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원, LUNA 상장 기념 이벤트 라운드 2 진행
▲ 美 USCF, SEC에 암호화폐 ETF 승인 신청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총자산 50억 달러 이상의 미국 커모디티 펀드(USCF, United States Commodity Funds)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새로운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신청서를 제출했다. 해당 ETF 상품(종목코드: XBET)은 크레센트 크립토 인덱스 서비스(Crescent Crypto Index Services LLC)가 출시한 것으로, BTC·ETH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수익률를 추종한다. XBET이 추가되면서 SEC가 현재 심사 중인 암호화폐 ETF는 3개로 늘어났다. 다른 2개는 각각 비트와이즈애셋매니지먼트와 NYSE 아카(Arca)가 공동으로 신청한 BTC ETF, 반에크(VanEck)·솔리드X·CBOE BZX 거래소가 공동 신청한 BTC ETF다. SEC는 아직까지 어떤 암호화폐 ETF도 승인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앞서 2월 로버트 잭슨 SEC 위원은 언론 인터뷰에서 ETF 제안이 규제당국의 기준에 부합한다고 밝힌 바 있다.▲ 테조스 재단, 블록 익스플로러 TzScan 협력 계약 만기 임박테조스(XTZ, 시가총액 16위) 재단이 공식 레딧 계정을 통해 테조스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TzScan과의 계약이 올 2분기를 끝으로 만기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공지에 따르면, 현재 테조스 재단은 TzScan 개발팀 OcamlPro와 재협상을 진행 중이며, 코드 라이브러리의 완전한 오픈소스 조건을 걸고 재계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XTZ는 현재 2.16% 내린 1.1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인원, LUNA 상장 기념 이벤트 라운드 2 진행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원이 루나(LUNA) 최초 상장 기념 'TOP Trading Event'의 2nd 라운드를 오늘 오후 5시(예정)부터 진행한다. 라운드 2 기간동안 거래량 TOP 10의 거래자는 총 39,000 LUNA를 지급받게 된다. 참여조건은 9일 종료된 라운드 1 거래량 상위 TOP 30이며, 지난 1 라운드의 거래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벤트 라운드 2는 오늘 오후 5시(예정) 이벤트 라운드 1의 TOP 30 발표와 함께 시작해 14일 23시 59분 59초까지 진행되며, 라운드 2 결과는 5월 3주차에 공지될 예정이다. LUNA는 현재 코인원 기준 0.83% 내린 3,602원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암호화폐 아버지 데이비드 차움의 엘릭서, 베타넷 노드 신청 결과 발표
암호화폐 아버지 데이비드 차움의 엘릭서, 베타넷 노드 신청 결과 발표- 870개의 노드 신청 접수, 예상 목표 대비 350% 달성- 내달 중순까지 질의응답과 피드백을 통해 베타넷 최종 노드 선발 예정 ‘암호화폐의 아버지' 데이비드 차움의 블록체인 프로젝트 엘릭서(Elixxir)가 베타넷 노드 신청 결과를 발표했다. 메인넷을 위한 베타넷 노드 신청자 수는 870명이며 당초 예상 기대 신청자 수 대비 350% 이상 더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엘릭서는 지난 해 공개된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믹스체인(Mixx Chain) 기반의 데이터 보호 중심 및 프라이버시 중심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사용자가 익명성을 보장받고 안전하게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엘릭서는 이제 베타넷 노드 신청자를 선별하는 단계에 접어들었다. 20개국 이상의 엘릭서 커뮤니티로부터 받은 베타넷 노드 신청서에 대한 질의응답과 피드백을 진행하고, 엄격한 선발 기준에 따라 노드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후 최종 선발된 노드들은 실제로 베타넷을 운영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진다.베타넷 노드 신청 결과를 밝히며 엘릭서의 CEO, 데이비드 차움은 “커뮤니티가 엘릭서 프로젝트에 시종일관 보여준 관심에 매우 감사하다.”며 “베타넷을 통해 보다 완성도있는 메인넷을 구축할 것이다.”고 밝히며 사업 목표를 드러냈다.
