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YT "페이스북, 거래소와 '페이스북 코인' 발행 논의"
[NYT "페이스북, 거래소와 '페이스북 코인' 발행 논의"]뉴욕타임즈(NYT) 28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페이스북이 왓츠앱 사용자를 대상으로 코인 발행을 추진 중이다. NYT는 익명을 요구한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 "페이스북이 암호화폐 거래소와 페이스북 코인 발행을 논의했다"며 "페이스북 코인은 법정화폐 가치에 고정될 가능성이 높으며, 달러가 아닌 여러 외화로 구성된 바스켓과 연동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라고 전했다.[ETH, 블록 높이 7,280,000 도달...업그레이드 완료]이더리움 블록 익스플로러 이더스캔(etherscan.io)에 따르면, 이더리움 블록 높이가 7,280,000에 도달해 콘스탄티노플 상트페테르부르크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베이스 모바일 App, XRP 거래 지원]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coinbase)가 28일(현지시간) 'Coinbase.com' 웹 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리플(XRP) 거래를 지원한다고 밝혔다.[美 캘리포니아주, 암호화폐 사업 규제 법안 도입]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이안 칼데론(Ian Calderon) 캘리포니아주 연방 하원의원이 최근 의회 법안 1489를 도입, 지역 내 암호화폐 사업을 규제할 예정이다. 뉴욕의 '비트라이센스'(BitLicence)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관련 기업에게 승인 절차를 요구한다는 설명이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블록체인 업체, 스위스 핀테크 업계 점유율 1위
▲ OKEx, 선물 분기물 상위 트레이더 롱·숏비율 현황1일 오전 9시 기준 중국계 암호화폐 거래소 OKEx의 BTC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포지션 보유량 TOP 100) 트레이더들의 롱 포지션 비율이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BTC 롱 포지션 비율은 23.94%, 숏 포지션 비율은 12.73%를 기록하며 롱 포지션이 우세를 점하고 있다. ETH 선물 분기물 리더보드 트레이더들의 롱·숏포지션 비율은 각각 17.59%, 11.52%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OKEx의 BTC 선물 포지션 규모는 6.83만 BTC, ETH 선물 포지션 규모는 69.82만 ETH를 나타내고 있다.▲ 버뮤다 정부, 美 시그니처 은행과 파트너십 체결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버뮤다 정부가 뉴욕에 위치한 나스닥 상장사 시그니처(Signature) 은행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정부는 "시그니처 은행은 버뮤다 현지 66개 핀테크 업체 및 암호화폐 스타트업에 뱅킹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작년 말 해당 은행은 기관 투자자들을 위한 이더리움 결제 플랫폼 '시그넷(Signet)'을 출시한 바 있다.▲ 블록체인 업체, 스위스 핀테크 업계 점유율 1위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블록체인 업체가 스위스 핀테크 업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34%로 가장 컸다. 현재 총 356개의 핀테크 업체 중 122개가 블록체인 업체로 나타났다. 이는 2017년(15%) 대비 약 2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한편, 투자관리 업체(19%)와 뱅킹 인프라 업체(16%)는 스위스 핀테크 업계 점유율 기준 2, 3위를 기록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마운트곡스, 채무 배상 계획 제출 기한 10월 28일로 연기
▲ 말레이시아, 100만평 규모 블록체인 도시 건설 계획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뉴스(bitcoinnews)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정부가 '말라카 해협 도시'라는 블록체인 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구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도시 규모는 835에이커(약 100만 평) 상당이며, 프로젝트 초기 단계 목표 자금 조달액은 1억 2,000만 달러다. 해당 도시 프로젝트는 중국 정부와 글로벌 최대 건설 업체인 중국건축공정총공사(中国建筑工程公司)가 지원하며 블록체인 관광 명소 및 비즈니스 기회 제공, 관련 교육 서비스 지원을 프로젝트 주요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연간 예상 방문 관광객은 3백만 명이다.▲ 나이키 암호화폐 관련 상표 출원…자체 토큰 활용 검토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가 '크립토킥스(Cryptokicks) 상표 출원을 신청했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block.com이 25일(한국시간) 보도했다. 