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펀디엑스, 빅 탐 (Vic Tham)을 새로운 CIO로 임명
펀디엑스, 빅 탐 (Vic Tham)을 새로운 CIO로 임명 최근 새롭게 영입된 최고 투자 책임자 (CIO ; Chief Investment Officer)인 빅 탐 (Vic Tham)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펀디엑스 주요 경영진들은 이제 새로운 글로벌 본사에서 일하게 된다. 펀디엑스에 합류하기 전 빅 탐은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린치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글로벌 거래 서비스 담당 COO를 역임한 바 있다. 전 세계적으로 펀디엑스의 정규직원은 이제 150명이 넘는다. 싱가포르 본사에서는 다른 해외의 지사 (자카르타, 서울, 상파울루, 센젠, 도쿄, 런던 등)의 업무를 관리하게 될 것이다. 5,000대의 펀디 XPOS디바이스가 지난 달 브라질, 콜롬비아, 네덜란드, 영국, 대만 등에 있는 소매업 관련 고객들에게 발송되기 시작했다.또한 펀디엑스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전화와 메시지를 가능하게 하는 최초의 휴대전화인 엑스폰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한 바 있다. 이 전화기는 2019년 2분기에 소비자에게 출시될 예정이다. 선도적인 블록체인 기반 기술 솔루션 개발 업체인 펀디엑스는 오늘 싱가포르에 자사의 새로운 글로벌 본사를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자카르타에서 창립된 펀디엑스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싱가포르의 적극적인 태도와 증가하고 있는 펀디엑스 제품의 수요 덕택으로 싱가포르에서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 중이다. 싱가포르에 위치한 펀디엑스의 글로벌 본사에서는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POS 디바이스인 XPOS와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최초의 휴대전화인 엑스폰 (XPhone)을 포함하여 자사의 기술이 아시아, 유럽,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시장에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업무를 관리할 것이다.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서 펀디엑스의 CEO인 잭 체아는, “우리는 싱가포르 블록체인 시장의 역동성에 고무되어 왔습니다. 아시아 지역과의 연결성, 인재 풀 그리고 싱가포르는 남들보다 먼저 블록체인 산업의 경제적 잠재력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우리는 싱가포르에 글로벌 본사를 두기로 결정했습니다.”라고 말했다.
-
얍체인 재단, GBIC로부터 전략적 투자 유치
스마트시티 기축통화를 지향하는 얍체인 재단(YAP CHAIN / 대표 박성재)이 12일 글로벌 TOP 크립토펀드인 GBIC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GBIC은 최근 삼성전자 산하 벤처투자 조직 삼성넥스트(Samsung Next),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벤처투자 조직 GV, 록펠러 가문 투자회사 벤록(Venrock) 등과 함께 크립토키티 개발사인 대퍼랩스(Dapper Labs)에 투자한 바 있다.GBIC은 올해 9월 펀드 규모, 투자 수익률, 사후 관리 등을 중점 평가한 중국 테크전문 매체 36Kr(36氪) 에서 발표한 ‘가장 영향력 있는 10대 크립토 펀드’에 비탈릭 부테린이 활동했던 중국 최초 크립토 펀드 펜부시 캐피털(Fenbushi Capital)과 함께 선정됐다.펀드 전체 규모는 600억원으로 현재까지 아이콘(ICON, 시가총액 36위), 엘프(aelf, 시가총액 72위), 네뷸러스(Nebulas, 시가총액 77위), 세타(Theta Token, 시가총액 90위) 등 50여개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투자했다.얍체인 재단 박성재 대표는 "실물경제와 연동하여 얍스톤에 교환가치를 만들어 가고 있는 얍체인의 성과에 투자해 주신 것 같다.”며, “아울러 얍스톤이 실물과 교환될 수 있는 마켓인 얍EX(YAP EX)를 오픈 준비중에 있다. 많이 기대해 달라“라고 말했다.GBIC 이신혜 파트너는 “얍체인의 얍스톤 프로젝트는 글로벌로도 유례가 없게 브로드하게 실물 경제와 연동된 실증 케이스를 만들고 있다. 이에 전격 투자를 결정하게 됐다. 얍스톤이 글로벌 프로젝트로 자리매김 할 수 있게 이번 전략적 투자를 포함해 얍체인 어드바이서로도 합류하려 한다.”라고 밝혔다.얍체인은 얍스톤이 실물경제와 교환될 수 있는 YAP EX를 오픈중에 있으며, 국내 구축중인 유즈케이스들을 세계로 전파하기 위해 2019년 중순 유엔연맹협회(WFUNNA),위워크, 실리콘밸리 최대 엔젤투자자 그룹 케이레츠포럼 등과 함께 동남아와 뉴욕을 포함하는 8개국 글로벌 투어를 나설 계획이다.얍체인 재단은 그룹, 쇼핑몰, 거리, 도시의 운영체계가 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에 최적화된 `얍체인(YAP CHAIN)`을 통해 스마트시티의 기축통화인 얍스톤(YAP STONE)을 발행하고 있다. 특히 얍토큰(YAP TOKEN)을 통해 지방정부의 지역화폐 발행, 대학가 암호화폐 컬리지 코인 등을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반 위에서 제공하고 있다.
