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엠블 MVL, TADA에 싱가포르 2위 은행 OCBC 결제플랫폼 적용
엠블 MVL, TADA에 싱가포르 2위 은행 OCBC 결제플랫폼 적용TADA에 OCBC 결제플랫폼 페이애니원 적용OCBC, 싱가포르에서 자산 규모 2위 은행모빌리티 블록체인 MVL을 개발하고 있는 MVL Foundation Pte, Ltd.(엠블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 2위 은행인 OCBC와 손을 잡았다. 엠블파운데이션은 싱가포르에서 운영하고 있는 차량호출 서비스 ‘TADA(타다)’에 OCBC의 결제플랫폼 Pay Anyone(페이애니원)을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TADA 승객들은 TADA 사용 시 페이애니원을 통해 쉽게 결제할 수 있게 되었다. OCBC는 싱가포르에서 자산 규모 2위 은행으로 싱가포르뿐 아니라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도 진출해 있으며 총 18개 국가에 610개가 넘는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OCBC의 페이애니원은 간편결제플랫폼으로 QR코드를 통해 상점 주인에게 고객이 직접 결제하거나 QR코드, 소셜미디어, 모바일번호 등을 통해 전자 결제가 가능하다. 엠블파운데이션은 TADA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반 새로운 모빌리티 생태계 MVL을 적용할 예정이며 현재 MVL 인센티브 구조를 시범 적용하고 있다. 이번 협업으로 엠블은 TADA 승객에게 더 편리한 결제 방식을 제공하고 OCBC는 TADA를 통해 페이애니원의 사용성을 확대할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양사는 결제 관련 협업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엠블파운데이션의 우경식 대표는 "TADA 승객에게 OCBC 페이애니원 플랫폼을 제공하게 되어 기쁘며 승객들의 결제 선택권이 더욱 다양해졌다"며 “OCBC 외에 다른 결제플랫폼과도 논의를 지속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을 활용한 결제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
BCEX 글로벌, IEO 첫 프로젝트 완판
BCEX 글로벌, IEO 첫 프로젝트 완판글로벌 암호 화폐 거래소 BCEX 글로벌은 4월 11일(홍콩 시각) 새로운 IEO 플랫폼을 선보였다. BCEX 글로벌은 첫 번째 IEO 프로젝트인 ‘OKU’ IEO를 공개한 후 성황리에 전량 완판 마감되었다고 전했다.일본 암호 화폐 거래소 ‘OKUBIT’은 일본의 메이저 블록체인 미디어사인 ‘디지털 파이낸스(Digital Finance)’와의 협력을 통해 운영되는 거래소로 디지털 파이낸스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을 함께하는 Japan Blue Castle에서 만든 미디어 회사다.BCEX 글로벌의 첫 번째 IEO가 성공적인 출발을 시작하면서, 향후에는 장기적인 발전 계획을 가진 코인을 발굴할 계획이고, 좋은 비즈니스 모델로 코인 가치를 상승시키는 코인을 BCEX 글로벌 IEO 프로젝트에 참여시킬 예정이다. BCEX 글로벌의 두 번째 IEO 프로젝트‘어뮤즈(AMUSE)’를 진행한다.어뮤즈(AMUSE)는 문화 예술 콘텐츠 사업을 통한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종합 예술 플랫폼을 지향하는 토큰이다.
-
스토리 창작 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에 상장 확정
스토리 창작 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 암호화폐 거래소 한빗코에 상장 확정스토리 창작 및 자산화 플랫폼인 스토리체인(Storichain)이 8일부터 국내 암호화폐 전문 거래소 한빗코(Hanbitco)에서 IEO(Initial Exchange Offering)를 진행한다고 밝혔다.한빗코는 KISA의 안전 기준을 통과한 국내 7대 거래소 중 하나이며, 국제 보안 기준인 ISO/IEO 27001도 가진 신뢰할 만한 암호화폐 전문 거래소이다. 스토리체인은 이런 한빗코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 8일 정식 IEO를 진행하게 됐다.스토리체인은 스토리 산업의 주인공인 창작자들의 불공정한 수익분배 문제를 블록체인의 특성을 통해 해결하고, 스토리 콘텐츠 사업자들이 더욱 가치 있게 스토리를 자산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 스코웍의 글로벌 프로젝트이다.현재 스토리체인은 토리(TORI) 토큰을 발행하는 한편, 두나무 람다256(Lamda256)의 컨소시엄형 BaaS 루니버스를 이용해 개발 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한편 스토리체인은 한빗코를 시작으로 6월 안에 추가로 국내외 거래소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스토리체인은 토리(TORI)가 세계 메이저 토큰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내실을 다져 나갈 예정이다.
