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갤럭시 S10, 암호화폐 간편결제 지원한다”암호화폐 간편결제 서비스 코인덕, 갤럭시 S10 탑재
“갤럭시 S10, 암호화폐 간편결제 지원한다”암호화폐 간편결제 서비스 코인덕, 갤럭시 S10 탑재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자회사인 코인덕(대표 신민섭)의 암호화폐 간편결제 서비스가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S10에 탑재됐다고 밝혔다. 앞으로 갤럭시 S10 이용자는 코인덕과 제휴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다.코인덕은 지난 2018년 1월 출시된 세계 첫 이더리움 기반 결제 서비스다. 서비스 1년만에 전국에 1천여 개의 가맹점을 모았다. 암호화폐로 세금도 내는 것으로 유명한 스위스 주크(Zug)시의 크립토 밸리(Crypto Valley)보다 가맹점이 많다. 지난해 12월 삼성전자의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인 ‘C랩’에 선발된 코인덕은 이후 삼성전자와 암호화폐 결제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긴밀히 협업해왔다.코인덕 암호화폐 결제는 갤럭시 S10에서 ‘삼성 블록체인 월렛(Samsung Blockchain Wallet)’ 앱을 내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 디앱(DApp) 탭에서 코인덕을 실행해 가맹점에 놓인 QR코드를 스캔하면 결제금액을 입력할 수 있다.입력한 결제금액은 현재의 암호화폐 시세로 자동 변환된다. 사용자는 승인만 누르면 지갑에 담긴 암호화폐가 자동 차감되면서 결제가 완료된다. 기존 암호화폐 결제 방식은 가맹점의 지갑 주소를 복사해 개인 지갑에 붙여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코인덕과 삼성 블록체인 월렛 연동으로 사용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결제가 완료되면 가맹점 사장님은 문자메시지(SMS)로 안내를 받게 된다. 정산은 다음날 은행 계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장님이 암호화폐를 전혀 몰라도 결제를 받을 수 있다. 이미 코인덕은 전국 가맹점을 대상으로 1년간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해왔다. 결제 수수료도 거래 금액에 상관없이 1%로 카드 수수료 대비 크게 저렴하다.또한 코인덕은 모든 거래내역을 이더리움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100% 온체인(On-chain) 방식을 택해 보안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 이 방식으로는 거래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전세계 모든 암호화폐 지갑과 거래소 이용자에게 결제를 받을 수 있다. 별도 연동을 통해 삼성 블록체인 월렛 이용자는 다른 지갑 이용자보다 쉽게 코인덕으로 결제할 수 있다.작년 2월 동계올림픽 때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코인덕 가맹점 중 하나인 평창의 스키 렌탈샵에서 원화 대신 암호화폐로 결제해 포브스(Forbes) 등 외신의 주목을 받았다. 작년 7월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고속도로 휴게소인 덕평자연휴게소에 코인덕의 암호화폐 결제 솔루션이 도입되기도 했다.코인덕 신민섭 대표는 “아직은 변동성이 높은 암호화폐를 누가 결제에 쓰겠냐는 인식이 크지만 앞으로 원화나 달러 가치에 고정된 암호화폐를 코인덕에 연동하고 갤럭시처럼 널리 쓰이는 폰에서 결제할 수 있게 되면 상황은 하루아침에 바뀔 수 있다"며 “특히 암호화폐 결제는 외국인 관광객의 국내 소비를 촉진하거나 과거 ‘천송이 코트' 문제와 같이 해외 고객들이 국내 쇼핑몰을 이용할 때 겪는 불편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만큼 서비스를 계속 키워가겠다"고 밝혔다.코인덕은 결제 가능한 암호화폐로 아직 이더(ETH)만 받고 있지만, 체인파트너스가 운영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인 ‘데이빗’과의 연동을 통해 점차 지원하는 암호화폐를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
블룸버그 “비트파이넥스 사태, 소액 투자자 투자금 보장 취약 노출”]
[블룸버그 “비트파이넥스 사태, 소액 투자자 투자금 보장 취약 노출”]미국 경제 전문 미디어 블룸버그가 최근 비트파이넥스(Bitfinex) 테더 준비금 통한 8.5억 달러 손실 은폐 의혹 논란에 대해 “이번 사태는 소액 투자자가 더 많은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디어는 “실제 비트파이넥스는 소액 투자자 자금을 크립토캐피탈(Crypto Capital)을 통해 폴란드, 포르투갈 등 세계 각지로 이체하고 일방적 통지를 한다. 반면 수백만 달러 상당을 맡긴 기관 투자자 자금은 뉴욕 멜론 은행 등 위탁 은행을 통해 운용, 투자 자금에 대한 리스크를 낮춘다”고 설명했다.[금융위원장 "가상통화 규제, 초국가적 협력 필요"]연합뉴스에 따르면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에서 열린 금융안정위원회(FSB) 총회에 참석해 가상통화(암호화폐•가상화폐)를 규제하려면 국가를 넘어선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마련한 가상통화 관련 자금세탁방지 국제기준에 맞춰 각 국가가 관련 규제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핀란드, 5월 1일부터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자 규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핀란드 재정부는 26일(현지시간) 대통령이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자 규제 법안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오는 5월 1일 발효되는 법안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 및 위탁 월렛 서비스는 모두 핀란드 금융감독청(FSA)에 등록돼야 하며, 11월 1일까지 미등록 업체들이 영업을 지속할 수 있는 유예 기간이 부여된다. FSA는 해당 법안에 대해 "EU 구성원들은 2020년 1월 10일까지 암호화폐 관련 서비스에 대한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 조달 금지(AML/CFT) 입법을 완료해야 한다"고 설명했다.