-
블록체인 디지털자산 거래 플랫폼 IDAX가 한국시장 진출 시작
블록체인 디지털자산 거래 플랫폼 IDAX가 한국시장 진출 시작최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인 아이닥스(IDAX)가 브랜드 업그레이드를 마치고, 한국어 버전을 출시하여 본격적으로 한국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아이닥스 거래소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엄격한 심사평가 기준으로 가상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며 동시에 홍보마케팅, 커뮤니티 운영, 이벤트기획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블록체인 디지털자산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것 이라고 밝혔다.아이닥스(IDAX) 거래소는 글로벌 블록체인 연구 센터 GBC(Global Blockchain Research Center)를 창립하여 블록체인 자산 거래에 중점을 두고 있는 금융 서비스 플랫폼이며 코인거래, OTC장외거래, 마진거래, 옵션거래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한다. 본사는 몽골 울란바토르 중심의 GBC 첨단 기술 산업 단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5만 제곱미터인 디지털 자산 채굴장-울란바토르 1호 채굴장을 보유하고 있고 3억달러의 고정자산을 보유한 대형 블록체인 디지털자산 회사이다. 글로벌 암호화폐 정보 제공 사이트 ‘코인마켓캡’ 에서 제공하는 암호화폐 거래량 순위자료에 따르면 (12월기준) 아이닥스(IDAX) 거래소의 암호화폐 거래량 순위는 글로벌 거래량 TOP 10순위 안에 위치하고 있다.아이닥스(IDAX)의 경영철학은 나이, 성별, 인종, 종교 차별 없는 세상을 구축하며 탈 중심적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 기술, 연구, 무역 등의 산업에 융합 시켜 글로벌 디지털 플랫폼 구성을 목표하고 있다. 현재까지 아이닥스 거래소는 총 120만 명 회원을 보유하고, 전세계 87개 국가 및 지역에서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일 약 3만명 의 액티브 유저들이 거래소 홈페이지에 방문하며 일일 평균 거래액은 약 2억 달러이다. 아이닥스(IDAX)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투자 성숙도와 시장 개방도도 매우 높으며 한국인의 적극적인 투자태도, 한국시장의 잠재력도 매우 크기 때문에 아이닥스의 글로벌 진출 발전 로드맵에 한국은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아이닥스(IDAX)는 한국진출 및 크리스마스데이를 맞이하여 다양한 회원가입 및 초청 이벤트 혜택을 제공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벤트 내용은 12월 31일까지 회원 가입시 가상화폐를 장려하며 본인 인증을 완료한 이용자에게 선착순으로 추가로 장려할 것이다. 뿐만아니라 친구초청 장려, 초청 순위 장려 등 다양한 보너스 혜택도 제공할 것 이다.
-
후오비 코리아, ‘엠블(MVL)’을 상장...자동차 렌트, 자동차 수리, 중고차 거래, 보험 등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
후오비 코리아, ‘엠블(MVL)’을 상장...자동차 렌트, 자동차 수리, 중고차 거래, 보험 등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후오비 코리아는 인센티브 기반 모빌리티 생태계를 추구하는 코인인 ‘엠블(MVL)’을 상장한다고 12일 밝혔다. 엠블은 파편화된 자동차 및 교통 서비스를 통합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택시, 카셰어링, 라이드 헤일링, 렌터카 등을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하나로 연결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엠블은 기존 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대한 신뢰 부족과 서비스 간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다. 모든 참여자가 자동차 데이터를 기록 및 생산하고, 데이터 독점을 막기 위해 참여자의 데이터 소유권을 보호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한다. 또한 개인 운전자, 운수 서비스 제공자, 차량 정비사 등 주요 참여자에게는 공정한 리워드가 제공된다. 이 밖에도 자동차 렌트, 자동차 수리, 중고차 거래, 보험 등 기존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엠블 코인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센티브도 얻을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를 제공할 예정이다. 후오비 코리아는 엠블 상장을 기념해 다양한 이벤트를 동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세경 후오비 코리아 커뮤니케이션실 실장은 “드라이버, 승객, 서비스가 신뢰로 연결되는 엠블 코인은 블록체인의 특징인 투명성과 인센티브 구조를 채택한 모빌리티 플랫폼”이라며 “글로벌로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는 만큼 엠블의 후오비 코리아 상장은 좋은 시너지가 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후오비 코리아는 침체된 투자 심리를 되살리기 위한 일환으로 원화(KRW) 마켓 오픈을 예정하면서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11월 26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본인 인증(레벨2)한 이용자는 인증 완료 시점에 따라 페어(USDT/BTC/ETH/HT) 및 원화 마켓의 무료 거래 수수료 혜택을 2019년 2~6월 말까지 차등 적용 받는다. 원화(KRW) 마켓의 오픈 시점은 이달 3주 차 전후를 기점으로 공지될 예정이며, 페어 마켓의 수수료 무료 이벤트는 원화 마켓 상장 전까지 진행된다.