-
코봇랩스, 일본 마케팅 에이전시 ‘옴니아(OMNIA)’와 전략적 사업제휴 계약 체결
코봇랩스, 일본 마케팅 에이전시 ‘옴니아(OMNIA)’와 전략적 사업제휴 계약 체결-옴니아는 코봇의 차익거래 서비스를 일본에 판매 예정..-옴니아와의 협업을 통해 코봇을 세계수준의 브랜드로 키워나갈 계획..암호화폐 시장에서 자동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코봇랩스(대표 왕건일)가 일본 블록체인 마케팅 기업인 ‘옴니아(OMNIA)’와 전략적 사업제휴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옴니아(OMNIA)는 동경에 위치한 블록체인 마케팅 및 엑셀러에이팅 전문회사로, 세계 유수의 블록체인 관련 서비스를 일본시장에 맞게 브랜딩하고 홍보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옴니아는 인플루엔서를 활용한 마케팅과 코봇에 대한 브랜딩 등을 통해 코봇의 차익거래 서비스를 일본에 판매하게 된다.옴니아의 타카마츠 대표는 “코봇의 자동거래 서비스 이용자로서, 코봇의 우수한 서비스를 일본에도 알리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이번 계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며 “수 년간의 운영 실적과 원천기술을 직접 개발한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고 설명했다.이번 사업제휴 계약에 대해 코봇 관계자는 “한국이나 일본에서도 암호화폐 자동 거래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믿고 사용할 수 있는 브랜드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옴니아와의 협업을 통해 코봇을 세계수준의 브랜드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코봇은 2014년도부터 암호화폐 자동 거래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해온 기업으로 개인과 기관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자동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英 블록체인 규제 TF팀 "암호화폐 규제 불확실성, 업계 발전 저해"
▲ 英 블록체인 규제 TF팀 "암호화폐 규제 불확실성, 업계 발전 저해"영국 정책 전문 미디어 로우가제트(Law Gazette)에 따르면, 10일(현지 시간)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정책 연구 태스크포스팀 로우테크 딜리버리 패널(LawTech Delivery Panel, 이하 패널)이 현지 법원에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관련 자산 분류 및 규제 명확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이와 관련해 패널 팀은 "암호화폐가 잉글랜드 및 웨일스 사법영역에서 재산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여부와 스마트 컨트랙트의 법적 정의에 대한 불확실성은 신흥 기술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며 현지 법원과의 협의를 시작했다. 법원과 TF팀의 협의는 오는 6월 21일 마무리되며, 이에 따라 영국 정부가 암호화폐 및 스마트 계약 규제 관련 법안을 마련할 것이라는 게 미디어 측의 분석이다.▲ 中 블록체인 전문가 "BTC 롤백 가능하지만 시세 폭락 동반"10일(현지 시간) 중국 진추 블록체인 연구소의 홍슈닝(洪蜀宁) 소장이 "비트코인(BTC) 블록체인의 롤백은 기술적으로 가능한 문제지만 여러가지 문제점을 동반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우선 롤백이 가능하려면 대다수의 채굴풀 및 채굴자들의 사전 합의가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롤백을 반대하는 채굴자들에게 손해를 입힐 수 있으며, 하드포크 등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롤백 기간 동안 채굴풀들의 이탈이 없어야 하며, 롤백 발생 시 코인 가격 폭락은 피할 수 없는 과정으로 사실상 채굴자들의 합의가 이뤄지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토큰인사이트 "암호화폐 퀀트투자 산업, 아직 과도기"블록체인 리서치 전문 업체 토큰인사이트가 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퀀트투자 펀드 산업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01. 비록 암호화 토큰 시장의 시가총액과 거래량이 글로벌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지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2. 암호화 토큰은 글로벌 투자 시장에서 주요 포트폴리오 구성 자산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3. 암호화폐 거래 시장은 지난 10년 간 약 세 차례 강·약세 큰 흐름 전환을 겪었다. 퀀트 분석 투자는 약세장에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투자방식으로 시장의 인정을 받기 시작했다.4. 퀀트 투자의 강점은 △안정적인 수익률 △리스크 관리 용이 △상승·하락 양방향 수익 창출 가능 등이 있다.5. 현재 전세계 암호화폐 퀀트투자 펀드는 주로 미국, 중국, 캐나다, 영국, 러시아 등 국가에 집중 분포돼 있다.6. 대규모 암호화폐 퀀트투자 펀드는 2017년 처음 등장해 지난해까지 본격적으로 시장에 유입됐다. 다만, 퀀트투자 펀드는 기타 펀드에 비해 규모가 작다. 대부분의 퀀트 펀드가 운용하는 자산은 1,000 BTC 이하로, 출시되고 있는 상품의 투자금 규모도 100~300 BTC 사이가 가장 많다.7. 현재 퀀트 투자에 가장 적합한 플랫폼은 비트멕스와 OKEx, 필수 투자 종목으로는 BTC가 꼽힌다.8. 현재 암호화폐 퀀트투자 업계는 적자생존의 법칙에 따라 과도기를 거치고 있다. 향후 퀀트투자 시장은 투자 종목 다양화, 합법화, 전문화, 합리화된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아이오텍스 (IoTeX), 메인넷 출시 완료- 2주간 리허설 완료 후 성공적으로 메인넷 알파 출시- 자체 합의 알고리즘으로 구동되는 루트 체인의 개발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오텍스(IoTeX)가 23일 메인넷 알파 출시를 완료했다. 아이오텍스는 지난 3월 15일부터 3월 26일까지 메인넷의 노드가 될 대표단 선거를 진행했다. 선거를 통해 전 세계 20여개 국가에서 선출된 총 50명의 대표자가 선출되었으며, 약 2주간 네트워크 보안성과 효율성을 검증하는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메인넷 알파가 출시되었다.이번 메인넷 알파 출시의 주요 성과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레이어의 루트 체인(Root Chain) 개발이다. 아이오텍스 네트워크는 가장 상위 레이어인 거버넌스 레이어,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오퍼레이션 레이어로 나뉘며 각각 레이어는 그래비티 체인, 루트체인, 서브체인으로 형성된다. 로드맵상 순서로는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 출시에 이어 2분기에 오퍼레이션 레이어, 3분기에 거버넌스 레이어가 출시 될 예정이다. 