상표 등록이 허가되면 나이키는 자체 상품에서 해당 상표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이키 측은 해당 상표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자사 온라인 마켓 내 디지털 화폐 활용 방안을 함께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Gerben 로펌의 Josh Gerben 상표 출원 전문 변호사는 “나이키가 크립토킥스를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진단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최근 나이키는 사업 디지털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달 발표한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나이키의 디지털 비즈니스 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6% 증가한 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했다.▲ 마운트곡스, 채무 배상 계획 제출 기한 10월 28일로 연기마운트곡스(Mt.Gox) 측 공식 발표에 따르면, 마운트곡스 신탁 관리인 고바야시 노부아키(Noubuaki Kobayashi)가 이번 달 26일로 예정돼 있던 채무 배상 계획 제출 기한을 오는 10월 28일로 연기했다. 마운트곡스 측과 고바야시 노부아키는 계획안 작성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 도쿄 지방 법원에 정식으로 기한 연기를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9일에는 마운트곡스 해킹 피해자 채권단 대표인 앤디 파그(Andy Pag)가 사임 의사를 밝혔다. 당시 그는 "마운트곡스의 주요 채권자인 미국 기업 코인랩(Coinlab)의 피해액 반환 소송이 최대 2년까지 걸리 수 있다”며 “법률 절차 복잡성 등을 고려 할 때 채권단 피해액 변제가 최장 수 년이 소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제네시스 트레이딩, 출범 1년 만에 대출액 15억 달러 육박
▲ ETC LABS 기술 개발자, 주요 업데이트 현황 공개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 데일리(Crypto Daily)에 따르면 이더리움클래식 랩스(ETC Labs)의 기술 개발자인 Steven Lohja가 ETC 관련 주요 업데이트 현황을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현재 ETC는 ETC-ETH 호환성 및 성능 제고를 위해 ECIP-1054 업데이트를 진행 중이며, 앞서 제안된 테스트넷 및 메인넷의 목표 블록 고도를 ECIP-1053 업데이트에 포함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클라이언트 개발팀과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ETC는 보안성 제고를 위해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51% 공격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더리움 노드 중 가장 널리 쓰이는 고이더리움(Geth, Go-ethereum)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검색 및 분석 엔진인 ELK STACK를 별도로 배치했다.▲ 레노버, IBM과 파트너쉽...블록체인·AI 툴 개발IT 전문 미디어 지디넷(zdnet)에 따르면, 레노버(lenovo)가 IBM과 장기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하고 블록체인 및 AI 프로그램 개발에 나선다. 향후 레노버는 IBM의 다양한 툴을 활용할 수 있으며 IBM의 데이터 센터 에이전트 및 기술자들과 협력해 ThinkSystem, ThinkAgile 플랫폼을 지원할 예정이다.▲ 제네시스 트레이딩, 출범 1년 만에 대출액 15억 달러 육박장외 거래(OTC) 플랫폼 제네시스 글로벌 트레이딩(Genesis Global Trading)이 지난해 3월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를 정식으로 제공한 이래 기관 고객에게 제공한 암호화폐 대출 총액이 15억 3,000만 달러에 달한다고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25일(한국 시간) 보도했다. 제네시스 트레이딩은 비트코인(BTC), 비트코인캐시(BCH),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암호화폐 대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1분기 대출 서비스를 제공한 암호화폐는 4억 2,500만 달러 규모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
㈜키페어, 암호화폐 거래소 및 ICO 프로젝트용 이중(Two Factor) 물리 보안솔루션인 FIDO 인증기반 ‘카이도 KIDO (KeyWallet for FIDO)’ 선보여구글의 소프트웨어 방식인 OTP (One Time Password) 대체 국내 암호화폐 지갑(콜드 월렛)의 선두주자인 ㈜키페어 (공동대표 이정엽, 이창근)는 자사의 키월렛 시리즈 (KeyWallet Series)와 연동하여 이중 보안되는 암호화폐 거래소 전용 인증솔루션인 파이도 (FIDO) 기반의 카이도 (KIDO) 서버를 개발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인 KCX등에 납품하였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금융투자보호재단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암호화폐 투자를 망설이는 가장 큰이유는 ‘해킹 등 안정성 우려’(41.2%)이라고 답한 만큼 암호화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투자자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이 구축 되어야한다. 