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나무 카카오스탁, 2월 한달 급상승 테마 발표..제약바이오, 국내 상장한 중국주, OLED 상위권에 랭크
카카오스탁, 2월 한 달 간 모바일 주식 투자자들에게 가장 큰 인기 얻은 TOP 3 토픽 공개국민 증권 어플리케이션 카카오스탁을 운영 중인 두나무(대표 이석우)는 2월 한 달간 모바일 주식 투자자들의 인기를 얻은 분야별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 △2019년 임상예정 제약·바이오, △국내 상장한 중국주, △OLED-장비 관련 기업들이 상위 랭크를 차지했다고 발표했다.9일 두나무 카카오스탁에 따르면 가장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인 1위 테마는 ‘2019년 임상예정 제약·바이오’ 관련 기업들로 한 달간 18.79%의 급등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주요 제약사의 기술수출과 임상 진행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전반적으로 반등세를 보였다. 특히 2019년에는 제약·바이오 업체들의 임상 결과 및 FDA 허가가 다양할 것으로 전망되어 임상 예정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폭이 컸다. 대표 기업으로 메지온, 큐리언트, 제넥신 등이 주목을 끈 것으로 조사됐다.다음은, ‘국내 상장한 중국주’ 관련 기업들이 13.73%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2위 테마를 차지했다. 최근 미중 무역분쟁 우려가 완화되어 관련주들의 주가가 급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25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과 무역협상 마감 기한을 기존 3월 1일에서 연장하겠다고 밝히자, 이날 상하이종합지수가 5.6% 급등하며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중국이 미국에 연 300억달러 규모의 농산물 추가 구매를 제안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관련 종목은 로스웰, 윙입푸드, 크리스탈신소재 등이 선정됐다.3위는 11.47%의 상승세를 기록한 ‘OLED-장비’ 관련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공개 기대감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지난달 20일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9’에서 폴더블폰 ‘갤러식 폴드’를 공개했다. 특히 폴더블폰의 핵심 부품인 접고 구부리고 펼칠 수 있는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Flexible OLED)가 주목받으면서 관련 기업들의 매출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졌다. 관련주에는 디에스케이, 제이스텍, 에프엔에스테크 등이 이름을 올렸다.이 밖에도 의류, 제대혈, 치아·임플란트, 유전체 검사, 가정용 로봇과 인공지능(AI), 반도체-전공정 소재 등의 토픽이 상위 10위를 차지했다.
-
블록체인 해외송금 프로젝트 레밋, 해외송금 플랫폼 장점 발표
블록체인 해외송금 프로젝트 레밋, 해외송금 플랫폼 장점 발표-‘실생활에 쓰이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컨퍼런스에서 레밋(REMIIT)만의 해외송금 플랫폼 장점 설명..-블록체인 업계 인사와 일반 참석자들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 개최..-메이커다오, 신디케이터, 스톰, 엔진, 에어블록, 레밋 등 유망 프로젝트 참석..블록체인기반 해외송금 플랫폼 프로젝트인 레밋(REMIIT)이 지난 금요일에 마루(MARU)180에서 개최된 메이커다오 주최 ‘실생활에 쓰이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컨퍼런스에 참석했다고 밝혔다.이번 메이커다오(MakerDao) 프로젝트에서 주최한 ‘실생활에 쓰이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컨퍼런스에는 스톰, 엔진, 에어블록, 레밋, 쿼크체인 등 다양한 블록체인 유망 프로젝트들 인사들이 참석했으며, 약 120여명의 블록체인 업계 인사들과 일반 참석자들이 참석했다.이날 레밋(REMIIT)은 레밋(REMIIT)의 신한솔 마케팅 & PR 메니저가 레밋(REMIIT) 해외송금 플랫폼과 비슷한 리플과 스텔라와의 차이점을 명확히 설명하며, 레밋(REMIIT)만의 해외송금 플랫폼 장점을 참석자들에게 설명했다.신한솔 메니저는 “레밋은 전통적인 해외송금과 더불어 블록체인 해외송금 문제들을 포함한 모든 이슈들을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레밋은 하나의 망으로써 비즈니스 참여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스테이블 코인 모델로 망의 내부적 복잡도를 낮추고 암호화폐의 특성을 살려 레밋(REMIIT) 해외송금 플랫폼에서의 수익을 재분배하는 인센티브 시스템 또한 도입된다”고 말했다.이어 신 메니저는 “블록체인에서 흔히 말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는 레밋(REMIIT)의 큰 그림은, 은행이 아닌 임의의 에이전트 들이 합법적으로 돈을 보낼 수 있도록 만들고 신뢰 주최를 은행 혹은 에이전트가 아닌 블록체인으로 만든다”며 “레밋(REMIIT) 해외송금 플랫폼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이라는 원장을 통해 누구나 볼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 정부에게 신뢰 받는 레밋(REMIIT) 해외송금 플랫폼을 선도하고자 한다”라는 포부를 밝혔다.또한 레밋(REMIIT)의 홍민섭 CTO는 루나민트, 쿼크체인, SEED VC 관계자들과 ‘실생활에 쓰이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주제로 열띤 패널 토론을 진행하기도 했다.
