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팩쉴드 "ETC 이중 지불 공격 진행중...거래소 입출금 중단해야"
▲ Gate.io "ETC 이중지불 공격자 확인...3개월간 준비"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게이트아이오(Gate.io)가 최근 발생한 ETC 이중지불 공격자의 구체적인 월렛 주소와 공격 방식을 파악했다고 밝혔다. 해당 거래소에 따르면 이번 이중지불 공격에서 총 7건의 롤백(Rollback, 되돌리기) 트랜잭션이 발생, 그중 4건의 트랜잭션을 통해 총 54,200 ETC가 탈취됐다. 해당 해시 주소는 다음과 같다.0xb5e074866653670f93e9fd2d5f414672df9f5c21baa12b83686e1364447963380xee31dffb660484b60f66e74a51e020bc9d75311d246f4636c0eabb9fdf1615770xb9a30cee4ff91e7c6234a0aa288091939482a623b6982a37836910bb18aca6550x9ae83e6fc48f63162b54c8023c7a9a55d01b7085294fb4a6703783e76b1b492a해당 트랜잭션들은 지난 7일 오전 9시 40분(+9 UTC)부터 4시간 동안 발생했으며, 당시 ETC 블록체인에서 정상적으로 확인(Confirm)됐다. 그 후 공격자는 51% 이상의 해시파워를 동원해 해당 블록들에 대해 롤백 공격을 감행했으며, 이로 인해 앞서 발생한 트랜잭션들은 무효로 표시됐다. 이번 공격에서 해커가 사용한 3개의 ETC 주소는 아래와 같다.0xb71d9CD39b68a08660dCd27B3EAE1c13C1267B100x3ccc8f7415e09bead930dc2b23617bd39ced2c060x090a4a238db45d9348cb89a356ca5aba89c75256게이트아이오 연구소는 이번 ETC 이중 지불 공격에 대해 "ETC 가격 하락으로 해시파워가 감소한 가운데, 공격자가 ETH 해시파워 임대를 통해 손쉽게 공격에 나설 수 있었다"라고 진단했다. 또한 "공격자는 공격을 감행하기 전 3개월 정도의 충분한 준비 시간을 가졌다"며 "다수의 거래소에서 실명 인증을 진행해 현금화를 위한 준비를 마친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해당 거래소는 이번 이중 지불 과정에서 4만 ETC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팩쉴드 "ETC 이중 지불 공격 진행중...거래소 입출금 중단해야"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팩쉴드(PeckShield)에 따르면, ETC 네트워크는 지난 5일부터 7일까지(블록 높이 7245623~725598) 11차례에 걸쳐 이중 지불 공격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약 8만 8500 ETC의 손실이 발생했다. 약 46만 달러에 달하는 규모다. 해당 공격과 관련해 경고를 한 암호화폐 거래소는 미국 기반 코인베이스(Coinbase)와 유럽 기반 비트플라이(Bitfly) 두 곳이다. ETC 측은 이와 관련해 이중 지불 공격이 아니며, 채굴 장비 제조 업체 린즈마이닝(Linzhi minning)의 새로운 ASIC 채굴 장비 테스트 과정에서 벌어진 '해프닝'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린즈마이닝 측은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한 상태다. 팩쉴드는 "이번 사태는 밝혀지지 않은 특정 채굴 업체의 해시파워가 급격하게 증가한데 기인한다"며 "이중 지불 공격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거래소들은 ETC 입출금 등 관련 거래를 일체 중단해야 한다"고 경고 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코브라 "렛저 월렛, 트레저 월렛 퍼포먼스 앞서"
▲ F2POOL "ETC 공격전 슬로베니아 채굴풀 대규모 해시 파워 임대"중국계 암호화폐 채굴풀 업체 F2풀(F2Pool)이 공식 SNS를 통해 "슬로베니아 소재 암호화폐 클라우드 채굴 업체인 나이스해시(NiceHash)가 며칠전 대규모 해시파워 임대를 통해 이더리움클래식(ETC)를 채굴에 나섰다"며 "이는 51% 공격이 발생한 시점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코브라 "렛저 월렛, 트레저 월렛 퍼포먼스 앞서"비트코인 개발자이자 Bitcoin.org의 창업자인 코브라(Cobra)가 트위터를 통해 "렛저 월렛이 트레저 월렛의 퍼포먼스를 앞섰다"며 "렛저 월렛은 기존에 많은 점유율을 차지하던 트레저 월렛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는 점은 매우 놀랍다"고 전했다. 또한 "렛저 월렛은 7,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 UX를 고려한 더욱 트렌드한 설계, 블록체인닷컴(blockchain.com)과 파트너쉽 체결, 신제품 '나노X' 출시 등 지속적인 발전을 보였다. 끊임없는 혁신을 해야 성공한다"며 "반면 트레저는 새로운 변화가 없어 낙후되고 있다. 암호화폐도 같다.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하지 않으면 점차 소멸될 것이다"고 지적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텔레그램 채널 비트멕스 '트레이딩 봇 판매 스캠' 주의보
