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엘솔컴퍼니, 해외 유명 서밋(Summit)에 잇달아 참가하며 '인플리움(INFLEUM)' 프로젝트를 알리는 데 적극적 행보
브랜드 퍼블리싱 전문 기업 엘솔컴퍼니는 해외 유명 서밋(Summit)에 잇달아 참가하면서 '인플리움(INFLEUM)' 프로젝트를 알리는 데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엘솔컴퍼니가 개발한 인플리움은 마케팅·유통·컨설팅·법무·재무 등 브랜드 퍼블리싱에 참여한 개인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각각 기여한 성과를 정확하게 배분해 이익을 얻어가는 플랫폼이다. 엘솔컴퍼니는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리버스 ICO(유틸리티 토큰) 방식을 채택해 기존 ICO가 가졌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했으며, 한국에서 성공한 브랜드 퍼블리싱에 전 세계 유저를 참여시키고 있다. 해외 첫 활동으로 엘솔컴퍼니는 지난달 18일 세계 금융시장의 중심지인 미국 뉴욕에서 '마스 파이낸스 서밋 NYC'에 참석해 인플리움 프로젝트를 소개해 주목받았다. 이후 19일 LA에서 '스타트엔진 서밋', 2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UN 산하 단체 UNCTAD가 진행한 '스위스 월드 인베스트먼트 포럼'에 참석했다.이어 지난달 29~30일 영국 런던에서 열린 '크립토 챌린지 포럼'과 이달 1~2일 몰타(Malta)에서 개최된 '몰타 블록체인 서밋'에 연이어 참석하면서 인플리움 프로젝트를 알리는 해외 활동에 박차를 가했다. 특히 엘솔컴퍼니는 전 세계 정·관계 인사와 기업인, 미디어가 한데 모인 해외 서밋에서 비트멕스(BitMEX) CEO, 후오비(Huobi), 바이낸스(Binance) CEO, EL Group CEO 등 관련 유명 인사와 네트워킹을 쌓고, 바이낸스가 후원한 밋업(Meetup)에 초대받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엘솔컴퍼니 COO이자 인플리움 공동 창립자인 안 준 이사는 "이번 해외 서밋을 통해 향후에는 ICO보다 STO(시큐리티 토큰)에 집중하는 경향이 분명해질 것으로 전망하게 됐다"며 "이에 기존 ICO의 부정적인 인식을 타파하고, 지속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한 비전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하이콘(HYCON),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구현 성공’ 속도 한계 넘어선다... "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개발 완료"
하이콘(HYCON)이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기술이 적용되면 하이콘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각 노드들이 분산 처리되며 스펙터를 발동시키게 됨으로써, 최소 3,000 TPS에서 비자카드를 운용하는 비자넷의 버금가는 처리 속도를 구현하게 된다. 하이콘은 지난 6월 자체 메인넷 가동 이후 고스트프로토콜 업데이트를 통한 초당 처리속도 2배 증가에 성공했다.스펙터는 블록 간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블록 사이에 투표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블록체인을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directed acyclic graph; DAG)의 형태로 일반화한다. 스펙터를 통한 거래는 몇 초 이내로 완료될 수 있으며 최대 처리량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프로토콜은 나카모토 컨센서스를 적용할 때 발생하는 안정성과 확장성 사이의 상충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 속도 한계를 개선 하기 위해 하이콘이 DAG와 함께 강조하는 키워드는 스펙터 합의 알고리즘이다. 스펙터는 DAG의 특성에 맞춰 트랜잭션 처리량과 전송 속도를 끌어올리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이콘 블록체인에 DAG∙스펙터가 적용되면, 지난 10월 31일 고스트 프로토콜 업데이트를 성공한 하이콘 블록체인의 다음 컨센서스 프로토콜이 스펙터가 되는 것이다. 포도송이처럼 블록들이 지그재그로 자리잡게 되는데, 이것을 DAG(Directed Acyclic Graph)구조라고 한다. DAG는 수학적인 topology 구조로 한 방향으로 노드가 연결된 트리구조를 말한다. 블록 x 내의 트랜잭션이 블록 y 내 트랜잭션보다 먼저 블록체인에 추가되거나 반대로 블록 y 내의 트랜잭션이 블록 x 내 트랜잭션보다 먼저 추가되는 형태이다. 글로스퍼∙하이콘 김태원 대표는 “12월 중 블록체인 기술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연구 및 평가할 수 있는 글로벌 블록체인 관련 업체, 개발자, 연구소 참여자분들을 대상으로 밋업을 개최할 계획”이라며 “이 밋업에서 하이콘 블록체인의 DAG∙스펙터 합의 알고리즘 개발 소개와 기술 시연을 발표할 예정이다”고 세계 최초로 구현에 성공한 하이콘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적용될 DAG∙스펙터 기술력을 자신했다. 지금까지 스펙터는 이스라엘 연구팀(요나탄 솜폴린스키, 아비브 조하르)이 설계한 논문으로만 존재했었지만, 하이콘 팀이 구현에 성공하며 전 세계 최초로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나게 되었다. 동시에 대한민국 암호화폐 하이콘이 글로벌 블록체인 기술을 선행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
여행특화 암호화폐 ‘토아코인’ ,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 가능
