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iaBTC 창업자 "BTC 확장성 문제, 단기 투자가치 영향 無"
▲ 암호화폐 지갑 와이어렉스, NANO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dailyhodl)에 따르면, 암호화폐 지갑 및 카드 서비스 업체 와이어렉스(Wirex)가 나노(NANO, 시가총액 39위)를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와이어렉스는 비트코인(BTC), 라이트코인(LTC), 리플(XRP), 이더리움(ETH), 웨이브(WAVES)을 지원하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NANO는 현재 12.50% 오른 0.90183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IHS 마킷 "2030년 금융업 블록체인 시장 4,620억 달러 규모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뉴스(BitcoinNews)가 국제 시장 조사 전문기관인 IHS 마킷(IHS Markit)이 1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 "2017년 금융 산업에서 블록체인의 가치가 19억 달러로 나타났으며, 2030년 4,620억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IHS 마킷 수석 애널리스트 돈 테이트(Don Tait)는 "긍정적인 국제 규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日 MUFG, 블록체인 결제 네트워크 개발 자회사 출범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watch)에 따르면, 12일(현지 시간) 일본 최대 은행그룹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아카마이 테크놀로지(Akamai Technologies)와 협력해 블록체인 결제 네트워크 개발업체 '글로벌 오픈 네트워크'(Global Open Network)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MUFG 측은 "글로벌 오픈 네트워크는 2020년까지 MUFG와 아카마이가 공동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개방형 결제 네트워크의 일본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해당 네트워크는 2초 이하의 결제 처리 시간, 초당 100만 건 이상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ViaBTC 창업자 "BTC 확장성 문제, 단기 투자가치 영향 無"13일(현지 시간) 중국계 대형 채굴풀 비아BTC(ViaBTC)의 창업자 양하이포(杨海坡)가 본인의 SNS를 통해 "BTC 네트워크는 확장성 문제가 존재하지만, 이는 BTC의 단기 투자가치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BTC의 투자가치는 주로 암호화폐 시장 내 절대적인 영향력과 대외적인 지명도가 높다는 점에서 나온다. 또한, BTC의 단기적 가치는 자산의 가치로, 화폐 가치가 아니다. 확장성 문제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美 CFTC, 2019년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 발표...암호화폐 감시 관례 포함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산하 시장감시부서(DMO), 스왑딜러감시부서(DSIO), 청산위험부서(DCR)의 2019년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를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특히 특정 선물 시장 참가자들이 상품거래법(CEA)과 CFTC 규정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DMO의 심사 우선순위에 '암호화폐 감시 관례'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FTC가 각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CFTC 의제의 투명성을 높이고 시장 참여자들이 규제 우선순위를 고려해 자원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안됐다.▲ 체이널리시스, 시리즈B 투자 유치...3000만 달러 규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닌자스(cryptoninjas)에 따르면, 블록체인 전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최근 3,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의 시리즈B 라운드는 페이스북의 초기 투자자인 액셀(Accel)이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조달된 자금은 체이널리시스의 암호화폐 관련 전략적 상품의 개발과 런던 사무처 설립에 쓰일 예정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가상화폐 거래소 비엘씨코리아(BLC KOREA), 4월 오픈 예정
가상화폐 거래소 비엘씨코리아(BLC KOREA), 4월 오픈 예정가상화폐 거래소 비엘씨코리아(BLC KOREA)가 오는 4월 1일 오픈한다. 고객을 우선으로 하는 거래소로 안전성과 공정성, 공익성을 갖추어 입지를 다질 예정이라고 전했다.비엘씨코리아는 4월 오픈 전까지 한달 간 모의테스트를 통해 거래소의 문제점을 파악해 수정할 계획이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로 자리매김 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거래소에 상장하는 코인에 대해 투표제를 통해 상장할 것을 밝혔다. 상장될 코인의 기술력, 유저의 수, 재단의 안정성, 시장성 심사와 함께 실 유저들의 투표에 의해 상장 여부를 결정해 공정하고, 투명한 코인 상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계획이다.
-
코브라 "BTC, 더 이상의 하드포크 필요없어"
▲ 이더리움 네트워크 일평균 블록생성시간↑, ETH 생산량↓이더리움 블록 익스플로러 이더스캔(Etherscan)에 따르면, 13일 오후 3시 기준 이번주 이더리움(ETH) 네트워크의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이 20.3초를 기록, 전주(17.6초) 대비 15.34% 느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평균 ETH 생산량은 약 12,768 ETH로 전주(약 14,727 ETH) 대비 13.30% 감소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ETH는 현재 3.00% 오른 124.6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조폐공사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모바일상품권 서비스 시작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조폐공사가 블록체인 기반 신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발행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해 온라인상에서도 정보의 위변조를 막는다는 것. 공사는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경기도 성남·시흥시와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소비자는 스마트폰 앱으로 모바일상품권을 구매한 후 가맹점에서 QR코드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조용만 조폐공사 사장은 "조폐공사 블록체인 공공 플랫폼은 지폐를 만드는 조폐에서 나아가 화폐를 매개로 이뤄지는 온라인 거래로 사업영토를 확장하는 첫걸음"이라며 "세계 최고의 조폐·인증·보안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코브라 "BTC, 더 이상의 하드포크 필요없어"비트코인 개발자이자 Bitcoin.org의 창업자 겸 운영자인 코브라(Cobra)가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BTC)은 블록크기를 바꾸는 하드포크가 필요없다"며 "이와 관련된 모든 미친 짓을 멈춰야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블록크기 변동은 기존 컨센서스의 분열을 조장하고 BTC에 대한 신뢰를 훼손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BTC 코어 개발자 Wladimir J. van der Laan은 최근 트위터 계정을 통해 "제정신인 사람은 어느 누구도 BTC 화폐정책을 바꾸자고 제안하지 않는다"며 장줘얼(江卓尔) BTC.TOP 최고경영자(CEO)의 'BTC 코어 개발진은 향후 BTC 발행량 제한을 해제하고 채굴 보상 반감기를 멈춰야만 채굴자 이탈을 막을 수 있을 것' 주장에 반박한 바 있다.