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엑스블록시스템즈, 다차원구조의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공개.. “상용화 박차”..코인레일 해킹사건과 관련 코인레일 해킹 보상 선제적 지원...애스톤프로젝트팀
엑스블록시스템즈, 다차원구조의 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공개.. “상용화 박차”..코인레일 해킹사건과 관련 코인레일 해킹 보상 선제적 지원...애스톤프로젝트팀-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 테스트넷 공개..-코인레일 해킹사건과 관련 코인레일 해킹 보상 지원 발표...애스톤프로젝트팀은 이번 테스트넷 발표와 함께 지난 6월 코인레일 해킹사건과 관련해 코인레일 해킹피해자 피해 보상을 위해 코인레일측과 협의를 통해 피해를 적극 지원해주는 방안을 발표하기도 했다. 암호화폐거래소 코인레일은 지난 6월 400억원 가량의 해킹피해가 발생했고, 고객들의 자산은 복구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애스톤 프로젝트 팀과 코인레일은 이를 보상하는데 적극 협력하기로 함으로써 고객들의 피해가 일부 해소될 것으로 보고 있다.애스톤프로젝트 기술회사인 엑스블록시스템즈(대표 김승기)는 지난 30일 자체 기술력을 통해 개발중인 엑스블록체인(X.Blockchain)의 소스코드(Source Code)를 업데이트하고 테스트넷을 공개했다고 밝혔다.엑스블록체인 테스트넷 개발을 총괄한 권용석 CTO는 “엑스블록체인은 블록체인을 통해 제 3자의 신뢰 기관 없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자문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다차원 구조의 블록체인으로, 프라이빗블록체인과 퍼블릭블록체인을 필요에 따라 구현할 수 있다”며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를 최소화 함으로써 효율적인 네트워크 관리가 가능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밝히며 “앞으로 충분한 테스트 과정과 화이트해커 등의 도움을 받아 시스템의 완전성을 위한 검증절차를 통해 메인넷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전했다.엑스블록체인(X.blockchain) 기반의 탈중앙화 된 전자문서 플랫폼으로 엑스블록체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첫째, 각각의 서비스 전용의 독립적인 블록체인을 생성하고 운영이 가능하다. 이는 서비스별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블록의 동기화와 유지를 최소화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만의 데이터로 구성된 완전한 블록체인 구성이 가능하다.둘째, 각각의 블록체인기반 서비스는 블록체인상의 독자적인 노드 운영이 가능하다. 즉, 프라이빗네트워크(Private Network: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독자적인 노드들로 구성)와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 오픈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누구나 노드참여가 가능하게 구성)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셋째, 블록체인 서비스 용도에 맞게 필요한 서브체인(Subchain) 생성이 가능하다. 이로 통해 전자문서와 데이터에 대한 보다 효율적으로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애스톤프로젝트의 메인 블록체인플랫폼이 될 엑스블록체인은 엑스블록시스템즈가 보유한 다차원구조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한 것으로, 지난 11월 30일 깃허브(GitHub)를 통해 공개함으로써 누구나 확인이 가능하다.
-
REMIIT(레밋), 싱가포르 해외송금업체 ‘밀레닝’과 제휴 체결
REMIIT(레밋)(대표 안찬수)는 최근 싱가포르에 위치한 해외송금업체 Millenning(밀레닝)과 사업제휴(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Millenning(밀레닝)은 “We redefine remittance(우리는 송금을 재정의합니다)” 라는 슬로건과 함께 싱가포르의 해외송금 시장에서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업체 중 하나이다. 싱가포르 시내 중심가에 위치한 Money Transfer Operator(송금전문업체, MTO)로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 및 중국으로의 송금을 전문으로 해왔다. 은행보다 저렴한 수수료 물론 빠른 송금 속도로 호평을 받아왔으며 점포를 방문하지 않고도 외화 송금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시스템을 개발 중에 있다. REMIIT(레밋)은 밀레닝이 보유한 해외송금 시장에 대한 노하우와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다양한 외국인들을 고객으로 가지고 있는 강점을 높게 평가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REMIIT(레밋)은 해외송금 플랫폼과 Millenning(밀레닝)은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으로 Millenning(밀레닝)은 추 후 REMIIT(레밋) 해외송금 플랫폼이 런칭이 되면 싱가포르 해외송금업체 플레이어로 참여하여 REMIIT(레밋) 송금 플랫폼 내 싱가포르의 해외송금 인바운드 아웃바운드를 처리하게 된다. REMIIT(레밋) 관계자는 “이번 협약이 REMIIT(레밋)이 글로벌 해외송금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첫 신호탄”이라며 “플랫폼 런칭 전까지 6개국, 해외송금업체 20곳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REMIIT(레밋)은 지난 28일 이데일리 블록체인 포럼에 스폰서로 참석하여 대중들에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해외송금과 REMIIT(레밋) 해외송금 플랫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자리를 가지기도 했다.