-
비트코인 dApp(디앱) 템코, 세계 6위 수준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네로부터 투자 유치 성공
비트코인 기반 분산 서플라이체인 데이터 플랫폼 템코(TEMCO) (대표 윤재섭)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네(CoinBene)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11일 밝혔다. 템코는 비트코인 스마트컨트랙을 기반으로 한 공급망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단절된 공급망을 블록체인 기술로 연결하여 기업에게는 데이터 분석 툴을 제공하고, 소비자에게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한편, 코인베네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로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상 거래량 기준 세계 6위 수준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세계에서 손꼽히는 대형 거래소 중 하나로 전 세계 160여개 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약 175개의 암호화폐가 상장돼 거래되고 있다. 템코 윤재섭 대표는 “이번에 유치한 투자는 세계적인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네가 템코의 기술력과 사업모델에 대한 믿음을 표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 함으로써 향후 템코 마켓 플랫폼 내 결제 시스템과 블록체인 보안 분야에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코인베네 COO (Chief Operating Officer; 최고운영책임자)인 Sunny Gong은 "현재 코인베네는 글로벌 거래소로써 코인베네만의 고유한 영역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며 “템코가 향후 비트코인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 투자는 코인베네에게도 큰 도약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라며 “사일로 형태의 기존 공급망 시스템의 문제점을 혁신하는 글로벌 프로젝트 템코의 기술력과 잠재가치를 인정하고 블록체인의 빠른 상용화를 통한 사회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투자를 결정했다”고 전했다. 한편, 템코는 오는 12일에는 비트소닉에서, 17일에는 넥시빗에서 프리세일을 진행하며, 24일에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메인세일을 진행한다.
-
팅스나인의 커뮤니티코인,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마트’에 12일 상장
팅스나인은 자체 발행한 암호화폐 '커뮤니티코인(Community Coin, COT)'이 12월 12일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마트(Bitmart)’에 상장됐다고 밝혔다. 비트마트는 올해 3월에 서비스를 오픈한 뉴욕 소재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코인마켓앱 기준 세계 12위에 해당한다. 비트마트 거래소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을 포함한 약 100여 개의 암호화폐가 상장되어 있으며, 총 거래량은 9억 달러(한화 10 조 상당)가 넘는 대형거래소이다. 팅스나인(Things9)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기술개발로 국내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IT 벤처기업이다. 지난 4월에 취득한 ‘암호화폐를활용한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에 관한 특허는 국내 유수의 포스 업체와 MOU를 맺는 성과로 이어져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되고 있다. 특히, 팅스나인 자체 개발 플랫폼인 애니클렛(AnyCllet) 앱과 애니포스(AnyPOS) 앱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제휴 매장 확대에 주력하며 언제, 어디에서나 암호화폐로 결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중에 있다. 일반 사용자가 애니클렛 앱을 이용하면 오프라인 매장에서 암호화페로 결제할 수 있으며, 반대로 오프라인 매장에선 애니포스 앱을 이용해 별도의 포스 기계 없이 애니클렛 사용자들의 암호화폐를 결제 받을 수 있다. 이처럼 팅스나인이 자체 결제 플랫폼을 개발하며 서비스 고도화에 집중하는 것은 암호화폐가 투자만을 위한 단순 매매의 용도가 아니라, 우리 일상 속에서 ‘진짜 화폐’로서의 가치 또한 지니고 있음을 알리기 위해서다. 팅스나인의 임종범 대표는 “암호화폐가 다른 문화, 산업과 융합하면 더욱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며 “이를 기로 암호화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개선되고 건전해 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애니클렛에는 농업, 뷰티, 의료 산업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들이 있으며 팜체인(FarmChain), 비렉스(BeeRex), 메디플러스(MediPlus)가 대표적인 예이다. 팅스나인의 관계자는 “현재 애니클렛에서 지원하는 암호화폐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암호화폐를 추가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에서 더욱 다양한 코인이 결제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애니클렛에 등록된 암호화폐들이 팅스나인에서 자체 발행한 커뮤니티 코인(Community Coin, COT)과의 결합을 통해 더 넓은 분야로 암호화폐 사용이 확장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원투씨엠, 해피랜드 모바일 CRM 서비스 ‘스마트앱어워드 2018’ 최우수상 수상