-
ETH·EOS·TRX 댑 데이터
▲ 비트렉스, 엔진 업그레이드 완료... 지갑 서비스 재개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지난 28일 진행한 엔진 업그레이드 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일시 중단됐던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를 재개한다고 공지했다. 앞서 비트렉스는 지난 28일 오전 11시 경 업그레이드 기간 동안 중단됐던 코인 간 거래 마켓 서비스를 재개한 바 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2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롱 포지션 비율이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3.11%, 숏 포지션 비율은 17.44%를 기록하며 롱 포지션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9.40%, 15.28%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6.67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68.04만 ETH를 나타내고 있다.▲ CFTC, “지난주 CBOE BTC 선물 포지션 343건 감소”미국선물거래위원회(CFTC)의 BTC 선물 거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시카고 옵션거래소(CBOE) BTC 선물 포지션이 3,616건으로 전주 대비 343건 줄었다. 리포터블 포지션(Reportable Positions) 중 롱포지션은 전주 대비 1,960건을 기록했으며, 숏포지션은 3,293건을 기록했다. 순 숏포지션은 1,333건이다. 한편 지난주 시카고 상품거래소(CME) BTC 선물 포지션은 3,964건, 롱포지션은 1,834건, 숏포지션은 2,259건을 기록, 순 롱포지션 425건을 기록했다.▲ ETH·EOS·TRX 댑 데이터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오늘 ETH댑은 총 1,601(+1)개, EOS댑은 408 개, TRX 댑은 221(+1)개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 기준 상위 3개 ETH 댑은 FCK(겜블링, 거래량 1,047,913 달러, 사용자 443명), IDEX(거래소, 거래량 517,175 달러, 사용자 884 명), CDP Potal(마켓, 거래량 286,399 달러, 사용자 1,561명) 상위 3개 EOS 댑은 WhaleEx(거래소, 거래량 3,757,405 달러, 사용자 11,928 명), EOSJacks(겜블링, 거래량 2,879,407 달러, 사용자 70명), PokerEOS(겜블링, 거래량 1,537,896 달러, 사용자 1,365 명), 상위 3개 TRX 댑은 TRONbet(겜블링, 거래량 8,281,106 달러, 사용자 2,688명), TronTrade(거래소, 거래량 877,680 달러, 사용자 1,236 명), TRXMarket(거래소, 거래량 271,990 달러, 사용자 1,070 명) 순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소니픽처스, 노키아∙인텔 5G 기술 기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VR 체험 기회 마련
소니픽처스, 노키아∙인텔 5G 기술 기반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VR 체험 기회 마련올해 7월 개봉 예정인 소니픽처스의 기대작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Spider-Man: Far From Home)’을 미리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스페인 바르셀로나 MWC 행사장에서 펼쳐진다. 소니픽처스VR(SPVR), 노키아, 인텔 3사는 MWC 2019 참가자들이 5G 기술을 빌려 탄생한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 가상현실(VR)’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마블의 최고 인기 캐릭터 중 하나인 스파이더맨을 새로운 가상공간에 끌어들여, SPVR, 노키아, 인텔은 새로운 차원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관객들이 이전에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몰입도 높은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이러한 모든 경험은 5G가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어떻게 창출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MWC 참가자들은 스파이더맨 수트를 입고 거미줄을 쏘거나, 초고층 빌딩 사이를 거미줄로 이동하고, 달리고, 멈추고, 점프하고, 기어오르는 등 직접 스파이더맨이 되는 체험을 할 수 있고 노키아 부스(3A10)와 인텔 부스(3E31)에서 5G와 에지 클라우드 기술을 바탕으로 다른 플레이어와 실시간으로 레이싱도 가능하다. 이러한 새로운 시도는 5G가 어떻게 차세대 몰입형 미디어 경험을 만들어가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미디어 산업을 새롭게 재편하고, 우리가 콘텐츠를 만들고, 소비하고, 공유하는 방식을 바꿔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소니픽처스는 노키아, 인텔과의 제휴를 바탕으로 5G 및 에지 클라우드 기술을 스파이더맨의 혁신적인 고효율, 고화질, 몰입형 경험을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기존 팬들은 물론, 새로운 팬들과도 접촉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다. 기존 VR 애플리케이션들이 1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했던 것과는 달리, 멀티 플레이어 환경에서 구현되는 이번 스파이더맨 VR 체험은 원활한 공동 게임플레이를 위한 저지연성(low-latency), 대규모 모빌리티 환경을 지원하는 고성능 기능과 같은 5G의 핵심 기능들을 필요로 한다.이 멀티 플레이어 VR 체험은 전세계적으로 구현 가능한 노키아의 엔드-투-엔드 5G 솔루션인 ‘노키아 5G 퓨처 X 아키텍처(Nokia 5G Future X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한다. 5G 무선 연결에는 노키아 에어스케일(Nokia AirScale)과 인텔 5G 모바일 평가판(5G Mobile Trial Platform)이 사용되었으며, 에지 클라우드 기술에는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제품군이 탑재된 노키아 에어프레임(Nokia AirFrame)이 적용되었다.