[印 정부, 암호화폐 규제 법안 초안 실질 협의…차기 정부 논의 가능성]인도 현지 미디어 The Economic Times에 따르면, 인도 정부가 암호화폐 규제 법안 초안을 위한 실질적 협의에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업계 소식통 인터뷰를 인용 "인도 당국의 '2019년 암호화폐 금지 및 디지털 화폐 규제 법안' 초안이 이미 관련 정부 부서에 배포됐다"고 밝혔다. 해당 법안 초안 작성은 수바시 찬드라 가르그(Subhash Chandra Garg) 인도 경제부장관이 담당했으며, 5월 말 총선 이후 차기 정부에서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고 미디어는 보도했다. 한편 미디어는 익명의 한 정부 관계자를 인용, "경제부서(DEA), 국세청(CBDT), 관세·간접세 중앙위원회(CBIC), 투자자교육보호관리국(IEPFA) 등 다수 정책 부서가 인도 내 암호화폐 거래 및 발행 전면 금지를 지지하고 있다”고 전했다.[외신 "비트파이넥스 사태 앞서 크라켄서 BTC 급락...정보 유출 의혹"]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에 따르면, 최근 비트파이넥스와 테더 사태 관련 정보가 사전 유출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뉴욕 검찰총장의 '비트파이넥스 사태' 관련 발표가 있기 몇시간 전,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에서 BTC 대량 매도에 따른 가격 급락이 발생한 것. 당시 크라켄 거래소의 BTC 가격은 5,400 달러선에서 급락 후 최저 4,357 달러에 거래됐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크라켄 거래소의 BTC 급락과 사건 발표 사이의 관계를 증명하는 근거가 없다"면서 "업계 내에서 의혹 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비트파이넥스 측 관계자 “8.5억 달러 손실 은폐설, 일각에선 준비금 충분 의미로 해석”]26일 뉴욕검찰청이 비트파이넥스(Bitfinex)의 8억 5,000만 달러 손실 은폐 의혹을 제기한 이후 비트코인 시세가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비트파이넥스가 공식 성명을 통해 “비트파이넥스와 테더는 재정적으로 강하다. 그 동안 테더는 준비금 미달, 회계 감사 등 투명성 관련 의혹을 받아왔지만 이번 사태 이후 일각에서는 오히려 테더가 충분한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비트파이넥스의 마케팅 총괄인 Kasper Rasmussen은 “테더 준비금은 시중에 유통 중인 USDT 수량과 같거나 많다. 게다가 100% 은행에 예치된 달러와 연계돼 발행된다. 최근 12시간 시세 현황으로 미뤄볼 때 암호화폐 시장이 조만간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펙쉴드 "신흥 스테이블 코인, 하루새 5천만 달러 이상 발행"]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쉴드(PeckShield)에 따르면 이번 테더의 8.5억 달러 준비금 이동 의혹으로 USDC, PAX 등 신흥 스테이블 코인 발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오늘 8시 40분(한국시간)에는 29,998,999 달러 규모의 USDC가 새로 발행됐다. 26일(UTC) 하루 기준 USDC 신규 발행량은 34,885,705에 육박했다. PAX와 NUSD는 각각 16,868,701개, 3,032개가 새로 발행됐다. 하루 동안 총 51,787,438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된 셈이다.[뉴욕타임즈 기자 "글로벌 자산 운용 업체, BTC 및 ETH 거래 서비스 추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crypto에 따르면 나다니엘 포퍼(Nathaniel Popper) 뉴욕타임즈 IT 전문 기자가 “최근 월가 브로커리지(주식 위탁매매) 증권사 TD 아메리트레이드(TD Ameritrade)가 비트코인 거래 서비스를 개시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글로벌 자산 운용 서비스 플랫폼 eTrade가 BTC 및 ETH 거래 서비스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eTrade는 BTC 및 ETH 고객 자금을 대량으로 보관할 여력이 안 되기 때문에 비트고(Bitgo) 등 암호화폐 수탁(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업체와 협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편 앞서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뉴스BTC는 TD 아메리트레이드가 암호화폐 팀을 신설하고 암호화폐 거래소 에리스X와 파트너십을 체결, 1,100만 명 TD 아메리트레이드 이용자에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지원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SBI 산하 거래소, 내년 STO 서비스 정식 출시]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일본 SBI 홀딩스 산하 거래소 SBI 버추얼 커런시스(SBIVC)가 26일(현지시간) STO(증권형 토큰 발행) 서비스를 내년 께 정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합법적인 STO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일본 당국의 금융상품거래법 및 자금결산법 개정을 기다리기 위한 시간이라는 설명이다. SBIVC는 일본 금융청의 라이선스를 취득한 합법적 암호화폐 거래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바이낸스, 자체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거래소 출범
