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레드, 디지털 자산 통해 이자 수익 올리는 효과적인 방법 제시 크레드언, 업홀드 고객들을 대상으로 최대 10% 이자 수익 제공
크레드, 디지털 자산 통해 이자 수익 올리는 효과적인 방법 제시크레드언, 업홀드 고객들을 대상으로 최대 10% 이자 수익 제공출처: Cred2019-01-21 10:25 크레드(Cred)가 업홀드(Uphold) 플랫폼 기반 크레드언(CredEarn*)의 출시를 18일 발표했다. 크레드는 크레디트 퍼실리티(credit facility)가 3억달러를 상회하는 암호화폐 대차서비스 업계의 선도업체이다. 업홀드 고객들은 크레드언을 통해 암호화폐 및 법정화폐를 크레드에 빌려주고 연간 최대 10%의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댄 샤트(Dan Schatt) 크레드 공동창업자 겸 사장은 “디지털자산과 법정화폐를 통해 이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달러(USD)나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형태의 고정적 이자 수익을 통해 확보한 유동성은 약세장(bear market)을 전전하는 고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처음 위탁한 암호화폐의 양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강세장(bull market)에서도 유익하다”고 덧붙였다. 크레드언 고객들은 6개월간 화폐를 맡길 수 있고, 기한은 연장할 수 있다. 최소 예치금 조건은 없으며 이자는 업홀드를 통해 달러나 스테이블코인으로 3개월마다 지급된다. 원금은 처음 맡긴 암호화폐나 법정화폐로 돌려받는다. 크레드언은 당분간 미국 밖 해외 업홀드 고객들만 사용 가능하다. 미국에서도 크레드언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매진하고 있다. 제이피 시리엇(JP Thieriot) 업홀드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는 “업홀드는 블록체인, 디지털화, 탈중앙화를 통해 개인금융산업에 일대 변혁을 가져올 생태계를 구축하려고 매진하고 있다”며 “업홀드 커뮤니티는 XRP, BTC, ETH 등의 디지털 자산을 끝까지 팔지 않고 보유하면 수익을 올릴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누누이 강조했다”고 말했다. 크레드는 500스타트업스(500 startups), 애링턴 XRP 캐피탈(Arrington XRP Capital), 블록타워(Blocktower), FBG 캐피털(FBG Capital), 바이낸스랩(Binance Labs) 등 유명 블록체인 투자사들의 지원을 받고 있다. 또한 크레드는 유니버설 프로토콜 얼라이언스(Universal Protocol Alliance)의 창립 멤버이다. 블록체인 애드버커시 콜리션(Blockchain Advocacy Coalition) 이사회의 일원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PwC와 제휴를 체결했다. 크레드언은 예금이 아닌 대출 약정(arrangement)이다. 크레드가 실제로 빌린 금액에 따라 이자가 붙으며, 금액과 차용 일수를 기준으로 이자율이 산정된다. 개인이든 펀드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크레드언 프로그램은 크레드 LLC(CRED LLC)가 단독으로 제공하며, 미국인이 아닌 사람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추가 조건이 적용된다. 크레드언 대출은 1933년 제정되고 이후 개정된 미국 증권법(U.S. Securities Act)에 등록되지 않았으며, 미국 부재 등록 또는 해당 등록 면제를 통해 미국이나 미국인에게 제공하거나 판매할 수 없다. 크레드(Cred) 개요 크레드(Cred)는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든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개방형 액세스를 지원하는 분산형 글로벌 대출 플랫폼이다. 페이팔(PayPal) 출신의 금융기술 전문가들이 설립한 크레드는 3억달러 이상의 글로벌 대출 자본을 확보했다. 크레드의 사명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누구나 저비용 신용상품의 혜택을 받게 하는 것이다. 크레드는 기업 리더, 머신러닝, 블록체인 기술 등 다양한 팀으로 구성된다. 자세한 정보는 mycred.io 참조, 트위터(Twitter), 링크드인(LinkedIn) 팔로우, 텔레그램(Telegram) 커뮤니티 가입을 통해 가능하다.