이번 메인넷 알파로 형성된 루트 체인은 2분기에 출시 예정인 모든 서브 체인들의 관리자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디앱(Dapp)의 개발을 지원하여 물리/가상의 사물간 정보 및 가치 교환인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루트 체인으로 형성된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는 아이오텍스의 자체 합의 알고리즘인 Roll-DPOS에 의해 구동된다. 지난 대표단 선거를 통해 선출된 50명의 대표자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무작위로 선정되어 네트워크에서 블록 생성 및 검증을 진행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아이오텍스는 네트워크 공정성, 안정성, 속도를 확보하고 개인정보 보호, 이종기기간 호환, 인프라 구축 등 사물인터넷이 직면한 문제 해결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되었다. 롤렌 차이(Raullen Chai) 아이오텍스 공동창업자는 “메인넷 출시를 통해 스마트홈 서비스 등 사물 인터넷의 기존 상품과 서비스가 혁신될 것이다”며 “아이오텍스는 2년의 개발 기간을 거치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다. 향후 아이오텍스의 사업을 기대해달라"고 밝히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 첫 프로젝트 ‘썬더 코어(TT)’ 거래 규칙 발표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 첫 프로젝트 ‘썬더 코어(TT)’ 거래 규칙 발표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글로벌(Huobi Global)은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Huobi Prime Lite) 첫 프로젝트 ‘썬더 코어(TT)’ 거래 규칙이 공개됐다고 7일 밝혔다.후오비 프라임 라이트는 후오비 글로벌에 상장하는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의 세분화된 서비스이다.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을 갖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하면서도 좀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후오비 프라임 라이트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후오비 프라임 대비 판매에서 상장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다는 점이다. 판매되는 토큰 물량도 후오비 프라임보다 많이 증가하여 많은 참여자가 낮은 비용으로 투자할 기회를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를 통해 교환되는 후오비 토큰(Huobi Token, HT)은 가치 상승을 위한 전략으로 모두 소각된다.후오비 프라임 라이트 1기 프로젝트는 속도와 확장성, 보안성을 높인 블록체인 플랫폼 ‘썬더코어(ThunderCore, TT)’이며 준비된 총 물량은 약 3,333만 3,333TT다. 거래는 한국 기준 9일 21시부터 시작되며 합리적인 시장 가격 형성과 가격 변동으로 인한 리스크 방지를 위해 상한가가 지정된다. 후오비 프라임에서 3라운드를 진행했던 것과 달리 후오비 프라임 라이트는 1라운드만 진행된다. 투자자는 거래 20분과 미체결 거래 취소 10분을 합쳐 총 30분간 참여할 수 있다. 후오비 토큰 사전 보유 조건 없이 누구나 100HT 만큼 거래 한도가 부여되며 사전에 후오비 토큰을 장기간 보유했던 회원들은 최대 5,000HT만큼의 추가 한도가 부여된다.후오비 글로벌 관계자는 “거래 기간에는 API를 통한 주문이 불가하며, 웹사이트와 후오비 글로벌 앱을 통해 거래 참여가 가능한 만큼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
테라, 싱가포르 ‘룬엑스 벤처스’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테라, 싱가포르 ‘룬엑스 벤처스’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 룬엑스 투자 포트폴리오의 첫 스테이블코인 및 결제 프로젝트로 테라 선정- 전략적 투자 유치 통해 동남아 시장에서 테라 입지 강화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핀테크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가 룬엑스 벤처스(LuneX Ventures)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6일 밝혔다. 룬엑스 벤처스는 동남아시아에서 영향력이 높은 싱가포르 소재 벤처캐피탈(VC) 골든게이트 벤처스(Golden Gate Ventures)가 조성한 1000만달러(약 113억원) 규모의 펀드로 전도 유망한 블록체인 스타트업에 투자한다. 테라는 이번 투자 유치로 싱가포르 및 동남아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테라 얼라이언스를 확장할 방침이다. 테라는 상반기 내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을 출시하고 올해 싱가포르 사무소를 공식 오픈할 예정이다. 테라는 룬엑스 투자 포트폴리오의 첫 스테이블코인 및 결제 프로젝트로 이름을 올렸다. 룬엑스는 암호화폐 가격 안정성을 보장하는 토큰 이코노미 설계와 함께 티몬, 배달의민족, 글로벌 쇼핑 플랫폼 큐텐(Qoo10), 동남아 최대 중고거래 사이트 캐러셀(Carousell) 등 아시아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이 참여한 테라 얼라이언스의 경쟁력을 높이 평가했다. 현재 테라 얼라이언스에 가입된 플랫폼들의 연 거래액은 약 28조원(250억달러), 사용자 규모는 4500만명에 이른다. 켄릭 드라이코니겐(Kenrick Drijkonigen) 룬엑스 벤처스 창립 파트너는 “한국은 암호화폐 시장이 매우 발달한 국가다. 최신 기술에 익숙한 사용자와 뛰어난 기업가를 보유한 한국은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로 프로젝트를 확대하기에 완벽한 환경”이라며 “룬엑스는 스테이블코인 대중화의 견인 수단으로 이커머스를 활용하는 테라의 시장 진입 전략에 깊은 신뢰를 보낸다. 테라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싱가포르 및 동남아 시장에서 테라 결제 서비스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현성 테라 공동 대표는 “룬엑스 벤처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게 돼 매우 기쁘다. 골든게이트 벤처스 및 룬엑스와 같은 뛰어난 VC의 지원으로 테라에 대한 신뢰도가 더욱 높아졌다”며 “이번 투자 유치는 테라가 아시아 시장에서 차세대 결제 서비스 선도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테라는 최근 동남아시아 시장 확장을 위해 골드만삭스 출신의 법률 고문을 비롯해 금융 관련 선도 기업으로부터 인재를 영입했다. 테라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열풍의 중심지인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동남아 시장에서 테라 입지를 확대해 나갈 전략이다.
