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방탄소년단, 2위 레드벨벳, 3위 워너원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실시한 가수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방탄소년단 2위 레드벨벳 3위 워너원 순으로 분석되었습니다. 2018년 7월 23일부터 2018년 8월 24일까지의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 99,012,96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분석을 하였습니다. 지난 7월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 99,012,960개보다 36.08% 증가했습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참여 1.25% 하락, 브랜드 이슈 29.70% 상승, 브랜드 소통 34.70% 상승, 브랜드 확산 74.39% 상승했습니다. “가수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방탄소년단, 2위 레드벨벳, 3위 워너원” 가수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방탄소년단 2위 레드벨벳 3위 워너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18년 7월 23일부터 2018년 8월 24일까지의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 99,012,96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 미디어, 소통, 커뮤니티 분석을 하였다. 지난 7월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99,012,960개보다 36.08% 증가했다. 가수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음원을 선보이고 있는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커뮤니티가치로 분류하고 긍부정비율 분석과 평판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된 지표이다. 브랜드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에 대해 누가, 어디서, 어떻게, 얼마나, 왜, 이야기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2018년 8월 가수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워너원, (여자)아이들, 아이콘, 트와이스, 블랙핑크, 마마무, 세븐틴, 엑소, 아이유, 비투비, 청하, 여자친구, 인피니트, 승리, 하이라이트, 펜타곤, 빅뱅, 모모랜드, 에일리, 샤이니, 위너, 오마이걸, 숀, AOA, 선미, 볼빨간사춘기, 로꼬, 이수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방탄소년단 ( RM, 슈가, 진, 제이홉, 지민, 뷔, 정국 ) 브랜드는 참여지수 2,564,484 미디어지수 2,169,520 소통지수 5,570,610 커뮤니티지수 5,199,31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503,927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10,607,026보다 46.17% 상승했다. 2위, 레드벨벳 ( 웬디, 아이린, 슬기, 조이, 예리 ) 브랜드는 참여지수 1,350,991 미디어지수 2,565,062 소통지수 3,544,684 커뮤니티지수 3,206,59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667,328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3,652,781보다 192.03% 상승했다. 3위, 워너원 ( 강다니엘, 박지훈, 이대휘, 김재환, 옹성우, 박우진, 라이관린, 윤지성, 황민현, 배진영, 하성운 ) 브랜드는 참여지수 777,130 미디어지수 2,752,299 소통지수 3,855,452 커뮤니티지수 3,127,94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512,824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7,557,134보다 39.11% 상승했다. 4위, (여자)아이들 ( 미연, 민니, 수진, 소연, 우기, 슈화 ) 브랜드는 참여지수 406,709 미디어지수 2,911,059 소통지수 4,867,417 커뮤니티지수 446,276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631,461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883,267보다 844.02% 상승했다. 5위, 아이콘 ( B.I, 김진환, BOBBY, 송윤형, 구준회, 김동혁, 정찬우 ) 브랜드는 참여지수 558,722 미디어지수 2,922,442 소통지수 3,313,870 커뮤니티지수 1,543,17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338,205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094,684보다 156.85%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8년 8월 가수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방탄소년단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가수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7월 가수 브랜드 빅데이터 99,012,960개보다 36.08% 증가했다.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참여 1.25% 하락, 브랜드 이슈 29.70% 상승, 브랜드 소통 34.70% 상승, 브랜드 확산 74.39% 상승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이어 "2018년 8월 가수 브랜드평판 1위 방탄소년단 브랜드는 키워드 분석에서는 '짜릿하다, 특별하다, 다양하다' 가 높게 나타났고, 링크 분석은 '앨범, 컴백, 콘서트'가 높게 나타났다. 방탄소년단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비율 분석은 긍정비율 92.74%로 분석되었다."라고 빅데이터분석하였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브랜드 평판의 변화량을 파악하고 있다. 