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2.0 연구, 1년 전 돌파구 찾았다"
▲ 암호화폐 전문가 "BSV, 의미없는 블록용량 확장"21일(현지 시간) 비트코인SV(BSV, 시가총액 11위) 개발팀이 클라이언트 0.2.0 버전을 공개하며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쉴드 소속 보안 전문가 제프 리우(Jeff Liu)는 "BSV 네트워크 내 거래 수요는 크지 않다. 기존 128MB 블록 용량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블록 용량을 1GB 혹은 10GB까지 확장해봐야 수요가 그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의미없는 업그레이드로 이를 통해 네트워크 및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더파이넥스 공동창업자 "美 규제당국, 거래소에 칼끝 겨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The Block)에 따르면, 최근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이더파이넥스의 공동 창업자인 윌 하번(Will Harborne)이 "비트파이넥스가 최근 뉴욕 검찰총장실의 타겟이되며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지만, 미국 규제기관이 주시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비트파이넥스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규제 당국은 비트파이넥스를 조사하며 어떠한 성명을 준비하고 있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들 모두 규제당국의 이 같은 칼 겨누기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2.0 연구, 1년 전 돌파구 찾았다"최근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이더리움 개발팀은 약 1년 전부터 이더리움 2.0 구현을 위한 연구에 모든 돌파구를 마련해놨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 소재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아다먼트 캐피탈(Adamant Capital)의 공동 창업자인 투르 디미스터(Tuur Demeester)는 이더리움의 3,000만 달러 규모 생태계 투자 기사와 관련해 "돈으로는 기술적인 돌파구를 찾을 수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CH 네트워크서 첫 슈노르 기반 멀티시그 거래 성사
▲ FATF, 내달 암호화폐 기업 규제 국제표준 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최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회원국 소재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을 규제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을 다음달 확정 및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FATF의 새로운 국제 표준은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서비스 제공 업체 등에 적용될 전망이다. FATF이 제시하는 국제 표준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국가들은 암묵적으로 글로벌 경제의 외면을 받는다. 또한 이번에 제정될 국제 표준은 전통 은행업계의 KYC 데이터 관련 표준인 트래블 룰(travel rule)에 준하는 수준으로 단순히 KYC 및 AML 규정을 넘어서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될 것이라는 게 FATF 측의 설명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미 재무부 산하 테러 금융 정보 책임자인 시갈 맨델커의 발언을 인용 FATF의 규제 표준안이 다음달 발표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댄 라리머 "지분 매입이 자금 회수? 블록원 모든 자금 보유중"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5위) 창시자가 EOS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한가지 분명한 것은, 블록원은 앞서 밝힌 모든 자금을 보유중이며, 자금 회수는 이뤄진 바 없다"고 밝혔다. 한편, EOS 개발사 블록원의 CEO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는 갤럭시 디지털의 블록원 지분 부분 매각에 대해 "갤럭시 디지털은 여전히 블록원 지분을 보유중이며, 블록원과 마이크 노보그라츠(Mike Novogratz) 갤럭시 디지털 CEO는 긴밀한 관계를 유지중"이라며 "우리는 EOSIO 소프트웨어 성능 개선과 최적화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용량, 한달 사이 3.46%↓비트코인 라이트닝 네트워크 전문 데이터 제공 사이트 1ml에 따르면에 따르면, 22일 2시 45분 기준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용량이 1,021.75 BTC(약 813만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30일 전 대비 3.46% 감소했다. 활성화 채널 수는 전월 대비 4.5% 감소한 36,585 개로 지속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4시간 신규 노드 수 역시 15% 감소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는 "BTC 라이트닝 네트워크 관련 통계 수치가 전반적인 감소세를 나타내며 빛을 잃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BCH 네트워크서 첫 슈노르 기반 멀티시그 거래 성사중국 비트코인캐시(BCH, 시가총액 4위) 커뮤니티 비트코인캐시즈쉰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캐시 네트워크에서 첫 슈노르 서명 기반 멀티시그(multisig) 거래가 성사됐다. 지난 18일(현지 시간) 독립 BCH 개발자 마크 런더버그(Mark Lundeberg)와 BCH 풀노드 BCHD 개발자 크리스 파샤(Chris Pacia), 또 독립 채굴자 한명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슈노르 서명을 통한 멀티시그 거래로 미국에서 종신형을 살고 있는 다크웹 최대 규모 암시장 사이트 실크로드의 창업자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를 위한 기부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BCH 커뮤니티는 지난 5월 15일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통해 슈노르 서명 및 세그윗 복원 등 기능을 네트워크에 추가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BCH는 현재 2.54% 오른 416.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토큰소프트 대표, 美 SEC 블록원 자사주 매입 권고 가능성 제기
