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디펀드 창업자 "2019년, '겨울'이자 '기회'"
▲ 中 디펀드 창업자 "2019년, '겨울'이자 '기회'"중국 유명 크립토 VC 디펀드(DFUND)의 창업자가 최근 SNS를 통해 "2019년은 암호화폐 업계가 견뎌야할 '겨울'이자 '기회'"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올해 힘든 '겨울'을 나며 버티지 못한 프로젝트들은 도태되겠지만, 창업자의 입장에서 훌륭한 기업은 이럴 때 태어난다. 또한 경쟁자의 수가 가장 적은 올해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우수한 기업의 가치를 가장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시기로써 기회로 다가올 수 있다"고 부연했다. 또 그는 이날 "최근 BTC에 관심을 갖는 투자자들의 수는 강세장 때와 비교해 눈에 띄게 줄었다. 이에 따른 가격 하락은 당연하며, 나와 같이 BTC의 미래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BTC 보유량을 늘릴 수 있는 적기"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2019년이 겨울이라면 2020년은 봄, 2021년은 여름이다. 시장의 흐름을 전망하는 데 있어 과도한 낙관은 금물이지만, 지나치게 비관적인 것도 좋지 않다"고 강조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베트남 블록체인·AI 구직 플랫폼, 30만 인재 유치
▲ 베트남 블록체인·AI 구직 플랫폼, 30만 인재 유치베트남 현지 미디어 VN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베트남 스타트업 겟돈(Getdone)이 블록체인과 AI 분야에 초점을 맞춘 구인구직 플랫폼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업체는 총 30만명의 관련 인재를 모집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베트남에서는 작년에만 블록체인 관련 일자리가 2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원투씨엠, SK핸드볼코리아 리그에 ‘에코스 스마트 스탬프’ 공급
원투씨엠, SK핸드볼코리아 리그에 ‘에코스 스마트 스탬프’ 공급-스마트폰에 찍는 도장 ‘에코스 스탬프’를 활용한 스포츠 현장 프로모션 진행..-스포츠 경기의 재미에 디지털화된 사은행사 접목시켜 좋은 반응 얻어..스마트 스탬프 원천기술 개발기업인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은 대한핸드볼협회에서 주관하는 2018-2019 SK핸드볼코리아 리그에서 진행중인 경기 관람객 대상의 사은행사 이벤트인 ‘스마트 출석체크’ 행사에 자사의 스마트 스탬프인 ‘에코스 스탬프’를 공급하여 경기장을 방문한 국내 핸드볼 팬들은 물론 각계각층의 스포츠 관계자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이끌어 냈다고 밝혔다.스포츠경기 사은 행사에 자사의 스마트 스탬프를 처음으로 공급한 원투씨엠은 이번 사례를 시작으로 핸드볼 이외에도 축구, 야구, 농구 등 추가적인 다른 종목의 현장행사에도 참여할 예정이다.올해로 8년째를 맞는 SK핸드볼코리아 리그는 남자부 6팀, 여자부 8팀으로 나뉘어 약 6개월간 진행되는 국내 최대의 핸드볼 축제이다. 핸드볼 리그 활성화를 위해 진행되는 이번 사은행사는 경기장을 방문한 관람객이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핸드볼코리아 앱 내부의 ‘스마트 출석체크’ 화면을 경기장 현장운영 요원에게 제시하고, 관람 1일당 스탬프 1개를 제공받는 방법으로 2018-2019시즌이 종료되는 4월까지 운영된다.원투씨엠의 ‘에코스 스탬프’를 통해 디지털 스탬프를 자신의 스마트폰에 제공받은 핸드볼 관람객에게는 다양한 사은품 및 유명 스포츠 브랜드의 상품권 경품에 당첨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SK핸드볼코리아 리그의 담당자는 “국내 핸드볼 팬의 저변확대와 종목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그 도입 이유를 설명했다.이벤트에 공급된 스마트 스탬프는 ‘에코스 스마트 스탬프’로 특허 220여개로 보호받고 있다. ‘에코스 스마트 스탬프’의 작동 원리는 스마트폰 ‘패턴 잠금’ 방식과 비슷하다.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이 ‘에코스 스탬프’에 담긴 특정한 정전기 패턴을 터치 패널로 인식해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이후 클라우드로 구축한 시스템에서 결제·인증 등의 절차를 처리한다.‘에코스 스탬프’는 판매시점 정보관리시스템(POS)이 없는 매장이나 전원의 공급이 불가능한 야외 행사장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과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모든 인증 절차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블릿PC와 같은 별도의 전자 기기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시스템 구축도 간편할 뿐만 아니라 근접 무선통신(NFC)이나 블루투스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어떤 스마트폰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원투씨엠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해외 사업을 전개, 전세계 22개국에 해당 기술을 제공하여 사업을 진행한 결과, 다양한 이벤트 프로모션, 상점 대상 로열티 마케팅, 모바일 쿠폰과 모바일 결제 등에 대해서도 그 적용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원투씨엠의 박근영 이사는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1일 약 400만건 이상의 데이터를 다양한 광고 및 핀테크 응용 분야로 확대하는 사업을 준비중”이라며 “이러한 사업을 해외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인벡스(INBEX) 암호화폐 거래소 오픈 기념 ‘암호화폐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공모전’ 진행
인벡스(INBEX) 암호화폐 거래소 오픈 기념 ‘암호화폐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공모전’ 진행‘블록체인의 가능성 높이는 암호화폐의 순기능’ 주제로 캠페인 영상 공모전 진행암호화폐 거래소 ‘인벡스(INBEX)’가 2월로 예정된 정식 오픈을 앞두고 암호화폐에 대한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공모전을 진행한다고 밝혔다.14일 인벡스는 "‘암호화폐 인식개선 캠페인 영상 공모전’은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의 생존과 성장에 자양분을 공급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위해 실시한다"고 밝혔다.인벡스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은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개인 또는 4인 이내의 팀으로 참여할 수 있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인벡스 공식 블로그에서 다운받은 공모전 신청서와 3분 이내의 스토리가 담긴 영상 기획안을 PPT형태로 제출하면 된다"고 밝혔다.한편, 2월 11일부터 3월 8일까지 접수를 받아 최종 선정 작품은 4월 12일에 결정되며 소정의 상금과 함께 ㈜체인쿼터스가 운영하는 인벡스 공식 YouTube 채널에 게시된다.