‘토아블록체인코리아’에서 내세운 여행에 특화되어 있는 코인이 소개됐다.‘토아블록체인코리아’의 토아코인은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에서 최초 발행하여 7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코인이다. 여타 투기형코인과는 다르게 여행 산업에 특화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플랫폼이다. 토아코인을 활용하여 여행사 및 호텔 등에서 사용이 가능한 미래형 여행특화 코인으로 소개되고 있다. 토아코인은 코인사용 범위를 여행 외에도 뷰티산업에도 적용될 수 있는 코인사용범위를 넓혀 앞으로 성장가능성이 돋보이는 코인이다. 토아코인 매니저는 “앱을 통해 암호화폐 이용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암호화폐의 지식이 풍부한 유저가 아니라도 손쉽게 사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토아코인은 대한 정보는 오는 12월 방송매체에서도 소개가 될 예정이라 암호화폐와 토아코인을 몰랐던 유저도 좋을 정보가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
블록체인컴퍼니, 비트메인 가상화폐 채굴기 수리 자격 획득
블록체인컴퍼니가 비트메인사의 채굴기 수리 자격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정식 부품을 이용한 수리가 한결 수월해질 전망이다.비트메인의 채굴기 수리 자격은 비트메인에서 생산하는 모든 채굴기(antminer)를 수리하는 방법에 대해 일정기간 교육을 받고, 필기와 실기시험을 합격해야 얻을 수 있다. 비트메인의 채굴기 수리교육은 비트메인사와 제휴를 맺은 검증된 기업에게만 실시한다. 채굴기 수리 교육 과정은 중국 심천에 위치한 교육장에서 영어와 중국어로 진행되며, 약 2주(130시간)에 걸쳐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된 교육을 받는다. 교육 마지막 날에는 필기(70%)와 실기(30%)에 대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총 70점 이상을 받은 최종 합격자에게만 공식 수리 자격을 부여 받는다. 특히 이 자격을 부여 받은 자에 한해 비트메인 홈페이지를 통해 수리에 필요한 다양한 부품을 정식으로 구매할 수 있다.블록체인컴퍼니 관계자는 "큰 자금으로 채굴기를 구매해 이용중 고장으로 상심한 고객이나, 채굴기 고장이 우려돼 관련 투자 진입에 망설이는 고객이나 기업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비트레이드에서 제공중인 블록팜 서비스의 기술적 안전성도 확보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비트레이드는 IT 인증, 보안, 핀테크, 기타 부가서비스 등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블록체인컴퍼니’와 블록체인 개발 솔루션을 보유한 국내 블록체인 전문 기업 ‘블로코’가 합작해 오픈한 국내 최초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다.
-
CQ월드코리아, 블록체인 코인 ‘비트하오(BITHAO)’ 응용한 SNS ‘Q톡’ 발표회 개최
CQ월드코리아는 지난 20일 삼성동 파크하얏트호텔에서 자사가 개발한 블록체인 코인인 ‘비트하오(BITHAO)’를 응용한 SNS인 ‘Q톡’ 발표회를 성황리에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업계 전문가와 투자자, 언론 등을 비롯한 VIP위주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면서 성황리에 진행되었다. CQ코리아는 이날 발표에서 “국내 기업이 단순한 메신저(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지불, 페이(Pay)충전, 결제 등 전자상거래를 구현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Q톡에 블록체인 가상화폐의 실용 가치를 담을 수 있는 지갑(월렛)을 탑재했다”며 “이로써 Q톡 사용자는 메신저와 전자상거래, 코인 거래 등을 한 창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이날 발표회에는 고문 자격으로 중국 측에서는 Way CQ LAB 엄주량 대표, Hey Suite 창업자인 왕평 중한 파워셀러협회 한루이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한국 측에서는 전 KB투자증권 대표를 지낸 노치용 CQ월드 회장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박만 현 법무법인 여명 변호사 등이 참석했다.한편 CQ코리아는 또 비트하오의 사용처를 확대하기 위해 1200만 명의 회원을 갖고 있는 중국의 전자상거래 업체인 웨이줌(WeiZoom)과 손잡고 중국 쇼핑몰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
나누리병원, 블록체인 기반 어플 '나누리케어' 개발... "환자의 경과 관찰 및 통증의 정도와 증상 등을 수, 블록체인에 저장"
척추·관절 나누리병원이 의료보건 빅데이터분석과 헬스케어 블록체인 시스템 개발 업체인 ㈜투비코와 공동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나누리케어'를 개발했다고 21일 전했다.나누리케어는 수술 및 시술을 받은 환자의 경과 관찰 및 통증의 정도와 증상 등을 수집해 블록체인을 구성하고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또 저장된 데이터로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나누리병원은 현재 '나누리케어'를 통해 임상연구를 진행 중이며 유효성과 실용성 검증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이번 임상연구를 통한 검증단계를 마치면 블록체인 기반 임상연구 프로토콜에 대한 논문 발표와 의료정보 구축 및 보험청구에 대한 프로토콜 개발도 이뤄질 예정이다. 또 본격적으로 상용화가 되면 치료를 위해 나누리병원을 방문하는 해외환자들에게 적용된다.이번 연구를 책임지고 있는 강남나누리병원 척추센터 김현성 원장은 "나누리케어가 상용화된다면, 환자는 자신의 정보를 기입하고 이것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통증 정도, 치료 여부, 일상생활장애지수, 수술만족도,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 복귀여부 등 다양한 정보를 의사와 환자가 서로 실시간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콘, 블록체인 질환 예측 '평생튼튼라이프' 시범 운영
