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1:1 원화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일본 상장사 자회사 업사이드 거래소 상장 원화 구매 가능한 KRWb 상장 통해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증진 핀테크 스타트업 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가 원화 증거금을 기반으로 하여 원화 대비 1:1 가치를 유지하는 스테이블코인(Stable-Coin·가치안정화폐) KRWb를 일본 상장사 미탭스의 국내 자회사인 업사이드(UPXIDE) 거래소에 오늘 7일 상장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장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해외 거래소는 대부분 달러와 1:1비율의 가치를 지닌 암호화폐인 ‘USDT’로 거래가 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USDT 스테이블코인을 구입할 경로가 마땅치 않고,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다양한 암호화폐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거래소에서 거래하는 데 불편을 겪어왔다. 그러나, 본 상장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은 업사이드 거래소에서 원화로 직접 구매가 가능한 KRWb를 활용해 영국의 BeQuant 거래소 등을 비롯한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손쉬운 거래가 가능하게 된다. KRWb는 지난 1월 30일 BeQuant 거래소에 상장을 완료했다. 김환 비엑스비 공동대표는 “국내의 경우 대형 거래소인 업비트에서 USDT 거래는 가능하나, 원화를 이용해서 직접 구매가 불가능하고 입출금 또한 지원되지 않는다. 국내의 일부 중소형 거래소에서는 원화를 이용하여 USDT를 구매할 수 있으나, 거래량이 워낙 적어서 유의미한 거래가 불가능하다”며 “KRWb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내국인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영국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인 BeQuant의 대표이사 조지 자르야(George Zarya)는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 시장이 성숙하고 일반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는데 아주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현재 테더(USDT)가 앞도적인 발행량 및 거래량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KRWb처럼 각국의 규제에 준하면서 투명하게 운영되는 신규 스테이블코인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라고 했다.비엑스비 주식회사(BxB Inc.) 소개비엑스비(BxB Inc.)는 블록체인 핀테크 법인으로서 2018년 5월에 설립된 스타트업입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유명 투자사 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의 포트폴리오 기업인 O2O 플랫폼 ‘숨고’를 창업한 강지호, 김환 대표 파트너를 비롯하여 블록바이블록캐피탈(Block by Block Capital)의 JJ Peterson, Alex Friedberg를 포함한 4명의 창립 파트너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비엑스비는 가치 안정성과 신뢰도가 검증이 되는 스테이블코인에 주목하여 최초의 원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KRWb를 발행하였으며 국내 암호화폐거래소인 코블릭에 최초 상장시켰습니다. 비엑스비는 암호화폐 투자자들에게 KRWb를 안전자산으로 공급하며 다양한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 소개KRWb(Korean Won on the Blockchain)는 법정통화인 원화 증거금 기반으로 발행된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되었으며, 모든 KRWb 코인은 비엑스비(BxB Inc.)의 KRWb 신규 발행 및 회수 정책에 따라 원화와 1:1 로 연동됨으로써 가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장 가격을 유지를 목표로 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ERC20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암호화 화폐 거래소 혹은 개별 이더리움 지갑을 통해 보관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실제 법정 통화를 보유하지 않고도 자산을 안전하게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안정적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
휴먼스케이프, 한양대학교병원과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휴먼스케이프, 한양대학교병원과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휴먼스케이프 솔루션 통해 수집되는 희귀, 난치질환 중증환자 데이터 활용해, 신약과 치료제 개발 및 공동연구 수행..휴먼스케이프(대표 장민후)는 한양대학교병원과 ‘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서울아산병원과 카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에 이은 세번째 공동연구개발 계약으로 휴먼스케이프는 국내 주요 대형 병원들과 공동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휴먼스케이프 솔루션을 통해 수집되는 희귀, 난치질환 중증환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약과 치료제 개발 및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한양대학교병원의 임직원 자문 및 연구에 필요한 인프라 등을 상호 협력 하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한양대학교병원은 1972년 동양 최대 규모로 개원한 이래 중증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진료와 난치성 질환 치료를 선도해왔다. 국내 최초로 개원한 류마티스병원은 난치병으로 여겨진 류마티스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진료로 ‘류마티스질환의 4차 병원’이라는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루게릭병, 루푸스 등 오랜 기간 쌓아온 난치성 질환 진료와 류마티스병원, 루게릭병클리닉 등의 경험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주관 ‘극희귀질환 진단기관’으로 선정되어 44개 극희귀질환의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으며,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 특화된 세포치료센터의 루게릭병클리닉에서는 세계 최초로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등 난치성 질환 극복에 앞장서고 있다.휴먼스케이프는 희귀, 난치질환 환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신약, 치료법 개발을 위해 환자의 건강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제약사, 연구기관, 개인 연구자들이 환자들에게 직접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치료법을 찾지 못한 전세계 3억 5천만명의 환자들은 자신의 데이터로 신약 임상 참여와 같은 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휴먼스케이프 관계자는 “휴먼스케이프는 의료시장에서 무한한 비지니스 기회가 잠재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 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고 더 크게 성장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블록크래프터스, 인사 개편 단행… 송훈 공동대표 선임..엑셀러레이팅 전문성 강화 및 금융서비스 신사업 계획 밝혀