-
템코가 이끄는 GSLA, 주택 산업 디지털화 및 혁신 이끄는 '홈 플랫폼' 추가 영입 성공
비트코인(RSK) 기반의 서플라이 체인 데이터 플랫폼인 템코(TEMCO) (대표 윤재섭)가 주택 산업 디지털화와 혁신을 이끄는 싱가포르 기반의 기업인 ‘Home Platform (홈 플랫폼)’을 회원사로 추가 영입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이번에 새로 영입하게 된 홈 플랫폼은 공급망을 수평화하고 가정용 장식 산업에서 변화를 일으키고자 만들어진 분산형 솔루션이다.현존하는 산업들을 블록체인 기술로 한 데 모아서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GSLA에 홈 플랫폼이 합류하면서 템코의 비트코인 스마트컨트랙 기반의 서플라이 체인 데이터 플랫폼 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하게 됐다.특히, 템코의 블록체인 기술이 홈 데코 산업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파트너십으로 보여 기대가 크다는 업계 후문이다. 템코 공동설립자인 임홍섭 COO (Chief Operating Officer; 최고운영책임자)는 “금번 파트너십을 통해 GSLA에 추가 회원사가 생겨 기쁘다”며 “특히, 추후 템코의 서플라이체인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홈 플랫폼의 원목 온·습도 관리, 가구 제작, 구매, 유통 단계를 모두 투명하게 관리하고 공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홈 플랫폼은 ‘Homeprise (홈 프라이즈)’를 기반으로 발전한 기업이다. VR (Virtual Reality; 가상현실)로 실내 인테리어를 보여주며 모든 거래 내용을 디지털화하여 소비자가 VR에서 보이는 그대로 구매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투명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은 생태계에서 거래를 할 수 있다. 홈 플랫폼의 기반이 되는 홈 프라이즈는 태국에서 가정용 장식 및 가구 산업을 디지털화하고 혁신한 첫번째 기업으로 수 천명의 액티브 유저를 이미 보유하고 있다. 홈 프라이즈의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와 유저 베이스 등을 홈 플랫폼에서 활용하면서 블록체인을 가정용 실내장식업계에 성공적으로 접목시킨 홈 플랫폼은 홈 데코 분야에서 4차산업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이러한 홈 플랫폼이 가입하게 된 GSLA (Global Supply Chain & Logistics Alliance)는 글로벌 서플라이체인 업체들의 비영리 연합으로 물류 인더스트리의 문제를 해결하고 다 함께 혁신을 이어가자는 의미에서 템코가 설립했다. 현재 설립사인 템코와 이번에 합류하게 된 홈 플랫폼에 더불어 로지스틱스X(LogisticsX), 비트나우틱(BitNautic), 드롭체인(DropChain) 등 5개 사가 GSLA 회원사로 참여중이다.
-
HEX, 블록체인산업컨퍼런스 및 두바이 퓨쳐테크 디스트리뷰트 4.0 전시회 성공적 마무리..