-
테조스 코리아·멀티캠퍼스, 안정성 높인 블록체인 전문가과정 개설
테조스 코리아·멀티캠퍼스, 안정성 높인 블록체인 전문가과정 개설블록체인 서비스 기업 테조스 코리아(대표 이진우)는 삼성 HR전문기업 멀티캠퍼스(대표 유연호)와 테조스 블록체인 교육 과정을 6월에 오픈한다.블록체인 교육과정 ‘테조스를 활용한 블록체인 트레이닝’은 개발자 및 블록체인 사업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6월 중순 오픈한다. 주요 특징은 테조스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tz벤처스(tzVentures)의 스타트업 프로그램으로 이어져, 블록체인 비즈니스 창업 준비자와 블록체인 비즈니스 투자자를 지원한다.오는 5월 31일에는 멀티캠퍼스 제1회 테크-밋업인 “Building your future on Tezos”에서 테조스 코리아가 발표한다. 이 행사는 블록체인(Blockchain),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빅데이터(BigData) 최신 이슈를 다루는 멀티캠퍼스 정기 행사로 1회 밋업에서 테조스 코리아는 플랫폼 생태계와 기술 특장점, 공개 교육과정, 테조스의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tzVentures)을 소개한다. 장소는 멀티캠퍼스 선릉 교육센터에서 진행한다.멀티캠퍼스 콘텐츠개발운영팀 박진양 팀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 전문가 역량강화를 위해 테조스 코리아와 공개과정을 오픈한다” 라며 “블록체인 고급교육과 글로벌 커뮤니티와 네트워킹까지 활성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테조스 코리아 이진우 대표는 “국내 최고의 HR기업인 멀티캠퍼스와 블록체인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어 기쁘다.” 라며 “더 많은 사람들이 테조스를 활용하여 안전하고 혁신적인 DApp을 만들어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말했다.테조스(Tezos)는 Delegated Proof-of-Stake 알고리즘을 적용한 Smart Contract 플랫폼으로 현재 전 세계 460명이 넘는 검증인이 있는 탈중앙화된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On-chain Governance를 통해 하드포크의 리스크 없이 기능 업그레이드 및 수정이 가능하다. 또한 Smart Contract의 Formal Verification이 용이해 오류 없이 작동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다.
-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
니오앱스, 니오코인 인프라 늘려줄 게임 ‘니오플레이(NEEO Play)’ 업데이트 실시-니오플레이,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코인의 가치 높여 줄 게임..-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강화..-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 적용..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Apps)는 니오(NEEO)의 사용자를 크게 유입시켜 주고, 니오(NEEO)코인의 가치를 높여줄 ‘니오플레이(NEEO Play)’ 서비스의 업데이트를 실시했다고 밝혔다.니오플레이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보다 많은 사용자가 게임을 쉽게 진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게임의 난이도를 대폭 낮췄다. 그리고 7개의 게임과 7개의 스텝을 구성하려던 것을 7개의 게임만으로 심플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했다.무엇보다도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니오플레이의 빠른 확산을 위해 게임에서 생성된 키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다른 사람들에게 나눠 줘야만 많은 니오코인(최대 825,000개)에 당첨될 수 있게 했다.니오플레이는 게임 형식을 빌리 ‘복권’ 시스템이자 플랫폼이다. 니오플레이에는 7개의 게임과 키 생성/보관, 지갑 등 기능이 있다. 7개의 게임을 순차적으로 완료하면 1게임마다 1개의 키가 생성된다. 총 7개의 키가 생성되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유저에게 키를 전달해야 한다.니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스토어에서 유료로 구매해야한다. 니오플레이 내에는 블록체인 기술(스마트 컨트랙트 등)과 메트릭스 기술, 전자 지갑 등 다양한 기술이 혼합되어 있는 거대한 플랫폼이다.니오앱스 맹정호 대표는 “이번 업데이트는 게임을 쉽게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해 실시했다”며 “니오플레이가 확산되면 니오토큰의 실수요가 증가하고 니오메신저를 비롯한 다양한 니오(NEEO)의 플랫폼이 소개되어 니오(NEEO)의 가치와 인지도가 크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한편,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발행한 니오앱스의 니오(NEEO)토큰은 홍콩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슈퍼(Coinsuper)에 3월 11일 공식 상장되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니오앱스는 우수한 번역율을 자랑하는 실시간 자동 번역 메신저인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를 서비스하는 업체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또한, 글로벌 SNS 플랫폼인 니오는 채팅 서비스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앱을 준비 중이다. 음성 대화를 즉시 번역해주는 , 해외 어디든지 자기 주변의 니오 친구 들을 찾을 수 있는 , 자신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청취자를 늘려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등의 서비스가 빠른 시일 내 출시될 예정이다.