블록크래프터스, 인사 개편 단행… 송훈 공동대표 선임..엑셀러레이팅 전문성 강화 및 금융서비스 신사업 계획 밝혀 - 블록크래프터스, 지난해 5월 창립한 블록체인 전문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비즈니스 모델링, 투자 유치, 상장, 커뮤니티 관리 등 블록체인 비즈니스 全과정 컨설팅- 현재 메인넷, 금융, 게임, 모빌리티, SNS 등 전세계 30여 개 프로젝트 엑셀러레이팅- 블록체인 프로젝트별 맞춤 솔루션 제공… 업계 최고 수준 맨파워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갖춰 블록체인 전문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블록크래프터스(공동대표 송훈, 박수용, blockcrafters.com)는 신임 공동대표로 송훈 전 블록크래프터스 최고운영책임자(COO, Chief Operating Officer)를 선임했다고 7일 밝혔다. 블록크래프터스는 이번 인사를 통해 블록체인 프로젝트 엑셀러레이팅 부문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한편, 기존의 성공적인 B2B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전문 종합 금융서비스 등 신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금융·핀테크 전문가인 기존 박수용 공동대표와 IT·기술투자 전문가인 송훈 공동대표가 협력해 시너지를 내는 동시에, 신사업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확장한다는 설명이다. 신임 송훈 공동대표는 블록크래프터스 창립 멤버로 엑셀러레이팅을 포함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업무를 총괄했다. 캘리포니아주립대 경제학과를 조기 졸업하고 사물인터넷(IoT) 기술기업 ‘퍼플즈’를 설립해 지난 2014년 성공적으로 매각했다. 이후 다수의 IT 기업에 엔젤 투자를 진행해 왔다. 박수용 대표 역시 경기과학고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졸업 후, 2000년대 초반부터 벤처캐피털(VC) 업계에 몸담으며 피플펀드, 야나두 등의 초기 투자를 진행했다. 지난 2015년에는 데일리금융그룹을 공동 창업하여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 인수 등을 진두지휘하기도 했다.블록크래프터스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든든한 전략 파트너, 전문가 집단’을 표방하며 지난해 5월 탄생한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터다. 비즈니스 모델, 인력 구성, 기술 역량, 파트너십, 평판 및 법률 등 총 5개 항목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를 통과한 프로젝트 만을 엄선해 엑셀러레이팅을 진행한다. 비즈니스 모델 정립부터 투자금 조달, 거래소 상장 등에 이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모든 사업 과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블록크래프터스 엑셀러레이팅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블록크래프터스는 설립 직후부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모인 500개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를 진행, 현재 메인넷, 금융, 게임, 모빌리티, SNS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발한 30여 개 프로젝트에 엑셀러레이팅 및 투자 연계를 진행 중이다. 일부 프로젝트는 블록크래프터스의 컨설팅 아래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본격적인 도전을 앞두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신흥국 소상공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 토코인(Tokoin)이다. 토코인은 인도네시아 최대의 온라인 B2B 거래 플랫폼인 라랄리(Ralali)사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지난해 80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하는 것에 성공했다. 올해 4분기에는 라랄리가 보유한 30만 소상공인 가입 사업자를 대상으로 태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 전역에서 정식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블록크래프터스가 ‘크립토 겨울(Cypto Winter)’ 속에서도 창립 이후 단기간에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부터 엑셀러레이팅 계약을 수주한 원동력으로는 우선, 업계 최고, 최대 수준의 ‘맨파워’를 갖췄다는 점이 꼽힌다.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별 맞춤형 솔루션을 구상한 뒤, 단계별로 기술, 투자, 산업, 법무, 마케팅, 홍보 등 각 영역의 전문인력을 투입해 기회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 및 수익 실현을 이끌어내는 것이 블록크래프터스 엑셀러레이팅의 철칙. 블록크래프터스가 ‘블록체인 업계의 족집게 멘토’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이유다.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공을 가늠하는 필수요소인 크립토펀드, 암호화폐 거래소, 미디어 등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탄탄히 구축했다는 점도 블록크래프터스의 주요 역량으로 손꼽힌다. 블록크래프터스는 각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투자금 조달, 서비스 론칭 및 운영을 위해 자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적극 제공하고 있다. 현재 블록크래프터스와 전략적으로 제휴 중인 크립토펀드, 암호화폐 거래소, 미디어 등은 총 32개에 이른다. 블록크래프터스 송훈 공동대표는 “업계 최고의 맨파워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컨설팅을 제공한 덕분에 엑셀러레이팅 사업 부문의 많은 고객사들로부터 만족스러운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며, “엑셀러레이터를 넘어 블록체인 전문 종합 금융 서비스 기업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회사의 토대인 엑셀러레이팅 사업을 더욱 탄탄히 하는 것은 물론, B2C 금융서비스 등의 신사업 또한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IOST, 올림푸스 메인넷 정식 출시