HEX, 블록체인산업컨퍼런스 및 두바이 퓨쳐테크 디스트리뷰트 4.0 전시회 성공적 마무리..HEX Innovation에 따르면, 이번 BIIC 2018을 통해 HEX가 만들어 갈 헬스케어의 변화된 생태계와 HEX의 활용사례(Use case)에 적용될 기술에 대하여 많은 문의가 있었으며, 특히 다양한 의료정보를 어떤 형태로 운영할지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고 전했다. 이에 HEX에 적용되는 플랫폼에 대해 전략적 파트너사인 ㈜티플러스의 솔루션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다고 밝혔다.또한, HEX Innovation은 두바이 퓨쳐테크 디스트리퓨트 4.0 참가를 통해 지불관련 업체와의 MOU 를 체결하였으며, 두바이 현지의 금융 전문 블록체인 기관과 파트너십을 약속하는 등 성과를 내었고, 여러 기관 투자자들로부터 미팅을 요청 받고 협의 중에 있다.한편, HEX Innovation은 개인의 건강·의료 정보를 담는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인 HEX 를 구축하고 있다. 개인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병원 진료 등을 통해 생성된 정보를 HEX 플랫폼에 제공해 암호화폐를 받고, 정부, 병원, 제약회사 등은 암호 화폐를 지불해 정보를 사용한다. 특히, 특정한 대상군을 상대로 건강 정보를 조사하려는 제약회사의 수요가 많을 것이라는 게 HEX Innovation의 시각이다. 헥스 이노베이션은 HEX 플랫폼을 2019년 2분기에 알파버전을 선보이고, 4분기에 베타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헬스케어 블록체인 업체인 헥스 이노베이션(HEX Innovation)이 하반기 블록체인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HEX Innovation은 11월 21일 테크월드 주최로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블록체인 산업혁신 컨퍼런스(이하BIIC2018)’에서 HEX 의 프로젝트 매니저인 박성대 PM의 ‘블록체인을 통한 의료산업 혁신’이란 주제로 강연했다.또한, GBF(Global Blockchain Foundation)에서 주최하는 월드 블록체인 서밋(World Blockchain Summit) 2018 행사 중의 하나인 Dubai Futuretech Distributed 4.0(11월 21~22일, 두바이)에 참가해 세계 각국의 블록체인 관련 참가자와 함께 블록체인이 가져올 미래 산업에 대한 비전을 논의하고 뜻 깊은 성과를 이루었다.BIIC에서 박성대 PM은 “지금까지 의료 정보는 환자 개인의 의지와는 별개로 운영되어 왔다”며 “HEX의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개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가치 있는 헬스케어 데이터를 축적하여 의료연구, 산업 발전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
-
블록체인 온라인 광고 플랫폼 ACA Network, 대만 암호화폐 거래소 타이딜에 상장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온라인 광고 플랫폼 ACA Network가 TideiSun 그룹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타이딜에 상장을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ACA Network는 2010년 서비스를 시작해 일본 시장에서 온라인 만화 사업으로 자리 잡은 미디어 회사 로켓스탭 주식회사 산하의 온라인 광고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정하고 투명한 광고 거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ACA Network 팀은 현재 온라인 광고 시장은 부정 광고에 의한 광고 비용 손실이 크고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지는 점에 착안, ACA Network와 ACA 토큰을 이용해 이러한 불공정한 구조를 개선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CA 토큰은 ACA Network 플랫폼에서 수수료 할인권으로 사용되며 이용자들은 이를 보유하거나 ACA 토큰을 필요로 하는 광고주에게 대여해 수익을 낼 수 있다. 또한 ACA Network는 ACA Network 서비스 시작 후 매 분기 수익의 20%를 사용하여 ACA 토큰을 구입해 소각할 계획이다.타이딜(TiDeal)은 다국적 미디어 기술 투자 그룹인 TideiSun Group 산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대만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며 대만 내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주목할만한 프로젝트들의 대만 현지 판매 및 홍보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월 대만에서 열린 World Blockchain Tour Taiwan에서는 같은 TideiSun 그룹 산하의 암호화폐 지갑 애플리케이션인 TideWallet과 함께 소개돼 현지 언론에서도 화제가 된 바 있다. 또한 타이딜은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도 상장된 TMTG의 사전 판매와 상장을 진행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ACA Network의 정확한 상장 일정은 차후 타이딜의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아이콘루프,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정부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검토해 도입 사업을 진행