올 3월에 있었던 빗썸의 암화화폐 탈취 사고 역시 내부자 소행이 추정되는 등 실제 많은 거래소 해킹 사례는 외부침입 외에도 내부 통치 거버넌스 시스템의 부재로 인한 사고가 많았다.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상 해킹을 당해도 외부에 알리지 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외신뢰도 및 소송이나 행정적인 조치를 피하기 위해 이러한 부분은 암암리에 행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는 결국 시장활성화에는 역행할 뿐이므로 거래소에 적합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이 필요하지만 암호화폐의 특성에 최적화되어 있는 보안솔루션이 많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키페어는 암호학 기반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독특한 이력의 전문업체로써 이번에 출시한 ㈜키페어의 ‘KIDO(KeyWallet For FIDO)’ 제품은 기존 ㈜키페어의 보안전용 칩 (Secure Element) 기반의 하드웨어 월렛인 “키월렛 터치(KeyWalletTouch)”와 연동하여 작동하므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end to end로 seamless한 보안 체계를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전통금융산업과는 달리 암호화폐는 개인키 관리 및 분산원장으로 인해 완벽한 망분리를 구조적으로 하기 힘드므로 새로운 형태의 보안 시스템이 필요하나 비용 및 편리성에 의해 핫 월렛 및 소프트웨어 인증 방식을 보통 사용하고 있어 항상 보안사고에 노출 되어있다. ㈜키페어는 이미 KB은행 및 NH등의 주요 금융권에 PKI기반의 인증솔루션인 “스마트원 카드”등을 공급한 경험과 국내 암호화폐 지갑 제조 판매를 선도하는 업체로써 시장에서 니즈를 정확하게 반영한 보안 인증 솔루션이다. ㈜키페어의 이창근 공동대표에 의하면 “암호화폐는 분산원장을 이용해 기존의 중앙서버이용대비 위 변조의 가능성 및 보안성이 더 좋다고 하지만 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로그인등의 아이디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지만 여전히 일반적인 인증체계를 이용하는 곳이 많아 거버넌스를 통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카이도(KIDO)는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의 특징을 반영해서 제품화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KIDO의 경우 FIDO인증 기반으로, 2018년도 유럽연합(EU)에서 시행된 개인정보보호 규정인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도 적용가능해 유럽 지역에도 진출할 계획을 밝혔다. 그는 최근 보안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아이템인 커스터디(Custody) 제품에 대한 일정도 밝혔는데 이미 하드웨어 완성이 되었고 현재 소프트웨어 작업을 진행중이며 올 상반기중에 주요 거래소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개발 중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국내 도입된 해외 보안기술을 국산화하는데 특별히 관심이 많다고 했다. 최근에 국내최초로 펌웨어 기반의 보안인증을 받은 KCMVP 인증 역시도 경우도 타사와 달리 100% 국산화하여 인증을 받았다. 그는 독자적인 보안기술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결국 자국의 기술경쟁력을 한 차원 높이는 것이라고 믿고 있고 이러한 시스템을 토대로 자사의 블록체인의 인증 보안 시스템 역시 국제적인 ISMS의 실제 선도 표준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포부를 밝혔다.
-
인도 투자자 보호 기관, 현지 암호화폐 전면 금지 권고
▲ 리플 고위 경영진 “사우디 주요 은행, 연내 리플 기반 송금 채널 개설”글로벌 미디어 투데이 가제트(Today's Gazette)에 따르면 리플(Ripple)의 남아시아 및 메나(MENA, 중동과 북아프리카 합성어) 지역 담당 이사인 나빈 굽타(Navin Gupta)가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은행 중 하나인 사우디브리티시뱅크(SABB)가 연내 리플(Ripple)을 기반으로 사우디와 인도간의 송금 채널을 개설한다고 말했다. SABB는 이를 통해 국경간 송금 비용을 절감하고 속도를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중국 미디어 오데일리(Odaily)는 SABB가 리플넷에 합류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이 주도하는 리플 시범 운영 프로젝트에 주요 협력 업체로 참여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인도 투자자 보호 기관, 현지 암호화폐 전면 금지 권고인도투자자교육보호관리국(IEPF)이 인도재정금융서비스부에 인도 내 암호화폐 전면 금지를 제안하는 서한을 발송했다고 글로벌 미디어 비즈니스라인(Businessline)가 25일(한국시간) 보도했다. 