-
GDAC, 전 세계 거래소 최초 ERC-1155 아이템 채택해 투자자 혜택 제공
GDAC, 전 세계 거래소 최초 ERC-1155 아이템 채택해 투자자 혜택 제공새로운 이더리움 ERC-1155 표준 아이템, 지닥(GDAC) 거래소에서 세계 첫 활용- 블록체인 게임 플랫폼 및 암호화폐 엔진코인(ENJ), 14일 GDAC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 상장 기념해 18일부터 혁신적인 ERC-1155 기반 아이템 배포 시작- 획득한 ERC1155 아이템으로 21일부터 지닥 거래소 마이닝 이벤트에서 활용, 추가 혜택-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매트’, ERC-1155 토큰으로 거래소 이용자 보상 수단 활용키로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 최초로 혁신적인 이더리움 ERC-1155 표준 기반의 아이템을 활용해 거래소 이용자에게 혜택으로 제공하는 이벤트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최초로 진행된다.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이 지닥(www.gdac.com, GDAC)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을 기념해 이더리움 ERC-1155 표준 기반 아이템을18일부터 22일 까지 5일 동안 양사 소셜커뮤니티 채널을 통해 배포한다고 18일 밝혔다. 배포한 ERC-1155 기반 아이템을 21일부터 3월 1일까지 이어지는 지닥 거래소의 마케팅 플랫폼 ‘지닥토큰 마이닝' 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지닥 티켓'이라는 한정판 아이템을 추가로 지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혜택도 동시에 제공한다. 지닥 티켓을 획득하는 유저들은 향후 지닥 거래소에서 진행되는 여러 이벤트에서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이번 GDAC 거래소에서 진행하는 마이닝 이벤트는 ERC-1155 표준 적용 아이템을 활용한 세계 첫 이벤트이기도 하다. ERC-1155는 엔진코인(ENJ)을 내놓은 글로벌 IT기업인 엔진사(www.enjin.com, CEO 막심 블라고프)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비텍 라돔스키(Witek Radomski)가 제안한 새로운 이더리움 토큰 아이템 표준안이다. 기존 ERC-20과 ERC-721 표준 각각의 특성을 하나의 스마트 컨트랙트로 묶어서 트랜잭션 속도와 비용을 대폭 낮춰 블록체인 게임 업계를 중심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 전 세계 약 30개의 블록체인 게임 및 서비스들이 ERC-1155 표준안을 활용해 개발되고 있다. 엔진사와 GDAC거래소는 이번 GDAC 상장을 기념해 다양한 수량의 엔진코인(ENJ)을 내장한 총 5000개의 곡괭이와 드릴 모양의ERC-1155 기반 아이템 및 얼음상자 아이템들을 배포할 예정이다. 블록체인 아이템 배포에 사용되는 QR코드 에어드롭 서비스 '엔진 빔(Enjin Beam)'은 엔진사가 지난 해 11월 내놓은 QR코드 에어드롭 서비스이다. 배포 방식은 엔진 빔으로 만들어진 QR코드를 GDAC 거래소 사이트와 엔진코인의 공식 카카오방에 올려 놓아 누구라도 편리하게 엔진사의 암호화폐 지갑인 엔진 스마트 월렛으로 QR코드를 스캔해 아이템들을 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18일부터 GDAC거래소는 매일 오후 4시에 QR코드를 갱신해 한정된 수량의 아이템을 배포해 하루에 한번씩 5일 동안 매일 한 차례씩 ERC-1155 아이템을 배포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사용자들은 엔진 지갑을 이용해 엔진빔으로 생성된 QR코드를 스캔해 아이템을 획득한 후, 그 아이템들을 거래소로 전송해야 아이템 효과를 활성화 해서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엔진사의 CEO 막심 블라고프는 "한국의 GDAC 거래소를 통해 보다 많은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ERC-1155 기반 아이템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며, "GDAC 거래소 상장 기념으로 진행되는 ERC-1155 아이템 활용 이벤트는 블록체인 아이템이 소장용으로 그치지 않고, 소장용 아이템을 사용해 보상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첫 응용 사례”라고 말했다. 또한 “이번 GDAC 거래소에서 진행하는 투자자 혜택 이벤트를 계기로 혁신적인 이더리움 ERC-1155 토큰 표준이 더욱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고 말했다. GDAC의 CEO 오재민은 "엔진사와 함께 차별적인 거래소 상장과 이벤트를 투자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향후에도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엔진사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 라고 말했다. 한편, 또 다른 암호화폐 거래소인 크립토매트(kriptomat.io)는 ERC-1155 토큰을 거래소 이용자들을 위한 보상 수단으로 채택하기로 했다고 지난 11일 밝히기도 했다.