▲ 비트코인 ATM, 전세계 4,840대암호화폐 ATM 데이터 제공 사이트 코인ATM레이더(Coinatmradar.com)에 따르면, 22일 오후 4시 기준 비트코인 ATM이 77개 국가에 걸쳐 총 4,840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 간 302대 증가했다.▲ 저스틴 선 "암호화폐 애플리케이션, 높은 진입장벽이 문제"최근 저스틴 선 트론(TRX, 시가총액 12위) 창시자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롱해시(LongHash)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애플리케이션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규 이용자에게 친절하지 않다는 것이다. 높은 진입장벽 때문에 사용자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날 "사람들은 암호화폐가 세상의 모든 것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착각하는 경향이 있다. 현실적으로 탈중앙화 기술을 도입할 가능성이 가장 큰 분야는 게임 및 금융업계다. 모든 산업이 블록체인을 도입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인 낙관론"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IEO에 대해 저스틴은 "최근 암호화폐와 관련이 없는 전통 기업들까지 암호화폐를 발행하고 있다. 이는 2017년 ICO 붐을 연상시키게 한다. 프로젝트의 가치를 판단할 때는 토큰의 기능을 우선적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러 암호화폐 채굴업체, 시베리아서 채굴 사업 추진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최근 러시아 소재 암호화폐 채굴업체 크립토유니버스(CryptoUniverse)가 공식 채널을 통해 올해 내 극동 시베리아 지역에 암호화폐 채굴 센터를 설립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또 해당 시설은 암호화폐 채굴 외에도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기업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를 출시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포브스 소속 애널리스트는 "지리적 이점 및 에너지 비용을 고려할 때 시베리아는 암호화폐 채굴에 매우 적합한 지역"이라고 덧붙였다.▲ 토큰소프트 대표, 美 SEC 블록원 자사주 매입 권고 가능성 제기블록체인 스타트업 토큰소프트(Tokensoft) 대표 메이슨 볼다(Mason Borda)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블록원이 초기 투자자들이 보유한 블록원 지분을 다시 사들인 원인으로 3가지 가능성을 제시했다. 1. 블록원 내부 변호사의 규제 준수 권고2.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최종 결정에 대비한 개선 항목3. SEC의 권고 사항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댄 라리머 "ICO 조달 자금의 25%, EOS VC에 투자...블록원 EOS 보유량 최대 한도"
▲ ELA, 中 보안업체 노운섹과 파트너십 체결22일(현지 시간) 엘라스토스(ELA, 시가총액 98위)가 공식 채널을 통해 중국 네트워크 보안업체 노운섹(Knownsec)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노운섹은 다중 방어 시스템 및 클라우드, 빅 데이터 기술을 활용, ELA 측에 보안 전문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양측은 엘라스토스 퍼블릭 체인 상의 데이터 레이어, 네트워크 레이어, 합의 알고리즘 레이어, 보상 레이어, 컨트랙트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걸쳐 전방위적인 보안 검증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후 블록 관련 데이터, 체인 구조, 검증 메커니즘, 스크립트 코드, 스마트 컨트랙트, 서비스 로직, 메인 및 사이드 체인 노드 및 크로스체인 등 방면까지 보안 강화 작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ELA는 현재 7.48% 오른 3.7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메인, 5nm 칩셋 연구 및 개발 착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오데일리(odaily)에 따르면, 장즈화(江志华) 비트메인 앤트마이너 시장 총괄이 "비트메인은 현재 5nm 칩셋의 연구 및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다만, 현재의 기술과 경제적 효율을 고려했을 때 향후 2~3년 간은 7nm 칩셋 기반 암호화폐 채굴기가 시장을 점유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댄 라리머 "ICO 조달 자금의 25%, EOS VC에 투자...블록원 EOS 보유량 최대 한도"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5위) 창시자와 블록원의 CEO 브렌단 블러머(Brendan Blumer)가 EOS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아래의 내용으로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Q1: 블록원은 ICO 기간 동안 조달한 40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자사주 매입이 아닌 댑 개발 지원에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댄: (우수 댑 프로젝트들을 대상으로 한) EOS VC에 10억 달러를 투자했다. 그외에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소셜 미디어에도 투자 중이다. Q:2 왜 EOS를 매입하지 않는가? 댄: 이는 블록원이 총 발행량의 10% 이상을 보유할 수 없기 때문이며, EOS의 탈중앙화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Q3: 왜 14만 BTC를 보유하고 있는가? 댄: 그렇다면 모든 자금을 은행에 맡기길 원하는가? 브렌단: 우리는 이미 최대 한도로 EOS를 보유하고 있으며, EOS 토큰 외 자산은 법정화폐, 기타 암호화폐 등 혼합 포트폴리오를 통해 보관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FATF, 내달 암호화폐 기업 규제 국제표준 제시
[CME "5월, BTC 선물 거래량 역대 최대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가 21일 클라이언트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5월은 CME 비트코인 선물거래에 있어 가장 강력한 한 달이 될 것(the strongest month ever)"이라고 언급했다. CME 비트코인 선물 거래량은 지난 13일 33,677건(약 13억 달러 규모)을 기록해 역대 최대 하루 거래량을 경신한 바 있다. 비트코인 선물 일평균 거래량도 5월 들어 사상 최대치인 1만 4,000건을 기록했으며 CME 비트코인 선물거래 계좌도 사상 최대 규모인 2,500개를 넘어섰다.[美 변호사 "크레이그 라이트 BTC 백서 저작권, 전혀 무의미"]CNBC 크립토트레이더쇼(Cryptotrader show) 호스트인 랜 노이너(Ran NeuNer)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업계가 크레이그 라이트의 최근 행보를 과소평가하고 있다. 그가 BTC 코드와 백서에 대한 저작권을 부여받으면(awarded copyright) 사람들의 BTC 사용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미국 입법 및 금융 전문 변호사 제이크 체르빈스키(Jake Chervinsky)는 "이는 말도 안된다. 미국 법률에 저작권을 부여받는다는 말은 없다. 저작권청에 등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실익은 법적 피해 및 변호사 수임료에 대한 '소송 권한' 뿐이다. 크레이그 라이트의 저작권 등록은 무의미한 연극일 뿐이다"라고 지적했다.[FATF, 내달 암호화폐 기업 규제 국제표준 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최근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가 회원국 소재 암호화폐 관련 기업들을 규제하기 위한 새로운 국제 표준을 다음달 확정 및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FATF의 새로운 국제 표준은 암호화폐 거래소, 지갑 서비스 제공 업체 등에 적용될 전망이다. FATF이 제시하는 국제 표준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국가들은 암묵적으로 글로벌 경제의 외면을 받는다. 