이번 브랜드평판조사는 2018년 7월 23일부터 2018년 8월 24일까지의 방탄소년단, 레드벨벳, 워너원, (여자)아이들, 아이콘, 트와이스, 블랙핑크, 마마무, 세븐틴, 엑소, 아이유, 비투비, 청하, 여자친구, 인피니트, 승리, 하이라이트, 펜타곤, 빅뱅, 모모랜드, 에일리, 샤이니, 위너, 오마이걸, 숀, AOA, 선미, 볼빨간사춘기, 로꼬, 이수, 박효신, 멜로망스, 성시경, 다비치, 뉴이스트W, JBJ, 헤이즈, 에픽하이, 윤종신, 벤, 폴킴, 갓세븐, 싸이, 우원재, 로이킴, 황치열, 개리, 다이나믹 듀오, 양요섭, 임창정 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하정우, 2위 주지훈, 3위 이성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실시한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하정우 2위 주지훈 3위 이성민 순으로 분석되었습니다. 2018년 7월 24일부터 2018년 8월 25일까지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사랑하는 영화배우 50명의 브랜드 빅데이터 209,364,72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지표, 미디어지표, 소통지표, 커뮤니티지표를 측정하였습니다. 지난 6월 영화배우 브랜드 빅데이터 120,450,353개와 비교해보면 73.82% 상승했습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127.43% 상승, 브랜드 이슈 48.95% 상승, 브랜드 소통 28.07% 상승, 브랜드 확산 121.25% 상승했습니다.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하정우, 2위 주지훈, 3위 이성민”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하정우 2위 주지훈 3위 이성민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2018년 7월 24일부터 2018년 8월 25일까지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사랑하는 영화배우 50명의 브랜드 빅데이터 209,364,728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참여지표, 미디어지표, 소통지표, 커뮤니티지표를 측정하였다. 지난 6월 영화배우 브랜드 빅데이터 120,450,353개와 비교해보면 73.82% 상승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추출하고 소비자 행동분석을 하여 참여가치, 소통가치, 미디어가치, 커뮤니티가치, 소셜가치로 분류하고 긍부정비율 가중치를 두어 나온 지표이다. 영화배우 브랜드평판지수에서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소비자들의 브랜드 소비패턴을 분석하였다. 2018년 8월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하정우, 주지훈, 이성민, 박서준, 박보영, 공유, 수애, 김태리, 황정민, 한지민, 곽시양, 김현수, 박해일, 이광수, 김향기, 송지효, 김영광, 마동석, 김다미, 김동욱, 손예진, 진기주,이진욱, 김다미, 라미란, 조진웅, 김태훈, 이병헌, 김상호, 현빈 순이었다. 1위, 하정우 브랜드는 참여지수 4,686,978 미디어지수 2,470,860 소통지수 1,959,354 커뮤니티지수 1,440,780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557,972로 분석되었다. 하정우 브랜드는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2,216,775와 비교하면 376.28% 상승했다. 2위, 주지훈 브랜드는 참여지수 3,066,637 미디어지수 2,881,116 소통지수 1,638,740 커뮤니티지수 1,155,16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8,741,657로 분석되었다. 주지훈 브랜드는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784,372와 비교하면 1,014.48% 상승했다. 3위, 이성민 브랜드는 참여지수 348,791 미디어지수 3,135,195 소통지수 1,370,513 커뮤니티지수 2,940,960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7,795,459로 분석되었다. 이성민 브랜드는 지난 6월 브랜드평판지수 645,865와 비교하면 1,106.98%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8년 8월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영화배우 하정우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영화배우 브랜드 카테고리를 빅데이터 분석해보니 지난 6월 영화배우 브랜드 빅데이터120,450,353개와 비교해보면 73.82% 상승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 127.43% 상승, 브랜드 이슈 48.95% 상승, 브랜드 소통 28.07% 상승, 브랜드 확산 121.25% 상승했다. 천만영화 '신과함께'가 영화 브랜드 소비를 이끌면서 브랜드평판과 관련한 모든 지표가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이어 "2018년 8월 영화배우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하정우 브랜드는 링크분석에서는 "대단하다, 놀라다, 미치다"가 높게 분석되었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신과함께, 김용배, 차연우"가 높게 분석되었다."라고 브랜드 분석을 하였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소장 구창환 )는 브랜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브랜드 평판의 변화량을 파악하고 있다. 이번 영화배우 브랜드평판조사는 2018년 7월 24일부터 2018년 8월 25일까지 하정우,주지훈, 이성민, 박서준, 박보영, 공유, 수애, 김태리, 황정민, 한지민, 곽시양, 김현수, 박해일, 이광수, 김향기, 송지효, 김영광, 마동석, 김다미, 김동욱, 손예진, 진기주, 이진욱, 김다미, 라미란, 조진웅, 김태훈, 이병헌, 김상호,현빈, 김수현, 류준열, 조인성, 이종석, 진경, 박성웅, 한효주, 조연, 이정재, 이승기, 변요한, 차태현, 고수, 이유영, 강기영, 최우식, 정우성, 최우식, 전지현, 송중기 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으로 이루어졌다.