아이콘루프(대표 김종협)가 교보생명, 디지털 헬스 전문기업인 라이프시맨틱스와 함께 블록체인을 활용한 질환예측 서비스 ‘평생튼튼라이프’를 교보생명 임직원 대상으로 시범 운영 중이라고 23일 밝혔다.‘평생튼튼라이프’는 건강검진 데이터나 보험 가입 시 받게 되는 사전건강검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질환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3년 내 발생할 수 있는 질환 위험을 고객에게 알려주고, 보장분석 시스템과 연동해 실제 위험요소를 반영한 보험상품을 비교분석해주는 서비스다. 현재의 보험가입정보를 바탕으로 미래의 위험을 컨설팅해주는 기존 보험증권분석 시스템과 달리 질환예측 기반 ‘평생튼튼라이프’는 미래의 위험에 대한 예측 결과를 토대로 보험상품을 설계해 고객에게 합리적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개인정보 인증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보험가입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 및 보험가입 정보를 통합관리할 수 있어, 개인정보의 자기 결정권 보장을 강조하는 유럽 GDPR(개인정보보호규정)에도 대비하고 있다. 고객의 건강검진기록이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시스템에 전달되면 제공된 정보가 블록체인 내에 저장되어 위변조되지 않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아이콘루프는 자체개발 블록체인 엔진 ‘루프체인(loopchain)’에 기반해 ‘평생튼튼라이프’의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미 교보생명과 작년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보험금 청구를 활용해 블록체인 금융 플랫폼을 선보인 아이콘루프의 플랫폼은 추후 서비스 확장을 통해 ‘라이프레코드’ 관리 시스템이나 ‘마이데이터’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번 사업은 정부과제인 ‘의료 지출 절감 및 복지 확대로 국민건강 증진 도모’를 위해 인슈어테크, 디지털 헬스케어, 블록체인 인증을 결합한 실증 모델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이콘루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의한 ‘2018년 핀테크 분야 시범사업’ 주요 사업자로 선정되어 교보생명, 라이프시맨틱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지난 5월부터 건강검진정보 기반 질환예측 알고리즘과 ‘평생튼튼라이프’를 개발해왔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질병예측 정보 기반 인슈어테크 비즈니스가 더욱 안전하게 운영되고, 다양한 파생 서비스가 출시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인증 시스템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며 “추후 1급 의료정보 또한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테스트 및 검수를 꾸준히 진행하는 동시에, 아이콘 스마트 컨트랙트를 기반으로 타 블록체인과의 연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
딜로이트 "블록체인, 공급망 금융범죄 예방 가능"
코빈후드, GUSD·DAI·PAX·TUSD 등 스테이블코인 입출금 및 거래 지원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빈후드(Cobinhood)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9일(현지시간) 부터 GUSD,DAI,PAX,TUSD 등 스테이블코인의 입출금 및 거래가 가능하다"고 공지했다. 또한 "Dai/USDT, DAI/ETH, PAX/USDT, PAX/BTC, GUSD/USDT, GUSD/BTC, TUSD/USDT, TUSD/BTC 페어 거래 수수료는 무료"라고 덧붙였다.조지 길더 "인터넷, 탈중앙화로 세대교체…구글 시대 끝날 것"IT 분야 트렌드 예측의 선지자로 일컬어지는 조지 길더(George Gilder)가 최근 중국 칭화대에서 진행한 강연에서 "중앙화된 인터넷은 결국 블록체인으로 대표되는 탕중앙화 인터넷에 의해 대체될 것이며, 구글의 시대도 끝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딜로이트 "블록체인, 공급망 금융범죄 예방 가능"암호화폐 미디어 코인크립토라마(coincryptorama)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법인 딜로이트 금융리스크 자문이사 마이크 프로캅(Mike Prokop)은 '딜로이트 연간 조사(annual Deloitte polls)' 결과를 인용 "'공급망 금융범죄(Supply Chain Financial Crime)' 예방에 블록체인 도입은 아직 초기단계지만, 산업 전문가들은 블록체인이 해당 범죄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결과에 따르면, 산업별 평균 31.1%가 지난 해 공급망 금융범죄를 겪었고, 공업(38.6%), 소비자(37.1%), 기술, 미디어 및 통신업(34.2%), 생명과학 및 의료보건업(33.5%)에서 공급망 금융범죄 발생율이 평균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 중 15.1%는 공급망 금융범죄 예방을 위해 블록체인을 사용(3.9%)하거나 시범 운용(11.2%)하고 있다고 답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찰리 슈렘, '윙클보스 분쟁'서 자산 압류 해제 판결