-
BTC 채굴 난이도, 4.76% 상승 전망
▲ BTC 채굴 난이도, 4.76% 상승 전망비트코인 블록 익스플로러 비티씨닷컴(BTC.com)에 따르면, 현재 BTC의 해시율이 45.23 EH/s를 기록, 약 13일 뒤 난이도는 약 4.76% 오른 6.35T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BTC 미체결 거래는 2,280건, 24시간 트랜잭션 속도는 3.58txs/s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체인파트너스, 디지털자산 OTC(장외거래) 서비스 정식 출시
체인파트너스, 디지털자산 OTC(장외거래) 서비스 정식 출시골드만삭스가 투자한 서클 등 글로벌 7대 대형 OTC 업체와 네트워크 구축(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5개월여 간의 시범운영 기간을 마치고 2월 11일 디지털자산 OTC(Over-The-Counter, 장외거래) 서비스를 정식 출시한다고 밝혔다. 14일 체인파트너스에 따르면 국내외 법인이나 기관투자자, 고액자산가 등 전문투자자는 체인파트너스를 통해 최소 5천만원 이상의 디지털자산(암호화폐)을 대량으로 구매하거나 처분할 수 있다. 체인파트너스가 지급 보증을 서는 디지털자산 보관대행 서비스도 제공한다.체인파트너스 관계자는 "가입을 위해서는 은행 계좌 개설보다 많은 10여종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본인확인과 자금 세탁 방지를 위해 철저히 기록을 남긴다. 결제는 대한민국 원화(KRW)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이오스(EOS) 등 디지털자산, 그리고 미 달러(USD), 홍콩 달러(HKD) 등 다양한 법정화폐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체인파트너스는 디지털자산 산업이 해외의 경우 개인보다 기관투자자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2017년 회사 설립과 동시에 디지털자산 장외거래 서비스를 준비해왔다고 전했다.이어 체인파트너스는 "참고 사례가 없는 서비스라 법률검토와 거래 절차 마련, 서류 준비, 유동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OTC 업체들과의 제휴를 거쳐 작년 8월부터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지난 1월까지 5개월간의 시범운영 기간 동안 체인파트너스 OTC는 국내에서만 160억 원의 거래를 성사시키며 착실히 노하우를 쌓았다"고 덧붙였다.또한 합법적인 디지털자산 취급을 위해 국내기업으로는 최초로 지난해 11월 유럽연합(EU) 가입국 몰타 정부로부터 최상위 디지털 자산 취급 라이센스인 ‘클래스4’를 취득했다. 몰타 의회는 작년 8월 세계 최초로 가상금융자산법(VFA, Virtual Financial Act)을 통과시켜 관련 사업을 합법화한 바 있다.
-
서울시, 市 블록체인 거버넌스단에 퍼블릭 블록체인 ‘아이콘’ 활용한 위촉장 발급...개인 휴대전화에서 발급·조회 가능
서울시, 市 블록체인 거버넌스단에 퍼블릭 블록체인 ‘아이콘’ 활용한 위촉장 발급...개인 휴대전화에서 발급·조회 가능- 블록체인에 발급이력이 저장돼 위촉장 위변조·허위 발급 불가[사진 설명: 아이콘루프가 개발한 ‘서울 블록체인 거버넌스단 모바일 위촉장’]서울시가 ‘서울 블록체인 거버넌스단’을 대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아이콘(ICON)’을 활용한 위촉장을 발급했다고 8일 밝혔다. 국내 블록체인 개발회사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가 개발한 ‘서울 블록체인 거버넌스단 모바일 위촉장'은 거버넌스 단원 개인 휴대전화에서 발급 및 조회가 가능하다. 거버넌스 단원은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개인정보 제3자 제공 동의 절차를 거쳐 성명, 단원 고유번호, 활동기간이 담긴 위촉장을 직접 발급받을 수 있다. 위촉장 발급이력은 아이콘 퍼블릭 블록체인상에 기록되어 위변조 및 허위발급이 불가능하며, 아이콘 트래커(ICON Tracker)에서 블록체인 고유번호 조회로 진위 확인이 가능하다. 아이콘 트래커는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위해 아이콘 네트워크상의 모든 거래 기록을 제공하는 브라우징 시스템이다.서울시는 지난 10월에 발표한 '블록체인 도시 서울 추진계획'에 따라 올해부터 다양한 분야의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선보인다는 목표로, 시민과 함께하는 '서울 블록체인 거버넌스'를 운영하고 있다.대학생, 개발자, 기업인 등 시민 100명으로 구성된 서울 블록체인 거버넌스단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2년간 블록체인 기반 행정서비스 시험운영에 참여하고, 서비스 사용의견 및 개선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마일리지 통합 관리, 서울시민카드 서비스 확대, 서류 없는 온라인 자격검증, 시간제 노동자 권익보호, 하도급 대금 자동지급 등 서울시 행정서비스 개발과정에도 참여한다.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취지를 살린 이번 위촉장 발급을 시작으로, 시 주도하의 퍼블릭 블록체인 활용 사례가 더욱 많아지길 기대한다”며 “아이콘루프는 투명하고 효율적인 블록체인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발역량 강화에 집중하며 시와 적극 협력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한편 아이콘루프는 서울시 블록체인 시범사업과 블록체인 기반 단위업무 정보전략계획(ISP) 수립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엔진인 ‘루프체인(loopchain)’을 서울시 블록체인 표준 플랫폼, 엠보팅 시민투표(M-voting) 및 장안평 중고차 매매 신뢰구축에 적용하고, 동시에 서울시 시민카드 통합 인증, 마일리지 통합, 하도급 대금 지급에 대한 블록체인 사전 검증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ISP 수립 사업을 위한 단독사업자로서 블록체인 기반 단위업무의 업무현황 및 정보화 현황을 분석하고 단계별 이행계획을 수립 중이다.