또한 이번에 제정될 국제 표준은 전통 은행업계의 KYC 데이터 관련 표준인 트래블 룰(travel rule)에 준하는 수준으로 단순히 KYC 및 AML 규정을 넘어서는 엄격한 규칙이 적용될 것이라는 게 FATF 측의 설명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미 재무부 산하 테러 금융 정보 책임자인 시갈 맨델커의 발언을 인용 FATF의 규제 표준안이 다음달 발표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갤럭시 디지털, 블록원 지분 부분 매각...123% 수익]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전문 투자운용사 갤럭시 디지털 홀딩스가 블록원 지분 일부를 매각해 7,120만 달러를 벌어들여 수익률 123%를 기록했다고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해당 매각은 EOS 개발사 블록원의 지분 재매입에 따른 것으로, 매입가는 주당 1,500 달러이며 블록원 자사주 평가액은 23억 달러다. 블룸버그는 지난 2017 시드 라운드 당시 블록원 주당 가치가 22.5 달러, 기업가치는 4,000만 달러로 평가된 바 있다고 전했다.['비트코인 피자 데이' 8주년, 비트코인 가격 200만 배↑]▲ 5월 22일 1만 BTC로 파파존스 피자 두 판(41 달러 상당)을 구매해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통해 현물을 구매한 '비트코인 피자 데이'가 오늘로 8주년을 맞이했다. 당사자인 미국 플로리다 소재 프로그래머 라스즐로 핸예츠(Laszlo Hanyecz)는 작년 2월에도 라이트닝 네트워크를 사용해 0.00649 BTC로 다시 한번 피자 두판을 구매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1만 BTC는 현재 79,529,900 달러로, 같은 가격의 피자 388만 판을 구매할 수 있다.[암호화폐 전문가 "BSV, 의미없는 블록용량 확장"]21일(현지 시간) 비트코인SV(BSV, 시가총액 11위) 개발팀이 클라이언트 0.2.0 버전을 공개하며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테스트를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쉴드 소속 보안 전문가 제프 리우(Jeff Liu)는 "BSV 네트워크 내 거래 수요는 크지 않다. 기존 128MB 블록 용량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블록 용량을 1GB 혹은 10GB까지 확장해봐야 수요가 그에 미치지 못한다면 이는 의미없는 업그레이드로 이를 통해 네트워크 및 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없다"고 지적했다.[BCH 네트워크서 첫 슈노르 기반 멀티시그 거래 성사]중국 비트코인캐시(BCH, 시가총액 4위) 커뮤니티 비트코인캐시즈쉰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캐시 네트워크에서 첫 슈노르 서명 기반 멀티시그(multisig) 거래가 성사됐다. 지난 18일(현지 시간) 독립 BCH 개발자 마크 런더버그(Mark Lundeberg)와 BCH 풀노드 BCHD 개발자 크리스 파샤(Chris Pacia), 또 독립 채굴자 한명이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슈노르 서명을 통한 멀티시그 거래로 미국에서 종신형을 살고 있는 다크웹 최대 규모 암시장 사이트 실크로드의 창업자 로스 울브리히트(Ross Ulbricht)를 위한 기부금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BCH 커뮤니티는 지난 5월 15일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통해 슈노르 서명 및 세그윗 복원 등 기능을 네트워크에 추가한 바 있다.[다이어 "올해 테더 거래량 1.3조 달러...지난해 거래량 추월"]암호화폐 전문 분석 기관 다이어(Diar)가 21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올해 테더(USDT) 거래량이 1.3조 달러에 달해, 이미 지난해 거래량을 넘어섰다"며 "테더의 준비금 투명성 논란은 트레이더가 이 스테이블코인을 포기하는 이유가 되지 못했으며, USDT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가장 높은 유동성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한편 "5월 USDC, TUSD 거래량이 각각 전달 대비 130%, 36% 증가한, 36억 달러, 38억 달러를 기록하며, 테더 외 스테이블코인 또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댄 라리머 "EOS 파트너십 대상에 애플, 정부 없어"
▲ 크라켄, 우선주 판매 목표 조달액 1545만 달러로 상향 조정투자 플랫폼 Bnk to the Future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이번 개인 투자자 대상 우선주 판매로 목표하는 조달액을 기존 1,020만 달러에서 1,545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우선주 판매 물량을 전체 지분 0.255%에서 0.3862%로 확대한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827명이 투자자가 우선주 구매해 참여해 911.47만 달러를 조달, 목표 조달액의 58%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주 판매 기간은 30일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더블록의 보도를 인용 "크라켄이 1,000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이용자는 크라켄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배포하며 오는 6월 20일까지 자사 우선주를 판매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BFT -0.95%▲ 크립토피아 해커 주소, 4,383 ETH 거래소로 이체암호화폐 트랜잭션 추적 사이트 웨일 알러트(Whale Alert)의 공식 트위터 계정에 따르면, 22일 오후(한국 시간) 뉴질랜드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를 공격한 해커 주소에서 4,383 ETH가 거래소로 이체됐다. 383 ETH는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후오비에, 4,000 ETH는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이더델타(EtherDelta) 주소로 이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해커 주소는 빼돌린 자금을 주로 이더델타와 후오비로 이체해 현금화 기회를 노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00 ETH를 넘지 않는 소액은 후오비로, 최소 500 ETH 단위의 자금 이동은 이더델타를 선택했다.▲ 댄 라리머 "EOS 파트너십 대상에 애플, 정부 없어"댄 라리머 이오스(EOS, 시가총액 5위) 창시자가 EOS 공식 텔레그램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파트너십 대상에 애플(Apple)과 정부(governmet)는 없다. 2. 신분 인증 시스템 'identity oracle'을 통해, EOS는 매우 강력한 플랫폼으로 부상할 것이다. 3. 블록원은 모든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4. 오는 6월, 보다 다양한 코드(code)를 선보일 것이다. 5. 우리는 아직 마케팅을 시작하지 않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獨 IT 업체 '폰톤', 블록체인 전력거래 플랫폼 정식 출시