원투씨엠, 해피랜드 모바일 CRM 서비스 ‘스마트앱어워드 2018’ 최우수상 수상-‘스마트앱어워드 코리아’ 는 가장 혁신적이고 우수한 앱을 선정해 시상..-비주얼 디자인, 콘텐츠, UI디자인 우수성 부문에서 높은 평가 받아 선정..해피랜드 모바일 CRM 서비스 ‘해피쿵’ 개발사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은 지난 6일 (사)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주최하는 ‘스마트앱어워드 코리아’ 시상식에서 멤버십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사)한국인터넷전문가협회가 주최하고 아이어워드위원회가 주관하는 ‘스마트앱어워드 코리아’는 인터넷전문가 3,000명으로 구성된 아이어워드 평가위원단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온라인 평가심사 결과에 따라 ▲비주얼디자인 ▲UI디자인 ▲기술 ▲콘텐츠 ▲마케팅 ▲서비스 측면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우수한 앱들을 선정해 시상하는 시상식이다.해피랜드 모바일 CRM 서비스 ‘해피쿵’은 오프라인 전용 모바일(스마트폰) 멤버십 어플리케이션(APP) 서비스로 원투씨엠의 에코스 스탬프(echoss Stamp) 인증 기술을 이용하여 구매 금액 별 적립을 통해 모바일 쿠폰과 교환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매장 방문 고객 관리나 로열티 마케팅을 위해 모바일 앱을 통한 프로모션과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중이다.해피쿵 서비스는 비주얼 디자인, 콘텐츠, UI디자인 우수성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최우수상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콘텐츠 접근성이 용이하며, 멤버십 서비스 이용이 간편하고 전체적인 서비스와 화면 UI가 잘 구성되어 있다는 평가이다.원투씨엠 관계자는 “앞으로 더 다양한 컨텐츠 제공과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
-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전문 서비스 플랫폼 ‘더 조이’,, "뷰티 업계가 정보 비대칭으로 비즈니스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했던 문제를 해결"
글로벌 웰니스 연구소(Global Wellness Institute)에 따르면, 전세계 뷰티 시장은 세계 경제의 약 5.3%에 해당하는 4.2조 달러의 규모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이지만, 뷰티 업계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의 접점은 매우 제한적이다.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서비스 중개 플랫폼인 ‘더 조이(The Joy)’가 2백만 달러 규모의 초기 자금 조달을 마치고, 본격적인 플랫폼 론칭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더 조이가 뷰티 업계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의 접점을 극대화 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예를 들면 고객은 원하는 시간대에 자신이 찾던 전문가의 예약이 이미 잡힌 경우, 적절한 대체 서비스나 예약 가능 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웠다.경우 따라서 서비스를 찾아가는 데 시간이 상당히 소모된다. 반면 업계 종사자들은 효율적인 예약 관리가 어렵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한 마케팅 지식도 부족해 고객 유치를 위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운영해도 방문자수는 적은 실정이다.'더 조이'는 서비스 중개뿐 아니라 전문가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만들어 뷰티 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적 예약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존 플랫폼과 달리 유사 서비스 추천, 전문가별 작품과 후기 열람 등 비교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비자는 집, 직장, 휴가지 등 원하는 공간에서 언제든지 필요한 뷰티 서비스를 주문 예약할 수 있고, 전문가들은 고객 관리가 용이해진다.더 조이의 창업자이자 CEO인 블라디슬라브 키슬레프(Vladislav Kiselev)는 “더 조이 플랫폼은 뷰티 업계가 정보 비대칭으로 비즈니스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했던 문제를 해결해준다”며, “고객의 요구 사항을 보다 쉽게 구체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게 해주는 한편, 미용 업계 전문가들이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비즈니스 채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
글로스퍼 재팬, ‘블록 스타 탑 100’ 수상.. ”해외 블록체인 시장 선도할 것”
대한민국 1세대 블록체인 기업 글로스퍼(대표 김태원)의 일본 현지법인 글로스퍼 재팬이 11월 25일 힐튼 도쿄 오다이바에서 개최된 ‘키와미 프로젝트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프로젝트 부문 최우수 프로젝트(Excellence Project of 2018)로 선정돼 블록 스타 탑 100(Block Star Top 100)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키와미 프로젝트 컨퍼런스’는 SB 휴먼 캐피털 주식회사, MICE 콩세르/BizMICE, 주식회사 페코라(Pecora) 3사가 블록체인 기술개발 및 판로 확대를 위해 정기적으로 개최하는 일본 최대 블록체인 행사 중 하나이다. 이 컨퍼런스는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사람’과의 관계를 목표로 블록체인 산업 채용에 특화된 채용박람회와 프로모션 등을 통해 산업 육성에 매진하고 있다. ‘보안 토큰 (STO; Security Token Offering)과 블록체인’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행사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엔지니어 출신의 나카무라 마사토, PLMP Fintech의 피터 림(Peter Lim), 7tk 클럽의 노데 모토히로 등 업계 전문가들이 총출동해 STO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과 해석을 이어 갔으며 다양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자리를 가졌다. 이날 블록 스타 탑 100을 수상한 글로스퍼 재팬의 히데시 쿠보타 글로스퍼 재팬 대표는 글로스퍼와 서울시 노원구가 세계 최초로 구축한 블록체인 기반의 지역화폐 노원을 사례로 들며 지역화폐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했다. 히데시 쿠보타 글로스퍼 재팬 대표는 “이번 비트코인 캐시 해시 전쟁이 시장에 불러온 혼란을 보더라도 ‘분산장부=탈중앙화’란 개념이 법정 화폐와 채굴 보상에 연관되어 버린 것을 알 수 있다”며 “우리는 분산장부 본연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지 않으면 안 되는 시기에 직면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한국의 노원 지역화폐의 경우,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100% 사전 채굴을 통해 공공기관의 통제를 받는다”며 “지역화폐가 발행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입력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자체 검증센터의 상호 검증을 통해 투명한 거래 장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위/변조가 불가하며 체계적인 전산화가 가능하다”고 밝히며 “현재 암호화폐가 국면한 단점의 해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 1세대 블록체인 전문 기업 글로스퍼는 노원 지역화폐 외에도 영등포구 제안평가 시스템과 같은 지자체 프로젝트에 블록체인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바 있으며, ICT 기반의 정신건강 프로그램 ‘마음톡톡’ 프로젝트, 해양수산부 항만관리 시스템, 한국저작권협회 음원 서비스 유통 플랫폼 등 공공기관과 국가 정부 사업을 수주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한편, 글로스퍼는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블록체인 실증 사례를 선보이기 위해 지난 5월 일본의 미디어드벤트와 MOU를 체결하고 글로스퍼 재팬을 설립, 일본 시장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찾아 적극적으로 자사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