바이낸스, 자체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거래소 출범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자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탈중앙거래소DEX를 출범한다.19일(몰타 현지시간으로 18일) 바이낸스는 오는 23일 자체 블록체인인 바이낸스체인Binance Chain을 정식으로 구동한다고 밝혔다. 또 이를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거래소 ‘바이낸스덱스Binance DEX’ 정식서비스도 출시할 계획이다.그동안 바이낸스 자체 코인인 비엔비BNB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파생 암호화폐(ERC 20 토큰)였다. 바이낸스체인 출범 이후 BNB는 독자적 네트워크를 보유한 암호화폐(코인)으로 탈바꿈 한다. 블록체인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결정으로 탈중앙화 거래소가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바이낸스덱스는 블록체인에 기반해 만들어진 거래소다. 기존 중앙화 거래소와는 달리 유저가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직접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안 수준도 크게 강화돼 해킹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할 전망이다. 그동안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탈중앙거래소를 선보였으나 기존 거래소에 비해 처리속도가 느린데다가 사용자의 수가 많지 않아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바이낸스덱스는 1초에 140만건 거래를 처리하는 기존 바이낸스 거래소와 동일한 거래속도를 구현할 목표를 두고 있다. 세계 180개국에 걸친 기존 바이낸스 유저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운영해 충분한 거래량도 미리 확보했다는 평을 듣는다.앞서 바이낸스는 올해 2월 바이낸스덱스의 베타버전인 테스트넷을 유저들에게 선보인바 있다. 바이낸스의 CEO장펑자오는 이달 4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당분간 바이낸스덱스와 기존 바이낸스 거래소를 모두 운영할 계획”이라면서 “철저한 보안강화를 위해 출시 일정이 다소 지연됐지만 이번달 안에는 꼭 바이낸스덱스의 정식 버전을 출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비트맥스(BitMax),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 지원 - 비트맥스 거래소의 지원으로 4월 27일 오후 7시 프리 세일 시작 예정- 도스 네트워크, 볼트에 이어 세 번째 토큰 세일 지원 프로젝트로 듀오 네트워크 선정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 비트맥스(BitMax.io)가 블록체인 기반 파생 상품 거래 플랫폼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Pre-sale)을 지원한다. 비트맥스는 듀오 네트워크 프리 세일에 대한 기술과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며, 프리 세일은 한국 시간으로 4월 27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진행된다. 비트맥스는 18년 8월에 출시된 디지털 자산 거래 플랫폼으로 CEO 조지 차오(George Cao), COO 애리얼 링(Ariel Ling)을 비롯한 월스트리트 출신의 전문가들이 만든 거래소이다. 비트맥스는 세계 최초로 다중 채굴 모델을 적용했으며 OTC, 마진 거래를 지원하여 서비스 범위를 확대한 바 있다. 듀오 네트워크 이전에는 도스 네트워크(DOS Network)와 볼트(BOLT)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여 성공적으로 상장시켰다. 듀오 네트워크는 자체 플랫폼인 탈중앙화 거래소 듀오 DEX를 통해 토큰화된 디지털 파생 상품의 발행, 거래, 결제가 가능한 제로엑스(0x)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듀오 네트워크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하면 기존 파생 상품 거래에서 존재하던 위험을 줄이면서 투명하고 자율적인 거래 시장을 조성할 수 있다. 비트맥스의 CEO 조지 차오는 “탈중앙화 거래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창출에 나선 듀오 네트워크의 프리 세일을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듀오 네트워크의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
바이낸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파트너십 발표
바이낸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파트너십 발표세계 최대의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컴플라이언스(준법감사) 강화를 위한 신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12일(현지시간으로 11일) 바이낸스는 사이퍼트레이스CipherTrace와 보안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사이퍼트레이스는 지난 2015년 설립된 디지털 보안전문업체로 사이버보안, 디지털포렌직, 결제망 구축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바이낸스는 사이퍼트레이스가 제공하는 보안솔루션을 채택해 자금세탁방지규정AML을 준수하고 수상한 거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바이낸스 최고준법책임자CCO인 사무엘 림Samuel Lim은 “바이낸스가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시장으로부터 신뢰를 쌓아야 한다”면서 “기본에 충실한 컴플라이언스야 말로 신뢰를 얻는 빠른 길”이라고 말했다.바이낸스는 2017년 설립 이후 꾸준히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강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를 포함한 각종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해킹사례가 속출하면서 피해를 입는 사용자들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 바이낸스는 해킹방지기금인 ‘사푸SAFU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톰슨로이터의 자회사인 리피니티브와 손을 잡고 사용자 실명인증과 AML 준수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