▲ 블룸버그 "올해 신규 STO 90개 전망...2017년 대비 45배↑"블룸버그 통신이 "올해 암호화폐 업계에 약 90개 신규 증권형토큰공개(STO)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2017년 2개에 그쳤던 신규 STO 프로젝트에 비해 45배 증가한 수치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는 "미국 금융당국이 암호화폐공개(ICO)를 당국에 정식 등록이 필요한 증권으로 규제를 강화하면서, 신생 기업들이 증권형 토큰을 채택해 규제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38...투심 위축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46)보다 8 포인트 내린 38을 기록했다. 투자자들의 공포 심리가 전날보다 소폭 위축됐음을 의미한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 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나스닥, 오는 25일 BTC·ETH 실시간 가격 지수 등재나스닥 트레이딩 정보 제공 플랫폼 나스닥트레이더(nasdaqtrader)에 따르면, 오는 25일(현지시간)부터 나스닥 글로벌 지수 데이터 서비스 플래폼(GIDS, Global Index Data Service)에서 BTC와 ETH의 실시간 가격 지수 BLX(Bitcoin Liquid Index), ELX(Ethereum Liquid Index)를 지원한다. 해당 두 지수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이자 리서치 기관인 브레이브뉴코인(Brave New Coin)이 도출해 나스닥에 제공할 예정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 이더리움 무기한 계약 상품 출시
글로벌 암호화폐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 이더리움 무기한 계약 상품 출시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Bybit), 한국어 플랫폼과 이더리움 무기한 계약 상품을 잇따라 선보여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글로벌 선물거래 파생상품 거래소 바이비트(Bybit)가 한국어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처음으로 출시했다고 발표했다.바이비트는 레버리지를 100배 활용할 수 있는 이더리움 무기한 계약 상품을 선보였다. 또한 공식 출범 이후 3개월에 걸쳐 BTC/USD 무기한 계약에 세컨드 페어를 추가했다.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는 사용자 기반은 물론 지난 2개월간 급증한 거래량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바이비트는 한국어, 영어, 중국어 간체, 중국어 번체, 일본어 등 총 5개 언어로 된 플랫폼을 성공리에 구현했다. 레버리지를 100배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이더리움 무기한 계약 상품은 이전 무기한 계약과 작동 방식이 동일하다. 계약 당 10만 TPS를 처리하는 고속 매칭 엔진으로 주문을 처리하고, 입금이나 인출 시 ETH 지갑을 활용하며, 이중 가격 메커니즘, 펀딩, 전문적인 리스크 관리 등을 지원한다. 기존의 비트맥스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차원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전문적인 관리 운영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무기한 계약은 만기일이 없는 새로운 유형의 선물 계약 상품으로서 파생상품군의 하나이다. 파생상품은 오픈 포지션에 따른 가격 급등락으로 수익을 올리고, 레버리지를 활용해 거래를 통해 얻은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바이비트 거래소는 한국어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는 한편 과부하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최신 서버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경쟁 거래소와 차별화했다.
-
마스터카드·바클레이스, 리플 xRapid 도입 스타트업 투자
[美 CFTC, 2019년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 발표...암호화폐 감시 관례 포함]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산하 시장감시부서(DMO), 스왑딜러감시부서(DSIO), 청산위험부서(DCR)의 2019년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를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특히 특정 선물 시장 참가자들이 상품거래법(CEA)과 CFTC 규정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DMO의 심사 우선순위에 '암호화폐 감시 관례'가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CFTC가 각 부서별 심사 우선순위를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CFTC 의제의 투명성을 높이고 시장 참여자들이 규제 우선순위를 고려해 자원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안됐다.[ETH 개발자 "콘스탄티노플 추가 버그 없다...업그레이드 일정 예정대로 진행"]이더리움 재단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허드슨 제임슨(Hudson Jameson)이 트위터를 통해 "콘스탄티노플 업그레이드 일정은 재조정 되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코드 버그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앞서 트러스트노드의 보도는 오보"라고 말했다.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팩쉴드(PeckShield)는 이와 관련해 "문제가 제기된 Create2 기능은 버그가 아닌 악용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라며 "콘스탄티노플 업그레이드 이후 새로 생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에 Create2와 Self-Destruct가 동시에 사용됐는지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러스트노트는 "콘스탄티노플 버전 업데이트 이후 'self-destruct'로 제거된 스마트 컨트랙트가 새로운 기능인 'Create2'를 활용해 대체(replace)될 수 있으며, 이는 자금 탈취로 연결될 수 있는 버그"라고 전한 바 있다.[조폐공사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모바일상품권 서비스 시작]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조폐공사가 블록체인 기반 신뢰 플랫폼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발행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블록체인의 특징을 활용해 온라인상에서도 정보의 위변조를 막는다는 것. 공사는 해당 플랫폼을 활용해 경기도 성남·시흥시와 '모바일 지역사랑 상품권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소비자는 스마트폰 앱으로 모바일상품권을 구매한 후 가맹점에서 QR코드를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다. 조용만 조폐공사 사장은 "조폐공사 블록체인 공공 플랫폼은 지폐를 만드는 조폐에서 나아가 화폐를 매개로 이뤄지는 온라인 거래로 사업영토를 확장하는 첫걸음"이라며 "세계 최고의 조폐·인증·보안 서비스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코인베이스 월렛, 구글드라이브·iCloud서 프라이빗키 백업 지원]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의 암호화폐 지갑 서비스 코인베이스 월렛이 12일(현지 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12일부터 구글드라이브 및 iCloud 등 클라우드 플랫폼의 개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계정에 코인베이스 월렛의 프라이빗 키 백업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백업 데이터는 AES-256-GCM 암호화 파일 시스템을 통해 암호화되며, 코인베이스 월렛 모바일 앱에서만 해독이 가능하다는 게 코인베이스 월렛 측의 설명이다.