[BCH 커뮤니티 분열 심화…머니버튼 CEO "확실한 승자 나타나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BCH 하드포크, 또는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다가오고 있는 현재 BCH 커뮤니티의 분열이 심화되고 있다. 미디어에 따르면, 비트코인 SV 진영을 대표하는 크레이그 라이트(Craig Wright)는 "해시파워를 동원해 상대 진영 블록체인에서 엠프티 블록(Empty Block)을 채굴해 트랜잭션을 방해할 수 있다"며, 비트코인 ABC 진영을 향한 공격을 종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BCH 결제 플러그인 머니버튼(Money Button)의 CEO 라이언 찰스(Ryan X Charles)는 "어느 한쪽이던 확실한 승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리고 있다. 여러 종류의 코인이 존재하면 더 많은 문제를 걱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니버튼은 BCH 해시 전투 기간 동안 지갑과 거래 서비스를 지속하기 위한 '체인 분할 방지 솔루션'을 발표한 바 있다. [모건스탠리 "암호화폐 채굴 자원 포화 상태"] 외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기업 모건스탠리가 최근 발표한 투자 리서치 보고서에서 엔비디아(NVIDIA)가 암호화폐 채굴 시장의 호황으로 인해 그래픽카드 부문 매출이 큰폭으로 증가했으나, 현재 암호화폐 업계의 채굴 자원이 포화 상태에 도달했기 때문에 엔비디아 측에 역풍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한편 모건스탠리는 엔비디아 주식에 대해 '추가 매입' 의견을 유지한다고 밝히며, 목표 주가를 273 달러에서 260 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비트맥스, 자체 암호화폐 벤처캐피탈 출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theblockcrypto에 따르면, 세이셸 소재 비트맥스(BitMEX) 거래소가 자체 암호화폐 벤처캐피탈 계열사를 출범했다. 미디어에 따르면, 지난 10월 1150만 달러의 시리즈A 투자를 조달한 블록폴리오(Blockfolio)가 비트맥스를 투자자로 발표한 바 있다. [반에크 앤 솔리드X, '美 SEC의 ETF 승인' 전망 이유 제시] 암호화폐 미디어 크립토글로브(cryptoglobe)에 따르면, 반에크 앤 솔리드X(VanEck and SolidX)의 Gabor Gurbacs 디지털 자산 부서 총괄자가 최근 미디어와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반에크 ETF 승인 가능성에 대한 4가지 이유를 아래와 같이 설명했다. 1. 실제(physical) BTC 물량을 기반으로 한 ETF 2. BTC 해킹, 도난 등 손실에 대한 완전 보험(fully insured) 처리 3. 당국이 인정하는 MVIS 크립토컴페어의 지수를 근거로 한 BTC 가격 사용 4. ETF 바스켓(Basket)을 25 BTC 규모로 구성 [폴로닉스, USDC 마켓 거래 수수료 면제…USDC 경쟁력 강화]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CCN에 따르면,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서클(Circle)이 인수한 폴로닉스 거래소가 스테이블코인 USDC 마켓의 거래 수수료를 면제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서클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C의 거래를 활성화시켜, 스테이블코인 업계 내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설명이다. 한편, 폴로닉스 USDC 마켓 수수료 면제는 최소 11월 말까지 진행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찰리 슈렘, '윙클보스 분쟁'서 자산 압류 해제 판결] 암호화폐 미디어 CCN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턴트'의 최고경영자이자 전 비트코인 재단 부총재 찰리 슈렘(Charlie Shrem)이 윙클보스(Winklevoss) 형제와 소송에서 유리한 판결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소송은 윙클보스 형제가 지난 9월 제기한 것으로, 찰리 슈렘이 윙클보스 형제로부터 100만 달러를 받고 대리 구매한 5,000BTC를 전달하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해 뉴욕 남부 지방법원 판사 제드 라코프(Jed Rakoff)는 지난 8일 기존 압류했던 찰리 슈렘의 3,000만 달러 규모 자산에 대해 청문회 진행 후 압류 해제를 판결했다. 앞서 당국은 해당 압류령에 따라 찰리 슈렘의 자산을 동결, 암호화폐 업체 자포(Xapo), 코인베이스(Coinbase), 폴로닉스(Poloniex), 비트렉스(Bittrex) 및 기타 금융기관들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중 찰리 슈렘 소유의 5,000BTC 규모 자산을 동결한 바 있다. [나스닥 ETF 발행 담당자 "암호화폐 ETF 승인 필연적…BTC 아닐수도"] 미국 나스닥 거래소 상장지수펀드(ETF) 발행 담당자 스티브 오(Steve Oh)가 최근 중국 현지 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시장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전통 금융 시장과 완전히 다른 구조를 갖고 있다"며 "암호화폐 ETF 승인은 필연적인 수순이지만, 비트코인이 아닌 다른 암호화폐의 ETF가 출현할 수도 있다. 