-
보이저, 캐나다 토론토 벤처거래소 우회상장 예정
▲ 백트 거래소 사칭 사기 등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트(Coindesk)가 "코인데스크팀이 'Bakkt news!'라는 제목으로 인터컨티넨탈익스체인지(ICE)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백트(Bakkt)가 3월 12일 출시될 것이라는 메일을 받았다"고 보도했다. 해당 미디어는 "메일은 백트 거래소가 5,000만 달러 규모의 2nd 라운드 투자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메일 수신자들은 투자 수익을 받기 위해 'bakktplatform.io'에 접속해 이름, 이메일, BTC 주소를 입력하라는 내용을 포함한다"며 "현재 해당 주소로 자금이 이동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백트 모회사 ICE의 관계자는 "해당 주소는 백트의 주소가 아니다"며 "우리는 그런 방식으로 소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이저, 캐나다 토론토 벤처거래소 우회상장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우버·이트레이드(E*Trade)가 투자한 암호화폐 거래소 보이저가 6,000만 달러 규모의 역합병(reverse merger) 방식으로 캐나다 토론토 벤처거래소(TSX Venture Exchange)에 상장될 예정이다. 보이저는 이번주 초 2015년 영업을 중단한 광물 탐사업체 UC리소스(UC Resources Ltd.,)를 인수했으며, 6일(현지시간) 발표된 합병법인 보이저 디지털(Voyager Digital (Canada) Ltd.,)이 오는 11일 부터 TSX에서 거래될 예정이다. 앞서 헤지펀드 매니저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전용 상업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이 TSX에 상장된 브래드머 제약회사(Bradmer Pharmaceuticals)와 합병하는 방식으로 상장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2019 정보보호 공시제도 이행 1호 기업 ‘팍스넷’… 고객 알권리 강화로 신뢰도 제고
2019 정보보호 공시제도 이행 1호 기업 ‘팍스넷’… 고객 알권리 강화로 신뢰도 제고 650만 고객을 확보한 국내 1위 금융포털 팍스넷(038160)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 인터넷진흥원이 추진하는 정보보호 공시제도 2019년 첫 이행기업으로 등록되어 고객 알권리 강화와 기업 신뢰도 제고에 나섰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정보통신서비스 이용자의 안전한 인터넷 이용 및 기업 정보보호 투자 촉진을 위해 정보보호 공시제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 올해부터 본격 추진 중이다.팍스넷은 본 제도의 2019년 첫 이행 기업으로, 정보보안을 위해 CISO를 포함 7인으로 구성된 테스크포스(TF) 조직을 구성하고 정보 보호활동에 나섰다. 주요 활동으로는 △자산에 대한 취약점 진단 및 위험평가 △위험대책수립 및 보완조치 이행 △침해사고 대응훈련 및 재해복구 훈련 진행 △임직원 정보보호교육 및 전문교육 진행 △정보누출차단을 위한 NAC(네스워크 접근 통제, Network Access Control) 도입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인증유지 활동 등이다.팍스넷 박평원 대표이사는 “블록체인 리딩기업을 선언한 팍스넷은 650만 고객의 소중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업으로서 정보보호에 대한 투자와 관리에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며 “과거보다 공시제도에 대한 부담도 줄어들고 공시기업에 대한 비용부담 경감 등 혜택도 늘어난 만큼 투명한 정보보호 공시를 통한 상호 신뢰도 제고를 위해 동참하게 되었다” 고 소감을 밝혔다.정보보호 공시제도는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제13조에 의거 정보보호 투자·인력·인증 현황 등 기업의 정보보호 현황을 기업 스스로 공개하는 제도다. 강제성이 없는 자율제도임에도 공시를 이행한 기업의 수가 2016년 2개사, 2017년 10개사, 2018년 20개사로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공시제도 이행에 따른 기업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제도를 정비했다. 우선 정보보호 공시 내용에 대한 회계·정보시스템감리법인의 사전검증 절차 의무화를 폐지하여 기업의 공시 비용부담을 경감하고, 공시 내용은 사후 모니터링으로 대체했다. 정보보호 공시제도 활성화 방안에 따라 개정된 ‘정보보호 공시 가이드 라인’은 1월 3일부터 과기정통부 홈페이지(www.msit.go.kr) 및 한국 인터넷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에이펙스클리어링, 올 1분기 암호화폐 위탁 관리 플랫폼 출시