-
핀테크 전문기업 원투씨엠, 인터넷 전문은행 컨소시움 참여
핀테크 전문기업 원투씨엠, 인터넷 전문은행 컨소시움 참여-키움증권, 하나은행, SK텔레콤 등 주도하는 제3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움 참여..-전문 핀테크 기업이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주목..-원투씨엠은 스마트스템프 기술과 다양한 핀테크 기술 기반으로 22개국에서 사업화 진행..핀테크 전문기업 원투씨엠㈜ (대표 한정균)은 키움증권, 하나은행, SK텔레콤 등이 주도하는 제3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움에 참여한다고 밝혔다.원투씨엠은 이른바 ‘폰에 찍는 스탬프’라고 불리는 스마트스탬프(제품명: echoss Stamp) 기술을 기반으로 O2O(Online to Offline) 사업 및 핀테크 사업을 국내 및 해외 시장을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전문기업이다.이번 원투씨엠의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움 참여는 전문 핀테크 기업이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시장에서 매우 주목 받고 있다. 현재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컨소시움 간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 핀테크 기업의 참여는 설립될 인터넷전문은행에 보다 혁신적인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원투씨엠은 스마트스템프 기술과 다양한 핀테크 기술 및 사업 모델을 기반으로 22개국에서 사업화를 하였으며,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포르 등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현지의 유력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 다양한 핀테크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원투씨엠의 한정균 대표는 “원투씨엠이 보유한 다양한 혁신적 중소상공인 대상 핀테크 사업 모델 및 서비스 모델과 22개국의 사업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립될 인터넷 전문은행과 협력하여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뱅킹 서비스와 뱅킹 연계 서비스를 구현하게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그간 금융 업계에서는 핀테크 기업이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하고자 하여도 기존의 규제가 이러한 사업을 추진하기 못하게 하거나, 다양한 현실적인 제약 요소 등이 존재하여 핀테크 사업의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규제 샌드박스 제도나 지정대리인 제도 등 다양한 혁신 제도를 도입하고 있었다.이번 원투씨엠의 인터넷전문은행 컨소시움 참여는 이러한 규제와 문제점을 해결하는 또 다른 하나의 방식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향후 어떠한 혁신적인 모델이 인터넷전문은행 사업이나 서비스 접목될지 기대된다.
-
러 현지 언론 "러시아 일부 지역서 암호화폐 시범 사용 가능성"
▲ 모건 크릭 창업자 "모든 포트폴리오, 암호화폐 포함 필수"안토니 팜플리아노(Anthony Pompliano) 모건 크릭 디지털에셋(Morgan Creek Digital Assets) 창업자가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비트코인(BTC)은 최고경영자도, 화려한 사무실도, 영업부서도 없으며 벤처캐피탈로부터 단 1 달러도 지원받지 않았지만 지난 10년동안 시가총액 1000억 달러를 기록했다"며 "지난 2년간 주요 자산 수익율은 S&P 500: 19.9%, 금: 1.3%, 석유: 31%, 비트코인: 457%다. 이와 같은 수익율은 모든 포트폴리오가 암호화폐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한다고 나타내고 있다"고 전했다.▲ 브레이브, 개인정보 보호 광고 플랫폼 출시개인정보 보호에 중점을 둔 블록체인 기반 웹 브라우저 브레이브(Brave)가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 광고 플랫폼 'Brave Ads'를 출시했다고 공지했다. MacOS, Windows, Linux 브라우저 사용자는 해당 플랫폼을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하며 광고를 시청하고, 광고 수익의 70%를 받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러 현지 언론 "러시아 일부 지역서 암호화폐 시범 사용 가능성"러시아 현지 일간지 이즈베스티아(Izvestia)가 "현지 전문가들이 모스크바, 칼리닌그라드주, 칼루가주, 페름에서 암호화폐 시범사용을 시작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지역에서 블록체인·암호화폐 등 혁신 기술을 시험하기 위한 규제 샌드박스를 구축할 전망이라는 것. 이와 관련해 사바 시포프(Savva Shipov) 러시아 경제개발부 차관은 "규제 샌드박스는 혁신 기술의 법률 분야와 규제 환경의 발전을 가속화하는 촉진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더리움, 깃허브서 'ETH 2.0' 스펙 공개이더리움(ETH, 시가총액 2위)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최근 본인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ETH 2.0 스펙 공개' 깃허브 링크를 공유했다. 깃허브에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ETH 2.0은 6주 전 안정적으로 테스트된 v0.5 릴리즈 이후, 개발의 초점을 단순화와 기능 추가에 맞췄다"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스토리체인,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 서울 2019’ 참가