지미송 “비트코인, 부동산·주식과 같은 가치저장수단”
▲ 지미송 “비트코인, 부동산·주식과 같은 가치저장수단”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AMB크립토(AMBCrypto)에 따르면 비트코인(BTC) 코어 개발자 지미송(Jimmy Song)이 최근 한 영상에서 “비트코인은 부동산이나 주식과 같은 일종의 가치저장수단”이라며 “다른 가치저장자산처럼 비트코인에는 변동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같은 변동성 때문에 화폐로서의 입지가 약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29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1.00%, 숏 포지션 비율은 16.55%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9.00%, 14.04%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전날 대비 2.60% 증가한 6.72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전날 대비 7.23% 증가한 67.16만 ETH를 기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빗썸 업비트 상장코인별 실시간 API 시세정보제공..코인빽
빗썸 업비트 상장코인별 실시간 API 시세정보제공..코인빽코인판에 4월 암호화폐 커뮤니티 코인빽 런칭을 성공적으로 진행한 코랩스는 거래소 1분단위로 시세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암호화폐 단타 투자자들에게 좋은 호평을 받고 있다. 코인빽에서 서비스하는 거래소 가격정보에는 현재 빗썸 업비트의 상장 코인을 1분단위로 매수 매도 내역을 상세하게 그래프로 제공하고 있으며 추후 더 많은 거래소의 시세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또한 4개 암호화폐거래소의 리플코인의 시세변동을 통한 이벤트를 진행하여 정보공유만 하는 일반 커뮤니티와 다르게 사용자들에게 재미를 추구하는 차별성이 있는 커뮤니티라고 밝혔다코랩스 신동훈 대표는 현재 코인빽 V0.2이가 진행중이며 개인포럼방 및 많은 이벤트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수익을 만들어 내는 커뮤니티로 성장시켜 암호화폐의 정보를 쉽게 접근하고 소통하여 투자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후오비 코리아,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오픈
후오비 코리아,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오픈...밋업, 엑셀러레이팅, 투자 유치 등의 공간으로 구성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음악을 보는 카페 달콤커피와 함께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Huobi Blockchain Coffeehouse, )’를 정식 오픈한다고 9일 밝혔다. 달콤커피 논현점을 리모델링해 오픈한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국내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 국내외 기술 및 정보 교류, 국내 블록체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설립됐다. 특히 후오비 코리아가 지닌 글로벌 네트워크 자원을 활용해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자문뿐 아니라 블록체인 스타트업 단계별 육성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지하 1층과 2층, 총 2개의 층으로 운영된다. 지하 1층은 ‘블록체인 커피 클럽(Blockchain Coffee Club)’을 위한 공간이다. 블록체인 커피 클럽은 블록체인 스타트업들이 모여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는 모임이다. 현재 블록체인 산업 오피니언 리더 및 유수의 VC 등이 참여할 예정이며, 구성원은 지속해서 모집 중이다. 이들은 엑셀러레이팅, 분석, 투자, 비즈니스 네트워킹, 블록체인 정보 공유, 멘토링 등을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 2층은 달콤커피의 다양한 식음료를 판매하며, 블록체인 정보 교류, 밋업, 강연, 콘서트 등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이 밖에도 블록체인 산업의 유명 인사들을 소개하고 경의를 표하는 공간인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암호화폐 결제 시스템과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소개 및 홍보 영상을 볼 수 있는 미디어 월 등 블록체인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후오비 코리아 관계자는 “후오비 블록체인 커피하우스는 후오비가 만들어온 수년간의 노하우와 복합 문화 공간인 달콤커피가 만나 탄생한 블록체인 워킹스페이스”라며,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려는 스타트업에게 기회의 장이 되길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
후오비 코리아,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최초 상장 ‘페이프로토콜’ 규칙 공개
후오비 코리아,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최초 상장 ‘페이프로토콜’ 규칙 공개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는 19일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을 통해 전 세계 최초로 상장하는 ‘페이프로토콜(PayProtocol)’ 거래 규칙을 발표했다. 22일 정식 오픈하는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은 우수하고 성장 잠재력을 갖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플랫폼이다. 이미 후오비 글로벌에서 진행된 후오비 프라임이 1기와 2기 모두 수초 만에 완판되며, 업계의 이목을 주목시킨 바 있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 1기 프로젝트로는 통합결제 전문기업 다날이 최근 선보인 페이프로토콜이 선정됐다. 