▲ 에이펙스클리어링, 올 1분기 암호화폐 위탁 관리 플랫폼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 exchange guide)에 따르면, 미국 소재 디지털 자산 전문 취급 업체 에이펙스클리어링(Apex Clearing)이 지난해 4분기 출시 예정되었던 암호화폐 위탁 관리 플랫폼 에이펙스크립토(Apex Crypto)를 올 1분기내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BTC, BCH, ETH, LTC 등 다양한 암호화폐를 취급하며, 브로커딜러 및 차세대 투자자에게 속도와 효율성이 보장된 투자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다.▲ 코브라 "로저 버, BTC 지지자로 전향할 것"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비트코인 개발자이자 Bitcoin.org의 창업자이자 운영자인 코브라(Cobra)가 트위터를 통해 "로저 버(Roger ver)와 일부 BCH의 지지자들이 올해 안에 다시 BTC의 지지자로 전향할 것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로저 버 조차 역사의 잘못된 부분에 서있다는 것을 서서히 깨닫기 시작했다"며 "BCH는 빠르게 사라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코브라는 "BCH의 높은 거래 속도와 낮은 수수료 등의 일부 장점을 높게 평가하나, 커뮤니티의 높은 중앙집권적인 성격은 BCH의 성공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두나무투자일임, ETF 투자 세미나 개최
두나무투자일임, ETF 투자 세미나 개최모바일 투자일임 서비스 카카오스탁MAP을 운영하는 두나무투자일임은 오는 2월 20일 강남 메리츠타워 지하 2층 자스민 홀에서 ETF(지수연동형 펀드)를 주제로 투자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투자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는 이번 세미나는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전균 수석연구위원이 강사로 나서며, 세미나 시작 전 네트워킹 타임도 마련되어 있다.전균 수석연구위원은 2002년부터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에서 파생시장 및 구조화상품 분석을 담당하고 있으며 주요 언론사로부터 파생상품 부문 베스트 애널리스트로 수 차례 선정된 바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ETF 플로우(Flow)로 알아보는 자본의 동맥과 경맥 진단과 함께 국내외 ETF 자금유출입 특징, 2019년 유망 ETF 테마 등이 심도있게 소개될 예정이다.세미나 참석을 원하는 고객은 카카오스탁 어플리케이션 또는 두나무투자일임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김세웅 두나무투자일임 대표는 "최근 국내외 ETF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ETF 투자에 대한 고객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며 “ETF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분이라면 이번 세미나가 분명 유용한 정보 취득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2016년 10월 출시된 카카오스탁MAP은 투자자가 직접 고른 자산운용사와 투자자문사의 투자전략에 따라 고객 주식계좌가 운용되는 새로운 개념의 모바일 투자일임 서비스다. 비대면 일임계약이 허용됨에 따라 영상통화로 실시간 투자 일임계약이 가능하며, 카카오스탁 어플리케이션 투자탭에서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흥국자산운용 등 자산운용사와 투자자문사, 로보어드바이저 업체의 투자전략을 제공하고 있다.
-
크레딧스위스, 투자펀드 거래 처리 블록체인 기술 테스트 完
▲ 크레딧스위스, 투자펀드 거래 처리 블록체인 기술 테스트 完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소재 글로벌 투자은행 크레딧스위스(Credit Suisse) 산하의 자산 운용부문이 투자 펀드 거래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의 테스트를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테스트에 참여한 포르투갈 소재 은행 Banco Best와 룩셈부르크 소재의 증권 IT 인프라 제공 업체 펀드스퀘어(Fundsquare)는 "크레딧스위스 자산운용 부문은 불특정 다수의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도입한 것"이라며 "테스트 결과, 블록체인을 통해 국경간 배분(cross-border distribution)을 효율성, 확장성을 갖춘채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크레딧스위스는 지난해 9월까지 약 4,000억 달러 이상의 펀드를 운용하는 글로벌 투자은행이다.▲ BTC 단기 하락, 주요 거래소서 3,400 달러선 붕괴BTC가 현재 단기 하락세를 나타내며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에서 3,400 달러선을 내줬다. BTC는 현재 바이낸스 기준 0.08% 오른 3,396 달러, OKEx 기준 0.1% 오른 3,39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브라이언 켈리 "2020년, BTC ETF 출시될 가장 빠른 시기"