-
블록체인 업체,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박차
블록체인 업체, 실생활에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 박차-블록체인 기술이 올해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로 선정.. 블록체인 업체들 기술 개발 매진..-글로스퍼의 ‘하이콘’, 알투브이의 ‘이그드라시’, 엑스블록시스템즈의 ‘애스톤’ 대표적..블록체인 기술이 올해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 행정안전부는 각종 민원서류를 전자증명서로 대체하는 플랫폼(전자문서지갑)을 연내 구축하면서 문서 위·변조 방지와 진본 여부 확인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이와 함께 국내 블록체인 업체들이 실제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하이콘, 최초 구현 스펙터 기술공개∙프라이빗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본격 가동..자체 블록체인 메인넷을 성공적으로 가동하고 있는 글로스퍼∙하이콘(대표 김태원)은 최근 하이콘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에 추가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소개하고, 세계 최초 스펙터 알고리즘 기술 구현에 성공한 내용을 공개했다.하이콘 프라이빗 블록체인 ‘하이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에 추가되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은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며 블록체인 상용화 서비스 시장을 정조준 하게 된다.하이콘 관계자는 “to, from, amount, fee, nonce의 데이터 항목으로 이뤄진 기존의 스마트 컨트랙트 구조에서, 하이콘 스마트 컨트랙트는 가변 길이의 데이터를 적재할 수 있는 ‘데이터(data)’ 항목도 추가했다”며 “이미 검증된 이더리움의 EVM 모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의 스마트 컨트랙트 소스를 변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밝혔다.또한, 스펙터 기술 구현 공개 영상에서는 VisibleSpectre 프로젝트에서의 난점들과 해결 과정 및 네트워크에서 신규 블록이 생성되는 구조를 소개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기존 암호화폐가 사용하고 있는 싱글체인이 아닌, DAG(Directed Acyclic Graph: 방향성이 있는 비순환그래프)를 사용하는 스펙터-하이콘 컨센서스 프로토콜은 싱글체인의 제약을 벗어나기 위해 DAG구조를 필요로 한다.이 DAG구조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것이 ‘스펙터 프로토콜’이다. DAG구조는 하나의 부모블록 상에서만 생성되어야 한다는 구조적 제약에서 벗어나 블록 생성을 상대적으로 빠르게 할 수 있다.김태원 글로스퍼 하이콘 대표는 "하이콘은 프라이빗 블록체인 플랫폼 출시 뿐만 아니라, 동시에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탑재했다"며 “세계 최초 스펙터 기술 구현을 성공시켰고, 현재는 결과를 완성시키는 단계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이그드라시, 멀티체인을 구현하여 확장성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알투브이(대표 서동욱)의 한국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이그드라시(YGGDRASH)는 멀티체인을 구현하는 테스트넷을 공개하고, 개발자 커뮤니티로부터 이더리움의 잠재적 문제점으로 지적된 확장성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이그드라시 테스트넷의 가장 큰 특징은 업계 최초로 멀티체인을 테스트넷에서 구현했으며, 기술적으로 블록체인의 속도와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한발짝 다가갔다는 점이다. 나아가 다른 프로젝트들이 간과하고 있는 최종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및 경험을 최적화해 최종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만드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했다.이그드라시는 최근 블록과 최신 트랜잭션, 전체 블록, 각 블록의 뷰, 트랜잭션의 뷰, 멀티체인 구현 방향, 스템 체인 등록 브랜치 조회, 브랜치의 스펙 조회 등을 탐색기를 통해 검색할 수 있다.이그드라시 서동욱 대표는 “다른 블록체인 플랫폼들의 문제를 해결해 실제 비즈니스에 접목 가능한 디앱을 만들 수 있는 플랫폼을 목표로 한다”며 “국내 다수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행하고 있는 외부 소스 비공개 방식은 블록체인 사상과는 맞지 않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오픈소스인 이그드라시는 이번 테스트넷을 포함한 최신 소스를 항상 깃허브에 업로드해 전세계 개발자들이 검증 가능하도록 해 개발 코드로서의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고 전했다.특히, 이그드라시는 개발 현황을 기준으로 순위를 매기는 랭킹 사이트 “코인코드캡(Coincodecap)”에서 한국발 프로젝트 중 유일하게 100위권 안에 진입하여 한국 개발 중심 프로젝트로서의 면모를 확실히 하고 잇다. 최근 한국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중 유일하게 전체 기간 기준 83위를 차지하였고, 1년 기준으로 61위, 6개월 기준으로 35위에 위치하는 등 매우 높은 개발 수준을 보여주었다.◇애스톤,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 개발..애스톤(ASTON) 프로젝트 기술회사인 엑스블록시스템즈(대표 김승기)는 최근 자체 기술력을 통해 개발중인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의 소스코드(Source Code)를 업데이트하고 테스트넷을 공개했다.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으로 엑스블록체인의 주요 특징으로는 각각의 서비스 전용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이 가능하다. 이는 서비스별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와 유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만의 데이터로 구성된 완전한 블록체인 구성이 가능하다.또한, 각각의 블록체인기반 서비스는 블록체인상의 독자적인 노드 운영이 가능하다. 즉, 프라이빗네트워크(Private Network: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독자적인 노드들로 구성)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오픈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누구나 노드참여가 가능하게 구성)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아울러, 블록체인 서비스 용도에 맞게 필요한 서브체인(Subchain) 생성이 가능하다. 이로 통해 전자문서와 데이터에 대한 보다 효율적으로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개발을 총괄한 권용석 CTO는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를 최소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며 “앞으로 충분한 테스트 과정과 화이트해커 등의 도움을 받아 시스템의 완전성을 위한 검증절차를 통해 메인넷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코인댄스, 비트코인 거래 허용 국가 '111개'