페이프로토콜은 현재의 중앙화된 결제 시스템이 가진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다. 결제 처리 절차를 간소화하고 가맹점에 1% 수준의 낮은 수수료를 제공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페이프로토콜이 발행한 코인인 페이코인(PCI) 거래는 한국 시간 기준 22일 20시부터 21시 10분까지 총 1시간 10분 동안 진행된다.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은 후오비 코리아 웹사이트로 접속한 뒤 HT 마켓에서만 참여 가능하며, 총 3라운드로 진행된다. 1~2라운드는 10분간 거래 후 10분간 미체결 주문 취소 과정까지 총 20분씩 진행되며, 3라운드는 10분간 거래 후 20분간 주문 취소 과정까지 총 30분간 진행된다. 이때, 각 라운드별 정해진 수량 내에 선착순으로 매수된다. 인당 매수 횟수 제한은 없으며, 1회 매수 한도로 모든 라운드 복수 매수가 가능하다. 또한 가격 변동성과 투자자 리스크 최소화를 위해 1라운드 시장 상한가는 67.660원, 2라운드 시장 상한가는 87.958원, 3라운드 시장 상한가는 114.345원으로 정해졌다. 판매된 페이코인(PCI)은 같은 날 21시 20분에 HT마켓에 상장되며, KRW마켓에는 22시 30분에 상장된다. 각 라운드별 최고 가격 범위 내에서 시장가로 매수/매도가 가능하다. 이번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은 글로벌에서 진행한 후오비 프라임과 달리 후오비 토큰(Huobi Token, HT)의 홀딩 조건이 완화되어 일반 투자자도 HT를 구매해 참여할 수 있으며, 최대 350HT까지만 페이코인(PCI) 매수가 가능하다. 후오비 토큰(Huobi Token, HT)을 보유한 투자자들은 3일 평균 3,000HT 이상을 보유하면 최대 1,000HT로 페이코인(PCI)을 매수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오비 프라임 2기 참여를 위해 후오비 코리아에서 HT를 홀딩 한 회원들을 위해, 홀딩 조건 없이 최대 1,000HT로 페이코인(PCI) 매수 참여 기회를 제공한다. 이번에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을 통해 판매될 페이코인(PCI) 수량은 13,793,500 PCI로 1라운드에서는 2,758,700 PCI(총 프라임 물량의 20%), 2라운드에서는 4,138,050 PCI(30%), 3라운드에서는 6,896,750 PCI(50%)가 판매될 예정이다. 후오비 코리아는 후오비 글로벌에서 진행한 후오비 프라임의 완판 신기록에 힘입어, 후오비 코리아 프라임의 1기 프로젝트 페이프로토콜 역시 이러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 USDT(테더) 및 BTC(비트코인) 마켓 공식 오픈 이어 비트코인 환급 상품 출시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 USDT(테더) 및 BTC(비트코인) 마켓 공식 오픈 이어 비트코인 환급 상품 출시- 유블렉스, 자산관리 서비스 및 투자 기회 제공하는 VFAM 서비스 론칭으로 고객 자산 가치 안정적으로 지킬 것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유블렉스(UBLEX)가 테더(USDT)와 비트코인(BTC) 마켓을 지난 16일 공식적으로 오픈하고 거래소 오픈 이벤트를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국내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했다. 유블렉스는 4월 25일 목요일부터 1주일동안 0.995BTC를 예치하면 한 달 뒤 1BTC로 사용자들에게 환급하는 오픈 기념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고객들의 안정적인 자산 관리를 위한 VFAM(Virtual Financial Asset Managmenet)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블렉스 관계자는 “이제는 암호화폐 거래소는 단순히 화폐를 거래하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그치지 않고 끊임없이 발전해야 한다”며 “이러한 이유로 유블렉스는 거래소와 안정적 투자금 회수를 위한 암호화폐 자산관리 서비스를 추가로 론칭하게 됐다”고 밝혔다. 또한 “암호화폐 투자를 어렵게 느끼는 누구라도 손쉽게 암호화폐를 일반 자산처럼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유블렉스의 큰 그림”이라며 “VFAM 마켓 내의 다양한 투자상품에 가입을 하게 되는 사용자들을 위해 유블렉스의 전문가들이 투자금을 대신 운영하여 암호화폐 투자가 처음인 투자자들 역시 안전한 투자가 가능한 세상이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유블렉스는 세계적인 블록체인 전문 보안 솔루션 기업인 ‘비트고(BitGo)’와 파트너쉽을 맺어 안정적인 거래 환경을 갖추고, 빠르게 변화하는 암호화폐 시장의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국제 로펌인 ‘가나도 어드보케이츠’와의 파트너쉽을 통해 법률적 자문을 받고있다.
-
日 자이프, 해킹 피해 이용자와 피해보상 합의
▲ 美 판사 "코인베이스 내부 거래 의혹, 사실상 입증 어려워"암호화폐 미디어 뉴스BTC에 따르면 빈스 카브리아 미국 현지 지방 법원 판사가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제기된 BCH 내부 거래 소송에 대해 "코인베이스가 BCH 상장시 처리가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나, 사기 행위로 입증하기는 힘들다"고 진단했다. 이는 최근 다수의 투자자들이 "코인베이스가 BCH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춰 직원들이 이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했다"는 이유로 제기한 소송에 대한 입장이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판사는 앞서 코인베이스를 대상으로 제기된 내부자 거래 혐의 소송도 기각한 바 있다.▲ R체인 재단, 에스크로 계좌 사기 피해...토큰 일부 도난알체인(RHOC, 시총 277위) 재단이 에스크로(가상) 계좌를 악용한 사기범들에 의해 코인 일부를 도난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알체인은 26일 블로그를 통해 "쿠코인 거래소에서 RHOC 사기 사건에 연루된 월렛을 동결했다"며 "에스크로 계좌를 이용한 사기 사건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블로그에 따르면 사기범들은 RHOC 재단 측에 토큰 구매 의사를 전하며 에스크로 계좌에 1100만 RHOC 구매 자금을 입금했다. 