스토리체인,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 서울 2019’ 참가스코웍 이준수 대표 초청 연사로 참가 ‘지적재산권에 관한 유틸리티 토큰은 언제 매출로 인식될까?’ 주제 발표제 4회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MARVELS) 서울 2019가 4월 3일 신라 호텔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국회의원, 블록체인 기업 창시자 및 전문가, 금융인, 투자자, 각계 오피니언 리더가 참여해 비전을 공유했다. 이날 행사의 아젠다는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 탈 중앙화 분산 경제, 블록체인 강자들의 해법, 진화하는 거래소, 게임이 블록체인을 만났을 때, 블록체인의 적용 등으로 현재 블록체인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스토리 산업에 블록체인으로 혁신을 이루기 위한 글로벌 프로젝트인 스토리체인을 이끌고 있는 ㈜스코웍의 이준수 대표는 ‘지적재산권에 관한 유틸리티 토큰은 언제 매출로 인식될까?’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스토리체인은 드라마, 영화, 웹 소설 등 내러티브가 있는 문서를 독자와 인터렉션 하며 창작, 협업, 유통 거래 계약하는 디앱이며, 스토리의 가치사슬(Value Chain) 단계마다 생기는 가치를 참여자와 함께 나누는 창작자, 독자, 후원자를 위한 계약의 규약이다. 이준수 대표는 스토리 산업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였던, 저작권 입증에 대한 해결책으로, 스토리 생성 시점부터 최종 소비까지 투명하게 주식처럼 거래 가능하게 만들어 스토리가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준수 대표는 허가 권한량을 의미하는 유틸리티 토큰의 매출 포인트를 토마토 농장 일러스트레이션에 비유해 쉽게 설명했다. 토마토 나무를 키우는 과정이 마치 스토리 나무를 키우는 것과 같다는 의미로 설명해 많은 공감을 자아냈다. 또 스토리체인은 이르면 올 초, 토큰 초기 분배와 알파 론칭이 있을 것이라고 밝혀 기대를 증폭시켰다. 스토리체인은 이번 행사를 통해 세계블록체인 전문가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블록체인 산업의 현재를 가늠해보고, 글로벌 프로젝트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해 박차를 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에코타임, 베트남 블록체인데이에서 MyData 블록체인 ‘타임(TYME)’ 발표
에코타임, 베트남 블록체인데이에서 MyData 블록체인 ‘타임(TYME)’ 발표 -제 4회 블록체인데이 초청받아…1,000명 참석하는 글로벌 대규모 블록체인 행사-정부 시범 사업 추진 예정인 ‘마이데이터’ 체인화…세계 최초 마이데이터 블록체인-EMVCo® 3-D Secure 2.0 지불결제(PG) 연동…금융기관과의 거래를 대행해주는 실질 기술 블록체인기업 에코타임(대표 김정수)은 지난 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제4회 블록체인데이’에서 세계 최초로 마이데이터를 블록체인화한 ‘타임(TYME)’ 프로젝트를 선보였다.베트남은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부의 지원 등으로 인해 새로운 블록체인 허브로 부상하고 있으며, 관련 투자자가 약 500만명을 넘어서는 세계 3위 규모의 블록체인시장이기 때문에 이날 행사는 블록체인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한편, 본행사의 주최사이며 전 세계 50여개 지사를 두고 있는 OKex는 한국 블록체인 기업, 에코타임을 초청하였으며 에코타임의 CIO 한승일은 이 날 행사에서 마이데이터 블록체인 프로젝트 ‘타임(TYME)’을 발표했다.한승일 이사는 이날 발표에서 “타임(TYME)은 21세기 석유인 빅데이터의 가치 재정립과 블록체인기반의 공유경제와 새로운 결제서비스 플랫폼”임을 강조했다. ‘타임(TYME)’ 프로젝트는 데이터의 가치에 대한 주도권을 소비자에게 돌려주는 마이데이터(MyData) 사업을 블록체인화한 최초의 프로젝트다. 이미 정부는 2019년 한 해에만 97억원을 투입하여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타임의 메인넷은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이 개발한 DDPoS 기반의 ‘코기토체인’을 사용한다.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KOLAS)에 의해 30만 TPS의 빠른 속도를 인정받았으며 KOLAS 공인시험성적서는 국제시험기관 인정협력체 상호인정협정(ILAC-MRA)이 가입한 미국, 일본, 중국, 유럽 등 72개국, 아시아태평양 시험기관 인정협력체 상호인정협정(APLAS-MRA)에 가입한 23개국에서 상호인정되며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또한 타임 프로젝트의 저력은 지불결제시스템(PG: Payment Gateway)에서 나온다. 국내 업계에서는 유일하게 EMVCo® 3-D Secure 2.0(American Express, Discover, JCB, Mastercard, UnionPay 및 Visa)의 3DS Server와 ACS(Access Control Server)의 2개 솔루션을 국내 최초 인증을 획드한 핀테크 전문 기업 이삭랜드코리아(ILK, 대표 하경태)와의 협력을 통해 단순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이 아닌 금융기관과의 거래를 대행해주는 실질적인 기술로, 코인과 토큰을 연계해 사용할 수 있는 실물 결제 플랫폼이다.에코타임은 ‘타임(TYME)’을 암호화폐공개(ICO)를 거치지 않고, 거래소에 상장할 계획이다.