-
ING생명, 미국 전문기관으로부터 연간보고서 대상 수상
ING생명(대표이사 사장 정문국)이 2017년 5월 상장 후 발간한 첫 번째 연간보고서가 ‘2017 LACP 비전 어워즈(Vision Awards)’ 보험부문에서 대상(Platinum Award)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LACP 비전 어워즈(Vision Awards)’는 세계적인 홍보·마케팅 전문기관인 LACP(League of American Communications Professionals, 미국 커뮤니케이션 연맹)가 주관해 연간보고서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평가하는 국제경연대회다. 올해는 약 24개국 1000여개의 작품이 출품됐다. ‘ING생명 2017 연간보고서’는 ‘보험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음과 동시에 ‘글로벌 탑 100 보고서 31위’, ‘아시아태평양지역 19위’, ‘탑 20 코리안 리포트’ 등 총 6개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첫인상, 표지 디자인, 최고 경영자 메시지, 내용 구성, 재무 보고, 창의성, 정보 접근성 등 8개 평가부문 가운데 7개 부문에서 최고 점수를 받았다. ‘2017 LACP 비전 어워즈’ 측은 ’ING생명 2017 연간보고서’는 정보 접근성을 한층 높인 구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도전 그리고 창립 30주년을 맞이한 ING생명만의 기업 아이덴티티를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구현해 높은 점수를 줬다고 평가했다. 한편 ING생명은 연간보고서를 통해 ING생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도하는 ‘Key Value Driver’, 공유가치창출 활동과 재무 및 사업성과 등을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이 연간보고서는 정보 접근성과 독자 편의성을 높인 인터랙티브 PDF로 제작돼 보고서 내 연관 페이지로 이동, 관련 웹사이트로 이동, 동영상 시청 등이 가능하다. ING생명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윙크, 신용 올리는 신용관리앱 알다 출시핀테크 스타트업 윙크(Wink Inc.)는 7월 12일 개인이 스스로 신용등급을 올릴 수 있는 무료 신용관리 앱 ‘알다(ALDA)’의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알다는 무료 신용조회 서비스는 물론, 건강보험료 성실 납부 내역과 같은 비금융 데이터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신용등급을 올릴 수 있도록 ‘신용올리기’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 기존 신용관리 서비스들과 가장 큰 차별점이다. ‘신용올리기’ 서비스는 사용자의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등의 성실 납부 내역을 한 번에 모아 신용평가사로 전송해주고, 바로 다음 날 신용등급 실제 반영 여부를 알려준다. 기존에 신용점수 가점을 얻기 위해서는 신용조회사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비금융정보 반영을 신청하거나 우편/방문/팩스 등으로 공공요금 납부실적을 직접 제출해야만 가능했던 번거로움을 알다가 대신 해결해준다는 취지다. 해당 서비스는 국내 신용평가사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함께 하고 있다. 윙크 김형석 대표는 “누구나 능동적으로 신용을 관리하면서 더 나은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간편하면서도 확실한 신용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소비자는 기성복과 같이 금융회사들이 만들어 놓은 상품을 이용하는 형태가 아닌, 맞춤복처럼 금융사가 소비자 개개인에게 맞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를 목표로 금융소비자의 권익보호를 선도하는 스타트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문재인 정부의 ‘금융 분야 3대 추진전략 및 10대 추진과제(신용정보관리업 등)’에 발맞춰 국내 스타트업이 최초로 시도하는 분야다.
