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휴먼스케이프, 한양대학교병원과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휴먼스케이프, 한양대학교병원과 공동연구개발 MOU 체결..'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휴먼스케이프 솔루션 통해 수집되는 희귀, 난치질환 중증환자 데이터 활용해, 신약과 치료제 개발 및 공동연구 수행..휴먼스케이프(대표 장민후)는 한양대학교병원과 ‘블록체인 기반 환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환자데이터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서울아산병원과 카톨릭스마트헬스케어센터에 이은 세번째 공동연구개발 계약으로 휴먼스케이프는 국내 주요 대형 병원들과 공동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휴먼스케이프 솔루션을 통해 수집되는 희귀, 난치질환 중증환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약과 치료제 개발 및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한양대학교병원의 임직원 자문 및 연구에 필요한 인프라 등을 상호 협력 하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한양대학교병원은 1972년 동양 최대 규모로 개원한 이래 중증 환자를 위한 맞춤형 진료와 난치성 질환 치료를 선도해왔다. 국내 최초로 개원한 류마티스병원은 난치병으로 여겨진 류마티스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과 진료로 ‘류마티스질환의 4차 병원’이라는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루게릭병, 루푸스 등 오랜 기간 쌓아온 난치성 질환 진료와 류마티스병원, 루게릭병클리닉 등의 경험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 주관 ‘극희귀질환 진단기관’으로 선정되어 44개 극희귀질환의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으며,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 특화된 세포치료센터의 루게릭병클리닉에서는 세계 최초로 루게릭병 줄기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등 난치성 질환 극복에 앞장서고 있다.휴먼스케이프는 희귀, 난치질환 환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신약, 치료법 개발을 위해 환자의 건강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제약사, 연구기관, 개인 연구자들이 환자들에게 직접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허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치료법을 찾지 못한 전세계 3억 5천만명의 환자들은 자신의 데이터로 신약 임상 참여와 같은 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휴먼스케이프 관계자는 “휴먼스케이프는 의료시장에서 무한한 비지니스 기회가 잠재되어 있는 프로젝트의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 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고 더 크게 성장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글로벌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사전가입 이벤트’ 실시
글로벌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사전가입 이벤트’ 실시- 글로벌 종합금융플랫폼 벨릭, 14일부터 사전가입 대상자 선착순으로 총 60만 ICX 에어드랍 예정- 회원가입 이메일 인증, OTP 설정, KYC 인증 모두 완료한 가입자 한해 추가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싱가포르 기반의 디지털 자산 종합금융플랫폼 ‘벨릭’(VELIC)’이 내달 첫번째 서비스인 거래소 정식 오픈을 앞두고 14일부터 사전가입 및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벨릭 거래소 사전가입 이벤트는 벨릭 공식사이트에서 신청가능하며 총 64만개의 ICX(아이콘 자체 암호화폐)가 준비되어 있다. 거래소 가입 선착순으로 인증 단계에 따라 총 60만개의 ICX 에어드랍이 이뤄지며 모든 인증을 완료한 가입자 중 럭키드로우 추첨을 통해 ICX 4만개를 추가 에어드랍한다. 그 외 다양한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으며 이벤트 상세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거래소 인증 단계는 단순 회원가입(이메일 인증), OTP 설정, KYC 인증 세 단계이며, 각 단계에 따라 지급되는 ICX의 수량이 상이하다. 인증 단계 세가지를 모두 완료하면 럭키드로우 추첨 인원 선정 자격이 부여되어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벨릭 CSO 티모시 양은 “벨릭은 블록체인 플랫폼 생태계의 대표주자 중 하나인 아이콘 메인넷 기반의 디앱(dApp)으로 첫 서비스인 거래소 사전가입 이벤트 에어드랍을 ICX로 진행하게 됐다”며 “최근 아이콘과 맺은 파트너십 체결 후의 실질적 성과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금번 이벤트 이후에도 아이콘과 다양한 협업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예정이니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벨릭은 ‘VELIC’에서 명시된 것과 같이 Vault(금고), Exchange(거래소), Loan(대출), Investment(투자) Crypto Assets(크립토 자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계정으로 벨릭의 통합 플랫폼에서 이뤄진다. 거래소 서비스를 시작으로 대출과 자산운용 인덱스를 살 수 있는 Pack등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오는 3월 오픈 예정인 벨릭 거래소는 사용자 중심의 토큰 이코노미를 구사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암호화폐 거래소와 차별화된다. 자체 금융 토큰인 벨트(VELT)는 이용자들에게 PoT(Proof of Trading; 채굴)에 따라 일 단위로 토큰을 분배한다. 또한 벨릭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벨트 토큰 사용처를 제공하며 토큰의 가치를 높일 예정이다.