-
피블(PIBBLE), 올비트 ‘프로젝트5’ 이벤트
피블(PIBBLE), 올비트 ‘프로젝트5’ 이벤트 모집 이틀만에 국내외 4천여명 참여-작년 ICO 이후 글로벌 8만여명 회원 보유, 서비스 개발 이후 첫 마케팅 선보여..-국내 거래소에 글로벌 유저 유입, 침체되어 있는 블록체인 시장에 변화 일으킬까..블록체인 기반 소셜 미디어 플랫폼 피블(PIBBLE)은 탈중화 암호화폐 거래소 올비트 ‘프로젝트5’서 본격적인 글로벌 이벤트 마케팅을 진행하여 이틀만에 올비트 신규회원 유입과 직결되는 올비트 피블지갑 보유자가 4천여명을 넘어서고 있다.이는 피블이 지난 설날 명절 연휴 이후 2월 1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마케팅으로 약 10,000명의 국내외 유저를 3일만에 이벤트 참여로 단기간 유입시키며 작년 4월, 국내 최단 시간인 1분도 안되어 마감시킨 2차 ICO의 저력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이 증가속도를 유지하며 피블이 ‘프로젝트5’와의 공동마케팅에 적극적인 진행을 유지할 경우 올비트는 이번 ‘프로젝트5’에서 피블의 홀더 만명 이상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올비트의 ‘프로젝트5’는 올비트의 APOT 마켓에 상장된 암호화폐들이 경쟁하는 상장 투표시스템이다. 투표기간 34일동안 거래량과 투표량, 거래계정 수 등이 평가지표로 합산된 순위가 최종순위다. 34일간의 경쟁기간을 거쳐 상위 탑3를 선정하여 업비트 상장 추천의 기회를 제공하는 이번 프로젝트 5는 지금 21일차로 14일의 기간을 남겨두고 있다.현재 피블은 ‘프로젝트5’의 거래량, 거래인원, 홀다수량, 투표의 4가지 항목 중에 실질적인 개인 홀더들의 파워를 볼 수 있는 거래인원과, 투표수량 2가지 종목에서 최고점수인 A등급을 받으며 상위 탑3를 유지하고 있다. 아울러 오는 3월, 피블의 오픈 알파 버전이 앱 스토어 올라가게 되며, 기존 홀더 위주의 알파 테스터 운영에서 글로벌 오픈 알파 테스터로 확장되어 본격적인 유저 피드백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피블측에 따르면 "피블은 상장에 치우친 목적이 아닌 무엇보다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기 때문에 플랫폼 사용이 늘면 당연히 피블 가격이 반영되리라 보고 있다”며 “암호화화폐 유저들을 대상으로 거래소 중심과 서비스 중심의 마케팅, 양쪽 모두 집중하며 이번 프로젝트 5를 통해 거래소의 많은 유저들에게 피블을 알리는 좋은 기회가 될것이다”라고 전혔다.한편 피블(PIBBLE)은 빗썸(Bitthumb)의 암호화폐 커뮤니티인 “픽썸(Pickthumb)”에도 참가 신청되어 있으며 업비트 추천이 걸린 ‘프로젝트5’에 이어 픽썸에도 참가가 확정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
美 유명 트레이더, 국세청에 코인베이스 '납세 규정 미준수' 청원 제기
▲ 美 유명 트레이더, 국세청에 코인베이스 '납세 규정 미준수' 청원 제기미국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최근 본인의 트위터를 통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미국 국세청(IRS)이 제시한 암호화폐 관련 납세 가이드라인 'IRS Notice 2014-21'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IRS에 공식적인 청원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앞서 미국 국세청은 지난 2014년 해당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암호화폐가 서비스 또는 제품으로 거래될 경우 혹은 암호화폐 간 거래가 발생할 때 이는 과세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외신 "리플사, 10억 XRP 대규모 이체...의미심장 메세지 포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1일(현지 시간) 리플사가 에스크로(escrow) 계정에서 10억 XRP(현제 시세 기준 3.18억 달러 규모)를 타 계정에 이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플사는 지난 2017년 에스크로 계정에 약 550억 XRP를 보관하며 "매월 1일 XRP 시장조성에 기여한 기관 투자자 및 계약된 상대에게 10억 XRP를 인센티브 형식으로 지급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이번 10억 XRP 이체 트랜잭션에는 'The revolution will be televised'(혁명은 티비를 통해 방송될 것이다)라는 메세지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유명 래퍼이자 시인인 길 스콧 헤론(Gil Scott-Heron)의 대표곡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을 재해석한 메세지라는 게 해당 미디어 측의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과기부·KISA, 블록체인 민간주도 3개 프로젝트 45억 지원