-
[Blockchain Media Partner 참여 #06] 한국경제신문, 9월 19~21일 서울 코엑스서 개최...세계 최초 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 한국에서 개최
[Blockchain Media Partner 참여 #06] 한국경제신문, 9월 19~21일 서울 코엑스서 개최...세계 최초 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 한국에서 개최미국·러시아 등 20여개國 참가…관련 업계 주목제4회 한경 국제 부동산 박람회와 동시 개최세계 첫 ‘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Real Estate Blockchain EXPO·RBE) 2018’이 오는 9월 한국에서 열린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블록체인 기술이 부동산업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회다.RBE 2018은 9월19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제4회 한경 국제 부동산 박람회 ‘리얼티 엑스포 코리아(Realty EXPO Korea·REK) 2018’과 동시에 개최된다. 블록체인을 주제로 열리는 첫 부동산 엑스포인 만큼 국내외 관련 업계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주최 측에 따르면 미국 러시아 영국 중국 불가리아 등 세계 20여 개국, 50여 개 업체와 협회·연구소·공공기관 등이 참가해 블록체인 융복합 트렌드와 신기술·신사업 기회를 선보일 예정이다.이번 엑스포는 △부동산 블록체인 전시회 및 비즈니스 미팅 △부동산 블록체인 글로벌 콘퍼런스 △RBE 칵테일 리셉션 등으로 구성된다. 한경부동산연구소, 세계부동산연맹(FIABCI) 한국대표부, 부동산블록체인연구소 등이 공동 주관한다. 참가 희망 업체와 방문객들의 신청은 홈페이지 (http://www.rbe2018.com)를 통해서 가능하다.RBE 2018과 동시에 개최되는 리얼티 엑스포 코리아 2018은 올해로 4회째 열리는 국내 유일의 글로벌 부동산 엑스포다. 대규모 개발사업 관련 글로벌 투자유치 비즈니스, 첨단 신기술과 최신 개발 트렌드 전시·교류 등이 이뤄진다. 글로벌 부동산 서밋(콘퍼런스)과 신상품 설명회, 부동산 투자전략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린다.
-
빅데이터부터 블록체인까지 4차산업혁명과 만난 로봇 전문기업 “DST로봇”
DST로봇이 오는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 2018’의 주관사로참가해 시행사,수요자의 신뢰가 높은 부동산 블록체인 플랫폼을 선보인다.최근 블록체인 기술이 주목 받는 이유는 네트워크내의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기록, 보관함으로써 공인된 제3자가 없이도 거래 기록의 무결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기술이어서 별도의 보안을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DST로봇은 제조업용 로봇, 로봇응용시스템 및 서비스용 로봇 사업을 아우르는 국내 최고의 종합 로봇기업이다. 1998년 창업 아래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기울여 직각좌표 로봇을 시작으로 수평다관절로봇, 트랜스퍼 로봇, 병렬로봇 등과 같은 산업용로봇 제품들을 개발하여 산업용 로봇 국산화에 크게 기여하여 왔고, 서비스 로봇 또한 애완견 로봇 ‘제니보’ ,엑추에이터 스마트 서보, 휴머노이드 로봇 등을 개발한 로봇전문기업이다. 최근 블록체인은 금융, 부동산, 제조업, 물류∙유통은 물론 의료기관까지 적용되며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블록체인이 다양한 로봇 분야에도 접목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로봇의 발전과 함께 화두로 떠오르는 것이 ‘로봇 윤리’이다. 로봇에 저장되는 개인의 사생활 정보가 자칫 해킹 당하거나 변질된다면 자칫 범죄로 악용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이처럼 로봇을 통해 얻은 개인의 정보는 블록체인을 통해 안전하게 기록이 되며 만약 정보를 사용할 시 위∙변조가 되지 않은 데이터를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데이터 오남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개인에게 알맞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앞으로 블록체인은 각광 받을 것으로 업체 측은 예상하고 있다.DST로봇은 오는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코엑스에서 개최 되는 “부동산 블록체인 엑스포 2018”에서 안내용 로봇,제니보,휴머노이드 로봇 등 선보일 예정이다.DST로봇 관계자는 “서비스로봇이 적용 될 일반 가정환경에서의 사적 정보 뿐 아니라, 공항,철도역,병원 등 공공장소에서 노출되는 방대한 개인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은 4차산업혁명을 주도할 IOT 기술 및 인공지능 기술과 함께 가장 유망한 기술 중 하나로 각광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한국체스게임과 데이터젠, 전세계 보드게임 유저 20억명을 대상으로 출사표