-
휴먼스넷, 천재원 부산 레벨-X대표, 엑센트리를 영국에 설립한 경험을 살려 휴먼스넷 자문으로 임명
휴먼스넷, 천재원 부산 레벨-X대표, 엑센트리를 영국에 설립한 경험을 살려 휴먼스넷 자문으로 임명 전 세계의 프리랜서 일자리를 한 곳에서 연결하려는 블록체인 기반의 차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플랫폼인 휴먼스넷(http://humans.net, 대표: 블라드 도브리닌)이 선진 기술 전문가인 천재원 레벨 X 대표를 한국 자문으로 임명했다고 밝혔다.휴먼스넷은 천재원 대표의 자문 임명으로 회사와 개인을 기술 및 역량 기반으로 매칭해주는 전혀 새로운 사회 관계망 플랫폼으로서 앞서 나가가고자 한다. 그의 폭넓은 전문성, 신기술 개발과 그 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가져올 혜택에 대한 식견을 바탕으로 휴먼스넷에 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새롭게 임명된 천재원 휴먼스넷 자문은 “휴먼스넷은 아시아에서 개발중인 혁신 기술에 최적화된 플랫폼이다. 이에 비해 오늘날의 구인구직 플랫폼은 다소 뒤쳐져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휴먼스넷은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세계 최대의 탈중앙화 된 P2P 네트워크다. DNA기반 인증 도입을 계획 중인 휴먼스넷은 미래 플랫폼의 랜드마크로서 자리 매김 할 것이다. 자문으로 활동하게 되어 무척 기쁘다”고 밝혔다.천재원 자문은 부산에 위치한 레벨-X의 최고경영자로 엑센트리(XnTree)를 영국에 설립한 바 있다. 그는 스마트 시티 설계,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이끄는 기술 스타트업의 육성에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천재원 자문은 중앙 정부와 자치 단체에 디지털 경제, 규제, 핀테크, 스마트시티 개발과 연구 개발애 대한 자문뿐 아니라 인사혁신처를 통해 정부 관계자의 글로벌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휴먼스넷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인 블라드 도브리닌(Vlad Dobrynin)은 “천재원 자문은 신기술, 블록체인, 스마트시티에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신기술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구자적인 관점을 지니고 있다”고 소개하며 “한국 정부가 천재원 대표의 전문지식을 광범위하게 활용하는 것은 그의 지식, 이해와 통찰력이 얼마나 가치 있게 평가되는지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휴먼스넷은 소셜 네트워크로 현존하는 플랫폼들과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인다. 휴먼스넷에는 중개인이 없어 비싼 멤버십 비용과 높은 수수료가 없다. 다른 플랫폼은 검색 프로세스가 오래 걸리고 복잡한 결제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용을 꺼려하지만, 휴먼스넷은 인공지능을 통해 최적의 매칭을 제안한다. 플랫폼 사용자들은 플랫폼 내에서 서로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누기 때문에 개인정보도 보호된다. 만약, 사용자가 플랫폼 내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싶다면 본인이 광고에 노출되기로 선택하여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광고 서비스에 제공하면 된다.
-
오케이코인코리아(OKCOIN KOREA), P2P 파일 공유 플랫폼 ‘비트토렌트(BTT)’ 원화마켓 상장
오케이코인코리아(OKCOIN KOREA), P2P 파일 공유 플랫폼 ‘비트토렌트(BTT)’ 원화마켓 상장암호화폐 거래소 오케이코인코리아는 P2P 파일 공유 플랫폼인 비트토렌트(BitTorrent, BTT)를 원화마켓에 상장한다고 2월 14일 밝혔다.14일 오케인코인코리아는 "비트토렌토 지갑오픈은 지난 13일 오후 3시부터 진행했다"며 "비트토렌토 거래 지원은 2월 14일 3시부터 4시에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비트토렌트는는 2001년 Bram Cohen에 의해 발명된 선구적인 P2P(Peer-to-Peer) 분산 통신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Torrent 클라이언트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여기에 BTT 토큰이 추가되어 프로토콜이 확장되면서 기존 BitTorrent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킹 대역폭 및 스토리지 리소스에 대한 토큰 기반 경제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비트토렌트는 2018년 7월에 트론(TRON) 재단에 의해 인수되었는데, 트론 재단의 설립자인 저스틴 선(Justin Sun)은 “비트토렌트의 인프라와 트론의 블록체인을 결합하면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P2P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고 말하며 사업 확장에 대한 입장을 밝힌 바 있다.오케이코인코리아 측은 이번 상장에 대해 “비지니스 모델, 토큰 이코노미, 팀 멤버, 기술력 등의 상장 심사 기준을 바탕으로 면밀한 검토가 진행되었다. 댑(Dapp) 탄생에 영감을 주었던 비트토렌트가 이제 분산 통화를 도입하고 암호화폐 비즈니스 모델을 접목함으로써 실제 사용자 기반의 탈중앙화 서비스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오케이코인코리아는 비트토렌트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프로젝트 소개 자료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배포하였으며,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https://okcoinkr.zendesk.com/hc/ko/articles/360023237831출처:블록체인밸리
-
직토, 보험중개사 '인스보험중개'와 MOU 체결
직토, 보험중개사 '인스보험중개'와 MOU 체결- 이머징 리스크(신흥 위기) 보험상품 관련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자문역에 이인철 인스보험중개 대표 위촉, 해외 보험사와 협력 통해 이머징 리스크 보장상품 개발 예정 인슈어테크 기업 직토(대표 김경태∙서한석)는 인스보험중개(INS Corp., 대표 이인철)와 ‘이머징 리스크 보험상품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월 31일 밝혔다. 인스보험중개(구. 대우인스)는 1999년에 설립된 국내 보험중개회사로 보험가입자의 특성에 맞는 최적의 보험상품과 보험사를 연결하는 한편, 리스크 관리 컨설팅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인스보험중개는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쌓아온 글로벌 보험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직토는 해외 보험사 및 재보험사와의 협업을 통해 국내 실정에 맞는 이머징 리스크 보장 보험상품을 새롭게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인스보험중개는 오는 2월 중 출시를 앞두고 있는 직토의 디지털 보험 플랫폼의 개발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이머징 리스크 보험이란 기후 리스크, 사이버 보안 리스크, 금융 불안정성 등 전통 보험시장에서는 손해율 등으로 인해 고려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형의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상품을 말한다. 예를 들어 궂은 날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영업 손실을 보장해주는 '날씨 보험' 등이다. 양사는 각자가 보유한 전문성과 기술력을 공유하고, 국내 보험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국내 이머징 리스크 보험 시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직토는 이인철 인스보험중개 대표를 직토의 자문으로 영입했다. 이인철 대표는 DB손해보험, 마쉬코리아(Marsh Korea), 에이온(AON)을 거쳐 윌리스타워스왓슨코리아(Willis Towers Watson Korea) 대표를 역임하는 등 28여 년 간 손해보험과 보험중개업에 종사해온 보험 전문가다. 이 대표는 손해보험 시장에 대한 이해와 식견을 바탕으로 직토가 블록체인 기반 이머징 리스크 특화 기업으로서 성장할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해 정기적인 자문을 제공할 계획이다. 김경태 직토 공동대표는 “최근 기존에 없던 새로운 리스크를 보장하는 기업 보험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국내 보험사는 관련 데이터가 많지 않은 상태"라며 "인스보험중개의폭넓은인프라와손해보험관련전문성에직토의빅데이터관련기술력을더해다양한리스크를보장하는보험상품을선보일계획”이라고말했다. 한편직토는올 1월초보험상품판매를위해손해보험협회에보험대리점등록을마치고현재기후리스크보장보험으로 ‘골프장기후영업손실보험’ 상품을프리마케팅하고있다.