▲ 글로벌 매거진 창업주 “XRP, 기존 금융 생태계 바꿀 혁신 키워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데일리(Crypto Daily)에 따르면 암호화 자산 및 라이프 스타일을 다루는 글로벌 매거진 Gokhshtein의 David Gokhshtein 창업주가 “XRP가 기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완벽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글로벌 주요 은행이 자체 스테이블 코인 출시를 잇달아 추진하는 등 암호화폐 사업 확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들 기관은 자체 코인 개발보다 XRP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XRP를 통해 기존 금융 기관은 한 단계 더 성장하고 업계 생태계 전반적인 발전도 보다 빨리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中 알리바바 산하 블록체인 플랫폼, 40개 정부 기관 도입중국 대표 IT 기업 알리바바 산하 온라인 금융 사업 총괄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의 앤트블록체인 플랫폼이 이미 현지 40개 정부 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중국 경제 미디어 증권일보가 보도했다. 이와 관련 장궈페이 앤트파이낸셜 부총재는 “앤트블록체인 플랫폼이 항저우 인터넷 법원 등 정부 기관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며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 도입 이후 업무 효율성이 두 배 이상 향상됐다"고 강조했다.▲ 獨 IT 업체 '폰톤', 블록체인 전력거래 플랫폼 정식 출시독일 IT 업체 폰톤(Ponton)의 마이클 멜츠(Michael Mertz) 상무이사가 글로벌 에너지 분야 정보분석업체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플라츠(S&P Global Platts)'와의 인터뷰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전력거래 플랫폼 에너체인(Enerchain)을 출시했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에너체인은 전력 기업 대상 P2P 에너지 거래를 지원할 계획이다. 앞서 2017년 에너체인은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전력 시범 거래에 성공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러시아 예탁결제기관, 내달 디지털 자산 원장 프로젝트 출시
▲ 브레이브 브라우저, 웹3.0 브라우저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crypto에 따르면 블록체인 브라우저 브레이브(Brave)의 창립자 브렌든 에이치(Brendan Eich)가 수개월 내 웹3.0 브라우저를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웹 3.0은 블록체인, 탈중앙화 컴퓨팅, 암호화폐를 결합한 지능형, 개방형, 분산형 웹이다. 한편 브레이브 브라우저는 ERC-20 토큰 베이직어텐션토큰(BAT)를 활용하며, 최근에는 투자 유치를 진행하면서 기업가치 1억 3,300만 달러를 평가 받은 바 있다.▲ 일본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2개월간 신규 계좌 수 200%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일본 3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Bitpoint, DMM Bitcoin, Coincheck 공동 데이터 집계를 인용, 지난 3월 이래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신규 계좌 수가 200% 이상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 중 Bitpoint의 일평균 신규 계좌 수는 3월 대비 약 3배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DMM은 2배, Coincheck는 3배 증가했다.▲ BSV 기축 암호화폐 거래소, 3종 BTC 페어 거래 상장폐지암호화폐 거래소 플로트SV(Float SV)가 거래량 부족으로 BTC / USDT, BTC / USDC, BTC / TUSD 상장 폐지를 결정했다고 공지했다. 해당 거래 서비스는 오는 24일 아침 9시부터 중단된다. 플로트SV는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모기업인 OK그룹 고문이자 릴레이X(RelayX) 창업자인 잭 리우(Jack C. Liu)가 OKEx와 협력해 설립한 BSV 기축 마켓 지원 암호화폐 거래소다.▲ 러시아 예탁결제기관, 내달 디지털 자산 원장 프로젝트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러시아 예탁결제기관(NSD)이 내달 디지털 자산 원장 프로젝트인 D3(Decentified Digital Depository)를 스위스에서 출시한다. 이용자들은 D3를 통해 암호화 자산 소유권을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NSD 기술혁신 담당 아르템 두바노프(Artem Duvanov)는 "스위스는 암호화 자산 관련 규제 환경이 우호적이고 시장 잠재력도 높다”며 “향후 신뢰성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추가, 암호화폐 장외거래(OTC) 서비스를 추진하고 쌍방향 거래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남아공 암호화폐 거래소, 모바일용 월렛 출시
▲ 블록파이, BTC·ETH 이자율 변경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worldnews)에 따르면 최근 암호화폐 담보대출 업체 블록파이(BlockFi)가 BTC·ETH 이자율 변경 사항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ETH 이자율은 대폭 인하, BTC 이자율은 소폭 인상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5 BTC 이상 보유자는 2.15%(기존 2.0%) 이자율을 적용받으며 0.5~25 BTC 보유자는 기존 그대로 6.2% 이자율(APY)을 적용 받는다. 25~100 ETH 보유자는 3.25%(기존 6.2%) 이자율(APY)이 적용되며 100 ETH 이상 보유자는 0.2% 이자율(APY)을 적용 받는다.▲ 피터 맥코막, 크레이그 라이트 최신 서한 공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crypto에 따르면 'What Bitcoin Did' 호스트이자 암호화폐 투자자인 피터 맥코막(Peter McCormack)이 크레이그 라이트 측 변호사로부터 최근 서한을 받았다. 이에 따르면 크레이그 라이트 측은 피터 맥코막이 변호사를 선임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 명예 훼손 소송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앞서 크레이그 라이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사토시이며 자신을 비난한 비탈릭부테린, 피터 맥코맥 등에게 명예훼손으로 고발한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남아공 암호화폐 거래소, 모바일용 월렛 출시온라인 금융 전문 미디어 파이낸스메그네이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남아공 소재 P2P 비트코인 거래 플랫폼 팍스풀(Paxful)이 모바일용 월렛을 출시했다. 해당 월렛은 안드로이드와 iOS 버전을 모두 지원하며 팍스풀 웹사이트와 호환이 가능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신용조합 컨소시엄 CU렛저, R3 코다 기반 국제결제상품 출시