▲ 슬로우미스트 "해킹된 209만 EOS, 여전히 이동 중"블록체인 전문 보안업체 슬로우미스트(SlowMist)가 EOS 블랙리스트 계정 'gm3dcnqgenes'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 해당 계정의 돈세탁 계정 중 하나인 'gmiodhgytkje'가 오늘 오전 11시 19분부터 플랫폼 체인지나우(ChangeNow)를 통해 총 3,700 EOS를 네차례에 걸쳐 다른 코인으로 스왑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달 22일, 작년 9월 해커에 공격당한 이후 EOS 커뮤니티 중재 기구 ECAF에 의해 모든 거래가 차단된 블랙리스트 계정 'gm3dcnqgenes'에서 블랙리스트 메커니즘의 빈틈을 이용한 209만 EOS 이체가 발생했으며, 해당 자산에 대한 돈세탁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슬로우미스트는 현재 해당 사건의 연루 계정에서 집계되는 잔액이 약 170만 EOS라고 밝혔다.▲ 과기부·KISA, 블록체인 민간주도 3개 프로젝트 45억 지원연합뉴스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블록체인 시장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과기부는 3개 컨소시엄이 제안한 프로젝트에 총 45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해당 컨소시엄들은 각각 이포넷이 주관하는 탈중앙화 기부 플랫폼, 현대오토에버가 주관하는 블록체인 중고차 서비스 플랫폼, SK텔레콤이 주관하는 블록체인 ID·인증 플랫폼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코브라, 비트코인 코어 카사 노드의 '사전 동기화'..."믿을만 해"
▲ 포브스 기고자 "리플 비즈니스 모델, 본질은 '펌프앤덤프' 사기"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Forbes)의 기고자 제이슨 블룸버그(Jason Bloomberg)가 "리플 비즈니스 모델의 본질은 펌프앤덤프(Pump and dump schemes, 자산 가격을 허위 정보로 띄운 뒤 팔아 치우는 사기 수법)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첫째. 리플은 수십여 개 고객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대부분 고객이 아닌 파트너이며, 리플은 심지어 파트너사를 확보하기 위해 비용을 지불하는 '리플넷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다.둘째. 리플의 유동성은 가격 변동성으로 인해 국경간 결제에 쓸모가 없다.셋째. 리플은 XRP가 증권이 아니라며 모호한 주장을 펼치지만, 사람들은 이익을 위해 XRP를 매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XRP가 상식적으로 증권으로 분류된다는 의미다.넷째. 리플의 기술력이 스위프트(SWIFT) 등 전통 결제 시스템을 능가할 수 있는지 아직 불분명하다.다섯째. 리플이 돈을 버는 방법은 오로지 XRP의 가격 상승 뿐이며, XRP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내재가치가 아닌 투자자들에 의해 '인식된 가치'다. 펌프앤덤프 사기는 이런 '인식된 가치'를 활용한다. 많은 은행들이 XRP를 사용해 수십억 달러를 이동한다고 해도 XRP의 내재가치는 증가하지 않는다.제이슨 블룸버그는 앞서 JPM 코인을 소개하는 칼럼에서 리플이 본질적으로 사기라고 주장한 바 있다.▲ 코브라, 비트코인 코어 카사 노드의 '사전 동기화'..."믿을만 해"비트코인 개발자이자 Bitcoin.org의 창업자 겸 운영자인 코브라(Cobra)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코어 중 '사전 동기화'(pre-synced)를 이용하는 '카사'(Casa) 노드는 믿을만하다"고 평가했다. 비트코인 코어의 노드가 일반적으로 모든 블록을 동기화 하는 반면, 사전 동기화는 최근 블록까지 사전 동기화를 진행한 후 나머지 최신 블록들에 대해서만 동기화를 진행해 더욱 빠르게 블록을 생성하는데 집중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비트니아 거래소, 신규 암호화폐 상장기업 모집
비트니아 거래소, 신규 암호화폐 상장기업 모집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니아는 상장을 희망하는 기업에게 암호화폐 상장 신청을 받는다고 11일 밝혔다.비트니아는 "이번 암호화폐 상장 모집은 뛰어난 기술력을 갖춘 유망한 기업에게 좋은 기회를 마련하고 비트니아 투자자들에게도 믿을 수 있는 코인들을 소개해주기 위한 취지다"고 밝혔다.11일 비트니아 관계자는 "비트니아의 상장기업 모집은 부실한 암호화폐가 무분별하게 상장되는 일이 없도록 각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과 신청한 기업의 기술성, 사업성을 심사평가할 예정으로 상장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비트니아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신청서를 작성하여 접수하면 된다"고 설명했다.비트니아 관계자는 “거래소 입장에서도 상장작업은 평판이 걸려있는 매우 중요하고 신중한 작업이기 때문에 불공정한 암호화폐가 상장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해당 기업의 프로젝트 진행 가능성, 토큰 세일진행, 고유기술, 알고리즘, 보안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겠다“며 "비트니아 이용자들이 직접 투표로 참여해 후보 코인을 검토하고 상장을 결정하며 투표과정은 투명하게 공개 될 예정이다"고 밝혔다.한편, 신청기업에게는 해당 기술평가 서류가 제공되며, 기업요청시 투자자에게 공개가 가능하다. 우수한 프로젝트로 판단될 경우에는 거래소 상장투표로 진행되며, 3월부터 4월 중 2주간 가장 많이 투표된 한 개의 코인이 비트니아에 상장될 예정이다.