▲ 텔레그램 채널 비트멕스 '트레이딩 봇 판매 스캠' 주의보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nulltx가 비트멕스 트레이딩 봇과 관련한 스캠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해당 미디어는 "트레이딩 봇은 투자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솔루션이며, 정상적인 취득 경로가 존재한다"며 "그러나 텔레그램 채널 등에서 '특별 할인'을 빌미로 소비자가 비용을 지불하도록 유인한 뒤, 트레이딩 봇 소프트웨어를 지급하지 않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中 보안 업체 "DASH도 51% 공격 가능성 존재"중국 네트워크 보안 업체 CM블록체인시큐리티센터가 최근 이더리움클래식(ETC)의 51% 공격 이슈와 관련해 "현재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암호화폐 중 시가총액, 해시파워 등 관련 데이터를 검사한 결과, 대시(DASH, 시가총액 15위)에도 ETC와 같은 공격 위험성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해당 업체는 "이번 'ETC 51% 공격'은 ETC 가격 하락, 채굴 수익율 감소 등 요소로 인해 해시파워가 빠르게 감소했다"며 "이 때문에 해커가 손쉽게 마켓에서 ETC 공격 감행에 필요한 해시파워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네이처, 2018 핫 키워드 선정...블록체인 2위
▲ 네이처, 2018 핫 키워드 선정...블록체인 2위국제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가 지난 7일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해 과학자들이 가장 많이 검색한 핫 키워드(Hot Keyword) TOP10을 발표했다. 그중 '암'(Cancer)이 1위, '블록체인'(Blockchain)이 2위, '빅데이터'(Big data)가 3위를 기록했다. 또한 인공지능, 심근경색, 교육, 마케팅, 기후변화, 심장, 4차 산업이 그 뒤를 이었다.▲ 51% 공격 우선순위 TOP5...ETC·DASH·MONA·ETP·BTCP암호화폐 관련 데이터 분석 플랫폼 크립토51(crypto51.app)이 "시가총액 상위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1시간 동안 51% 공격을 감행하는 비용은 이론적으로 BTC가 28.47만 달러, ETH가 11.54만 달러, BCH가 1.16만 달러, LTC가 2.13만 달러, XMR이 4,976 달러"라고 분석했다. 다만 "BTC와 ETH는 해시파워를 임대하는게 불가능하다"며 "51% 공격으로 가장 큰 이윤을 취할 수 있는 암호화폐들과 시간당 공격 비용은 각각 ETC(5,168 달러), DASH(2,664 달러), MONA(539 달러), ETP(231 달러), BTCP(29 달러)다"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KEx, BTC·ETH·EOS 무기한 레버리지 거래 포지션 보유 한도 ↑
▲ 찰리 리 "독자적 채굴 알고리즘 없는 코인, 51% 공격에 취약"라이트코인(LTC, 시총 7위) 창시자 찰리 리(Charlie Lee)가 최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독자적 채굴 알고리즘을 보유하지 않은 코인은 해시파워 임대를 통해 공격하기 용이하다"며 "ETC의 총 해시파워는 ETH의 5% 미만이며, ETH 해시파워 임대를 통해 ETC 전체 해시파워의 98% 가량을 할당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그는 "ETC의 51% 공격 비용은 시간당 5,000 달러에 불과하며, 약 50만 달러의 이중지불이 발생했다"고 덧붙였다.▲ OKEx, BTC·ETH·EOS 무기한 레버리지 거래 포지션 보유 한도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공식 사이트를 통해 "8일 16시 BTC, ETH, EOS 무기한 레버리지 거래의 리스크 티어 별 포지션 보유 한도를 조정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이번 조정 이후 각 리스크 티어 마다 최대 포지션 보유 한도가 1배씩 증가될 예정이라는게 OKEx측의 설명이다. 또한 해당 거래소는 "앞으로 무기한 레버리지 거래의 거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포지션 보유 한도를 늘려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ABACA 회원사 CEZEX, 화폐·자산 기반 보안토큰·파생상품 위한 아시아 최초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로 출범