토큰이코노미는 반드시 다원화된 발전 방향을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거래소 업계는 새로운 환경이며, 규제 문제는 단순히 당국의 감독을 따르는것이 아닌 현행 규제를 합리적으로 운용하는 동시에 규제 혁신을 이끄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BCH ABC '사전 거래' 가격, BCH SV의 4배]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Coindesk)가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폴로닉스(Poloniex) 데이터를 인용 "폴로닉스 거래소에 BCH 하드포크 코인의 사전 거래(pre-fork trading)가 도입된 이후, ABC 버전 코인(BCHABC)의 가격이 SV 버전 코인(BCHSV)의 4배 이상의 수준에 형성됐다"며 "투자자들이 ABC 진영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뉴질랜드 FMA, 블랙리스트에 비타롱 거래소 추가] 온라인 경제 미디어 파이낸스매그네이츠(financemagnates)에 따르면, 뉴질랜드 금융감독국(FMA, Financial Markets Authority)이 최근 블랙리스트에 암호화폐 거래소 비타롱(bitalong)을 추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FMA는 "해당 거래소가 FMA에 정식 등록된 재즈 파이낸스(Jazz Finance Limited)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주장했으나, 허위로 밝혀졌다"며 투자자들에 주의를 당부했다.코인니스 : 블록체인 산업과 암호화폐 투자 시장의 길라잡이'코인니스 앱 다운받기'iOS(https://apple.co/2HSNXPC)안드로이드(https://bit.ly/2rj3cKD)
-
시너지체인 매인넷, 디앱간 시너지 효과 극대화 및 각 분야 API 개발 빠른게 강점
30만 TPS를 객관적으로 검증 받은 시그마체인 메인넷이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에 잇달아 공급되며 이더리움과 이오스(EOS)를 대체할 글로벌 차세대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플랫폼 시그마체인(대표 곽진영)은 지난 7월 메인넷 론칭 후 현재까지 외식〮헬스케어〮뷰티〮게임〮클라우드〮스마트시티〮지역화폐〮e스포츠〮암호화폐 거래소 등 다양한 분야의 11개 기업과 메인넷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시그마체인 메인넷은 퍼블릭과 프라이빗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시그마체인 메인넷은, 각 분야에 최적화된 맞춤형으로 설계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각 디앱 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시적으로 몰리는 순간 트래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각 분야의 API(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개발이 빠른 게 강점이다. 기존의 메인넷은 다양한 분야의 디앱들이 하나의 메인넷에 연결된 구조여서 많은 순간적으로 급증하는 트래픽을 감당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분야별로 특화된 API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는 “메인넷 보유 여부가 블록체인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부각되면서 춘추전국 시대를 방불케 할 만큼 메인넷 개발 발표가 끊이질 않고 있다”라면서, 그러나 “스마트폰이 처음 등장했을 당시 수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폰용 운영체제(OS)를 선보였지만 결국 안드로이드와 애플 만이 살아남은 것처럼 블록체인 메인넷 역시 조만간 대통합의 수순을 거치면서 결국 글로벌 기술력을 보유한 극소수의 메인넷 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그마체인은 암호화폐(코인) 발행이나 ICO에 주력하는 일반 블록체인 기업과 달리, 자체 메인넷을 다양한 기업에 공급한 후 이를 기반으로 SNA(시그마체인 네트워크 얼라이언스)라는 동맹체를 결성, 독자적인 시그마체인 메인넷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더리움이나 이오스처럼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애플리케이션(디앱)의 모태 역할을 하는 글로벌 블록체인 플랫폼이 되겠다는 것이다.
-
필리핀 암호화폐거래소 박스콘-미트메신저, 12월4일 출범식 개최
필리핀 국제 암호화화폐거래소 박스콘과 미트(mit)메신저가 출범식을 갖고 공식 운영에 돌입한다. KMS글로벌(대표 김민수)은 오는 12월 4일 2시 필리핀 마닐라 콘래드호텔에서 필리핀 정부관계자들과 업계 전문가들을 300여명을 초청해 출범식을 갖는다. 필리핀 중앙은행 승인을 취득한 암호화화폐 국제 거래소 박스콘은 2019년 1월 오픈을 앞두고 운영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박스콘은 가상화폐 거래는 물론 1500만명 이상으로 알려져 있는 필리핀 출신 해외 근로자들의 송금 업무를 간편화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마카오에 버금가는 카지노 이용객들의 거래 와 결재를 위한 오프라인거래소 확장, 외환거래 등을 사업 영역으로 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스타그램코인(SGC)를 기축통화코인으로 선정했다. 독일어로 ‘더불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미트메신저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SNS 사용국가인 필리핀에서의 메신저 론칭을 통해 블록체인 생태계를 만들어갈 계획이다. 김민수 대표는 “필리핀에 거점을 둔 박스콘과 미트메신저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플랫폼들이 동반성장을 통해 상생하는 구조를 만들어 성장 동력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출범식에 대한 의의를 밝혔다.