한국체스게임은 9월 10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다프체인(dap CHAIN)’ 공식 출범식에서 게임 ‘대결, 박보장기’의 새로운 버전 3.0을 데이터젠이 개발 완료한 ‘다프체인(dap CHAIN)’ 메인넷에 연동하여 게임 내에서 유저가 게임 활동으로 생산된 가치를 공유하고 분배할 수 있는 시연회를 가졌다고 17일 밝혔다. 한국체스게임은 데이터젠이 초청한 기관투자자와 신근영 글로핀 회장, 김형중 고려대 교수,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 이남식 국제미래학회장 등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서 ‘게임’과 ‘다프체인’의 성공적 연동의 가능성을 이날 행사장에서 연출하였다. 한국체스게임 김준형 부회장은 “20억 명이 애용하는 보드게임 가운데, 당사가 개발한 장기 묘수풀이 ‘박보퍼즐베팅’ 게임은 2만여개의 박보콘텐츠를 기반으로 전 세계인들에게 ‘재미있고, 쉬운 게임, 특히 베팅과 대국에 대한 보상을 ’다프체인‘으로 할 것이다”고 밝혔다. 데이터젠 임선묵 대표는 “한국체스게임에서는 3년간의 개발기간을 두고 한국어, 중국어, 영어, 일어 버전의 게임을 제작 완료하고 있어 ‘체스코인과 다프체인’이 연동하면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고, 공유하고, 분배하는 게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국 장기와 중국 장기는 그 유전자가 같은 특징이 있다. 한국과 중국의 장기는 ‘바둑’처럼 ‘사선’에 기물을 놓는다. 그러나 체스와 일본 장기, 아랍 장기는 기물을 칸에다 놓아 유전자적 차이가 있다. 특히 한국장기의 과학성과 우수성은 ‘다양한’ 행마법을 가진 체스와는 다르게 ‘하나’의 행마법에 있다. 따라서 바둑 고수가 ‘묘수풀이’를 만들 수 있듯이 유일하게 전 세계 체스 중에 장기고수가 체스형 ‘묘수풀이’를 만들 수 있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체스게임은 3년간 제작한 2만여개의 박보기보 콘텐츠로 독보적인 위치에서 한국, 중국, 일본, 미국의 20억 보드게임 유저를 대상으로 한국장기와 ‘다프체인’의 우수성을 알릴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생리대 브랜드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1위 시크릿데이, 2위 유기농본, 3위 화이트
생리대 브랜드 평판 2018년 8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시크릿데이 2위 유기농본 3위 화이트 순으로 분석되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생리대 브랜드 17개에 대한 브랜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하였다. 2018년 7월 26일부터 2018년 8월 27일까지의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1,034,127개를 분석하였다. 지난 7월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1,500,573개와 비교하면 31.08% 줄어들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생리대 브랜드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하였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신제품런칭센터에서 분석한 브랜드 유통에 대한 평가도 포함되었다. 2018년 8월 생리대 브랜드평판 순위는 시크릿데이, 유기농본, 화이트, 좋은느낌, 나트라케어, 바디피트, 콜만, 위스퍼, 라라문, 내츄럴코튼, 예지미인, 앨리스,허브데이, 잇츠마인, 잇츠미, 네띠, 아임오가닉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시크릿데이 브랜드는 참여지수 38,353 소통지수 94,855 커뮤니티지수 44,02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7,230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 290,959와 비교하면 39.09% 하락했다. 2위, 유기농본 브랜드는 참여지수 39,101 소통지수 96,600 커뮤니티지수 41,20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76,906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201,605와 비교하면 12.25% 하락했다. 3위, 화이트 브랜드는 참여지수 18,509 소통지수 90,765 커뮤니티지수 60,39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69,667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264,040와 비교하면 35.74% 하락했다. 4위, 좋은느낌 브랜드는 참여지수 28,057 소통지수 63,480 커뮤니티지수 51,291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42,828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203,996와 비교하면 29.99% 하락했다. 5위, 나트라케어 브랜드는 참여지수 35,287 소통지수 62,445 커뮤니티지수 8,73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06,465로 분석되었다. 지난 7월 브랜드평판지수121,968와 비교하면 12.71%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8년 8월 생리대 브랜드 분석결과, 시크릿데이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생리대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7월 생리대 브랜드 빅데이터 1,500,573개와 비교하면 31.08% 줄어들었다. 세부분석을 보면 브랜드 소비10.19% 하락, 브랜드 소통 19.38% 하락, 브랜드 확산56.54% 하락했다. "라고 평판 분석했다. 이어 "2018년 9월 생리대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시크릿데이는 링크 분석에서 "안전하다, 부드럽다, 빠르다"가 높았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친환경, 로하스,러브코튼"이 높게 분석되었다. 시크릿데이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비율 분석에서는 긍정비율 78.22%로 분석되었다."라고 빅데이터 분석했다.