-
[후오비 오늘의 코인] 엘프(AELF),진화형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후오비 오늘의 코인] 엘프(AELF),진화형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엘프(AELF)진화형 분산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 그룹형 병렬처리와 클라우드 서비스로 더욱 빠른 처리 속도와 리소스 분리, 뛰어난 확장성과 커스터마이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토큰 보유자들로부터 운영정책 및 의사 결정을 투표로 결정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는 물론 IOT 서비스를 포함한 스마트 시티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코르텍스(CTXC)블록체인 기반의 인공지능 플랫폼으로 탈중앙화 인공지능 자동화 시스템을 지향하는 플랫폼.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인공지능 시스템에 태스크(Task)를 부여할 수 있는 구조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성상 가장 퍼포먼스가 뛰어난 인공지능 모델만이 살아남게끔 유도하는 경쟁적인 플랫폼이다.에스티케이토큰(STK)POS(Proof Of Stake) 증명 방식의 통합 결제 및 지불 시스템. 스마트 계약 기능을 이용, 사용자들이 손쉽게 제품을 구매하거나 자금 이체 등이 가능하다. 모바일기기를 통한 금융거래가 가능해 소매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에스크로 기능이 있어 제품이 예정대로 도착하지 않았거나 불량일 경우 환불 요청도 가능하다. 향후 P2P 거래 뿐만 아니라 온라인 마켓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출처:후오비 데일리 리포트
-
업비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공개
업비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공개글로벌 표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2019년도 2분기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결과를 공개했다.업비트는 고객 신뢰도 제고와 투명한 거래 환경 제공을 위해 지난해 6월부터 매 분기마다 실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이 네번째다.공개한 보고서에는 두나무가 유진회계법인에 의뢰하여 2019년 4월 1일 오전 3시 기준으로 업비트가 보유한 222종의 코인과 회사 명의 예금 실사를 받은 내용이 담겨 있다.주요 내용은 ▲암호화폐 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암호화폐 대비 금액 기준으로 약 102.49%의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점 ▲예금 실사 결과, 업비트는 고객에 대하여 지급할 금전 대비 150.66%의 금전을 보유하고 있는 점으로 요약된다.이번 실사는 2019년 4월 1일부터 20일까지 두나무 본사에서 실시됐다. 암호화폐의 경우 두나무가 개발한 내부 전자지갑과 전문업체가 제공하는 전자지갑에 실재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고, 예금은 두나무가 보유한 예금명세서를 기초로 해당 금융기관에 조회하여 확인했다.두나무 관계자는 “업비트는 고객에게 지급할 암호화폐와 예금을 모두 초과하여 보유하고 있어 언제든 고객에 원할 때 지급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실사를 통해 투명하고 믿을 수 있는 암호화폐 거래소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한편, 암호화폐 및 예금 실사 보고서 전문은 업비트 홈페이지 고객센터 내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비탈릭 부테린, ETH '스테이킹 보상 늘리자' 제안
▲ 체이널리시스 공동 창업자 "BTC, 범죄자 가장 선호"최근 암호화폐 전문 분석업체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 공동 창업자 조나단 레빈(Jonathan Levin)이 포츈(Fortune)과의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암호화폐가 등장하고 있지만, 가장 가치있고 유동성 풍부한 암호화폐는 단연코 비트코인(BTC)"이라며 "그만큼 범죄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암호화폐이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국이 조사 중인 암호화폐 사건 중 95%가 BTC와 관련이 있다"고 덧붙였다.▲ Maker 중국 총괄 "DAI 안정화 수수료, 향후 16.5%까지 인상"이더리움 담보 대출 플랫폼 메이커다오(MakerDAO) 프로젝트의 중국 시장 총괄 판차오(潘超)가 공식 채널을 통해 "지난 2개월 동안 DAI 안정화 수수료를 5차례 인상해, 0.5%에서 14.5%까지 올렸다"며 "향후 16.5%까지 인상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MKR은 현재 1.96% 하락한 563.73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탈릭 부테린, ETH '스테이킹 보상 늘리자' 제안이더리움 커뮤니티 플랫폼 유닛타임스(Unitimes)에 따르면, 이더리움(ETH, 시가총액 2위)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이 ETH 네트워크가 PoS(지분증명) 합의 알고리즘으로 전환되면 더 높은 비율의 스테이킹 보상을 제공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100만 ETH를 1년간 스테이킹할 경우 최대 18.10%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총 공급량인 1.34억 ETH를 스테이킹하면 1.56%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형태다. 해당 제안은 깃허브와 레딧 등 커뮤니티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앞서 제시된 스테이킹 보상안은 100만 ETH, 1억 ETH 스테이킹 시 각각 8%, 0.8% 수익을 제공하여, 커뮤니티 내에서 블록파이(BlockFi) 등 대출 플랫폼이 제공하는 이자율(6.2%)에 비해 보상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제시된 바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아시아 4개 테조스(Tezos) 재단,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공동 론칭