이에 에스크로 계좌 입금을 확인한 재단은 사기범들에게 토큰을 전송했다. 그뒤 계좌에 입금된 자금이 허위였음이 발견됐다. 이에 재단은 쿠코인 측에 관련 계좌 동결을 요청했으며, 이로 인해 동결된 코인의 가치는 약 31만 달러다. RHOC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3.57% 하락한 0.028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日 자이프, 해킹 피해 이용자와 피해보상 합의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일본 거래소 자이프가 해킹 공격을 받은 이용자와의 소송에서 피해 보상 합의를 이뤘다. 앞서 해당 이용자는 지난 2015년 비정상 로그인으로 인해 자금을 도난당했으며, 이는 거래소의 시스템 불안정 때문이라는 이유로 자이프 측에 1100만 엔의 피해 보상을 요구했다. 이에 오사카 지방법원은 자이프가 해당 이용자에게 135만 엔을 보상하는 방안으로 소송을 중재, 양 측의 합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러시아(Russia),러시아의 모스크바 지방정부가 올여름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 클러스터를 출범할 계획
[글로벌 암호화폐 정책 및 동향] 러시아(Russia),러시아의 모스크바 지방정부가 올여름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 클러스터를 출범할 계획러시아(Russia)러시아의 모스크바 지방정부가 올여름까지 블록체인 기반의 혁신 클러스터를 출범할 계획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모스크바 사업 혁신부의 담당자인 알렉세이 퍼르신은 향후 도시 IT 혁신 클러스터의 플랫폼은 참가자들이잠재적인 파트너사를 유치하고 그들의 제품 및 장비를 배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모스크바의 혁신 클러스터는 기술단지,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IT기업, 대학, 연구개발 조직 등 다양한 기술 및 기업체를 하나로 묶는 산업이다.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 텍사스주 증권감독원(SSB)이 2018년 암호화폐 스캠 투자 혐의자 대상으로 총 16건의 명령을 내렸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다양한 투자 구조로 텍사스 주민들을 꾀했던 행위 대상으로, SSB는 지난 12개월 동안 미등록 증권을 매각한 것으로 알려진 총 60명의 사람과 단체를 성공적으로 소환했다고 전했다.스페인(Spain)스페인의 중앙은행이 시민에게 비규제화된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한 리스크 경고를 재차 공표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는 스페인은 아직 암호화폐 관련한 어떤 규제도 정하지 않았으며 암호화 거래 플랫폼이나 관련 기업들은 중앙은행으로부터 어떠한 감독이나 권한도 부여받지 않았다고 명시되어 있다. 또한 암호화 플랫폼은 스페인의 예금보증기금 등 국가 예금보장제도의 어떠한 보호도 받지 않는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오스트리아,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 도입 전망...암호화폐 포함
▲ 中 교수 "비트파이넥스, 테더 준비금 썼는지는 여전히 불투명"류창융 충칭공상대학 블록체인연구소장이 방금 전 웨이보에 "테더 지급준비금이 비트파이넥스의 손실 메우기용으로 실제 쓰였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며 "비트파이넥스는 그저 자금이 동결된 사실만 인정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비트파이넥스가 8.5억 달러 준비금을 사용했더라도 테더(USDT)의 유통 시가총액 28억 달러를 감안하면 준비금 유동성은 충분하다"면서도 "이번 사건이 테더 준비금에 대한 수사와 추가 동결로 이어질까 염려된다"고 부연했다. 이어 그는 한 법정화폐가 무너져도 다른 국가의 법정화폐가 모두 무너지지 않듯, 특정 스테이블 코인에 문제가 생겨도 전체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앞서 25일(현지시간) 뉴욕 검찰은 비트파이넥스 거래소가 테더 준비금을 사용해 8.5억 달러의 손실을 은폐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트위터 유저, 팁봇으로 1만 달러 BCH 기부한 트위터 유저(@Bitcoininfo)가 BCH 팁봇(tipbot) Tippr를 이용해 이틀 동안 총 1만 달러 규모의 BCH를 지급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news.bitcoin)이 27일(한국시간) 전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해당 트위터 유저는 수많은 개인, 단체에 BCH 팁을 지급했으며, 이중에는 페이팔(Paypal) 계좌가 정지된 유저, Bitcoin ABC, Bitcoin Unlimited, 블록체인 쇼핑몰 오픈바자(Openbazaar) 등이 포함됐다. Tippr는 이용자가 레딧 혹은 트위터에서 @tipprbot 태그를 설정한 뒤 이체 금액과 수신자를 입력하면 BCH 팁을 전송할 수 있다.▲ 오스트리아, 핀테크 규제 샌드박스 도입 전망...암호화폐 포함오스트리아 재무부가 핀테크 산업 규제 샌드박스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가 27일 전했다. 해당 규제 샌드박스에는 ICO, 암호화폐 분야가 포함돼 있다. 하트비히 뢰거(Hartwig Loeger) 오스트리아 재무장관은 "지난해 재정부가 설립한 핀테크 자문위원회(FinTech Advisory Council)가 '디지털 금융 서비스에 대한 젊은 금융시장(young financial market around digitized financial services)' 관련 세부 규정을 수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규제 샌드박스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때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지역 내에서 규제를 일정기간 면제해주는 제도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후오비 오늘의 코인] 나노(NANO),'Novel Block-Lattice'라 불리는 독특한 방식의 블록체인 구조를 가진 암호화폐.