-
이비카드, 버스타고 시외버스 연계·호환 서비스 전국 3500여개 노선 확대
시외버스 예약·예매 서비스 ‘버스타고(bustago)’를 운영하고 있는 ㈜이비카드(대표이사 이근재)가 국토교통부와 함께 시행 중인 ‘시외버스 연계·호환 서비스’를 3500여개 노선으로 확대 시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비카드는 버스타고 ‘시외버스 연계·호환 서비스’ 확대 시행을 기념하여 ‘모바일 캐시비 선물 증정’ 이벤트를 진행한다. 7월 24일(월)부터 4주간 ‘버스타고’ 모바일 앱을 통해 시외버스 승차권을 왕복 예매하면 자동 참여되며 추첨을 통해 모바일 캐시비 3만원(10명), 1만원(50명)이 제공된다. 해당 서비스는 전국버스운송사업연합회에서 추진하고 이비카드가 운영하고 있는 모바일 시외버스 예매 서비스 ‘버스타고(bustago)’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버스타고’ 모바일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전자 승차권을 발권할 수 있으며 지정 좌석 예약 및 정확한 운행정보 확인 등 다양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시외버스 예매 서비스 ‘버스타고’ 모바일 앱은 구글플레이스토어 및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향후 ‘시외버스 연계·호환 서비스’를 전국 모든 시외버스 노선으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신한카드, CJ ONE 멤버십에 캐시백 혜택을 더한 체크카드 출시신한카드가 문화, 외식, 쇼핑을 망라하는 글로벌 생활문화기업 CJ와 손을 잡았다. 신한카드(사장 임영진)는 CJ의 통합 라이프스타일 멤버십 서비스 CJ ONE과 각종 캐시백 혜택을 한 장의 카드로 누릴 수 있는 ‘CJ ONE 신한카드 체크’를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출시된 ‘CJ ONE 신한카드 체크’는 CGV, 올리브영, 빕스(VIPS), 투썸플레이스 등 다양한 CJ브랜드를 즐기고, 전월 실적에 따라 월 최대 2만원까지 캐시백(현금 입금) 받을 수 있다. 먼저 ‘CJ ONE 신한카드 체크’는 CGV 홈페이지나 앱, 현장에서 결제 시 전월 실적에 따라 5000원에서 7000원까지 월 1회 캐시백이 제공된다. 헬스앤뷰티 스토어 올리브영에서는 결제금액의 10%를 캐시백 해주고,(통합 일 1회, 월 3회, 최대 1000원까지) 전월 20만원 이상 이용 시 CJ ONE 포인트를 5% 추가 적립 받을 수 있다.(월 최대 3000포인트까지) CJ몰(mall)에서는 구매금액의 5%를 캐시백으로 돌려 받을 수 있다(일 1회, 월 2회, 회당 최대 2500원). 또 빕스, 계절밥상, 투썸플레이스, 뚜레쥬르 등 CJ푸드빌의 브랜드에서 결제할 때는 10%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외식 브랜드 통합 일 1회, 월 2회, 1회당 최대 5000원까지, 식음료 브랜드 통합 일 1회 월 5회 한도, 1회당 최대 1000원까지) ‘CJ ONE 신한카드 체크’ 캐시백 서비스는 통합 캐시백 한도 범위 내에서 제공된다. 전월 이용금액 2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은 5000원, 50만원 이상 80만원 미만은 1만원, 8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은 1만5000원, 100만원 이상은 최대 2만원까지다. 캐시백은 결제일에 체크카드 해당 계좌로 입금된다. ‘CJ ONE 신한카드 체크’ 서비스는 별도 연회비가 없다. 신한카드는 상품 출시에 맞춰 ‘CJ ONE 신한카드 체크’로 1만원 이상 이용하는 고객에게 선착순으로 CJ ONE 3000 포인트를 제공하는 이벤트와, 미션을 달성한 고객에게 추첨을 통해 300만원 상당의 해외여행상품권과 150만원 상당의 LG 노트북, LG 프라엘 마스크 등을 제공하는 프로모션 행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이외 CJ ONE과 함께 재미를 더한 다채로운 이벤트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카드 및 이벤트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신한카드 홈페이지 또는 신한카드 모바일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한카드는 CJ ONE 멤버십 기능을 탑재한 ‘CJ ONE 신한카드 체크’ 한 장의 카드로 결제와 포인트 적립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다며 CJ ONE의 제휴 브랜드를 통해 고객에게 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한편 CJ ONE은 2010년 9월 론칭한 국내 대표 라이프스타일 멤버십 서비스이다. CJ CGV, CJ푸드빌, CJENM, CJ월디스, CJ올리브네트웍스 등 CJ 주요 계열사들이 함께 하고 있으며, 제휴 브랜드로는 CGV, 올리브영, CJ몰, 투썸플레이스, 빕스, 티빙 등이 있다.