▲ 코인댄스, 비트코인 거래 허용 국가 '111개'블록체인 데이터 전문 업체 코인댄스(Coindance)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트코인 거래가 사실상 허용되고 있는 국가가 총 111개로 나타났다. 비트코인-법정화폐 거래 20개 주요 국가 중 비트코인 거래가 법적으로 금지된 곳은 단 3 곳이다. 각각 인도네시아, 베트남, 나이지리아다. 또한 9개 국가에서 비트코인이 거래가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인도가 대표적이다.▲ OKEx, NANO 입출금 서비스 일시 중단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나노(NANO, 시가총액 42위) 월렛 업그레이드에 따라 오늘 17시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업그레이드 완료 후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NANO는 현재 0.65% 내린 0.81728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도서출판 블록체인, ‘블록체인 토큰화 및 STO 컨퍼런스’ 개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다소 누그러지고 진정한 가치 구현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토큰화(Tokenization)’를 주제로 한 ‘블록체인 토큰화 및 STO 컨퍼런스’가 도서출판 블록체인 주최로 18일 서울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된다. 특정 자산의 가치를 ‘토큰(Token)’이라는 단위로 변화시키는 토큰화는 블록체인 혁신을 이끄는 시발점으로 단순한 기술 이상의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블록체인 토큰화 및 STO 컨퍼런스’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가치 교환 네트워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토큰화를 집중 조망한다. IBM 보안사업팀과 딜로이트 컨설팅 디렉터를 거쳐 블록체인 핀테크 전문기업인 링카코리아에 최근 합류한 김상환 최고기술책임자는 ‘토큰화를 위한 기술적 측면에서의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EY 컨설팅에서 금융사업본부 아시아태평양 경영컨설팅을 총괄하는 김영석 파트너는 ‘토큰화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트렌드 및 사례’라는 주제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의 최신 트렌드와 함께 블록체인을 통한 비용 효율성 향상 및 가치망 확장 가속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토큰화를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창출 사례를 소개한다. 잠재적 투자자와 파트너에게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다가서려는 자금조달 기법인 STO(Security Token Offering)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자리로 꾸며진다. 더 나은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자금조달 방편이 STO(Security Token Offering) 의 가능성과 도전 과제를 전문가를 통해 조망한다.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인 헥슬란트의 한명욱 연구원은 ‘사례를 통해 보는 토큰화의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토큰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주요 사례와 함께 기술과 비즈니스 그리고 거래소 측면에서 바라보는 토큰화를 살펴본다. Hdac 테크놀로지의 블록체인 사업부장을 역임한 키다리펀딩의 정석현 대표는 ‘효유적인 자금조달을 위한 STO(Security Token Offering)’를 주제로 강연한다. 사례를 중심으로 다양한 자금 조달 방안을 살펴보고, STO를 통한 현실적인 자금조달 전략을 내놓는다. ‘블록체인 토큰화 및 STO 컨퍼런스’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서출판 블록체인 또는 온오프믹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행사 개요 -행사명: 블록체인 토큰화 및 STO 컨퍼런스 -일시 : 2019년 2월 18일(월) 14시~17시 40분 -장소 : 서울 강남 한국기술센터 국제회의실 -등록 : 온오프믹스 -주최 : 도서출판 블록체인/ 모바일먼데이도서출판 블록체인: http://theblockchain.kr/모바일먼데이: http://mobilemonday.co.kr/온오프믹스: http://onoffmix.com/event/166471웹사이트: http://telecomskorea.com
-
“체인파트너스, 인재경영 강화하고 사업부 권한 키운다"...임직원 모두 참여한 사업구조 재편 및 조직개편 마무리
“체인파트너스, 인재경영 강화하고 사업부 권한 키운다"...임직원 모두 참여한 사업구조 재편 및 조직개편 마무리 국내 최대 블록체인 컴퍼니 빌더 (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작년 11월부터 진행한 조직개편을 마무리하고 2월 8일부터 새로운 조직으로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이번 조직개편의 큰 골자는 디지털 자산 금융 사업과 제품 사용성 부문의 강화다. 이를 위해 체인파트너스는 기관금융사업팀을 신설하고 그 아래 리서치센터와 디지털 자산 장외(OTC, Over the counter)거래 파트, 자문 사업 파트를 둔다.SK증권과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 출신으로, 2017년 합류해 체인파트너스 리서치를 전통 금융권에서도 참고하는 리포트로 발전시켜 온 한대훈 리서치센터장이 이사로 승진해 기관금융사업팀장을 맡는다. 신임 리서치센터장은 BNP파리바 홍콩지점과 서울지점 애널리스트 출신 한중섭 센터장이 맡는다.디지털 자산 장외거래 파트는 NH투자증권에서 채권, 외환, 상품(Commodity) 트레이더로 활동했던 이혁재 파트장이 맡는다. 자문 사업 파트는 기존 체인파트너스에서 토큰 개발을 자문해 온 팀인 ‘토크노미아’를 재편한 사업 파트다. 기존에는 블록체인사업 아래 있었지만 새해부터 기관금융사업 산하로 옮긴다.또한 새해부터 ‘토크노미아' 브랜드 대신 ‘체인파트너스 어드바이저리(Chain Partners Advisory)’라는 브랜드를 쓰기로 했다. 개별 브랜드가 많아 해외에서 브랜드 인지가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을 수용한 것이다.체인파트너스 어드바이저리는 새해부터 ICO 자문 사업에서 손을 떼고 주로 해외 블록체인 업체들의 국내 진출을 돕는다. 뿐만 아니라 국내 블록체인 업체들의 해외 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청담러닝의 초기 멤버로 코스닥 상장까지 경험한 후, 실리콘밸리 엑셀러레이터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해 온 잭슨 라(Jackson Ra)가 자문 사업 파트장을 맡는다.이번 조직개편의 또 다른 축은 사용성 조직의 강화다. 체인파트너스는 CXD(Customer eXperience Design, 고객경험디자인) 센터를 신설하고 네이버와 라인, 캠프모바일을 거쳐 직전까지 스노우(SNOW)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지낸 윤민한 센터장과 주요 시니어 디자이너들을 영입했다.CXD센터는 금융서비스디자인팀, 블록체인서비스디자인팀, 커뮤니케이션디자인팀, 마케팅팀 등 4개 팀을 산하에 두고 새해부터 체인파트너스가 내는 제품의 기획과 디자인, 마케팅을 총괄하게 된다. 기획과 디자인, 마케팅을 한 조직 아래 둔 것에 대해 체인파트너스는 ‘고객에게 체인파트너스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대한 일관된 경험을 주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금융서비스디자인팀은 네이버를 거쳐 배달의민족을 개발하는 우아한형제들의 초기 아트 디렉터를 역임한 금재현 팀장이 맡는다. 블록체인서비스디자인팀은 네이버와 웍스모바일, 스노우를 두루 거친 최성규 팀장이, 커뮤니케이션디자인팀장은 네오위즈와 스노우 출신 서정식 팀장이 각각 담당한다.체인파트너스는 새해 블록체인 사업도 재편한다. 블록체인 운영 정책 컨설팅 및 파트너 비즈니스인 밸리데이터원(VALIDATOR1)에 힘을 싣고 국내외 블록체인들과 협업을 강화한다. 이해 상충 문제를 없애기 위해 자체 개발해 온 폴라리스 블록체인 개발을 종료한다. 폴라리스를 개발하던 멤버들은 앞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이 아닌 여러 블록체인에 공통적으로 쓰일 수 있는 핵심 모듈을 개발하는 신사업에 투입된다.블록체인 사업 수장에는 올해 만 27세의 김나은 팀장이 발탁됐다. 김 신임 팀장은 체인파트너스가 세운 이오스(EOS) 블록체인 전문 액셀러레이터인 ‘이오시스(EOSYS)’의 대외 협력 업무를 주도하며 글로벌 이오스 커뮤니티에서 높은 영향력을 쌓았다. 