이와 관련 IEPF 관계자는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서방 주요국이 암호화폐 관련 규제 조치를 위해 인도 당국의 정책 사례를 연구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는 지난해 7월부터 중앙은행(RBI)의 암호화폐 금지령이 발효됨에 따라 은행의 암호화폐 관련 업무가 금지됐다. 해당 금지령에 대한 공청회는 오는 7월 열릴 예정이다.▲ 日, T20 주최...G20 앞두고 암호화폐 사항 논의일본이 암호화폐 관련 사항을 논의 하기 위해 두 차례의 T20(Think20) 회의를 주최한다고 25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뉴스(Cryptonews)가 전했다. T20은 5월 말 G20을 앞두고 도쿄에서 열릴 예정이다. T20은 G20 주요국을 도와 글로벌 시급 사안을 해결하고 정책 혁신을 실현하기 위해 구성된 기구로, G20 회원국 정책 입안자가 참여한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
AIPE,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 진행-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클렛에서 24일까지 세일 진행-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코인베네(Coinbene)의 문베이스(Moonbase)에 아시아에서 첫번째로 27일 등록 예정..인공지능과 인간의 판단이 결합된 프로젝트인 AIPE (AI Prediction Platform)는 크립토 포탈 클렛(CLET)에서 세일을 4월 24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다.이번 클렛(CLET)에서 진행되는 AIPE 세일은 보너스 10%와 판매가 $0.02USD이다.AIPE는 리워드 플랫폼인 ‘3PIKS’와 암호화폐 가격변동 알림 서비스인’AIBitBip’, 이 두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코인 및 토큰을 에어드롭(Airdrop) 할 수 있고, 거래소나 특정 코인의 마케팅 채널로도 활용이 가능하다.현재 암호화폐 가격 예측 서비스 3PIKS가 개발 완료단계에 이르렀고, 유저들은 자사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AI 모델과 함께 암호화폐의 가격을 예측하고, 그에 대한 보상으로 AI Token을 받게 된다.이처럼, AIPE의 생태계(Ecosystem)은 단순히 우수한 AI 모델(Model)의 확보나, 거래소 개발에 필요한 솔루션만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각 서비스가 상호 유기적인 관계와 가치를 지니며 암호화폐 가격예측, 화폐 유동성, 홍보, 트래픽 그리고 시장의 안정성을 순환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이와 함께, AIPE는 코인베네(Coinbene)의 IEO 프로젝트 문베이스(Moonbase)에 등록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시아에서는 첫번째로, 코인베네(Coinbene) 에서는 두번째로 IEO를 진행할 예정이다. 문베이스(Moonbase)는 세계 10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네(Coinbene)에서 진행하는 프로젝트이다. 바이낸스(Binance)의 Launchpad와 유사한 프로젝트로, IEO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팅 프로세스(Listing Process)를 가지고 이를 통해 빠른 발전과 성장을 꾀할 수 있다.문베이스(Moonbase) 프로젝트가 계획단계에 있던 3월부터 CONI Token은 꾸준히 가치가 상승하여 현재는 5배 가량 가격이 상승했다.AIPE 담당자는 “최근 IEO 동향은 Binance Launchpad 에서 BTT 9.8배, FET 6배, CELR 5.5배 상승이 있었고, Houbi Prime에서 Top 30배, NEW 7.7배가 상승했다”며 “이와 같은 암호화폐 거래소가 보증하는 IEO(Initial Exchange Offering)은 좋은 결과를 낳고 있다”고 밝히며 “홀더(Holder)나 투자가(Investor)들에게 가장 많은 수익이 돌아갈 수 있는 방식으로 AIPE는 IEO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
굿모닝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으로 스타와 팬덤 잇는다
굿모닝 서비스, 블록체인 기반으로 스타와 팬덤 잇는다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수집 및 유통 전문 기업인 마이크레딧체인(대표 김우식)은 MBC '신비한TV 서프라이즈'를 대표하는 배우 김하영과 '굿모닝 스타프렌즈'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굿모닝 스타프렌즈는 일반인에게 친근하고 오랫동안 사랑받는 배우, 가수, 코미디언 등 다방면의 스타들과 팬들이 함께 소통하며 관계를 강화해 나가는 신개념 소셜 네트워킹 프로젝트. 스타프렌즈를 통해 스타와의 소통, 미션 이벤트, 기부 행사를 비롯해 우수 참여자를 초청한 게릴라 파티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굿모닝 스타프렌즈의 1호 스타로 선정된 김하영은 2002년부터 16년 동안 매주 일요일 오전 안방을 지켜온 친근한 배우이다.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주연으로 활약하는 배우 김하영은 한번이라도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지만 배우 이름 자체는 익숙하지 않다는 이유로 일명 '서프라이즈의 여자 걔'라는 새로운 유명세를 얻고 있다.굿모닝 서비스는 이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추후 보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씨앗과 메시지를 전달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이용자는 자신에게 주어진 씨앗을 선물하거나 상태 메시지를 변경하는 등의 미션을 통해 매일 씨앗을 생성할 수 있다. 씨앗이 쌓이면 앱내 리워드 포인트인 열매가 되고 일정 수량 이상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최근 그랜드 오픈을 통해 사용자간 열매 선물, 마이레딧체인 토큰으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조만간 오픈하는 전용 쇼핑몰 ‘열매몰’에서 문화상품권으로 교환, 상품 구매, 콘서트 티켓 예매, 스타 애장품 경매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