▲ 브라이언 켈리 "2020년, BTC ETF 출시될 가장 빠른 시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BK캐피탈 CEO 겸 암호화폐 전문가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가 "2020년이 BTC ETF가 출시될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그들의 규제 하에 있는 거래소들을 원한다"며 "아직 우리의 거래소 인프라는 부족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지난 한시간 트위터 언급 횟수, TOP3에 BTC·ETH·XRP암호화폐 마켓 데이터 플랫폼 코인트렌즈닷컴(CoinTrendz.com)에 따르면, 지난 1시간 트위터상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암호화폐는 BTC(123회)로 나타났다. ETH(62회)와 XRP(42회)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4위~10위에는 BTT(33회), TRX(29회), LTC(23회), HOT(15회), BAT(13회), EOS(12회), AOA(12회)가 순서대로 이름을 올렸다.▲ BTC 네트워크 미체결 거래 2,070 건비트코인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제공 사이트 BTC.com에 따르면, 8일 새벽 4시 45분 기준 BTC 네트워크 내 미체결 트랜잭션이 2,070 건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현재 BTC 네트워크의 해시율은 44.74 EH/s, 채굴 난이도는 5.81T, 24시간 트랜잭션 처리 속도는 3.37 txs/s를 나타내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에어스왑, 법정화폐 게이트웨이 지원
▲ 에어스왑, 법정화폐 게이트웨이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닌자(cryptoninjas)에 따르면, 이더리움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에어스왑(AirSwap)이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체 와이어(Wyre)와 함께 플랫폼 내 법정화폐 거래를 위한 게이트웨이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법정화폐(USD, GBP, EUR, AUD)로 ETH 등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에어스왑은 "법정화폐 게이트웨이를 통해 P2P 거래 중 프라이빗키를 보호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이 거래소에 입금을 하지 않고, 이체를 통해 바로 거래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MKR 대규모 이체 발생...1,860만 달러 규모이더리움 블록 익스플로러 이더스캔(Etherscan)에 따르면, 8일 오전 5시 47분 경 이더리움(ETH) 주소 '0x1f8978b550c0291627d5604a84e76fc044c23fb5'에서 '0x9f8f72aa9304c8b593d555f12ef6589cc3a579a2'주소로 19,502.278 MKR(약 792만 달러 규모)가 일시 이체됐다. 5분 뒤인 5시 52분경 '0xe4abc54f5a6288b60c18b361442a151fc4911da6' 주소에서 '0x9f8f72aa9304c8b593d555f12ef6589cc3a579a2' 주소로 26,293.173 MKR(약 1,068만 달러 규모)가 이체됐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게임개발"...한빛소프트 브릴라이트-日 SNK IP MOU 체결
"블록체인 게임개발"...한빛소프트 브릴라이트-日 SNK IP MOU 체결브릴라이트(Bryllite Ltd.)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IP(지적재산권)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사인 버프(BUFF)와 상호협력 MOU를 체결했다. 버프는 현재 블록체인 메인 네트워크 구축 및 암호화폐인 BET 발행을 준비 중이다.이번 MOU로 브릴라이트·버프 블록체인 생태계에 참여하는 개발사들은 다양한 IP를 활용한 게임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 버프는 최근 일본 SNK가 보유한 IP를 블록체인 생태계에 접목하는 독점계약을 체결한 회사로, 버프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개발사들은 SNK의 IP를 활용해 게임을 만들고 서비스할 수 있다.이호웅 브릴라이트 사업총괄 실장은 "버프 블록체인이 추구하는 생태계는 브릴라이트와 유사점이 많아 협력을 통해 상당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브릴라이트는 블록체인 게임 생태계 확장을 위한 다각도의 협력을 모색하면서, 메인넷을 차질 없이 론칭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
ICO 평가업체 "작년 4Q ICO 규모 ↓"