코인원트랜스퍼,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 출시... "시중은행 대비 수수료 80%이상 저렴, 송금시간은 5분이내"
코인원 자회사 코인원트랜스퍼(대표 신원희)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글로벌 해외송금 서비스 ‘크로스’ 소개 기자간담회를 11일 여의도 IFC 더 포럼에서 개최했다.코인원트랜스퍼는 블록체인 기반의 실생활 금융서비스 전략을 전하며 블록체인 기반 해외송금 서비스를 본격화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코인원의 블록체인 해외송금 서비스의 핵심은 시중은행 대비 수수료는 최소 80%이상 저렴하고, 기존에 수일이 걸렸던 송금시간을 5분으로 단축한다는 것이다.앞서 코인원은 올해 정부로부터 소액해외송금업 라이센스를 취득한 바 있다. 코인원트랜스퍼는 해외 송금 서비스를 위해 일본 SBI홀딩스, 리플의 합작사인 SBI 리플 아시아와 파트너십을 맺고 리플의 '엑스커런트 솔루션'을 도입했다. 엑스커런트는 전 세계적으로 120여 개의 금융기관이 참여, 기존 해외송금에 활용되던 'SWIFT(국제결제시스템망)'를 대체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차세대 해외송금 솔루션이라는 게 코인원 측 설명이다. 코인원 차명훈 대표는 “코인원트랜스퍼의 해외송금 플랫폼 ‘크로스’는 코인원의 블록체인을 세상에 스며들게 하겠다는 목표 중 하나로 시작됐다. 어렵고 복잡한 블록체인 기술을 실 생활에서 직접 느낄 수 있는 서비스가 될 것이다. 블록체인이 상상속의 혁신이 아닌 생활속의 혁신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밝혔다.
-
테라, 한화갤러리아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협력...한화갤러리아 온라인 쇼핑몰에 테라 결제 시스템 연동
테라, 한화갤러리아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협력- 한화갤러리아 온라인 쇼핑몰에 테라 결제 시스템 연동- 기존 결제 시스템보다 낮은 수수료 및 할인 혜택 제공차세대 결제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테라(대표 신현성, https://terra.money)가 프리미엄 유통기업 한화갤러리아(대표 김은수)와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 적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사는 기존 결제 수단에 비교해 낮은 수수료와 고객에 혜택을 돌려주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환경 구축에 나선다. 테라는 파트너십을 통해 한화갤러리아 온라인 쇼핑몰에 테라 결제 시스템을 연동한다. 한화갤러리아는 테라 결제 시스템을 기반으로 온라인 고객에게 기존 2~3%에 달하던 카드사 수수료보다 낮은 요율을 적용하고 특별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양사는 블록체인 관련 업무 협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한화갤러리아 관계자는 “한화갤러리아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하는 전세계 고객에게 더 나은 쇼핑 혜택과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자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테라와 손을 잡았다”며 “카드사 및 결제대행업체의 중간 마진을 없애 고객에게 혜택을 돌려줌으로써 보다 좋은 쇼핑 경험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현성 테라 공동 창립자 겸 대표는 “전세계 폭 넓은 고객을 보유한 한화갤러리아와 파트너십으로 더 많은 소비자가 테라의 혁신적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스템의 혜택을 누리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높은 할인 혜택과 안전한 결제 환경을 위해 파트너사와 협력을 확대하고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스토리체인,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 서울 2018’ 참가
스토리체인,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 서울 2018’ 참가스코웍 이준수 대표 초청 연사로 참가 ‘스토리산업은 왜 블록체인이 필요한가?’ 주제 발표2018년 12월 12일 (뉴스와이어) -- 12일부터 이틀 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세계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모여 블록체인과 관련된 다양한 아젠다를 나누는 ‘월드블록체인서밋마블스 서울 2018’이 열린다. 이번 행사는 정부기관, 국회의원, IT기업인, 투자자 및 각계 오피니언 리더들이 블록체인 산업 육성을 위해 대거 모인다는데 의의가 있다. 인사말은 박봉규 ‘코리아씨이오서밋’ 이사장, 축사는 김두관 국회의원, 기조연설은 알렉시스 시르키아 ‘리플마켓메이킹’ 공동창시자가 맡을 예정이다. 스토리체인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스코웍의 이준수 대표는 12일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을 슬로건으로 내건 세션 7에서 ‘스토리산업은 왜 블록체인이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스토리체인은 스토리 산업의 주인공인 창작자들의 불공정한 수익분배 문제를 블록체인의 특성을 통해 해결하고, 스토리 콘텐츠 사업자들이 더욱 가치 있게 스토리를 자산으로 사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토콜을 제공하려는 목적의 스코웍의 글로벌 프로젝트이다.스토리체인은 이번 행사에서 세계블록체인 전문가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블록체인 산업의 현재를 가늠해보고, 글로벌 프로젝트로 한 발 더 나아가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스타트업 빅뱅,창업 서바이벌 프로그램...진짜가 나타났다! 최종 미션 발표에 한류 아이돌 빅뱅 승리 전격 출연!