아시아 블록체인·암호화폐 협회(ABACA)가 1월 28일 아시아 최초의 보안 토큰 거래 플랫폼 CEZEX 출범 소식을 발표했다. 필리핀 카가얀 경제구역청(CEZA)이 출범한 최초의 공인 가상화폐 역외 거래소 CEZEX는 주식, 채권, 상품, 부동산, CFD 및 원자재 등 파생상품과 같은 자산에 기반한 명목·암호화폐 및 보안 토큰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ABACA 초기 회원 중 한 곳인 CEZEX는 공인된 역외가상화폐거래소 및 자산 기반 증권토큰거래소(OVCE)이다. CEZEX를 공인·규제하는 CEZA는 1995년 설립된 정부 산하 기관으로, 카가얀경제특구 및 자유항구(CSEZFP) 개발을 관리·감독하고 있다. CEZA는 CSEZFP 개발을 위해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해오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Northern Star Gaming & Resorts Inc(Northern Star), 엔리케 곤잘레스(Enrique Gonzelez)와 JJ 아텐시오(Atencio)가 이끄는 Falcon Gain이 주도한 아시아 크립토밸리(CVA) 개발을 추진해 북부 루손섬 지역의 경제발전을 도모했다. CVA는 금융기술 기업들이 CSEZFP에 진출해 지역이 활성화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또 향후 10년간 1억달러 가량의 투자 유치를 바라고 있다. CEZA는 ABACA를 첫 자율규제기관(SRO)으로 임명했다. ABACA는 SRO로서 회원 및 업계 종사자들을 위한 원칙 수립 및 감독을 실시할 계획이다. CEZEX이 제공하는 공인 거래 플랫폼은 다양한 전통자산 집단을 거래 대상으로 다루며, 화폐, 보안 토큰, 파생상품 등을 포함한 명목/암호화폐 페어링 트레이딩을 지원해 전통자산을 디지털 자산으로 구현한다. 완전 공인된 형태의 디지털 자산 거래소인 CEZEX는 저렴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고, 간소화된 상장 과정을 기업들에 제공하며, 완전히 공인된 규제 환경 속 단일 플랫폼 하에서 사용자와 거래자에게 다양한 범위의 거래 상품을 보장한다. 엔리케 곤잘레스 ABACA 부회장은 “CEZEX는 OVCE 운영체 관리를 위한 CEZA와 SRO의 규제를 준수하는 최초의 공인 OVCE로, CEZEX 출범은 CEZEX 그룹은 물론 CEZA와 ABACA 모두에 중요한 이정표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CEZA에서 첫 OVCE 운영체를 출범하게 되어 기쁘다. CEZEX는 디지털 자산 거래소 운영사 Pinnacle Digital, 컨설팅 회사 IPE Global Pte Ltd., 싱가폴 소재 금융기술 투자회사 Phnom Penh Derivatives Exchange, 소프트뱅크과 연계된 벤처캐피탈펀드 SB Kaikaku 등의 지원을 받는다. CEZEX는 이렇게 든든한 지원에 힘입어 역내에서 인정받는 거래소로 발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거래소의 성공적인 출범으로 아시아의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업계는 더욱 발전할 것이며, 앞으로 많은 기업과 스타트업들의 진출이 잇따를 것이다. 우리는 첨단 혁신 기업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장하고자 하며, 필리핀을 글로벌 핀테크 및 블록체인 허브로 만들겠다는 CEZA, CVA, ABACA의 공동 목표를 실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Y-Fi Business Solutions의 멀 송코(Mel Songco) COO는 “CEZEX 그룹의 기술 역량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CEZEX가 암호화폐 및 핀테크 산업을 위한 선도적인 정부 규제·감사 플랫폼에 최초로 완전 통합된 것에 대해서도 축하를 건넨다. 이는 CEZA와 필리핀이 핀테크 업계를 주도하는 관할체로 인정받은 것이며 아시아 금융포용을 위해서도 유익한 일이다. 우리는 플랫폼 출범을 기대하고 있으며, 카가얀경제특구가 투자자들에게 강력한 법적 토대를 실현해주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CEZEX는 CEZE의 지원을 받는 최대 4곳의 스폰서/지명 어드바이저와 협력해 보안 토큰 및 디지털 자산을 도입하고 상장할 계획이다. 4개 업체 중 한 곳인 Inbase Partners Limited는 플랫폼에서의 상품 초기상장과 관련한 작업에 참여한다. Inbase Partners의 스티븐 린치(Stephen Lynch) 매니징파트너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모델은 기업금융과 금융 서비스 업계 전반을 혁신할 것이다. 이러한 블록체인 모델은 보안 토큰 형태의 동일 수단으로 다양한 유형의 자산을 구현해 자산 상호운용성과 같은 이점을 실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자산은 동일 플랫폼에서 거래되며, 자동화 컴플라이언스, 신속한 결제, 부분 소유권, 24시간 트레이딩, 유동성 강화 등의 특성을 지닌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부동산, 미술품, 초기 벤처캐피탈 자본 등 기존 방식으로 거래되던 비유동성 자산도 이제는 토큰화될 수 있고, 유동성 위기 발생 시 초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분할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잭 세르(Jack Ser) CEZEX CEO는 “CEZEX는 기존 거래소와 같은 방식으로 운영돼 스폰서가 상장을 주관하고, 브로커/딜러가 고객을 유치하고, 마켓 메이커와 관리인이 거래소 활동을 지원한다. CEZEX는 아시아 지역 전반에 브로커/딜러 네트워크 생태계를 구축했으며, 완전히 관리되고 규제를 준수하는 거래 시스템을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CEZEX는 완전한 규제 환경 속에서 KYC와 AML 규정을 엄격히 준수하며, 이를 통해 (명목/암호)화폐와 보안 토큰, 기타 다양한 파생상품을 위한 디지털 자산 거래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