-
업비트,'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보고서' 공개
업비트,'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보고서' 공개업비트는 유진회계법인에 의뢰해 2019년 1월 1일 기준으로 실사받은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보고서' 를 공개합니다.[실사 결과]암호화폐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암호화폐 대비 금액 기준으로 약 103%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예금 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금전 대비 163%의 금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실사 개요]실사 회계 법인 : 유진 회계 법인실사 기준 일시 : 2019년 1월 1일 오전 2시 기준실사 대상 : 실사 기준일 보유한 183종의 코인과 회사 명의 예금대상 기간 : 2019년 1월 1일-14일실사 방법 : - 암호화폐 : 두나무가 개발한 내부 전자지갑과 전문업체가 제공하는 전자지갑에 실재성을 검증하는 방식 - 예금 : 두나무가 보유한 예금명세서를 기초로 해당 금융기관에 조회하여, 확인하는 방식 - 장소 : 두나무 본사
-
아이앤나-비트교육센터, ‘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 업무협약 체결
아이앤나-비트교육센터, ‘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 업무협약 체결-영유아 대상 IT 전문기업 ‘아이앤나’와 비트컴퓨터가 운영하는 IT교육기관인 ‘비트교육센터’ 참여..-양사는 4차 산업시대에 필요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전문 인력 양성 계획..영유아 대상 IT 전문기업 아이앤나(대표 이경재)는 비트컴퓨터(대표 조현정)가 운영하는 IT 교육기관 비트교육센터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진행하는 ‘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2019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AR, VR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8대 분야의 우수인재를 집중 양성하여 국가기술 경쟁력 강화 및 산업체 인력수요를 해소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적으로 진행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 체결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제공 중인 아이앤나와 IT 교육기관인 비트교육센터가 함께 참여하게 되었다.현재 아이앤나는 국내 최초, 최대 산후조리원 신생아실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추출된 신생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울음소리인지, 모션감지, 안면인식 등의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켜 산모 및 육아 산업의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대한민국 1호 소프트웨어 기업인 비트컴퓨터에서 운영하는 비트교육센터는 IT 고급 교육부터 취업까지 정부 지원 국비 무료 교육을 통해 구직자에게 비용 부담없이 직업 훈련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JAVA, AR, VR, 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비트교육센터는 IT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가 교육부문에서 명실상부한 업계 1위의 교육기관이다.아이앤나와 비트교육센터는 본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이 상호 협력하여 4차산업 분야의 우수 인재를 모집하고 각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공동으로 신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4차 산업시대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아이앤나 기술총괄이사 문석재 박사는 “비트교육센터와 함께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비전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들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각 분야에 충분한 역량을 갖춘 인재들을 배치하여 4차 산업시대 영유아 부문의 혁신과 발전을 이끌 것”이라고 밝혔다.