-
롱해시 "XRP·XLM·EOS, 진정한 암호화폐 아냐"
▲ 英 페이글로벌, 암호화폐-은행계좌 이체 서비스 제공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에 따르면, 영국 소재 페이글로벌(Payglobal)이 암호화폐를 법정화폐로 전환해 일반 은행 계좌로 이체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유럽과 호주, 싱가폴 등 지역에서 BTC와 ETH의 해당 서비스가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지오라 톨(Giora Tal) 페이글로벌 CEO는 "향후 더 많은 암호화폐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알체인, 오는 3월 5일 파산 절차 진행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알체인(RHOC, 시가총액 357위) 프로젝트가 채무를 갚지 못하고 있으며 오는 3월 5일 이사회를 개최해 파산 절차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난해 12월 21일, 알체인은 자금 관리 불투명성과 비합리적인 인수 전략에 대한 투자자들의 질타를 받았으며, 지난 10월과 12월 Medha Parlikar 수석개발자와 Kate Gonsalves CFO가 해당 프로젝트를 떠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RHOC는 현재 17.31% 내린 0.01593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롱해시 "XRP·XLM·EOS, 진정한 암호화폐 아냐"블록체인 분석 전문 업체 롱해시(Longhash)가 XRP·XLM·EOS는 진정한 암호화폐가 아니라고 진단했다. 비트코인은 익명의 거래 참여자들이 이중지불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암호화폐라는 혁신을 만들어 냈으며, 위 프로젝트들은 암호화폐로 분류되기에는 익명성이 부족하거나 너무 중앙집중화 돼있다는 것. 롱해시는 USDT 등 스테이블코인 역시 달러, 금 등 실제 자산을 보유하는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XRP·XLM·EOS와 유사한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정부 법률 변호사 "스테이블 코인, 증권·스왑 상품 분류시 암호화폐 시장 큰 타격 예상"
▲ ETH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21,080 건…병목 현상 완화이더리움(ETH)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이더스캔(Etherscan.io)에 따르면,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미체결 거래가 21,080 건을 기록, 병목 현상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ETH 네트워크의 해시율은 153,346.28 GH/s를 나타내고 있다. ETH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95% 내린 132.0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정부 법률 변호사 "스테이블 코인, 증권·스왑 상품 분류시 암호화폐 시장 큰 타격 예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정부 법률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와 벤자민 사우터(Benjamin Sauter)가 "스테이블 코인이 증권 혹은 스왑상품으로 분류된다면, 암호화폐 시장은 큰 타격을 입을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들은 이와 관련해 "최근 수개월 동안 암호화폐 시장이 침체기를 겪으면서 써클, 팍소스, 제미니 및 JP 모건과 같은 전통은행이 JPM 코인등 자신들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며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 기관 유입이 늘어나고 있다"며 "이같은 현상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국선물거래위원회(CFTC)가 해당 산업에 더 엄격한 규제 및 심사를 적용하게 만들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스테이블 코인의 환매 방식을 고려할때 SEC는 이를 약속 어음(demand note)으로 간주 할 가능성이 크며, 약속 어음은 증권으로 분류된 사례가 있다. 또한 CFTC는 이를 스왑(swap) 거래로 간주 할 가능성이 크다"며 "스테이블 코인이 증권 혹은 스왑 거래로 분류되면 암호화폐 산업이 상당 부분 흔들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AGI 포럼은 인공지능 격차를 해소하고,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를 논의하기 위해 진행
블록체인 기반 인공지능 프로젝트 ‘마인드 AI(MIND AI)’는 제네바대학교(The University of Geneva) 및 제네바병원(Hospital of Geneva)과 함께 스위스 제네바의 캠퍼스 바이오텍(Campus Biotech)에서 범용인공지능 포럼(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Forum, 이하 AGI 포럼)을 지난 1월 22일 성황리 개최했다고 밝혔다.마인드 AI(MIND AI)의 공동창업자인 조수아홍(Joshua Hong)은 이번 포럼에서 “AGI 포럼은 신속하게 진화하는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제고하고, 지구촌 시민으로서 범용인공지능(AGI) 시대의 새벽(dawn)을 함께 준비해야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는 이 포럼은 다양한 분야의 지도자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우려 사항을 해결할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그는 “자연어(natural language) 기반 인공지능 회사인 마인드 AI의 심볼릭(symbolic) 인공지능 접근과 같이 범용인공지능(AGI)을 완성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또한 AGI 포럼의 공동 창립자 겸 마인드 AI 어드바이저인 장 밥티스트 데코르잔트(Jean-Baptiste Decorzant)는 “스위스는 혁신의 역사가 있다. R&D 파트너십과 센터를 선도하고, 일부 지역은 암호화폐 허브(crypto hubs)가 되고 있다”며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본거지이고 