[IHS 마킷 "2030년 금융업 블록체인 시장 4,620억 달러 규모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뉴스(BitcoinNews)가 국제 시장 조사 전문기관인 IHS 마킷(IHS Markit)이 11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 "2017년 금융 산업에서 블록체인의 가치가 19억 달러로 나타났으며, 2030년 4,620억 달러 규모에 달할 전망"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IHS 마킷 수석 애널리스트 돈 테이트(Don Tait)는 "긍정적인 국제 규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마스터카드·바클레이스, 리플 xRapid 도입 스타트업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카드사 마스터카드와 영국 투자은행 바클레이스 은행이 리플의 xRapid 서비스를 도입한 디지털 송금 업체 '센드프렌드'(SendFriend)에 전략적 투자를 감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드프렌드는 미국 달러화(USD)와 필리핀 페소화 간 송금에 XRP를 이용한 xRapid 솔루션을 도입, 보다 저렴한 실시간 국경 간 거래를 지원하며 필리핀과 미국의 송금 시장을 겨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센드프렌드 측은 "리플의 xRapid와 XRP를 통한 국경 간 송금 거래는 업계 평균보다 65% 낮은 수수료의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TC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15,635 건
▲ 더비완 "코인베이스, 바이낸스의 법정화폐 인출기"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탈 단화캐피탈(DHVC)의 전임 상무이사이자 블록체인 스타트업 Primitive의 공동 창업자인 더비 완(Dovey Wan)이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가장 큰 역할(biggest utility)이 바이낸스의 법정화폐 인출기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코인베이스에서 법정화폐를 통해 구입한 암호화폐는 바이낸스로 이체되고 대부분의 거래량이 바이낸스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더비 완의 이 같은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비즈니스 사이에 교집합(overlaps)은 크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두 업체 모두 거래소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고, 함께 성장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스웨덴 'XBT 프로바이더', 암호화폐 바스켓 ETN 출시 보류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소재 비트코인 상장지수채권(ETN) 거래소 XBT 프로바이더(XBT Provider)가 13일(현지 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으로 인해 암호화폐 바스켓 ETN 상품의 출시를 보류한다"고 발표했다.▲ 美 컬럼비아 대학, 블록체인 컨퍼런스 개최...IBM 스폰서 참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미국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이 오는 15일(현지 시간) IBM이 후원하는 블록체인 컨퍼런스인 '렛저페스트(LedgerFest)'를 개최한다. IBM의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터 전무이사인 데이비드 포스트(David Post)는 "블록체인 업계에 필요한것은 정확한 기술과 전문성이며, IBM은 컬럼비아 대학과 협력하여 초기·중간 단계의 창업자들의 기업급 네트워크 구축을 돕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미디어는 "블록체인 기술이 주류 접목의 기로에 서있는 현재, 차세대 대학생 개발자와 기업가의 역할이 대두된다는 점에서 이번 컨퍼런스가 주목된다"고 평가했다.▲ BTC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15,635 건비트코인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BTC.com에 따르면, 13일 오후 6시 18분 기준 BTC 네트워크 내 미체결 트랜잭션이 15,635 건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데이터 제공 사이트 이더스캔(Etherscan.io)에 따르면, 현재 이더리움 네트워크 내 미체결 거래가 29,690 건을 기록, 병목 현상이 소폭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우디 금융청장 "3월 2개 현지 은행, 리플 솔루션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모센 알 자라니(Mohsen Al Zahrani) 사우디아라비아 금융청(SAMA, Saudi Arabia Monetary Authority) 국장이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은 아직 리플의 글로벌 결제 솔루션을 도입하지 않았지만, SAMA는 리플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두개 현지 은행이 올 3월 리플의 결제 솔루션을 도입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2월 리플은 사우디 중앙은행과 xCurrent 플랫폼 도입을 위해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2.43% 오른 0.30833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日 GMO인터넷 회장 "암호화폐 채굴 사업, 일시적인 실패"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watch)에 따르면, 최근 일본 대형 IT 기업 GMO 인터넷의 구마가이 마사토시(熊谷正寿) 회장이 최근 '2018년 결산 회의'에서 "암호화폐 채굴 사업은 '일시적인 실패'"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지난해 암호화폐 채굴 사업에서 비록 손실이 발생했지만, 사업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며 "비용 문제가 해결되면 최적화된 상태에서 영업을 재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GMO 인터넷은 암호화폐 채굴 사업의 채산성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116억 엔 규모의 자사소유 암호화폐 채굴기를 결손처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GMO 인터넷은 2018년 4분기 재무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 사업의 영업손실이 총 355억 엔을 기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캐나다 법원, 14일 쿼드리가CX 피해자 변호 로펌 결정
▲ 트위터 대규모 스캠 봇 출현...리플 매수 지양 메세지 전송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 Crypto)에 따르면 13일(현지시간) 대량의 트위터 봇(로봇) 계정이 리플 매수를 말리는 내용의 트윗을 반복적으로 전송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봇은 “리플에 상당한 관심이 있는 것을 알고 있다. 리플 개발자들은 이미 다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리플을 포기한 상태”라며 “리플 매수를 고려하고 있다면 극구 말리고 싶다”는 등의 경고성 메시지를 전송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계정 팔로우 및 팔로잉 수는 ‘0’으로, 게시자가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지난해 연말 이후 리플과 이더리움은 업계 시총 2위 자리를 두고 경합을 벌이고 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11일(한국시간)에는 이더리움이 리플을 제치고 코인마켓캡 시가총액 기준 업계 2위를 탈환한 바 있다.▲ ABI 블록체인 장부 대조 프로젝트에 18개 현지 은행 참여핀테크 전문 온라인 미디어 파이넥스트라(Finextra) 에 따르면 이탈리아 은행업협회(ABI)가 추진 중인 블록체인 기반 장부 대조 프로젝트 스푼타(Spunta)에 18개 은행이 합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푼타 프로젝트는 장부 대조 시스템 관리, 위변조 방지, 알고리즘 대조 등 업무를 수행하며 은행 장부 대조 시스템 표준화를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프로젝트는 현재 사전 준비 단계에 있으며, 플랫폼 안정성 등 전반적인 시스템 테스트를 준비하고 있다. 한편 이탈리아 은행 업계 내 18개 프로젝트 참여 은행 직원 비중은 78%에 달한다.