▲ NGD, 증권형 토큰 관련 연구 돌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언해시드(Unhashed)에 따르면, 네오글로벌디벨롭먼트(NGD)가 "산하의 새로운 디지털에셋 얼라이언스와 공동으로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s)을 연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해당 얼라이언스는 "증권법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KYC 기술업체, 로펌 등과 협력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는 장기적으로 신중하게 진행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ICO 평가업체 "작년 4Q ICO 규모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가 ICO 전문 평가업체 ICO벤치(ICObench)의 보고서를 인용 "2018년 4분기 ICO 규모가 3분기 대비 약 25% 감소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작년 4분기에 진행된 ICO는 3분기 대비 약 7% 증가한 594건을 기록했지만 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 규모는 3분기 대비 25% 감소한 14억 달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작년 거래량, 2017년 대비 100% 증가"
▲ 후오비 "작년 거래량, 2017년 대비 100%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가 "해당 플랫폼에서 작년 한해 발생한 거래량은 2017년 대비 약 100%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 거래소의 CEO 리린(李林)은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 중 "후오비는 현재 12개 국가 내 15개 사무실에서 1,3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한 상태"라며 "이는 2018년 초 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다.▲ ETH·EOS·TRX 댑 데이터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오늘 ETH 댑은 총 1,561(+3) 개, EOS 댑은 383(+0) 개, TRX 댑은 193(+1) 개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 기준 상위 3개 ETH 댑은 CDP Portal(거래소, 거래액 109.80만 달러, 사용자 642명), IDEX(거래소, 거래액 50.02만 달러, 사용자 889명), FCK(겜블링, 거래액 41.73만 달러, 사용자 428명). 상위 3개 EOS 댑은 WhaleEx(거래소, 거래액 370.44만 달러, 사용자 4,008명), BetDice(겜블링, 거래액 270.74만 달러, 사용자 1,356명), EOS Jacks(겜블링, 거래액 188.44만 달러, 사용자 50명). 상위 3개 TRX 댑은 TRONbet(겜블링, 거래액 385.25만 달러, 사용자 2,507명), 888Tron(겜블링, 거래액 76.74만 달러, 사용자 573명), TronTrade(거래소, 거래액 31.71만 달러, 사용자 749명)순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텔레그램 "TON 프로젝트 약 90% 완성"
▲ 텔레그램 "TON 프로젝트 약 90% 완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글로벌 채팅 애플리케이션 텔레그램(Telegram)이 "블록체인 프로젝트 TON(Telegram Open Network)이 약 90% 완성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프로젝트 관계자는 "TON 내에서 발행되는 토큰 GRAM은 후오비, 바이낸스 등 아시아 암호화폐 거래소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TON 프로젝트는 Durov 개발팀이 새롭게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으로서, 약 17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앞서, 텔레그램측은 "GRAM의 트랜잭션 처리속도는 BTC와 ETH 네트워크보다 빠르고,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에 견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캐나다 금융당국 "쿼드리가CX 거래소, 당국 규제 대상 아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로이터 통신을 인용 "캐나다 암호화폐 거래소 쿼드리가CX(QuadrigaCX)가 현지 금융당국 BCSC(The British Columbia Securities Commission)의 규제 대상이 아니다"라고 보도했다. BCSC 대변인 브라이언 클라드코(Brian Kladko)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 중 "쿼드리가CX는 증권 및 파생상품 등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당국의 규제 대상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앞서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쿼드리가CX의 창업자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고 그가 보관하고 있던 거래소 콜드 월렛 프라이빗 키가 분실되면서 고객들의 1.9억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자산이 묶여 있는 상태다. 또한 해당 자산은 현재 현지 최고 법원에 의해 동결 및 보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TC 트랜잭션 규모 지속 증가...40% 세그윗 기술 채택
