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BI CEO "XRP와Corda 활용, 금융 서비스 규모 확대 추진"
▲ SBI CEO "XRP와Corda 활용, 금융 서비스 규모 확대 추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키타오 요시타카(Yoshitaka Kitao) SBI 홀딩스의 CEO가 최근 회의서 "현재 주요 계획은 Corda와 XRP를 활용해 금융 서비스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현재 외환송금에 초점을 마추고 있다. R3의 Corda와 XRP는 높은 친화력으로 유용한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1.15% 오른 0.30650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23...투심 소폭 개선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m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1일)보다 5 포인트 오른 23을 기록했다. 시장 투자 심리가 소폭 개선됐음을 의미하지만, 여전히 '극단적 공포' 단계를 나타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낙관을 의미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밥 무어 오토 그룹, 대리점에 LTC 결제 도입
▲ 美 SEC, 블록체인 트랜잭션 모니터링...데이터 공급업체 물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게이프(Coingape)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 3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분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해당 미디어는 SEC가 디지털 자산 리스크 모니터링과 규제 준수를 목적으로 블록체인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할 데이터 공급업체를 물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SEC는 데이터 공급업체에게 트랜잭션 규모 기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록체인 원장의 데이터 추출과 검토 가능한 형태로의 변환 등을 요구한다는 설명이다.▲ 美 밥 무어 오토 그룹, 대리점에 LTC 결제 도입라이트코인(LTC, 시가총액 7위) 창시자 찰리 리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밥 무어 오토 그룹이 결제서비스 기업 알리안트(Aliant)과 계약을 체결, 대리점에 LTC 결제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LTC는 현재 3.73% 오른 33.2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에듀해시-법무법인 율촌, 스마트시티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Test bed) 본격 가동
에듀해시-법무법인 율촌, 스마트시티 상용화를 위한 테스트베드(Test bed) 본격 가동에듀해시(EduHash)는 지난 1월 23일 서울 강남구 파르나스타워에서 김재규교육그룹, 법무법인(유)율촌과 ‘4차산업 기술이 접목된 스마티스트 캠퍼스(Smartest Campus)구축과 규제 샌드박스 진행에 대한 협약식’을 진행 했다고 발표했다.DXC테크놀로지(DXC Technology)와 에듀해시는 지난해 12월부터 김재규교육그룹의 10만평 규모 안동공무원기숙학원에 스마티스트 캠퍼스 구축이라는 블록체인 상용화 합작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세계적으로 큰 화제가 된 바 있다.에듀해시 관계자에 의하면, “스마티스트 캠퍼스란 다양한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총 집합하여 하나의 작은 스마트시티(Smart City)의 상용화를 실행하는 테스트베드(Test bed) 프로젝트를 뜻하며, 스마티스트 캠퍼스 안에서 학생들은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탑재된 AI와 빅데이터(Big data)등을 기반으로 맞춤형 학습을 하게 되고 1:1 생활관리와 학습관리까지 받게 된다”고 한다. 또한, “스마트팜(Smart Farm)에서 길러낸 식품으로 식사를 하고, 5G기술과 스마트 웨어러블(smart wearable) 기기를 통해 24시간 건강 관리(Health Care)까지 받을 수 있고, 학원 생활 전반을 로보틱스(Robotics)나 드론(Drone)으로 관리 받고, 학생들이 외출할 때는 자율주행 차량 시스템이나 차량공유 시스템까지 활용하는 등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총 집합되는 세계최초의 프로젝트다”라고 설명을 했다.김재규 회장에 따르면 “김재규교육그룹의 안동공무원기숙학원은 환경적인 부분이나 시설적인 부분에서, 최근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으나 막상 실현화 단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스마트 시티(Smart City) 같은 프로젝트를 실현하기에 최적의 장소이다”라고 했다.또한 “이번에 DXC테크놀로지-에듀해시와 김재규교육그룹이 법무법인 율촌과 함께 규제 샌드박스를 신청해 정부 승인을 받으면, 안동공무원기숙학원은 그 동안 제도 때문에 실행해 볼 수 없었던 5G, 블록체인, AI, 빅데이터 등의 다양한 첨단기술의 테스트 베드가 되어 4차산업혁명 기술 발전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한편 에듀해시 전중훤 부회장은 “스마티스트 캠퍼스 프로젝트는 매출 30조의 IT 강자인 DXC테크놀로지가 기술 서비스등 전체사업을 리드하고, 119만 TPS로 72개국 국제 공인 성적을 거둔 세계 최고의 기술력이 있는 에듀해시가 블록체인 솔루션을 책임지며, 대한민국 대표 로펌 율촌이 법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시작점이 아주 탄탄하다”며 큰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특히, 전부회장은 국내 기업들이 스마티스트 캠퍼스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대한민국 기업들의 수준 높은 ICT 기술력을 전세계에 증명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하며, DXC 테크놀로지-에듀해시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최첨단 정보통신기술의 상용화와 기술 발전에 기여를 하고 싶다며 강한 포부를 밝혔다.