아이콘루프가 국내 블록체인 산업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블록체인 업계 최초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아이콘루프는 정부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검토해 도입 사업을 진행하는 등 국내외 블록체인 기술 개발 사업 또한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금융투자업권 블록체인 공동 인증서비스인 체인아이디(CHAIN ID) 개발, 서울시 블록체인 시범사업 참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 차세대 선거시스템 구축 정보화 계획 수립, 교보생명과 블록체인 기반 차세대 보험 플랫폼 구축, SK㈜ C&C와 금융권 블록체인 사업 업무협약 체결 등이 그 예다. 특히 금융투자협회 및 국내 26개 증권사가 참여한 금융투자업권 블록체인 컨소시엄의 기술 주관사로서 국내 유일 금융사에 특화된 자체개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가 주관하는 ‘2018년 혁신성장 청년인재 집중양성 사업’의 참여기관으로 선정되어 자체개발한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 기술 강의, 멘토링, 실습 등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블록체인 대중화를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
블록체인 온라인 광고 플랫폼 ACA Network, 대만 암호화폐 거래소 타이딜에 상장
블록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온라인 광고 플랫폼 ACA Network가 TideiSun 그룹 산하 암호화폐 거래소 타이딜에 상장을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ACA Network는 2010년 서비스를 시작해 일본 시장에서 온라인 만화 사업으로 자리 잡은 미디어 회사 로켓스탭 주식회사 산하의 온라인 광고 플랫폼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정하고 투명한 광고 거래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ACA Network 팀은 현재 온라인 광고 시장은 부정 광고에 의한 광고 비용 손실이 크고 고스란히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지는 점에 착안, ACA Network와 ACA 토큰을 이용해 이러한 불공정한 구조를 개선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CA 토큰은 ACA Network 플랫폼에서 수수료 할인권으로 사용되며 이용자들은 이를 보유하거나 ACA 토큰을 필요로 하는 광고주에게 대여해 수익을 낼 수 있다. 또한 ACA Network는 ACA Network 서비스 시작 후 매 분기 수익의 20%를 사용하여 ACA 토큰을 구입해 소각할 계획이다. 타이딜(TiDeal)은 다국적 미디어 기술 투자 그룹인 TideiSun Group 산하의 암호화폐 거래소로 대만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며 대만 내에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주목할만한 프로젝트들의 대만 현지 판매 및 홍보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월 대만에서 열린 World Blockchain Tour Taiwan에서는 같은 TideiSun 그룹 산하의 암호화폐 지갑 애플리케이션인 TideWallet과 함께 소개돼 현지 언론에서도 화제가 된 바 있다. 또한 타이딜은 한국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도 상장된 TMTG의 사전 판매와 상장을 진행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
트루USD, 발행 9개월 만에 50개 거래소 상장...2019년 1분기 안에 100개 거래소 상장 목표
트루USD, 발행 9개월 만에 50개 거래소 상장2019년 1분기 안에 100개 거래소 상장 목표 대니 안 CEO “이번 성과는 트루USD가 글로벌 마켓 기축 통화로 쓰이는 시작점”미국 블록체인 업체 트러스트토큰은 3월 발행한 트러스트토큰의 트루USD가 약 9개월 만에 50개 거래소에 상장됐다고 4일 밝혔다. 한 달에 거래소 다섯 군데 이상을 상장한 셈이다.트러스트토큰은 이같은 성과에 대해 트루USD가 글로벌 기축 통화로 사용될 수 있도록 설립 초부터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회계 감사 보고서를 공개해 사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둔 전략이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트루USD는 발행 초부터 미국과 아시아, 유럽 등 전 세계에 위치한 거래소들과 미팅을 갖고 전략 활동을 전개하며 파트너십 및 거래량 부분에서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왔다. 이후 트루 USD는 신규 거래소 등으로 자연스럽게 저변 확대를 이룰 수 있었다.트러스트토큰은 2017년 초까지 테더를 지원했던 대만은행과 웰스파고가 테더와의 관계를 끊으면서 테더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는 것과 달리, 트루USD는 꾸준히 신뢰 네트워크를 다지고 있다고 밝혔다.트러스트토큰은 현재 악화된 시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성장할 수 있었던 트루USD의 원동력이 바로 이 부분에 있다며 ‘모든 참여자간의 신뢰’라는 진정한 블록체인의 가치에 부합한다고 덧붙였다.또한 트러스트토큰의 트루USD는 2019년 1분기 안에 100군데 거래소에 상장이라는 공격적인 목표를 세우고 국내에서도 다양한 밀착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전 세계 암호화폐 거래의 약 20%를 차지하는 한국 시장에서 원화 거래를 통한 거래량 증가가 상당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트러스트토큰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대니 안은 “11월 24일 기준 비트코인의 3500달러선 붕괴 이후 트루USD의 거래량이 급증하고 있다. 트루USD의 한 달간 거래량이 71% 증가하며 암호화폐 시총 18위로 올랐다. 이는 투자자들이 트루USD를 통해 리스크를 헷징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계속해서 전략 파트너십에 집중하여 트루USD 접근성을 높이고 글로벌 채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어 안 대표는 “이번 50번째 거래소 상장이라는 성과를 시작으로 트루USD가 더 많은 글로벌 마켓에서 기축 통화로 사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트루USD는 11월 28일 기준 최근 한 달 거래량 약 1조원을 기록하며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시가총액 18위를 차지했다(12월 3일 기준 20위).