유엔본부가 있는 제네바에서 우리 시대의 가장 중요한 대화 중 하나인 인공지능에 대해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한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우리의 사상 지도자들(thought-leaders)의 답변을 요구해야 하고, 행동을 취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며 “우리는 어떤 윤리적 지침(ethical guidelines)을 따라야 하는지, 안전장치(safeguards)는 무엇인지, 정부는 어떻게 관여할 것인지에 대해 지금 당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AGI 포럼을 통해 우리는 그 일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AGI 포럼은 비즈니스, 생명 과학, 생물학, 화학, 컴퓨터 과학, 의학, 음악 등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들에게 사상가, 정부 관료, 기업가, 엔지니어와의 토론할 기회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술과 AGI(범용인공지능)의 영향에 대해 개발하고 준비하기 위한 적절한 접근법을 계획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마련됐다.AGI 포럼은 몇 가지 핵심 아이디어를 강조한다. 탈중앙화(Decentralization)와 정부의 역할이 무엇인지, 모든 국가에서 AI가 취할 역할은 무엇인지, AI가 발전하면서 반드시 갖춰야 할 안전장치는 무엇인지, 자율적인 무기와 AI 위협, 컴퓨터 비전, 이해관계자를 위한 범용인공지능(AGI) 정보 최적화 등이다.한편, 이번 포럼을 공동 개최한 제네바대학병원(Geneva University Hospitals)은 스위스에서 가장 큰 대학병원으로 고품질의 전문 의료서비스와 의료 연수를 제공하고 있다. 이 병원은 1995년에 설립되었으며,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의학 및 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이 단체는 제네바 주내 전역에 걸쳐 10개의 제네바 공립 병원과 40개의 외래환자 부서들을 한데 모으고, 그들은 함께 스위스의 일류 대학병원을 형성하고 있다.1559 년에 설립된 제네바대학교(UNIGE)는 유럽 최고의 대학교 중 하나이다. 연구, 교육, 대화에 전념 하는 제네바대학교는 유구한 국제적 전통을 갖춘 국제활동과 다문화 활동의 중심지인 호스트 도시 제네바(Geneva)의 국제적인 소명을 공유하고 있다.마인드 AI(MIND AI)는 인공지능에 완전히 새로운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병렬처리, 슈퍼컴퓨터, 대용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아키텍처를 구축하는 대신, 자연어를 이용한 '캐노니컬(Canonical)'이라고 하는 국제적인 특허를 받은 완전히 새로운 데이터 구조를 바탕으로 핵심 심볼릭 추론엔진(Reasoning engine)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마인드 AI는 2019년 올해 말까지 새로운 방식을 적용한 혁신적인 인공지능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
모건 크릭 창업자 "로드아일랜드주 양당 합의 발의안, 성공적 스타트" 호평
▲ 모건 크릭 창업자 "로드아일랜드주 양당 합의 발의안, 성공적 스타트" 호평안토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 모건크릭디지털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의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미국 로드아일랜드주의회에 '소비 목적(consumptive purpose)으로 사용되는 토큰은 기존 증권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의 양당 합의 법안이 상정됐다"며 "이는 성공적인 스타트(great start)"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새로운 기술에는 새로운 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BTC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5,056 건비트코인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비티씨닷컴(BTC.com)에 따르면, 4일 오전 10시 기준 BTC 네트워크 내 미체결 트랜잭션이 5,056 건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BTC 네트워크의 24시간 트랜잭션 처리 속도는 4.00 txs/s, 해시레이트는 44.46 EH/s, 채굴 난이도는 6.07 T를 나타내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0.13% 내린 3,862.9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ETH, 대량 이체...657만 달러 규모이더리움(ETH)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이더스캔(Etherscan.io)에 따르면, 오늘(4일) 오전 1시 21분경 ETH 대량 이체가 발생했다. 5만 ETH(약 657만 달러)가 지갑 주소 '0x65043331a41cc4350030bb4011e2a7a85c90ec11'에서 주소 '0x675a67b5deb3da888262338f17cdf342698e8d95'로 이동했다. 해당 트랜잭션의 해시값은 '0xc9099618d39e8af7c8c7f689f6049b3a4ce667318be0bd17a2c17cb567ce6c77'이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4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3.44%, 숏 포지션 비율은 17.30%를 기록하며 롱 포지션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24.11%, 13.45%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6.95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77.13만 ETH를 나타내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코인베이스 영업 총괄 "XRP 증권 분류, 대응 가능"