스타트업 빅뱅,창업 서바이벌 프로그램...진짜가 나타났다! 최종 미션 발표에 한류 아이돌 빅뱅 승리 전격 출연!다양한 분야에서 승승장구하는 한류 아이돌 그룹 빅뱅의 승리가 '스타트업 빅뱅'의 왕중왕전 미션 발표에 깜짝 출연했다.총 108개국, 5,770팀 중 치열한 경쟁을 통해 살아남은 상위 10개 팀은 최종 ‘왕중왕전’이 시작 전 피칭 순서를 정하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추첨 공 뽑기에 앞서 미션을 소개하기 위해 도전자들에게 깜짝 영상이 오픈되었는데 의 멤버 승리가 영상에 특별 출연한 것이다.승리는 한류 아이돌 빅뱅의 멤버이자 일본식 라멘집 창업으로 연 매출 1천억원, 3년 만에 9개국 52호점을 오픈 등의 성과를 이루어낸 성공한 요식업계의 CEO다.왕중왕전 최종미션을 전달하기 위해 영상에 승리가 깜짝 출연에 TOP10의 도전자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승리는 영상에서 5,770팀 중 10개팀만이 살아남은 왕중왕전에 진출한 것을 축하하며 최종 미션을 도전자들에게 설명했다. 공개된 미션은 바로 '왕좌의 피칭 : 자신의 아이템을 단 한 문장으로 설명하라'이다. 미션을 들은 도전자들은 최종 라운드의 미션 난이도에 경악하는 모습을 보였다. 도전자들이 어떻게 자신들의 사업 아이템을 풀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JTBC 창업 서바이벌 프로그램 ‘창업 신들의 배틀, 스타트업 빅뱅’은 창업판 ‘쇼미더머니’로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4개 부처가 공동 개최하며 108개국, 총 5770팀이 총 상금 18억원을 두고 경합을 펼치는 국내 최대의 창업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세상을 발칵 뒤집어 놓을 아이디어 전쟁 은 JTBC에서 12월 12일 수요일 오후 6시 30분에 방송된다.
-
스포츠 예측 게임 RANKINGBALL의 iOS 버전 출시
스포츠 예측 게임 RANKINGBALL의 iOS 버전 출시랭킹볼(RankingBall Inc)의 Darren Kim CEO는 “이번 iOS 출시로 전세계 누구나 모든 디바이스에서 랭킹볼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랭킹볼은 앞으로도 전세계 다양한 스포츠는 물론 e스포츠도 지속 추가할 예정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플레이 할 수 있는 랭킹볼은 세계 스포츠 예측 게임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스포츠의 실시간 게임 솔루션 개발업체 랭킹볼(RankingBall Inc)이 해외에서 서비스 중인 블록체인 기반의 ‘스포츠 예측 게임’ 랭킹볼(RANKINGBALL)의 iOS 버전을 출시 했다고 밝혔다. 랭킹볼(RANKINGBALL)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플랫폼을 스포츠에 접목하여 유저들이 스포츠와 e스포츠 경기를 라이브로 보면서 경기 예측 뿐만 아니라, 랭킹볼이 제공하는 실시간 경기 데이터와 중계를 보는 동시에 한 화면에서 빙고게임을 즐기는 신개념 스포츠 예측 게임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RBG와 가상의 게임머니로 친구들과 함께 게임을 즐기면서 자신이 선택한 선수들의 활약에 따라 실시간으로 포인트를 얻고, 빙고를 만들어가는 재미요소를 가지고 있다. 지난 3월 30일 북미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랭킹볼(RANKINGBALL)은 글로벌시장을 타겟으로 MLB 야구를 시작으로 NFL 풋볼, NBA 농구, 월드컵 축구를 서비스 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e스포츠인 LOL(League of Legends) 리그를 서비스 하고 있다. 이번 iOS 출시를 통해 PC웹 뿐만 아니라 태블릿, 모바일웹, 안드로이드OS와 애플iOS앱 등 모든 디바이스에서 ‘랭킹볼(RANKINGBALL)’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RankingBall Inc는 2017년 미국으로 본사를 이전했으며, 공식 서비스 런칭과 서비스 확장, 그리고 강력한 마케팅을 통한 글로벌 시장의 선점을 위해 ICO를 성황리에 완료 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RankingBall Token(RBG)은 내년 1분기에 상장 예정이며, 자세한 사항은 RBG 홈페이지(www.rankingball.io)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전문 서비스 플랫폼 ‘더 조이’ 플랫폼 론칭 착수... "조이 코인은 한정 수량으로 발행되어 플랫폼의 서비스 지역이 확대될수록 희소가치가 발생"