EOS Authority, 분실 키 복구 솔루션 1단계 투표...3개 BP 찬성
▲ 브라질 경찰, BTC 사용 마약밀매 자금세탁 조직원 체포IT 전문 미디어 더넥스트웹(TNW)에 따르면, 최근 브라질 경찰이 "마약밀매 조직을 운영하며 얻은 수익을 BTC 매매를 통해 자금세탁 하려한 용의자를 체포했다"고 밝혔다. 체포 당시 용의자는 인신매매 및 살인 전과자로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되는 25대의 BTC 채굴기를 통해 BTC를 채굴하고 있었으며, 채굴에 사용된 전력 역시 불법 장치를 통해 도용한 전력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현지 경찰은 "해당 조직은 마약 밀매를 통해 얻은 수익으로 BTC 채굴기를 구매하고, 또 판매한 BTC를 통해 마약밀매를 진행하는 수법을 쓰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편, 해당 용의자는 경찰이 제기한 모든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우크라이나 새정부 "국가 구조 전반에 블록체인 도입 계획"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이니스트에 따르면, 최근 새로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취임한 블라디미르 젤렌스키(Vladimir Zelenskiy)의 온라인 선거 캠페인을 이끈 미하일 효도로프(Mikhail Fyodorov)가 "새 정부는 국가 구조 전반에 걸쳐 블록체인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작은 규모로 시작해 궁극적으로 국가 투표 시스템에도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앞서 그는 온라인 선거 캠페인을 진행할 당시, 국민들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등이 포함된 국가적 디지털화의 필요성을 호소한 바 있다. 또한 최근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시 행정당국(KCSA)은 비트코인을 통한 대중교통비 지불 방안을 재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EOS Authority, 분실 키 복구 솔루션 1단계 투표...3개 BP 찬성지난 24일(한국시간) 영국 소재 EOS 메인넷 BP인 ‘EOS Authority’가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위한 'eosio.lost 계정 생성(1단계)'을 제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제안이 21개 EOS 블록 프로듀서(BP)로부터 15표 이상을 받아 통과될 경우 분실 키 복구 솔루션을 위한 eosio.lost 계정이 생성되며, 현재 3표를 획득한 상태다. 코인마켓캡 기준, EOS는 현재 8.83% 내린 4.85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
플라이업코리아, 국내 대표 포인트사업자와 블록체인 결제 서비스 업무협약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가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손잡고 블록체인 기반 상품구매 플랫폼 개발에 나선다. 플라이업코리아(대표 김동우)는 ‘OK CASHBAG’, ‘시럽 월렛’ 등을 운영하는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와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양사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포인트 구매 플랫폼을 독점 개발하기 위해 협력한다. 플라이업코리아의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기술과 국내 대표 포인트 사업자의 ‘OK CASHBAG’, ‘시럽 월렛’ 등 다양한 서비스로 검증된 데이터 마케팅 역량을 통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게 양사의 목표이다. 플라이업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실물경제와 블록체인이 아우러질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양사 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실무자 논의가 진행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가시적 성과가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블록체인 전문기업 플라이업코리아는 지난 1월 오픈한 ‘코인피닛’ 거래소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 SK텔레콤 출신의 김동우 대표를 신규 대표로 선임하고 사업 전문성을 향상시켰다.