[후오비 오늘의 코인] 나노(NANO),'Novel Block-Lattice'라 불리는 독특한 방식의 블록체인 구조를 가진 암호화폐.나노(NANO)'Novel Block-Lattice'라 불리는 독특한 방식의 블록체인 구조를 가진 암호화폐. 각 계정이 고유의 블록체인을 통해 거의 즉각적인 트랜잭션 속도와 무한에 가까운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빠른 거래를 장점으로 내세우며, 보안성을 낮추지 않으면서도 속도와 데이터베이스 확장성을 갖출 수 있게 트랜잭션 자체 구조를 거래 금액 집중 방식에서 잔고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바꾼 구조로 되어 있다.에코링크(EKO)블록체인 기반한 구인·구직 플랫폼. 기존 Linkedin, Indeed 등 채용 플랫폼에 블록체인을 이식해 구직자들의 학력, 경력 등의 자료의 투명성을 확보했다. 업체의 인사과정에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설계된 플랫폼이다. 국제화 시대에 발맞춰 전 세계 모든 업체와 기관들로부터 받는 데이터를 통합해 관리할 수 있으며 국제간 구직과 구인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이오스(EOS)스팀잇과 비트쉐어의 성공적인 론칭을 보여줬던 개발자 댄 라리머(Dan Larimer)가 새롭게 구상한 블록체인 통합 운영체제서비스. 분산 응용 프로그램의 수평 및 수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아키텍처를 도입했으며 ICO를 약 1년간 진행했다. 현재 이오스는 메인넷 론칭과 함께 21명의 대표 노드 블록프로듀서(BP)를 선출해 합의에 따른 민주적인 운영을 진행하고 있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日 SBI "리플의 머니탭 투자 허용 고려"
▲ 펙쉴드 "신흥 스테이블 코인, 하루새 5천만 달러 이상 발행"블록체인 보안 업체 펙쉴드(PeckShield)에 따르면 이번 테더의 8.5억 달러 준비금 이동 의혹으로 USDC, PAX 등 신흥 스테이블 코인 발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오늘 8시 40분(한국시간)에는 29,998,999 달러 규모의 USDC가 새로 발행됐다. 26일(UTC) 하루 기준 USDC 신규 발행량은 34,885,705에 육박했다. PAX와 NUSD는 각각 16,868,701개, 3,032개가 새로 발행됐다. 하루 동안 총 51,787,438 달러 규모의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된 셈이다.▲ 日 SBI "리플의 머니탭 투자 허용 고려"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26일 열린 일본 SBI 홀딩스 결산설명회에서 기타오 요시타카 회장이 암호화폐 사업과 관련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1.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VC트레이드(VCTRADE) 상장 원칙은 51% 공격을 막기 위해 시가총액이 최소 5,000억 엔을 넘어야 하며, 불건전한 하드포크 발생 가능성이 없어야 하고, 유통성, 안전성, 수익성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2. 암호화폐 펀드에 대해서는 금상법(金商法)이 정의한 금융상품 증권형 토큰(STO)을 통한 대규모 자금 모집을 고려 중이다. 미국 코벤처(CoVenture)와 공동 추진하는 암호화폐 펀드는 현재 금융청과 교섭을 마친 상태다.3. 암호화폐 채굴 분야에서는 향후 해시파워 점유율 30% 달성이 목표다.4. 리플 기반 결제앱 머니탭(Money Tap)의 경우 리플의 투자를 받아들이는 것을 고려 중이다. QR코드 가맹점 결산 서비스는 연내 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 비율 현황27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0.36%, 숏 포지션 비율은 14.71%를 기록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7.08, 13.70%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6.45만 BTC로 소폭 감소하고,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62.63만 ETH로 전날 대비 소폭 증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알리바바코인(ABBC)재단 “올해 글로벌 진출 원년 될 것”
알리바바코인(ABBC)재단 “올해 글로벌 진출 원년 될 것”ABBC재단은 2019년 1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서 전 세계가 알리바바코인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반응은 미국의 R&D센터 설립과 암호화폐 전용 쇼핑몰(CSM)출시를 공식적으로 발표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세계적인 주목과 더불어 5월 첫 주에 30%라는 가파른 성장세를 이루는 쾌거를 거두었다고 밝혔다.ABBC재단은 아마존, 이베이와 같은 대형 쇼핑 플랫폼 사업자들과 유수한 전 세계 쇼핑몰 사업자들과 함께 사업을 진행하며, 이커머스(E-commerce)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더불어 암호화폐 전용 쇼핑몰(CSM)을 공개하게 될 것인데 쇼핑 플랫폼은 미래를 한걸음 더 나아가는 혁신적인 쇼핑 플랫폼이 될것이라고 자부했다. 실 결제가 가능한 암호화폐 전용 쇼핑몰로 알리바바코인(ABBC),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이 확정되었고, 다양한 암호화폐들과도 협의를 마쳤다고 밝혔다.ABBC재단의 암호화폐 전용 쇼핑몰(CSM)은 새롭게 출시될 알리바바코인 월렛(ABBC Multi-Crypto Wallet)을 통해 쉽고, 편리하고, 안전하게 다양한 결제 플랫폼과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며, 이전에 없던 쇼핑 결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이를 계기로 알리바바코인(ABBC)은 다시 한 번 도약하게 될 것이고, 차세대 이커머스(E-commerce) 산업분야에서 최고의 블록체인 기술력과 대중화된 암호화폐로서 가장 선두자리에 자리 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ABBC재단은 최근 글로벌 사업 역량을 강화를 위해 우선 암호화폐 마케팅 전문 회사 Lunar Digital Assets와 제휴를 맺고 전략적 마케팅 팀 조직을 강화했고, 조직의 역량 강화와 과학, 데이터, 정책과 혁신 등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풀어갈 광범위한 과제들을 함께 해결하기 위해 록펠러 재단(The Rockefeller Foundation) 제휴를 맺었다고 밝혔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과 금융, 보안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한 층 높은 역량을 강화했다고 밝히며, 공식적으로 밝힐 수 있는 제휴사는 Deep Dive Technology, The Wall Street Conference, Ubermensch, Beacon, Zombie Soup, Alexander Capital, Allen & Associates라고 밝혔다.