XYO, 범아시아 차량 플릿을 가장 스마트하고 비용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텔레매틱스 선도업체 DRVR과 제휴
블록체인을 현실 세계에 접목시키는 기술기업 XYO(https://ko.xyo.network)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차량 플릿 분석 및 관리 업체인 DRVR과의 제휴를 16일 발표했다. 이번 제휴 및 이에 따른 XYO 지원 센티널(Sentinels) 배치를 통해 위치 기반 데이터를 활용해 회사의 분석 통찰 및 전반적인 차량 관리 역량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의 저명한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 플릿(fleet) 관리 브랜드인DRVR은 차량 플릿 관리 회사 및 자동차 제조업체에 직접 솔루션을 제공한다. DRVR은 독자적인 방식으로 차량과 플릿 모니터링 및 데이터 분석을 결합해 차량 및 관련 서비스가 조직되고 관리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회사는 아시아의 운송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현재 동남아시아의 대표적인 IoT 분석 플랫폼으로 성장 중이다. DRVR은 태국, 홍콩,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등 지역 내 많은 국가들에서 사업을 운영하면서 고객들에게 플릿 관리 솔루션을 제공 중이며 조만간 추가적인 사업확장을 발표할 계획이다. DRVR 고객에는 캐논(Canon), 칼스버그(Carlsberg), 메르세데스(Mercedes), DHL 등 글로벌 기업들이 포함된다. 데이비드 헨더슨(David Henderson) DRVR 설립자 겸 CEO는 “첫 대화에서 우리는 XYO가 위치확인 분야에서 하고 있는 작업들에 큰 관심을 갖게 됐고 특히 아시아 전역에서 플릿 관리 및 분석 기술을 사용한 우리의 광범위한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했다”며 ”우리는 아시아의 차량 플릿을 세계에서 가장 스마트하고 비용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주력하고 있다. XYO와의 제휴로 우리는 상대적 위치 및 기타 중요한 발견적 요소들을 활용해 더욱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XYO 및 DRVR의 제휴는 초반에는 XYO의 위치확인 사물인터넷(IoT) 비콘 기술 중심이었지만 이후 플릿 분석을 업계 최고 수준으로 개선하고 관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해 시스템 전반을 더욱 비용효율적으로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DRVR은 분산 장부에 수집된 데이터를 유지하면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및 기록 유지를 통해 중요한 신규 사업 통찰 및 효율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XYO는 분산화, 위치 데이터, 분산 오라클 기능을 제공한다. 마르쿠스 레빈(Markus Levin) XYO 네트워크 공동설립자는 “이번 제휴를 기쁘게 생각하며 DRVR과 긴밀히 협력하기를 기대한다”며 “이 젊은 회사는 이미 혁신적인 접근과 통찰로 업계에서 존경을 받고 있다. 우리는 이렇게 미래지향적인 기업과 제휴를 맺고 블록체인과 XYO의 역량을 기존 사업에 통합시키기를 원한다. DRVR을 도와 더욱 풍부한 데이터와 사업 효율성을 창출해 DRVR 및 그들의 지역 내 고객들을 더욱 구체적인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日 암호화폐비즈니스협회 회장 "암호화폐 ETF 승인, 가능성 희박"
▲ OKEx, BCH 레버리지 거래 변경 공지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오늘(8일) 오후 5시 BCH 레버리지 거래 서비스를 아래와 같이 변경했다고 공지했다.1. 비트코인캐시(BCH), BTC·USDT 마켓에 3배 레버리지 거래 오픈2. 비트코인캐시(BCH), OKEx 플랫폼 코인 거래 지원3. 모든 레버지리 거래, 코인 임대 한도 향상▲ 日 암호화폐비즈니스협회 회장 "암호화폐 ETF 승인, 가능성 희박"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오쿠야마 다이젠(奥山泰全) 일본 암호화폐비즈니스협회(JVCEA) 회장이 최근 인터뷰에서 블룸버그가 보도한 '일본금융청 암호화폐 ETF 승인 가능성'에 대해 "암호화폐 ETF가 일본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는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만약 실현된다면, 아주 좋은 일"이라며 "이는 암호화폐의 존재감을 재차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OKEx "OKEx, ETC 51% 공격으로 부터 안전"