-
바이낸스 CEO "인터넷 사업자, 암호화폐 안 쓸 이유 없다"
▲ 트론, 공식 지갑서 ERC20 TRX 토큰 출금 중단 공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 World News)에 따르면, 트론(TRX, 시가총액 8위)이 공식 채널을 통해 지난 1월 31일부로 트론 공식 지갑에서 ERC20 기반 TRX 토큰 출금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1일(현지시간) 공지했다. 이와 관련해 트론은 "트론 공식 지갑에서 지원되지 않는 ERC20 기반 TRX 토큰을 트론 메인넷 코인으로 변경해야 할 경우, TRX 마이그레이션을 영구 지원하는 암호화폐 거래소(바이낸스, 쿠코인, 게이트아이오)를 통해 교환이 가능하다"며 "해당 거래소에 토큰을 입금하면 코인으로 자동 변경된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CEO "인터넷 사업자, 암호화폐 안 쓸 이유 없다"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 CEO 자오창펑이 방금 전 트위터를 통해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은 암호화폐 결제를 채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암호화폐는 전통적인 결제 게이트웨이보다 더 쉽고, 빠르고, 저렴하다. 요구되는 서류 작업 또한 적고, 보다 다양한 인구 및 지역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BORA 대표 “BORA 정식 서비스에 대회 참여 개발자 의견 적극 반영 예정”
BORA, 블록체인 챌린지 HACKATHON 대회 접수 시작… 블록체인 게임 개발 배틀1월 21일부터 2월 10일까지 BORA Lagoon 홈페이지 통해 온라인 참가 접수 가능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연동 툴 ‘BORA dev toolkit’을 활용한 게임 Dapp 개발이 주제 BORA 대표 “BORA 정식 서비스에 대회 참여 개발자 의견 적극 반영 예정”출처: BORA2019-01-23 09:20 BORA 해커톤 접수 홍보 포스터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 BORA(보라)(대표 이승희)가 블록체인 게임 개발자를 위한 ‘BORA #블록체인 #챌린지 HACKATHON’의 온라인 접수가 시작됐다고 23일 밝혔다. (사)한국모바일게임협회와 한국블록체인콘텐츠협회가 후원하고 BORA가 주최하는 이번 행사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에 관심 있는 국내 아마추어 및 전문 개발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접수 기간은 1월 21일부터 2월 10일이며 BORA의 테스트넷인 BORA Lagoon(라군) 홈페이지를 통해 2명~5명의 팀 단위로 온라인 신청서 양식을 작성해 제출하면 된다. 참여 주제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 Dapp 개발이며 BORA 플랫폼에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를 연동시키는 데 실제로 사용되는 툴킷(Toolkit)인 ‘BORA dev toolkit’을 사용하게 된다. BORA는 참가 신청서를 기준으로 내부 평가를 통해 8팀을 선발하며 해당 팀들은 2월 23일부터 무박 2일간 판교 투썬캠퍼스에서 진행되는 블록체인 게임 개발 오프라인 경연에 참여하게 된다. 오프라인 경연 후 최종 결과물의 아이디어 참신성과 완성도 등을 평가 기준으로 3팀을 선정, 1등 300만원, 2등 200만원, 3등 100만원의 상금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오프라인 경연에 참석한 8팀 모두에게 다양한 특전이 제공될 예정이다. BORA 이승희 대표는 “이번 행사를 통해 개발자들이 BORA 서비스 및 툴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대회 참여 개발자들의 의견을 향후 BORA 정식 서비스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프로젝트인 BORA는 이중 블록체인 구조와 독자적인 토큰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기존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게임 및 디지털 콘텐츠 비즈니스 유통과 사용자 이용 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Dapp 플랫폼이다. 현재 BORA는 네시삼십삼분(4:33) ENP Games, Neon Games, Unit5, Supertree, Emong, Pier 6 등 국내 주요 게임 개발사와 함께 그린우드 네트웍스(부동산), 와이즈피어(음악), 휴레이 포지티브(의료), RS에듀컨설팅(교육), 인포시드(지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30여 곳이 넘는 파트너사들과 협업하며 블록체인 콘텐츠 생태계 구축을 준비하고 있다. 