-
아이디씨엠 코리아, 프리미엄 코인 세일 플랫폼 런칭
아이디씨엠 코리아, 프리미엄 코인 세일 플랫폼 런칭 믿고 거래하는 가상화폐 거래소 아이디씨엠 코리아 (IDCM KOREA)가 프리미엄 코인 세일 (Premium Coin Sale) 플랫폼을 공식 런칭한다. 아이디씨엠 코리아는 프리미엄 코인 세일 플랫폼을 공식 런칭한다고 14일 밝혔다. 프리미엄 코인 세일이란 아이디씨엠 코리아 만의 코인 세일 플랫폼으로, 프로젝트들의 상장 직전 전 세계 유저들에게 고정된 가격으로 코인을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다만, 아이디씨엠 코리아에서는 기존 ICO의 코인 배정 기준인 선착순 매수뿐만 아니라 투자자의 코인 청약 수량, 총 코인 세일물량 대비 청약 경쟁률 등 선진 자본시장 기준에 따라 코인 배정이 정해지는 구조이다. 즉, 현재 자본시장 내 공모주 청약과 비슷한 구조로 생각하면 된다. 아이디씨엠 코리아 관계자는 “현재 다양한 프로젝트들과 프리미엄 코인 세일 진행 논의 중에 있다”면서 “앞으로 뛰어난 프로젝트들을 선별해 다양한 프리미엄 코인 세일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내 블록체인 업계의 건강한 발전을 위해서도 노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아이디씨엠 코리아는 홍콩에 본사를 둔 IDCM 거래소의 한국 지사로, 코인마켓캡 조정 거래량 기준 글로벌 20위 권에 올라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물론 60여 종의 알트코인 거래를 지원하며, 자체 스테이블 코인인 VHKD를 개발 및 VHKD 마켓을 운영하는 등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다. IDCM은 홍콩과 중국, 미국 등 세계적인 가상화폐 시장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마이클 노보그래츠(Michael Novogratz)가 대표로 있는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과 전략적 제휴관계를 체결하기도 하였다.*본 콘텐츠는 해당 기업의 보도자료로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코인제스트, 자산가치혜택 정책 확정… '코인뱅크' 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 따라 혜택 지급
코인제스트, 자산가치혜택 정책 확정… '코인뱅크' 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 따라 혜택 지급- 국내 최초 암호화폐 거래소 내 ‘자산 예치 혜택’ 적용하여 금융서비스 플랫폼으로의 진화 준비미래금융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대표 전종희)가 제반수익사업을 통해 얻은 수익을 코즈아이(COZi) 홀더들에게 혜택으로 지급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금융서비스를 결합한 ‘코인뱅크’ 서비스를 도입하는 내용의 자산가치혜택 정책을 공개했다. 첫번째 정책은 코인제스트가 거래소와 고객 수익 모두를 위해 코즈아이의 가치가 유지되도록 발행량을 제한하고 기대 가치 이하로 하락할 경우 자체적으로 토큰을 매입하는 등 토큰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내용이다. 다른 하나는 ‘코인뱅크’ 서비스로 고객개인별 거래소 보유자산 및 코즈아이 보유율에 따라 기본자산혜택과 프리미엄 특별혜택 두 가지를 주 단위로 지급하는 내용이다. 기본자산혜택 지급 대상자는 코즈아이 100개 이상 보유 고객이고, 프리미엄 특별혜택 지급 대상자는 코즈아이 5,000개 이상 보유 고객이다. 혜택은 환금성이 높은 BTC나 ETH 등의 암호화폐로 분할 지급해 거래소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코인뱅크’는 거래소 고객들이 원화 및 코인 자산을 거래소 내에 보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전통적 금융시장에서와 같이 자산가치에 대한 혜택을 지급받는 서비스로,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 최초로 금융서비스를 접목한 혁신적 시도이다. 코인제스트는 이밖에도 마스터노드 사업 및 유망 코인에 투자를 통해 거래소 내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익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코인제스트 전종희 대표는 “지난 해 글로벌 밋업 때 코인제스트의 미래와 코인뱅크 금융서비스 계획을 처음 소개했고 그 이후 서비스 출범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며 “코인뱅크를 시작으로 향후 더욱 많은 금융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금융기관과의 전략적 업무협약도 추진할 예정” 이라고 계획을 밝혔다. 이어 “국내 최초로 암호화폐 거래소에 ‘자산 예치’에 대한 보상 시스템을 적용하며 코인제스트는 단순 암호화폐 거래소 그 이상의 로드맵을 그려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자산가치혜택은 지난달 진행한 코즈아이 에어드랍 이벤트에서 발생한 4.2억원 상당의 거래소 수수료를 지급함으로써 2월에 처음 시행된다. 코즈아이 기본자산혜택과 프리미엄 특별혜택은 8:2의 비율로 각 3.36억원, 8.4천만원으로 산정되어 코즈아이 홀더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예정이다. 한편, 코즈아이는 지난달 31일 코인제스트에서 공개한 프로젝트로 자산가치혜택 및 결제 유틸리티 기능을 가진 토큰이다. 코인제스트는 국내 유명 방송인과 프로듀서들로 구성된 블록체인 기반의 웹콘텐츠 방송-네티즌 연결 플랫폼인 ‘웹플릭스’와의 토큰스왑을 통해 유망 프로젝트에 대한 코즈아이 토큰 투자를 진행했다. 또한 오프라인 카페인 디센트레에서 실물 결제 수단으로 ‘코즈아이’를 사용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식음료, 영화, 쇼핑 등 코즈아이를 활용한 결제가 가능한 사용처를 꾸준히 늘려갈 방침이다.Press Release
-
알파콘 메인넷1.0 런칭...블록체인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도약
알파콘 메인넷1.0 런칭...블록체인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도약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알파콘 네트워크 파운데이션(대표 함시원, alphacon.io)이 알파콘 메인넷1.0을 런칭하였다고 1월 31일 밝혔다. 알파콘은 자체 메인넷(MainNet) 개발을 통해 헬스케어 산업을 선두하는 플랫폼으로 독자적인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 알파콘 메인넷1.0은 약 3개월 간의 테스트넷 운영을 거쳐 깃허브(https://github.com/AlphaconNetwork)에 소스코드가 공개되었다.알파콘 메인넷1.0은 PoS v3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PoW(Proof of Work) 방식의 단점들을 보완하였다. 비트코인의 채굴(minng, 암호화폐의 거래내역을 기록, 블록을 생성하고 그 대가로 암호화폐를 얻는 행위) 방식은 과도한 컴퓨팅 파워 경쟁 속에 막대한 비용과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PoS는 암호화폐를 보유(Staking)하는 것으로도 보상이 지급되기 때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전기를 낭비하지 않으며 실질적인 코인 생태계 참여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알파콘 메인넷1.0은 PoS v3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PoS방식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알파콘 개발 컨소시엄 멤버인 (주)모릭랩스 김충현 대표는 “PoS v3은 안전하고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으로 안정성, 효율성, 분산화를 통해 알파콘을 세계 최고의 헬스케어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만들어 나아갈 것”이라 강조하였다. 알파콘은 자체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 알파콘(ALP)이 실생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알파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상반기내에 런칭 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10여개 병원에서 알파콘으로 결제가 가능하며, 올해까지 알파콘 사용 가능 협력 병원 수를 전국 300여개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피트니스센터, 안경점, 보험 등 국내외 헬스케어 산업 전반으로 사용처를 확대할 예정이며, 한국 시장에서 알파콘 사용처 확대뿐 아니라 중국 시장에 알파콘 사용 확대를 위한 사업을 이미 진행 중에 있다.알파콘 네트워크 파운데이션 함시원 대표는 “알파콘 메인넷1.0을 통해 다양한 헬스케어 관련 비즈니스 업체들과 함께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또한 알파콘은 이를 통해 글로벌 대표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이라고 밝혔다. 한편, 알파콘(ALP)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소닉(https://bitsonic.co.kr)과 넥시빗(https://nexybit.com), 체인비(http://www.chainb.io), 아이닥스(https://www.idax.pro)에 토큰으로 상장되어 있으며, 로드맵에 따라 거래소를 통해 기존 알파콘 보유자들의 토큰을 메인넷 코인으로 변환해 줄 예정이다.