▲ 올스타빗 대표 재산 가압류 결정...암호화폐 거래소 대표 최초국내 법무법인 광화가 지난 2월 27일 암호화폐거래소 올스타빗 대표의 재산에 가압류결정을 받고, 28일 가압류 등기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는 암호화폐거래소 대표의 재산이 가압류된 최초의 사례라는 설명이다. 법무법인 측에 따르면 올스타빗은 수개월째 고객의 출금요청이 지연됐고, 지난해 12월부터는 아예 출금을 정지시켰다. 또한 올스타빗은 출금정지 이외에도 임원진의 횡령, 장부거래, 자의적이고 은밀히 진행된 코인 스왑, 시세조작, 공지 미이행 등 수많은 의혹이 제기됐고, 민·형사적으로 문제가 되는 운영으로 수많은 피해자들을 양산해 왔다는 지적이다. 법무법인 측은 올스타빗과 고객간의 다양한 법률관계를 상세히 분석하여 올스타빗의 대표에 대한 가압류 신청을 했고, 법원으로부터 동 신청이 이유있다는 결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곧 올스타빗을 상대로 형사고소·고발, 민사소송 등 다양한 형태로 공식적인 문제제기를 할 예정이다.▲ 코인베이스 영업 총괄 "XRP 증권 분류, 대응 가능"미국 비디오 뉴스 플랫폼 체다닷컴(Cheddar)에 따르면, 최근 크리스틴 샌들러(Christine Sandler) 코인베이스 영업 총괄이 "최근 코인베이스닷컴, 모바일, 프로 등 플랫폼에 XRP를 상장했다. XRP와 관련한 미국 규제당국의 '증권 분류' 이슈는 코인베이스가 앞서 인수한 키스톤 캐피탈(Keystone Capital Corp.) 플랫폼을 통해 대응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그는 앞서 논란이 된 '뉴트리노 해킹팀 이력' 관련 이슈에 대해 "블록체인 분석 스타트업 뉴트리노(Neutrino)의 인수는 그들이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코인베이스는 지난 2월 이탈리아 소재 블록체인 분석 업체 뉴트리노를 인수한 바 있으며, 뉴트리노 임원 대다수가 해킹팀 멤버로 활동한 이력이 SNS를 통해 확산되며 각종 커뮤니티에서 논란이 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디앱(dApp) 플랫폼 판도를 바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스마트컨트랙 플랫폼 RSK
디앱(dApp) 플랫폼 판도를 바꿀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스마트컨트랙 플랫폼 RSK,- 해싱 파워가 40%에서 45%로 상승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스마트컨트랙 플랫폼이 된 RSK!-비트코에 이어 두 번째로 안전한 블록체인 RSK, 디앱(dApp) 개발자들이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다!RSK는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안전한 블록체인,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스마트컨트랙 플랫폼이 되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RSK 플랫폼은 더 높은 난이도의 데이터를 풀 수 있는 채굴 능력인 해싱 파워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40% 수준에서 45%로 상승함으로써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스마트컨트랙 플랫폼이 되었으며, 또한 두 번째로 안전한 블록체인이 되었다고 한다. 블록체인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여러 명이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로 여러 사용자의 합의와 분산저장을 통하여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일명 ‘51% 공격’으로 데이터 위변조(해킹)가 가능하다. 비트코인은 작업증명(PoW)을 사용해 연산을 통해 일종의 문제를 가장 빨리 푼 노드에게 블록을 추가시킬 수 있는 권한을 준다. 이때, 어떤 악의적인 공격자가 전체 네트워크의 50%를 초과하는 막강한 해싱 파워(채굴 능력)를 보유함으로써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닌 위변조된 데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을 채택하도록 만드는 일종의 해킹을 51% 공격이라 한다. 실제로 작년 5월에 비트코인 골드의 커뮤니케이션부서에서 51% 공격을 받고 그에 대한 경고를 한 바가 있다. 51% 공격 실행 비용을 알려주는 사이트 크립토51(Crypto51)에 따르면, 비트코인에 대한 51% 공격을 실행할 경우 시간당 약 $244,853(원화 2억 7500만원)정도가 든다. 화폐 기능만 있었던 비트코인의 한계를 넘어 블록체인에 스마트컨트랙 기능을 접목시켜 2세대 대표로 탄생한 이더리움에 경우는 약 $74,573(원화 8400만원) 정도가 든다.반면, RSK에 대한 공격은 시간당 약 $112,000(원화 1억 2600만원) 비용이 소요된다. RSK의 해싱 파워(채굴 능력)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40% 정도였는데, 45%로 증가함에 따라 더 안정적인 채굴이 가능하게 되면서 51% 공격을 시행하는데 많은 비용이 드는 것이다. 이 비용을 통해 블록체인의 안정화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오랫동안 블록체인상 디앱(dApp)들이 사용했던 이더리움보다 RSK가 더 안정적인 블록체인이라고 볼 수 있다. RIF Labs/RSK Labs의 공동 창업자 및 CEO인 디에고(Diego)는 “RSK는 디앱(dApp) 개발자들이 가장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이며, 더 많은 디앱들을 끌어들이는 차세대 플랫폼 블록체인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RSK를 사용하게 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안전성, 저렴한 거래 수수료, 확장성 문제 해결 세 가지를 모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더리움상에 구축된 많은 디앱(dApp)들이 RSK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비트코인의 등장은 그야말로 전세계의 이목을 단 번에 끌었다. 거래 장부를 투명하게 볼 수 있다는 탈중앙화 특성의 비트코인은 보안성에 있어서는 뛰어나지만 확장성과 유동성 부분에서는 부족하여 화폐 기능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비트코인 대항으로 스마트컨트랙 기능을 가능하게 한 이더리움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더리움 플랫폼은 비싼 거래 수수료, 보안 문제, 느린 속도 등을 가지고 있다.이러한 양대산맥에 도전장을 내민 RSK(비트코인 스마트컨트랙)가 블록체인 시장의 판도를 어떻게 바꿀지 기대가 된다.