▲ 크라켄 CEO "코인베이스 클라우드 활용 프라이빗키 백업, 해킹에 취약"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의 CEO 제시 파월(Jesse Powell)이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코인베이스 월렛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이 편리할 지는 몰라도 해킹에 취약하다. 특히 SIM 포트(SIM Porting)에선 더욱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99%의 이용자들은 무의식 중에 쉽게 기억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이는 해킹 위협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산하 코인베이스 월렛은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12일부터 구글 드라이브, iCloud 등의 개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술을 통해 고객 프라이빗키 백업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캐나다 법원, 14일 쿼드리가CX 피해자 변호 로펌 결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캐나다 노바스코티아 고등법원(Nova Scotia Supreme Court)이 "14일(현지시간) 공청회를 통해 쿼드리가CX(QuadrigaCX) 거래소 사건의 피해자들을 변호할 로펌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쿼드리가CX 거래소 창업자가 지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 그가 보관하고 있던 거래소 콜드 월렛 프라이빗 키가 분실되면서 거래소 이용자에 의해 소송이 제기됐다. 해당 거래소 고객 암호화폐 자산은 약 1억 9,000만 달러 상당으로, 현지 최고 법원에 의해 동결 및 보호를 받고 있다. 해당 사건 피해자는 약 11만 5,000명으로 추정된다.▲ 뉴질랜드 경찰, 크립토피아 거래소 재개에 '그린라이트'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뉴질랜드 경찰 당국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 해킹 피해 사건에 대한 조사를 완료했다. 이에 따라 해당 거래소는 업무를 재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아직 해당 거래소 웹사이트 및 공식 SNS 계정은 시스템 점검 상태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 거래소 관계자는 "서비스 재개 일정은 아직 미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앞서 1월 14일, 해당 거래소는 공식 채널을 통해 "해킹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손실액 산출 등을 위해 거래소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한 바 있다.▲ 日 금융청, GMO코인 거래소 시정조치 철회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금융청이 암호화폐 거래소 GMO코인(GMO Coin)에 대한 시정조치를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빠른 시일 내 현지 기타 거래소에 대한 행정 처분을 추가적으로 해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3월 일본 금융청은 자금 결산법에 근거, GMO코인 거래소에 시정조치를 내린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후오비 오늘의 코인]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 리피오크레딧네트워크(RCN)블록체인의 투명성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대출 시스템.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신용 대출을 국경 없이 블록체인 기반의 신용 평가로 손쉽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해주는 플랫폼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콘트랙트 시스템을 이용한 계약으로 채권자와 채무자를 보호한다. 특히나 대출의 경우 국경을 넘기가 힘들었던 현재의 금융권 구조와는 달리 제약이 없는 글로벌 신용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해진다는 점이 상당히 매력적인 점으로 평가된다.위파워(WPR)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에너지 거래 플랫폼. 친환경 사업의 성장과 함께 관련 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한 전문가팀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미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과의 파트너쉽도 체결된 상태이다. 기존의 폐쇄적인 정부와 대형 기관의 주도로만 관리되어왔던 에너지 거래 분야의 탈중앙화를 지향한다.아더(ARDR)100% POS 방식의 블록체인 플랫폼. NXT를 만든 Jelurida에서 만든 코인으로 확장성, 호환성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일반적인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토큰들을 따로 분리해 중요하지 않은 롱텀 데이터 축적 이슈를 해결하면서 장기적인 효율성 향상을 확보했다. 퍼블릭 오픈 소스 형태뿐만 아니라 상업적인 라이센싱도 가능토록 제작됐다. NXT와 유사하면서도 다른 점이 있어 사용자에게 손쉬운 비교를 할 수 있는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OEX, 암호화폐 거래 경험 제공 위해 ‘엔도르 프로토콜’과 파트너쉽 체결
OEX, 암호화폐 거래 경험 제공 위해 ‘엔도르 프로토콜’과 파트너쉽 체결-1 월 18 일부터 ‘OEX’의 모든 이용자는 (Endor)를 이용해 거래할 수 있어..-주류 투자와 현대 암호화폐 거래 간의 격차 해소 위해 협력..암호화폐 거래소 ‘OEX’는 암호화폐 거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엔도르 프로토콜(Endor protocol)과 파트너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OEX’는 싱가포르에서 본사를 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서, 아시아 전역에서 마케팅을 하고 있다. 주요 시장은 한국, 베트남, 중국, 싱가포르, 45개의 서로 다른 토큰/코인, 5개의 스테이블 코인 거래 존이다. ‘OEX’는 소매 중심의 암호화 시장에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해 OTC(Over The Counter, 장외시장) 암호화폐 거래 데스크를 2월 중순에 설립할 예정이다.OEX와 엔도르는 최고의 암호화폐 거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고, 주류 투자(mainstream investing)와 현대 암호화폐 거래 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2019 년 1 월 18 일부터 ‘OEX’의 모든 이용자는 엔도르를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게 되어,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시장에 대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엔도르(Endor)의 플랫폼은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전례 없는 속도와 정확성으로 빅데이터에서 예측 분석을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고, 두 번째는 데이터 과학자(Data Scientist)의 기술 없이도 비즈니스 사용자가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다. 마지막으로, 민감한 데이터의 보안을 보장하면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엔도르(Endor)의 능력이다.엔도르(Endor)는 MIT의 광범위한 연구를 바탕으로 ‘예측 분석을 위한 구글(Google for predictive analytics)’을 개발하여 비즈니스에 자동화 되고 암호화된 즉각적인 AI 예측을 제공하고, 예측을 일반(generic)에서 특정(specific)으로 전환한다.비즈니스 사용자는 최신 인공지능 과학으로 강화된 엔도르(Endor)의 사용하기 쉬운 플랫폼을 통해 예측 가능한 질문을 하고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어 고객의 변화하는 요구와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엔도르(Endor)는 회사가 백미러(the rear-view mirror)를 보면서 앞으로 나아갈 길에 집중함으로써 사업을 수행하는 것을 도와준다.