-
달러, BTC 거래 점유 엔화 제치고 1위 탈환
▲ HC 창업자 "BTC, 확장성·익명성 해결 시 추가 성장 가능"중국 암호화폐 전문가이자 하이퍼캐시(HC, 시가총액 72위) 창업자 쉬쯔징(许子敬)이 본인의 SNS를 통해 "BTC가 LTC의 기술 업그레이드 사례를 발판으로 지속적인 기술 개선을 실현, 확장성 및 익명성을 해결한다면 5년 안에 또 한번의 역사적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와 관련 그는 "BTC 개발자 다수가 사실은 LTC 개발자”라며 “이들은 프로토콜 주요 업그레이드 대부분을 LTC에서 우선적으로 시범 시행한다. 2017년 라이트닝 네트워크 세그윗(Segwit) 출시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설명했다.▲ 달러, BTC 거래 점유 엔화 제치고 1위 탈환글로벌 암호화폐 통계 사이트 코인힐스(Coinhills)에 따르면, 현재 BTC의 법정화폐 페어거래 중 달러 거래 비중이 49.07% 로, 엔화를 제치고 1위를 탈환했다. 2~5위는 엔화(46.13%), 유로화(1.67%), 한화(1.51%), 파운드화(0.47%)가 차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엔진지갑 “내 안에 거래소 있다”엔진지갑에서 3개 탈중앙화 거래소 지원한다
엔진지갑 “내 안에 거래소 있다”엔진지갑에서 3개 탈중앙화 거래소 지원한다- 엔진지갑, 암호화폐 지갑 유일의 3개 탈중앙화 거래소 지원- 엔진지갑, 뱅코르 · 카이버 네트워크 · 체인질리 등 3개 탈중앙화 거래소 내장- 엔진지갑에서 블록체인 자산의 소유·전송·수신·가치 회수 넘어, 거래까지 가능- 지갑 내 최적 거래가 확인 기능으로 투자 수익 확보 여러 곳의 탈중앙화 거래소 기능을 동시에 탑재한 암호화폐 지갑이 등장했다. 암호화폐 지갑의 ‘끝판왕’으로 불리는 엔진지갑(Enjin Smart Wallet) 안에서 암호화폐를 매매하고 교환, 보관할 수 있는 올인원 암호화폐 지갑이 탄생했다. 블록체인 게임 개발 플랫폼이자 암호화폐인 엔진코인(ENJ, enjincoin.io)을 제공하는 글로벌 온라인 게임 플랫폼 기업인 엔진(Enjin Pte. Ltd. Enjin.com, CEO 막심 블라고프)은 엔진사의 암호화폐 지갑인 ‘엔진 스마트 월렛(Enjin Smart Wallet)’에 세계 최초로 탈중앙화 거래소 3곳 기능을 동시에 탑재해 암호화폐 지갑에서 암호화폐를 곧바로 교환 거래할 수 있게 했다고 30일 밝혔다. 엔진지갑에 들어간 탈중앙화 거래소는 체인질리(Changelly), 뱅코르(Bancor) 그리고 카이버 네트워크(Kyber Network)이다. 엔진지갑 내 탈중앙화 거래소 체인질리와 뱅코르에서는 100개 이상의 암호화폐를, 카이버 네트워크에서는 50개의 암호화폐를 트레이드 페어 할 수 있다. 트레이드 페어는 각기 다른 암호화폐들을 서로 맞 교환하는 거래이다. 또한 엔진지갑에서 사용자들은 거래소 마다 다른 시세와 속도 내용을 확인 및 비교하여 최적의 거래를 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무엇보다, 이번 엔진지갑의 탈중앙화 거래소 내장 기능 제공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자산에 대한 거래 가치를 확보하는 과정이 훨씬 간편해졌다는 평가다. 기존에는 지갑 안에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거래하기 위해서 여러 거래소의 플랫폼을 거쳐 시세 확인한 후, 좋은 시세를 가지고 있는 거래소의 지갑 주소로 코인을 이동 시켜 거래를 진행했다. 반면에 이번 엔진 스마트 월렛에 들어간 탈중앙화 거래소 기능으로 암호화폐 지갑에서 간편하게 코인을 거래, 구매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시세 확인이 가능해졌다. 엔진의 CEO 막심 블라고프(Maxim Blagov)는 "카이버 네트워크, 체인질리, 뱅코르와 협력해 엔진 지갑에서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아이템 거래를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며, "우리는 암호화폐가 현실 세계에 가져다 줄 공동의 비전을 공유하며, 각자가 서로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같이 손에 잡히는 실사용 사례에 필요한 솔루션을 만들어 내는 액티브 빌더(active builder)들과의 협업만큼 의미 있는 일은 없다"며, "지속적인 협력으로 시장에 생명을 불어넣어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암호화폐 시장을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엔진사는 엔진코인 플랫폼과 ERC-1155 크립토 토큰 표준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캐릭터와 아이템이 여러 게임 세계를 오가며 사용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다중 게임 세계(멀티버스, multiverse)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엔진코인플랫폼과 ERC-1155토큰표준안을 채택한 서비스와 게임은 30개로 늘어난 상황이다. 비니스튜디오 (Beany Studio), 브렉스랩 (VREX Lab), 에이지 오브 러스트(Age of Rust), 워 오브 크립토(War of Crypto), 9라이브즈 아레나(9Lives Arena), 크립토파이트(Crypto Fights), 캣츠 인 메크(Cats in Mechs), 포레스트 나이트(Forest Knight), 본 투 더 스카이(Born to the Sky), 헬리헌터(Helihunter), 비트코인 호들러(Bitcoin Hodler), 스코어11(Score 11), 헥스월드(HEX World), 리바운스(Rebounce), 디스럽션(Disruption) 등이 엔진 플랫폼을 채택했다. 한편, 엔진사는 엔진코인 플랫폼과 ERC-1155 토큰 표준안 기반의 블록체인 캐릭터와 아이템을 검색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검색서비스인 ‘엔진엑스(EnjinX)’의 업그레이드 버전을 서비스할 예정이다. 이미 지난 28일 블록체인 검색 서비스 중 가장 빠른 검색 성능을 가진 블록체인 검색기인 ‘엔진X’을 출시한 바 있다. 