-
휴먼스케이프-옥션, 환자 커뮤니티 플랫폼 연계 위한 업무협약 체결
휴먼스케이프-옥션, 환자 커뮤니티 플랫폼 연계 위한 업무협약 체결-이번 협약을 통해 휴먼스케이프와 옥션 케어플러스 협력 체계 구축..-공동 마케팅 및 헬스케어 용품 연구와 개발 분야에서 협력..국내 대표 헬스케어 스타트업 휴먼스케이프와 국내 1위 전자상거래기업 이베이코리아가 운영하는 옥션이 ‘옥션-휴먼스케이프 환자 커뮤니티 플랫폼 연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1 일 체결했다.서울 역삼동 이베이코리아 본사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이베이코리아 기업커뮤니케이션팀 홍윤희 이사와 휴먼스케이프 장민후 대표 등이 참석해 양사의 향후 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휴먼스케이프’는 개인 건강기록 서비스와 커뮤니티를 통해 난치, 희귀질환 환자들의 건강 정보를 안전하게 수집하고, 제약사, 연구기관 등에서 데이터를 필요로 할 때 환자들에게 데이터 유통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의 유통 과정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다.이를 통해 치료법을 찾지 못한 전 세계 3억 5천만 명의 환자들이 자신의 데이터를 통해 임상에 참여하는 등 치료 기회를 확대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자신의 데이터에 관한 통제권을 부여하려는 목표를 갖고 있다.옥션은 국내 오픈마켓 최초 장애-실버용품 전문관인 ‘케어플러스’를 운영하며 국내 250만명에 달하는 장애인, 만성질환 및 장기요양 환자와 가족 대상으로 정보가 부족해 구매가 어려웠던 의료기기나 장애용품을 판매하고 있다.또한 장애용품을 개발해 판매하는 스타트업들의 판로 지원에도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수동휠체어를 전동으로 바꿔주는 전동키트 ‘토도드라이브’, 점자 스마트워치 ‘닷워치’를 발굴, 소개했다. 지난해 발달장애용품 코너도 신설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장애-비장애인이 경계없이 입을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의류 ‘모카썸위드’를 출시하기도 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휴먼스케이프와 옥션 케어플러스는 협력 체계를 구축해, 옥션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휴먼스케이프 커뮤니티에서도 소개한다. 또한 공동 마케팅, 헬스케어용품 연구와 개발을 비롯 다양한 업무 연계를 이어갈 계획이다.이베이코리아 기업커뮤니케이션팀 홍윤희 이사는 "장애용품의 경우 동료 환우-장애인이 보유한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만큼 휴먼스케이프의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커뮤니티 서비스에 잠재력이 높다고 본다”며 “환우-가족들의 정보 참여를 통해 장애-실버용품 시장이 더 풍성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휴먼스케이프 장민후 대표는 “환우와 보호자들이 커뮤니티 내에서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실질적으로 투병생활에 도움이 되는 물품이나 서비스를 확인하고 추천하기도 한다”며 “휴먼스케이프에서는 이러한 정보의 획득부터 필요 용품의 구입까지 환우들을 위해 더욱 편리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편, 헬스케어 스타트업 휴먼스케이프는 최근 코스닥 상장사 케어랩스 등으로부터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인 그라운드 X가 개발한 클레이튼의 의료분야 첫번째 공식 파트너로 합류한 바 있다.
-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
코인플러그, KB국민카드에 블록체인 기반 웹-앱 인증서 구축 완료플랫폼 운영 효율성 향상…다양한 인증 채널 제공최근 블록체인 기술 업체 코인플러그와 에스토니아 기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디플로우(DFlow)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 구축에 나서는 가운데 KB국민카드와도 협력을 도모하고 있다.블록체인 전문 핀테크 기업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모바일 앱에서만 구현되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을 웹과 호환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코인플러그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KB국민카드(대표 이동철)와 진행한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서비스 확대 프로젝트’의 결실을 맺었다. 기존의 블록체인 인증 솔루션은 모바일앱 기반으로 웹과의 호환이 불가했다.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함에 따라 KB국민카드는 앱과 웹 브라우저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게 돼 보다 다양한 인증 채널을 제공할 전망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코인플러그는 플랫폼 운영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관리자 시스템 고도화한 결과 직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웹 서비스 상태, 블록체인 플랫폼 구조, 각 노드의 현황 등이 대시보드에 10초 간격으로 업데이트된다. 또한, 다양한 검색 조건으로 거래와 블록을 분석,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어 관리자는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한편, 코인플러그는 또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아이덴티티(신원인증)’ 플랫폼 ‘메타디움(METADIUM)’과 관련해서도 디플로우와 긴밀히 협력할 방침이다.
-
BCH 개발자, 신규 월렛 컨셉 '캐슈얼 월렛' 공개
▲ BCH 개발자, 신규 월렛 컨셉 '캐슈얼 월렛' 공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BCH 지지자이자 개발자 조나단 실버블러드(Jonothan Silverblood)가 새로운 BCH 월렛 컨셉 '캐슈얼 월렛(Cashual Wallet)'을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해당 월렛 컨셉은 비전문가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BCH 월렛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에 초점을 맞춰 개발됐다"며 "BCH 주소 식별 지원 소프트웨어 Cashaccount.info도 포함돼있다"고 설명했다. Cashaccount.info는 BCH 주소 기억 및 식별 서비스 및 '가명' 테더링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다.▲ 이더리움재단 이사 "ETH 재단, 사업 분야 확장 추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 Globe)에 따르면, 최근 아야 미야구치(Aya Miyaguchi) 이더리움 재단 이사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이더리움 재단은 이더리움 관련 기술 개발을 넘어 기타 사업 분야 확장을 추진할 예정이며, 이에 따른 추가 지원금 확보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더리움 재단은 이더리움의 지속적인 개발 및 유지관리를 위해 출범한 조직으로, 블록체인 기반 프로토콜 개발에 힘써왔다. 오픈소스 기술의 특성상 이더리움은 수년동안 진화해왔으며, 생태계 역시 크게 성장했다. 재단은 비영리단체로써 역할이 정체되지 않도록 맡아야할 임무를 재정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