▲ 러 암호화폐 자산 결의안, 의회 회기 내 채택 전망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중앙은행 부총재 올가 스코로보가토바(Olga Skorobogatova)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지시에 따라 암호화폐 자산 관련 결의안인 ‘디지털 금융 자산(DFA)’을 오는 의회 회기 내에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DFA 채택을 위한 충분한 준비를 마쳤다”며 “해당 결의안은 국가 측면에서 봐도 중요한 사안이며 새로운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있어 기반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DFA는 디지털 금융 자산 및 ICO 규제 내용을 포함한다. 2017년 푸틴 대통령이 2019년 7월 1일까지 암호화 자산 관련 법안 채택 데드라인을 제시하는 등 ICO 및 암호화폐 합법화 움직임 속 러시아 재정부에 의해 작성됐다. 해당 결의안은 지난해 5월 입법 절차를 밟았지만 채굴, 토큰 등 핵심 개념에 대한 설명과 정의가 부족하다는 여론에 입법 직전 재심사 단계로 돌아간 바 있다.▲ 해킹 피해 크립토피아 창업자, 신규 거래 상품 공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연초 해킹 공격을 받은 암호화폐 거래소 크립토피아(Cryptopia)의 창업자 아담 클락(Adam Clark)이 새로운 암호화폐 거래 상품 Assetylene을 출시했다. 최근 해킹 공격을 받은 거래소 창업주가 또 다른 금융 상품을 이토록 빨리 출시한 점에 대해 업계 일각에서 의문이 제기됐으나, 구인구직 사이트 링크드인 확인 결과 아담 클락은 지난해 2월 크립토피아를 떠난 것으로 보이며 최소 9개월간 Assetylene 개발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디어는 전했다. 한편 크립토피아는 연초 해킹 공격으로 약 1,600만 달러 상당 유출됐으며 5일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정식 중단했다.▲ 美 신용조합 컨소시엄 CU렛저, R3 코다 기반 국제결제상품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미국 덴버 소재 신용 조합 컨소시엄 CU렛저(CULedger)가 블록체인 컨소시엄 R3의 오픈 소스 블록체인 코다(Corda)를 바탕으로 한 국제 결제 상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CU렛저는 R3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시스템에 합류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유로폴, 암호화폐 익명 거래 서비스 업체 단속
▲ 암호화폐 커뮤니티, BTC 관련 문서에 '크레이크 라이트' 삭제 청원IT 전문 미디어 더넥스트웹(theNextWeb)에 따르면, 최근 '자칭 사토시' 크레이그 라이트의 비트코인 백서 저작권 사건과 관련해 청원 사이트 체인지(www.change.org)에 비트코인과 관련된 모든 문서에서 크레이그 라이트의 이름을 삭제하기 바란다는 청원이 올라왔다. 현재까지 184명이 해당 청원에 서명을 했으며, 청원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서명 목표 인원은 500명이다.▲ 비트파이넥스, 듀얼 프로토콜 기반 ETH·EOS 플랫폼 토큰 발행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가 듀얼 프로토콜 방식을 통해 자체 플랫폼 토큰 Unus Sed LEO를 발행한다고 공지했다. 이 중 6억 6,000만 개는 ETH 기반으로 발행되며 3억 4,000만 개는 EOS 기반으로 발행된다. 이와 관련 비트파이넥스 측은 해당 토큰 발행은 두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의 상호 운용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 편의성을 제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로폴, 암호화폐 익명 거래 서비스 업체 단속EU경찰기구인 유로폴(Europol) 홈페이지에 따르면 유로폴이 네덜란드 재정정보조사국(FIOD), 룩셈부르크 사법 당국 등과 협력, 암호화폐 익명 거래 서비스 업체 BestMixer.io 단속에 나섰다. BestMixer.io는 글로벌 3대 암호화폐 믹서 서비스 업체로, BTC, BCH, LTC 거래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믹서 서비스는 암호화폐 거래 관련 높은 익명성을 보장, 범죄 행위에 자주 악용된다. 해당 업체는 2018년 5월 정식으로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매출액은 최소 2억 달러다. 한편 FIOD는 2018년 6월에도 미국 사이버 보안 기업 맥아피(McAfee)와 협력해 네덜란드 및 룩셈부르크 내 BestMixer.io 보유 6개 서버에 대한 압수 수색을 진행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브라이언 켈리 "BTC, 공급량 감소 인해 가격 상승 전망"
▲ 美 CME·CBOE BTC 선물 7월물, 전날 대비 1%대↓22일(현지 시간)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7월물이 전날 대비 85 달러(-1.06%) 하락한 7,965 달러를 기록했다. 같은 날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비트코인 선물 XBT 7월물은 1.1% 내린 7,965 달러를 기록했다. CME 비트코인 선물은 지난 15일 8,225달러를 기록하며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바 있다.▲ 스위스 증권거래소 SIX, 스위스 프랑 연동 스테이블 코인 출시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스위스 증권 거래소의 운영사인 SIX 그룹이 스위스 프랑 연동 스테이블 코인 출시하여 SIX 디지털 자산 거래소(SIX Digital Exchange, SDX)서 지원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트닝 네트워크, 노드 8,400개 돌파블록체인 데이터 플랫폼 1ml.com에 따르면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노드와 채널이 각각 8,477개, 36,631개를 기록했다. 지난 30일 전과 비교해 각각 4.49% 증가, 4.30% 감소했다. 현재 라이트닝 네트워크의 수용량은 1,026.35 BTC이다.▲ 브라이언 켈리 "BTC, 공급량 감소 인해 가격 상승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BK 캐피털 매니지먼트(BKCM LLC) CEO 겸 창업자인 브라이언 켈리(Brian Kelly)가 한 인터뷰에서 "BTC의 공급량 감소로 인해 BTC 가격은 향후 수개월 내로 한차례 더 상승할 것"이라며 "수많은 채굴자들의 BTC 매집으로 인해 공급량은 감소하고 수요는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포트폴리오의 1%에서 5%는 암호화폐에 할당할 것을 권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크라켄, 우선주 판매 목표 조달액 1,545만 달러로 상향 조정