아시아 4개 테조스(Tezos) 재단,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공동 론칭아시아 4개 테조스 재단(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홍콩(중국))은 오늘 공동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tzVentures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게일 강(Gail Kang)과 이재원 교수가 이끄는 tzVentures는 테조스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유망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지원할 예정이다.tzVentures는 사업 초기 단계에 있는 블록체인 회사를 대상으로 멘토링, 전문 지식,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 등 편안하고 생산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인큐베이션 기간은 3 ~ 6개월이다. 마케팅, 대학 연계 파트너십,컨퍼런스, 투자 유치를 위한 데모 데이(demo day) 등도 함께 제공된다.tzVentures는 서울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각국의 테조스 재단과 관련 조직들로 이루어진 글로벌 테조스 네트워크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전세계를 대상으로 활동할 것이다. 현재 tzVentures 직접적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 홍콩,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의 스타트업을 유치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파트너를 통해서도 가능하다.테조스 기반의 훌륭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글로벌 투자자와 벤처 캐피탈(VC)에게 소개되고 지분 투자를 받을 수 있다. tzVentures는 기존 산업의 스타트업 투자와 암호화폐 산업의 스타트업 투자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통적인 VC를 초대할 계획이다.이재원 교수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인큐베이션은 전통적인 비즈니스 멘토링과 수준 높은 기술 지원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ICO 컨설팅 회사들이 기존의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들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고, 블록체인 프로그래머들은 토큰을 만들기에 혈안이 되어 있다.''블록체인 스타트업의 성공 비결은 건전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좋은 품질의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다. 우리가 가진 VC 멘토들과 아시아, 유럽, 미국의 기술 전문가 그룹을 활용하여 스타트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즉,tzVentures는 테조스 글로벌 네트워크를 완전히 활용하기 위해 중개 조직(coordimnating organization)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테조스 생태계를 강화하고 확장시킬 것이라고 믿는다.'tzVentures는 잠재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스타트업 발굴을 위해 아시아의 (블록체인이 아닌) 기존의 인큐베이터와 협력할 것이다. 암호화폐 산업과 기존 스타트업 투자자들, VC들과의 협력도 고려 중이다.tzVentures의 팀원들은 블록체인, 금융, 인큐베이터 분야에서 화려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게일 강은 ICON 프로젝트에서 마케팅 팅장을 지냈고, 콜롬비아 경영대학원 출신인 이재원 교수는 다양한 VC,인큐베이터들과 관계를 맺고 있다. 두 사람은 "블록체인 기업으로 가는 길"이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블록체인 스타트업이 인큐베이션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테조스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해야 하고 ICO 보다는 지분 투자 방식으로 투자를 받아야 한다.
-
FSN 子회사 넥스트미디어그룹, ‘2019 페이스북 대행 파트너’ 선정
FSN 子회사 넥스트미디어그룹, ‘2019 페이스북 대행 파트너’ 선정종합 디지털 마케팅 그룹 퓨쳐스트림네트웍스(214270, 이하 FSN)의 자회사 ‘넥스트미디어그룹’이 ‘2019 페이스북(Facebook) 대행 파트너’로 선정되었다페이스북은 올해 처음 ‘에이전시 퍼스트(Agency First)’ 제도 시행을 통해 국내에서 16개의 대행사를 선정했다. 해당 대행 파트너 중 한 곳으로 선정된 넥스트미디어그룹은 향후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통해 한층 효율적인 광고마케팅 서비스를 진행할 수 있게 됐다.페이스북 대행 파트너로 선정되면 △각종 교육 프로그램 △새로운 기능 테스트 △이벤트 쿠폰 지원 등 프로모션을 우선 제공받고, 이 외 페이스북이 주최하는 각종 어워즈, 세미나, 파트너 써밋(Summit) 등의 초청 대상 자격을 갖게 된다.넥스트미디어그룹 이승호 대표이사는 “세계 최대 SNS(Social Network Services) 플랫폼 페이스북의 공식 대행 파트너 선정으로 온/오프 통합 광고마케팅 전문 기업 넥스트미디어그룹은 글로벌 SNS 플랫폼 채널 서비스에 대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공식 파트너사들에게 주어지는 페이스북의 다양한 프로그램 혜택 등을 통해 한층 차별화된 광고마케팅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
후오비, 후오비 프라임 2기 뉴턴 프로젝트(NEW) 공개..커뮤니티 기반 경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뉴턴 프로젝트’ 선정