이 외에도 BORA는 카카오게임즈에 투자를 받으면서 이를 계기로, 카카오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클레이튼과도 공식 파트너십을 맺고 BORA 플랫폼을 클레이튼이 개발 중인 메인넷에 연동하기 위한 기술 검증과 함께 서비스 운영, 블록체인 기술 개발 등 다방면에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로드맵에 따라 BORA 서비스는 현재 베타 버전을 오픈한 상태이며 2019년 2분기 정식 출시를 위해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번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BORA Lagoon 홈페이지 또는 BORA Medium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비트팍스, 블록체인 분석 글로벌 플랫폼 ‘니로닉스(Neironix)’와 협력 계약
비트팍스, 블록체인 분석 글로벌 플랫폼 ‘니로닉스(Neironix)’와 협력 계약(2월1일)코인간 P2P거래 플랫폼 오픈 앞두고 유망 코인 선별 DB 확보블록체인 전문기업 팍스넷(038160) 자회사 ‘비트팍스’가 글로벌 블록체인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니로닉스’와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이로써 자체 개발 중인 각기 다른 코인간 P2P 거래 플랫폼 ‘크로스체인’의 서비스 오픈을 앞두고 교환할 수 있는 코인 포트폴리오를 매우 다양하게 갖추게 되었다.니로닉스는 블록체인 분석을 위한 리스크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국내외 약 6,000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빅데이터 분석 ▲ICO리스팅 및 평가 ▲암호화폐 시장 거래소 분석 ▲미디어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중이다.비트팍스는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개발 중인 크로스체인 플랫폼의 세부 서비스 항목들을 한층 업그레이드 하고, 2월 중 본격적인 서비스 공개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비트팍스가 선보이는 크로스체인 플랫폼은 전 세계 최초로 이종토큰 간 거래 기능을 탑재한 플랫폼이다. 비트팍스는 우선적으로 이더리움과(ETH)과 넴(XEM)간의 이종토큰 거래를 선보이고, 비트코인(BTC)과의 교환 등 차후 매개 코인을 지속 확대해 간다는 방침이다.비트팍스 관계자는 “이번 비트팍스와 니로닉스 간 협력 계약을 통해 ICO 업체 리스트 중 투자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업체를 엄선해 크로스체인을 통한 개인간 코인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이번 계약을 계기로 양사 간 업무 시너지는 물론, 차후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을 통한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비트팍스 김태철 대표이사는 "크로스체인에 처음으로 교환되는 ICO 토큰은 러시아 정부 보안 플랫 폼을 운영하는 베다(VEDA)토큰이 될 것”이며 “베다는 크로스체인 플랫폼속에서 비트코인 또는 이더리움으로 코인을 교환하여 어려운 암호화폐시장 환경 속에서 고유한 블록체인 사업환경을 지켜 나가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한 비트팍스는 모회사인 팟스넷의 IPO기업에 대한 금융 포털 노하우를 코인에 적용하여 보다 미래 발전적인 기업을 발굴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
리플, 중국 상하이 지부 설립 계획
▲ 베네수엘라, 암호화폐 관련 법령 발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리움월드뉴스(Ethereum World News)에 따르면, 베네수엘라가 최근 '암호화 자산 시스템에 대한 법령(CONSTITUENT DECREE ON THE INTEGRAL SYSTEM OF CRYPTOASSETS)'을 발표했다. 해당 법령에 따르면, 암호화폐의 채굴, 저장, 거래, 거래소, 발행, 판매 등 암호화폐와 관련된 활동은 모두 암호화 자산 시스템의 일환으로 간주된다. 또한 현지 암호화폐 전문 규제 기관인 SUNACRIP은 암호화 및 디지털 자산에 대한 모든 규제 권한을 부여받는다.▲ 리플, 중국 상하이 지부 설립 계획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The Daily Hodl)에 따르면, 리플(Ripple)이 중국 상하이에 지부 설립 및 총괄 선임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리플은 "리플 중국을 구축, 아시아 지역의 리플넷(RippleNet) 범위를 확산해나갈 계획"이라며 "총괄 후보자는 결제 분야 전문가이어야 하며, 중국 내륙 및 중화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 한다"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P2P금융 플랫폼 ‘지퍼(ZPER)’, 대출심사 스코어링 혁신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대회’ 성료