[中 알리바바 산하 블록체인 플랫폼, 40개 정부 기관 도입]중국 대표 IT 기업 알리바바 산하 온라인 금융 사업 총괄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의 앤트블록체인 플랫폼이 이미 현지 40개 정부 기관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중국 경제 미디어 증권일보가 보도했다. 이와 관련 장궈페이 앤트파이낸셜 부총재는 “앤트블록체인 플랫폼이 항저우 인터넷 법원 등 정부 기관에서 적극 활용되고 있다"며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술 도입 이후 업무 효율성이 두 배 이상 향상됐다"고 강조했다.[러시아 예탁결제기관, 내달 디지털 자산 원장 프로젝트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러시아 예탁결제기관(NSD)이 내달 디지털 자산 원장 프로젝트인 D3(Decentified Digital Depository)를 스위스에서 출시한다. 이용자들은 D3를 통해 암호화 자산 소유권을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NSD 기술혁신 담당 아르템 두바노프(Artem Duvanov)는 "스위스는 암호화 자산 관련 규제 환경이 우호적이고 시장 잠재력도 높다”며 “향후 신뢰성 있는 스테이블 코인을 추가, 암호화폐 장외거래(OTC) 서비스를 추진하고 쌍방향 거래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본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2개월간 신규 계좌 수 200% 증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일본 3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Bitpoint, DMM Bitcoin, Coincheck 공동 데이터 집계를 인용, 지난 3월 이래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신규 계좌 수가 200% 이상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이 중 Bitpoint의 일평균 신규 계좌 수는 3월 대비 약 3배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DMM은 2배, Coincheck는 3배 증가했다. [美 신용조합 컨소시엄 CU렛저, R3 코다 기반 국제결제상품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미국 덴버 소재 신용 조합 컨소시엄 CU렛저(CULedger)가 블록체인 컨소시엄 R3의 오픈 소스 블록체인 코다(Corda)를 바탕으로 한 국제 결제 상품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해 CU렛저는 R3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시스템에 합류한 바 있다.[러 암호화폐 자산 결의안, 의회 회기 내 채택 전망]암호화폐 거래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중앙은행 부총재 올가 스코로보가토바(Olga Skorobogatova)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지시에 따라 암호화폐 자산 관련 결의안인 ‘디지털 금융 자산(DFA)’을 오는 의회 회기 내에 채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DFA 채택을 위한 충분한 준비를 마쳤다”며 “해당 결의안은 국가 측면에서 봐도 중요한 사안이며 새로운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있어 기반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말했다. DFA는 디지털 금융 자산 및 ICO 규제 내용을 포함한다. 2017년 푸틴 대통령이 2019년 7월 1일까지 암호화 자산 관련 법안 채택 데드라인을 제시하는 등 ICO 및 암호화폐 합법화 움직임 속 러시아 재정부에 의해 작성됐다. 해당 결의안은 지난해 5월 입법 절차를 밟았지만 채굴, 토큰 등 핵심 개념에 대한 설명과 정의가 부족하다는 여론에 입법 직전 재심사 단계로 돌아간 바 있다.[글로벌 매거진 창업주 “XRP, 기존 금융 생태계 바꿀 혁신 키워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데일리(Crypto Daily)에 따르면 암호화 자산 및 라이프 스타일을 다루는 글로벌 매거진 Gokhshtein의 David Gokhshtein 창업주가 “XRP가 기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완벽히 바꿔놓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글로벌 주요 은행이 자체 스테이블 코인 출시를 잇달아 추진하는 등 암호화폐 사업 확장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들 기관은 자체 코인 개발보다 XRP 인프라를 활용하는 것이 훨씬 저렴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XRP를 통해 기존 금융 기관은 한 단계 더 성장하고 업계 생태계 전반적인 발전도 보다 빨리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라켄, 우선주 판매 목표 조달액 1,545만 달러로 상향 조정] 투자 플랫폼 Bnk to the Future의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이 이번 개인 투자자 대상 우선주 판매로 목표하는 조달액을 기존 1,020만 달러에서 1,545만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우선주 판매 물량을 전체 지분 0.255%에서 0.3862%로 확대한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827명이 투자자가 우선주 구매해 참여해 911.47만 달러를 조달, 목표 조달액의 58%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주 판매 기간은 30일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더블록의 보도를 인용 "크라켄이 1,000 달러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이용자는 크라켄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배포하며 오는 6월 20일까지 자사 우선주를 판매하고 있다"고 전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비트파이넥스 CTO "테더사, USDT로 BTC 구매한 적 없다"
▲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다르마, USDC 대출 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대출 플랫폼 다르마(Dharma)가 USDC 대출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존에 다르마가 지원하는 스테이블코인은 다이(DAI)가 유일했지만 USDC가 추가되면서 지원 스테이블코인이 2종으로 늘었다. 다르마 이용자는 대출액 가치의 최소 150%에 해당하는 이더리움을 담보로 맡기면 USDC를 대출받을 수 있다. 현재 USDC 연 대출금리는 8%다.▲ 키프로스 증권당국 "암호화폐, AML 규정 적용 필수"중국 금융 전문 미디어 FX168차이징에 따르면, 최근 디미트라 칼로게루(Demetra Kalogerou) 키프로스 증권거래위원회(CySEC) 위원장이 암호화폐 시장 규제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암호화폐 시장에 AML 규정(Anti-Money Laundering, 자금세탁방지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암호화 자산 자체는 자금세탁 위험이 존재한다. 이는 투자자 보호, 시장 무결성, 합법성 및 인프라 구축을 저해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암호화 자산은 블록체인이라는 신기술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비트파이넥스 CTO "테더사, USDT로 BTC 구매한 적 없다"21일(현지 시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익스체인지가이드에 따르면, 최근 더블록 크립토가 '테더(USDT, 시가총액 8위)사가 보유한 준비금으로 비트코인에 투자하고 있다'고 보도한데 대해 파울로 아두이노(Paolo Ardoino) 비트파이넥스 CTO가 트위터에서 "5월 16일 기준 테더사의 BTC 주소 1NTMakcgVwQpMdGxRQnFKyb3G1FAJysSfz에는 0.076 BTC가 들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마저도 네트워크 수수료를 지불하기 위해 보유하고 있는 BTC다. 옴니(OMNI) 프로토콜 기반 USDT를 발행할 때마다 테더사는 채굴 수수료를 네트워크에 지불해야한다"며 "테더사는 USDT 준비금으로 BTC를 구매하거나 투자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크래프터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Block Crafters Challenge X’ 진행!