-
벨라루스, 경제특구에서 ICO 세금 면제...토큰 및 스마트계약에 법적 지위 부여
벨라루스가 포괄적인 암호화폐 법 체계를 마련하고 글로벌 암호화폐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행보를 시작한다.벨라루스의 경제특구인 '하이 테크놀로지 파크(High Tech Park, HTP)'는 암호화폐 분야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될 추가 규제를 4일 발표했다. 벨라루스는 지난 2017년 12월 제8호 법령인 '디지털 경제 개발(On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을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암호화폐 허브를 선언한 바 있으며, 이번에 그 위상을 한단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 규제 및 보호 조치를 선보이게 됐다.벨라루스는 앞으로 암호화폐 마이닝·보유·거래·배포·교환과 관련된 모든 활동 뿐만 아니라 토큰 및 스마트계약에 대한 법적 지위를 성문화 할 예정이다. 벨라루스에서 암호화폐 관련 벤처 사업의 성장을 더욱 장려하고 사기-금융 범죄를 방지하기 위한 선진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에 담길 주요 내용은 다음과같다.추가 면세 제도 도입. 새로운 프레임워크는 2023년까지 모든 암호화폐 트랜잭션과 ICO(Initial Coin Offering)에 대한 세금을 면제해 주기 때문에, 벨라루스에 암호화폐 회사를 설립하고 운영하는 데 유리하다.선진 자금세탁방지법 채택. 벨라루스는 제8호 법령에 따라 세계 최고 수준의 암호화폐 자금세탁방지(Anti-Money Laundering, AML) 및 고객알기제도(Know Your Customer, KYC) 조치를 시행해 부정행위 방지의 최전선에 서게 됐다. 자금세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는 암호화폐 비즈니스는
-
원투씨엠, 중국 쇼핑몰에 ‘에코스 스탬프’ 서비스 제공
스마트 스탬프 원천기술 개발기업인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의 중국 법인 원투씨엠 차이나(12CM China)는 최근 베이징에서 ‘RTMAP Technology Co., Ltd.’와 전략적 제휴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RT MAP는 중국 쇼핑몰과 백화점에 IOT, 인공지능 등을 이용한 지능형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텐센트, 360, 메이투안디앤핑에서 투자유치를 한 기업이다. 현재 중국의 3,000개 이상의 대형 쇼핑몰, 공항과 마켓 등 포함 10,000개의 몰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고, RT MAP의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Digital Business Platform)에 4.7억명이 접속하고 있다. 2013년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인증 기술을 바탕으로 정전기 방식의 스마트 스탬프(제품명; 에코스 스탬프)와 플랫폼으로 사업을 시작한 원투씨엠은 대만, 일본, 태국, 싱가포르, 미국, 등 현재 22개국의 53개 파트너사와 제휴를 맺어 로열티 마케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6년에는 중국 법인을 설립하여 코스타(COSTA), KFC, LG전자, 비비고(Bibigo) 등에 에코스 스탬프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중국의 쇼핑몰 내에 입점한 대형 프랜차이즈는 쇼핑몰의 시스템 연동을 꺼려하기 때문에 쇼핑몰에서는 거래데이터 확보, 회원 포인트관리, 통합마케팅 등이 불가능한 환경이었으나, RT MAP은 에코스 스탬프를 통해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았다. 에코스 스탬프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연동하지 않고, 쇼핑몰 내의 명품샵 등에서 고객이 바로 포인트 적립을 하며, 통합마케팅 역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원투씨엠 관계자는 “12CM China는 이러한 스탬프 기능을 RT MAP통해 텐센트 미니앱 형태로 쇼핑몰에 전국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라며 “이미 조이시티(JOY CITY)라는 리딩 쇼핑몰에서 고객 포인트 적립 기능이 론칭되어 자라, 디올, 스왈로브스키, 세포라, 유니클로 등에 에코스 스탬프가 비치되었고, 다른 대형 쇼핑몰에서 러브콜이 오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양사는 전략적으로 협력하여 초기 회원포인트 서비스를 시작으로 주차권, 이벤트 마케팅, 전자 영수증 등으로 협력 분야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블록체인 기반의 법률 서비스 플랫폼 리걸블록, 청년창업네트워크 PRISM과 업무협약 체결