엔진엑스는 블록체인 데이터 내용을 한국어로 확인할 수 있어 한국 사용자에게 특히 편리하고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크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15개 이상의 언어와 여러 국가 통화표시 기능도 제공해 전 세계 사용자들의 사용 편의성을 높였다. 엔진팀은 엔진엑스를 블록체인계의 구글로 만들기 위해 ERC-721, ERC-1155, 비트코인, 라이트코인, 도지코인 등 상위 블록체인 플랫폼에 있는 모든 블록체인 자산 데이터가 검색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자산을 쉽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해, 빠른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암호화폐 시장 거래에 있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 # # 엔진(Enjin Pte Ltd.) 소개전 세계 2천 만명의 게이머가 사용하는 25만개의 온라인 게임 커뮤니티(엔진 네트워크) 플랫폼과 가상 재화 거래 플랫폼을 제공하는 소셜 게이밍 플랫폼 기업이다. 2009년 개발자 출신의 막심 블라고프(Maxim Blagov, 현 엔진 CEO)와 비텍 라돔스키(Witek Radomski, 현 엔진 CTO)가 싱가폴에서 설립됐다. 엔진 네트워크에서는 매월 6000만건의 글로벌 뷰와 수백만 달러의 게임 아이템 거래가 이뤄지고 있다.웹사이트 : enjincoin.io본사 주소 : #33-03 Hong Leong Building, 16 Raffles Quay 048581 , Singapore
-
시그마체인, 글로벌 10위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온베이와 MOU 체결
시그마체인, 글로벌 10위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온베이와 MOU 체결시그마체인의 토탈 블록체인 플랫폼 ‘퓨처피아’가 발행하는 ‘퓨처피아 코인(FPC)’과 퓨처피아 기반의 모든 토큰이 세계 10위권의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에 상장된다. 블록체인 기술기업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태국 기반의 국제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온베이(Bitonbay)와 코인 및 토큰 상장 계약을 포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시그마체인의 토탈 블록체인 플랫폼 ‘퓨처피아’가 발행하는 ‘퓨처피아 코인(FPC)’과 퓨처피아 기반의 모든 토큰을 비트온베이에 단계적으로 상장하는 동시에, 블록체인 비즈니스 활성화 및 시그마체인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전방위적으로 협력한다는 것이 MOU의 주요 골자다. 시그마체인과 손을 잡은 비트온베이는 암호화폐 거래량 기준 전 세계 10위권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 블록체인 산업이 가장 활성화된 태국을 기반으로 코인 거래, OTC 장외 거래, 선물, 옵션거래, 마진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시그마체인은 이번 MOU를 통해 세계적인 규모의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에 퓨처피아 코인과 퓨처피아 기반의 모든 토큰을 전격 상장시킴으로써 대외 신용도 및 지명도를 제고하고 자금 조달 기반을 탄탄히 할 수 있게 됐다. 또, 비트온베이의 글로벌 네트워크와 마케팅 역량을 발판 삼아 시그마체인 생태계의 글로벌 확산 역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퓨처피아 코인은 서비스가 출시되는 오는 3월 이후 비트온베이에 공식 상장될 예정이며, 정확한 일정은 양사가 추후 협의키로 했다. 퓨처피아 기반 디앱들의 토큰은 발행 일정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장될 계획이다.퓨처피아는 시그마체인이 개발 중인 토탈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디앱의 제작 및 운영에 필요한 범용적인 기능들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는 API는 물론, 채팅〮게시판〮화상통화〮파일공유〮 방송 등 회원 확보 및 소통에 필수적인 기능까지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디앱의 토큰과 퓨처피아 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자체 거래소와 코인 홀더 및 퓨처피아 에코시스템이 디앱에 투자해주는 ‘상생의 코인이코노미’를 구축한 점도 돋보인다. 빠르고 안정적이라는 점 또한 퓨처피아의 장점. 시그마체인이 독자 개발해 퓨처피아에 적용한 메인넷은 지난해 9월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가 공인한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부터 30만 TPS(초당 거래량)의 처리 속도를 공식 인증 받은 바 있다. 현재, 국내외 20여 개 기업이 시그마체인 메인넷을 사용해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세계적인 위상의 암호화폐 거래소인 비트온베이에 상장 됨으로써 퓨처피아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인정 받았다고 본다”며, “기술력과 거래량을 모두 갖춘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소에 지속적으로 퓨처피아 코인과 기반 토큰을 상장시키며 이더리움과 이오스(EOS)의 뒤를 잇는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퓨처피아의 가치를 높여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그마체인은 1세대 벤처 성공신화를 이끌었던 IT 업계 키맨들이 주축이 돼 설립한 블록체인 기술기업이다. 분야별 맞춤 설계가 가능한 자체 메인넷을 다양한 기업에 공급해 이를 바탕으로 SNA(시그마체인 네트워크 얼라이언스)라는 독자적인 블록체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블록체인 플랫폼 프로젝트 ‘퓨처피아’를 추진 중이다.