블록체인 기반 글로벌 뷰티 서비스 중개 플랫폼인 ‘더 조이(The Joy)’가 2백만 달러 규모의 초기 자금 조달을 마치고, 본격적인 플랫폼 론칭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더 조이 플랫폼은 소비자가 미용실 예약과 프리랜서 미용 전문가 섭외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중개한다. 사용자를 위한 로열티 제도, 추천인 보상과 같은 부가 서비스를 조이(JOY) 코인으로 제공한다. 조이 코인은 한정 수량으로 발행되어 플랫폼의 서비스 지역이 확대될수록 희소가치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더 조이]는 내년 1분기 독일 베를린에서 미용실 예약 서비스를 시작으로 점차 독일 내 다른 도시로 서비스 지역 확대하고 서유럽을 첫 시작으로 내년 하반기에 미국, 일본 및 한국에도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또한, 미용실 예약에서 시작해 헤어, 메이컵, 네일 케어, 맛사지, 물리치료, 타투, 제모 등 다양한 주문형 방문 서비스를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글로벌 웰니스 연구소(Global Wellness Institute)에 따르면, 전세계 뷰티 시장은 세계 경제의 약 5.3%에 해당하는 4.2조 달러의 규모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이지만, 뷰티 업계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의 접점은 매우 제한적이다.예를 들면 고객은 원하는 시간대에 자신이 찾던 전문가의 예약이 이미 잡힌 경우, 적절한 대체 서비스나 예약 가능 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경우 따라서 서비스를 찾아가는 데 시간이 상당히 소모된다. 반면 업계 종사자들은 효율적인 예약 관리가 어렵고 비즈니스를 성장시키기 위한 마케팅 지식도 부족해 고객 유치를 위해 상당한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웹사이트를 운영해도 방문자수는 적은 실정이다.[더 조이]는 서비스 중개뿐 아니라 전문가와 소비자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만들어 뷰티 시장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예정이다. 단순히 기술적 예약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존 플랫폼과 달리 [더 조이]는 유사 서비스 추천, 전문가별 작품과 후기 열람 등 비교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비자는 집, 직장, 휴가지 등 원하는 공간에서 언제든지 필요한 뷰티 서비스를 주문 예약할 수 있고, 전문가들은 고객 관리가 용이해진다.[더 조이]의 창업자이자 CEO인 블라디슬라브 키슬레프(Vladislav Kiselev)는 “더 조이 플랫폼은 뷰티 업계가 정보 비대칭으로 비즈니스 잠재력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했던 문제를 해결해준다”며, “고객의 요구 사항을 보다 쉽게 구체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게 해주는 한편, 미용 업계 전문가들이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비즈니스 채널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더 조이는 블라디슬라브 키슬레프(Vladislav Kiselev) CEO와 보그단 네코다(Bogdan Nekhoda) CFO, 에밀 카비조프(Emil Khavizov) COO가 공동 창립했다. 더 조이는 웰니스와 뷰티 공급 체인인 미용실, 업계 종사자, 소비자 등을 효과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블록체인 에코 시스템이자 서비스 중개 플랫폼이다. CEO는 방 탈출 게임을 여러 독일의 도시에서 운영하고 가상 현실(VR) 게임, 외국계 회사들의 성공적인 러시아 진출까지 풍부한 사업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
블록체인 자선 기금 BCF,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자금조달 내역, 집행내역 모두 실시간으로 온라인상에 공개
바이낸스는 11일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 소속의 블록체인 자선 기금BCF(Blockchain Charity Foundation)을 통해 공익목적 모금에 나선다고 밝혔다.BCF가 자금을 조달중인 프로젝트는 우간다 난민 구호와 몰타 환우 지원 2건이다.우간다 난민 구호 프로젝트는 지난 10월 중순 우간다 부두다Bududa 지역의 집중호우로 발생한 난민에게 식료품, 의복 등 생필품을 지원하는 계획이다. 현재 우간다 정부가 협력하고 있으며, 약 7000명의 난민들이 혜택을 받을 전망이다.몰타 환우 지원 프로젝트는 유럽 몰타(Malta)에 위치한 몰타커뮤니티심장 재단(The Malta Community Chest Foundation)을 지원하는 계획이다. 해당 재단은 몰타와 고조(Gozo)섬에 있는 중환자들에 대한 의료지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1만 5000명의 환자가 기부금의 수혜자가 됐다.BCF설립전에도 바이낸스는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익목적 구호에 나선바 있다. 지난 7월에는 일본 히로시마와 오카야마, 에히메 현에서 발생한 지진 이재민을 돕기 위해 바이낸스는 암호화폐로 모금된 141만 달러(한화 약 15억 5000만원) 규모의 자금을 현지 자선재단에 전달하기도 했다. 당시 일본의 유명 전자제품 판매점 비쿠카메라Biccamera 등과 손을잡고 이재민에게 라디오, 전자레인지 등 생활에 꼭 필요한 가전제품을 무상으로 후원했다.