블록체인 기반의 법률 서비스 플랫폼 리걸블록, 청년창업네트워크 PRISM과 업무협약 체결블록체인 기반의 법률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리걸블록은 웨이버스 및 삼위와의 업무 협약에 이어 청년 창업 네트워크 PRISM(이하 프리즘)과 또 하나의 실질적인 서비스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밝혔다.프리즘은 대한민국 초기 스타트업, 대학 대표 창업, 개발 동아리, 예비 창업자 등 1만3000여명 이상이 모인 전국 최대의 청년 창업 네트워크다. 중소벤처기업부 사단법인으로 다양한 스타트업, 정부기관, 기업과 협업하며 대한민국의 청년 창업 생태계를 만들어나가고 있으며 사업가들이 해결하여야 하나 해결할 수 없는 많은 어려운 부분들을 민간 차원에서 해결해주고자 한다.사업가들이 해결할 수 없는 어려운 부분들 중 프리즘이 해결하고자 하는 한 부분은 법률문제로, 노무, 세무, 회계, 지식재산권 등 광범위한 문제를 포괄하는 문제이다. 이러한 법률문제는 사업의 시작인 예비 창업 단계부터 사업의 마무리까지 사업의 모든 단계와 떼어놓고 이야기를 할 수 없는 부분이다.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리걸블록은 리걸블록의 법률 서비스 플랫폼을 프리즘 회원사들에 제공해 또 다른 실질적인 서비스의 수요처를 확보하게 됨과 동시에 프리즘의 회원사는 리걸블록의 법률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함으로써 사업적으로 필수적인 법률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리걸블록의 김민규 대표는 “변호사 중개나 연결에 초점이 맞춰진 기존 법률 서비스와 달리 리걸블록은 스타트업, 기업이 필요로 하는 민사, 형사, 노무, 세금, 회계, 지식재산권 관련된 모든 법률문제를 리걸블록 법률 서비스 플랫폼에서 점차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김 대표는 “초기 단계에서는 프리즘과 상의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부분부터 리걸블록 서비스가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리걸블록과 프리즘의 상호 업무 협약은 청년 창업 시장의 건전한 생태계를 조성하고, 청년 창업이 법률적으로 안전한 방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려는 것으로 향후 리걸블록이 제공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부분에서도 높은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리걸블록은 IEO 및 국내외 거래소 상장을 앞두고 있다. 2019년 1월 6일 프리즘 사단법인 출범식이 예정돼 있다.
-
얍컴퍼니, 블록체인 기반 기내쇼핑 플랫폼 구축... "스카이채널아시아와 전략적 업무협약, 12월 시범 서비스 도입"
얍컴퍼니와 얍체인 재단이 저비용 항공사(Low Cost Carrier 이하, ‘LCC’)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원스톱 쇼핑 플랫폼을 구축한다.얍컴퍼니(대표 박성재, 최인찬)는 스카이채널아시아(대표 김원창)와 고객들이 기내에서 주문과 배달까지 원스톱 쇼핑을 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기내 쇼핑 플랫폼 서비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업무협약으로 얍컴퍼니와 스카이채널아시아는 ‘YAPSKY TV’라는 브랜드를 출시하고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 없는 국내외 저비용 항공사 및 항공기를 대상으로 ▲ YAP브랜드를 사용한 기내 쇼핑서비스 YAPSKY Mall 구축 ▲ 멀티미디어 서비스 ▲ 위치 등 항공기정보 제공 서비스 ▲ 판매 물품 기획 및 운영 ▲ 기내쇼핑 결제를 위한 가상화폐 YAP STONE 사용 지원 ▲ 판매 제품 배송 등의 원스톱 쇼핑 서비스를 구축‧운영하고 12월중 시범서비스 할 계획이다.현재 LCC 항공기는 대부분 좌석에 개인용 모니터가 없으므로 승객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로 기내 와이파이(Wi-Fi)를 연결해 서버에 저장된 영화, 비행기의 위치정보 파악이 가능한 네비게이션, 게임, 쇼핑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방식을 채택한다.그동안 국내외 LCC는 대형항공사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던 라운지 운영에 이어 기내에서 영화와 드라마 같은 ‘영상물 시청’ 서비스도 속속 도입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큰 수익원 중 하나였던 기내 쇼핑은 대형항공사만 쇼핑 카탈로그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주문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왔다. 하지만 상품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고, 결제 방식도 불편하여 고객이 원활한 쇼핑을 하는데 제약이 많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얍컴퍼니는 향후 자사가 가진 위치기반 서비스와 쇼핑몰 구축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소비자들이 LCC를 이용하면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쇼핑 플랫폼을 구축하고 비즈니스 파트너사인 얍체인 재단(YAP CHAIN)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암호화폐인 얍스톤(YAP STONE)으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파트너사인 스파이더얍의 스마트 픽업 서비스를 통해 귀국하는 고객이 원하는 시간에 물건을 받을 수 있는 물류 서비스도 제공하는 등 전반적인 원스톱 기내 쇼핑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특히 기내에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화폐가 활용 가능한 온라인 쇼핑몰이 구축되면 블록체인 기술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한국 중소기업이 세계 유수의 대기업보다 한발 빠른 서비스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
라인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이비코인(EBCoin) 상장