블록체인 P2P금융 플랫폼 ‘지퍼(ZPER)’, 대출심사 스코어링 혁신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대회’ 성료 2월1일,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P2P 금융 플랫폼 업체인 지퍼(ZPER)는 지난 8월부터 약 5개월간 진행된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대회(Data Science Competition 2018-19)’가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대회는 지퍼가 지난 해 업계 최초로 개최한 빅데이터 알고리즘 경쟁대회로, 국내 업종별 비(非)금융 데이터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한 새로운 P2P대출 채권 심사기법을 전 세계의 데이터 분석 전문가들과 함께 만들자는 취지로 마련됐었다. 본 대회에는 투게더펀딩 펀다, 모우다 등 지퍼 얼라이언스로 참여중인 국내 P2P금융기업과 부동산 법원 경매 전문업체인 인포케어와 국내 최대 부동산 정보서비스 기업인 직방이 대회 출제위원사로 참여했다. 지난 8월, ‘상점의 미래를 예측하라,’ ‘병원의 폐원 수를 예측하라’ 등 상점과 병원을 주제로 시작된 데이터 사이언스 경진대회는 11월 부동산담보 전문 P2P대출업체인 투게더펀딩과 인포케어, 직방이 함께 아파트 단지 및 매매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아파트 실거래가와 경매가를 예측하는 부동산을 주제로 3, 4차 대회를 진행했다. 대회 기간 동안, 전 세계에서 약 1,000여 명의 데이터 분석가 및 협업 개발자들이 참가 신청을 했으며 이 중 300여 명의 전문가들이 차별화된 대출채권 스코어링 기법을 선보였다. 대회 최종 우승자들의 데이터 분석 기법은 머신러닝 등 전문적인 알고리즘 심사과정을 거쳐 지퍼 플랫폼 내 P2P 업체들이 이용하는 부동산 채권 심사모델에 접목시켜 한층 업그레이드된 채권 심사 솔루션을 만들 예정이다. 김준범 지퍼 대표는 “새로운 대출채권 심사 모델은 (적절한 자산 담보 가치를 지님에도) 신용등급,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등의 이유로 기존 금융권으로부터 대출이 어려운 일반인들에게 폭넓은 금융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지퍼는 앞으로도 다양한 비금융 데이터를 활용해 더욱 정교한 차주 분석과 고도화된 P2P 채권심사기법을 통해 고객에게 필요한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할 것”라고 말했다. 지퍼는 대회 최종 우승자들에게 총 3천만 원의 상금과 지퍼가 발행하는 P2P 전용 암호화폐인 ‘지퍼 토큰(ZPR)’을 수여한다. 1일 현재, 지퍼 플랫폼에는 한국,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 P2P 금융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20여 개의 주요 P2P금융 기업이 얼라이언스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부동산, 보험, 유통, 보안 등 다양한 산업군의 여러 선도 기업이 데이터 제공 및 기술 파트너사로 참여하고 있다. 지퍼의 연합 포트폴리오 분산투자 서비스는 올 상반기 공식 출시된다.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란(Iran),이란의 중앙은행이 새로운 규제안을 확정하기 전에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의견들을 고려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이란(Iran),이란의 중앙은행이 새로운 규제안을 확정하기 전에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의견들을 고려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연방 하원이 온라인 시장에서 성매매 및 마약 밀매 등에 암호화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조사를 의뢰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이 법안은 작년 6월 후안 바르가스가 처음 제안한 FIND(Fight Illicit Networks and Detect, 불법 네트워크 근절 및 감지)에 관한 것이다. 