이를 통해 전세계 시가총액 4위 블록체인인 이오스(EOS)의 정책을 입안하는 글로벌 태스크 포스(Task Force) 멤버로 활동하는 등 한국인으로는 드물게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디지털 자산(암호화폐) 거래소 데이빗을 운영하는 자회사 (주)데이빗은 새해부터 이재철 체인파트너스 CTO(최고기술책임자, Chief Technology Officer)가 단독 대표를 맡는다. 작년 11월부터 표철민 대표와 이재철 CTO가 공동대표로 데이빗을 이끌어 왔지만 거래소의 독립성을 높이고 이해 상충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표철민 대표가 내려오고 이재철 CTO의 단독 대표 체제로 바꾼다. 이재철 대표의 체인파트너스 CTO직은 유지된다.여기에 글로벌 항공/호텔 데이터베이스 운영사인 익스피디아(Expedia) 출신 임현근 전략기획팀장과 AI 전문업체인 스캘터랩을 거쳐 데이빗 거래소 개발에 초기부터 참여해 온 손진규 개발팀장이 각각 데이빗의 CSO(최고전략책임자, Chief Strategy Officer)와 CTO로 내정됐다.C레벨에도 변화를 준다. 미국과 케냐를 거쳐 직전까지 인도 스타트업의 6천만달러 규모 투자 유치를 이끈뒤 체인파트너스에 합류한 리처드 김(Richard Kim) 부사장이 전사 사업 성장을 지원하는 CSO 겸 미국법인장으로 자리를 옮긴다.영국 변호사로 최근 몰타 디지털 자산 취급 라이선스 취득을 주도한 이우주 부사장은 전사 리스크 관리와 해외진출을 총괄하는 COO(최고운영책임자, Chief Operating Officer) 겸 세계경영팀장으로 선임됐다. CFO(최고재무책임자, Chief Financial Officer)에는 메리츠증권과 신한금융투자, KB증권을 거쳐 라움자산운용 CIO(최고투자책임자, Chief Investment Officer)를 역임한 김재영 이사가 선임됐다.전사 사업 전략 수립을 지원하고 해외진출을 담당하는 세계경영팀은 이번 개편으로 전략파트와 법무파트로 세분화됐다. 전략파트는 IBM 출신 박윤서 파트장이, 법무파트는 국민연금과 카카오뱅크 출신 유다미 변호사가 맡는다.체인파트너스는 암호화폐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에 따른 시장 수요 변화로 작년 11월부터 강도 높은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과 이에 따른 조직 개편을 진행해 왔다. 특히 지난 1월에는 모든 팀이 주 2회씩 대표와 만나 각자의 사업 방향을 스스로 재설정했다.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대표는 “개편을 시작하며 우리의 목표는 인위적인 구조조정 없이 새로운 길을 찾는 것이라는 점을 구성원들에게 분명히 했고, 서로가 서로를 도와 10명 이상의 멤버들이 이직 대신 다른 팀을 선택했다”며 “각자의 노하우가 다른 팀으로 전파되며 벌써부터 시너지를 내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체인파트너스는 7일 사업부별 새 목표를 전사 공유하고, 앞으로 들어올 신입사원도 자기가 일하는 팀 외에 전사 모든 사업부의 목표를 열람할 수 있게 했다. 사업부별 목표를 명확히 하고 앞으로 개별 사업부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표 대표는 “우리는 창업 초기부터 사내에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공유하여 임원과 인턴이 동일한 정보에 접근하는 수준에 이르러 있다"며 “이제는 모든 사업부의 한 해 사업 방향과 목표, 성과와 상황을 전체 구성원이 투명하게 알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조직 문화를 만들어 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
BCH, 아발란체 도입 전망...ETH보다 10배 빨라
▲ BNB, BTC 거래 가격 최고가 경신바이낸스코인(BNB)의 BTC 마켓 가격이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BNB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4.76% 상승한 0.00265285 BTC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BNB는 지난해 6월 18일 전고가인 0.00263523 BTC를 기록한 바 있다.▲ IOST 노드 투표 10억 돌파...20일만IOST 측에 따르면, 메인넷 노트 파트너 선거 시작 20일 만에 투표 수 10억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IOST는 올들어 다양한 투표 프로모션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매일 100만 IOST 규모의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다. 또한 이날 지미 정 IOST CEO는 커뮤니티에서 "IOST는 2019년 상반기 내로 시가총액 Top20 프로젝트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밝혔다.▲ BCH, 아발란체 도입 전망...ETH보다 10배 빨라암호화폐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BCH 개발자 및 커뮤니티에서 프리 컨센서스(Pre-consensus) 개념인 아발란체(Avalanche) 방안 도입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해당 방안은 풀 노드 클라이언트 중 하나인 BCHD에 대한 적용이 진행 중이다. 이와 관련해 가브리엘 카르도나 비트박스(Bitbox) 창업자는 트위터를 통해 "최종적으로 확인된 속도는 이더리움과 비교해 10배 정도 빠르다"며 "최소 거래 시간은 1.559723305초"라고 설명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ABC 진영 개발자들 역시 아발란체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이미 로드맵에 포함된 상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운동보상 블록체인 림포, 걷기 앱에 이어 코인 주는 스쿼트 앱 출시
운동보상 블록체인 림포, 걷기 앱에 이어 코인 주는 스쿼트 앱 출시파트너사인 홍콩 올리브엑스와 제휴해 림포 스쿼트 전세계 런칭리투아니아 운동보상 블록체인 앱 림포(Lympo.com)가, 걸으면 코인을 주는 림포 앱(Lympo app)에 이어 스쿼트를 하면 코인을 주는 림포 스쿼트(Lympo Squat) 앱을 출시했다고 밝혔다.타다스 마우루카스(Tadas Maurukas) 림포 CSO(전략총괄)은 “인공지능 기반 운동 앱의 차세대 대표주자로 주목받는 올리브엑스와 협력하게 되어 기쁘다. 이번 림포 스쿼트를 시작으로 더욱 다양한 운동 앱을 출시해 림포의 운동보상 생태계를 확장시켜나갈 예정이다. 열심히 운동해서 건강해지고 돈도 버는, 림포 운동보상/운동동기부여 시스템의 완성을 기대해달라.”고 소감을 밝혔다.키스 룸잔(Keith Rumjahn) 올리브엑스 CEO(대표)는 “스포츠 분야 최고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림포의 파트너가 되어 영광이다. 림포 스쿼트는 유저들에게 림포 토큰 보상으로 보다 즐겁게 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앱으로, 출시 직후부터 전세계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계속 새로운 운동 앱을 개발해, 유저들이 더욱 재미있게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돕겠다.”며 이번 파트너십의 성과를 소개했다.14일 림포는 "스쿼트는 허벅지 근육을 이용해 제자리에서 앉았다 일어나기를 반복하는 동작으로, 목에서부터 허리까지의 코어 근육을 골고루 사용하는 만능 전신운동이다"고 밝혔다. 이어 "림포 스쿼트 앱은 인공지능으로 △유저가 무릎-허리 높이에 휴대폰을 고정시키고 앱을 작동하면, △전면카메라가 유저의 몸을 스캔하고,△시작 사인이 나오면 유저가 움직이는 대로 화면 속 아바타가 따라 움직이며 스쿼트가 실행된다.△30초동안 15회의 스쿼트를 바른 동작으로 완료하면 미션이 성공되고, 3개의 림포 토큰이 지급된다.△30초 스쿼트 15회 미션은 하루 총 6번까지 달성할 수 있으며, 매일 미션을 달성할 경우 보너스도 지급된다"고 설명했다.한편, 림포 스쿼트 앱은 림포의 파트너사인 홍콩 기업 올리브엑스에서 제작했다. 올리브엑스는 인공지능 기반 운동 앱 전문 개발사로, 크립토키티 등 유명 게임을 유통하고 제작하는 글로벌 앱 개발사 애니모카 브랜드의 자회사이다. 림포 관계자는 "림포는 지난해 11월 NBA 팀 댈러스 매버릭스와 함께 미국과 한국에서 코인 주는 걷기 앱 림포(Lympo)를 런칭했고, 2월 현재 6만 명 이상의 회원을 확보하며 순항하고 있다. 이어서 세계 최초 코인결제 스포츠쇼핑몰 림포 샵(shop.Lympo.com)을 오픈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던 림포는, 이번 스쿼트 앱 출시로 활동 영역을 한층 넓히며, 전 세계 스포츠 분야 대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림포는 디지털 강국 에스토니아의 총리를 역임한 타비 로이바스(Taavi Rõivas) 의원이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고, 유럽의회에서 블록체인 정책을 다루는 안타나스 구오가(Antanas Guoga) 의원이 최대투자자인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림포의 여성 CEO 아다 요뉴셰(Ada Jonuse)는 구글과 파이낸셜타임즈가 뽑은 차세대 테크리더로 선정된 바 있다.림포 코인(LYM)은 후오비, 비트파이넥스, 게이트아이오 등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국내에서는 올비트와 코인제스트에서 거래되고 있다.