-
원투씨엠,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서 다양한 ’핀테크 사업 모델’ 선보여
스마트 스탬프 원천기술 개발 기업인 원투씨엠(대표 한정균)이 2018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다양한 핀테크 모델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은 보안, 결제, 금융서비스 AI, 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로보어드바이저 등 핀테크 솔루션 전 분야에 걸친 아시아 최대의 핀테크 관련 행사로 11월 12일부터 18일까지 싱가포로 엑스포에서 개최되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원투씨엠은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벌에서 4개의 핀테크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했다. 첫째, 로열티 마케팅으로 수집한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머천트 크래딧 메니지먼트(Merchant Credit Management) 및 론(Loan), 클라우드 펀딩(Cloud Funding) 사업, 두번째로 포인트 기반의 선불 바우처 사업, 세번째로 지역화폐 중심의 모바일 결제 사업, 네번째로 AWS Cloud 기반의 글로벌 크로스 보더 페이먼트 플랫폼(Global Cross Border Payment Platform)의 모델로 동남아 시장공략을 시작했다. 글로벌 크로스 보더 페이먼트 플랫폼(Global Cross Border Payment Platform)은 각국의 다양한 지불결제 사업자들 간의 상호 해외 결제 프로세스를 처리해 주는 서비스 플랫폼을 말한다. 이와 관련해 글로벌 카드사와 각국의 PG사, 모바일 페이먼트(Mobile Payment)사가 큰 관심을 가지며 협업을 요청했다. 2013년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인증 기술을 바탕으로 정전기 방식의 스마트 스탬프(제품명; 에코스 스탬프)와 플랫폼으로 사업을 시작한 원투씨엠은 대만, 일본, 태국, 싱가포르, 미국, 등 현재 22개국의 53개 파트너사와 제휴를 맺어 로열티 마케팅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로열티 마케팅으로 축적한 빅데이터와 클라우드로 구축한 시스템에서의 결제, 인증 처리 및 보안관련 기술의 진화를 통해 핀테크 사업에 진출한 원투씨엠은 일본 시마토크 지역의 지역화폐 결제 서비스를 공급했으며, 미국의 신용카드 프로세싱 기업인 네이비지브라(Navyzebra)와 함께 거래 데이터 기반의 머천트 크래딧 메니지먼트(Merchant Credit Management)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준비 중에 있다. 원투씨엠은 축적한 결제 내역과 소비 패턴 등의 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성원 부사장은 “매일 100만 건 이상 쌓이는 데이터를 제휴사와 함께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중” 이라며 “2020년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사업을 성장시켜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
체인파트너스 몰타 법인, 몰타 클래스 4(Class 4) 디지털 자산 취급 라이센스 취득...데이빗 거래소 서비스 확장에 활용
체인파트너스 몰타 법인, 몰타 클래스 4(Class 4) 디지털 자산 취급 라이센스 취득...데이빗 거래소 서비스 확장에 활용(주)체인파트너스(대표 표철민)는 23일 몰타(Malta) 정부로부터 가상금융자산(Virtual Financial Asset)을 합법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클래스 4(Class 4)’ 라이센스를 취득했다고 밝혔다.유럽연합(EU) 가입국인 몰타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디지털 자산 산업 육성을 위해 지난 7월 가상금융자산법(Virtual Financial Asset Act)을 의회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고, 관련 규정 정비를 거쳐 이달 2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클래스 4’는 이 법에서 규정한 최상위 라이센스로, 한국 체인파트너스의 100% 자회사인 체인파트너스 몰타 법인은 앞으로 디지털 자산 거래소 운영과 고객 자산의 합법적 수신 및 운용이 가능해진다.특히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디지털 자산은 물론 법정화폐인 유로화(EUR)를 합법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디지털 자산 수탁(Custody) 서비스도 합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체인파트너스는 취득한 라이센스를 지난달 자사가 오픈한 디지털 자산 거래소 ‘데이빗(http://daybit.com)’의 서비스 확장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체인파트너스 표철민 대표는 “법안 통과로 디지털 자산 거래 세계 1위가 된 몰타에서 라이센스를 취득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체인파트너스와 데이빗 거래소는 천천히 가더라도 여러 국가에서 합법적 지위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언젠가 반드시 빛을 발할 것“이라 밝혔다.이번 라이센스 취득은 체인파트너스 세계경영팀의 첫 성과다. 체인파트너스는 ‘30년 전에 세계경영을 선포해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한 대우그룹을 벤치마킹하겠다'며 지난 여름 세계경영팀을 신설했다. 영국 변호사인 이우주 부사장이 이끌고 카카오뱅크 출신 유다미 변호사, 삼성물산 상사부문, IBM 등 출신 인재들로 구성되어 있다.
-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플랫폼 헥스(HEX), 싱가폴 기반 비코인(BCoin)에 이어 국내 바이맥스(BIMAX) 거래소에 상장 예정..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플랫폼 헥스(HEX), 싱가폴 기반 비코인(BCoin)에 이어 국내 바이맥스(BIMAX) 거래소에 상장 예정..-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맥스(BIMAX)에 오는 26일 상장.. 다차원 구조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정보 플랫폼 헥스(HEX Innovation Ltd.)가 국내외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에 잇따라 상장되고 있다고 밝혔다.헥스(HEX)는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한 비코인(BCOIN)과 최근 상장 및 공동 마케팅,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사업협력 등 포괄적인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며, 지난 10월15일 비코인 거래소(www.bcoin.sg)에 최초 상장시켰다. 비코인 거래소는 달러를 기본 통화로 입출금과 24시간 이내에 세계 각지의 주요 은행으로 송금이 가능한 법정통화(Fiat) 거래소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10위권인 홍콩 코인슈퍼(Coinsuper)의 계열 거래소이기도 하다. 최근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하여 한국 유저들에게 보다 쾌적한 최신 암호화폐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또한 HEX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맥스(BIMAX)에 오는 26일 상장된다고 밝혔다. 비코인 거래소에 이어 국내 거래소에도 상장돼 국내의 투자자들도 편리하게 HEX를 거래할 수 있게 됐다. HEX 관계자는 "비코인(BCoin)의 한국어 거래 서비스가 오픈하는 즈음에 한국 거래소인 바이맥스 상장으로 한국의 HEX 이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어 무척 기쁘다"며 "오랜 기간 한국 시장 진출을 기다려 온 투자자들의 기대에 조금이나마 보답하는 것 같다" 소감을 밝혔다.한편, 바이맥스(www.bimax.io)는 전신인 코인마블 시스템을 보완한 정액제 암호화폐 거래소로서 월 1만9800원으로 무제한 거래를 이용할 수 있다. 최신 하드웨어 보안모듈(HSM)과 네트워크 분리,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는 저장장치인 콜드스토리지 기술도입 등 자산 보안에 특히 집중하고 있다.