바르가스는 “만일 우리가 범국가적인 범죄조직들을 소탕하기 위해 효과적인 규제안이나 입법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선, 가상화폐와 온라인 마켓이 성매매 및 마약밀매에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충분히 연구 조사하여 이들의 사용을 근절시키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전했다.이란(Iran)이란의 중앙은행이 새로운 규제안을 확정하기 전에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의견들을 고려해 보겠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29일 보도했다. 이날 중앙은행은 공식 홈페이지에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접근 계획을 업로드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오늘부터 테헤란에서 진행되는 전자 은행 및 결제 시스템 회의에서 이 규정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싱가포르(Singapore)싱가포르 금융관리국(MAS)이 정부의 공식 암호화폐를 사칭한 스캠에 주의 당부를 내렸다. 스캠성 웹사이트에는 ‘싱가포르 정부가 특정 암호화폐를 공식 화폐로 지정하고 본 회사가 이를 판매하는 업체로 선정됐다”는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MAS는 이에 대해 “그 어떤 금융 및 개인적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라는 것은 스캠이니 꼭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천웨이싱 "블록체인 진정한 도입, 사회적 이해와 수용 필요"
▲ 천웨이싱 "블록체인 진정한 도입, 사회적 이해와 수용 필요"중국 콜택시 앱 콰이디다처의 창업자이자 유명 암호화폐 투자자 천웨이싱(陈伟星)이 본인의 SNS를 통해 "우수한 연구 결과만 있으면 수용되는 자연 과학과 달리, 이른바 ‘경제 과학’은 사회적 이해와 자발적 도입이 필요하다”며 “블록체인은 경제 과학 중에서도 디지털 기술로, 사회 협업을 위한 신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존 증권시장이 그러했듯 사회적 수요가 증가, 합의가 이뤄진다면 진정한 기술 도입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日 엔화, BTC 거래 점유율 1위 유지글로벌 암호화폐 통계 사이트 코인힐스(Coinhills)에 따르면, 현재 BTC의 법정화폐 페어거래 중 엔화 거래 비중이 54.43%로 1위를 유지했다. 2~5위는 달러(40.56%), 한화(1.65%), 유로화(1.20%), 터키 리라화(0.67%)가 차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헤데라 해시그래프 아시아 태평양(APAC) 진출 가속화, 홍콩 기반 벤처 펀드 마인드 펀드(Mind Fund)와 파트너십 발표
헤데라 해시그래프 아시아 태평양(APAC) 진출 가속화, 홍콩 기반 벤처 펀드 마인드 펀드(Mind Fund)와 파트너십 발표 - 아시아 태평양 지역 블록체인 솔루션 지출 연평균 72.6% 성장 전망- 전 세계에 빠르고 공정하며 안전한 공공 네트워크 구축 목전차세대 분산 원장 플랫폼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가 홍콩 기반 벤처인 마인드 펀드(Mind Fund)와 파트너십 구축으로 아시아 태평양(APAC)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30일 해시그래프 관계자는 "마인드 펀드는 작년 9월 세계 최초로 헤데라 해시그래프 플랫폼을 기반 분산 원장 기술 스타트업 엑셀레이터 힐릭스(Helix)를 만든 홍콩 기반 벤처 펀드로 이번 제휴를 통해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전략적 파트너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맨스 하먼(Mance Harmon) 헤데라 해시그래프 최고경영자겸 공동 설립자는 “각 산업 부문이 융합되어 분권화의 잠재력을 인정하고 기업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엄청난 가치가 창출되고있다.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회사가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사업 확장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성장 가능성을 토대로 결정되었다.