후오비, 후오비 프라임 2기 뉴턴 프로젝트(NEW) 공개..커뮤니티 기반 경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뉴턴 프로젝트’ 선정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Huobi Korea)가 오는 16일 진행될 후오비 프라임(Huobi Prime) 2기 프로젝트를 공개했다고 10일 밝혔다. 16일 오후 9시(한국 기준) 후오비 프라임에서 소개될 프로젝트는 ‘뉴턴 프로젝트(Newton Project, NEW)’로 커뮤니티 경제 인프라 구축을 목표로 한다. 뉴턴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내부 협업 경제에 기여하는 모든 사람이 직접적 이익을 얻어야 한다는 비전하에 비영리 재단의 지원으로 운영된다. 특히 커뮤니티 경제 활성화를 위해 거버넌스, 협업 및 동기 부여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뉴턴 프로젝트는 퍼블릭 체인인 ‘뉴 체인(New Chain)’을 포함한 분산 스토리지 서비스 ‘뉴 넷(New Net)’ 및 체인 상의 ‘뉴 아이오티(New IOT)’ 등 다양한 인프라 기술을 포함한 새로운 기술 메커니즘을 보유한다. 또한 디지털 신분 및 신용, 공급체인, 디지털 영업, 거래 및 지불, 자율 금융을 비롯해 블록체인과 전자상거래를 결합한 ‘뉴 몰(New Mall)’을 출시하기도 했다.뉴턴 프로젝트는 현재 89개국에서 17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한 32개 텔레그램 그룹을 구축해, 전 세계적인 커뮤니티 채널을 운영 중이다. 후오비 프라임 2기에서 거래될 암호화폐 뉴턴(NEW) 거래 총량은 발행 총량의 2%인 20억 NEW이다. 라운드별로 1라운드 4억 NEW, 2라운드 6억 NEW, 3라운드 10억 NEW가 거래될 예정이다. 이번에는 후오비 프라임 1기와 같이 투자자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계별 시장 상한가 정책’을 적용한다. 1라운드 0.001667달러, 2라운드 0.002달러, 3라운드 0.0024달러의 가격으로 각각 책정되며, 후오비 토큰(HT)으로만 구매 가능하다. 후오비 프라임 2기는 많은 참여자로 인해 매수 성공률이 낮았던 1기 상황을 고려해 참여 조건도 강화됐다. 참여 희망자는 거래 개시 30일 전인 3월 17일부터 4월 16일까지 일평균 500 HT 이상을 보유해야 한다. 또한 HT의 평균 보유 수량이 많을수록 거래 체결 한도 역시 차등적으로 제공될 예정이다. 상세 내용은 후오비 글로벌 홈페이지 ‘나의 HT 보유 현황 조회하기’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마케팅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후오비 프라임 1기의 높은 관심에 힘입어 오는 16일에 진행될 후오비 프라임 2기 역시 기대가 크다”라며 “1기 규정을 바탕으로 세부 규정이 조정된 만큼 참여에 유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
업계 전문가, PoS 프로토콜 한계성 지적 릴레이
▲ 외신 "佛 암호화폐 규제 방안, 획기적"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최근 프랑스 당국이 발표한 규제 방안은 암호화폐 업계의 '아방가르드(전위예술)'다"라고 평가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금융시장관리국(AMF)이 발표한 규제 초안은 암호화폐 스타트업과 은행 간 갈등을 해결해주는 획기적인 방안"이라며 "블록체인 프로젝트는 당국의 규제를 받는 대신 은행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中 유명 투자자 "USDT 추가 발행, 공급 초과로 볼 수 없다"중국 유명 암호화폐 업계 인사 자오둥 디그룹 창업자가 테더 재단이 USDT를 추가 발행한 것에 대해 "초과 공급이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시장에 있는 USDT는 어떻게 풀리는 것일까? 당신이 테더에 1달러를 주고 1USDT를 구입하게 된다. 여기서 테더는 0.1%의 수수료를 가져간다. 이게 전부이다. 그렇다면 USDT의 '초과' 공급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두개의 방법이 있다. 하나는 USDT의 공급량이 테더가 비축하고 있는 달러를 넘어서는 것. 또다른 하나는 USDT 공급량이 시장의 수요를 초과하는 것이다. 전자는 테더 재단이 자금을 유용하지 않는 한 발생하지 않는 일이다. 후자는 USDT의 가격에서 알 수 있다. 현재 USDT 거래에는 프리미엄이 붙고 있다. 수요와 공급에 균형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초과 공급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는 이어 "시장이 회복세를 나타냈고, USDT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테더 측이 추가 발행에 나선 것이다. 테더의 추가 발행이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말은 옳지 않다. 테더는 '추가' 발행된 것이지 '초과' 발행된 것이 아니다. 만약 시장에 수요에 의해 추가 공급에 나선 것이 아니라면, 테더의 가격은 붕괴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코인니스는 앞서 테더 측이 이번달 네차례에 걸쳐 총 2.4억 USDT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발행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업계 전문가, PoS 프로토콜 한계성 지적 릴레이중국 현지 블록체인 미디어 바비터(巴比特)에 따르면, 찰리 리(Charlie Lee) 라이트코인(LTC, 시가총액 6위) 창시자가 "PoS의 타당성은 아직 검증되지 않았으며, 미래에 무슨일이 생길지에 대해 더 생각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모네로(XMR, 시가총액 12위) 수석 개발자 히카르도 스파그니(Riccardo Spagni)는 "PoS는 복잡하고 안전하지 않아 블록체인에 잘 적용될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 유명 암호화폐 인플루언서 웨일 판다(WhalePanda) 역시 "PoW가 유일하게 운영 가능한 매커니즘"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히카르도(Riccardo)는 "연구 차원에서 모든 컨센서스 매커니즘에 흥미를 가지고 있지만 최소 10년 이후에는 현재 매커니즘들에 대한 인식이 바뀔 것"이라고 밝혔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팅스나인, 블록체인 기술 접목 새로운 광고 플랫폼 ‘애니마이닝’ 출시