-
스테판케이드 트루USD 공동대표 “암호화폐는 목적이 아닌 수단”
[기고] 스테판케이드 트루USD 공동대표 “암호화폐는 목적이 아닌 수단”2018년이 스테이블코인에 갖는 의미 [스테판케이드 트루USD&트러스트토큰 공동 대표 기고문] 2018년은 ‘스테이블코인’ 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한 해였다.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며 그 배경과 법적 장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일어나기 시작했다. 스테이블코인의 중요성이 인정받기 시작하는 걸 봤고, 많은 사람들이 스테이블코인을 개발하는데 독자적인 접근 방식을 시도하기도 했다. 여러 프로젝트들이 생겨난 만큼 또 많은 프로젝트들이 관심을 받지 못하고 사라지기도 했다. 작년 3월 우리는 처음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나서 많은 기술적, 법적, 그리고 사업적 고민에 부딪혔다. 물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많은 걸 배울 수 있었다. 어떻게 스테이블코인을 합법적이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개발할 수 있을까. 비트코인이라는 암호화폐를 제치고 실제 거래 수단이 될 수 있을까.스테이블코인은 기반을 두고 있는 자산에 따라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암호화폐를 말한다. 가격이 안정적인 암호화폐 없이는 많은 블록체인 디앱(DApp)들의 실현이 어렵기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은 블록체인 기반 경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한 사업체가 블록체인을 사용하여 직원에게 급여를 준다고 치자. 대출을 받거나 주주에게 배당을 받아 블록체인에서 작동하는 안정 자산이 필요할 것이다. 월 급여가 1BTC라면, 매 월 19,000달러, 또는 3,000달러를 받을 수도 있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많은 업체들이 송금, 대출과 자본 서비스 민주화, 효율적인 해외 법인 결제 등 블록체인을 통한 미래를 약속했다. 이는 모두 블록체인 기반이면서 가격이 안정적인 화폐 없이는 불가능하다. 투명성과 신뢰에 대한 스테이블코인의 약속우리는 처음부터 우리 팀과 커뮤니티가 실제로 믿을 수 있고 사용하고 싶어지는 스테이블코인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개발했기 때문에, 투명성과 윤리에 대한 약속을 지키는 것이 중요했다. 중앙 거래소에서 거래량이나 시세를 조작한 불미스런 사건들로 인해 불신이 만연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정반대의 전략을 취하기로 했다. 자금을 모두 제 3자 글로벌 회계 법인에 위임하고, 매월 에스크로 계좌에 감사 보고서를 공개하기로 한 것이다. 미국에서 뉴욕주의 경우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견을 밝힌 바 있으나 그들과 입장이 다른 49개 주에도 전부 적용이 되진 않는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정책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전까지 모든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는 그들이 기반을 두고 있는 주에서 정책 수립을 추구하고 최대한 투명하게 운영해야 한다. 우리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주립 및 연방 차원에서 합법적인 스테이블코인을 만들고 있다.목적이 아닌 수단으로서의 암호화폐2018년 12월 암호화폐 리서치 기업인 다이아(Diar)에서 발행한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의 온체인 거래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급 또한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전망했다. 9월부터 3개월 만에 트루USD를 포함한 4개 주요 스테이블코인 온체인(on-chain, 거래 내역을 모두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는 방식) 거래가 50억 달러(약 5조 6천억 원)를 돌파하며 1,032% 급등했기 때문이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들은 경쟁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추가하고 있으며, 바이낸스는 ‘테더 마켓’을 ‘스테이블코인 마켓 (USDⓈ)’으로 명칭을 아예 변경하기도 했다. 2019년에는 블록체인 세계에 더 많은 변화들이 있을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더 많은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과 프로젝트들에 적용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일반인들이 스테이블코인을 실거래에서 사용하게 되고 기업들은 폭넓은 금융서비스 기회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보편화하는 데 힘쓸 것이다.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은 목적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다. 전 세계의 더 많은 사람들에 더 나은 경제적 기회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는 도구 말이다. I'm grateful to work with a growing team of exceptional people. See if you can join us: https://www.trusttoken.com/careersThe TrustToken platform enables tokenization, fractional ownership, and global liquidity for the world’s $256 trillion of real-world assets. We are funded by Andreessen Horowitz (a16z crypto), Founders Fund Angel, Jump Capital, Foundation Capital, Danhua Venture Capital (DHVC), Distributed Global, ZhenFund, Stanford-StartX, GGV Capital, Slow Ventures, Signia VC, and BlockTower Capital.TrustToken aims to leverage the global investor base that has emerged on digital currency trading platforms to bring liquidity premiums to assets such as real estate, gold, and intellectual property. TrustToken’s legal standard provide token holders with legally enforceable ownership over the underlying assets, and the TrustToken protocol enables the management of real-world assets through smart contracts. The first product built on the TrustToken platform is TrueUSD. TrueUSD is a USD-collateralized stable coin that uses the TrustToken legal and technical framework to provide token holders with regular audits and legal rights to redeem tokens for USD.