시장 조사연구 회사인 IDC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일본 제외)에서의 블록체인 솔루션에 대한 지출이 5년 동안 연평균 72.6% 성장해 2022년에 21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인구의 약 60%가 살고 있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블록체인 도입의 중요한 거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이에 따라 아시아의 투자자, 개발자, 사업 파트너 및 금융 기관들의 회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현재 진출한 싱가포르, 한국 및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증가하는 수요를 활용하고 기업들이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분산화된 원장 솔루션을 채택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사업은 에드가 세아(Edgar Seah )가 담당한다.에드가 세아는 헤데라 해시그래프에 합류하기 전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Merrill Lynch) 아시아의 자산 담보부 거래 및 신디케이션(Asset Backed Trading & Syndication) 총괄 겸 자산 담보부 채권 담당 공동 총괄을 역임했다. 일본 및 한국 지역 총괄은 사미 미안(Sami Mian)이 임명됐다. 사미 미안은 씨티그룹과 도이치 뱅크에서 고위 요직을 맡으며 금융 업계에서 15년 이상의 경력을 인정받았다. 한편, 헤데라 해시그래프는 지난 2018년 1억 2천 4백만달러를 투자를 받아 세간의 주목을 받았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 진출로 전 세계에 빠르고 공정하며 안전한 공공 네트워크 구축을 앞두고 있다.
-
후오비, 거래소 평가 3분기 연속 ‘A등급’ 획득
후오비, 거래소 평가 3분기 연속 ‘A등급’ 획득 글로벌 디지털 자산거래소 후오비 코리아는 블록체인 리서치 기업 ‘토큰인사이트(TokenInsight)’가 발표한 보고서에서 후오비 글로벌이 3분기 연속 ‘A 등급’을 획득했다고 1월 31일 밝혔다. 토큰인사이트는 1월 ‘거래소 분야 2018년도 리포트(2018 Cryptocurrency Exchange Annual Report)’라는 제목의 암호화폐 거래소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2018년도 기준으로 400곳이 넘는 거래소의 연도 데이터를 종합하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거래소의 상황을 분석했다고 밝힌 이 보고서에는 거래소 규모, 보안, 인기도, 플랫폼 토큰 현황 등이 담겼다. 이에 따르면 후오비 글로벌은 2018년 2분기 거래소 평가에서 보고서상 가장 높은 등급인 A 등급을 획득했고 이어 3분기와 4분기에도 연속으로 A 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기준은 기술력, 운영능력, 위기대처능력, 거래 활성화 정도 등 7개 항목이며 D등급부터 AAA 등급까지 총 10등급이 있다. 현재까지 부여된 등급 중 A등급이 가장 높은 등급이며, 세 번의 평가에서 모두 A 등급을 받은 곳은 후오비 글로벌과 바이낸스 두 곳뿐이었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는 대부분 아시아와 유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아시아에 42%의 거래소가 몰려 있고 유럽 33%, 북미 11%, 아프리카 6%, 남미 4%, 오세아니아 3% 순이었다. 법정화폐를 지원하는 거래소 중 달러와 유로를 지원하는 거래소 비중은 40%, 엔화와 파운드를 지원하는 거래소는 15%를 차지했다. 이 밖에 2018년 기준 전체 거래소 중 중앙화 거래소가 81%, 탈중앙화 거래소가 19% 비율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량으로 치면 중앙화 거래소에서 99.17%, 탈중앙화 거래소에서 0.83%의 비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거래소 거래량은 전체적으로 하락세였지만 메이저 거래소의 시장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후오비 코리아 미디어마케팅실 오세경 실장은 “3분기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한 것은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인정받은 것 같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면서 “더욱 안전하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올해에도 최고 등급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중국 암호화폐 전문 플랫폼,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글 게재