라인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박스(BITBOX), 이비코인(EBCoin) 상장비트박스는 지난 7월16일 설립된 비트박스는 싱가포르 소재의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로 라인 주식회사(LINE Corporation)와 라인의 자회사인 엘브이씨 주식회사(LVC Corporation)가 함께 설립한 라인 테크 플러스(LINE Tech Plus, 싱가포르 소재)에서 운영한다. 현재 비트박스는 15개 언어와 30개의 암호화폐 거래를 지원 중이다.비트박스는 블록체인 기반의 택스리펀드 플랫폼 기업 EBC 파운데이션(EBC Foundation)은 자사가 발행하는 이비코인(EBCoin)을 30일 라인의 암호화폐거래소 '비트박스'(BITBOX)에 상장했다. 이에 따라 이비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곳은 코인베네(Coinbene), 비트마트(Bitmart), 아이덱스(Idex), 코인이즈(CoinIs)에서 할 수 있다.이비코인을 발행한 EBC 파운데이션은 △KRP △GCMC △체인리펀드(CHAINREFUND), 3개사가 합작 설립한 재단이다. 이 중 KRP와 GCMC는 전 세계 8700여개의 가맹점에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이비코인의 한석경 COO는 "이비코인은 이번 상장과 함께 텍스 리펀드(Tax Refund) 사업으로 실용성과 가치를 동시에 높이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
카르다노 에이다, 미탭스(Metaps)와 협력..국내 가상화폐 선불카드 선보여
카르다노 에이다, 미탭스(Metaps)와 협력..국내 가상화폐 선불카드 선보여카르다노 에이다는 미탭스(Metaps)와 협력하여 국내 가상화폐 선불카드 선보였다. 미탭스는 일본 온라인 결제 서비스 전문업체다.카르다노 에이다가 출시한 선불카드는 3달러(약 3000원)에서 30달러(약 3만원) 가치의 100ADA와 1000ADA 등 두 버전으로 제공된다.선불카드는 11월 27일부터 오는 4일까지 판매기간이었으나 폭발적인 관심으로 이미 재고가 소진된 상태로 알려졌다.한편, 지난 7월 카르다노 재단는 웹사이트를 통해 "IOHK가 두 번째 카르다노 테스트넷을 출시하게 돼 기쁘다"면서 "이번 테스트넷은 이더리움 버츄얼머신 기반의 에이다 스마트 계약 프레임워크 ‘KEVM 테스트넷’에 이은 두 번째 테스트넷으로, 카르다노의 IELE 버추얼머신(VM)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됐다"고 밝힌 바 있다.
-
스텔라 Dapp 인터스텔라, 불렛프루프 기반 시스템 프리릴리즈 버전 공개
서클 인베스트, BAT 상장...토큰 구매 및 포트폴리오 추가 지원지난 9일(현지 시간) 골드만삭스가 투자한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클(Circle)' 산하 암호화폐 투자 애플리케이션 '서클 인베스트(Circle Invest)'가 공식 채널을 통해 베이직어텐션토큰(BAT, 시가총액 34위)을 추가 지원한다고 발표했다. BAT는 서클 인베스트가 지원하는 12번째 암호화폐로 해당 애플리케이션 사용자는 '시장 구매'(Buy the Market) 기능을 통해 해당 암호화폐를 구매하거나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수 있다는 게 서클 인베스트 측의 설명이다.스텔라 Dapp 인터스텔라, 불렛프루프 기반 시스템 프리릴리즈 버전 공개스텔라(XLM, 시총5위) 생태계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 기술 개발 업체 인터스텔라(Interstellar)가 '불렛프루프(Bulletproofs)' 프로토콜을 적용한 인터스텔라의 프리릴리즈 버전을 공개했다고 지난 8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불렛푸르프는 보안 및 메모리 압축 솔루션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며, 지난달 XMR이 불렉프루프 프로토콜을 적용하며 트랜잭션 크기 및 이체 수수료를 크게 낮춘 바 있다.日 암호화폐 관련 3개 부처, 청장급 회의 개최일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포스트(COINPOST)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이 9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지난 7일(현지 시간) 일본 경찰청, 금융청, 소비자청 등 세개 정부 부문(이하 3청)이 청장급 회의를 가졌다고 발표했다. 이번 회의에서 3청은 암호화폐 거래소 등에 적용되는 현행 감사 및 모니터링 시스템, 미등록 거래소에 대한 경고 등 주제에 대한 의견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아이콘루프,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가 국내 블록체인 산업 발전 및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블록체인 업계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한 첫번째 프로젝트가 됬다고 밝혔다. 아이콘루프는, 2016년 5월 설립 이래 현재까지 국내 대표 블록체인 전문 플랫폼이다.전 세계 다양한 블록체인 커뮤니티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체인’ 프로젝트인 아이콘(ICON)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그간 블록체인의 산업적 가능성을 국내에 알리기 위해 지속해 온 노력이 좋은 결과로 이어져 기쁘다”고 소감을 전하며, “향후에도 아이콘루프는 국내외 다양한 분야에 블록체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기술 및 비즈니스 개발에 힘쓰는 한편, 대한민국의 블록체인 기술을 전 세계적으로 알릴 수 있는 활동 또한 계속할 것”이라 덧붙였다.
