-
中 디지털화폐 연구소 소장 "CBDC, 법정통화 영향력 제고"
▲ 조셉 영 "암호화폐 업체 활약 준수, 약세장 우려는 '기우'"암호화폐 유명 애널리스트 조셉 영이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은 악조건 속에서도 빠르게 확장해나가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개발자 활성도, 투자 수익률, 인프라 구축 지연 등의 이유로 암호화폐 베어마켓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이번 베어마켓에서 업계는 현재까지 기대 이상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바이텀 CEO "블록체인, 실생활 응용 시기상조"13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19 중국·상하이 블록체인 기술 응용 포럼'에서 두안신싱 바이텀(BTM, 시가총액 58위) 창업자가 "블록체인 산업이 성숙기에 접어들어 실생활 응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나치게 낙관적인 관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블록체인은 현재 MPC( Multi-Party Computation) 암호화 기술, 자선사업 등 각 분야에 도입돼 시범운용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블록체인의 일부 장점만을 도입하는 컨소시엄 체인의 경우 향후 1, 2년 내 보급될 수 있지만, 퍼블릭 체인의 실생활 응용 및 보급화는 갈길이 멀다"고 덧붙였다.▲ 中 디지털화폐 연구소 소장 "CBDC, 법정통화 영향력 제고"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산하 디지털화폐 연구소 야오첸(姚前) 소장이 최근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 통화체제 최적화 및 발행 설계' 보고서를 통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 화폐(CBDC)는 현재 법정통화의 결제 기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며 "CBDC는 민간 부문에 제공되는 제3자 결제 서비스의 의존도를 낮춰 중앙은행의 관리감독 등 규제 집행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법정통화의 영향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CBDC는 현존하는 통화정책의 비효율성, 역주기 조절, 실물경제에서의 정책관리 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그는 "CBDC의 발행은 경제 비상대응(economic state contingency) 방안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특수성만이 현존하는 통화체제와 정책을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시그마체인 메인넷 생태계 확장 가속화…100여개 사 참여 ‘시그마체인 네크워크 얼라이언스(SNA) 협회’ 출범
시그마체인 메인넷 생태계 확장 가속화…100여개 사 참여 ‘시그마체인 네크워크 얼라이언스(SNA) 협회’ 출범 - 7일 서초동 더화이트베일서 출범식 개최… 회원사 등 관계자 300여 명 참석- 블록체인 기반으로 인터넷 서비스 재편… 새로운 블록체인 도시 생태계 구축 목표-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실용 사례 창출, 블록체인 상용화 시대 개막 주도할 것” 블록체인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플랫폼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토종 메인넷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표준을 지향하는 블록체인 연합체가 등장해 주목된다. 시그마체인 메인넷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합체 ‘시그마체인 네트워크 얼라이언스 협회’(이하 ‘SNA 협회’)가 7일 공식 출범했다. SNA 협회는 7일 오후 서울 서초동 더화이트베일 그랜드볼룸에서 조풍연 메타빌드 대표 겸 한국SW·ICT총연합회 상임의장과 이영석 와이즈스톤 대표,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 등 300여 명의 회원사 관계자와 내외빈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출범식 및 상생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8일 밝혔다. SNA 협회에는 시그마체인을 비롯해 맛집 정보 앱 ‘시럽테이블’ 운영사 몬스터큐브, 헬스케어 인슈어테크 기업 카디오헬스케어, AI 기반 뷰티∙헬스테크 기업 엘픽스, 해양전략시뮬레이션 온라인게임 ‘네이비필드’ 운영사 나이아드게임즈, AI 의료 지원 로봇 및 플랫폼 기업 와이즈케어,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부 플랫폼 기업 탄크, 블록체인 기반 크라우드펀딩 기업 IBS체인, 블록체인 기반 정보자산관리 솔루션 기업 타임(Tyme), 블록체인 교육 기업 라이커월드, 카지노 올림픽을 추진 중인 e스포츠 기업 암블, 람보르기니 자전거 기반 IoT 헬스케어 기업 비바체인, 블록체인 패션 플랫폼 기업 유디움, 블록체인 게임 기업 카우아이, 블록체인 커뮤니티 기업 블록체인포럼 등 100여 개 기업이 창립 멤버로 참여했다. 