-
코인제스트,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경찰 간담회 개최
코인제스트,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경찰 간담회 개최 - 코인제스트, 1월 29일 보이스피싱 담당 수사관 20여명과 보이스피싱 예방 및 검거 위한 간담회 개최- 코인제스트,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수사기관과 협력방안 논할 것”(캡션) 질의응답을 하고 있는 성태남 코인제스트 IT운영팀장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제스트(대표 전종희)는 지난 29일 서울시 관내 경찰서의 보이스피싱 담당 수사관 20여명과 함께 코인제스트 본사에서 보이스피싱 예방 및 검거를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금번 간담회는 보이스피싱 예방 및 검거를 위해서는 거래소와 수사기관이 서로 협조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호간 구체적인 협력 방안들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코인제스트에서는 거래소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및 해킹 방지를 위한 정책적인 부분과 시스템상 기술적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참석한 수사관들은 해당 사건 발생 시 경찰측 대응 프로세스를 설명함과 동시에 거래소가 추가적으로 조치할 부분들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코인제스트는 암호화폐 거래소가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본인인증 절차인 KYC(Know Your Customer)부터 FDS(Fraud Detection System; 이상금융거래탐지시스템)등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거래소의 업무처리 절차에 대한 일선 수사관들의 이해를 도왔다.이에 따라 참석한 수사관들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기존 프로세스 외에 무엇을 보완해야 하는 지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특히, 한 수사관은 “보이스피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신속하게 범죄 패턴을 잡을 수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최근에는 보이스피싱 액수가 고액에서 소액으로 변화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세밀한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보이스피싱 조직들이 국내거래소를 통해 해외거래소로 자금유출을 시도하고 있어 국내거래소와 해외거래소간 범죄예방을 위한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코인제스트 성태남 IT운영팀장은 “거래소는 변화하는 보이스피싱 형태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다.”고 답변했다.이번 간담회를 주관한 코인제스트 남완우 법무팀장은 “보이스피싱 예방과 검거를 위하여 수사기관과 더욱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고 주기적으로 수사기관과 협력방안을 논할 것이다”고 말했다.
-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캐스퍼 버전 이더리움 출현 가능"
▲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캐스퍼 버전 이더리움 출현 가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에이엠비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이더리움 핵심 개발자 블라드 잠피르(Vlad Zmfir)가 “블록체인 스타트업 캐스퍼랩(Casper Labs)이 캐스퍼 프로토콜 기반 퍼블릭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해당 체인은 PoS 합의 알고리즘 프로젝트의 고도화된 블록체인으로, 향후 캐스퍼 버전의 이더리움이 나올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앞서 캐스퍼랩은 2,000만 달러 규모 자금을 조달했으며 블라드 잠피르 캐스퍼 프로토콜 개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美 뉴햄프셔주, 암호화폐 세금 징수 허용 법안 상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미국 뉴햄프셔주가 거주민 암호화폐 세금 납부 허용을 골자로 한 법안 초안을 상정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주 하원 집행 부서 및 행정 분과위원회는 만장일치로 법안(House Bill 470)을 통과시켰다. 해당 법안은 뉴햄프셔주 세무국 등 국가급 기관이 암호화폐로 세금을 징수하는 것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았다. 또한 행정 분과위원회는 주소 입력 오류 등으로 거래 실패 등이 발생할 경우에도 주 당국이 원활하게 세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법적 조치를 추가하는데 합의했다. 이와 관련 캐롤 맥과이어(Carol Mcguire) 분과위원회 위원은 "해당 법안은 현재 비준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로, 향후 암호화폐 세금 납부 관련 대략적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람다256–이포넷, 블록체인 기반 기부 플랫폼 공동 개발 MOU 체결
람다256–이포넷, 블록체인 기반 기부 플랫폼 공동 개발 MOU 체결람다256과 이포넷이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기부 플랫폼 공동개발 및 기부문화 확산에 나선다.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Lambda)256과 금융 시스템 전문 개발업체 이포넷(E4Net)은 1월 31일 기부 플랫폼 공동개발과 관련한 MOU를 맺었다고 밝혔다.이번 MOU 체결로 이포넷은 람다256의 차세대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 ‘루니버스‘를 기반으로 기부 플랫폼 개발 및 확산에 나선다. 기부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은 이포넷, 블록체인 기반 기술지원 및 서비스 플랫폼 제공은 람다256이 책임진다.이포넷은 2018년 초부터 ‘체리‘라는 이름의 기부 서비스 플랫폼 개발에 나서 마무리 작업 중이며 이번 MOU와 함께 루니버스를 통해 체리를 1분기 중 정식 선보일 예정이다.기부 플랫폼 체리는 앱을 깔고 사용자 인증을 받으면 다양한 기부 단체와 개인들을 지원할 수 있다. 토큰을 충전해 놓고 필요할 때 자신이 선택한 다양한 단체나 개인에 기부할 수 있는 종합 기부 쇼핑몰 성격의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으로 운영돼 기부자와 기부단체가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부 거래를 맺을 수 있어, 건전한 기부 환경 구축 및 기부 문화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이포넷은 체리 플랫폼이 기부 문화 확산이라는 공공성을 갖고 있는 만큼 기본 수수료를 전혀 부과하지 않을 계획이다. 