블록크래프터스, 블록체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Block Crafters Challenge X’ 진행!- 과기부·NIPA 추진하는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 수행기관 선정… 블록체인 업계서 유일- Block Crafters Challenge X, 비즈니스 전 과정에 기업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진행- 초기 지분투자 진행 및 국내외 네트워킹·해외진출 기회 제공-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 참가 기업 모집… 올해 7~11월 액셀러레이팅 실시 블록체인 전문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블록크래프터스(공동대표 박수용·송훈, )는 국내 블록체인 스타트업의 글로벌 액셀러레이팅을 위한 특별 프로그램인 ‘Block Crafters Challenge X(이하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에 참가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9일 밝혔다.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원장 김창용, 이하 NIPA)이 추진하는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의 수행기관으로 블록크래프터스가 블록체인 업계에서 유일하게 선정되면서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설립 직후부터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모인 500개 이상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한 심사를 실시, 현재 메인넷, 금융, 게임, 모빌리티, SNS 등의 분야에서 선발한 다양한 프로젝트에 대한 액셀러레이팅 및 투자 연계를 진행 중인 블록크래프터스의 노하우를 토대로 국내 유망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기업으로 집중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 참가 기업은 초기 투자, 전문가 멘토링, 비즈니스 모델링, 투자자 네트워킹, 마케팅 및 글로벌 진출 지원 등 액셀러레이팅의 모든 과정을 각 기업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제공 받을 수 있다. 특히, 초기 지분투자와 함께 국내외 네트워킹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 받는다는 점이 돋보인다. 프로그램 참가 기업은 파트너십 강화를 위한 비즈니스데이와 국내 기관 투자자 대상 라운드 테이블, 해외 네트워킹데이 등은 물론, 싱가포르, 샌프란시스코 등 해외에서 열리는 블록체인 국제 행사와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해외 행사 및 프로그램 참여 시에는 출장비가 지원된다. 블록체인 관련 기술 개발 및 융합콘텐츠, 헬스케어, B2C 분야의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와 관련된 스타트업 또는 예비창업자라면 모두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에 지원할 수 있다. 지원 기간은 오는 15일부터 다음달 15일까지로, 사업설명회는 다음달 5일 서울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프로그램에 참가할 8개 내외의 기업은 다음달 중순 최종 발표되며, 참가 기업에 대한 초기 투자는 본격적인 액셀러레이팅이 시작되는 7월 이전 마무리될 전망이다. 액셀러레이팅은 오는 오는 7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될 예정으로, 10월과 11월에는 각각 해외 행사 및 프로그램 참가와 국내 데모데이가 계획돼 있다. 과기정통부 유관기관인 NIPA와 함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육성에 나선 블록크래프터스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든든한 전략 파트너, 전문가 집단’을 표방하며 지난해 5월 탄생한 블록체인 전문 액셀러레이터다. 비즈니스 모델, 인력, 기술, 파트너십, 평판 및 법률 등 총 5개 항목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를 통과한 프로젝트 만을 엄선해 액셀러레이팅을 진행한다. 비즈니스 모델 정립부터 기술 구현, 투자금 조달 등에 이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모든 사업 과정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블록크래프터스 액셀러레이팅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또, 업계 최고, 최대 수준의 ‘맨파워’를 바탕으로 맞춤형 솔루션을 구상한 뒤 단계별로 기술, 투자, 산업, 법무, 마케팅, 홍보 등의 각 영역에 전문인력을 투입해 기회비용과 시간을 줄이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 및 비즈니스 상용화를 이끌어낸다는 점도 눈에 띈다. 블록크래프터스는 창립 1년 만에 유의미한 성과를 내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일례로, 블록체인 플랫폼과 디앱을 연결하는 미들웨어 플랫폼 ‘바이프로스트’를 개발 중인 블록체인 기술기업 ‘파이랩’은 최근 블록크래프터스의 액셀러레이팅 아래 한국투자파트너스로부터 40억 원의 투자 유치를 이뤄냈다. 블록크래프터스 송훈 공동대표는 “현재 블록체인 업계는 국가 간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고 확실한 승자 또한 등장하지 않은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상황”이라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의 주도권을 우리 스타트업이 가져올 수 있는 좋은 환경이 마련된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로서 보다 확고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가지고 K-Global 액셀러레이터 육성사업 및 블록크래프터스 챌린지 엑스를 통해 우수 블록체인 스타트업 육성에 열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리플 임원, 미국 'Faster Payment Council' 이사회 합류
▲ 트위터 CEO "스퀘어 암호화폐 서비스 지원 가속화"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옹호자인 잭 도시(Jack Dorsey) 트위터 CEO가 "암호화폐 지원 모바일 결제 서비스 업체 스퀘어(Square)로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통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디어에 따르면 최근 스퀘어는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기술 활용 등을 통한 비용 절감 및 업무 효율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한편 스퀘어는 빠른 시일 내에 자사 암호화폐 사업부 관련 대대적 채용도 진행할 계획이다. 지난 3월 그는 “스퀘어에 다수 엔지니어와 기술 개발자를 채용할 계획”이라며 “모두 전일제 직원으로,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비롯해 암호화폐 활용 등 기술 등 다양한 업무를 맡게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DASH, 대시코어 v0.14.0 소프트웨어 출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 미디어(Decrypt Media) 23일 보도에 따르면 대시(DASH, 시가총액 14위) 개발팀 대시코어그룹(Dash Core Group)이 Dash Core v0.14.0 업그레이드를 마치고 메인넷에 출시했다. 