기존 인터넷 서비스를 시그마체인 메인넷 플랫폼 기반으로 재편하고, 세계 시장을 선점할 새로운 블록체인 도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SNA 협회의 목표다. 시그마체인은 SNA 협회 회원사들에게 메인넷 개발에서부터 토큰 이코노미 구축, 마케팅 솔루션, 글로벌 네트워크, 암호화폐 상장(ICO)에 이르는 블록체인 비즈니스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분야별로 맞춤 설계된 시그마체인 메인넷 플랫폼을 SNA 협회 회원사들을 통해 빠르게 확산하고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실용 사례를 창출해 블록체인 상용화 시대의 개막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7일 SNA 협회 출범식은 곽진영 대표의 인사말과 조풍연 상임의장의 축사를 시작으로 SNA 비전 발표와 시그마체인 메인넷 소개, 전체 회원사의 회사 소개, 시그마체인의 퓨처피아 프로젝트 소개를 거쳐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 및 SNA 발전을 위한 상생 협약식으로 마무리됐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블록체인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인터넷 서비스들이 블록체인으로 옮겨가는 데 무리가 없도록 블록체인이라는 신기술에 대한 진입장벽을 대폭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SNA를 통해 다양한 분야로 시그마체인 메인넷 플랫폼을 적극 확산해 블록체인 기반 디앱 서비스의 대중화 및 상용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신동윤 SNA 협회 사무국장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이오스, 트론, 퀀텀 등 기존 메인넷 플랫폼이 각기 다른 영역의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 무작위로 입주해 있는 일반 빌딩이라면, SNA는 같은 분야의 사업을 하는 기업들이 선별 입주한 분야별 전문 빌딩들로 설계된 신도시”라고 SNA를 소개한 후, “SNA는 앞으로 역량과 열정을 보유한 다양한 기업들과 공동전선을 구축해 우리의 블록체인 기술이 글로벌 표준이 되고 우리의 서비스가 세계 블록체인 시장을 선도하도록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 날 행사에서 시그마체인은 이 달 중 베타 오픈 예정인 SNS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 '퓨처피아'의 주요 피처를 공개해 주목 받았다. 퓨처피아는 시그마체인 메인넷 플랫폼의 성공적인 상용화를 실증하는 차원에서 시그마체인이 자체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프로젝트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기반으로 구축한 퓨처피아 메인넷은 SNS 디앱의 제작 및 운영에 필수적인 다양한 기능과 API를 제공하는 한편, 코인홀더와 디앱 간 상생을 위한 퓨처피아 에코 시스템까지 지원한다. 시그마체인은 1세대 벤처 성공신화를 이끌었던 IT 업계 키맨들이 주축이 돼 지난 2015년 설립한 블록체인 기술기업이다. 암호화폐(코인) 발행이나 공개 암호화폐 투자모집(ICO) 대신 외식·헬스케어·뷰티·게임·클라우드·SNS 등 분야별 맞춤 설계된 메인넷 플랫폼을 파트너 기업에게 B2B로 공급하고 플랫폼에 얹혀질 디앱의 엑셀러레이팅을 지원함으로써 독자적인 메인넷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블록체인 업계의 OS(운영체제)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것이다. 각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으로 설계된 시그마체인 메인넷 플랫폼을 이용하면, 동종 분야 디앱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몰리는 대량의 트래픽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각 분야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개발도 빠르다. 기존 메인넷은 다양한 분야의 디앱이 하나의 메인넷에 연결된 구조여서 순간적으로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분야별로 특화된 API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은 또, 업계 최고 수준의 압도적인 데이터 처리 성능을 자랑한다. 지난해 9월 국제규격 기반 국내 공식인증기관(KOLAS 지정 TECEL)으로부터 30만 TPS를 공식 인증 받았다. 30만 TPS란 1초당 30만 건의 트랜잭션(사용자 간 거래 기록)을 처리한다는 의미다. 이는 기존 메인넷 중 가장 TPS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는 이오스의 10만 TPS보다 3배나 더 빠른 것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대체하기에도 무리가 없는 속도라는 평가다.