▲ OKEx "OKEx, ETC 51% 공격으로 부터 안전"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OKEx는 최근 발생한 ETC 51% 공격으로 부터 안전하다"고 전했다. 해당 거래소 측은 "OKEx는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ETC 거래 및 입출금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제공된다"며 "다만 보안을 위해 ETC를 지속 모니터링 할것이며, ETC의 입금 컨펌 수를 100회, 출금 컨펌 수를 400회로 상향한다"고 덧붙였다.▲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 "암호화폐는 무용지물"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유럽중앙은행(ECB) 관리위원회이자 에스토니아 중앙은행 총재 아르도 핸슨(Ardo Hansson)가 최근 "모든 암호화폐는 결국 '무용지물'(load of nonsense)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거품붕괴는 이미 시작됐다"며 "이 붕괴가 얼마나 지속될 지, 새로운 균형을 맞이할 때 무엇이 남아있을지를 바라보면 된다"고 덧붙였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이더리움 재단, 패리티 테크놀로지에 500만 달러 투자
▲ BTC 지갑 사무라이월렛, 구글 新 정책에 일부 기능 비활성화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모바일 BTC 지갑 애플리케이션 사무라이월렛(Samourai Wallet)이 7일(현지 시간)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구글 플레이 스토어의 새로운 '제한적 정책' 규정에 따라, 사무라이월렛이 제공 중인 기존 보안 기능 중 일부를 비활성화 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사무라이월렛 측은 "구글의 새로운 규정에 따라 비활성화 되는 기능은 스텔스 모드, SIM 스위치 디펜스, 원격 SMS 명령 등 보안 관련 기능이며, 상대적으로 보안이 취약해지는 리스크를 우려해 구글 측에 해당 정책의 적용 면제를 신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덧붙였다.▲ 이더리움 재단, 패리티 테크놀로지에 500만 달러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이더뉴스(ethnews)에 따르면, 이더리움 재단이 최근 이더리움 기술 개발 업체 패리티 테크놀로지(Parity Technologies)에 500만 달러(약 56억 원)을 투자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향후 이더리움 버추얼머신(Virtual Machine)인 이더리움 웹어셈블리(EWASM)의 호환성을 개선할 계획이라는게 이더리움 재단의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中 차이나모바일, 블록체인+사물인터넷 정수기 상품 개발
▲ 中 차이나모바일, 블록체인+사물인터넷 정수기 상품 개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중국 최대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中國移動通信)이 최근 블록체인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시킨 정수기를 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차이나모바일 사물인터넷 제품 총괄 샤오이는 "IoT 모듈이 내장된 해당 정수기 제품은 사용자의 기기 사용 데이터를 수집하며, 데이터 제공 대가로 PWMC 라는 블록체인 기반 토큰을 지급한다. 사용자는 해당 토큰을 사용해 정수기 필터 및 기타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의 목표는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커뮤니티와 관련이 없는 소비자들을 유입시키는 것이다. 그들은 블록체인을 반드시 이해하고 있을 필요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문 지식의 이미지가 강한 블록체인을 조금 더 '평범'한 개념으로 변모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세 브리핑BTC가 약 보합세를 나타내며 4,100달러에서 등락을 이어가고 있다. BTC는 현재 비트파이넥스에서 0.32% 내린 4,100.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BTC는 현재 바이낸스 USDT 마켓과 코인베이스 USD 마켓에서 각각 0.24% 내린 3,966.00 달러, 0.14% 오른 4,000.39 달러를 기록, 최근 12시간 동안 각각 67.00 달러, 76.64 달러의 등락폭(최고가-최저가)을 나타내고 있다. 두 거래소 간 프리미엄은 -34.39 달러다. 