▲ 바이낸스 CEO "일요일 거래 급증으로 시스템 과부하"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방금전 트위터를 통해 "지난 일요일 거래량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거래가 일시적으로 거래가 지연됐다"며 "일시적으로 BTC 4000 달러선이 무너지는 시점, 거래 시스템 과부하 정도가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해 "향후 거래가 집중되는 상황에 대비해 시스템 개선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IOST, 올림푸스 메인넷 정식 출시IOST 커뮤니티가 중국 SNS를 통해 2월 25일 13시(한국 시간 기준) IOST 메인넷 Olympus v 1.0이 정식 출시됐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예정시간보다 6개월 빠른 속도다. 커뮤니티 측은 메인넷 출시 후 1달 내로 게임, 컨텐츠 등을 아우르는 다양한 댑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스테이블 코인, 탈 중앙화 거래소, 블록 익스플로러 등 생태계 구성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원문보기▲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7... '탐욕'→'중립' 투심 위축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69 포인트)보다 22 포인트 내린 47을 기록했다. 이는 전날보다 투자심리가 위축됐음을 의미하며, 전날 '탐욕 단계'에서 현재 '중립 단계'로 한 단계 내려왔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 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EduHash Global's Newsletter
EduHash Global's Newsletter에듀해시 글로벌 (EduHash Global)은 지난 2월 28일 DXC 테크놀로지, 법무법인 율촌과 함께 안동 김재규공무원기숙학원 (KPA)에서 스마트시티(캠퍼스) 밋업을 개최했습니다. 이 날 밋업에는 경북도청, 안동시청 등의 공공기관과 IBM, 노키아(Nokia), 효성 인포메이션 시스템, 코오롱 베니트, 히타치(Hitachi Vantara) 등의 글로벌 대기업, 그리고 언론사들을 포함해 60여명 이상의 귀빈들이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스마트캠퍼스 KPA의 구체적인 계획과 로드맵, 글로벌 IoT 대기업들과의 향후 협력을 논할 수 있었던 귀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스마트시티(캠퍼스) KPA Meet-up 보도기사 에듀해시 글로벌, 올 6월 안동에 '스마트시티' 첫 테스트베드 만든다.지난 2월 28일 에듀해시 글로벌은 안동 김재규공무원기숙학원에서 DXC테크놀로지, 법무법인 율촌과 함께 스마트시티(캠퍼스) KPA 밋업을 개최해 스마트캠퍼스 구축에 대한 계획을 설명했다.(더보기) 올 6월 안동에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시티' 조성된다.전중훤 에듀해시 글로벌 부회장은 “올해 6월부터 KPA 안동 캠퍼스에서 세계 최초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첫 상용화가 실현된다”며 “스마트캠퍼스 KPA를 시작으로 스마트 체육관, 스마트 농장, 스마트 공장, 스마트 병원 등 비슷한 성공 사례를 구축해 나가며 스마트시티를 성공적으로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더보기) 스마트 캠퍼스 KPA 프로젝트 보도기사 김재규교육그룹, 정부 '스마트시티 대표기업' 선정경북 안동에 위치한 김재규공무원학원을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캠퍼스 플랫폼으로 구축 중인 김재규교육그룹(유비티아)이 정부가 추진하는 ‘스마트시티 융합얼라이언스’의 대표기업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더보기) 에듀해시-법무법인 율촌, 스마트시티 상용화 박차에듀해시(EduHash)는 지난달 23일 서울 파르나스타워에서 김재규교육그룹, 법무법인(유)율촌과 ‘4차산업 기술이 접목된 스마티스트 캠퍼스(Smartest Campus) 구축과 규제 샌드박스 진행에 대한 협약식’을 진행했다.(더보기) 에듀해시 글로벌, 올 6월 안동에 '스마트시티' 첫 테스트베드 만든다.지난 2월 28일 에듀해시 글로벌은 안동 김재규공무원기숙학원에서 DXC테크놀로지, 법무법인 율촌과 함께 스마트시티(캠퍼스) KPA 밋업을 개최해 스마트캠퍼스 구축에 대한 계획을 설명했다.(더보기)
-
니오앱스,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출시
니오앱스,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출시-니오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 줄 ‘니오플레이’ 선보여..-니오플레이(NEEO Play)는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3월 11일 상장 확정..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를 7일 출시했다고 밝혔다.니오앱스가 야심 차게 선보이는 니오플레이(NEEO Play)는 니오코인 사용자 인프라를 늘리기 위한 게임으로, 7개의 재미있는 게임(Game)과 7개의 스텝(Step)으로 구성되어 최종 7Step까지 완료하면, 최대 825,000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게임을 하기 위하여는 코드(Code)를 유료(10$)로 구입하여야 하고, 각 게임 당 1 NEEO코인이 필요하며, 7개의 게임을 하기 위하여 총 10$ + 7NEEO코인이 소요된다. 게임당 10~15초 정도 소요되며 누구나 쉽게 이길 수 있도록 난이도를 설정했다.1게임을 클리어하면 1개의 코드(Code)와 7개의 니오(NEEO)코인을 제공하고, 7개의 게임을 클리어하면 총 7개의 코드(Code)와 49개의 니오(NEEO)코인을 획득할 수 있다. 7Step도 쉬운 난이도로 설정하여 누구나 쉽게 이길 수 있게 했다. 정해진 기간(15일 또는 30일, 변동 가능)동안 게임 참여 기간을 설정하여 정해진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 종료되고, 획득한 코드(Code)는 적용 마켓에서 판매하거나 양도가 가능하다.니오앱스 조형래 대표는 “니오플레이(NEEO Play)는 러시아 노보시베리스크에 있는 니오(NEEO) 블록체인 개발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며 “현재 엄청난 사전 신청이 몰리고 있다”고 밝혔다.또한 조 대표는 “니오플레이(NEEO PLAY)가 확산되면 니오토큰의 실수요가 전세계적으로 발생함은 물론, 니오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니오(NEEO)의 플랫폼이 소개되어, 니오(NEEO)의 가치와 인지도가 지속적으로 상승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니오앱스가 발행한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고, 오는 3월 11일에 상장될 예정이다.니오앱스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 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NEEO ROBOT’,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NEEO By you,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NEEO RADIO’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