-
스토리체인, 본다빈치와 문화 콘텐츠 협력 MOU 체결
스토리체인, 본다빈치와 문화 콘텐츠 협력 MOU 체결스토리 산업 공정거래 플랫폼 ‘스토리체인((주)스코웍)’이 전시, 공연 등 오프라인 상에서 디지털 콘텐츠로 세계적인 명성을 인정받고 있는 본다빈치와 22일 상호 지식재산권 교류 및 문화 콘텐츠 개발과 관련한 포괄적인 제휴를 했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을 통해 스토리 산업 공정 거래의 본격화에 앞장서고 있는 (주)스코웍의 프로젝트인 스토리체인은 본다빈치와의 MOU 체결로 더욱 풍성한 콘텐츠 창작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스토리체인과 본다빈치는 앞으로 암호화폐를 통한 스토리 공동 후원 및 인플루언서 마케팅 공동 연구를 통해서 상호 힘을 합할 계획이다. 스토리체인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주최한 ‘핀테크 아이디어&사업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프로젝트로, 스토리 창작물 시장에서의 부당한 보상 체계를 원천적으로 해결 가능하게 해주는 블록체인기반의 dApp이다. 본다빈치(주)는 영상 콘텐츠를 움직이는 동영상으로 시연하는 전시 전문 업체다. 바닥부터 천장까지 화면을 가득 채워 관람객이 그 안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 현재 본다빈치 뮤지엄 능동(어린이 회관 기획전시실)에서 , , 등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다.향후 스토리체인 알파버전 출시에 맞춰, 본다빈치의 캐릭터들을 가지고 공모전을 개최할 계획이다. ‘모네’의 알려진 사실과 알려지지 않은 부분을 공모전에 참여하는 작가들의 상상력으로 채워서 독자의 호응과 완성도가 높은 최종작품은 본다빈치 뮤지움의 스토리텔링 전시물로 꾸밀 계획이다. 앞으로도 스토리체인은 토큰이코노미가 현실세계와 연결되는 최전선에 있겠다고 한다.
-
생활플랫픔 ‘토마토’서 사용하는 플랫폼코인 BPTC,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상장 결정
생활플랫픔 ‘토마토’서 사용하는 플랫폼코인 BPTC,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 상장 결정소프트웨어메이크가 개발중인 렌탈 생활플랫폼 ‘토마토’에서 거래 예정인 가상화폐가 글로벌 거래소에 상장한다.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소프트웨어메이크(대표 김태진)는 자사의 렌탈 생활플랫폼 토마토에서 사용될 예정인 플랫폼코인 BPTC (Blockchain Platform Tomato Coin, 이하 ‘BPTC’)가 글로벌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상장 예정인 거래소는 전세계 가상화폐 거래량 10위 내의 규모를 갖추고 있다. BPTC는 소프트웨어메이크가 론칭을 준비하고 있는 블록체인기반 렌탈 생활플랫폼 ‘토마토’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회사 관계자는 “BPTC는 전자지갑의 정보를 거래소에 전송하고 거래소는 실시간으로 시세정보를 토마토 플랫폼으로 보내게 된다”며 “시세가 반영된 BPTC는 토마토 플랫폼 내의 서비스 결제가 가능한 페이로 전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개발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소프트웨어메이크에서 개발한 ‘토마토’는 렌탈, 쇼핑몰, 모바일 상품권, 스마트이력서, 명함 네트워크, 간편 결제 서비스, O2O시스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록체인기반 렌탈 생활플랫폼이다. 회사 관계자는 “구체적인 상장 일정은 빠른 시일 내에 발표될 예정이고 ‘토마토’ 의 론칭 시점과 별도로 진행되게 된다”며 “생활플랫폼 ‘토마토’와 BPTC의 시너지가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오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
제네시스 마이닝, 하이브 이사회에 보복성 인사조치... 하이브 주가 25%↓
▲ 대만 법무부, 블록체인 기반 증거물 보호 방안 도입 검토대만 현지 미디어 대만자유시보에 따르면, 최근 대만 법무부 조사국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증거물 보호 방안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물 증거 전달에 걸리는 시간을 절감하고, 위조 불가능하며 보관이 편리한 법적 증거물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게 대만 법무부 측의 설명이다.▲ 체이널리시스, 실시간 거래 모니터링에 BNB 등 4종 암호화폐 추가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데일리호들(The Daily Hodl)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분석 업체 체이널리시스가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모니터링 서비스에 바이낸스코인(BNB, 시가총액 7위), 제미니달러(GUSD, 시가총액 84위), 테더(USDT, 시가총액 8위), USD코인(USDC, 시가총액 28위) 등 4개 암호화폐를 추가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체이널리시스의 해당 서비스는 이상 4개 암호화폐 외 BTC, BCH, ETH, LTC, PAX, TUSD 등 암호화폐 거래의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제네시스 마이닝, 하이브 이사회에 보복성 인사조치... 하이브 주가 25%↓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크립토슬레이트(CryptoSlate)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클라우드 암호화폐 채굴업체 제네시스 마이닝(Genesis Mining)이 지난 19일 캐나다 상장사이자 암호화폐 채굴업체 하이브의 이사회를 소집해 기존 이사회 구성원을 제네시스 마이닝의 직원들로 대체하는 등 보복성 인사조치를 진행했다. 해당 소식이 보도된 후, 하이브의 주가는 최근 약 2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하이브(HIVE Blockchain Technologies)는 계약 위반으로 제네시스 마이닝(Genesis Mining)에 5천만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을 청구한 바 있다. 한편, 제네시스 마이닝은 하이브의 최대 주주로 26.3%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오케이코인코리아] "제41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