람다256은 체리가 블록체인 대중화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점에 공감해 루니버스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이포넷 이수정 대표는 “체리를 통해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다양한 단체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기부를 할 수 있는 투명한 디지털 기부 환경을 제공하고 싶다“며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돼 확산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기부 산업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람다256 박재현 소장은 “투명한 기부 문화 구축과 확산에 블록체인 기술은 매우 유의미하다고 생각하며, 많은 대중들의 기부 경험을 통해 블록체인의 대중화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루니버스는 블록체인을 통한 사회 공헌 활동 분야에 다양한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이포넷은 1995년 설립된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로 24년동안 금융 지급결제 시스템 구축을 전문으로 해왔다. 2018년 초 자체 블록체인연구소(M-BRANE)을 설립하고 블록체인 기술개발 및 비즈니스에 적극 나서고 있다.한편, 람다256은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 및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지난 5월 설립되었으며, 12월부터 루니버스 플랫폼 사전 프로모션을 진행 중에 있다.
-
반에크, 비트코인 ETF 승인 제안서에 30여 개 내용 추가
▲ 반에크, 비트코인 ETF 승인 제안서에 30여 개 내용 추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Coingape)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와 반에크솔리드X(VanEck SolidX)가 지난 1월 31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다시 제출한 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제안서에 30여 개 내용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가버거박스(Gabor Gubacs) 반에크 디지털자산전략 이사는 미국 경제 미디어 CNBC와의 인터뷰에서 "당국의 규정 및 투자자 피드백 등을 충분히 고려해 제안서를 수정했다"며 "지난해 6월 비트코인 ETF 승인 제안서를 처음 제출한 이후 진행된 광범위한 논의를 바탕으로 30여 개 내용을 추가, 제안서에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월 23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는 셧다운 장기화 우려 속 반에크솔리드X 비트코인 ETF 상장 신청을 철회하는 문건을 SEC측에 제출한 바 있다.▲ CME·CBO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 역대 최저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가 암호화폐 거래 정보 사이트 트레이드블록(TradeBlock) 통계를 인용, 미국 시카고 상품 거래소(CME)와 미국 시카고옵션 거래소 (CBO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이 2017년 출시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CM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은 지난해 7월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감소세로 전환, 같은 해 12월 기준 2017년 12월 출시 이래 최저 수준까지 감소했다. CBO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은 2018년 1월 이후 전반적인 감소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코인베이스, 잇비트, 크라켄, 비트스탬프, 제미니 등 미국 5대 거래소 비트코인 현물 거래량도 한때 200억 달러 수준에서 최근 50억 달러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리플 고위 경영진 "남아시아·메나 지역, 리플 도입 증가"
▲ 브라질 대통령, 블록체인 옹호론자 중앙은행 총재 후보 추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최근 자이르보우소나루(Jair Bolsonaro) 브라질 대통령이 현지 블록체인 대표 옹호론자인 로베르토캠포스네토(Roberto Campos Neto)를 중앙은행 총재 후보에 추천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로베르토캠포스네토 총재 후보는 현재 국회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가치 창출 능력 및 중앙은행 업무 기술 활용 의지를 적극 피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회 승인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로베르토 캠포스네토 총재 후보는 3월 총재직에 공식 취임한다.▲ 리플 고위 경영진 "남아시아·메나 지역, 리플 도입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Bitcoinexchangeguide)에 따르면 나빈 굽타(Navin Gupta) 리플 남아시아 및 메나(MENA, 중동과 북아프리카 합성어) 지역 담당 이사가 "글로벌 유수 은행이 리플 네트워크 가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올해 남아시아 및 메나 지역 금융 기관 리플 도입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리플 솔루션은 남아시아와 메나 지역의 낙후된 금융 시스템을 개선할 것"이라며 "최근 해당 지역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규제 정립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리플 도입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리플은 글로벌 송금 및 지급 결제 서비스 지원 업체로, 기존 SWIFT 시스템 대비 이체 속도가 빠르고 수수료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8년 2월 UAE 주요 은행인 아부다비 국립은행(Abu Dhabi National Bank)의 리플넷 가입 이후 최근까지 전 세계 100여 개 글로벌 유수 금융 기관이 리플 진영에 합류했다. 이번 달 초에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의 자오창펑(Changpeng Zhao) CEO가 리플의 송금 솔루션 엑스레피드(xRapid) 이용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