O&O 융합 플랫폼 기업 ㈜엘토브,쇼핑몰 B2C플랫폼 ‘에어플랫폼’ 인프라 확장에어플랫폼(AIR Platform), 인프라 확대/확충 통해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으로써의 경쟁력 키워쇼핑몰 키오스크로 유저데이터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분석으로 마케팅, R&D 활용데이터 주도형 플랫폼 에어플랫폼 3.0 서비스 개발 진행 중 O&O(Online & Offline) 융합 플랫폼 선도 기업 ㈜엘토브(elTOV, 대표 김지성)가 오프라인 쇼핑몰 데이터 플랫폼 ‘에어플랫폼(AIR Platform)들의 사용처를 확장시킨다고 6일 밝혔다. 에어플랫폼은 원격으로 IoT디바이스와 컨텐츠의 관리가 가능한 B2C플랫폼이다. 기존의 어렵고 번거로운 디바이스, 컨텐츠 관리에서 벗어나 에어플랫폼을 통해 공급자들은 다양한 컨텐츠와 디바이스를 ‘에어(AIR)’ 하나로 쉽게 관리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를 이용해 누적된 데이터들을 에어플랫폼으로 통계 자료화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CRM(고객관계관리)의 형태로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의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 지원, 평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쇼핑몰 키오스크를 통해 유저 데이터를 확보하고, 고객들의 행동패턴, 소비패턴 등을 분석해 마케팅 또는 R&D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또한 엘토브는 기존의 에어플랫폼으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장 성장에 맞춰 관리 중심의 플랫폼에서 데이터 주도형 플랫폼으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이렇게 향상된 에어플랫폼 3.0은 키오스크를 활용한 오프라인 상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모바일과 연동하여 온라인상의 데이터까지 모두 하나로 취합한 빅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서비스를 업데이트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더욱 세밀하고 정확해진 사용자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기존보다 더 효율적인 타깃 마케팅을 할 수 있게 됐다. 해당 플랫폼은 현재 한국의 롯데, 신세계, 현대, 싱가포르의 캐피탈랜드그룹, 중국 백련그룹, 홉슨그룹 산하의 쇼핑몰에 구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엘토브는 해당 플랫폼의 사용처를 보다 확장시켜 쇼핑몰 O&O 서비스 영역을 강화할 방침이다. ㈜엘토브 김지성 대표는 “에어플랫폼(AIR Platform)은 키오스크, DID, 미디어월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동일한 UI/UX를 사용할 수 있으며 컨텐츠를 일괄적으로 배포할 수 있고, 윈도우와 안드로이드 OS를 모두 지원하는 진보된 솔루션이다.”라고 설명하며, “에어플랫폼을 확장시킴으로써 오프라인 커머스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플랫폼으로 자리잡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엘토브 에어플랫폼을 기반으로 홍콩/일본에 진출하였고, 향후 동남아시아 시장을 목표로 기술개발과 인프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쇼핑몰블록체인 타우스블록(TauschBloc)의 핵심파트너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타우스블록은 국내 상장을 올해 상반기에 앞두고 있다.
-
글로벌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사전가입 이벤트’ 실시
글로벌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사전가입 이벤트’ 실시- 글로벌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14일부터 사전가입 대상자 선착순으로 총 60만 ICX 에어드랍 예정- 회원가입 이메일 인증, OTP 설정, KYC 인증 모두 완료한 가입자 한해 추가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싱가포르 기반의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VELIC)’이 내달 첫번째 서비스인 거래소 정식 오픈을 앞두고 14일부터 사전가입 및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벨릭 거래소 사전가입 이벤트는 벨릭 공식사이트에서 신청가능하며 총 64만개의 ICX(아이콘 자체 암호화폐)가 준비되어 있다. 거래소 가입 선착순으로 인증 단계에 따라 총 60만개의 ICX 에어드랍이 이뤄지며 모든 인증을 완료한 가입자 중 럭키드로우 추첨을 통해 ICX 4만개를 추가 에어드랍한다. 그 외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으며 이벤트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거래소 인증 단계는 단순 회원가입(이메일 인증), OTP 설정, KYC 인증 세 단계이며, 각 단계에 따라 지급되는 ICX의 수량이 상이하다. 인증 단계 세가지를 모두 완료하면 럭키드로우 추첨 인원 선정 자격이 부여되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벨릭 CSO 티모시 양은 “벨릭은 블록체인 플랫폼 생태계의 대표주자 중 하나인 아이콘 메인넷 기반의 디앱(dApp)으로 첫 서비스인 거래소 사전가입 이벤트 에어드랍을 ICX로 진행하게 됐다”며 “최근 아이콘과 맺은 파트너십 체결 후의 실질적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금번 이벤트 이후에도 아이콘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니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벨릭은 ‘VELIC’에서 명시된 것과 같이 Vault(금고), Exchange(거래소), Loan(대출), Investment(투자) Crypto Assets(크립토 자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계정으로 벨릭의 통합 플랫폼에서 이뤄진다. 거래소 서비스를 시작으로 대출과 자산운용 인덱스를 살 수 있는 Pack등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3월 오픈 예정인 벨릭 거래소는 사용자 중심의 토큰 이코노미를 구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암호화폐 거래소와 차별화된다. 자체 금융 토큰인 벨트(VELT)는 이용자들에게 PoT(Proof of Trading; 채굴)에 따라 일 단위로 토큰을 분배한다. 또한 벨릭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벨트 토큰 사용처를 제공하며 토큰의 가치를 높일 예정이다.