-
BTC 하루 채굴 수익, 최근 6개월간 50%↓
▲ 인도네시아 금융당국,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규정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선물거래소 감독위원회(Bappebti)가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관련 규정을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자에 대한 투자자 보호, 규제 확실성, 암호화폐 선물거래소의 온라인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확보할 것이라는 게 위원회 측의 설명이다.▲ NY Fed “암호화폐 부상, 달러 위협 안 돼…장기적 보급 확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Bitcoinist에 따르면 미국 뉴욕연방준비은행(NY Fed)이 11일(현지시간) 연구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가 단기적으로 달러를 제치고 국제 화폐 수단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장기적 측면에서 비트코인이 점진적으로 확대 보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주 금융당국,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사에 벌금...보고 의무 위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긱(CoinGeek)에 따르면, 호주증권투자감독원(ASIC)이 호주증권거래소(ASX) 요청에 따라 현지 바이트파워 암호화폐 거래소의 운영사이자 ASX 상장사 BPG(Byte Power Group)에 3만 3,000 호주달러(약 2,636만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와 관련해 ASX는 "BPG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개발 파트너 관련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거래 플랫폼 소프트웨어 테스트 진행 관련 문제를 즉시 공시하지 않았다"며 "이는 ASIC의 보고 의무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ASX는 BPG 주식 거래 중단 조치를 내린 상태다. 이에 대해 ASX는 "BPG 주식 거래 재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ASIC와 해당 기업 경영의 합법화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바이트파워는 경영 관련 불법성을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벌금 납부에는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BTC 하루 채굴 수익, 최근 6개월간 50%↓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롱해시(Longhash)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 하루 채굴 수익이 최근 6개월간 50%, 1년간 60%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해당 업체에 따르면 비트코인 하루 채굴 수익은 2018년 2월 10일 1,772만 8,597 달러에서 같은해 8월 10일 1,326만 1,118 달러로 감소했으며, 올해 2월 10일에는 667만 2,122 달러로 급감했다.▲ BSV, 0.1.1 버전 출시...64 MB 블록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비트코인SV(BSV, 시가총액 11위) 개발팀이 공식 채널을 통해 "지난 11일 0.1.1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비트코인 개발팀은 "해당 버전은 64 MB 규모의 블록을 지원한다. 또한 테스트넷 상에서 24시간 테스트한 결과 초당 3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SV는 현재 0.98% 내린 64.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록체인 에너지 거래 플랫폼, 전 JP모건 관계자 CEO로 선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전 고위 관계자 에티엔 아믹(Etienne Amic)이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플랫폼 '백트(Vakt)'의 CEO로 선임됐다. 백트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상품 거래 플랫폼으로 세계 3대 석유회사인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쉘(Shell), 에쿼노르(Equinor)가 글로벌 유수 대형 은행과 공동으로 출범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코리아, OTC(C2C 거래플랫폼) 구매 및 판매글 등록 이벤트...오는 3월31일까지
후오비코리아, OTC(C2C 거래플랫폼) 구매 및 판매글 등록 이벤트...오는 3월31일까지
-
업비트, 투자 유의 종목 안내 통해 투자자 보호 앞장서
업비트, 투자 유의 종목 안내 통해 투자자 보호 앞장서글로벌 표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는 암호화폐 투자 유의 종목 안내를 통해 투자자 보호에 앞장선다고 22일 밝혔다.이번 유의 종목 지정은 업비트가 작년 10월 국내 거래소 최초로 공개한 상장 심사 원칙 내 상장 후 관리 지침을 근거로 진행됐다. 유의 종목 지정 사유로는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 중요한 상황 변화 △ 기술 및 기술지원 변동에 대한 늦은 대응 △ 낮은 유동성 등이 있으며 지정된 프로젝트는 소명 절차를 통해 유의 종목 해제가 가능하다. 소명 기간 동안 지정 사유가 완벽히 소명되지 않을 경우, 업비트 거래지원 종료로 이어질 수 있다. 거래 지원 종료 된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별도 안내될 예정이다.투자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암호화폐에 대해서는 차주부터 ‘유의’ 혹은 ‘유’ 뱃지가 노출되어 고객이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투자 유의 종목 뱃지 기능은 PC웹,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iOS 전 플랫폼에 걸쳐 적용 예정으로, 모바일 앱 이용자는 앱 업데이트 후 확인 가능하다.두나무 이석우 대표는 “지난해 상장 심사 원칙과 함께 공개한 상장 후 관리 지침에 따라 투자 유의 종목에 대한 안내를 시행했다”며, “상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지속적이고 철저한 모니터링을 통해 고객이 자산을 더욱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업비트는 최근 상장 심사 원칙, 투자 유의 종목 안내 외에도 국내외 주요 보안 인증 획득, 자체 피해금 환급절차 운영 등 등 투자자 보호와 건전한 거래 활성화를 위해 앞장서고 있다.