-
블록체인 스타트업 픽션, 동영상 전문 제작 스튜디오 ‘레이어박스’와 파트너십 체결
디지털 콘텐츠 블록체인 스타트업 픽션(대표 배승익)은 동영상 전문 제작 스튜디오 ‘레이어박스’가 프로젝트의 정식 파트너로 참여한다고 밝혔다. 레이어박스는 애니메이션, 웹툰, 영상 제작에 고루 역량을 가진 업계 베테랑 아티스트들로 구성된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로, 애니메이션과 게임 프로모션 영상 등 동영상 분야에 특히 강점을 가진 스튜디오로 알려져 있다. 레이어박스는 지금까지 300여 편이 넘는 게임 프로모션 영상을 제작하며 게임 업계와 긴밀히 협업해 왔으며,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도 샌드박스의 인기 웹 애니메이션 ‘장삐쭈’ 등 여러 편의 작품을 흥행 시킨 바 있다. ‘픽션’은 내년 런칭할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생태계를 초기에 안착시키기 위해 최근 웹툰, 게임 업체들과 적극적으로 제휴를 맺고 있는 가운데, 이번 ‘레이어박스’와의 공식 제휴 또한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업계는 바라보고 있다. 그 동안 ‘픽션’은 플랫폼으로부터 탈중앙화된 1인 창작자 중심의 생태계를 조성하는 과정에서, 초기에는 기존 메이저 콘텐츠 프로바이더들로부터 적극적으로 콘텐츠를 소싱하여 공급함으로써 생태계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여러 차례 밝혀왔다. 픽션 관계자는 “최근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급속도로 성장하는 것만 봐도 동영상 콘텐츠 시장이 얼마나 크게 성장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며 “‘픽션’ 콘텐츠 생태계에서도 역시 여러 장르 중 요즘 유저들로부터 가장 많은 반향을 얻고 있는 영상 장르가 중요한 콘텐츠 영역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픽션’은 초기에 ‘레이어박스’를 통하여 동영상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생태계에 공급하여, ‘픽션 네트워크’에서는 재미있고 볼만한 동영상이 많다고 유저들이 확고히 인식하게 할 것”이라며 “업계에서 이미 검증된 ‘레이어박스’ 팀의 양질의 영상 콘텐츠가 ‘픽션’ 생태계의 초기 안착에 큰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픽션 관계자는 “특히, 이번 파트너십 채결 과정에서 ‘레이어박스’에서 크게 가능성을 본 것이 캐릭터 라이브 분야다”며 “일명 브이튜버(Vtuber) 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일본에서는 이미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새로운 영상 콘텐츠로, 1인 방송 콘텐츠의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밝히며 “우리나라에서는 ‘레이어박스’ 팀이 최초로 캐릭터 라이브 콘텐츠를 제작하여, 시장을 개척, 선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픽션’ 입장에서 캐릭터 라이브에 기대를 거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CG 캐릭터를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이기 때문에, 웹툰과 게임 등의 IP를 접목시키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형태가 유저들에게 가장 소구되는 영상 콘텐츠라는 점”이라며 “‘픽션’은 캐릭터 라이브가 생태계 내 다양한 콘텐츠에 생기를 불어넣는 또 하나의 중요한 콘텐츠 영역이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카카오의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Klaytn)’의 콘텐츠 분야 정식 파트너로도 선정된 ‘픽션’은 내년도에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가 유저와 창작자가 직접 협업하여 창작, 배포될 수 있는 온라인 생태계 ‘픽션마켓’과 ‘픽션네트워크‘를 런칭할 계획이다.
-
Qtum 퀀텀, 블록체인 2018 C.E.C 글로벌 블록체인 Meetup 참석... "퀸텀에 관한 더 많은 기술 공유를 제공"
2018 ‘C.E.C글로벌 블록체인 Meetup-Korea Station’이 지난주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됐다. Qtum 퀀텀 블록체인 중국 대표 중원빈 수석 개발 엔지니어도 초청을 받아 이번 회의에 참석해 강연을 진행했다.이번 회의는 Brink Asset와 Babi Finance가 공동 주최했으며 약 200여명의 업계 저명 인사, 프로젝트 측 대표, 투자기관 및 한국의 유수 언론 등을 초청해 성황을 이뤘다. 참석자들은 강연을 통해 현재 블록체인 시장 상황을 소개하고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장면을 분석하는 한편 블록체인의 실물경제에 대한 부여가능성과 관련한 토론을 진행했다.Qtum 퀀텀 블록체인 중국 대표 중원빈 수석 개발 엔지니어는 초청 인사로서 참석자들에게 Qtum 블록체인의 기술 혁신 정보 등의 유익한 정보를 제공했다.중원빈 대표는 상하이 교통대학을 졸업하고 중국과학원에서 석사를 취득했으며 현재 Qtum 퀀텀 블록체인 중국 수석 개발 엔지니어로 재직 중이다. 주로 Qtum Core와 Qtum x86 가상기기(Virtual Machine) 등의 개발을 책임지며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에 대해 조예가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Qtum 입사 전 SYNOPSYS에서 고급 연구 개발 엔지니어를 역임했으며 4년 이상의 대형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이 있다.Qtum 퀀텀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UTXO 모델과 이더리움 가상모델(EVM)을 겸용하는 최초의 PoS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계좌 추상화 계층(AAL)을 통해 비트코인을 이더리움 생태와 연결한다. 즉 퀀텀 블록체인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이더리움 공동체와 비트코인 시스템을 겸용하는 언더라잉 시스템 플랫폼이다. Qtum 퀀텀 블록체인은 안정성, 모듈화, 상호 겸용성을 취지로 설계하며 믿을 수 있는 탈중심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가 되고, 블록체인과 실제 비즈니스 사회의 교량이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Qtum 퀸텀 블록체인 연합 창설자 솨이추 역시 블록 체인 영역에서 세운 특별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7년 ‘포브스’ 30세 이하 중국 30대 엘리트에 선정된 바 있다. 이외 Qtum 퀸텀 블록체인 개발 단체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공동체로부터 온 개발자뿐 아니라, 전 세계 유명 기업 (바이두, 아리바바, 텐센트, 나스닥 등) 출신 인력까지 불러모으며 훌륭한 인재로 구성돼 있다고 밝혔다.이번 회의 현장에서 중원빈은 참석자들에게 Qtum 퀀텀 블록체인 기술 혁신, 미래 목표 및 개발 중점 등 다방면에서 Qtum 퀸텀에 관한 더 많은 기술 공유를 제공했다. 또한 블록체인 응용장면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Qtum 퀸텀이 어떤 방법으로 블록체인의 발전을 돕는지 등에 관해 분석했고 블록체인 산업이 전통 산업에 불어넣을 능력에 대해 설명했다.