▲ BTC 트랜잭션 규모 지속 증가...40% 세그윗 기술 채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BTC 트랜잭션 데이터 제공 사이트 트랜잭션피닷인포(transactionfee.info)의 최신 보고서를 인용 "비트코인 트랜잭션 규모가 최근 증가세를 이어가며 2018년 1월 수준에 근접하는 추세"라며 "업계 일각에서는 암호화폐 생태계와 펀더멘탈이 진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보고있다"고 보도했다. 비트코인 프라이빗키 보안 솔루션업체 카사(Casa)의 최고기술책임자인 제임스 롭(Jameson Lopp)은 미디움을 통해 "지난 몇 년간 노드들의 업그레이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며 "뛰어난 성능의 채굴자 네트워크(miner relay network)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2018년 세그윗(Segwit, 비트코인 트랜잭션의 크기를 줄여 처리 용량을 늘리는 기술)을 채택한 BTC 트랜잭션 비율이 10%에서 40%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평균 비트코인 트랜잭션 크기가 지난해 2월 750바이트를 기록한 이후 450바이트까지 떨어졌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공지전문][긴급] KODAEX 솔루션 거래 중단 및 재오픈 안내
[공지전문][긴급] KODAEX 솔루션 거래 중단 및 재오픈 안내KODAEX 거래소는 공지를 통해 KODAEX 솔루션 거래 중단 및 재오픈 안내를 14일 밝혔다.◇ KODAEX가 밝힌 내용 전문이다. 안녕하세요, KODAEX입니다. 먼저 아래 내용과 같은 공지를 드리게 되어 깊은 사과를 드립니다. 2019년 1월 31일 오픈 후 솔루션 내의 수많은 오류들로 KODAEX는 솔루션 업체에게 지속적인 오류 수정을 요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인 오류들과 오전송의 문제가 발생하여 기존의 솔루션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이에, KODAEX는 기존의 솔루션 거래 중단 및 새로운 솔루션으로 재오픈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현재까지 기존의 솔루션 업체와 있었던 문제점 및 대처방안을 나열하겠습니다. [문제점] 1. 2월 7일 오전 1시 28분 경 KODAEX는 ARBI Token 출금신청 4건을 승인하였습니다. 다음 날 이더스캔을 확인해보니 출금신청 된 내역 1건이 누락되어 있었고, 그 1건의 출금신청은 본래 출금신청 수량 907,183개가 아닌 232,238,848개가 지정된 주소가 아닌 알 수 없는 이더리움 지갑 주소로 전송되어 있었습니다.저희가 이더스캔을 보았을 때, input이 잘못된 값으로 입력되었고 그 결과 잘못된 주소로 비정상적인 수량이 전송되어 있었습니다.KODAEX는 상황파악을 위해 솔루션 업체에 문의를 하였습니다. 솔루션 업체 측은 input이 정확히 들어간 것으로 확인된다고 답변을 하며, 본인들의 솔루션 상의 오류나 책임은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하지만, 저희가 이더스캔을 확인한 결과 정상적인 전송과는 다른 input 값이 입력되어 있었으며, 회원님들께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이에 저희는 공신력 있는 이더리움 전문가 및 전문단체와 법무법인을 통하여 소실된 ARBI Token에 대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예정입니다. 2. ARBI Token의 전송오류 이후, 솔루션 업체는 토큰 상장과 연동을 지원하겠다는 기존의 약속을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더 이상 앞으로 있을 모든 토큰의 연동과 상장을 지원하지 않겠다고 통보하였습니다.솔루션 업체의 토큰 상장과 연동의 지원을 믿고 진행하려 했던 IEO들도 상장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판단하였습니다. 3. KODAEX는 솔루션 상의 오류가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 솔루션 업체와의 계약서 상의 잔금을 지급하지 않고 있었습니다.2월 13일에 '2시간 내에 잔금을 지급하지 않으면 거래소를 셧다운 시키겠다' 라는 솔루션 업체 측으로부터의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습니다.저희는 솔루션의 오류가 여전히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회원님들의 거래와 자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불합리한 통보임에도 불구하고, 남은 잔금을 모두 지급하였습니다.하지만 잔금지급 후 5분이 지나지 않아, 추가로 입출금, 코인연동, 매수/매도 등에 대한 오류가 없음을 확인했다는 검수완료확인서를 보내며, 5분 내로 서명하여 메일로 보내지 않을 시에 또 다시 '거래소를 셧다운 시키겠다'라고 서명을 강요하였습니다.