-
와이페이모어-KB국민카드, 라운지 이용권 증정이벤트 진행
실시간 할인 항공권 전문기업 와이페이모어가 KB국민카드와 함께 8월 한 달간 KB국민카드 운임조건 항공권 구매 시 선착순으로 라운지 이용권을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프로모션 기간 중 와이페이모어 홈페이지(PC, 모바일)에서 KB국민카드 결제조건 항공권 구매 후, 응모하는 고객 700명에게 선착순으로 드래곤패스 라운지 이용권이 증정된다. 드래곤패스 라운지 이용권은 전 세계 900여개 공항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해당 이벤트는 만 18세 이상 KB국민카드 운임조건으로 결제한 성인탑승자는 누구든 응모할 수 있다. 너무나도 무더운 올여름, 8월 한 달간 최저가 항공권의 구매 기회와 무료 라운지 이용 혜택이 시원한 한줄기 바람이 되길 바란다는 와이페이모어의 설명이다. KB국민은행(은행장 허인)은 27일 인도네시아 부코핀 은행의 지분 22%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KB국민은행은 6월 인도네시아 소매금융 전문은행인 부코핀 은행(Bank Bukopin)과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금융감독청(OJK)으로부터 신주인수 적격기관 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 후 한달 만에 약 22%의 지분 인수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해 2대 주주 지위를 확보하게 됐으며, 2008년 인도네시아 BII은행(전 메이뱅크 인도네시아) 지분 매각 이후 10년만에 인도네시아 시장에 재진출하는 성과를 이뤘다. 앞으로 KB국민은행은 주택금융을 포함한 소매금융, 디지털뱅킹 및 리스크관리 부문 등의 역량이전을 통해 부코핀 은행의 가치 증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부코핀 은행은 인도네시아 내 자산 기준 14위의 중형은행(BUKU 3)으로 총 322개의 지점망을 보유하고 있다. 개인고객 및 SME(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고객 위주의 리테일 사업을 영위하며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KB금융그룹 윤종규 회장은 올해 ‘RACE 2018’을 경영전략으로 삼아 그룹의 사업 포트폴리오 견고화 및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집중해 확고한 리딩금융그룹의 위상을 정립해 가고 있다. 글로벌 사업은 아시아 시장을 중심축으로 글로벌 진출 기반을 다지며 동남아시아 시장 현지에 특화된 금융모델을 통해 시장 지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은 정부의 신남방정책에 발맞춰 KB국민은행의 동남아 영업기반이 기존 캄보디아, 베트남, 미얀마 중심에서 아세안(ASEAN)을 대표하는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확장됐다며 앞으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보다 확고한 영업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KB국민은행은 금년 베트남 하노이사무소와 인도 구르가온사무소의 지점전환을 위한현지 예비인가를 획득했으며 내년 상반기 지점 개점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
무디스, 더 나은 미래 열기 위한 진전사항을 CSR 보고서에서 자세히 소개
무디스 코퍼레이션(Moody’s Corporation)(뉴욕증권거래소:MCO)이 새로 공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 보고서에서 전세계 사람들과 이들의 공동체 및 주변환경을 위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 준다는 목표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무디스 코퍼레이션의 진전사항을 상세히 설명했다. 무디스의 최고경영자 겸 사장인 레이몬드 맥다니엘(Raymond McDaniel)은 “무디스의 CSR 전략은 지식과 기회를 얻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발견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나는 무디스 직원들이 소기업 경영주 지원에서 여건 조성에 이르기까지 우리 주변의 세상을 보다 훌륭하게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런 과제를 해결하는데 시간과 전문지식을 쏟아붓고 있다는 점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무디스는 최근 금융 지식이 있는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데 중점을 둔다는 방침의 일환으로 미래 재편(Reshape TomorrowTM)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소기업 경영주들이 자신의 기업을 발전시킨다는 과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전세계 기관들과 협력하는 이니셔티브이다. 무디스 CSR 본부의 글로벌 대표인 알린 아이작스-로우(Arlene Isaacs-Lowe)는 “우리의 CSR 전략은 계속 진화하고 있는 글로벌 경제 속에서 사람들이 성공을 거두도록 도움을 줌으로써 이들의 삶을 지속적으로 차별화시킨다는 무디스만의 사업적 강점을 토대로 하고 있다”며 “소기업 경영주들, 특히 여성과 미개척 분야의 공동체 구성원들이 성장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은행대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우리의 미래 재편 프로그램이 확고히 자리잡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보고서는 무디스가 재정적 권한 분산은 물론 중점을 두고 있는 다른 각 부문, 즉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활성화, 젊은이들의 잠재력 발휘 지원, 그리고 무디스의 열정과 목표의식 전세계 공유를 지원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이니셔티브를 상술하고 있다.