-
이더리움 기업 연합, 중국서 지역 지사 설립 발표
▲ 스테이터스, 암호화폐 하드월렛 '키카드'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기반 모바일 브라우저 기업 스테이터스(Status)가 '키카드'(Keycard)라는 암호화폐 하드월렛을 출시했다. 이와 관련해 스테이터스는 "먼저 블록체인 개발자들에게 무료로 제공한 뒤, 향후 29 달러에 판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키카드 하드월렛의 장점으로는 일반 신용카드처럼 매우 얇고 가벼우며,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라이트코인(LTC), 리플(XRP) 및 ERC20 기반 모든 토큰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게 스테이터스 측의 설명이다.▲ 외신 "이란 중앙은행, 암호화폐 금지령 강조"...규제 불확실성 여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이란 중앙은행(CBI)이 산하 연구기관인 통화금융연구소가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도입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라는 의견에 "암호화폐, ICO, 거래소, 채굴 등의 승인을 찬성하지만, 국경 내에서 암호화폐 기반 결제 수단은 여전히 금지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미디어는 "국가 디지털 화폐 로드맵과 암호화폐 규제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란 정부가 새로운 암호화폐 규정 초안을 발표, 황금연동 암호화폐 페이맨(Peyman)을 출시한 바 있다.▲ 카스퍼스키 랩 "온라인 쇼핑 中 13%가 암호화폐 결제 이용"온라인 경제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러시아 사이버 보안업체 카스퍼스키 랩(Kaspersky Lab)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온라인 쇼핑의 결제 방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응답자의 13%가 온라인 쇼핑 중 암호화폐를 이용해 결제를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기업 연합, 중국서 지역 지사 설립 발표이더리움 기업 연합(EEA)이 공식 채널을 통해 중국에 아시아 지역 지사를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EEA는 "중국에서 지역 지사를 설립, 완체인(WAN, 시가총액 100위) 장웨이지아(张维嘉) 부사장을 지역 총괄로 임명했다"고 설명했다.▲ 인텔,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소프트웨어 패키지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인텔이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업용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인텔 시스템에 하이퍼레저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을 가동하는데 필요한 툴킷을 내장할 것이라는 게 인텔 측의 설명이다.▲ 터키 경찰, 암호화폐 해커 조직 검거...유명 게임 '배틀그라운드'서 소통터키 현지 미디어 데일리 사바(DAILY SABAH)에 따르면, 터키 경찰 당국이 약 1300만 리라(약 27억 8,031만 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해킹한 범죄조직원 24명을 체포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당국은 "범죄 조직은 이스탄불 소재 암호화폐 업체를 해킹해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암호화폐를 탈취했다"며 "해당 자금은 해킹된 계정에서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 계정으로 옮겨졌다"고 밝혔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범죄조직원들은 유명 온라인 게임 '배틀그라운드'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소통해왔던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마이크 노보그라츠, 올 하반기 기관 투자자 진입 전망
▲ DCG CEO "알트코인 대부분 실패...비트코인은 금 대체할 것"미국 경제 전문 미디어 CNBC에 따르면, 암호화폐 벤처투자업체 디지털 커런시 그룹(Digital Currency Group) 베리 실버트(Barry Silbert) CEO가 CNBC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지난 몇 년 동안 생겨난 수천 개의 암호화폐는 결국 가치가 없어질 것"이라며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 되기 위한 경쟁에서 이겼으며, 젊은 세대에게 금을 대신하는 안전자산으로 인식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블록포스캐피탈, 美 SEC에 BTC ETF 신청 철회 요청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문건에 따르면, 최근 미국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블록포스캐피탈(Blockforce Capital) 산하 투자기관 리얼리티셰어스 ETF 트러스트(Reality Shares ETF Trust)가 SEC에 BTC ETF 신청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현재 암호화폐 관련 ETF 신청이 시기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는게 리얼리티셰어스 측의 설명이다.▲ 암호화폐 개발업체 '빔', 밈블윔블 기반 LN 개발 추진익명성 코인이자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빔(Beam)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밈블윔블 프로토콜 기반 라이트닝 네트워크(LN)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이크 노보그라츠, 올 하반기 기관 투자자 진입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상업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기관 투자자들이 올해 하반기에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백트(Bakkt) 및 피델리티(Fidelity) 등 신뢰도가 높은 자산운용사들이 자산수탁 솔루션을 출시함에 따라 기관 투자자들이 점차 암호화폐 시장으로 진출하게 될 것"이라며 "다음 달에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반이스라엘 무장단체 '하마스' 지갑 주소 차단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이스라엘 민권단체의 제보에 따라 팔레스타인의 반이스라엘 무장단체 하마스(HAMAS)가 사용하던 암호화폐 지갑 주소를 차단했다. 이와 관련해 비정부기구(NGO) '이스라엘 법 센터(Israel Law Center; Shurat HaDin)'는 "테러 단체 하마스가 현재 암호화폐를 통해 코인베이스의 지갑 주소로 기부금을 받고 있는 것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마이이더월렛, Mew V5 출시 및 체인질리 파트너십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마이이더월렛(MEW, MyEtherWallet)이 Mew V5 출시 및 홍콩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체인질리(Changelly)와의 파트너십 소식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MEW는 "이용자는 하드월렛, 소프트월렛, MEWconnect 무료 응용프로그램, 메타마스크 등 4가지 방법을 통해 지갑을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총 100여 개 암호화폐 종목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크라켄 CEO "코인베이스 클라우드 활용 프라이빗키 백업, 해킹에 취약"