-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
메타디움, 블록체인 위치 기반 데이터 기술 업체인 XYO와 파트너십 체결이번 파트너십으로 신원인증과 위치정보를 결합한 탈중앙화 P2P 공유경제 달성 가속화 예감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생태계를 구축하는 메타디움(Metadium)이 크립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위치기반 정보 서비스 및 기술을 제공하는 XY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이번 파트너쉽을 통해 양사는 XYO의 위치기반 정보 SDK를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모델이 뒷받침된 메타디움 플랫폼에 융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경제 패러다임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메타디움과 협업하게 되어서 기쁩니다. 메타디움의 ID기반 탈중앙화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원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런 점에서, 저희 XYO의 위치기반 데이터 검증 기술과 메타디움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개인정보 관리 기술을 통합하게 되면 전체 네트워크와 정보(위치, 신원, 그 외 관련 정보)에 대한 보안성이 향상되고 개인 정보가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것이므로 이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상당한 이점이 될 것입니다.”라고 아리 트로우 XYO 대표가 말했다. 메타디움 퍼블릭 블락체인은 ID 기반의 사회적 공유지를 제공하고 탈중앙화된 쉐어하우스, 차량공유 서비스와 같은 진정한 공유경제의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성에서 XYO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루어질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기술과 XYO 위치기반 솔루션의 결합이 P2P 거래 간 추가적인 투명성과 안전성 그리고 효율성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메타디움이 추구하는 ID 기반의 진정한 공유경제 모델은 메타디움의 신원확인을 통해 거래 주체의 신뢰성 확보를 기본으로,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궁극적으로 중개자(중앙화된 서버)가 배제된 P2P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메타디움 토큰은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거래 비용 지불(에스크로), 수수료, 보상체계 등에 사용될 것으로 본다. “신원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메타디움은 개인정보에 대한 권한은 전적으로 사용자 본인에게 있어야한다는 자기주권형 ID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XYO와의 파트너쉽으로 위치정보를 검증하는 핵심 요소와 메타디움의 신원인증 모델을 통합하여 개인에 관련된 데이터를 중앙화된 기관이 아닌 정보 소유권자가 자유롭게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메타디움은 진정한 공유경제 패러다임 시프트(paradigm shift)의 선봉에 있을 것이며 성공적인 블록체인 유즈 케이스를 선보일 것입니다.” 라고 박훈 메타디움 대표가 말했다. XYO XYO는 2012년부터 IoT 기술을 개발해 디지털 세상과 현실을 연결하고자 한다. 2018년, 크립토그래피를 활용하여 세계 최초로 위치기반 데이타 블록체인인 XYO 네트워크를 론칭했다. 전 세계에 무려 1백만 개가 넘는 위치 추적 비콘이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XYO의 기술은 GPS 네트워크 기술에 버금가는 위치에 있고 급속하게 전 세계 주요 산업계에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파트너사로는 에스리(Esri, 위치정보시스템 소프트웨어), 페덱스 연구소(FedEx Research Institute), 르/맥스 멕시코(Re/Max Mexico), 스페이스플라이트(Spaceflight Industries)와 같은 업체들이 있다. XYO의 자문위원들은 네셔널지오그래픽스와 세계경제포럼을 포함한 저명한 기관 출신들이다. https://xyo.network/ https://xy.company/Metadium Technology메타디움은 차세대 블록체인 프로토콜로 온라인, 오프라인에서 제 3자 기관이 아닌, 사용자 본인이 개인 신원정보에 대한 전적인 소유권을 가진다는 개념인 ‘자기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을 실생활에 도입하여 탈중앙화된 개인 신원 정보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자기주권 신원 모델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모든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며, 사용자의 동의 하에 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http://metadium.com
-
휴먼스넷, 천재원 부산 레벨-X대표, 엑센트리를 영국에 설립한 경험을 살려 휴먼스넷 자문으로 임명
휴먼스넷, 천재원 부산 레벨-X대표, 엑센트리를 영국에 설립한 경험을 살려 휴먼스넷 자문으로 임명 전 세계의 프리랜서 일자리를 한 곳에서 연결하려는 블록체인 기반의 차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플랫폼인 휴먼스넷(http://humans.net, 대표: 블라드 도브리닌)이 선진 기술 전문가인 천재원 레벨 X 대표를 한국 자문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휴먼스넷은 천재원 대표의 자문 임명으로 회사와 개인을 기술 및 역량 기반으로 매칭해주는 전혀 새로운 사회 관계망 플랫폼으로서 앞서 나가가고자 한다. 그의 폭넓은 전문성, 신기술 개발과 그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가져올 혜택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휴먼스넷에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새롭게 임명된 천재원 휴먼스넷 자문은 “휴먼스넷은 아시아에서 개발중인 혁신 기술에 최적화된 플랫폼이다. 이에 비해 오늘날의 구인구직 플랫폼은 다소 뒤쳐져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휴먼스넷은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세계 최대의 탈중앙화 된 P2P 네트워크다. DNA기반 인증 도입을 계획 중인 휴먼스넷은 미래 플랫폼의 랜드마크로서 자리 매김 할 것이다. 자문으로 활동하게 되어 무척 기쁘다”고 밝혔다.천재원 자문은 부산에 위치한 레벨-X의 최고경영자로 엑센트리(XnTree)를 영국에 설립한 바 있다. 그는 스마트 시티 설계,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이끄는 기술 스타트업의 육성에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천재원 자문은 중앙 정부와 자치 단체에 디지털 경제, 규제, 핀테크, 스마트시티 개발과 연구 개발애 대한 자문뿐 아니라 인사혁신처를 통해 정부 관계자의 글로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휴먼스넷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블라드 도브리닌(Vlad Dobrynin)은 “천재원 자문은 신기술, 블록체인, 스마트시티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신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구자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다”고 소개하며 “한국 정부가 천재원 대표의 전문지식을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것은 그의 지식, 이해와 통찰력이 얼마나 가치 있게 평가되는지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휴먼스넷은 소셜 네트워크로 현존하는 플랫폼들과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인다. 휴먼스넷에는 중개인이 없어 비싼 멤버십 비용과 높은 수수료가 없다. 다른 플랫폼은 검색 프로세스가 오래 걸리고 복잡한 결제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용을 꺼려하지만, 휴먼스넷은 인공지능을 통해 최적의 매칭을 제안한다. 플랫폼 사용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서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기 때문에 개인정보도 보호된다. 만약, 사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싶다면 본인이 광고에 노출되기로 선택하여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광고 서비스에 제공하면 된다.