-
외신 "페이스북 암호화폐 'Libra', 인도서 첫 공개 가능성"
▲ BCH 웜홀, 15일 BCH 프로토콜 업데이트 준비 완료비트메인이 출시한 BCH 기반 토큰 발행 프로토콜인 '웜홀 캐시 프로토콜' 개발진이 bitcoincash.org의 발표를 인용해, 오는 15일 BCH 네트워크의 합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MTP-11(최근 11개 블록의 중간값 시간) 또는 유닉스(UNIX) 시간 기준 1557921600에서 정해진 규정에 의해 네트워크 합의 프로토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다. 바로 그 다음 블록부터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이 적용된다. 슈노르 서명(Schnorr Signature)과 세그윗(Segwit) 복원 등 기능이 추가된다. 웜홀 캐시 프로토콜 측은 이같은 업그레이드를 위한 준비가 완료됐으며, Bitcoin-ABC 0.19.5 버전에 대한 업데이트도 이뤄진 상태다. 발표에 따르면 웜홀 0.2.4 버전 노드와 Bitcoin-ABC 0.19.5은 호환된다.▲ 외신 "페이스북 암호화폐 'Libra', 인도서 첫 공개 가능성"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가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프로젝트 리브라(Libra)가 수개월 후 인도에서 최초 공개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페이스북의 리브라 프로젝트는 페이팔 출신 개발팀이 주도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 업체와 통합돼 운영될 예정이다. 또한 페이스북은 산하 인스턴트 메신저 앱 왓츠앱(WhatsApp) 인도 유저들에게 해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페이스북 암호화폐를 현지 법정통화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사용할 계획을 암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8일(현지 시간) 블룸버그는 이르면 다음 분기 내에 페이스북의 암호화폐 관련 상품이 발표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댑레이더, 웹사이트에 IOST 댑 섹션 추가아이오에스티(IOST, 시가총액 47위)가 10일(현지 시간) 공식 채널을 통해 세계 최대 댑 관련 데이터 플랫폼 댑레이더(DappRadar)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IOST는 ETH, EOS, TRON에 이어 4번째로 댑레이더의 댑 섹션에 등록됐다. 또한 댑레이더는 IOST 기반 댑 데이터 추적 및 분석 코너를 개설해 사용자들에게 서비스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IOST는 현재 0.70% 오른 0.01175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메디블록이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성공리에 출시-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 치과 검진 EMR 시스템 출시-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시작으로....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 ‘박차’글로벌 헬스케어 블록체인 선도기업 메디블록(공동대표 고우균·이은솔)은 직접 개발한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 내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성공리에 출시했다고 밝혔다.이는 치과 분야에 있어 ’세계 최초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서비스’이기에 더 큰 의미를 갖는다. 메디블록과 경희대치과병원은 2018년 1월 18일 의료기록 체계의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논의를 지속해왔으며 이번 시스템 출시는 이에 대한 결과물이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 도입되는 시스템은 치아나 잇몸 상태뿐 아니라 구강 구조, 얼굴 균형, 저작 기능 등을 고려한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으로, 검진 비용을 최소화하고, 치과 전용 CT(컴퓨터 단층 촬영)나 3차원 얼굴 스캐너 등 최신 장비를 이용해 진료 계획을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메디블록이 개발한 치과 검진 EMR 시스템을 통해 의료진은 문진표 작성 시 전신건강상태, 구강건강 인식도 및 습관 등 모든 설문을 전산화하여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파악하고, 진단결과를 여러 진료과가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더 나아가 웹기반 원격 진단 서비스를 통해 국가 간의 의료장벽과 의료수준 차이를 넘어선 글로벌 빅데이터 구축 및 초 양질의 진단 치료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로 인해 검진 전문성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치과계 최초로 치아뿐만 아니라 얼굴뼈, 연조직의 종합검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검진센터이며, 1971년 오픈한 국내 첫 사립대 치과병원인 경희대 치과병원(병원장 황의환, 센터장 최용석)에서 구축한 곳이라 큰 의미를 가진다. 검진센터에서는 치아 및 치주 관련 기본검진, 턱관절 및 구강 내 질환 검진, 구강암 검진, 부정교합 및 동적인 구강기능 검사 등 전반적인 치과 검진 시스템을 운영한다.경희대학교 치과병원 황의환 원장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는 의료데이터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는 메디블록과 함께 혁신적인 의료정보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며, “이번 케이스를 통해 국내 치과 진료 문화는 크게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강조했다.메디블록 고우균 공동대표는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에서 치과 분야에서는 세계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의 환자 중심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를 선보이게 되었다.”라며 “메디블록은 의료정보 통합 EMR 시스템 제공을 시작으로 메디블록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와 경희치과종합검진센터의 시스템을 연동시켜 센터에 방문하는 환자들이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라고 말했다.메디블록은 한양대 의료원, 전남대학교병원, 베스티안병원 등 유수의 의료기관과 협약을 맺어 의료정보 플랫폼으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한 바 있다. 또한, 메디블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과 분당서울대병원 함께 진행하는 정부 과제에서 유일한 블록체인 기술 위탁기관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가톨릭중앙의료원과 빅데이터 센터 정부 과제를 함께 진행하며 의료정보 생태계 및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하버드 의과대학 실습 수련병원인 MGH와 의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진행을 통해 전 세계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한편, 메디블록은 지난 2월과 8월에 각각 ‘포브스가 선정한 2018년 기대되는 한국 스타트업 10곳'과 ‘포브스가 선정한 2019년 기대되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9곳'에 선정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국내 블록체인 기업이다.