▲ 블록스택, 분산형 렛저 프로토콜 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Bitcoin.com)에 따르면 탈중앙화 네트워크 개발업체 블록스택(Blockstack)이 분산형 렛저 프로토콜 ‘스택(Stack)’을 개발 중이다. 해당 프로토콜은 비트코인 네트워크 해시 파워를 사용하며 신뢰성 증명(PoB)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한다.▲ 중국 암호화폐 전문 플랫폼,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글 게재중국 암호화폐 전문 플랫폼 해시피(Hashpie)가 2009년 비트코인 발행 이래 베일에 쌓여 있던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 정체를 추정하는 '사토시를 찾다'라는 제목의 장문을 게재했다. 해당 글은 과거 사토시의 메일링 리스트 발표 메시지, 코드 입력 방식, 메일 교환 기록 등을 근거로 볼 때 사토시가 북미 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의 개별적으로 활동하는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이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1. 과거 메시지 전송, 답장 시간 등 대부분 북미 지역 낮 시간대 분포 2. 일본인을 자처하나 영어에 능통하고 일본어 교류 거의 없음 3. 1960,70년대 유행하던 역폴란드식 표기법을 사용. 연령대 있을 것으로 예상 4. 2008년 11월 15일 이전 메일링 리스트 문서 발표 경력이 있으며 코드 입력 시 캐리지 리턴(맨 앞으로 커서 이동) 및 라인피드(아랫줄로 커서 이동) 습관 없는 사람 5. 프로그래밍 속도 및 다소 부족한 자료 등으로 미뤄볼 때 기관이나 팀 보다는 개별적 활동 가능성. 해당 플랫폼은 상위 추정을 근거로 유력 후보자 세 명에 확인 메일을 보낸 상태며 아직 답변은 받지 못했다고 전했다. 후보자는 각각 시스템 보안 전문가 찰리 카우프만(Charlie Kaufman), 사이버 보안 및 솔루션 플랫폼 엔지니어 케빈 케난(Kebin Kenan), 컴퓨터 공학 전문 잡지 작가이자 일본어에 능통한 롭 레모스(Rob lemos)로 알려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크라켄 "QuadrigaCX 수천개 월렛 파악...캐나다 경찰에 도움 줄 것"
▲ 크라켄 "QuadrigaCX 수천개 월렛 파악...캐나다 경찰에 도움 줄 것"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의 제시 파웰 CEO가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캐나다 거래소 QuadrigaCX와 연관된 월렛 주소 수천개를 파악하고 있다. 동시에 이 거래소 창업자의 사망으로 인한 프라이빗 키 분실 사건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캐나다 경찰 당국이 관련 사안을 조사 중이라면 우리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QuadrigaCX 거래소의 창업자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으며, 그가 보관하고 있던 거래소 콜드 월렛 프라이빗 키가 분실되면서 이용자 자산 1.9억 달러가 묶여 있는 상태다. 또한 해당 자산은 현재 현지 최고 법원에 의해 동결 및 보호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ETH·EOS·TRX 댑 데이터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오늘 ETH 댑은 총 1,548(+1) 개, EOS 댑은 379(+1) 개, TRX 댑은 190(+3) 개를 기록했다. 지난 24시간 거래량 기준 상위 3개 이더리움 댑은 IDEX(거래소, 거래액 76.82만 달러, 사용자 707명), FCK(겜블링, 거래액 39.79만 달러, 사용자 34명), ForkDelta(거래소, 거래액 30.30만 달러, 사용자 605명). 상위 3개 EOS 댑은 Betdice(겜블링, 거래액 652.9만 달러, 사용자 1,495명), WhaleEx(거래소, 거래액 410.9만 달러, 사용자 4,563명), FarmEOS(겜블링, 거래액 237만 달러, 사용자 2,529명). 상위 3개 TRX 댑은 TRONbet(겜블링, 거래액 507.6만 달러, 사용자 2,857명), ALLBET (겜블링, 거래액 75.93만 달러, 사용자 3,133명), 888Tron(겜블링, 거래액 66.7만 달러, 사용자 1,416명)순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메디컬체인(MTN),블록체인 기반 건강 정보 보안 저장 플랫폼.