팅스나인, 블록체인 기술 접목 새로운 광고 플랫폼 ‘애니마이닝’ 출시-기존 포인트에 AR기술과 블록체인 기술 접목한 신개념 광고 프로모션 플랫폼 선보여..-사용자는 재미있는 게임을 하며 코인을 취득하여 가맹점에서 사용하는2가지 효과 가능..-중대형 가맹사업자와 본격 협의 진행중.. 중소 가맹사업자들을 위한 기술지원 방안도 마련..블록체인 비즈니스 업체 팅스나인(대표 임종범)은 기존 포인트에 AR게임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애니마이닝(AnyMining)’을 통해 신개념 광고 프로모션 플랫폼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고 밝혔다.현재 다양한 가맹점과 가맹업은 광고와 프로모션 진행을 통해 회원과 고객들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팅스나인은 이러한 기존의 방식을 뛰어넘은 재미와 편의성, 그리고 보안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광고 플랫폼을 출시했다.팅스나인의 광고 프로모션 플랫폼 ‘애니마이닝’은 AR기술과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가맹사업자의 프로모션 진행 시 가맹점 주위에 코인을 배포, 사용자가 해당 지역 인근에서 AR 게임에 참여하여 해당 코인을 취득(채굴)하게 된다. 이렇게 취득한 코인은 가까운 가맹점에 방문하여 사용할 수 있다.애니마이닝 서비스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AR(증강현실)게임을 하며 코인을 취득하여 가맹점에서 바로 사용함으로서 재미와 경제성이라는 2가지 효과를 볼 수 있다. 가맹점은 게임을 통해 일반 사용자에게 해당 브랜드 가맹점 방문의 기회를 증대하고, 동시에 추가적인 소비로 연결되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특히,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대형 가맹사업자의 경우 자사의 코인을 발행하여 프로모션 지역에 자사의 코인 배포를 통해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수 있다. 중소규모 가맹사업자는 지역연합, 또는 유사 업종간 연합 코인을 발행하여 본 플랫폼을 통해 공동 프로모션을 추진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골목상권 및 지역상권을 활성화 하는 효과도 기대된다.애니마이닝은 현재 중대형 가맹사업자들과 본격 협의가 진행중이고, 중소 가맹사업자들을 위한 기술지원 방안도 마련 중에 있다.팅스나인 임종범 대표는 “특히 게임과 블록체인기술에 익숙한 신세대들에게 새로운 광고 프로모션 참여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가맹점들에게도 최신 트렌드를 접목한 광고 플랫폼을 최우선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또한 임 대표는 “이 플랫폼은 해외에서 먼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며 “미국, 중국, 동남아 가맹사업자와 지역 시장, 관광단지 등에 유기적으로 접목이 가능한 모델”이라고 강조했다.한편, 팅스나인은 '가상화폐를 활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 에 관한 특허를 획득하고, 국내 유수의 포스 업체와 사업제휴(MOU)를 맺는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팅스나인은 자체 개발 플랫폼인 애니클렛(AnyCllet) 앱과 애니포스(AnyPOS) 앱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제휴 매장 확대에 주력하며 언제, 어디에서나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
니오앱스, 메신저 생태계 구축 위해 ‘니오 플랫폼’ 6월말 출시 발표
니오앱스, 메신저 생태계 구축 위해 ‘니오 플랫폼’ 6월말 출시 발표-자동 번역 메신저부터 재미있는 게임까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에코 시스템 구축..-니오 크립토 사용하여 포털 운영 예정.. 모든 판매 및 구매 거래의 완전한 안전보장 계획..글로벌 SNS 플랫폼 서비스 제공업체 니오앱스(NEEO Apps)는 양자정보기술을 적용한 암호화폐 개발을 시작하고, 보안성이 높고 위협에 강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니오 플랫폼(NEEO Platform)을 6월말 출시한다고 밝혔다.니오 플랫폼은 실시간 자동 번역 기능이 있는 메신저에서부터 재미있는 게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에코 시스템을 만들 계획이다.모든 니오앱들의 기반인 블록체인 메커니즘은 악의적인 공격에 대한 데이터 보안 및 지속가능성을 제공한다. 조만간 출시될 니오 플랫폼은 기존에 출시된 니오앱들과 함께 소비자의 신뢰를 높여 비즈니스 성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니오앱스 관계자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기존 형태의 은행 거래(송금 등)나 암호화폐는 곧 사라질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정보를 보호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주된 이유”라며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무너지더라도 니오(NEEO)의 암호 해독 기능은 제대로 작동되어 자산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고 밝혔다.니오앱스 조형래 회장은 “니오 크립토는 니오 셀&바이(NEEO Sell&Buy)라는 특별히 고안된 포털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며 “이 서비스는 아직 개발 중이지만 조만간 공식 출시가 되고, 니오 크립토를 사용하여 포털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히며 “니오 크립토는 모든 판매 및 구매 거래의 완전한 안전을 보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한편, 니오앱스가 서비스하고 있는 니오메신저(NEEO messenger)은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구어와 단어를 즉시 번역할 수 있으며, 매일 새로운 어휘를 추가하는 인공지능 자가 학습앱으로써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동시 통/번역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이다. 니오메신저는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178개 국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외국인 친구 만들기, 외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거래, 해외여행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 있다. 니오메신저는 세계 최초로 10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언어로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