-
BTC 코어 개발자 "크레이그 라이트, 사토시 아니다"
▲ 암호화폐 월렛 아브라, 美 소재 수천개 은행 계좌 인앱 연동 지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에 따르면, 9일(현지 시간) 모바일 암호화폐 월렛 애플리케이션 아브라(Abra)가 미국 소재 수천 개 은행 계좌의 앱 연동을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API로 사용자의 은행 계좌와 앱을 연결시켜 주는 핀테크 서비스 플래드(Plaid)와 통합을 통해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는 게 아브라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폴 윌리엄슨 플래드 사업본부장은 "소비자 및 투자자들은 은행에 상관 없이 본인이 원하는 곳에 투자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받아야 한다. 이번 통합으로 아브라 사용자들은 보다 많은 투자 옵션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투자 몰타 암호화폐 은행, 도이치방크 관계자 CEO로 영입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투자한 몰타 암호화폐 전문 은행 파운더스 뱅크(Founders Bank)가 도이치뱅크 고위직 출신 케넌 알투니스를 새로운 CEO로 임명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파운더스 뱅크는 향후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전문 업체들이 전통 은행들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및 연계한다는 방침이다. 은행은 현재 몰타 금융청에 라이센스를 신청, 정식 허가를 대기하는 중이다.▲ BTC 코어 개발자 "크레이그 라이트, 사토시 아니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최근 유명 BTC 코어 개발자인 제임슨 롭(Jameson Lopp)이 "크레이그 라이트는 BTC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가 아니다"라며 크레이그 라이트의 주장을 반박하는 글을 발표했다. 해당 게시글에서 그는 "크레이그 라이트는 2009년부터 2010년까지 공개적인 장소에서 100 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고 주장하며 구체적인 시간까지 제시하고 있다. 한편, 그가 제시한 시간대와 사토시 나카모토가 활동하던 시기 이메일, 게시물, 코드 업데이트 시간대를 비교했을 때 사토시와 크레이그 라이트는 동일 인물이 아니라는 것이 명확하게 드러난다. 또한 호주 정부에 문의해 크레이그 라이트의 병역 관련 정보를 입수할 수 있었는데, 크레이그 라이트가 호주 군 소속이었다는 어떤 증거도 확인할 수 없었다"고 부연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트론 前 CTO "트론, 초심 잃었다...새로운 프로젝트 출시"
▲ 독일, 오는 여름 블록체인 기반 채권 발행 허용 규정 발표 예정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독일 정부가 오는 여름 블록체인 기반 채권 발행을 허용하는 규정 초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독일 행정부 내 블록체인 관련 취재원인 토마스 힐맨 교수에 따르면, 해당 초안은 이미 당국 인사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미 관련 논의의 결론이 담긴 문건이 만들어진 상태다. 독일 정부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해 온 터라 해당 규정이 독일 암호화폐 업계 전반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프랭크 셰플러 독일 자유민주당 내 IT 정책 전문가는 "독일 정부가 드디어 눈을 떴다"고 평가했다.▲ OKEx, 3억 OKB 바이백·소각 규칙 공지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가 10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3억 OKB의 바이백 및 소각 규칙을 공지했다. 해당 공지에 따르면, OKEx 측은 5월 4일부터 코인 간 거래 마켓의 수수료 수익 30%를 사용해 자체 발행 플랫폼 토큰 OKB의 바이백을 진행하고 있으며, 회수한 OKB는 '블랙홀' 주소로 이체시켜 소각하고 있다. 또한 4일부터 31일까지 주 단위로 OKB의 소각을 진행하며, 매주 금요일 OKB 소각 관련 상세 정보를 공지할 예정이다. 오는 6월 1일부터는 4개월을 주기로 OKB의 바이백 및 소각을 진행할 계획이며, 바이백 및 소각 진행 후 일주일 내로 관련 정보를 모두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OKB의 '블랙홀' 주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etherscan.io/address/0xff1ee8604f9ec9c3bb292633bb939321ae861b30또한 현재 유통되지 않은 7억 개 OKB는 오는 2022년까지 락업될 예정이며, 락업 분량의 운용은 OKB 커뮤니티 내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것이다. 관련 공지는 최소 6개월 전에 발표될 것이다. 4일부터 10일까지 OKB 바이백 및 소각 물량은 공지 시점 기준 506,193.37 OKB이며, 해당 물량은 이미 블랙홀 주소로 이체됐다. 코인마켓캡 기준 OKB는 현재 3.29% 내린 1.5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트론 前 CTO "트론, 초심 잃었다...새로운 프로젝트 출시"트론의 전 CTO인 천즈창이 공개 서한을 통해 "트론은 이미 탈 중앙화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초심을 잃었다"며 "내가 트론을 떠나게 된 이유"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VOL로 불리는 진정한 탈중앙화 프로젝트를 새롭게 론칭할 예정"이라며 "뉴-트론으로 불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천즈창에 따르면 블록체인 프로젝트 람다(Lamda)가 초기 파트너로 VOL의 생태계 조성에 참여할 예정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암호화폐 결제 업체 유트러스트, 스위스 '금융중개업' 라이선스 취득