하지만 급히 법무법인에 자문을 받은 결과, 만약 저희가 검수완료확인서에 서명을 할 시, ARBI Token의 출금과 코인연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인정하는 행위라는 답변을 받았고,이미 잔금을 지불하여 소유권이 완전히 당사로 넘어온 재산권에 대하여 솔루션 업체의 셧다운하겠다는 말은형사법 상 업무방해에 해당된다는 답변도 받아 검수완료확인서에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4. 당일(2월 14일) 오전, 이번에는 솔루션 업체 측에서 'ARBI Token의 출금을 이 시간부로 정지할 것이며,ARBI 연동에 대한 대금을 17시까지 지급하지 않을 시 ARBI에 대한 설치내용을 회수하겠다'라고 하였습니다. ARBI에 대한 설치 내용 및 대금은 당사와 솔루션 업체의 계약사항에 포함되지 않는 내용이었으며,연동에 대한 대금 지불 여부를 떠나 당사의 ARBI Token 출금 기능을 삭제해버린 것 또한 영업방해에 해당한다고 자문받았습니다. 5. 2월 8일 오후 1시경 솔루션 업체 담당자가 테스트라는 명목 하에 테스트 계정에 있는 KODA 수량의 100%를 0.5원에 매도를 하는 실수를 범하여 롤백을 하였으나초기 KODAEX에서의 거래에 대해 많은 회원님들께서 신뢰를 잃었고, 당사 및 회원님들께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가져다 주었습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솔루션 업체의 문제점으로 인해 앞으로 기존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습니다. [대처 방안] 1. 소실된 ARBI Token에 대해 회사 측 보유분으로 기존의 ARBI Token 보유자들의 ARBI Token을 100% 보상하여 출금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2. 현재 고객들의 KODA 및 ARBI Token은 회사 측의 개인지갑으로 옮겨두어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습니다. 3. 솔루션을 교체한 후 KODAEX를 재오픈 하겠습니다. - 재오픈 예정 기간: 약 2개월 (변경될 솔루션 업체의 사정에 따라 기간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KODA 홀더에게는 재오픈 시점까지의 기간 만큼 보유수량의 월 5%를 지급하겠습니다. 5. 손해배상 소송에서 승소하여 솔루션 오류로 인해 피해받은 내용을 금전적으로 보상을 받는다면, ARBI Token 손실 분에 대한 손해배상을 제외한 모든 배상금을 KODA 보유자 분들에게 나누어 지급하겠습니다. 6. 현 시간부터 KODAEX 내에 있는 원화 및 암호화폐를 2019년 02월 21일 오후 6시까지 모두 출금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간 내 출금 신청되지 않은 암호화폐는 회사 측에서 보유하고 있다가 재오픈 시에 자동 연동할 것이고, - 기간 내 출금 신청되지 않은 원화는 1:1 플러스친구 상담센터로 문의주시면 신원확인 후 출금 해드리겠습니다. [기존 솔루션 운영 마감 기간] 2019년 02월 21일 오후 6시 이 기간까지는 거래와 입출금 모두 정상으로 가능합니다. 당사의 미숙한 솔루션 선택 및 운영으로 인해 회원님들께 불편을 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는 말씀 드립니다. 당사 대표가 공식 오픈채팅 1번방에 들어가서 회원님들과 소통을 하며 질문에 대해 구체적으로 답변드릴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KODAEX 드림
-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이더리움' 주는 이벤트 6차 진행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이더리움' 주는 이벤트 6차 진행]블록체인 가상화폐 포털커뮤니티 블록체인허브(https://www.blockchainhub.kr , 대표 이충) 는 "3 이더리움 포인트 경매 6차 이벤트가 경매방식으로 3월 16일까지 진행된다" 고 밝혔다.HUB포인트를 활용한 경매로 진행되는 이번 이벤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event&wr_id=2754) 는 블록체인허브 웹사이트 회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수 있다.HUB포인트는 글쓰기,댓글,추천 등 커뮤니티 활동보상으로 지급되며 적립된 포인트는 온,오프라인 이벤트 참여 및 사이트내 부가기능에 사용할수 있다.블록체인허브 이충 대표는 "최근 가상화폐 시세하락과 국내외 여러 규제로 어려운 시기이지만 블록체이너와 가상화폐 투자자 위해 지속적인 이벤트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양봉돼지 포럼 댓글 이벤트
[블록체인허브(대표 이충), 양봉돼지 포럼 댓글 이벤트]블록체인 가상화폐 포털커뮤니티 블록체인허브 양봉돼지 포럼(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up_pig , 포럼운영자 전재현) 에서 '댓글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이벤트(https://www.blockchainhub.kr/bbs/board.php?bo_table=up_pig&wr_id=2576)는 2월 한달 비트코인 월봉차트(빗썸기준)가 양봉이 나오지 않는 경우 이벤트 게시물에 댓글을 단 회원을 대상으로 추첨하여 치킨을 주는 이벤트이다.블록체인허브 양봉돼지 포럼 운영자 전재현은 "현재 비트코인 및 알트코인의 가격이 바닥권을 형성했다고 판단하고 자신이 치킨을 쏠 일은 일어나지 않을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보름 후가 궁금한 이벤트이다.