오케이코인코리아] "제41회 블록체인 산업 주간보고"2019년 4월 15일 – 21일이번 주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 총액은 지난주 대비 0.69% 상승하여 1779.65억 달러(한화 약 204조원)에 달하였으며, 일 평균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9.26% 하락한 416.17억 달러(한화 약 47.5조원)에 달했다. 거래량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일 평균 시가총액은 6주 연속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이번 주 TOP5에 선정된 암호화폐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1.41% 상승했으나,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11.39% 하락했다. 이번주 TOP5 암호화폐의 거래량은 지난주 대비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대형 거래소들이 BSV 상장폐지 이슈로 ㅠ초가 3주 연속 상승을 나타냈으며, 이번 주는 약 12.76% 상승했다.시가총액 상위 200위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일 평균 시가총액은 지난주 대비 4.96% 상승했다. 암호화폐 시장은 크게 통화 및 페이먼트, 퍼블릭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 수직 산업 응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번 주는 모든 영역이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중 수직 산업 응용 영역이 14.9%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수직 체인 및 프로토콜과 수직 산업 응용에 해당되는 암호화폐들은 특화되는 산업 분야에 따라 더욱 세분화된다. 이번 주는 금융, 교통운수, 디지털 신원 증명, 여행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프로젝트 모두 상승 추세를 나타냈으며, 그 중 의료보건 분야 프로젝트가 81.4%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
메타디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IF) 합류
메타디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IF) 합류아이덴티티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으로 생태계 확장 기대메타디움이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에 합류한다. 향후 글로벌 프로젝트들과의 협업을 통해 아이덴티티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 플랫폼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메타디움(대표 박훈)은 탈중앙화 아이덴티티 재단(Decentralized Identity Foundation, 이하 DIF)에 참여한다고 29일 밝혔다. DIF는 탈중앙화된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여러 산업의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모여 만든 개발자 중심의 비영리 단체다. 디지털 상에서 개인의 신원 정보가 잘 활용되려면 다양한 플랫폼에 저장하고 보관돼야 한다. 또한 여러 채널을 통해서 보관된 정보가 손쉽게 상호 교류되고 호환 가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보를 주고받을 때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을 정한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는데 메타디움은 DIF를 통해 이러한 프로토콜을 기준점으로 삼아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템비트, 1,000만 다운로드 RPG ‘드래곤빌리지’ 개발사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체결 - 게임 전문 블록체인 플랫폼 ‘템비트’, 하이브로와 블록체인 게임 공동개발 계약 체결- 매그니스의 ‘템비트’ 플랫폼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금년 하반기 내 제공 예정게임 특화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제공하는 ㈜매그니스(대표 장봉석)와 스마트폰 게임 개발사 ㈜하이브로(대표 원세연)는 7일 블록체인 기반 게임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하이브로는 2012년 출시한 스마트폰 게임 ‘드래곤빌리지’로 1천만 다운로드를 돌파하며 큰 인기를 끌면서 드래곤빌리지2, 드래곤빌리지M으로 이어지는 프랜차이즈 타이틀을 런칭하여 탄탄한 고정 팬덤을 확보했다. 또한 드래곤빌리지의 오프라인 게임카드를 4000만 팩 이상 판매, 게임 도감과 드래곤빌리지 코믹스를 포함한 다양한 서적을 100만부 이상 판매하며 명실공히 캐릭터 IP 로써의 가치를 키워오고 있다.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에서 개발한 서비스형 블록체인 루니버스의 게임 부문을 맡고 있는 매그니스는 블록체인 게임 서비스 플랫폼 ’템비트(구.마그넷)’를 이번 해 하반기부터 제공할 예정이며, ‘템비트’를 통해 게임 개발사들이 보다 손쉽게 블록체인 기반 게임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동개발 계약을 통해 매그니스와 하이브로는 드래곤빌리지 IP를 사용한 블록체인 기반 게임 ‘크립토 드래곤빌리지(가칭)’를 개발하게 된다. 매그니스 장봉석 대표는 “오리지널 캐릭터를 사용한 스마트폰 게임을 히트시키고, 게임에만 국한되지 않은 다양한 오프라인 사업으로 영향력 있는 IP를 만들어낸 하이브로의 도전적인 행보에 항상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었다. 드래곤빌리지라는 강력한 IP에 블록체인 요소가 결합됨으로써 블록체인 게임의 대중화에 한 발자국 더 앞서나갈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고 전했다.