-
퓨즈더블유(FuzeW) 업그레이드를 통해 모든 ERC20 사용가능
핀테크 기업 ‘브릴리언츠(BrilliantTS)’의 카드형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인 ‘퓨즈더블유(FuzeW)’가 업그레이드를 통해 모든 ERC20 토큰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ERC20 이란 Ethereum Request for Comment (ERC) 20의 약자로서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토큰(Token)의 표준을 의미한다. 퓨즈더블유(FuzeW)의 신규 구매 고객 뿐만 아니라, 기존 구매 고객도 이번 업그레이드를 통해 모든 ERC20 토큰을 사용할 수 있다. 최고 보안등급 CC EAL 5+ 인증을 받은 콜드월렛 방식의 암호화폐 하드웨어 월렛 퓨즈더블유(FuzeW)는 카드 자체에 암호화폐 정보와 QR코드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e-paper display)가 탑재되어 세계 최초로 실물 카드에서 직접 암호화폐 잔고 확인이 가능한 카드형 하드웨어 월렛이다. 0.84mm로 신용카드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서 지갑 안에 넣고 다닐 수 있는 간편성과 방수기능까지 가지고 있는 퓨즈더블유(FuzeW)는 전용 어플리케이션(W Manager)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는 편의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Crypto to Crypto payment)까지 가능해서 하드웨어월렛의 미래로 평가 받고 있다. 브릴리언츠의 배재훈 대표는 “최고의 보안성, 편리성, 이용성을 가지고 있는 퓨즈더블유(FuzeW)는 계속 진화 하고 있다. 앞으로도 이용자 편의성을 위해서 최고의 기술력으로 최고의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고객들을 위해 매월 다양한 프로모션과 이벤트를 진행 하고 있는 퓨즈더블유(FuzeW)의 자세한 소식은 공식 홈페이지(www.fuzew.com)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에어블록 프로토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제공
에어블록 프로토콜,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 솔루션 제공에어블록 프로토콜(AIRBLOC)은 데이터 수집, 수익화, 활용 방식을 재정의하는 프로젝트이다. 기업 및 어플리케이션에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쳐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 투명한 방식으로 수집, 수익화 및 활용할 수 있게 한다.남성필 에어블록 프로토콜 대표는 "이미 온라인 광고 네트워크 비즈니스를 훌륭히 해 나가고 있는 위블락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혜택과 선택권이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밝혔다.위블락, ICON 기반의 블록체인 활용 성과 기반 디지털 광고 탈중앙화위블락(weBloc)은 ICON 기반의 블록체인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생태계 탈중앙화 실현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이다. 성과 기반 디지털 광고의 핵심 기술인 SDK 및 API 형태의 솔루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한 사용자 성과 중심의 새로운 블록체인 광고 생태계를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홍 준 위블락 대표는 "이미 기술력을 증명한 에어블록 프로토콜과 협업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기회를 시작으로 위블락이 에어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기반으로 블록체인 광고 생태계를 더 크게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위블락(대표 홍준)과 탈중앙화된 개인 데이터 플랫폼 에어블록 프로토콜(대표 남성필)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구체적 실행안을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위블락과 에어블록의 전략적 파트너십의 첫 단계로 연내 위블락이 운영하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정보 전문사이트인 ICO랭크(ICO Rank)와 크립토벨(CrytoBell)에 에어블록 Web SDK가 탑재된다. 위블락은 데이터블록에 토큰 보상이 가능한 위블락 광고 리스트를 제공해 위블락 생태계 확산 및 이용자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위블락(weBloc)은 ICON 기반의 블록체인 원천 기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디지털 광고 생태계 탈중앙화 실현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이다. 성과 기반 디지털 광고의 핵심 기술인 SDK 및 API 형태의 솔루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과 토큰 이코노미를 적용한 사용자 성과 중심의 새로운 블록체인 광고 생태계를 만들어 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