이번 업그레이드에는 51% 공격 리스크 최소화와 실시간에 가까운 거래속도 지원이 포함됐다. 핵심 신기능 LLMQs(Long Living Masternode Quorums), LLMQs 기반 체인락(ChainLocks), 인스턴트 센드(InstantSend)도 업데이트 됐다. 대시코어그룹은 이번 업그레이드를 "블록체인 5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업데이트 중 하나"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DASH는 현재 6.52% 내린 155.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BNB 3.41%↓, 일저점 터치 후 소폭 반등바이낸스코인(BNB, 시가총액 7위)이 23일 오전 9시 30분께 단기 하락 흐름을 보이며, 일일 저점인 26.6699 달러를 터치한 후 소폭 반등해 현재 바이낸스 기준 3.41% 내린 30.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리플 임원, 미국 'Faster Payment Council' 이사회 합류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리플(XRP, 시가총액 3위)의 전략 계정 부문 부사장 팻 텔렌(Pat Thelen)이 최근 미국 지불결제 사업자 그룹으로 이뤄진 민간 단체 'the U. S. Faster Payment Council'(이하 FPC)의 이사회에 합류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리플과 FPC는 협력을 통해 전통 금융기업들과 리플사 간의 마찰을 해결해줄 것"이라고 분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아티프렌즈, 블록체인 개발자를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 개최
아티프렌즈, 블록체인 개발자를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 개최2월 메인넷 론칭에 이은 ‘사슬’ 공개 검증 자리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생생한 개발기 공유 코딩 유튜버 아샬, 권도형 테라 공동대표의 참석 눈에 띄어2월 메인넷 공개를 발표했던 블록체인 연구개발 전문기업 주식회사 아티프렌즈(대표이사 이정우)가 블록체인 개발자들을 위한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SASEUL Origin Conference)’를 개최한다고 발표했다.사슬 오리진 컨퍼런스는 5월 22일 오후 2시 양재역 ‘오월오일’에서 진행되며, 현재 공식 사이트를 통해 참가신청을 받고 있다.아티프렌즈는 지난해 11월부터 ‘사슬’의 테스트넷을 가동해 안전성을 충분히 검증했고 최종 점검을 거쳐 2월 메인넷을 공개한 바 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메인넷 공개까지의 개발자들의 개발기와 현재 개발하고 있는 디앱(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들의 시연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의 주요 주제가 되는 ‘사슬 오리진(SASEUL Origin)’은 기존 블록체인에서 속도와 확장성 면에서 큰 발전을 만들어 냈다. 특히 PoW(Proof of Work)나 PoS(Proof of Stake) 혹은 이와 유사한 컨센서스 알고리즘(Consensus Algorithm)을 사용하는 현재의 블록체인과는 다르게 독자적인 컨센서스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 틀을 깨뜨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dApp인 국제 환전송금 앱, ‘윈디’(Windee)의 공개 또한 눈에 띈다. ‘윈디’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국제 환전 송금 앱으로서,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로는 구성하기 어려웠던 서비스 속도를 SASEUL을 이용해 기존 금융권과 경쟁할 수 있을 만큼 끌어올렸다. 이를 개발하고 있는 개발자들의 경험담 공유로 풍부한 컨퍼런스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개발자가 아닌 참가자들을 위한 세션도 준비되어 있다.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유명 코딩 유튜버 ‘아샬(Ashal)’의 강연과 함께 권도형 테라 공동대표의 토큰 경제(Token Economy)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강연은 기존 블록체인에 대해 관심 없던 참가자들도 이해하기 쉽게 진행될 예정이다.이용재 아티프렌즈 부대표는 “사슬 오리진 컨퍼런스를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를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블록체인 개발 회사의 발자취와 개발기를 통해 블록체인 업계에 박혀 있는 여러 고정관념들을 깰 것이며, 특히 새로운 기술개발을 통해 블록체인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다크넷 '히드라' 관련 주소, 다수 거래소 통해 자금세탁 시도
▲ 네덜란드 당국, BTC 믹싱 업체 폐쇄22일(현지시간) 암호화폐 미디어 더머클(The Merkle)에 따르면 네덜란드 당국이 비트코인 믹싱 서비스 업체 베스트믹서(Bestmixer)를 폐쇄시켰다. 믹싱(Mixing)은 자금의 출처를 어렵게 하는 일종의 돈세탁 개념이다. 지난해 네덜란드 FIOD(사기 근절 기구)는 베스트믹서가 룩셈부르크와 네덜란드에서 동시에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베스트믹서를 조사해왔다. FIOD는 베스트믹서의 주된 서비스가 데이터 익명화이며 이는 암호화폐 돈세탁에 이용됐다고 지적했다.▲ BCD,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신버전 월렛 BCD페이 출시비트코인 다이아몬드(BCD, 시가총액 41위)가 23일(현지 시간) 신규 버전 BCD 월렛 BCD페이(BCDpay)를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업로드했다. 이번 업데이트 버전은 보안성 및 안정성을 향상됐으며, 인공지능 시장예측 모듈, 트레이딩 모듈, 암호화 자산 스토어 등 기능이 추가됐다는 게 BCD 측의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BCD는 현재 4.38% 내린 1.0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다크넷 '히드라' 관련 주소, 다수 거래소 통해 자금세탁 시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지난 19일(현지 시간) 한 익명의 BTC 주소에서 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Bitfinex)로 2,000 BTC를 이체했다. 한 트위터 유저 'CryptoMedication' 해당 익명 주소를 추적한 결과, 해당 주소는 다크넷 마켓플레이스 '히드라'와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그는 해당 주소가 비트파이넥스에 이체한 2,000 BTC가 워시트레이딩, 믹싱, 자금세탁 등 범죄 행위와 관련이 있다며 코인베이스, 후오비, 비트렉스, 비트파이넥스 등 거래소에 해당 주소 관련 거래소 계정을 폐쇄할 것을 촉구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