[블록포스캐피탈, 美 SEC에 BTC ETF 신청 철회 요청]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문건에 따르면, 최근 미국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블록포스캐피탈(Blockforce Capital) 산하 투자기관 리얼리티셰어스 ETF 트러스트(Reality Shares ETF Trust)가 SEC에 BTC ETF 신청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현재 암호화폐 관련 ETF 신청이 시기적으로 부적합하다고 판단했다는게 리얼리티셰어스 측의 설명이다.[캐나다 법원, 14일 쿼드리가CX 피해자 변호 로펌 결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캐나다 노바스코티아 고등법원(Nova Scotia Supreme Court)이 "14일(현지시간) 공청회를 통해 쿼드리가CX(QuadrigaCX) 거래소 사건의 피해자들을 변호할 로펌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쿼드리가CX 거래소 창업자가 지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 그가 보관하고 있던 거래소 콜드 월렛 프라이빗 키가 분실되면서 거래소 이용자에 의해 소송이 제기됐다. 해당 거래소 고객 암호화폐 자산은 약 1억 9,000만 달러 상당으로, 현지 최고 법원에 의해 동결 및 보호를 받고 있다. 해당 사건 피해자는 약 11만 5,000명으로 추정된다.[마이크 노보그라츠, 올 하반기 기관 투자자 진입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상업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 CEO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기관 투자자들이 올해 하반기에 암호화폐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백트(Bakkt) 및 피델리티(Fidelity) 등 신뢰도가 높은 자산운용사들이 자산수탁 솔루션을 출시함에 따라 기관 투자자들이 점차 암호화폐 시장으로 진출하게 될 것"이라며 "다음 달에 좋은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인도네시아 금융당국,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규정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선물거래소 감독위원회(Bappebti)가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관련 규정을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자에 대한 투자자 보호, 규제 확실성, 암호화폐 선물거래소의 온라인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확보할 것이라는 게 위원회 측의 설명이다.[외신 "이란 중앙은행, 암호화폐 금지령 강조"...규제 불확실성 여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이란 중앙은행(CBI)이 산하 연구기관인 통화금융연구소가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도입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라는 의견에 "암호화폐, ICO, 거래소, 채굴 등의 승인을 찬성하지만, 국경 내에서 암호화폐 기반 결제 수단은 여전히 금지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미디어는 "국가 디지털 화폐 로드맵과 암호화폐 규제는 여전히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란 정부가 새로운 암호화폐 규정 초안을 발표, 황금연동 암호화폐 페이맨(Peyman)을 출시한 바 있다.[日 금융청, GMO코인 거래소 시정조치 철회]로이터 통신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금융청이 암호화폐 거래소 GMO코인(GMO Coin)에 대한 시정조치를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빠른 시일 내 현지 기타 거래소에 대한 행정 처분을 추가적으로 해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3월 일본 금융청은 자금 결산법에 근거, GMO코인 거래소에 시정조치를 내린 바 있다. [더비완 "코인베이스, 바이낸스의 법정화폐 인출기"]블록체인 전문 벤처캐피탈 단화캐피탈(DHVC)의 전임 상무이사이자 블록체인 스타트업 Primitive의 공동 창업자인 더비 완(Dovey Wan)이 최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가장 큰 역할(biggest utility)이 바이낸스의 법정화폐 인출기로 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코인베이스에서 법정화폐를 통해 구입한 암호화폐는 바이낸스로 이체되고 대부분의 거래량이 바이낸스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는 더비 완의 이 같은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비즈니스 사이에 교집합(overlaps)은 크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두 업체 모두 거래소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고 있고, 함께 성장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크라켄 CEO "코인베이스 클라우드 활용 프라이빗키 백업, 해킹에 취약"]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의 CEO 제시 파월(Jesse Powell)이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코인베이스 월렛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사용이 편리할 지는 몰라도 해킹에 취약하다. 특히 SIM 포트(SIM Porting)에선 더욱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그는 "99%의 이용자들은 무의식 중에 쉽게 기억할 수 있는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이는 해킹 위협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산하 코인베이스 월렛은 공식 채널을 통해 오는 12일부터 구글 드라이브, iCloud 등의 개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술을 통해 고객 프라이빗키 백업을 지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코인베이스, 반이스라엘 무장단체 '하마스' 지갑 주소 차단]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이스라엘 민권단체의 제보에 따라 팔레스타인의 반이스라엘 무장단체 하마스(HAMAS)가 사용하던 암호화폐 지갑 주소를 차단했다. 이와 관련해 비정부기구(NGO) '이스라엘 법 센터(Israel Law Center; Shurat HaDin)'는 "테러 단체 하마스가 현재 암호화폐를 통해 코인베이스의 지갑 주소로 기부금을 받고 있는 것이 발견됐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TC 하루 채굴 수익, 최근 6개월간 50%↓