한편, BTC는 현재 코인원에서 0.18% 내린 4,492,000원(4,003.5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8일 저녁 6시 코인마켓캡 기준, 글로벌 암호화폐 전체 시가총액은 1,354억 4,352만 달러다. BTC의 평균 시세는 0.95% 내린 4,022.7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BTC의 시장 점유율은 51.89%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파이넥스의 BTC 마진 포지션은 롱 포지션이 58.60%, 숏 포지션이 41.40%로 롱 포지션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글로벌 주요 증시 등락률 : 나스닥(-2.61%), 금(-0.43%), 코스피(-0.58%), 상하이(-0.26%), 닛케이(+0.82%), VIX(-3.27%), 원·달러환율(+0.62%), BTCUSD(-0.25%)글로벌 거래량 TOP3 거래소는 바이낸스, OKEx, Bit-z가 차지했으며, 24시간 대비 거래량 변동률은 각각 -21.22%, -16.60%, -6.87%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 100위권 코인 중 레포(REPO, 시가총액 59위)가 +37.06%로 가장 높은 상승폭을 나타내고 있으며, 덱스(DEX, 시가총액 99위)가 -30.45%로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룸버그 "카나안, 미국서 IPO 추진 가능성"
▲ 블룸버그 "카나안, 미국서 IPO 추진 가능성"블룸버그 통신이 8일(현지 시간) "다수 업계 관계자들의 제보에 따르면, 최근 중국 2위 암호화폐 채굴 하드웨어 제조 업체 카나안(Canaan Inc.)이 홍콩 증권거래소서 추진 중이었던 기업공개(IPO) 방안을 보류하고 미국에서 IPO를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당시 10억 달러 조달을 목표로 홍콩 증시 상장을 추진했던 카나안은 2019년 상반기 뉴욕 증시 상장을 위한 방안 모색을 내부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카나안의 홍콩 증시 상장 신청은 11월 만료됐으며, 카나안의 공동 창업자 콩젠핑은 이와 관련한 언급을 회피했다"고 덧붙였다.▲ 펙쉴드 "작년 프로젝트 보유 ETH 감소...투매는 아냐"지난해 ETH 시세가 최대 89.44% 하락한 가운데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더리움 기반 ICO 프로젝트들이 모금한 ETH를 현금화하기 위해 투매하는 행위에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펙실드(PeckShield)는 "지난해 75개 이더리움 기반 ICO 프로젝트의 모금 ETH 보유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 결과, ICO 프로젝트들의 모금 ETH 보유량은 36.87% 감소해 합리적인 자금 흐름 범위에 해당한다"며 "ICO 프로젝트들의 ETH 현금화가 가장 많았던 달은 지난해 12월과 11월로, 당시 암호화폐 시장 전반이 급락세를 나타내며 시장 내 공포심리가 확산된 것과 관련이 있다. 이를 유행처럼 번진 '투매'로 볼 수는 없다"고 진단했다. 펙실드가 제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크라우드 펀딩 주소 내 잔액 변동이 가장 컸던 프로젝트는 Filecoin으로, 총 333,905.55 ETH가 출금된 것으로 나타났다. Golem, Polkadot, Iconomi 등 9개 프로젝트는 잔액 변동이 1%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99% 이상의 보유 ETH를 출금한 프로젝트는 9개, 현금화한 금액은 547,974.70 ETH를 기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크라켄, ETC 입출금 일시 중단...거래는 정상 지원
▲ 유니세프 프랑스, DAI 토큰 통한 암호화폐 후원금 모금 시작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티씨매니저(btcmanager)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 시간) 유니세프 프랑스 지부가 공식 채널을 통해 "전 세계 청소년들의 블록체인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위해 다이(DAI, 시가총액 60위) 토큰을 통한 후원금을 모금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지난해부터 DAI 토큰을 통한 기부를 받기 시작한 유니세프 프랑스 지부는 개인과 기업에 사회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크라켄, ETC 입출금 일시 중단...거래는 정상 지원미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7일(현지 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이더리움 클래식(ETC) 네트워크의 51% 공격 피해에 따라 ETC의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적으로 중단했다"고 공지했다. 또한 크라켄은 "ETC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검증됐을 때 ETC 입출금 서비스를 재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공지에 달린 'ETC 상장폐지를 고려하고 있나?'라는 이용자의 댓글에 크라켄은 "거래소의 목적은 요동성 공급과 가치 발견에 있다. ETC를 상장폐지 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이득이 되지 않는다"라며 'ETC 상장폐지'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IOST CEO "댑 다원화·활성화 중요...'좀비 댑'은 무의미"