-
바이낸스 지갑, 신용카드로 암호화폐 구입지원한다
바이낸스 지갑, 신용카드로 암호화폐 구입지원한다세계최대 블록체인 업체 바이낸스가 자사 지갑 트러스트 월렛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한 암호화폐 구매를 지원한다.14일(몰타 현지시간으로 13일) 바이낸스는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 암호화폐 지갑인 트러스트 월렛Trustwallet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이스라엘 핀테크 솔루션 업체인 심플렉스 Simplex와의 협업을 통해 카드거래를 지원할 계획이다. 트러스트 월렛의 창업자인 빅터 라드첸코Viktor Radchenko는 “신용 카드결제 서비스는 암호화폐에 대한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이라면서 “단계적으로 트러스트 월렛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월에도 바이낸스는 거래소에서 비자, 마스터 카드등으로 암호화폐를 간편하게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아 대중의 눈길을 끈 바 있다. 이번 발표로 바이낸스 유저들은 지갑에서도 암호화폐 카드구매를 곧바로 진행할 수 있어 좀더 안전하고 간편한 블록체인 활용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이밖에도 트러스트 월렛은 주요 암호화폐 중 하나인 리플 XRP를 탑재하고, 리플 네트워크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3위인 리플을 탑재함에 따라 트러스트 월렛이 지원하는 암호화폐 종류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총 17종에 달하게 됐다.
-
부산항만공사, 블록체인 등 활용 항만보안시스템 개발
▲ 이더리움커뮤니티펀드 CEO "ECF 2.0 버전 공개, 커뮤니티 지원 범위 확대"블록체인 프로젝트 후원 재단인 이더리움커뮤니티펀드(Ethereum Community Fund, ECF)의 QJ Wang 최고경영자가 최근 파리에서 개최된 '이더리움 커뮤니티 콘퍼런스'(EthCC)에서 ECF 2.0 버전을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ECF 2.0 버전에서는 커뮤니티 관계 증진과 개방형 자금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기존에 후원하던 비영리 인프라, 개발자 툴, 오픈소스 프로젝트 등 외에도 영리 목적의 비지니스 프로젝트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 블록체인 등 활용 항만보안시스템 개발연합뉴스에 따르면, 부산항만공사가 블록체인,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을 활용한 항만보안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항만공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규 연구개발 과제 공모에 신청한 '항만보안 서비스용 데이터 허브 개발'이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시스템은 지역 중소기업 2곳, 부산대와 공동 개발할 예정이며, 블록체인을 통해 전자문서 암호화, 사람 인식 기술 등을 중점 개발한다. 이와 관련해 항만공사 관계자는 "먼저 항만 출입 허가 업무를 대상으로 실증 서비스를 개발하고 다른 분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니오(NEEO)토큰, 암호화폐거래소 ‘코인슈퍼’와 전략적 제휴 체결
니오(NEEO)토큰, 암호화폐거래소 ‘코인슈퍼’와 전략적 제휴 체결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오는 3월 10일에 상장 예정..-니오 메신저는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니오 메신저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 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니오팔에서 발행한 니오(NEEO)토큰이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와 전략적 체휴를 체결하고, 오는 3월 10일에 상장된다고 밝혔다. NEEO토큰은 ERC20 기반의 유틸리티 코인으로서 총 34억개가 발행되고 하드캡은 8억개로, 작년 하반기에 세일이 시작된 이후 전 세계 각지에서 많은 관심과 인기를 받아왔다.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 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현재 니오 메신저는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 플렛폼인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기존의 암호화폐 사업자들이 거래소 상장을 약속하고서도 차일피일 미루며 ICO 등으로 돈을 거두는 데에만 몰두하는 행태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업계가 사회적 불신과 비난을 받는 주요한 이유이다. 이러한 풍토 속에서 투자유치 이전에 기술개발 및 서비스를 먼저 진행하고, 거래소 상장을 확정 짓고서 사용자 유치에 나서는 니오의 이 같은 행보는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신뢰감을 주고 있다. 글로벌 메신저 앱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들이 많아질수록 그것을 운영하는 기업의 가치가 올라간다. 니오 메신저는 현재 약 200만명 정도가 사용하고 있으며, 본격적인 홍보와 마케팅이 시작되고 있어 연내에 수천만 명 이상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니오의 이러한 시도와 글로벌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와의 만남이 블록체인 업계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