▲ 플루이디티, 이더리움 기반 모기지대출 상품 출시 예정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미국 소재 핀테크 업체 플루이디티(Fluidity)가 올여름 미국 뉴욕과 캘리포니아 주에서 이더리움 기반 모기지대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토드 리피아트(Todd Lippiatt) 플루이디티 수석 아키텍처 디자이너는 "해당 상품은 주택을 토큰화해 이를 담보로 대출을 주는 것"이라며 "중앙은행의 정책과 정치적 요소 등 외부 요인의 영향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전통 금융권의 모기지상품보다 더 나은 조건의 대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란 BTC 거래량 2주간 50% 증가...무역 제재 영향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 호들에 따르면, 이란의 지난주 비트코인 장외 거래량이 60만 달러까지 급증했다. 4월 셋째주 39만 7000 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미국이 이란에 대한 강도높은 무역 제재의 영향으로 달러 대비 화폐 가치가 급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 한 주 이란 리알화 가치는 10% 가까이 급락했다. 반면 이란의 리알화 기반 비트코인 장외거래는 지난 2주간 약 51.5% 증가했다.▲ 美 경찰, 200만 달러 암호화폐 해킹 및 사기 용의자 체포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뉴스 플랫폼 더월드뉴스에 따르면, 최근 미국 경찰당국이 20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온라인 사기 혐의를 받고 있는 20세 아일랜드 국적 남성 코너 프리먼(Conor Freeman)을 체포했다. 코너 프리먼은 인터넷 피싱 및 해킹을 통해 200만 달러 규모의 암호화폐를 갈취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미국 사법부에 의해 100년 이상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는 게 미디어의 진단이다. 미국 사법부가 발표한 해당 사건 관련 자료에 따르면, 프리먼은 총 4번의 네트워크 공격에 참여해 2,187,977 달러 가치의 암호화폐를 갈취한 혐의가 이미 인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암호화폐 결제 업체 유트러스트, 스위스 '금융중개업' 라이선스 취득경제 전문 온라인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 Magnates)에 따르면, 10일(현지 시간) 암호화폐 결제 대행 업체 유트러스트(UTRUST)가 스위스 금융서비스표준협회(FSSA)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다고 발표했다. FSSA는 스위스 금융규제당국인 FINMA의 공식 승인 협회로, 해당 협회 가입 시 스위스 국경 내 '금융 중개사'로서 합법적인 활동이 가능하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더 블록 애널리스트 "바이낸스 해킹 피해, 47일 만에 만회"
▲ 블록스트림, 리퀴드 데이터 공개 애널리스트 트윗 차단래리 세르막 더 블록 애널리스트가 트위터를 통해 "지난 7개월 동안 블록스트림은 거의 어떠한 성장 동력도 없었다. 리퀴드(Liquid)의 총 거래량은 6만 1,700건이며, 현재 자금 규모는 31만 달러 수준이다. 순수 페그 트렌잭션(peg transaction)은 400건 정도다"라고 지적했다. 해당 트윗이 작성된 후 세르막의 트위터는 블록스트림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차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세르막은 "일반인들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공개된 데이터를 말했을 뿐인데 블록스트림은 이를 차단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샘슨 모우 블록스트림 CSO는 "차단한 이유는, 그(세르막)가 바보이기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리퀴드는 블록스트림이 출시한 글로벌 기관 전용 블록체인 정산 네트워크다.▲ 위키피디아 공동창업자 "댑, 진입장벽 너무 높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넥스트웹(TNW)에 따르면, 최근 위키피디아의 공동 창업자이자 에프리피디아(IQ, 시가총액 231위) 최고정보관리자(CIO) 래리 생어(Larry Sanger)가 "오늘날 출시되고 있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은 진입장벽이 높아 대다수 사용자가 접근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현재까지 사용자의 기대치를 만족시킬만한 댑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한다"며 "댑 개발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블록체인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어 가용성과 설계 측면에서 사용자 경험(UX)을 소홀히하고 있다는 점"이라고 부연했다.▲ 더 블록 애널리스트 "바이낸스 해킹 피해, 47일 만에 만회"레리 세르막 더 블록 애널리스트가 트위터를 통해 최근 발생한 바이낸스 해킹 사고에 대해 "4100만 달러는 바이낸스에게 있어 심각한 수준의 문제는 아니다"라며 "단 47일만에 벌어들이 수 있는 금액이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한 "이는 사상 여섯번째 대규모 거래소 해킹사고로, 지금까지 거래소들의 누적 해킹 피해액은 13.5억 달러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리오그(블록체인 재구성)은 멍청한 생각으로, 효과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EY 보고서 "쿼드리가CX, 채권자에게 1억 6천만 달러 미지급"
▲ 크립토닷컴, 정보보호 분야 국제인증 획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라이브비트코인뉴스(livebitcoinnews)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 결제서비스업체 크립토닷컴(Crypto.com)이 최근 정보보호 분야 국제 인증 'ISO 27001:2013'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ISO 27001:2013은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국제표준이자 정보보호 국제인증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크립토닷컴은 지난 1년간 정보보호정책, 물리적 보안, 정보접근 통제 등 정보보안 관련 11개 분야, 133개 항목 심사와 검증을 통과해 해당 인증을 획득했다.