-
이더리움 채굴 보상, 사상 최저 수준 기록
▲ 토큰인사이트, 2019년 7大 산업전망...PoW 퇴출블록체인 리서치 전문 업체 토큰인사이트 "2019년 블록체인 산업 7대 전망"을 발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 블록체인 산업에 대한 규제 강도가 높아지면서 KYC, AML 유행2. 블록체인 업체의 구조조정, 줄도산 지속, 비즈니스 모델 구축 압력 직면3. 블록체인 개발 인력 부족 추세 지속, 블록체인 교육 산업 폭발적 성장4. 단순 블록체인 기술에서 타 분야와의 융합 기술로 트렌드 이동5. 특정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규모화 응용 실현. 게임, 해외 결제, 위조 추적 등 분야 유력6. 개인정보 보호가 블록체인 프로젝트 설계의 중점으로 부상. 다수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프라이빗 분야 강화7. 저(低) 해시파워 PoW 프로토콜의 시장 퇴출▲ 이더리움 채굴 보상, 사상 최저 수준 기록암호화폐 미디어 트러스트노드에 따르면,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점차적으로 빙하기(Ice age, 난이도 상향 조정기)에 진입함에 따라 채굴 난이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하루 평균 채굴되는 ETH 총량은 2만 개에서 1.3만 개로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17년 난이도 폭탄 당시보다도 2000개 적은 규모로, 사상 최저 수준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중소기업벤처부, 암호화폐 거래소 4곳 벤처기업에서 제외
중소기업벤처부, 암호화폐 거래소 4곳 벤처기업에서 제외중기부는 지난 12월 업비트(두나무), 고팍스(스트리미), 코인이즈(웨이브스트링), 리플포유 등 암호화폐 거래소를 운영하는 업체의 벤처기업 인증을 취소했다.뉴시스에 따르면 벤처기업으로 등록된 암호화폐 거래소는 업비트, 고팍스, 코인이즈, 리플포유, 빗썸(비티씨코리아), 코빗, CPDAX(코인플러그) 등 7개 업체다. 이 가운데 빗썸과 코빗은 이미 벤처기업 인증 기한이 지나 별도로 취소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다. CPDAX를 운영하는 코인플러그는 업종을 변경해 벤처기업 인증을 새로 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암호화 거래 매매 및 중개업'을 벤처기업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벤처특별법) 시행령 개정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한 이후 후속조치다. 개정안은 시행령에 규정된 ▲유흥주점업 ▲무도 유흥주점업 ▲기타 주점업 ▲기타 사행시설 관리 및 운영업 ▲무도장 운영업 등 벤처기업에 포함되지 않는 업종에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매매 및 중개업'을 추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글로벌암호화폐거래소 BCEX 코리아, BCEX 솔루션즈·티코노미 MOU 체결 발표
글로벌암호화폐거래소 BCEX 코리아, BCEX 솔루션즈·티코노미 MOU 체결 발표BCEX 솔루션즈-티코노미 ‘킬러코인발굴’위한 MOU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BCEX 코리아의 자회사인 BCEX 솔루션즈는 2019년 1월, 블록체인 분석 전문 미디어 티코노미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양사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상호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티코노미에서 검증된 유망한 코인과 실물 경제와 연동해 사용가능한 코인을 킬러코인으로 발굴하는데 상호 협력할 계획이다. BCEX 솔루션즈에서 추진하는 킬러코인 발굴 지원 사업은 유망 블록체인 스타트업 발굴, 기관 투자 및 VC 투자, BCEX 글로벌 거래소 상장, 중국 파트너 업무 협약 추진의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양사는 무엇보다 암호화폐 시장의 재활성화, 블록체인 기술의 성장은 물론 건강한 생태계로의 발전을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BCEX 코리아는 캐나다, 영국, 호주, 일본, 말레이시아, 두바이 등 세계 15개 지역에서 파트너를 갖고 있으며, 일 거래 금액 약 1900억원(코인마켓캡 2018년 8월 22일 기준)으로 세계 10위 수준의 대형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BCEX 글로벌의 한국 진출 마켓이다. 또한 BCEX 코리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엄격한 6중 안전 메커니즘(△거액 입출금 알람 및 심사 △비정상적 거래 감시 △Hot, Warm, Cold 지갑 △독립적인 네트워킹 △소프트, 하드웨어 방화벽 △다중 서명 메커니즘)을 설치하여 2월 베타서비스 오픈을 앞두고 있다. 티코노미는 참여형 미디어로 블록체인 생태계의 소식을 발빠르게 전달하고 ICO를 포함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분석하고 투자자들에게 믿을 만한 정보를 전달하는 전문 미디어 업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