-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
아이콘(ICON),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 실시국내 대표 프로젝트 아이콘(ICON)이 총 상금 100만 ICX(아이콘 암호화폐)의 대규모 블록체인 개발 콘테스트 ‘아이콘 TX 챌린지(ICON TX Challenge)’를 오는 6월 3일부터 실시한다고 밝혔다.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목표로 전 세계 개발자들을 지원하고자 아이콘이 시행하는 본 콘테스트는, 직접 디앱(DApp,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를 제작해 참가하는 공모전 형태로 진행된다. 개발자, 대학생은 물론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구현해 보고 싶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새로운 기술을 경험해 보고자 하는 예비 블록체인 전문가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아이콘은 6월 3일부터 7월 31일까지 약 2달 간 진행되는 이번 콘테스트 기간 동안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운영 비용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그간 트랜잭션(Transaction, TX) 비용, 서버 호스팅 비용, 기술적 장벽 등의 요인으로 블록체인 개발 시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면,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새로운 기술을 효과적으로 접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빠르게 검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콘테스트 참가를 위해서는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미리 준비해야 한다. 아이콘 프로토콜을 이용해 아이콘의 자체 스마트 컨트랙트 구현 환경인 ‘스코어(SCORE)’를 제작한 뒤 검수가 완료되면, 이를 활용한 디앱 또는 웹사이트를 개발해 참가 신청하는 방식이다. 신청 후 참가가 확정된 팀에게는 참가 상금으로 각 200 ICX가 주어지며, 콘테스트 기간 내 스코어를 통해 발생하는 트랜잭션에 대해서는 1 TX 당 0.01 ICX의 별도 리워드가 지급된다.또한 디앱 및 웹사이트의 완성도, 사업성, 기술성, 블록체인 효용성 등 심사 기준에 따라 총 6팀을 선정해 각 5만 ICX의 상금을 최종 시상한다. 디앱 및 웹사이트에 대한 심사는 콘테스트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하며 참가팀에 대한 투자 유치, 아이콘 한국 오피스 채용 가산점 혹은 인턴십 기회 제공 등의 추가 보상도 검토 예정이다.김종협 아이콘 재단이사는 “‘아이콘 TX 챌린지’를 통해 보다 많은 개발자들이 디앱 개발 환경을 경험하고, 나아가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향상되어 생태계 확장으로까지 이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히며, “이는 아이콘 메인넷(Mainnet)의 안정성 및 트랜잭션 처리 성능에 대한 공개 실증이기도 한 만큼, 많은 미래의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참가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
글로스퍼, 국토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광주광역시 대표기업으로 참여-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참여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 위해 추진..-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 구축..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가 국토교통부 주관 ‘2019년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사업’에 광주광역시가 선정됐다고 밝혔다.이번 사업은 민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타 스마트시티 사업과 달리 대기업이 참여하지 않는 광주광역시 컨소시엄은 노원 지역화폐를 개발 및 구축한 블록체인 전문기업 글로스퍼와 지역 중소기업들이 참여하며 이들 각각의 솔루션들을 융합하여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도시 광주광역시를 만들 계획이다.대표기업인 글로스퍼는 자체 개발한 블록체인 플랫폼인 하이콘 엔터프라이즈 플랫폼(HYCON Enterprise Platform)을 공급하여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리워드 플랫폼’ 구축에 참여한다.이 모델은 시민이 자발적으로 도시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양질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블록체인 기반 리워드는 적극적인 데이터 제공을 위한 동기부여로 작용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해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하고 지역내 기업의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부가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 선순환을 이루어 시민주도형 ‘데이터 민주주의’를 구현할 수 있는 모델이다.글로스퍼 김태원 대표는 “광주광역시는 강력한 시민참여를 위한 개방형 혁신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민간기업의 지속적인 수익과 재투자의 순환구조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며 “올해 실증을 하여 내년 본 사업에도 선정될 수 있도록 추진할 것이며, 향후 광주 전역 확대 및 스마트시티 수출모델에도 기여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또한 김 대표는 “일자리 없는 광주를 은퇴 없는 도시로 변화시켜, 떠나는 도시에서 머무르는 도시로 변모하는데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