▲ 비트코인닷컴 "'캐시어카운트인포', 블록 익스플로러 통합 검토"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BM크립토(ABMCrypto)에 따르면 비트코인닷컴의 개발자 코빈 프레이서(Corbin Fraser)가 “비트코인 지갑 코페이(Copay)에 BCH 주소 식별 지원 소프트웨어 Cashaccount.info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해당 소프트웨어를 비트코인닷컴 블록 익스플로러에 통합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라고 덧붙였다. Cashaccount.info는 BCH 지지자이자 개발자 조나단 실버블러드(Jonothan Silverblood)가 개발한 최신 버전 소프트웨어로, BCH 주소 기억 및 식별 서비스 및 '가명' 테더링 기능을 지원한다.▲ IOST CEO "댑 다원화·활성화 중요...'좀비 댑'은 무의미"이오스트(IOST, 시가총액 54위) 최고경영자 지미 정(Jimmy Zhong)이 8일(현지 시간) 중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스제와의 인터뷰에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연구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실제로 활성화가 가능하고 다원화된 댑이 더 많이 개발되길 바라며, 개수를 채우기 위한 '좀비 댑'은 의미가 없다"며 "현재 IOST 생태계를 위해 가치 있는 제품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팀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이스라엘 국가경제위원회 의장 “BTC 비효율적, 시장에서 사라질 것”
▲ 이스라엘 국가경제위원회 의장 “BTC 비효율적, 시장에서 사라질 것”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이스라엘 국가경제위원회 의장 아비 심혼(Avi Simhon)이 비트코인(BTC) 향후 전망 관련, “BTC는 본질적으로 효율성이 낮다”며 “조만간 시장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기존 지폐 발행 비용이 저렴한 편인 것과 달리, BTC 발행 자원 낭비는 수 조 달러에 달한다”며 “BTC가 기존 화폐를 대체할 수 없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암호화폐의 기존 화폐 대체 가능성 관련, 그는 “BTC가 기존 화폐를 대체한다면 그것은 BTC의 분산화나 익명성 P2P 거래 특징 때문이 아닌, 일부 중앙은행의 자체 디지털화폐(CBDC) 발행 관심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와 관련 그는 “최근 이스라엘 중앙은행이 국가 통화 셰켈의 가치와 일치하는 ‘디지털 셰켈’ 발행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이처럼 국가 주도 디지털화폐 발행도 조심스러운 상황에서 테러 악용 등 가능성이 있는 암호화폐에 대한 각국 우호 정책을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한편 BTC 화폐 분류 여부 관련, 그는 “BTC는 비효율성 때문에 화폐로 분류되기는 어렵다”며 “지난해 2월 이스라엘 조세 당국도 BTC를 투기 자산으로 분류했다”고 덧붙였다.▲ BTC 단기 상승... 주요 거래소서 4,000 달러선 일시 회복방금 전 BTC가 단기 상승 흐름을 나타내며 바이낸스, OKEx 등 글로벌 주요 거래소에서 4,000 달러선을 일시 회복했다. 현재 BTC는 바이낸스 기준 0.70% 오른 4,004.13 달러, OKEx 기준 0.69% 오른 4,002.9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펙쉴드 "ETC 이중지불 공격 진행 중...손실액 22만 ETC 규모"