▲ 인도네시아 금융당국,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규정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선물거래소 감독위원회(Bappebti)가 암호화폐 선물거래소 설립 관련 규정을 1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자에 대한 투자자 보호, 규제 확실성, 암호화폐 선물거래소의 온라인 인프라 구축에 대한 요구사항 등을 확보할 것이라는 게 위원회 측의 설명이다.▲ NY Fed “암호화폐 부상, 달러 위협 안 돼…장기적 보급 확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Bitcoinist에 따르면 미국 뉴욕연방준비은행(NY Fed)이 11일(현지시간) 연구 보고서를 통해 “암호화폐가 단기적으로 달러를 제치고 국제 화폐 수단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장기적 측면에서 비트코인이 점진적으로 확대 보급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주 금융당국,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사에 벌금...보고 의무 위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긱(CoinGeek)에 따르면, 호주증권투자감독원(ASIC)이 호주증권거래소(ASX) 요청에 따라 현지 바이트파워 암호화폐 거래소의 운영사이자 ASX 상장사 BPG(Byte Power Group)에 3만 3,000 호주달러(약 2,636만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와 관련해 ASX는 "BPG가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 개발 파트너 관련 허위 사실을 유포하고 거래 플랫폼 소프트웨어 테스트 진행 관련 문제를 즉시 공시하지 않았다"며 "이는 ASIC의 보고 의무 규정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ASX는 BPG 주식 거래 중단 조치를 내린 상태다. 이에 대해 ASX는 "BPG 주식 거래 재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ASIC와 해당 기업 경영의 합법화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바이트파워는 경영 관련 불법성을 인정하지는 않았지만 벌금 납부에는 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BTC 하루 채굴 수익, 최근 6개월간 50%↓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롱해시(Longhash)가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 하루 채굴 수익이 최근 6개월간 50%, 1년간 60%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해당 업체에 따르면 비트코인 하루 채굴 수익은 2018년 2월 10일 1,772만 8,597 달러에서 같은해 8월 10일 1,326만 1,118 달러로 감소했으며, 올해 2월 10일에는 667만 2,122 달러로 급감했다.▲ BSV, 0.1.1 버전 출시...64 MB 블록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비트코인SV(BSV, 시가총액 11위) 개발팀이 공식 채널을 통해 "지난 11일 0.1.1 버전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비트코인 개발팀은 "해당 버전은 64 MB 규모의 블록을 지원한다. 또한 테스트넷 상에서 24시간 테스트한 결과 초당 3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SV는 현재 0.98% 내린 64.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블록체인 에너지 거래 플랫폼, 전 JP모건 관계자 CEO로 선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JP모건체이스의 전 고위 관계자 에티엔 아믹(Etienne Amic)이 블록체인 기반 에너지 거래 플랫폼 '백트(Vakt)'의 CEO로 선임됐다. 백트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에너지 상품 거래 플랫폼으로 세계 3대 석유회사인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쉘(Shell), 에쿼노르(Equinor)가 글로벌 유수 대형 은행과 공동으로 출범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코리아, 제2회 후오비 엘리트 X 유 밋업 성황리 종료
후오비 코리아, 제2회 후오비 엘리트 X 유 밋업 성황리 종료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21일 서울 강남구 소재 디센트레 블록체인 카페에서 개최한 ‘제2회 후오비 엘리트 X 유(Huobi Elites X You)’ 밋업이 성황리 열렸다.블록체인 비즈니스 전문가와 인플루언서, VC, 전문투자자 등 100여 명이 모인 이번 행사는 지식과 자원을 공유해 공동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프로그램인 ‘후오비 엘리트’ 프로그램 소개를 비롯해 1기 후오비 엘리트 실적 발표 및 시상식, C2C 플랫폼 소개, 퀀트 거래 강의 등으로 구성됐다.행사에 참석한 한 엘리트 지원자는 “평소 궁금했던 후오비 엘리트의 활동 영역과 다양한 혜택, 유망한 프로젝트 소개 등에 대해 한자리서 알아볼 수 있는 유익한 자리였다”며 “후오비 엘리트로서 후오비 코리아와 함께 블록체인 저변 확대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탈중앙 투자 데이터 분석 플랫폼 라이즈(LYZE), AI 퓨티 패션 큐레이션 플랫폼 큐레이션 큐포라(Qfora), 전자 상거래 및 소매업 모두를 위한 간단하고 편리한 암호화폐 지불 플랫폼 페이프로토콜(PayProtocol)에 대한 소개와 퀴즈 행사도 진행됐다. 이 밖에 추첨을 통한 에어드롭(암호화폐 증정) 이벤트, 업계 종사자와 인플루언서가 한자리서 네트워킹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돼 참석자의 호응을 얻었다.이번 행사를 통해 모집한 후오비 엘리트 2기는 각자의 영역에서 후오비 코리아와 전략적 파트너로서 활동할 예정이다.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제2회 후오비 엘리트 밋업 행사에 예상보다 많은 분이 관심이 보이며, 성공적으로 종료돼 매우 기쁘다”며 “후오비 엘리트 밋업은 정기적으로 개최돼, 후오비 엘리트 간의 교류를 늘리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자리를 지속해서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
테오 컨설팅 그룹, ‘ECP+ COIN’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 참여
테오 컨설팅 그룹, ‘ECP+ COIN’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 참여5일 상용 가상 화폐의 선두주자 ECP+가 홍콩 블록체인 위크 2019에 참여한다.이번에 열리는 홍콩 블록체인 위크는 50개국 이상에서 120여명이 넘는 연설자와 150여명 이상의 투자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블록체인 행사이다. 홍콩에는 자국 정부의 지지와 투자를 바탕으로 한 아시아 최대의 암호 화폐 거래소가 있으며, 투자자들의 끊임없는 활발한 투자와 폭넓은 암호 화폐 커뮤니티가 활동 중이다.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아시아의 블록체인 중심인 홍콩에 관련 연구 실험과 설계자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이번 블록체인 위크의 전망도 매우 긍정적이다. 이번 행사에는 비트코인 관련자나 시스템 구축 설계자 혹은 투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까지, 약 3000여명이 넘은 대표단들이 참여하며, ECP+ 역시 글로벌 체인 대표자로 참석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 화폐의 가장 큰 성공의 주안점이 ‘상용화’에 있는 만큼, 이 범용성에 앞장서고 있는 ECP+의 활약이 기대된다. ECP+는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의 현지거래소들과 파트너 협약을 진행하고, 현재 아시아(중국, 필리핀, 일본 등) 국가에 글로벌 핀테크 서비스를 추진 중인 글로벌 암호 화폐이다. 빠른 결제 시스템을 통한 암호 화폐트레이딩, 송금서비스, 글로벌 페이먼트 등 실생활에서 간편하고, 또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암호 화폐 기술과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ECP+ Platform은 TEO CONSULTING GROUP.INC에서 기술 개발되고 론칭했으며, CY2CODE의 기술지원 및 자문을 받고 있는 탄탄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상용 화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