올해는 알리바바코인(ABBC) 재단의 글로벌 진출 원년이 될 것이라고 밝히며, 세계 최고의 블록체인 개발과 혁신을 위하여 ‘Future of Payment Security’을 외치며 회사의 비전으로 선포했다고 밝혔다.ABBC재단은 현재 100여명의 글로벌 인재들과 함께하고 있으며, 올해 두바이에서 함께 근무할 마케팅 전문가, 블록체인 개발자, IT전문가, 고객지원팀 등 500여명을 추가로 채용하기 원한다며 전문성과 혁신, 경험 많은 글로벌 인재들이 ABBC와 함께 해주길 원한다. 글로벌 확장을 위해 한국, 미국, 러시아에서 별도의 공개 채용을 실시할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에듀해시 전중훤 부회장, OECD BIAC 세미나에서 “스마트시티가 전세계를 바꿀 것”
에듀해시 전중훤 부회장, OECD BIAC 세미나에서 “스마트시티가 전세계를 바꿀 것”5월 9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디지털 경제시대 OECD 논의 동향과 한국의 규제 - 스마트시티와 스마트 헬스케어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에듀해시-DXC테크놀로지 전중훤 부회장은 첫번째 세션에서 “디지털 경제시대 OECD BIAC의 최신 동향과 한국의 규제 환경”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전부회장은 최근 OECD BIAC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화두는 교육, 직업을 포함한 삶의 전체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 (Digital Transformation)이라고 말하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4차산업혁명에 맞는 디지털 경제의 융합 모델이 스마트 시티라고 전했다. 전부회장은 먼저 “미래 도시는 AI·빅데이터, 블록체인, 5G 등 기술의 융합모델인 스마트시티로 구성될 것이며, 이러한 스마트시티의 발전은 2020년까지 글로벌 시장의 31조 규모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추측된다.”라고 하면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전세계의 흐름을 거시적으로 전하고, 곧이어 국내에서 진행중인 부산과 세종시의 스마트시티 사례와 규제 샌드박스, 그리고 스마트시티 융합 얼라이언스 등 국내의 움직임을 전했다. 이어 전부회장은 올해 6월 안동의 김재규 공무원기숙학원 캠퍼스에 국내 최초로 스마트시티가 상용화될 것이라고 말하며, 디지털 경제 시대에 대한민국이 글로벌 스마트시티 산업에서 상용화를 선도해나가며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규제 샌드박스를 포함해 국내의 규제개혁이 능동적인 방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에듀해시 글로벌 전중훤 부회장은 휴렛팩커드(HP) 기업서비스부문(DXC)의 대표이사 및 아시아태평양지역 부사장을 지냈으며, 국제조세협회(International Fiscal Association) 사무총장, 경제개발협력기구 OECD 산업자문위원회 한국대표위원회, 글로벌기업 조세재정최고책임자협회 (TEI)의 아시아본부 이사회 부회장 겸 한국 대표로도 재직 중이다.
-
삼성SDS, REAL 2019에서 디지털전환 혁신기술 발표...블록체인 가속 기능 '넥스레저' 개발
삼성SDS, REAL 2019에서 디지털전환 혁신기술 발표...블록체인 가속 기능 '넥스레저' 개발삼성SDS(대표 홍원표)는 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디지털 혁신을 추진하는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REAL 2019’ 행사를 개최했다. 고객 및 업계 관계자 1,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삼성SDS는 ‘Realize your vision through Digital Transformation’ 주제로 디지털전환을 위한 혁신 기술과 성공 사례를 공유했다. 기조 연설자로 나선 홍원표 대표이사(사장)는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전환을 위한 해법으로, 삼성SD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레임워크(Digital Transformation Framework)’를 공개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레임워크’는 고객의 생산, 마케팅/영업, 경영시스템 등 전 사업 영역의 디지털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삼성SDS의 업종 노하우와 IT신기술 역량을 집대성하여 체계화한 것이다. 기조 연설에서 삼성전자 장시호 글로벌품질혁신실장(부사장)의 제조분야 디지털전환 추진 사례와 해외 파트너사의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해운물류 사업, 차세대 ERP를 활용한 운영 프로세스 혁신 사례가 함께 발표되었다. 이어서 삼성SDS 윤심 연구소장(CTO, 부사장)은 AI, 클라우드, 보안 등 기술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또, 삼성전자 심은수 AI&SW연구센터장(전무)은 AI기술 트렌드와 혁신 사례를,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천정희 교수는 삼성SDS와의 협업 사례와 동형암호의 발전방향을 발표했다. 또한 △인텔리전트 엔터프라이즈(차세대 ERP/SCM/IPA 등), △인텔리전트 팩토리(제조/물류/플랜트 지능화), △클라우드 & 보안 △혁신기술 & 플랫폼(AI/블록체인/IoT) 등 삼성SDS의 핵심 역량을 주제로 총 25개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다양한 발표 외에도 참석자들이 기술 적용 사례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텔리전트 팩토리, 브라이틱스(AI∙Analytics, IoT),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혁신기술 기반 디지털전환 사례가 전시되었다. 특히 참석자들은 인텔리전트 팩토리를 구현하는 제조/물류/플랜트 지능화 솔루션에 큰 관심을 보이면서 삼성SDS 전문가를 통해 상황에 맞는 현장 컨설팅도 받았다. 삼성SDS 홍원표 대표이사(사장)는 “삼성SDS의 업종 경험, 기술 역량이 집약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레임워크’로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