▲ 찰리 리 "탈중앙화 암호화폐, 51% 공격에 취약한 것은 당연지사"라이트코인 창시자 찰리 리(Charlie Lee)가 7일(현지 시간)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정의상 탈중앙화된 암호화폐는 해시레이트, 지분, 기타 자원을 통한 51% 공격에 취약할 수 밖에 없다"며 "51% 공격을 받을 수 없는 구조의 암호화폐는 중앙화됐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그는 트위터를 통해 "독자적 채굴 알고리즘을 갖추지 못한 코인은 해시파워 임대를 통한 51% 공격에 취약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펙쉴드 "ETC 이중지불 공격 진행 중...손실액 22만 ETC 규모"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팩쉴드(PeckShield)의 실리콘 밸리 리서치 센터장 제프 리우(Jeff Liu)가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오데일리(Odaily)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ETC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아직 ETC 네트워크 내 이중지불 공격은 현재 진행형이며, 손실액은 22만 ETC 규모로 현재 시세 기준 백만 달러 규모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이번 ETC 51% 이중지불 공격과 관련해 "공격자는 지난 5일 첫 번째 공격을 개시했으며, 이번 공격에 사용된 비용은 2만 달러에 못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며 현재까지 ETC 네트워크에 가해진 공격에 들어간 비용은 30만 달러를 밑돌 것이라고 추산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펙쉴드 "충분한 규모의 퍼블릭체인, 51% 공격 불가능"
▲ BIS "전세계 중앙은행 70% CBDC 연구"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국제결제은행(BIS) 최신 보고서를 인용 “올해 전세계 중앙은행의 70%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를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이는 2017년 대비 소폭 증가한 수치다. 다만 시범 프로젝트 시행 등 구체적인 조치를 취한 중앙은행은 전 세계 5개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업계 전문가 인터뷰를 인용 "CBDC 연구가 활발이 이뤄지고 있지만 실질적 시행까지는 여전히 요원하다"고 진단했다. 한편 해당 보고서는 전세계 63개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 중 41개가 신흥국 소재 중앙은행이었으며 22개가 선진국 소재 중앙은행이었다. 해당 지역 전세계 인구 비중은 약 80%로, 경제 산출 비중은 90% 이상이다.▲ 펙쉴드 "충분한 규모의 퍼블릭체인, 51% 공격 불가능"블록체인 보안 전문 업체 팩쉴드(PeckShield)에 따르면, 지난 5일(현지 시간)부터 현재까지 이더리움클래식(ETC) 네트워크(블록높이 7245623에서 7261676 사이)에 가해진 이중지불 공격은 최소 15회에 걸쳐 219,500 ETC(현재 시세 기준 약 110만 달러 규모)의 손실을 야기했다. 이와 관련해 펙쉴드 측은 "51% 이중지불 공격은 한번의 공격을 위해 수일이 소요되며, 공격에 드는 비용은 보수적으로 추산해도 최소 십만 달러 이상이다. BTC, ETH 등 이미 충분한 규모를 갖춘 퍼블릭체인에 51% 공격을 위해 억 달러 단위의 공격비용이 발생하며, 이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분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中 ETH 채굴 장비 생산업체, ASIC 차단 코드 도입 중지 호소
▲ 파키스탄, 알리페이와 블록체인 송금 기술 협력중국 현지 미디어 신징바오(新京报)에 따르면 파키스탄 정부가 중국 대형 IT 기업 알리바바의 전자금융부문 자회사인 알리페이(Alipay)와 블록체인 기반 송금 서비스 관련 협력을 추진한다.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 8일 파키스탄 중앙은행 은행장이 이슬라마바드에서 알리페이와의 협력 하에 파키스탄 첫 블록체인 기반 해외 송금 프로젝트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향후 파키스탄 국민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NFC 결제 서비스 발류(Valyou)를 통해 파키스탄 최초의 모바일 금융 플랫폼 Easypaisa에 송금, 보다 간편하게 해외 송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中 ETH 채굴 장비 생산업체, ASIC 차단 코드 도입 중지 호소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중국 선전 소재 암호화폐 채굴 전용 ASIC 제조업체 린즈(Linzhi)가 공식 성명을 통해 "금요일 이더리움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도입이 잠정 합의된 ASIC 차단 코드 도입을 반대한다"며 "모든 하드웨어 제조업체에 명확하고 동등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야 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이더리움 오픈소스 개발 커뮤니티는 GPU 기반 채굴의 효율성을 높일 새로운 작업증명(PoW) 알고리즘인 프로그파우(ProgPoW)를 도입하기로 잠정 합의한 바 있다. 해당 알고리즘은 ASIC 등 채굴 전용 고성능 하드웨어를 통해 특정 단체가 ETH 채굴을 독식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