▲ 라이언 셀키스 "ETH, PoS로의 전환 2021년 구현 전망"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ICO 및 암호화폐 관련 데이터 제공 업체 메싸리(Messari)의 설립자 라이언 셀키스(Ryan Selkis)가 "2021년에 비로소 ETH 네트워크가 PoS(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PoS 합의 알고리즘으로의 전환과 관련된 주요 리스크를 지적하며 "PoS의 효과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스텔라 테스트넷, 13일 스텔라 프로토콜 11로 업그레이드스텔라(XLM, 시가총액 9위)가 테스트넷이 오는 13일 오전 9시(UTC)에 스텔라 프로토콜 11(Stellar Protocol 11)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또한 스텔라는 "테스트넷에서 프로토콜 11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개발자는 SDK와 기타 종속성(dependencies)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LM은 현재 4.15% 상승한 0.09350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美 블록체인 스타트업 '심바체인', 새로운 버전 출시 예고글로브뉴스와이어(GlobeNewsWire)에 따르면, 미국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블록체인(BaaS) 기업 '심바체인(SIMBA Chain)'이 오는 13일 뉴욕서 개최하는 'Consensus 2019'에서 새로운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심바체인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출자, 미국 엔지니어링 업체 아이탬코(ITAMCO)와 노터데임(University of Notre Dame) 대학교가 공동 설립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이다.▲ EY 보고서 "쿼드리가CX, 채권자에게 1억 6천만 달러 미지급"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글로벌 회계법인 언스트영(EY)의 보고서를 인용, 캐나다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쿼드리가CX(QuadrigaCX)의 현재 자산은 2,100만 달러에 불과하지만 채권자들에게 1억 6천만 달러를 미지급한 상태라고 보도했다. 또한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Quadriga Fintech Solutions Corp., Whiteside Capital Corporation, 0984750 BC Ltd.는 쿼드리가CX 산하 법인인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美 뉴욕주 의원, 블록체인 산업 로비 및 규제기관 교육 필요성 강조
▲ 美 CFTC 주간 보고서, CME·CBOE BTC 선물, 숏 포지션 우세미국 선물거래위원회(CFTC)가 10일(현지시간) 발표한 COT(Commitment of Traders) 보고서에 따르면,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의 BTC 선물 포지션은 지난주 보다 103 건 감소한 2,607 건을 기록했다. 레버리지 펀드의 롱 포지션은 226 건, 숏 포지션은 887 건을 기록해 661 건의 순 숏포지션을 기록했다.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포지션은 총 4,388 건으로 전주 대비 75 건 늘었다. 레버리지 펀드의 롱 포지션은 1,941 건, 숏 포지션은 2,692 건을 기록해 751 건의 순 숏포지션을 기록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자산관리(Asset Manager) 계좌가 최근 BTC 시세 상승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번주 해당 계좌의 숏 포지션이 0으로 줄고 롱 포지션이 57% 증가했으며, 기타 계좌는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10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17.28%, 숏 포지션 비율은 26.60%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4.96%, 16.73%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5.97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58.84만 ETH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재단, 생태계 개발에 1년간 3000만 달러 투자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최근 아야 미야구치(Aya Miyaguchi) 이더리움 재단 이사가 향후 1년 동안 각종 프로젝트와 생태계 전반에 걸쳐 3,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이더리움 1.x의 작업증명(PoW) 알고리즘 작업과 핵심 지원 및 개발 작업을 포함한 이더리움 연구성과 및 보안개선을 위해 자금을 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이더리움 재단은 ETH 인프라를 위해 자금 지원을 모색하는 탈중앙 시스템 MolochDAO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美 뉴욕주 의원, 블록체인 산업 로비 및 규제기관 교육 필요성 강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미국 뉴욕 주정부의회 의원 클라이드 바넬(Clyde Vanel)이 "블록체인 산업은 해당 산업을 위해 스스로 로비에 힘써야하며 규제기관을 교육할 필요가 있다"고 지난 10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반 사업이 이룬 성과와 가치를 대중에게 알려야한다. 신흥 산업 중, 일반적으로 불건전한 업체들이 실질적인 가치를 지닌 업체들 보다 얼론보도를 잘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각 주정부는 정부 차원에서 블록체인 관련 규정 수립을 촉진할 책임이 있다"며 "뉴욕주는 투자자 보호 측면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댄 라리머 "EOS 인플레이션, UBI에 분배...가장 공평한 방안"
▲ 암호화폐 시총 2,000억 달러 돌파, BTC 점유율 59%11일 오전 BTC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암호화폐 시가총액 규모가 2,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BTC 비중도 59%를 기록했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7.02% 오른 6,710.8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76...탐욕→극단적 탐욕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71) 보다 5 포인트 오른 76을 기록했다. 이는 2018년 해당 지수 발표 이래 최고치로, 전일 ‘탐욕’에서 ‘극단적 탐욕’ 단계에 진입했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BTC 연초 이래 70% 상승...글로벌 주요 투자 자산 중 1위중국 경제 미디어 차이롄서(财联社)에 따르면 최근 1개월간 비트코인(BTC) 가격이 23% 상승했다. 