-
베네수엘라 경제학자 "볼리바르 보유, '금융적 자살 행위'"
▲ 바이낸스 런치패드, 오늘 23시 FET 판매 개시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산하 블록체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바이낸스 런치패드가 25일 저녁 23시 신규 토큰 펫치.AI(FET) 판매를 개시한다. 해당 플랫폼 이용자는 BNB를 통해 FET를 구입할 수 있으며, 1FET = 0.008584 BNB(1BNB=10.1001 달러 기준) 비율로 개인당 최소 230 FET(1.97432 BNB, 약 20달러), 최대 34,602 FET(297.02357 BNB, 약 3,000 달러)까지 구매할 수 있다.▲ 퀀트스탬프, 일본 지사 설립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도쿄에 따르면, 미국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퀀트스탬프(Quantstamp)가 일본 시장으로 진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업체는 이미 일본 현지에 퀀트스탬프 재팬을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네수엘라 경제학자 "볼리바르 보유, '금융적 자살 행위'"23일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베네수엘라 유명 경제학자 카를로스 에르난데스(Carlos Hernández)가 최근 칼럼을 통해 "암호화폐는 볼리바르(베네수엘라 법정화폐)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을 효과적으로 헤징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라고 진단했다. 그는 "현재 모든 자금을 비트코인으로 보유하고 있다"며 "현재 볼리바르로 자금을 보유하는 것은 '금융적 자살 행위(financial suicide)''"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볼리바르는 하루 평균 3.5%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했다"며 "2018년 한해 동안 약 170만%의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 일본 거래소 오픈 예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 일본 거래소 오픈 예정글로벌 디지털자산(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에서는 글로벌 정책에 맞춰 일본지역에도 거래소를 오픈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BCEX 일본지역의 디지털자산 거래소 ‘OKUBIT’은 일본의 메이져 블록체인 미디어사인 ‘디지털 파이낸스(Digital Finance)’와의 협력을 통해 운영하게 된다. 디지털 파이낸스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을 함께 하고 있는 Japan Blue Castle에서 만든 미디어회사다.이로서 BCEX코리아는 움직임이 활발한 일본 디지털 자산 거래 시장을 통해 유동성을 확대하여 한층 경쟁력을 높이게 되었다. BCEX 코리아는 최근 침체된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신중을 기하고 거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당초 예상했던 오픈일보다 서비스 오픈을 연기한 상황이다. BCEX 글로벌은 암호화폐 시장을 선점해 미래 디지털 금융 산업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을 가진 일본의 흐름에 맞춰 비즈니스 전략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며 일본 거래소 오픈을 시작으로 하여 올해 내 홍콩, 대만까지 서비스를 아우르는 전략을 통해 BCEX글로벌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CEX 코리아는 BCEX 글로벌과 BCEX 코리아의 유동성을 커넥티드하여 트레이더 및 제도권 고객들에게 보탬이 될 수 있게 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하며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들과 함께 차별화된 거래 서비스 제공을 할 계획이라고 했다.
-
메디블록, 블록체인 부문에서 최고의 마케팅을 진행한 회사로 선정 및 수상
메디블록, 블록체인 부문에서 최고의 마케팅을 진행한 회사로 선정 및 수상 블록체인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마케팅 인사이트를 제공한 회사로 선정 마케팅 관련 국내 최대 행사인 ‘맥스서밋 2019’에서 블록체인 부문 선정 함께 수상한 업체로는 애플(Apple), 토스(TOSS), 스타일쉐어(StyleShare) 등이 수상 글로벌 헬스케어 블록체인 선도기업 메디블록(공동대표 고우균·이은솔)이 맥스서밋 어워드 2019 행사에서 블록체인 부문 수상 브랜드로 선정됐다. 지난 15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진행된 맥스서밋 어워드(MAX Summit AWARD) 행사에서 통합 의료정보 플랫폼 메디블록이 가장 영향력 있는 마케팅적 인사이트를 제공한 회사로 블록체인 부문 수상 브랜드로 선정됐다. 시상식에는 고우균 메디블록 대표가 참석했다. 맥스서밋 어워드는 17개 부분별로 후보 브랜드를 추천받아 1차 심사한 후 50여 명의 전문가들이 2차 심사를 진행하여 각 부문별 최종 1개의 브랜드를 선정한다. 글로벌 의료정보 플랫폼 메디블록은 다양한 콘텐츠 및 이벤트를 통해 입증한 독창성을 기반으로 단기간 내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 팬들을 확보하여 마케팅 효과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다. 특히 블록체인이라는 생소한 산업군에서 타 기업이 참고할 수 있는 마케팅 모범 사례를 창출하였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민보경 메디블록 마케팅 최고 책임자는 “업계 최고 전문가들이 평가하는 맥스서밋 어워드에서 선정된 것에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산업군인 블록체인 부문에서 모범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맥스서밋 어워드(MAX Summit AWARD)는 업계 최고 전문가와 함께 각 부문별 평가 과정을 거쳐 건강한 광고·마케팅 에코시스템 조성과 업계의 활성화 및 네트워크 조성을 위해 마케팅적 인사이트를 제공했던 브랜드, 플랫폼 등을 선정하고 시상하는 행사다. 작년에는 구글 애드워즈, 아이지에이웍스(IGAWorks), 애드픽(ADPICK), 스노우(SNOW) 등이 선정됐으며 올해는 애플(Apple)을 비롯해, 토스(TOSS), 스타일쉐어(StyleShare), 야놀자(yanolja) 등이 선정되었다.한편, 올해로 5회차를 맞은 맥스서밋 어워드는 애드테크를 중심으로 글로벌 마케팅, 퍼포먼스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을 아울러 대한민국 마케팅 생태계를 논의하는 장으로 60개 이상의 회사가 참가했다. 올해는 ‘마케팅과 애드테크 그리고 다른 변수들: Reborn to Marketing, Ad Tech, and Xs’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대한민국 모바일 마케팅과 애드테크 시장의 동향과 사례를 공유하고,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
-
코인제스트, 자산가치혜택 정책 확정… '코인뱅크' 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 따라 혜택 지급