-
日 에이벡스 산하 핀테크 업체 "선불식 결제 시스템에 블록체인 도입"
▲ 日 에이벡스 산하 핀테크 업체 "선불식 결제 시스템에 블록체인 도입"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워치(crypto.watch)에 따르면, 일본 대표 엔터테인먼트 에이벡스(AVEX) 산하 핀테크 업체 ECI의 CEO 아리타 유조(有田雄三)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ECI는 향후 '엔터테인먼트 코인'을 기반으로 선불식 결제 시스템과 지갑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코인 자체에 블록체인을 응용하지 않고, 선불식 전자 결제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CEO "탈중앙화 거래소 테스트버전 출시 임박"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CEO 자오창펑이 공식 채널을 통해 "1-2주 후 바이낸스 체인(Binance Chain)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거래소의 테스트버전을 공개할 예정이며, 기축통화로 사용될 바이낸스코인(BNB)을 현재 ERC20 토큰에서 바이낸스 체인으로 옮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바이낸스 체인은 코스모스(Cosmos)의 텐더민트(Tendermin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위임 지분 증명(DPoS)과 비잔틴 장애 허용(BFT)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채택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엔진 스마트 월렛, 세계적인 보안 그룹 ORU 해킹 테스트 통과
엔진 스마트 월렛, 세계적인 보안 그룹 ORU 해킹 테스트 통과- 스마트폰 악성 앱 등을 통한 엔진 지갑 정보 탈취 시도 성공적 차단- “블록체인 QR코드 에어드롭 서비스 ‘엔진 빔’ 계기로 안전한 암호화폐 지갑 필요성 커져” - 미 국가안보국 채택 AES-256 암호기술 적용, 지문 로그인 등 보안성과 편리성 제공'암호화폐 모바일 지갑의 끝판왕'이라고 불리는 '엔진 스마트 월렛(엔진 지갑, Enjin Smart Wallet)’이 세계적인 정보보안 전문가인 토니미르 키사손디(Tonimir Kišasondi) 박사가 이끄는 크로아티아 출신의 보안그룹인 ORU의 해킹 테스트를 통과하며 높은 보안성을 입증했다.글로벌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 플랫폼 솔루션 기업으로 블록체인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 enjincoin.io)을 내놓은 엔진(enjin.com, 공동 설립자 막심 블라고프, 비텍 라돔스키)은 자사의 암호화폐 지갑인 '엔진 스마트 월렛'이 정보보안 전문그룹인 ORU의 해킹 테스트를 통과했다고 28일 밝혔다. ORU(www.oru.hr)는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 대학교 조직 및 정보과학대(www.foi.unizg.hr)의 오픈 시스템 보안 연구소 소장 등을 지낸 토니미르 키사손디(Tonimir Kišasondi) 박사가 설립한 보안 전문그룹이다. 키사손디 박사는 정보보안과 암호해독학 분야 논문 50편을 발표한 정보보안 전문가이자 암호해독학자로, 올해 9월 크로아티아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학회 통신분과(IEEE SoftCOM)의 정보보안 심포지엄 위원을 맡기도 했다.ORU의 키사손디 박사가 진행한 해킹 테스트는 엔진 지갑 안로드이드 버전과 개발자용 설치 파일인 안드로이드 APK, 엔진지갑에 사용된 백엔드 API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오픈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인 OWASP의 모바일 및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위협 항목을 기본으로 사용자 정보 탈취 취약성 부문에 집중적인 테스트를 진행했다. 해킹 테스트 결과 악성 앱이 엔진 지갑의 사용자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화면을 감시하는 오버레이를 감지 및 방지해 내고, 백업 시 스크린샷을 성공적으로 차단했다. 또한 메모리 내 비밀번호와 암호화 키 저장 차단, 암호화된 데이타를 가져오려는 앱 차단 등 사용자 자산을 탈취할 수 있는 모든 경로를 차단하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됐다.키사손디 박사는 보안심사 보고서를 통해 "엔진 지갑 시스템에 저장된 암호키나 지갑을 손상시킬 수 있는 이슈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엔진사의 CEO인 막심 블로고프는 "엔진사가 최근 출시한 블록체인 QR코드 에어드롭 서비스인 ‘엔진 빔(Enjin Beam)’을 계기로 엔진 지갑이 기업들의 블록체인 마케팅 솔루션으로까지 영역이 넓어진 만큼, 기업들과 소비자들이 실생활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엔진 지갑에 대한 보안성과 편리성을 꾸준히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엔진 스마트 월렛은 하드웨어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미국 국가안보국이 채택한 AES-256 암호기술을 채택한 것을 비롯해, 보안 키보드, 스니핑 키로거 등의 크래킹 방지 기능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엔진 지갑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간편하게 지문으로 로그인 하는 방식을 도입했을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비롯해 800여종이 넘는 암호화폐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