-
코인플러그, 과기정통부 장관상... 올 9월 기준 전세계 블록체인 기술 특허 최다 보유
코인플러그(대표 어준선)가 지속적인 기술 개발 투자로 블록체인 기술 도입과 산업진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코인플러그는 2013년 설립된 이후 블록체인 기술을 중심으로 차세대 플랫폼 혁신을 연구하는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왔다.지난 9월 유럽특허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코인플러그는 블록체인 관련 특허 보유 전세계 1위를 기록했고, 하이퍼렛저(Hyperledger), R3, 엔터프라이즈 이더리움 얼라이언스(Enterprise Ethereum Alliance), SBI, 차이나렛더(Chinaledger) 등 주요 블록체인 컨소시엄에 참여해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기술 교류에 매진하고 있다.코인플러그는 자체 보안 기술을 적용한 멀티 시그니처 지갑 기술을 개발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공인인증서 대체 기술을 제시해왔다. KB 국민카드의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개인인증 서비스를 구축해 블록체인 기술을 상용화했으며, 현대카드와 함께 블록체인 기반의 통합 싱글사인온(SSO)을 구축했다. 코인플러그는 지금까지 축적된 자체 인증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올해 초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메타디움’을 시작했다.어준선 코인플러그 대표는 “기존 인증 서비스를 넘어 일반 사용자에게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총체적 분산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한편 과기정통부는 지난 6월 정부가 발표한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의 추진과제인 '대국민 인식제고'의 일환으로 26일부터 30일까지 5일을 블록체인 진흥주간으로 지정했다.
-
테조스코리아 파운데이션, 서울대학교와 MOU... " 스마트 컨트랙트 분야의 전문 인재양성"
테조스 코리아 파운데이션(이사 서두원)은 2018년 11월 30일(금) 서울대학교 프로그래밍 연구실/소프트웨어 무결점
연구센터(교수 이광근)과 Tezos, OCaml의 공동연구 및 블록체인 분야 전문 인재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의 골자는 ▲테조스, 오캐멀(OCaml,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공동연구 ▲블록체인, 테조스, 오캐멀(OCaml), 스마트 컨트랙트 분야의 전문 인재양성 ▲ 학술적 정보 및 연구성과물 공유 ▲상호 호혜적인 협력적 활동
등이다.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양측은 테조스, 오캐멀(OCaml), 블록체인 연구 및 교육전문성을 강화하고, 나아가
블록체인분야 선도를 위한 다양한 협력기회를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이광근 교수(서울대학교 프로그래밍 연구실/소프트웨어 무결점 연구센터)는 "테조스는 국제적으로 특히 유럽의 저명한
컴퓨터과학자들이 참여하면서 개발하고있는 진지한 블록체인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서 테조스, OCaml의 연구와
교육이 국내에서도 더욱 활발해지기를 바랍니다.' 라고 이야기했다. 서두원 이사(테조스 코리아 파운데이션)는 "소프트웨어가
우리 삶에 차지하는 비중이 커질수록, 소프트웨어 버그로 인한 손실비용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서 테조스 및
오캐멀(OCaml)의 기술적 장점을 활용한 Error-free(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블록체인 솔루션 연구 및 블록체인 엔지니어 양성이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랍니다."라고 이야기했다. 테조스 코리아 파운데이션은 지난 11월 20일(화) 연세대학교 디지털 사회 연구센터와도 블록체인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국내 대학들과 협업을 지속해오고 있다. 테조스 코리아 파운데이션은 오는 2019년 1월에 일반인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Tezos 관련 오프라인 강좌를 개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