코인제스트, 자산가치혜택 정책 확정… '코인뱅크' 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 따라 혜택 지급- 국내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 내 ‘자산 예치 혜택’ 적용하여 금융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진화 준비미래금융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대표 전종희)가 제반수익사업을 통해 얻은 수익을 코즈아이(COZi) 홀더들에게 혜택으로 지급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금융서비스를 결합한 ‘코인뱅크’ 서비스를 도입하는 내용의 자산가치혜택 정책을 공개했다. 첫번째 정책은 코인제스트가 거래소와 고객 수익 모두를 위해 코즈아이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발행량을 제한하고 기대 가치 이하로 하락할 경우 자체적으로 토큰을 매입하는 등 토큰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내용이다. 다른 하나는 ‘코인뱅크’ 서비스로 고객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에 따라 기본자산혜택과 프리미엄 특별혜택 두 가지를 주 단위로 지급하는 내용이다. 기본자산혜택 지급 대상자는 코즈아이 100개 이상 보유 고객이고, 프리미엄 특별혜택 지급 대상자는 코즈아이 5,000개 이상 보유 고객이다. 혜택은 환금성이 높은 BTC나 ETH 등의 암호화폐로 분할 지급해 거래소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코인뱅크’는 거래소 고객들이 원화 및 코인 자산을 거래소 내에 보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전통적 금융시장에서와 같이 자산가치에 대한 혜택을 지급받는 서비스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 최초로 금융서비스를 접목한 혁신적 시도이다. 코인제스트는 이밖에도 마스터노드 사업 및 유망 코인에 투자를 통해 거래소 내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지난 해 글로벌 밋업 때 코인제스트의 미래와 코인뱅크 금융서비스 계획을 처음 소개했고 그 이후 서비스 출범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며 “코인뱅크를 시작으로 향후 더욱 많은 금융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금융기관과의 전략적 업무협약도 추진할 예정” 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국내 최초로 암호화폐 거래소에 ‘자산 예치’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적용하며 코인제스트는 단순 암호화폐 거래소 그 이상의 로드맵을 그려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산가치혜택은 지난달 진행한 코즈아이 에어드랍 이벤트에서 발생한 4.2억원 상당의 거래소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2월에 처음 시행된다. 코즈아이 기본자산혜택과 프리미엄 특별혜택은 8:2의 비율로 각 3.36억원, 8.4천만원으로 산정되어 코즈아이 홀더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예정이다. 한편, 코즈아이는 지난달 31일 코인제스트에서 공개한 프로젝트로 자산가치혜택 및 결제 유틸리티 기능을 가진 토큰이다. 코인제스트는 국내 유명 방송인과 프로듀서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웹콘텐츠 방송-네티즌 연결 플랫폼인 ‘웹플릭스’와의 토큰스왑을 통해 유망 프로젝트에 대한 코즈아이 토큰 투자를 진행했다. 또한 오프라인 카페인 디센트레에서 실물 결제 수단으로 ‘코즈아이’를 사용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식음료, 영화, 쇼핑 등 코즈아이를 활용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처를 꾸준히 늘려갈 방침이다.Press Release
-
직토, 보험중개사 '인스보험중개'와 MOU 체결
직토, 보험중개사 '인스보험중개'와 MOU 체결- 이머징 리스크(신흥 위기) 보험상품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자문역에 이인철 인스보험중개 대표 위촉, 해외 보험사와 협력 통해 이머징 리스크 보장상품 개발 예정 인슈어테크 기업 직토(대표 김경태∙서한석)는 인스보험중개(INS Corp., 대표 이인철)와 ‘이머징 리스크 보험상품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월 31일 밝혔다. 인스보험중개(구. 대우인스)는 1999년에 설립된 국내 보험중개회사로 보험가입자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보험상품과 보험사를 연결하는 한편, 리스크 관리 컨설팅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스보험중개는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쌓아온 글로벌 보험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직토는 해외 보험사 및 재보험사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이머징 리스크 보장 보험상품을 새롭게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인스보험중개는 오는 2월 중 출시를 앞두고 있는 직토의 디지털 보험 플랫폼의 개발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이머징 리스크 보험이란 기후 리스크, 사이버 보안 리스크, 금융 불안정성 등 전통 보험시장에서는 손해율 등으로 인해 고려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형의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궂은 날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업 손실을 보장해주는 '날씨 보험' 등이다. 양사는 각자가 보유한 전문성과 기술력을 공유하고, 국내 보험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 이머징 리스크 보험 시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직토는 이인철 인스보험중개 대표를 직토의 자문으로 영입했다. 이인철 대표는 DB손해보험, 마쉬코리아(Marsh Korea), 에이온(AON)을 거쳐 윌리스타워스왓슨코리아(Willis Towers Watson Korea) 대표를 역임하는 등 28여 년 간 손해보험과 보험중개업에 종사해온 보험 전문가다. 이 대표는 손해보험 시장에 대한 이해와 식견을 바탕으로 직토가 블록체인 기반 이머징 리스크 특화 기업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 정기적인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경태 직토 공동대표는 “최근 기존에 없던 새로운 리스크를 보장하는 기업 보험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내 보험사는 관련 데이터가 많지 않은 상태"라며 "인스보험중개의폭넓은인프라와손해보험관련전문성에직토의빅데이터관련기술력을더해다양한리스크를보장하는보험상품을선보일계획”이라고말했다. 한편직토는올 1월초보험상품판매를위해손해보험협회에보험대리점등록을마치고현재기후리스크보장보험으로 ‘골프장기후영업손실보험’ 상품을프리마케팅하고있다.