[후오비 오늘의 코인] 메디컬체인(MTN),블록체인 기반 건강 정보 보안 저장 플랫폼. 메디컬체인(MTN)블록체인 기반 건강 정보 보안 저장 플랫폼. 의사, 병원, 연구소, 약국, 건강보험 등의 요청에 따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정확하고 통일된 규격의 정보를 제공한다. 각기 다른 기관에서 환자의 기록에 대해 접근 승인을 요청하고 분산원장에 거래 내역을 기록할 수 있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진료 및 진단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건강기록을 디지털화해 의료 업계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다.코인미트(MEET)블록체인 기반의 지갑 신원 통합 플랫폼. 디지털 시대에 발맞춘 거래수단 및 가치 전송 시스템을 지향한다. 3중 레이어 구성인 블록체인 레이어, 서비스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이뤄진다. 기존 모바일 금융과 메신저 서비스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통합해 운영한다는 점이 눈에 띈다.엠블(MVL)블록체인을 기반한 통합 모빌리티 생태계.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은 자동차와 관련한 모든 영역을 포괄한다. 기존의 독과점적인 모빌리티 데이터 생태계를 더욱 공평한 구조로 변화시키기 위한 플랫폼으로써 데이터 제공에 대한 인센티브화와 생태계 발전에 이바지하는 모든 주체에게 투명한 보상을 제공함으로 합리적인 모빌리티 생태계로 진화하는 것을 지향한다. 특히 TADA라는 운송 서비스를 싱가포르에서 론칭해 기존 택시 및 운송서비스들과 손을 잡고 신개념 운송 서비스 메커니즘을적용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시만텍 CEO "블록체인으로 가짜 뉴스 해결 가능"
▲ 글로벌 블록체인 특허 Top20 중 中 기업 15개지적재산권 관련 전문 미디어 iPR데일리가 IncoPat 글로벌 혁시 지수 센터가 공동으로 발표한 '2018년 전세계 블록체인 발명 특허 Top20"에 따르면, 상위 20개 기업 중 15개가 중국 기업으로 나타났다. Top10은 다음과 같다. nChain(230), 알리바바(206), IBM(133), MasterCard(107), 차이나유니콤(106), 위안정커지(104), 핑안보험(84), 텐센트(81), 360(64)33.cn(62)▲ 시만텍 CEO "블록체인으로 가짜 뉴스 해결 가능"세계적인 인터넷 보안 회사 시만텍의 그렉 클락(Greg Clark) CEO가 최근 불거진 가짜뉴스 문제에 대해 "블록체인을 통해 뉴스 내용의 진실을 증명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같은 방식으로 네트워크 상 정보 가치를 판단하는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겠지만, 개인 블로그들의 자유로운 표현이 억압되어서는 안된다"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렛저 CEO "암호화폐 하락장, 12~24개월 더 지속될 것"
▲ 日 DMM 그룹 대표이사 "현재 암호화폐, 법정화폐에 의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일본 전자 상거래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DMM Group이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 DMM Bitcoin의 대표이사 타구치 히토시(taguchi hitoshi)가 암호화폐의 딜레마와 관련해 "현재 암호화폐는 법정화폐에 의존하고 있다"며 "암호화폐의 이익이 법정화폐와 연관되어 있는 이상 법정화폐에서 벗어날수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그는 "DMM그룹은 향후 암호화폐의 가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렛저 CEO "암호화폐 하락장, 12~24개월 더 지속될 것"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제조업체 렛저(Ledger)의 CEO 에릭 라체베크(Eric Larchevêque)가 "암호화폐 하락장은 앞으로 12개월에서 길게는 24개월 더 지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기관 투자자들은 현재 암호화폐를 투자의 수단으로 보고 있는 동시에 향후 토큰화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LB코인 발행
▲ 마이클 노보그라츠 "암호화폐 시장, 정상 궤도 오를 것"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오라클타임즈(Oracletimes)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상업은행 갤럭시 디지털(Galaxy Digital)의 창업자 겸 CEO 마이클 노보그라츠(Michael Novogratz)가 "암호화폐 시장은 최근 많은 성과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며 "가격이 몇 달내로 바로 회복되진 않겠지만, 결국 정상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LB코인 발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바이브(Cryptovibes)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중앙은행이 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화폐 LB코인(LBCoin)을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기술을 테스트하기 위함이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리투아니아 중앙은행 마리우스 주길라스(Marius Jurgilas) 이사회 위원이 "LB코인은 암호화폐가 아닌 디지털 화폐다"며 "기념 주화가 될 것이며, 발행은 제한될 것"이라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