연초 이래 가격 상승폭은 70%로, 전세계 주요 투자 자산 중 1위다. 2위는 미국산 원유로, 연초 이래 34.71%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는 “최근 거래량 및 가격 상승폭 측면에서 볼 때 BTC 가격은 이미 2018년 11월 수준과 근접하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주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경제학자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는 “BTC 가격이 6,400달러를 돌파한다면 이는 곧 새로운 불마켓의 시작일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현재 BTC 가격은 코인마켓캡 기준 4.81% 오른 6,571.2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댄 라리머 "EOS 인플레이션, UBI에 분배...가장 공평한 방안"댄 라리머 EOS 창시자는 9일 오전(한국시간) EOS 공식 텔레그램 채널에서 다음과 같이 발언했다. 1. 인플레이션된 EOS를 '보편적 기본 소득(UBI)'에 분배하는 것이 가장 공평하고 공정하게 해당 자금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2. BP 보상을 1.5%까지 확대하는 것을 지지한다. 현재 BP들이 큰 비용을 통해 네트워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BP 일수록 더욱 많은 보상을 받게 될 것3. UBI는 마케팅 및 신규 이용자 유치에 가장 좋은 방안이다. 물론 관련 소득은 신분 인증을 거친 이용자만 해당이 되며, 관련 신분 인증 시스템은 댑 개발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업비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공개
업비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공개글로벌 표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2019년도 2분기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결과를 공개했다.업비트는 고객 신뢰도 제고와 투명한 거래 환경 제공을 위해 지난해 6월부터 매 분기마다 실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이 네번째다.공개한 보고서에는 두나무가 유진회계법인에 의뢰하여 2019년 4월 1일 오전 3시 기준으로 업비트가 보유한 222종의 코인과 회사 명의 예금 실사를 받은 내용이 담겨 있다.주요 내용은 ▲암호화폐 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암호화폐 대비 금액 기준으로 약 102.49%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점 ▲예금 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금전 대비 150.66%의 금전을 보유하고 있는 점으로 요약된다.이번 실사는 2019년 4월 1일부터 20일까지 두나무 본사에서 실시됐다. 암호화폐의 경우 두나무가 개발한 내부 전자지갑과 전문업체가 제공하는 전자지갑에 실재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고, 예금은 두나무가 보유한 예금명세서를 기초로 해당 금융기관에 조회하여 확인했다.두나무 관계자는 “업비트는 고객에게 지급할 암호화폐와 예금을 모두 초과하여 보유하고 있어 언제든 고객에 원할 때 지급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실사를 통해 투명하고 믿을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한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전문은 업비트 홈페이지 고객센터 내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롱해시 “코스모스 네트워크, 중앙화 수준 높은 편”
▲ 저스틴 선 “10년전이나 지금이나 BTC 최적의 매수 시기”트론 재단의 설립자 겸 CEO 저스틴 선(Justin Sun)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BTC는 언제 매수를 하든 늦지 않을 것”이라며 “10년 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BTC 최적의 매수 시기다"고 말했다. BT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7.80% 오른 6,794.42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롱해시 “코스모스 네트워크, 중앙화 수준 높은 편”블록체인 분석 전문 업체 롱해시(LongHash)가 자체 연구를 통해 코스모스(Cosmos) 네트워크 거버넌스 중앙화 수준이 비교적 높다고 밝혔다. 또한 단기간 내 이 같은 구조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롱해시가 100개 VP(Validating peer) 중 상위 34개 VP를 대상으로 진행한 분석에 따르면 이들의 투표 가중치 총합은 92%에 달했다. 이는 해당 VP가 네트워크 및 투표 거버넌스, 블록 생성 등에 장기간 핵심적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코스모스는 지난달 14일 메인넷을 출시했으며 이번달 초 자체 토큰 아톰(ATOM)이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 상장했다. ATOM은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97.32% 오른 0.000745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트론 전 CTO “트론 중앙화 심각”전 트론 최고기술경영자 천즈창(陈志强)이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Blockbeats와의 인터뷰에서 “트론의 일부 대형 노드 투표 비중이 90% 이상에 달한다. 또한 트론 댑 대부분이 겜블링 등 분야에 편중돼 있다”며 "지금의 트론은 ‘탈중앙화’를 추구한 초기 목표와 이미 상당 부분 거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논문 “익명성 암호화폐 ‘모네로’ 추적 가능”룩셈부르크 대학, 호주 모나시 대학 등 연구진이 공동 연구를 통해 익명성 암호화폐로 유명한 모네로(XMR)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모네로의 Bulletproof 프로토콜을 통해 대량의 거래를 발생 시킨 후 당초 거래 식별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짜를 섞은 전체 거래 내역을 제거, 이에 대한 재분석을 진행해 거래 추적을 할 수 있다. 해당 논문은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을 비롯해 에민권시러(Emin Gün Sirer) 코넬 대학교 교수 등 업계 전문가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디어에 따르면 레딧의 일부 이용자들은 "논문에서 가정한 100건의 거래량이 가능한 규모이긴 하지만, 실제 모네로는 거래 발생 수량을 16개로 제한하고 있다”며 논문의 허점을 지적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