-
브라질 법원, 브라질은행에 현지 거래소 '아틀라스' 계좌동결 권한 일임
▲ 日 소프트뱅크, 블록체인 모바일 결제 시스템 필드테스트 완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이 주축 기업으로 참여하고 있는 통신사업자 블록체인 연구 그룹(Carrier Blockchain Study Group, CBSG) 컨소시엄이 최근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필드 테스트를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과 대만 파이스트원(Far EasTone)은 해당 시스템의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 바 있다. 해당 시스템으로 양사 고객들은 서로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지갑을 사용해 현지 가맹 상점에서 모바일 결제가 가능하는 게 소프트뱅크 측의 설명이다.▲ 브라질 법원, 브라질은행에 현지 거래소 '아틀라스' 계좌동결 권한 일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뉴스닷컴에 따르면, 브라질 현지 법원이 브라질 2대 은행 방코 도 브라질(브라질은행, Banco do Brasil)에 현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아틀라스 퀀텀(Atlas Quantum)의 계좌 동결 관련 권한을 일임했다. 또한 해당 안건을 전담한 구스타보 쿠베 데 까르발류(Gustavo Coube de Carvalho) 판사는 아틀라스 측에 5천 리알(약 1333.88 달러 규모)의 행정관리 비용을 청구했다. 한편, 아틀라스 측은 이 같은 법원의 판결에 항소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바이낸스, 탈중앙화 거래소 공개
바이낸스, 탈중앙화 거래소 공개세계최대 암호화폐거래소 바이낸스가 탈중앙화 거래소DEX를 공개했다.21일 바이낸스는 보도자료를 내고 하루전인 20일 자사의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 덱스Binance DEX의 테스트 네트워크(이하 테스트넷)를 공개했다. 바이낸스는 테스트넷을 통해 바이낸스 덱스의 운영상황을 점검하고, 사용자들의 의견을 취합한 후 정식 버전인 메인 네트워크를 출시할 계획이다. 메인 네트워크는 현재 발행된 바이낸스 코인BNB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구축될 전망이다. 덱스는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centralized Exchange의 준말이다. 단순히 암호화폐 트레이딩만을 제공했던 기존 거래소와는 달리, 블록체인의 이상인 탈중앙화를 완벽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평을 듣는다. 별도의 운영주체가 없이 사용자들이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블록체인에 기반해 외부해킹이나 개인정보 유출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이다. 쉽게말해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가 본사의 판매정책과 정찰가격을 엄격하게 준수하는 ‘대리점’이라면, 덱스는 다양한 유저들이 각자의 필요에 맞추어 물건을 사고파는 ‘11번가’나 ‘옥션’같은 오픈마켓에 가깝다.그동안 덱스를 구현하려는 많은 시도들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출시된 제품들은 대부분 유저들의 인기를 끄는 데에 실패했다. 거래속도가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에 비해 느리고, 사용이 불편해 많은 사용자가 모이지 않은 탓이다. 사용자 상호간 자율적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덱스의 특성상 사용자가 모이지 않으면 거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바이낸스 덱스는 테스트넷 출시전부터 암호화폐 관계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바이낸스가 이미 세계 190국에 걸쳐 수백만의 사용자를 보유한 만큼, 사용자를 손쉽게 끌어모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가 높다. 또한 초당 140만건을 처리할 수 있을만큼 신속한 기존 바이낸스의 거래처리속도를 덱스 위에서도 구현해 지금까지 출시된된 다른 덱스들과 차별화될 전망이다. 비트코인이 단일 거래 처리에 10분, 이더리움이 20초 정도가 걸리는데 비해 바이낸스 덱스는 1초 단위의 거래처리를 목표로 삼고 있다.바이낸스의 CEO인 장펑자오는 “개인에게 자산관리의 자율성과 책임을 보유하는 것이 진정한 블록체인의 이상”이라면서 “무엇보다 철저한 보안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크다”고 말했다.
-
알파콘 메인넷1.0 런칭...블록체인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도약
알파콘 메인넷1.0 런칭...블록체인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도약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알파콘 네트워크 파운데이션(대표 함시원, alphacon.io)이 알파콘 메인넷1.0을 런칭하였다고 1월 31일 밝혔다. 알파콘은 자체 메인넷(MainNet) 개발을 통해 헬스케어 산업을 선두하는 플랫폼으로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알파콘 메인넷1.0은 약 3개월 간의 테스트넷 운영을 거쳐 깃허브(https://github.com/AlphaconNetwork)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었다.알파콘 메인넷1.0은 PoS v3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PoW(Proof of Work) 방식의 단점들을 보완하였다. 비트코인의 채굴(minng,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기록, 블록을 생성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얻는 행위) 방식은 과도한 컴퓨팅 파워 경쟁 속에 막대한 비용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PoS는 암호화폐를 보유(Staking)하는 것으로도 보상이 지급되기 때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전기를 낭비하지 않으며 실질적인 코인 생태계 참여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알파콘 메인넷1.0은 PoS v3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PoS방식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알파콘 개발 컨소시엄 멤버인 (주)모릭랩스 김충현 대표는 “PoS v3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으로 안정성, 효율성, 분산화를 통해 알파콘을 세계 최고의 헬스케어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아갈 것”이라 강조하였다. 알파콘은 자체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알파콘(ALP)이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알파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상반기내에 런칭 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10여개 병원에서 알파콘으로 결제가 가능하며, 올해까지 알파콘 사용 가능 협력 병원 수를 전국 300여개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피트니스센터, 안경점, 보험 등 국내외 헬스케어 산업 전반으로 사용처를 확대할 예정이며, 한국 시장에서 알파콘 사용처 확대뿐 아니라 중국 시장에 알파콘 사용 확대를 위한 사업을 이미 진행 중에 있다.알파콘 네트워크 파운데이션 함시원 대표는 “알파콘 메인넷1.0을 통해 다양한 헬스케어 관련 비즈니스 업체들과 함께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알파콘은 이를 통해 글로벌 대표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이라고 밝혔다. 한편, 알파콘(ALP)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https://bitsonic.co.kr)과 넥시빗(https://nexybit.com), 체인비(http://www.chainb.io), 아이닥스(https://www.idax.pro)에 토큰으로 상장되어 있으며, 로드맵에 따라 거래소를 통해 기존 알파콘 보유자들의 토큰을 메인넷 코인으로 변환해 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