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활성화 무디스 인베스터스 서비스(Moody’s Investors Service)는 글로벌 투자자, 정부 및 발행은행들이 지속 가능성과 신용위험 간의 연계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담 팀을 두고 환경, 사회 및 거버넌스(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이하 ‘ESG’) 문제를 자사의 신용 분석에 접목시키고 있다. 또한 무디스 녹색채권 평가(Moody’s Green Bond Assessments, 이하 ‘GBAs’)는 투자자들에게 정보의 공개나 수익금의 사용 방법 등 새로운 녹색채권 발행 관리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6월 현재 무디스는 그 가치가 약 195억달러에 이르는 40건의 녹색 채권을 평가했고 환경에 이익이 되는 프로젝트에 확신을 갖고 투자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더욱이 무디스 재단(Moody’s Foundation)은 스코틀랜드 캘리도니언 숲(Caledonian Forest)의 보존과 복구를 목표로 하는 ‘Trees For Life’를 지원하고 있다. 무디스는 3600그루의 자생목 숲을 조성했고 GBA가 공개될 때마다 숲을 추가하고 있다. 무디스가 자체적으로 환경적 파급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명확하다. 2017년의 경우 물리적 탄소발자국이 7%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무디스의 스코프(Scope) 1 및 2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9% 줄어들었는데 이는 한 해 동안 도로의 차량을 355대 줄인 것과 같은 수준이다. 젊은이들의 잠재력 발휘 지원 무디스는 멘토링, 기술개발 프로그램 및 인턴십 등을 통해 젊은이들이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이니셔티브를 지원하고 있으며 샌프란시스코와 뉴욕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코딩하는 소녀들(Girls Who Code)’을 통해 컴퓨팅 및 전문 기술 프로그램을 후원하는 한편, 여성들이 자신의 재능을 활용해 금융과 기술 및 경제 분야의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무디스의 열정과 목표의식 전세계 공유 무디스 직원들은 자발적 노력과 대가 없는 전문지식 기여, 그리고 비영리단체를 대신한 게시판 서비스를 통해 CSR 추진에 막중한 역할을 맡고 있다. 이 보고서는 남아프리카 초등학교가 학생들에게 신선한 야채를 제공하도록 돕는 것에서부터 뉴욕 및 뉴저지의 LGBTQ(성소수자) 젊은이를 지원하고 있는 헤트릭-마틴 협회(Hetrick-Martin Institute)에 데이터 분석 전문지식을 제공하기까지 무디스 직원들이 자신의 책무를 지역사회에 보여주고 있는 방법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위드펀드, P2P 전산원장 분리보관 시스템 도입통합 분산투자 서비스 위드펀드의 이종석 대표가 P2P입점사들을 대상으로 전산원장 분리보관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25일 밝혔다. P2P금융시장에서 P2P회사들의 갑작스런 파산, 플랫폼서비스 중지 등, 소위 말하는 먹튀 사태로 인하여 다수의 투자자들이 본인의 투자내역 및 대출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대두됐다. 투자자의 정당한 권리 행사를 위해서는 전산원장의 분리보관 꼭 필요한 시스템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위드펀드는 입점한 P2P업체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위드펀드 내에서 거래되는 모든 전산원장은 위드펀드 서버에 블록체인 방식으로 별도 분리보관되며, 해당 자료의 열람은 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한 대출자, 투자금의 원리금수취권증서 발행을 요청하는 투자자만 가능하다. 위드펀드는 전산원장 분리보관 이후 관련 업무를 진행하기 위한 법무법인과 업무계약 체결을 완료하였으며, 플랫폼 사업자의 정상적인 서비스 진행이 불가능할 경우 선임된 법무법인이 투자자들의 원리금회수를 위해 파산관재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설명했다. 위드펀드 이종석 대표는 “P2P금융이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서비스가 꼭 필요하며, 위드펀드는 안정적인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입점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말했다. 위드펀드 개요 위드펀드는 국내 최초로 지급결제시스템이 탑재된 ‘P2P통합투자서비스’다. 위드펀드는 입점사들에게 통합회원 제공, 프로젝트 관리 및 홍보, 지급결제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다수의 P2P회사를 대상으로 직접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프로젝트 분산투자가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투자한 다수의 P2P회사의 수익금을 위드펀드 예치금 계좌 하나로 관리가 가능하다.