-
업비트, 11일 왁스(WAX) 원화마켓 상장
업비트, 11일 왁스(WAX) 원화마켓 상장업비트는 11일 왁스(WAX) 원화마켓 상장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공지사항이다.안녕하세요. 업비트 입니다.2018-12-11 16:00 왁스(WAX)가 업비트 원화마켓에 상장합니다.회원님들께 안전한 거래 환경과 정확한 시장 정보 제공을 위하여 원화마켓 상장 후 초기 5분간 아래와 같은 조건의 주문이 제한되오니 이용에 참고 부탁드립니다.1) 원화마켓 신규 암호화폐 상장 시, 초기 5분간 매수 주문이 제한됩니다.2) 업비트 BTC 마켓 2018-12-10 종가 (0.00001663 BTC, 한화 약 64.77원) 기준 -10% 이하의 가격으로는 매도 주문이 제한됩니다.WAX 업비트 원화마켓 상장을 맞이하여, 12월 12일 자정(12/12 00:00:00 스냅샷 시점) 업비트에서 WAX를 가장 많이 보유한 5분께 WAX를 지급해 드립니다.
-
AI 챗봇 기반 P2P 자산 거래소 마하(MACH), 론칭... 게임 아이템부터 디지털 자산, 현물까지 거래 가능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인공지능(AI) 트레이딩 로봇을 통해 거래 조건과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거래 당사자들에게 가장 합리적인 거래를 제안하고 성사시켜 줄 세계 최초 인공지능 챗봇 기반 P2P 거래소 마하(MACH, https://mymach.io) 프로젝트가 본격 론칭 해, 누구나 자신의 자산을 암호화폐로 거래할 수 있는 시대가 개막된다. 2019년 1월 게임 아이템 거래를 시작으로 클로즈 베타 오픈을 할 마하 자산 거래소는 지난 9월에 마하 토큰 및 월렛 개발을 완료했다. 마하는 1월 클로즈 베타 오픈 시 약 3,000명의 전 세계 게이머를 선 모집하여 수수료 없이 자산 거래에 참여하게 하며, 2019년 2분기에 최종적으로 시장에서 정식으로 오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마하 거래소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의 마하 토큰을 발행하며 이 코인을 구입해야만 안전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마하 토큰은 거래소에서 정한 환율에 따라 타 암호화폐와 교환이 가능하다(비트코인, 이더리움 가능, 추후 확대 예정). 또한, 마하 거래소를 통해 자산을 거래하면 별도의 거래 수수료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 외에 소정의 수수료를 내고 현금을 이용한 거래나 문화상품권, 해피머니 등 여러 수단으로 안전거래도 가능하다.마하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는 최세준 대표는 “기존 암호화폐 거래소가 단순 암호화폐 매입 및매도의 개념이었다면, 마하 거래소는 현실 세계의 상점처럼 자신이 판매할 자산을 에스크로 역할을 하는 가상의 거래 공간(VTR: Virtual Trading Room)에서 거래 당사자 간 안전거래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시장(Market)의 개념에 더 가깝다”고 설명했다.마하 거래소에서는 디지털 자산과 현물 자산의 거래를 모두 다룬다. 이에, 거래 당사자들은 게임 아이템과 모바일 데이터, 디지털 쿠폰, 모바일 상품권 등 디지털 자산과 함께 중고물품 등 현물 자산을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을 누릴 수 있다. 세계 P2P 자산 거래시장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거래소를 이용해 자신의 자산을 거래할 수 있도록 본 거래소에 접속하는 IP를 추적하여 4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자동으로 통역하여 거래 상대자에게 제공한다.또한, 최세준 대표는 “마하 거래소의 목적은 자산 거래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용자들이 마하 거래소를 통해 거대한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면서, “앞으로 마하 거래소는 거래자 외에 모든 사람들이 마하 거래소에 모여 각종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게 동기부여를 하고 거래 외에도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흥미로운 부가 요소들을 넣을 계획이다”고 밝혔다.한편, 마하(MACH)라는 이름은 ‘Market+Asset&AI chatbot+Crypto&Community+High performance’의 약자로, 거래소의 핵심 컨셉인 ‘사용자들이 암호화폐로 자산을 거래하는 AI 챗봇 기반의 P2P 거래소’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